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204A -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204A
KR20180076204A KR1020160180413A KR20160180413A KR20180076204A KR 20180076204 A KR20180076204 A KR 20180076204A KR 1020160180413 A KR1020160180413 A KR 1020160180413A KR 20160180413 A KR20160180413 A KR 20160180413A KR 20180076204 A KR20180076204 A KR 20180076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steel wire
handle
inner diame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동진
송혁
신연호
박우철
이상협
안동원
Original Assignee
(주)비엠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엠에이 filed Critical (주)비엠에이
Priority to KR1020160180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204A/ko
Publication of KR20180076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52Guides for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는: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는 조작핸들과, 본체에 연결되고, 플랙시블한 관체로 이루어지는 카테터 및 조작핸들의 조작으로 카테터의 단부를 다방향으로 굴절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PAPILLOTOME FOR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전환이 가능하여 개복 수술을 최소화할 수 있고, S자형 췌담관 시술이 가능한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이하 'ERCP'라 함)은 간단하게 담도 내시경 또는 췌담도 내시경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ERCP는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삽입하고, 내시경 채널을 통해 유도괄약근 절개도를 아주 좁은 십이지장 유두부에 삽입하고, 십이지장 유두부 괄약근을 유두괄약근 절개도로 절개한 후에 유두괄약근 절개도를 담관으로 삽입하여 담관의 병변을 치료하거나 담관 및 췌관에 조열제를 주입시켜 담관 및 췌관의 병이 있는 부위를 관찰하는 검사법이다.
이러한 유두괄약근 절개도는 구조적으로 한 방향으로만 굽어지므로 선천적 기형으로 췌담관이 S자인 환자는 시술이 불가능하고, 절개방향의 제어가 어려워 장출혈 및 장천공 등 부작용 발생의 위험성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한편,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67155호 (2007.10.08., 발명의 명칭 : 와이어 가이드 접근이 개선된 의료기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테터의 양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개복 수술을 최소화할 수 있고, S자형 췌담관 시술이 가능한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공학적 설계 및 단순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조작핸들과,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플랙시블한 관체로 이루어지는 카테터와, 상기 조작핸들의 조작으로 상기 카테터의 단부를 다방향으로 굴절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핸들은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카테터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작동내경 및 상기 작동내경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핸들에 결합되어 상기 조작핸들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카테터의 단부를 굴절시키는 강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선은 원형복원이 가능한 탄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내경은 상기 카테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2작동내경을 포함하고, 상기 강선은 일단이 상기 제1작동내경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조작핸들에 고정되는 제1강선 및 상기 제1강선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작동내경으로 연장되는 제2강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강선의 단부에는 상기 카테터의 외부로 노출되는 절개칼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핸들에는 상기 제1강선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2강선을 상기 제2작동내경으로 안내하는 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핸들이 직선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홀부 및 상기 슬라이드홀부의 직각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조작핸들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는 조작핸들의 이동에 따라 카테터의 양방향 방향전환이 가능하여 개복 수술을 최소화할 수 있고, S자형 췌담관 시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공학적 설계 및 단순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C-C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의 강선 고정부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D-D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의 작동부 원리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를 이용한 유두괄약근 절개술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C-C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의 강선 고정부재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D-D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의 작동부 원리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를 이용한 유두괄약근 절개술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100)는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이하 'ERCP'라 함)과, 유도괄약근 절개술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영술과 절개술은 다른 내시경 시술에 비해 절개된 유두부에 염증 발생, 출혈 및 합병증(췌장염, 담관염)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100)는 본체(110), 조작핸들(120), 카테터(140) 및 작동부(15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타입으로 형성되며, 선단은 후술되는 카테터(140)가 연결되고, 후단은 파지를 위한 손잡이(112)가 형성된다.
조작핸들(120)은 본체(110)의 둘레에 구비된다. 보다 자세하게 조작핸들(120)은 본체(11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조작핸들(120)은 양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조작손잡이(122)가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엄지를 본체(110)의 손잡이(112)에 끼우고, 검지와 중지는 조작핸들(120)의 조작손잡이(122)에 끼워 조작핸들(120)을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조작핸들(120)은 슬라이드부(130)에 의해 직선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130)는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홀부(132) 및 슬라이드홀부(132)의 직각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조작핸들(120)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블럭(134)을 포함한다.
슬라이드홀부(132)의 내면에는 슬라이드블럭(134)과 접촉되어 조작핸들(120)의 슬라이드 이동구간을 제한하는 제한돌기(133)가 형성된다.
카테터(140)는 본체(110)의 선단에 연결되고, 플랙시블한 관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카테터(140)는 테프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테터(140)는 ERCP를 위하여 사용되는 담도 내시경의 튜브에 삽입되어 환부로 안내된다.
그리고, 카테터(140)는 복수개의 내강이 형성되고, 내강을 통해 안내선(guide wire), 조영제 등 약물이 통과된다.
