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198A - 신경차단용 카테터 - Google Patents

신경차단용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198A
KR20140104198A KR1020130018085A KR20130018085A KR20140104198A KR 20140104198 A KR20140104198 A KR 20140104198A KR 1020130018085 A KR1020130018085 A KR 1020130018085A KR 20130018085 A KR20130018085 A KR 20130018085A KR 20140104198 A KR20140104198 A KR 20140104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body
catheter
support member
intermediate member
dist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2017B1 (ko
Inventor
황인제
장혜원
송승우
장우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018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01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독
Priority to AU2014215835A priority patent/AU2014215835B2/en
Priority to NZ709431A priority patent/NZ709431A/en
Priority to MX2015010090A priority patent/MX347604B/es
Priority to PCT/KR2014/000997 priority patent/WO2014123359A2/ko
Priority to ES14748701T priority patent/ES2841126T3/es
Priority to JP2015555924A priority patent/JP6372492B2/ja
Priority to PL14748701T priority patent/PL2954866T3/pl
Priority to US17/201,099 priority patent/USRE49433E1/en
Priority to RU2015124132A priority patent/RU2649527C2/ru
Priority to TW103103847A priority patent/TWI611819B/zh
Priority to SG11201505314QA priority patent/SG11201505314QA/en
Priority to EP14748701.1A priority patent/EP2954866B1/en
Priority to CN201480007445.0A priority patent/CN104968292B/zh
Priority to BR112015018336A priority patent/BR112015018336A2/pt
Priority to US14/763,382 priority patent/US10499982B2/en
Priority to CA2896787A priority patent/CA2896787A1/en
Publication of KR20140104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017B1/ko
Priority to IL240218A priority patent/IL240218B/en
Priority to HK15112501.0A priority patent/HK1211455A1/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34Neural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Card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전극을 구비하여 혈관 주위의 신경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크기가 크지 않도록 팁의 구조가 개선된 신경차단용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신경차단용 카테터로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구비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형성된 카테터 몸체; 상기 카테터 몸체의 원위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 부재; 원위 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 상기 카테터 몸체의 말단과 상기 이동 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중간 부재;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로 좁혀진 경우, 상기 작동 부재에 의해 상기 중간 부재가 이동되도록 하는 제1 스토퍼; 일측 단부가 상기 중간 부재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상기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제1 지지 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카테터 몸체의 말단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중간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중간 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카테터 몸체 말단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상기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제2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벤딩 부위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원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리드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경차단용 카테터{Catheter for denervation}
본 발명은 카테터(cathet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경의 일부를 절제(ablation)하여 신경 전도가 비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경 차단술은 지각 신경이나 자율 신경 등 여러 신경에 대하여 자극이나 정보가 전달되지 않도록 신경 경로의 일부를 차단하는 시술법이다. 이러한 신경 차단술은, 부정맥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치료나 통증 완화, 성형 등을 위해 점차 널리 이용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근래에는 고혈압의 치료에 이러한 신경 차단술이 유효하다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고혈압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러한 신경 차단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고혈압의 경우, 약물로서 혈압 조절이 대부분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많은 고혈압 환자들이 약물에 의존하여 고혈압을 치료받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약물에 의해 혈압을 낮추는 방법은, 약물을 계속적으로 복용해야 하는 불편, 비용적 측면, 그리고 약물의 장기간 복용으로 인한 장기 손상과 같은 부작용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부 고혈압 환자는, 약물로서 혈압 조절이 되지 않는 난치성 고혈압을 앓고 있다. 이러한 난치성 고혈압은, 약물로서도 치료가 되지 않으므로, 환자에게 뇌졸중, 부정맥, 신장 질환 등과 같은 사고를 일으킬 위험성이 커서, 난치성 고혈압의 치료는 매우 심각하고 시급한 문제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신경 차단술은, 고혈압을 치료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한 신경 차단술은, 신장 신경, 즉 신장 동맥 주변의 교감 신경을 절제(ablation)함으로써 신경 전도가 비활성화되도록 하여 신장 신경이 차단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장 신경이 활성화되면 신장에 의한 레닌 호르몬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이는 곧 혈압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장 신경을 차단하는 경우 신경 전도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고혈압을 치료할 수 있다는 점이 최근 여러 실험을 통해 입증되고 있다.
이처럼, 고혈압의 치료를 위해 신장 신경을 차단하는 방법 중 대표적인 방법은, 카테터를 이용하는 것이다. 카테터를 이용한 신경 차단술은, 신체의 일부, 이를테면 허벅지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혈관을 따라 신장 동맥에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서 RF(Radio Frequency) 에너지 등을 통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신장 동맥 주변의 교감 신경을 차단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카테터를 이용한 신경 차단술은 개복 수술을 통한 신경 차단술에 비해 훨씬 작은 부위를 절개하기 때문에 잠재적인 합병증과 부작용이 크게 줄어들 수 있으며, 부분 마취로 인한 치료 및 회복 시간이 매우 짧다는 장점이 있어 차세대 고혈압 치료 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카테터를 이용한 신경 차단술, 더욱이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한 신경 차단술은, 아직까지 개발 정도가 미흡하여 많은 개선될 부분을 갖고 있다.
