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235Y1 -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 - Google Patents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235Y1
KR200433235Y1 KR2020060024455U KR20060024455U KR200433235Y1 KR 200433235 Y1 KR200433235 Y1 KR 200433235Y1 KR 2020060024455 U KR2020060024455 U KR 2020060024455U KR 20060024455 U KR20060024455 U KR 20060024455U KR 200433235 Y1 KR200433235 Y1 KR 200433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spacer
spacer damper
clamp
clev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기
Original Assignee
세명전기공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전기공업 (주) filed Critical 세명전기공업 (주)
Priority to KR2020060024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2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2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02G7/125Damping spacer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송전선의 진동 및 변위시에 전선에 미치는 응력감소를 위해 능동적 방안으로 전선을 클램핑하는 AL클램프 아암과 본체 프레임사이에 관절부를 형성하고, 관절부에는 작동에 따른 AL클램프의 마모를 방지하는 마모방지부재를 부착하여 장기간 안전하게 전선을 보호할 수 있는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체 프레임(1) 사방으로 적어도 2∼4개 이상의 송전선을 클램핑하는 AL클램프 아암(2,2')이 형성된 송전선로 보호용 스페이서 댐퍼로서 , 본체 프레임(1)과 각 송전선을 클램핑하는 AL클램프 아암(2,2') 사이에 송전선로 방향으로 변위운동하는 전선의 응력 감소를 위해 관절부(4)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스페이서 댐퍼,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 송전선로 보호장치, 송전선로의 보호, 송전선

Description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Spacer damer for a power bundled transmission lin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중 도 1의 A-A'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중 도 1의 B-B'부 단면도
도 4a, 4b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중 마모방지부재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본체 프레임
2,2': AL클램프 아암(Aluminum Clamp Arm) 22: 클레비스(Clevis)
3,3': 연결바아 32: 아이링크
4: 관절부
5: 완충재 6: 마모방지부재
본 고안은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송전선의 진동 및 변위시에 전선에 미치는 응력감소를 위해 능동적 방안으로 전선을 클램핑하는 AL클램프 아암(알루미늄 클램프 아암, 이하 AL 클램프 아암이라 함.)과 본체 프레임 사이에 관절부를 형성하고, 관절부에는 AL클램프 아암의 마모를 방지하는 마모방지부재를 부착하여 장기간 안전하게 전선을 보호할 수 있는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는 대량 전력수송용으로 다도체 송전선로를 가설함에 따라 전선간격유지 및 전선손상에 의한 단선사고로부터 송전선을 보호하고, 풍압, 전자력 등에 의한 송전선의 진동을 완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선로에 설치되어 오고 있다.
이하에 기존 스페이서 댐퍼에 대한 종래기술과 그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대부분의 스페이서 댐퍼는 송전선을 클림핑하는 클램핑 장치(잠금장치, 파지장치)에 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46176호, 동공보 제2000-0009931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9438호, 동공보 제20-0269696호 등)
본체 프레임과 클램프 아암 간의 연결부에 탄성재 또는 합성고무 등의 완충재를 설치하여 진동에 대한 댐핑(Damping)기능을 부여한 것이 실용신안공고공보 제1982-0002309호, 공개특허 제1999-0049130호 등에 알려져 있고,
