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031B1 -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031B1
KR102478031B1 KR1020180027570A KR20180027570A KR102478031B1 KR 102478031 B1 KR102478031 B1 KR 102478031B1 KR 1020180027570 A KR1020180027570 A KR 1020180027570A KR 20180027570 A KR20180027570 A KR 20180027570A KR 102478031 B1 KR102478031 B1 KR 102478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information
external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297A (ko
Inventor
오현아
민현기
임준학
장용석
박홍찬
김건수
이선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7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031B1/ko
Priority to PCT/KR2019/002325 priority patent/WO2019172565A1/ko
Priority to US16/976,849 priority patent/US11095765B2/en
Publication of KR20190106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관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획득된 신호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된 제2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및/또는 방향과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상기 결정된 위치 및/또는 상기 결정된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동작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다양한 실시 예들은,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기술 및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사물에 통신기능이 포함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편리하게 사물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사물에 통신기능을 포함하여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것을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라 하며 실생활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IoT 기기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다수의 IoT장치들을 연결해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자는 각기 다른 화면(예: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메뉴)에서 다수의 IoT장치들의 연결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화면에서 IoT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하여 한번에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관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획득된 신호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된 제2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및/또는 방향과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상기 결정된 위치 및/또는 상기 결정된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동작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통신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각각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제1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각각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제2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하여 배치된(arranged) 복수의 객체들을,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within),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의해 지시되는(indicated)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에게 연결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관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획득된 신호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된 제2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및/또는 방향과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상기 결정된 위치 및/또는 상기 결정된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는 동작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동작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및 그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signal)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의 위치를 식별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와 제1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9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9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에서 FTM 방식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와 제1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및 방향을 식별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거리 및 방향을 식별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5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의 위치 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5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의 위치 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등록되지 않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의 예를 도시한다.
도 17 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의 기능을 식별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에게 연결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c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d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의 표시를 변경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의 표시를 변경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c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들의 연결 모드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2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2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2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나타내는 객체들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3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진입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나타내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도 3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서버를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도 3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초고주파 대역으로 연결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나타내는 객체들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4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택된 외부 전자 장치의 구동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 198 또는 제 2 네트워크 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혹은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시스템(200)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200)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202)(예: 도1의 전자 장치(102)),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예: 도1의 전자 장치(102) 또는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예: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 서버(108)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과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전자 장치(101), 액세스 포인트(202), 서버(108),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은 각각,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과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과 직접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과 Wi-Fi(wireless fidelity) 다이렉트(direct) 기법으로 연결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블루투스(bluetooth) 기법으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과 연결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 내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202)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전자 장치(101) 내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2)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물리적 버튼, 터치 패드 또는 마이크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연결하기 위한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휴대폰(cell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notebook), 컴퓨터(computer)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획득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에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휴대용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또는 공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은 전자 장치(101)에 등록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은 전자 장치(101)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은 전자 장치(101) 또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각각의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은 각각의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각각의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구동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구동 모드는 각각의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동작(예: 영상 출력 또는 사운드 출력)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은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IoT 전구, 또는 냉장고와 같은 각종 IoT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8)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연결하기 위한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의 계정 정보와 전자 장치(101)에 등록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버(108)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8)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연결하기 위한 입력에 관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8)는 액세스 포인트(202)의 계정 정보와 액세스 포인트(202)에 등록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기능적 구성의 적어도 일부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입력 장치(150), 표시 장치(160), 통신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 입력장치(150), 표시장치(160) 및 통신 모듈(190)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입력 장치(150), 표시 장치(160), 통신 모듈(190)과 같은 전자 장치(101) 내의 다른 구성요소와 작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 요소들(예: 입력 장치(150), 표시 장치(160), 통신 모듈(190))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명령을 해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해석된 명령에 따라서 계산을 수행할 수 있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칩(chip), 회로(circuitry)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집합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들의 집합체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150), 표시 장치(160)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해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150), 표시 장치(160)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가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에 기반하여 새로운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공되거나 생성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입력 장치(150), 표시 장치(160) 또는 통신 모듈(19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터치 신호(touch signal) 또는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상기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프로세서(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는 스피커,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또는 빛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 모듈(module)(예: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반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다양한 전자 장치들(예: 액세스 포인트(202),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서버(108))과 전자 장치(101) 사이의 통신 경로(예: 전자 장치(101)와 액세스 포인트(202)(예: 전자 장치(102)) 사이의 통신 경로, 전자 장치(101)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사이의 통신 경로, 전자 장치(101)와 서버(108) 사이의 통신 경로)를 생성(generate)하거나 수립(establish)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법,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기법, Wi-Fi(wireless fidelity) 통신 기법, 셀룰러(cellular 또는 모바일(mobile)) 통신 기법, 또는 유선 통신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모듈일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상기 다양한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정보,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프로세서(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정보,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상기 다양한 전자 장치에게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90)을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제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제1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통신 모듈(190)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2)에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통신 모듈(190)로부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제1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는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는 도 19에서 후술될 것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제1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제2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데이터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사이의 거리 또는 방향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을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객체들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의 이름으로 지시되거나(indicated) 복수의 객체들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에 각각에 상응하는 형상(shape)으로 지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150)를 통해, 상기 복수의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은 드래그(drag) 입력, 음성 명령(voice command) 입력, 탭(tap) 입력, 더블 탭(double tap) 입력, 또는 롱 프레스(long press)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90)을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의해 지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에게 연결을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객체들 중 스피커(speaker)를 나타내는 객체 및 컴퓨터(computer)를 나타내는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기반하여, 통신 모듈(190)을 통해, 스피커와 컴퓨터를 연동하기 위한 신호를 스피커, 또는 컴퓨터 각각에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기능적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기능적 구성의 적어도 일부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모듈(190)은 신호 수신 모듈(410), 신호 특징 추출 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센서 정보 입력 모듈(45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장치 판단 모듈(440), 표시 제어 모듈(46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 4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종류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신호 수신 모듈(410) 또는 신호 특징 추출 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신호 수신 모듈(410)은 두 개 이상의 무선 통신 안테나를 통해 각각의 안테나로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수신 모듈(410)은 각각의 안테나로 입력되는 각각의 다른 장치들의 신호를 구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신호 수신 모듈(410)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여 신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신호 수신 모듈(410)은 수신된 신호가 통신을 위한 신호로 판단되면 해당 신호를 신호 특징 추출 모듈(420)로 송신하여 송신된 신호의 해석을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신호 특징 추출 모듈(420)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신호의 위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신호 특징 추출 모듈(420)은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고유 특성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위상 정보와 함께 장치 판단 모듈(4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신호의 고유 특성에 관한 정보는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 제2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된 신호들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안테나 간 신호 세기 패턴, 수신 신호 강도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SNR(signal to noise ratio) 또는 통신 채널 관련 정보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특징 추출 모듈(420)은 위상 정보를 포함한 상기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다른 장치의 안테나가 가시 거리(line of sight, LoS)에 있는지 여부 또는 수신된 신호가 다중 신호(multipath signal)인지 여부와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신호 특성 추출 모듈(420)은 하나의 신호에 대한 위상 차 값과 다수 개의 위상 차 값들의 편차 값을 계산하여 장치 판단 모듈(44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신호 특징 추출 모듈(420)은 각각의 다른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신호들 각각의 위상을 연산할 수 있다. 신호 특징 추출 모듈(420)은 각각의 안테나로 입력되는 각각의 다른 장치들의 신호들을 개별적인 이동 경로(path)를 통해 장치 판단 모듈(44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센서 정보 입력 모듈(450)은 전자 장치(101)의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또는 자기 센서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 정보 입력 모듈(450)은 상기 입력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센서 정보 입력 모듈(450)은 상기 전자 장치(101)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장치 판단 모듈(44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신호 특징 추출 모듈(420)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예: 안테나 위치 또는 전자 장치의 상단)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는 도 19에서 후술될 것이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신호 특징 추출 모듈(420)로부터 제공받은 위상 정보와 신호 고유 특성 정보, 또는 센서 정보 입력 모듈(45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가중치 위상 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획득된 가중치 위상 차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장치 판단 모듈(440)은 서버(108) 또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들(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기능(예: 화면 표시 기능, 데이터 저장 기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종류(예: 스피커(speaker), TV(television), 컴퓨터(computer), 또는 프로젝터(projector))를 식별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구동 모드에 대한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상기 구동 모드에 대한 입력을 입력 장치(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에 표시될 외부 전자 장치들을 결정할 수 있다. 상황 정보는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상태 및 외부의 상태에 관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상황 정보는 상기 구동 모드에 대한 입력, 전자 장치(101)의 기능에 관한 정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지국의 셀(cell) 신호,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 어플리케이션 ID(application identification), 호출된 함수의 종류(type), 또는 음성 명령과 함께 입력된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 모듈(460)이 GPS나 기지국의 셀(cell) 신호, 또는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표시될 외부 전자 장치들을 나타내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위치에 따라 표시될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화면에 실내에 있는 이어폰(earphone)을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가 실외에 있는 경우라도 실내에 있는 이어폰을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입력 장치(150)로부터 구동 모드에 대한 입력을 음성 입력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성 입력을 통한 구동 모드에 대한 입력은 음악 재생에 관련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음악 재생에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냉장고를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음성 입력으로부터 음악 재생에 관련된 입력을 수신한 경우라도 냉장고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장치 판단 모듈(440)은, 구동 모드에 대한 입력과 외부 전자 장치들의 기능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에 객체로서 표시될 외부 전자 장치들을 결정할 수 있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상기 화면에 표시될 외부 전자 장치들의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상기 화면에 표시될 외부 전자 장치들의 목록을 표시 제어 모듈(460)에 송신할 수 있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구동 모드를 파일 공유로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파일 공유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들의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장치 판단 모듈(440)은 외부 전자 장치의 구동 모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 등록된 계정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가 제어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101)에 등록된 외부 전자 장치들을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외부 전자 장치가 이전에 등록되거나 사용 이력이 없더라도 현재 외부 전자 장치의 구동 모드에 대한 동작을 수행 가능하다고 식별되는 경우, 사용 이력이 없거나 현재 외부 전자 장치의 구동 모드에 대한 동작을 수행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를 상기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장치 판단 모듈(440)은,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구동 모드에 따라, 화면에 표시될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상기 객체를 표시 제어 모듈(460)에 송신할 수 있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전자 장치(101)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구동 모드에 대한 동작을 수행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 제어 모듈(460)에 송신할 수 있다.
표시 제어 모듈(460)은,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202)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제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외부 전자 장치의 거리 또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제어 모듈(460)은, 상기 제1 데이터에 기반하여 장치 판단 모듈(440)에서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제2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는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외부 전자 장치들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제어 모듈(460)은,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기반하여 변환된, 복수의 객체로써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 모듈(460)은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의해 지시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 제어 모듈(46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의해 지시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표시 제어 모듈(460)은 액세스 포인트(202)를 기준으로 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의 거리 또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장치 판단 모듈(440)을 통해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표시 제어 모듈(460)은,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변경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 모듈(460)은 수신된 거리 또는 방향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회전된 외부 전자 장치의 배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표시 제어 모듈(460)은 장치 판단 모듈(44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표시 제어 모듈(460)은, 장치 판단 모듈(440)로부터 현재 전자 장치(101)에 연결되지 않은 기기들 중 추가적으로 표시될 외부 전자 장치가 존재한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서버(108)에 추가적으로 표시될 외부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를 스냅샷(snapshot)의 형태로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냅샷은 전자 장치(101)에 연결된 기록이 있거나 등록된 기록이 있는 외부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제어 모듈(460)은 서버(108)로부터 추가적으로 표시될 외부 전자 장치가 포함된 스냅샷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 제어 모듈(460)은 수신된 스냅샷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표시될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화면에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202)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기능적 구성의 적어도 일부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2)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202)는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또는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프로세서(501)(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및 통신 모듈(503)(예: 도 1의 통신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501) 및 통신 모듈(503)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거리 측정 모듈(510), 방향 측정 모듈(520) 및 장치 관리 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측정 모듈(510)은 액세스 포인트(202)와 각각의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리 측정 모듈(510)은, 통신 모듈(503)을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거리 측정 모듈(510)은 상기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 사이의 시간 차를 연산할 수 있다. 거리 측정 모듈(510)은 상기 연산된 시간 차에 대한 정보에 적어도 기반하여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측정 모듈(510)은 FTM(fine timing measurement)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FTM 방식에 대한 설명은 도 8에서 후술될 것이다.
