KR20150121227A - 액체 공급 장치 및 액체 수용체 - Google Patents

액체 공급 장치 및 액체 수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227A
KR20150121227A KR1020157027102A KR20157027102A KR20150121227A KR 20150121227 A KR20150121227 A KR 20150121227A KR 1020157027102 A KR1020157027102 A KR 1020157027102A KR 20157027102 A KR20157027102 A KR 20157027102A KR 20150121227 A KR20150121227 A KR 20150121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ink
lead
case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토모 츠카하라
다카시 마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1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41J2002/17516Inner structure comprising a collapsible ink holder, e.g. a flexible bag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액체 도출부와 액체 도입부를 용이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액체 공급 장치 및 액체 수용체를 제공한다. 잉크젯식 프린터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장치는, 잉크 백(90) 및 잉크 백(90)과 연통하는 잉크 도출부(91)를 갖는 잉크 수용체(17)와, 잉크 수용체(17)를 지지하는 오른쪽 오목부 및 왼쪽 오목부와, 잉크 도출부(91)에 접속 가능한 잉크 도입 바늘(80)과, 잉크 도입 바늘(80)과 잉크젯식 프린터를 접속하는 접속 튜브(37)를 갖는다. 그리고, 잉크 수용체(17)는 잉크 도출부(91)가 잉크 백(90)보다 중력 방향에 있어서 위에 위치하도록 오른쪽 오목부 및 왼쪽 오목부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다.

Description

액체 공급 장치 및 액체 수용체{LIQUID SUPPLY DEVICE AND LIQUID CONTAIN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잉크젯식 프린터 등의 액체 분사 장치에 잉크 등의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장치 및 상기 액체 공급 장치에 구비되는 액체 수용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액체 분사 장치의 일종으로서, 기록 헤드로부터 용지 등에 대해서 잉크를 분사하고 인쇄를 실시하는 잉크젯식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프린터에 있어서는, 비교적 대량의 인쇄를 실시하는 경우에 기록 헤드에 연속적으로 안정되게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서, 외부 잉크 공급 장치(액체 공급 장치)가 접속되는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외부 잉크 공급 장치는, 잉크의 수용 용량이 비교적 큰 외부의 잉크 팩과, 잉크 팩을 매다는 현수 기구와, 잉크 공급 튜브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현수 기구에 잉크 팩을 매단 상태로, 잉크 팩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접속부에, 일단측이 프린터측의 잉크 탱크에 접속된 잉크 공급 튜브의 타단측이 개폐 밸브를 거쳐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잉크 팩내의 잉크는 잉크 공급 튜브를 통해서 프린터측의 잉크 탱크에 공급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9-202346 호 공보
그런데, 상술과 같은 외부 잉크 공급 장치에서는, 잉크 공급 튜브의 타단측이 개폐 밸브를 거쳐서 접속되는 잉크 팩의 접속부가, 잉크 팩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잉크 팩의 접속부에 개폐 밸브를 거쳐서 잉크 공급 튜브의 타단측을 접속할 때, 잉크 팩의 접속부나 개폐 밸브가 목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잉크 팩의 접속부에 개폐 밸브를 거쳐서 잉크 공급 튜브의 타단측을 접속하는 작업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상술과 같은 외부 잉크 공급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 공급 장치이여도 대체로 공통된 것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주목해서 이뤄진 것이다.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액체 도출부와 액체 도입부를 용이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액체 공급 장치 및 액체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 기재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공급 장치는,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가요성부를 갖는 액체 수용부, 및 상기 액체 수용부와 연통하는 액체 도출부를 갖는 액체 수용체와, 상기 액체 수용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액체 도출부에 접속 가능한 액체 도입부와, 상기 액체 도입부와 상기 액체 분사 장치를 접속하는 유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도출부가 상기 액체 수용부보다 중력 방향에 있어서 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도출부가 액체 수용부보다 중력 방향에 있어서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목시로 확인하면서 액체 도출부와 액체 도입부를 용이하게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액체는 자중으로 하부에 모이기 때문에, 액체 도출부가 하부에 있는 경우, 액체 도출부와 액체 도입부와의 접속 불량이 일어났을 때에 액체의 누출량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도출부가 액체 수용부보다 중력 방향에 있어서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액체 도출부와 액체 도입부와의 접속 불량이 있었다고 해도, 액체의 누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는 대향하는 가요성의 벽을 갖는 봉지체이며, 상기 액체의 소비에 의해 상기 대향하는 벽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의 소비에 의한 가요성의 벽의 변위 상태를 시인하는 것으로, 액체의 소비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를 수용하고, 상기 지지부를 마련한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과 대향하고, 중력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보다 상방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커버하는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개구부를 거쳐서 착탈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는 케이스에 있어서의 중력 방향의 상방에 형성된 개구부를 거쳐서 케이스에 착탈되기 때문에, 케이스에 대한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내에 액체 수용체를 수용한 후, 개구부를 덮개 부재로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나 유로 부재를 파손시키거나 액체 도출부와 액체 도입부와의 접속을 잘못 분리시키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액체의 공급 불량이나 액체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도출부와 액체 도입부와의 접속 작업 및 분리 작업을 바닥면이 있는 케이스상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가 떨어졌다고 해도, 이 떨어진 액체를 케이스 내에서 받아들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의 외부가 액체로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를 수용하고, 상기 지지부를 마련한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액체 수용체 내의 액체의 소비에 수반하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가요성부의 변위 상태를 시인 가능한 시인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케이스는 시인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 외측으로부터 케이스 내의 액체 수용체의 변형 상태를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외측으로부터 액체의 소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를 수용하고, 상기 지지부를 마련한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액체 분사 장치와 대향하는 벽이 되는 제 1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과 대향하는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과 교차하는 제 3 측벽 및 제 4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 제 2 측벽, 제 3 측벽, 제 4 측벽과 교차하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과 대향하는 측에 설치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도출부가 형성된 일단측의 폭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케이스의 제 1 측벽과 제 2 측벽과의 사이의 거리가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의 액체 도출부가 형성된 일단측의 폭보다 짧기 때문에, 케이스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의 상기 액체 도출부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일단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도출부가 형성된 일단측에,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액체 수용체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는 액체 수용체 지지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 지지부를 파지해서 취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액체 수용체의 지지부에 대한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 지지부는 상기 일단측과 결합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지지 부재를 거쳐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는 액체 도출부가 형성된 일단측이 지지부에 지지되기 때문에, 액체 도입부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지지 부재를 파지해서 액체 수용체를 취급할 수 있으므로, 액체 수용체의 지지부에 대한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도출부가 형성된 상기 일단측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어서 현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가 현수되는 것에 의해, 액체가 자중에 의해 액체 수용체의 하부에 모이고, 액체 수용체의 가요성부에 장력이 걸리기 때문에, 액체 수용부 내의 액체의 소비에 맞춰서, 액체 수용체의 가요성부가 주름이나 뒤틀림이 없는 상태로 깨끗하게 신장되는 것이 가능해져, 액체를 안정적으로 액체 분사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가 액체 분사 헤드를 탑재한 캐리지가 이동하는 타입의 장치의 경우는, 액체 분사 장치의 진동이 액체 수용체에 전달되어 액체 수용체의 하부가 요동하고, 예를 들면 액체가 안료를 포함하는 침강하기 쉬운 잉크의 경우, 이 요동에 의해서 교반되어 잉크의 농도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체 도출부를 지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는, 액체 도출부가 지지 부재에 의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액체 수용부 내의 액체의 소비에 맞춰서 액체 수용부가 주름이나 뒤틀림이 없는 상태로 깨끗하게 신장되는 것이 가능해져, 액체를 안정적으로 액체 분사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체 도출부를 협지한 양측으로 상기 액체 수용부를 지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는, 액체 수용부에 있어서의 액체 도출부를 협지한 양측으로 액체 수용체를 지지하기 때문에, 액체 수용부를 밸런스 좋게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도출부와 연통하고, 상기 액체 수용부의 중력 방향 하부까지 연재하는 유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도출부가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액체 수용부 내의 하부로부터 유로를 거쳐서 액체를 빨아 올릴 수 있으므로, 액체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공급 장치는,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가요성부를 갖는 액체 수용부, 및 상기 액체 수용부와 연통하는 액체 도출부를 갖는 액체 수용체와, 상기 액체 수용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액체 도출부에 접속 가능한 액체 도입부와, 상기 액체 도입부와 상기 액체 분사 장치를 접속하는 유로 부재와, 상기 액체 수용체를 수용하고, 상기 지지부를 마련한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액체 분사 장치와 대향하는 벽이 되는 제 1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과 대향하는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과 교차하는 제 3 측벽 및 제 4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 제 2 측벽, 제 3 측벽, 제 4 측벽과 교차하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과 대향하는 측에 설치된 개구부와, 상기 액체 수용체 내의 액체의 소비에 수반하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가요성부의 변위 상태를 시인 가능한 시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도출부가 형성된 일단측의 폭보다 짧다.
이 구성에 의하면, 케이스는 시인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 외측으로부터 케이스 내의 액체 수용체의 변형 상태를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외측으로부터 액체의 소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제 1 측벽과 제 2 측벽과의 사이의 거리가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의 액체 도출부가 형성된 일단측의 폭보다 짧기 때문에, 개구부측으로부터 바닥벽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에 대해서 액체 수용체의 일단측이 비스듬하게 또는 평행으로 배치되게 된다. 특히 복수의 액체 수용체가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예를 들면 제 3 측벽이 액체 분사 장치의 배지구측, 즉 전면측과 나란한 전벽으로 그 부분에 시인부를 형성했을 경우는, 전방으로부터 제 3 벽을 통해 복수의 액체 수용체의 변형 상태를 시인할 수 있어, 각 액체 수용체의 소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에 시인부가 없는 경우에는, 케이스 외측으로부터 케이스 내의 액체 수용체의 변형 상태를 시인하지 못하고, 액체 수용체의 액체의 소비 상태를 케이스 외측으로부터 확인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케이스의 제 1 측벽과 제 2 측벽과의 사이의 거리가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의 액체 도출부가 형성된 일단측의 폭보다 긴 경우에는, 케이스가 커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수용체는, 액체 분사 장치에 이용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외부에 상기 액체를 도출하기 위한 액체 도출부와, 가요성의 벽을 구비하고, 상기 액체 도출부를 일단측에 갖는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도출부를 갖는 상기 일단측과 결합하는 행거 부재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는 액체 도출부를 갖는 일단측과 결합하는 행거 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액체 도출부를 중력 방향의 상단측으로서 매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액체가 자중에 의해 액체 수용체의 하부에 모여, 액체 수용부의 가요성의 벽에 장력이 걸리기 때문에, 액체 수용부 내의 액체의 소비에 맞춰서, 액체 수용부의 가요성의 벽이 주름이나 뒤틀림이 없는 상태로 깨끗하게 신장되는 것이 가능해져, 액체 도출부를 액체 분사부에 연통시켰을 경우, 액체 분사 장치에 안정적으로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의 벽을 갖는 액체 수용체는 취급이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지만, 행거 부재를 파지킬 수 있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가요성의 벽을 파지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가요성의 벽을 파손시켜 액체 누출을 발생시키는 일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행거 부재는 상기 액체 도출부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행거 부재가 액체 도출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액체 도출부를 액체 분사부와 연통시킬 때, 접속이 용이해진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행거 부재는 상기 액체 도출부를 협지한 양측으로 상기 액체 수용부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행거 부재의 결합하는 액체 수용부의 일단측이 액체 도출부의 양측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일단측이 깨끗하게 신장된 상태로 지지를 받아 액체를 외부에 안정되게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도출부와 연통하고, 상기 액체 수용부의 상기 일단측의 반대측까지 연재하는 유로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행거 부재에 의해서 액체 수용체가 현수되었을 때에, 액체 수용부의 바닥부 내로부터 액체 도출부에의 액체의 빨아 올림이 가능해져, 액체를 외부에 안정되게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同) 화상 형성 시스템에 있어서의 오토 문서 피더를 열었을 때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화상 형성 시스템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화상 형성 시스템의 잉크 공급 장치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동 용기 본체내를 좌측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7은 화상 형성 시스템의 잉크젯식 프린터의 본체 케이스 내를 우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동 화상 형성 시스템에 있어서의 잉크 공급 장치와 잉크젯식 프린터와의 접합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9는 동 화상 형성 시스템의 화상 형성 장치를 좌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용기 본체를 좌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잉크 도입 바늘에 있어서의 캡 및 접속 튜브와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잉크 도출부가 형성된 잉크 백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잉크 수용체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동 잉크 수용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을 반대측에서 보았을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잉크 수용체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 1 지지 부재와 잉크 도출부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20은 잉크 수용체의 잉크 도출부에 잉크 도입 바늘이 접속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은 동 잉크 수용체의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22는 잉크 공급 장치의 내부를 전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23은 변경예의 화상 형성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동 화상 형성 시스템의 대좌(pedestal base)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동 대좌를 케이스의 바닥벽 형성 부재의 하면에 장착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변경예의 화상 형성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변경예의 화상 형성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변경예의 잉크 도출 튜브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변경예의 잉크 도출 튜브를 커버 부재에 의해서 가렸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0은 변경예의 화상 형성 시스템의 정면 모식도이다.
