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333A - 시퀀서 단자대, 시퀀서 및 시퀀서 유닛 - Google Patents
시퀀서 단자대, 시퀀서 및 시퀀서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19333A KR20150119333A KR1020157025313A KR20157025313A KR20150119333A KR 20150119333 A KR20150119333 A KR 20150119333A KR 1020157025313 A KR1020157025313 A KR 1020157025313A KR 20157025313 A KR20157025313 A KR 20157025313A KR 20150119333 A KR20150119333 A KR 201501193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quencer
- band
- terminal block
- mounting portion
- le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단자가 접속 가능하게 되는 복수의 단자 접속부(12)가 나란히 마련된 단자 접속면을 가지는 시퀀서(Sequencer) 단자대(1)는, 단자 접속부(12)의 배열 방향(X)과 평행한 제1 방향(Y) 측으로 돌출 형성된 밴드 장착부(5)를 가진다. 밴드 장착부(5)는, 제1 방향(Y) 측으로 돌출 형성된 2개의 제1 다리부(13)와, 제1 다리부(13)의 선단끼리를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14)를 가진다. 그리고, 밴드 장착부(5)가 형성되는 장착부 형성면(1a)과, 제1 다리부(13)와, 제1 연결부(14)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결속(結束) 밴드(4)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는 삽통(揷通) 구멍이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퀀서 단자대, 시퀀서 및 시퀀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FA 기기 등의 시스템에 이용되는 시퀀서 유닛에서는, 복수의 시퀀서가 나란히 고정된다. 이러한 시퀀서는, 신호의 입출력을 하기 위한 배선이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 접속부가 나란히 마련된 단자대를 구비한다. 단자 접속부에 접속된 복수의 배선을 정리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인접하는 시퀀서와 간섭함으로써 시퀀서의 착탈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또, 배선 상태의 시인성(視認性)도 저하하기 쉬워, 배선의 탈락 등의 발견이 지연, 지락(地絡) 등의 예방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단자 접속부에 접속된 복수의 배선은, 결속(結束) 밴드에 의해서 결속되어 정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배선의 편차를 보다 한층 억제하기 위해서, 배선을 정리한 결속 밴드를 고정하는 것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단자대에 결속 밴드를 고정하기 위한 밴드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배선을 둘러치는 경로와 겹치는 위치에 밴드 장착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배선의 스페이스가 압박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배선 작업시, 밴드 장착부가 방해가 되어,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배선의 방해가 되기 어려운 밴드 장착부를 가지는 시퀀서 단자대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단자가 접속 가능하게 되는 복수의 단자 접속부가 나란히 마련된 단자 접속면을 가지는 시퀀서 단자대로서, 단자 접속부의 배열 방향과 평행한 제1 방향 측으로 돌출 형성된 밴드 장착부를 구비하며, 밴드 장착부는, 제1 방향 측으로 돌출 형성된 2개의 제1 다리부와, 제1 다리부의 선단끼리를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를 가지고, 밴드 장착부가 형성되는 장착부 형성면과, 제1 다리부와, 제1 연결부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결속 밴드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는 삽통(揷通) 구멍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선의 방해가 되기 어려운 밴드 장착부를 가지는 시퀀서 단자대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시퀀서 유닛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시퀀서 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3은, 시퀀서 단자대를 구비하는 시퀀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시퀀서 단자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밴드 장착 부분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B-B선을 따른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밴드 장착부에 결속 밴드를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결속 밴드로 배선을 정리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밴드 장착부 주변의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밴드 장착부 주변의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밴드 장착부 주변의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밴드 장착부 주변의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밴드 장착부 주변의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c는,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밴드 장착부 주변의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밴드 장착부 부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시퀀서 단자대의 밴드 장착부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밴드 장착부에 결속 밴드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시퀀서 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3은, 시퀀서 단자대를 구비하는 시퀀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시퀀서 단자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밴드 장착 부분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B-B선을 따른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밴드 장착부에 결속 밴드를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결속 밴드로 배선을 정리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밴드 장착부 주변의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밴드 장착부 주변의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밴드 장착부 주변의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밴드 장착부 주변의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밴드 장착부 주변의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c는,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밴드 장착부 주변의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밴드 장착부 부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시퀀서 단자대의 밴드 장착부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밴드 장착부에 결속 밴드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시퀀서(sequencer) 단자대, 시퀀서 및 시퀀서 유닛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시퀀서 유닛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시퀀서 유닛의 저면도이다. 시퀀서 유닛(2)은, 베이스(10)와 시퀀서(11)를 구비하고 있으며, 베이스(10)에 대해서 복수의 시퀀서(11)가 나란히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10)와 시퀀서(11)가 대향하는 면에는, 서로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는 커넥터(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고, 이 커넥터를 매개로 하여 시퀀서(11)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정보의 송수신(送受信)이나 전원의 송수전(送受電)을 행한다.
