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291A - 편광판 및 액정 패널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액정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291A
KR20150111291A KR1020150038129A KR20150038129A KR20150111291A KR 20150111291 A KR20150111291 A KR 20150111291A KR 1020150038129 A KR1020150038129 A KR 1020150038129A KR 20150038129 A KR20150038129 A KR 20150038129A KR 20150111291 A KR20150111291 A KR 20150111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ic resin
resin film
group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6836B1 (ko
Inventor
다카유키 나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7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for use in the UV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편광자와, 그 한쪽면에 적층되는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과, 다른쪽면에 적층되는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며, 또한 190∼380 ㎚의 파장 전역에서의 투과율이 20% 이하이고,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1 중량% 이하인 편광판, 및 이것을 이용한 액정 패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액정 패널{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PANEL}
본 발명은, 편광자의 양면에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접합된 편광판, 및 이것을 이용한 액정 패널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편광의 공급 소자로서, 또한 편광의 검출 소자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편광판으로서는,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호 필름을 접합한 구성의 것이 일반적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22663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그 중에서도 가습 조건 하에서의 내구성, 표시의 균일성(얼룩)을 만족시킬 수 있는 편광판으로서, 편광자의 양면에 접합하는 보호 필름에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이용한 편광판이 기재되어 있다.
통상, 보호 필름에는, 편광판의 내구성(내광성)을 높이기 위해 자외선 흡수제가 배합된다.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경우에는, 그 양면의 보호 필름에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보호 필름을 용융 압출법에 따라 제작하면, 약간이지만, 수지의 가열 용융 시에 증산(蒸散)하여 재차 고화한 것으로 생각되는 자외선 흡수제의 입자가 얻어지는 보호 필름 표면에 부착되거나, 용융 압출 장치의 장시간 가동에 의해 T 다이 등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액형 부착물이 생기고, 그것이 드리핑됨으로써 보호 필름 표면에 부착 혹은 보호 필름 내에 수지와는 상이한 상으로서 혼입되거나 하는 것이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해 분명해졌다. 이러한 문제는, 보호 필름에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 특히 현저해진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가시 영역으로부터 자외 영역에 걸쳐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을 비교적 많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 유래의 이물은, 그것 자체 문제로 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지만, 이물을 갖는 보호 필름을 액정 셀측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면, 액정 패널에 형성되는 크로스 니콜 중에 이물이 함유되게 되기 때문에, 흑 표시에 있어서 광 누설이 생기는 등, 시인성을 저하시킬 우려도 있다. 특히 40 인치 사이즈를 초과하는 것과 같은 대형의 액정 모니터나 액정 TV에서, 화소수(가로×세로)가 2000×1000을 넘는 것과 같은 고해상도 액정 패널에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근소한 이물이라도 인식되기 쉬워, 이 문제가 현저해진다. 또한, 10 인치를 하회하는 것과 같은 소형의 타블렛 단말이나 휴대 단말에서는, 화면 사이즈가 작아 사용자가 일점을 집중하여 화면을 보기 때문에, 대형의 표시 장치에 비해서 이물이 인식되기쉬운 경향이 있으며, 또한, 이들 소형의 액정 패널의 고해상도화에 의해, 이물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는 보다 현저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자의 양면에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접합된 편광판으로서, 충분한 내구성(내광성)을 가지면서도, 자외선 흡수제 유래의 이물 혼입의 우려가 없는 편광판, 및 이것을 이용한 액정 패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편광판 및 액정 패널을 제공한다.
[1] 편광자와, 편광자의 한쪽면에 적층되는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과, 편광자의 다른쪽면에 적층되는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며, 또한 190∼380 ㎚의 파장 전역에서의 투과율이 20% 이하이고,
상기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1 중량% 이하인, 편광판.
[2] 상기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260∼320 ㎚의 파장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20% 이상인, [1]에 기재된 편광판.
[3] 상기 제1 및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로 형성되는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편광자에 적층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편광판.
[4] 260∼380 ㎚의 파장 영역에서의 투과율의 최대값이 3% 이하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
[5] 상기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외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
[6] 상기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외면에 적층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
[7] 액정 셀과, 그 적어도 한쪽면에 배치되는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
[8] 상기 편광판은, 그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상기 액정 셀측이 되도록 배치되는, [7]에 기재된 액정 패널.
[9] 상기 액정 셀은, IPS 모드의 액정 셀인, [7] 또는 [8]에 기재된 액정 패널.
본 발명에 따르면, 편광자의 양면에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접합된 편광판으로서, 충분한 내구성(내광성)을 가지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 유래의 이물이 저감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편광판은, 액정 패널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층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패널의 층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190∼380 ㎚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190∼380 ㎚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 2에서 제작한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190∼380 ㎚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4에서 제작한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190∼380 ㎚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4에서 제작한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190∼380 ㎚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형태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광판>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층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편광판(1)과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10); 편광자(10)의 한쪽면에 적층되는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 편광자(10)의 다른쪽면에 적층되는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을 포함한다. 통상, 제1 및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 22)은 각각, 제1 접착제층(15), 제2 접착제층(25)을 통해 편광자(10)에 접합, 적층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은,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의 외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을 의미한다. 「(메타)아크릴레이트」나 「(메타)아크릴로일」 등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1) 편광자
편광자(편광 필름이라고도 함)(10)는, 광학축에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흡수하고, 광학축에 직교하는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광학 필름이며, 예컨대, 일축 연신되어,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일 수 있다. 2색성 색소로서는, 요오드나 2색성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편광자(10)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초산비닐의 비누화물인 폴리비닐알코올 외에, 초산비닐과 그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예컨대 에틸렌이나 불포화 카르복실산 등)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인 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여도 좋다. 편광자(10)의 두께는 통상, 5∼40 ㎛ 정도이다.
편광자(10)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그 2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2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2색성 색소의 염색은 2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필름을 침지함으로써,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는 붕산 수용액에 필름을 침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일축 연신은, 2색성 색소의 염색 전, 염색과 동시, 또는 염색 후에 행할 수 있다. 일축 연신을 염색 후에 행하는 경우, 이 일축 연신은, 붕산 처리의 전 또는 붕산 처리 중에 행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복수의 단계에서 일축 연신을 행하여도 좋다.
(2)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은, 편광판에 내구성(내광성)을 부여하기 위해 자외선 흡수제가 함유된 보호 필름이며, 편광판을 액정 패널에 적용할 때, 시인측의 편광판에 있어서는 그 시인측(액정 셀과는 반대측), 백라이트측의 편광판에 있어서는 그 백라이트측(액정 셀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이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을 구성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상기 중합체는, 전형적으로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중합체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즉, 전체 모노머량을 기준으로,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구성 단위를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여도 좋고, 전체 모노머량을 기준으로,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구성 단위를 50 중량% 이상과, 다른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50 중량% 이하 포함하는 공중합체여도 좋다.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할 수 있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고, 그 구체예는,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n-프로필, 메타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메타크릴산t-부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과 같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1∼8인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4이다. (메타)아크릴계 수지에 있어서, 메타크릴산에스테르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그 중에서도, 내구성의 관점에서,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메타크릴산메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구성 단위를 전체 모노머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할 수 있는 상기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에스테르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및 아크릴산에스테르 이외의 중합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고, 그 구체예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n-프로필,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t-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과 같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1∼8인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4이다. (메타)아크릴계 수지에 있어서, 아크릴산에스테르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및 아크릴산에스테르 이외의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분자 내에 중합성의 탄소-탄소 2중 결합을 1개 갖는 단작용 모노머나, 분자 내에 중합성의 탄소-탄소 2중 결합을 적어도 2개 갖는 다작용 모노머를 들 수 있지만, 단작용 모노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단작용 모노머의 구체예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할로겐화스티렌, 히드록시스티렌과 같은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과 같은 시안화비닐;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과 같은 불포화산; N-메틸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와 같은 말레이미드; 메탈릴알코올, 알릴알코올 등의 알릴알코올; 초산비닐, 염화비닐,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1-펜텐, 2-히드록시메틸-1-부텐, 메틸비닐케톤,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르바졸과 같은 다른 모노머를 포함한다.
