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601A - 전자 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601A
KR20150107601A KR1020150018473A KR20150018473A KR20150107601A KR 20150107601 A KR20150107601 A KR 20150107601A KR 1020150018473 A KR1020150018473 A KR 1020150018473A KR 20150018473 A KR20150018473 A KR 20150018473A KR 20150107601 A KR20150107601 A KR 20150107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mounting portion
cas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851B1 (ko
Inventor
유키 다시마
고오에츠 다카야
야스히로 나카
겐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7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50/443Connections to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를 접속하는 경우와, 전자 코일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의 쌍방에서 공용 가능한 케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를 제공한다.
전자 접촉기(1)는, 접점 기구(21)를 구비한 접점 기구부(20)와, 접점 기구(21)를 구동시키는 전자석 유닛(31)을 구비한 전자석 유닛부(30)를 갖는 전자 접촉기 본체(10)를, 케이스(60) 내에 수용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60)는, 전자석 유닛(31)의 전자 코일(32)에 접속된 탭 단자(33)에 상대 커넥터(C)를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상대 커넥터(C)에 감합하는 커넥터 하우징(80)과, 전자 코일(32)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W)을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단자대 하우징(91)의 쌍방이 장착 가능한 하우징 장착부(7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 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접점 기구를 구비한 접점 기구부 및 접점 기구를 구동시키는 전자석 유닛을 구비한 전자석 유닛부를 갖는 전자 접촉기 본체를, 케이스에 수용한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접촉기로서, 예컨대 도 27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도 27은 종래의 전자 접촉기의 일례의 단면도이다.
도 27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101)는, 접점 기구(111)를 구비한 접점 기구부(110)와, 접점 기구(111)를 구동시키는 전자석 유닛(121)을 구비한 전자석 유닛부(120)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접점 기구(111)는, 각각이 고정 접점을 갖는 복수(예컨대 2개)의 고정 접촉자(112)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제1 위치와 복수의 고정 접점으로부터 멀어지는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가동 접촉자(113)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전자석 유닛(121)은, 가동 접촉자(113)를 구동시키는 것이며, 고정 철심(117)과, 이 고정 철심(117)의 하방에 대향 배치된 가동 철심(118)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 접촉자(113)에는, 가동 접촉자(11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동축(114)이 고정되고, 이 가동축(114)은, 고정 철심(117)의 중앙을 관통하여 그 하단에 있어서 가동 철심(118)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자석 유닛(121)은, 고정 철심(117) 및 가동 철심(118)을 중앙부에 수용하는 코일 홀더(122)를 구비하고, 코일 홀더(122)의 외주에는 전자 코일(123)이 권취 장착되어 있다. 전자 코일(123)의 양단부에는, 코일 단자(12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코일 홀더(122)의 하방에는, 계철(124)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축(114)의 주위로서 가동 철심(118)의 상방에는 가동 철심(118)을 하방으로 편향시켜 가동 접촉자(113)를 제2 위치로 편향시키는 복귀 스프링(11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고정 철심(117)과 가동 접촉자(113) 사이에는 가동 접촉자(113)를 상방으로 편향시키는 접압 스프링(115)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 접촉자(101)에 있어서, 전자석 유닛(121)의 전자 코일(123)이 비여자 상태에 있을 때에는, 고정 철심(117) 및 가동 철심(118)에 전자 흡인력이 생기는 일이 없어, 복귀 스프링(116)에 의해 가동 철심(118)이 하방으로 편향되어 가동 접촉자(113)가 제2 위치에 있고, 접점 기구(111)가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접점 기구(111)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코일 단자(125)에 전압이 인가되어 전자 코일(123)이 여자되면, 고정 철심(117)과 가동 철심(118) 사이에서 흡인력이 발생하여, 가동 철심(118)이 복귀 스프링(116)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흡인된다. 가동 철심(118)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가동축(114)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접압 스프링(115)의 스프링력에 의해, 가동 접촉자(113)가 가동축(114)과 함께 이동하여 복수의 고정 접촉자(112)의 복수의 고정 접점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접점 기구(111)가 폐쇄 상태가 되고, 외부 입력 단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가 고정 접촉자(112), 가동 접촉자(113), 및 고정 접촉자(112)를 통하여 외부 접속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12668호 공보
그런데, 도 27에 나타낸 전자 접촉기(101) 등의 전자 접촉기는,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제어반 등의 피부착부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최근에 있어서는,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를 전자 코일의 양단부에 접속된 코일 단자에 접속하는 요청과,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을 전자 코일의 양단부에 접속된 코일 단자에 접속하는 요청이 있어, 이들 양 요청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도 27에 나타낸 전자 접촉기(101)에 있어서는, 전자 코일(123)의 양 단부에 코일 단자(125)를 접속하고 있으며,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를 코일 단자(125)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전자 접촉기(101)를 수용한 케이스에 상대 커넥터에 감합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형성하고, 코일 단자(125)를 상대 커넥터에 마련된 상대 컨택트에 접촉하는 탭 단자로 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도 27에 나타낸 전자 접촉기(101)에 있어서,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을 코일 단자(125)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전자 접촉기(101)를 수용한 케이스에 단자대의 하우징을 형성하고, 코일 단자(125)를 상대 전선에 접촉하는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로 해 둘 필요가 있다.
