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013A - 스피닝 릴의 베일 지지 기구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베일 지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013A
KR20150104013A KR1020140138867A KR20140138867A KR20150104013A KR 20150104013 A KR20150104013 A KR 20150104013A KR 1020140138867 A KR1020140138867 A KR 1020140138867A KR 20140138867 A KR20140138867 A KR 20140138867A KR 20150104013 A KR20150104013 A KR 20150104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l support
line
support member
bail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윅 후이 찬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ublication of KR20150104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01K89/01081Guiding members on rotor axially rearward of spool
    • A01K89/01082Guiding members shiftable on ro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베일 지지 부재의 요동(搖動)을 부드럽게 행한다.
[해결 수단] 베일 지지 기구(10)는, 제1 베일 지지 부재(2)와, 타격 부재(4)와, 용수철 부재(5)와, 당접면(當接面)(23)을 구비하고 있다. 당접면(23)은, 제1부(24), 제2부(25), 단차부(段差部)(26), 및 접동부(摺動部)(27)를 가진다. 제1부(24)는, 줄 안내 자세 시에 타격 부재(4)가 당접하는 부분이다. 제2부(25)는, 줄 해방 자세 시에 타격 부재(4)가 당접하는 부분이다. 단차부(26)는, 제1부(24)와 제2부(25)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접동부(27)는, 제1부(24)와 정점부(頂點部)(261)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베일 지지 기구{BAIL SUPPORT MECHANISM FOR SPINNING REEL}
본 발명은 스피닝 릴의 베일 지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 릴은, 베일을 지지하기 위한 베일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베일 지지 기구는, 베일 지지 부재, 타격 부재, 및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베일 지지 부재는, 베일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고, 로터 암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취부(取付)되어 있다. 덧붙여, 베일 지지 부재는, 줄 안내 자세와 줄 해방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베일 지지 부재가 줄 안내 자세와 줄 해방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하면, 타격 부재가 베일 지지 부재에 설치된 당접면(當接面) 상(上)을 접동(摺動)한다. 덧붙여, 타격 부재는, 로터 암에 장착되어 있고, 압박 부재에 의하여 당접면을 향하여 압박되어 있다. 당접면은, 타격 부재가 접동하는 경로의 도중에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베일 지지 부재가 줄 안내 자세 또는 줄 해방 자세로 전환될 때, 타격 부재가 돌출부를 넘은 후에 당접면을 타격하여 클릭음이 발생한다. 이 클릭음에 의하여, 사용자는 베일 지지 부재가 줄 안내 자세 또는 줄 해방 자세로 전환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89767호
클릭음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돌출부에, 타격 부재가 걸려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결과, 타격 부재의 접동이 부드럽게 행하여지지 않게 되고, 나아가서는 베일 지지 부재의 요동도 부드럽게 행하여지지 않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베일 지지 부재의 요동을 부드럽게 행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베일 지지 기구는, 스피닝 릴의 베일을, 로터에 대하여 줄 안내 자세와 줄 해방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일 지지 기구이다. 이 베일 지지 기구는, 베일 지지 부재와, 타격 부재와, 압박 부재와, 당접면을 구비하고 있다. 베일 지지 부재는 베일을 지지한다. 또한, 베일 지지 부재는, 로터에 대하여 줄 안내 자세와 줄 해방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타격 부재는, 로터 및 베일 지지 부재 중 어느 일방(一方)에 설치되어 있다. 압박 부재는, 타격 부재를 로터 및 베일 지지 부재 중 어느 타방(他方)을 향하여 압박한다. 당접면은, 로터 및 베일 지지 부재 중 어느 타방에 설치되어 있다. 당접면은, 제1부, 제2부, 단차부(段差部), 및 접동부를 가진다. 제1부는, 줄 안내 자세 시에 타격 부재가 당접하는 부분이다. 제2부는, 줄 해방 자세 시에 타격 부재가 당접하는 부분이다. 단차부는, 제1부와 제2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접동부는, 제1부와 단차부의 정점부(頂點部)와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베일 지지 기구에서는, 접동부가 제1부와 단차부의 정점부와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베일 지지 부재가 줄 안내 자세로부터 줄 해방 자세로 요동하는 동안, 즉, 타격 부재가 제1부로부터 제2부까지 접동하는 동안에, 당접면에는 타격 부재가 걸리는 부분이 없다. 이 결과, 베일 지지 부재의 요동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동부는, 단차부에 접근하는 것에 따라, 로터 및 베일 지지 부재 중 어느 타방에 접근하도록 경사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서서히 압박 부재를 수축시킬 수 있다.
