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566A - 크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566A
KR20150101566A KR1020140023022A KR20140023022A KR20150101566A KR 20150101566 A KR20150101566 A KR 20150101566A KR 1020140023022 A KR1020140023022 A KR 1020140023022A KR 20140023022 A KR20140023022 A KR 20140023022A KR 20150101566 A KR20150101566 A KR 20150101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ch
wire
traveling beam
pai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987B1 (ko
Inventor
이한복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3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98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66C11/20Arrangements, e.g. comprising differential gears, enabling simultaneous or selective operation of travelling and hoisting gear; Arrangements using the same rope or cable for both travelling and hoisting, e.g. in Temperley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크레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내부에 작업공간을 갖는 구조물에 지지되는 윈치; 구조물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래블링 빔; 트래블링 빔에 지지되어 트래블링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윈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송대상물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부, 및 트래블링 빔의 이동 속도에 맞춰 와이어가 풀리거나 감기도록 윈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레인 장치{CRANE APPARATUS}
본 발명은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짐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수단으로서 천정 크레인(travelling crane)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크레인 장치들은 엔진룸과 같은 구조물의 천정 부분의 가로 또는 세로 빔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트래블링 빔과 이러한 트래블링 빔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 트롤리(crane trolley) 및 이러한 크레인 트롤리에 고정되어 운반하고자 하는 이송대상물을 권양하는 호이스트(hoist)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크레인 장치들은 비교적 가벼운 물건을 운반하는데 적합하며 예를 들어 30톤을 초과하는 대형 자재를 운반하는 데는 적합하지 못하다.
조선업의 경우, 최근에는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와 같은 해상구조물의 건조시 그 상부에 노출되던 톱사이드 장비(topside process equipments)들이 선체 내로 옮겨지면서 운반해야 하는 자재의 중량이 크게 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크레인 장치들은 이러한 중량물을 운반하는데 적합하지 못하여, 특수 제작한 대형의 크레인 장치를 도입하는 등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55494호(2012.05.31.)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의 고가의 크레인 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크레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작업공간을 갖는 구조물에 지지되는 윈치; 상기 구조물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래블링 빔; 상기 트래블링 빔에 지지되어 상기 트래블링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윈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송대상물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부; 및 상기 트래블링 빔의 이동 속도에 맞춰 상기 와이어가 풀리거나 감기도록 상기 윈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윈치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윈치는 상기 와이어가 풀리거나 감기는 윈치드럼과 상기 윈치드럼에서 풀리거나 감기는 상기 와이어의 진행 각도를 조정하는 한 쌍의 윈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윈치 가이드 롤러와 상기 윈치드럼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어의 진행 각도는 상기 윈치드럼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윈치는 상기 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윈치는 상기 와이어 지지부와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박스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윈치는 상기 구조물을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구조물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지지부는, 상기 트래블링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차; 및 상기 이동대차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도르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지지부는 상기 도르레에서 풀리거나 감기는 상기 와이어의 진행 각도를 조정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도르레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어의 진행 각도는 상기 도드레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박스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트래블링 빔은 상기 구조물을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구조물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 장치는 상기 트래블링 빔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퀴; 및 상기 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적 저가의 장비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로 크레인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고가의 크레인 장치를 대체할 수 있으며 종래의 권상기에 비해 대형의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저가의 장비를 이용하여 크레인 장치를 구성함에 따라 고장이나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도 1의 A-A' 절단선을 기준으로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일부를 도 1의 B-B' 절단선을 기준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이용하여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도 5의 C-C' 절단선을 기준으로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도 1의 A-A' 절단선을 기준으로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1000)는 윈치(100)와 트래블링 빔(200)과 와이어 지지부(300)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1000)는 예를 들어 선박의 갑판이나 엔진룸(미도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러한 엔진룸은 윈치(100)를 지지하는 구조물(10)로도 기능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의 구조물(10)은 예를 들어 내부에 작업공간(즉, 이송대상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공간)을 갖는 박스형 구조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구조물(10)은 선박 내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엔진룸(미도시)일 수 있다.
