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946A - 돛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돛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946A
KR20150107946A KR1020140029907A KR20140029907A KR20150107946A KR 20150107946 A KR20150107946 A KR 20150107946A KR 1020140029907 A KR1020140029907 A KR 1020140029907A KR 20140029907 A KR20140029907 A KR 20140029907A KR 20150107946 A KR20150107946 A KR 20150107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fixing
support
coupl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현모
정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컴텍
Priority to KR1020140029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7946A/ko
Priority to PCT/KR2014/002190 priority patent/WO2015137540A1/ko
Publication of KR2015010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15/02Staying of masts or of other 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15/0083Masts for sailing ships or 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63H9/06Types of sail; Constructional features of sail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9Wind propelled vessels comprising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ther than wind propulsion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uch as sails, running rigging, or the like, and other than sailboards or the like or related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돛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지지되는 돛대부를 포함하여, 지지부의 조립성이 개선되고 교체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돛대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OF MAST}
본 발명은 돛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돛대의 조립성이 개선되어 장착성능을 개선하는 돛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가 문화의 확산과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해 해양 스포츠 인구가 증가함으로써 요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요트 계류장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요트는 선체와, 선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크로스바(cross bar)와, 크로스바에 설치되는 마스트(mast)와, 마스트에 안착되는 돛과, 선체에 일단부가 장착되고 돛에 타단부가 장착되어 돛을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마스트와 크로스바가 재조립이 불가능한 압력볼트 및 리벳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크로스바에는 홀가공을 하여 크로스바의 손상을 유발하고, 마스트 교체시 크로스바도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마스트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크로스바를 통해 선체에 전달되므로, 선체의 손상을 유발하고 승선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이종 금속간의 결합에 따른 알루미늄 산화 문제로 인해, 마스트는 알루미늄 재질만을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19998호(2013.11.04 공개, 발명의 명칭 : 요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마스트와 크로스바의 조립성을 개선하는 돛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는: 선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돛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결합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를 커버하고, 상기 하부결합부와 마주보는 상부결합부; 상기 상부결합부에 형성되고, 상기 돛대부가 삽입되는 안착부; 및 상기 하부결합부와 상기 상부결합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상부결합부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돛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는 안착틀; 및 상기 안착틀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돛대부에 형성되는 돛대돌기가 걸려 회전을 제한하는 안착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돛대부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 상기 고정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하부결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상부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부를 감싸는 고정패드; 및 상기 고정패드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부결합부와 상기 상부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는 지지부가 고정부에 탈부착되어, 지지부 손상시 지지부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는 지지부의 하부결합부와 상부결합부가 체결부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고정부에 장착되므로, 지지부 장착과정에서 고정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는 완충부가 지지부와 고정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이종 금속간의 접촉에 따른 산화문제가 해소되어 다양한 재질의 지지부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는 완충부가 돛대부에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고정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가 적용된 요트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가 적용된 요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에서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에서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에서 완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가 적용된 요트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가 적용된 요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1)는 고정부(10)와, 지지부(20)와, 돛대부(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돛대 지지장치(1)는 요트(100)의 선체(110)에 장착된다.
고정부(10)는 선체(11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고정부(10)는 외력에 의한 변형이 억제되면서 돛대부(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고강도 금속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10)는 선체(110)의 상부에 장착되고, 공기 저항을 억제하도록 유선형 형상을 할 수 있다.
지지부(20)는 고정부(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일 예로, 지지부(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고정부(10)를 감싸며, 나사 조임에 의해 고정부(10)에 결합된다. 그리고, 나사 풀림에 의해 고정부(10)에서 분리되고, 고정부(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돛대부(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돛대부(30)는 지지부(20)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부(30)는 돛대(31)와, 돛(32)과, 붐(33)과, 와이어(34)를 포함한다. 돛대(31)는 지지부(20)에 하단부가 삽입된다. 일 예로, 돛대(31)의 하단부에는 지지부(20)와 접촉되더라도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다. 돛(32)은 돛대(31)에 장착되어 풍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돛(32)은 직물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붐(33)은 지지부(20)의 상방에 배치되고, 돛대(31)가 관통되어 돛대(31)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붐(33)의 일단부는 선체(110)에 고정 설치되고, 붐(33)의 타단부는 돛대(31)를 감싼다. 이때, 돛(32)의 하단부는 붐(3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와이어(34)는 일단부가 선체(11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돛대(31) 또는 돛(32)에 결합되어 돛대(31)를 지지한다. 일 예로, 와이어(34)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와이어(34)의 길이 변화에 따라 돛대(31)가 회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에서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에서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는 하부결합부(21)와, 상부결합부(22)와, 안착부(23)와, 체결부(24)를 포함한다.