이하, 화상 형성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시스템(11)은 잉크(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의 일례로서의 잉크젯식 프린터(12) 및 원고(G)(매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13)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14)와, 잉크젯식 프린터(12)에 잉크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장치의 일례로서의 잉크 공급 장치(15)를 구비하고 있다. 판독 장치(13)는 잉크젯식 프린터(12)상에 배치되어 있다.
판독 장치(13)는, 그 상단에 원고(G)를 판독하는 판독면(13a)을 갖고 있다. 판독 장치(13)위에는, 판독면(13a)을 개폐 가능하게 오토 문서 피더(16)가 배치되어 있다. 오토 문서 피더(16)는 적층된 복수의 원고(G)를 한장씩 반전시키면서 판독면(13a)위에 순차 급송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공급 장치(15)는 잉크젯식 프린터(12)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잉크 공급 장치(15)는 잉크젯식 프린터(12)(화상 형성 장치(14))의 좌횡에, 상기 잉크젯식 프린터(12)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잉크 공급 장치(15)는 잉크가 수용된 액체 수용체의 일례로서의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잉크 수용체(17)와, 각 잉크 수용체(17)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체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케이스(18)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8)는, 상단에 각 잉크 수용체(17)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19)를 가진 전후 방향으로 긴 바닥이 있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20)와, 개구부(19)를 개폐 가능하게 커버하는 덮개 부재(21)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0) 및 덮개 부재(21)는 모두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0) 내에는, 4개의 잉크 수용체(17)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4개의 잉크 수용체(17)에는,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향한 순서로, 시안 잉크, 마젠타 잉크, 옐로우 잉크, 블랙 잉크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 빈도가 높은 블랙 잉크의 잉크 수용체(17)가 용기 본체(20) 내의 가장 전측에 배치된다.
케이스(18)는, 덮개 부재(21)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8)의 상면이 판독면(13a)과 높이가 동등하도록, 잉크젯식 프린터(12)(화상 형성 장치(14))의 좌측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높이가 동등하다"고 하는 것은, 높이가 동일한 것에 추가해서, 높이의 차이가 2㎝ 이내의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18)의 높이는 판독면(13a)의 높이보다 5㎜만 낮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젯식 프린터(12)는 좌우 방향으로 긴 대략 직방체 형상의 본체 케이스(25)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25) 내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타겟의 일례로서의 용지(P)를 지지하는 지지대(26)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대(26)의 상방에는, 주 주사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캐리지(27)가 설치되어 있다.
캐리지(27) 내에는, 캐리지(27)의 하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액체 분사 헤드의 일례로서의 기록 헤드(28)가 지지되어 있다. 기록 헤드(28)는 지지대(26)와 대향되어 있다. 그리고, 기록 헤드(28)는, 캐리지(27)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지대(26)상을 후측으로부터 전측을 향해 반송되는 용지(P)에 대해서 복수의 노즐(도시 생략)로부터 잉크를 분사하는 것에 의해, 용지(P)의 인쇄를 실시한다.
또한, 본체 케이스(25) 내에 있어서의 지지대(26)의 하측에는, 복수의 용지(P)가 적층 상태로 수용 가능한 용지 카세트(29)가, 본체 케이스(25)의 전면 중앙 하부에 설치된 개구부(30)로부터 본체 케이스(25)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용지 카세트(29) 내의 용지(P)는, 종이 이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한장씩 반전되면서 지지대(26)상으로 후측으로부터 급송된다.
그리고, 지지대(26)상에서 인쇄된 용지(P)는, 개구부(30)에 있어서의 용지 카세트(29)보다 상측의 영역에 의해서 구성되는 배지구(31)로부터 순차 배지된다. 또한, 용지 카세트(29)의 상측에는, 배지구(31)로부터 순차 배지되는 용지(P)를 순차 지지하는 배지 트레이(32)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신축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5) 내에 있어서의 좌단부에는, 전측이 개구한 직사각형 상자 형상을 이루는 홀더 케이스(34)와, 홀더 케이스(34) 내의 바닥벽(후벽)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중공의 잉크 공급 바늘(35)을 구비하고 있다.
각 잉크 공급 바늘(35)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홀더 케이스(34)의 측벽을 관통하고 있다. 각 잉크 공급 바늘(35)의 후단부에는 가요성의 잉크 공급 튜브(36)의 일단측이 접속되고, 잉크 공급 튜브(36)의 타단측은 기록 헤드(28)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잉크젯식 프린터(12)에서는, 이들 4개의 잉크 공급 바늘(35)에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한 순서로, 시안 잉크, 마젠타 잉크, 옐로우 잉크, 블랙 잉크가 각각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잉크의 색을 기준으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 홀더 케이스(34)에 있어서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각 잉크 공급 바늘(35)의 늘어선 순서는, 용기 본체(20) 내에 있어서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향하는 각 잉크 수용체(17)의 늘어선 순서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잉크 수용체(17)와 각 잉크 공급 바늘(35)은, 공급되는 각 색 잉크가 대응하도록, 잉크 공급 장치(15)의 일부를 구성하는 유로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요성의 접속 튜브(37)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잉크 공급 장치(15)의 각 잉크 수용체(17)로부터 각 접속 튜브(37)를 거쳐서 각 잉크 공급 바늘(35)에 공급된 각 잉크는 각 잉크 공급 튜브(36)를 거쳐서 기록 헤드(28)에 공급된다.
다음에 케이스(18)의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8)의 덮개 부재(21)는, 용기 본체(20)측에 개구부(40)를 가진 전후 방향으로 길고 또한 용기 본체(20)보다 얕은 덮개가 있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덮개 부재(21)는 힌지부(41)를 거쳐서 용기 본체(20)의 후면에 있어서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 부재(21)는, 개폐 동작되는 경우, 힌지부(41)를 지점으로 해서 회동한다. 즉, 덮개 부재(21)는 용기 본체(20)의 전측으로부터 개방되고, 용기 본체(20)의 전측에서 폐쇄된다. 또한, 덮개 부재(21)는, 용기 본체(20)의 개구부(19)를 폐색한 상태에서는 개구부(40)가 개구부(19)에 맞춰진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20)는, 잉크젯식 프린터(12)와 대향하는 벽이 되는 우측벽(45)과, 우측벽(45)과 대향하는 좌측벽(46)과, 우측벽(45) 및 좌측벽(46)과 직교하는 후측벽(47) 및 전측벽(48)과, 우측벽(45), 좌측벽(46), 후측벽(47) 및 전측벽(48)과 직교하는 바닥벽(49)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바닥벽(49)과 대향하는 측에 개구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개구부(19)는 바닥벽(49)과 대향하고, 중력 방향에 있어서 바닥벽(49)보다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벽(45), 좌측벽(46), 후측벽(47) 및 전측벽(48)은 각각 제 1 측벽, 제 2 측벽, 제 3 측벽 및 제 4 측벽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20)에 있어서의 우측벽(45)과 좌측벽(46)과의 사이의 거리는 잉크 수용체(17)의 상단측(일단측)의 폭보다 짧게 되어 있다.
용기 본체(20)는 바닥벽(49)을 형성하는 바닥이 있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바닥벽 형성 부재(50)와, 측벽의 우측 반분을 형성하는 동시에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한 판 형상의 우측벽 형성 부재(51)와, 측벽의 좌측 반분을 형성하는 동시에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한 판 형상의 좌측벽 형성 부재(52)와, 개구부(19)의 주연부를 구성하는 하측이 개구한 중공으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가장자리 부재(5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20)는, 분할 부재의 일례로서의 우측벽 형성 부재(51)와, 분할 부재의 일례로서의 좌측벽 형성 부재(52)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된다. 즉, 용기 본체(20)의 측벽은, 좌우로 분할된 2개의 분할 부재인 우측벽 형성 부재(51) 및 좌측벽 형성 부재(52)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된다.
좌측벽 형성 부재(52)의 상하 방향의 폭은 우측벽 형성 부재(51)의 상하 방향의 폭보다 약간 넓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장자리 부재(53)의 하단부 및 바닥벽 형성 부재(50)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좌측벽 형성 부재(52)와 우측벽 형성 부재(51)와의 접촉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단차(54)가 형성된다.
또한, 좌측벽 형성 부재(52)는 투명한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0)의 내부에 수용된 각 잉크 수용체(17)는 용기 본체(20)의 외부에서 좌측벽 형성 부재(52)를 통해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벽 형성 부재(52)에 의해 시인부가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 부재(53)의 오른쪽 내측면에는, 내측(좌측)으로 돌출하는 오른쪽 돌출부(55)가 잉크 수용체(17)의 수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가 4색이며, 1번 후측에 배치되는 잉크 수용체(17)에는, 오른쪽 돌출부(55)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오른쪽 돌출부(55)가 3개 형성되게 된다. 각 오른쪽 돌출부(55)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오른쪽 돌출부(55)는, 후술하는 각 텅 부분(70 내지 72)의 형상과 부합하고, 하측이 개구된 대략 덮개가 있는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경우, 각 오른쪽 돌출부(55)는, 상측에서 보아서 대략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돌출된 삼각형의 2개의 변은 전측의 것보다 후측의 것의 쪽이 짧게 되어 있다.
가장자리 부재(53)의 상면에 있어서의 각 오른쪽 돌출부(55)의 전측에서 중첩되는 위치와 오른쪽 후방의 코너부에는, 잉크 수용체(17)를 후술하는 지지 부재(92)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오른쪽 오목부(5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4개의 오른쪽 오목부(56)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지지 부재(92)의 일부의 형상에 맞춘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오른쪽 오목부(56)의 바닥면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절결 오목부(5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오른쪽 돌출부(55)에 있어서의 후측의 면과 가장자리 부재(53)의 오른쪽 내측면에 있어서의 오른쪽 전방의 코너부 근방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해 연장되는 삽통부의 일례로서의 절결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4개의 절결부(57)에는, 각 잉크 수용체(17)측의 접속 튜브(37)가 각각 삽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절결부(57)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장자리 부재(53)의 왼쪽 내측면에는, 내측(우측)으로 돌출하는 왼쪽 돌출부(58)가 잉크 수용체(17)의 수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가 4색이며, 1번 전측에 배치되는 잉크 수용체(17)에는, 왼쪽 돌출부(58)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왼쪽 돌출부(58)가 3개 형성되게 된다. 각 왼쪽 돌출부(58)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각 오른쪽 돌출부(55)보다 조금 전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왼쪽 돌출부(58)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왼쪽 돌출부(58)는 하측이 개구된 대략 덮개가 있는 삼각형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경우, 각 왼쪽 돌출부(58)는, 상측으로부터 보아서 대략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돌출된 삼각형의 2개의 변은 전측의 것보다 후측의 것의 쪽이 길게 되어 있다.
