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003A -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들 - Google Patents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003A
KR20150115003A KR1020157024056A KR20157024056A KR20150115003A KR 20150115003 A KR20150115003 A KR 20150115003A KR 1020157024056 A KR1020157024056 A KR 1020157024056A KR 20157024056 A KR20157024056 A KR 20157024056A KR 20150115003 A KR20150115003 A KR 20150115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access
requestor
proximity
conn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4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1253B1 (ko
Inventor
커스틴 존슨
알렉산드레 사소 스토자노브스키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115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04W76/02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04W52/244Interferences in heterogeneous networks, e.g. among macro and femto or pico cells or other sector / system interference [O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6/0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들을 제공하는 다양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들을 제공하는 근접 서버는, 근접 서비스 서버에서 요청자 UE(User Equipment)로부터 요청자 UE를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이러한 요청은 접속 UE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를 포함함 -; 요청자 UE가 접속 UE에 접속하기 위한 승인을 확인하는 승인 모듈; 및 이러한 확인에 기초하여, 요청자 UE와 접속 UE 사이의 다이렉트 발견에 사용하기 위한 제1 LLID(Link Layer IDentifier)를 접속 UE에 제공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들{IDENTIFIERS FOR PROXIMITY SERVICES}
<관련된 출원>
본 출원은 2013년 12월 26일 출원된 미국 출원 14/141,236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는 2013년 4월 5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61/809,15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모두는 그 전부가 참조로써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디바이스간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개발되는,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LTE-Advanced) 표준들을 포함한다. D2D(Device-to-Device) 통신은 LTE-A를 위해 개발되는 기술 컴포넌트이다. D2D 통신에서, UE(User Equipment)는 BS(Base Station)를 사용하는 대신에 다이렉트 셀룰러 링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상호 송신한다.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되는 것은 아닌 도면들에서, 유사한 번호들은 상이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기술할 수 있다. 상이한 문자 접미사들을 갖는 유사한 번호들은 유사한 컴포넌트들의 상이한 경우들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의 도면들에서, 제한이 아닌 예로써, 도시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및 제어 흐름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및 제어 흐름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들을 제공하는 근접 서버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들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예시적인 구성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에서 논의되는 기술들(예를 들어,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수행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600)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에서 논의되는 기술들(예를 들어,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머신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머신(예를 들어, UE(User Equipment))의 기능 블럭도를 도시한다.
디바이스간 발견 또는 통신들과 같은, 근접 서비스들이, 적절히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UE들이 자신들 및 근접 피어 디바이스들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Wi-Fi Direct® 표준에서, UE들은 디바이스 발견 동안 그들의 영구 MAC ID(Media Address Control IDentification)들을 광고한다. 그러나,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다이렉트 발견/통신들을 위한 현재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다이렉트 통신의 경우에, W-Fi Direct®는 UE의 영구 MAC ID를 사용하며, 이는 다이렉트 발견 동안 자신의 존재를 광고할 때 UE가 익명으로 남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경우 바람직하지 않다.
본 문헌에서는, E-UTRA 및 WLAN 다이렉트 통신 양자 모두를 위한 근접 서비스들의 목적으로 UE 식별의 여러 메커니즘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메커니즘들은 2개 시스템 아키텍처들의 정황에서 설명되는데: 하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들이 근접 서비스들 서버와 공동 배치되는 것이고, 하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들이 별도 엔티티들인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및 제어 흐름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각각 각자의 근접 서버(100, 102)에 통합된다. 단일 애플리케이션/근접 서버의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의 근접 서비스 식별자를 정의할 수 있는데, 이는 근접 서버(100, 102)에서 "친구 목록들(buddy lists)"을 수립하는 용도로 친구들과 공유된다. 친구 목록은 다른 사용자들이 해당 사용자와 직접 발견 및/또는 통신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각각의 UE(104, 106)는, 그들 각자의 근접 서비스들 서버(100, 102)에 등록할 수 있고, 근접 서비스들 정보(예를 들어, 발견 승인들, 친구 목록들, 가용 공유 콘텐츠, 인가된 애플리케이션들 등)를 제공할 수 있다. 각자의 UE들(104, 106)의 사용자들은 모든 근접 서비스들 가능형 애플리케이션들과 사용될 수 있는 근접 서비스 ID를 지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들은 근접 서비스들 가능형 애플리케이션마다 App ID(Application IDentifier)를 지정할 수 있다. 주어진 애플리케이션을 대한 친구 목록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것이 이러한 근접 서비스 ID 또는 App ID이다.
이에 대해, 근접 서버(100, 102)는 다이렉트 발견을 위해 사용될 LLID(Link Layer ID)를 각자의 UE(104, 106)에 제공한다. 이러한 LLID는 장기적일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다이렉트 발견에 참여할 때마다 갱신되는 것일 수 있다. 후자의 옵션은, 그 순간 해당 UE의 근접 서비스 ID와 LLID 사이의 맵핑을 받지 못한 모든 UE들에게, 해당 UE가 다이렉트 발견 동안 익명으로 남게 해준다.
사용자가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특정 사용자를 찾는 일 예에서, UE A(104) 및 UE B(106)는, 그들 각자의 근접 서버들(100, 102)에 등록할 수 있고, 그들의 근접 서비스 ID들(예를 들어, UE A 및 B에 대한 근접 서비스 ID에 대해 각각 ProSeA 및 ProSeB)을 지정할 수 있다. UE A 및 UE B의 사용자들은 상호 알고, 따라서, 이들은 자신들의 서비스 ID들을 공유하고, 그들 각자의 근접 서버들(100, 102)에 의해 상호를 "친구들(buddies)"로서 상호 목록에 포함시킨다. UE A의 사용자가 UE B의 사용자와 직접 접속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그는 다이렉트 발견의 목적으로 자신의 식별자(ProSeA) 및 ProSeB에 대한 임시 LLID들에 대한 요청을 자신의 근접 서버(100)에 보낸다(화살표 1). 근접 서버 A(100)는 이러한 요청을 UE A의 근접 서비스 ID 및 UE A(104)에 대한 임시 LLID를 식별하는 근접 서버 B(102)에 보낸다(화살표 2). 화살표 3에서, 근접 서버 B(102)는 근접 서비스 ID들에 기초하여 UE B(106)를 발견하는 UE A의 승인을 확인하고, UE B에 대해 임시 LLID를 생성한다. 근접 서버 B(102)는 그리고 나서 이러한 임시 LLID를 UE B(106)(화살표 4A) 및 근접 서버 A(100)(화살표 4B)에 전달한다. 또한, 근접 서버 B(102)는 공통 다이렉트 발견 주기를 제시할 수 있다. 화살표 5에서, 근접 서버 A(100)는 UE B에 대한 임시 LLID (및 잠재적으로 공통 다이렉트 발견 주기)를 UE A(104)에 전달한다. 화살표 6에서, UE A(104) 및 UE B(106)은 그들의 임시 LLID들을 사용하여 다이렉트 발견에 참여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근접 서버가 별도의 엔티티들인 경우, UE들을 식별하는 프로세스는 다소 더 복잡하게 된다. 이러한 다음 섹션에서, 2개의 잠재적 메커니즘들이 설명된다: 하나는 UE가 근접 서비스 ID를 통해 애플리케이션과 근접 서버들 사이에서 식별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신의 영구 퍼블릭 ID에 의해 이것이 식별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근접 서비스들에 가입할 때는, 인증서들과 함께 근접 서비스 ID라 하는 영구 식별자가 할당된다. 근접 서비스 ID는, 이것이 가입되는 사용자 및 PLMN 양자 모두를 식별하는 방식으로 인코드될 수 있고(예를 들어, user@operator.com), 근접 서버를 식별하는 참조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user@proseserver.operator.com). 