방향 측정 모듈(520)은 액세스 포인트(202)를 기준으로 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의 각각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방향 측정 모듈(520)은 액세스 포인트(202)를 기준으로 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방향 측정 모듈(520)은 도 4의 전자 장치(101)의 신호 특징 추출 모듈(420)에 상응할 수 있다.
통신 모듈(503)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제어와 관련된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503)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통신 모듈(503)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방향을 측정하기 위해 복수의 안테나들과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모듈(503)은, 각각의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503)은 수신된 신호들을 거리 측정 모듈(510) 또는 방향 측정 모듈(5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액세스 포인트(202)는 복수의 마이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복수의 마이크들을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전자 장치(101)의 방향 및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방향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202)의 통신 모듈(503)은 복수의 마이크들을 통해 상기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상기 음성 입력을 통해 전자 장치(101)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 관리 모듈(530)은 액세스 포인트(202)와 연결된 전자 장치(101) 및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장치 관리 모듈(530)은 전자 장치(101) 및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에게 제어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장치 관리 모듈(530)은 전자 장치(101) 및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과 액세스 포인트(202)의 각각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장치 관리 모듈(530)은 상기 획득된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서버(108)에 주기적으로 업로드(upload)할 수 있다. 장치 관리 모듈(530)은 전자 장치(101)로부터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전자 장치(101) 및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과 액세스 포인트(202)의 각각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서버(108)에 업로드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장치 관리 모듈(530)은, 서버(108)로부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연결 및 위치 관계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스냅샷(snapshot)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장치 관리 모듈(530)은, 상기 수신한 스냅샷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에 송신할 수 있다. 장치 관리 모듈(530)은 전자 장치(101) 및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장치 관리 모듈(530)은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1) 및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장치 관리 모듈(530)은 현재 등록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 대한 버전 정보를 업데이트(update)하고 관리할 수 있다. 장치 관리 모듈(530)은 전자 장치(101) 및 액세스 포인트(202)의 권한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관리할 수 있다. 장치 관리 모듈(530)은 전자 장치(101) 및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에 대한 중앙 관리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기능적 구성의 적어도 일부는, 도 2에 도시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210) 중 하나 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프로세서(610)(예: 프로세서(120)) 및 통신 모듈(620)(예: 통신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610) 및 통신 모듈(620)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기능 제어 모듈(630) 및 통신 제어 모듈(6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통신 모듈(620)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무선(radio frequency,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620)은 하나 혹은 복수개의 안테나들과 기능적으로 결합될(operably coupled to) 수 있다. 통신 모듈(620)은 디스커버리 신호(discovery signal)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송신되는 방송 신호로, 통신 모듈(620)을 통해 외부(external)로 송신되거나 방송될 수 있다.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는,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01), 액세스 포인트(202))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로, 통신 모듈(620)을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 수신될 수 있다.
통신 모듈(620)은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통해 전자 장치(101), 액세스 포인트(202),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통신 모듈(620)은 거리 측정 또는 방향 측정을 위한 패킷과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패킷과 상기 제어 신호는 동시에 송신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모듈(620)은 거리 측정 또는 방향 측정을 위한 패킷과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패킷과 상기 제어 신호는 동시에 수신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수신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프로세서(610)가 비활성화 된 상태인 경우라도, 통신 모듈(620)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적어도 일부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610)가 파워를 획득하지 않거나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인 경우에도, 통신 모듈(620)은 동작할 수 있다.
통신 제어 모듈(640)은 다양한 제어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통신 제어 모듈(640)은 다른 외부 전자 장치와의 정보 교환에 관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제어 모듈(640)은 통신 모듈(620)을 통해 수신된 디스커버리 신호(discovery signal)를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통신 제어 모듈(640)은, 통신 모듈(62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거리와 방향 측정에 관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 제어 모듈(640)은, FTM 요청 신호(fine timing measurement request signal)를 수신한 경우, 통신 모듈(620)을 통해 확인 응답 신호(acknowledgement signal, ACK signal)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제어 모듈(640)은, FTM 요청 신호를 수신한 타이밍과 확인 응답 신호가 송신된 타이밍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 또는 액세스 포인트(202)에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통신 제어 모듈(640)은,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방향 측정에 관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디스커버리 신호(discovery signal)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기능 제어 모듈(630)은 통신 제어 모듈(640)로부터 다양한 구동 모드들에 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기능 제어 모듈(630)은 상기 다양한 구동 모드들에 대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구동 모드를 다른 구동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통신 제어 모듈(640)이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한 경우, 통신 제어 모듈(640)은, 상기 영상 출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신호를 기능 제어 모듈(630)에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기능 제어 모듈(630)은, 파일 수신 요청에 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파일 수신에 적합한 통신 대역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제어 모듈은, 전자 장치(101)로부터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한 파일 수신 요청에 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통신 대역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예: 2.40Ghz 내지 2.48Ghz)을 통해 전자 장치(101)와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기능 제어 모듈(630)은 통신 제어 모듈(640)에게 상기 적합한 통신 대역으로 통신하기 위한 스위칭(switching)에 관한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기능 제어 모듈(630)은 상기 연결을 통해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기능 제어 모듈(630)은 수신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의(108)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기능적 구성의 적어도 일부는, 도 1에 도시된 서버(108)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108)는 메모리(710), 프로세서(720) 및 통신 모듈(730)을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710)와 프로세서(720) 및 통신 모듈(730)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720)는, 데이터 관리 모듈(721), 외부 시스템 연결 관리 모듈(726), 장치 연결 관리 모듈(727), 장치 관리 모듈(722), 실행 관리 모듈(723), 이벤트 관리 모듈(724) 또는 계정 관리 모듈(725)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에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에 등록된 계정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에 등록된 계정에 적어도 기반하여 복수의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관리할 수 있다.
서버(108)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의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101)의 계정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8)는, 상기 권한이 있음을 확인한 경우, 제어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108)는, 권한이 없음을 확인한 경우, 제어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에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서버(108)는,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신호를 전자 장치(101)에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 액세스 포인트(202)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상태를 확인하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 액세스 포인트(202)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의 상태(status) 또는 기능(capability)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상태 및 기능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 액세스 포인트(202)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710)는, 서버(108)에 연결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instructions)의 집합(set) 또는 서버(108)에 연결 하기 위한 계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는 디바이스 ID(device ID(identification)), 제조사, 시리얼 번호(serial number), 맥 어드레스 주소(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같은 장치 인식 정보(device ID data), 장치 기능 정보(device capability data), 장치 상태 정보(device status data), 장치 명령 정보(device instruction data) 또는 장치 이벤트 정보(device event dat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메모리(710)는 최근의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연결 및 위치 관계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스냅샷(snapshot)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8)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메모리(710)에 저장된 스냅샷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한 스냅샷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한 스냅샷을 이용함으로써 전자 장치(101) 및 액세스 포인트(202)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버(108)는 메모리(710)에 저장된 스냅샷들의 비교를 통해 고정된 위치에 놓인 고정 기기와 위치의 변동성이 큰 변동 기기로 외부 전자 장치들을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의 위치 정보에 대한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위치 정보에 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101)에 고정 기기와 변동 기기에 대한 정보를 스냅샷에 대한 정보와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고정 기기와 변동 기기에 대한 정보를 스냅샷에 대한 정보와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스냅샷에 대한 정보와 고정 기기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고정 기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변동 기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2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변동 기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고정 기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메모리(710)는 서버(108)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instructions)의 집합(set)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들의 집합은 임의의 사용자 명령, 내/외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사용자 명령은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음성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들의 집합은 이벤트 정보, 조건 정보 및 명령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10)는 "CO가스가 감지되면, 비상벨을 울린다", "저녁 5시에 현관 문이 열리면 음악을 재생하고 거실의 등을 켠다.", "TV를 켜고, IPTV의 채널을 13번으로 조절하고, 거실 등을 노란색으로 바꾼다."와 같은 명령어들의 집합을 저장할 수 있다.
"CO가스가 감지되면, 비상벨을 울린다" 의 경우, 'CO가스가 감지되면'은 이벤트 일 수 있고, '비상벨을 울린다.'는 명령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CO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CO가스 감지에 관한 정보를 서버(108)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CO가스 감지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1)에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비상벨을 울리기 위한 제어 신호를 비상벨에 송신할 수 있다.
"저녁 5시에 현관 문이 열리면 음악을 재생하고 거실의 등을 켠다." 의 경우, '저녁 5시'는 조건일 수 있고, '현관 문이 열리면'은 이벤트 일 수 있고, '음악을 재생하고' 는 제1 명령일 수 있고, '거실 등을 켠다'는 제2 명령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현재 시간이 저녁 5시에 해당되고, 현관 문이 열리는 경우, 현재 시간이 저녁 5시에 해당되고 현관 문이 열렸다는 정보를 서버(108)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현재 시간이 저녁 5시에 해당되고 현관 문이 열렸다는 정보에 기반하여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1)에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피커에게 송신하고, 거실에 등을 켜기 위한 제어 신호를 거실에 포함된 등(light)에게 송신할 수 있다.
"TV를 켜고, IPTV의 채널을 13번으로 조절하고, 거실 등을 노란색으로 바꾼다." 의 경우, 'TV를 켜고'는 제1 명령일 수 있고, 'IPTV의 채널을 13번으로 조절하고'는 제2 명령일 수 있고, '거실 등을 노란색으로 바꾼다.'는 제3 명령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명령, 제2 명령, 제3 명령에 대한 정보를 서버(108)에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제1 명령, 제2 명령, 제3 명령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1)에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TV에게 전원을 켜기 위한 제어 신호, TV에게 채널을 13번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 거실에 포함된 등(light)에게 노란색으로 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730)은 서버(108)와 전자 장치(101), 액세스 포인트(202) 또는 외부 전자 장치들(210)과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통신 모듈(730)은 다양한 형태들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730)은 다양한 형태들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모듈(721)은 메모리(710)에 저장되거나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모듈(721)은 메모리(710)와 연동하여 다양한 데이터들을 생성, 수집, 저장, 수정, 분석, 조회, 삭제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모듈(721)은 메모리(710)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새로운 명령어들의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외부 시스템 연결 관리 모듈(726)은 다른 서버와의 통신 채널을 관리할 수 있다. 외부 시스템 연결 관리 모듈(726)은 통신 채널을 통한 데이터 교환을 위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시스템 연결 관리 모듈(726)은 다른 서버에게 기기 제어,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시스템 연결 관리 모듈(726)은 다른 서버로부터 기기 제어, 정보 제공의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버(108)는 외부 시스템 연결 관리 모듈(726)을 통해 날씨, 뉴스, 또는 동영상 스트리밍(streaming)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들을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과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시스템 연결 관리 모듈(726)은 서비스 제공 서버(예: 날씨 제공 서버)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정보가 사전에 사용자가 등록해 놓은 조건(예: 일정 온도 이하)과 일치할 경우, 사전에 약속된 기기 제어 명령 신호(예: 가습기 동작 시작)를 실행 관리 모듈(723)로 전달할 수 있다.