가장자리 부재(53)의 상면에 있어서의 각 왼쪽 돌출부(58)의 후측에서 중첩되는 위치와 전측의 코너부에는, 잉크 수용체(17)를 후술하는 지지 부재(92)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왼쪽 오목부(5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4개의 왼쪽 오목부(59)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지지 부재(92)의 일부의 형상에 맞춘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왼쪽 오목부(59)의 바닥면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절결 오목부(59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왼쪽 오목부(59)는, 좌우 방향에 대해서 90도 미만의 각도(본 실시형태에서는 30도)로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각 오른쪽 오목부(56)와 대향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벽 형성 부재(51)의 내측면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전측 근방의 위치에는, 각 접속 튜브(37)를 삽입 가능한 삽입부의 일례로서의 용기측 삽통 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벽 형성 부재(51)는, 본체 케이스(25)의 좌측벽(25a)에 용기 본체(20)의 내측으로부터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나사(62)에 의해서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벽 형성 부재(51)는 좌측벽(25a) 및 좌측벽(25a)의 내측에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의의 금속판 부재(63)와 함께 6개의 나사(62)에 의해서 동시 고정하는 것에 의해, 본체 케이스(25)의 좌측벽(25a)에 장착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5)의 좌측벽(25a)에 있어서의 용기측 삽통 구멍(61)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 접속 튜브(37)가 삽통되는 본체 케이스측 삽통 구멍(6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류단측이 각 잉크 공급 바늘(35)에 접속된 각 접속 튜브(37)는 본체 케이스측 삽통 구멍(64) 및 용기측 삽통 구멍(61)에 삽통되고, 해당 각 접속 튜브(37)의 상류단측은 용기 본체(20) 내에 배치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벽 형성 부재(51)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용기측 삽통 구멍(61)의 하측으로부터 전측에 걸친 위치에는, 용기측 삽통 구멍(61)에 삽통된 각 접속 튜브(37) 중 블랙 잉크에 대응하는 1개를 지지하는 L자 판 형상의 제 1 튜브 지지부(65)가 용기측 삽통 구멍(61)과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벽 형성 부재(51)의 내측면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용기측 삽통 구멍(61)의 후측에는, 서로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4개의 판 형상의 리브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이 되도록 왼쪽을 향해 수평으로 돌설되어 있다.
이들 4개의 리브는, 이들 전단이 서로 정렬되어 있고, 아래로부터 위로 향한 순서로, 제 1 리브(66), 제 2 리브(67), 제 3 리브(68), 제 4 리브(69)로 되어 있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1 리브(66)의 길이는 제 2 리브(67)의 길이보다 짧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2 리브(67)의 길이는 제 3 리브(68)의 길이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3 리브(68)의 길이와 제 4 리브(69)의 길이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 1 리브(66), 제 2 리브(67), 및 제 3 리브(68)의 후단에는, 이러한 리브(66 내지 68)보다 내측(왼쪽 방향)으로 향해 크게 수평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의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제 1 텅 부분(70), 제 2 텅 부분(71), 및 제 3 텅 부분(72)이 각각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3 텅 부분(70 내지 72)은, 각 접속 튜브(37)에 있어서의 각 잉크 수용체(17)측의 단부를 지지하는 것에 의해 각 접속 튜브(37)가 처지는 것을 억제한다. 각 텅 부분(70 내지 72)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등간격으로 되도록 배치되고, 후방으로 향하는 만큼 좌우 방향의 폭이 넓게 되어 있다. 이 경우, 각 텅 부분(70 내지 72)은 가장자리 부재(53)의 각 오른쪽 돌출부(55)(도 5 참조)와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텅 부분(70 내지 72)은 상술한 각 오른쪽 돌출부(55)에 의해서 커버된다.
제 1 리브(66)와 제 2 리브(67)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은, 각 접속 튜브(37) 중 옐로우 잉크에 대응하는 1개를 지지하는 제 2 튜브 지지부(73)로 되어 있다. 제 2 리브(67)와 제 3 리브(68)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은, 각 접속 튜브(37) 중 마젠타 잉크에 대응하는 1개를 지지하는 제 3 튜브 지지부(74)로 되어 있다. 제 3 리브(68)와 제 4 리브(69)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은, 각 접속 튜브(37) 중 시안 잉크에 대응하는 1개를 지지하는 제 4 튜브 지지부(75)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3,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는, 용기측 삽통 구멍(61)과 용기 본체(20) 내에 수용된 각 잉크 수용체(17)와의 사이에서 각 접속 튜브(37)를 가이드한다. 즉,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를 통과한 접속 튜브(37)는 용기측 삽통 구멍(61)을 거쳐서 용기 본체(20)의 외부에 나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에 의해서 가이드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의 길이는, 가이드하는 각 접속 튜브(37)가 접속되는 잉크 수용체(17)로부터 용기측 삽통 구멍(61)까지의 거리에 따라 서로 상이하다. 즉,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의 각각의 길이는 제 4 튜브 지지부(75)가 가장 길고, 그 다음에 제 3 튜브 지지부(74)가 길고, 그 다음에 제 2 튜브 지지부(73)가 길고, 제 1 튜브 지지부(65)가 가장 짧게 되어 있다.
제 3 튜브 지지부(74)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는, 제 3 튜브 지지부(74) 내에 배치되어 지지된 접속 튜브(37)가 제 3 튜브 지지부(74)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탈락 억제부의 일례로서의 상하 한쌍의 돌기(7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4 튜브 지지부(75)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는, 제 4 튜브 지지부(75) 내에 배치되어 지지된 접속 튜브(37)가 제 4 튜브 지지부(75)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상하 한쌍의 돌기(7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튜브 지지부(74) 및 제 4 튜브 지지부(75)에 배치된 접속 튜브(37)에는, 각 쌍의 돌기(76)가 약간 절단된다. 각 돌기(76)는 리브(66 내지 69)와 내측 방향(좌우 방향)에 대해 동일 폭으로 대략 직방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우측벽 형성 부재(51)의 내측면의 상단부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텅 부분(70)과 용기측 삽통 구멍(61)과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4 리브(66 내지 69)를 협지하도록 보충부의 일례로서의 한쌍의 관통 구멍(77)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벽 형성 부재(51)의 내측면의 상단부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텅 부분(70)과 제 2 텅 부분(71)과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 2 내지 제 4 리브(67 내지 69)를 협지하도록 한쌍의 관통 구멍(77)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벽 형성 부재(51)의 내측면의 상단부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텅 부분(71)과 제 3 텅 부분(72)과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 3 리브(68) 및 제 4 리브(69)를 협지하도록 한쌍의 관통 구멍(7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73 내지 75) 내에 각각 접속 튜브(37)를 배치된 상태에서, 각 쌍의 관통 구멍(77)에 와이어(78)를 통해서 환상으로 해서 해당 와이어(78)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제 2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73 내지 75) 내에 각각 접속 튜브(37)가 확실히 보지된다. 따라서, 각 쌍의 관통 구멍(77)은, 제 2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73 내지 75) 내로부터 탈락하는 접속 튜브(37)를 와이어(78)에 의해서 보지하는 경우에 보충한다.
도 5,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리브(66 내지 69(제 2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73 내지 75)), 제 1 내지 제 3 텅 부분(70 내지 72), 제 1 튜브 지지부(65), 및 용기측 삽통 구멍(61)은 가장자리 부재(53)에 의해서 덮여 있다.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에 각각 지지된 접속 튜브(37)는 4개의 절결부(57)에 각각 삽통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접속 튜브(37)의 상류 단부는 각 절결부(57)로부터 용기 본체(20) 내에 배치된 상태로 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접속 튜브(37)의 상류단측에는, 선단부에 도입 구멍(80a)을 갖는 액체 도입부의 일례로서의 중공의 잉크 도입 바늘(80)의 기단부(80b)가 접속되어 있다. 즉, 각 접속 튜브(37)의 상류 단부에 각 잉크 도입 바늘(80)의 기단부(80b)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접속 튜브(37)에 있어서의 잉크 도입 바늘(80)의 기단부(80b)가 끼워맞춤된 부분은, 각 접속 튜브(37)로부터 각 잉크 도입 바늘(80)이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비틀림 스프링(81)에 의해서 체결되어 있다.
각 접속 튜브(37)에 있어서의 비틀림 스프링(81)보다 약간 하류측의 위치에는, 각 접속 튜브(37)를 눌러 찌부려서 각 접속 튜브(37) 내의 잉크의 유통을 규제하는 형태과, 각 접속 튜브(37)를 눌러 찌부리지 않고 각 접속 튜브(37) 내의 잉크의 유통을 허용하는 형태과의 사이에서 절환 가능한 잉크 유통 조정 부재(8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잉크 도입 바늘(80)은 그 중간부에 원형의 플랜지부(83)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83)에 있어서의 도입 구멍(80a)측의 면에는, 플랜지부(83)보다 약간 직경이 작은 원통 형상의 바늘 위치결정부(84)가 설치되어 있다. 바늘 위치결정부(84)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위치결정 돌기(84a)가 설치되어 있다.
각 위치결정 돌기(84a)의 선단은 플랜지부(83)의 주연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잉크 도입 바늘(80)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플랜지부(83)보다 약간 기단측의 위치에는, E 링(85)이 장착 가능한 원환상의 링 홈(8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잉크 도입 바늘(80)에는, 잉크 도입 바늘(80)에 있어서의 플랜지부(83)로부터 선단에 걸친 부위를 수용하도록, 한쪽측이 개구된 바닥이 잇는 원형 상자 형상을 이루는 캡(87)이 부착되어 있다. 즉, 캡(87)의 바닥벽의 중심부에는 캡(87)의 내측으로부터 잉크 도입 바늘(80)에 있어서의 플랜지부(83)보다 기단측이 삽통 가능한 캡 삽통 구멍(88)이 형성되고, 캡(87)의 내주면에는 나사 홈(8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87)의 캡 삽통 구멍(88)에 캡(87)의 내측으로부터 잉크 도입 바늘(80)에 있어서의 플랜지부(83)보다 기단측을 삽통한 상태로 잉크 도입 바늘(80)의 링 홈(86)에 E 링(85)을 장착하는 것에 의해, 잉크 도입 바늘(80)에 캡(87)이 부착된다. 이 때, 캡(87)의 바닥벽은 플랜지부(83)와 E 링(85)에 의해서 약간의 유격을 갖고서 협지되기 때문에, 잉크 도입 바늘(80)과 캡(87)의 흔들거림이 억제된다. 또한, 이 때, 잉크 도입 바늘(80)의 선단은 캡(87) 내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잉크 수용체의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잉크 수용체(17)는 잉크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의 일례로서의 잉크 백(90)과, 잉크 백(90)의 상단부에 잉크 백(90)의 내부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액체 도출부의 일례로서의 잉크 도출부(91)를 구비하고 있다. 잉크 도출부(91)는 잉크 백(90)보다 중력 방향에 있어서 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잉크 백(90)에 있어서의 잉크 도출부(91)가 형성된 상단측(일단측)에는, 용기 본체(20)(도 5 참조)에 지지되는 액체 수용체 지지부를 구성하는 지지 부재(행거 부재)(92)가 부착되어 있다. 즉, 잉크 백(90)은 지지 부재(92)와 결합되어 있다.
잉크 백(90)은,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가요성 필름(90a)의 주연에 통 형상의 잉크 도출부(91)를 협지한 상태로 이들 2개의 가요성 필름의 주연끼리를 용 용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다. 즉, 잉크 백(90)은 대향하는 2개의 가요성의 벽이 되는 가요성 필름(90a)에 의해서 구성되는 봉지체이며, 내부에 수용한 잉크의 소비에 의해 대향하는 2개의 가요성 필름(90a)이 서로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백(90)을 구성하는 2개의 가요성 필름(90a)에 의해서 가요성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잉크 도출부(91)는 잉크 백(90)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잉크 도출부(91)는 상단부가 잉크 백(90)으로부터 노출하고, 하단부가 잉크 백(9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잉크 도출부(91)에 있어서의 잉크 백(90)으로부터 노출한 부분에 있어서의 상단부보다 약간 하측에는, 코너부가 둥글려진 대략 정방형 형상을 이루는 도출 플랜지부(93)가 설치되어 있다.
