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573A -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573A
KR20150100573A KR1020150026303A KR20150026303A KR20150100573A KR 20150100573 A KR20150100573 A KR 20150100573A KR 1020150026303 A KR1020150026303 A KR 1020150026303A KR 20150026303 A KR20150026303 A KR 20150026303A KR 20150100573 A KR20150100573 A KR 20150100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unication
network
request sig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775B1 (ko
Inventor
스기모토 켄이치
센우 시노부
권도형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L61/20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10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 H04L61/106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across networks, e.g. mapping telephone numbers to data network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Abstract

통신 서버는, 착신 단말의 PSTN(공중 교환 전화망)에서의 전화 번호를 포함한 통화의 리퀘스트 신호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와,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 발신 단말의 발신자 정보를 특정하고 발신 단말에 대해 IP 네트워크에서의 주소를 할당하는 특정부와, 주소 및 리퀘스트 신호를 PSTN과 IP 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갖는 통신 캐리어에 송신하는 캐리어 송신부와, 지정된 단말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서버에 대해 전화 번호 및 발신자 정보를 송신하는 전송 서버 송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Communication server and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VoIP와 PSTN을 통해 통신 단말을 접속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은, 종래의 웹이나 전자 메일로 대표되는 단순한 데이터 전송으로서의 툴로부터, 데이터 전송의 통신 품질과 함께 실시간성도 요구되는 음성 통신 서비스에도 응용되어 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브로드밴드의 보급에 수반하여, 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IP(Internet Protocol) 전화를 포함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가 실용화 되어 오고 있다.
VoIP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사용해, IP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송수신 하는 전송 기술이다. VoIP의 대표적인 예로서 IP 전화를 들 수 있다. IP 전화는, 통신 사업자(통신 캐리어)의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성 통신이다. 여기서, 통신 캐리어는 IP 전화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각자가 전용 구축한 IP 네트워크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2009-272668호 공보에 나타나듯이, IP 전화의 이용자는, IP 전화의 통신 캐리어로부터, IP 전화용 전화 번호(예를 들면, 050 번호 등)의 할당을 받는 것에 의해, IP 전화끼리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공중 교환 전화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사용하는 고정 전화와의 발착신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IP 전화에서는, 각 통신 캐리어의 규격이나 IP 전화의 발착신을 실시하는 단말의 사양에 따라서는,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 발신자의 정보를 올바르게 착신자에게 통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는, 착신자의 통신 단말(착신 단말)이 리퀘스트 신호에 따라 호출되어도, 발신자의 통신 단말(발신 단말)의 발신자 정보가 착신 단말에 통지되지 않는다. 그 결과, 착신 단말이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이나, 호출을 알지 못했던 경우에, 착신자는 누구로부터의 통화 리퀘스트였는지를 알 수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통신 서버는, 착신 단말의 PSTN(공중 교환 전화망)에서의 전화 번호를 포함한 통화의 리퀘스트 신호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와,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 발신 단말의 발신자 정보를 특정하고 발신 단말에 대해서 IP 네트워크에서의 주소를 할당하는 특정부와, 주소 및 리퀘스트 신호를 PSTN과 IP 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갖는 통신 캐리어에 송신하는 캐리어 송신부와, 지정된 단말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서버에 대해 전화 번호 및 발신자 정보를 송신하는 전송 서버 송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발신 단말을 사용하는 유저와 착신 단말을 사용하는 유저가, 소정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가입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판단부가 발신 단말을 사용하는 유저와 착신 단말을 사용하는 유저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 전송 서버 송신부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착신 단말에 발신자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서버 송신부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착신 단말에 발신자 정보를 통지한 것을 발신 단말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가 착신 단말을 사용하는 유저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 전송 서버 송신부는 전화 번호 및 발신자 정보를 전송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가 발신 단말을 사용하는 유저와 착신 단말을 사용하는 유저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착신 단말이 발신 단말로부터의 착신 또는 통신을 거부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 전송 서버 송신부는 전화 번호 및 발신자 정보를 전송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서버는 SMS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전송 서버 송신부는, 리퀘스트 신호에 응한 호출 후에, 전화 번호 및 발신자 정보를 전송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전화 번호 및 발신자 정보가 전송 서버에 송신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 후에, 주소 및 리퀘스트 신호를 캐리어 송신부를 통해 통신 캐리어에 송신하고, 리퀘스트 신호에 응한 호출 전에 발신자 정보를 착신 단말에 통지하는 지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통신 단말은, 착신 단말의 PSTN(공중 교환 전화망)에서의 전화 번호를 포함한 통화의 리퀘스트 신호와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 발신 단말의 발신자 정보의 특정 및 발신 단말에 대한 IP 네트워크에서의 주소의 할당에 이용되는 발신 단말 