참고로, 스페이서 댐퍼에 사용되는 합성고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도 공개특허 제10-2001-0081505호에 알려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송전선로를 파지하는 클램핑장치와 본체 프레임과 클램프 아암간의 완충재에 대한 기술에 중점적으로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나 실제 송전선의 손상에 의한 단선보호에 만족할 만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여 각종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선로방향으로의 각 전선간의 불균형 장력에 의한 이동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이 미흡하며 전선에 많은 응력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인접한 병행도체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스페이서(spacer)에 전후운동되는 관절부를 형성한 예가 있으나 이는 댐핑(Damping)기능과 강성기능을 만족시키는 스페이서 댐퍼(Spacer Damper)와는 달리 댐핑진동완화에 대한 기능을 고려하지 않은 스페이서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었던 것으로서 각 전선간의 불균형 장력에 의한 이동에 대해서는 대처할 수 있는 것이었으나, 댐핑기능 등이 무시 됨으로써 진동완화 등의 기능과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에서는 송전선로의 진동 및 변위에 의해서 발생되는 단선사고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안정적으로 송전선로를 장기간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스페이서 댐퍼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
송전선을 클램핑하는 AL클램프 아암이 본체 프레임과 결합되는 부위에 완충재를 사용하여 미풍 진동 등을 감소시킴은 물론 AL클램프 아암과 본체 프레임 사이에 관절부를 형성시켜 선로방향의 진동 및 변위시에 전선에 미치는 응력에 능동적으로 대응토록 함과 아울러 관절부에 AL클램프 마모방지기능을 부가시켜 관절작동에 따른 마모를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킴으로써 더욱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전선을 보호할 수 있는 스페이서 댐퍼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수개의 송전선이 클램핑되는 AL클램프 아암을 본체 프레임에 완충상태로 연결하여 댐핑(Damping)기능과 강성을 만족시키는 다도체 스페이서 댐퍼(Spacer Damper)에 있어서, AL클램프 아암을 연결바아로서 본체 프레임과 연결하여 선로방향으로 각 전선간 불균형 장력에 의한 이동폭을 확대시켜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관절부를 형성하고, AL클램프 아암과 연결바아에 형성되는 관절부에는 마모방지부재를 개재시켜 구성한 것 등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중 도 1의 A-A'부 단 면도, 도 3은 본 고안중 도 1의 B-B'부 단면도, 도 4a, 4b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확대도이다.
본체 프레임(1) 사방으로 적어도 2∼4개 이상의 송전선을 클램핑하는 AL클램프 아암(2,2')을 형성하되, AL클램프 아암(2,2')은 일단이 본체 프레임(1)에 완충결합된 연결바아(3,3')의 일단과 연결되어 송전선의 선로방향으로 각운동되는 관절부(4)를 이루도록 결합된다.
연결바아(3,3')의 완충연결부(31)는 본체 프레임(1)의 사방 완충부(11,11')내에 고무 등의 탄력성 재질로 된 완충재(5)와 함께 결합되어 완충재(5)의 탄력성으로 완충력을 제공하는 바,
연결바아(3,3')의 완충연결부(31)는 본체 프레임(1)의 완충부(11,11')내측으로 완충재(5)가 개재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캡(12,12')이 체결볼트(13)와 너트(14)로서 체결되어 완충부(11,11')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본체 프레임(1)에 결합된 연결바아(3,3')의 다른 일단은 송전선을 클램핑하는 AL클램프 아암(2,2')과 연결되어 송전선의 선로방향으로 전후운동되는 관절부(4)가 형성된다.
AL클램프 아암(2,2')은 일단에 클레비스(22)가 형성되어 연결바아(3,3') 일단의 아이링크(32)과 조인트핀(41) 및 고정너트(42)로 결합되어 관절부(4)가 형성되고 아이링크(32)와 결합되어 관절부(4)를 이루는 클레비스(22)에는 마모방지를 위한 마모방지부재(6)가 결합된다.
마모방지부재(6)는 대략 'ㄷ'형상으로 되고 조인트핀(41)이 결합되는 축공(62) 이 형성되며 연결바아(3,3')의 아이링크(32)가 연결되는 관절부(4)의 클레비스(22)에 결합된다.