하부결합부(21)는 고정부(10)의 하부를 커버한다. 일 예로, 하부결합부(21)는 고정부(10)의 하측면을 커버하는 하부커버대(211)와, 하부커버대(211)의 양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대(212)를 포함한다.
상부결합부(22)는 고정부(10)의 상부를 커버하고 하부결합부(21)와 마주본다. 일 예로, 상부결합부(22)는 고정부(10)의 상측면을 커버하는 상부커버대(221)와, 상부커버대(221)의 양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연장대(222)를 포함한다. 상부연장대(222)는 하부연장대(212)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부연장대(222)는 하부연장대(212)와 접촉될 수 있다.
안착부(23)는 상부결합부(22)에 형성된다. 안착부(23)에는 돛대부(30)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23)는 안착틀(231)과 안착스토퍼(232)를 포함한다. 안착틀(231)은 상부결합부(22)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돛대부(30)의 하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측이 개구된 삽입홈부(233)가 형성된다. 일 예로, 안착틀(231)은 상부커버대(221)의 상측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안착스토퍼(232)는 안착틀(231)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돛대부(30)에 형성되는 돛대돌기(35)가 걸려 돛대부(30)의 회전을 제한한다. 일 예로, 돛대(31)의 측방향으로 돛대돌기(35)가 형성되고, 돛대(31)의 회전시 돛대돌기(35)가 안착스토퍼(232)에 걸려 돛대(31)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체결부(24)는 하부결합부(21)와 상부결합부(22)를 체결한다. 일 예로, 체결부(24)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고, 하부연장대(212)와 상부연장대(222)를 관통하여 이들을 결합한다.
따라서, 지지부(20)는 고정부(10)에 탈부착 가능하므로, 지지부(20) 손상 발생시 지지부(20)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 자체가 조립되는 구조를 채택하여, 지지부(20) 조립 과정에서 고정부(10)의 손상을 방지하고, 지지부(20)를 고정부(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에서 완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는 완충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25)는 돛대부(30)와의 접촉에 의해 지지부(20)에 전해지는 충격이 고정부(10)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완충부(25)는 충격 흡수를 위해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지지부(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25)는 고정패드(251)와 결합패드(252)를 포함한다. 고정패드(251)는 고정부(10)와 하부결합부(21)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부(10)와 상부결합부(22) 사이에 배치된다. 일 예로, 고정패드(251)는 고정부(1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하부커버대(211)와 상부커버대(221)에 접촉된다. 결합패드(252)는 고정패드(251)에서 연장되고, 하부결합부(21)와 상부결합부(22) 사이에 배치된다. 일 예로, 고정패드(251)는 하부연장대(212)와 상부연장대(222)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완충부(25)는 한 쌍이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고정부(10)를 감싸도록 상하로 배치된 후 양단부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완충부(25)에 의해 금속성 재질의 고정부(10)와 지지부(20)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제한되므로, 지지부(20)는 산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지지부(20)는 알루미늄 주물 가공에 한정되지 않고, 탄소섬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블록 등을 사용하여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 쌍의 완충부(25)가 고정부(10)를 감싸도록 한 후, 완충부(25)의 양단부를 서로 접합한다. 이때, 고정부(10)와의 접촉부분이 고정패드(251)가 되고, 고정패드(251)에서 연장된 부분, 즉 한 쌍의 완충부(25)가 접합된 부분이 결합패드(252)가 된다.
완충부(25)가 고정부(10)에 장착되면, 하부결합부(21)와 상부결합부(22)가 고정부(10)를 감싸도록 한다. 이때, 하부커버대(211)는 고정부(10)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고정패드(251)에 밀착되고, 상부커버대(221)는 고정부(10)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고정패드(251)와 밀착된다. 그리고, 하부연장대(212)와 상부연장대(222) 사이에는 결합패드(252)가 배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체결부(24)를 통해 하부연장대(212)와 상부연장대(222)를 체결하여 지지부(20) 조립을 완료한다. 지지부(20) 조립이 완료되면, 돛대부(30)를 상부결합부(22)에 형성되는 안착부(23)에 안착시킨다.