즉, 종래의 도 27에 나타낸 전자 접촉기(101) 등의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는,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에 전자 코일에 접속된 탭 단자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커넥터 하우징을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에 전자 코일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단자대의 하우징을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하고, 각각의 경우에 따라 별개의 형상의 케이스를 제작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이, 형상이 상이한 별개의 케이스를 제작하게 되면, 케이스의 제조 비용이 고가로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를 접속하는 경우와,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의 쌍방에서 공용 가능한, 전자 접촉기 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떤 양태에 따른 전자 접촉기는, 접점 기구를 구비한 접점 기구부와, 상기 접점 기구를 구동시키는 전자석 유닛을 구비한 전자석 유닛부를 갖는 전자 접촉기 본체를 케이스 내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접촉기로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를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상기 상대 커넥터에 감합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단자대 하우징의 쌍방이 장착 가능한 하우징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대 전선」이란, 외부 전원에 접속된 전선 자체인 경우와, 외부 전원에 접속된 전선의 선단에 압착 단자가 접속되어 있을 때의 압착 단자인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 전자 접촉기에 따르면, 전자 접촉기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를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상대 커넥터에 감합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단자대 하우징의 쌍방이 장착 가능한 하우징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대 커넥터에 감합하는 커넥터 하우징 및 단자대 하우징의 쌍방을 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어,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를 접속하는 경우와,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의 쌍방에서 공용 가능한, 전자 접촉기 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를 접속하는 경우와,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에서 케이스를 별개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케이스의 제조 비용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전자 접촉기 본체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전자 접촉기 본체의 상방을 덮는 상부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장착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자 접촉기에 따르면, 전자 접촉기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로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하우징 장착부를 하부 케이스에 일체로 마련함으로써, 하우징 장착부를 갖는 하부 케이스를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하우징 장착부를 갖는 케이스의 제조 비용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장착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벽의 외면에 마련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커넥터 장착부와 상기 단자대 하우징에 마련된 단자대 장착부의 쌍방을 수용 가능한 수용홈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방이 개구하도록 상기 하우징 장착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커넥터 장착부 및 상기 단자대 하우징에 마련된 단자대 장착부의 쌍방이, 개구한 상기 수용홈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자 접촉기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의 커넥터 장착부 및 단자대 하우징의 단자대 장착부를 수용홈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하는 것만으로, 커넥터 하우징 및 단자대 하우징을 하우징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 및 단자대 하우징의 하우징 장착부에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의 커넥터 장착부 및 단자대 하우징의 단자대 장착부가 하우징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커넥터 장착부 및 단자대 장착부가 하우징 장착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 수용홈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 및 단자대 하우징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커넥터 장착부를 수용하였을 때에 상기 커넥터 장착부에 마련된 걸림 아암이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자 접촉기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의 하우징 장착부에 대한 상측 방향의 빠짐 방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벽에는, 상기 하우징 장착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외벽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절결된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커넥터 장착부가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커넥터 장착부에 형성된 제1 돌기부가 상기 절결부의 하측 가장자리 상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케이스를 상기 하부 케이스에 부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1 돌기부가 상기 절결부의 하측 가장자리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마련된 빠짐 방지 돌기부 사이에 협지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자 접촉기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의 하우징 장착부에 대한 상하 방향의 빠짐 방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상기 단자대 하우징에 마련된 단자대 장착부가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단자대 장착부에 형성된 제2 돌기부가 상기 절결부의 하측 가장자리 상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를 상기 하부 케이스에 부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2 돌기부가 상기 절결부의 하측 가장자리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마련된 빠짐 방지 돌기부 사이에 협지되어, 상기 단자대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자 접촉기에 따르면, 단자대 하우징의 하우징 장착부에 대한 상하 방향의 빠짐 방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 따르면, 전자 접촉기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를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상대 커넥터에 감합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단자대 하우징의 쌍방이 장착 가능한 하우징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대 커넥터에 감합하는 커넥터 하우징 및 단자대 하우징의 쌍방을 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어,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를 접속하는 경우와,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의 쌍방에서 공용 가능한, 전자 접촉기 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를 접속하는 경우와,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에서 케이스를 별개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케이스의 제조 비용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1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며, 상대 커넥터를 함께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5-5선을 따르는 일부 단면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의 6-6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커넥터 하우징의 배면측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를 분해한 상태로부터 커넥터 하우징을 전자 접촉기 본체에 부착한 상태의 도면.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커넥터 하우징을 전자 접촉기 본체에 부착한 상태로부터 전자 접촉기 본체를 하부 케이스 내에 수용한 상태의 도면.