고유 정보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이며, 리퀘스트 신호는 PSTN과 IP 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갖는 통신 캐리어를 통해 착신 단말에 송신되고, 통신 캐리어는 IP 네트워크에서의 주소 및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하며, 발신자 정보는 전화 번호를 목적지로서 IP 네트워크를 통해 착신 단말에 송신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통신 단말은, 착신 단말의 PSTN(공중 교환 전화망)에서의 전화 번호를 포함한 통화의 리퀘스트 신호를 PSTN을 통해 통신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 발신 단말의 발신자 정보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서 수신된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통신 단말이며, 리퀘스트 신호는 PSTN과 IP 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갖는 통신 캐리어를 통해 통신 서버로부터 송신되고, 통신 캐리어는 발신 단말에 대해서 할당된 IP 네트워크에서의 주소 및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하고, 발신자 정보는 전화 번호를 목적지로서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서버로부터 송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유저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서 발신자 정보를 통지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의 판단부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의 판단부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서 발신자 정보를 통지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서 유저 정보를 통지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과 관련되는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에 대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기재 내용으로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본 실시의 형태로 참조하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하여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이용하는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스템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음성 통신 시스템 100은, 통신 서버 110, 통신 캐리어 120, 전송 서버 130, 발신 단말 140, 및 착신 단말 150이 인터넷 등의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접속되고 있다. 또한, 통신 캐리어 120, 발신 단말 140, 및 착신 단말 150은 PSTN 102를 통해 접속되고 있다. 또한, 통신 서버 110은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 160에 접속되고 있다.
통신 서버 110은, IP 네트워크 101로 음성?영상 등을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의 통신을 실시하기 위해서, 양자간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사이를 연관시키거나 연관의 종료(예를 들면, 통신의 개시나 통신의 절단)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통신 서버 110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서버 110은,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발신 단말 140으로부터 통화의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 캐리어 120 및 PSTN 102를 통해 착신 단말 150에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하고, 발신 단말 140과 착신 단말 150을 통신 캐리어 120을 통해 통화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또한, 통신 서버 110은, 발신 단말 140의 발신자 정보를, 전송 서버 130을 통해 착신 단말 150에 송신한다.
통신 캐리어 120은, IP 네트워크 101이나 PSTN 102 등의 설비를 관리하고,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캐리어 120은, IP 네트워크 101과 PSTN 102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갖고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서, 발신 단말 140 및 착신 단말 150은, IP 네트워크 101 및 PSTN 102를 통해 통화 가능하도록 접속된다. 도 1에서는, IP 네트워크 101 및 PSTN 102를 모두 1개의 통신 캐리어 120이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예시했지만, 이 시스템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IP 네트워크 101과 PSTN 102를 각각 다른 통신 캐리어가 관리하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전송 서버 130은, 지정된 단말에 정보를 전송 한다. 구체적으로, 전송 서버 130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로 대표되는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통신 서버 110으로부터 수신한 발신 단말 140의 발신자 정보를 착신 단말 150에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 하는 서버이다. 전송 서버 130은, 도 1에 나타내듯이, 통신 서버 110과는 별개로 존재할 수 있고, 또한, 통신 서버 110이 전송 서버 130의 기능을 갖고 있을 수 있다.
발신 단말 140 및 착신 단말 150은, 모두 같은 기능을 갖는 통신 단말이지만, 여기에서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설명의 편의상, 통화의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자의 통신 단말을 발신 단말 140이라고 하고,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착신자의 통신 단말을 착신 단말 150이라고 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 140은, 예를 들면 태블릿 PC와 같이, 적어도 IP 네트워크 101과 접속 가능할 수 있고, PSTN 102에 접속되지 않는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유저 정보]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 160은, 발신 단말 140이나 착신 단말 150을 특정하는 각종 유저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 160에 저장되는 유저 정보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도 2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 160에 저장되는 유저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 160은 도 2와 같은 유저 정보 리스트를 갖고 있으며, 유저 ID 501, 닉네임 502, 이름 503, 전화 번호 504, 메일 주소 505, 차단 설정 506 등, 통신 서버 110과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SNS)에 있어서의 발신 단말 140의 유저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유저 ID 501은,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사전 등록된 각각의 통신 기기의 고유 ID이며, 각각의 통신 기기를 식별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또한, 각 유저에 대한 상기의 유저 특정 정보는 서로 연관되어 있다. 여기서, 고유 ID란, 각각의 통신 기기에 할당된 고유의 시리얼 번호이다.