도 3은, 시퀀서 단자대를 구비하는 시퀀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시퀀서 단자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시퀀서(1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로서 직방체(直方體)에 가까운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본체부(7)의 정면측에 시퀀서 단자대(1)를 구비한다.
시퀀서 단자대(1)에는, 배선이 접속 가능하게 되는 복수의 단자 접속부(12)가, 시퀀서(11)의 배열 방향과 수직 또한 베이스(10)의 시퀀서 장착면(10a)과 평행한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단자 접속부(12)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의 선단에 마련된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비스(vis, 나사)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시퀀서 단자대(1) 중, 시퀀서(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시퀀서(11)의 저면측이 되는 면(장착부 형성면(1a))에는, 밴드 장착부(5)가 형성된다. 밴드 장착부(5)는, 장착부 형성면(1a)에 대해서, 단자 접속부(12)의 배열 방향(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과 평행한 화살표 Y로 나타내는 방향(제1 방향)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 본 구조는 단자 대 본체의 하우징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배선성(配線性)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6은, 밴드 장착 부분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B-B선을 따른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밴드 장착부(5)는, 제1 다리부(13), 제1 연결부(14), 제2 다리부(15), 제2 연결부(16)를 가진다.
제1 다리부(13)는 2개 마련되어 있으며, 장착부 형성면(1a)으로부터 화살표 Y로 나타내는 방향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제1 다리부(13)는, 장착부 형성면(1a)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다. 제1 연결부(14)는, 제1 다리부(13)의 선단끼리를 연결시킨다. 이것에 의해, 밴드 장착부(5)는 링 형상을 나타내게 되며, 장착부 형성면(1a), 제1 다리부(13), 제1 연결부(14)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결속 밴드(4)가 삽입 통과 가능한 삽통(揷通) 구멍이 된다.
제2 다리부(15)는, 장착부 형성면(1a)으로부터 화살표 Y로 나타내는 방향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 연결부(16)는, 제2 다리부(15)의 선단과 제1 연결부(14)의 중간 부분을 연결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1 연결부(14)와 제2 연결부(16)가 평면에서 보아 T자 형상을 나타낸다. 또, 장착부 형성면(1a), 제1 다리부(13), 제1 연결부(14), 제2 연결부(16), 제2 다리부(15)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도, 결속 밴드(4)가 삽입 통과 가능한 삽통 구멍이 되며, 결과적으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속 밴드(4)를 삽입 통과 가능한 3개의 루트가 형성된다.
도 8은, 밴드 장착부(5)에 결속 밴드(4)를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결속 밴드(4)를 삽입 통과 가능한 3개의 루트가 형성됨으로써,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밴드 장착부(5)에 대해서 복수의 결속 밴드(4)를 장착할 수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다리부(13), 제1 연결부(14), 제2 다리부(15) 및 제2 연결부(16) 중, 이들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내측에 면(面)하는 모서리부(17), 즉 삽통 구멍에 면하는 모서리부(17)에는, 챔퍼링(chamfering)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도 9는, 결속 밴드(4)에 의해 배선(3)을 정리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속 밴드(4)는, 단자 접속부(12)에 접속된 복수의 배선(3)을 정리하여 묶기 위해서 이용된다. 또, 결속 밴드(4)는, 배선(3)을 정리하여 묶을 때에, 밴드 장착부(5)에 체결된다. 단자 접속부(12)에 접속된 복수의 배선(3)은, 단자 접속부(12)가 마련된 면상(面上)을 통과하여, 시퀀서(11)의 저면측으로 둘러쳐진다(도 1, 2도 참조).
