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878A - Rram 셀 바닥 전극 형성 - Google Patents

Rram 셀 바닥 전극 형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878A
KR20150114878A KR1020140182264A KR20140182264A KR20150114878A KR 20150114878 A KR20150114878 A KR 20150114878A KR 1020140182264 A KR1020140182264 A KR 1020140182264A KR 20140182264 A KR20140182264 A KR 20140182264A KR 20150114878 A KR20150114878 A KR 20150114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ottom electrode
forming
data storag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761B1 (ko
Inventor
트린 하이 당
싱-리엔 린
카이-웬 쳉
쳉-유안 차이
치아-슝 차이
류-리앙 리
Original Assignee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14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4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migration or redistribution of ionic species, e.g. anions, vacanc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3/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 H10B53/3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2Reduction or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e.g.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158Making the insulator
    • H01L21/28167Making the insulator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e.g. using a liquid, i.e. chemical oxidation
    • H01L21/28194Making the insulator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e.g. using a liquid, i.e. chemical oxidation by deposition, e.g. evaporation, ALD, CVD, sputtering, laser deposi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021Formation of the switching material, e.g. layer deposition
    • H10N70/023Formation of the switching material, e.g. layer deposition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e.g. MOCVD, AL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061Patterning of the switching material
    • H10N70/063Patterning of the switching material by etching of pre-deposited switching material layers, e.g. lithograph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6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vertical current flow, e.g. sandwich or pillar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41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3Binary metal oxides, e.g. TaOx

Abstract

본 발명은 저감된 누설 전류를 갖는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하부 금속 배선층 위에 원자층 증착(ALD) 공정을 이용하여 바닥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며. ALD 공정으로 적어도 바닥 전극의 상부를 형성한다. 바닥 전극의 상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바닥 전극의 상부 위에 가변 저항을 가진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이 인시튜 형성된다.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 위에는 상부 전극이 형성되고, 상부 전극 위에 상부 금속 배선층이 형성된다. 상부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의 형성과 더불어 인시튜로 ALD 공정을 이용하여 바닥 전극의 상부를 형성함으로써, RRAM 셀의 누설 전류, 누설 전류 분포 및 장치 수율이 향샹된다.

Description

RRAM 셀 바닥 전극 형성{RRAM CELL BOTTOM ELECTRODE FORMATION}
본 발명은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RRAM 셀의 바닥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관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현대 전자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전자 메모리를 포함한다. 전자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전원이 가해지는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면, 비휘발성 메모리는 전원이 제거된 경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는 그의 단순한 구조와 CMOS 로직 제조 공정과의 호환성으로 인해 차세대 비 휘발성 메모리 기술의 하나의 유망한 후보이다. RRAM 셀은 수직 백엔드 오브 라인(BEOL) 금속화 층에 배치된 두 전극 사이에 수직 위치하는 저항 데이터 저장 층을 포함한다.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에 의해 그 위에 놓인 상부 전극에서 분리된 바닥 전극을 가진다. 바닥 전극은 일반적으로 물리적 기상 증착(PVD) 기술을 이용하여 기판 위에 증착된다.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은 이어서 바닥 전극 위에 엑스 시튜(ex-situ) 형성된다. 그러나 PVD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바닥 전극(예, TiN)은 고-k 유전체 층에서 바닥 전극쪽으로 확산하는 산소를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소는 낮은 장치 수율을 가져올 수 있는 높은 누설 전류를 RRAM 셀에 부여하여 바닥 전극과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 사이의 계면의 질을 저하시킨다(예컨대, 이것은 웨이퍼의 에지 부근에서의 누설 전류의 증가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감된 누설 전류를 갖는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RAM) 셀을 형성하는 방법 및 관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바닥 전극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원자층 증착(ALD) 공정을 이용하여 하부 금속 배선 층 위에 바닥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은 바닥 전극의 상부의 형성과 함께 바닥 전극의 상부에 인시튜 형성된다. 상부 전극은 이어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 위에 형성되고, 상부 금속 배선 층은 상부 전극 위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의 형성과 함께 ALD 공정을 이용하여 바닥 전극의 상부를 인시튜(in-situ) 형성함으로써, 누설 전류의 저감을 가져와 바닥 전극과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 사이의 계면 특성이 개선되어 RRAM 셀의 누설 전류 분포 및 장치 수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형태는 첨부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된다. 업계의 표준 관행에 의하면 다양한 특징들이 실척으로 도시되고 있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사실 다양한 특징의 치수는 설명의 편의상 임의로 증대되거나 축소 가능하다.