여기서, 닉네임 502는 유저에 의해서 등록된 SNS상의 통칭이며, 유저에 의해서 자유롭게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차단 설정 506은, 착신 단말 150을 사용하는 유저와 발신 단말 140을 사용하는 유저가 상기 SNS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로서, 착신 단말 150이 발신 단말 140으로부터의 착신 또는 통신을 거부하는 경우에 설정 등록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듯이, 유저 「HAN4339」가 차단 설정 506에 「PAN2931」을 설정 등록하고 있는 경우, 유저 「HAN4339」는 유저 「PAN2931」로부터의 착신 또는 통신을 거부한다.
[통신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에 의하면, 통신 서버 110은, 제어부 111, 하드 디스크 112, 및 통신 제어부 113을 포함한다. 제어부 111은, 중앙연산 처리장치(CPU:Central Processing Unit), 레지스터나 메모리 등의 기억장치를 포함한다. 제어부 111은,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에 의해서 실행하고, 발신 단말 140이나 착신 단말 150 등으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따라 연산 처리를 실시한다. 하드 디스크 112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이며, 연산 처리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 111의 기억장치는, 필요에 따라 하드 디스크 112로부터 연산 처리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읽어낸다. 통신 제어부 113은, 통신 서버 110과 IP 네트워크 101에 접속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통신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에 의하면, 통신 단말 200의 본체 내부에는 제어부 210 및 통신 모듈 22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신 단말 200의 일측면 측에는 디스플레이 230, 조작 버튼 240, 스피커 250, 및 마이크 26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230은 터치 센서를 갖고 있을 수 있고, 조작 버튼 240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어부 210은, CPU, 레지스터나 메모리 등의 기억장치를 갖는다. 제어부 210은,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에 의해서 실행하고, 유저가 입력한 명령 신호에 따라 통신 단말 200의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통신 모듈 220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 하는 안테나, 고주파 회로, 및 복조 회로 등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 모듈 220은 제어부 210에 의해서 제어되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 서버 110에 접근한다.
디스플레이 230은,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광학식의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저는 디스플레이의 표시에 따라서 통신 단말 200을 조작해,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 140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제어부 21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 210은, 통신 모듈 220이 착신 단말 150의 PSTN 102에서의 전화 번호를 포함한 통화의 리퀘스트 신호와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 발신 단말 140의 발신자 정보의 특정 및 발신 단말 140에 대한 IP 네트워크 101에서의 주소의 할당에 이용되는 고유 ID(발신 단말 고유 정보)를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송신하도록 통신 모듈 220을 제어한다. 여기서, 리퀘스트 신호는 PSTN 102와 IP 네트워크 101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갖는 통신 캐리어 120을 통해 착신 단말 150에 송신된다. 덧붙여 통신 캐리어 120은 IP 네트워크 101에서의 주소 및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발신자 정보는 착신 단말 150의 전화 번호를 목적지로서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착신 단말 150에 송신된다.
다음으로, 착신 단말 150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제어부 21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 210은, 통신 모듈 220이 착신 단말 150의 PSTN 102에서의 전화 번호를 포함한 통화의 리퀘스트 신호를 PSTN 102를 통해 통신 서버 110으로부터 수신하고,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 발신 단말 140의 발신자 정보를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전송 서버 130으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 모듈 220을 제어한다. 여기서, 리퀘스트 신호는 PSTN 102와 IP 네트워크 101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갖는 통신 캐리어 120을 통해 통신 서버 110으로부터 송신된다. 덧붙여 통신 캐리어 120은 발신 단말 140에 대해서 할당된 IP 네트워크 101에서의 주소 및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발신자 정보는 착신 단말 150의 전화 번호를 목적지로서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전송 서버 130으로부터 송신된다. 제어부 210에 의해서 수신된 발신자 정보는 디스플레이 230에 의해서 표시된다.
[통신 서버의 기능 구성]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 11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서는, 도 1의 통신 서버 110의 각 기능 차단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의하면, 통신 서버 110은, 수신부 301, 특정부 302, 캐리어 송신부 303, 및 전송 서버 송신부 304를 포함한다.
수신부 301은, 착신 단말 150의 전화 번호를 포함한 통화의 리퀘스트 신호를,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발신 단말 140으로부터 수신한다.