접동부는, 압박 부재의 압박 방향에 있어서, 만곡하여 경사하고 있어도 무방하고, 직선적으로 경사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접동부의 경사각은 2도 이상 5도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정점부는, 요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베일 지지 기구는, 베일 지지 부재를 줄 안내 자세와 상기 줄 해방 자세로 나누어 압박하는 토글(toggle) 기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일 지지 부재의 요동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스피닝 릴의 단면도.
도 3은 제1 로터 암의 단면도.
도 4는 제1 로터 암의 단면도.
도 5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저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변형예 1에 관련되는 단면도.
도 8은 변형예 2에 관련되는 단면도.
도 9는 변형예 3에 관련되는 단면도.
도 10은 변형예 4에 관련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베일 지지 기구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스피닝 릴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스피닝 릴의 단면도이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前)」이란 낚싯줄을 방출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의 왼쪽이 「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피닝 릴(100)은,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한다. 스피닝 릴(100)은, 베일 지지 기구(10), 릴 본체(110), 로터(120), 스풀(130), 및 핸들(14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피닝 릴(100)은, 구동 기구(150), 오실레이팅(oscillating) 기구(160), 피니언 기어(170), 및 스풀축(180)을 더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10)는, 케이스부(111)와, 덮개부(112)를 가지고 있다. 덮개부(112)는 케이스부(111)에 대하여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부(111)는, 전후(前後)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부(113)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113)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10)는, 케이스부(111)와 덮개부(112)에 의하여 획정(劃定)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고, 내부 공간 내에 여러 가지의 기구를 수용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구동 기구(150), 및 오실레이팅 기구(160)가 릴 본체(110) 내에 수용되어 있다.
구동 기구(150)는, 구동축(151), 및 구동 기어(152)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축(151)은, 핸들축(141)과 연결되어 있고, 핸들축(141)과 일체적(一體的)으로 회전한다.
구동 기어(152)는 구동축(151)에 연결되어 있고, 구동축(151)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구동 기어(152)는 페이스 기어이고, 피니언 기어(170)의 기어부(171)와 맞물려 있다. 릴 본체(110)의 측면에 장착된 핸들(14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구동축(151) 및 구동 기어(152)가 회전하고, 피니언 기어(170)도 회전한다.
스풀축(180)은 릴 본체(110)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스풀축(180)은, 릴 본체(110) 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축(180)은, 핸들(14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상세하게는, 핸들(140)의 회전이, 구동 기어(152)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70)를 회전시킨다. 이 피니언 기어(170)의 회전에 수반하여, 오실레이팅 기구(160)가 스풀축(180)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스풀(130)은 낚싯줄이 감기는 부재이다. 스풀(130)은, 스풀축(180)의 선단부(先端部)에 드래그 기구(190)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스풀(130)은, 스풀축(180)과 일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피니언 기어(170)는 릴 본체(110)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피니언 기어(170)는, 릴 본체(110) 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70)는, 스풀축(180)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70)는 통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170)의 내부에서 스풀축(180)이 연장되어 있다. 덧붙여, 피니언 기어(170)는 복수의 베어링 부재를 통하여 릴 본체(110)에 지지되어 있다.
로터(120)는, 스풀(130)에 낚싯줄을 감기 위한 부재이다. 로터(120)는, 피니언 기어(170)의 전부(前部)에 고정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170)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즉, 로터(120)는 피니언 기어(170)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다.