도 1은 상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을 형성하기 위한 인시튜 증착 공정 및 바닥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원자층 증착(ALD) 공정을 이용하여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를 형성하는 방법의 일부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바닥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인시튜 제1 ALD 공정과 상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2 ALD 공정 수행하도록 구성된 공정 툴의 일부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ALD 공정에 의해 증착된 바닥 전극과 상부 인시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을 가진 RRAM 셀의 일부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b는 RRAM 셀의 인시튜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과 바닥 전극의 전형의 XPS 깊이 프로파일의 일부 실시예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상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을 형성하기 위한 인시튜 증착 공정 및 바닥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원자층 증착(ALD) 공정을 이용하여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부 추가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12는 상부 고-k 유전체 물질을 형성하기 위한 인시튜 ALD 공정과 바닥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ALD 공정을 이용하여 RRAM 셀을 형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의 개시 내용은 제공된 주제의 다양한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예를 제공한다. 구성 요소 및 배열의 특정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을 단순화하기 위해 다음에 기술된다. 이들은 물론, 단순한 예시이며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이어지는 설명에서 위의 제 1 및 제 2의 특징의 형성은 제1 및 제2 특징이 직접 접촉하여 형성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특징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추가 특징들이 제1 및 제2 특징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은 다양한 예에서 참조 번호 및/또는 문자를 반복할 수 있다. 이 반복은 단순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한 목적이며, 그 자체로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 및/또는 구성 간의 관계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
또한 "바로 아래", "아래", 하위", "위에", "상위" 등의 공간적으로 상대적의미의 용어들은 여기서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에 대한 하나의 요소 또는 특징들의 관계를 설명하기 쉽게 하기 위해 사용 가능하다. 공간적으로 상대적 의미의 용어들은 도면에서 묘사되고 있는 방향 이외에 동작 중인 장치의 여러 방향을 포괄하는 의도로 사용되고 있다. 장치는 달리 배향될 수(90도 회전 또는 다른 방향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기술 내용이 그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상부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을 형성하기 위한 인시튜 ALD 공정과 바닥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ALD 공정을 이용하여 낮은 누설 전류를 갖는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RAM) 셀을 형성하는 방법(100)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102)에서 바닥 전극은 바닥 전극의 적어도 상부를 형성하는 원자 층 증착(ALD) 공정을 이용하여 하부 금속 배선층 위에 형성된다. ALD 공정은 ALD 또는 플라즈마 강화 ALD(PEALD)를 포함하여 원자 층 증착 공정의 임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지만, ALD 또는 플라즈마 강화 ALD(PEALD)에 한정되지 않는다. ALD 공정을 이용하여 바닥 전극의 상부를 형성하면 바닥 전극으로의 산소의 외부 확산을 억제할 수가 있어 바닥 전극과 상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 사이의 계면의 무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104)에서 가변 저항을 갖는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은 바닥 전극의 형성과 함께 바닥 전극의 상부에서 인시튜 형성된다. 박스(103)로 도시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과 바닥 전극의 인시튜 형성에 의해 바닥 전극 층에 산화물 계면 층(RRAM 셀의 전기적 성능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는 층)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 일부 실시예에서는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은 ALD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은 다른 증착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106)에서 상부 전극이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 위에 형성된다.
(108)에서 상부 금속 배선 층이 상부 전극 상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금속 배선 층은 상부 전극 상에 형성된 상부 금속 비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금속 배선 층은 상부 금속 비아층 상에 배치된 상부 금속 배선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RRAM 셀의 상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을 형성하기 위한 ALD 공정과 바닥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인시튜 ALD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공정 툴(200)의 일부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공정 툴(200)은 웨이퍼 반송 챔버(212)를 경유하여 제 2 처리 챔버(218)에 연결된 제 1 처리 챔버(202)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처리 챔버 (202), 제 2 처리 챔버(218) 및, 웨이퍼 반송 챔버(212)는 제 1 처리 챔버 (202), 제 2 처리 챔버(218) 및, 웨이퍼 반송 챔버(212) 내에서 저압 분위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반송 요소들(224)(예를 들어, 진공 펌프)에 연결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압 분위기는 예컨대 약 10-3 토르(torr)와 약 약 10-5 토르(torr) 사이의 범위의 압력을 가질 수가 있다.
