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926B1 -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926B1
KR102092926B1 KR1020150025741A KR20150025741A KR102092926B1 KR 102092926 B1 KR102092926 B1 KR 102092926B1 KR 1020150025741 A KR1020150025741 A KR 1020150025741A KR 20150025741 A KR20150025741 A KR 20150025741A KR 102092926 B1 KR102092926 B1 KR 102092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support member
center
cor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351A (ko
Inventor
박을준
오정수
박재형
장현환
송승우
원종석
조지용
제이 캄파 그레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독칼로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독칼로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독칼로스메디칼
Priority to KR1020150025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926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34Neura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05Urinary tract
    • A61B2018/00511Kid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67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using more than two electrodes on a single probe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이 용이하고 절연성 및 조립성이 우수하며 소형화가 용이한 카테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특히 신경차단용 카테터로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구비하는 센터 부재; 상기 센터 부재의 원위 단부 측 및 상기 센터 부재의 근위 단부 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간 소정 거리 이격되며,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센터 부재 상에서 상기 센터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호 간 이격 거리의 변동이 가능한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 원위 단부가 상기 제1 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상기 센터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연결 부재;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의 벤딩 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원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전원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Catheter and denerv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테터(cathet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질병 치료를 위한 의료용 카테터, 특히 신경의 일부에 열 자극을 가하여 신경 전도가 비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경 차단술은 지각 신경이나 자율 신경 등 여러 신경에 대하여 자극이나 정보가 전달되지 않도록 신경 경로의 일부를 차단하는 시술법이다. 이러한 신경 차단술은, 부정맥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치료나 통증 완화, 성형 등을 위해 점차 널리 이용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근래에는 고혈압의 치료에 이러한 신경 차단술이 유효하다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고혈압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러한 신경 차단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고혈압의 경우, 약물로서 혈압 조절이 대부분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많은 고혈압 환자들이 약물에 의존하여 고혈압을 치료받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약물에 의해 혈압을 낮추는 방법은, 약물을 계속적으로 복용해야 하는 불편, 비용적 측면, 그리고 약물의 장기간 복용으로 인한 장기 손상과 같은 부작용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부 고혈압 환자는, 약물로서 혈압 조절이 되지 않는 난치성 고혈압을 앓고 있다. 이러한 난치성 고혈압은, 약물로서도 치료가 되지 않으므로, 환자에게 뇌졸중, 부정맥, 신장 질환 등과 같은 사고를 일으킬 위험성이 커서, 난치성 고혈압의 치료는 매우 심각하고 시급한 문제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신경 차단술은, 고혈압을 치료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한 신경 차단술은, 신장 신경, 즉 신장 동맥 주변의 교감 신경에 열 자극을 가함으로써 신경 전도가 비활성화되도록 하여 신장 신경이 차단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장 신경이 활성화되면 신장에 의한 레닌 호르몬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이는 곧 혈압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장 신경을 차단하는 경우 신경 전도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고혈압을 치료할 수 있다는 점이 최근 여러 실험을 통해 입증되고 있다.
이처럼, 고혈압의 치료를 위해 신장 신경을 차단하는 방법 중 대표적인 방법은, 카테터를 이용하는 것이다. 카테터를 이용한 신경 차단술은, 신체의 일부, 이를테면 허벅지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혈관을 따라 신장 동맥에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서 RF(Radio Frequency) 에너지 등을 통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신장 동맥 주변의 교감 신경을 차단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카테터를 이용한 신경 차단술은 개복 수술을 통한 신경 차단술에 비해 훨씬 작은 부위를 절개하기 때문에 잠재적인 합병증과 부작용이 크게 줄어들 수 있으며, 부분 마취로 인한 치료 및 회복 시간이 매우 짧다는 장점이 있어 차세대 고혈압 치료 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신경 차단술 등에 적용하기 위한 카테터 관련 기술은, 아직까지 개발 정도가 미흡하여 많은 개선될 부분을 갖고 있다.
특히, 카테터는 혈관의 내부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하므로 그 크기가 매우 작아야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경우, 이러한 카테터를 소형화시키는데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더욱이, 종래 개발 내지 제안된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전극과 센싱을 위한 각종 장치 및 이러한 전극과 센싱 장치로 전원 내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각종 와이어 등도 포함되어 있다. 때문에, 이들을 모두 구비하면서 그 크기가 작은 카테터를 제조하는 것은 종래 기술의 경우, 매우 쉽지 않은 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카테터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 부분의 전극이 혈관 측에 가까워지도록 하기 위해 시술자가 조작을 하는 과정에서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의도하지 않게 구부러져, 카테터로 인한 혈관 내벽의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고, 카테터 헤드 부분을 정확한 부위에 위치시키지 못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카테터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의 헤드와 시술자 사이에 각종 와이어, 이를테면 가이드 와이어, 전원공급 와이어, 센싱 와이어, 작동 와이어 등이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카테터의 이동이나 작동 중에 이러한 여러 와이어들 중 적어도 일부가 이동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여러 와이어들이 카테터의 헤드나 몸통 부분에서 서로 꼬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테터의 헤드나 몸통 부분에서 와이어들 사이에 절연성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전극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센싱 신호가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더욱이, 카테터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도, 여러 와이어들을 조립하여 카테터 바디를 제조하는 것은 그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여, 재현성이 높지 않게 되므로, 카테터의 품질 및 제조 수율이 낮아지고 카테터의 안전성 및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조작이 용이하고 절연성 및 조립성이 우수하며 소형화가 용이한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특히 신경차단용 카테터로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구비하는 센터 부재; 상기 센터 부재의 원위 단부 측 및 상기 센터 부재의 근위 단부 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간 소정 거리 이격되며,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센터 부재 상에서 상기 센터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호 간 이격 거리의 변동이 가능한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 원위 단부가 상기 제1 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상기 센터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연결 부재;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의 벤딩 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원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전원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센터 부재에 의해 관통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센터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센터 부재의 원위 단부 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센터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작동 부재는, 원위 단부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센터 부재의 근위 단부 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센터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작동 부재는, 원위 단부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부재는, 외면에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센터 오목부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부재는, 일부가 상기 센터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부재는,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부재는, 3개 포함되고, 각각 상기 센터 부재의 중심축으로부터 상호 120도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센터 부재의 근위 단부 