도 11은 커넥터 하우징을 나타내며, (A)는 정면도이고, (B)는 우측면도.
도 12는 커넥터 하우징을 나타내며, (A)는 배면도이고, (B)는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2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며, 상대 전선을 함께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의 정면도.
도 15는 도 13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의 우측면도.
도 16은 도 13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의 평면도.
도 17은 도 14에 있어서의 17-17선을 따르는 일부 단면도.
도 18은 도 15에 있어서의 18-18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9는 도 13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도 13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단자대 하우징을 구비한 단자대의 배면측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21은 도 19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를 분해한 상태로부터 단자대 하우징을 구비한 단자대를 전자 접촉기 본체에 부착한 상태의 도면.
도 22는 도 21에 나타내는 단자대 하우징을 구비한 단자대를 전자 접촉기 본체에 부착한 상태로부터 전자 접촉기 본체를 하부 케이스 내에 수용한 상태의 도면.
도 23은 단자대를 구성하는 단자대 하우징과 나사를 갖는 단자와 전자 코일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단자대를 구성하는 단자대 하우징과 나사를 갖는 단자와 전자 코일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25는 단자대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며, (C)는 우측면도.
도 26은 단자대를 나타내며, (A)는 배면도이고, (B)는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7은 종래의 전자 접촉기의 일례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형태라고 함)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12의 (A),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1)는, 전자 접촉기 본체(10)(도 7 내지 도 10 참조)와, 이 전자 접촉기 본체(10)를 수용하는 케이스(6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 접촉기 본체(10)는, 내부에 접점 기구(21)(도 5 참조)를 구비한 접점 기구부(20)와, 내부에 접점 기구(21)를 구동시키는 전자석 유닛(31)을 구비한 전자석 유닛부(30)를 가지고 있다. 접점 기구(21)는, 도시하지 않는 한쌍의 고정 접촉자와, 이들 한쌍의 고정 접촉자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가동 접촉자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석 유닛부(30)는, 도 5,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철제의 케이스(30a) 내에 전자석 유닛(31)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전자석 유닛(31)은, 도 5,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코일(32)을 가지며, 접점 기구(21)의 가동 접촉자를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1)의 전자 코일(32)의 양 단부에는, 외부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전선(W)을 통해 접속된 커넥터(C)가 접속되는 금속제의 한쌍의 탭 단자(33)가 접속되어 있다. 각 탭 단자(33)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30a)로부터 외부에 돌출하도록 절연체(33a)를 통해 케이스(30a)에 고정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C)에는, 전선(W)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는 금속제의 암형 컨택트가 마련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C)가 후술하는 커넥터 하우징(80)의 감합 후드부(82)에 감합하면, 상대 커넥터(C)에 마련된 암형 컨택트가 탭 단자(33)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60)는,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접촉기 본체(10)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40)와, 하부 케이스(40)에 부착되어 하부 케이스(40)에 수용된 전자 접촉기 본체(10)의 상측을 덮는 상부 케이스(5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하부 케이스(40)는, 절연성의 합성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며,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벽을 구성하는 전단벽(41)과, 전단벽(41)에 대하여 후방에 배치된 후단벽(42)과, 전단벽(41) 및 후단벽(42)의 우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우측벽(43)과, 전단벽(41) 및 후단벽(42)의 좌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좌측벽(44)과, 이들 전단벽(41), 후단벽(42), 우측벽(43) 및 좌측벽(44)의 바닥부를 연결하는 바닥벽(4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40)의 전단벽(41) 및 후단벽(42)에는, 제어반 등의 피부착부(도시하지 않음)에의 부착부(4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40)의 전단벽(41)의 외면(41a)에는, 도 1 내지 도 5 및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 형상의 하우징 장착부(70)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 하우징 장착부(70)는, 전자석 유닛(31)의 전자 코일(32)에 접속된 탭 단자(33)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C)(도 1 참조)를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상대 커넥터(C)에 감합하는 커넥터 하우징(80)과, 전자 접촉기의 제2 실시형태(도 13 내지 도 26 참조)에서 설명하는, 전자석 유닛(31)의 전자 코일(32)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W)을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단자대 하우징(91)의 쌍방을 장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단자대 