이외에도,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1000)는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조선소, 기계공장, 광산, 토목 현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크레인 장치(1000)가 조선소나 기계공장에 설치될 경우 구조물(10)은 도크를 형성하는 구조물이거나 공장의 건물일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적 저가의 장비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로 크레인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대형의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해 종래의 고가의 크레인 장치를 설치할 필요 없이 종래의 고가의 장비를 대체할 수 있으며 종래의 권상기에 비해 대형의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저가의 장비를 이용하여 크레인 장치를 구성함에 따라 고장이나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100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윈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10)은 윈치(100)를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선박 내의 엔진룸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예를 들어 건물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이 윈치(100)의 구조물(10)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윈치(100)는 구조물(10)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윈치(100)가 고정된 상태에서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후술할 트래블링 빔(200)과 와이어 지지부(300)가 구조물(10)에 대해 상하좌우(도 1의 화살표 방향 참조)로 이동하면서 윈치(100)의 와이어(110)에 연결된 이송대상물(20)을 원하는 곳으로 운반할 수 있다.
윈치(100)는 와이어(110)를 권취하는 윈치드럼(130)과 이러한 윈치드럼(1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윈치드럼(130)에는 클러치나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어 구동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전하거나 끊을 수도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10)는 그 일단이 윈치드럼(130)에 권취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그 타단은 후술할 와이어 지지부(300)의 도르레(320)에 지지된 상태로 이송대상물(20)과 연결될 수 있다.
트래블링 빔(20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트래블링 빔(200)은 도 1을 기준으로 구조물(10)을 상측에서 바라볼 때 구조물(10)의 가로방향(즉, 도 1에서 볼 때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조물(10)에는 그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1)이 설치될 수 있으며, 트래블링 빔(200)은 그 단부가 지지프레임(11)에 지지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1000)의 일부를 도 1의 B-B' 절단선을 기준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장치(1000)는 트래블링 빔(200)의 단부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11)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퀴(210) 및 이러한 바퀴(21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220)는 바퀴(210)의 축에 연결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구동부(220)가 바퀴(210)의 축에 연결되어 바퀴(210)를 구동시키는 모터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부(220)는 예를 들어 바퀴(210)의 축에 연결되는 체인(미도시)과 이러한 체인을 구동시키는 전동기 또는 내연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트래블링 빔(200)은 도 1을 기준으로 구조물(10)을 상측에서 바라볼 때 구조물(10)의 세로방향(즉, 도 1에서 볼 때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윈치(100)는 도 1의 좌측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도 1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 구조물(10, 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 지지부(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블링 빔(200)에 지지되어 트래블링 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와이어 지지부(300)은, 일단은 윈치(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송대상물(20)에 연결되는 와이어(110)의 중간 부분을 지지한 상태로 트래블링 빔(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을 기준으로 구조물(10)을 상측에서 바라볼 때 구조물(10)의 가로방향(즉, 도 1에서 볼 때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래블링 빔(200)과 이러한 트래블링 빔(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 지지부(300)에 의해, 윈치(100)의 와이어(110)의 단부에 연결된 이송대상물(20)은 구조물(10) 내의 작업공간에서 원하는 곳으로 운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100)가 구조물(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윈치(100)에서 풀리거나 감기는 와이어(110)의 방향이 도 1에서 볼 때 윈치(100)를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지지부(300)은 트래블링 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 이동할 수 있는 이동대차(310) 및 이러한 이동대차(310)에 결합되어 윈치(100)의 와이어(110)를 지지할 수 있는 도르레(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대차(310)는 트래블링 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앞서 설명한 트래블링 빔(200)의 이동 메커니즘과 유사하게 바퀴와 이러한 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르레(320)는 이동대차(310)의 하부에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도르레(320)를 통해 윈치(100)의 와이어(110)를 이동대차(31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트래블링 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차(310)에 의해 와이어(110)의 단부에 연결된 이송대상물(20)이 이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 