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003B1 -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003B1
KR102054003B1 KR1020150028358A KR20150028358A KR102054003B1 KR 102054003 B1 KR102054003 B1 KR 102054003B1 KR 1020150028358 A KR1020150028358 A KR 1020150028358A KR 20150028358 A KR20150028358 A KR 20150028358A KR 102054003 B1 KR102054003 B1 KR 102054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atheter
distal
sensing
prox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108A (ko
Inventor
박을준
오정수
박재형
장현환
송승우
원종석
조지용
제이 캄파 그레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독칼로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독칼로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독칼로스메디칼
Priority to KR1020150028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00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5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34Neura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39Bioelectrical parameters, e.g. ECG,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63Fl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67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using more than two electrodes on a single probe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에 유리하고, 조작 및 공정이 간편하며, 절연성, 재현성 및 조립성 등이 우수하며, 안전성 및 치료 성능이 개선된 카테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상호 간 소정 거리 이격되고, 적어도 하나가 중공을 갖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중공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2개의 변이 결합 고정된 원위 지지부재 및 근위 지지부재;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며, 원위 단부가 상기 원위 지지부재 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원위 지지부재 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원위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근위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 부재에 의해 상기 원위 지지부재와 상기 근위 지지부재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상기 센터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연결 부재;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의 벤딩 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전극;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원공급경로를 제공하는 전원공급라인; 상기 원위 지지부재, 상기 근위 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싱 부재; 및 상기 센싱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센싱 부재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센싱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Catheter and denerv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테터(cathet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질병 치료를 위한 의료용 카테터, 특히 신경의 일부에 열 자극을 가하여 신경 전도가 비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경 차단술은 지각 신경이나 자율 신경 등 여러 신경에 대하여 자극이나 정보가 전달되지 않도록 신경 경로의 일부를 차단하는 시술법이다. 이러한 신경 차단술은, 부정맥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치료나 통증 완화, 성형 등을 위해 점차 널리 이용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근래에는 고혈압의 치료에 이러한 신경 차단술이 유효하다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고혈압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러한 신경 차단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고혈압의 경우, 약물로서 혈압 조절이 대부분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많은 고혈압 환자들이 약물에 의존하여 고혈압을 치료받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약물에 의해 혈압을 낮추는 방법은, 약물을 계속적으로 복용해야 하는 불편, 비용적 측면, 그리고 약물의 장기간 복용으로 인한 장기 손상과 같은 부작용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부 고혈압 환자는, 약물로서 혈압 조절이 되지 않는 난치성 고혈압을 앓고 있다. 이러한 난치성 고혈압은, 약물로서도 치료가 되지 않으므로, 환자에게 뇌졸중, 부정맥, 신장 질환 등과 같은 사고를 일으킬 위험성이 커서, 난치성 고혈압의 치료는 매우 심각하고 시급한 문제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신경 차단술은, 고혈압을 치료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한 신경 차단술은, 신장 신경, 즉 신장 동맥 주변의 교감 신경에 열 자극을 가함으로써 신경 전도가 비활성화되도록 하여 신장 신경이 차단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장 신경이 활성화되면 신장에 의한 레닌 호르몬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이는 곧 혈압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장 신경을 차단하는 경우 신경 전도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고혈압을 치료할 수 있다는 점이 최근 여러 실험을 통해 입증되고 있다.
이처럼, 고혈압의 치료를 위해 신장 신경을 차단하는 방법 중 대표적인 방법은, 카테터를 이용하는 것이다. 카테터를 이용한 신경 차단술은, 신체의 일부, 이를테면 허벅지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혈관을 따라 신장 동맥에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서 RF(Radio Frequency) 에너지 등을 통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신장 동맥 주변의 교감 신경을 차단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카테터를 이용한 신경 차단술은 개복 수술을 통한 신경 차단술에 비해 훨씬 작은 부위를 절개하기 때문에 잠재적인 합병증과 부작용이 크게 줄어들 수 있으며, 부분 마취로 인한 치료 및 회복 시간이 매우 짧다는 장점이 있어 차세대 고혈압 치료 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신경 차단술 등에 적용하기 위한 카테터 관련 기술은, 아직까지 개발 정도가 미흡하여 많은 개선될 부분을 갖고 있다.
특히, 카테터는 혈관의 내부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하므로 그 크기가 매우 작아야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경우, 이러한 카테터를 소형화시키는데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더욱이, 종래 개발 내지 제안된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전극과 작동을 위한 각종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전극으로의 전원 공급 및 작동을 위한 각종 와이어도 포함될 수 있다. 때문에, 이들을 모두 구비하면서 그 크기가 작은 카테터를 제조하는 것은 매우 쉽지 않은 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특히 가장 전단에 위치하는 카테터의 헤드 부분은, 그 자체의 크기가 작아야 하기 때문에, 그에 들어가는 다양한 구조물들 역시 그 크기가 미세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미세한 구조물을 취급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종래 카테터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의 헤드와 시술자 사이에 여러 와이어가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카테터의 이동이나 작동 중에 이러한 여러 와이어들이 카테터의 헤드나 몸통 부분에서 서로 꼬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테터의 헤드나 몸통 부분에서 와이어들 사이에 절연성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전극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센싱 신호가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 이와 같은 미세한 구조물들을 이용하여 카테터 헤드를 제조하는 것은 그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여, 재현성이 높지 않게 되므로, 카테터의 품질 및 제조 수율이 낮아지고 카테터의 안전성 및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카테터의 경우, 온도 센싱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재가 카테터 헤드 부분에 마련되는 경우가 있으나, 그 기능에 제한이 있고, 카테터 자체의 구조 상 다양한 센서를 구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소형화에 유리하고, 조작 및 공정이 간편하며, 절연성, 재현성 및 조립성 등이 우수하며, 안전성 및 치료 성능이 개선된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상호 간 소정 거리 이격되고, 적어도 하나가 중공을 갖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중공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2개의 변이 결합 고정된 원위 지지부재 및 근위 지지부재;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며, 원위 단부가 상기 원위 지지부재 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원위 지지부재 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원위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근위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 부재에 의해 상기 원위 지지부재와 상기 근위 지지부재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상기 센터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연결 부재;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의 벤딩 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전극;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원공급경로를 제공하는 전원공급라인; 상기 원위 지지부재, 상기 근위 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싱 부재; 및 상기 센싱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센싱 부재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센싱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 부재는, OCT 센서, 유속측정 센서, IVUS 센서 및 생체전기신호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속측정 센서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의 내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의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전극 이상의 높이를 갖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부재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 및 상기 근위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곡선 형태로 벤딩되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상기 전원입력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하여, 라인을 분기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위 지지부재 및 상기 근위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 부재가 연결된 부분이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 상기 근위 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위 지지부재 및 상기 근위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원위 지지부재 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가 외측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센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부재는 외면에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센터 오목부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작동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센터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근위 지지부재의 근위 단부 측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작동 부재,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샤프트 바디; 및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이격 부분이 상기 샤프트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형성되도록 구성된 코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부재는, 외면에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코어 