하우징(91)의 장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하우징 장착부(70)에 장착되는 커넥터 하우징(80)은, 상대 커넥터(C)가 감합되는 것이며, 도 11의 (A), (B) 및 도 12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판형의 커넥터 장착부(81)와, 커넥터 장착부(81)의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감합 후드부(82)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80)은, 절연성의 합성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커넥터 장착부(81)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 1에 나타내는 한쌍의 탭 단자(33)가 삽입 관통 가능한 2개의 탭용 개구(81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장착부(81)의 상단에는, 커넥터 장착부(81)에 대하여 좌우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토퍼부(81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 장착부(81)의 좌우 폭방향 양 하단부에는, 하단에 걸림 돌기(83a)를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한쌍의 걸림 아암(83)이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장착부(81)의 후방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 12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탭용 개구(81a)를 둘러싸고 커넥터 장착부(81)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1 돌기부(8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1 돌기부(84)는, 2개의 탭용 개구(81a)의 상방에 있어서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돌기부(84a)와, 2개의 개구(81a)의 하방에 있어서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돌기부(84b)와, 제1 돌기부(84a) 및 제2 돌기부(84b)의 좌단부를 연결하는 제3 돌기부(84c)와, 제1 돌기부(84a) 및 제2 돌기부(84b)의 우단부를 연결하는 제4 돌기부(84d)와, 제1 돌기부(84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5 돌기부(84e)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 장착부(70)는, 커넥터 하우징(80)의 커넥터 장착부(81)를 수용 가능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수용홈(7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수용홈(71)은,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하도록 하우징 장착부(7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커넥터 장착부(81)가, 개구한 수용홈(71)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용홈(71)의 좌우 폭방향 양 하단부에는, 도 2, 도 3 및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장착부(81)가 수용되었을 때에, 커넥터 장착부(81)에 형성된 한쌍의 걸림 아암(83)의 걸림 돌기(83a)가 걸리는 한쌍의 걸림부(72)가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부(72)는, 구체적으로는, 걸림 돌기(83a)가 들어가는 걸림용 개구로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 장착부(70)가 마련된 하부 케이스(40)의 전단벽(41)에는,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장착부(70)에 대응하는 부위에, 전단벽(41)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절결된 절결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71)에 커넥터 하우징(80)의 커넥터 장착부(81)가 수용되었을 때에,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장착부(81)에 마련된 제1 돌기부(84)[구체적으로는, 제2 돌기부(84b)]가 절결부(41b)의 하측 가장자리(41c)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50)를 하부 케이스(40)에 부착하면, 제1 돌기부(84)는 절결부(41b)의 하측 가장자리(41c)와 상부 케이스(50)에 마련된 후술하는 빠짐 방지 돌기부(51a) 사이에 협지되어, 커넥터 하우징(80)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하부 케이스(40)에 부착되는 상부 케이스(50)는, 절연성의 합성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며,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벽(51)과, 전단벽(51)에 대하여 후방에 배치된 후단벽(52)과, 전단벽(51) 및 후단벽(52)의 우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우측벽(53)과, 전단벽(51) 및 후단벽(52)의 좌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좌측벽(54)과, 이들 전단벽(51), 후단벽(52), 우측벽(53) 및 좌측벽(54)의 꼭대기부를 연결하는 정상벽(55)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 케이스(50)의 우측벽(53) 및 좌측벽(54)의 각각에는, 하부 케이스(40)의 우측벽(43) 및 좌측벽(44)의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용 개구(47)에 걸리는 복수의 걸림 돌기(5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의 전단벽(51)에는, 상부 케이스(50)를 하부 케이스(40)에 부착하였을 때에, 커넥터 하우징(80)의 제1 돌기부(84)를 절결부(41b)의 하측 가장자리(41c)와의 사이에서 협지하는 빠짐 방지 돌기부(51a)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 접촉기(1)를 조립할 때에는, 우선,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80)에 형성한 2개의 탭용 개구(81a)에 전자 접촉기 본체(10)의 2개의 탭 단자(33)를 삽입 관통시켜, 커넥터 하우징(80)을 전자 접촉기 본체(10)에 부착한다. 이때에, 커넥터 하우징(80)의 감합 후드부(82)가 전방에 위치하며 걸림 아암(83)이 하방이 되도록 커넥터 하우징(80)을 전자 접촉기 본체(10)에 부착한다. 커넥터 하우징(80)을 전자 접촉기 본체(10)에 부착하면, 2개의 탭 단자(33)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80)의 감합 후드부(82) 내에 위치하며, 커넥터 하우징(80)과 2개의 탭 단자(33)로 커넥터를 구성한다.