장치 연결 관리 모듈(727)은 서버(108)에 연결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 액세스 포인트(202),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를 관리할 수 있다. 장치 연결 관리 모듈(727)은 서버(108)에 연결된 통신 채널을 관리할 수 있다. 장치 연결 관리 모듈(727)은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 관리 모듈(722)은 상기 서버(108)에 등록되거나 등록될 수 있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 액세스 포인트(202), 또는 외부 전자 장치들(210))를 대상으로 등록(register), 해지(unregister), 상태 조회(status query), 활성화(activation), 또는 비활성화(deactiv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실행 관리 모듈(723)은 메모리(710)를 통해 확인된 전자 장치(101)에 대한 실행 명령어를 전자 장치(101)에 송신할 수 있다.
이벤트 관리 모듈(724)은 외부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벤트 관리 모듈(724)은 상기 외부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명령어들의 집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벤트 관리 모듈(724)은 상기 명령어들의 집합을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 관리 모듈(721)을 통해, 메모리(710)에 저장된 명령어들의 집합에 대한 질의(query)를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벤트 관리 모듈(724)은 전자 장치(101)의 상태 변화에 대한 이벤트를 감지하여 데이터 관리 모듈(721)을 통해 메모리(710)에 저장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계정 관리 모듈(725)은 메모리(710)에 저장된 계정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가 서버(108)에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계정 관리 모듈(725)은 서버(108)에 등록된 전자 장치(101)에 대한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정 관리 모듈(725)은 서버(108) 전체에 대한 조회 또는 수정 권한을 제어할 수 있다. 계정 관리 모듈(725)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회 또는 수정 권한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시스템(200)은 전자 장치(101), 액세스 포인트(202), 서버(108)로 구성되어 있으나, 시스템(200) 구성 측면에서, 액세스 포인트(202) 또는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 내의 일부 구성요소로써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명령인식을 위한 동작은 서버(108) 없이 전자 장치(101)의 내부에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제어를 위한 서버(108)의 동작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에서 처리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01)는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를 이용한 P2P(peer to peer) 형태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202)가 부재한 환경에서, 전자 장치(101)는 스스로 액세스 포인트(202)의 역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구체적으로 FTM(fine timing measurement)에 따른 전자 장치(1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d0)를 계산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110) 중 하나 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액세스 포인트(202)(예: 액세스 포인트(202)의 프로세서(5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FTM 요청 신호(FTM request signal)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FTM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802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액세스 포인트(202)에게 FTM요청 신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acknowledgement signal, ACK signal)를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FTM 요청 신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액세스 포인트(202)에게 FTM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제1 FTM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제1 FTM 응답신호를 제1 타이밍(timing)(t1)(807)에서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제1 FTM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FTM 응답 신호를 제2 타이밍(timing)(t2)(808)에서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FTM 응답 신호의 수신 시간을 트래킹(tracking)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FTM 응답신호를 제2 타이밍(timing)(t2)(808)에서 수신할 수 있다.
동작 804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FTM 응답 신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ACK signal)를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FTM 응답신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ACK signal)를 제3 타이밍(timing)(t3)(809)에서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제1 FTM 응답 신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제1 FTM 응답 신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를 제4 타이밍(timing)(t4)(810)에서 수신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상기 제1 FTM 응답 신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제2 FTM 응답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2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2 FTM 응답 신호는 제1타이밍(t1)(807)과 제4 타이밍(t4)(8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제2 FTM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806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제2 FTM 응답 신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제2 FTM 응답 신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811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상기 제1타이밍(t1)(807), 상기 제2 타이밍(t2)(808), 상기 제3타이밍(t3)(809), 상기 제4타이밍(t4)(810)에 기반하여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d0)를 식별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또는 거리 측정 모듈(510))는, 신호가 송신되는데 걸린 시간에 신호의 속력(c)을 곱함으로써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구성된,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d0)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202)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Figure 112018023608462-pat00001
수학식 1에서, d0 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를 나타낼 수 있고, c 는 신호의 속력을 나타낼 수 있고, t1 은 제1 타이밍(807)을 나타낼 수 있고, t2 은 제2 타이밍(808)을 나타낼 수 있고, t3 은 제3 타이밍(809)을 나타낼 수 있으며, t4 은 제4 타이밍(810)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예: 무선 통신 모듈(192) 또는 통신 모듈(190)),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160)),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예: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와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 관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획득된 신호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된 제2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및/또는 방향과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상기 결정된 위치 및/또는 상기 결정된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동작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가, 상기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와 무선 통신하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외부 서버(예: 서버(108)) 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예: 액세스 포인트(20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예: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아이디(ID)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아이디(ID) 및 상기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3정보는 IP 주소(IP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동작은 미러링(mirroring), 스트리밍(streaming) 또는 쉐어링(shar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기능(capability)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1 정보를 프로파일(profile) 형태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160)),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90)),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통신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액세스 포인트(예: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예: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제1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각각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제2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하여 배치된(arranged) 복수의 객체들을,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within),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의해 지시되는(indicated)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에게 연결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예: 액세스 포인트(202))와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예: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 사이의 거리들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각각과 상기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 사이의 거리들에 대한 제3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식별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3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9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도3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동작 901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 관한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기능에 관한 정보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에 관한 정보는 입력 장치인지 여부, 화면 출력의 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 사운드 출력의 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 연결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02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위치 및/또는 방향과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무선 통신 회로(192)를 통해 획득된 신호 및/또는 제2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위치 및/또는 방향과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무선 통신 회로(192)를 통해 획득된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및/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결정된 위치 및/또는 결정된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를 나타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결정된 위치 및/또는 결정된 방향에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를 나타내는 객체,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를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 장치(160)에 평면도로 표시할 수 있다.
동작 904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를 선택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스처 입력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를 연결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드래그(drag) 입력, 탭(tap) 입력, 또는 음성 명령(voice command) 입력을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2 외부 장치(212)를 연결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905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를 이용하는 동작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정보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구동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구동 모드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구동 모드를 각각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식별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구동 모드에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구동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구동 모드에 기반하여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구동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9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b을 참조하면, 동작 910에서,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통신 모듈(190)을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과 액세스 포인트(202)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제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과 액세스 포인트(202) 사이의 거리 또는 방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로부터 연결 모드에 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연결 모드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연결을 통해 수행할 동작(예: 파일 공유, 영상 출력(미러링(mirroring), 스트리밍(streaming) 또는 쉐어링(sharing)))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연결 모드에 관한 입력을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연결 모드에 관한 입력을 상황 정보에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들의 파일 공유에 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파일 공유에 대한 입력을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파일 공유에 대한 입력을 상황 정보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는 표시할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연결 모드에 관한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생략될 수 있으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이 전자 장치(101)에 표시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제2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변경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3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2 데이터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객체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의 이름으로 지시되거나(indicated)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지시될 수 있다.
동작 940에서,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150)를 통하여 복수의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연결을 위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은 드래그(drag) 입력, 또는 탭(tap)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50에서,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의해 지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에게 연결을 위한 신호를 통신 모듈(160)을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연결을 위한 신호는 외부 전자 장치 각각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 및 컴퓨터를 나타내는 객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컴퓨터를 입력 장치(예: 소스(source))로 설정하는 신호를 컴퓨터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모니터를 출력 장치(예: 디스플레이(display))로 설정하는 신호를 모니터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의 동작 1010 내지 동작 1020은 도 9의 동작 910과 관련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10에서,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202)에게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과 액세스 포인트(202)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제1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통신 모듈(190)을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사이의 거리 또는 방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가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은 도 11을 통해 후술될 것이다.
동작 1020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과 액세스 포인트(202)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제1 데이터를 통신 모듈(190)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로부터 직접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202)에서 FTM 방식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 및 방향을 식별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액세스 포인트(202) 사이의 거리 및 방향을 식별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110) 중 하나 일 수 있다. 동작 1110에서, 액세스 포인트(202)의 프로세서(501)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제1 거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01)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제1 거리(1250)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중심으로 하고, 제1 거리(1250)를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원형(1251)을 이루는 선 상에 제1 외부 전자 장치(211)가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120에서, 프로세서(501)는 전자 장치(101)와 액세스 포인트(202) 사이의 제2 거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전자 장치(101)의 액세스 포인트(202)를 기준으로 방향과 거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기준으로 한 전자 장치(101)의 방향과 거리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거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01)는, 제2 거리(1240)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도 12의 제2 거리(1240)만큼 떨어진 곳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501)는 액세스 포인트(202)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01)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수신된 신호의 위상 차 또는 배열 안테나(array antenna)의 이득 패턴(gain pattern)을 통해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501)는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액세스 포인트(202)에 포함된 복수의 마이크들을 통해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01)는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액세스 포인트(202)에서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상기 음성 입력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추정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501)는 전자 장치(101)가 이동 시, 전자 장치(101)의 이동 방향과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130에서, 프로세서(501)는 전자 장치(1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제3 거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01)는, 제3 거리(1260)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제3 거리에 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501)는 전자 장치(101)를 중심으로 하고, 제3 거리(1260)를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원형(1261)을 이루는 선 상에 제1 외부 전자 장치(211)가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140에서, 프로세서(501)는 제1 거리(1250), 제2 거리(1240), 제3 거리(1260)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가 존재할 수 있는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01)는 동작 1110을 통해 추정된 원(예: 가상의 원형(1251))과 동작 1130을 통해 추정된 원(예: 가상의 원형(1261))의 교점(1210)에 제1 외부 전자 장치(211)가 존재할 수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두 개의 원의 교점은 2개 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제1 교점(1220)에 해당하는 위치에 존재하거나, 제2 교점(1230)에 해당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가 위치할 수 있는 후보 지점(예: 제 1교점(1220), 제2 교점(1230))에 관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150에서, 프로세서(5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추정 위치에 대한 데이터가 정해진 분산(designated variance) 이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추정 위치에 대한 데이터가 정해진 분산보다 더 큰 값에 해당하는 경우, 다시 동작 113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1차 추정 위치에 대한 분산 데이터의 크기가 기 지정된 분산 데이터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도, 정확도 향상을 위해 다시 동작 113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의 개념도(12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가 개념도(1202)에 표시된 방향(1270)으로 움직이는 경우, 프로세서(501)는, 동작 1110을 통해 그려진 가상의 원(예: 가상의 원형(1251))과, 다시 동작 1130을 통해 새롭게 추정된 원(예: 가상의 원형(1262))의 교점(1283)에 제1 외부 전자 장치(211)가 존재함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교점(1281)과 교점(1282) 중 앞서 추정된 교점(1220)과 교점(1281)의 분산과, 앞서 추정된 교점(1230)과 교점(1282)의 분산을 비교하여 분산이 작은 교점을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위치로 추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두 개의 교점 중 이전 동작 1130에서 식별된 교점(1230)과 식별된 교점(1282) 주변에 제1 외부 전자 장치(211)가 존재할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동작 1150에서, 프로세서(501)는 다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추정된 위치에 대한 데이터의 분산이 지정된 분산(designated variance) 이하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다시 추정된 위치에 대한 데이터의 분산이 지정된 분산 이하인 경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위치는 교점(1230)에 해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5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추정된 위치에 대한 데이터의 분산이 정해진 분산 이하인 경우 상기 추정된 위치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위치에 해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160에서, 프로세서(5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위치에 관한 제1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거리에 대한 정보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은 도 11의 순서에 제한되지 않으며,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액세스 포인트(201)가 함께 움직이는 경우, 프로세서(501)는 기준 위치에서 전자 장치(101)와 액세스 포인트(201)의 이동 거리 및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변경된 위치에서 추정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위치와, 기준 위치에서 추정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202)에서, 전자 장치(101), 액세스 포인트(202), 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와 액세스 포인트(202) 사이의 거리,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 및 전자 장치(1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 액세스 포인트(202)는 도 8에 도시된 FTM(fine timing measurement)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110) 중 하나 일 수 있다.
