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687A -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 - Google Patents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687A
KR20150116687A KR1020140041929A KR20140041929A KR20150116687A KR 20150116687 A KR20150116687 A KR 20150116687A KR 1020140041929 A KR1020140041929 A KR 1020140041929A KR 20140041929 A KR20140041929 A KR 20140041929A KR 20150116687 A KR20150116687 A KR 20150116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hole
wire
incis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558B1 (ko
Inventor
전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전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전성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Priority to KR1020140041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558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4Wi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에 관한 것으로 조작을 위한 손잡이(101)와, 전기소작기 연결을 위한 전기커넥터(102)가 일측에 형성된 핸들부(1)와; 내부에는 중공부(202)를 형성하여, 중공부(202)와 연결되는 다수의 포트부(201)를 형성한 카테터(2)와; 상기 카테터(2)의 내부에 설치되어 손잡이(101)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와이어(3)와; 상기 카테터(2)의 선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제어와이어(3)에 의해 카테터(2)에서 장력 조절이 이루어지는 절개와이어(4)로 구성되는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에 있어서, 상기 절개와이어(4)의 장력 조절에 의해 카테터 선단부의 구부러짐이 유두부 절개를 위한 정확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두부의 정확한 절개가 가능케 하여 합병증 발병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두부에서 발생한 다양한 질병의 치료 효과가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Papillotome for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본 발명은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카테터의 단부에서 전기소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절개와이어에 의해 카테터 선단부의 구부러짐이 유두부 절개를 위한 정확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이하 'ERCP'라 함)은 간단하게 담도 내시경 또는 췌담도 내시경이라고도 한다.
즉, ERCP는 십이지장, 유두부(ampulla of Vater), 담관, 담낭(쓸개) 및 췌장 등을 관찰하기 위한 검사로서 첨부도면 도 8과 같이 일반적인 내시경 검사와 마찬가지로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넣은 후 담즙 또는 췌장액이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 조그마한 구멍(유두개구부)에 가느다란 관을 넣은 다음 X선 촬영을 할 수 있는 약을 넣은 다음 사진을 촬영하는 검사로 일반적인 상부소화관내시경 검사보다 시간도 더 걸리고 보다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는 검사이다.
한편, ERCP에서 사용하는 십이지장경은 일반적인 내시경과 달리 내시경 선단에서 전방을 관찰하는 직시경이 아니며 십이지장 벽면을 잘 관찰할 수 있도록 측시경을 사용한다.
즉, 측시경을 이용하여야 십이지장 유두부를 정면으로 관찰하면서 담관 및 췌관에 삽관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ERCP를 시행할 때에는 유두부가 내시경 화면상 정면으로 나타나면 유두부 중에서도 담관과 췌관의 개구부 위치를 머릿속으로 그려본 다음 검사의 목적에 따라서 담관 또는 췌관에 선택적 삽관을 시행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담관의 삽관은 유두부를 정면으로 보았을 때 11시~12시 방향에서 이루어지고, 췌관의 삽관은 1시~2시 방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환자마다 췌담관 합류 방식에 변화가 있을 수 있어서 삽관 위치가 다를 수 있다.
검사 목적에 따라 담관 내부에 삽관 후에는 담관 내에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담도 모양을 관찰하고 협착이나 확장 유무를 확인하며 음영 결손을 나타내는 담석이나 담도 내 종양 여부 등을 관찰하면서 투시 사진을 촬영하게 된다.
또한, 췌관 내부에 삽관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역시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췌관의 협착, 확장 여부, 췌석이나 점액 등에 의한 음영 결손 여부 또는 조영제가 주췌관에서 새어나가는지 여부 등을 관찰하고 촬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ERCP를 시행하여 담관 및 췌관 조영술을 얻으면 관강의 협착이나 확장 여부를 관찰하고 관강 내에 음영 결손을 유발하는 병변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러한 ERCP는 담도, 담낭, 췌장, 유두부에서 발생한 다양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실시되고 있는데, 특히 담도결석, 담도암, 만성 또는 급성 췌장염, 췌장암, 담도나 췌장의 선천성 기형 등의 다양한 질환의 진단이나 치료를 위해 널리 실시되고 있다.