대안적으로, 기존 영구 식별자는 근접 서비스 ID로서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MSISDN 또는 SIP URI). 근접 서비스 ID는 근접 서버로 인증할 때 사용자에 의해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주장하는데 사용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할 때(그가 멤버인 다수가 존재할 수 있음), 사용자는 App ID(Application ID)를 지정하거나 또는 지정받는다. 그리고 나서, 애플리케이션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인가되어 가입자가 근접 서비스들을 사용하면/사용할 때, UE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그의 근접 서비스 ID를 제공하고(이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사용자가 어느 근접 서버에 속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음),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근접 서버와 인증을 행한다. 인증이 성공적이면,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미래 참조를 위해 근접 서비스 ID를 (사용자의 App ID와 관련하여) 저장한다. UE와 근접 서버 사이의 모든 통신은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중계된다는 점에 주목하자.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및 근접 서버들에 의해, (친구 목록들, 가용 공유 콘텐츠 등과 같은) 모든 애플리케이션 관련된 정보가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수용되는 한편, (발견 승인들,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서버들 등과 같은) 근접 서비스 관련된 정보는 근접 서버에 수용된다. 사용자가 그의 친구 목록에 친구를 추가하기를 원할 때, 그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이러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근접 서비스는 그들의 App ID와 관련된 근접 서비스 ID를 갖는 친구들과만 작업한다. 나중에, 사용자가 그의 친구와 직접 접속하거나 또는 단지 그의 친구를 발견하기를 원할 때, 그의 UE는 각각 이러한 요청을 그의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보낼 수 있고, 이는, 이들이 친구들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이러한 요청을 그의 친구의 근접 서버에 전달한다. 대안적으로, 사용자의 UE는 이러한 요청을 그의 근접 서버에 직접 보낼 수 있고, 이는 이것을 그의 친구의 근접 서버에 전달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및 제어 흐름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2개의 사용자 장비(UE A(200) 및 UE B(202))는 애플리케이션 서버(204)와 접속할 수 있고, 이는 근접 서버 A(206) 또는 근접 서버 B(208)에 정보를 중계한다. UE A(200)의 사용자는, 자신의 애플리케이션 ID(AppID A)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204)에 서명하고, 자신의 근접 서비스 ID(ProxID A)를 제공한다(화살표 1A). 애플리케이션 서버(204)는, ProxID A로부터 PLMN ID를 추출하고, 사용자 A의 근접 서버 A(206)을 접촉한다(화살표 2A). UE A(200)는 그리고 나서 애플리케이션 서버(204)를 통해 근접 서버 A(206)와 투명하게 인증할 수 있다(화살표 3A). 화살표 4A에서, 근접 서버 A(206)는 인증이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애플리케이션 서버(204)에 나타내고, 애플리케이션 서버(204)는 UE A(200)로부터의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ProxID A 식별자를 저장한다. 유사하게, UE B(202)의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ID(AppID B)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204)에 서명하고, 자신의 근접 서비스 ID(ProxID B)를 제공하고,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화살표들 1B-4B).
화살표 5에서, UE A(200)의 사용자는 그의 근접 서비스 가능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것을 요청한다. App 서버는, 어느 사용자들이 요구되는 근접 서비스 승인들(예를 들어, UE A가 그들과 직접 접속하게 함) 뿐만 아니라 요청된 콘텐츠를 갖고 있는지를 알아보도록 체크하고, 그들의 ProxID들을 (UE A의 ProxID A와 함께) 근접 서버 A(206)에 전달한다. 근접 서버 A(206)는, 식별된 UE들 중 임의의 것이 UE A(200)에 근접하여 있는지를 판정하고, (그들 각자의 근접 서버들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UE A(200)가 그들을 발견할 승인을 갖는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204)에 리턴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204)는 그리고 나서 이러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UE A(200)에 전달한다(화살표 6).
UE A(200)의 사용자는 UE B(202) 상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어느 사용자를 그가 접속하기를 원하는지를 확인하고, 애플리케이션 서버(204)는 이러한 요청을 (예를 들어, 화살표 7에서 "PLMNA의 ProxID A가 ProxID B에 접속하기를 원함"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근접 서버 B(208)에 전달한다.
근접 서버 B(208)는, ProxID A가 ProxID B를 발견하는 것이 승인된다는 것을 재확인하고, UE B(202)에 대해 임시 LLID를 생성하고(LinkB), 이러한 LLID (및 잠재적으로 공통 발견 주기)를 근접 서버 A(206)에 전달한다. 근접 서버 A(206)는, UE A에 대해 임시 LLID를 생성하고(LinkA), 이러한 LLID를 (이를 다시 UE B에 전달하는) 근접 서버 B(208)에 전달하고, LLID 및 제시된 발견 주기를 UE A에 전달한다. 화살표 11에서, UE A(200) 및 UE B(202)는 그들의 LLID들, LinkA 및 LinkB를 사용하여 다이렉트 발견에 참여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들을 제공하는 근접 서버(300)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근접 서버(300)는, 수신 모듈(302), 승인 모듈(304), 및 출력 모듈(306)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302)은 근접 서비스 서버에서 요청자 UE(User Equipment)로부터 요청자 UE를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요청은 접속 UE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요청자 UE를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수신 모듈(302)은, 요청자 UE로부터 요청을 처음 수신하였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요청자 UE를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수신 모듈(302)은, 요청자 UE로부터 요청을 처음 수신하였던 제2 근접 서비스 서버로부터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제2 근접 서비스 서버는 요청자 UE와 접속 UE 사이의 다이렉트 발견에 사용하기 위한 제2 LLID를 요청자 UE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 모듈(306)은 제2 LLID를 접속 UE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요청은 요청이 다이렉트 발견을 위한 것이라는 표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는 접속 UE의 사용자 및 접속 UE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식별하기 위해 인코드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는 접속 UE의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 또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승인 모듈(304)은 요청자 UE가 접속 UE에 접속하기 위한 승인을 확인할 수 있다.
출력 모듈은, 이러한 확인에 기초하여, 요청자 UE와 접속 UE 사이의 다이렉트 발견에 사용하기 위한 제1 LLID(Link Layer IDentifier)를 접속 UE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 모듈은, 요청자 UE가 접속 UE에 접속할 수 있다는 승인을 확인한 이후, 요청자 UE에 공통 다이렉트 발견 주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LLID들은 1회용으로 구성되고, 근접 서버는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자 UE에 의한 나중의 요청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LLID들을 갱신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를 제공하는 방법(4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블럭 402에서는, 요청자 UE를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이 근접 서비스 서버에서 요청자 UE로부터 수신되고, 이러한 요청은 접속 UE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요청자 UE를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것은, 요청자 UE로부터 요청을 처음 수신하였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요청자 UE를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것은, 요청자 UE로부터 요청을 처음 수신하였던 제2 근접 서비스 서버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2 근접 서비스 서버는 요청자 UE와 접속 UE 사이의 다이렉트 발견에 사용하기 위한 제2 LLID를 요청자 UE에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제2 LLID를 접속 UE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요청은 요청이 다이렉트 발견을 위한 것이라는 표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는 접속 UE의 사용자 및 접속 UE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식별하기 위해 인코드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는 접속 UE의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 또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블럭 404에서는, 요청자 UE가 접속 UE에 접속하기 위한 승인이 확인된다.
