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670A -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 - Google Patents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670A
KR20150107670A KR1020150034776A KR20150034776A KR20150107670A KR 20150107670 A KR20150107670 A KR 20150107670A KR 1020150034776 A KR1020150034776 A KR 1020150034776A KR 20150034776 A KR20150034776 A KR 20150034776A KR 20150107670 A KR20150107670 A KR 20150107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platform
transparent
pane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레타로 히다카
카즈마 요시모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헤비 인더스트리스 트랜스포테이션 이큅먼트 엔지니어링 & 서비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헤비 인더스트리스 트랜스포테이션 이큅먼트 엔지니어링 & 서비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헤비 인더스트리스 트랜스포테이션 이큅먼트 엔지니어링 & 서비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0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E04C2/36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by honeycomb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부(2)는, 2매의 금속판(6a, 6b)과, 2매의 금속판(6a, 6b)간에 끼워진 허니콤재(7)를 가지는 패널 부재(4)와,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판과, 폴리카보네이트판보다 얇고, 폴리카보네이트판에 전체적으로 접착된 투명한 유리판을 가지며, 패널 부재(4)에 형성된 개구부(11) 내에 끼워진 투명 부재(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DOOR OF PLATFORM DOOR DEVICE}
본 발명은, 플랫폼 상에 설치되는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플랫폼 도어 장치는 플랫폼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다. 열차가 플랫폼에 정차하여, 열차의 도어가 열리고 승객이 승강하는 동안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부가 개방되고, 그 이외의 기간에는 도어부가 폐쇄된다. 이것에 의해, 플랫폼으로부터의 승객의 추락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철도역의 플랫폼에는 도어 수나 도어의 위치가 다른 복수 종류의 차량이 정차하는 경우가 있다. 또, 역에 따라서는, TASC(Train Automatic Stop-position Controller) 등의 열차 정지 위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지 않고, 열차의 정지는 운전사에 의해 수동으로 조정되기 때문에, 열차의 정지 위치의 허용 범위가 넓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플랫폼에서 플랫폼 도어 장치를 설치하려고 하면, 플랫폼 도어 장치의 개구가 넓어진다. 그 때문에,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부의 출입 길이도 길어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45840호 공보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부의 출입 길이가 길어지면, 그만큼 도어부의 중량이 증가한다.
또,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부에 개구부를 마련함으로써, 도어부가 닫힌 상태에서도, 승객이나 역무원 등이 플랫폼측으로부터나 차량측으로부터나 도어부 반대측의 발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이나 안심감을 향상시키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도어부의 개구부에 유리판을 끼워넣으면, 합성 수지판에 비하여 흠집이 나기 어려워지나 도어부의 중량이 증가한다.
그리고, 도어부의 중량이 크면, 도어부를 구동하는 모터가 대형화되거나, 운전시의 모터의 소비전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않다. 또한, 도어부의 증량 증가에 따라 도어부와 충돌했을 때의 에너지가 증가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는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는, 2매의 금속제의 제1 판재와, 상기 2매의 제1 판재간에 끼워진 허니콤(honeycomb)재를 가지는 패널 부재와,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제2 판재와, 상기 제2 판재보다 얇고, 상기 제2 판재에 전체적으로 접착된 투명한 유리제의 제3 판재를 가지며, 상기 패널 부재에 형성된 개구부 내에 끼워진 투명 부재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패널 부재가 허니콤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도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투명 부재가 패널 부재에 형성된 개구부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승객이나 역무원 등이 플랫폼측으로부터나 차량측으로부터나 도어의 반대측의 발밑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안전성이나 안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 부재는 합성 수지제의 제2 판재와 유리제의 제3 판재를 가지는 복합 재료이다. 따라서, 투명 부재는, 유리제 판재로만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하여, 경량화를 도모하거나 내충격성이나 내관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투명 부재는, 합성 수지제 판재로만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하여, 굽힘 강성이나 내상성(耐傷性)이 향상된다. 또한, 제2 판재와 제3 판재는 서로 접착되어 양자의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유리제 판재나 합성 수지제 판재 등이 단독으로 설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UV 차단성이나 차음성이 향상된다.
상기 발명에서, 상기 패널 부재는, 상기 허니콤재와 동일면 내에 마련되고, 상기 2매의 제1 판재에 끼워진 보강부를 추가로 가져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강부가 도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보강재에 도어의 지지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 허니콤재에 직접 도어의 지지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안정적으로 도어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플랫폼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어부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플랫폼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어부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어부의 패널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어부의 투명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VI-V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VII-VII선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플랫폼 도어 장치(1)의 도어부(2)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플랫폼 도어 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차(20)가 정차하는 역의 플랫폼(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플랫폼 도어 장치(1)는, 플랫폼(10)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두껍닫이부(3)와, 각 두껍닫이부(3)에 마련되어 두껍닫이부(3)에 대하여 출입하는 도어부(2)를 구비한다.