동작 1310에서, 액세스 포인트(202)(예: 액세스 포인트(202)의 프로세서(501))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전자 장치(101)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310은 도 8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320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320은 도 8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330에서,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330은 도 8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340에서,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에게 전자 장치(1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전자 장치(101)와 액세스 포인트(202) 사이의 거리,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 전자 장치(1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전자 장치(101)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202)에서, 전자 장치(101), 액세스 포인트(202), 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신호를 스니핑(sniffing)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에게 상기 스니핑된 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예: 액세스 포인트(202)의 프로세서(501))는 상기 스니핑된 신호에 관한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가 복수인 경우, 스니핑 방식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신호 송신 및 수신을 일부 생략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110) 중 하나 일 수 있다.
동작 1410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전자 장치(101) 사이의 거리(d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410은 도 8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415에서,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에 제1 FTM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FTM 응답 신호를 제1 타이밍(timing)(t11)(1411)에서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FTM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FTM 응답 신호를 제2 타이밍(t12)(1412)에서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416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 제1 FTM 응답 신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FTM 응답 신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를 제3 타이밍(t13)(1413)에서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FTM 응답 신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FTM 응답 신호 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를 제4 타이밍(t14)(1414)에서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420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d1)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420은 도 8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421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FTM 요청 신호(FTM request signal)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FTM 요청 신호(FTM request signal)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422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FTM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액세스 포인트(202)에게 확인 응답 신호(예: ACK signal)를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423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상기 확인 응답 신호를 송신한 후, 제3 FTM 응답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2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제3 FTM 응답 신호를 제5 타이밍(t21)(1441)에서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상기 제3 FTM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상기 제3 FTM 응답 신호를 제6 타이밍(t22)(1442)에서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427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3 FTM 응답 신호를 제1 스니핑 타이밍(t25)(1445)에서 스니핑할 수 있다.
동작 1424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3 FTM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확인 응답 신호(예: ACK signal)를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7 타이밍(t23)(1443)에서 상기 확인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상기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상기 확인 응답 신호를 제8 타이밍(t24)(1444)에서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428에서,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에서 송신된 상기 확인 응답 신호를 제2 스니핑 타이밍(t26)(1446)에서 스니핑할 수 있다.
동작 1425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제4 FTM 응답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202)에 송신할 수 있다. 제4 FTM 응답 신호는 제5 타이밍(t21)(1441) 및 제8 타이밍(t24)(1444)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일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4 FTM 응답 신호를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426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4 FTM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확인 응답 신호(예: ACK signal)를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상기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431에서,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에게 제5 FTM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5 FTM 응답 신호는 제1 스니핑 타이밍(t25)(1445) 및 제2 스니핑 타이밍(t26)(1446)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5 FTM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432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전자 장치(101)에게 상기 제5 FTM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확인 응답 신호(예: ACK signal)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5 FTM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타이밍(1411) 내지 제8타이밍(1444), 제1 스니핑 타이밍(1445), 제2 스니핑 타이밍(1446) 및 신호의 속력(c), 전자 장치(101)와 액세스 포인트(202) 사이의 거리(d0)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d2)를 식별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구성된, 전자 장치(1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d2)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202)는 하기의 수학식 2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Figure 112018023608462-pat00002
수학식 2에서, d2 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거리를 나타낼 수 있고, d0 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전자 장치(101) 사이의 거리를 나타낼 수 있고, c 는 속력을 나타낼 수 있고, t11 은 제1 타이밍(1411)을 나타낼 수 있고, t12 은 제2 타이밍(1412)을 나타낼 수 있고, t13 은 제3 타이밍(1413)을 나타낼 수 있고, t14 은 제4 타이밍(1414)을 나타낼 수 있고, t21 은 제5 타이밍(1441)을 나타낼 수 있고, t22 은 제6 타이밍(1442)을 나타낼 수 있고, t23 은 제7 타이밍(1443)을 나타낼 수 있고, t24 은 제8 타이밍(1444)을 나타낼 수 있고, t25 은 제1 스니핑 타이밍(1445)을 나타낼 수 있으며, t26 은 제2 스니핑 타이밍(1446)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가 FTM관련 신호를 스니핑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스니핑한FTM 관련 신호에 포함된 패킷으로부터 스니핑한 FTM 관련 신호를 송신한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위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FTM 관련 신호를 송신한 장치의 위상 정보에 기반하여, 스니핑한 FTM 관련 신호를 송신한 장치가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전자 장치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전자 장치(101)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액세스 포인트(202) 및 전자 장치(101)는,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를 구성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로컬 네트워크는 초고주파 대역으로 연결된 네트워크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 초고주파 대역의 연결이 아닌 경우(예: 2.4Ghz communication, 5Ghz communication) FTM 방식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511에서, 액세스 포인트(202)(예: 액세스 포인트(202)의 프로세서(5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FTM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FTM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12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FTM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FTM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13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FTM 응답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202)에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FTM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14에서,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FTM 응답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202)에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로부터 FTM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11, 동작 1512, 동작 1513 및 동작 1514는 도 8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520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신호 전달을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202)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거리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거리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202)는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ID(device identification)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송신된 신호임을 식별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AOA(angle of arrival)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액세스 포인트(202) 사이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202)는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ID(device identification)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로부터 송신된 신호임을 식별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AOA(angle of arrival)를 통해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와 액세스 포인트(202) 사이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521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22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서버(108)에게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23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에게 FTM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FTM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24에서,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전자 장치(101)에게 FTM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로부터 FTM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FTM 응답 신호 수신을 통해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거리 및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FTM신호에 포함된 디바이스 ID에 관한 정보와 해당 신호의 AOA(angle of arrival)을 통해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동작 (152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서버(108)에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23, 동작 1524 또는 동작 1525는 전자 장치(101)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액세스 포인트(202)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15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는 도 19에서 후술될 것이다.
동작 154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및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위치 관계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식별된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및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를 나타내는 각각의 객체들을 전자 장치(101)의 화면(예: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5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액세스 포인트(202) 및 전자 장치(101)는,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를 구성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로컬 네트워크는 초고주파 대역으로 연결된 네트워크에 해당할 수 있다. 초고주파 대역 통신(예: mmWave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의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정해진 섹터들(예: 16개)에 대해서 빔 스위핑(beam sweeping) 과정을 수행하고, 빔 스위핑 과정을 통해서 통신 성능이 가장 뛰어난 섹터(예: best sector)를 결정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로 전송할 빔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스위핑 과정은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에 정해진 섹터 각각에 빔을 전송하는 동작, 외부 전자 장치가 각 섹터 별 수신된 빔의 통신 상태에 기반하여 가장 성능이 좋은 섹터의 빔을 결정하여 전자 장치(101)에 전달하는 동작, 전자 장치(101)가 결정된 섹터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101)와의 방향을 추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551에서, 액세스 포인트(202) (예: 액세스 포인트(202)의 프로세서(501))는 초고주파 대역 통신에서 빔(beam)을 통한 위치 측정 신호를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빔을 통한 위치 측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52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초고주파 대역 통신에서 빔을 통한 위치 측정 신호를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빔을 통한 위치 측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빔을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거리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거리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 또는 디바이스 ID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560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560은 도 15a의 동작 152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동작 1561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61은 도 15a의 동작 1521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동작 1562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서버(108)에게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62은 도 15a의 동작 1522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동작 1563에서,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에게 FTM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FTM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63은 도 15a의 동작 1523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동작 1564에서,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전자 장치(101)에게 FTM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로부터FTM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64는 도 15a의 동작 1524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동작 156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서버(108)에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65는 도 15a의 동작 1525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동작 157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는 도 19에서 후술될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은 도 19에 도시된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동작 1570은 도 15a의 동작 153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동작 158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및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위치 관계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1580은 도 15a의 동작 154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등록되지 않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의 예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6에 도시된 패킷은 예약필드(reserved field)(16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약 필드(1610)는 제조사명에 대한 정보(1620), 장치 타입에 관한 정보(1630), 모델명에 관한 정보(1640), 및 기능에 관한 정보(16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202) (예: 액세스 포인트(202)의 프로세서(501))는 등록되지 않은 외부 전자 장치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가 제조사 고유 프로토콜(vendor-specific protocol)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 와 같이 잘 알려진 대역의 패킷(packet)의 예약 필드(reserved field)에 임의로 값을 지정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패킷을 디스커버리 신호(discovery signal) 송신 시에 함께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자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202)에게 외부 전자 장치의 종류와 이름 또는 기능에 관한 정보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도 16에 도시된 패킷의 전송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패킷을 송신할 수 없는 경우에도 외부 전자 장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필드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가 거리와 방향 측정을 위한 하드웨어적 요건을 갖추지 않은 경우, 외부 전자 장치는, 거리와 방향 측정을 위해 FTM 프로토콜, 디스커버리 신호 발신을 위한 룰 셋(rule set)과 같은 필요한 사항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를 통해, 거리 또는 방향 측정과 관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거리 및 방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도록 설계된 외부 전자 장치는, 거리 또는 방향 측정을 위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또는 펌웨어(firmware) 업데이트를 통해, 거리 또는 방향 측정과 관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신호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지 않는 외부 전자 장치는,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사용자 정의 프로토콜이 포함된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특정 신호 수신 시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FTM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FTM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7 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기능을 식별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액세스 포인트(202) 및 전자 장치(101)는,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를 구성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전자 장치(101)의 계정에 등록되어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전자 장치(101)의 계정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동작 1701에서, 전자 장치(101) (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서버(108)에게 계정에 등록된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기능에 관한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기능에 관한 정보는 입력 장치인지 여부, 화면 출력의 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 사운드 출력의 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 연결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기능에 관한 정보 요청 신호를 기 지정된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프로토콜은 제조사가 지정한 별도의 프로토콜 또는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에 기반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서버(108)(예: 서버(108)의 프로세서(720))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기능에 관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702에서,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에게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로부터 계정에 등록된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7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수신한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한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프로파일(profile)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703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211)는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하지 않고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직접 송신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202) (예: 액세스 포인트(202)의 프로세서(501))는 전자 장치(101) 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가공하여 전자 장치(101) 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 송신할 수 있다.
동작 1705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서비스 응답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전자 장치(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서비스 응답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하지 않고 전자 장치(101)에게 직접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응답 신호를 가공하여 전자 장치(101)에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서비스 응답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가 전자 장치(101)와 연동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707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기능에 관한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기능에 관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기능에 관한 정보 요청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하지 않고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직접 송신할 수 있다.