블럭 406에서는, 이러한 확인에 기초하여, 요청자 UE와 접속 UE 사이의 다이렉트 발견에 사용하기 위한 제1 LLID(Link Layer IDentifier)가 접속 UE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요청자 UE가 접속 UE에 접속할 수 있다는 승인을 확인한 이후, 요청자 UE에 공통 다이렉트 발견 주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LLID들은 1회용으로 구성되고, 본 방법은,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자 UE에 의한 나중의 요청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LLID들을 갱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아키텍처(500)의 예시적인 구성의 도면이다. 통신 네트워크 아키텍처(500) 내에는, IEEE 802.11 호환가능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캐리어 기반의 네트워크 또는 3GPP 표준 패밀리들로부터의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LTE/LTE-A 셀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장비(502)에 의해 수립된다. 네트워크 장비(502)는, 통신 디바이스들(504A, 504B, 504C)(예를 들어, UE(User Equipment) 또는 통신 스테이션(STA))과 통신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Wi-Fi 핫스팟, 또는 eNodeB(enhanced or evolved Node B)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기반의 네트워크는 통신 디바이스들(504A, 504B, 504C) 각자와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들(506A, 506B, 506C)을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들(504A, 504B, 504C)은, 통합된 또는 외부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를 갖는, 스마트폰, 모바일 폰 핸드셋, 및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폼 팩터들에 따르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네트워크 장비(502)는 클라우드 네트워크(516)에서 네트워크 서버들(518)에 네트워크 접속(514)을 통해 접속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다. 네트워크 서버들(518) 또는 임의의 하나 개별적 서버는, 디바이스 위치, 사용자 프로필들, 사용자 정보, 웹 사이트들, 이메일 등을 포함하는 여러 타입들의 정보를 통신 디바이스들(504A, 504B, 504C)에 제공하거나 또는 이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위치 서버가 네트워크 서버들(518)에 포함되며, 위치 서버는 NILR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통신 디바이스(504)로부터 위치 보고를 요청하는 비상 상황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술들은, 네트워크 장비(502)에 관하여, 다양한 통신 디바이스들(504A, 504B, 504C)의 위치의 판정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 디바이스들(504A, 504B, 504C)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범위에 있거나 또는 근처에 있는 네트워크 장비(502)와 통신할 수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접속(506A)은 모바일 디바이스(504A)(예를 들어, 스마트폰)와 네트워크 장비(502) 사이에 수립될 수 있고; 접속(506B)은 모바일 디바이스(504B)(예를 들어, 휴대폰)와 네트워크 장비(502) 사이에 수립될 수 있으며; 접속(506C)은 모바일 디바이스(504C)(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502) 사이에 수립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504A, 504B, 504C)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들(506A, 506B, 506C)은, Wi-Fi 또는 IEEE 802.11 표준 프로토콜, 또는 현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TDD(Time Division Duplex)-Advanced 시스템들과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네트워크(516) 및 네트워크 장비(502)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을 사용하고 TDD(Time Division Duplexing) 모드로 동작하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을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들(504A, 504B, 504C)은, Wi-Fi 또는 IEEE 802.11 표준 프로토콜, 또는 3GPP, LTE 또는 TDD-Advanced와 같은 프로토콜, 또는 이들 또는 다른 통신 표준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수신기들, 송신기들 또는 송수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들(504A, 504B, 504C)에 있는 또는 그 상의 안테나들은, 하나 이상의 지향성 또는 무지향성(omnidirectional)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다이폴(dipole) 안테나들, 모노폴(monopole) 안테나들, 패치(patch) 안테나들, 루프(loop) 안테나들,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안테나들, 또는 RF 신호들의 송신에 적합한 다른 타입들의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둘 이상의 안테나들 대신에, 다수의 개구들(apertures)을 갖는 단일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개구는 개별 안테나로 고려될 수 있다. 일부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실시예들에서, 안테나들은, 안테나들 각각과 송신국의 안테나들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 및 상이한 채널 특성들을 이용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부 MIMO 실시예들에서, 안테나들은 파장의 1/10까지 또는 그 이상 분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디바이스(504A)는, 키보드, 디스플레이, 불휘발성 메모리 포트, 다수의 안테나들,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스피커들,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엘리먼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LCD 스크린일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504B)는 통신 디바이스(504A)와 유사하지만, 동일할 필요는 없다. 통신 디바이스(504C)는 통신 디바이스(504A)에 관하여 설명되는 특징들, 컴포넌트들 또는 기능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eNodeB(enhanced or evolved Node B)와 같은, 기지국은, 통신 디바이스(504A)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들에 무선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500)은 3개의 통신 디바이스들(504A, 504B, 504C)을 묘사하지만, 다수 사용자들, 디바이스들, 서버들 등의 임의의 조합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장비(50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빌딩, 캠퍼스, 몰 구역(mall area) 또는 다른 구역 같은, 장소에 위치되는 3명 이상의 사용자들은, 네트워크 장비(502)와 독립적으로 통신하기 위해 임의 수의 모바일 무선 가능형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통신 시스템(500)은 하나보다 많은 네트워크 장비(5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기지국들은,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크 장비(502)의 적어도 2개 인스턴스들과 통신할 수 있는 중첩 커버리지 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500)이 여러 분리된 기능적 엘리먼트들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2 이상의 기능적 엘리먼트들은, 조합될 수 있고, DSP들(Digital Signal Processors)을 포함하는 처리 엘리먼트들과 같은 소프트웨어 구성된 엘리먼트들, 및/또는 다른 하드웨어 엘리먼트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엘리먼트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들,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RFIC들(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s), 및 적어도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로직 회로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템(500)의 기능적 엘리먼트들은 하나 이상의 처리 엘리먼트들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말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판독가능 스토리지 디바이스 상에 저장되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스토리지 디바이스는 정보를 머신(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저장하는 임의의 비일시적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스토리지 디바이스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매체, 광 스토리지 매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다른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및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템(5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디바이스 상에 저장되는 명령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기술들(예를 들어,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수행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600)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프로세서(6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적합한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프로세서들의 다양한 상이한 타입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XScale 아키텍처 마이크로프로세서, MIPS(Microprocessor without Interlocked Pipeline Stages) 아키텍처 프로세서, 또는 다른 타입의 프로세서이다.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타입의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620)는 통상적으로 프로세서(610)에 액세스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640) 뿐만 아니라 OS(Operating System)(630)를 저장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OS(630)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640)은, 모바일 디바이스(600)의 프로세서(610)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논의되는 기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62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직접 또는 적절한 중간 하드웨어를 통해, 키패드, 터치 패널 센서, 마이크로폰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I/O) 디바이스들(660) 및 디스플레이(650)에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10)는 안테나(690)와 인터페이스하는 송수신기(670)에 연결될 수 있다. 송수신기(670)는, 모바일 디바이스(600)의 속성에 따라서, 안테나(690)를 통해, 셀룰러 네트워크 신호들, 무선 데이터 신호들, 또는 다른 타입의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 양자 모두를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들에서, GPS 수신기(680)는 또한 안테나(690)를 사용하여 GPS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기술들(예를 들어,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머신(700)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머신(700)은 독립형 디바이스에서 동작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머신들에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네트워크됨). 네트워크된 배치에서, 머신(700)은, 서버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환경들에서, 서버 머신, 클라이언트 머신, 또는 양자 모두의 자격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머신(700)은 P2P(Peer-to-Peer)(또는 기타 분산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피어 머신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머신(700)은 PC(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전화, 웹 기기, 또는 그 머신에 의해 취해질 액션들을 구체화하는 명령어들을 (순차적 또는 다른 방식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머신일 수 있다. 또한, 단일의 머신만이 도시되지만, "머신"이라는 용어는, 클라우드 컴퓨팅, SaaS(Software as a Service), 기타 컴퓨터 클러스터 구성들과 같은, 본 명세서에 논의되는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명령어의 세트(또는 복수 세트)를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실행하는 머신들의 임의의 집합을 포함하는 것으로도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들은, 로직 또는 다수의 컴포넌트들, 모듈들 또는 메커니즘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모듈들은, 특정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유형의(tangible) 엔티티들이며, 특정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회로들은 모듈로서 특정된 방식으로(예를 들어, 내부적으로 또는 다른 회로들과 같은 외부 엔티티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들(예를 들어, 독립적인,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 컴퓨터 시스템) 또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특정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모듈로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명령들, 애플리케이션 부분,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소프트웨어는, (1) 비 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매체 상에, 또는 (2) 송신 신호에 존재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소프트웨어는, 모듈의 기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때, 하드웨어가 특정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한다.