오목부가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어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은, 상기 작동부재와 다른 코어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중공을 구비하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코어 오목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중공에 상기 작동 부재,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패싱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위 지지부재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근위 지지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의 원위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근위 지지부재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원위 지지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의 원위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부재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 및 상기 근위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곡선 형태로 벤딩되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는 단부 팁; 및 상기 단부 팁에 구비되어 센싱 동작을 수행하는 팁 센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부 팁은 상기 팁 센싱 부재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팁 센싱 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에 인입되거나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경차단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의 구조가 보다 간단해지고,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구성에 의하면, 원위 지지부재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를 먼저 넓은 플레이트 형태의 2차원적으로 제작한 후, 벤딩 과정을 통해 3차원적인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공정이 더욱 간소화되면서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원위 지지부재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의 내부에 전기적 경로로서 배선이 하나 이상 인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용 와이어나 센싱부재로부터 센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센싱 와이어를 별도로 구비하여 원위 지지부재나 근위 지지부재에 삽입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들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의 소형화에 보다 유리할 수 있으므로, 작은 직경을 갖는 혈관 내부를 카테테 헤드가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고, 카테터로 인한 혈관 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테터를 혈관 내부에 곧바로 삽입하지 않고 쉬스(sheath)와 같은 별도의 구성요소를 혈관 내부에 삽입한 후 이러한 쉬스 내부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형태의 시술에도 보다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들에 의하면, 카테터 제조에 대한 재현성이 높아져 카테터의 품질을 높이고 불량률을 낮추며, 안전성 내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서 와이어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 와이어를 삽입하거나 이러한 와이어를 전극에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 대한 모듈화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카테터에 의해 다양한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신경의 위치, 병변의 크기나 깊이, 혈류 속도, 전극의 밀착 정도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카테터에 의한 신경 차단술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시술 중에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가능하여, 환자의 치료율이 높아지고 안전을 확보하며 시술에 따른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에서 연결 부재가 벤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1-A1'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원위 지지부재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성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카테터 구성에서 원위 지지부재의 전단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근위 지지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부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구성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구성에서 카테터 헤드와 샤프트 바디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2-A2'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에 포함된 코어 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코어 부재가 샤프트 바디에 포함된 구성의 단면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구성에서 연결 부재가 벤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A3-A3'선에 대한 절단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부재의 돌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부재의 돌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에서 연결 부재가 벤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1-A1'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카테터의 헤드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카테터의 길이 방향 양 단부 중 시술 부위에 도달하는 측의 단부를 의미하며, 카테터 팁(tip)이나 원위 단부(distal end)와 같은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카테터는 이러한 카테터의 헤드와 반대 측 단부로서, 원위 단부보다 시술자 측에 위치하는 근위 단부(proximal end)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테터에 포함되는 여러 구성요소 중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어 양 단부를 구비한 여러 구성 요소에 대하여, 양 단부를 구별하기 위해 카테터의 헤드 측, 즉 원위 단부 측에 위치한 단부를 원위 단부로 지칭하고 카테터의 근위 단부 측에 위치한 단부를 근위 단부로 지칭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카테터 헤드에 있어서도, 길이 방향 양 단부가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원위 지지부재(100), 근위 지지부재(200), 작동 부재(300), 연결 부재(400), 전극(500), 전원공급라인(600), 센싱 부재(700) 및 센싱라인(8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위 지지부재(100)와 상기 근위 지지부재(200)는, 상호 간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위 지지부재(100)는 근위 지지부재(200)보다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원위 단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200)는, 중공을 갖는 실린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원위 지지부재(100) 및 근위 지지부재(200) 중 적어도 하나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며, 양단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200)는, 중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2개의 변이 결합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서 원위 지지부재(100)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성에 대한 전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원위 지지부재(100)의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에까지 중공(V1)이 길게 연장 형성된 경우, 원위 지지부재(100)의 일측에는, D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결합 부분이 이러한 중공(V1)의 길이 방향(도면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부분(D1)은, 원위 지지부재(100)의 서로 이격된 다른 변이 서로 체결 고정된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D1 부분의 결합을 해제하고 화살표 E1 및 E2 방향으로 원위 지지부재(100)를 펼치면, 원위 지지부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넓은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판 형태의 부재에 대하여, 서로 이격된 2개의 변(도면의 상변 및 하변)이 서로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공이 형성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로 결합되는 2개의 변은, 화살표 E1' 및 E2' 방향으로 벤딩됨으로써 서로 만나게 될 수 있으며, 서로 만난 상태에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결합되는 2개의 변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결합 고정될 수도 있고, 일부 표면이 서로 중첩된 상태로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 또는, 서로 결합되는 2개의 변은, 서로 접촉하지는 않지만 인접한 상태로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원위 지지부재(100)의 구성을 위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 같은 구성은 근위 지지부재(200)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근위 지지부재(200) 역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넓은 판 형태의 부재를 벤딩시킴으로써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변이 서로 맞닿아 결합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판 형태의 부재를 관 형태로 벤딩시키는 공정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즉, 원통형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5의 E1'나 E2'로 표시된 바와 같은 벤딩 공정이 곡선 형태로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있고 별도의 모서리를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벤딩을 통한 실린더 형상의 형성이 보다 쉬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위 지지부재(100)나 근위 지지부재(200)로 인해 혈관 내부에 손상이나 자극이 가해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다양한 다른 형태, 이를테면 단면이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과 같은 각형 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돌기가 삽입홈에 삽입 체결되는 방식으로 2개의 변이 서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구성에서, 판 형태의 원위 지지부재(100)의 상부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하부변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판 형태의 원위 지지부재(100)를, 화살표 E1' 및 E2' 방향으로 원형으로 만곡시켜 상변과 하변이 서로 인접하게 된 후, 상변의 돌기가 하변의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원위 지지부재(100)가 원통형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삽입 체결 방식은, 후크 고정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지지부재(100)에서, 상변의 돌기는 후크 형태로 구성되고, 이러한 돌기가 하변의 삽입홈에 후크 고정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의 2개의 변에 대한 결합 부분을 고정시키는 방식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접착제에 의해 2개의 변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형 부재가 E1' 및 E2'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변과 하변이 서로 만나게 되면,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2개의 변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이러한 접착제에 의해 2개의 변에 대한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판 형태의 부재가 벤딩되어 결합됨으로써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연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부드럽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카테터의 전단부에 위치하므로, 카테터가 혈관 등을 따라 이동할 때 혈관 등의 내벽과 접촉할 가능성이 많은데, 이들에 대하여 부드럽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하면, 이들에 의한 혈관 손상 등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방향 전환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한 측면에서,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원위 