AL클램프 아암(2,2')의 클레비스(22)는 도 4와 같이 연결바아(3,3')이 전후운동시 면접촉이 형성되도록 양 내측면이 외향으로 벌어지는 기울기(테이퍼)를 가지는 테이퍼면(23,23')으로 형성되고, 클레비스(22)에 결합되는 연결바아(3,3')의 아이링크(32)의 외면은 클레비스(22)의 테이퍼면(23,23')과는 마주보는 기울기를 가지는 테이퍼면(33,33')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AL클램프 아암(2,2')의 클레비스(22)와 연결바아(3,3')의 아이링크(32)간에 마모방지부재(6)를 개재하는 경우에는 마모방지부재(6)에도 역시 이들에 부합되는 테이퍼면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마모방지부재(6)는 클레비스(22)의 테이퍼면(23,23')에 부합되는 외향 경사지는 테이퍼면(61,61')을 가지는 형상과 규격으로 형성하여 클레비스(22)의 테이퍼면(23,23')에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AL클램프 아암(2,2')과 연결바아(3,3')는 주로 알루미늄 합금주물 및 구상흑연주철품으로 성형하는 경우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마모방지부재(6)는 이질금속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내마모성이 뛰어난 스테인레스강 등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본체 프레임(1)은 도 6과 같이 사각형상으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관절부(4)를 구성하는 AL클램프 아암(2,2')의 클레비스(22)와 연결바아(3,3')의 아이링크(32), 마모방지부재(6)의 형상과 재질 역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1은 클래프 덮개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AL클램프 아암(2,2')과 본체 프레임(1) 사이에 형성된 관절부(4)가 선로방향의 진동 및 변위시에 송전선에 미치는 응력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됨으로써 각 전선간의 불균형 장력에 의한 이동 등에 의한 송전선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관절부(4)에는 마모방지부재(6)를 설치하여 AL클램프 아암의 마모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잇점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AL클램프 아암(2,2')과 본체 프레임(1) 사이에 결합되어 송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운동되는 관절부(4)를 형성하는 연결바아(3,3')의 일단은 본체 프레임(1)에 연결되는 바, 연결바아(3,3')의 완충연결부(31)는 고무 등의 탄력성 재질로 된 완충재(5)가 개재되어 본체 프레임(1)의 사방 완충부(11,11')에 캡(12,12')과 체결볼트(13) 및 너트(14)로서 고정결합되어 각종 진동을 감쇠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연결바아(3,3')은 AL클램프 아암(2,2')의 클레비스(22) 내측으로 연결바아(3,3') 일단의 아이링크(32)가 조인트핀(41)과 고정너트(42)로서 아이들(IDLE) 결합되어 송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운동하도록 관절부(4)를 형성하며, 관절부(4)는 AL클램프 아암(2,2')과 본체 프레임(1) 사이에서 송전선을 클램핑하고 있는 각 클래프 아암(2,2')에 선로방향으로 유동성을 부여함으로써 송전선에 진동 및 변위 등에 대하여 능동적이고 가변적으로 대응하게 된다.
즉, 송전선을 클램핑하고 있는 AL클램프 아암(2,2')은 관절부(4)를 형성하는 연 결바아(3,3')을 통해 본체 프레임(1)에 결합되어 있어 관절부(4)가 송전선의 진동 및 변위에 대하여 그 방향 전후운동하면서 이를 흡수, 완화시키게 되므로 이러한 송전선의 진동 및 변위시에 송전선에 미치는 응력에 능동적이고 가변적으로 대응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송전선로 방향으로 가변되는 유동성을 부여하는 관절부(4)의 작동성은 그 자체로는 물론 본체 프레임(1)에 형성된 완충부(11,11')의 완충작용과 함께 송전선에 미치는 진동, 변위에 대해 복합적이고 전방위적인 댐핑(Damping)작용을 발휘하여 스페이서 댐퍼로서 배가된 전선보호기능을 충족시켜줄 수 있게 된다.
한편, 관절부(4)의 클레비스(22)에 설치된 마모방지부재(6)는 AL클램프 아암의 마모 방지 기능으로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킨다.
연결바아(3,3')의 아이링크(32)가 결합되는 관절부(4) AL클램프 아암(2,2') 의 클레비스(22)에는 마모방지부재(6)가 개재되어 AL클램프 아암(2,2')과 연결바아(3,3')의 상호 마찰에 따른 마모를 최대한 방지하게 된다.
특히, AL클램프 아암(2,2')의 클레비스(22)와 연결바아(3,3')의 아이링크(32)에 서로 대칭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테이퍼면(23,23')(33,33')은 이들 상호간의 유격을 더욱 벌리고 상호면접촉으로 마찰이 최소화됨으로써 AL클램프 아암(2,2')과 연결바아(3,3')의 관절부(4)가 더욱 원활하고 안정된 작동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송전선로상의 제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뿐 만 아니라 특히 선로방향으로 발생되는 전선간 이동에 대하여 완충재(5)와 관절부(4)의 복합작용으로 기존 스페이서 댐퍼에 비하여 유동성을 확대 보완하여 전선응력에 대응함으로써 장기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며, 관절부(4)에는 마모방지부재(6)가 부가되어 마모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내마모성 향상과 함께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켜 작동안정성 확보와 사용수명의 장기화를 꾀할 수 있는 등의 여러 잇점과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본체 프레임(1) 사방으로 적어도 2∼4개 이상의 송전선을 클램핑하는 AL클램프 아암(2,2')이 형성되고 송전선의 댐핑(Damping)기능과 강성을 갖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1)과 송전선을 클램핑하는 AL클램프 아암(2,2') 사이에 송전선로 방향으로 확대운동하는 관절부(4)를 구성하되,
    관절부(4)는, 송전선이 클램핑되는 AL클램프 아암(2,2') 일단의 클레비스(22)와, 완충재(5)가 개재된 본체 프레임(1)의 완충부(11,11')에 결합된 연결바아(3,3') 일단의 아이링크(32)가 조인트핀(41)과 고정너트(42)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Spacer Damper).