동작 1709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전자 장치(101)에게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하지 않고 전자 장치(101)에게 직접 송신할 수 있다.
동작 17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프로파일(profile)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711에서,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서버(108)에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서버(108)에 업로드(upload) 또는 동기화할 수 있다.
동작 1712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에게 서비스 요청 신호 및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 및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제조사 고유 프로토콜(vendor-specific protocol)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요청 신호는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킷은 도 16에 따른 패킷에 상응할 수 있다.
동작 1713에서,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전자 장치(101)에게 서비스 응답 신호 및 연결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응답신호 및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송신된 연결 응답 신호를 통해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와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와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연결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동작 1714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에게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기능에 관한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 의 기능에 관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715에서,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전자 장치(101)에게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로부터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74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한 제3 전자 장치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프로파일(profile)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716에서,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서버(108)에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서버(108)에 업로드(upload) 또는 동기화할 수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동작 1810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는 도 19에서 후술될 것이다.
동작 1820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입력 모드에 기반하여 추가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를 표시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추가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를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동작 1830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추가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를 표시할 필요가 없는 경우, 동작 185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830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 또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추가적 외부 전자 장치의 배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연결 모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 또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나, 연결 모드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의 배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전에 전자 장치(101) 또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연결된 장치이기는 하나, 현재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연결 모드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의 배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모드가 파일 공유 동작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노트북이 현재 전자 장치(101)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파일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노트북(notebook)을 추가적 외부 전자 장치에 해당함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버(108) 또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노트북의 배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에 노트북을 나타내는 객체를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840에서, 프로세서(120)는 연결 모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 표시될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모드가 파일 공유에 해당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파일 공유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외부 전자 장치(예: IoT 전구, 오븐(oven))를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에서 제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파일 공유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동작 1850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제2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하여 배치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특징 추출 모듈(420)은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위상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신호 특징 추출 모듈(420)은 상기 비교된 위상 값을 장치 판단 모듈(440)로 송신할 수 있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상기 비교된 위상 값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에 대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거리 및 방향에 관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된 RF 신호의 위상 차 및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한 RF 신호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제1 RF 신호와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제2 RF 신호의 위상 차가 0인 경우,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를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RF 신호와 제2 RF 신호의 위상 차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를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위상 차가 0.05 radian 이내인 경우,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를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 양 쪽에 안테나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할 수 있다. 제1 상태(1910)의 전자 장치(101)의 경우 전자 장치(101) 왼쪽의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제1 신호와 전자 장치(101) 오른쪽의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제2 신호의 위상 차가 0이거나 기 설정된 값 이하 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태(1910)의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임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상태(1920)의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임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3 상태(1930)의 전자 장치(101)의 경우 전자 장치(101) 왼쪽의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제1 신호와 전자 장치(101) 오른쪽의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제2 신호의 위상 차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상태(1930)의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가 아님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에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액세스 포인트(202)로 지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지정된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제2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화면 표시에 필요한 시간을 줄여 빠른 응답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 식별은 프로세서(120) 내부의 장치 판단 모듈(44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신호 특징 추출 모듈(420)로부터 입력 받은 위상 차 정보 이외의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에 저장되어 있는 안테나 위치 정보, 센서 정보 입력 모듈(450) 에서 입력 받은 각종 센서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위상 차 정보 이외의 정보를 위상 차 연산 모듈에서 수신한 위상 차 정보와 결합해 최종적으로 가중치 위상 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장치 판단 모듈(440)은 가중치 위상 차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장치 판단 모듈(440)은 신호 특징 추출 모듈(420)로부터 수신한 RF 신호의 특성에 기반하여 가중치 위상 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 판단 모듈(440)은 상기 가중치 위상 차 정보를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 식별에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전자 장치(101)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전자 장치(101)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전자 장치(101)에게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전자 장치(101)가 위치한다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임을 식별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전자 장치(101)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과 전자 장치(101)가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는 동작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에게 연결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20의 동작 2010 내지 동작 2030은 도 9의 동작 950과 관련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동작 2010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연결 모드에 기반하여 표시된 정보에 포함된 객체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입력 장치(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예: 터치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연결을 수행할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020에서 프로세서(120)는 연결 할 외부 전자 장치들의 구동 모드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연결 모드에 기반하여,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들의 구동 모드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들의 연결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들의 구동 모드에 따라 필요한 연결 및 불필요한 연결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식별에 기반하여, 불필요한 연결이 제외된,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들의 연결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가 노트북(notebook), 모니터(monitor), 스피커(speaker)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연결 모드는 영상 재생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영상 재생을 위한 노트북, 모니터, 스피커의 연결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영상에 관한 정보를 노트북에서 모니터로 제공하도록 노트북과 모니터를 연결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소리에 관한 정보를 노트북에서 스피커로 제공하도록 노트북과 모니터를 연결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연결 모드인 영상 재생에 불필요한 연결인 모니터와 스피커의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2030에서 프로세서(120)는 연결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에게 연결을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연결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에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송신할 수도 있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제1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제2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가 화면의 상단의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 또는 서버(108)는 메모리(예: 메모리(130) 또는 메모리(710))에 전자 장치(101), 액세스 포인트(202)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이 포함된 환경(211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로부터 상기 환경(211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로부터 상기 환경(211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환경(2110)에 대한 정보는 폭 또는 너비의 물리적 환경을 나타내는 평면도(212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 액세스 포인트(202),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은 환경을 나타내는 상기 평면도(2120)에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는 평면도(2120)에서 전자 장치(101)의 표시 영역의 크기에 기반하여 실제 거리와 비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탭 또는 드래그 입력을 위해 전자 장치(101) 표시 영역의 크기에 기반하여 평면도(2120)를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평면도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에 기반하여 추정된 환경의 구조를 전자 장치(101)에 상기 객체를 포함하는 평면도(2120)로써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2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160)에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예: 객체(2202), 객체(2203), 객체(2204), 객체(2205), 객체(2206))을 포함하는 화면(2271)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2201)가 화면(2271)의 하단 또는 화면(2271)의 중앙에 배치됨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예: 객체(2202), 객체(2203), 객체(2204), 객체(2205), 객체(2206))을 배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101)와 복수의 전자 장치들(110)의 위치 관계와 해당 전자 장치들이 배치된 환경(예: 환경(2110))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객체들을 공간과 거리에 비례하도록 화면(2271)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을 크기, 색상을 다르게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을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의 형상을 나타내는 객체로서 표시할 수 있다.
도 22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을 소스(source) 장치와 아웃풋(output) 장치로 구분하여 화면(2272)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속성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이 소스 장치인지 여부 또는 아웃풋 장치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식별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예: 객체(2212), 객체(2213), 객체(2214), 객체(2215), 객체(2216))을 소스(source) 장치와 아웃풋(output) 장치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2211)를 화면(2272)의 하단 또는 화면(2272)의 중앙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역(2210)은 소스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가 표시된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2220)은 아웃풋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가 표시된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2210)의 상단에는 소스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2217)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영역(2220)의 상단에는 아웃풋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2218)가 표시될 수 있다. 소스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2217) 또는 아웃풋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2218)는 항상 영역의 상단에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전자 장치(1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을 다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며,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2c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c를 참조 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예: 객체(2222), 객체(2223), 객체(2224), 객체(2225), 객체(2226))을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에 따라 배치된 화면(2273)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2221)를 화면(2273)의 하단 또는 화면(2273)의 중앙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통신 모듈(190)을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검출된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예: 객체(2222), 객체(2223), 객체(2224), 객체(2225), 객체(2226))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검출된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가상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가상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객체(2230)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과 전자 장치(101)의 상대적 위치 관계와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2d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에 신호가 닿지 않는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화면(2274)을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화면(2274)은 전자 장치(101)의 신호가 닿는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제1 영역(2240)과 전자 장치(101)의 신호가 닿지 않는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제2 영역(22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가 닿지 않는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101)와 다른 공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있는 공간의 제1 무선 통신 장치는 전자 장치(101)가 없는 공간의 제2 무선 통신 장치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무선 통신 장치들(예: AP)을 통해 전자 장치(101)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전자 장치(101)에 신호가 닿지 않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는 신호가 닿지 않는 곳의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2231)가 표시된 제1 영역(2240)이 아닌 제2 영역(2250)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를 나타내는 제1 객체(225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를 나타내는 제2 객체(2252)를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2231)가 표시된 제1 영역(2240)이 아닌 제2 영역(225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2231)를 제1 영역(2240)의 하단 또는 제1 영역(2240)의 중앙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공간에 있는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예: 객체(2232), 객체(2233), 객체(2234), 객체(2235), 객체(2236))를 제1 영역(224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가 표시된 제1 영역(2240)에 제1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2241)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2 영역(2250)에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2253)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2241)와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2253)는 두 장치가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점선(2260)으로 연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3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의 표시를 변경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예: 객체(2302), 객체(2304), 객체(2305), 객체(2306))과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2301)를 포함하는 화면(2340)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화면(2340)에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예: 객체(2302), 객체(2304), 객체(2305), 객체(2306))을 회전 시킬 수 있는 인디케이터(indicator)(2310)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인디케이터(2310)를 선택하는 입력(예: 드래그 또는 탭)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선택 입력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예: 객체(2302), 객체(2304), 객체(2305), 객체(2306))을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2301)를 중심으로 회전 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인디케이터(2310)의 선택 입력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예: 객체(2302), 객체(2304), 객체(2305), 객체(2306))을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를 중심으로 90도 회전 시킨 화면(2341)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90도로 회전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예: 객체(2302), 객체(2304), 객체(2305), 객체(2306))은 인디케이터(2310)의 선택 입력에 따라 다양한 각도(예: 30도, 180도, 270도)로 회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23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의 표시를 변경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예: 객체(2321), 객체(2313) 객체(2314), 객체(2315), 객체(2316))과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2311)를 포함하는 화면(2342)을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예: 객체(2321), 객체(2313), 객체(2314), 객체(2315), 객체(2316))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은 드래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은 방향(2322)의 드래그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방향(2322)의 드래그 입력에 기반하여 객체(2321)를 제1 위치(2323)에서 제2 위치(2324)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4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 (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예: 객체(2404), 객체(2405), 객체(2406), 객체(2407), 객체(2408))과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2419)를 포함하는 화면(2410)을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연결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은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160)에 표시된 화면(24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예: 객체(2404), 객체(2405), 객체(2406), 객체(2407), 객체(2408))을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연결하기 위한 입력을 드래그 입력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객체(2407)는 PC(personal computer)를 나타낼 수 있다. 객체(2408)는 TV(television)를 나타낼 수 있다. 객체(2406)은 오디오(audio)를 나타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PC와 TV를 연결하기 위한 객체(2407)와 객체(2408)를 연결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1)는 객체(2407)와 객체(2408) 사이에 드래그 방향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2411)(예: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TV와 오디오를 연결하기 위한 객체(2408)와 객체(2406)를 연결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1)는 객체(2408)와 객체(2406) 사이에 드래그 방향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2412)(예: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오디오와 PC를 연결하기 위한 객체(2406)와 객체(2407)를 연결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1)는 객체(2406)와 객체(2407) 사이에 드래그 방향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2413)(예: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여러 드래그 입력을 연속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드래그 입력이 객체(2407)에서 객체(2408), 객체(2406) 순으로 수신된 경우, 전자 장치(101)는 PC, TV, 및 오디오를 모두 연결하기 위한 입력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드래그의 시작점이 객체(2407)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드래그의 시작점의 객체(2407)가 나타내는 외부 전자 장치인 PC를 소스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4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예: 객체(2414), 객체(2415), 객체(2416), 객체(2417), 객체(2418))과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2429)를 포함하는 화면(2420)을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연결하기 위한 입력을 탭 입력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객체(2414)는 PC(personal computer)를 나타낼 수 있다. 객체(2415)는 TV(television)를 나타낼 수 있다. 