이상 설명한 시퀀서 단자대(1), 시퀀서(11) 및 시퀀서 유닛(2)에 의하면, 시퀀서 단자대(1)에서, 단자 접속부(12)의 배열 방향과 평행한 화살표 Y로 나타내는 방향 측에 밴드 장착부(5)가 돌출 형성되므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접속부(12)가 마련된 면상(面上)을 통과하는 배선(3)의 배선 경로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밴드 장착부(5)가 마련되게 된다. 따라서, 밴드 장착부(5)가 배선 작업의 방해가 되기 어려워, 작업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배선(3)을 결속 밴드(4)에 의해 일체화하고, 시퀀서 단자대(1)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의 미관이 향상됨과 아울러 배선(3)이 인접하는 시퀀서(11)에 간섭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시퀀서(11)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또, 배선(3)과 시퀀서 단자대(1)가 일체화하기 때문에, 시퀀서 단자대(1)를 시퀀서(11)의 본체부(7)로부터 분리했을 때에, 그대로 다른 시퀀서(11)의 본체부(7)에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배선(3)을 잡아 당기는 것에 대한 인장 강도가 향상됨과 아울러, 배선(3)이 탈락(脫落)했다고 해도 결속 밴드(4)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지락(地絡)의 위험성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밴드 장착부(5)에는 복수의 결속 밴드(4)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배선(3)을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결속 밴드(4)끼리가 간섭하기 어렵기 때문에,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신호선이나 전원선 등 함께 정리하기 어려운 배선끼리를 그룹으로 나누어 정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사용하는 삽통 구멍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목적에 따른 고정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선을 하부로 인출하여 고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 8에서의 결속 밴드(4a)와 같이 삽통 구멍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배선을 정면(正面)으로 인출하여 인접하는 시퀀서(11)의 단자대에 걸쳐 배선을 고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 8에서의 결속 밴드(4b)와 같이 삽통 구멍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베이스(10) 방향으로 인장하여 배선을 보이기 어렵게 하고, 미관을 향상시켜 고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 8에서의 결속 밴드(4c)와 같이 삽통 구멍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결속 밴드(4)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어느 삽통 구멍에 결속 밴드(4)를 삽입 통과시킬지를 선택함으로써, 배선 경로에 적절한 자세로 결속 밴드(4)를 고정할 수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통 구멍에 면하는 모서리부(17)에는, 챔퍼링 가공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결속 밴드(4)를 삽입 구멍에 삽입시킬 때에, 결속 밴드(4)의 선단이 챔퍼링 가공된 모서리부(17)에 의해서 원활히 삽통 구멍 내로 안내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삽통 구멍에 결속 밴드(4)를 삽입시키기 쉬워져, 결속 밴드(4)의 장착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어두운 곳에서의 작업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또, 모서리부(17)는, 결속 밴드(4)가 체결되었을 때에 결속 밴드(4)가 접촉하는 부분이다. 그 때문에, 모서리부(17)에 챔퍼링 가공이 실시되어 있음으로써, 결속 밴드(4)에의 국소적인 부하가 걸리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해, 결속 밴드(4)가 손상하기 어려워진다.