지지부재(100)는, 상대적으로 더욱 원위 측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외측 전단 모서리가 둥글게 모따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부재(3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부재(300)는, 원위 지지부재(100) 또는 근위 지지부재(200)에 원위 단부가 연결 고정되어, 길이 방향 이동을 통해 원위 지지부재(100) 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부재(300)는 근위 지지부재(200)에 원위 단부가 결합됨으로써, 근위 지지부재(200)를 화살표 C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 부재(300)는,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위 지지부재(100)나 근위 지지부재(200)를 이동시키는 구성이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작동 부재(300)가 근위 지지부재(200)에 연결된 경우, 1개의 작동 부재(300)가 근위 지지부재(200)에 연결된 경우에 비해, 근위 지지부재(200)가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의 이동으로 카테터 헤드 부분에 굴곡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작동 부재(300)가 원위 지지부재(100)에 연결된 경우, 작동 부재(300)가 당겨질 때 작동 부재(300)가 위치한 측 방향으로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작동 부재(300)가 밀어질 때 작동 부재(300)가 위치한 측 반대 방향으로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이 작동 부재(300)가 복수 개 구비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당겨지거나 밀어지더라도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휘는 문제가 예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를 오픈이나 클로우즈시킬 때, 카테터의 헤드 부분의 직진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굴곡됨으로 인해, 카테터 헤드의 이동이 방해되거나 혈관 내벽이 손상되는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작동 부재(300)는 카테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균등한 각도로 배열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의 이동 시, 특정 부분, 이를테면 작동 부재(300)의 간격이 넓은 부분으로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굴곡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동 부재(300)는,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 3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3개의 작동 부재(300)는, 카테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균등한 각도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3개의 작동 부재(300)가, 카테터의 중심축(O)을 기준으로 상호 120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적은 개수의 작동 부재(300)로서 카테터 헤드의 직진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과다한 개수로 포함되지 않음으로써 카테터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크기가 작아질 수 있으며, 작동 부재(300) 사이의 이격 공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작동 부재(300)의 작동 시에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특정 부분으로 굴곡되는 것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400)는,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에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400)의 일측 단부는 원위 지지부재(100)에 결합 고정되고, 연결 부재(400)의 타측 단부는 근위 지지부재(20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4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막대 형태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400)는,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의 거리가 변함으로써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 부재(400)는, 작동 부재(300)에 의해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양단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짐으로써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400)는, 이처럼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는 경우, 벤딩 부위가 카테터의 중심축, 다시 말해 원위 지지부재(100)나 근위 지지부재(200)의 중공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연결 부재(400)의 벤딩 부위는, 연결 부재(400)의 양단 사이 거리가 좁아짐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부위는, 도 2에서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벤딩된 부분의 꼭지점, 즉 연결 부재(400)의 벤딩된 부분에서 굴곡 정도가 가장 심한 부분, 또는 각 연결 부재(400)의 벤딩된 부분에서 외측으로 가장 멀리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400)는,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의 이동에 따라 벤딩 부위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벤딩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400)는 금속이나 폴리머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연결 부재(400)의 특정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에서 벤딩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면 연결 부재(400)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400)는, 적어도 일부분이 카테터 헤드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정도 벤딩된 굴곡부가 미리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의 거리가 가장 멀어진 상태에서도, 연결 부재(400)는 완전히 평평해지지 않고 카테터의 외측 방향으로 굴곡된 부분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근위 지지부재(200) 등이 이동하여 연결 부재(400)의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면, 굴곡부의 벤딩 정도가 심화되면서 벤딩 부위가 형성되고 이러한 벤딩부의 벤딩 방향은 카테터의 외측 방향으로 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 부재(400)의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점점 짧아질수록, 이러한 벤딩 부위는 카테터의 중심축으로부터 점차 멀어질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연결 부재(400)는 벤딩 부위의 벤딩 방향이 카테터의 내측으로 향하지 않고 외측으로 향하도록 사전 형성된(pre-shaped)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 부재(400)는,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에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부재(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에서 3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복수의 연결 부재(400) 각각은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카테터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500)은, 연결 부재(400)에 장착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전극(500)은, 연결 부재(400)에 있어서 벤딩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전극(500)에 의해 발생된 열은 주변 조직에 열적인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500)에 의해 발생된 열은 주변 조직을 절제(ablation)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500)은 대략 40℃ 이상, 특히 40~80℃의 열을 발생시켜 혈관 주위의 신경을 절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경을 차단시킬 수 있다. 다만, 전극(50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의 온도는 카테터의 용도나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 부재(400)가 벤딩되어 전극(500)이 카테터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카테터의 헤드가 오픈(open)된다고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400)의 벤딩이 가장 심하게 이루어진 상태, 또는 전극(500)이 카테터에서 외측으로 가장 돌출된 상태를, 카테터의 오픈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연결 부재(400)가 벤딩되지 않거나 가장 약하게 벤딩된 상태, 또는 전극(500)이 카테터에서 가장 내측으로 위치한 상태를 카테터의 클로우즈(close)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카테터의 헤드가 클로우즈된 상태,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카테터의 헤드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가 혈관 등을 따라 시술 부위로 이동하는 중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우즈 형태로 이동하다가, 카테터 헤드가 시술 부위에 도달한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 형태로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카테터에서 전극(500)이 외부 방향으로 최대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혈관 벽에 전극(500)이 보다 가까워질 수 있다. 또한, 이동 중에는 이러한 전극(500)의 돌출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카테터 헤드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연결 부재(400) 및 전극(500) 등에 의한 혈관 내벽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전극(500)은, 혈관 벽에 접촉하여 혈관 주변에 위치하는 신경 조직에 열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혈관 벽에 밀착하여 접촉될 수 있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전극(500)은, 혈관 내벽에 접촉하는 표면이 그러한 내벽의 형태에 대응될 수 있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500)은, 단면이 원, 반원 또는 타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혈관 벽에 대한 전극(500)의 밀착도가 향상되어 혈관 내벽에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접촉될 수 있으므로, 전극(500)에 의해 생성된 열이 혈관 주변의 신경 조직에 잘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전극(500)이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전극(500)에 의한 혈관 내벽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극(500)은, 백금이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전극(500)의 특정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 발생 방식이나 시술 부위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500)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방식으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500)은 고주파 발생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주파 에너지를 발산함으로써 신경을 절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테터에 존재하는 전극(500)은 음극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음극에 대응되는 양극은, 음극과 마찬가지로 고주파 발생 유닛과 같은 에너지 공급 유닛에 연결될 수 있으며, 패치 등의 형태로 신체의 특정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극(500)은, 카테터에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연결 부재(400)는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전극(500)은, 각 연결 부재(400)마다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는 3개의 연결 부재(400) 및 3개의 전극(500)이 포함되어, 각 연결 부재(400)의 벤딩 부위마다 1개의 전극(500)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연결 부재(400)가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멀어지면, 벤딩 부위에 구비된 전극(500)은 카테터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외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의 전극(500)은 혈관 내벽 측으로 이동하여, 혈관 내벽에 접촉되거나 혈관 내벽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라인(600)은, 일부분이 전극(500)에 연결되어, 전극(500)에 대한 전원공급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공급라인(600)은, 원위 단부가 전극(500)에 연결되고, 근위 단부가 에너지 공급 유닛(미도시)에 연결되어, 에너지 공급 유닛이 전극(500)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라인(600)은, 복수의 전극(500)마다 별도로 구비되어, 복수의 전극(500)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전원공급라인(600)은, 복수의 전극(500) 각각에 대한 전원공급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전원공급라인(600)은 전극(500)에서 에너지 공급 유닛에 이르기까지 각각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터에 3개의 전극(500)이 구비된 경우, 전원공급라인(600)은 3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라인(600)은, 연결 부재(400)의 적어도 일부와 근위 지지부재(200)에 연결될 수 있다. 