객체(2416)는 오디오(audio)를 나타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PC, TV, 오디오를 연결하기 위한 탭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객체(2414)의 탭 입력에 응답하여 객체(2414)가 선택되었다는 인디케이터(2421)(indicator)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객체(2415)의 탭 입력에 응답하여 객체(2415)가 선택되었다는 인디케이터(2422)(indicator)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연결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객체(2414)와 객체(2415)를 연결하는 선(2425)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객체(2416)의 탭 입력에 응답하여 객체(2413)가 선택되었다는 인디케이터(2423)(indicator)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연결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객체(2415)와 객체(2416)를 연결하는 선(2426)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연결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객체(2414)와 객체(2416)를 연결하는 선(2427)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2개의 객체가 선택되는 경우 2개의 객체를 연결하는 선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3개의 객체가 선택되는 경우 3개의 객체의 연결을 나타내는 선을 표시할 수 있다. 3개의 객체의 연결을 나타내는 선들은 삼각형을 이루도록 표시될 수 있다. 객체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선은 점선, 실선 또는 화살표가 포함된 선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4c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예: 객체(2434), 객체(2435), 객체(2436), 객체(2437), 객체(2438))과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2439)를 포함하는 화면(2430)을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간의 복수의 연결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은 전자 장치(101)의 화면(2430)에 표시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을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간의 복수의 연결을 위한 입력을 드래그 입력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객체(2434)는 랩탑(laptop)을 나타낼 수 있다. 객체(2435)는 미니빔(mini beam)을 나타낼 수 있다. 객체(2436)는 오디오(audio)를 나타낼 수 있다. 객체(2437)는 PC(personal computer)를 나타낼 수 있다. 객체(2438)는 TV(television)를 나타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PC와 TV를 연결하기 위한 객체(2437)와 객체(2438)를 연결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1)는 객체(2437)와 객체(2438) 사이에 드래그 방향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2441)(예: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PC와 TV를 연결하기 위한 객체(2437)와 객체(2438)를 연결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뒤, 전자 장치(101)는 랩탑(laptop)과 미니빔(mini beam)을 연결하기 위한 객체(2434)와 객체(2435)를 연결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1)는 객체(2434)와 객체(2435) 사이에 드래그 방향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2442)(예: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PC와 TV를 연결하기 위한 드래그 입력, 랩탑(laptop)과 미니빔(mini beam)을 연결하기 위한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PC와 TV의 연결, 랩탑(laptop)과 미니빔(mini beam)의 연결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2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외부 전자 장치들의 연결 모드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동작 2510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들(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속성 정보와 통신 프로토콜을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들의 속성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가 입력 장치인지 여부, 표시 장치인지 여부, 화면 표시 장치인지 여부, 사운드 표시 장치인지 여부 또는 데이터 저장 장치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들과 연결을 수립하기 위하여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의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들의 속성 정보와 통신 프로토콜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 동작 2520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들의 속성 정보와 통신 프로토콜을 획득할 수 없는 경우, 동작 252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2520에서, 프로세서(120)는 서버(108)의 메모리에서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들의 속성 정보와 통신 프로토콜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들의 속성 정보와 통신 프로토콜을 서버(108)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구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8)는 저장된 구동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들의 속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해당 서버(108)는 인공지능 서버, IoT 서비스 제공 서버, IoT 기기 제조사가 관리하는 기기 정보 특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2530에서, 프로세서(120)는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들의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들의 구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트북, 모니터,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해, 프로세서(120)는 각 외부 전자 장치들의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각 외부 전자 장치들의 구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노트북은 데이터 저장 기능, 화면 표시 기능, 사운드 출력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모니터는 화면 표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스피커는 사운드 출력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소스 장치로 동작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는 노트북이므로 노트북을 소스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노트북을 제외한 모니터와 스피커 중 화면 표시 기능을 가지는 모니터를 화면 표시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운드 출력 기능을 가지는 스피커를 사운드 표시 장치(160)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2540에서, 프로세서(120)는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들의 연결 모드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들의 효율적인 연결 모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트북, 모니터,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해,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외부 전자 장치들의 구동 모드에 기반하여 연결 모드를 획득할 수 있다. 노트북의 구동 모드는 소스(source)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모니터의 구동 모드는 화면 표시에 해당할 수 있다. 스피커의 구동 모드는 사운드 출력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노트북에서 모니터로 영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연결을 수립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노트북에서 스피커로 사운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연결을 수립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모니터와 스피커의 연결을 수립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 2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액세스 포인트(202) 및 전자 장치(101)는,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를 구성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노트북(notebook)일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TV일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블루투스 스피커 일 수 있다.
동작 2610에서, 전자 장치(101) (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각각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26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또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를 나타내는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6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연결할 외부 전자 장치들의 구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를 소스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를 영상 표시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를 사운드 표시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2631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에게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의 연결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의 연결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연결 요청 신호는 디바이스 ID(device identification), 연결 방법, 연결을 위한 암호, 서비스 종류, 또는 서비스 쿼리(query)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2632에서,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전자 장치(101)에게 제1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로부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의 연결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연결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연결을 수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2633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의 연결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의 연결을 위한 요청을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하지 않고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직접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의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202) (예: 액세스 포인트(202)의 프로세서(501))는 전자 장치(101)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또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가공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가공된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101)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211, 212 또는 15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635에서,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전자 장치(101)에게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의 연결을 위한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의 연결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하지 않고 전자 장치(101)에게 직접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의 연결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연결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연결을 수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2637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하지 않고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직접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639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전자 장치(101)에게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연결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연결 응답 신호를 통해 전자 장치(1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사이의 연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사이의 연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 사이의 연결을 수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하지 않고 전자 장치(101)에게 직접 연결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641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영상 정보에 관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영상에 관한 신호를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수신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동작 2643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에게 사운드 정보에 관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사운드 정보에 관한 신호를 제 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수신된 사운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액세스 포인트(202) 및 전자 장치(101)는,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를 구성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노트북(notebook)일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TV일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블루투스 스피커 일 수 있다.
동작 2701에서, 전자 장치(101) (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서버(108)에게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미러링 서비스(mirroring service)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202) (예: 액세스 포인트(202)의 프로세서(501))는 전자 장치(101)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가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하지 않고 서버(108)에게 직접 미러링 서비스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미러링 서비스 요청을 위한 메시지는 디바이스 ID(device identification)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외부 전자 장치의 디바이스 ID를 순차적 또는 임의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디바이스 ID는 실제 디바이스의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IP(internet protocol) address, 또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와 다르게 할당 될 수 있다.
동작 2703에서, 서버(108)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미러링 서비스 요청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서버(108)로부터 미러링 서비스 요청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버(108)는 미러링 서비스 요청을 위한 메시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를 제어하기 위한 권한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를 제어하기 위한 권한이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를 제어하기 위한 권한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를 제어하기 위한 권한이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202)에게 미러링 서비스 요청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서버(108)로부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가공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버(108)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하지 않고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직접 미러링 서비스 수행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미러링 서비스 요청을 위한 응답 메시지는 json(java script object notation) 형태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링 서비스 요청을 위한 응답 메시지는 COAP POST, [Notebook ID] {"Service":"Mirroring", "Target": "TV ID"} 와 같은 json형태의 메시지 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TV의 IP address 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 2705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 신호를 가공하여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하지 않고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직접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와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연결은 미라캐스트(miracast),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 WiFi-Direct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2707에서,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연결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로부터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로부터 수신된 연결 응답 신호를 가공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하지 않고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직접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709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영상 정보에 관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장치(21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영상 정보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상기 영상 정보에 관한 신호에 기반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하지 않고 직접 영상 정보에 관한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동작 2711에서,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에게 오디오 서비스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오디오 서비스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202)는 전자 장치(101)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가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하지 않고 서버(108)에게 직접 오디오 서비스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713에서, 서버(108)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오디오 서비스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오디오 서비스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오디오 서비스 요청을 위한 메시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를 제어하기 위한 권한 및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를 제어하기 위한 권한이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가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를 제어하기 위한 권한 및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를 제어하기 위한 권한이 있는 경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오디오 서비스 요청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버(108)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오디오 서비스 요청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715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에게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와 연결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할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연결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에 기반하여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와 연결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717에서,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와의 연결을 위한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와의 연결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와의 연결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와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의 연결을 수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2719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에게 사운드 정보에 관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사운드 정보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상기 사운드 정보에 관한 신호에 기반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 및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와 연결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액세스 포인트(202) 및 전자 장치(101)는,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를 구성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TV일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블루투스 스피커 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지 않고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와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2801에서, 전자 장치(101) (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미러링 서비스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전자 장치(101)로부터 미러링 서비스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202)(예: 액세스 포인트(202)의 프로세서(501))는 전자 장치(101),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또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803에서,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전자 장치(101)에게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미러링 서비스 요청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로부터 미러링 서비스 요청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8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전자 장치(101)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와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연결은 미라캐스트(miracast),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 WiFi-Direct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2807에서,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전자 장치(101)에게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연결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로부터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809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영상 정보에 관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영상 정보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상기 영상 정보에 관한 신호에 기반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동작 2811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에게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813에서,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전자 장치(101)에게 연결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로부터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81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에게 사운드 정보에 관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사운드 정보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는 상기 사운드 정보에 관한 신호에 기반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가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영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동작들과 전자 장치(101)가 제3 외부 전자 장치(1501)에게 사운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동작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사운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동작들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영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동작들과 사운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동작들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예: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사용자 인터페이스(2900))를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사용자 인터페이스(2900)) 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기 위한 화면(예: 화면(294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요리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에 기반하여, 요리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90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900) 내에서, 요리에 관련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예: 냉장고(fridge), 쿡탑(cook top), 오븐(oven))을 나타내기 위한 화면(2940)을 표시할 수 있다. 화면(2940)은, 상기 요리에 관련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의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요리에 관련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객체들(객체(2910), 객체(2920), 또는 객체(293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객체들은 외부 전자 장치들 각각의 이름으로 지시되거나 상기 객체들은 외부 전자 장치들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지시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화면(2940) 내에서, 객체(2910), 객체(2920), 또는 객체(293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구동 모드를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화면(2940) 내에서, 객체(2910)의 주변에, 객체(2910)가 지시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구동 모드에 해당하는 객체(2911)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객체(2930)의 주변에, 객체(2930)가 지시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구동 모드에 해당하는 객체(2931)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구동 모드를 나타내는 객체에 대한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식별된 입력에 기반하여 구동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객체가 지시하는 외부 전자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객체(2931)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객체 (2930)가 나타내는 외부 전자 장치(예: 오븐)의 구동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오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구동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객체(2931)에 대한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객체(2931)가 지시하는 구동 모드인 예열에 대한 신호를 오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오븐은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오븐의 구동 모드를 예열로 변경할 수 있다.