또, 시퀀서 단자대(1)의 표면에는 표면 텍스처링 가공이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 1에 관한 시퀀서 단자대(1)의 밴드 장착부(5)에 의하면,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시공성의 향상 및 표면 텍스처링 가공 후의 시퀀서 단자대(1)의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a ~ 10c는, 밴드 장착부(5) 주변의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에서는, 표면 텍스처링 가공이 미가공(未加工)인 상태의 밴드 장착부(5) 주변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밴드 장착부(5)의 삽통 구멍에 치구(治具)로서 금형 슬라이드 코어(18)가 삽입된 상태에서, 장착부 형성면(1a)을 포함하는 시퀀서 단자대(1)의 표면에 표면 텍스처링 가공이 실시된다.
이 때, 금형 슬라이드 코어(18)에 의해 덮인 영역에는 표면 텍스처링 가공이 실시되지 않아, 표면 텍스처링 가공이 미시공(未施工)인 영역이 된다. 그렇지만,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밴드 장착부(5)의 제1 다리부(13)가, 장착부 형성면(1a)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텍스처링 가공이 미시공인 영역의 대부분이 밴드 장착부(5)에 숨겨져 버린다. 그 때문에, 표면 텍스처링 가공이 미시공인 영역이 보여지기 어려워져, 시퀀서 단자대(1)의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표면 텍스처링 가공이 미시공인 영역의 폭은, 금형 슬라이드 코어(18)의 폭에 의해서 정해진다. 금형 슬라이드 코어(18)는, 장착부 형성면(1a), 제1 다리부(13), 제1 연결부(13)에 의해 둘러싸인 삽통 구멍으로부터 삽입되기 때문에, 이 삽통 구멍의 폭 보다도 표면 텍스처링 가공이 미시공인 영역의 폭이 크게 되지는 않는다.
그래서, 제2 연결부(16)의 폭을, 적어도 장착부 형성면(1a), 제1 다리부(13), 제1 연결부(14)에 의해 둘러싸인 삽통 구멍의 폭 이상의 크기로 함으로써, 평면에서 보아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미시공인 영역을 제1 연결부(14)와 제2 연결부(16)의 뒤측에 의해 확실히 숨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2 연결부(16)의 폭을 보다 크게 함으로써,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미시공인 영역을 보다 한층 보여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금형 슬라이드 코어(18)의 삽입 방향으로 제2 다리부(15)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2 다리부(15)에 부딪칠 때까지 금형 슬라이드 코어(18)를 삽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금형 슬라이드 코어(18)의 삽입시에 삽입량의 미세 조정 등이 불필요해져, 시공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밴드 장착부(150)를 구비하는 시퀀서 단자대(100)에의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순서를 설명한다. 도 11a ~ 11c는,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밴드 장착부 주변의 표면 텍스처링 가공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밴드 장착부(150)에서는, 일방의 다리부(113)가 장착부 형성면(100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금형 슬라이드 코어(18)에 의해 덮여짐으로써 표면 텍스처링 가공이 미시공이 되는 영역의 일부가, 밴드 장착부(150)에 숨겨지지 않고 노출해 버려, 시퀀서 단자대(100)의 미관의 저하를 초래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 텍스처링 가공이 미시공인 영역이 보여지기 어렵기 때문에,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밴드 장착부 부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다른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밴드 장착부(200)에서는, 1개의 결속 밴드(4)를 마련할 때에, 일방의 삽통 구멍에 결속 밴드(4)의 선단을 삽입하는 작업과, 타방의 삽통 구멍으로부터 결속 밴드(4)의 선단을 인출한다고 하는 2스텝의 작업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결속 밴드(4)를 마련할 때의 공수(工數)의 증가나 작업성의 저하가 문제가 되기 쉽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속 밴드(4)의 선단을 삽통 구멍에 1회 삽통시키는 것만으로 결속 밴드(4)를 마련할 수 있으므로, 공수의 증가를 억제하여,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시퀀서 단자대의 밴드 장착부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밴드 장착부에 결속 밴드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 2에 관한 시퀀서 단자대(51)의 밴드 장착부(55)에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제2 다리부(15)와 제2 연결부(16)(도 5 등도 참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한편,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2개의 제1 다리부(53)가 장착부 형성면(51a)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텍스처링 가공이 미시공이 되는 영역을 제1 연결부(54)를 포함하는 밴드 장착부(55)에 의해서 숨겨질 수 있다. 또, 금형 슬라이드 코어(18)(도 10b도 참조)를 제2 다리부(15)에 부딪히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시공성은 약간 저하한다.