측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작동 부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샤프트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이격 부분이 상기 샤프트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형성되도록 구성된 코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부재는, 외면에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코어 오목부가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어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오목부는, 상기 코어 부재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단면의 형태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오목부는, 상기 코어 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싱부재; 및 상기 온도센싱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싱부재에 의해 센싱된 온도 정보를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코어 오목부에 삽입된 온도센싱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온도센싱라인은, 상기 작동 부재와 다른 코어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샤프트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어 오목부에 삽입되며, 중공이 형성된 패싱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싱 튜브는, 둘 이상 포함되어 상기 코어 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부재 및 상기 전원공급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패싱 튜브의 중공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부재 및 상기 코어 부재는, 상호 연결되도록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부재는, 상기 센터 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 부재가 연결되는 표면에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단차 또는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경차단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조작 과정에서 카테터 헤드의 직진성이 유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시술자가 전극을 혈관 측으로 접근시키거나 멀어지도록 하기 위해 카테터를 오픈 또는 클로우즈 상태로 조작하는 과정에서, 카테터 헤드가 쉽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가 다수 개 구비됨으로써, 카테터 헤드의 오픈이나 클로우즈 상태로 조작할 때, 특정 방향으로 카테터 헤드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카테터의 조작이 용이하고, 특히 카테터의 전극이 원하는 시술 부위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카테터가 굴곡되어 혈관 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카테터의 소형화가 보다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가 근위 측 지지부재, 즉 제2 지지부재에 결합 고정됨으로써, 작동 부재가 카테터 헤드의 윗 부분, 이를테면 제1 지지부재까지 올라갈 필요가 없게 되어, 카테터의 소형화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성에 의하면, 센터 부재 및 코어 부재에 중공이 형성되어, 이러한 중공에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테터에 별도의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기 위한 홀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시술자 측에서부터 카테터 헤드 부분까지 연장된 각종 와이어 및 작동 부재 등이 서로 꼬이거나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소정 와이어의 중앙 부분이 마찰이나 꼬임 등으로 끊어지거나 작동 부재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카테터의 절연성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여러 와이어나 작동 부재 등의 사이에 절연성이 유지됨으로써, 전류 누설이나 전기적 신호의 차단 등이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카테터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샤프트 바디 내부에 각종 와이어 및 작동 부재를 포함시키는 조립 과정이 보다 쉽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에서 제2 지지부재의 이동으로 연결 부재가 벤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1-A1'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성에서 카테터 헤드와 샤프트 바디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2-A2'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에 포함된 코어 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코어 부재가 샤프트 바디에 포함된 구성의 단면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구성에서 연결 부재가 벤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구성에서 제2 지지부재의 구성만을 분리하여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형태의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구성에서 연결 부재가 벤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3-A3'선에 대한 절단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에서 제2 지지부재의 이동으로 연결 부재가 벤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즉, 도 2는, 도 1의 구성에서 제2 지지부재가 C1 방향으로 이동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1-A1'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카테터의 헤드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카테터의 길이 방향 양 단부 중 시술 부위에 도달하는 측의 단부를 의미하며, 카테터 팁(tip)이나 원위 단부(distal end)와 같은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카테터는 이러한 카테터의 헤드와 반대 측 단부로서, 원위 단부보다 시술자 측에 위치하는 근위 단부(proximal end)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테터에 포함되는 여러 구성요소 중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어 양 단부를 구비한 여러 구성 요소에 대하여, 양 단부를 구별하기 위해 카테터의 헤드 측, 즉 원위 단부 측에 위치한 단부를 원위 단부로 지칭하고 카테터의 근위 단부 측에 위치한 단부를 근위 단부로 지칭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카테터 헤드에 있어서도, 길이 방향 양 단부가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센터 부재(100), 제1 지지부재(210), 제2 지지부재(220), 작동 부재(300), 연결 부재(400), 전극(510) 및 전원공급라인(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터 부재(1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어, 양 단부, 즉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210)는 센터 부재(100)의 원위 단부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220)는 센터 부재(100)의 근위 단부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제1 지지부재(210)가 센터 부재(100)의 근위 단부 측에 위치하고, 제2 지지부재(220)가 센터 부재(100)의 원위 단부 측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자 한 것일 뿐,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가 반드시 센터 부재(100)의 단부 상에 위치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센터 부재(100)의 원위 단부는 제1 지지부재(210)보다 원위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위치하거나, 센터 부재(100)의 근위 단부는 제2 지지부재(220)보다 근위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는, 센터 부재(100)의 길이 방향(도 1의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는, 적어도 하나가 센터 부재(100) 상에서 센터 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는, 상호 간 이격 거리가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의 이격 거리 변동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센터 부재(100), 제1 지지부재(210) 및/또는 제2 지지부재(220)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부재들은,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연성 재질은 물론, 금속과 같은 경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지지부재(210) 및/또는 센터 부재(100)는 부드럽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제1 지지부재(210)는, 카테터의 전단부에 위치하므로 카테터가 혈관 등을 따라 이동할 때 혈관 등의 내벽과 접촉할 가능성이 많은데, 이들에 대하여 부드럽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하면, 이들에 의한 혈관 손상 등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방향 전환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한 측면에서, 제1 지지부재(210) 및/또는 센터 부재(100)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지지부재(210)는, 외측 전단 모서리가 둥글게 모따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부재(300)는, 제1 지지부재(210) 또는 제2 지지부재(220)에 원위 단부가 연결 고정됨으로써, 제1 지지부재(210) 또는 제2 지지부재(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작동 부재(300)는,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 이동을 통해 제1 지지부재(210)나 제2 지지부재(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동 부재(300)는 제2 지지부재(220)에 원위 단부가 결합됨으로써, 제2 지지부재(220)를 도 1에서 화살표 C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400)는,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에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부재(400)의 일측 단부는 제1 지지부재(210)에 결합 고정되고, 연결 부재(400)의 타측 단부는 제2 지지부재(22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4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막대 형태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400)는,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의 거리가 변함으로써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 부재(400)는,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양단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짐으로써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400)는, 