계속해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접촉기 본체(10)를 하부 케이스(40) 내에 수용한다. 이때에, 커넥터 하우징(80)의 커넥터 장착부(81)를, 하우징 장착부(70)에 마련된 수용홈(71)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한다. 그렇게 하면, 커넥터 장착부(81)에 형성된 한쌍의 걸림 아암(83)의 걸림 돌기(83a)가 하우징 장착부(70)에 형성된 한쌍의 걸림부(72)에 걸린다. 즉, 각 걸림 돌기(83a)가 개구로 형성된 걸림부(72)에 들어간다.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80)의 커넥터 장착부(70)에 대한 상측 방향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또한, 커넥터 장착부(81)가 수용홈(71)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80)의 전후 방향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또한, 수용홈(71)에 커넥터 하우징(80)의 커넥터 장착부(81)가 수용되었을 때에,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장착부(81)에 마련된 제1 돌기부(84)[구체적으로는, 제2 돌기부(84b)]가 절결부(41b)의 하측 가장자리(41c) 상에 배치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80)의 커넥터 장착부(81)를, 하우징 장착부(70)에 마련된 수용홈(71)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하면, 커넥터 하우징(80)의 스토퍼부(81b)가 하우징 장착부(70)의 상면에 접촉하여 커넥터 하우징(80)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후,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50)를 하부 케이스(40)의 상방으로부터 하부 케이스(40)에 부착하여, 전자 접촉기 본체(10)의 상방을 덮는다. 이에 의해, 전자 접촉기(1)의 조립은 종료된다. 이때에, 상부 케이스(50)의 걸림 돌기(56)가 하부 케이스(40)의 걸림용 개구(47)에 걸려, 상부 케이스(50)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 케이스(50)의 빠짐 방지 돌기부(51a)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돌기부(84)의 제5 돌기부(84e)를 압박하여, 절결부(41b)의 하측 가장자리(41c)와의 사이에서 커넥터 하우징(80)의 제1 돌기부(84)를 협지한다.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80)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외부 전원에 접속된 전선(W)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C)를,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시켜, 커넥터 하우징(80)의 감합 후드부(82)에 감합하면, 상대 커넥터(C)에 마련된 암형 컨택트가 탭 단자(33)에 접촉하여, 외부 전원이 전자 코일(32)에 접속되는 것이다.
다음에, 도 13 내지 도 26의 (A),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26의 (A), (B)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2의 (A), (B)에 나타내는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1)는, 도 1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1)와 마찬가지로, 전자 접촉기 본체(10)(도 19 내지 도 22 참조)와, 이 전자 접촉기 본체(10)를 수용하는 케이스(6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 접촉기 본체(10)는, 도 1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1)를 구성하는 전자 접촉기(10)와 구성은 동일하고, 또한, 케이스(60)는, 도 1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1)를 구성하는 케이스(60)와 구성은 동일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전자 접촉기(10)의 전자 코일(32)의 양 단부에는,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탭 단자(33)가 접속되지 않고, 도 13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상대 전선(W)[구체적으로는, 상대 전선(W)의 선단에 접속된 압착 단자(T)]이 접속되는 금속제의 한쌍의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가 접속되어 있다. 각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의 중앙에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나사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전자 코일(32)의 양 단부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전자석 유닛부(30)의 케이스(30a)에 형성된 개구(30b)로부터 도출되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양 단부에 한쌍의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가 접속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1)에 있어서는, 하부 케이스(40)에 마련된 하우징 장착부(70)에, 단자대 하우징(91)이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자대 하우징(91)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 하우징(80)와 상이하며, 상대 커넥터(C)를 감합시키는 것이 아니라, 전자석 유닛(31)의 전자 코일(32)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W)을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단자대 하우징(91)은, 도 25의 (A), (B), (C) 및 도 2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폭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기판부(91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판부(91a)의 후방면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대략 직사각형 판형의 단자대 장착부(91b)가 마련되어 있다. 단자대 장착부(91b)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장착부(70)에 형성된 수용홈(71) 내에, 개구한 수용홈(71)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91a)의 전방면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2쌍의 측벽부(91e)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 쌍의 측벽부(91e) 사이에는, 도 23, 도 25의 (A), (B), (C) 및 도 2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부(91a)를 관통하도록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91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단자대 장착부(91b)의 후방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 23 내지 도 2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돌출하는 제2 돌기부(91d)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3 내지 도 2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돌기부(91d)의 하방에는, 제2 돌기부(91d)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수용홈(71) 내에 들어가는 빠짐 방지 돌기(91f)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코일(32)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는, 도 23 내지 도 2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의 상면이 한쌍의 측벽부(91e) 사이에서 노출되도록 단자대 하우징(91)의 후방으로부터 단자대 하우징(91)의 부착부(91c)에 부착된다. 또한, 단자대 하우징(91)에 부착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에는, 도 23 내지 도 2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의 상방으로부터 나사를 갖는 단자(92)가 나사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나사를 갖는 단자(92)는, 단자판(92a)과, 단자판(92a)에 부착되며,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의 암나사부(34a)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92b)로 이루어져 있다. 단자대 하우징(91)과,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와, 나사를 갖는 단자(92)에 의해 단자대(90)를 구성한다. 그리고,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W)의 선단에 접속된 압착 단자(T)(도 13 참조)는,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와 나사를 갖는 단자(92)의 단자판(92a) 사이에 협지됨으로써,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 13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1)를 조립할 때에는, 우선, 도 23 내지 도 2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코일(32)에 접속된 2개의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를 각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의 상면이 각 한쌍의 측벽부(91e) 사이에서 노출되도록 단자대 하우징(91)의 후방으로부터 단자대 하우징(91)의 부착부(91c)에 부착한다. 계속해서, 나사를 갖는 단자(92)의 수나사(92b)를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의 암나사부(34a)에 나사 결합하여 나사를 갖는 단자(92)를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접촉기 본체(10)에 단자대(90)가 장착된다.