또,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단자 접속부(12)의 배열 방향과 평행한 화살표 Y로 나타내는 방향 측으로 밴드 장착부(55)가 돌출 형성되므로, 단자 접속부(12)에 접속되는 배선(3)의 배선 경로로부터 벗어간 위치에 밴드 장착부(55)가 마련되게 된다. 따라서, 밴드 장착부(55)가 배선 작업의 방해가 되기 어려워, 작업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결속 밴드(4)의 선단을 삽통 구멍에 1회 삽통시키는 것만으로 결속 밴드(4)를 마련할 수 있므로, 도 12에 나타내는 밴드 장착부(200)와 같이, 결속 밴드(4)를 구멍에 삽입 통과한 후, 구멍의 위치를 맞추어, 인출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공수의 증가를 억제하여,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시퀀서 단자대는, 단자 접속부에 복수의 배선이 접속되는 시퀀서 단자대에 유용하다.
1 : 시퀀서 단자대
1a : 장착부 형성면
2 : 시퀀서 유닛 3 : 배선
44a, 4b, 4c : 결속 밴드 5 : 밴드 장착부
7 : 본체부 10 : 베이스
10a : 시퀀서 장착면 11 : 시퀀서
12 : 단자 접속부 13 : 제 1다리부
14 : 제 1 연결부 15 : 제 2다리부
16 : 제 2 연결부 17 : 모서리부
18 : 금형 슬라이드 코어 51 : 시퀀서 단자대
51a : 장착부 형성면 53 : 제 1다리부
54 : 제 1 연결부 55 : 밴드 장착부
100 : 시퀀서 단자대 113 : 다리부
150, 200 : 밴드 장착부
2 : 시퀀서 유닛 3 : 배선
44a, 4b, 4c : 결속 밴드 5 : 밴드 장착부
7 : 본체부 10 : 베이스
10a : 시퀀서 장착면 11 : 시퀀서
12 : 단자 접속부 13 : 제 1다리부
14 : 제 1 연결부 15 : 제 2다리부
16 : 제 2 연결부 17 : 모서리부
18 : 금형 슬라이드 코어 51 : 시퀀서 단자대
51a : 장착부 형성면 53 : 제 1다리부
54 : 제 1 연결부 55 : 밴드 장착부
100 : 시퀀서 단자대 113 : 다리부
150, 200 : 밴드 장착부
Claims (6)
- 단자가 접속 가능하게 되는 복수의 단자 접속부가 나란히 마련된 단자 접속면을 가지는 시퀀서(sequencer) 단자대로서,
상기 단자 접속부의 배열 방향과 평행한 제1 방향 측으로 돌출 형성된 밴드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밴드 장착부는, 상기 제1 방향 측으로 돌출 형성된 2개의 제1 다리부와, 상기 제1 다리부의 선단끼리를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밴드 장착부가 형성되는 장착부 형성면과,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제1 연결부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결속(結束) 밴드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는 삽통(揷通) 구멍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서 단자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 형성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 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의 선단과 상기 제1 연결부의 중간 부분을 연결시키는 제2 연결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에서 T자 형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서 단자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2 다리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중, 이들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내측에 면(面)하는 모서리부에는, 챔퍼링(chamfering) 가공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서 단자대.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는, 상기 장착부 형성면의 가장자리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서 단자대. -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퀀서 단자대와,
상기 시퀀서 단자대가 장착되는 본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서. - 청구항 5에 기재된 복수의 시퀀서와,
상기 복수의 시퀀서가 나란히 고정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서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3/059601 WO2014155694A1 (ja) | 2013-03-29 | 2013-03-29 | シーケンサ端子台、シーケンサおよびシーケンサユニッ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9333A true KR20150119333A (ko) | 2015-10-23 |
KR101701665B1 KR101701665B1 (ko) | 2017-02-01 |
Family
ID=5061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25313A KR101701665B1 (ko) | 2013-03-29 | 2013-03-29 | 시퀀서 단자대, 시퀀서 및 시퀀서 유닛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9559442B2 (ko) |
JP (1) | JP5456215B1 (ko) |
KR (1) | KR101701665B1 (ko) |
CN (1) | CN105051979B (ko) |