또한, 다작용 모노머의 구체예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다가 알코올의 폴리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아크릴산알릴, 메타크릴산알릴, 계피산알릴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케닐에스테르; 프탈산디알릴, 말레산디알릴,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와 같은 다염기산의 폴리알케닐에스테르, 디비닐벤젠과 같은 방향족 폴리알케닐 화합물을 포함한다.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및 아크릴산에스테르 이외의 중합성 모노머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바람직한 모노머 조성은, 전체 모노머량을 기준으로,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50∼100 중량%,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0∼50 중량%, 이들 이외의 중합성 모노머가 0∼5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50∼99.9 중량%,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0.1∼50 중량%, 이들 이외의 중합성 모노머가 0∼49.9 중량%이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필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고분자 주쇄에 고리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고리 구조는, 환형 산무수물 구조, 환형 이미드 구조, 락톤 고리 구조 등의 복소환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무수 글루타르산 구조, 무수 호박산 구조 등의 환형 산무수물 구조, 글루탈이미드 구조, 호박이미드 구조 등의 환형 이미드 구조, 부티로락톤, 발레로락톤 등의 락톤 고리 구조를 들 수 있다. 주쇄 중의 고리 구조의 함유량을 크게 할수록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를 높게 할 수 있다. 환형 산무수물 구조나 환형 이미드 구조는, 무수 말레산이나 말레이미드 등의 환형 구조를 갖는 모노머를 공중합함으로써 도입하는 방법, 중합 후 탈수·탈메탄올 축합 반응에 의해 환형 산무수물 구조를 도입하는 방법, 아미노 화합물을 반응시켜 환형 이미드 구조를 도입하는 방법 등에 따라 도입할 수 있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중합체)는, 고분자쇄에 히드록실기와 에스테르기를 갖는 중합체를 조제한 후, 얻어진 중합체에 있어서의 히드록실기와 에스테르기를, 가열에 의해, 필요에 따라 유기 인 화합물과 같은 촉매의 존재 하에 고리화 축합시켜 락톤 고리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고분자쇄에 히드록실기와 에스테르기를 갖는 중합체는, 예컨대,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에틸,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이소프로필,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n-부틸,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t-부틸과 같은 히드록실기와 에스테르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모노머의 일부로서 이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보다 구체적인 조제 방법은,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5472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을 라디칼 중합시킴으로써,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조제할 수 있다. 모노머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용제나 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수지〕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은, 전술한 (메타)아크릴계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다른 수지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0∼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중량%이다. 상기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4-메틸-1-펜텐)과 같은 올레핀계 폴리머; 염화비닐, 염소화비닐 수지와 같은 함할로겐계 폴리머; 폴리스티렌,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와 같은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방향족 디올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젖산,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와 같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과 같은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니트릴;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옥시벤질렌;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일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에 함유되는 자외선 흡수제는, 파장 약 200∼400 ㎚에 흡수 극대를 갖는 자외선 흡수제일 수 있고, 그 종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는, 하기 일반식 (i):
Q1-Q2-OH (i)
로 나타낸다. 식 중, Q1은 1,3,5-트리아진 고리를 나타내고, Q2는 방향족 고리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컨대, 하기 일반식 (i-A):
Figure pat0000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있다.
식 중, R2, R2', R2'', R11, R11' 및 R11''는, 후술하는 일반식 (i-B) 중 R2, R2', R2'', R11, R11' 및 R11''와 동일한 작용기를 나타내고, R18' 및 R18''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히드록실기 또는 알콕시기(-OR1)를 나타낸다.
일반식 (i-A)로 나타내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도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는, 하기 일반식 (i-B):
Figure pat0000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식 중, R1은 탄소 원자수 1∼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5∼12의 시클로알킬기; 탄소 원자수 3∼18의 알케닐기; 페닐기; 페닐기, 히드록시기, 탄소 원자수 1∼18의 알콕시기, 탄소 원자수 5∼12의 시클로알콕시기, 탄소 원자수 3∼18의 알케닐옥시기, 할로겐 원자, -COOH, -COOR4, -O-CO-R5, -O-CO-O-R6, -CO-NH2, -CO-NHR7, -CO-N(R7)(R8), CN, NH2, NHR7, -N(R7)(R8), -NH-CO-R5, 페녹시기, 탄소 원자수 1∼18의 알킬기로 치환된 페녹시기, 페닐-탄소 원자수 1∼4의 알콕시기, 탄소 원자수 6∼15의 비시클로알콕시기, 탄소 원자수 6∼15의 비시클로알킬알콕시기, 탄소 원자수 6∼15의 비시클로알케닐알콕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6∼15의 트리시클로알콕시기로 치환된 탄소 원자수 1∼18의 알킬기; 히드록시기, 탄소 원자수 1∼4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6의 알케닐기 또는 -O-CO-R5로 치환된 탄소 원자수 5∼12의 시클로알킬기; 글리시딜기; -CO-R9 또는 -SO2-R10을 나타내거나; 혹은 R1은 1 이상의 산소 원자로 중단되고/거나 히드록시기, 페녹시기 혹은 탄소 원자수 7∼18의 알킬페녹시기로 치환된 탄소 원자수 3∼50의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혹은 R1은 -A; -CH2-CH(XA)-CH2-O-R12; -CR13R13'-(CH2)m-X-A; -CH2-CH(OA)-R14; -CH2-CH(OH)-CH2-XA;
Figure pat00003
; -CR15R15'-C(=CH2)-R15''; -CR13R13'-(CH2)m-CO-X-A; -CR13R13'-(CH2)m-CO-O-CR15R15'-C(=CH2)-R15'' 또는 -CO-O-CR15R15'-C(=CH2)-R15''(식 중, A는 -CO-CR16=CH-R17을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정의의 하나를 나타낸다.
R2, R2'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6∼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6의 알케닐기; 페닐기; 탄소 원자수 7∼11의 페닐알킬기; COOR4; CN; -NH-CO-R5; 할로겐 원자; 트리플루오로메틸기; -O-R3을 나타낸다.