전극(500)은 연결 부재(400)에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전극(50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라인(600)은, 카테터 헤드 부분에서 근위 지지부재(200)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 그리고 연결 부재(400)의 근위 단부와 전극(500)이 장착된 부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부재(700)는,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 구비되어 주변의 물리적인 양이나 그 변화를 감지 또는 계측하여 일정한 신호로 알려줄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싱 부재(700)는, 원위 지지부재(100), 근위 지지부재(200) 및 연결 부재(4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 부재(700)는, OCT 센서, 유속측정 센서, IVUS 센서 및 생체전기신호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OCT 센서는, 광학 간섭 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센서로서, 빛을 투과시켜 조직 내에서 반사되는 빛의 시간 차이를 광학적 간섭계를 사용하여 고해상도의 단층 영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OCT 센서는, 병변의 크기를 확인하는데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OCT 센서는, 비접촉, 비침투성으로서 혈관 등에 별다른 피해를 주지 않을 수 있으며, 해상도가 높아 정밀성이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
상기 유속측정 센서는, 혈관 내부에서 혈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유속측정 센서는, 도플러 센서(doppler sensor)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도플러 센서는, 초음파, 레이저, 마이크로파 등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혈류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유속측정 센서가 카테터에 구비된 실시예에 의하면, 신동맥(renal artery)의 혈류 상태로 신경 조직의 절제(ablation)가 잘 이루어졌는지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속측정 센서는, 원위 지지부재(10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카테터 구성에서 원위 지지부재(100)의 전단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센싱 부재(700)로서, 유속측정 센서는, 원위 지지부재(1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특히 원위 지지부재(100)의 전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속측정 센서는, 카테터가 이동하는 방향, 즉 카테터의 정면 측을 바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유속측정 센서 등에 의해 신동맥의 혈류속도 등이 보다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특히, 도플러 효과의 특성 상, 도플러 센서는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시술 부위로 이동하는 중에, 정면 측을 바라보는 경우가 혈관 내벽 측을 바라보는 경우에 비해, 측정의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IVUS 센서는, 혈관 내 초음파(IntraVascular UltraSound) 센서로서, 진동이 전달되고 초음파가 수신되는 사이에 경과된 시간을 통해 거리나 깊이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카테터에 구비된 IVUS 센서로 인해, 혈관 내부에서 병변의 깊이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전기신호 센서(bio electrical signal sensor)는, 신경세포나 근세포 등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 또는 전압 형태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카테터에 구비된 생체전기신호 센서로 인해, 신경의 위치가 보다 용이하게 찾아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 부재(700)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인가되는 압력의 크기를 측정하여 압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복수의 연결 부재(4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압력 센서는, 복수의 전극(500)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500)에 대하여 그 주변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 센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500)의 외측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압력 센서는, 전극(500) 이상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압력 센서는, 연결 부재(400)에서 외측 방향으로의 높이가 전극(500)과 동일하거나 전극(500)보다 높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부재(400)의 벤딩으로 전극(500)이 혈관 내벽에 닿기 이전에, 또는 전극(500)이 혈관 내벽에 닿음과 동시에, 압력 센서가 혈관 내벽에 접촉하여 전극(500)이 혈관 내벽에 접촉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압력 센서에 의해 혈관 내벽에 대한 전극(500)의 접촉 정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500)이 혈관 주변의 신경을 열적으로 자극하기에 적합한 정도로 혈관 내벽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압력 센서는, 전극(5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 센서는, 전극(500)을 상부에서 바라볼 때,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 부분에서 압력 센서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고, 전극(500)의 밀착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센싱라인(800)은, 일부분이 센싱 부재(700)에 연결되어, 센싱 부재(700)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테면, 센싱 부재(700)가 유속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싱라인(800)은 유속측정 센서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외부의 유속측정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라인(800)은 카테터에 구비된 센싱 부재(700)와 동일한 개수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터에 3개의 센싱 부재(700)가 구비된 경우, 센싱라인(800)은 3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싱라인(800)은, 적어도 카테터 헤드의 근위 단부 측에서 센싱 부재(700)가 장착된 부분까지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속측정 센서가 센싱 부재(700)로서 원위 지지부재(100)에 장착된 경우, 이러한 유속측정 센서에 의해 센싱된 유속측정 정보를 전달하는 유속센싱라인(800)은 근위 지지부재(200)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 연결 부재(400)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 그리고 원위 지지부재(100)의 근위 단부와 유속측정 센서가 장착된 부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플렉서는, 서로 다른 개수의 입력 라인 및 출력 라인을 가져, 하나의 전원이나 전기적 신호를 다중화하여 분할하거나 다수의 전원이나 전기적 신호 중 하나를 선별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멀티플렉서는, 전원입력라인 및/또는 센싱라인(800)을 둘 이상으로 분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근위 지지부재(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만 표시되도록 하며, 내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점선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카테터는 카테터 헤드의 근위 단부, 특히 근위 지지부재(200)에 멀티플렉서(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 방향으로 멀티플렉서(1500) 이전의 근위 측 부분(도 7의 우측 부분)에서는 전원공급라인(600)이 1개만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멀티플렉서(1500) 이후의 원위 측 부분(도 7의 좌측 부분)에서는 전원공급라인(600)이 전극(5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분기되어 각 전극(500)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근위 지지부재(200)의 원위 측 단부, 즉 좌측 단부에는 연결 부재(4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분기된 전원공급라인(600)은 각 연결 부재(400)에 구비된 전극(500)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전원공급라인(600)을 기준으로 설명되었으나, 멀티플렉서(1500)에 의한 라인의 분기 구성은,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센싱라인(8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멀티플렉서(1500)가 존재하는 구성에 의하면, 멀티플렉서(1500) 이전의 부분에서는 센싱라인(800)이 1개만 존재하다가, 멀티플렉서(1500) 이후의 부분에서는 센싱라인(800)이 센싱 부재(7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분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카테터의 많은 부분에 있어서 전원공급라인(600)이나 센싱라인(800)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의 크기, 특히 직경을 줄일 수 있고, 카테터의 구조가 보다 단순화될 수 있으며, 카테터의 조립 및 제조 공정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센싱 부재(700)가 다수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멀티플렉서(1500)를 구비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 및 부피 감소 등의 효과가 더욱 크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멀티플렉서(1500)는, 다수의 입력을 하나의 출력으로 내보내는 좁은 의미의 멀티플렉서는 물론, 하나의 입력을 다수의 출력으로 내보내는 좁은 의미의 디멀티플렉서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플렉서(1500)는 근위 지지부재(200)의 내측 벽면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지지부재(200)의 경우, 판 또는 필름 형태의 부재가 벤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근위 지지부재(200)는 두께가 얇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플렉서(1500)가 근위 지지부재(200)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는 구성은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근위 지지부재(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 벽면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멀티플렉서(15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지지부재(200)의 내측면 형태에 대응되도록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멀티플렉서(1500)가 근위 지지부재(200)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부착되어 있으므로, 멀티플렉서(15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근위 지지부재(200)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근위 지지부재(200)의 중공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거나 이동하는 구성이 보다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멀티플렉서(1500)는, 카테터의 다양한 부분에 다양한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멀티플렉서(1500)의 특정 장착 위치나 형태 등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공급라인(600) 및/또는 센싱라인(800)은, 원위 지지부재(100), 근위 지지부재(200) 및 연결 부재(400) 중 적어도 하나에 인쇄(printing)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 있어서,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판 형태의 2차원 형상으로 형성되다가 벤딩을 통해 3차원적인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벤딩되기 전의 2차원 형상 부재 상태에서 전원공급라인(600) 및/또는 센싱라인(800)을 인쇄하는 경우, 전원공급라인(600)이나 센싱라인(800)의 장착 구성이 보다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만 나타내도록 하며, 투시된 부분에 대해서는 점선으로 나타내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원위 지지부재(100), 연결 부재(400) 및 근위 지지부재(200)는, 넓은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판 형태의 각 부재의 표면에 전원공급라인(600)이 2차원적인 패턴으로서 도체를 남기는 방식으로 인쇄될 수 있다. 