따라서, "모듈"이라는 용어는, 유형의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정된 방식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임의의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물리적으로 구성되거나, 구체적으로 구성되거나(예를 들어, 배선됨), 또는 임시로(예를 들어, 일시적으로) 구성되는(예를 들어, 프로그램되는) 엔티티인 것으로 이해된다. 모듈들이 임시로 구성되는 예들을 고려하면, 각각의 모듈들이 시간 상 임의의 한 순간에 예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모듈들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범용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 범용 하드웨어 프로세서는 상이한 시간들에 각자의 상이한 모듈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하나의 시간 인스턴스에서 특정 모듈을 구성하고, 상이한 시간 인스턴스에서 상이한 모듈을 구성하도록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구성할 수 있다.
머신(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700)은, 하드웨어 프로세서(702)(예를 들어, 처리 유닛, GPU(Graphics Processing Unit), 하드웨어 프로세서 코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메인 메모리(704), 및 정적 메모리(70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링크(708)(예를 들어, 버스, 링크, 상호접속 등)를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머신(7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 입력 디바이스(712), 및 UI(User Interface) 네비게이션 디바이스(714)(예를 들어, 마우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 입력 디바이스(712), 및 UI 네비게이션 디바이스(714)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머신(700)은 대용량 스토리지(예를 들어, 드라이브 유닛)(716), 신호 생성 디바이스(718)(예를 들어, 스피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720),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콤파스, 가속도계, 또는 기타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72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머신(700)은, 하나 이상의 주변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프린터, 카드 리더 등)을 통신 또는 제어하기 위한, 직렬(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병렬, 또는 기타 유선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IR)) 접속과 같은, 출력 제어기(728)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스토리지(716)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술들 또는 기능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구현하거나 또는 이에 의해 이용되는 데이터 구조들 또는 명령들(724)(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하나 이상의 세트가 저장된 머신 판독가능 매체(722)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724)는 또한, 머신(700)에 의한 그 실행 동안에,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메인 메모리(704) 내에, 정적 메모리(706) 내에, 또는 하드웨어 프로세서(702)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드웨어 프로세서(702), 주 메모리(704), 정적 메모리(706), 또는 대용량 스토리지(716)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722)가 단일 매체로서 도시되지만, "머신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724)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단일 매체 또는 다수의 매체(예를 들어, 중앙집중형 또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연관된 캐시들 및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머신(7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거나, 인코딩하거나, 반송할 수 있으며, 머신(700)으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기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거나, 또는 이러한 명령어들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된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하거나, 인코딩하거나 반송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머신 판독 가능 매체 예들은, 고체 상태 메모리들, 및 광학 및 자기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의 특정 예들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내부 하드 디스크들 및 이동식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스크들; 자기-광학 디스크들;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724)는 또한 다수의 송신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프레임 릴레이, IP(Internet Protocol),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 중 임의의 하나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720)를 통해 송신 매체를 사용하여 통신 네트워크(726)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송신 매체"라는 용어는, 머신(700)에 의한 실행을 위해 명령어들을 저장, 인코딩 또는 반송할 수 있는 임의의 무형의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통신 신호들 또는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통신을 촉진하기 위한 다른 무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저장된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디바이스는 정보를 머신(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비일시적인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디바이스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매체, 광 스토리지 매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다른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및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머신(800)(예를 들어, UE(User Equipment))의 기능 블럭도를 도시한다. UE(800)는 하나 이상 안테나들(804)을 사용하여 eNB들에/eNB들로부터 신호들을 송신/수신하기 위한 PHY(PHYsical layer circuitry)(802)를 포함할 수 있다. UE(800)는, 또한, 다른 것들 중에서 채널 추정기를 포함할 수 있는 처리 회로(806)를 포함할 수 있다. UE(800)는 또한 메모리(808)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는 eNB로의 송신을 위해 이하 논의되는 여러 상이한 피드백 값들을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는 또한 MAC(Media Access Control) 레이어(8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800)는, 키보드, 디스플레이, 불휘발성 메모리 포트, 다수의 안테나들,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스피커들,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엘리먼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LCD 스크린일 수 있다.
UE(800)에 의해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804)는, 하나 이상의 지향성 또는 무지향성(omnidirectional)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다이폴(dipole) 안테나들, 모노폴(monopole) 안테나들, 패치(patch) 안테나들, 루프(loop) 안테나들,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안테나들, 또는 RF 신호들의 송신에 적합한 다른 타입들의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둘 이상의 안테나들 대신에, 다수의 개구들(apertures)을 갖는 단일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개구는 개별 안테나로 고려될 수 있다. 일부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실시예들에서, 안테나들은, 안테나들 각각과 송신국의 안테나들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 및 상이한 채널 특성들을 이용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부 MIMO 실시예들에서, 안테나들은 파장의 1/10까지 또는 그 이상 분리될 수 있다.
UE(800)가 여러 분리된 기능적 엘리먼트들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2 이상의 기능적 엘리먼트들은, 조합될 수 있고, DSP들(Digital Signal Processors)을 포함하는 처리 엘리먼트들과 같은 소프트웨어 구성된 엘리먼트들, 및/또는 다른 하드웨어 엘리먼트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엘리먼트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들,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RFIC들(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s), 및 적어도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로직 회로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능적 엘리먼트들은 하나 이상의 처리 엘리먼트들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말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상에 저장되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는 정보를 머신(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저장하는 임의의 비일시적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스토리지 디바이스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매체, 광 스토리지 매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다른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및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UE(80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800)는 OFDMA 통신 기술에 따라서 멀티캐리어 통신 채널을 통해 OFDM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FDM 신호들은 복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광역 멀티캐리어 실시예들에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발명의 주제의 범위가 이러한 점에서 제한되지 않을지라도, eNB들(매크로 eNB와 피코 eNBs를 포함함)은,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 네트워크 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LTE(Long-Term-Evolution) 또는 LTE(Long-Term-Evolution)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BWA(Broadband Wireless Access) 네트워크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광역 멀티캐리어 실시예들에서, UE(800) 및 eNB들은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TRAN LTE 표준들은, 그 변형들 및 진화들을 포함하는, UTRAN LTE에 대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들(2008년 3월 8판 및 2010년 12월 10판)을 포함한다.
일부 LTE 실시예들에서, 무선 리소스의 기본 단위는 PRB(Physical Resource Block)이다. PRB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12개 서브 캐리어들 x 시간 도메인에서의 0.5 ms를 포함할 수 있다. PRB들은 (시간 도메인에서) 쌍들로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PRB는 복수의 RE들(Resource Elements)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RE는 하나의 서브 캐리어 x 하나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CIS-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s) 및/또는 CRS(Common Reference Signal)를 포함하는 2개 타입들의 기준 신호들이 eNB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DM-RS는 데이터 복조를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기준 신호들은 소정의 PRB들에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OFDMA 기술은, 상이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FDD(Frequency Domain Duplexing) 기술 또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해 동일한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TDD(Time Domain Duplexing) 기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UE(800) 및 eNB들은, 확산 스펙트럼 변조(예를 들어, DS-CDMA(Direct Sequenc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또는 FH-CDMA(Frequency Hopping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Time-Division Multiplexing) 변조, 및/또는 FDM(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변조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변조 기술들을 사용하여, 송신된 신호들을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러한 점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800)는, PDA, 무선 통신 능력을 갖춘 랩톱 또는 휴대용 컴퓨터, 웹 태블릿, 무선 전화, 무선 헤드셋, 페이저, 인스턴트 메세징 디바이스, 디지털 카메라, 액세스 포인트, 텔레비전, 의료 디바이스(예를 들어, 심박수 모니터, 혈압 모니터 등),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 있다.