로터(120)는, 로터 본체부(121)와, 제1 및 제2 로터 암(122, 123)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 본체부(121)는 원통상(圓筒狀)이다. 제1 및 제2 로터 암(122, 123)은, 로터 본체부(121)의 외주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로터 암(122)과 제2 로터 암(123)은, 로터 본체부(12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로터 암(122)의 선단부(124)에는, 장착 구멍(125), 및 보스부(126) 등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구멍(125)은, 후술하는 타격 부재(4)가 장착된다. 보스부(126)에는, 후술하는 제1 베일 지지 부재(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일 지지 기구(10)는, 베일(1)을 지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베일 지지 기구(10)는, 제1 베일 지지 부재(2),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제1 베일 지지 부재(2)가 본 발명의 베일 지지 부재에 상당한다. 제2 베일 지지 부재(3)는, 제2 로터 암(123)의 선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1)은,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한 부재이고, 제1 베일 지지 부재(2)와 제2 베일 지지 부재(3)의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도 5는, 제1 베일 지지 부재(2)의 저면도(底面圖)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일 지지 부재(2)는, 선단부(21)와 기단부(基端部)(22)를 가지고 있다. 선단부(21)에는, 후술하는 라인 롤러(6) 등이 취부된다. 기단부(22)는, 제1 로터 암(122)의 선단부(124)에 요동 가능하게 취부되는 부분이다. 또한, 제1 베일 지지 부재(2)는, 당접면(23)을 가지고 있다. 이 당접면(23)은 기단부(2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단부(22)에는, 계합(係合) 구멍(2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 구멍(221)에는, 후술하는 로드(rod)(71)의 제1 단부(端部)(73)가 계합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일 지지 부재(2)는, 제1 로터 암(122)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베일 지지 부재(2)는, 제1 로터 암(122)의 보스부(126)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취부된다. 제1 베일 지지 부재(2)는, 줄 안내 자세(도 3)와 줄 해방 자세(도 4)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일 지지 기구(10)는, 타격 부재(4), 및 용수철 부재(5)를 더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용수철 부재(5)가 본 발명의 압박 부재에 상당한다.
타격 부재(4)의 선단부는 당접면(23)에 당접한다. 상세하게는, 타격 부재(4)는, 용수철 부재(5)에 의하여, 당접면(23)을 향하여 압박되어 있다. 덧붙여, 타격 부재(4)가 압박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한다. 이 타격 부재(4) 및 용수철 부재(5)는, 제1 로터 암(122)의 장착 구멍(125)에 장착되어 있다. 타격 부재(4)는, 장착 구멍(125) 내에 있어서, 당접면(23)과 접근 및 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타격 부재(4)의 선단부는, 매끄러운 만곡면상이고, 구체적으로는 반구면상이다.
제1 베일 지지 부재(2)가 줄 안내 자세로부터 줄 해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요동하는 것에 의하여, 타격 부재(4)의 선단부는 당접면(23) 상을 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격 부재(4)는, 요동 축심(O)을 중심으로 한 원호(圓弧)를 따라, 당접면(23) 상을 접동한다. 덧붙여, 요동 축심(O)이란, 제1 베일 지지 부재(2)가 요동할 때의 요동 중심을 의미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접면(23)은, 제1부(24)와, 제2부(25)와, 단차부(26)와, 접동부(27)를 가지고 있다. 제1부(24)란, 줄 안내 자세 시에 있어서, 즉, 제1 베일 지지 부재(2)가 도 3의 상태에 있어서, 타격 부재(4)가 당접하는 부분이다. 제2부(25)란, 줄 해방 자세 시에 있어서, 즉, 제1 베일 지지 부재(2)가 도 4의 상태에 있어서, 타격 부재(4)가 당접하는 부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부(26)의 정점부(261)는, 제1부(24)와 제2부(25)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단차부(26)의 정점부(261)는, 제1부(24)와 제2부(25)를 연결하고 또한 요동 축심(O)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상(上)에 위치한다. 