제 1 처리 챔버(202)는 RRAM 셀이 형성될 반도체 기판(206)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웨이퍼 지지 요소(204)(예를들어, 정전 웨이퍼 척)을 포함한다. 제 1 처리 챔버(202)는 ALD 공정을 거쳐 RRAM 셀의 적어도 바닥 전극의 상부를 증착하도록 구성된 ALD 증착 요소(208)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ALD 증착 요소(208)는 전체 바닥 전극을 증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LD 증착 요소(208)는 기상 전구체를 퍼지하도록(to purge) 구성된 퍼지 요소와 기상 전구체(a gas phase precursor)(예, TiN을 형성하는 TiCl4 및 NH3 또는 N2/H2 전구체)를 제 1 처리 용기 챔버(202)로 한번에 도입하도록 구성된 가스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성장 사이클 동안, 기상 전구체의 전구체 분자는 원자 층을 형성하기 위해 반도체 기판(206) 상의 분자와 반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ALD 증착 요소(208)는 또한 제 1의 처리 챔버(202) 내의 증착율을 향상시시키는 플라즈마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RF 플라즈마 발생 요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강화 ALD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처리 챔버(202)는 물리적 기상 증착(PVD) 공정에 의해 RRAM 셀의 바닥 전극의 바닥을 증착하도록 구성된 PVD 증착 요소(210)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PVD 증착 요소(210)는 바닥 전극의 하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ALD 증착 요소(208)는 바닥 전극의 바닥부에 바닥 전극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
웨이퍼 반송 챔버(212)는 제 1 처리 챔버(202)와 연통되어 있고, 웨이퍼 반송 요소(214)(예를 들어, 웨이퍼 반송 로봇)를 포함한다. 웨이퍼 반송 요소(214)는 반도체 기판(206)을 제 1 처리 챔버(202)에서 제2 처리 챔버(218)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웨이퍼 반송 챔버(212)가 진공하에서 유지되므로, 웨이퍼 반송 요소(214)는 반도체 기판(206)을 제2 처리 챔버(218)로 인시튜 반송하는(즉, 저압 분위기를 깨지 않고) 것이 가능하다.
제 2 처리 챔버(218)는 반도체 기판(206)을 홀드하도록 구성된 제 2의 웨이퍼 지지 요소(220)를 포함한다. 제 2 처리 챔버(218)는 또한 ALD 공정(예, HfOx을 포함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을 형성하기 위해 HfCl4와 H2O 전구체를 이용하는)을 거쳐 바닥 전극의 일부에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을 증착시키도록 구성된 ALD 증착 요소(222)를 포함한다.
도 3a는 ALD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 전극(310)을 갖는 RRAM 셀(300)의 단도이다.
RRAM 셀(300)은 BEOL(백엔드 오브 라인) 금속화 스택 내의 층간 유전체(ILD) 층 (304)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하부 금속 배선층(302)과 하부 유전체층(306) 위에 배치된 확산 장벽 층(30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금속 배선층(302)은 확산 장벽 층(308)과 그 아래의 반도체 기판(도시 안됨)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금속 배선층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전극 (310)은 확산 장벽 층(308) 상에 배치된다. 확산 장벽 층(308)은 하부 금속 배선층(302)으로부터의 물질이 바닥 전극(310)으로 확산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바닥 전극(310)은 ALD 공정에 의해 형성된 상면(311)을 가진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 전극(310)은 연속 ALD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닥 전극(310)은 2 단계 증착 공정(a two-phase deposition process)에 의해서 형성 가능하며, 바닥 전극(310b)의 상부가 ALD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동안 바닥 전극(310a)의 바닥은 PVD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 전극(310a)의 바닥은 바닥 전극(310b)의 상부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인시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312)(즉, 기저 바닥 전극층(310)과 함께 인시튜 형성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312)이 ALD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 전극(310)의 상면 (311)과 직접 접촉하도록 바닥 전극(310)의 상면(311)에 배치된다. 인시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312)은 데이터 상태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가변 저항 금속 산화물 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시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312)에 인가된 전압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312) 양단에 형성하도록 전도 경로(예, 산송 공백)를 유도함으로써, 인시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312)의 저항을 저감한다. 인가 전압에 따라 인시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 (312)은 고 저항 상태와 저 저항 상태 사이에서 가역 변화한다.
인시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312)은 바닥 전극(310)과 인시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시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312)은 인시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312)이 바닥 전극(310)과 엑스시튜 형성될 때 형성하는 산화물 계면층을 개재하지않고 바닥 전극(310)과 직접 접한다. 더욱이 바닥 전극(310)을 형성하기 위해 ALD 공정을 이용하면 결과적으로 바닥 전극(310)은 물리적 증착(PVD)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된 바닥 전극(310)의 농도 보다 낮은 저 O2 농도를 갖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b는 (단면 선 A-A '에 따른) 바닥 전극(310)의 산소 함량을 나타낸 예시적인 X 선 광전자 분광(XPS) 깊이 프로파일(324)을 나타내는 그래프 (322)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래프(322)는 또한 PVD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된 바닥 전극의 산소 함량을 나타낸 XPS 깊이 프로파일(326)을 나타내고 있다.