일부 LTE 실시예들에서, UE(800)는, 폐쇄형 루프 공간 멀티플렉싱 송신 모드를 위한 채널 적응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여러 상이한 피드백 값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 값들은, CQI(Channel-Qaulity Indicator), RI(Rank Indicator), 및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CQI에 의해, 송신기는 여러 변조 알파벳들 및 코드 레이트 조합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RI는 현재 MIMO 채널에 유용한 송신 레이어들의 수에 관해 송신기에게 알려주고, PMI는 송신기에 적용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코드북 인덱스(송신 안테나들의 수에 의존함)를 표시한다. eNB에 의해 사용되는 코드 레이트는 CQI에 기초할 수 있다. PMI는, UE에 의해 계산되어 eNB에 보고되는 벡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CQI/PMI 또는 RI를 포함하는 포맷 2, 2a 또는 2b의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CQI는 UE(800)에 의해 체험되는 바와 같은 다운링크 모바일 무선 채널 품질의 표시일 수 있다. CQI는, 궁극적인 전송 블럭 에러 레이트가 10%와 같은 특정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어진 무선 링크 품질을 위해 사용할 최적 변조 스킴 및 코딩 레이트를 UE(800)가 eNB에 제시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시스템 대역폭의 채널 품질을 말하는 광역 CQI 값을 보고할 수 있다. UE는 또한 상위 레이어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특정 수의 리소스 블럭들의 서브 대역 당 서브 대역 CQI 값을 보고할 수 있다. 서브 대역들의 전체 세트는 시스템 대역폭을 커버할 수 있다. 공간 멀티플렉싱의 경우에는, 코드 워드 당 CQI가 보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MI는 주어진 무선 조건에 대해 eNB에 의해 사용될 최적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PMI 값은 코드북 테이블을 참조한다. 네트워크는 PMI 보고에 의해 표현되는 리소스 블럭들의 수를 구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시스템 대역폭을 커버하기 위해, 다수의 PMI 보고들이 제공될 수 있다. PMI 보고들은 또한 폐쇄 루프 공간 멀티플렉싱, 다수 사용자 MIMO 및 폐쇄 루프 랭크 1 프리코딩 MIMO 모드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CoMP(Cooperating Multipoint)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는, RRH(Remote-Radio Heads)과 같은 2개 이상의 협업/편성 포인트들이 공동으로 송신하는, UE로의 공동 송신들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공동 송신들은 MIMO 송신들일 수 있고, 협업 포인트들은 공동 빔형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논의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용 절감 및 성능 이득들을 위해 셀룰러 오프로드 비율들을 증가시키려는 모바일 광역 프로바이더들, 고객의 가정들 또는 사업장들 외부로 그들의 커버리지 풋프린트를 확장하려는 고정형 대역 프로바이더들, 액세스 소비자들 또는 장소 소유자들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금전화하려는 무선 액세스 프로바이더들,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액세스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디지털 서비스들(예를 들어, 위치 서비스들, 광고들, 엔터테인먼트 등)을 제공하려는 공공 장소들, 및 게스트 인터넷 액세스 또는 BYOD(Bring-Your-Own-Device) 액세스를 단순화하기를 원하는 사업, 교육 또는 비영리 기업들을 포함하는, 모든 타입들의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프로바이더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유의사항들 & 예들:
예 1은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들을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장치, 또는 머신과 같은) 대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근접 서비스 서버에서 요청자 UE(User Equipment)로부터 요청자 UE를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요청은 접속 UE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를 포함함 -; 요청자 UE가 접속 UE에 접속하기 위한 승인을 확인하는 승인 모듈; 및 확인에 기초하여, 요청자 UE와 접속 UE 사이의 다이렉트 발견에 사용하기 위한 제1 LLID(Link Layer IDentifier)를 접속 UE에 제공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근접 서버를 포함한다.
예 2에서, 예 1의 대상은, 요청자 UE를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수신 모듈은, 요청자 UE로부터 요청을 처음 수신하였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을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3에서, 예 1 및 2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대상은, 요청자 UE를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수신 모듈은, 요청자 UE로부터 요청을 처음 수신하였던, 제2 근접 서비스 서버로부터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제2 근접 서비스 서버는 요청자 UE와 접속 UE 사이의 다이렉트 발견에 사용하기 위한 제2 LLID를 요청자 UE에 제공하는 것을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4에서, 예 1 내지 3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대상은, 출력 모듈은 제2 LLID를 접속 UE에 제공하기 위한 것을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5에서, 예 1 내지 4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대상은, 요청은 요청이 다이렉트 발견을 위한 것이라는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6에서, 예 1 내지 5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대상은,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는 접속 UE의 사용자 및 접속 UE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식별하기 위해 인코드되는 것을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7에서, 예 1 내지 6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대상은,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는 접속 UE의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 또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8에서, 예 1 내지 7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대상은, 출력 모듈은, 요청자 UE가 접속 UE에 접속할 수 있다는 승인을 확인한 이후, 요청자 UE에 공통 다이렉트 발견 주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9에서, 예 1 내지 8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대상은, 제1 및 제2 LLID들은 1회용으로 구성되고, 근접 서버는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자 UE에 의한 나중의 요청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LLID들을 갱신하는 것을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0은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대상(방법, 액트들을 수행하는 수단,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머신으로 하여금 액트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또는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을 포함하는 것으로, 근접 서비스 서버에서 요청자 UE(User Equipment)로부터 요청자 UE를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요청은 접속 UE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를 포함함 -; 요청자 UE가 접속 UE에 접속하기 위한 승인을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에 기초하여, 요청자 UE와 접속 UE 사이의 다이렉트 발견에 사용하기 위한 제1 LLID(Link Layer IDentifier)를 접속 UE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11에서, 예 10의 대상은, 요청자 UE를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요청자 UE로부터 요청을 처음 수신하였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2에서, 예 10 및 11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대상은, 요청자 UE를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요청자 UE로부터 요청을 처음 수신하였던, 제2 근접 서비스 서버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근접 서비스 서버는 요청자 UE와 접속 UE 사이의 다이렉트 발견에 사용하기 위한 제2 LLID를 요청자 UE에 제공하는 것을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3에서, 예 10 내지 12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대상은, 제2 LLID를 접속 UE에 제공하는 단계를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4에서, 예 10 내지 13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대상은, 요청은 요청이 다이렉트 발견을 위한 것이라는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5에서, 예 10 내지 14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대상은,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는 접속 UE의 사용자 및 접속 UE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식별하기 위해 인코드되는 것을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6에서, 예 10 내지 15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대상은,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는 접속 UE의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 또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7에서, 예 10 내지 16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대상은, 요청자 UE가 접속 UE에 접속할 수 있다는 승인을 확인한 이후, 요청자 UE에 공통 다이렉트 발견 주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8에서, 예 10 내지 17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대상은, 제1 및 제2 LLID들은 1회용으로 구성되고, 방법은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자 UE에 의한 나중의 요청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LLID들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위 상세한 설명은 참조를 첨부 도면들을 포함하며, 이는 상세한 설명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면들은, 예시로서,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예들"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예들은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 이외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예들이 또한 고려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특정 예(또는 그것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대해, 또는 다른 예들(또는 그것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대해, 도시되거나 설명된 해당 엘리먼트들(또는 그것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치환을 사용하는 예들이 또한 고려된다.
본 문헌에서 언급되는 공보들, 특허들 및 특허 문헌들은, 개별적으로 참조로써 원용되더라도, 그 전부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써 원용된다. 본 문헌과 참조로써 이와 같이 원용되는 해당 문헌들 사이의 불일치한 사용의 경우에, 원용되는 참조문헌(들)에서의 사용은 본 문헌의 사용에 대해 보충적인 것이고; 양립불가한 불일치함에 대해서는, 본 문헌에서의 사용이 지배한다.