도 3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3000)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화면(3000) 내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을 복수의 전자 장치들(110)의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은 복수의 IoT전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IoT 전구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3020)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IoT 전구들을 나타내는 객체들(3020)을 선택하는 입력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방법은 드래그 또는 탭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IoT 전구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3020)을 선택하기 위한, 드래그 입력(3030)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드래그 입력(3030)에 기반하여, 화면(3000)으로부터 전환된 화면(3001)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화면(3001) 내에서, IoT 전구들을 이용해 수행 가능한 복수의 구동 모드들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IoT 전구들을 이용해 수행 가능한 복수의 구동 모드들의 목록은, 객체(3040), 객체(3050), 객체(3060), 또는 객체(30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객체(3040)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복수의 객체들(3020)이 지시하는 IoT 전구들을 소등하기 위한 신호를 IoT 전구들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객체(3050)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복수의 객체들(3020)이 지시하는 IoT 전구들을 점등하기 위한 신호를 IoT 전구들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객체(3060)가 선택되는 입력에 기반하여 복수의 객체들(3020)이 지시하는 IoT 전구들을 현재 재생 중인 미디어와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재생 중인 미디어의 소리(예: 세기, 음량 또는 템포(tempo))에 기반하여, IoT 전구를 점등 또는 소등하기 위한 신호를 IoT 전구들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재생 중인 미디어가 영화에 해당하는 경우 IoT 전구들의 조도를 낮추기 위한 신호를 IoT 전구들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1)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미디어 컨텐츠의 장르 정보에 기반하여 IoT 전구들의 색과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IoT 전구들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객체(3070)가 선택되는 입력에 기반하여 복수의 객체들(3020)이 지시하는 IoT 전구들을 수면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신호를 IoT 전구들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객체들(3020)이 지시하는 IoT 전구들의 조도를 낮추기 위한 신호를 IoT 전구들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일정 시간 이후에 복수의 객체들(3020)이 지시하는 IoT 전구들을 소등하기 위한 신호를 IoT 전구들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IoT 전구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3020)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복수의 IoT 전구들의 구동 모드가 하나인 경우, 복수의 IoT 전구들의 구동 모드를 상기 구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3100)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화면(3100) 내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3150)을 표시하기 위해, 전자 장치(101)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복수의 원들(3110)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화면(3100) 내에서, 복수의 원들(3110)이 지시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예: 반경)를 나타내기 위한 복수의 객체들(3120)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원들(3110)이 지시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예: 반경)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복수의 원들(3110)을 포함하는 화면(3100) 내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3150)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복수의 원들(3110)을 통해 지시할 영역에 대한 정보(예: 반경)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복수의 원들(3110)을 통해 지시할 영역의 최소 반경 또는 최대 반경을 나타내는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원들(3110)의 개수 또는 복수의 원들(3110)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3100) 내에서, 복수의 원들(3110)로부터 변경된 복수의 원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원들(3110)내에 표시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3150)의 개수를 화면(3100)에 표시된 객체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객체(3160)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원들(3110)을 통해 지시할 영역에 대한 정보(예: 반경)이 변경 되는 경우, 복수의 원들(3110)내에 표시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3150)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3150)의 개수가 변경되는 것에 기반하여, 객체(3160)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3150)의 개수를 나타내는 부분(예: (4))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315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화면(3100) 상에서, 복수의 객체들(3150)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드래그 입력(3130)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드래그 입력(3130)에 의해 지정되는 영역(3140)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식별된 영역(314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 3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3220)(예: 프린터)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에 기반하여, 화면(3200)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3200)은, 외부 전자 장치(3220)(예: 프린터)와 연결하기 위한 외부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 또는 노트북)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3220)(예: 프린터)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3200) 내에서, 외부 전자 장치(3220)와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예: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객체들(3210)을 표시할 수 있다. 화면(3200) 내에서 하나 이상의 객체들(3210)을 표시하는 동작은, 도 31의 화면(3100) 내에서 복수의 객체들(3150)을 표시하는 동작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화면(3200) 내에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객체들(3210)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화면(3200) 내 표시된 하나 이상의 객체들(3210) 중에서, 외부 전자 장치(3220)(예: 프린터)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 또는 노트북)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예: 탭, 더블 탭, 롱 프레스 또는 드래그)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하나 이상의 객체들(32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3220)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하나 이상의 객체들(3210) 중에서 선택된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전자 장치(3220)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3220)를 연결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진입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와 관련된 객체(3311)(예: 아이콘)를 포함하는 잠금 화면(3310)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객체(3311)(예: 아이콘)는, 잠금 화면(3310)에 표시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잠금 화면(3310) 내에서 객체(3311)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객체(3311)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은, 도 29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900), 도 30의 화면(3000), 화면(3001), 도 31의 화면(3100), 또는 도 32의 화면(32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예는, 도 34내지 도 36을 통해서도 후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객체(3311)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내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연결 되지 않은 외부 전자 장치가 식별된 경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와 관련된 객체(3311)와 다르게 표시된 객체를 전자 장치(101)의 잠금 화면(33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연결 되지 않은 외부 전자 장치가 식별된 경우, 객체(3311)와 다른 아이콘, 다른 색상 또는 다른 크기로 표현된 객체를 전자 장치(101)의 잠금 화면(33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예: 211, 212, 또는 210)의 무선 충전과 관련된 화면(3410)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화면(3410) 내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중 하나로써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342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화면(3410) 내에서, 무선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무선 충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객체들은 객체(3431), 객체(3432), 객체(3433) 또는 객체(343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3420) 및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객체들은, 무선 충전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 정보를 하나 이상의 객체들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하나 이상의 객체들(3431, 3432, 3433, 3434)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화면(3410)의 중앙에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342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파의 도달 영역을 설정(또는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파의 도달 영역은,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파의 방향,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파의 세기, 또는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파의 도달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파의 도달 영역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드래그(drag), 줌-인(zoom-in) 입력, 또는 줌-아웃(zoom-out)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화면(3410) 내에서,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에게 송신되는 전력을 변경(또는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송신되는 전력 및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송신되는 전력을 각각 변경(또는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어폰에게 송신되는 전력이 무선 충전 장치의 총 가용 전력의 50%이고, 노트북에 송신되는 전력이 무선 충전 장치의 총 가용 전력의 50%인 상황에서, 전자 장치(101)는 화면(3410)을 통해 이어폰에게 송신되는 전력을 무선 충전 장치의 총 충전 가능 전력의 80%로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입력에 기반하여 이어폰에게 송신되는 전력을 무선 충전 장치의 총 가용 전력의 80%로 증가시키고, 노트북에게 송신되는 전력을 무선 충전 장치의 총 가용 전력의 20%로 감소시키기 위한 신호를 무선 충전 장치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이어폰에게 송신되는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이어폰의 충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이 포함된 주변 환경을 나타내는 이미지(예: 이미지(3530), 이미지(3540))를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예: 이미지(3530), 이미지(354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이미지(예: 이미지(3530), 이미지(3540))를 스냅샷(snapshot)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이미지(예: 이미지(3530), 이미지(3540))를 서버(108)에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이미지(예: 이미지(3530), 이미지(3540))에 사용자를 나타내는 객체(예: 아바타(avatar), 캐릭터(character))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이미지(예: 이미지(3530), 이미지(3540))에 추가적으로 다양한 소품(예: 의자, 가방,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수신된 입력에 기반하여 이미지(예: 이미지(3530), 이미지(3540))에 다양한 소품을 나타내는 객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이미지(예: 이미지(3530), 이미지(354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입력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이미지(예: 이미지(3530), 이미지(3540))의 이름(3510)을 이미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이미지의 이름(3510)과 함께 이미지(예: 이미지(3530), 이미지(3540))에 포함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예: 이미지(3530), 이미지(3540))에 포함된 객체들 중 전자 장치(101)을 통해 제어 가능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에 상응하는 객체(예: 객체(3531), 객체(3532), 객체(3541), 객체(3542), 객체(3543))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를 통해 제어 가능한 전자 장치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에 상응하는 객체 위에 별 표시, 전등 표시, 화살표와 같은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에 상응하는 객체 자체의 색을 변경하거나, 알림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에 상응하는 객체와 함께 이모지(emoji) 또는 말풍선을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어떤 객체가 전자 장치(101)을 통해 제어 가능하고 그렇지 않은지에 대해 시각적인 인디케이터를 통해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3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도 3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음성 입력(예: "내 방 좀 띄워봐"라는 사용자 발화)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화면(3600) 또는 화면(3601)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내 방 좀 띄워봐"라는 사용자 발화로부터, 지정된 단어 또는 어구(예: "내 방")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화면(3600) 또는 화면(3601) 내에서, 식별된 단어 또는 어구에 상응하는 이름으로 저장된 이미지(3610) 또는 이미지(3620)를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음성 입력에 기반하여, 평면적으로 나타낸 이미지(3610)를 표시하거나, 또는 3차원적으로 나타낸 이미지(3620)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가 없는 장치(예: 인공지능 스피커)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음성 입력(예: "내 방 좀 띄워봐"라는 사용자 발화)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중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입력이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확인된 외부 전자 장치에 이미지(3610) 또는 이미지(3620)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확인된 외부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3610) 또는 이미지(362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확인된 외부 전자 장치에서 화면이 표시됨을 알리기 위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TV를 통해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TV에 방이 표시되었습니다." 와 같은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TV의 화면이 깜박거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서버(108)를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도 3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구동 모드를 파일 백업 및 공유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 백업 및 공유는, 전자 장치(101) 또는 제1 외부 전자장치(211)에 저장된 파일을 서버(108) 또는 제2 전자 장치(212)에 저장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이 포함된 주변 환경을 나타내는 이미지(예: 이미지(3710), 이미지(3720))를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예: 이미지(3710), 이미지(37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객체들(예: 객체(3712), 객체(3713), 객체(3714), 객체(3721), 객체(3722)) 또는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예: 객체(37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주변에 있는 외부 전자 장치들(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을 나타내는 이미지(3710)를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이미지(3710)와 함께 전자 장치(101)와 다른 공간에 있는 다른 전자 장치들(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을 나타내는 객체가 표시된 이미지(372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이미지(3710) 내의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와 이미지(3720) 내의 다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3721)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은 탭 또는 드래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탭의 순서 또는 드래그에 방향에 따라 파일 전송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3712)는 카메라를 나타낼 수 있다. 객체(3721)는 전자 장치(101)와 다른 공간에 있는 PC를 나타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카메라를 나타내는 객체(3712)와 PC를 나타내는 객체(3721)를 선택하는 입력을 드래그 입력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드래그 입력은 객체(3712)부터 객체(3721)를 잇는 입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예: 카메라)에 저장된 파일을 전자 장치(101)와 다른 공간에 있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예: PC)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를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가 파일 수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가 파일 수신이 가능한 경우,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통신 프로토콜(예: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 저장된 파일을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가 파일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에 저장된 파일을 서버(108)에게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108)는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2 외부 전자 장치(212)가 파일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서버(108)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가 파일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 경우,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게 제1 외부 전자 장치(211)로부터 수신한 파일을 송신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는 서버(108)로부터 상기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도3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초고주파 대역으로 연결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예: 객체(3811), 객체(3812), 객체(3813))와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예: 객체(3815))를 나타내는 이미지(예: 이미지(3810), 이미지(3820))를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종류에 따라 탭(예: 탭(3840), 탭(3850), 탭(3860))을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각각의 탭에 따른 이미지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제2 외부 전자 장치(212))를 나타내는 객체들의 개수를 각각의 탭에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중 적어도 일부와 초고주파 대역(예: 60Ghz 통신 대역)으로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초고주파 대역으로 연결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 중 일부를 나타내는 객체에 가시선(line of sight, LoS) 확보 여부를 별도의 객체(예: 객체(38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가시선이 확보되어 초고주파 대역의 통신을 통해 높은 통신 품질을 제공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들을 별도의 객체(38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가 회전하거나 움직이는 경우,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이 변경된 경우, 전자 장치(101)는 초고주파 대역의 통신이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가시선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초고주파 대역의 통신이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들로부터 가시선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가시선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화살표(3870)의 방향과 같이 오른쪽으로 90도 회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조도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었음을 감지하고, 초고주파 대역 통신이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가시선 확인 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초고주파 대역의 통신이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들은 가시선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가시선 확인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가시선 확인 응답 신호를 초고주파 대역의 통신이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움직임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의 변경 범위 및 상기 가시선 확인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이미지(3810)로부터 전환된 이미지(382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3820)는, 가시선 확인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객체(3811), 객체(3812), 객체(3813))과 함께 가시선이 확보되는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38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변경된 가시선이 확보되는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예: 객체(3813))의 오른쪽 위에 가시선 확보 여부를 나타내는 객체(383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객체(3830)는 텍스트, 이모지 또는 말풍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현재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예: 