카테터(140)의 말단은 도 1과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두부 구멍 및 췌담관으로 진입하는데 있어서 걸리거나 상처를 내지 않도록 두께가 좀 더 얇아지면서 둥근형태로 형성된다.
작동부(150)는 조작핸들(120)의 조작으로 카테터(140)의 단부를 다방향으로 굴절시킨다. 이러한 작동부(150)는 도 1과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14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작동내경(152) 및 작동내경(152)에 구비되고, 조작핸들(120)에 결합되어 조작핸들(1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카테터(140)의 단부를 굴절시키는 강선(155)을 포함한다. 이때, 강선(155)은 원형복원이 가능한 탄성을 지닌다.
보다 자세하게,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내경(152)은 카테터(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2작동내경(153,154)을 포함하고, 강선(155)은 일단이 제1작동내경(153)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조작핸들(120)에 고정되는 제1강선(156) 및 제1강선(156)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2작동내경(154)으로 연장되는 제2강선(157)을 포함한다.
카테터(140)에는 안내선이 구비되는 제1내경(142), 조영제 등 약물이 통과되는 제2내경(144)과, 강선(155)이 구비되는 제1,2작동내경(153,154)이 구비된다.
제1강선(156)의 단부에는 카테터(14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절개칼부(160)를 포함한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140)의 단부에는 제1강선(156)이 외부로 인출되는 제1통공(146)과, 제1통공(146)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고, 다시 카테터(14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통공(148)이 형성된다. 이때, 제2통공(148)을 지나 카테터(140)의 내부로 삽입된 제1강선(156)이 당김시 빠지지 않도록 고정부재(149)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통공(146)과 제2통공(148)을 통해 제1강선(156)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절개칼부(160)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재(149)는 제1작동내경(153)이 융착되어 강선(155)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도 6의 (a)와 같이 제1작동내경(153)에 밀착되는 형태 또는 도 6의 (b)와 같이 요철 형상으로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형태 등 다양한 형상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1강선(156)의 타단은 조작핸들(120)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블럭(134)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강선(157)의 일단은 슬라이드블럭(134)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작동내경(154)으로 연장되며,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8과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120)을 본체(110)의 후단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제1강선(156)이 당겨지면서 제2강선(157)은 이동되고, 조작핸들(120)을 본체(110)의 선단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제1강선(156)이 밀리면서 응력을 받게 되고, 제2강선(157)은 본체(110)측으로 이동된다.
본체(110)에는 제2강선(157)을 제2작동내경(154)으로 안내하는 안내부(115)가 구비된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115)는 안내홈으로 이루어진다. 안내부(115)는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안내홈(116)과 본체(110)의 손잡이(112) 둘레에 형성되는 제2안내홈(117)으로 형성된다. 이때, 손잡이(112)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강선(157)을 완만하게 굴절시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제2강선(157)의 꺽임을 방지할 수 있다.
조작핸들(120)에는 전원부와의 연결을 위한 전기커넥터(125)가 구비된다. 전기커넥터(125)는 슬라이드블럭(134)과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강선(15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통전 시 강선(155)에 전기가 공급됨으로, 노출된 절개칼부(160)가 특수목적용 전기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ERCP의 시술 중 치료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유두부 절개를 위하여 사용된다. 즉, 카테터(140)는 ERCP를 위하여 사용되는 담도 내시경의 튜브에 삽입되어 환부로 안내된다.
이때, 본체(110)에 구비되는 조작핸들(120)은 본체(110)의 슬라이드홀부(132)의 중간에 위치된 상태이다. 그리고, 카테터(140) 단부에는 제1통공(146)을 통해 제1강선(156)이 노출되고, 제2통공(148)을 통해 삽입되어 카테터(140) 내부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카테터(140) 단부에 절개칼부(160)가 형성된 상태이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칼부(160)를 이용한 유두부의 절개를 위해서는 조작핸들(120)을 본체(110)의 후단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제1강선(156)이 긴장되어 당겨지고, 제1강선(156)의 단부는 카테터(140)의 단부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카테터(140)의 단부는 일측으로 만곡된다. 이로 인해, 카테터(140)의 외부로 노출된 절개칼부(160)는 기준축을 중심으로 45°이내로 휘어져 세워진다.
그리고, 전원부의 전기가 전기커넥터(125)를 통해 강선(155)에 전달되어 절개칼부(160)가 전기칼로 좁은 유두부를 절개하여 카테터(140)의 진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조작핸들(120)을 다시 원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강선(155)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카테터(140)의 단부는 원위치되고, 진입공간이 확보된 유두부를 통해 췌담관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췌담관은 선천적 기형으로 S자인 환자의 경우, 그 시술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지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40)는 반대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조작핸들(120)을 본체(110)의 선단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제2강선(157)은 본체(110)측으로 이동되고, 제1강선(156)에는 응력이 발생하여, 카테터(140)가 쉽게 굴절될 수 있는 방향으로 굴절된다. 즉, 중공된 제2작동내경(154)측으로 카테터(140)가 쉽게 굴절될 수 있어 제1강선(156)의 응력에 의해 절개칼부(160)의 반대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다.