본 문헌에서, "하나(a 또는 an)"라는 용어는, 특허 문헌들에서 흔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임의의 다른 경우들 또는 사용들에 독립적인, 하나 또는 하나보다 많은 것을 포함하는데 사용된다. 본 문헌에서, "또는(or)"이라는 용어는 비배타적 논리합(nonexclusive or)을 말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A 또는 B"는,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A이지만 B는 아닌", "B이지만 A는 아닌", 및 "A 및 B"를 포함한다.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including" 및 "in which"라는 용어들은 각각의 용어들 "comprising" 및 "wherein"의 평이한 영어 등가어들로서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청구항들에서, "including" 및 "comprising"이라는 용어들은 개방어로, 즉 청구항 내의 그러한 용어 뒤에 열거되는 것들 이외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디바이스, 물품 또는 프로세스도 그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이하의 청구항들에서, "제1", "제2" 및 "제3" 등이라는 용어는 단순히 레이블들로서 사용되며, 이들의 대상들에 대한 수치적 순서를 제안하려고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위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예들(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양상)은 다른 것들과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위의 설명의 검토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요약서는 독자가 기술적 개시내용의 속성을 신속히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고, 예를 들어 미국의 37 C.F.R. §1.72(b)에 따르기 위한 것이다. 이는 청구항들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는데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해로 제시된다. 또한, 위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개시내용을 간소화하도록 다양한 특징들이 그룹화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이 상기 특징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특징을 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특정 예에서 개시되는 것보다 더 적은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항들은 이에 의해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고, 청구항은 그 자체가 별도의 실시예로서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부여되는 등가물들의 전체 범위와 함께, 이러한 청구항들과 관련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9)

  1.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들을 제공하는 근접 서버로서,
    근접 서비스 서버에서 요청자 UE(User Equipment)로부터 상기 요청자 UE를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요청은 상기 접속 UE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요청자 UE가 상기 접속 UE에 접속하기 위한 승인을 확인하는 승인 모듈; 및
    상기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자 UE와 상기 접속 UE 사이의 다이렉트 발견에 사용하기 위한 제1 LLID(Link Layer IDentifier)를 상기 접속 UE에 제공하는 출력 모듈
    을 포함하는 근접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자 UE를 상기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상기 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요청자 UE로부터 상기 요청을 처음 수신하였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근접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자 UE를 상기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상기 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요청자 UE로부터 상기 요청을 처음 수신하였던, 제2 근접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2 근접 서비스 서버는 상기 요청자 UE와 상기 접속 UE 사이의 다이렉트 발견에 사용하기 위한 제2 LLID를 상기 요청자 UE에 제공하는 근접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제2 LLID를 상기 접속 UE에 제공하는, 근접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요청이 다이렉트 발견을 위한 것이라는 표시를 포함하는 근접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는 상기 접속 UE의 사용자 및 상기 접속 UE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식별하기 위해 인코드되는 근접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는 상기 접속 UE의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 또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접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요청자 UE가 상기 접속 UE에 접속할 수 있다는 승인을 확인한 이후, 상기 요청자 UE에 공통 다이렉트 발견 주기(common direct discovery period)를 제공하는, 근접 서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LLID들은 1회용으로 구성되고, 상기 근접 서버는 상기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상기 요청자 UE에 의한 나중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LLID들을 갱신하는 근접 서버.
  10.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들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근접 서비스 서버에서 요청자 UE(User Equipment)로부터 상기 요청자 UE를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은 상기 접속 UE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요청자 UE가 상기 접속 UE에 접속하기 위한 승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자 UE와 상기 접속 UE 사이의 다이렉트 발견에 사용하기 위한 제1 LLID(Link Layer IDentifier)를 상기 접속 UE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자 UE를 상기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자 UE로부터 상기 요청을 처음 수신하였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자 UE를 상기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자 UE로부터 상기 요청을 처음 수신하였던, 제2 근접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근접 서비스 서버는 상기 요청자 UE와 상기 접속 UE 사이의 다이렉트 발견에 사용하기 위한 제2 LLID를 상기 요청자 UE에 제공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LLID를 상기 접속 UE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요청이 다이렉트 발견을 위한 것이라는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는 상기 접속 UE의 사용자 및 상기 접속 UE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식별하기 위해 인코드되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는 상기 접속 UE의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 또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자 UE가 상기 접속 UE에 접속할 수 있다는 승인을 확인한 이후, 상기 요청자 UE에 공통 다이렉트 발견 주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LLID들은 1회용으로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상기 요청자 UE에 의한 나중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LLID들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들을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머신으로 하여금,
    근접 서비스 서버에서 요청자 UE(User Equipment)로부터 상기 요청자 UE를 접속 UE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게 하고- 상기 요청은 상기 접속 UE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의된 근접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요청자 UE가 상기 접속 UE에 접속하기 위한 승인을 확인하게 하며;
    상기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자 UE와 상기 접속 UE 사이의 다이렉트 발견에 사용하기 위한 제1 LLID(Link Layer IDentifier)를 상기 접속 UE에 제공하게 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KR1020157024056A 2013-04-05 2014-04-01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들 KR101831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09157P 2013-04-05 2013-04-05
US61/809,157 2013-04-05
US14/141,236 US20140301270A1 (en) 2013-04-05 2013-12-26 Identifiers for proximity services
US14/141,236 2013-12-26
PCT/US2014/032482 WO2014165481A1 (en) 2013-04-05 2014-04-01 Identifiers for proximity ser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003A true KR20150115003A (ko) 2015-10-13
KR101831253B1 KR101831253B1 (ko) 2018-02-22

Family

ID=5165438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650A KR102129295B1 (ko) 2013-04-05 2014-03-26 디바이스간 네트워크에서의 근접도 검출
KR1020157024115A KR101784195B1 (ko) 2013-04-05 2014-03-26 디바이스간 네트워크에서의 근접도 검출
KR1020157024056A KR101831253B1 (ko) 2013-04-05 2014-04-01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들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650A KR102129295B1 (ko) 2013-04-05 2014-03-26 디바이스간 네트워크에서의 근접도 검출
KR1020157024115A KR101784195B1 (ko) 2013-04-05 2014-03-26 디바이스간 네트워크에서의 근접도 검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6) US20140301270A1 (ko)
EP (5) EP2982053B1 (ko)
JP (2) JP6080188B2 (ko)
KR (3) KR102129295B1 (ko)
CN (5) CN105027464B (ko)
HK (4) HK1216946A1 (ko)
TW (8) TWI514796B (ko)
WO (4) WO20141653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0499B2 (en) 2017-08-08 2022-05-10 Lg Electronics Inc. Access control method and user equip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3452B (zh) * 2012-08-17 2017-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承载建立方法、基站、分组数据网关和计算机系统
WO2014055776A1 (en) * 2012-10-05 2014-04-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anaging downstream non-broadcast transmission in a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epon) protocol over coax (epoc) network
US9084279B1 (en) 2013-03-13 2015-07-14 Sprint Spectrum L.P. Downlink interference mitigation based on uplink transmission configuration of other coverage area
US20140301270A1 (en) * 2013-04-05 2014-10-09 Kerstin Johnsson Identifiers for proximity services
WO2015026111A1 (ko) * 2013-08-18 2015-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15042370A1 (en) * 2013-09-20 2015-03-26 Convida Wireless, Llc Method of joint registration and de-registration for proximity services and internet of things services
WO2015066864A1 (en) * 2013-11-06 2015-05-1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2d discovery process
CN105850221B (zh) * 2013-11-11 2019-09-1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已建立的d2d网络的d2d设备与未连接的d2d设备之间的多跳连接建立
US9609581B2 (en) * 2014-01-21 2017-03-28 Qualcomm Incorporated Parameters for device to device discovery