한편, ERCP는 담도 및 췌장의 대부분 질환에 대하여 그 진단적 예민도와 특이도가 높지만 일반적인 소화기내시경 검사에 비해 다소 어려운 검사로서 중증의 췌장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시술하는 의사의 오랜 경험과 그에 따른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검사이다. 따라서 경험이 많은 의사에 의해 시행될 때 부작용 또는 합병증을 줄일 수 있으므로 ERCP는 의사의 오랜 경험이 특히 중요시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83717호 등록특허공보 제10-0767155호
ERCP는 상기와 같이 십이지장, 유두부(ampulla of Vater), 담관, 담낭(쓸개) 및 췌장 등을 관찰 검사하여 진단을 위해 주로 사용되지만, 담도나 췌장 질환의 비수술적 치료를 위해서도 흔히 이용된다.
그러나 치료를 목적으로 이 검사를 시행할 경우에는 합병증이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출혈, 장천공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특히 내시경적 괄약근 절개술을 동반한 치료적 시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합병증의 빈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ERCP는 일반 상부 위장관 내시경보다 합병증의 위험도가 높아서 약 2-7%에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주로 췌장염, 담관염 그리고 내시경적 괄약근 절개술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출혈이나 천공, 복막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시술 중 산소 포화도의 감소, 위액에 의한 흡인성 폐렴, 십이지장경 통과에 의한 장천공 등이 생길 수 있으며, 드물게는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는데 주요 사망 원인은 중증의 췌장염, 패혈증 그리고 위공장문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천공의 합병증 등에 의한 것이다.
특히, 양성, 악성에 의한 유두 협착과 담관 폐색, 담관 결석 제거, 담석성 췌장염 등의 치료를 위하여 ERCP와 함께 십이지장벽 내 경직된 유두괄약근 하부 총담관을 유두 절개도(Papillotome)를 이용하여 절개하는 시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절개와이어(Cutting wire)에 의한 절개부위의 정확한 절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담관 천공, 출혈, 췌장염, 담낭염, 유두 재협착 등과 같은 각종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유두 절개도의 사용시에는 매우 신중하고 정밀한 조작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유두 절개도는 전기소작(Electrocautery)이 가능한 절개와이어를 이용하여 유두괄약근을 절개할 때, 정확한 절개 방향(11시 방향) 설정이 어려워 유두괄약근을 절개 과정에서 혈관이 밀집된 타 장기가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그로 인해 심각한 합병증 발병으로 인해 드물게는 환자가 사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유두 절개도의 사용 편의성이나 정확성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조작을 위한 손잡이(101)와, 전기소작기 연결을 위한 전기커넥터(102)가 일측에 형성된 핸들부(1)와;
상기 핸들부(1)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202)를 형성하여, 중공부(202)와 연결되는 다수의 포트부(201)를 외주면에 형성한 플렉시블한 관체로 된 카테터(2)와;
상기 카테터(2)의 중공부(202)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부는 카테터(2)와 연결되는 핸들부(1)에 설치된 손잡이(101)에 의해 제어 가능케 연결되는 제어와이어(3)와;
상기 카테터(2)의 선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일단부는 카테터(2)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어와이어(3)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제어와이어(3)에 의해 카테터(2)에서 장력 조절이 이루어지는 절개와이어(4)로 구성되는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2) 선단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통공(203, 204)을 형성하여 상기 절개와이어(4)의 일단부는 제1통공(203)을 통해 카테터(2) 내부로 투입되어 중공부(202) 내에서 고정되고, 절개와이어(4)의 타단부는 제2통공(204)을 통해 카테터(2) 내부로 투입되어 중공부(202) 내에 설치된 제어와이어(3)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ERCP의 시술 중 치료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유두부의 절개 과정에서 유두부의 정확한 절개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발명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ERCP의 시술 중 치료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유두부의 절개 과정에서 정확한 절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혈관이 밀집된 타 장기부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합병증 발병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담도, 담낭, 췌장, 유두부에서 발생한 다양한 질병의 치료 효과가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두 절개도의 외관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 요부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 요부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 요부 측면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절개와이어의 장력이 완화된 상태의 측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절개와이어의 장력이 긴장된 상태의 측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 선단부의 만곡화 과정을 정면과 측면에서 동시에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ERCP의 시술 중 치료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유두부의 절개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유두 절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과 같이 유두 절개도는 조작을 위한 손잡이(101)와, 전기소작기 연결을 위한 전기커넥터(102)가 일측에 형성된 핸들부(1)와; 상기 핸들부(1)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202)를 형성하여, 중공부(202)와 연결되는 다수의 포트부(201)를 외주면에 형성한 플렉시블한 관체로 된 카테터(2)와; 상기 카테터(2)의 중공부(202)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부는 카테터(2)와 연결되는 핸들부(1)에 설치된 손잡이(101)에 의해 제어 가능케 연결되는 제어와이어(3)와; 상기 카테터(2)의 선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일단부는 카테터(2)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어와이어(3)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제어와이어(3)에 의해 카테터(2)에서 장력 조절이 이루어지는 절개와이어(4)로 구성된다.