XPS 깊이 프로파일(3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 전극(310)의 산소 함량은 바닥 전극 (310)과 그 위의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312) 사이의 계면(328)에 가까운 위치까지 비교적 작은 경사로 증가한다. XPS 깊이 프로파일(324)은 계면(328)에서 약 2.5 %의 최대 산소 함량에 도달한다. XPS 깊이 프로파일(326)은 PVD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된 바닥 전극의 산소 함유량이 실질적으로 큰 경사로 증가하여 계면(328)에서 약 10 %의 최대 산소 함량에 도달함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캡핑 층(314)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312) 위에 배치 가능하다. 캡핑 층(314)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312)의 저항 변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산소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캡핑 층(314)은 산소 농도가 비교적 낮은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전극(316)은 캡핑 층(314) 위에 배치되고, 상부 금속 배선 층(319)은 상부 전극(316) 위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금속 배선 층(319)은 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구리, 알루미늄 등)을 포함하는 상부 금속 배선 층(322)과 상부 금속 바이어 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상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을 형성하기 위한 인시튜 ALD 공정과 바닥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ALD 공정을 사용하여 RRAM 셀을 형성하는 방법(400)의 일부 추가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개시된 방법(예를 들어, 방법 100 및 400)이 일련의 동작이나 사건으로 아래에 설명되고 기술되었지만, 그러한 동작이나 사건의 설명된 순서는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혹은 여기서 설명되고 기술되는 것들과는 별개의 다른 동작 또는 사건과 동시에 일어날 수가 있다. 또한 설명하지 않은 모든 동작이 본 명세서 설명의 하나 이상의 형태 혹은 실시예를 구현하는 데 필요할 수가 있다. 더욱이 여기서 묘사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동작은 하나 이상의 별개의 동작 및/또는 단계로 실행될 수가 있다.
(402)에서 하부 유전체층은 하부 금속 배선층 위에 형성된다. 하부 유전체층은 하부 금속 배선 층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다.
(404)에서 확산 장벽 층은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금속 배선층과 바닥 유전체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 확산 장벽 층은 확산 장벽 층이 기저 금속 층에 접하도록 기저 금속 배선 층을 노출하는 바닥 유전체의 개구부 내에서 증착될 수 있다.
(406)에서 바닥 전극층은 ALD 공정을 이용하여 확산 장벽 층 위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 전극층은 (408)에서 PVD 공정을 이용하여 확산 장벽 층 상에 제1 바닥 전극을 증착함으로써 형성 가능하다. 제 2의 바닥 전극 층은 (410)에서 ALD 공정을 사용하여 제 1 바닥 전극 상에 순차적으로 그리고 제1 바닥 전극과 직접 접촉하여 형성될 수 있다.
(412)에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은 바닥 전극층의 형성과 함께 바닥 전극층 위에 인시튜 형성된다.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은 바닥 전극 또는 상부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고 저항 상태 및 저 저항 상태 사이에서 가역 변화를 겪도록 구성된 가변 저항을 가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은 고-k 유전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414)에서 캡핑층은 일부 실시예에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 위해 형성 가능하다.
(416)에서 상부 전극 층은 캡핑 층 위해 형성된다.
(418)에서 상부 전극 층 및 캡핑 층은 선택적으로 마스킹 층에 따라 패터닝된다. 상부 전극 층의 선택적 패터닝에 따라 RRAM 셀의 상부 전극이 형성된다.
(420)에서 측벽 스페이서는 상부 전극과 캡핑 층의 대향측에 형성된다.
(422)에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 바닥 전극 층 및 확산 장벽 층은 선택적으로 마스킹 층 및 측벽 스페이서에 따라 패터닝된다. 바닥 전극층의 선택적 패터닝에 의해 RRAM 셀의 바닥 전극이 형성된다.
(424)에서 상부 금속 배선 층은 상부 전극 위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금속 배선 층은 상부 금속 비아층 상에 형성된 상부 금속 배선 층과 상부 전극 상에 형성된 상부 금속 비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13은 상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을 형성하기 위한 인시튜 ALD 공정과 바닥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ALD 공정을 사용하여 RRAM 셀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한다. 비록 도 5 내지 도 13은 방법(400)에 관련하여 설명되고 있지만 도 5 내지 도 13에 개시된 구조들이 이러한 방법에 제한되지 않으며 대신에 이러한 방법과 무관한 구조들로서 독립적일 수가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는 동작(402 내지 404)에 대응하는 단면도(500)의 일부 실시예이다.