특히, 이제까지 제안된 신경차단용 카테터 중 일부는, 고주파 등의 에너지를 방출시키기 위한 전극을 하나만 구비하고, 이를 혈관 내부, 이를테면 신장 동맥 내부에 위치시켜 혈관 주변의 신경을 차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 방식에 의하며, 신장 신경이 위치한 부분에 전극이 제대로 위치하지 못해 신장 신경을 놓치는 경우가 많아 신장 신경을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카테터의 경우 신장 신경을 제대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전극을 신장 동맥의 여러 다른 위치에 배치시켜야 하므로, 시술 시간이 늘어날 수 있고, 시술 방법이 복잡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 다수의 전극을 배치한 형태가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다수의 전극이 배치된 형태의 경우,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카테터의 원위 단부, 즉 카테터 팁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처럼 카테터의 원위 단부 크기가 커지면 신장 동맥과 같이 내부 직경이 크지 않은 혈관을 따라 이동할 때, 이동이 어려울 뿐 아니라, 혈관 내벽을 손상시킬 수도 있다. 더욱이, 현재 카테터가 이용될 때에는, 혈관 등의 장기를 보호하고 목표 지점까지 카테터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자, 쉬스(sheath)라는 관을 혈관 등의 장기에 위치시킨 후, 이러한 쉬스 내부를 따라 카테터가 목표 지점 부근까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카테터의 원위 단부의 크기가 크면, 쉬스 내부로 카테터를 이동시키기 어려우므로, 이처럼 쉬스를 이용한 시술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종래 제안된 카테터 중 일부 카테터에 의하면, 절제된 부분에서 혈관이 좁아져 협착증(stenosis)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조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제안된 카테터의 경우, 전극과 혈관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도 갖고 있다. 이 경우, 전극에 의한 열 에너지가 차단을 위한 적정 수준으로 신경에 도달하지 못해, 신경 차단 효과가 잘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전극을 구비하여 혈관 주위의 신경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크기가 크지 않도록 팁의 구조가 개선된 신경차단용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신경차단용 카테터로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구비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형성된 카테터 몸체; 상기 카테터 몸체의 원위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 부재; 원위 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 상기 카테터 몸체의 말단과 상기 이동 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중간 부재;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로 좁혀진 경우, 상기 작동 부재에 의해 상기 중간 부재가 이동되도록 하는 제1 스토퍼; 일측 단부가 상기 중간 부재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상기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제1 지지 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카테터 몸체의 말단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중간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중간 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카테터 몸체 말단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상기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제2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벤딩 부위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원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리드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부재 및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카테터 몸체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부재 및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카테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카테터 몸체는,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벤딩시 벤딩 부위가 상기 카테터 몸체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벤딩 부위가 상기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구비된 전극과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구비된 전극은, 상기 카테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간 0.3 cm 내지 0.8 cm 간격으로 이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폭 방향 단면의 외측 표면 길이가 내측 표면 길이보다 길게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벤딩 부위의 벤딩 방향이 상기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굴곡부가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벤딩 부위의 벤딩 방향이 상기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사전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벤딩 부위가 상기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상기 카테터 몸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간 소정 각도 이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각각 복수의 단위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부재는, 복수의 단위 중간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중간 부재 사이에 양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중간 부재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상기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벤딩 부위에 전극을 구비하는 제3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전극은, 무선 주파수 방식으로 열을 발생시킨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몸체는, 상기 원위 단부에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홀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작동 부재에서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 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중간 부재의 삽입홀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 부재에서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카테터 몸체의 말단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 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카테터 몸체의 작동홀에 걸리도록 구성된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중간 부재의 이동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경차단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신경차단용 카테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테터 몸체의 원위 단부에 다수의 전극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혈관 주위의 신경을 놓치지 않고 효과적으로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다수의 전극이 하나의 혈관 단면 상에 위치하지 않고 혈관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어, 절제로 인한 협착증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전극이 카테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혈관 내주면을 따라 360° 방향으로 넓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혈관 주위를 통과하는 신경을 최대한 놓치지 않고 절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카테터 몸체의 원위 단부, 즉 카테터 팁의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그 크기가 크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직경을 갖는 혈관 내부를 카테터 팁이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카테터의 이동으로 인해 혈관 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테터를 혈관 내부에 곧바로 삽입하지 않고 쉬스와 같은 별도의 구성요소를 혈관 내부에 삽입한 후 이러한 쉬스 내부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형태의 시술에도 보다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극이 카테터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카테터의 원위 단부가 혈관 내부를 따라 이동할 때 전극으로 인해 혈관 내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카테터를 이용한 여러 질병이나 통증 완화 등의 시술에 널리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신장 동맥 주변의 교감 신경을 차단하여 고혈압을 치료하는 시술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원위 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에서 이동 부재의 이동으로 제1 지지 부재의 벤딩 부위가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성에서 중간 부재의 이동으로 제2 지지 부재의 벤딩 부위가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구성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의 배치 및 폭 방향 단면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원위 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구성에서 이동 부재와 중간 부재의 이동으로 전극이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원위 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구성에서 이동 부재와 중간 부재의 이동으로 전극이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원위 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원위 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카테터 구성에 대한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구성에서 이동 부재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구성에서 중간 부재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원위 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다만,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구성에 포함된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전극 및 리드선 등은 모두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카테터의 원위 단부(distal end)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카테터의 길이 방향 양 단부 중 시술 부위에 도달하는 측의 단부를 의미하며, 카테터 팁(tip)과 같은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카테터의 원위 단부와 반대되는 측의 단부는 근위 단부(proximal end)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테터에 포함되는 여러 구성요소 중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어 양 단부를 구비한 여러 구성 요소에 대하여, 양 단부를 구별하기 위해 카테터의 원위 단부 측에 위치한 단부를 원위 단부로 지칭하고 카테터의 근위 단부 측에 위치한 단부를 근위 단부로 지칭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카테터 몸체(100), 이동 부재(200), 작동 부재(300), 중간 부재(400), 제1 스토퍼(310), 제1 지지 부재(510), 제2 지지 부재(520), 전극(600) 및 리드선(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 몸체(1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관 또는 튜브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카테터 몸체(1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단부를 구비하는데, 카테터를 이용한 시술시, 신체 등에 먼저 삽입되어 목표 지점, 즉 시술 부위에 이르는 측의 단부를 원위 단부라 하고, 시술자 측에 위치하여 시술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측의 단부를 근위 단부(미도시)라 함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카테터 몸체(100)는 중공의 관 형태로서 길이 방향으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내부 공간을 따라 시술을 위한 각종 구성요소가 구비되거나 이동할 수도 있고, 약제나 세정액과 같은 물질이 투여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카테터 몸체(100)의 근위 단부에는 내부 공간이 외부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카테터 몸체(100)는, 사용되는 부위나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경이나 외경도 다양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몸체(100)는 재질 또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어,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연성 재질은 물론, 금속과 같은 경성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카테터 몸체(100)의 특정 형태나 재질, 크기 등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카테터 몸체(100)는 다양한 형태나 재질, 크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부재(200)는, 카테터 몸체의 원위 단부(101)에 구비되며,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 부재(200)의 이동을 통해, 중간 부재(400)와 이동 부재(200) 사이의 거리는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 부재(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400)와 함께 카테터 몸체(10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는 카테터 몸체(100)와 분리된 형태로,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보다 외측(도 2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부재(20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 사이의 거리는 가까워지게 되고, 이동 부재(20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 사이의 거리는 멀어질 수 있다.