즉, 전원공급라인(600)은, 회로 기판의 배선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전원공급라인(600)은 근위 지지부재(200)의 근위 단부(우측 단부)에서 연결 부재(400)의 전극(500) 장착 부분까지 연장되게 인쇄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 공정은, 판 형태의 근위 지지부재(200) 및 연결 부재(400)에 대하여 수행되므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전원공급라인(600)의 인쇄가 완료된 상태에서, 원위 지지부재(100), 연결 부재(400) 및 근위 지지부재(200)를 화살표 E1'' 및 E2'' 방향으로 벤딩시켜 카테터 헤드 부분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도 8에서는, 원위 지지부재(100) 및 근위 지지부재(200)는 연결 부재(400)가 연결된 상태에서 함께 벤딩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원위 지지부재(100)나 근위 지지부재(200)는 각각 별도로 벤딩된 상태에서 연결 부재(40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전원공급라인(600)을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센싱라인(800) 역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원위 지지부재(100), 연결 부재(400) 및 근위 지지부재(200) 중 적어도 하나에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라인(600) 및/또는 센싱라인(800)은, 근위 지지부재(200)나 연결 부재(400), 원위 지지부재(100)의 일 표면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부재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의 소형화에 유리하고 제조가 보다 용이해지며, 구조가 간단해지고 재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배선 형태의 전원공급라인(600)이나 센싱라인(800)은, 일반적인 와이어 형태의 전원공급라인(600)이나 센싱라인(800)에 비해, 차지되는 부피가 많지 않아 카테터의 부피, 더욱이 카테터 헤드 부분의 부피가 효과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카테터 헤드 부분에 와이어 형태의 전원공급라인(600)을 삽입하고 이를 전극(500)에 연결시키기 위한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정성이 향상되고, 전극(500)과 전원공급라인(600)의 접속 및/또는 센싱 부재(700)와 센싱라인(800)의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터 부재(9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어, 양 단부, 즉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터 부재(900)는,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부재(900)는, 원위 지지부재(100) 또는 근위 지지부재(200)가 외측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근위 지지부재(200)는 중공을 갖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센터 부재(900)는 근위 지지부재(200)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부재(300)가 원위 방향으로 밀어지면, 근위 지지부재(200)는 센터 부재(900)의 외면을 따라 C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센터 부재(900)가 원위 지지부재(100)나 근위 지지부재(2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원위 지지부재(100)나 근위 지지부재(20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의 경우, 원위 지지부재(100)나 근위 지지부재(200)의 이동으로 연결 부재(400)가 벤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센터 부재(900)의 존재로 인해 이러한 연결 부재(400)의 벤딩 형태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연결 부재(400)가 연결된 부분이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부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구성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위 지지부재(100), 연결 부재(400), 근위 지지부재(200) 및 전극(500)에 대해서만 도시되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원위 지지부재(100)는, S1, S2 및 S3로 표시된 바와 같이, 근위 지지부재(200)와 마주보는 표면에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근위 지지부재(200)는, S1', S2' 및 S3'로 표시된 바와 같이, 원위 지지부재(100)와 마주보는 표면에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3개의 연결 부재(400)는 각각, S1-S1', S2-S2' 및 S3-S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원위 지지부재(100)의 단차는 근위 지지부재(200)의 단차와 서로 정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연결 부재(400)의 벤딩 부위가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구성이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구성에서 근위 지지부재(20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 부재(400)는 벤딩될 수 있는데, 이때 벤딩 부위는 연결 부재(400)의 중앙에 형성되기가 쉽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같이, 각 연결 부재(400)는 길이가 동일하더라도 원위 지지부재(100) 및 근위 지지부재(200)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중앙 부분이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 부재(400)의 벤딩 부위는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구성이 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400)의 벤딩 부위가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가 오픈되어 전극(500)에 의해 열 자극이 가해지는 위치가 혈관의 한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혈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혈관에서 전극(500)의 열 자극에 의한 협착증(stenosis)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의 구성에서는, 원위 지지부재(100) 및 근위 지지부재(200) 모두에 단차가 형성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원위 지지부재(100) 및 근위 지지부재(200) 중 어느 하나에만 단차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에 대하여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는 구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연결 부재(400)가 연결되는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연결 부재(400)가 연결된 부분이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바디(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앞서 설명한 원위 지지부재(100), 근위 지지부재(200), 전극(500) 및 센싱 부재(700)를 카테터 헤드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로서, 카테터의 가장 원위 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바디(1000)는, 이러한 카테터 헤드의 근위 측 단부에 결합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 바디(10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도 1의 구성에서 카테터 헤드와 샤프트 바디(1000)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A2-A2'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도 11 및 도 12의 구성을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 바디(10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카테터에서 카테터 헤드에 비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 바디(1000)는, 카테터 헤드의 근위 단부에서 작업자(시술자)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샤프트 바디(1000)는 많은 부분이 혈관 내부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혈관 내부에서 이동이 용이하고 혈관의 형태에 따라 굴곡될 수 있도록, 부드러우며 휘어지기 쉬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 바디(1000)는, 카테터 헤드의 근위 단부, 이를테면 근위 지지부재(200)의 근위 단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카테터 헤드에 센터 부재(900)가 포함된 경우, 샤프트 바디(1000)는, 센터 부재(900)와 접촉한 상태로 상호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 바디(10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샤프트 바디(1000)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을 갖는 긴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빈 공간에는,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코어 부재(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부재(11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샤프트 바디(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코어 부재(1100)는,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샤프트 바디(1000)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부재는,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샤프트 바디(1000)와 이격됨으로써,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코어 부재(1100)는, 이러한 이격 공간, 즉 코어 부재(1100)의 외면과 샤프트 바디(1000) 사이의 비어 있는 공간이 샤프트 바디(1000)의 길이 방향(도 11의 좌우 방향)을 따라, 샤프트 바디(1000)의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계속하여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코어 부재(1100)와 샤프트 바디(100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에 포함된 코어 부재(1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4는, 코어 부재(1100)가 샤프트 바디(1000)에 포함된 구성의 단면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코어 부재(1100)는, G11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외면에 코어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코어 오목부(G11)에 의해, 코어 부재(1100)와 샤프트 바디(1000)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어 오목부(G11)는, 코어 부재(1100)의 외주면 상에서 외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코어 오목부(G11)는 코어 부재(1100)의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계속 이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코어 오목부는, 도 13의 구성과 같이, 코어 부재(1100)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연속하여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코어 오목부(G11)에 의해 샤프트 바디(1000)와 코어 부재(110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코어 부재(1100)의 외경이 샤프트 바디(1000)의 내경과 큰 차이를 갖지 않는다 하더라도, 코어 부재(1100)에 형성된 코어 오목부(G11)에 의해 코어 부재(1100)의 외주면과 샤프트 바디(1000)의 내주면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빈 공간에는, 작동 부재(30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작동 부재(300)는, 카테터 헤드와 시술자 사이 부분에서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작동 부재(300)는,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코어 오목부(G11)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즉, 코어 오목부(G11)가 작동 부재(300)의 수납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작동 부재(300)는 코어 부재(1100)와 샤프트 바디(1000) 사이에 끼이지 않고 원활하게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코어 오목부(G11)에 안착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고,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작동 부재(300)는 코어 오목부(G11)에 의해 제공되는 정해진 위치에서만 움직일 수 있게 되므로, 작동 부재(300)의 원위 단부에 연결된 지지부재, 이를테면 근위 지지부재(200)가 길이 방향으로만 움직이고 다른 방향으로는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카테터의 오픈 상태가 안정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500)이 혈관 내에서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 오목부는, 코어 부재(1100)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단면의 형태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는, 코어 부재(1100)에 대하여 길이 방향 중심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의 형태가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서 코어 오목부(G11)는, 그 표면에 모서리가 존재하지 않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코어 오목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태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코어 