한편, 돛대부(30)의 위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체결부(24)의 조임을 해제하여 하부결합부(21)와 상부결합부(22)를 분리한다. 그런 다음, 고정부(10)의 길이방향으로 완충부(25)를 이동시키고, 하부결합부(21)와 상부결합부(22)를 조립한다. 그 외, 지지부(2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체결부(24)의 조임을 해제하여 하부결합부(21)와 상부결합부(22)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1)는 지지부(20)가 고정부(10)에 탈부착되어, 지지부(20) 손상시 지지부(20)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1)는 지지부(20)의 하부결합부(21)와 상부결합부(22)가 체결부(24)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고정부(10)에 장착되므로, 지지부(20) 장착과정에서 고정부(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1)는 완충부(25)가 지지부(20)와 고정부(1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이종 금속간의 접촉에 따른 산화문제가 해소되어 다양한 재질의 지지부(20)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돛대 지지장치(1)는 완충부(25)가 돛대부(30)에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고정부(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고정부 20 : 지지부
21 : 하부결합부 22 : 상부결합부
23 : 안착부 24 : 체결부
30 : 돛대부 31 : 돛대
32 : 돛 33 : 붐
34 : 와이어 100 : 요트
110 : 선체 211 : 하부커버대
212 : 하부연장대 221 : 상부커버대
222 : 상부연장대 231 : 안착틀
232 : 안착스토퍼 233 : 삽입홈부

Claims (5)

  1. 선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돛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돛대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결합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를 커버하고, 상기 하부결합부와 마주보는 상부결합부;
    상기 상부결합부에 형성되고, 상기 돛대부가 삽입되는 안착부; 및
    상기 하부결합부와 상기 상부결합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돛대 지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상부결합부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돛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는 안착틀; 및
    상기 안착틀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돛대부에 형성되는 돛대돌기가 걸려 회전을 제한하는 안착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돛대 지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돛대부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 상기 고정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돛대 지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하부결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상부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부를 감싸는 고정패드; 및
    상기 고정패드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부결합부와 상기 상부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돛대 지지장치.
KR1020140029907A 2014-03-13 2014-03-13 돛대 지지장치 KR20150107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907A KR20150107946A (ko) 2014-03-13 2014-03-13 돛대 지지장치
PCT/KR2014/002190 WO2015137540A1 (ko) 2014-03-13 2014-03-14 돛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907A KR20150107946A (ko) 2014-03-13 2014-03-13 돛대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946A true KR20150107946A (ko) 2015-09-24

Family

ID=5407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907A KR20150107946A (ko) 2014-03-13 2014-03-13 돛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107946A (ko)
WO (1) WO201513754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2498C2 (de) * 1983-06-20 1985-04-11 Peter 4330 Mülheim Kindermann Segelantrieb für ein Fahrrad
GB9206137D0 (en) * 1992-03-20 1992-05-06 Pryde Neil Ltd Sail boom clamp
JP2006111026A (ja) * 2004-10-12 2006-04-27 Fukushima Zosen Tekkosho:Kk 伸縮マスト装置
KR101358228B1 (ko) * 2012-05-31 2014-0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레이더 마스트
KR20140000570A (ko) * 2012-06-25 2014-01-03 (주)그린오션라이프 선박용 접이식 마스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37540A1 (ko)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7396A3 (en) Seat back frame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and seat for vehicle with seat back frame structure field of the invention
KR20170137693A (ko) 강성 충돌이 없는 송전선로 스페이서 클램프 연결 구조
US9457863B2 (en) Motorcycle frame structure
ATE530379T1 (de) Sitzkissenrahmenstruktur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mit der sitzkissenrahmenstruktur
KR20140105718A (ko) 시트백용 프레임 구조체
EP2430321B1 (fr) Dispositif pour fixer une premiere piece sur une deuxieme piece qui est elle-meme fixee sur une troisieme piece, assemblage de trois pieces en particulier d'un vehicule automobile
KR20150107946A (ko) 돛대 지지장치
US20120200128A1 (en) Safety Seat with Incorporated Mechanical Damping Element and Suspended on a Textile Support Frame
WO2010100473A9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lamping arrangements
DE602006004205D1 (de) Sitzstruktur, insbesondere für fahrrad, mit anpassbarem stossdämpfungselement zwischen der schale und der gabel
WO2018139383A1 (ja) 車両用シートフレームの構造
JP5613362B2 (ja) 建設装備部品の振動低減装置
CA2673630A1 (en) Mid-span winch with a reel-enclosing support frame
KR200433235Y1 (ko)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
JP4381412B2 (ja) 結合デバイス
KR102055454B1 (ko) 로봇모터용 보호커버 구조
CA2818278C (en) Motor vehicle seat
WO2009014713A4 (en) Gripping apparatus for a fork of a fork lift
CN110645163A (zh) 减小压缩机振动幅度的减振组件、压缩机及空调
JP2007176251A (ja) ダンプトラックのボディマウント装置
KR100534909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 장착 구조
CN108891532B (zh) 船用导缆钳
KR102586550B1 (ko) 선박프로펠러보호장치
CN106585880B (zh) 一种方便操作型弃锚器
KR101324592B1 (ko) 윈드라스의 머드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