상기 카테터(2)는 ERCP를 위하여 사용되는 담도 내시경의 튜브에 삽입되어 환부로 안내된다.
상기 카테터(2) 선단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통공(203, 204)을 형성하여 상기 절개와이어(4)의 일단부는 제1통공(203)을 통해 카테터(2) 내부로 투입되어 중공부(202) 내에서 고정되고, 절개와이어(4)의 타단부는 제2통공(204)을 통해 카테터(2) 내부로 투입되어 중공부(202) 내에 설치된 제어와이어(3)와 연결된다.
상기 제1통공(203)은 카테터(2)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12시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통공(204)은 카테터(2)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1시 방향으로 형성하되, 제1통공(203)과 제2통공(204) 간의 거리는 6~8㎝가 바람직할 것이며, 카테터(2)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제1통공(203)과 제2통공(204)의 중심선 간의 각도는 15~25°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1통공(203)은 카테터(2)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카테터(2)의 좌측에서 볼 때, 카테터(2)의 중심선에서 130~140°를 이루도록 천공되며, 상기 제2통공(204)은 카테터(2)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카테터(2)의 좌측에서 볼 때, 카테터(2)의 중심선에서 40~50°를 이루도록 천공함으로써 절개와이어(4)의 장력 조절시 시술자의 정면에서 볼 때, 카테터(2)의 선단부가 11시 방향으로 휘면서 구부러지게 된다.
상기 카테터(2)의 중공부(202) 내부에는 상기 절개와이어(4)의 일단부와 용착되어 중공부(202)에 고정되는 고정관(501)과; 상기 제1통공(203)과 연통되는 투입부(502a)를 일측면에 형성하여 투입부(502a)를 통해 투입된 절개와이어(4)를 고정관(501)으로 안내하는 제1안내관(502)과; 상기 제2통공(204)과 연통되는 투입부(503a)를 일측면에 형성하여 투입부(503a)를 통해 투입된 절개와이어(4)의 타단부가 중공부(202)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와이어(3)와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관(503)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관(501)은 상기 카테터(2)의 중공부(202) 내부에는 카테터(2)의 선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제1안내관(502)과 제2안내관(503)은 금속제로 된 절개와이어(4)가 카테터(2)의 제1통공(203)과 제2통공(204)을 통과하면서 제어와이어(3)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는 과정에서 플렉시블한 소재로 된 카테터(2)의 제1통공(203)과 제2통공(204)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절개와이어(4)를 안내하기 위하여 금속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의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ERCP의 시술 중 치료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유두부의 절개를 위하여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카테터(2)는 ERCP를 위하여 사용되는 담도 내시경의 튜브에 삽입되어 환부로 안내된다.
상기 카테터(2) 선단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통공(203, 204)을 형성하여 상기 절개와이어(4)의 일단부는 제1통공(203)을 통해 카테터(2) 내부로 투입되어 중공부(202) 내에서 고정되고, 절개와이어(4)의 타단부는 제2통공(204)을 통해 카테터(2) 내부로 투입되어 중공부(202) 내에 설치된 제어와이어(3)와 연결된다.
따라서 절개와이어(4)를 이용한 유두부의 절개를 위해서는 절개와이어(4)를 긴장시켜 카테터(2)의 선단부를 만곡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시술자는 유두 절개도의 손잡이(101)를 닫는 힘을 제어하게 된다.
즉, 손잡이(101)를 닫는 힘을 조절하면, 손잡이(101)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어와이어(3)가 당겨지거나, 느슨해지면서, 제어와이어(3)의 장력이 조절됨으로써 제어와이어(3)의 타단부에 연결된 절개와이어(4)의 장력이 제어된다.