단차부(26)의 정점부(261)는, 원호 방향, 즉 요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262)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단차부(26)의 정점부(261)는, 압박 방향에 있어서, 당접면(23) 중에서 가장 로터(120)의 근처에 위치한다. 상세하게는, 단차부(26)의 정점부(261)는, 압박 방향에 있어서, 당접면(23) 중에서 가장 제1 로터 암(122)의 근처에 위치한다. 덧붙여, 압박 방향이란, 용수철 부재(5)가 압박하는 방향, 즉, 도 6의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접동부(27)는, 제1부(24)로부터 정점부(261)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접동부(27)는, 도중에 단차부를 가지고 있지 않고, 매끄러운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동부(27)는, 단차부(26)에 접근하는 것에 따라, 압박 방향에 있어서, 로터(120)(제1 로터 암(122))에 접근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동부(27)는, 압박 방향에 있어서, 직선적으로 경사하고 있다. 이 접동부(27)의 경사 각도(θ)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2도 이상 5도 이하 정도로 할 수 있다. 덧붙여, 경사 각도란, 제1 베일 지지 부재(2)의 요동 방향으로 수평인 면과 접동부(27)가 이루는 각도이다. 용수철 부재(5)가 압박하는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하여, 제2부(25), 제1부(24), 정점부(261)의 순으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1 베일 지지 부재(2)가 줄 안내 자세로부터 줄 해방 자세로 요동하면, 타격 부재(4)는, 단차부(26)를 넘은 부근에서 당접면(23)을 타격하여, 클릭음을 울릴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일 지지 기구(10)는, 라인 롤러(6), 및 토글 기구(7)를 더 구비하고 있다. 라인 롤러(6)는, 낚싯줄을 스풀(130)에 안내하기 위한 부재이다. 라인 롤러(6)는, 제1 베일 지지 부재(2)의 선단부(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토글 기구(7)는, 제1 베일 지지 부재(2)를 줄 안내 자세와 줄 해방 자세로 나누어 압박하기 위한 기구이다.
토글 기구(7)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로터 암(122) 내에 배치되어 있다. 토글 기구(7)는 로드(71) 및 코일 용수철(72)을 가지고 있다. 로드(71)의 제1 단부(73)는, 제1 베일 지지 부재(2)에 계지(係止)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71)의 제1 단부(73)는, 제1 베일 지지 부재(2)의 계합 구멍(221)에 계지되도록 제1 베일 지지 부재(2)를 향하여 꺾여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71)는, 중간부에 계지 돌기(74)를 가지고 있다. 이 계지 돌기(74)에는, 와셔(washer)(75)가 장착되어 있다. 이 와셔(75)에, 코일 용수철(72)의 선단부가 당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코일 용수철(72)의 선단부로부터 로드(71)에 힘이 균일하게 전달된다.
코일 용수철(72)은 로드(71)를 압박한다. 코일 용수철(72)은, 안내 시트(76)에 의하여 안내된다. 안내 시트(76)는 벽면부(761)를 가지고 있다. 벽면부(761)는, 코일 용수철(72)의 기단부(721)를 계지하고 또한 코일 용수철(72)의 일 측면을 안내하도록 꺾여 있다. 또한, 벽면부(761)는, 코일 용수철(72)의 측부 및 기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있다.
코일 용수철(72)의 선단부(722)는, 다른 부분보다 권경(卷徑)이 작아져 있다. 이 때문에, 선단부(722) 이외에서 코일 용수철(72)과 로드(71)의 사이에서 큰 간극(間隙)이 생기고, 코일 용수철(72)의 내부에서 로드(71)가 자세를 바꾸어도 코일 용수철(72)이 변형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토글 기구(7)는, 제1 베일 지지 부재(2)를 압박하는 방향이 줄 안내 자세와 줄 해방 자세로 다르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일 지지 부재(2)가 줄 안내 자세에 있을 때, 토글 기구(7)는, 제1 베일 지지 부재(2)를 줄 안내 자세의 방향으로 압박한다. 즉, 토글 기구(7)는, 요동 축심(O)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2)를 도 3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2)는 줄 안내 자세를 보지(保持)한다.
한편,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일 지지 부재(2)가 줄 해방 자세에 있을 때, 토글 기구(7)는, 제1 베일 지지 부재(2)를 줄 해방 자세의 방향으로 압박한다. 즉, 토글 기구(7)는, 요동 축심(O)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2)를 도 3의 시계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2)는 줄 해방 자세를 보지한다.