단면도(50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유전체층(306)이 층간 유전체 층(304) 내에 배치된 하부 금속 배선 층(302) 위의 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하부 유전체층(306)은 하부 금속 배선 층(302)을 노출시키는 개구(504)를 포함한다. 확산 장벽 층 (502)은 증착 기술(예를 들면, 화학 기상 증착, 물리적 기상 증착 등)을 이용하여 개구(504) 내 및 하부 유전체 층(306) 위에 증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금속 배선 층(302)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의 전도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ILD 층(304)은 산화물, 저- k 유전체 또는 초저 k-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유전체 층(306)은 예를 들어, 탄화 규소(SiC)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포함할 수 있는 확산 장벽 층(502)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n), 코발트(Co), 티탄(Ti), 탄탈(Ta), 텅스텐(W), 니켈(Ni), 주석(Sn), 마그네슘(Mg) 등의 금속 전도성 산화물 질화물, 질화물 또는 산소 질화물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동작(406)에 대응하는 단면도(600 및 604)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는 바닥 전극층(602)이 연속 ALD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단면도(600)를 도시하고 있다. 바닥 전극층(602)은 확산 장벽 층(502)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종래의 ALD 공정에 비해 저온에서 향상된 막의 전기적 특성과 보다 높은 증착율(즉, 보다 높은 수율)이 가능하도록 RF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플라즈마 강화 ALD(PEALD)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바닥 전극층(602)은 금속 질화물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 전극층(602)은 질화 티탄(TiN) 또는 질화 탄탈(TaN)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닥 전극층(602)은 텅스텐(W)과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는 바닥 전극층(602)이 2 단계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단면도(604)를 도시하며, 2 단계 증착 공정은 물리적 기상 증착(PVD) 공정을 이용하여 제 1 바닥 전극층(602a)을 증착하고 후속의 ALD 공정을 이용하여 제 2 바닥 전극층(602b)을 증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바닥 전극층(602a)은 PVD 공정을 사용하여 제1 두께로 형성 가능하다. 제2 바닥 전극층(602b)은 이어서 ALD 공정을 사용하여 제1 두께보다 작은 제 2의 두께로 제 1 바닥 전극층(602a) 위에 형성 가능하다.
바닥 전극 층(602)을 형성하는 2 단계 증착 공정을 이용하면 방법(400)의 수율을 향상시키면서, 여전히 개선된 전기적 특성을 갖는 RRAM을 제공할 수 있는 상면을 제공한다. 이것은 PVD 공정이 높은 증착율을 제공하는 반면에 ALD 공정은 바닥 전극층(602)으로 산소의 외부 확산을 억제하는 상면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바닥 전극층(602a)이 약 50 옹스트롬과 약 100 옹스트롬 사이의 범위를 갖는 제1 두께로 형성 가능하며, 제2 바닥 전극층(602b)이 약 15 옹스트롬과 약 30 옹스트롬 사이의 범위를 갖는 제2 두께로 형성 가능하다. 이러한 제 2의 두께는 바닥 전극층(602)에서 산소의 외부 확산의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충분한 두께이다.
도 7은 동작(412)에 대응하는 단면도(700)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단면도(700)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 저항을 가진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702)은 바닥 전극층(602)과 함께 바닥 전극층(602) 위에 인시튜 형성(예컨대, 진공에서 기판을 제거하지 않고)된다. ALD 공정에 의해 증착된 바닥 전극층(602) 위에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702)을 형성함으로써 RRAM 장치의 전기적 특성(예를 들어,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는 특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ALD 공정에 의해 증착된 질화 티타늄(TiN) 바닥 전극 층은 PVD 공정에 의해 증착된 TiN 바닥 전극층 보다 작은 산소 농도 구배를 가진다. 따라서 ALD 공정에 의해 증착된 TiN 바닥 전극층은 TiN 바닥 전극층으로의 산소의 외부 확산을 억제함으로써 TiN의 바닥 전극층과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 사이의 계면에서 양호한 계면 무결성을 제공한다. 또한 바닥 전극층(602) 및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702)의 인시튜 형성에 의해 RRAM 셀의 전기적 성능을 저하시 킬 수 있는(예를 들어, RRAM 셀의 누설 전류를 증가시키는) 산화물 계면 층의 형성이 방지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702)은 ALD 공정에 의해 증착시킬 수 있다. ALD 공정은 바닥 전극층(602)과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702) 사이의 계면을 증대하는 양호한 스텝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702)은 고-k 유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실시예에서,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702)은 산화 하프늄(HfOX), 산화 지르코늄(ZrOX), 산화 알루미늄(AlOX), 산화 니켈 (NiOX), 산화 탄탈 (TaOX) 또는 산화 티탄(TiOX)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동작(414-416)에 대응하는 단면도(800)의 일부 실시예이다.