계속해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접촉기 본체(10)를 하부 케이스(40) 내에 수용한다. 이때에, 단자대 하우징(91)의 단자대 장착부(91b)를, 하우징 장착부(70)에 마련된 수용홈(71)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한다. 그렇게 하면, 빠짐 방지 돌기(91f)가 수용홈(71) 내에 들어간다. 이에 의해, 단자대 장착부(91b)가 수용홈(71) 내에 수용되고, 또한 빠짐 방지 돌기(91f)가 수용홈(71) 내에 들어가기 때문에, 단자대 하우징(91)의 전후 방향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또한, 수용홈(71)에 단자대 하우징(91)의 단자대 장착부(91b)가 수용되었을 때에,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대 장착부(91b)에 마련된 제2 돌기부(91d)가 절결부(41b)의 하측 가장자리(41c) 상에 배치된다.
그 후, 도 13 내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50)를 하부 케이스(40)의 상방으로부터 하부 케이스(40)에 부착하여, 전자 접촉기 본체(10)의 상방을 덮는다. 이에 의해, 전자 접촉기(1)의 조립은 종료된다. 이때에, 상부 케이스(50)의 걸림 돌기(56)가 하부 케이스(40)의 걸림용 개구(46)에 걸려, 상부 케이스(50)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 케이스의 빠짐 방지 돌기부(51a)가,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돌기부(91d)를 압박하여, 절결부(41b)의 하측 가장자리(41c)와의 사이에서 단자대 하우징(91)의 제2 돌기부(91d)를 협지한다. 이에 의해, 단자대 하우징(91)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나사를 갖는 단자(92)를 암나사를 갖는 단자(94)로부터 제거하고,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W)의 선단에 접속된 압착 단자(T)를, 도 13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시켜, 단자대(90)의 암나사를 갖는 단자(34) 상에 압착 단자(T)를 배치하며, 나사를 갖는 단자(92)의 수나사(92a)를 암나사를 갖는 단자(34)에 나사 결합 고정한다. 이에 의해, 상대 전선(W)에 마련된 압착 단자(T)는, 암나사를 갖는 단자(34)와 나사를 갖는 단자(92)의 단자판(92b) 사이에 협지되어 단자대(90)에 접속되어, 외부 전원이 전자 코일(32)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접촉기(1)에 따르면, 전자 접촉기(1)를 수용하는 케이스(60)가, 전자석 유닛(31)의 전자 코일(32)에 접속된 탭 단자(33)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C)를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상대 커넥터(C)에 감합하는 커넥터 하우징(80)과, 전자석 유닛(31)의 전자 코일(32)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W)을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단자대 하우징(91)의 쌍방이 장착 가능한 하우징 장착부(7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대 커넥터(C)에 감합하는 커넥터 하우징(80) 및 단자대 하우징(91)의 쌍방을 케이스(60)에 장착할 수 있어, 전자석 유닛(31)의 전자 코일(32)에 접속된 탭 단자(33)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C)를 접속하는 경우와, 전자석 유닛(31)의 전자 코일(32)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W)을 접속하는 경우의 쌍방에서 공용 가능한, 전자 접촉기 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스(60)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자석 유닛(31)의 전자 코일(32)에 접속된 탭 단자(33)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C)를 접속하는 경우와, 전자석 유닛(31)의 전자 코일(32)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34)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W)을 접속하는 경우에서 케이스(60)를 별개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케이스(60)의 제조 비용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자 접촉기(1)에 있어서, 케이스(60)가, 전자 접촉기 본체(10)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40)와, 하부 케이스(40)에 부착되어 하부 케이스(40)에 수용된 전자 접촉기 본체(10)의 상방을 덮는 상부 케이스(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우징 장착부(70)가, 하부 케이스(40)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자 접촉기(1)를 수용하는 케이스(60)를 하부 케이스(40)와 상부 케이스(50)로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케이스(60)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하우징 장착부(70)를 하부 케이스(40)에 일체로 마련함으로써, 하우징 장착부(70)를 갖는 하부 케이스(40)를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하우징 장착부(70)를 갖는 케이스(60)의 제조 비용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자 접촉기(1)에 있어서, 하우징 장착부(70)가, 하부 케이스(40)의 전단벽(41)의 외면(41a)에 마련되며, 커넥터 하우징(80)에 마련된 커넥터 장착부(81)와 단자대 하우징(91)에 마련된 단자대 장착부(91d)의 쌍방을 수용 가능한 수용홈(71)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수용홈(71)은, 상방이 개구하도록 하우징 장착부(7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커넥터 하우징(80)에 마련된 커넥터 장착부(81) 및 단자대 하우징(91)에 마련된 단자대 장착부(91d)의 쌍방이, 개구한 수용홈(71)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수용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80)의 커넥터 장착부(81) 및 단자대 하우징(91)의 단자대 장착부(91d)를 수용홈(71)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하는 것만으로, 커넥터 하우징(80) 및 단자대 하우징(91)을 하우징 장착부(70)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80) 및 단자대 하우징(91)의 하우징 장착부(70)에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80)의 커넥터 장착부(81) 및 단자대 하우징(91)의 단자대 장착부(91d)가 하우징 장착부(70)에 장착되었을 때에, 커넥터 장착부(81) 및 단자대 장착부(91d)가 하우징 장착부(7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 수용홈(71)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80) 