객체(3901), 객체(3902), 객체(3903), 객체(3904), 객체(3905)) 및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예: 객체(3931))를 포함하는 화면(예: 화면(3910), 화면(3920))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만보계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객체들의 위치를 변경 시키지 않고, 전자 장치(101)에서 감지된 움직임만을 화면(예: 화면(3910), 화면(3920))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이 오른쪽으로 90도 회전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화면(3910)에서 객체(3931)를 90도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만보계 센서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위치가 기준 거리 이상으로 변경되거나, 현재 표시 범위 보다 전자 장치(101)의 회전 반경이 커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화살표(394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화살표(3940)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자 장치(101)의 위치가 현재 화면(3910)의 표시 범위를 벗어났음을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에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새롭게 수신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정보 및 새롭게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제1 지점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들(예: 객체(3902), 객체(3903), 객체(3904), 객체(3905))을 포함하는 화면(예: 화면(3920))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가 전자 장치(101)에 표시된 화면 반경을 벗어났음이 감지된 직후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반복 수행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확인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변경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위치에 기반하여 실시간으로 변경된 화면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이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변경된 위치에 기반하여 표시장치(160)에 실시간으로 변경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선택된 외부 전자 장치의 구동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예: 인터페이스(4001))를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예: 객체(4011), 객체(4012), 객체(4013), 객체(4014), 객체(4015)) 및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예: 객체(40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 중 일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객체(4013), 객체(4014), 객체(4015)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에 상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구동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레이어(layer)(예: 레이어(403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4013, 4014, 4015)에 상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구동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을 나타내는 객체(4013, 4014, 4015)에 상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구동 모드를 미디어 연결 모드로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미디어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4002)를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4002)는, 컨트롤(control)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드롭 다운 리스트(drop down list), 소스(source)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드롭 다운 리스트, 화면 표시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드롭 다운 리스트, 소리 출력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드롭 다운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10)의 기능(capability)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드롭 다운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이어폰, 랩탑을 나타내는 객체들이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101)는 TV, 이어폰 또는 랩탑 각각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 및 랩탑을 컨트롤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드롭 다운 리스트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 및 랩탑을 소스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드롭 다운 리스트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 랩탑 및 TV를 화면 표시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드롭 다운 리스트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 TV, 랩탑, 이어폰을 소리 출력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드롭 다운 리스트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드롭 다운 리스트들을 통해 선택된 외부 전자 장치들 각각의 구동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외부 전자 장치들 중 하나의 구동 모드로만 동작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구동 모드를 미리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을 나타내는 객체(4013)가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101)는 소리 출력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드롭 다운 리스트에 이어폰을 소리 출력 기기로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이어폰이 소리 출력 기기로 설정되어 표시되는 경우라도,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TV)로 소리 출력 기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인터페이스(예: 인터페이스(4002))에 선택되지 않은 외부 전자 장치를 추가하기 위한 객체(예: 객체(4041))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인터페이스(예: 인터페이스(4002))에 구동 모드를 추가하기 위한 객체(예: 객체(4042))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예: 무선 통신 모듈(192), 통신 모듈(190))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와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에 관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획득된 신호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된 제2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및/또는 방향과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상기 결정된 위치 및/또는 상기 결정된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160))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동작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와 무선 통신하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 외부 서버(예: 서버(108)) 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예: 액세스 포인트(20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예: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아이디(ID)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아이디(ID) 및 상기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3정보는 IP 주소(IP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동작은 미러링(mirroring), 스트리밍(streaming) 또는 쉐어링(shar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기능(capability)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정보를 프로파일(profile) 형태로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211)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212))의 계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외부 서버(예: 서버(108))로부터 상기 제3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방법은, 다른 전자 장치(예: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상기 다른 전자 장치와 관련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예: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110)) 각각과 상기 다른 전자 장치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1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각각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제2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하여 배치된(arranged) 복수의 객체들을,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111), 제2 외부 전자 장치(112))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within),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복수의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의해 지시되는(indicated)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에게 연결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관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획득된 신호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된 제2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및/또는 방향과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상기 결정된 위치 및/또는 상기 결정된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스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함께 이용해 실행 가능한 복수의 동작들을 식별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 상기 복수의 동작들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동작들 중 한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입력에 의해 선택된 동작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3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상기 선택된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외부 서버 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아이디(ID)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아이디(ID) 및 상기 선택된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IP 주소(IP address)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동작은 미러링(mirroring), 스트리밍(streaming) 또는 쉐어링(shar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 입력의 방향 또는 하나 이상의 제스처 입력들의 순서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방향 및 순서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기능(capability)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동작은 통신 연결, 통신 연결 해제, 또는 전원 오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 입력에 상응하는 영역을 기반으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중 상기 선택된 동작을 실행할 대상 및 개수가 결정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동작의 실행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동작의 실행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3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 전환 후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0. 삭제
  11. 전자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관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획득된 신호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된 제2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및/또는 방향과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상기 결정된 위치 및/또는 상기 결정된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는 동작;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스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함께 이용해 실행 가능한 복수의 동작들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 상기 복수의 동작들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동작들 중 한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입력에 의해 선택된 동작과 관련된 제3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3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상기 선택된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외부 서버 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아이디(ID)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아이디(ID) 및 상기 선택된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IP 주소(IP address)를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동작은 미러링(mirroring), 스트리밍(streaming) 또는 쉐어링(shar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 입력의 방향 또는 하나 이상의 제스처 입력들의 순서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방향 및 순서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는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기능(capability)을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동작은 통신 연결, 통신 연결 해제, 또는 전원 오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 입력에 상응하는 영역을 기반으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 중 상기 선택된 동작을 실행할 대상 및 개수가 결정되는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동작의 실행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동작의 실행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3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 전환 후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027570A 2018-03-08 2018-03-08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78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570A KR102478031B1 (ko) 2018-03-08 2018-03-08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PCT/KR2019/002325 WO2019172565A1 (ko) 2018-03-08 2019-02-26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6/976,849 US11095765B2 (en) 2018-03-08 2019-02-26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on to exter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570A KR102478031B1 (ko) 2018-03-08 2018-03-08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297A KR20190106297A (ko) 2019-09-18
KR102478031B1 true KR102478031B1 (ko) 2022-12-16

Family

ID=6784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570A KR102478031B1 (ko) 2018-03-08 2018-03-08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95765B2 (ko)
KR (1) KR102478031B1 (ko)
WO (1) WO20191725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2000B2 (en) * 2016-10-21 2021-1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real time multimedia communications
TWI759765B (zh) * 2020-06-12 2022-04-01 民傑資科股份有限公司 具有同時充電及備份資料功能的裝置
KR20220017275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TWI770979B (zh) * 2021-05-03 2022-07-1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螢幕顯示方法及裝置
WO2023085822A1 (ko) * 2021-11-11 2023-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위치 결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0324B2 (en) * 2007-06-12 2012-09-04 Nokia Corporation Establishing wireless links via orientation
US8789131B2 (en) * 2010-05-14 2014-07-22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haring contents thereof with other devices
KR101982151B1 (ko) * 2012-08-24 2019-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8892079B1 (en) * 2012-09-14 2014-11-18 Google Inc. Ad hoc endpoint device association for multimedia conferencing
US20140301270A1 (en) * 2013-04-05 2014-10-09 Kerstin Johnsson Identifiers for proximity services
KR101706900B1 (ko) * 2013-07-18 201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위치측정 방법 및 장치
WO2015040020A1 (en) * 2013-09-17 2015-03-26 Koninklijke Philips N.V. Gesture enabled simultaneous selection of range and value
US20150296553A1 (en) * 2014-04-11 2015-10-15 Thalmic Lab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that establish proximity-based wireless connections
WO2015172312A1 (zh) * 2014-05-13 2015-11-19 华为技术有限公司 定位方法和通信设备
WO2015183014A1 (en) * 2014-05-28 2015-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devices
KR101575991B1 (ko) 2014-12-30 2015-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59765A (ko) * 2014-11-19 2016-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2274730B1 (ko) * 2014-11-26 2021-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KR102478002B1 (ko) * 2015-11-10 2022-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들의 위치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055295A (ko) 2015-11-11 2017-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709715B1 (ko) * 2015-11-16 2017-02-24 (주)아이오텍 카메라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제어 및 감시장치
US11095727B2 (en) 2015-12-22 2021-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erver for providing service related to internet of things device
KR102514435B1 (ko) * 2015-12-22 202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서버
KR102254699B1 (ko) * 2015-12-29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594796B2 (en) 2016-02-09 2020-03-17 Qualcomm Incorporated Extending an IoT control interface from an IoT controller to a user device as part of a video media stream of a wireless media presentation session
KR101831373B1 (ko) * 2016-04-26 2018-02-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단말의 트래킹 서버 및 방법
US11678291B2 (en) * 2016-08-21 2023-06-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upport of location for the Internet of Things
US11594229B2 (en) * 2017-03-31 2023-02-28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identify a user based on sound data and location information
WO2019126425A1 (en) * 2017-12-22 2019-06-27 Walmart Apoll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eer-to-peer data transfer
US10609544B2 (en) * 2017-12-28 2020-03-31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targe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2565A1 (ko) 2019-09-12
US11095765B2 (en) 2021-08-17
US20200412862A1 (en) 2020-12-31
KR20190106297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031B1 (ko)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JP6358796B2 (ja) 画面ロックを制御する方法及び携帯端末
KR102208438B1 (ko) 근접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49713B1 (ko) 장치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6416317B (zh) 用于提供位置信息的方法和装置
KR102022666B1 (ko)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20160234630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to affect rf transmission from a non-linked wireless client
US20160072896A1 (en) Computing system with control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1601793B2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proximity communication ser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of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20220137204A1 (en) Interactive control with ranging and gesturing between devices
KR102426964B1 (ko) 관심 포인트들을 로케이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18401B1 (ko)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 운영 방법 및 장치
KR20160064853A (ko) 전자 장치들 간에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80249295A1 (en) Tracking a person in a group of people
KR102600894B1 (ko) 전자 장치를 이용한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220322470A1 (en) Electronic device using communication channel generated b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KR20210092614A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2343301B1 (ko) 무선 연결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20017344A (ko) Uwb와 ar를 이용한 분실기기 찾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499917B1 (ko) 측위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38897B1 (ko) 근접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6097667A (zh) 通过使用uwb和ar来搜索丢失装置的方法及其设备
KR20220018872A (ko) 전자 장치의 위치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18869A (ko) 전자 장치의 무선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083823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multiple iot devices, method for operating sam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