상기 작동 부재(300)는, 상기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 이동을 통해 이동 부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작동 부재(300)는, 일측 단부, 즉 원위 단부가 이동 부재(200)에 연결 고정되어 있으며, 카테터 몸체(10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부재(300)의 타측 단부, 즉 근위 단부는 카테터 몸체(100)의 근위 단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카테터 몸체(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술자는 수동으로, 또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해 자동으로, 작동 부재(300)의 근위 단부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그러면, 작동 부재(300)는, 도 2에서 화살표 b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동 부재(300)의 일단에 연결된 이동 부재(200)는 화살표 b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의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300)는 카테터 몸체(100) 외부에 있는 이동 부재(200)에까지 연결되므로, 카테터 몸체(100)에는 이러한 작동 부재(300)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홀(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부재(400)는,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과 이동 부재(200) 사이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400)와 이동 부재(200)가 카테터 몸체(100)의 외부에 구비된 경우, 중간 부재(400)는,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 우측, 그리고 이동 부재(20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중간 부재(400)는, 이동 부재(200)와 마찬가지로,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중간 부재(400)의 이동을 통해,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과 중간 부재(400) 사이의 거리는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중간 부재(400)는, 카테터 몸체(100)와 이동 부재(200)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동 부재(200)와 함께 카테터 몸체(100)의 외부에 구비된 실시예의 경우, 작동 부재(300)가 삽입 관통할 수 있는 삽입홀(40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부재(300)는, 이러한 중간 부재(400)의 삽입홀(401)에 관통된 상태로 슬라이딩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작동 부재(300)는 중간 부재(400)의 삽입홀(401)에 관통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작동 부재(300)의 이동만으로는 중간 부재(400)가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작동 부재(300)의 이동에 의해 중간 부재(400)를 이동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제1 스토퍼(3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토퍼(310)는,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까지 좁혀지면, 상기 작동 부재(3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중간 부재(400)가 이동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스토퍼(310)는, 작동 부재(300)에서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토퍼(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40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작동 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310)는, 중간 부재(400)의 삽입홀(401)에 걸리도록 구성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토퍼(310)는, 적어도 일부분의 크기가 중간 부재(400)에 형성된 삽입홀(401)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부재(300)는, 소정 거리만큼은 중간 부재(400)의 삽입홀을 빠져나가면서 이동하다가, 제1 스토퍼(310)가 고정된 부분이 삽입홀(401)에 이르게 된 경우, 제1 스토퍼(310)는 이러한 삽입홀(40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작동 부재(300)는, 더 이상 중간 부재(400)의 삽입홀(401)을 빠져나가면서 이동할 수 없게 되고, 작동 부재(300)의 이동시 중간 부재(400)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1 스토퍼(310)는,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까지만 좁혀지도록 제한하는 한편, 소정 거리까지 좁혀진 이후에는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가 소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함께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테터 몸체의 원위 단부(101), 이동 부재(200) 및/또는 중간 부재(400)는 부드럽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카테터 몸체의 원위 단부(101), 이동 부재(200) 및 중간 부재(400)는 카테터의 전단부에 위치하므로 카테터가 혈관 등을 따라 이동할 때 혈관 등의 내벽과 접촉할 가능성이 많은데, 이들에 대하여 부드럽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하면, 이들에 의한 혈관 등의 손상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방향 전환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한 측면에서, 카테터 몸체의 원위 단부(101), 이동 부재(200) 및/또는 중간 부재(400)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00)가 가장 전단에 위치한 경우, 이동 부재(200)의 외측 표면(도 2에서 우측 표면)은 전단 방향으로 둥글게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부재(200)는, 내측 표면(도 2에서 좌측 표면)의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중간 부재(400)의 내외측 표면의 모서리,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 모서리 등도 라운드진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5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막대 형태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간 부재(400)와 이동 부재(2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 부재(510)는, 일측 단부가 중간 부재(40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이동 부재(2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구성에서는 제1 지지 부재(510)의 근위 단부(좌측 단부)가 중간 부재(400)의 외측 표면에 고정되고, 제1 지지 부재(510)의 원위 단부(우측 단부)가 이동 부재(200)의 내측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00)는 작동 부재(300)에 의해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중간 부재(40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510)는, 이동 부재(200)가 이동하여 중간 부재(400)와 이동 부재(200)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벤딩 부위는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구성에서 이동 부재(200)의 이동으로 제1 지지 부재(510)의 벤딩 부위가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작동 부재(300)가 좌측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이동 부재(200)는, 화살표 c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작동 부재(300)는, 중간 부재(400)의 삽입홀을 관통한 상태로 이동하므로, 작동 부재(300)의 이동에도 중간 부재(400)는 당분간 이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중간 부재(400)는 고정되고 이동 부재(200)만 중간 부재(400)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중간 부재(400)와 이동 부재(200) 사이의 거리는 좁아질 수 있다.
그러면,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 사이에 구비된 제1 지지 부재(510)는, 양 단부 간 거리가 가까워져,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부재(200)가 중간 부재(400)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이러한 제1 지지 부재(510)의 벤딩 부위는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점점 멀어질 수 있다. 여기서, 벤딩 부위는, 도 3에서 e로 표시된 바와 같이, 벤딩된 부분의 꼭지점, 즉 제1 지지 부재(510)의 벤딩된 부분에서 굴곡 정도가 가장 심한 부분, 또는 제1 지지 부재(510)의 벤딩된 부분에서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벤딩 부위가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진다는 것은, 벤딩 부위의 벤딩 방향이 카테터 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벤딩 부위가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2 지지 부재(520)는, 제1 지지 부재(510)와 마찬가지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막대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지지 부재(520)는, 카테터 몸체(100)와 중간 부재(40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 부재(520)는, 일측 단부가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 다시 말해 카테터 몸체의 원위 단부(101)에서 가장 끝 부분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중간 부재(4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구성에서는 제2 지지 부재(520)의 근위 단부가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 외측 표면에 고정되고, 제2 지지 부재(520)의 원위 단부가 중간 부재(400)의 내측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310)가 중간 부재(400)의 삽입홀(401)에 걸린 상태에서 작동 부재(300)가 카테터 몸체(100)의 내측 방향(도 2의 좌측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게 되면, 중간 부재(400)는 카테터 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520)는, 중간 부재(400)가 이동하여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과 중간 부재(400)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벤딩 부위는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구성에서 중간 부재(400)의 이동으로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가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구성에 대한 정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300)의 좌측 방향 이동으로, 이동 부재(200)가 1차적으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제1 스토퍼(310)가 중간 부재(400)에 걸리게 되면, 작동 부재(300)의 움직임에 의해 중간 부재(400)가 2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스토퍼가 중간 부재(400)에 걸린 이후에, 작동 부재(300)가 계속해서 당겨져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 부재(20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함은 물론, 중간 부재(400)도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중간 부재(400)가, 도 4에서 화살표 c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몸체(1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중간 부재(400)와 카테터 몸체(100) 사이의 거리는 좁아질 수 있다. 그러면, 중간 부재(400)와 카테터 몸체(100) 사이에 구비된 제2 지지 부재(520)는, 양 단부 간 거리가 가까워져, 적어도 일부분이 카테터 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부재(400)가 카테터 몸체(100)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이러한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는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점점 멀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 있어서,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는, 이동 부재(200) 및 중간 부재(400)의 이동에 따라 벤딩 부위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는 금속이나 폴리머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지지 부재의 특정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러한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e)에는 전극(600)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는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에 전극(600)이 포함되기 때문에, 복수의 전극(6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극(600)은, 리드선(700)을 통해 에너지 공급 유닛(미도시)과 연결되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전극(600)에 의해 발생된 열은 주변 조직을 절제(ablation)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600)은 대략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80℃의 열을 발생시켜 혈관 주위의 신경을 절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경을 차단시킬 수 있다. 