도어부(2)는, 예를 들면 높이 방향이 1000mm에서 1100mm 정도이며, 편측의 도어부(2)의 출입 길이 방향이 1300mm에서 3000mm 정도이다. 편측의 도어부(2)의 출입 길이 방향이 약 1700mm인 경우, 두껍닫이부(3)로 지지하기 위하여 두껍닫이부(3) 내에 200mm 수용된 상태이면, 도어부(2)는 개구의 편측 1500mm를 커버할 수 있고, 양측의 도어부(2)의 출입 길이가 대칭이면 플랫폼 도어 장치(1)의 개구를 3000mm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도어부(2)는, 도 3,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 부재(4)와 투명 부재(5) 등으로 구성된다.
패널 부재(4)는 장방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板狀) 부재이다. 패널 부재(4)의 1변에는 도어 접촉용 고무 부재(9)가 마련된다. 패널 부재(4)는, 예를 들면 슬라이드 레일을 개재하여 두껍닫이부(3)에 지지된다.
패널 부재(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매의 금속제의 금속판(제1 판재)(6a, 6b)과, 2매의 금속판(6a, 6b)간에 끼워진 허니콤재(7) 등으로 구성된다.
금속판(6a, 6b)은, 예를 들면 두께 2mm에서 3mm 정도이며, 금속판(6a, 6b)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이다.
허니콤재(7)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의 박판으로 형성된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을 조밀하게 배치한 부재이며, 두께 30mm 정도이다. 허니콤재(7)의 양면에 금속판(6a, 6b)이 각각 접착된다. 금속판(6a, 6b)과 허니콤재(7)는, 예를 들면 납(wax)재(17)에 의해 접합된다. 납재(17)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을 함유하며 융점이 낮다.
패널 부재(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허니콤재(7)에 의해 허니콤 구조를 가짐으로써, 봉 형상의 프레임재 및 판재에 의해서만 동등한 강성을 가지는 패널 부재에 비하여, 도어부(2)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패널 부재(4)는,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패널 부재(4)는, 봉 형상의 프레임재(16)를 적절히 배치하여 전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레임재(16)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레임재(16)는, 브레이징이 행하여지는 금속판(6a, 6b) 및 허니콤재(7)와 동일한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이다.
도어부(2)에서 슬라이드 레일이 고정되는 부분은, 패널 부재(4) 내부에 보강부(8)가 마련된다. 보강부(8)는, 허니콤재(7)와 거의 동일면 내에 마련되고, 2매의 금속판(6a, 6b)간에 끼워져 설치된다. 보강부(8)는 허니콤재(7)의 박판보다 두꺼운 두께로 볼트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또, 보강부(8)는, 슬라이드 레일의 고정 부분에 맞추어 복수 지점에 마련되고, 복수의 보강부(8)에 의해 도어부(2)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다.
보강부(8)가 마련됨으로써, 금속판(6a, 6b)과 허니콤재(7)에 슬라이드 레일을 직접 고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안정적으로 도어부(2)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 부재(4)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다. 먼저, 2매의 금속판(6a, 6b)의 사이에 허니콤재(7), 보강부(8), 프레임재(16)를 배치한다. 이때, 납재(17)를 금속판(6a, 6b)과 허니콤재(7)의 사이 등에 도포해 둔다. 그리고, 이들 부재를 열처리로에서 가열함으로써 납재(17)가 녹아, 각 부재가 접합되어 일체화된다. 이 결과, 2매의 금속판(6a, 6b)간에 끼워진 허니콤재(7) 등으로 구성되는 패널 부재(4)가 형성된다.
패널 부재(4)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된다. 도어부(2)의 출입 길이 방향이 1700mm일 때, 개구부(11)는, 예를 들면 높이 방향이 550mm에서 650mm 정도이며, 폭 방향이 700mm에서 800mm 정도이다.
투명 부재(5)는 패널 부재(4)에 형성된 개구부(11)에 끼워진다. 개구부(11)로의 투명 부재(5)의 고정 방법은 통상 이용되는 방법이면 된다. 예를 들면, 개구부(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횡단면 볼록 형상의 봉 부재(12)를 배치하고, 단차부(12a)에 투명 부재(5)를 접착한다.
투명 부재(5)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판(제2 판재)(13)과, 투명한 유리판(제3 판재)(14) 등으로 구성된다.