이처럼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는 경우, 벤딩 부위가 센터 부재(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연결 부재(400)는, 지지부재의 이동에 따라 벤딩 부위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벤딩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400)는 금속이나 폴리머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연결 부재(400)의 특정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에서 벤딩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면 연결 부재(400)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400)는, 적어도 일부분에 카테터 헤드의 중심축, 다시 말해 센터 부재(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정도 벤딩된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의 거리가 가장 멀어진 상태에서도, 연결 부재(400)는 완전히 평평해지지 않고 카테터의 외측 방향으로 굴곡된 부분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지지부재(220) 등이 이동하여 연결 부재(400)의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면, 굴곡부의 벤딩 정도가 심화되면서 벤딩 부위가 형성되고 이러한 벤딩부의 벤딩 방향은 카테터의 외측 방향으로 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 부재(400)의 양 단부 사이 거리가 점점 짧아질수록, 이러한 벤딩 부위는 카테터의 중심축으로부터 점차 멀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400)는,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때, 벤딩 부위의 벤딩 방향이 카테터의 중심축으로 향하지 않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사전 형성된(pre-shaped)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 부재(400)는, 니티놀(Nitinol)과 같은 형상 기억 합금(shape memory alloy)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 부재(400)는,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에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부재(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에서 3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복수의 연결 부재(400) 각각은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센터 부재(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510)은, 연결 부재(400)에 장착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전극(510)은, 연결 부재(400)에 있어서 벤딩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전극(510)에 의해 발생된 열은 주변 조직에 열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510)에 의해 발생된 열은 주변 조직을 절제(ablation)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510)은 대략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80℃의 열을 발생시켜 혈관 주위의 신경을 절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경을 차단시킬 수 있다. 다만, 전극(51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의 온도는 카테터의 용도나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극(510)은, 혈관 벽에 접촉하여 혈관 주변에 위치하는 신경 조직에 열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혈관 벽에 밀착하여 접촉될 수 있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전극(510)은, 혈관 내벽에 접촉하는 표면이 그러한 내벽의 형태에 대응될 수 있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510)은, 단면이 원, 반원 또는 타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혈관 벽에 대한 전극(510)의 밀착도가 향상되어 혈관 내벽에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접촉될 수 있으므로, 전극(510)에 의해 생성된 열이 혈관 주변의 신경 조직에 잘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전극(510)이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전극(510)에 의한 혈관 내벽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극(510)은, 백금이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전극(510)의 특정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 발생 방식이나 시술 부위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510)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방식으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510)은 고주파 발생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주파 에너지를 발산함으로써 신경을 절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테터에 존재하는 전극(510)은 음극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음극에 대응되는 양극은, 음극과 마찬가지로 고주파 발생 유닛과 같은 에너지 공급 유닛에 연결될 수 있으며, 패치 등의 형태로 신체의 특정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극(510)은, 카테터에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에는 연결 부재(400)가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전극(510)은, 각 연결 부재(400)마다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는 3개의 연결 부재(400) 및 3개의 전극(510)이 포함되어, 각 연결 부재(400)의 벤딩 부위마다 1개의 전극(510)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라인(520)은, 일부분이 전극(510)에 연결되어, 전극(510)에 대한 전원공급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공급라인(520)은, 원위 단부가 전극(510)에 연결되고, 근위 단부가 에너지 공급 유닛(미도시)에 연결되어, 에너지 공급 유닛이 전극(510)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라인(520)은, 복수의 전극(510)마다 별도로 구비되어, 복수의 전극(510)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전원공급라인(520)은, 복수의 전극(510) 각각에 대한 전원공급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전원공급라인(520)은 전극(510)에서 에너지 공급 유닛에 이르기까지 각각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전원공급라인(520)은 하나의 전원공급라인(520)이 소정 지점에서 둘 이상의 전원공급라인(520)으로 분기되어 분기된 각각의 전원공급라인(520)이 서로 다른 전극(510)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부재(210) 및 상기 제2 지지부재(220) 중 적어도 하나는, 센터 부재(100)의 길이 방향(도 1의 좌우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지지부재(210) 및/또는 제2 지지부재(220)의 중공에는 센터 부재(100)가 관통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지지부재(210) 및/또는 제2 지지부재(220)는, 작동 부재(300)가 이동함에 따라 센터 부재(100) 상에서 센터 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을 참조하면, 제2 지지부재(220)는, 중공(V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2 지지부재(220)의 중공(V1)에는 센터 부재(100)가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부재(300)의 원위 단부는 제2 지지부재(220)에 연결되어, 작동 부재(300)의 움직임에 따라 제2 지지부재(220)가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구성에서, 시술자가 작동 부재(300)를 원위 측으로 밀면, 제2 지지부재(220)는 화살표 C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지지부재(220)가 이동하는 구성에 있어서, 제1 지지부재(210)는 센터 부재(100)의 원위 단부 측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작동 부재(300)의 작동에 의해 제2 지지부재(220)가 움직이더라도, 제1 지지부재(210)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의 작동으로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구성에서 작동 부재(30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지지부재(22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지지부재(210)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의 거리는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에 결합된 연결 부재(400)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벤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벤딩에 의해 연결 부재(400)에는 벤딩 부위가 형성되며, 벤딩 부위는 센터 부재(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부위는,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벤딩된 부분의 꼭지점, 즉 연결 부재(400)의 벤딩된 부분에서 굴곡 정도가 가장 심한 부분, 또는 각 연결 부재(400)의 벤딩된 부분에서 센터 부재(100)의 중심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400)의 벤딩 부위에는 전극(510)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400)가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멀어지면, 벤딩 부위에 구비된 전극(510)은 카테터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외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의 전극(510)은 혈관 내벽 측으로 이동하여, 혈관 내벽에 접촉되거나 혈관 내벽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처럼, 연결 부재(400)가 벤딩되어 전극(510)이 카테터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카테터의 헤드가 오픈된다고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400)의 벤딩이 가장 심하게 이루어진 상태를, 카테터의 오픈(open)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연결 부재(400)가 벤딩되지 않은 상태, 또는 연결 부재(400)가 가장 약하게 벤딩된 상태를 카테터의 클로우즈(close)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카테터의 헤드가 클로우즈된 구성,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카테터의 헤드가 오픈된 구성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가 혈관 등을 따라 시술 부위로 이동하는 중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우즈 형태로 이동하다가, 카테터 헤드가 시술 부위에 도달한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 형태로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카테터에서 전극(510)이 외부 방향으로 최대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혈관 벽에 전극(510)이 보다 가까워질 수 있다. 