오목부(G11)에 접촉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때, 작동 부재(300)가 코어 오목부(G11)에 끼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작동 부재(3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의 단면 형태가 원과 같은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코어 오목부(G11)의 형태가 작동 부재(300)의 외면 형태에 대응되도록 곡선 형태로 구성되면, 작동 부재(300)는 코어 오목부(G11)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 오목부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코어 오목부는 코어 부재(110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코어 부재(1100)에 6개의 코어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6개의 코어 오목부는 코어 부재(1100)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작동 부재(300)가 둘 이상 포함되는 경우, 각 작동 부재(300)는 인접하는 코어 오목부에 위치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코어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다른 코어 오목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작동 부재(300)가 카테터에 포함된 경우, 각 작동 부재(300)는 서로 직접적으로 인접하지 않고 하나의 코어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코어 오목부는 작동 부재(300)의 개수의 2배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와 같이 작동 부재(300)의 개수가 3개인 경우, 코어 오목부(G11)는 그 2배인 6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작동 부재(300)의 이동을 통한 카테터의 오픈이나 클로우즈 동작 시, 작동 부재(300)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소정 부분에 집중되어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소정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 간 거리를 넓힘으로써 작동 부재(300) 간 간섭이나 마찰로 인해 작동 부재(300)의 이동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부재(1100)의 코어 오목부(G11)에는, 작동 부재(300)뿐 아니라,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다른 구성요소가 삽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 역시, 적어도 일부가 코어 부재(1100)의 코어 오목부(G11)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300)와 다른 코어 오목부(G11)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전원공급라인(600)이나 센싱라인(800)은, 작동 부재(300)가 삽입된 코어 오목부에 위치하지 않고, 작동 부재(300)가 삽입되지 않은 코어 오목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공급라인(600)이나 센싱라인(800)에 의해 작동 부재(300)의 이동이 방해받는 것이 방지되므로, 작동 부재(300)의 이동에 의한 카테터의 오픈 및 클로우즈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가 전원공급라인(600)이나 센싱라인(800)과 서로 다른 공간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므로, 전기적 절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라인(600)에서 전류가 누설된다 하더라도, 누설된 전류는 작동 부재(300)로 전달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절연성 확보를 위해 코어 부재(1100)는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테면, 도 15는, 도 11의 A2-A2'선에 대한 단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고도 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패싱 튜브(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싱 튜브(1200)는, 중공이 형성되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싱 튜브(1200)는,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샤프트 바디(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코어 부재(1100)에 코어 오목부(G11)가 형성된 구성의 경우, 상기 패싱 튜브(1200)는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서 적어도 일부가 코어 오목부(G11)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싱 튜브(1200)는 외면이 코어 오목부(G11)의 표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오목부가 반원 형태로 형성된 경우, 패싱 튜브(1200)는 타원형 내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패싱 튜브(1200)가 코어 오목부의 내면에 잘 삽입되어 패싱 튜브(1200)가 코어 오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은 내경을 갖는 샤프트 바디(1000)에도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싱 튜브(1200)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패싱 튜브(1200)는, 코어 부재(110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코어 부재(1100)의 외주면에 다수의 코어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패싱 튜브(1200)는, 이러한 코어 오목부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하나의 코어 오목부에 각각 하나씩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구성을 참조하면, 코어 부재(1100)에 6개의 코어 오목부(G11)가 형성된 경우, 패싱 튜브(1200) 역시 6개 포함됨으로써 하나의 코어 오목부(G11)에 하나의 패싱 튜브(1200)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싱 튜브(1200)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중공 부분에 카테터의 다른 구성요소를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는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이 위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 중 적어도 하나는, 패싱 튜브(1200)의 내부, 즉 중공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600) 및/또는 센싱라인(800)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은 카테터의 오픈/클로우즈 상태 변화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패싱 튜브(1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 이들의 길이 방향 이동이 다른 구성요소의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싱 튜브(1200)는, 중공이 원형인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600) 및/또는 센싱라인(800)의 길이 방향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 부재(300)는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과 다른 코어 오목부에 수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코어 오목부에 패싱 튜브(1200)가 구비된 경우, 작동 부재(300)는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과 다른 패싱 튜브(1200)에 수용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은 동일한 패싱 튜브(1200)에 수용되고, 작동 부재(300)는 이들과 다른 패싱 튜브(1200)에 수용될 수 있다. 특히, 패싱 튜브(1200)는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작동 부재(300)와 전원공급라인(600) 또는 센싱라인(800) 사이에 절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 부재(1100)는,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어 부재(1100)는, 도 13 및 도 14에서 V11로 표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코어 부재(1100)의 중공(V11)은 원위 측과 근위 측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부재(1100)의 중공(V11)은,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 부재(1100)의 중공(V11)에는, 샤프트 바디(1000)를 통과하는 다른 구성요소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부재(1100)의 중공(V11)에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와이어란 카테터를 시술 부위까지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로서, 카테터에 앞서 시술 부위에 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와이어는 코어 부재(1100)의 원위 단부 측을 관통하여 코어 부재(1100)의 중공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며, 카테터 헤드는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시술 부위에 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 부재(1100)의 원위 측에는 센터 부재(900)가 접촉하여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센터 부재(900)에도,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센터 부재(900)에는 V9로 표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터 부재(900)의 중공은 원위 측 단부와 근위 측 단부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센터 부재(900)의 중공(V9)은 코어 부재(1100)의 중공(V11)과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는, 센터 부재(900)의 중공을 경유하여 코어 부재(1100)의 중공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는, 코어 부재(1100)의 중공을 관통하여 코어 부재(1100)의 근위 단부 측에까지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를 활용하여 카테터 헤드를 시술 부위에까지 이동시키는 구성이 보다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여러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300)는 원위 단부가 근위 지지부재(200)에 연결되어 근위 지지부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작동 부재(300)의 작동에 의해 근위 지지부재(200)가 이동됨으로써 연결 부재(400)의 양단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 연결 부재(400)가 벤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원위 지지부재(100)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근위 지지부재(200)가 이동되는 경우, 원위 지지부재(100) 역시 근위 지지부재(200)보다 적은 거리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원위 지지부재(100)가 이동되어 연결 부재(400)가 벤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구성에서 연결 부재(400)가 벤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앞선 도 1 내지 도 15와 관련한 설명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도 1 내지 도 15에서와 마찬가지로, 원위 지지부재(100), 근위 지지부재(200), 작동 부재(300), 연결 부재(400), 전극(500), 전원공급라인(600), 센싱 부재(700) 및 센싱라인(8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카테터는, 센터 부재(900), 샤프트 바디(1000), 코어 부재(1100) 및/또는 패싱 튜브(12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6 및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작동 부재(300)의 연결 구성이 앞선 실시예들과 다르게 도시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앞선 실시예와 달리, 작동 부재(300)가 원위 지재부재에까지 연장되어 원위 단부가 원위 지지부재(10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부재(300)는, 원위 지지부재(100)에 이르기 위해, 근위 지지부재(200)를 관통할 수 있으며,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의 구간까지도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근위 지지부재(200)는 센터 부재(900)의 근위 단부 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원위 지지부재(100)는 중공이 형성되어 센터 부재(9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부재(300)가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 작동 부재(300)의 원위 단부 측에 고정된 원위 지지부재(100)가 센터 부재(900)의 표면 상에서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면,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으며,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에 연결된 연결 부재(400)가 벤딩되거나 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구성에서 작동 부재(300)가 당겨지면, 원위 지지부재(100)는 C3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 부재(400)는 벤딩되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의 오픈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작동 부재(300)가 밀어지면, 원위 지지부재(100)는 도 16의 C3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연결 