CN104918299B (zh) * 2014-03-14 2020-04-1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支持ue接入控制的方法
US9883513B2 (en) * 2014-03-19 2018-01-30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of device-to-device scheduling assignment for mode1
US9380549B2 (en) 2014-03-27 2016-06-28 Apple Inc. Cellular network assisted proximity services registration procedures and event framework for proximity requests/alerts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EP3122124B1 (en) * 2014-04-16 2019-06-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9521540B2 (en) * 2014-07-01 2016-12-13 Htc Corporation Method of identifying 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CN106664731B (zh) * 2014-10-11 2019-10-25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发现方法、用户设备以及接近业务功能实体
KR102264050B1 (ko) * 2014-11-28 2021-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들 간에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211026B (zh) * 2014-12-22 2019-05-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设备直通中继选择的方法、网络控制节点及用户设备
US10306450B2 (en) 2015-01-09 2019-05-28 Acer Incorporated Proximity request validating method, user equipment using the same, identity request method, and network entity using the same
US9781753B2 (en) * 2015-01-09 2017-10-03 Acer Incorporated Proximity map request method, server and network entity using the same, proximity request validating method, and server and network entity using the same
TWI602462B (zh) 2015-01-30 2017-10-1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使用者裝置、裝置對裝置使用者裝置、後端裝置及其定位方法
EP3275226B1 (en) * 2015-03-25 2023-05-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scovery message formats distinction
WO2016165845A1 (en) * 2015-04-13 2016-10-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de encryption
WO2016193783A1 (en) * 2015-05-29 2016-12-0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network-controlled peer-to-peer connectivity
US10841379B2 (en) * 2015-09-22 2020-11-17 Venia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in a network of moving things
US9787622B2 (en) * 2015-10-13 2017-10-10 July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providing proximity based notifications to electronic devices
BR112018015340B1 (pt) * 2016-01-27 2024-01-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étodo de comunicação e aparelho de comunicações
KR102451687B1 (ko) * 2016-02-19 2022-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US20170257751A1 (en) * 2016-03-05 2017-09-07 Ofinno Technologies, Llc Off-Network Wireless Mission Critical Session Initiation
KR102465999B1 (ko) * 2016-07-26 2022-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공 안전 모드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US10375562B2 (en) * 2016-08-31 2019-08-06 Qualcomm Incorporated Exchanging a recommendation of a set of D2D rat types for a proximity-based service and searching for a binary code that identifies a proximity-based service on at least one D2D rat type in accordance with a D2D rat sequence
JP6729474B2 (ja) 2017-04-24 2020-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2269320B1 (ko) * 2017-04-28 2021-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근접 디스커버리 방법
US11280896B2 (en) 2017-06-16 2022-03-22 FLIR Belgium BVBA Doppler GNSS systems and methods
US10983206B2 (en) 2017-11-07 2021-04-20 FLIR Belgium BVBA Low cost high precision GNSS systems and methods
WO2019006728A1 (zh) * 2017-07-06 2019-01-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物联网设备之间建立快速连接的方法、装置及设备
US11432257B2 (en) * 2017-07-28 2022-08-30 Thomas Lewis Griffin User proximity discovery and data identification
JP7003539B2 (ja) 2017-09-28 2022-01-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経路構築システム、ノード、センターノード及び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経路構築方法
US10596998B2 (en) * 2018-02-12 2020-03-24 FELL Technology AS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a wireless device, such as a key or other device with a wireless kill switch
KR102478031B1 (ko) * 2018-03-08 2022-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0324390A (zh) * 2018-03-30 2019-10-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接入方法、物联网平台、应用设备、服务设备
US20190320358A1 (en) * 2018-04-17 2019-10-17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power optimization in millimeter wave access networks
CN110557771B (zh) * 2018-05-31 2021-02-2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小区建立方法及装置
WO2019232464A1 (en) * 2018-06-01 2019-12-05 Apple Inc. Techniques for enabling computing devices to identify when they are in proximity to one another
US11672035B2 (en) * 2018-06-14 2023-06-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idelink communication by UE in NR V2X
WO2020030730A1 (en) 2018-08-10 2020-02-13 Ipcom Gmbh & Co. Kg Ue assisted wireless backhaul link establishment
US11153717B2 (en) * 2019-04-04 2021-10-19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reporting of positioning-related states
US11425526B2 (en) * 2019-09-17 2022-08-23 Qualcomm Incorporated Group indication of spatially proximate UEs
US10999719B1 (en) * 2019-12-03 2021-05-04 Gm Cruise Holdings Llc Peer-to-peer autonomous vehicle communication
CN111314881B (zh) * 2020-02-11 2023-03-2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直连链路建立方法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5030B2 (ja) * 1994-08-31 2001-11-05 株式会社東芝 ネットワークノード装置、パケット転送方法、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7339484B2 (en) 2002-06-27 2008-03-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vent-driven discovery method and apparatus
CN1527621A (zh) * 2003-03-07 2004-09-0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网络中建立点到点对等通信的方法和装置
US20050130634A1 (en) * 2003-10-31 2005-06-16 Globespanvirata, Inc. Location awareness in wireless networks
KR101110722B1 (ko) * 2004-12-03 2012-04-03 텔레콤 이탈리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통신 네트워크의 복합 서비스의 활성화 방법
JP4511603B2 (ja) * 2005-02-18 2010-07-2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公衆陸上移動網におけるピア・ツー・ピア通信を提供するための構成
US8559350B2 (en) * 2005-12-20 2013-10-15 Microsoft Corporation Mechanism to convey discovery inform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20080183828A1 (en) 2007-01-30 2008-07-31 Amit Sehgal Communication system
US9066306B2 (en) * 2007-09-21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power control
US8024431B2 (en) * 2007-12-21 2011-09-20 Doming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transient friends
US7937479B2 (en) 2008-01-04 2011-05-03 Mitel Network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communication devices
US20100121744A1 (en) 2008-11-07 2010-05-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Usage data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US9007968B2 (en) * 2009-06-16 2015-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multi-band networks association and maintenance
US8745250B2 (en) 2009-06-30 2014-06-03 Intel Corporation Multimodal proximity detection
CN101997759B (zh) * 2009-08-10 2013-06-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业务实现方法及业务系统
US9055576B2 (en) 2009-10-08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resource allocation for LTE advanced
US9900759B2 (en) 2009-11-04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er dis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2696267B (zh) * 2009-11-25 2016-08-10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机器类通信预注册
CN102792745B (zh) 2009-12-11 2015-05-13 诺基亚公司 用于在无线通信网络中分配资源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US8559343B2 (en) * 2009-12-23 2013-10-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subframes
US8761060B2 (en) * 2010-02-12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ccess point transmit power based on received access terminal messages
US8335206B1 (en) * 2010-03-04 2012-12-18 Qualcomm Atheros, Inc. Coexistence timer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110235582A1 (en) * 2010-03-25 2011-09-29 Qualcomm Incorporated Subframe dependent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interference management
US9485069B2 (en) * 2010-04-15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proximity detection signal for peer discovery
US8812657B2 (en) * 2010-04-15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assisted peer discovery
US8385269B2 (en) * 2010-04-23 2013-02-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nabling IPv6 mobility with sensing features for AD-HOC networks derived from long term evolution networks