또한, 이동 중에는 이러한 전극(510)의 돌출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카테터 헤드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연결 부재(400) 및 전극(510) 등에 의한 혈관 내벽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작동 부재(300)가 제2 지지부재(220)에 고정되어 제2 지지부재(220)가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제1 지지부재(210)는 고정될 수 있으나, 다소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부재(210)는 제2 지지부재(220)보다 이동 거리가 짧게 구성됨으로써, 제2 지지부재(220)의 이동으로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의 거리가 변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 부재(300)는,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의 클로우즈 형태나 오픈 형태로의 변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다수의 작동 부재(300)가 지지부재에 연결되면, 작동 부재(300)를 통한 지지부재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작동 부재(300)가 제2 지지부재(220)에 연결된 경우, 1개의 작동 부재(300)가 제2 지지부재(220)에 연결된 경우에 비해, 지지부재가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의 이동으로 카테터에 굴곡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작동 부재(300)가 제2 지지부재(220)에 연결된 경우, 작동 부재(300)가 당겨질 때 작동 부재(300)가 위치한 측 방향으로 센터 부재(100)를 비롯한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작동 부재(300)가 밀어질 때 작동 부재(300)가 위치한 측 반대 방향으로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이 작동 부재(300)가 복수 개 구비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당겨지거나 밀어지더라도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휘는 문제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를 오픈이나 클로우즈시킬 때, 카테터의 헤드 부분의 직진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굴곡됨으로 인해, 카테터 헤드의 이동이 방해되거나 혈관 내벽이 손상되는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작동 부재(300)는 카테터의 중심축, 다시 말해 센터 부재(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균등한 각도로 배열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의 이동 시, 특정 부분, 이를테면 작동 부재(300)의 간격이 넓은 부분으로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굴곡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작동 부재(300)는,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 3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3개의 작동 부재(300)는, 센터 부재(100)를 중심으로 균등한 각도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3개의 작동 부재(300)가, 센터 부재(100)의 중심축(O)을 기준으로 상호 120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적은 개수의 작동 부재(300)로서 카테터 헤드의 직진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과다한 개수로 포함되지 않음으로써 카테터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크기가 작아질 수 있으며, 작동 부재(300) 사이의 이격 공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작동 부재(300)의 작동 시에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특정 부분으로 굴곡되는 것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샤프트 바디(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앞서 설명한 센터 부재(100), 제1 지지부재(210), 제2 지지부재(220), 연결 부재(400) 및 전극(510)을 카테터 헤드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로서, 카테터의 가장 원위 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바디(600)는, 이러한 카테터 헤드의 근위 측 단부에 결합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테터에 포함되는 샤프트 바디(6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의 구성에서 카테터 헤드와 샤프트 바디(600)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2-A2'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1과 도 2,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 바디(6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샤프트 바디(600)는, 카테터 헤드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도 4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 바디(600)는, 카테터 헤드가 위치하는 시술 지점에서, 작업자(시술자)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샤프트 바디(600)는 많은 부분이 혈관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 바디(600)는 혈관 내부에서 이동이 용이하고 혈관의 형태에 따라 굴곡될 수 있도록, 부드러우며 휘어지기 쉬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 바디(600)는, 카테터 헤드의 근위 단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샤프트 바디(600)는, 센터 부재(100)의 근위 단부에서 센터 부재(100)와 접촉한 상태로 상호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 바디(6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샤프트 바디(600)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을 갖는 긴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빈 공간에는, 작동 부재(300)의 적어도 일부 및 전원공급라인(52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 부재(300) 및 전원공급라인(520)은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일부만이 카테터 헤드 측에 위치하고, 대부분은 샤프트 바디(600) 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코어 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부재(7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샤프트 바디(6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코어 부재(700)는,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샤프트 바디(600)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부재는,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샤프트 바디(600)와 이격됨으로써,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코어 부재(700)는, 이러한 이격 공간, 즉 코어 부재(700)의 외면과 샤프트 바디(600) 사이의 비어 있는 공간이 샤프트 바디(600)의 길이 방향(도 4의 좌우 방향)을 따라, 샤프트 바디(600)의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계속하여 존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코어 부재(700)와 샤프트 바디(60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작동 부재(300) 및 전원공급라인(520)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에 포함된 코어 부재(7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코어 부재(700)가 샤프트 바디(600)에 포함된 구성의 단면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코어 부재(700)는, G7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외면에 코어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코어 오목부(G7)에 의해, 코어 부재(700)와 샤프트 바디(600)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어 오목부(G7)는, 코어 부재(700)의 외주면 상에서 외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코어 오목부(G7)는 코어 부재(700)의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계속 이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코어 오목부는, 도 6의 구성과 같이, 코어 부재(700)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연속하여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코어 오목부(G7)에 의해 샤프트 바디(600)와 코어 부재(70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코어 부재(700)의 외경이 샤프트 바디(600)의 내경과 큰 차이를 갖지 않는다 하더라도, 코어 부재(700)에 형성된 코어 오목부(G7)에 의해 코어 부재(700)의 외주면과 샤프트 바디(600)의 내주면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빈 공간에는, 작동 부재(30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작동 부재(300)는, 카테터 헤드와 시술자 사이 부분에서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공간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작동 부재(300)는,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공간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코어 오목부(G7)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공간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즉, 코어 오목부(G7)가 작동 부재(300)의 수납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작동 부재(300)는 코어 부재(700)와 샤프트 바디(600) 사이에 끼이지 않고 원활하게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코어 오목부(G7)에 안착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고,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작동 부재(300)는 코어 오목부(G7)에 의해 제공되는 정해진 위치에서만 움직일 수 있게 되므로, 작동 부재(300)의 원위 단부에 연결된 지지부재, 이를테면 제2 지지부재(220)가 길이 방향으로만 움직이고 다른 방향으로는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카테터의 오픈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510)이 혈관 내벽 주위의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 오목부는, 코어 부재(700)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단면의 형태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는, 