다만, 전극(60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의 온도는 카테터의 용도나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극(600)은, 혈관 벽에 접촉하여 혈관 주변에 위치하는 신경 조직에 열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혈관 벽에 밀착하여 접촉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전극(600)은, 혈관 내벽의 형태에 대응될 수 있도록 굴곡을 가진 형태, 이를테면, 원, 반원 또는 타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혈관 벽에 대한 전극(600)의 밀착도가 향상되어 전극(600)에 의해 생성된 열이 혈관 주변의 신경 조직에 잘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600)은,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 중에서,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전극(600)은,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제1 지지 부재(510)나 제2 지지 부재(520)에 벤딩 부위가 형성된 경우,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벤딩 부위의 꼭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전극(600)이 최대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혈관 벽에 대한 전극(600)의 접촉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극(600)은, 백금이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전극(600)의 특정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 발생 방식이나 시술 부위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600)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방식으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600)은 리드선(700)을 통해 고주파 발생 유닛과 연결되어 고주파 에너지를 발산함으로써 신경을 절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테터에 존재하는 전극(600)은 음극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음극에 대응되는 양극은, 음극과 마찬가지로 고주파 발생 유닛과 같은 에너지 공급 유닛에 연결될 수 있으며, 패치 등의 형태로 신체의 특정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극(600)은,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에 구비되므로,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좁아질 때,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구성에서, 이동 부재(200)가 c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지지 부재(510)의 벤딩 부위는 점차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며, 이러한 제1 지지 부재(510)의 벤딩 부위에 구비된 전극(600) 역시, 화살표 f1 및 f2로 표시된 것처럼,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이동 부재(200)가 도 3의 c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지지 부재(510)의 벤딩 부위에 구비된 전극(600)은 다시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 가까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구성에서, 중간 부재(400)가 c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는 점차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며, 이러한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에 구비된 전극(600) 역시, 화살표 f3 및 f4로 표시된 것처럼,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이동 부재(200)가 도 4의 c2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에 구비된 전극(600)은 다시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 가까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전극(600)은, 이동 부재(200)나 중간 부재(400)가 이동함에 따라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카테터 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카테터 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극(600)을 벤딩 부위에 구비하여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510) 및/또는 제2 지지 부재(520)는, 양 단부의 거리가 가까워질 때, 벤딩 부위의 벤딩 방향이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재질이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 중 적어도 하나는, 폭 방향 단면의 외측 표면 길이가 내측 표면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의 배치 및 폭 방향 단면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를 하나의 평면에 나타내도록 하고, 카테터 몸체(100),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를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요소는 나타내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하나의 지지 부재에 대해서는 확대하여 나타내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는, 폭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의 형태에 있어서, 외측 표면의 길이가 내측 표면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폭 방향이란 카테터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예시를 위해, 제2 지지 부재(520)의 폭 방향 단면에 대한 확대도가 도 7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제2 지지 부재(520)의 외측 표면의 길이는 L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에서 먼 쪽에 위치한 표면의 길이를 의미하고, 제2 지지 부재(520)의 내측 표면의 길이는 L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에서 가까운 쪽에 위치한 표면의 길이를 의미한다.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제2 지지 부재(520)는, 외측 표면의 길이(L1)가 내측 표면의 길이(L2)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으며, 제1 지지 부재(510) 역시, 외측 표면의 길이가 내측 표면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의 외측 표면 길이가 내측 표면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면, 각각의 지지 부재에 길이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 각각의 지지 부재는 내측 표면에서 외측 표면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게 된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이동 부재(200)의 이동으로 제1 지지 부재(510)의 양 단부 간 거리가 짧아지고, 중간 부재(400)의 이동으로 제2 지지 부재(520)의 양 단부 간 거리가 짧아지는 경우,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 각각의 벤딩 방향은, 도 7에서 화살표 I1, I2, I3 및 I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고, 중간 부재(400)와 카테터 몸체(100)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는 경우,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에 구비된 전극(6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분에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정도 벤딩된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 사이의 거리가 가장 멀어진 상태에서도, 제1 지지 부재(510)는 완전히 평평해지지 않고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 외측 방향으로 굴곡된 부분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400)와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 사이의 거리가 가장 멀어진 상태에서도 제2 지지 부재(520)는 완전히 평평해지지 않고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 외측 방향으로 굴곡된 부분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가 이동하여 제1 지지 부재(510)와 제2 지지 부재(520)의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면, 굴곡부의 벤딩 정도가 심화되면서 벤딩 부위가 형성되고 이러한 벤딩 부위의 벤딩 방향은 카테터 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가 점점 이동할수록, 이러한 벤딩 부위는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점차 멀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 중 적어도 하나는,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때, 벤딩 부위의 벤딩 방향이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 향하지 않고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사전 형성된(pre-shaped)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는, 양 단부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가 되도록 사전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는, 니티놀(Nitinol)과 같은 형상 기억 합금(shape memory alloy)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지지 부재(510)는,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 사이의 거리가 짧아질 때, 메모리된 형상에 따라 벤딩 부위가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 부재(520)는, 중간 부재(400)와 카테터 몸체(100) 사이의 거리가 짧아질 때, 메모리된 형상에 따라 벤딩 부위가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는, 소정 부위에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벤딩 부위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지지 부재는,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면, 노치가 형성된 부분에 벤딩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노치의 형성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지지 부재의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질 때 벤딩 부위가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신경차단용 카테터에서, 전극(600)은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에 구비되어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다른 카테터를 이용하여 신경차단술을 시행하는 경우, 전극(600)이 구비된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를 카테터 몸체(100)로 가까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카테터의 원위 단부, 즉 카테터 팁을 혈관을 통해 시술하고자 하는 부위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시술 부위에 카테터 팁이 도달한 경우, 1차적으로 제1 지지 부재(510)의 벤딩 부위가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도록 한 후, 2차적으로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가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으로써,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에 구비된 복수의 전극(600)이 혈관 내벽에 접촉되거나 근접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열 생성을 위한 에너지, 이를테면 고주파 에너지를 전극(600)을 통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혈관 주변의 신경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전극(600)을 통한 에너지 발산으로 신경차단이 완료되면, 다시 전극(600)이 구비된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를 카테터 몸체(100)로 가까워지도록 한 후 카테터를 혈관으로부터 빼내거나 다른 부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극(600)이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전극(600)과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는 시술 부위의 크기, 이를테면 혈관의 내경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600)이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에서 가장 멀어진 상태에서 각각의 전극(600)과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는 2 mm 내지 4 mm 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 부재(510) 및/또는 상기 제2 지지 부재(520)는, 복수의 단위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510)와 제2 지지 부재(520)는, 각각 2개의 단위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제1 지지 부재(510)와 제2 지지 부재(520)는 각각, 3개 이상의 단위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제1 지지 부재(510)와 제2 지지 부재(520)가 둘 이상의 단위 지지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단위 지지 부재마다 전극(600)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어, 제1 지지 부재(510)와 제2 지지 부재(520)에 보다 많은 전극(600)이 구비되도록 하는 한편, 전극(600)이 여러 부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극(600) 사이로 신경이 지나가 신경 차단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줄임으로써, 신경 차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리드선(700)은, 복수의 전극(600)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전극(600)에 대한 전원 공급 경로를 제공한다. 