단면도(80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캡핑 층(802)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702) 상에 형성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캡핑 층(802)은 티탄(Ti), 하프늄(Hf), 백금(Pt), 및/또는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캡핑 층(802)은 산화 티탄(TiOX), 산화 하프늄(HfOX), 산화 지르코늄(ZrOX), 산화 게르마늄(GeOX), 산화 세슘 (CeOX) 등의 산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전극층(804)은 캡핑 층(802) 위에 형성된다. 상부 전극층(804)은 증착 기술(예를 들어, 물리적 기상 증착, 화학 기상 증착 등)에 의해 증착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부 전극층(804)은 금속 질화물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전극층(804)은 질화 티탄(TiN), 질화 탄탈(TaN)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 전극층(804)은 텅스텐 W) 또는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동작(418)에 대응하는 단면도(900)의 일부 실시예이다.
단면도(90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마스킹 층(902)이 선택적으로 상부 전극층(804) 위에 형성된다. 마스킹 층(902)은 RRAM 셀의 상부 전극을 정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마스킹 층(902)은 하드 마스크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킹 층(902)은 실리콘 산화물(SiO2), 실리콘 질화물(SiN), 실리콘 산소질화물(SiON) 또는 탄화 규소(SiC) 등의 하드 마스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동작(418-420)에 대응하는 단면도의 일부 실시예이다.
단면도(100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패턴 형성 공정은 상부 전극층(804) 및 갭핑 층(802)을 패터닝하도록 수행된다. 제1 패턴 형성 공정은 상부 전극층(804)과 갭핑 층(802)을 마스킹 층(902)에 의해 덮여 있지 영역에서 에칭액(1002)에 선별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상부 전극(316) 및 패터닝된 캡핑 층(314)이 된다. 이 때 측벽 스페이서(1004)는 상부 전극(316)과 패터닝된 캡핑층(314)의 대향측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측벽 스페이서(1004)는 측벽 스페이서(1004)를 형성하기 위해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702) 상에 질화물을 증착하고 그 질화물을 선별 에칭함으로써 형성 가능하다.
도 11은 동작(422)에 대응하는 일부 실시예의 단면도(1100)이다.
단면도(110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2 패터닝 공정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702), 바닥 전극층(602) 및 확산 장벽층(308)을 패터닝하기 위해 수행된다. 제2 패터닝 공정은 마스킹 층(902) 또는 측벽 스페이서(1104)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영역에서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702), 바닥 전극층(602), 및 확산 장벽층(308)을 에칭액에 선별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패터닝된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312), 바닥 전극, 및 패터닝된 확산 장벽층(308)이 된다.
도 12는 동작(424)에 대응하는 일부 실시예의 단면도(1200)이다.
단면도(120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부 금속 배선층(319)은 상부 전극(316) 위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금속 배선층(319)은 상부 금속 비아층(319)과 상부 금속 배선층(322)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금속 배선층(319)은 RRAM 메모리 셀에 유전체층(318)을 증착함으로써 형성 가능하다. 다음에 유전체층(318)과 하드 마스크층(1202)을 통해 연장하는 개구를 형성하여 상부 전극(316)을 노출하도록 에칭 공정이 수행된다. 이어서 개구는 상부 금속 비아층(320)과 상부 금속 배선층(322)을 형성하기 위해 금속(예를 들면, 구리, 알루미늄 등)으로 채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을 형성하기 위한 인시튜 ALD 공정과 바닥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ALD 공정을 이용하여 낮은 누설 전류를 갖는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바닥 전극의 적어도 상부를 형성하는 원자층 증착(ALD) 공정을 이용하여 하부 금속 배선층 위에 바닥 전극을 형성하고 바닥 전극의 상부을 인시튜 형성함과 더불어 바닥 전극의 상부 상에 가변 저항을 가진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을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이 방법은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 위에 상부 전극을 형성하고 상부 전극 위에 상부 금속 배선층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방법은 층간 유전체(ILD) 층에 의해 에워싸인 하부 금속 배선층 상에 하부 유전체층을 형성하고, 하부 금속 배선층과 하부 유전체층 상에 확산 장벽층을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그 방법은 바닥 전극의 적어도 상부를 형성하는 원자층 증착(ALD) 공정을 이용하여 확산 장벽층 상에 바닥 전극을 형성하고 바닥 전극의 상부를 인시튜 형성함과 더불어 바닥 전극의 상부 상에 가변 저항을 가진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그 방법은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 상에 캡핑층을 형성하고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 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하며, 상부 전극 상에 상부 금속 배선층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에 관한 것이다. RRAM 셀은 하부 금속 배선층 위에 배치된 바닥 전극과 바닥 전극 상에 배치되며 바닥 전극과 직접 접촉하는 가변 저항을 가진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을 가지고있다. RRAM 셀은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에 배치된 상부 전극과 상부 전극 상에 형성된 상부 금속 배선 층을 가지고 있다. RRAM 셀은 또한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 위에 배치된 상부 전극과 상부 전극 상에 배치된 상부 금속 배선층을 가진다. 바닥 전극은 바닥 전극과 유전체 데이터 저장 층과의 계면에서 약 2.5 %의 산소 농도를 가진다.