지지부(300)은 도르레(320)에서 풀리거나 감기는 와이어(110)의 진행 각도를 조정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서의 진행 각도라 함은 도 1에서 볼 때 한 쌍의 가이드 롤러(330)와 도르레(32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110)의 진행방향 각도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 경우 한 쌍의 가이드 롤러(330)와 도르레(32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110)의 진행 각도는 도드레(320)의 축방향에 대해 항상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롤러(330)와 도르레(32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110)의 진행 각도가 도르레(320)의 축방향에 대해 항상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 롤러(330)를 구비함으로써, 고정된 윈치(100)을 중심으로 와이어 지지부(300)의 이동대차(310)가 트래블링 빔(200)을 따라 도 1의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와이어(110)가 한 쌍의 가이드 롤러(330)에 지지되어 축방향에 수직한 진행 각도를 유지할 수 있어 와이어(110)가 진행 중에 도르레(320)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윈치(100)는 윈치(100)에서 풀리거나 감기는 와이어(110)의 진행 각도를 조정하는 한 쌍의 윈치 가이드 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서의 진행 각도라 함은 도 1에서 볼 때 한 쌍의 윈치 가이드 롤러(120)와 윈치(10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110)의 진행방향 각도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 경우 한 쌍의 윈치 가이드 롤러(120)와 윈치(10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110)의 진행 각도는 윈치(100)의 윈치드럼(130)의 축방향에 대해 항상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윈치 가이드 롤러(120)와 윈치(10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110)의 진행 각도가 윈치드럼(130)의 축방향에 대해 항상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쌍의 윈치 가이드 롤러(120)를 구비함으로써, 고정된 윈치(100)을 중심으로 와이어 지지부(300)의 이동대차(310)가 트래블링 빔(200)을 따라 도 1의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와이어(110)가 진행 중에 윈치드럼(1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이송대상물(20)을 이동시킬 때 와이어(110)를 통해 와이어 지지부(300)에 걸리는 하중이 감소되도록 윈치(100)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이송대상물(20)을 이동시킬 때 구조물(10)의 지지프레임(11)을 따라 이동하는 트래블링 빔(200)의 이동 속도에 맞춰 와이어(110)가 윈치(100)에서 풀리거나 감기도록 윈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1000)를 이용하여 이송대상물(20)을 이송하는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상물(20)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트래블링 빔(200)이 예를 들어 도 4의 좌우로 이동할 때, 구체적으로는 도 4의 좌측으로 이동할 때(실선에서 점선으로), 윈치(100)가 와이어(110)를 제때에 감지 못할 경우 그 단부에 연결된 이송대상물(20)이 구조물(10)의 바닥면(30)과 충동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이송대상물(20)의 위치이동에 따른 가속도가 와이어(110)에 작용하여 와이어 지지부(300)에 하중 부하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하중 부하가 와이어(110)를 통해 와이어 지지부(300)에 걸리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트래블링 빔(200)의 이동 속도에 맞춰 와이어(110)가 윈치(100)에서 풀리거나 감기도록 윈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2000)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2000)를 도 5의 C-C' 절단선을 기준으로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1000)와 동일 또는 상응하여 중복되는 부분은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형태를 갖는 윈치(100)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윈치(100)는 구조물(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윈치(100)가 구조물(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도 5을 기준으로 볼 때 트래블링 빔(200)과 와이어 지지부(300)이 구조물(10)에 대해 상하좌우(도 5의 화살표 방향 참조)로 이동하면서 윈치(100)의 와이어(110)에 연결된 이송대상물(20)을 원하는 곳으로 운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는, 와이어 지지부(300)이 트래블링 빔(200)을 따라 이동할 때(도 5의 경우는 상하방향), 윈치(100)도 이러한 와이어 지지부(300)을 따라 옆에서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 지지부(300)과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윈치(100)가 구조물(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윈치드럼(130)과 도르레(32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110)의 진행방향 각도는 도 5를 기준으로 도드레(320)의 회전축(322) 방향에 대해 항상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별도의 가이드 롤러(120, 330)를 구비할 필요 없이도 와이어(110)가 도드레(320)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진행 각도를 유지할 수 있어 와이어(110)가 진행 중에 도르레(320)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윈치(100)는 도 5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와이어 지지부(300)을 따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 5를 기준으로 구조물(10)을 상측에서 바라볼 때 구조물(10)의 세로방향(즉, 도 5에서 볼 때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조물(10)에는 그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4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윈치(100)는 이러한 가이드레일(400)에 지지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윈치(100)가 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메커니즘은 앞서 설명한 트래블링 빔(200)의 이동 메커니즘과 유사하게 바퀴와 이러한 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2000: 크레인 장치