부재(400)는 펴질 수 있으며, 이로써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테터의 클로우즈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원위 지지부재(100)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카테터 헤드가 보다 구조적으로 견고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원위 지지부재(100)가 이동됨으로써, 카테터 헤드의 오픈/클로우즈 변환 시 카테터 헤드가 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터 부재(900)는, 외면에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센터 오목부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은, 도 17의 A3-A3'선에 대한 절단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만, 도 1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센터 부재(900)와 작동 부재(300)만을 나타내도록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G9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센터 부재(900)의 외부 표면에는 센터 부재(9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센터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터 오목부(G9)에는, 작동 부재(3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즉, 근위 지지부재(200)와 원위 지지부재(100)의 사이 구간에서 작동 부재(300)는 센터 오목부(G9)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부재(300)는 원위 단부가 원위 지지부재(100)에 연결되어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기 대문에, 센터 오목부(G9)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의 직경을 줄일 수 있어 카테터 헤드의 소형화 달성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작동 부재(300)가 원위 지지부재(100)까지 연결되기 위해서는 근위 지지부재(200)를 관통해야 하는데, 상기 실시예의 경우, 작동 부재(300)가 관통하기 위한 별도의 홀이 근위 지지부재(200)에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의 공간에서 작동 부재(300)가 센터 오목부(G9)에 안착됨으로써 작동 부재(30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작동 부재(300)가 정해진 위치에서만 이동하게 되므로, 작동 부재(300)에 의한 원위 지지부재(10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밖에, 센터 오목부(G9)는, 형성 위치가 센터 부재(900)라는 점에서 다를 뿐, 앞선 코어 오목부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터 오목부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단면의 형태가 곡선 형상, 이를테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터 오목부(G9)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센터 오목부(G9)는, 센터 부재(90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작동 부재(300)가 둘 이상 포함되는 경우, 각 작동 부재(300)는 서로 다른 센터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대한 장점은, 앞선 코어 오목부(G11)에서 설명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터 부재(900)는, 코어 부재(1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센터 부재(9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중공을 구비하며, 외면에 하나 이상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코어 부재(1100)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터 부재(900)는, 코어 부재(1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코어 부재(1100)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코어 부재(1100)는, 카테터 헤드까지 길게 연장됨으로써 센터 부재(900)의 기능까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센터 부재(900)는 코어 부재(1100)와 동일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만, 기능적으로, 근위 지지부재(200)를 기준으로 원위 측 부분은 센터 부재(900)라 하고, 근위 측 부분은 코어 부재(1100)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센터 부재(900)의 근위 단부나 코어 부재(1100)의 원위 단부는 그 경계가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 부재(300)에 의해 원위 지지부재(100)가 이동되는 구성에 있어서, 근위 지지부재(200)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원위 지지부재(100)의 이동으로 연결 부재(400)가 벤딩될 수 있다. 다만, 원위 지지부재(100)가 이동할 때 근위 지지부재(200)가 원위 지지부재(100)보다는 적은 거리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센싱 부재(700)는, 구비 위치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부재(700)의 돌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부재(700)의 돌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9는 원위 지지부재(100)의 전단 측 부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고, 도 20은 연결 부재(400)에서 전극(500)이 장착된 부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먼저, 도 19를 참조하면, 센싱 부재(700), 이를테면 유속측정 센서가 원위 지지부재(100)의 전단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센싱 부재(700)는, 화살표 C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의 길이 방향, 즉 정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0을 참조하면, 센싱 부재(700), 이를테면 압력 센서가 연결 부재(400)의 전단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센싱 부재(700)는, 화살표 C5로 표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센싱 부재(700)가 압력 센서인 경우, 압력 센서는, 전극(500)의 높이 이상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전극(500)이 혈관 벽에 접촉되었는지 등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센싱 부재(700)가 작동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센싱 부재(70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다가, 센싱 부재(700)가 작동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센싱 부재(700)가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의 구성의 경우, 카테터 헤드가 혈관을 따라 시술 부위로 이동 중일 때에는 센싱 부재(700)가 원위 부재의 중공(V1)에 인입되어 있다가, 카테터 헤드가 시술 부위에 도달한 때에는 센싱 부재(700)가 원위 부재의 중공(V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0의 구성의 경우, 카테터 헤드가 이동 중일 때에는 센싱 부재(700)가 연결 부재(400)에 안착되어 전극(500)의 높이보다 낮은 상태로 있다가, 전극(500)에 의한 열 자극이 이루어지는 경우 전극(500)의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센싱 부재(70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센싱 부재(700)의 돌출 정도를 최소화하여 센싱 부재(700)로 인해 카테터의 이동이 방해되거나 혈관 내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센싱 부재(700)가 작동해야 될 때에는 센싱 부재(700)가 카테터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멀어져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센싱 부재(700)의 돌출 구성은 작동 부재(300)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나 도 20의 센싱 부재(700)는, 작동 부재(300)와 연결되어 작동 부재(300)가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밀어지거나 당겨짐에 따라 카테터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카테터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센싱 부재(700)의 돌출이나 인입 구성을 작동 부재(300)의 작동만으로 가능하게 하므로, 센싱 부재(700)의 돌출이나 인입을 위한 추가 구성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카테터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더욱이, 센싱 부재(700)는 카테터 헤드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작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구성으로 카테터의 조작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대해서는, 앞선 여러 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부분이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원위 단부 측, 이를테면 원위 지지부재(100)의 원위 측에 단부 팁(1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부 팁(1300)은, 부드럽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부 팁(1300)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polyether block amide; PEBA)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부 팁(1300)을 형성하는 조성물에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이외에 다른 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부 팁(1300)은, 조성물 전체 중량%로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를 70% 포함하고, 바륨 설페이트(Barium sulfate)를 30%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의 원위 단부가 혈관 등을 따라 이동할 때 부드러우면서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된 단부 팁(1300)이 가장 앞쪽에 위치하므로, 혈관 등의 손상을 줄이고,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재질의 단부 팁(1300)의 경우, X-ray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므로, 카테터 헤드의 위치 파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부 팁(1300)은 중공을 갖는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부 팁(1300)의 중공은 카테터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단부 팁(1300)이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단부 팁(1300)의 중공으로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부 팁(1300)은 6mm의 길이를 갖고, 중공의 직경이 0.7mm인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부 팁(1300)은, 카테터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부 팁(1300)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부 팁(13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 다른 부분에 비해 원위 단부의 직경이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부 팁(1300)은, 가장 두꺼운 부분의 직경이 1.3mm일 때, 원위 단부의 직경은 1.1mm로서 가장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부 팁(1300)은, 지나치게 길거나 짧지 않은 적정 수준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단부 팁(1300)의 길이는, 도 21의 좌우 방향으로 5mm 내지 15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혈관의 내부 공간이나 쉬스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데 있어 단부 팁(1300)으로 인해 이동에 방해받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단부 팁(1300)의 휘어진 정도 및 방향 등을 파악하여, 단부 팁(1300)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혈관의 모양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팁 센싱 부재(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팁 센싱 부재(1400)는, 단부 팁(1300)에 구비되어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팁 센싱 부재(1400)는 유속측정 센서일 수 있다. 