즉, 상기 리드선(700)은, 전극(600)과 에너지 공급 유닛 사이에 연결되어, 에너지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에너지가 전극(60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드선(700)은, 고주파 발생 유닛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전극(600)에 연결되어 고주파 발생 유닛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가 전극(600)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전극(600)에서 고주파 에너지에 의한 열 생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드선(700)은,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과 전극(600) 사이에서, 제1 지지 부재(510)나 제2 지지 부재(5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 내부에 구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드선(700)은 제1 지지 부재(510)나 제2 지지 부재(520)에 고정되지 않고, 제1 지지 부재(510)나 제2 지지 부재(520)와 분리된 채로 전극(6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리드선(700)은, 일부 구간에서 제1 지지 부재(510)나 제2 지지 부재(520)와 별도로 구성되지 않고, 이러한 지지 부재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부재(510)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 전도성 재질로 구성하여, 적어도 중간 부재(400)에서부터 전극(600)까지의 구간에서는 제1 지지 부재(510)가 리드선(700)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 있어서, 제1 지지 부재(510)와 제2 지지 부재(520)는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경우,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 방향으로, 카테터 몸체(100), 제2 지지 부재(520), 제1 지지 부재(510)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처럼, 제1 지지 부재(510)와 제2 지지 부재(520)는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지지 부재(510)에 구비된 전극(600)과 제2 지지 부재(520)에 구비된 전극(600)은,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지지 부재(510)와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가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도, 제1 지지 부재(510)에 구비된 전극(600)과 제2 지지 부재(520)에 구비된 전극(600)은, 상호 간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1 지지 부재(510)와 제2 지지 부재(520)가 각각 카테터 몸체(100)의 외측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제1 지지 부재(510)의 벤딩 부위에 구비된 전극(600)과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에 구비된 전극(600)은, d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지지 부재(510)에 구비된 전극(600)과 제2 지지 부재(520)에 구비된 전극(600) 사이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협착증(stenosis)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전극(600)에서 각각 열을 발산하는 경우, 혈관의 가열된 부분에서 혈관 내부 방향으로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발생하여, 이로 인해 협착증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테터에 의하면, 둘 이상의 전극(600)이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이들 복수의 전극(600)에 의한 혈관의 가열 부위는 혈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협착증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d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제1 지지 부재(510)에 구비된 전극(600)과 제2 지지 부재(520)에 구비된 전극(600) 사이의 거리는, 카테터의 크기나 시술 부위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테터는, 제1 지지 부재(510)에 구비된 전극(600)과 제2 지지 부재(520)에 구비된 전극(600)이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이들 전극(600) 간 거리가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0.3 cm 내지 0.8 cm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혈관의 협착증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극(600) 사이로 혈관 주변의 신경이 지나가 전극(600)에 의한 신경 절제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 부재(510)나 제2 지지 부재(520)에 복수의 전극(600)이 구비된 경우, 제1 지지 부재(510)에 구비된 복수의 전극(600) 간, 또는 제2 지지 부재(520)에 구비된 복수의 전극(600) 간에도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제1 지지 부재(510)에 구비된 2개의 전극(600)이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거리 차가 없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2개의 전극(600) 사이에도 거리 차가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600)은,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가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이러한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호 간 소정 각도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에 구비된 전극(600)이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카테터의 중심축(O)을 기준으로 한 4개의 전극(600) 사이의 각도를 g1, g2, g3 및 g4라 할 때, g1, g2, g3 및 g4는 소정 각도를 가져, 4개의 전극(600) 사이의 각도가 서로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g1, g2, g3 및 g4는 모두 동일하게 90°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극(600) 사이에 소정 각도 이격되도록 구성된 실시예에 의하면, 전극(600)이 카테터 몸체(100) 주변에서 360° 방향으로 넓게 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신경이 혈관의 어느 부분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전극(600)이 이러한 신경을 최대한 놓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원위 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구성에서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의 이동으로 전극(600)이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경차단용 카테터는, 제2 스토퍼(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토퍼(320)는, 중간 부재(400)와 카테터 몸체(1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로 좁혀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스토퍼(320)는, 작동 부재(300)에서 중간 부재(400)와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스토퍼(320)는, 작동 부재(300)가 삽입 관통되는 카테터 몸체(100)의 작동홀(120)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카테터의 실시예에서, 시술자가 작동 부재(300)를 좌측으로 당기는 경우, 처음에는 중간 부재(400)는 고정되고 이동 부재(200)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지 부재(510)는 양단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 벤딩될 수 있다. 그러다가, 제1 스토퍼(310)가 중간 부재(400)의 삽입홀(401)에 걸리게 되면, 이후부터는 중간 부재(400)도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중간 부재(400)와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 사이 거리가 좁혀지게 되면서 제2 지지 부재(520)는 양단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 벤딩될 수 있다. 그러다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토퍼(320)가 카테터 몸체(100)의 작동홀(120)에 걸리게 되면, 더 이상 중간 부재(400)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시술자는 더 이상 작동 부재(300)를 좌측 방향으로 당길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스토퍼(320)가 구비된 실시예에 의하면, 시술자의 조작이 용이해질 수 있고, 카테터에 포함된 여러 구성요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실시예에서, 제2 스토퍼(320)는 중간 부재(400)가 더 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중간 부재(400)가 카테터 몸체(100)로 지나치게 가까워져 제2 지지 부재(520)가 손상되거나 제2 지지 부재(520)와 카테터 몸체(100)의 연결 또는 제2 지지 부재(520)와 중간 부재(400)의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술자는 작동 부재(300)를 밀거나 당길 때 제1 스토퍼(310)와 제2 스토퍼(320)에 의해 작동 거리가 제한되므로, 작동 부재(300)의 작동 거리를 크게 신경 쓰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경차단용 카테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부재(8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800)는,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막대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카테터 몸체(100)와 이동 부재(2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부재(800)는, 원위 단부가 이동 부재(200)에 연결 고정되어, 이동 부재(20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카테터 몸체(100) 및 중간 부재(400)에는 각각 제1 관통홀(130) 및 제2 관통홀(40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통홀(130, 402)에는 보강 부재(800)가 삽입 관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0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보강 부재(800) 역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보강 부재(800)는, 카테터 몸체(100)의 제1 관통홀(130) 및 중간 부재(400)의 제2 관통홀(402)에 삽입되어, 이동 부재(200)의 이동에 따라 관통홀(130, 402)을 관통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보강 부재(800)에 의해, 카테터 몸체(100), 중간 부재(400) 및 이동 부재(200) 사이의 연결이 보다 강하게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와 같이,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가 카테터 몸체(100)와 분리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작동 부재(300)만으로 카테터 몸체(100)와 중간 부재(400), 그리고 이동 부재(200)를 연결하는 경우, 카테터 몸체(100)와 중간 부재(400) 및 이동 부재(200) 사이의 연결 상태 및 지지력이 약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이 작동 부재(300)와는 별도로 보강 부재(800)가 구비되도록 하면, 카테터 몸체(100)와 분리되어 있는 중간 부재(400) 및 이동 부재(200)에 대한 지지력이 보다 강화되며, 카테터 몸체(100)와 중간 부재(400) 및 이동 부재(200) 사이의 연결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800)는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의 이동 방향이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에서 벗어나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보강 부재(800)가 구비된 실시예에서는, 제1 스토퍼(310) 및/또는 제2 스토퍼(320)가 이러한 보강 부재(800)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스토퍼(310) 및/또는 제2 스토퍼(320)는 작동 부재(300)에 구비되지 않고 보강 부재(800)에 구비되도록 하거나, 작동 부재(300)와 보강 부재(800)에 모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보강 부재(800)가 하나만 구비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보강 부재(800)는 둘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여러 도면에서는 작동 부재(300)가 하나만 구비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작동 부재(300)는 둘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원위 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구성에서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의 이동으로 전극(600)이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카테터 몸체(100)는, 원위 단부에 가이드 와이어(W)가 관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홀(14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와이어(W)는 카테터를 시술 부위까지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로서, 카테터에 앞서 시술 부위에 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와이어(W)는 가이드 홀(140)을 관통하여 카테터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며, 카테터 팁은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W)를 따라 시술 부위에 도달할 수 있다.