R3은, R1에 대하여 부여된 정의를 나타내고; R4는 탄소 원자수 1∼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3∼18의 알케닐기; 페닐기; 탄소 원자수 7∼11의 페닐알킬기; 탄소 원자수 5∼12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거나; 혹은 R4는 1 이상의 -O-, -NH-, -NR7-, -S-로 중단되고 OH, 페녹시기 혹은 탄소 원자수 7∼18의 알킬페녹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3∼5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5는 H; 탄소 원자수 1∼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18의 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5∼12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탄소 원자수 7∼11의 페닐알킬기; 탄소 원자수 6∼15의 비시클로알킬기; 탄소 원자수 6∼15의 비시클로알케닐기; 탄소 원자수 6∼15의 트리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며; R6은 H; 탄소 원자수 1∼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3∼18의 알케닐기; 페닐기; 탄소 원자수 7∼11의 페닐알킬기; 탄소 원자수 5∼12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3∼12의 알콕시알킬기; 탄소 원자수 4∼16의 디알킬아미노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탄소 원자수 5∼12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며; 혹은 R7 및 R8은 함께 탄소 원자수 3∼9의 알킬렌기, 탄소 원자수 3∼9의 옥사알킬렌기 또는 탄소 원자수 3∼9의 아자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9는 탄소 원자수 1∼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2∼18의 알케닐기; 페닐기; 탄소 원자수 5∼12의 시클로알킬기; 탄소 원자수 7∼11의 페닐알킬기; 탄소 원자수 6∼15의 비시클로알킬기; 탄소 원자수 6∼15의 비시클로알킬알킬기, 탄소 원자수 6∼15의 비시클로알케닐기; 또는 탄소 원자수 6∼15의 트리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며; R10은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기; 페닐기; 나프틸기; 또는 탄소 원자수 7∼14의 알킬페닐기를 나타내고; R11, R11' 및 R11''는 서로 독립적으로 H; 탄소 원자수 1∼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3∼6의 알케닐기; 페닐기; 탄소 원자수 7∼11의 페닐알킬기; 할로겐 원자; 탄소 원자수 1∼18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R12는 탄소 원자수 1∼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3∼18의 알케닐기; 페닐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1∼8의 알콕시기, 탄소 원자수 3∼8의 알케녹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로 1회∼3회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탄소 원자수 7∼11의 페닐알킬기; 탄소 원자수 5∼12의 시클로알킬기; 탄소 원자수 6∼15의 트리시클로알킬기; 탄소 원자수 6∼15의 비시클로알킬기; 탄소 원자수 6∼15의 비시클로알킬알킬기; 탄소 원자수 6∼15의 비시클로알케닐알킬기; -CO-R5를 나타내거나; 또는 R12는 1 이상의 -O-, -NH-, -NR7-, -S-로 중단되고 OH, 페녹시기 혹은 탄소 원자수 7∼18의 알킬페녹시기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은, 탄소 원자수 3∼50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13 및 R13'는 서로 독립적으로 H; 탄소 원자수 1∼18의 알킬기; 페닐기를 나타내고; R14는 탄소 원자수 1∼18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3∼12의 알콕시알킬기; 페닐기; 페닐-탄소 원자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15, R15' 및 R15''는 서로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을 나타내며; R16은 H; -CH2-COO-R4; 탄소 원자수 1∼4의 알킬기; 또는 CN을 나타내고; R17은 H; -COOR4; 탄소 원자수 1∼17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며; X는 -NH-; -NR7-; -O-; -NH-(CH2)p-NH-; 또는 -O-(CH2)q-NH-를 나타내고; m은 수 0∼19를 나타내며; n은 수 1∼8을 나타내고; p는 수 0∼4를 나타내며; q는 수 2∼4를 나타내며; 단, 일반식 (i-B) 중, R1, R2, R2', R2'', R11, R11' 및 R11'' 중 적어도 하나가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2,4-디페닐-6-(2-히드록시-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에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2-히드록시-4-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2-히드록시-4-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벤질옥시페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는, 하기 일반식 (ii):
Figure pat00004
로 나타낸다. 식 중, Q3 및 Q4는 각각 독립적으로 방향족 고리를 나타낸다. Y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Z는 산소 원자, 유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낸다. YZ는 수소 원자여도 좋다.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컨대,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도데실옥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타데실옥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는, 하기 일반식 (iii):
Figure pat00005
으로 나타낸다. 식 중, R20, R21, R22, R23 및 R24는 각각 독립적으로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20, R21 및 R22 중 적어도 하나는, 총 탄소수 10∼20의 무치환의 분기 또는 직쇄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컨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아밀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는, 하기 일반식 (iv):
Figure pat00006
로 나타낸다. 식 중의 R25, R2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컨대, 2,4-디-t-부틸페닐-3',5'-디- 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6-디-t-부틸페닐-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n-헥사데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및 n-옥타데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는, 하기 일반식 (v):
Figure pat00007
로 나타낸다. 식 중의 R27은 알킬기, 알콕시알킬기, 아랄킬기, 시클로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등의 유기기이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각각, 전술한 자외선 흡수제를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2종 이상을 병용하는 경우, 서로 동계의 자외선 흡수제여도 좋고, 이계의 자외선 흡수제여도 좋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하여도 좋고, 예컨대,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로서, 케미프로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Kemisorb 102」, 가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의 「아데카스탭 LA 46」, 「아데카스탭 LAF 70」, BASF사 제조의 「TINUVIN 460」, 「TINUVIN 405」, 「TINUVIN 400」, 「TINUVIN 477」, 선케미컬사 제조의 「CYASORB UV-1164」,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 가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의 「아데카스탭 LA 31」, 「아데카스탭 LA 36」, 스미카 켐텍스사 제조의 「스미소브 200」, 「스미소브 250」, 「스미소브 300」, 「스미소브 340」, 「스미소브 350」, 케미프로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Kemisorb 74」, 「Kemisorb 79」, 「Kemisorb 279」, BASF사 제조의 「TINUVIN 99-2」, 「TINUVIN 900」, 「TINUVIN 928」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각각 중량 평균 분자량이,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 성형 중의 증산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500∼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8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성형 중에 증산하기 쉽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크면,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을 구성하는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자외선 흡수제는, 흡수 극대의 파장에 있어서의 몰 흡광 계수가 10 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L/㏖·㎝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몰 흡광 계수가 상기 범위이면,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의 자외선 흡수능을 높일 수 있으며, 혹은 우수한 자외선 흡수능을 유지하면서,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260∼380 ㎚에 있어서의 몰 흡광 계수는, 예컨대,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의 「아데카스탭 LA 31」에서는, 약 350 ㎚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가지며, 상기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몰 흡광 계수는 34821 L/㏖·㎝이다. 몰 흡광 계수는 화학 구조에 따라 상이하며, 자외선 흡수제를 단독 사용, 또는 병용함으로써, 원하는 파장의 자외선을 흡수 또는 투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충분한 내광성을 부여하기 위해, 190∼380 ㎚의 파장 전역(근자외 영역의 전역)에서의 투과율이 20% 이하가 되도록 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18% 이하가 되도록 조정된다. 투과율은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의 두께에도 의존하기 때문에, 채용되는 두께도 고려하여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결정된다. 투과율은, 하기 식:
투과율(%)=100×(투과한 광의 강도(I)/입사광 강도(I0))
으로 정의되고, 각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자외 가시 흡광 광도계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의 두께에도 따르지만, 상기 필름 중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통상, 0.1 중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이다. 또한 통상,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5 중량% 이하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함유량은, 필름 전체량을 100 중량%로 하였을 때의 자외선 흡수제 함유량이다.
또한, 편광판 전체로서의 자외선의 투과율에 관해서 말하면, 충분한 내광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투과율을 충분히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260∼380 ㎚의 파장 영역에서의 투과율의 최대값은, 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의 두께는, 예컨대 5∼200 ㎛ 정도이며, 편광판 박막화, 및 필름의 강도 및 취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00 ㎛이다.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은, 자외선 흡수제 이외의 다른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첨가제의 예를 들면, 고무 입자, 윤활제, 분산제, 열 안정제, 적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등이다.
고무 입자를 배합하는 것은,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막 제조성, 필름의 내충격성, 필름 표면의 슬립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고무 입자란,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층을 포함하는 고무 탄성체 입자를 말한다.
고무 입자는,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입자여도 좋고,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층과 함께 다른 층을 갖는 다층 구조의 입자여도 좋다. 고무 탄성체로서는, 예컨대, 올레핀계 탄성 중합체, 디엔계 탄성 중합체, 스티렌-디엔계 탄성 공중합체,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광성 및 투명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는, 아크릴산알킬을 주체로 하는, 즉, 전체 모노머량을 기준으로 아크릴산알킬 유래의 구성 단위를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다.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는, 아크릴산알킬의 단독 중합체여도 좋고, 아크릴산알킬 유래의 구성 단위를 50 중량% 이상과, 다른 중합성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50 중량% 이하 포함하는 공중합체여도 좋다.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를 구성하는 아크릴산알킬로서는 통상, 그 알킬기의 탄소수가 4∼8인 것이 이용된다. 상기 다른 중합성 모노머의 예를 들면, 예컨대,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과 같은 메타크릴산알킬; 스티렌, 알킬스티렌과 같은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불포화 니트릴 등의 단작용 모노머, 또한, (메타)아크릴산알릴, (메타)아크릴산메탈릴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케닐에스테르; 말레산디알릴과 같은 2염기산의 디알케닐에스테르; 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글리콜류의 불포화 카르복실산디에스테르 등의 다작용 모노머이다.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무 입자는,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의 층을 갖는 다층 구조의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의 층의 외측에 메타크릴산알킬을 주체로 하는 경질의 중합체층을 갖는 2층 구조의 것이나, 또한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의 층의 내측에 메타크릴산알킬을 주체로 하는 경질의 중합체층을 갖는 3층 구조의 것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의 층의 외측 또는 내측에 형성되는 경질의 중합체층을 구성하는 메타크릴산알킬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에 있어서의 모노머 조성의 예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예로서 든 메타크릴산알킬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의 모노머 조성의 예와 동일하며, 특히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체로 하는 모노머 조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다층 구조의 아크릴계 고무 탄성체 입자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고 소화55-27576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고무 입자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막 제조성, 필름의 내충격성, 필름 표면의 슬립성의 관점에서, 그 중에 포함되는 고무 탄성체층(아크릴계 탄성 중합체의 층)까지의 평균 입경이 10∼35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입경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더욱 50 ㎚ 이상이며,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더욱 280 ㎚ 이하이다.