단부 팁(1300)은 카테터의 최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의 경우, 유속측정 센서와 같은 센싱 부재(700)가 카테터의 정면을 바라보도록 하는 구성은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부 팁(1300)은, 팁 센싱 부재(140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팁 센싱 부재(1400)는, 이러한 단부 팁(13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팁 센싱 부재(1400)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단부 팁(13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가, 팁 센싱 부재(1400)가 작동될 때에는 단부 팁(1300)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팁 센싱 부재(1400)의 돌출 구성은, 작동 부재(300)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은, 도 19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설명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성 및 효과 등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 부재(700)는, 원위 지지부재(100), 근위 지지부재(200), 연결 부재(400) 및/또는 단부 팁(1300)의 표면에 곡선 형태로 벤딩되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위 지지부재(100), 근위 지지부재(200), 연결 부재(400) 및/또는 단부 팁(1300)은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구성요소들의 표면은 곡선 형태, 이를테면 카테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센싱 부재(700)를 이들 구성요소의 표면에 곡선 형태로 벤딩되어 부착되도록 하는 경우, 센싱 부재(700)의 돌출 정도를 최소화하여 센싱 부재(700)로 인해 카테터의 이동이 방해받거나 혈관 내벽을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판 형태의 부재가 벤딩을 통해 입체적으로 변형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싱 부재(700)는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성되어,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가 벤딩되기 전에, 이들이 판 형태인 상태에서 센싱 부재(700)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가 벤딩되어 그 표면이 곡선 형태를 갖게 되더라도, 센싱 부재(700) 역시 벤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에 대한 센싱 부재(700)의 장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경차단 장치는, 상술한 카테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경차단 장치는, 이러한 신경차단용 카테터 이외에 에너지 공급 유닛 및 상대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 공급 유닛은, 전원공급라인(600)을 통해 전극(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대 전극은 다른 라인을 통해 에너지 공급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에너지 공급 유닛은, 고주파 등의 형식으로 에너지를 카테터의 전극(500)에 공급할 수 있으며, 카테터의 전극(500)에서는 열이 발생되어 혈관 주변의 신경에 열 자극을 가함으로써 신경이 차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원위, 근위, 상, 하, 좌, 우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것일 뿐, 관측자의 관측 위치나 물체의 배치 형태에 따라 다른 용어로 대체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 원위 지지부재
200: 근위 지지부재
300: 작동 부재
400: 연결 부재
500: 전극
600: 전원공급라인
700: 센싱 부재
800: 센싱라인
900: 센터 부재
1000: 샤프트 바디
1100: 코어 부재
1200: 패싱 튜브
1300: 단부 팁
1400: 팁 센싱 부재
1500: 멀티플렉서

Claims (19)

  1. 상호 간 소정 거리 이격되고, 적어도 하나가 중공을 갖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중공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2개의 변이 결합 고정된 원위 지지부재 및 근위 지지부재;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며, 원위 단부가 상기 원위 지지부재 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원위 지지부재 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원위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근위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 부재에 의해 상기 원위 지지부재와 상기 근위 지지부재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상기 원위 지지부재 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의 중공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연결 부재;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의 벤딩 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전극;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원공급경로를 제공하는 전원공급라인;
    상기 원위 지지부재, 상기 근위 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싱 부재;
    상기 센싱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센싱 부재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센싱라인;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근위 지지부재의 근위 단부 측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작동 부재,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샤프트 바디; 및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이격 부분이 상기 샤프트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형성되도록 구성된 코어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부재는, OCT 센서, 유속측정 센서, IVUS 센서 및 생체전기신호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측정 센서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의 내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의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전극 이상의 높이를 갖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부재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 및 상기 근위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곡선 형태로 벤딩되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하여, 라인을 분기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지지부재 및 상기 근위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 부재가 연결된 부분이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 상기 근위 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9. 제1항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위 지지부재 및 상기 근위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원위 지지부재 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가 외측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센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부재는 외면에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센터 오목부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작동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센터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재는, 외면에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코어 오목부가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어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은, 상기 작동부재와 다른 코어 오목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중공을 구비하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코어 오목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중공에 상기 작동 부재,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패싱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지지부재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근위 지지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의 원위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근위 지지부재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원위 지지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의 원위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지지부재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는 단부 팁; 및
    상기 단부 팁에 구비되어 센싱 동작을 수행하는 팁 센싱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팁은 상기 팁 센싱 부재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팁 센싱 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에 인입되거나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9. 제1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5항, 제17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테터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KR1020150028358A 2015-02-27 2015-02-27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KR102054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358A KR102054003B1 (ko) 2015-02-27 2015-02-27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358A KR102054003B1 (ko) 2015-02-27 2015-02-27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108A KR20160105108A (ko) 2016-09-06
KR102054003B1 true KR102054003B1 (ko) 2019-12-12

Family

ID=56946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358A KR102054003B1 (ko) 2015-02-27 2015-02-27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0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0748A (ja) * 2004-10-05 2012-06-14 Medtronic Ardian Luxembourg Sarl 腎臓神経調節装置
KR101399555B1 (ko) * 2013-02-05 2014-05-27 주식회사 한독 신경차단용 카테터
US20140276746A1 (en) 2013-03-15 2014-09-18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two or more sites along denervation cathet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3136A1 (en) * 2003-08-01 2005-02-10 Assaf Govari Catheter with electrode strip
KR101522017B1 (ko) * 2013-02-20 2015-05-20 주식회사 한독 신경차단용 카테터
KR101436515B1 (ko) * 2013-02-05 2014-09-01 주식회사 한독 신경차단용 카테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0748A (ja) * 2004-10-05 2012-06-14 Medtronic Ardian Luxembourg Sarl 腎臓神経調節装置
KR101399555B1 (ko) * 2013-02-05 2014-05-27 주식회사 한독 신경차단용 카테터
US20140276746A1 (en) 2013-03-15 2014-09-18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two or more sites along denervation cath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108A (ko)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7572B1 (en) Medical ultrasound device with force detection
JP5576274B2 (ja) 改良されたカテーテル
EP2618881B1 (en) Catheter electrode assemblies
BR112015002311B1 (pt) Dispositivo de ablação elétrica e método de tratar tecido eletrocirurgicamente
US200901317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ing echogenic components in ultrasonic imaging fields
ES2440598T3 (es) Aparato para llevar a cabo procedimientos diagnósticos y/o terapéuticos
EP3058969B1 (en) Injection device for endoscopy
WO2007124265A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tissue
US20210030462A1 (en) Catheter device
KR102092926B1 (ko)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CN117257438B (zh) 双能量标测消融导管
CN114366250B (zh) 套筒、注射装置、注射系统、消融装置及消融系统
WO2014152344A2 (en) Device for intravascular therapy and/or diagnosis
KR101370048B1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KR102067773B1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KR20140100168A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KR102054003B1 (ko)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
KR102033760B1 (ko) 카테터 및 그 제조 방법
JP2016523584A (ja) 逆ループ型アブレーション器具
KR102033759B1 (ko) 카테터 및 그 제조 방법
JP7396805B2 (ja) 角度付き遠位面を有するシース先端部
JP2023025694A (ja) 腎交感神経焼灼術のための方法
JP3641427B2 (ja) 内視鏡下外科手術用超音波探触子
KR20130142705A (ko) 고혈압 치료용 고주파 카테터 전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