코어 부재(700)에 대하여 길이 방향 중심축(O)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의 형태가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서 코어 오목부(G7)는, 그 표면에 모서리가 존재하지 않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코어 오목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태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코어 오목부(G7)에 접촉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때, 작동 부재(300)가 코어 오목부(G7)에 끼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작동 부재(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의 단면 형태가 원과 같은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코어 오목부(G7)의 형태가 작동 부재(300)의 외면 형태에 대응되도록 곡선 형태로 구성되면, 작동 부재(300)는 코어 오목부(G7)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 오목부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코어 오목부는 코어 부재(70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코어 부재(700)에 6개의 코어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6개의 코어 오목부는 코어 부재(700)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작동 부재(300)가 둘 이상 포함되는 경우, 각 작동 부재(300)는 인접하는 코어 오목부에 위치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코어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다른 코어 오목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작동 부재(300)가 카테터에 포함된 경우, 각 작동 부재(300)는 서로 직접적으로 인접하지 않고 하나의 코어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코어 오목부는 작동 부재(300)의 개수의 2배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와 같이 작동 부재(300)의 개수가 3개인 경우, 코어 오목부(G7)는 그 2배인 6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작동 부재(300)의 이동을 통한 카테터의 오픈이나 클로우즈 동작 시, 작동 부재(300)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소정 부분에 집중되어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소정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 간 거리를 넓힘으로써 작동 부재(300) 간 간섭이나 마찰로 인해 작동 부재(300)의 이동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부재(700)의 코어 오목부(G7)에는, 작동 부재(300)뿐 아니라,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다른 구성요소가 삽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공급라인(52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원공급라인(520) 역시, 적어도 일부가 코어 부재(700)의 코어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전원공급라인(5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300)와 다른 코어 오목부(G7)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전원공급라인(520)은, 작동 부재(300)가 삽입된 코어 오목부에 위치하지 않고, 작동 부재(300)가 삽입되지 않은 코어 오목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공급라인(520)에 의해 작동 부재(300)의 이동이 방해받는 것이 방지되므로, 작동 부재(300)의 이동에 의한 카테터의 오픈 및 클로우즈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전원공급라인(520)과 서로 다른 공간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므로, 전기적 절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라인(520)에서 전류가 누설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누설 전류는 작동 부재(300)로 전달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절연성 확보를 위해 코어 부재(700)는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싱부재(8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싱부재(810)는,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센싱부재(810)는, 서모커플(thermocouple)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온도센싱부재(810)는, 전극(510) 주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온도센싱부재(810)를 통해 주변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전극(510)으로부터 발산된 열이 혈관 주변의 신경조직에 열 자극을 가하기에 적합한 온도인지, 지나치게 높거나 낮지는 않은지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헤드의 경우, 연결 부재(400)에 전극(510)이 구비되고, 이러한 연결 부재(400)는 시술 시 벤딩 부위가 카테터 헤드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센싱부재(810) 역시, 전극(510)과 마찬가지로 연결 부재(400), 특히 연결 부재(400)의 벤딩 부위에 구비됨으로써, 전극(510)에 의한 열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더욱이, 연결 부재(400)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이러한 온도센싱부재(810) 역시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다른 연결 부재(4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카테터에 온도센싱부재(810)가 포함된 경우, 카테터에는 온도센싱라인(820)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싱라인(820)은, 일부분이 온도센싱부재(810)에 연결됨으로써, 온도센싱부재(810)에 의해 센싱된 온도 정보를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싱부재(810)가 서모커플로 구현된 경우, 서모커플에서 생성된 전류는 온도센싱라인(820)을 통해 카테터와 연결된 외부의 온도측정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싱라인(820)은, 전원공급라인(520)과는 별도의 라인으로서,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서 카테터의 근위 단부까지 연장되어 샤프트 바디(6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싱라인(8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공간에서 코어 부재(700)의 코어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온도센싱라인(820)은, 작동 부재(300)와 다른 코어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센싱라인(820)이 동일한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더라도, 작동 부재(300)의 이동은 온도센싱라인(82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온도센싱라인(820)은 작동 부재(300)와 다른 코어 오목부에 삽입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라인(520)과 동일한 코어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공급라인(520) 및 온도센싱라인(820) 이외에 다른 라인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다른 라인도 코어 부재(700)의 코어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테면, 도 8은, 도 4의 A2-A2'선에 대한 단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고도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패싱 튜브(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싱 튜브(900)는, 중공이 형성되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싱 튜브(900)는,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공간에서 샤프트 바디(6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패싱 튜브(900)는,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공간에서 적어도 일부가 코어 오목부(G7)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싱 튜브(900)는 외면이 코어 오목부(G7)의 표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오목부가 반원 형태로 형성된 경우, 패싱 튜브(900)는 타원형 내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패싱 튜브(900)가 코어 오목부의 내면에 잘 삽입되어 패싱 튜브(900)가 코어 오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은 내경을 갖는 샤프트 바디(600)에도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싱 튜브(900)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패싱 튜브(900)는, 코어 부재(70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코어 부재(700)의 외주면에 다수의 코어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패싱 튜브(900)는, 이러한 코어 오목부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하나의 코어 오목부에 각각 하나씩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구성을 참조하면, 코어 부재(700)에 6개의 코어 오목부(G7)가 형성된 경우, 패싱 튜브(900) 역시 6개 포함됨으로써 하나의 코어 오목부(G7)에 하나의 패싱 튜브(900)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싱 튜브(900)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중공 부분에 카테터의 다른 구성요소를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공간에는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520) 및 온도센싱라인(820)이 위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520) 및 온도센싱라인(820) 중 적어도 하나는, 패싱 튜브(900)의 내부, 즉 중공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520) 및/또는 온도센싱라인(820)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520) 및 온도센싱라인(820)은 카테터의 오픈/클로우즈 상태 변화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패싱 튜브(90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 이들의 길이 방향 이동이 다른 구성요소의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싱 튜브(900)는, 중공이 원형인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작동 부재(300) 및/또는 전원공급라인(520)의 길이 방향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 부재(300)는 전원공급라인(520) 및 온도센싱라인(820)과 다른 코어 오목부에 수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코어 오목부에 패싱 튜브(900)가 구비된 경우, 작동 부재(300)는 전원공급라인(520) 및 온도센싱라인(820)과 다른 패싱 튜브(900)에 수용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라인(520) 및 온도센싱라인(820)은 동일한 패싱 튜브(900)에 수용되고, 작동 부재(300)는 이들과 다른 패싱 튜브(900)에 수용될 수 있다. 