고무 입자에 있어서의 고무 탄성체층(아크릴계 탄성 중합체의 층)까지의 평균 입경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된다. 즉, 이러한 고무 입자를 (메타)아크릴계 수지에 혼합하여 필름화하고, 그 단면을 산화루테늄의 수용액으로 염색하면, 고무 탄성체층만이 착색하여 거의 원형상으로 관찰되며, 모층의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염색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와 같이 하여 염색된 필름 단면으로부터, 마이크로톰 등을 이용하여 박편을 조제하고, 이것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그리고, 무작위로 100개의 염색된 고무 입자를 추출하고, 각각의 입자경(고무 탄성체층까지의 직경)을 산출한 후, 그 수평균값을 상기 평균 입경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얻어지는 상기 평균 입경은 수평균 입경이다.
최외층이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체로 하는 경질의 중합체이며, 그 속에 고무 탄성체층(아크릴계 탄성 중합체의 층)이 감싸여져 있는 고무 입자인 경우, 그것을 모체의 (메타)아크릴계 수지에 혼합하면, 고무 입자의 최외층이 모체의 (메타)아크릴계 수지와 혼화한다. 그 때문에, 그 단면을 산화루테늄으로 염색하고,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고무 입자는, 최외층을 제외한 상태의 입자로서 관찰된다. 구체적으로는, 내층이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이며, 외층이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체로 하는 경질의 중합체인 2층 구조의 고무 입자인 경우에는, 내층의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부분이 염색되어 단층 구조의 입자로서 관찰된다. 또한, 최내층이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체로 하는 경질의 중합체이며, 중간층이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이고, 최외층이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체로 하는 경질의 중합체인 3층 구조의 고무 입자인 경우에는, 최내층의 입자 중심 부분이 염색되지 않으며, 중간층의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부분만이 염색된 2층 구조의 입자로서 관찰되게 된다.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막 제조성, 필름의 내충격성, 필름 표면의 슬립성의 관점에서, 고무 입자는,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을 구성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와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3 중량% 이상, 60 중량% 이하의 비율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중량% 이하이다. 고무 탄성체 입자가 60 중량%보다 많아지면, 필름의 치수 변화가 커져, 내열성이 저하한다. 한편, 고무 탄성체 입자가 3 중량%보다 적으면, 필름의 내열성은 양호하지만, 필름 제조시의 권취성이 나빠, 생산성이 저하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무 탄성체 입자로서,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층과 함께 다른 층을 갖는 다층 구조의 입자를 이용한 경우는,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층과 그 내측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중량을, 고무 탄성체 입자의 중량으로 한다. 예컨대, 전술한 3층 구조의 아크릴계 고무 탄성체 입자를 이용한 경우는, 중간층의 아크릴계 고무 탄성 중합체 부분과 최내층의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체로 하는 경질의 중합체 부분의 합계 중량을, 고무 탄성체 입자의 중량으로 한다. 전술한 3층 구조의 아크릴계 고무 탄성체 입자를 아세톤에 용해시키면, 중간층의 아크릴계 고무 탄성 중합체 부분과 최내층의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체로 하는 경질의 중합체 부분은, 불용분으로서 남기 때문에, 3층 구조의 아크릴계 고무 탄성체 입자에 차지하는 중간층과 최내층의 합계의 중량 비율은, 용이하게 구할 수 있다.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이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제작에 이용되는 고무 입자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수지와 고무 입자를 용융 혼련 등에 의해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 외에 우선 고무 입자를 제작하고, 그 존재 하에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원료가 되는 모노머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방법에 따라서도 얻을 수 있다.
(3)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은, 편광자(10)의 다른쪽의 면에 적층되는 보호 필름이며, 편광판을 액정 패널에 적용할 때, 시인측의 편광판, 백라이트측의 편광판 중 어느 곳에 있어서도 액정 셀측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은, 양면의 보호 필름에 동종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지만, 이에 의해 치수 변화의 움직임이 상하 대칭이 되기 때문에, 편광판에 휘어짐이 생기고, 나아가서는 액정 패널에 휘어짐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패널의 휘어짐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표시 상의 문제점, 예컨대 패널이 주연부(베젤)에 접촉하는 등에 의해 발생하는 광 누설 등을 막을 수 있어 유용하다. 이것은 특히 IPS 모드에서 유효하다. 여기서, 동종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란, 동종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면 동일한 필름이 아니어도 좋고, 예컨대, 수지의 조성이 상이하여도 좋으며, 필름에 배합되는 첨가제의 양이나 종류가 상이하여도 좋다.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은,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과는 달리, 자외선의 투과율을 높게 한 보호 필름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필름 중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1 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을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하거나, 또는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을 자외선 흡수제 불함유로 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예컨대 다음 관점에서 유리해질 수 있다.
〔a〕 전술한 바와 같은 자외선 흡수제 유래의 이물의 부착·혼입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물의 부착·혼입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용융 압출법에 따라 제작할 때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가열 용융 시에 T 다이 내에서 증산하고, 이것이 재차 입자형으로 고화하여 생긴 입자가 필름 표면에 부착되거나,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액형물이 떨어져 필름 표면에 부착 혹은 필름 내에 혼입하거나 함으로써 발생한다고 추측되지만,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을 극력 억제함으로써, 이러한 이물의 부착·혼입을 억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미연신 필름을 용융 압출법으로 제작하고, 이것에 연신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이물의 부착·혼입을 억제, 방지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용융 압출법에 따라 제작한 후, 원하는 광학 특성이나 기계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연신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연신 처리는,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고, 예컨대, 일축 연신이나 이축 연신 등을 들 수 있다. 연신 방향으로서는, 미연신 필름의 기계 유동 방향(MD), 이에 직교하는 방향(TD), 기계 유동 방향(MD)에 사교하는 방향 등을 들 수 있다. 이축 연신은, 2개의 연신 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는 동시 이축 연신이어도 좋고, 한 방향으로 연신한 후에 다른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차 이축 연신이어도 좋다.
특히, 편광판이 갖는 2개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중, 액정 패널로 할 때에 액정 셀측에 배치되는 쪽의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의 자외선 흡수제 함유량을 억제함으로써, 액정 패널에 형성되는 크로스 니콜 중에 이물이 함유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는, 액정 표시 장치의 흑 표시에 있어서 광 누설이 생기는 등의 시인성 저하의 방지에 효과적일 수 있다.
〔b〕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의 자외선 흡수제 함유량이 낮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제1 및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 22)을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자(10)에 접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접착제의 광 중합 개시제의 종류를 선택하지 않고 접착제를 용이하게 경화시킬 수 있으며 경화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자(10)와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밀착성, 및 편광판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에는 충분한 양의 자외선 흡수제가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편광판에는 충분한 내광성이 부여되어 있다.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은, 자외선 중에서도 특히 260∼320 ㎚의 파장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60∼320 ㎚의 파장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60∼320 ㎚의 파장 영역은,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접합하기 위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가 일반적으로 감응하는 파장 영역이며, 이 파장 영역에서의 투과율을 높임으로써,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의 경화 속도 및 경화도를 높일 수 있어, 접착제 중의 광 중합 개시제의 첨가량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260∼320 ㎚의 파장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20% 이상이란, 260∼320 ㎚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군데에서, 투과율이 20% 이상인 것을 나타낸다.