10: 구조물 11: 지지프레임
20: 이송대상물 30: 바닥면
100: 윈치 110: 와이어
120: 윈치 가이드 롤러 130: 윈치드럼
200: 트래블링 빔 210: 바퀴
220: 구동부 300: 와이어 지지부
310: 이동대차 320: 도르레
322: 회전축 330: 가이드 롤러
400: 가이드레일

Claims (10)

  1. 내부에 작업공간을 갖는 구조물에 지지되는 윈치;
    상기 구조물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래블링 빔;
    상기 트래블링 빔에 지지되어 상기 트래블링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윈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송대상물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부; 및
    상기 트래블링 빔의 이동 속도에 맞춰 상기 와이어가 풀리거나 감기도록 상기 윈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크레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상기 와이어가 풀리거나 감기는 윈치드럼과 상기 윈치드럼에서 풀리거나 감기는 상기 와이어의 진행 각도를 조정하는 한 쌍의 윈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윈치 가이드 롤러와 상기 윈치드럼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어의 진행 각도는 상기 윈치드럼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는, 크레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상기 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레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상기 와이어 지지부와 평행하게 이동하는, 크레인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박스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윈치는 상기 구조물을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구조물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부는,
    상기 트래블링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차; 및
    상기 이동대차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도르레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부는 상기 도르레에서 풀리거나 감기는 상기 와이어의 진행 각도를 조정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도르레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어의 진행 각도는 상기 도드레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는, 크레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박스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트래블링 빔은 상기 구조물을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구조물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블링 빔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퀴; 및
    상기 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KR1020140023022A 2014-02-27 2014-02-27 크레인 장치 KR101634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022A KR101634987B1 (ko) 2014-02-27 2014-02-27 크레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022A KR101634987B1 (ko) 2014-02-27 2014-02-27 크레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566A true KR20150101566A (ko) 2015-09-04
KR101634987B1 KR101634987B1 (ko) 2016-07-01

Family

ID=5424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022A KR101634987B1 (ko) 2014-02-27 2014-02-27 크레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9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652U (ko) * 1984-07-31 1986-03-05 김시중 적치물 운반 이송장치
JPH06298490A (ja) * 1993-04-13 1994-10-25 Hazama Gumi Ltd 橋形クレーン
JPH08301580A (ja) * 1995-04-28 1996-11-19 Fujita Corp ウインチのワイヤ乱巻防止装置
KR20120055494A (ko) 2009-08-06 2012-05-31 데막 크레인즈 운트 컴포넌츠 게엠베하 천정 트롤리와 호이스팅 윈치를 가지는 천정 크레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652U (ko) * 1984-07-31 1986-03-05 김시중 적치물 운반 이송장치
JPH06298490A (ja) * 1993-04-13 1994-10-25 Hazama Gumi Ltd 橋形クレーン
JPH08301580A (ja) * 1995-04-28 1996-11-19 Fujita Corp ウインチのワイヤ乱巻防止装置
KR20120055494A (ko) 2009-08-06 2012-05-31 데막 크레인즈 운트 컴포넌츠 게엠베하 천정 트롤리와 호이스팅 윈치를 가지는 천정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987B1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71042B (zh) 移动式起重机
JP2018513818A (ja) 搬送装置
US4358020A (en) Apparatus for aligning trolleys
CN102834342B (zh) 桥式起重机
JP5577275B2 (ja) 床高さ調節機構付きエレベーター
KR101510273B1 (ko) 행거
CN103663168A (zh) 一种风机叶片搬运专用起重机
KR20060133882A (ko) 카고 컨테이너 처리 갠트리 크레인들을 위한 와이어 로프권취 지지 시스템
JP2012121681A (ja) 物品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物品搬送用の移動体
KR20150039941A (ko) 중량물 인양장치
JP2008239262A (ja) クレーン用車輪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天井クレーン
JP5074438B2 (ja) セグメント供給装置
KR101634987B1 (ko) 크레인 장치
KR200424489Y1 (ko) 싱글레일형 크레인 구조
CN104355253A (zh) 一种卷扬钢丝绳的排绳装置及排绳方法
CN204224157U (zh) 一种卷扬钢丝绳的排绳装置
JP4775652B2 (ja) 物品収納設備
CN203781784U (zh) 一种同步四驱运送机
JP2788366B2 (ja) エレベータ
KR101665291B1 (ko) 컨테이너선 혹은 자동차운반선의 투 후크 투 트롤리 타입 기관실 크레인
KR101835052B1 (ko) 붐의 이동이 가능한 해상 크레인
KR20150014187A (ko) 크레인용 트롤리 회전장치
KR101573809B1 (ko) 코너링이 용이한 더블 훅 호이스트
JP2009023811A (ja) 傾動式台車枠搬送装置
CN214934083U (zh) 自动堆叠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