가이드 홀(140)은 카테터 몸체(100)에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몸체(100)는 말단에 제1 가이드 홀(141)을 구비하고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 제2 가이드 홀(142)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와이어(W)는 제1 가이드 홀(141)을 통해 카테터 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후, 제2 가이드 홀(142)을 통해 카테터 몸체(1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다만, 제2 가이드 홀(142)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가이드 홀(141)을 통해 카테터 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가이드 와이어(W)는 카테터 몸체(100)의 내부 공간을 따라 길게 구비되다가 카테터 몸체(100)의 근위 단부에서 카테터 몸체(1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이동 부재(200)에도 가이드 와이어(W)가 관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홀(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간 부재(400)에도 가이드 와이어(W)가 관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홀(4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 홀(140)이 카테터 몸체(100)에 구비된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 홀(140)에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W)가 카테터 팁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시술 부위까지 카테터의 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카테터의 조작이 용이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테터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카테터 내부에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카테터의 구조가 보다 간단해질 수 있어 카테터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신경차단용 카테터는, 탄성 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900)는, 일단이 중간 부재(400)에 연결되어 중간 부재(400)의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9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과 중간 부재(40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310)가 중간 부재(400)의 삽입홀에 걸리게 된 이후에도 작동 부재(300)가 계속해서 좌측 방향으로 당겨지면 중간 부재(40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탄성 부재(900)의 복원력, 즉 탄성 회복력은 우측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전극(600)에 의한 신경 차단이 완료된 후에는 중간 부재(400)가 다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 상태로 복귀해야 하는데, 탄성 부재(900)의 복원력으로 인해 이러한 중간 부재(400)의 우측 방향 이동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신경 차단이 완료된 후에 제2 전극(600)을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 가까워지도록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들일 필요가 없다.
또한, 이처럼 탄성 부재(900)가 구비된 실시예에 의하면, 카테터 팁의 이동 중에 전극(600)이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전극(600)의 돌출로 인한 혈관 손상 등을 방지하고, 카테터 팁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스토퍼(32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탄성 부재(900)에 의해 중간 부재(400)의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중간 부재(400)의 이동에 의한 여러 구성요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와 같이 탄성 부재(900)가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과 중간 부재(400) 사이에 구비된 경우, 제1 지지 부재(510)를 벤딩시키기 위해 이동 부재(2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중간 부재(400)가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 부재(510)가 원하는 정도까지 벤딩되기 이전에 중간 부재(400)가 이동함으로써 제1 지지 부재(510)가 완전히 벤딩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중간 부재(400)와 카테터 몸체(100) 사이에 탄성 부재(900)가 구비되어 있으나, 중간 부재(400)와 이동 부재(200) 사이에 탄성 부재(9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탄성 부재(900)는 카테터의 서로 다른 위치에 둘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여러 실시예들에서는, 이동 부재(200)와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 사이에 하나의 중간 부재(400)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 사이에 둘 이상의 중간 부재(4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원위 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중간 부재(400)는, 복수의 단위 중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중간 부재는, 중간 부재(400)가 복수 개로 이루어진 경우, 개개의 단위 유닛을 나타낸다. 도 12에서는, 중간 부재(400)가 2개의 단위 중간 부재로 이루어진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도면에서 우측에 위치한 단위 중간 부재를 제1 단위 중간 부재(410)라 하고, 좌측에 위치한 단위 중간 부재를 제2 단위 중간 부재(420)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제1 단위 중간 부재(410)는 제1 지지 부재(510)의 근위 단부가 연결되고, 제2 중간 단위 부재(420)는 제2 지지 부재(520)의 원위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중간 부재(400)에 복수의 단위 중간 부재가 포함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테터는,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 이외에 별도의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테터는, 제1 단위 중간 부재(410)와 제2 단위 중간 부재(420) 사이에 제3 지지 부재(5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지지 부재(530)는, 원위 단부가 제1 단위 중간 부재(410)에 연결 고정되고, 근위 단부가 제2 단위 중간 부재(420)에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지지 부재(530)는, 구비된 위치만 다를 뿐,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와 유사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지지 부재(530)는,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좁아짐에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벤딩 방향이 카테터 몸체(100) 외측으로 형성되어,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좁아질수록 벤딩 부위가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지지 부재(530)는, 벤딩 부위에 전극(60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400)에 복수의 단위 중간 부재가 포함된 실시예에서는, 제1 스토퍼(310) 이외에 별도의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테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위 중간 부재(420)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3 스토퍼(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스토퍼(330)는, 작동 부재(300)에서 제1 단위 중간 부재(410)와 제2 단위 중간 부재(420) 사이에서 소정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시술자가 작동 부재(300)를 당기면, 먼저 이동 부재(200)가 이동하면서 제1 단위 중간 부재(410)와 이동 부재(200)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 제1 지지 부재(510)는 벤딩될 수 있다. 그러다가, 제1 스토퍼(310)가 제1 단위 중간 부재(410)의 삽입홀(401)에 걸리게 되면, 이후부터는 제1 단위 중간 부재(410)가 이동하면서 제1 단위 중간 부재(410)와 제2 단위 중간 부재(420)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 제3 지지 부재(530)는 벤딩될 수 있다. 그러다가, 제3 스토퍼(330)가 제2 단위 중간 부재(420)의 삽입홀(401)에 걸리게 되면, 이후부터는 제2 단위 중간 부재(420)가 이동하면서 제2 단위 중간 부재(420)와 카테터 몸체(100)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게 되고 이로써 제2 지지 부재(520)는 벤딩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에 의하면, 시술자가 작동 부재(300)를 당기는 경우, 1차적으로 제1 지지 부재(510)가 벤딩되고, 2차적으로 제3 지지 부재(530)가 벤딩되며, 3차적으로 제2 지지부재가 벤딩될 수 있다.