IPS 모드의 액정 셀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편광판을 적용하는 경우,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은, 광학 이방성을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은, 파장 590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값(R0)이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파장 590 ㎚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위상차값(Rth)의 절대값은,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면내 위상차값(R0), 두께 방향 위상차값(Rth)은, 각각 하기 식:
R0=(nx-ny)×d
Rth=[(nx+ny)/2-nz]×d
으로 정의된다. nx는 필름의 면내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y는 면내 진상축 방향(면내 지상축 방향과 면 내에서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 d는 필름의 두께이다.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을 구성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그 종류, 필름의 두께, 및 필름에 배합될 수 있는 다른 첨가제(예컨대 고무 입자)에 대해서는,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에 대한 위의 기술이 인용된다. 특히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대전하기 쉬우며, 환경 이물 등을 부착하기 쉽기 때문에,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중, 혹은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상에 대전 방지제(층)를 0.01∼1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 이물에 대해서도 자외선 흡수제 유래의 이물과 마찬가지로, 액정 패널에 형성되는 크로스 니콜 중에 이물이 함유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액정 표시 장치의 흑 표시에 있어서 광 누설이 생기는 등의 시인성 저하의 방지에 효과적일 수 있다.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과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은, 다른 첨가제의 사용의 유무, 종류 및 배합량,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종류, 및 필름의 두께에 있어서 동일하여도 좋고, 어느 1 이상에 있어서 상이하여도 좋다.
(4) 제1 및 제2 접착제층
제1 및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 22)과 편광자(10)의 접합은 통상, 접착제를 이용하여 행해진다(도 1의 제1 및 제2 접착제층(15, 25)). 제1 및 제2 접착제층(15, 25)을 형성하는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60∼320 ㎚의 파장 영역의 자외선에 감응하여 경화하는 접착제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접착제층(15, 25)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제의 경화물층이다.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를 구성하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성분(이하, 단순히 「경화성 성분」이라고도 함)은, 에폭시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메타)아크릴계 화합물 등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접착제로서는, 양이온 중합에 의해 경화하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에폭시계 화합물이란, 분자 내에 평균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에폭시계 화합물은,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혹은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에폭시계 화합물의 예는, 방향족 폴리올의 방향 고리에 수소화 반응을 행하여 얻어지는 지환식 폴리올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수소화에폭시계 화합물(지환식 고리를 갖는 폴리올의 글리시딜에테르); 지방족 다가 알코올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와 같은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 지환식 고리에 결합한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1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인 지환식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에폭시 화합물은, 시판품을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각각 상품명으로, 재팬에폭시레진 가부시키가이샤에서 판매되고 있는 「에피코트」 시리즈, DIC 가부시키가이샤에서 판매되고 있는 「에피클론」 시리즈, 도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에서 판매되고 있는 「에포토토」 시리즈, 가부시키가이샤 ADEKA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데카레진」 시리즈, 나가세켐텍스 가부시키가이샤에서 판매되고 있는 「데나콜」 시리즈, 다우케미컬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다우에폭시」 시리즈, 닛산카가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에서 판매되고 있는 「테픽」 등이 있다.
상기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도, 시판품을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각각 상품명으로, 다이셀카가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에서 판매되고 있는 「세록사이드」 시리즈 및 「사이클로머」 시리즈, 다우케미컬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사이라큐어」 시리즈 등이 있다.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는, 양이온 중합에 의해 경화하는 에폭시계 화합물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경화성 성분으로서 라디칼 중합성인 (메타)아크릴계 화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메타)아크릴계 화합물로서는,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등의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타)아크릴 모노머;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와 아미드 결합을 갖는 (메타)아크릴아미드 모노머; 작용기 함유 화합물을 2종 이상 반응시켜 얻어지며,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타)아크릴 올리고머 등의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 올리고머는 바람직하게는,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이다. (메타)아크릴계 화합물은,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메타)아크릴계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아미드 모노머를 포함한다.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와 아미드 결합을 갖는 (메타)아크릴아미드 모노머로서는, 하기 일반식 (vi):
CH2=C(R28)-CONH(2-i)-(L-O-R29)i 일반식 (vi)
으로 나타내는 N-치환 아미드계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 중, R28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L은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를 나타내며, R29는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i는 1 또는 2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vi)으로 나타내는 N-치환 아미드계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N-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N-치환 아미드계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vi)으로 나타내는 N-치환 아미드계 모노머는, 저수분율의 편광자나, 투습도가 낮은 재료를 이용한 보호 필름에 대하여도,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시의 모노머 중에서도, N-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는, 특히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상기 일반식 (vi)으로 나타내는 N-치환 아미드계 모노머 이외의 (메타)아크릴계 화합물, 즉, 상기 일반식 (vi)으로 나타내는 N-치환 아미드계 모노머 이외의 N-치환 아미드계 모노머, 방향 고리 및 히드록시기를 갖는 각종 단작용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각종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함유하여도 좋다. 단, 접착제층의 접착성 및 내수성을 고려한 경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합계량에 대한 상기 일반식 (vi)으로 나타내는 N-치환 아미드계 모노머의 비율은, 50∼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60∼90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vi)으로 나타내는 N-치환 아미드계 모노머 이외의 N-치환 아미드계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헥실(메타)아크릴아미드, 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머캅토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머캅토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N-아크릴로일피페리딘, N-메타크릴로일피페리딘, N-아크릴로일피롤리딘 등을 들 수 있다.
방향 고리 및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작용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방향 고리 및 히드록시기를 갖는, 각종 단작용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히드록시기는, 방향 고리의 치환기로서 존재하여도 좋지만, 방향 고리와 (메타)아크릴레이트를 결합하는 유기기(탄화수소기, 특히, 알킬렌기)의 치환기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 고리 및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작용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컨대, 방향 고리를 갖는 단작용의 에폭시 화합물과, (메타)아크릴산의 반응물을 들 수 있다. 방향 고리를 갖는 단작용의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페닐글리시딜에테르, t-부틸페닐글리시딜에테르, 페닐폴리에틸렌글리콜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방향 고리 및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작용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를 들면, 예컨대,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t-부틸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닐폴리에틸렌글리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다.
또한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디올 화합물의 편말단의 히드록실기와의 반응물 등을 들 수 있다. 디올 화합물로서는, 폴리우레탄디올,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에테르디올이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가 1∼12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메톡시에틸 및 (메타)아크릴산에톡시에틸 등의 (메타)아크릴산알콕시알킬계 모노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산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산10-히드록시데실, (메타)아크릴산12-히드록시라우릴 및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무수 말레산 및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2-(메타)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타)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등의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및 N-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기 함유 모노머; (메타)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산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및 3-(3-피리니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알킬아미노알킬계 모노머; N-(메타)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타)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및 N-(메타)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숙신이미드 등의 숙신이미드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질소 함유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작용기 함유 화합물을 2종 이상 반응시켜 얻어지며,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함유 화합물, 즉 디(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접착제층의 내수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다작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의 내수성을 고려한 경우, 디(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함유 화합물은 소수성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수성의 디(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함유 화합물, 특히 소수성의 다작용 디(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글리세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글리세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2-(2-비닐옥시에톡시)에틸, 비스페놀A-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린산네오펜틸글리콜(메타)아크릴산 부가물,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메타)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1,1-비스((메타)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이소시아네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1,6-디이소시아네이트헥산의 중합물, 9,9-비스[4-(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합계량에 대한 디(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함유 화합물의 비율은, 5∼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9∼40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비율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내수성 향상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한편, 50 중량%를 넘는 경우에는, 충분한 접착성 향상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는, 상기 외에,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 그 외의 작용기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그 외의 작용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디비닐벤젠,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는, 에폭시계 화합물 및/또는 (메타)아크릴계 화합물과 함께, 혹은 그 대신에, 옥세탄 화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옥세탄 화합물도, 시판품을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각각 상품명으로, 도아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론옥세탄」 시리즈, 우베고산 가부시키가이샤에서 판매되고 있는 「ETERNACOLL」 시리즈 등이 있다.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는, 에폭시계 화합물과 같은 양이온 중합에 의해 경화하는 경화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우,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컨대,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드늄염이나 방향족 술포늄염 등의 오늄염; 철-알렌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가 (메타)아크릴계 화합물과 같은 라디칼 중합성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는,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수소 방출형 또는 개열형을 예로 들 수 있고, 예컨대, 아세토페논계 개시제, 벤조페논계 개시제, 벤조인에테르계 개시제, 티옥산톤계 개시제, 크산톤, 플루오레논, 캄퍼퀴논, 벤즈알데히드, 안트라퀴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개시제는 필요에 따라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끼리나 광 라디칼 개시제끼리에서 상이한 2종류 이상을 포함하여도 좋고,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와 광 라디칼 개시제를 병용하여도 좋다. 광 중합 개시제가 감응하는 파장 영역은 260∼380 ㎚인 것이 많으며, 특히 320 ㎚ 부근에 피크를 갖는 것이 많다.