특히, 패싱 튜브는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작동 부재(300)와 전원공급라인(520) 또는 온도센싱라인(820) 사이에 절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 부재(700)는,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어 부재(700)는, 도 6 및 도 7에서 V7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코어 부재(700)의 중공(V7)은 원위 측과 근위 측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부재(700)의 중공(V7)은,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 부재(700)의 중공(V7)에는, 샤프트 바디(600)를 통과하는 다른 구성요소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부재(700)의 중공(V7)에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와이어란 카테터를 시술 부위까지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로서, 카테터에 앞서 시술 부위에 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와이어는 코어 부재(700)의 원위 단부 측을 관통하여 코어 부재(700)의 중공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며, 카테터 헤드는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시술 부위에 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 부재(700)의 원위 측에는 센터 부재(100)가 접촉하여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센터 부재(100)에도,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센터 부재(100)에는 V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터 부재(100)의 중공은 원위 측 단부와 근위 측 단부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센터 부재(100)의 중공은 코어 부재(700)의 중공(V7)과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는, 센터 부재(100)의 중공을 경유하여 코어 부재(700)의 중공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는, 코어 부재(700)의 중공을 관통하여 코어 부재(700)의 근위 단부 측에까지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를 활용하여 카테터 헤드를 시술 부위에까지 이동시키는 구성이 보다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는 복수의 연결 부재(400)가 포함되며, 각 연결 부재(400)에는 서로 다른 전극(51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각 연결 부재(400)에서 전극(510)의 장착 지점은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극(510)은, 카테터의 길이 방향, 즉 센터 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하면, 복수의 연결 부재(400)에 대한 벤딩 부위가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성된다고 말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400)의 벤딩 상태에서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전극(510) 사이의 거리는, 카테터의 크기나 시술 부위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터는, 카테터 헤드의 오픈 시,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의 전극(510) 간 거리가 0.08 cm 내지 0.8 cm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전극(510)에 의한 열 자극으로 인해 협착증(stenosis)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극(510)에서 각각 열을 발산하는 경우, 혈관의 가열된 부분에서 혈관 내부 방향으로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혈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극(510) 간 거리가 가까우면 협착증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할 경우, 복수의 전극(510)이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혈관의 가열 부위가 혈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혈관 주변의 신경을 절제하고자 열을 가하더라도 해당 부위에서 협착증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구성에서 연결 부재(400)가 벤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구성에서 제2 지지부재(220)의 구성만을 분리하여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형태의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앞선 도 1 내지 도 8과 관련한 설명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도 1 및 도 2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센터 부재(100), 제1 지지부재(210), 제2 지지부재(220), 작동 부재(300), 연결 부재(400), 전극(510) 및 전원공급라인(5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9 내지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부재(210) 및 제2 지지부재(220)의 구성이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다르게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지지부재(210) 및 제2 지지부재(220)는, 연결 부재(400)가 연결되는 표면에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11의 구성을 참조하면, 제2 지지부재(220)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튜브 형태로 구성되되, 그 외부 표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재(220)는, S1, S2 및 S3로 표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차로 인해 형성된 3개의 연결 부분(S1, S2, S3)에 서로 다른 연결 부재(40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연결 부재(400) 중 하나의 연결 부재는 근위 단부가 S1 부분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 부재는 근위 단부가 S2 부분에 연결되며, 나머지 하나의 연결 부재는 근위 단부가 S3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제2 지지부재(220)만 나타나 있으나, 제1 지지부재(210) 역시 제2 지지부재(220)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재(210)는 제2 지지부재(220)와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재(210) 역시 단차가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3개의 연결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재(210)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고, 3개의 연결 부분을 S1', S2' 및 S3'로 나타낼 경우, 근위 단부가 S1에 연결된 연결 부재의 원위 단부는 S3'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근위 단부가 S2에 연결된 연결 부재의 원위 단부는 S2'에 연결되며, 근위 단부가 S3에 연결된 연결 부재의 원위 단부는 S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재(210)의 단차 구성은 제2 지지부재(220)의 단차에 대응되는 구성, 이를테면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가 가까워질 때 연결 부분이 서로 정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연결 부재(400)는, 제1 지지부재(210) 및 제2 지지부재(220)와의 연결 지점이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연결 부재(400)의 벤딩 부위가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구성이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구성에서 제2 지지부재가 화살표 C2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연결 부재(400)가 벤딩될 수 있다. 이때, 벤딩 부위는 연결 부재(400)의 중앙에 형성되기 쉬운데, 각 연결 부재는,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에 형성된 단차로 인해, 중앙 부분이 서로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각 연결 부재(400)의 중앙 부분이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각 연결 부재(400)의 벤딩 부위는 상호 간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동일한 길이를 갖고 중앙 부분이 벤딩되기 쉬운 연결 부재를 이용하더라도, 연결 부재(400)가 벤딩될 때, 각 전극(510)이 상호 간 소정 거리 이격되는 구성이 보다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9 및 도 10의 구성에서는, 제1 지지부재(210) 및 제2 지지부재(220) 모두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연결 부재(400)의 연결 지점이 달라지도록 하였으나, 제1 지지부재(210) 및 제2 지지부재(220) 중 어느 하나에만 단차가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 부재(400)의 연결 지점이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구성과 달리, 제1 지지부재(210) 및/또는 제2 지지부재(220)에 대하여 연결 부재(400)가 연결되는 표면에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각 연결 부재(400)의 벤딩 부위가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하는 구성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연결 부재(400)는, 벤딩 방향이 상기 센터 부재(10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작동 부재(300)의 이동으로 카테터가 클로우즈 상태에서 오픈 상태로 변경될 때, 복수의 연결 부재(400)는 카테터의 중심축에서 벗어나는 외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는데, 이때, 각 연결 부재(400)의 벤딩 방향은 상호 간 소정 각도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카테터 헤드에 3개의 연결 부재(400)가 포함된 경우, 카테터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 형태에서, 각 연결 부재(400)의 벤딩 방향은 카테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간 120도 각도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510)이 카테터의 주변으로 360° 방향으로 넓게 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신경이 혈관의 어느 부분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전극(510)이 이러한 신경을 놓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여러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부재(210)가 고정되고 제2 지지부재(220)가 이동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구성에서 연결 부재(400)가 벤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4는 도 13의 A3-A3'선에 대한 절단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만, 