잉크 백(9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도출 플랜지부(93)의 양측 연부에는, 플랜지 오목부(93a)가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잉크 백(90)의 상단부의 잉크가 수용되지 않는 용착 부분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양 단부에는, 잉크 백 관통 구멍(9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도출부(91)는, 그 내부에, 잉크를 도출하는 잉크 도출구(95a)를 형성하는 원환상의 패킹(95)과, 내측으로부터 잉크 도출구(95a)를 막도록 패킹(95)에 당접하는 밸브 본체(96)와, 내측으로부터 밸브 본체(96)를 패킹(95)으로 향해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97)을 구비하고 있다. 잉크 백(90) 내에 있어서 잉크 도출부(91)의 하단부에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가요성의 접속 유로 부재(98)를 거쳐서 유로(99a)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 부재의 일례로서의 잉크 도출 튜브(99)의 상단측(일단측)이 접속되어 있다. 접속 유로 부재(98)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등에 의해서 구성된다.
잉크 도출 튜브(99)의 하단측(타단측)은 잉크 백(90) 내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잉크 도출 튜브(99)의 하단측은 잉크 백(90) 내에 있어서의 잉크 도출부(91)가 형성된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잉크 도출 튜브(99) 내의 유로(99a)는 잉크 백(90) 내의 중력 방향 하부까지 연재되어 있다.
이 경우, 잉크 도출 튜브(99)의 길이는, 잉크 도출 튜브(99)의 하단이, 잉크로 채워진 상태의 잉크 백(90) 내의 하단에 접촉하지 않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잉크 도출 튜브(99)는 잉크 백(90) 내에 충전되는 잉크보다 비중의 큰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도출 튜브(99)는 잉크에 대해 내성이 있는 불소 수지로 구성된다.
불소 수지는, 예를 들면 PFA(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비중 : 2.12 내지 2.17),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4불화), 비중 : 2.14 내지 2.20), FEP(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4.6 불화), 비중 : 2.12 내지 2.17), ETFE(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비중 : 1.70 내지 1.76), PCTFE(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3 불화), 비중 : 2.10 내지 2.20), PVDF(폴리비니리덴플루오리드(2 불화), 비중 : 1.75 내지 1.78) 등으로부터 선택된다.
잉크는 수성 잉크의 경우, 비중은 약 1이기 때문에, 잉크 도출 튜브(99)가 상기와 같은 재료로 구성되면, 잉크 백(90) 내의 잉크중에서의 부상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잉크 백(90) 내의 바닥부의 잉크도 원활히 도출되므로, 잉크 백(90) 내에 잔류하는 잉크가 저감된다.
또한, 잉크 도출부(91)에 있어서의 잉크 백(90) 내로 연장되는 부분에는, 잉크 도출부(91)의 내부와 잉크 백(90)의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10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잉크 백(90)의 내부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양 단부에는, 연통 구멍(100)으로 향해 상승하도록 경사하는 안내부의 일례로서의 경사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100)의 구멍 직경은 잉크 도출 튜브(99)의 하단(잉크 도출부(91)측과 반대측)의 잉크의 입구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잉크가 안료 잉크의 경우, 잉크 백(90) 내의 바닥부에 안료가 침강하고, 먼저 공급되는 잉크와 나중에 공급되는 잉크에 농도차가 생긴다고 하는 과제가 생기지만, 상기의 구성에 의해, 상부의 농도의 옅은 잉크가 연통 구멍(100)으로부터 도입되고, 잉크 도출 튜브(99)에서는 하부의 농도의 진한 잉크가 도입되는 것에 의해, 진한 잉크와 옅은 잉크가 섞여 적당한 농도의 잉크가 잉크 도출부(91)에 보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잉크 수용체(17)의 지지 부재(92)는, 잉크 백(90)의 상단부에 대해서 해당 상단부를 서로에 협지하도록 장착되는 제 1 지지 부재(105) 및 제 2 지지 부재(106)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지지 부재(105)는, 잉크 백(90)의 폭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천판부(107)와, 천판부(107)의 하면에 있어서의 단수 방향의 중앙부에 긴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도록 수직으로 또는 일체로 설치된 측판부(108)를 구비하고 있다.
도 16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 부재(105)의 천판부(107)의 양 단부는 대략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고, 천판부(107)의 긴 방향의 중앙부에는 잉크 도출부(91)가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도출부 삽입부(109)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출부 삽입부(109)의 외주면에는, 캡(87)의 나사 홈(89)과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산(1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출부 삽입부(109)에는 캡(87)이 나사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출부 삽입부(109)의 외경은 잉크 도입 바늘(80)의 플랜지부(83)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출부 삽입부(109)의 내경은 잉크 도입 바늘(80)의 바늘 위치결정부(84)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바늘 위치결정부(84)의 내경은 잉크 도출부(91)의 상단부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 부재(105)의 측판부(108)에 있어서의 도출부 삽입부(109)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출부 삽입부(109)의 일부에 따르는 반원호면(111)이 형성되어 있다. 도출부 삽입부(109)에 있어서의 반원호면(111)측의 단부에는, 잉크 도출부(91)의 도출 플랜지부(93)가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 구멍(112)이 설치되어 있다. 끼워맞춤 구멍(112)은 도출 플랜지부(93)와 대응하도록 코너부가 둥글려진 대략 정방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반원호면(111)의 중앙부로부터 끼워맞춤 구멍(112)에 걸친 부위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구멍(112)의 상단부에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잉크 도출부(91)의 도출 플랜지부(93)와 결합하는 단차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잉크 도출부(91)를 도출부 삽입부(109)에 삽입했을 경우에는, 도출 플랜지부(93)가 끼워맞춤 구멍(112)에 끼워맞춤되는 것과 동시에, 도출 플랜지부(93)의 플랜지 오목부(93a)가 볼록돌기(113)와 끼워맞춰지는 것에 의해, 잉크 도출부(91)의 위치결정이 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 부재(105)의 측판부(108)에 있어서의 반원호면(111)을 협지한 양측에는, 위치결정 구멍(12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판부(108)에 있어서의 양 위치결정 구멍(120)을 협지한 양측에는, 나사 구멍(1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 부재(105)의 천판부(107)의 양 단부에 있어서의 하면에는, 측판부(108)와 일체 형성된 판 형상의 돌기부(1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판부(108)에 있어서의 반원호면(111)측의 면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는, 잉크 백(90)의 양 잉크 백 관통 구멍(94)에 삽통되는 원주 형상의 볼록부(123)가 각각 돌설되어 있다.
제 2 지지 부재(106)는, 대략 L자 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잉크 백(90)의 폭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제 1 지지 부재(105)의 천판부(107)의 하면과 대향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수평부(124)와, 제 1 지지 부재(105)의 측판부(108)와 대향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수직부(125)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지지 부재(106)에 있어서의 제 1 지지 부재(105)의 측판부(108)의 반원호면(111)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잉크 도출부(91)에 있어서의 도출 플랜지부(93)의 바로 하측의 부분(잉크 도출부(91)에 있어서의 잉크 백(90)으로부터 노출한 부분에 있어서의 도출 플랜지부(93)보다 잉크 백(90)측의 부분)이 삽입되는 지지 오목부(126)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오목부(126)의 폭은 잉크 도출부(91)의 도출 플랜지부(93)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다.
제 2 지지 부재(106)의 수직부(125)에 있어서의 제 1 지지 부재(105)의 양 위치결정 구멍(120)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양 위치결정 구멍(120)에 삽입되는 위치결정 돌기(127)가 각각 돌설되어 있다. 제 2 지지 부재(106)의 수직부(125)에 있어서의 제 1 지지 부재(105)의 양 나사 구멍(121)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양 나사 구멍(121)에 각각 나사삽입되는 나사(128)가 삽통되는 나사 삽통 구멍(12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2 지지 부재(106)의 수직부(125)에 있어서의 제 1 지지 부재(105)의 양 볼록부(123)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양 잉크 백 관통 구멍(94)에 삽통된 양 볼록부(123)와 결합하는 결합 절결 오목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잉크 도출부(91)가 고착된 잉크 백(90)에 지지 부재(92)를 부착할 때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데,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도출부(91)가 고착된 잉크 백(90)에 지지 부재(92)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우선 제 2 지지 부재(106)의 지지 오목부(126)에 잉크 도출부(91)를 삽입한다. 다음에, 제 1 지지 부재(105)의 양 볼록부(123)를 잉크 백(90)의 양 잉크 백 관통 구멍(94)에 각각 삽통한다. 다음에, 제 2 지지 부재(106)의 양 위치결정 돌기(127)를 제 1 지지 부재(105)의 양 위치결정 구멍(120)에 각각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지지 부재(105)와 제 2 지지 부재(106)와의 위치결정이 이뤄진다.
다음에, 양 나사(128)를, 제 2 지지 부재(106)의 양 나사 삽통 구멍(129)에 각각 삽입하고 나서 제 1 지지 부재(105)의 양 나사 구멍(121)에 각각 나사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잉크 도출부(91)가 고착된 잉크 백(90)에 지지 부재(92)가 장착된다. 이 때, 지지 부재(92)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잉크 도출부(91)의 도출 플랜지부(93)와 결합하는 동시에, 잉크 백(90)에 있어서의 잉크 도출부(91)를 협지한 양측의 잉크 백 관통 구멍(94)과 결합한다. 즉, 지지 부재(92)는, 잉크 도출부(91)를 지지하는 동시에, 잉크 백(90)에 있어서의 잉크 도출부(91)를 협지한 양측에서 잉크 백(90)을 지지한다.
또한, 이 때,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백(90)의 상단부는 제 1 지지 부재(105)의 측판부(108)와 제 2 지지 부재(106)의 수직부(125)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측판부(108) 및 수직부(125)는, 잉크 백(90)이 내부의 잉크의 소비에 수반해 변형했을 경우에서도, 해당 변형을 방해하지 않는다.
다음에, 내부에 잉크가 충전된 각 잉크 수용체(17)를 케이스(18)에 세트할 때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데, 도 3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잉크 수용체(17)를 케이스(18)에 세트하는 경우에는, 우선 덮개 부재(21)를 열고 나서 잉크 수용체(17)를 용기 본체(20)의 개구부(19)를 거쳐서 용기 본체(20) 내에 수용한다. 이 때, 각 잉크 수용체(17)의 제 1 지지 부재(105)의 양 단부를, 좌우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교차할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오른쪽 오목부(56) 및 왼쪽 오목부(59)에 지지시킨다.
그러면, 제 1 지지 부재(105)의 양 돌기부(122)(도 16 참조)는 절결 오목부(56a)(도 5 참조) 및 절결 오목부(59a)(도 5 참조)에 각각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각 잉크 수용체(17)는, 용기 본체(20)에 좌우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교차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서로 전후 방향에 나란하게 수용된다. 이 경우, 각 잉크 수용체(17)는, 상단측(일단측)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92)에 있어서 용기 본체(20)의 오른쪽 오목부(56) 및 왼쪽 오목부(59)에 현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잉크 수용체(17)는 용기 본체(20)의 내저면으로부터 뜬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잉크 수용체(17)가 용기 본체(20)에 현수된 상태에서는, 지지 부재(92)는 잉크 도출부(91)(도 16 참조)의 도출 플랜지부(93)를 지지하는 동시에, 잉크 백(90)을 그 잉크 도출부(91)를 협지한 양측의 잉크 백 관통 구멍(94)에 대해 지지한다.
또한, 각 잉크 수용체(17)는, 잉크 백(90) 내의 잉크의 소비에 수반해 그 두께가 작아진 만큼만 잉크 백(90)의 하단이 내려가지만(도 22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함), 잉크 백(90) 내의 잉크가 비워진 경우에서도 용기 본체(20)의 내저면으로부터 뜬 상태는 유지된다.