DE (1) | DE112013006641T5 (ko) |
TW (1) | TWI505587B (ko) |
WO (1) | WO201415569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054449B2 (en) * | 2012-01-27 | 2015-06-09 | Chatsworth Products, Inc. | Cable retention system for power distribution unit |
US9559442B2 (en) * | 2013-03-29 | 2017-01-31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Sequencer terminal block, sequencer, and sequencer unit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63776A (ja) | 1984-08-29 | 1986-04-01 | 東レ株式会社 | 編織物の処理方法 |
JPS6163776U (ko) * | 1984-10-01 | 1986-04-30 | ||
JP2532946Y2 (ja) * | 1990-10-02 | 1997-04-16 |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 電線結束用基台 |
JPH09111193A (ja) * | 1995-10-16 | 1997-04-28 | Toyo Ink Mfg Co Ltd | 接着方法 |
JPH1021797A (ja) * | 1996-06-28 | 1998-01-23 | Niles Parts Co Ltd | コードのクランプ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5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52219A (en) * | 1961-07-21 | 1964-10-06 | Western Electric Co | Multiconductor terminal frame with wire harnessing means |
US3783436A (en) * | 1972-07-17 | 1974-01-01 | Molex Inc |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with built-in strain relief |
JPS5432501B2 (ko) * | 1973-02-26 | 1979-10-15 | ||
JPS50144985A (ko) | 1974-05-13 | 1975-11-21 | ||
JPS5327746Y2 (ko) * | 1974-05-18 | 1978-07-13 | ||
JPS54131091U (ko) * | 1978-03-03 | 1979-09-11 | ||
JPS54131091A (en) * | 1978-03-30 | 1979-10-11 | Toppan Printing Co Ltd | Printing of cellulose fiber structure or cellulose fiber containing blended structure |
US4443051A (en) * | 1980-08-01 | 1984-04-17 | American Telecommunications Corp. | Telephone jack |
US4358178A (en) * | 1981-01-05 | 1982-11-09 |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 Hood for multicontact connector |
FR2512288A1 (fr) * | 1981-08-28 | 1983-03-04 | Alsthom Cgee | Porte-torche a serrage sans vis |
JPS5895686U (ja) | 1981-12-22 | 1983-06-29 | キヤノン株式会社 | 配線コ−ド締結構造 |
JPH0238666B2 (ja) * | 1982-07-01 | 1990-08-3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Etsuchinguhoho |
USD299492S (en) * | 1986-03-14 | 1989-01-24 | Harris Corporation | Telephone voice termination block |
JPS63105390U (ko) | 1986-12-25 | 1988-07-08 | ||
JPH02142585U (ko) | 1989-04-28 | 1990-12-04 | ||
JPH036881U (ko) | 1989-06-06 | 1991-01-23 | ||
DE69218227T2 (de) * | 1991-09-04 | 1997-09-25 | Smc Kk | Linearantrieb |
US5158476A (en) * | 1992-01-24 | 1992-10-27 | Landis & Gyr Metering Inc. | Modular strain relief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s |
JP3362316B2 (ja) * | 1993-05-27 | 2003-01-07 | 光洋電子工業株式会社 | 制御用電子機器 |
CA2128172C (en) * | 1993-08-27 | 1997-05-13 | Alan R. Miklos | Self-seating connector adapter |
US5620333A (en) * | 1994-12-07 | 1997-04-15 | Burndy Corporation | Electrical connector strain relief hood |
US5697809A (en) * | 1996-06-04 | 1997-12-16 | D-Link Corporation | Network hub with cable holder means |
AU720876B2 (en) * | 1996-06-14 | 2000-06-15 | Lucent Technologies Inc. | Signal transmission media routing arrangement |
US5911595A (en) * | 1996-07-29 | 1999-06-15 | Kern Engineering & Mfg. Co. | Low profile angular connector device and method |