도 1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센터 부재(100)와 작동 부재(300)의 구성만을 나타내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앞선 도 1 내지 도 11과 관련한 설명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도 1 내지 도 11에서와 마찬가지로, 센터 부재(100), 제1 지지부재(210), 제2 지지부재(220), 작동 부재(300), 연결 부재(400), 전극(510) 및 전원공급라인(5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2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작동 부재(300)의 연결 구성이 도 1 및 도 9의 실시예와 다르게 도시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앞선 도 1 내지 도 11의 실시예와 달리, 작동 부재(300)가 제1 지재부재에까지 연장되어 원위 단부가 제1 지지부재(21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부재(300)는, 제1 지지부재(210)에 이르기 위해, 제2 지지부재(220)를 관통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의 구간까지도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220)는 센터 부재(100)의 근위 단부 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재(210)는 중공이 형성되어 센터 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부재(300)가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 작동 부재(300)의 원위 단부 측에 고정된 제1 지지부재(210)가 센터 부재(100)의 표면 상에서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에 연결된 연결 부재(400)가 벤딩되거나 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구성에서 작동 부재(300)가 당겨지면, 제1 지지부재(210)는 C3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 부재(400)는 벤딩되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의 오픈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작동 부재(300)가 밀어지면, 제1 지지부재(210)는 도 12의 C3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연결 부재(400)는 펴질 수 있으며, 이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테터의 클로우즈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제1 지지부재(210)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카테터 헤드가 보다 구조적으로 견고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지지부재(210)가 이동됨으로써, 카테터 헤드의 오픈/클로우즈 변환 시 카테터 헤드가 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터 부재(100)는, 외면에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센터 오목부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서 G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센터 부재(100)의 외부 표면에는 센터 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센터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터 오목부(G1)에는, 작동 부재(3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재(220)와 제1 지지부재(210)의 사이 구간에서 작동 부재(300)는 센터 오목부(G1)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부재(300)는 원위 단부가 제1 지지부재(210)에 연결되어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기 대문에, 센터 오목부(G1)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의 직경을 줄일 수 있어 카테터 헤드의 소형화 달성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220)에 작동 부재(300)를 관통시키기 위한 별도의 홀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작동 부재(300)가 제2 지지부재(220)를 경유하여 제1 지지부재(210)까지 연결되는 구성이 보다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의 공간에서 작동 부재(300)가 센터 오목부(G1)에 안착됨으로써 작동 부재(30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작동 부재(300)가 정해진 위치에서만 이동하게 되므로, 작동 부재(300)에 의한 제1 지지부재(21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밖에, 센터 오목부(G1)는, 형성 위치가 센터 부재(100)라는 점에서 다를 뿐, 앞선 코어 오목부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터 오목부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단면의 형태가 곡선 형상, 이를테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터 오목부(G1)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센터 오목부(G1)는, 센터 부재(10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작동 부재(300)가 둘 이상 포함되는 경우, 각 작동 부재(300)는 서로 다른 센터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대한 장점은, 앞선 코어 오목부(G7)에서 설명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터 부재(100)는, 코어 부재(7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센터 부재(1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중공을 구비하며, 외면에 하나 이상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코어 부재(700)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터 부재(100)는, 코어 부재(7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코어 부재(700)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코어 부재(700)는, 카테터 헤드까지 길게 연장됨으로써 센터 부재(100)의 기능까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센터 부재(100)는 코어 부재(700)와 동일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만, 기능적으로, 제2 지지부재(220)를 기준으로 원위 측으로는 센터 부재(100)라 하고, 근위 측으로는 코어 부재(700)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센터 부재(100)의 근위 단부나 코어 부재(700)의 원위 단부는 그 경계가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라인(520) 및/또는 온도센싱라인(820)은, 연결 부재(400), 제2 지지부재(220) 및 샤프트 바디(600)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인쇄(printing)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공급라인(520)은, 연결 부재(400)의 일 표면에 2차원적인 패턴으로서 도체를 남기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라인(520)은, 제2 지지부재(220)의 내측 표면이나 샤프트 바디(600)의 내측 표면에 인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나 샤프트 바디(600) 측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온도 센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전선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카테터의 헤드나 샤프트 바디(600)의 크기, 특히 직경을 줄일 수 있어, 카테터의 소형화 달성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공급라인(520)의 인쇄된 표면 상에 전극(510)을 장착하면 되고, 전원공급용이나 센싱용 전선을 제2 지지부재(220)나 샤프트 바디(600)의 내부 공간에 삽입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카테터의 제조 공정이 간편해지고 재현성이 높아져 카테터의 안전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도 1, 도 9 및 도 1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의 원위 단부, 즉 카테터 헤드의 원위 단부 전면에 단부 팁(1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부 팁(1100)은, 부드럽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부 팁(1100)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polyether block amide; PEBA)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부 팁(1100)을 형성하는 조성물에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이외에 다른 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부 팁(1100)은, 조성물 전체 중량%로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를 70% 포함하고, 바륨 설페이트(Barium sulfate)를 30%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의 원위 단부가 혈관 등을 따라 이동할 때 부드러우면서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된 단부 팁(1100)이 가장 앞쪽에 위치하므로, 혈관 등의 손상을 줄이고,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재질의 단부 팁(1100)의 경우, X-ray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므로, 카테터 헤드의 위치 파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부 팁(1100)은 중공을 갖는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부 팁(1100)의 중공은 카테터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단부 팁(1100)이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단부 팁(1100)의 중공으로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부 팁(1100)은 6mm의 길이를 갖고, 중공의 직경이 0.7mm인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부 팁(1100)은, 카테터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부 팁(1100)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부 팁(11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 다른 부분에 비해 원위 단부의 직경이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부 팁(1100)은, 가장 두꺼운 부분의 직경이 1.3mm일 때, 원위 단부의 직경은 1.1mm로서 가장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부 팁(1100)은, 지나치게 길거나 짧지 않은 적정 수준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단부 팁(1100)의 길이는, 도 12의 좌우 방향으로 5mm 내지 15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혈관의 내부 공간이나 쉬스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데 있어 단부 팁(1100)으로 인해 이동에 방해받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단부 팁(1100)의 휘어진 정도 및 방향 등을 파악하여, 단부 팁(1100)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혈관의 모양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경차단 장치는, 상술한 카테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경차단 장치는, 이러한 신경차단용 카테터 이외에 에너지 공급 유닛 및 상대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 공급 유닛은, 전원공급라인(520)을 통해 전극(5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대 전극은 다른 라인을 통해 에너지 공급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에너지 공급 유닛은, 고주파 등의 형식으로 에너지를 카테터의 전극에 공급할 수 있으며, 카테터의 전극에서는 열이 발생되어 혈관 주변의 신경을 절제함으로써 신경이 차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원위, 근위, 상, 하, 좌, 우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것일 뿐, 관측자의 관측 위치나 물체의 배치 형태에 따라 다른 용어로 대체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 센터 부재