다음에, 도 12, 도 18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에 수용된 각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도출부(91)에 잉크 도입 바늘(80)을 접속한다. 즉, 잉크 도출부(91)에 잉크 도입 바늘(80)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각 접속 튜브(37)의 상류단측이 접속된 잉크 도입 바늘(80)에 부착된 캡(87)을 각 잉크 수용체(17)의 도출부 삽입부(109)에 씌운다.
다음에,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87)을 회전시켜서 캡(87)의 나사 홈(89)을 도출부 삽입부(109)의 나사산(110)에 나사결합시킨다. 이 나사결합에 수반해, 잉크 도입 바늘(80)은 잉크 도출구(95a)로부터 잉크 도출부(91)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캡(87)을 더욱 회전시켜서 캡(87)이 도출부 삽입부(109)에 대해서 완전하게 나사부착되면, 잉크 도입 바늘(80)이 코일 스프링(97)의 부세력에 저항해서 밸브 본체(96)를 패킹(95)으로부터 이간하도록 눌러 내린다.
그러면, 밸브 본체(96)가 패킹(95)으로부터 이간한 밸브개방 위치로 이동되어서 잉크 백(90) 내와 잉크 도입 바늘(80) 내가 연통한다. 따라서, 잉크 백(90) 내는, 잉크 도출부(91) 내 및 잉크 도입 바늘(80) 내를 거쳐서 접속 튜브(37) 내와 연통한다. 이 때, 잉크 도입 바늘(80)의 바늘 위치결정부(84)가 도출부 삽입부(109)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과 동시에, 각 위치결정 돌기(84a)가 도출부 삽입부(109)의 내주면에 적당 당접하는 것에 의해, 잉크 도입 바늘(80)의 위치가 잉크 도출부(91)의 중심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87)을 도출부 삽입부(109)에 나사부착한 후는, 덮개 부재(21)를 닫는 것에 의해, 각 잉크 수용체(17)의 케이스(18)에의 세트 작업이 완료한다. 케이스(18)에 각 잉크 수용체(17)가 세트되면, 각 잉크 수용체(17)의 잉크는 각 접속 튜브(37)로부터 각 잉크 공급 바늘(35) 및 잉크 공급 튜브(36)를 거쳐서 기록 헤드(28)로 공급된다. 기록 헤드(28)에 공급된 각 잉크는 기록 헤드(28)의 각 노즐(도시 생략)로부터 용지(P)에 분사되어 인쇄를 한다.
그리고, 용지(P)의 인쇄에 의해 각 잉크 수용체(17)의 잉크가 소비되면, 이 잉크의 소비에 수반해 각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백(90)이 서서히 찌부러져 간다. 이 때, 케이스(18)의 용기 본체(20)를 구성하는 좌측벽 형성 부재(52)는 투명하기 때문에, 덮개 부재(21)를 열지 않아도 좌측벽 형성 부재(52)를 통해 케이스(18) 외부로부터 케이스(18) 내의 각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백(90)의 찌부러짐 정도(변위 상태)를 시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좌측벽 형성 부재(52)는 용기 본체(20)의 좌측면의 대부분 뿐만이 아니고, 용기 본체(20)의 전측면 및 후측면에 있어서의 좌측 반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각 잉크 수용체(17)는, 케이스(18) 내에 있어서 좌측의 쪽이 우측보다 전측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하게 한 상태로 서로 평행이 되도록 전후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18) 외부로부터 케이스(18) 내의 모든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백(90)의 찌부러짐 정도를 케이스(18)의 전측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백(90)의 찌부러짐 정도로부터 각 잉크 수용체의 교환 시기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각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백(90) 내의 잉크 도출 튜브(99)의 하단은 잉크 백(90) 내의 중력 방향 하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잉크 백(90) 내의 잉크는 잉크 도출 튜브(99)를 거쳐서 잉크 백(90) 내의 하단부로부터 빨아 올려져서 소비된다.
이 경우, 잉크 도출 튜브(99)는, 잉크 백(90) 내의 잉크보다 비중의 큰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 백(90) 내에서 부상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잉크 도출 튜브(99)의 하단의 위치는 항상 잉크 백(90) 내의 중력 방향 하부에 유지되므로, 사용후의 잉크 백(90) 내의 잔류 잉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잉크가 없어진 잉크 수용체(17)를 교환하는 경우의 작업은, 교환하고자 하는 잉크 수용체(17)와 대응하는 접속 튜브(37)에 부착된 잉크 유통 조정 부재(82)(도 13 참조)를, 해당 접속 튜브(37)를 눌러 찌부려서 해당 접속 튜브(37) 내의 잉크의 유통을 규제하는 형태으로 하고 나서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캡(87)을 교환하고자 하는 잉크 수용체(17)의 도출부 삽입부(109)로부터 분리해서 잉크 도출부(91)로부터 잉크 도입 바늘(80)을 뽑아 냈을 때에 잉크 도입 바늘(80)의 도입 구멍(80a)으로부터 잉크가 떨어지는 것이 억제된다.
다음에, 화상 형성 시스템(11)의 판독 장치(13)에 의해서 판독면(13a)보다 큰 원고(G)를 판독하는 경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독 장치(13)에 의해서 판독면(13a)보다 큰 원고(G)를 판독하는 경우에는, 우선 오토 문서 피더(16)를 열어 판독면(13a)을 노출시킨다. 다음에, 판독면(13a)상에 원고(G)에 있어서의 판독하고자 하는 영역이 들어가도록 또한 해당 원고(G)에 있어서의 판독면(13a) 위로부터 튀어나온 부분의 일부가 케이스(18) 위(덮개 부재(21) 위)에 위치하도록, 원고(G)를 재치한다.
이 때, 케이스(18)의 높이는 판독면(13a)의 높이와 동등하도록 하고 있다. 즉, 케이스(18)의 높이는 판독면(13a)의 높이보다 5㎜만 낮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고(G)의 일부가 케이스(18)의 측면에 걸리는 일이 없이 케이스(18)상에서 지지된다. 그리고, 오토 문서 피더(16)를 닫은 상태로, 판독 장치(13)를 작동시키면, 원고(G)에 있어서의 판독면(13a)상의 영역이 판독된다.
이와 같이, 판독면(13a) 위로부터 튀어 나온 원고(G)의 일부가 케이스(18)에 의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원고(G)의 위치가 안정되고, 판독 장치(13)에 의해서 원고(G)를 정도 잘 판독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잉크 공급 장치(15)에 있어서, 잉크 수용체(17)는, 잉크 도출부(91)가 잉크 백(90)보다 중력 방향에 있어서 위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8)의 오른쪽 오목부(56) 및 왼쪽 오목부(59)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때문에, 목시로 확인하면서 잉크 도출부(91)와 잉크 도입 바늘(80)을 용이하게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잉크는 자중으로 잉크 백(90)의 하부에 모이기 때문에, 잉크 도출부(91)가 잉크 백(90)의 하부에 있는 경우, 잉크 도출부(91)와 잉크 도입 바늘(80)과의 접속 불량이 일어났을 때에 잉크의 누출량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이 점, 이 구성에 의하면, 잉크 도출부(91)가 잉크 백(90)보다 중력 방향에 있어서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잉크 도출부(91)와 잉크 도입 바늘(80)과의 접속 불량이 있었다고 해도, 잉크의 누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2) 잉크 백(90)은, 대향하는 2개의 가요성 필름(90a)에 의해서 구성되는 봉지체이며, 내부에 수용한 잉크의 소비에 의해 대향하는 2개의 가요성 필름(90a)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잉크 백(90) 내의 잉크의 소비에 의한 가요성 필름(90a)의 변위 상태를 시인하는 것에 의해, 잉크 백(90) 내의 잉크의 소비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3) 케이스(18)는, 바닥벽(49)과, 바닥벽(49)과 대향하고 중력 방향에 있어서 바닥벽(49)보다 상방에 형성된 개구부(19)와, 개구부(19)를 개폐 가능하게 커버하는 덮개 부재(21)를 구비하고, 잉크 수용체(17)는 개구부(19)를 거쳐서 착탈 가능하게 케이스(18) 내에 수용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잉크 수용체(17)는, 케이스(18)에 있어서의 중력 방향의 상방에 형성된 개구부(19)를 거쳐서 케이스(18)에 착탈되기 때문에, 케이스(18)에 대한 잉크 수용체(17)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8) 내에 잉크 수용체(17)를 수용한 후, 개구부(19)를 덮개 부재(21)로 가릴 수 있기 때문에, 잉크 수용체(17)나 접속 튜브(37)를 파손시키거나, 잉크 도출부(91)와 잉크 도입 바늘(80)과의 접속을 잘못 분리시키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잉크의 공급 불량이나 잉크에 의한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잉크 도출부(91)와 잉크 도입 바늘(80)과의 접속 작업 및 분리 작업을, 바닥벽(49)을 갖는 케이스(18)상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가 떨어졌다고 해도 이 떨어진 잉크를 케이스(18) 내에서 받아들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18)의 외부가 잉크로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케이스(18)는, 잉크 수용체(17) 내의 잉크의 소비에 수반하는 잉크 백(90)의 찌부러짐 정도를 시인 가능한 투명한 좌측벽 형성 부재(52)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18) 외부로부터 케이스(18) 내의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백(90)의 찌부러짐 정도를 시인할 수 있다. 즉, 케이스(18) 외부로부터 케이스(18) 내의 잉크 수용체(17)의 잉크의 소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5) 케이스(18)에 있어서의 우측벽(45)과 좌측벽(46)과의 사이의 거리는 잉크 수용체(17)의 폭보다 짧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18) 내에 각 잉크 수용체(17)를 비스듬하게 해서 수용하는 것에 의해, 케이스(18)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6)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도출부(91)는 잉크 백(90)의 상단측에 형성되어 있고, 잉크 수용체(17)는, 잉크 도출부(91)가 형성된 상단측에 해당 상단측과 결합하는 지지 부재(92)를 구비하고, 지지 부재(92)를 거쳐서 케이스(18)의 오른쪽 오목부(56) 및 왼쪽 오목부(59)에 지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잉크 수용체(17)는, 잉크 도출부(91)가 형성된 상단측이 케이스(18)의 오른쪽 오목부(56) 및 왼쪽 오목부(59)에 지지되기 때문에, 잉크 도출부(91)와 잉크 도입 바늘(80)과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잉크 수용체(17)가 지지 부재(92)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지지 부재(92)를 파지해서 잉크 수용체(17)를 취급할 수 있으므로, 잉크 수용체(17)의 케이스(18)의 오른쪽 오목부(56) 및 왼쪽 오목부(59)에 대한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7) 잉크 수용체(17)는 잉크 도출부(91)가 형성된 상단측이 케이스(18)의 오른쪽 오목부(56) 및 왼쪽 오목부(59)에 지지되어 현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잉크 수용체(17)가 현수되는 것에 의해, 잉크가 자중에 의해 잉크 수용체(17)의 하부에 모이므로, 잉크 백(90)에 장력이 걸린다. 이 때문에, 잉크 백(90) 내의 잉크의 소비에 수반해 잉크 백(90)이 주름이나 뒤틀림이 없는 상태로 깨끗하게 신장되게 되므로, 잉크를 안정적으로 잉크젯식 프린터(12)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젯식 프린터(12)가 기록 헤드(28)를 탑재한 캐리지(27)가 이동하는 타입의 프린터이기 때문에, 잉크젯식 프린터(12)의 진동이 잉크 수용체(17)에 전달되어 잉크 수용체(17)의 하부가 요동한다. 또한, 잉크 수용체(17)의 상단측의 지지 부재(92)가 평면에서 보아서 캐리지(27)의 이동 방향(주 주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지지 부재(92)가 주 주사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캐리지(27)의 이동에 의한 진동이 잉크 수용체(17)에 전달되기 쉽다. 이 때문에, 잉크 백(90) 내의 잉크가 잉크중에서 침강하기 쉬운 안료를 포함한 안료 잉크인 경우에는, 이 잉크 수용체(17)의 하부의 요동에 의해서 안료 잉크를 교반할 수 있다. 따라서, 안료 잉크내에서의 안료의 농도차를 억제할 수 있다.