US8837335B2 (en) * 2010-06-24 2014-09-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imeslot allocation method in a wireless TDD network
US10250678B2 (en) * 2010-07-07 2019-04-02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modes for peer discovery
KR20120007425A (ko) 2010-08-09 2012-01-20 심상근 외국어교육을 위한 이미지 퀴즈
US8655400B2 (en) * 2010-09-22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transmit power for wireless radio coexistence
JP5469032B2 (ja) * 2010-09-28 2014-04-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5683715B2 (ja) * 2010-11-16 2015-03-11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ダイレクトリンクオペレーションに関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12091418A2 (ko) 2010-12-27 2012-07-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간 직접 통신 및 단말 릴레잉 방법
CN102076072B (zh) 2010-12-31 2013-10-09 北京邮电大学 上行功率控制方法、用户设备和载波聚合系统
WO2012102569A2 (ko) * 2011-01-27 2012-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과, 사용자기기 및 기지국
WO2012128543A2 (ko) * 2011-03-21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ck/nack정보 수신방법 및 전송방법과, 사용자기기 및 기지국
US20120258703A1 (en) * 2011-04-07 2012-10-11 Renesas Mobile Corporation Detection of potential for network controlled d2d communication prior to activation of cellular bearers
US9143308B2 (en) * 2011-07-05 2015-09-22 Broadcom Corporation Mechanism for enhancing power control in time division based communications
US9237434B2 (en) * 2011-07-13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assisted peer discovery with network coding
WO2013014169A1 (en) * 2011-07-26 2013-01-31 Nec Europe Ltd. Method for resource management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and resource management system
GB2494460B (en) 2011-09-12 2013-10-23 Renesas Mobile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to-device discovery procedure
CN103037450B (zh) 2011-09-29 2017-0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模式切换的方法和装置
CN103037448B (zh) 2011-09-30 2015-05-27 华为技术有限公司 内容发布方法和用户设备
US8848700B2 (en) 2011-09-30 2014-09-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based on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WO2013081393A1 (ko) * 2011-11-29 2013-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기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접속시스템에서 기기간 동기화 및 식별을 지원하는 방법
GB2497741A (en) * 2011-12-19 2013-06-26 Renesas Mobile Corp A verification system for use in requesting access to a D2D communication service
US20140342747A1 (en) * 2012-01-18 2014-11-20 Lg Electronics Inc.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a device therefor
US8953478B2 (en) * 2012-01-27 2015-02-10 Intel Corporation Evolved node B and method for coherent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with per CSI-RS feedback
US9706340B2 (en) * 2012-02-16 2017-07-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performing proximity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54657B1 (ko) * 2012-06-19 2019-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Wi-Fi P2P 네트워크에서 단말 간 연결 방법 및 그 단말
US9049645B2 (en) * 2012-07-20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WAN assisted monitoring and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devices
US9036603B2 (en) 2012-08-03 2015-05-19 Intel Corporation Network assistance for device-to-device discovery
US8903419B2 (en) * 2012-08-31 2014-12-0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Optimization on network assisted proximity services discovery management
US9591679B2 (en) * 2012-09-17 2017-03-07 Blackberry Limited Initiation of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917708B2 (en) * 2012-09-28 2014-12-23 Intel Corporation Discovery and operation of hybrid wireless wide area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EP2720401A1 (en) * 2012-10-10 2014-04-16 Panasonic Corporation Dynamic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US11496948B2 (en) * 2012-10-19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d-hoc/network assisted device discovery protocol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US9668272B2 (en) * 2012-11-02 2017-05-30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erminal device, program, an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EP2936877B1 (en) * 2012-12-19 2018-08-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method for handover
US9300460B2 (en) * 2013-01-08 2016-03-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le connectivity in a TDD system
US9749974B2 (en) * 2013-01-16 2017-08-29 Intel IP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frame transmissions
US9510295B2 (en) * 2013-03-04 2016-1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9503248B2 (en) * 2013-03-28 2016-11-22 Htc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ing dynamic TDD configuration mechanism
US20140301270A1 (en) 2013-04-05 2014-10-09 Kerstin Johnsson Identifiers for proximity services
WO2014182061A1 (ko) * 2013-05-07 2014-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Isr 기능의 활성 여부 결정 방법
US9288656B2 (en) * 2014-01-13 2016-03-1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Device to device discovery method for user equipment and network entity and user equipment and network entity using the same
US9380549B2 (en) * 2014-03-27 2016-06-28 Apple Inc. Cellular network assisted proximity services registration procedures and event framework for proximity requests/alerts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US20150289127A1 (en) * 2014-04-02 2015-10-08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ximity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943024A3 (en) * 2014-04-16 2016-01-06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location reporting procedure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10306450B2 (en) * 2015-01-09 2019-05-28 Acer Incorporated Proximity request validating method, user equipment using the same, identity request method, and network entity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0499B2 (en) 2017-08-08 2022-05-10 Lg Electronics Inc. Access control method and user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0342B (zh) 2017-09-21
TW201616822A (zh) 2016-05-01
EP2982193A1 (en) 2016-02-10
EP2982193A4 (en) 2017-02-15
HK1216951A1 (zh) 2016-12-09
US9883338B2 (en) 2018-01-30
US10827301B2 (en) 2020-11-03
EP2982147A1 (en) 2016-02-10
CN105191370A (zh) 2015-12-23
TW201445905A (zh) 2014-12-01
TW201448654A (zh) 2014-12-16
US9781556B2 (en) 2017-10-03
EP2982147A4 (en) 2016-12-14
TW201811074A (zh) 2018-03-16
TWI538540B (zh) 2016-06-11
KR20170107098A (ko) 2017-09-22
US20160007302A1 (en) 2016-01-07
CN105009477A (zh) 2015-10-28
US20180359601A1 (en) 2018-12-13
CN105191442B (zh) 2019-04-23
US20180146331A1 (en) 2018-05-24
KR20150114572A (ko) 2015-10-12
TW201503742A (zh) 2015-01-16
TWI646861B (zh) 2019-01-01
WO2014165654A1 (en) 2014-10-09
JP2017085648A (ja) 2017-05-18
TWI599186B (zh) 2017-09-11
EP2982052A1 (en) 2016-02-10
JP6080188B2 (ja) 2017-02-15
CN105009477B (zh) 2018-04-17
TW201446041A (zh) 2014-12-01
TW201632028A (zh) 2016-09-01
EP2982053B1 (en) 2019-12-18
EP2982052A4 (en) 2016-10-19
KR102129295B1 (ko) 2020-07-02
US10206063B2 (en) 2019-02-12
EP3079389B1 (en) 2020-07-15
TWI632822B (zh) 2018-08-11
JP6493700B2 (ja) 2019-04-03
TW201735721A (zh) 2017-10-01
EP2982053A4 (en) 2016-11-16
CN105191442A (zh) 2015-12-23
HK1216946A1 (zh) 2016-12-09
US20140301289A1 (en) 2014-10-09
US9998858B2 (en) 2018-06-12
TWI514796B (zh) 2015-12-21
HK1218825A1 (zh) 2017-03-10
JP2016514923A (ja) 2016-05-23
CN105191370B (zh) 2020-02-04
WO2014165365A1 (en) 2014-10-09
HK1218826A1 (zh) 2017-03-10
WO2014165675A1 (en) 2014-10-09
CN105027464A (zh) 2015-11-04
CN105027464B (zh) 2018-11-23
EP3079389A1 (en) 2016-10-12
WO2014165481A1 (en) 2014-10-09
US20160007152A1 (en) 2016-01-07
KR101784195B1 (ko) 2017-10-11
KR101831253B1 (ko) 2018-02-22
US20140301270A1 (en) 2014-10-09
TWI527491B (zh) 2016-03-21
CN111148079A (zh) 2020-05-12
EP2982053A1 (en) 2016-02-10
TWI596973B (zh) 201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253B1 (ko) 근접 서비스들을 위한 식별자들
US9883388B2 (en) Ephemeral identity for device and service discovery
US9559761B2 (en) Proximity-based services discovery privacy
KR101836014B1 (ko) Tof 포지셔닝을 위한 정밀 타이밍 측정
EP3031260B1 (en) Access points and methods for access point selection using an information data structure
KR101836434B1 (ko) 통신 스테이션, 통신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보안형 위치 결정 시스템, 및 머신 판독가능 매체
US9510194B2 (en) Open and encrypted wireless network access
US20150045055A1 (en) Time of flight responders
KR20160046880A (ko) 무선 실내 로케이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