  2. 제 1 항에 있어서, 관절부(4)의 AL클램프의 클레비스(22)에는 마모방지를 위한 마모방지부재(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Spacer Damper).
  3. 제 1 항에 있어서, AL클램프 아암(2,2')의 클레비스(22)와 연결바아(3,3')의 아이링크(32)에는 서로 대칭되는 기울기를 갖는 테이퍼면(23,23')(33,3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Spacer Damper).
KR2020060024455U 2006-09-12 2006-09-12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 KR200433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455U KR200433235Y1 (ko) 2006-09-12 2006-09-12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455U KR200433235Y1 (ko) 2006-09-12 2006-09-12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235Y1 true KR200433235Y1 (ko) 2006-12-08

Family

ID=4178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455U KR200433235Y1 (ko) 2006-09-12 2006-09-12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23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340B1 (ko) 2007-06-28 2008-01-15 대원전기 주식회사 가공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를 교체할 수 있게 한스페이서 지그 및 그 스페이서 지그를 이용한 스페이서댐퍼의 교체공법
KR100868742B1 (ko) * 2008-04-25 2008-11-1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전선의 파손을 방지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KR101119672B1 (ko) * 2009-09-18 2012-03-16 한국전기연구원 6도체 볼트리스 스페이서댐퍼
KR102042388B1 (ko) * 2019-08-28 2019-11-07 주식회사 보명이엔지 설치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신주용 송배전케이블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340B1 (ko) 2007-06-28 2008-01-15 대원전기 주식회사 가공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를 교체할 수 있게 한스페이서 지그 및 그 스페이서 지그를 이용한 스페이서댐퍼의 교체공법
KR100868742B1 (ko) * 2008-04-25 2008-11-1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전선의 파손을 방지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KR101119672B1 (ko) * 2009-09-18 2012-03-16 한국전기연구원 6도체 볼트리스 스페이서댐퍼
KR102042388B1 (ko) * 2019-08-28 2019-11-07 주식회사 보명이엔지 설치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신주용 송배전케이블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8902B2 (en) Robot
KR200433235Y1 (ko)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
KR20070026437A (ko) 제네레이터 조립체의 엔진의 열팽창을 허용하는 탑재시스템
JP4527427B2 (ja) ケーブルの振動を減衰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その減衰方法
WO2019054597A1 (ko) 열변위 보상이 가능한 배관 진동제어 스마트 댐퍼
KR101362938B1 (ko) 하이브리드 댐핑 장치
JP5613362B2 (ja) 建設装備部品の振動低減装置
US4480149A (en) Lightweight frame-type elastomer damping spacer
JP5389142B2 (ja) 架線の衝撃荷重緩和装置
JP6534272B2 (ja) 吊架線用制振装置
CN210566009U (zh) 一种建筑机电设备减震连接装置
JP2000136508A (ja) 並列ケーブル用制振装置
JP3746486B2 (ja) 落橋防止方法
JP4188215B2 (ja) ブラケット
KR200339749Y1 (ko) 관 클램프용 패드
CN217733729U (zh) 一种用于骑跨式吊索多模态振动控制的双向tmd减振装置
CN219634926U (zh) 一种抗连续冲击的控制臂
KR20030050610A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CN217633609U (zh) 一种可调节固定衬套
JP4438630B2 (ja) ゴム支承体のサイドブロックにおける低摩擦部材の取付け構造
CN210490403U (zh) 一种铁路通信用线缆防振装置
CN216241973U (zh) 一种采用卡圈固定的汽车刹车传感器结构
JP5394174B2 (ja) 剛体電車線のたわみ低減用補強材取付方法及びその補強材取付装置
JP3755250B2 (ja) クローラ式車両のフレーム構造
JPH08105437A (ja) 振動低減用旋回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