양이온 중합 개시제도, 시판품을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각각 상품명으로, 니혼카야쿠 가부시키가이샤에서 판매되고 있는 「카야라드」 시리즈, 유니언 카바이드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사이라큐어」 시리즈, 산아프로 가부시키가이샤에서 판매되고 있는 광산 발생제 「CPI」 시리즈, 미도리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에서 판매되고 있는 광산 발생제 「TAZ」, 「BBI」 및 「DTS」, 가부시키가이샤 ADEKA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데카 옵토머」 시리즈, 로디아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RHODORSIL」 시리즈 등이 있다.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 폴리올류 등의 양이온 중합 촉진제, 광 증감제, 이온 트랩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점착 부여제, 열 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 조정제, 가소제, 소포제, 대전 방지제, 레벨링제, 용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착제층(15, 25)의 두께는 각각 독립적으로, 예컨대 0.01∼10 ㎛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0.01∼5 ㎛ 정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이하(예컨대 3 ㎛ 이하)이다.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를 편광자(10)의 접합면 또는 제1 및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 22)의 접합면에 도공하고, 그 도공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층을 통해 필름을 중첩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킴으로써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이 접합 조작은, 편광자(10)와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을 먼저 접합한 후에,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을 접합하여도 좋고, 3장을 동시에 중첩하여, 자외선 조사하여 접합하여도 상관없다. 자외선은, 1회 이상,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측으로부터 조사되는 것이 접착제 경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자외선 광원으로서는,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마이크로 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접합에 앞서, 제1 및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 22)에 있어서의 편광자(10)와의 접합면 및 편광자(10)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 22)과의 접합면 중 적어도 한쪽에,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조사 처리, 전자선 조사 처리, 그 외의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해 두어도 좋다.
(5) 점착제층
본 발명의 편광판은,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의 외면(편광자(10)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상기 편광판을 액정 셀 등의 다른 부재에 접합하기 위한 점착제층(30)을 구비할 수 있다. 점착제층(30)에 이용되는 점착제는, 예컨대 (메타)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폴리에테르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일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투명성, 점착력, 신뢰성, 리워크성 등의 관점에서, (메타)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점착제층(30)은, 점착제를, 예컨대 유기 용제 용액의 형태로 이용하며, 그것을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 상에 도공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에 따라 마련할 수 있는 것 외에, 이형 처리가 실시된 플라스틱 필름(세퍼레이트 필름이라고 불림) 상에 형성된 시트형 점착제를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에 전사하는 방법에 따라서도 마련할 수 있다.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에 적층 후의 점착제층(30)의 외면에는, 표면 보호를 위해 세퍼레이트 필름을 점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30)의 두께는 통상, 2∼40 ㎛이다.
세퍼레이트 필름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6) 코팅층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판에 원하는 광학 특성 또는 그 외의 특징을 부여하기 위해,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의 외면(편광자(10)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코팅층을 가질 수 있다. 코팅층의 구체예는, 하드 코트층, 방현층, 반사 방지층, 대전 방지층, 방오층을 포함한다.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1)의 표면에 표면 처리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액정 패널>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패널은, 액정 셀과, 그 적어도 한쪽면에 배치되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패널의 층구성의 일례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액정 패널(2)은, 액정 셀(40)의 양면에 배치되는 편광판에 도 1에 나타내는 편광판(1)을 이용한 것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한쪽의 편광판에만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을 이용하여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시인측의 편광판에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을 이용한다.
액정 패널(2)에 있어서 편광판(1)은, 그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이 액정 셀(40)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액정 패널(2)의 내광성을 유지하면서, 크로스 니콜 중에 이물이 함유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액정 셀(40)의 구동 모드는, IPS 모드, VA(수직 배향) 모드, TN(트위스티드 네마틱) 모드와 같은 종래 공지의 어떠한 모드여도 좋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IPS 모드이다. IPS 모드는, 전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호모지니어스 배향시킨 네마틱 액정을, 가로 전계에 의해 구동시켜 화상 표시를 행하는 것이며, 그 이점은, 다른 구동 모드에 비해서 시야각이 넓은 점에 있다. 화면을 보는 각도에 따른 화상의 색조 변화(경사 방향의 컬러 시프트라고도 함)가 비교적 크지만, 이 점은, 광학 이방성을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22)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이용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및 편광판의 투과율은, 다음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투과율 측정]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자외 영역(190∼380 ㎚)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의 분광 광도계 「UV-245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편광판의 투과율 측정]
편광판의 자외 영역(260∼380 ㎚)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니혼분코(주) 제조의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 「V 71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은 글랜 톰슨 편광자를 벗긴 상태에서의 스펙트럼 측정 모드로 행하고, 어떤 임의의 샘플 각도로 투과율을 측정한 후, 더욱 샘플을 90°회전시켜 투과율을 측정하고, 이들의 평균값으로서 편광판의 투과율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
(1)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제작
(메타)아크릴계 수지로서,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메틸=96%/4%(중량비)의 공중합체를 준비하였다. 또한 고무 입자로서, 최내층이 메타크릴산메틸에 소량의 메타크릴산알릴을 이용하여 중합된 경질의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중간층이 아크릴산부틸을 주성분으로 하며, 또한 스티렌 및 소량의 메타크릴산알릴을 이용하여 중합된 연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최외층이 메타크릴산메틸에 소량의 아크릴산에틸을 이용하여 중합된 경질의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탄성체 입자로서, 중간층인 탄성체까지의 평균 입경이 240 ㎚인 것을 준비하였다. 또한, 이 고무 입자에 있어서, 최내층과 중간층의 합계 중량은, 입자 전체의 70%였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68.5 중량%, 상기 고무 입자 29.6 중량%, 및 가부시키가이샤 ADEKA사 제조의 자외선 흡수제 「아데카스탭 LA 31」 1.9 중량%를 수퍼 믹서로 혼합하고, 이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 펠릿으로 하였다. 이 펠릿을, 65 ㎜φ 일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설정 온도 275℃의 T형 다이를 통해 압출하고, 경면을 갖는 2개의 폴리싱 롤 필름의 양면을 끼워 넣어 냉각하여, 두께 40 ㎛의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상기 용융 압출 성형에 있어서, 수지의 압출 개시로부터 100시간 경과하였을 때의 T형 다이 부근의 증산물을 육안으로 확인한 바, 증산물의 축적이 많이 보였기 때문에, 얻어진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증산물이 부착·혼입하고 있을 우려가 있었다. 또한, 얻어진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190∼380 ㎚의 파장 영역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15.9%였다. 얻어진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190∼380 ㎚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도 3에 나타낸다.
(2)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제작
자외선 흡수제를 혼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상기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40 ㎛의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수지의 압출 개시로부터 100시간 경과하였을 때의 T형 다이 부근의 증산물을 육안으로 확인한 바, 증산물의 축적은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얻어진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증산물이 부착·혼입하고 있을 우려는 없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얻어진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260∼320 ㎚의 파장 영역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316 ㎚에 있어서 78.7%였다. 얻어진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190∼380 ㎚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도 4에 나타낸다.
(3) 편광 필름의 제작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이며 두께 75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30℃의 순수에 침지한 후, 요오드/요드화칼륨/물의 중량비가 0.02/2/100인 수용액에 30℃에서 침지하였다. 그 후, 요드화칼륨/붕산/물의 중량비가 12/5/100인 수용액에 56.5℃에서 침지하였다. 계속해서, 8℃의 순수로 세정한 후, 65℃에서 건조하여, 폴리비닐알코올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을 얻었다. 연신은, 주로, 요오드 염색 및 붕산 처리의 공정에서 행하며, 토탈 연신 배율은 5.3배, 얻어진 편광 필름의 두께는 27 ㎛였다.