(8) 잉크 수용체(17)의 지지 부재(92)는 잉크 수용체(17)에 있어서의 잉크 도출부(91)를 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백(90) 내의 잉크의 소비에 수반해서 잉크 백(90)이 주름이나 뒤틀림이 없는 상태로 깨끗하게 신장하게 되므로, 잉크를 안정적으로 잉크젯식 프린터(12)에 공급할 수 있다.
(9) 잉크 수용체(17)의 지지 부재(92)는 잉크 도출부(91)를 협지한 양측에서 잉크 백(90)을 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잉크 백(90)을 지지 부재(92)에 의해서 밸런스 좋게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10) 잉크 수용체(17)는, 잉크 도출부(91)와 연통하고, 잉크 백(90)의 중력 방향 하부까지 연재하는 유로(99a)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잉크 도출부(91)가 잉크 백(9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잉크 백(90) 내의 하부로부터 유로(99a)를 거쳐서 잉크를 빨아 올릴 수 있으므로, 잉크 백(90) 내의 잉크를 잉크젯식 프린터(12)측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11)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도출 튜브(99)는 잉크 백(90)에 수용되는 잉크보다 비중이 큰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잉크 백(90) 내의 잉크중에서 잉크 도출 튜브(99)가 떠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백(90) 내에 있어서의 잉크 도출부(91)와는 반대측의 하단측에 위치하는 잉크를 잉크 도출 튜브(99)에 의해서 잉크 도출부(91)에 원활히 유도할 수 있으므로, 잉크 백(90) 내에 잔류하는 잉크를 저감할 수 있다.
(12)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도출부(91)는 잉크 백(90) 내로 연장하는 부분에 잉크 백(90)의 내부와 연통하는 연통 구멍(100)을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잉크 백(90)에 있어서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는 잉크 도출부(91)로부터 잉크를 잉크 백(90) 내에 주입했을 때에, 잉크 백(90) 내의 잉크에 혼입한 기포를 잉크 도출부(91)의 연통 구멍(100)으로부터 잉크 수용체(17)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13)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백(90) 내에 있어서의 잉크 도출부(91)측에는, 연통 구멍(100)으로 향해 상승하도록 경사하는 경사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잉크 백(90)에 있어서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는 잉크 도출부(91)로부터 잉크를 잉크 백(90) 내에 주입했을 때에, 잉크 백(90) 내의 잉크에 혼입한 기포를 경사부(101)에 의해서 연통 구멍(100)측에 안내할 수 있다. 이 결과, 잉크 백(90) 내의 잉크에 혼입한 기포를 연통 구멍(100)으로부터 원활히 잉크 수용체(17)의 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14)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도출 튜브(99)는 가요성의 접속 유로 부재(98)를 거쳐서 잉크 도출부(91)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속 유로 부재(98)에 의해서 잉크 도출 튜브(99)를 잉크 도출부(91)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15) 케이스(18)의 용기 본체(20)의 내측면에는, 용기 본체(20) 내에 수용된 각 잉크 수용체(17)에 접속되는 각 접속 튜브(37)를 가이드하는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에 의해, 각 접속 튜브(37)를 용기 본체(20) 내에서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용기 본체(20) 내에서 각 접속 튜브(37)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16) 케이스(18)의 용기 본체(20)의 우측벽 형성 부재(51)의 내측면에는, 각 접속 튜브(37)를 삽입 가능한 용기측 삽통 구멍(61)이 형성되고,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는 용기측 삽통 구멍(61)과 용기 본체(20) 내에 수용된 각 잉크 수용체(17)와의 사이에서 각 접속 튜브(37)를 가이드한다. 이 때문에, 용기측 삽통 구멍(61)으로부터 용기 본체(20) 내에 삽입된 각 접속 튜브(37)를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에 의해서 용기 본체(20) 내에 수용된 각 잉크 수용체(17)까지 가이드할 수 있다.
(17) 케이스(18)에 있어서의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의 길이는, 이들이 각각 가이드하는 접속 튜브(37)가 접속되는 잉크 수용체(17)로부터 용기측 삽통 구멍(61)까지의 거리에 따라 서로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각 접속 튜브(37)가 잘못된 각 잉크 수용체(17)에 접속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8) 케이스(18)의 용기 본체(20)는 각 잉크 수용체(17)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19)의 주연부를 구성하는 가장자리 부재(53)를 구비하고, 가장자리 부재(53)는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를 가리고 있다. 이 때문에, 가장자리 부재(53)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가 가이드하는 각 접속 튜브(37)를 보호할 수 있다.
(19) 케이스(18)의 가장자리 부재(53)에는, 각 접속 튜브(37)를 삽통 가능한 절결부(5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접속 튜브(37)를 절결부(57)에 삽통시키는 것에 의해, 각 접속 튜브(37)를 각 잉크 수용체(17)에 대해서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20) 케이스(18)의 가장자리 부재(53)는 각 잉크 수용체(17)를 지지하는 각 오른쪽 오목부(56) 및 각 왼쪽 오목부(59)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잉크 수용체(17)를 각 오른쪽 오목부(56) 및 각 왼쪽 오목부(59)에 의해서 지지할 수 있다.
(21) 케이스(18)의 제 3 및 제 4 튜브 지지부(74, 75)에는, 해당 제 3 및 제 4 튜브 지지부(74, 75)로부터 각 접속 튜브(37)가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각 돌기(7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돌기(76)에 의해 제 3 및 제 4 튜브 지지부(74, 75)로부터의 각 접속 튜브(37)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22) 케이스(18)의 용기 본체(20)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제 2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73 내지 75)를 협지한 양측에는, 관통 구멍(7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77)에 와이어를 통해 환상으로 해서 해당 와이어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접속 튜브(37)를 제 2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73 내지 75) 내에 각각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23) 케이스(18)의 용기 본체(20)의 측벽은, 좌우로 분할된 우측벽 형성 부재(51) 및 좌측벽 형성 부재(52)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18)의 용기 본체(20)의 측벽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24) 잉크 공급 장치(15)는 케이스(18)와, 케이스(18) 내에 수용되는 각 잉크 수용체(17)와, 각 잉크 수용체(17)에 접속되는 각 접속 튜브(37)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18) 내에 수용된 각 잉크 수용체(17)의 잉크를 각 접속 튜브(37)를 거쳐서 잉크젯식 프린터(12)측에 공급할 수 있다.
(25) 잉크젯식 프린터(12)는 잉크 공급 장치(15)의 각 접속 튜브(37)를 거쳐서 공급되는 잉크를 용지(P)에 분사 가능한 기록 헤드(28)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잉크 공급 장치(15)의 각 접속 튜브(37)를 거쳐서 공급된 잉크를 기록 헤드(28)로부터 용지(P)에 분사해서 해당 용지(P)의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26) 화상 형성 시스템(11)에 있어서, 케이스(18)는 화상 형성 장치(14)의 횡으로 판독면(13a)과 높이가 동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판독면(13a)보다 큰 원고(G)를 판독하는 경우에, 해당 원고(G)의 일부를 케이스(18)에 의해서 지지할 수 있다.
(27) 화상 형성 시스템(11)에 있어서, 케이스(18)의 높이는 판독면(13a)의 높이보다 낮다. 이 때문에, 판독면(13a)보다 큰 원고(G)를 해당 판독면(13a)상에 위치시킬 때에, 해당 원고(G)가 케이스(18)에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8) 화상 형성 시스템(11)에 있어서, 케이스(18)는 화상 형성 장치(14)의 잉크젯식 프린터(1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18)를 잉크젯식 프린터(12)에 대해서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다.
(변경예)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은 다른 실시형태에 변경해도 좋다.
·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시스템(11)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14)의 하부에 증설용의 용지 카세트(140)를 갖는 증설 카세트 유닛(141)을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14)의 높이가 높게 되도록 변화한 만큼만 케이스(18)의 높이를 높게 하도록 조절하는 조절 부재의 일례로서의 대좌(142)를 케이스(18)의 하부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시스템(11)에, 증설 카세트 유닛(141) 및 대좌(142)를 세트로 장착하는 것에 의해, 케이스(18)의 높이와 판독면(13a)의 높이와의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대좌(142)의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좌(142)는, 그 하면의 중앙부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오목한 리세스부(143)를 갖는 바닥이 있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대좌(142)의 내저면의 중앙부에는, 리세스부(143)의 오목한 분만큼 융기한 융기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144)의 상면은 평탄하게 되어 있다. 대좌(142)의 내저면에 있어서의 융기부(144)의 둘레에는, 복수(여기에서는 10개)의 판 형상의 지지 리브(145)가 융기부(144)를 둘러싸도록 적당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대좌(142)를 케이스(18)의 하부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케이스(18)를 구성하는 바닥벽 형성 부재(50)의 하면의 중앙부에 융기부(144)를 양면 점착 테이프(도시 생략)로 점착하는 것과 동시에, 바닥벽 형성 부재(50)의 하면의 주연부에 대좌(142)의 상단의 주연부를 결합시킨다.
·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시스템(11)에 있어서, 오토 문서 피더(16)를, 판독면(13a)을 개폐 가능한 뚜껑 부재(146)로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시스템(11)에 있어서, 잉크젯식 프린터(12)가 블랙 잉크만을 사용하는 단색의 프린터인 경우에는, 잉크 공급 장치(15)의 케이스(18)를, 블랙 잉크를 수용한 1개의 잉크 수용체(17)를 수용하는 사이즈의 것으로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잉크 수용체(17)는, 그 폭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되도록 케이스(18) 내에 수용된다. 또한, 도 27에서는 케이스(18)의 개구부(19)를 개폐 가능하게 커버하는 덮개 부재(21)는 생략하고 있다.
·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도출 튜브(99)의 상단부에, 해당 잉크 도출 튜브(99)의 내부와 잉크 백(90)의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147)을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잉크 도출부(91)를 잉크 백(90)에 있어서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해서 잉크를 잉크 백(90) 내에 주입했을 때에, 잉크 백(90) 내의 잉크에 혼입한 기포를 연통 구멍(147)으로부터 잉크 수용체(17)의 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잉크 도출부(91)의 연통 구멍(100)은 생략해도 좋다.
·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도출 튜브(99)에 있어서의 잉크 도출부(91)와는 반대측의 단부인 하단부에 추(148)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추(148)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잉크 도출 튜브(99)의 하단에 끼워맞춰진다. 이 경우, 잉크 도출 튜브(99)는 반드시 잉크 백(90) 내에 충전되는 잉크보다 비중의 큰 재료에 의해서 구성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하면, 잉크 백(90) 내의 잉크중에서 잉크 도출 튜브(99)가 떠오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잉크 백(90) 내에 있어서의 잉크 도출부(91)와는 반대측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잉크를 잉크 도출 튜브(99)에 의해서 잉크 도출부(91)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잉크 백(90) 내에 잔류하는 잉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추로서 원통 형상의 튜브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튜브는, 접속 유로 부재(98)와 동일한 엘라스토머와 같은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으로 좋다. 이 경우에는, 잉크 도출 튜브(99)를 비교적 경질의 것으로 해도 잉크 백(9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도출 튜브(99)를 커버 부재(149)에 의해서 가리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커버 부재(149)는, 일례로서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커버 부재(149)의 중량에 의해, 잉크 백(90) 내의 잉크중에서 잉크 도출 튜브(99)가 떠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잉크 도출 튜브(99)를 구성하는 재료와 커버 부재(149)를 구성하는 재료와의 평균 비중은, 잉크 백(90) 내에 충전되는 잉크의 비중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잉크 도출 튜브(99)의 하단부에 추(148)를 부착하면, 잉크 도출 튜브(99)는 반드시 잉크 백(90) 내에 충전되는 잉크보다 비중의 큰 재료에 의해서 구성할 필요는 없다.