폴리카보네이트판(13)은, 예를 들면 두께 3mm에서 8mm 정도이다. 폴리카보네이트판(13)은 합성 수지제의 제2 판재의 일례이며, 폴리카보네이트 이외의 합성 수지여도 된다.
유리판(14)은 폴리카보네이트판(13)보다 얇고, 예를 들면 두께 0.1mm에서 0.5mm 정도이다. 유리판(14)은 폴리카보네이트판(13)의 편면 또는 양면 각각에 접착제에 의해 전면적으로 접착된다. 폴리카보네이트판(13)과 유리판(14)의 사이에는 접착층(15)이 형성된다.
패널 부재(4)에 형성된 개구부(11)에 투명 부재(5)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도어부(2)가 닫힌 상태에서, 승객이나 역무원 등이 플랫폼(10)측으로부터나 차량측으로부터 도어부(2)의 반대측의 발밑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안전성이나 안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투명 부재(5)는 폴리카보네이트판(13)과 유리판(14)을 가지는 복합 재료이며,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리와 합성 수지의 양방의 특성을 갖는다.
즉, 투명 부재(5)는, 유리판(14)의 두께가 0.1mm에서 0.5mm 정도이기 때문에, 투명 부재(5)의 총 두께는 폴리카보네이트판(13)에 의존한다. 그리고, 폴리카보네이트의 밀도는 유리에 비하여 1/2 정도이기 때문에, 폴리카보네이트는 유리와 동등한 두께를 가지는 경우 유리의 1/2 정도의 질량으로 할 수 있다. 또, 유리의 영률은 폴리카보네이트에 비하여 27배 정도이기 때문에, 유리는 폴리카보네이트의 1/3 정도의 두께로 폴리카보네이트와 동등한 강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투명 부재(5)는, 유리제 판재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유리판(14)의 보강 효과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제 판재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하여 굽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점 굽힘 시험에 의한 비교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투명 부재(5)가 폴리카보네이트제 판재보다 휨 량이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투명 부재(5)는, 표면에 유리판(14)이 접착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제 판재만을 개구부(11)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내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투명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내상성에 대해서는, 테이버(Taber) 마모 시험에 의한 비교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투명 부재(5)가 폴리카보네이트제 판재보다 우위임을 확인하였다. 즉, 플랫폼 도어 장치(1)의 도어부(2)의 개구부(11)에 투명 부재(5)를 설치할 때, 투명 부재(5)의 표면이 유리판(14)에 의해 덮여있기 때문에, 합성 수지판 단독으로 도어부(2)의 개구부(11)에 마련하는 경우에 비하여 흠집이 나기 어렵다.
투명 부재(5)는, 유리판(14)이 폴리카보네이트판(13)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력이 가해졌을 때에 유리가 비산하지 않고, 유리제 판재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하여, 내충격성이나 내관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충격성이나 내관통성에 대해서는, 낙구(落球) 시험에 의한 비교 시험에 의해, 투명 부재(5)가 유리제 판재보다 우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투명 부재(5)는, 폴리카보네이트판(13)과 유리판(14)이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양자의 사이에 접착층(1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제 판재나 합성 수지제 판재 등이 단독으로 설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UV 차단성이나 차음성이 향상된다. UV 차단성에 대해서는, 실증 시험에 의해 얻어진 주파수 스펙트럼으로부터, 투명 부재(5)가 유리제 판재 단독이나 합성 수지제 판재 단독의 경우에 비하여 UV 성분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차음성에 대해서는, 실증 시험에 의해, 투명 부재(5)가 유리제 판재 단독이나 합성 수지제 판재 단독의 경우에 비하여, 투과 손실이 높고, 특히 고주파수 영역에서 투과 손실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어부(2)가 패널 부재(4)와 투명 부재(5) 등으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플랫폼 도어 장치(1)의 도어부(2)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랫폼 도어 장치(1)의 개구를 넓게 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에, 플랫폼 도어 장치(1)의 도어부(2)의 출입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도어부(2)를 사용하면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부(2)의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어부(2)를 구동하는 모터의 대형화나, 운전시의 모터의 소비 전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어부(2)는, 도어부(2)의 중량 증가에 따른 사람과의 충돌시의 에너지를 완화시킬 수 있다.