따라서, S자인 췌담관에서도 카테터(140)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 깊숙하게 진입시킬 수 있다.
조작핸들(1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강선(155)의 이동시 제1안내홈(116)과 손잡이(112)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안내홈(117)에 의해 제2강선(157)은 꺽이지 않고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에 의하면, 조작핸들의 이동에 따라 카테터의 양방향 방향전환이 가능하여 개복 수술을 최소화할 수 있고, S자형 췌담관 시술이 가능하며, 인체공학적 설계 및 단순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110 : 본체
112 : 손잡이 115 : 안내부
116 : 제1안내홈 117 : 제2안내홈
120 : 조작핸들 122 : 조작손잡이
125 : 전기커넥터 130 : 슬라이드부
132 : 슬라이드홀부 133 : 제한돌기
134 : 슬라이드블럭 140 : 카테터
142 : 제1내경 144 : 제2내경
146 : 제1통공 148 : 제2통공
149 : 고정부재 150 : 작동부
152 : 작동내경 153 : 제1작동내경
154 : 제2작동내경 155 : 강선
156 : 제1강선 157 : 제2강선
160 : 절개칼부

Claims (8)

  1.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조작핸들;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플랙시블한 관체로 이루어지는 카테터; 및
    상기 조작핸들의 조작으로 상기 카테터의 단부를 다방향으로 굴절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은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카테터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작동내경; 및
    상기 작동내경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핸들에 결합되어 상기 조작핸들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카테터의 단부를 굴절시키는 강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은 원형복원이 가능한 탄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내경은 상기 카테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2작동내경을 포함하고;
    상기 강선은 일단이 상기 제1작동내경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조작핸들에 고정되는 제1강선; 및
    상기 제1강선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작동내경으로 연장되는 제2강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선의 단부에는 상기 카테터의 외부로 노출되는 절개칼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핸들에는 상기 제1강선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2강선을 상기 제2작동내경으로 안내하는 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이 직선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홀부; 및
    상기 슬라이드홀부의 직각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상기 조작핸들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KR1020160180413A 2016-12-27 2016-12-27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KR20180076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413A KR20180076204A (ko) 2016-12-27 2016-12-27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413A KR20180076204A (ko) 2016-12-27 2016-12-27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204A true KR20180076204A (ko) 2018-07-05

Family

ID=6292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413A KR20180076204A (ko) 2016-12-27 2016-12-27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620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2778A (zh) * 2020-07-28 2020-10-16 上海市东方医院(同济大学附属东方医院) 多功能乳头括约肌切开刀
CN112587230A (zh) * 2020-12-29 2021-04-02 上海市东方医院(同济大学附属东方医院) 双导丝乳头括约肌切开刀管
KR20220028878A (ko) * 2020-08-31 2022-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카테터
KR20230031456A (ko) * 2021-08-27 2023-03-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 가능한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 절개도
WO2023216887A1 (zh) * 2022-05-09 2023-11-16 精微致远医疗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可视化插管装置及其使用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2778A (zh) * 2020-07-28 2020-10-16 上海市东方医院(同济大学附属东方医院) 多功能乳头括约肌切开刀
KR20220028878A (ko) * 2020-08-31 2022-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카테터
CN112587230A (zh) * 2020-12-29 2021-04-02 上海市东方医院(同济大学附属东方医院) 双导丝乳头括约肌切开刀管
KR20230031456A (ko) * 2021-08-27 2023-03-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 가능한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 절개도
WO2023216887A1 (zh) * 2022-05-09 2023-11-16 精微致远医疗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可视化插管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9893B2 (en) Medical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20180076204A (ko)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JP7463439B2 (ja) スコープシステム
JP6614456B2 (ja) 高周波鉗子
US9974610B2 (en) Endoscope treatment system and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WO2007102586A1 (ja) 内視鏡用処置具
US20120184954A1 (e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and tissue incision method
US9782197B2 (en) Tissue grasping device
US10188271B2 (en) Assist device and endoscope system
EP2386255B1 (en) Endoscope treatment instrument
US20210015349A1 (en) Medical device
EP3135184A1 (en) Retaining mechanism for endoscope guide member, and endoscope
CN115515468A (zh) 内窥镜弯曲区段
KR20150116687A (ko)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
US20170265722A1 (en) Assistance tool and endoscope system
US20050038424A1 (en) High-frequency incision device
US11426232B2 (en) Treatment instrument and endoscopic system
KR20140104198A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KR102593656B1 (ko) 의료용 카테터
JP2004180996A (ja) 内視鏡用処置具
KR20240036408A (ko) 내시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