·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시스템(11)에 있어서, 판독 장치(13)의 횡으로 판독면(13a)과 상면의 높이가 동등하도록 케이스(18)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잉크젯식 프린터(12)의 측면으로 케이스(18)를 지지 가능한 연장부(12a)를 연장설치해서 해당 연장부(12a)에 의해서 케이스(18)를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 잉크 수용체(17)에 있어서, 유로(99a)를 형성하는 잉크 도출 튜브(99)를 생략해도 좋다.
· 잉크 수용체(17)의 지지 부재(92)는 반드시 잉크 도출부(91)를 협지한 양측에서 잉크 백(90)을 지지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 잉크 수용체(17)의 지지 부재(92)는 반드시 잉크 수용체(17)에 있어서의 잉크 도출부(91)를 지지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 잉크 수용체(17)는, 반드시 잉크 도출부(91)가 형성된 상단측이 케이스(18)의 오른쪽 오목부(56) 및 왼쪽 오목부(59)에 지지되어서 현수될 필요는 없다. 즉, 잉크 수용체(17)는 케이스(18)의 내저면상에 위치된 상태로 수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케이스(18)의 내저면(바닥벽(49))이 잉크 수용체(17)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백(90)의 상단부(잉크 도출부(91)측이 되는 일단측)에, 케이스(18)의 오른쪽 오목부(56) 및 왼쪽 오목부(59)에 의해서 지지 가능한 형상의 경질의 지지부를, 액체 수용체 지지부로 해서 지지 부재(92) 대신에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잉크 수용체(17)는 지지부를 파지해서 취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잉크 수용체(17)의 케이스(18)의 오른쪽 오목부(56) 및 왼쪽 오목부(59)에 대한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 잉크 수용체(17)는 반드시 지지 부재(92)를 거쳐서 케이스(18)의 오른쪽 오목부(56) 및 왼쪽 오목부(59)에 지지할 필요는 없다.
· 케이스(18)에 있어서의 우측벽(45)과 좌측벽(46)과의 사이의 거리는 반드시 잉크 수용체(17)의 폭보다 짧게 할 필요는 없다.
· 케이스(18)는, 반드시 잉크 수용체(17) 내의 잉크의 소비에 수반하는 잉크 백(90)의 찌부러짐 정도를 시인 가능한 투명한 좌측벽 형성 부재(52)를 갖고 있을 필요는 없다.
· 케이스(18)의 개구부(19)는 반드시 용기 본체(20)의 상단에 마련할 필요는 없고, 용기 본체(20)의 측면으로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 케이스(18)의 덮개 부재(21)는 생략해도 좋다.
· 잉크 백(90)은 반드시 모두를 가요성 필름(90a)에 의해서 구성할 필요는 없다. 즉, 잉크 백(90)은 일부를 가요성 재료로 이뤄지는 가요성부에 의해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잉크 백(90)의 가요성부를 구성하는 재료는 투명해도 좋고 불투명해도 좋다.
· 잉크 수용체(17)는, 반드시 잉크 도출부(91)가 잉크 백(90)보다 중력 방향에 있어서 위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8)의 오른쪽 오목부(56) 및 왼쪽 오목부(59)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될 필요는 없다.
· 잉크 도입 바늘(80)을 생략하고, 접속 튜브(37)의 단부가 직접 잉크 도출부(91)에 접속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잉크 도출부(91)에 접속되는 접속 튜브(37)의 단부가 액체 도입부로서 기능한다.
·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도출 튜브(99)는 반드시 가요성의 접속 유로 부재(98)를 거쳐서 잉크 도출부(91)에 접속할 필요는 없다. 즉, 잉크 도출 튜브(99)는 접착제나 점착 테이프 등으로 잉크 도출부(91)에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백(90) 내에는, 경사부(101) 대신에, 연통 구멍(100)으로 향해 상승하도록 만곡 형상의 만곡부를 안내부로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도출부(91)의 연통 구멍(100)은 생략해도 좋다.
·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도출 튜브(99)는 반드시 잉크 백(90)에 수용되는 잉크보다 비중이 큰 재료에 의해서 구성할 필요는 없다.
· 잉크 수용체(17)의 잉크 도출 튜브(99)는, 잉크 도출부(91)와는 반대측이 되는 하단측의 일부만을 잉크 백(90)에 수용되는 잉크보다 비중이 큰 재료에 의해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 케이스(18)의 용기 본체(20)의 측벽은, 반드시 좌우로 분할된 우측벽 형성 부재(51) 및 좌측벽 형성 부재(52)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할 필요는 없다. 즉, 용기 본체(20)의 측벽은 분할된 3개 이상의 부재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해도 좋고, 분할되지 않는 1개의 부재에 의해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 케이스(18)의 용기 본체(20)에 형성된 관통 구멍(77)은 생략해도 좋다.
· 케이스(18)의 제 3 및 제 4 튜브 지지부(74, 75)에 형성된 각 돌기(76)는 생략해도 좋다.
· 케이스(18)의 가장자리 부재(53)에 설치된 절결부(57)는 생략해도 좋다.
· 케이스(18)의 가장자리 부재(53)에는, 절결부(57) 대신에, 접속 튜브(37)를 삽통 가능한 구멍을 삽통부로서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 케이스(18)의 가장자리 부재(53)는 반드시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를 가릴 필요는 없다.
· 케이스(18)에 있어서의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의 길이는, 반드시 이들이 각각 가이드하는 접속 튜브(37)가 접속되는 잉크 수용체(17)로부터 용기측 삽통 구멍(61)까지의 거리에 따라 서로 차이가 날 필요는 없다.
· 케이스(18)의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는, 반드시 용기측 삽통 구멍(61)과 용기 본체(20) 내에 수용된 각 잉크 수용체(17)와의 사이에 각 접속 튜브(37)를 가이드할 필요는 없다.
· 케이스(18)의 제 1 내지 제 4 튜브 지지부(65, 73 내지 75)는 생략해도 좋다.
· 가이드부는 탈락 억제부(각 돌기(76))만으로 구성해도 좋다.
· 가이드부는, 접속 튜브(37)를 용기 본체(20)의 내측면에 따르게 해서 잉크 수용체(17)에 액세스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가이드부를 용기 본체(20)의 내측면에 마련한 홈에 의해서 구성해도 좋다.
· 용기 본체(20)를 구성하는 우측벽 형성 부재(51) 및 좌측벽 형성 부재(52)는 L자 형상으로 굴곡한 판 형상으로 해도 좋다.
· 각 돌기(76)는 리브(66 내지 69)의 전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리브(66 내지 69)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 각 돌기(76)의 폭이, 접속 튜브(37)가 접촉하는 정도이면, 각 돌기(76)의 크기나 형상은 임의로 변경해도 좋다.
· 각 캡(87)의 색과, 각 캡(87)과 대응하는 각 잉크 수용체(17)에 수용되는 잉크의 색을 맞추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캡(87)이 잘못된 잉크 수용체(17)에 접속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 화상 형성 시스템(11)에 있어서, 케이스(18)는, 반드시 화상 형성 장치(14)의 잉크젯식 프린터(1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케이스(18)는 화상 형성 장치(14)의 잉크젯식 프린터(12)에 고착되어 있어도 좋다.
· 화상 형성 시스템(11)에 있어서, 케이스(18)의 높이는 반드시 판독면(13a)의 높이보다 낮게 할 필요는 없다. 즉, 케이스(18)의 높이는 판독면(13a)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판독면(13a)의 높이보다 높게 하도록 해도 좋다.
· 용지(P) 대신에, 플라스틱 필름이나 옷감, 혹은 금속박 등을 타겟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 원고(G) 대신에, 플라스틱 필름이나 옷감, 혹은 금속박 등을 매체로서 이용해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체 분사 장치는 잉크 이외의 다른 액체를 분사하거나 토출하는 액체 분사 장치이여도 좋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로부터 미소량의 액체 방울이 되어 토출되는 액체 상태로서는, 입상, 눈물형상, 실형상으로 꼬리를 잇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액체는 액체 분사 장치로부터 분사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좋다.
예를 들면, 물질이 액상일 때의 상태의 것이면 좋고, 점성의 높은 또는 낮은 액상체, 졸, 겔 수, 그 외의 무기 용제, 유기용제, 용액, 액상 수지, 액상 금속(금속 융액)과 같은 흐름 형상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물질의 한 상태로서의 액체 뿐만 아니라, 안료나 금속 입자 등의 고형물로 이뤄지는 기능 재료의 입자가 용매에 용해, 분산 또는 혼합된 것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액체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잉크나 잉크로의 인쇄 전 또는 후에 피인쇄 매체에 도포되는 액체, 액체 분사 장치의 액체 분사 노즐을 가습 또는 클리닝하기 위한 액체, 액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잉크는 일반적인 수성 잉크 및 유성 잉크 및 젤 잉크, 핫 멜트 잉크 등의 각종 액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액체 분사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EL(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면발광 디스플레이, 칼라 필터의 제조 등에 이용되는 전극재나 색재 등의 재료를 분산 또는 용해의 형상으로 포함한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가 있다.
또한, 바이오 칩 제조에 이용되는 생체 유기물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정밀 피펫트로서 이용되어 시료가 되는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나염 장치나 마이크로 디스펜서 등이여도 좋다. 또한, 시계나 카메라 등의 정밀 기계에 핀 포인트로 윤활유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광통신 소자 등에 이용되는 미소 반구 렌즈(광학 렌즈)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의 투명 수지액을 기판상에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이여도 좋다. 또한, 기판 등을 에칭하기 위해서 산 또는 알칼리 등의 에칭액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이여도 좋다.
12 : 액체 분사 장치의 일례로서의 잉크젯식 프린터
15 : 액체 공급 장치의 일례로서의 잉크 공급 장치
17 : 액체 수용체의 일례로서의 잉크 수용체
18 : 케이스
19 : 개구부
21 : 덮개 부재
37 : 유로 부재의 일례로서의 접속 튜브
45 : 제 1 측벽을 구성하는 우측벽
46 : 제 2 측벽을 구성하는 좌측벽
47 : 제 3 측벽을 구성하는 후측벽
48 : 제 4 측벽을 구성하기 전측벽
49 : 바닥벽
52 : 시인부를 구성하는 좌측벽 형성 부재
56 :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오른쪽 오목부
59 :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왼쪽 오목부
80 : 액체 도입부의 일례로서의 잉크 도입 바늘
90 : 액체 수용부의 일례로서의 잉크 백
90a : 가요성부 및 가요성의 벽을 구성하는 가요성 필름
91 : 액체 도출부의 일례로서의 잉크 도출부
92 : 액체 수용체 지지부를 구성하는 지지 부재(행거 부재)
99a : 유로

Claims (21)

  1.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가요성부를 갖는 액체 수용부, 및 상기 액체 수용부와 연통하는 액체 도출부를 갖는 액체 수용체와,
    상기 액체 수용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액체 도출부에 접속 가능한 액체 도입부와,
    상기 액체 도입부와 상기 액체 분사 장치를 접속하는 유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도출부가 상기 액체 수용부보다 중력 방향에 있어서 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는 대향하는 가요성의 벽을 갖는 봉지체이며, 상기 액체의 소비에 의해 상기 대향하는 벽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를 수용하고, 상기 지지부를 마련한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과 대향하고, 중력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보다 상방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커버하는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개구부를 거쳐서 착탈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를 수용하고, 상기 지지부를 마련한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액체 수용체 내의 액체의 소비에 수반하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가요성부의 변위 상태를 시인 가능한 시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를 수용하고, 상기 지지부를 마련한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액체 분사 장치와 대향하는 벽이 되는 제 1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과 대향하는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과 교차하는 제 3 측벽 및 제 4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 제 2 측벽, 제 3 측벽, 제 4 측벽과 교차하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과 대향하는 측에 설치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도출부가 형성된 일단측의 폭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의 상기 액체 도출부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일단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도출부가 형성된 일단측에,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액체 수용체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 지지부는 상기 일단측과 결합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지지 부재를 거쳐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도출부가 형성된 상기 일단측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어서 현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체 도출부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체 도출부를 협지한 양측에서 상기 액체 수용부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도출부와 연통하고, 상기 액체 수용부의 중력 방향 하부까지 연재하는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12.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가요성부를 갖는 액체 수용부, 및 상기 액체 수용부와 연통하는 액체 도출부를 갖는 액체 수용체와,
    상기 액체 수용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액체 도출부에 접속 가능한 액체 도입부와,
    상기 액체 도입부와 상기 액체 분사 장치를 접속하는 유로 부재와,
    상기 액체 수용체를 수용하고, 상기 지지부를 마련한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액체 분사 장치와 대향하는 벽이 되는 제 1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과 대향하는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과 교차하는 제 3 측벽 및 제 4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 제 2 측벽, 제 3 측벽, 제 4 측벽과 교차하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과 대향하는 측에 설치된 개구부와,
    상기 액체 수용체 내의 액체의 소비에 수반하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가요성부의 변위 상태를 시인 가능한 시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도출부가 형성된 일단측의 폭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13. 액체 분사 장치에 이용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외부에 상기 액체를 도출하기 위한 액체 도출부와,
    가요성의 벽을 갖고, 상기 액체 도출부를 일단측에 갖는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도출부를 갖는 상기 일단측과 결합하는 행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부재는 상기 액체 도출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체.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부재는 상기 액체 도출부를 협지한 양측에서 상기 액체 수용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체.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도출부와 연통하고, 상기 액체 수용부의 상기 일단측의 반대측까지 연재하는 유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체.