210: 제1 지지부재, 220: 제2 지지부재
300: 작동 부재
400: 연결 부재
510: 전극, 520: 전원공급라인
600: 샤프트 바디
700: 코어 부재
810: 온도센싱부재, 820: 온도센싱라인
900: 패싱 튜브
1100: 단부 팁

Claims (23)

  1.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구비하는 센터 부재;
    상기 센터 부재의 원위 단부 측 및 상기 센터 부재의 근위 단부 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간 소정 거리 이격되며,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센터 부재 상에서 상기 센터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호 간 이격 거리의 변동이 가능한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
    원위 단부가 상기 제1 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상기 센터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연결 부재;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의 벤딩 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전극;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원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전원공급라인;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원위 단부가 상기 센터 부재의 근위 단부 측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작동 부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샤프트 바디; 및
    원위 단부가 상기 센터 부재의 근위 단부 측에 위치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외면에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코어 오목부가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코어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코어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센터 부재에 의해 관통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센터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센터 부재의 원위 단부 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센터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작동 부재는, 원위 단부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센터 부재의 근위 단부 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센터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작동 부재는, 원위 단부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부재는, 외면에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센터 오목부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일부가 상기 센터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둘 이상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3개 포함되고, 각각 상기 센터 부재의 중심축으로부터 상호 120도 각도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오목부는, 상기 코어 부재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단면의 형태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오목부는, 상기 코어 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5. 제1항에 있어서,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싱부재; 및
    상기 온도센싱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싱부재에 의해 센싱된 온도 정보를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코어 오목부에 삽입된 온도센싱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온도센싱라인은, 상기 작동 부재와 다른 코어 오목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샤프트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어 오목부에 삽입되며, 중공이 형성된 패싱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싱 튜브는, 둘 이상 포함되어 상기 코어 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 및 상기 전원공급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패싱 튜브의 중공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부재 및 상기 코어 부재는, 상호 연결되도록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재는, 상기 센터 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 부재가 연결되는 표면에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단차 또는 경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3. 제1항 내지 제8항, 제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테터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KR1020150025741A 2015-02-24 2015-02-24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KR102092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741A KR102092926B1 (ko) 2015-02-24 2015-02-24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741A KR102092926B1 (ko) 2015-02-24 2015-02-24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351A KR20160103351A (ko) 2016-09-01
KR102092926B1 true KR102092926B1 (ko) 2020-03-25

Family

ID=5694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741A KR102092926B1 (ko) 2015-02-24 2015-02-24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8329B2 (ja) * 2018-11-21 2021-07-21 タウ ピーエヌユー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肥厚性心筋症手術用rf電極切除カテーテル
KR102406831B1 (ko) * 2018-11-21 2022-06-13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
KR102227910B1 (ko) * 2019-05-13 2021-03-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전극형 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6833B1 (ko) * 2020-05-22 2022-06-10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쿨링기능을 지닌 심실중격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
BR112023017451A2 (pt) * 2021-04-01 2023-09-26 Deepqure Inc Aparelho de eletrodo para denervação ou modulação nervosa in viv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2320A (ja) * 2009-09-17 2011-03-31 Sumitomo Bakelite Co Ltd ガイドワイヤおよびカテーテルシステム
US20150045788A1 (en) * 2013-08-09 2015-02-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xpandable catheter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9666B1 (ja) * 2010-03-30 2011-04-27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KR101436515B1 (ko) * 2013-02-05 2014-09-01 주식회사 한독 신경차단용 카테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2320A (ja) * 2009-09-17 2011-03-31 Sumitomo Bakelite Co Ltd ガイドワイヤおよびカテーテルシステム
US20150045788A1 (en) * 2013-08-09 2015-02-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xpandable catheter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351A (ko)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926B1 (ko)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US8224416B2 (en) Basket catheter having multiple electrodes
US6817999B2 (en) Flexible device for ablation of biological tissue
JP7432663B2 (ja) 心外膜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30083654A1 (en) Tissue ablation system with a sliding ablating device and method
US20090157068A1 (en) Intraoperative electrical conduction mapping system
US20210030462A1 (en) Catheter device
KR101370048B1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KR101436515B1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CN109803597B (zh) 医疗设备和处置方法
KR102067773B1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KR101399555B1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KR20150101290A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KR20140100451A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KR102033760B1 (ko) 카테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2017B1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KR102599513B1 (ko) 혈관 직경에 따라 조작 가능한 신경차단용 카테터
KR102054003B1 (ko)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KR102033759B1 (ko) 카테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42705A (ko) 고혈압 치료용 고주파 카테터 전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