US5700156A (en) * | 1996-07-31 | 1997-12-23 | The Whitaker Corporation | Electrical connector with wire restraint |
US5910026A (en) * | 1997-02-04 | 1999-06-08 | Molex Incorporated | Electrical connector with cable strain relief |
EP0934850A1 (en) * | 1997-12-11 | 1999-08-11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 Grommet assembly and method of attaching same to a vehicle |
US6019645A (en) * | 1997-12-23 | 2000-02-01 | Molex Incorporated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
JP3552532B2 (ja) * | 1998-05-08 | 2004-08-11 | 住友電装株式会社 | 電線保持具を備えたコネクタ |
US6478609B1 (en) * | 2000-10-02 | 2002-11-12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Strain relief assembly |
US20030022550A1 (en) * | 2001-02-05 | 2003-01-30 | Chowdhury Paul D. | Clasp for prong of an electric plug to detect prior use |
US6619997B1 (en) * | 2001-06-18 | 2003-09-16 | Bombardier Transportation | Modular connector strain relief back shell and wiring method |
US6491539B1 (en) * | 2001-07-25 | 2002-12-10 | Jeff Johnston | Electrical plug retainer |
US6527582B1 (en) * | 2001-08-31 | 2003-03-04 | Hewlett-Packard Company | Cable bundle clamp |
JP3957149B2 (ja) | 2002-01-29 | 2007-08-15 | オーム電機株式会社 | ケーブル保持具 |
US6679722B1 (en) * | 2002-03-26 | 2004-01-20 | Pulizzi Engineering, Inc. | Connector restraint device for electrical equipment |
US6736654B2 (en) * | 2002-10-09 | 2004-05-18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Hold down apparatus for perpendicularly mounted cards |
TWM252187U (en) * | 2003-11-13 | 2004-12-01 | John Peng | Wire arrangement rack |
US7039183B2 (en) * | 2004-03-15 | 2006-05-02 |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 Termination block |
US7001223B1 (en) * | 2005-05-16 | 2006-02-21 | Te-Yi-Jan Technology Co., Ltd | Wire ordering device for computer or communication device |
US7070454B1 (en) * | 2005-10-06 | 2006-07-04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Electrical connector adaptor with strain relief |
JP4520933B2 (ja) * | 2005-11-18 | 2010-08-11 | 矢崎総業株式会社 | 端子連鎖体、該端子連鎖体を圧着するクリンパ、端子連鎖体の製造方法、及び複数の端子金具とフラット回路体の接続構造 |
US7488196B2 (en) * | 2006-11-02 | 2009-02-10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Wire retention connector system |
US7800468B2 (en) * | 2007-03-28 | 2010-09-21 | Eaton Corporation |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accessory module and strain relief mechanism therefor |
US8025525B2 (en) * | 2008-12-19 | 2011-09-27 | Joslyn Sunbank Company Llc | Connector back shells having a plurality of cable exit angles |
JP2010282764A (ja) * | 2009-06-02 | 2010-12-16 | Sumitomo Wiring Syst Ltd | 配線方向規制構造 |
CA2789159A1 (en) * | 2010-02-12 | 2011-08-18 | Adc Telecommunications, Inc. | Communications bladed panel systems |
US8535082B2 (en) * | 2010-02-22 | 2013-09-17 | Charles Lifson | Apparatus for providing a secure connection between different devices |
US8647142B1 (en) * | 2011-12-16 | 2014-02-11 | David Michael Kershaw | Retainer for maintaining electrical power plug connection to electrical power receptacle |
US9054449B2 (en) * | 2012-01-27 | 2015-06-09 | Chatsworth Products, Inc. | Cable retention system for power distribution unit |
US8770994B1 (en) * | 2012-09-25 | 2014-07-08 | Brett Fagan | Child resistant safety plug accessory |