당업자라면 전술한 실시예들의 개괄적인 특징을 통해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의 형태를 이해하였을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공정들과 구조들을 설계하거나 수정하며 본 명세서에 소개된 실시예들과 동일한 이점을 달성하기 위한 기초로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라면 또한 등가의 구성이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당업자에게는 각종 변경, 대체 및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208 ALD 증착 요소
210 PVD 증착 요소
222 ALD 증착 요소
214 웨이퍼 반송 요소
224 진공 요소

Claims (10)

  1.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하부 금속 배선층 위에 원자층 증착(ALD) 공정을 이용하여 바닥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ALD 공정으로 적어도 상기 바닥 전극의 상부를 형성한다 -와,
    상기 바닥 전극의 상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바닥 전극의 상부 위에 가변 저항을 가진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을 인시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 위에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전극 위에 상부 금속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의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물리적 기상 증착(PVD) 공정을 이용하여 제1 바닥 전극층을 증착하는 것과,
    상기 ALD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바닥 전극층과 직접 접촉하여 그 위에 제2 바닥 전극층을 증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의 형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닥 전극층은 15 옹스트롬과 30 옹스트롬 사이의 범위 두께를 갖는 것인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의 형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전극은 티탄 질화물을 포함하는 것인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의 형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은 하프늄 산화물(HfOx)을 포함하는 것인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의 형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전극은 상기 바닥 전극과 상기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 사이의 계면에서 2.5%의 산소 농도를 갖는 것인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의 형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은 별개의 원자층 증착(ALD)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인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의 형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은 상기 바닥 전극 또는 상부 전극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고저항 상태와 저저항 상태 사이에서 가역 변화를 겪도록 구성되는 것인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의 형성 방법.
  9.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층간 유전체(ILD) 층에 의해 에워싸인 하부 금속 배선층 위에 바닥 유전체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금속 배선층과 상기 바닥 유전체층 위에 확산 장벽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확산 장벽층 위에 원자층 증착(ALD) 공정을 이용하여 바닥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ALD 공정으로 적어도 상기 바닥 전극의 상부를 형성한다 -와,
    상기 바닥 전극의 상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바닥 전극의 상부 위에 가변 저항을 가진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을 인시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 위에 캡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 위에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전극 위에 상부 금속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의 형성 방법.
  10.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에 있어서,
    하부 금속 배선층 위에 배치된 바닥 전극과,
    상기 바닥 전극과 직접 접촉하여 그 위에 위치하는 가변 저항을 가진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과,
    상기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 위에 배치된 상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위에 배치된 상부 금속 배선층
    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 전극은 상기 바닥 전극과 상기 유전체 데이터 저장층 사이의 계면에서 2.5%의 산소 농도를 갖는 것인 저항 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RRAM) 셀.


KR1020140182264A 2014-04-02 2014-12-17 Rram 셀 바닥 전극 형성 KR101625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42,983 2014-04-02
US14/242,983 US9577191B2 (en) 2014-04-02 2014-04-02 RRAM cell bottom electrode 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878A true KR20150114878A (ko) 2015-10-13
KR101625761B1 KR101625761B1 (ko) 2016-05-30

Family

ID=5421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264A KR101625761B1 (ko) 2014-04-02 2014-12-17 Rram 셀 바닥 전극 형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577191B2 (ko)
KR (1) KR101625761B1 (ko)
CN (1) CN1049794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7191B2 (en) * 2014-04-02 2017-02-2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RRAM cell bottom electrode formation
US9728719B2 (en) * 2014-04-25 2017-08-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Leakage resistant RRAM/MIM structure
US20160043140A1 (en) * 2014-08-08 2016-02-11 Kabushiki Kaisha Toshiba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847481B2 (en) * 2015-10-27 2017-12-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al landing on top electrode of RRAM
US9978938B2 (en) * 2015-11-13 2018-05-2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Resistive RAM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TWI569416B (zh) * 2015-11-26 2017-02-01 華邦電子股份有限公司 電阻式隨機存取記憶體及其製造方法
TWI611404B (zh) * 2015-11-27 2018-01-11 國立高雄應用科技大學 未採用活性電極之電阻式記憶體及其製造方法
US9653682B1 (en) * 2016-02-05 2017-05-1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structure
TWI681541B (zh) 2016-10-19 2020-01-01 聯華電子股份有限公司 具記憶體結構之半導體元件及其製造方法