1: 플랫폼 도어 장치 2: 도어부
3: 두껍닫이부 4: 패널 부재
5: 투명 부재 6a, 6b: 금속판(제1 판재)
7: 허니콤재 8: 보강부
10: 플랫폼 11: 개구부
13: 폴리카보네이트판(제2 판재) 14: 유리판(제3 판재)
17: 납재

Claims (2)

  1. 2매의 금속제의 제1 판재와, 상기 2매의 제1 판재간에 끼워진 허니콤재를 가지는 패널 부재와,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제2 판재와, 상기 제2 판재보다 얇고, 상기 제2 판재에 전체적으로 접착된 투명한 유리제의 제3 판재를 가지며, 상기 패널 부재에 형성된 개구부 내에 끼워진 투명 부재를 구비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
  2. 제1항에서,
    상기 패널 부재는, 상기 허니콤재와 동일면 내에 마련되고, 상기 2매의 제1 판재간에 끼워진 보강부를 추가로 가지는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
KR1020150034776A 2014-03-14 2015-03-13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 KR201501076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1631A JP2015174527A (ja) 2014-03-14 2014-03-14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のドア
JPJP-P-2014-051631 2014-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670A true KR20150107670A (ko) 2015-09-23

Family

ID=5406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776A KR20150107670A (ko) 2014-03-14 2015-03-13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59971A1 (ko)
JP (1) JP2015174527A (ko)
KR (1) KR20150107670A (ko)
SG (1) SG10201501934WA (ko)
TW (1) TW2015383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3243B2 (ja) * 2015-12-28 2017-09-27 大建工業株式会社 採光用小窓部材
CN106373224A (zh) * 2016-05-12 2017-02-01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用于登船管理的安全门
CN107965250A (zh) * 2017-11-29 2018-04-27 济南燕如峰商贸有限公司 一种金属焊接蜂窝拼接工艺门
CN110397373A (zh) * 2019-07-26 2019-11-01 宁波中车时代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模块化固定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27377B (it) * 1974-04-01 1978-11-20 Ppg Industries Inc Parabrezza laminato per aerei
ES2017630B3 (es) * 1985-12-13 1991-03-01 Johannes Joseph Maria Kompier Unidad basica para la instalacion de una puerta corredera.
US6419298B2 (en) * 1999-09-16 2002-07-16 Transit Care, Inc. Window protector assembly
US8127492B1 (en) * 2005-11-16 2012-03-06 Hellman Sr Robert R Compound barrier mechanism for passageway control
DE202006003857U1 (de) * 2006-03-11 2006-07-13 W. Döllken & Co. GmbH Stützleiste für eine Verbundplatte
JP2007303112A (ja) * 2006-05-10 2007-11-22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鉄道車両用引戸
US7810283B2 (en) * 2007-05-02 2010-10-12 Steven C Rapson Exterior pocket door
US8458957B2 (en) * 2009-03-23 2013-06-11 Glidewell Track, Inc. Sliding pocket door system
JP2012051472A (ja) * 2010-09-01 2012-03-15 Nabtesco Corp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における透光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取り外し方法
JP2013040083A (ja) * 2011-08-18 2013-02-2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及び合わせガラスを備えた防火設備
ITBO20110518A1 (it) * 2011-09-09 2013-03-10 Biesse Spa Pannello di legno o simili e metodo e macchina per la sua realizzazi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59971A1 (en) 2015-09-17
TW201538372A (zh) 2015-10-16
SG10201501934WA (en) 2015-10-29
JP2015174527A (ja) 201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7670A (ko) 플랫폼 도어 장치의 도어
US8500192B2 (en) Whole glass roof for a motor vehicle
CN106891707B (zh) 具有天窗和全景玻璃的车辆
JP5802160B2 (ja) 運転室及び運転室を備えた鉄道車両
US8434805B1 (en) Protective shield for a bus driver
JP6623537B2 (ja) 可動式ホーム柵
KR20190077337A (ko) 내부 돌출부를 갖는 활주되는 적층형 글레이징
KR101263564B1 (ko) Psd 조립체 모듈용 보강프레임
KR100968760B1 (ko) 대형 버스용 사이드 윈도우 및 장착방법
CA2617239A1 (en) Door leaf
CN107548377B (zh) 电梯楼层门门扇
US6976727B2 (en) Supporting structure of a window glass of a vehicle
JP7000480B2 (ja) 自動車
AT503886A3 (de) Seilbahnanlage mit mindestens einem förderseil
JP2012051472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における透光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取り外し方法
CA2834312A1 (en) Glazing for a rail vehicle
JP2021105269A (ja) 車両用開閉装置
JP6628551B2 (ja) 可動式ホーム柵及び可動式ホーム柵の透明部材交換方法
JP2016215829A (ja) ホームドア装置及びホームドア装置の製造方法
KR20160041168A (ko) 보강부재가 구비된 철도차량용 출입문
KR200478585Y1 (ko) 전동차용 도어 조립체
JP5732096B2 (ja) 道路建設機械用運転台
JP2019038388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326692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装置
EP2192005A1 (en) Trim panel for a bus or coach and bus or coach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63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124

Effective date: 2017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