제1 베일 지지 부재(2)가 줄 안내 자세와 줄 해방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코일 용수철(72)이 가장 수축하는 위치가, 토글 기구(7)의 사점(死點)이다. 구체적으로는, 로드(71)의 제1 단부(73)가 직선(L)과 겹치는 위치가, 토글 기구(7)의 사점이다. 덧붙여, 직선(L)이란, 요동 축심(O)과 코일 용수철(72)의 기단부(721)의 중심 위치를 연결한 직선이다. 토글 기구(7)는, 제1 베일 지지 부재(2)를, 사점을 사이에 두고 줄 안내 자세와 줄 해방 자세로 나누어 압박하고, 줄 안내 자세와 줄 해방 자세의 양방의 자세로 보지할 수 있다.
[특징]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베일 지지 기구(10)는 다음의 특징을 가진다.
베일 지지 기구(10)에서는, 접동부(27)가 제1부(24)와 단차부(26)의 정점부(261)와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베일 지지 부재(2)가 줄 안내 자세로부터 줄 해방 자세로 요동하는 동안, 즉, 타격 부재(4)가 제1부(24)로부터 제2부(25)까지 접동하는 동안에 있어서, 당접면(23)에는 타격 부재(4)가 걸리는 부분이 없다. 이 결과, 제1 베일 지지 부재(2)의 요동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변형예 1
접동부(27)는, 제1부(24)와 정점부(261)의 사이에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으면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경사하고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동부(27)는, 압박 방향에 있어서, 만곡하여 경사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나아가서는, 접동부(27)는, 압박 방향에 있어서 경사하고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압박 방향에 있어서, 제1부(24)와 정점부(261)가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어도 무방하다.
변형예 2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차부(26)는, 압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부(26)는, 압박 방향을 따라 만곡상(彎曲狀)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변형예 3
상기 실시예에서는, 당접면(23)은 제1 베일 지지 부재(2)에 설치되어 있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접면(23)은, 로터(120)에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상세하게는, 당접면(23)은, 제1 로터 암(122)에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타격 부재(4)는 제1 베일 지지 부재(2)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베일 지지 부재(2)에 장착 구멍(1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수철 부재(5)는, 타격 부재(4)를 제1 로터 암(122)을 향하게 하여 압박하고 있다.
변형예 4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차부(26)의 정점부(261)는 평탄부(262)를 가지고 있지만,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부(26)의 정점부(261)는 평탄부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1: 베일
2: 제1 베일 지지 부재
23: 당접면
24: 제1부
25: 제2부
26: 단차부
261: 정점부
27: 접동부
4: 타격 부재
5: 용수철 부재
10: 베일 지지 기구
100: 스피닝 릴
120: 로터

Claims (7)

  1. 스피닝 릴의 베일을, 로터에 대하여 줄 안내 자세와 줄 해방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搖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일 지지 기구이고,
    상기 베일을 지지하고, 상기 로터에 대하여 상기 줄 안내 자세와 상기 줄 해방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일 지지 부재와,
    상기 로터 및 상기 베일 지지 부재 중 어느 일방(一方)에 설치된 타격 부재와,
    상기 타격 부재를 상기 로터 및 상기 베일 지지 부재 중 어느 타방(他方)을 향하여 압박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로터 및 상기 베일 지지 부재 중 어느 타방에 설치된 당접면(當接面)
    을 구비하고
    상기 당접면은,
    상기 줄 안내 자세 시에 상기 타격 부재가 당접하는 제1부와,
    상기 줄 해방 자세 시에 상기 타격 부재가 당접하는 제2부와,
    상기 제1부와 상기 제2부의 사이에 설치된 단차부(段差部)와,
    상기 제1부와 상기 단차부의 정점부(頂點部)와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접동부(摺動部)
    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베일 지지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부는, 상기 단차부에 접근하는 것에 따라, 상기 로터 및 상기 베일 지지 부재 중 어느 타방에 접근하도록 경사하는,
    스피닝 릴의 베일 지지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부는,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 방향에 있어서, 만곡하여 경사하는,
    스피닝 릴의 베일 지지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부는,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 방향에 있어서, 직선적으로 경사하는,
    스피닝 릴의 베일 지지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부의 경사각은 2도 이상 5도 이하인,
    스피닝 릴의 베일 지지 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부는, 상기 요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베일 지지 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 지지 부재를 상기 줄 안내 자세와 상기 줄 해방 자세로 나누어 압박하는 토글(toggle) 기구
    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베일 지지 기구.