(4) 편광판의 제작
상기 (1)에서 얻어진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접합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그 코로나 처리면에 260∼320 ㎚의 파장 영역에서 중합 개시하는 자외선 경화 접착제(토아 고세이(주) 제조의 「아로닉스」)를 도공하였다. 마찬가지로, 상기 (2)에서 얻어진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접합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그 코로나 처리면에 동일한 자외선 경화 접착제를 도공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3)에서 얻어진 편광 필름의 한쪽의 면에 자외선 경화 접착제를 도공한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다른쪽의 면에 자외선 경화 접착제를 도공한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이들 자외선 경화 접착제층측에서 접합 롤을 이용하여 접합하였다. 그 후,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양면의 자외선 경화 접착제층을 경화시켜, 편광판을 얻었다. 자외선 조사는, 260∼320 ㎚의 파장 영역에서의 적산 광량이 200 mJ/㎠가 되도록 행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의 260∼380 ㎚의 파장 영역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2.3%였다. 또한, 얻어진 편광판을 가위로 재단하여 보아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편광 필름으로부터 박리하는 문제점은 생기지 않고, 양면의 접착제층이 충분히 경화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1)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제작
두께를 80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 용융 압출 성형에 있어서, 수지의 압출 개시로부터 100시간 경과하였을 때의 T형 다이 부근의 증산물을 육안으로 확인한 바, 증산물의 축적이 많이 보였기 때문에, 얻어진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증산물이 부착·혼입하고 있을 우려가 있었다. 또한, 얻어진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190∼380 ㎚의 파장 영역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3.5%였다.
(2)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제작
두께를 80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2)와 동일하게 하여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수지의 압출 개시로부터 100시간 경과하였을 때의 T형 다이 부근의 증산물을 육안으로 확인한 바, 증산물의 축적은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얻어진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증산물이 부착·혼입하고 있을 우려는 없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얻어진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260∼320 ㎚의 파장 영역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316 ㎚에 있어서 75.1%였다.
(3) 편광판의 제작
상기 (1) 및 (2)에서 제작한 제1 및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4)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의 260∼380 ㎚의 파장 영역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0.3%였다. 또한, 얻어진 편광판을 가위로 재단하여 보아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편광 필름으로부터 박리하는 문제점은 생기지 않고, 양면의 접착제층이 충분히 경화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1)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제작
두께를 80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 용융 압출 성형에 있어서, 수지의 압출 개시로부터 100시간 경과하였을 때의 T형 다이 부근의 증산물을 육안으로 확인한 바, 증산물의 축적이 많이 보였기 때문에, 얻어진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증산물이 부착·혼입하고 있을 우려가 있었다. 또한, 얻어진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190∼380 ㎚의 파장 영역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3.5%였다.
(2)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제작
두께를 80 ㎛로 한 것, 및 필름 형성 재료로서 (메타)아크릴계 수지 69.9 중량%, 상기 고무 입자 29.6 중량%, 및 가부시키가이샤 ADEKA사 제조의 자외선 흡수제 「아데카스탭 LA 31」 0.5 중량%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2)와 동일하게 하여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수지의 압출 개시로부터 100시간 경과하였을 때의 T형 다이 부근의 증산물을 육안으로 확인한 바, 증산물의 축적은 근소하였기 때문에, 얻어진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증산물이 부착·혼입하고 있을 우려는 매우 낮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얻어진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260∼320 ㎚의 파장 영역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266 ㎚에 있어서 21.3%였다.
(3) 편광판의 제작
상기 (1) 및 (2)에서 제작한 제1 및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4)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의 260∼380 ㎚의 파장 영역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0.14%였다. 또한, 얻어진 편광판을 가위로 재단하여 보아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편광 필름으로부터 박리하는 문제점은 생기지 않고, 양면의 접착제층이 충분히 경화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1)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제작
두께를 60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 용융 압출 성형에 있어서, 수지의 압출 개시로부터 100시간 경과하였을 때의 T형 다이 부근의 증산물을 육안으로 확인한 바, 증산물의 축적이 많이 보였기 때문에, 얻어진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증산물이 부착·혼입하고 있을 우려가 있었다. 또한, 얻어진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190∼380 ㎚의 파장 영역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7.5%였다. 얻어진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190∼380 ㎚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도 6에 나타낸다.
(2)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제작
우선, (메타)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를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코준야쿠 특급)를 감압도 0.01 ㎫, 40℃에서 증류하여, 금지제를 제거하였다. 계속해서, 50 L 탱크 내에서, 증류 메틸메타크릴레이트/N-페닐말레이미드(와코준야쿠 특급)/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와코준야쿠 특급)/메타크실렌(와코준야쿠 특급, 이하 mXy)=48.6%/4.8%/6.6%/40%(중량비)를 포함하는 혼합 모노머 용액을 조제하고, 이것에 100 mL/분의 속도로 질소에 의한 버블링을 12시간 실시하여, 용존 산소를 제거하였다. 혼합 모노머 용액을, 질소 치환한 60 L 반응기에 옮겨, 온도를 130℃로 상승시켰다. 이어서, 동온도에서, 중합 개시제〔니혼유시(주)의 「퍼부틸 O」〕 0.12 중량%를 mXy 12 중량%에 용해시킨 개시제 용액을, 1 ㎏/시간의 속도로 추가 첨가함으로써 중합을 실시하고, 8시간 후에 반응기를 50℃까지 냉각하였다.
이어서, 1 ㎥의 반응기에 500 L의 메탄올을 부가하고, 상기 중합 용액을 5시간에 걸쳐 주입하여, 폴리머를 석출시켰다. 그 후, 2시간 교반을 더욱 실시하고, 감압 여과를 행하였다. 감압 여과 후의 메탄올 함유 중합 분체에 300 L의 메탄올을 더욱 주입하여, 재교반하였다. 그 후, 감압 여과를 실시하고, 메탄올 함유 분체를 채취, 0.3 ㎥의 코니칼 진공 건조기로 감압도 0.03 ㎫, 온도 80℃의 조건에서 건조를 실시하였다. 건조 후의 분체를, 250℃ 조건의 이축 압출기로 펠레타이징을 실시하여, 펠릿형의 (메타)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를 얻었다.
다음에, 상기 펠릿형의 (메타)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를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260℃에서 용융 혼련하고, 설정 온도 255℃의 T형 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경면 냉각 롤로 표면 전사시켜 미연신 필름으로 하였다. 더욱 용융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이 미연신 필름을 축차 연신(MD 연신 배율: 1.8배, TD 연신 배율: 2.5배)하여, 두께 40 ㎛의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상기 용융 압출 성형에 있어서, 수지의 압출 개시로부터 100시간 경과하였을 때의 T형 다이 부근의 증산물을 육안으로 확인한 바, 증산물의 축적은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얻어진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증산물이 부착·혼입하고 있을 우려는 없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얻어진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260∼320 ㎚의 파장 영역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320 ㎚에 있어서 84.2%였다. 얻어진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190∼380 ㎚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도 7에 나타낸다.
(3) 편광판의 제작
상기 (1) 및 (2)에서 제작한 제1 및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4)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의 260∼380 ㎚의 파장 영역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1.0%였다. 또한, 얻어진 편광판을 가위로 재단하여 보아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편광 필름으로부터 박리하는 문제점은 생기지 않고, 양면의 접착제층이 충분히 경화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제1 및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으로서, 모두 실시예 2의 (1)에서 제작한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4)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의 260∼380 ㎚의 파장 영역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0.1%였다. 얻어진 편광판은, 접착제층의 경화가 불충분하여, 가위로 편광판을 재단하였을 때,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편광 필름으로부터 박리하는 문제점이 생겼다.
<비교예 2>
(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제작
교반 장치, 온도 센서, 냉각관,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30 L 반응부에, 8000 g의 메타크릴산메틸(MMA), 2000 g의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MHMA), 10000 g의 톨루엔을 주입하고, 이것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105℃까지 승온시켜, 환류한 바, 개시제로서 10.0 g의 터셔리아밀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아토피나요시토미 제조 「루파졸 570」)를 첨가함과 동시에, 20.0 g의 개시제와 100 g의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4시간에 걸쳐 적하하면서, 환류 하(약 105∼110℃)에서 용액 중합을 행하고, 4시간에 걸쳐 더욱 숙성을 행하였다.