이때, 상기 절개와이어(4)의 일단부가 통과하는 상기 제1통공(203)은 카테터(2)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12시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통공(204)은 카테터(2)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1시 방향으로 형성하되, 첨부도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통공(203)과 제2통공(204) 간의 거리(A)는 20~25㎜가 바람직할 것이며, 첨부도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터(2)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제1통공(203)과 제2통공(204)의 중심선 간의 각도(B)는 15~25°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공(203)은 카테터(2)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카테터(2)의 좌측에서 볼 때, 카테터(2)의 중심선에서 130~140°를 이루는 각도(C)로 천공되며, 상기 제2통공(204)은 카테터(2)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카테터(2)의 좌측에서 볼 때, 카테터(2)의 중심선에서 40~50°를 이루는 각도(D)로 천공함으로써 절개와이어(4)의 장력 조절시 시술자의 정면에서 볼 때, 카테터(2)의 선단부가 11시 방향으로 휘면서 구부러지게 된다.
그리하여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절개와이어(4)의 장력을 긴장시키면 절개와이어(4)가 당겨지면서 카테터(2)의 선단부를 만곡시켜 카테터(2)의 선단부가 정확히 11시 방향으로 만곡되면서, 카테터(2)의 제1통공(203)과 제2통공(204) 간을 통과하는 절개와이어(4)와 카테터(2)의 선단부가 초승달과 같은 형태로 변형되는데, 절개와이어(4)의 장력 조절은 시술자가 유두 절개도의 손잡이(101)를 닫는 힘을 주는 정도에 따라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절개와이어(4)의 장력 조절과 카테터(2) 선단부의 만곡화가 완료되면, 시술자는 핸들부(1)의 전기커넥터(102)에 접속되는 전기소작기를 이용해 절개와이어(4)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시키면서, 절개와이어(4)를 절단하고자 하는 유두부에 밀착시켜 가압하면, 절개와이어(4)에 의해 유두부 조직의 절개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두부의 절개를 위하여 유두 절개도의 카테터(2) 단부에서 전기소작이 가능케 설치되는 절개와이어(4)의 장력을 긴장시키면 카테터(2)의 선단부가 정확히 11시 방향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유두부의 정확한 절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유두부의 절개 과정에서 혈관이 밀집된 타 장기부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 시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발병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담도, 담낭, 췌장, 유두부에서 발생한 다양한 질병의 치료 효과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두부 절개가 이루어진 후,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절개와이어(4)에 장력을 완화하면, 만곡되었던 카테터(2)의 선단부는 플랙시블한 카테터(2)가 가지는 원래의 탄성에 의해 곧게 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카테터(2)의 외부로 노출된 절개와이어(4)는 카테터(2)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핸들부 101: 손잡이
102: 전기커넥터 2: 카테터
201: 포트부 202: 중공부
203: 제1통공 204: 제2통공
3: 제어와이어 4: 절개와이어
501: 고정관 502: 제1안내관
502a: 투입부 503: 제2안내관
503a: 투입부

Claims (3)

  1. 조작을 위한 손잡이(101)와, 전기소작기 연결을 위한 전기커넥터(102)가 일측에 형성된 핸들부(1)와;
    상기 핸들부(1)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202)를 형성하여, 중공부(202)와 연결되는 다수의 포트부(201)를 외주면에 형성한 플렉시블한 관체로 된 카테터(2)와;
    상기 카테터(2)의 중공부(202)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부는 카테터(2)와 연결되는 핸들부(1)에 설치된 손잡이(101)에 의해 제어 가능케 연결되는 제어와이어(3)와;
    상기 카테터(2)의 선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일단부는 카테터(2)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어와이어(3)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제어와이어(3)에 의해 카테터(2)에서 장력 조절이 이루어지는 절개와이어(4)로 구성되는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2) 선단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통공(203, 204)을 형성하여 상기 절개와이어(4)의 일단부는 제1통공(203)을 통해 카테터(2) 내부로 투입되어 중공부(202) 내에 고정되고, 절개와이어(4)의 타단부는 제2통공(204)을 통해 카테터(2) 내부로 투입되어 중공부(202) 내에 설치된 제어와이어(3)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공(203)은 카테터(2)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12시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통공(204)은 카테터(2)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1시 방향으로 형성하되, 제1통공(203)과 제2통공(204) 간의 거리는 6~8㎝이고, 카테터(2)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제1통공(203)과 제2통공(204)의 중심선 간의 각도는 1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202) 내부에는 상기 절개와이어(4)의 일단부와 용착되어 중공부(202)에 고정되는 고정관(501)과; 상기 제1통공(203)과 연통되는 투입부(502a)를 일측면에 형성하여 투입부(502a)를 통해 투입된 절개와이어(4)를 고정관(501)으로 안내하는 제1안내관(502)과; 상기 제2통공(204)과 연통되는 투입부(503a)를 일측면에 형성하여 투입부(503a)를 통해 투입된 절개와이어(4)의 타단부가 중공부(202)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와이어(3)와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관(50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