및 단자대 하우징(91)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자 접촉기(1)에 있어서, 수용홈(71)에는, 커넥터 하우징(80)에 마련된 커넥터 장착부(81)를 수용하였을 때에 커넥터 장착부(81)에 마련된 걸림 아암(83)이 걸리는 걸림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80)의 하우징 장착부(70)에 대한 상측 방향의 빠짐 방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자 접촉기(1)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40)의 전단벽(41)에는, 하우징 장착부(70)에 대응하는 부위에, 전단벽(41)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절결된 절결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홈(71)에 커넥터 하우징(80)에 마련된 커넥터 장착부(81)가 수용되었을 때에, 커넥터 장착부에 형성된 제1 돌기부(84)가 절결부(41b)의 하측 가장자리(41c) 상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50)를 하부 케이스(40)에 부착하였을 때에, 제1 돌기부(84)는, 절결부(41b)의 하측 가장자리(41c)와 상부 케이스(50)에 마련된 빠짐 방지 돌기부(51a) 사이에 협지되어, 커넥터 하우징(80)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80)의 하우징 장착부(70)에 대한 상하 방향의 빠짐 방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접촉기(1)에 있어서, 수용홈(71)에 단자대 하우징(91)에 마련된 단자대 장착부(91b)가 수용되었을 때에, 단자대 장착부(91b)에 형성된 제2 돌기부(91d)가 절결부(41b)의 하측 가장자리(41c)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50)를 하부 케이스(40)에 부착하였을 때에, 제2 돌기부(91d)는, 절결부(41b)의 하측 가장자리(41c)와 상부 케이스(50)에 마련된 빠짐 방지 돌기부(51a) 사이에 협지되어, 단자대 하우징(91)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단자대 하우징(91)의 하우징 장착부(70)에 대한 상하 방향의 빠짐 방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경, 개량을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스(60)는, 분할 가능하면, 하부 케이스(40) 및 상부 케이스(50)로 구성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 장착부(70)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케이스(60)가 하부 케이스(40) 및 상부 케이스(50)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하부 케이스(40)가 아니라, 상부 케이스(50)에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하우징 장착부(70)는, 하부 케이스(40)의 전단벽(41)의 외면(41a)에 마련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후단벽(42)의 외면, 우측벽(43)의 외면, 좌측벽(44)의 외면에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절결부(41b)는, 하우징 장착부(70)에 대응하는 부위이면, 하부 케이스(40)의 전단벽(41)에 형성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전자 접촉기(1)에 있어서는,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W)의 선단에 접속된 압착 단자(T)를 단자대(90)에 접속하도록 하고 있지만,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W) 자체를 단자대(90)에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1 : 전자 접촉기 10 : 전자 접촉기 본체
20 : 접점 기구부 21 : 접점 기구
30 : 전자석 유닛부 30a : 케이스
31 : 전자석 유닛 32 : 전자 코일
33 : 탭 단자 34 :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
34a : 암나사부 40 : 하부 케이스
41 : 전단벽(외벽) 42 : 후단벽(외벽)
43 : 우측벽(외벽) 44 : 좌측벽(외벽)
45 : 바닥벽(외벽) 46 : 부착부
47 : 걸림용 개구 50 : 상부 케이스
51 : 전단벽 51a : 빠짐 방지 돌기부
52 : 후단벽 53 : 우측벽
54 : 좌측벽 55 : 정상벽
56 : 걸림 돌기 60 : 케이스
70 : 하우징 장착부 71 : 수용홈
72 : 걸림부 80 : 커넥터 하우징
81 : 커넥터 장착부 81a : 탭용 개구
82 : 감합 후드부 83 걸림 아암
83a : 걸림 돌기 84 : 제1 돌기부
84a : 제1 돌기부 84b : 제2 돌기부
84c : 제3 돌기부 84d : 제4 돌기부
84e : 제5 돌기부 90 : 단자대
91 : 단자대 하우징 91a : 기판부
91b : 단자대 장착부 91c : 부착부
91d : 제2 돌기부 91e : 측벽부
91f : 빠짐 방지 돌기 92 : 나사를 갖는 단자
92a : 단자판 92b : 수나사부
C : 상대 커넥터 W : 상대 전선

Claims (7)

  1. 접점 기구를 구비한 접점 기구부와, 상기 접점 기구를 구동시키는 전자석 유닛을 구비한 전자석 유닛부를 갖는 전자 접촉기 본체를 케이스 내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접촉기로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를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상기 상대 커넥터가 감합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전자석 유닛의 전자 코일에 접속된 암나사를 갖는 탭 단자에,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단자대 하우징의 쌍방이 장착 가능한 하우징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자 접촉기 본체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전자 접촉기 본체의 상방을 덮는 상부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장착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장착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벽의 외면에 마련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커넥터 장착부와 상기 단자대 하우징에 마련된 단자대 장착부의 쌍방을 수용 가능한 수용홈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방이 개구하도록 상기 하우징 장착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커넥터 장착부 및 상기 단자대 하우징에 마련된 단자대 장착부의 쌍방이, 개구한 상기 수용홈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커넥터 장착부를 수용하였을 때에 상기 커넥터 장착부에 마련된 걸림 아암이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벽에는, 상기 하우징 장착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외벽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절결된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커넥터 