얻어진 중합체 용액에, 10 g의 인산스테아릴/인산디스테아릴 혼합물(사카이 카가쿠 제조 「Phoslex A-18」)을 부가하여, 환류 하(약 90∼110℃)에서 5시간, 고리화 축합 반응을 행한 후, 상기 고리화 축합 반응에서 얻어진 중합체 용액을, 배럴 온도 260℃, 회전수 100 rpm, 감압도 13.3∼400 h㎩(10∼300 ㎜Hg), 리어 벤트수 1개, 포어 벤트수 4개의 벤트 타입 스크류 이축 압출기(φ=29.75 ㎜, L/D=30)로, 수지량 환산으로 2.0 ㎏/시간의 처리 속도로 도입하여, 상기 압출기 내에서 고리화 축합 반응과 탈기를 행하여, 압출함으로써, 투명한 락톤 고리 함유 (메타)아크릴계 수지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락톤 고리 함유 (메타)아크릴계 수지 펠릿의 락톤 고리화율은 97.0%, 질량 평균 분자량은 147700,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11.0 g/10분, Tg(유리 전이 온도)는 130℃였다.
압출기에, 위에서 얻어진 락톤 고리 함유 (메타)아크릴계 수지 펠릿을 공급하고, 락톤 고리 함유 (메타)아크릴계 수지 펠릿 100 중량%에 대하여,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자외선 흡수제(TINUVIN 1577) 1 중량%와 가부시키가이샤 ADEKA사 제조의 자외선 흡수제 「아데카스탭 LA 31」 1 중량%를 혼합하고, 단축 압출기로 다이스 온도 250℃로 T 다이로부터 압출하며, 냉각 롤로 수냉하여 인수하여, 두께 12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후, 축차 이축 압출기로, 1.8배의 세로 연신(가열 온도 140℃), 이어서 2.4배의 가로 연신(가열 온도 140℃)을 실시하여, 두께 40 ㎛의 이축 연신 필름인 락톤 고리 함유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상기 용융 압출 성형에 있어서, 수지의 압출 개시로부터 100시간 경과하였을 때의 T형 다이 부근의 증산물을 육안으로 확인한 바, 증산물의 축적이 많이 보였기 때문에,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증산물이 부착·혼입하고 있을 우려가 있었다. 또한,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190∼380 ㎚의 파장 영역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274 ㎚에 있어서 24.3%였다.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190∼380 ㎚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도 5에 나타낸다.
(2) 편광판의 제작
상기 (1)에서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접합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그 코로나 처리면에 두께 100 ㎚의 이접착층을 형성하였다. 이접착층은, 토레·다우코닝·실리콘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실란 커플링제 「APZ-660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프로필알코올을 66.7 중량부 부가함으로써 조제한 용액을, 코로나 처리면에 와이어 바 #5로 도포하여 휘발분을 증발시킴으로써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접착층을 갖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1 및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으로서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4)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의 260∼380 ㎚의 파장 영역에서의 최대 투과율(%)은 1.5%였다.

Claims (9)

  1. 편광자와, 편광자의 한쪽면에 적층되는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과, 편광자의 다른쪽면에 적층되는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며, 또한 190∼380 ㎚의 파장 전역에서의 투과율이 20% 이하이고,
    상기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1 중량% 이하인,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260∼320 ㎚의 파장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20% 이상인, 편광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로 형성되는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편광자에 적층되는, 편광판.
  4. 제1항에 있어서, 260∼380 ㎚의 파장 영역에서의 투과율의 최대값이 3% 이하인, 편광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외면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외면에 적층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7. 액정 셀과, 그 적어도 한쪽면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그 제2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상기 액정 셀측이 되도록 배치되는, 액정 패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셀은, IPS 모드의 액정 셀인, 액정 패널.
KR1020150038129A 2014-03-25 2015-03-19 편광판 및 액정 패널 KR101996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61840 2014-03-25
JPJP-P-2014-061840 2014-03-25
JPJP-P-2014-195122 2014-09-25
JP2014195122 2014-09-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128A Division KR20190014562A (ko) 2019-01-25 2019-01-25 편광판 및 액정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91A true KR20150111291A (ko) 2015-10-05
KR101996836B1 KR101996836B1 (ko) 2019-07-05

Family

ID=5416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129A KR101996836B1 (ko) 2014-03-25 2015-03-19 편광판 및 액정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2016066047A (ko)
KR (1) KR101996836B1 (ko)
CN (1) CN104950370A (ko)
TW (1) TWI6569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969A1 (ko) * 2016-03-18 2017-09-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JP6887222B2 (ja) * 2016-06-21 2021-06-1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セット
JP6934296B2 (ja) * 2016-12-01 2021-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付き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510750B1 (ko) * 2017-04-04 2023-03-1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트 필름 부착 편광판 및 액정 패널
KR101934448B1 (ko) 2017-10-17 2019-01-0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편광판용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109468080A (zh) * 2018-09-03 2019-03-15 昆山倬跃蓝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透明菲林保护膜
CN109585512B (zh) * 2018-12-06 2021-09-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3156696A (zh) * 2021-04-14 2021-07-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797A (ko) * 2005-03-31 2008-01-04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00038413A (ko) * 2007-07-31 2010-04-1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20006081A (ko) * 2006-09-01 2012-01-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40146472A (ko) * 2013-06-17 2014-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7119560A1 (ja) * 2006-03-31 2009-08-2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偏光板,液晶表示装置,および,保護フィルム
JP5484678B2 (ja) * 2007-02-14 2014-05-07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光学素子用成形体
JP4974971B2 (ja) * 2007-06-14 2012-07-11 株式会社日本触媒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樹脂成形品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ならびに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4561936B1 (ja) * 2009-09-04 2010-10-13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偏光板及び偏光板形成用光硬化性接着剤
JPWO2012077317A1 (ja) * 2010-12-10 2014-05-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462615Y1 (ko) * 2011-02-22 2012-09-19 (주)지티씨코퍼레이션 전기저항식 센서의 강관부재 고정구조
JP5536015B2 (ja) * 2011-11-21 2014-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光電変換素子および光電変換素子モジュール
JP6403936B2 (ja) * 2012-08-08 2018-10-10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パネル
JP2014206725A (ja) * 2013-03-19 2014-10-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797A (ko) * 2005-03-31 2008-01-04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20006081A (ko) * 2006-09-01 2012-01-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00038413A (ko) * 2007-07-31 2010-04-1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40146472A (ko) * 2013-06-17 2014-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66047A (ja) 2016-04-28
CN104950370A (zh) 2015-09-30
TWI656971B (zh) 2019-04-21
KR101996836B1 (ko) 2019-07-05
JP2016105175A (ja) 2016-06-09
TW201538323A (zh) 201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836B1 (ko) 편광판 및 액정 패널
KR101653063B1 (ko) 편광판용 보호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KR101668159B1 (ko) (메트)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
KR101630902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용 광학 부재 세트
EP1932879B1 (en)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JP6731913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TW201303440A (zh) 偏光板及液晶顯示裝置
TW201538321A (zh) 偏光板及液晶面板
KR102190057B1 (ko) 공중합체 및 수지 조성물
US10012772B2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EP3219753B1 (en)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KR20170013273A (ko)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KR20180114108A (ko) 투명 수지 적층체
KR102519866B1 (ko)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16006589A1 (ja) 合成樹脂積層体
KR101264833B1 (ko) 보호시트 및 편광판
KR20180088681A (ko) 투명 수지 적층체
JP6368678B2 (ja) 偏光板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90014562A (ko) 편광판 및 액정 패널
JP5937324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利用
JP2012137546A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TW202246064A (zh) 光學膜及偏光板
TW202244141A (zh) 光學膜及偏光板
CN116745122A (zh) 光学膜及偏振板
CN116723938A (zh) 光学膜及偏振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