CN108123031B (zh) * 2016-11-30 2021-12-28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阻变式存储器及其制造方法
US10516106B2 (en) 2017-06-26 2019-12-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Electrode structure to improve RRAM performance
US11289651B2 (en) * 2017-09-01 2022-03-2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mory device having via landing protection
US10163651B1 (en) * 2017-09-28 2018-12-2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tructure and method to expose memory cells with different sizes
US10804464B2 (en) * 2017-11-24 2020-10-1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of forming memory device with diffusion barrier and capping layer
US10910560B2 (en) 2018-09-21 2021-02-0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RRAM structure
CN109411602A (zh) * 2018-11-22 2019-03-01 上海华力微电子有限公司 氧化钽基阻变存储器及其制造方法
US11152568B2 (en) * 2019-06-27 2021-10-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Top-electrode barrier layer for RRAM
US11011702B2 (en) 2019-08-07 2021-05-18 Winbond Electronics Corp. Memory device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CN113097382B (zh) * 2020-01-08 2023-04-18 芯恩(青岛)集成电路有限公司 Rram单元的制造方法及rram单元
US11239421B2 (en) 2020-01-24 2022-0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mbedded BEOL memory device with top electrode pillar
US11792996B2 (en) * 2021-04-13 2023-10-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Bottom-electrode interface structure for memor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036B1 (ko) 2006-11-16 201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이 금속 고용체를 포함하는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제조 방법
CN100563041C (zh) * 2007-05-18 2009-11-25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一种电阻存储器的器件单元结构及制作方法
US8154003B2 (en) * 2007-08-09 2012-04-1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Resistive non-volatile memory device
CN101572246B (zh) * 2008-04-28 2011-11-30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北京)有限公司 电阻存储器、含有电阻存储器的集成电路的制作方法
US20100051896A1 (en) 2008-09-02 2010-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using a channel-shaped variable resistance pattern
KR101127236B1 (ko) * 2008-12-29 2012-03-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저항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CN101989644A (zh) * 2009-07-31 2011-03-23 复旦大学 一种提高电阻随机存储器数据保持能力的方法
US20110175050A1 (en) 2010-01-19 2011-07-2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tal Oxide Resistance Bas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High Work Function Electrode
US8437173B2 (en) 2010-03-19 2013-05-07 Panasonic Corporation Nonvolatile memory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sign support method therefor,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
KR101096203B1 (ko) 2010-04-08 2011-1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38533B1 (ko) 2010-05-24 2017-05-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적층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901527B2 (en) * 2010-07-02 2014-12-02 Nanya Technology Corp.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structure with tri-layer resistive stack
KR20120004827A (ko) 2010-07-07 2012-01-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2097586A (zh) * 2010-11-29 2011-06-15 复旦大学 基于全低温工艺的柔性纳米点阻变存储器及其制造方法
US8817524B2 (en) * 2011-07-29 2014-08-26 Intermolecular, Inc.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cells having metal alloy current limiting layers
US8598560B1 (en) 2012-07-12 2013-12-03 Micron Technology, Inc. Resistive memory elements exhibiting increased interfacial adhesion strength, methods of forming the same, and related resistive memory cells and memory devices
CN103441214B (zh) * 2013-08-02 2015-10-21 浙江大学 一种阻变存储器的制备方法
US9577191B2 (en) * 2014-04-02 2017-02-2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RRAM cell bottom electrode 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761B1 (ko) 2016-05-30
US9577191B2 (en) 2017-02-21
US20150287918A1 (en) 2015-10-08
CN104979470A (zh) 2015-10-14
US10170699B2 (en) 2019-01-01
US20170162787A1 (en) 2017-06-08
CN104979470B (zh) 2018-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761B1 (ko) Rram 셀 바닥 전극 형성
US11637239B2 (en) High yield RRAM cell with optimized film scheme
US9431609B2 (en) Oxide film scheme for RRAM structure
CN106159086B (zh) Rram器件
KR102486455B1 (ko) 비트 라인 저항 감소를 위한 캡 층
US9178144B1 (en) RRAM cell with bottom electrode
US9653682B1 (en)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structure
US20210272604A1 (en) 3-D DRAM Structure With Vertical Bit-Line
US11482668B2 (en) RRAM structure
US9698213B1 (en) Vertical MIM capacitor
CN113517398A (zh) 存储器件及其制造方法
KR20130118095A (ko)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210119122A1 (en) Resistive Memory with Core and Shell Oxides and Interface Dipoles
US11430513B1 (en) Non-volatile memory structure and method for low programming voltage for cross bar array
TWI797949B (zh) 使用界面過渡金屬化合物層的電阻式記憶體單元及其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