US9559442B2 (en) * | 2013-03-29 | 2017-01-31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Sequencer terminal block, sequencer, and sequencer unit |
US9276359B2 (en) * | 2014-06-19 | 2016-03-01 | Blair Brown | Cord coupling securement device |
-
2013
- 2013-03-29 US US14/766,816 patent/US9559442B2/en active Active
- 2013-03-29 CN CN201380075054.8A patent/CN105051979B/zh active Active
- 2013-03-29 WO PCT/JP2013/059601 patent/WO201415569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3-29 KR KR1020157025313A patent/KR10170166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3-29 JP JP2013539471A patent/JP5456215B1/ja active Active
- 2013-03-29 DE DE112013006641.6T patent/DE112013006641T5/de active Pending
- 2013-10-04 TW TW102135970A patent/TWI505587B/zh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63776A (ja) | 1984-08-29 | 1986-04-01 | 東レ株式会社 | 編織物の処理方法 |
JPS6163776U (ko) * | 1984-10-01 | 1986-04-30 | ||
JP2532946Y2 (ja) * | 1990-10-02 | 1997-04-16 |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 電線結束用基台 |
JPH09111193A (ja) * | 1995-10-16 | 1997-04-28 | Toyo Ink Mfg Co Ltd | 接着方法 |
JPH1021797A (ja) * | 1996-06-28 | 1998-01-23 | Niles Parts Co Ltd | コードのクランプ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12013006641T5 (de) | 2015-10-29 |
KR101701665B1 (ko) | 2017-02-01 |
TW201438360A (zh) | 2014-10-01 |
JP5456215B1 (ja) | 2014-03-26 |
WO2014155694A1 (ja) | 2014-10-02 |
US9559442B2 (en) | 2017-01-31 |
US20160043483A1 (en) | 2016-02-11 |
CN105051979B (zh) | 2016-10-19 |
TWI505587B (zh) | 2015-10-21 |
JPWO2014155694A1 (ja) | 2017-02-16 |
CN105051979A (zh) | 2015-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722525B (zh) | 束线端部连接器 | |
US9472893B1 (en) | Connector | |
US7696433B2 (en) | Cable outlet element, cable outlet device, cable outlet arrangement, method for producing a cable element and the use of a cable outlet element in an aircraft | |
US9963093B2 (en) | Wire harness attachment structure and wiring unit | |
GB2435124B (en)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ical Cables | |
JP5695975B2 (ja) | ヒュージブルリンク装着構造及び電気接続箱 | |
JP2009032517A (ja) | 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 |
KR101701665B1 (ko) | 시퀀서 단자대, 시퀀서 및 시퀀서 유닛 | |
AU2013263929B2 (en) | Electrical wire protective cover | |
JP6206119B2 (ja) | 車両のホーン用ワイヤハーネスの保護構造及び車両のフロントグリルモジュール | |
JP2003243102A (ja) | シールドコネクタ組立体 | |
AU2011226790B2 (en) | Electronic assembly comprising a drawer and a compartment for receiving boards | |
US20200313361A1 (en) | Connector | |
JP2015061462A (ja) |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 |
US9019716B2 (en) | Plate member, bus bar and electric junction box having the bus bar | |
CN102237616A (zh) | Usb插口 | |
JP2015216015A (ja) | ハーネス | |
KR102455570B1 (ko) | 기판실장형 조인트장치 | |
US7963006B2 (en) | Retainer for overmolded electrical circuit | |
KR200333813Y1 (ko) | 전기전자기기 | |
KR100591827B1 (ko) |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 |
JP7140488B2 (ja) | ワイヤハーネス | |
JP6959102B2 (ja) | 終端用分岐コネクタ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 | |
JP2017117728A (ja) | ワイヤハーネスの端子接続構造 | |
JP2015047025A (ja) |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