이처럼, 이동 부재(200)와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 사이에 복수의 중간 부재(400)가 포함된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전극(600)이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채로 여러 단계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보다 많은 각도에 전극(600)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실시예에서, 카테터 몸체의 중심축(O)을 기준으로, 제1 지지 부재(510), 제2 지지 부재(520) 및 제3 지지 부재(530)에 구비된 6개의 전극(600)의 인접한 전극과의 각도는, 60°로 넓게 퍼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 전극(600)에 의한 신경 차단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신경차단용 카테터는, 온도 측정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온도 측정 부재는, 전극(600) 주변에 구비되어, 전극(600)의 온도나 전극(600) 주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온도 측정 부재에 의해 측정된 온도는 전극(600)의 온도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측정 부재는 상기 리드선(700)과는 별도의 전선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선은 카테터 몸체(10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카테터 몸체(100)의 근위 단부까지 연장되어 카테터 몸체(1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여러 실시예들에서는, 이동 부재(200)가 카테터 몸체(100)의 외부에 구비된 구성을 중심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원위 단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카테터 구성에 대한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12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이동 부재(200) 및 중간 부재(400)는, 카테터 몸체(1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부재(200)는 및 중간 부재(400)는 카테터 몸체(100)의 내부 공간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부재(200)는 중간 부재(400)보다 카테터의 근위 단부 측(도 14에서 좌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작동 부재(300)는 이동 부재(200)에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 부재(510)는, 근위 단부가 이동 부재(200)에 연결 고정되고, 원위 단부가 중간 부재(400)에 연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 부재(520)는, 근위 단부가 중간 부재(400)에 연결 고정되고, 원위 단부가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에 연결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는,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양단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카테터 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벤딩되어, 벤딩 부위에 구비된 전극(600)이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스토퍼(310)는,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 사이의 거리를 제한하는 한편, 작동 부재(300)의 작동으로 중간 부재(400)를 이동시키기 위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400)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이동 부재(200)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1 스토퍼(310)는, 이동 부재(200)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중간 부재(400)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이동 부재(200)는 중간 부재(400)보다 카테터의 근위 단부 측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시술자가 작동 부재(300)를 밀면, 도 14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 부재(200)가 이동하게 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구성에서 이동 부재(20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동 부재(20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처음에는 중간 부재(400)는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 사이의 거리는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지지 부재(510)는 카테터 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지지 부재(510)의 벤딩 부위에 구비된 전극(600)은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그러다가, 이동 부재(200)가 제1 스토퍼(310)에 이르게 되면, 제1 스토퍼(310)로 인해 더 이상 이동 부재(200)와 중간 부재(400) 사이의 거리는 가까워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후 시술자가 계속해서 작동 부재(300)를 밀면, 도 15의 우측 방향으로 중간 부재(400)가 이동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구성에서 중간 부재(40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중간 부재(40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과 중간 부재(400) 사이의 거리는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2 지지 부재(520)는 카테터 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에 구비된 전극(600)은 카테터 몸체(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도 13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서, 제1 지지 부재(510)와 제2 지지 부재(520), 그리고 이러한 지지 부재들에 구비된 복수의 전극(600)은 카테터 몸체(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다가 이동 부재(200) 및 중간 부재(400)의 이동에 따라 카테터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테터 몸체(100)는,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 그리고 전극(600)들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동 부재(200) 및 중간 부재(400)의 이동에 따라, 제1 지지 부재(510)나 제2 지지 부재(520)의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게 되면, 제1 지지 부재(510)나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와 전극(600)은 카테터 몸체(100)의 개구부(150)를 통해 카테터 몸체(1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반면, 이동 부재(200) 및 중간 부재(400)의 이동에 따라, 제1 지지 부재(510)나 제2 지지 부재(520)의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제1 지지 부재(510)나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와 전극(600)은 카테터 몸체(100)의 개구부(150)를 통해 카테터 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경우에도, 상술한 도 1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 대한 여러 바람직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13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서도, 복수의 전극(600)은,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의 벤딩 부위가 카테터 몸체(100)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간 소정 각도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서도, 중간 부재(400)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스토퍼(320)나 탄성 부재(9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제2 스토퍼(320)의 경우, 중간 부재(400)나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 사이에 구비되어, 중간 부재(400)와 카테터 몸체의 말단(110) 사이의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된 여러 도면에서는,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의 개수가 각각 2개인 구성을 중심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지지 부재의 특정 개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지지 부재(510) 및 제2 지지 부재(520)는, 각각 3개 이상의 개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서로 다른 개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부재(510)는 2개로 구성되고, 제2 지지 부재(520)는 4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제2 지지 부재(520)의 개수를 제1 지지 부재(510)의 개수보다 많도록 구성하면, 시술자가 작동 부재(300)를 당기는 과정에서, 제1 지지 부재(510)의 벤딩이 완료되기 전에 중간 부재(400)가 이동하면서 제2 지지 부재(520)가 벤딩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러 실시예들에서, 전극(600)은 제1 지지 부재(510)와 제2 지지 부재(520)에 포함된 단위 지지 부재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전극(600)은 각 단위 지지 부재 당 둘 이상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일부 단위 지지 부재에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경차단 장치는, 상술한 신경차단용 카테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경차단 장치는, 이러한 신경차단용 카테터 이외에 에너지 공급 유닛 및 상대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 공급 유닛은, 리드선(700)을 통해 전극(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대 전극은 상기 리드선(700)과는 별도의 리드선을 통해 에너지 공급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에너지 공급 유닛은, 고주파 등의 형식으로 에너지를 카테터의 전극(600)에 공급할 수 있으며, 카테터의 전극(600)에서는 열이 발생되어 혈관 주변의 신경을 절제함으로써 신경이 차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원위, 근위, 상, 하, 좌, 우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것일 뿐, 관측자의 관측 위치나 물체의 배치 형태에 따라 다른 용어로 대체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 카테터 몸체
110: 카테터 몸체의 말단
200: 이동 부재
300: 작동 부재
310: 제1 스토퍼
400: 중간 부재
510: 제1 지지 부재
520: 제2 지지 부재
600: 전극
700: 리드선

Claims (17)

  1.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구비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형성된 카테터 몸체;
    상기 카테터 몸체의 원위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 부재;
    원위 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
    상기 카테터 몸체의 말단과 상기 이동 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중간 부재;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로 좁혀진 경우, 상기 작동 부재에 의해 상기 중간 부재가 이동되도록 하는 제1 스토퍼;