  17. 액체 분사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가요성부를 갖는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의 일단측에 배설되고, 상기 액체 수용부의 내부와 연통하는 상기 액체 도출부와,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접속될 때 상기 액체 도출부가 상기 액체 수용부보다 중량 방향에 있어서 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액체 도출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도출부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의 폭보다 좁은 오목부를 갖고,
    상기 액체 도출부는 상기 플랜지부보다 상기 액체 수용부측의 부분이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2개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수용부의 상기 일단측은 상기 2개의 지지 부재의 사이의 간극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체.
  20. 제 13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체 수용체와,
    상기 액체 도출부에 접속 가능한 액체 도입부와,
    상기 액체 도입부와 상기 액체 분사 장치를 접속하는 유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공급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12 항 및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체 공급 장치와,
    상기 유로 부재에 접속되고, 복수의 노즐로부터 액체를 분사하는 것에 의해 기록을 실시하는 기록 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KR1020157027102A 2013-03-07 2014-03-04 액체 공급 장치 및 액체 수용체 KR201501212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46036 2013-03-07
JP2013046036A JP5692265B2 (ja) 2013-03-07 2013-03-07 液体噴射装置、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収容体
PCT/JP2014/001183 WO2014136440A1 (ja) 2013-03-07 2014-03-04 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収容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227A true KR20150121227A (ko) 2015-10-28

Family

ID=5148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102A KR20150121227A (ko) 2013-03-07 2014-03-04 액체 공급 장치 및 액체 수용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9266338B2 (ko)
EP (1) EP2965913A4 (ko)
JP (1) JP5692265B2 (ko)
KR (1) KR20150121227A (ko)
CN (2) CN107116906B (ko)
AU (1) AU2014227357B2 (ko)
BR (1) BR112015021631A2 (ko)
PH (1) PH12015501939A1 (ko)
RU (1) RU2673613C2 (ko)
TW (1) TWI628085B (ko)
WO (1) WO20141364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510A (ko) * 2015-10-30 2023-02-0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기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2265B2 (ja) 2013-03-07 2015-04-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収容体
JP2015223795A (ja) 2014-05-29 2015-1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
CN106457841B (zh) 2014-06-16 2018-10-0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体供应单元以及液体消耗系统
JP2016002679A (ja) 2014-06-16 2016-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記録装置に用いられる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記録装置
JP6447016B2 (ja) * 2014-10-31 2019-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クとボトルのセット、及びボトル
JP6503801B2 (ja) * 2015-03-12 2019-04-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ユニット、及び、液体収容体
TWI774588B (zh) * 2016-06-10 2022-08-11 日商精工愛普生股份有限公司 墨水補給容器
US10286677B2 (en) 2016-07-11 2019-05-14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supply device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JP6897019B2 (ja) * 2016-07-14 2021-06-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6737059B2 (ja) 2016-08-12 2020-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6822004B2 (ja) 2016-08-12 2021-0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CN111565934B (zh) * 2018-01-25 2021-10-15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打印盒的罐
CN109720099B (zh) * 2019-02-28 2020-06-02 珠海市拓佳科技有限公司 墨袋
JP7298318B2 (ja) * 2019-06-11 2023-06-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ーシステム
KR102589497B1 (ko) 2019-07-30 2023-10-13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균일한 프린트 헤드면 코팅
US20220143980A1 (en) * 2019-07-30 2022-05-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ejection head service with non-wetting layer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2642U (ja) 1983-01-19 1984-07-30 三洋電機株式会社 インクカ−トリツジ
JPS6032671A (ja) 1983-08-02 1985-02-19 Canon Inc インクカ−トリツジ
JPS6034445U (ja) * 1983-08-17 1985-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セツト
JPS6294040U (ko) 1985-12-02 1987-06-16
JP2633875B2 (ja) * 1987-11-20 1997-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H0288248A (ja) 1988-09-26 1990-03-28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852458A (en) * 1991-08-27 1998-12-22 Hewlett-Packard Company Inkjet print cartridge having a first inlet port for initial filling and a second inlet port for ink replenishment without removing the print cartridge from the printer
JP3105047B2 (ja) * 1991-11-18 2000-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容器、これを用いた記録ヘッド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記録装置
US5406320A (en) 1992-03-10 1995-04-11 Scitex Digital Printing, Inc. Ink replenishment assemblies for ink jet printers
JP3110872B2 (ja) 1992-06-24 2000-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417434B2 (ja) * 1995-01-05 2003-06-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5784087A (en) * 1995-04-27 1998-07-21 Owens-Illinois Closure Inc. Liquid containment and dispensing device
US5900896A (en) * 1995-04-27 1999-05-04 Hewlett-Packard Company Ink cartridge adapters
US5699936A (en) 1995-09-08 1997-12-23 Sercomp Corporation Liquid dispensing system
US5886719A (en) * 1996-03-14 1999-03-23 Hewlett-Packard Company Ink valve having a releasable tip for a print cartridge recharge system
EP0910507A4 (en) 1996-05-06 1999-08-04 Graphic Utilities Inc AUXILIARY INK RESERVOIR, FEEDING SYSTEM AND METHOD FOR INK JET CARTRIDGES
US6065828A (en) * 1997-02-26 2000-05-23 Hewlett-Packard Company Selectable mixing of inkjet ink components
US6010210A (en) * 1997-06-04 2000-01-04 Hewlett-Packard Company Ink container having a multiple function chassis
JPH11192720A (ja) * 1998-01-05 1999-07-21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インク充填方法、及びインク補給方法
JP2000006435A (ja) * 1998-04-21 2000-01-11 Canon Inc インクタンク
CA2319606A1 (en) * 1999-09-29 2001-03-29 Mark R. Hock Liquid containment and dispensing device
JP2001150691A (ja) * 1999-11-26 2001-06-05 Minolta Co Ltd インク記録装置
JP2001232812A (ja) * 2000-02-24 2001-08-28 Konica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100387551B1 (en) * 2002-03-12 2003-06-18 Hanlim Ink feeding device for large ink jet printer
ATE285901T1 (de) * 2002-03-28 2005-01-15 Brother Ind Ltd Tintenpatrone
JP3891150B2 (ja) * 2002-07-09 2007-03-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および液体収容体
US7008051B2 (en) 2002-10-10 2006-03-07 Akermalm Per G Expanded ink supply system for ink jet printers
SG109016A1 (en) * 2003-08-08 2005-02-28 Seiko Epson Corp Liquid container
US7448734B2 (en) * 2004-01-21 2008-11-1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er cartridge with pagewidth printhead
US20060044368A1 (en) * 2004-08-31 2006-03-02 Kuo-Hau Kao Bulk-capacity continuous feed printer ink container pack
US7488059B1 (en) * 2004-11-02 2009-02-10 Nu-Kote International, Inc. Enclosure for ink reservoir bag
TWM271716U (en) 2005-02-23 2005-08-01 Yi-Tzung Yan Subtle pressure balancing device between cartridge and ink bottle
JP2007007902A (ja) * 2005-06-28 2007-01-18 Fujifilm Holdings Corp インクタ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642562B2 (ja) * 2005-06-28 2011-03-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製造方法及びインク充填方法
JP2007313785A (ja) * 2006-05-26 2007-12-06 Seiko Epson Corp 装填装置における針構造、装填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US20100007684A1 (en) * 2007-01-19 2010-01-14 Sharp Kabushiki Kaisha Ink container and ink discharge device
JP4645682B2 (ja) * 2007-06-20 2011-03-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流体噴射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959268B2 (en) 2007-06-20 2011-06-14 Seiko Epson Corporation Installing fluid container in fluid ejection device
JP4766011B2 (ja) * 2007-06-20 2011-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流体噴射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136932B2 (en) * 2007-07-10 2012-03-20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liquid filling method and liquid refill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9018424A (ja) * 2007-07-10 2009-01-29 Seiko Epson Corp 液体収容容器並びにそれを用いた液体充填方法及び液体再充填方法
JP2009202346A (ja) 2008-02-26 2009-09-10 Mimaki Engineering Co Ltd プリンタシステムおよび外部インク供給装置
JP5099510B2 (ja) 2008-05-23 2012-12-19 株式会社セイコーアイ・インフォテック インク袋アダプタ、アダプタ付きインク袋、及び印刷装置
JP2012111167A (ja) * 2010-11-26 2012-06-14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液体噴射システム
US8517522B2 (en) * 2011-02-07 2013-08-27 Fujifilm Dimatix, Inc. Fluid circulation
JP5901482B2 (ja) 2012-09-18 2016-04-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692265B2 (ja) * 2013-03-07 2015-04-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収容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510A (ko) * 2015-10-30 2023-02-0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기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21631A2 (pt) 2017-07-18
US9994030B2 (en) 2018-06-12
RU2673613C2 (ru) 2018-11-28
JP2014172263A (ja) 2014-09-22
RU2015142056A3 (ko) 2018-06-14
US20170190185A1 (en) 2017-07-06
AU2014227357B2 (en) 2018-03-08
AU2014227357A1 (en) 2015-10-15
US9862199B2 (en) 2018-01-09
TWI628085B (zh) 2018-07-01
CN105189124A (zh) 2015-12-23
JP5692265B2 (ja) 2015-04-01
EP2965913A1 (en) 2016-01-13
US9266338B2 (en) 2016-02-23
EP2965913A4 (en) 2017-11-08
RU2015142056A (ru) 2017-04-12
US20140253645A1 (en) 2014-09-11
CN107116906B (zh) 2019-02-22
CN105189124B (zh) 2017-08-25
WO2014136440A1 (ja) 2014-09-12
TW201446545A (zh) 2014-12-16
CN107116906A (zh) 2017-09-01
PH12015501939A1 (en) 2016-02-15
US20160121617A1 (en) 2016-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1227A (ko) 액체 공급 장치 및 액체 수용체
US9493005B2 (en) Liquid-accommodating-body accommodating receptacle, liquid supply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US9248653B2 (en) Image forming system
JP6111749B2 (ja) 液体収容体
JP6402642B2 (ja) 液体収容体
US20200198355A1 (en) Liquid supplying system including tank and liquid bottle connectable to the tank
JP2014034191A (ja) 液体噴射装置
JP6222331B2 (ja) 液体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