장착부가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커넥터 장착부에 형성된 제1 돌기부가 상기 절결부의 하측 가장자리 상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케이스를 상기 하부 케이스에 부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1 돌기부가 상기 절결부의 하측 가장자리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마련된 빠짐 방지 돌기부 사이에 협지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상기 단자대 하우징에 마련된 단자대 장착부가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단자대 장착부에 형성된 제2 돌기부가 상기 절결부의 하측 가장자리 상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를 상기 하부 케이스에 부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2 돌기부가 상기 절결부의 하측 가장자리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마련된 빠짐 방지 돌기부 사이에 협지되어, 상기 단자대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KR1020150018473A 2014-03-14 2015-02-06 전자 접촉기 KR101665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1827A JP6318730B2 (ja) 2014-03-14 2014-03-14 電磁接触器
JPJP-P-2014-051827 2014-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601A true KR20150107601A (ko) 2015-09-23
KR101665851B1 KR101665851B1 (ko) 2016-10-12

Family

ID=5408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473A KR101665851B1 (ko) 2014-03-14 2015-02-06 전자 접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18730B2 (ko)
KR (1) KR101665851B1 (ko)
CN (1) CN1049164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1289B (zh) * 2016-07-08 2019-12-27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接触器
JP6848924B2 (ja) * 2018-03-30 2021-03-24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JP7451910B2 (ja) * 2019-09-18 2024-03-19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JP7415983B2 (ja) * 2021-03-05 2024-01-1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及び電磁継電器の製造方法
JP2023074800A (ja) * 2021-11-18 2023-05-30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N115498447B (zh) * 2022-09-30 2023-09-15 苏州西门子电器有限公司 接线端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5449A (ja) * 1999-05-06 2000-11-14 Omron Corp 電磁リレー
JP2012212668A (ja) 2011-03-22 2012-11-01 Panasonic Corp 接点装置及び電磁開閉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6066U (ko) * 1988-02-23 1989-08-29
JPH0295179U (ko) * 1989-01-13 1990-07-30
JPH1126097A (ja) * 1997-06-20 1999-01-29 Molex Inc パネル取り付け用ソケット
JP4492210B2 (ja) * 2004-05-19 2010-06-3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および端子カバー
JP5104599B2 (ja) * 2008-06-30 2012-12-19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開閉装置
JP5488233B2 (ja) * 2010-06-11 2014-05-1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スイッチ
JP5521843B2 (ja) * 2010-07-14 2014-06-1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5449A (ja) * 1999-05-06 2000-11-14 Omron Corp 電磁リレー
JP2012212668A (ja) 2011-03-22 2012-11-01 Panasonic Corp 接点装置及び電磁開閉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851B1 (ko) 2016-10-12
CN104916495B (zh) 2017-06-30
JP6318730B2 (ja) 2018-05-09
CN104916495A (zh) 2015-09-16
JP2015176728A (ja) 201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851B1 (ko) 전자 접촉기
US9543707B2 (en) Connector case and shell securement
JP6371368B2 (ja) 直角ヘッダアセンブリ
US11309651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and a terminal having a conductive case, a conductive member in the case and a coil spring biasing the conductive member toward a meeting terminal
CN111771306B (zh) 阴端子
JP5522459B2 (ja) 雌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6352237B2 (ja) 係合構造、電子部品モジュール、および電気接続箱
US20130164996A1 (en) Connector
JP6275683B2 (ja) 基板保持構造、電子部品モジュール、および電気接続箱
US8851938B2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JP2012113833A (ja) 電子部品の接続構造
CN109428293B (zh) 电气接线箱
JP2014207363A (ja)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気接続箱
JP6931223B2 (ja) 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CN111656633A (zh) 电连接箱
CN108140974B (zh) 端子
KR101406247B1 (ko) 전기 접속용 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US20230113196A1 (en) Connector
KR101479078B1 (ko) 커넥터
JP5881891B2 (ja)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気接続箱
JP2015022968A (ja) コネクタ
KR20160073152A (ko) 커넥터
JP2015125855A (ja) 電気コネクタ
JP6241604B2 (ja) 端子金具の係止構造、バルブソケットおよび照明装置
JP2006294513A (ja) 雌型の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