KR1020140041929A 2014-04-08 2014-04-08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 KR101602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929A KR101602558B1 (ko) 2014-04-08 2014-04-08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929A KR101602558B1 (ko) 2014-04-08 2014-04-08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687A true KR20150116687A (ko) 2015-10-16
KR101602558B1 KR101602558B1 (ko) 2016-03-10

Family

ID=5436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929A KR101602558B1 (ko) 2014-04-08 2014-04-08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5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878A (ko) 2020-08-31 2022-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카테터
KR20230031456A (ko) * 2021-08-27 2023-03-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 가능한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 절개도
WO2024001476A1 (zh) * 2022-06-30 2024-01-04 微创优通医疗科技(嘉兴)有限公司 控弯切开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228B1 (ko) 2018-03-28 2020-06-2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도의 카테터 말단부 굴곡의 동작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123A (ko) * 2000-05-18 2002-12-12 윌슨-쿡 메디컬, 인크. 와이어 가이드 접근이 개선된 의료기기
JP2004057794A (ja) * 2002-06-07 2004-02-26 Olympus Corp 留置チューブガイド装置
KR20090003298A (ko) * 2006-03-09 2009-01-09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용 처치구
KR20120081066A (ko) * 2009-09-25 2012-07-18 가부시키가이샤 교토 이료 세케이 의료용 카테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123A (ko) * 2000-05-18 2002-12-12 윌슨-쿡 메디컬, 인크. 와이어 가이드 접근이 개선된 의료기기
KR100767155B1 (ko) 2000-05-18 2007-10-15 윌슨-쿡 메디컬, 인크. 와이어 가이드 접근이 개선된 의료기기
JP2004057794A (ja) * 2002-06-07 2004-02-26 Olympus Corp 留置チューブガイド装置
KR20090003298A (ko) * 2006-03-09 2009-01-09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용 처치구
KR101283717B1 (ko) 2006-03-09 2013-07-08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용 처치구
KR20120081066A (ko) * 2009-09-25 2012-07-18 가부시키가이샤 교토 이료 세케이 의료용 카테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878A (ko) 2020-08-31 2022-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카테터
KR20230031456A (ko) * 2021-08-27 2023-03-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 가능한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 절개도
WO2024001476A1 (zh) * 2022-06-30 2024-01-04 微创优通医疗科技(嘉兴)有限公司 控弯切开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558B1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6010B2 (en) Bendable catheter
JP6614456B2 (ja) 高周波鉗子
EP2172161B1 (en) Medical instrument for endoscope
KR101602558B1 (ko)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
JPWO2015133429A1 (ja) 内視鏡処置システム及び内視鏡用処置具
JP4716939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00237202A (ja) 内視鏡用処置具
JPWO2015133434A1 (ja) 内視鏡用処置具及び切開システム
JP2009539506A (ja) 拡大可能なバルーン送達システムを有する内視鏡器具
KR20180076204A (ko)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JP2006187446A (ja) 内視鏡用処置具
JP4778234B2 (ja) 医療用アクセスシステム
JP2007301285A (ja) 高周波処置具
US20060178671A1 (en) APC dual mode therapeutic balloon dilator
CN111772779A (zh) 三腔乳头括约肌切开刀
JP2010104527A (ja) 内視鏡等閉鎖腔作成補助具及び内視鏡装置
CN114849021B (zh) 一种可视化插管装置及其使用方法
US20170265722A1 (en) Assistance tool and endoscope system
JP4308830B2 (ja) 医療用リング
CN107343814B (zh) 一种切开刀
JP4043456B2 (ja) 高周波切開具
CN111772778A (zh) 多功能乳头括约肌切开刀
KR102593656B1 (ko) 의료용 카테터
WO2023202465A1 (zh) 一种医用导管、装置及系统
RU149055U1 (ru)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оледохоскоп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