    일측 단부가 상기 중간 부재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상기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제1 지지 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카테터 몸체의 말단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중간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중간 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카테터 몸체 말단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상기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제2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벤딩 부위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원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리드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 및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카테터 몸체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카테터 몸체와 상기 이동 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원위 단부는 상기 이동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중간 부재 및 상기 카테터 몸체를 삽입 관통하여 이동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 및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카테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카테터 몸체는,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벤딩시 벤딩 부위가 상기 카테터 몸체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벤딩 부위가 상기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구비된 전극과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구비된 전극은, 상기 카테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간 0.3 cm 내지 0.8 cm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폭 방향 단면의 외측 표면 길이가 내측 표면 길이보다 길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벤딩 부위의 벤딩 방향이 상기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굴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벤딩 부위의 벤딩 방향이 상기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사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벤딩 부위가 상기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상기 카테터 몸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간 소정 각도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각각 복수의 단위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복수의 단위 중간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중간 부재 사이에 양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중간 부재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상기 카테터 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벤딩 부위에 전극을 구비하는 제3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무선 주파수 방식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몸체는, 상기 원위 단부에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작동 부재에서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 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중간 부재의 삽입홀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에서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카테터 몸체의 말단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 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카테터 몸체의 작동홀에 걸리도록 구성된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중간 부재의 이동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경차단용 카테터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KR1020130018085A 2013-02-05 2013-02-20 신경차단용 카테터 KR101522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085A KR101522017B1 (ko) 2013-02-20 2013-02-20 신경차단용 카테터
EP14748701.1A EP2954866B1 (en) 2013-02-05 2014-02-05 Nerve block catheter
MX2015010090A MX347604B (es) 2013-02-05 2014-02-05 Cateter para denervacion.
PCT/KR2014/000997 WO2014123359A2 (ko) 2013-02-05 2014-02-05 신경차단용 카테터
ES14748701T ES2841126T3 (es) 2013-02-05 2014-02-05 Catéter para bloqueo nervioso
JP2015555924A JP6372492B2 (ja) 2013-02-05 2014-02-05 除神経用カテーテル
PL14748701T PL2954866T3 (pl) 2013-02-05 2014-02-05 Cewnik do blokowania nerwu
US17/201,099 USRE49433E1 (en) 2013-02-05 2014-02-05 Catheter for denervation
AU2014215835A AU2014215835B2 (en) 2013-02-05 2014-02-05 Catheter for denervation
TW103103847A TWI611819B (zh) 2013-02-05 2014-02-05 去神經支配導管和包含其之去神經支配裝置
SG11201505314QA SG11201505314QA (en) 2013-02-05 2014-02-05 Catheter for denervation
NZ709431A NZ709431A (en) 2013-02-05 2014-02-05 Catheter for denervation
CN201480007445.0A CN104968292B (zh) 2013-02-05 2014-02-05 去神经支配导管
BR112015018336A BR112015018336A2 (pt) 2013-02-05 2014-02-05 cateter para denervação
US14/763,382 US10499982B2 (en) 2013-02-05 2014-02-05 Catheter for denervation
CA2896787A CA2896787A1 (en) 2013-02-05 2014-02-05 Catheter for denervation
RU2015124132A RU2649527C2 (ru) 2013-02-05 2014-02-05 Катетер для денервации
IL240218A IL240218B (en) 2013-02-05 2015-07-29 Catheter for blockage between a nerve and an organ
HK15112501.0A HK1211455A1 (en) 2013-02-05 2015-12-18 Nerve block cath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085A KR101522017B1 (ko) 2013-02-20 2013-02-20 신경차단용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198A true KR20140104198A (ko) 2014-08-28
KR101522017B1 KR101522017B1 (ko) 2015-05-20

Family

ID=5174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085A KR101522017B1 (ko) 2013-02-05 2013-02-20 신경차단용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0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108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한독칼로스메디칼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JP2022503833A (ja) * 2018-10-06 2022-01-12 サイマップ メディカル (スーチョウ), リミテッド 動脈の壁を神経支配する機能性神経をマッピ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そのための3dマッピング、およびカテ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7385A (en) * 1993-12-03 1996-01-30 Avitall; Boaz Atrial mapping and ablation catheter system
US6913594B2 (en) * 2001-12-31 2005-07-05 Biosense Webster, Inc. Dual-function catheter handle
US7753906B2 (en) * 2004-09-14 2010-07-13 Richard Esposito Catheter having anchoring and stabilizing devices
EP2455036B1 (en) * 2006-10-18 2015-07-15 Vessix Vascular, Inc. Tuned RF energy and electrical tissue characterization for selective treatment of target tissu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108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한독칼로스메디칼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JP2022503833A (ja) * 2018-10-06 2022-01-12 サイマップ メディカル (スーチョウ), リミテッド 動脈の壁を神経支配する機能性神経をマッピ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そのための3dマッピング、およびカテーテル
EP3860447A4 (en) * 2018-10-06 2022-07-27 Symap Medical (Suzhou) Ltd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AND IDENTIFYING FUNCTIONAL NERVES INSURRING AN ARTERIAL WALL, 3D IMAGING AND CATHETER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017B1 (ko)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8986A (en) Medical probe with electrode guide for transurethral ablation
EP3099256B1 (en) Side-port catheter
JP2018517501A (ja) 体腔アクセスのための予備形成された幾何形状を有するカテーテル
JP5318783B2 (ja) 内視鏡装置
JP2017531544A5 (ko)
KR101436515B1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KR101370048B1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US20210030462A1 (en) Catheter device
US20170360459A1 (en) Retrieval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1399555B1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KR102092926B1 (ko)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KR20140100451A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KR20180076204A (ko) 내시경용 유두괄약근 절개도
USRE49433E1 (en) Catheter for denervation
KR20150101290A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KR101522017B1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TWI770054B (zh) 去神經支配導管及包含該去神經支配導管的去神經支配裝置
JP6316427B2 (ja) 安定化機構を備えるガイドカテーテル、及びガイドカテーテルを挿入する方法
KR101902781B1 (ko) 단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KR102599513B1 (ko) 혈관 직경에 따라 조작 가능한 신경차단용 카테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