KR1020140138867A 2014-03-04 2014-10-15 스피닝 릴의 베일 지지 기구 KR201501040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41508 2014-03-04
JP2014041508A JP2015165784A (ja) 2014-03-04 2014-03-04 ベール支持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013A true KR20150104013A (ko) 2015-09-14

Family

ID=5247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867A KR20150104013A (ko) 2014-03-04 2014-10-15 스피닝 릴의 베일 지지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20266B2 (ko)
EP (1) EP2918168B1 (ko)
JP (1) JP2015165784A (ko)
KR (1) KR20150104013A (ko)
CN (1) CN104886015A (ko)
TW (1) TWI6348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6725B (zh) * 2016-09-14 2022-03-25 徐帮奇 推进式渔具绕线装置
JP7143116B2 (ja) * 2018-05-18 2022-09-2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
JP7212516B2 (ja) * 2018-12-27 2023-01-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WO2020257651A1 (en) 2019-06-21 2020-12-24 Biz Outdoors, Inc. Left handed fishing reel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7488U (ko) * 1976-05-21 1977-11-30
JPS578460Y2 (ko) * 1976-10-15 1982-02-18
US4426045A (en) * 1979-10-18 1984-01-17 Brunswick Corporation Bail trip mechanism for fishing reel
CA1144128A (en) * 1979-10-18 1983-04-05 Richard L. Gifford Bail trip mechanism for fishing reel
US4513926A (en) * 1981-05-05 1985-04-30 Ryobi Ltd. Bail arm control device for a spinning reel
US4923140A (en) * 1988-02-05 1990-05-08 Daiwa Seiko, Inc. Bail reversing apparatus for fishing spinning reels
US5346157A (en) * 1992-03-24 1994-09-13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GB2280581B (en) * 1993-08-04 1996-12-11 Shimano Kk Spinning reel
JP3204492B2 (ja) * 1995-10-16 2001-09-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5820053A (en) * 1995-11-14 1998-10-13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having a mechanism for securing the spool during fishline casting
US6176447B1 (en) * 1996-01-10 2001-01-23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with a spool having front and rear flange portions
JP3325182B2 (ja) * 1996-06-20 2002-09-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526200B2 (ja) * 1997-06-24 2004-05-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機構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KR200196355Y1 (ko) * 1998-05-15 2000-10-02 박보국 낚시용 스피닝리일의 베일아암 반전음 및 록크장치
JP3759573B2 (ja) * 2000-04-25 2006-03-2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TW495343B (en) * 2000-11-13 2002-07-21 Shimano Kk Spinning reel rotor
JP2003189767A (ja) * 2001-12-25 2003-07-0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2003225038A (ja) * 2002-02-04 2003-08-1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SG110185A1 (en) * 2003-09-11 2005-04-28 Shimano Kk Rotor for spinn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20266B2 (en) 2016-04-26
US20150250156A1 (en) 2015-09-10
CN104886015A (zh) 2015-09-09
EP2918168B1 (en) 2018-10-17
EP2918168A3 (en) 2015-09-23
TWI634838B (zh) 2018-09-11
JP2015165784A (ja) 2015-09-24
TW201534214A (zh) 2015-09-16
EP2918168A2 (en)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4013A (ko) 스피닝 릴의 베일 지지 기구
JP5961378B2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装置
KR102329829B1 (ko)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KR102657946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US6978957B2 (en) Spool support structure for a spinning reel
KR20170088741A (ko) 낚시용 스피닝 릴의 로터
US20040206840A1 (en) Sound generatin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US7165736B2 (en) Rear drag operation structure for a spinning reel
GB2562569B (en) Rotor brake mechanism for spinning reel
JP2009142225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6971599B2 (en) Spinning reel rotor braking device
KR20140143080A (ko) 낚시용 스피닝 릴 및 그 로터 제동 장치의 제동 조작 레버
JP704845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618490B2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200906593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5128403A (ja) 釣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US10709122B1 (en) Spinning reel
JP713796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7289055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0331011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505447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H1112774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20230029503A (ko) 스피닝 릴
JP2019103426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00013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