특정부 302는,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 발신 단말 140의 발신자 정보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 특정부 302는,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 160 내에서, 예를 들면 발신 단말 140의 고유 ID를 검색한다. 그리고,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 160 내에서, 고유 ID와 일치하는 유저 ID 또는 고유 ID와 연관된 유저 ID가 검지되면,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상기 유저 ID와 연관된 유저의 이름, 등록된 닉네임, 전화 번호, 또는 메일 주소 등을 특정한다.
예를 들면, 발신 단말 140의 고유 ID가 「PAN2931」인 경우, 특정부 302는, 「PAN2931」을 키워드로서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 160 내를 검색한다. 그리고,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 160 내에서, 「PAN2931」과 일치하는 유저 ID가 검지되면, 닉네임 「XXX」, 이름 「사토●●」, 전화 번호 「090-XXXX-XXXX」, 및 메일 주소 「pan_xxx@mail.com」 중에서, 적어도 1개의 정보를 발신 단말 140의 발신자 정보로서 특정한다.
또한, 특정부 302는,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 발신 단말 140에 대해서 IP 네트워크 101에서의 IP 주소를 할당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일례로서 동적 IP 주소를 할당한다.
캐리어 송신부 303은, 발신 단말 140으로부터 송신된 리퀘스트 신호 및 특정부 302에서 할당된 IP 주소를 통신 캐리어 120에 송신한다. 또한, 전송 서버 송신부 304는, 착신 단말 150을 특정하는 정보 및 특정부 302에서 특정된 발신자 정보를 전송 서버 130에 송신한다. 여기서, 착신 단말 150을 특정하는 정보로서 구체적으로, 착신 단말 150의 전화 번호가 전송 서버 130에 송신된다.
여기서, 전송 서버 송신부 304는, 메시지 형식으로 상기의 발신자 정보를 전송 서버 130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전송 서버 130은 SMS 서버이며, 전송 서버 송신부 304는 착신 단말 150의 전화 번호를 목적지로서 SMS 서버에 메시지 형식으로 발신자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서버 110과는 별개의 전송 서버 130이, 발신자 정보를 착신 단말 150에 전송 하는 구성을 예시했다. 그러나,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통신 서버 110이 발신자 정보를 착신 단말 150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음성 통신 시스템 100의 각 차단의 동작에 대해서, 플로우차트를 이용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발신자가 발신 단말 140에 착신 단말 150의 전화 번호를 입력해 발신한다. 이 동작에 의해서, 발신 단말 140은 통신 서버 110에 리퀘스트 신호 발신을 실시한다(단계 S411).
통신 서버 110은, 단계 S411에서 발신된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421). 계속하여, 통신 서버 110은, 발신 단말 140의 고유 ID에 기초하여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 발신 단말 140의 발신자 정보를 특정한다(단계 S422). 여기서, 발신 단말 140의 발신자 정보란, 통신 서버 110와 관련된 SNS에서의 발신 단말 140의 유저 이름, 등록된 닉네임, 그 외에도 전화 번호, 메일 주소 등을 가리킨다. 여기서, 통신 서버 110와 관련된 SNS란, 통신 서버가 관리하는 SNS일 수도 있고, 또한, 통신 서버와 협동하는 SNS 서버가 관리하는 SNS일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서버 110은, 발신 단말 140의 고유 ID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 140의 IP 네트워크 101에서의 IP 주소를 할당한다(단계 S423). 계속하여, 통신 서버 110은, 단계 S421에서 수신한 리퀘스트 신호와 단계 S423에서 할당된 IP 주소를 통신 캐리어 120에 송신한다(단계 S424).
통신 캐리어 120은, 단계 S424에서 송신된 IP 주소를 수신하고(단계 S431), 또한, 단계 S424에서 송신된 리퀘스트 신호를 착신 단말 150에 전송 한다(단계 S432).
착신 단말 150은, 단계 S432에서 전송된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451). 착신 단말 150은,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자의 호출을 실시한다(단계 S452). 착신자에게 통화의 의사가 있으면, 착신자가 단계 S452의 호출에 대해서 착신 허가의 액션을 실행하는 것으로, 착신 단말 150이 응답한다(단계 S453). 단계 S453의 응답에 의해서, 통신 캐리어 120을 통해 발신 단말 140과 착신 단말 150이 접속되어 통화가 개시된다(단계 S433).
또한, 통신 서버 110은, 단계 S424의 리퀘스트 신호·IP 주소 송신 후에, 착신 단말을 특정하는 정보와 단계 S422에서 특정된 발신자 정보를 전송 서버 130에 송신한다(단계 S425). 여기서, 착신 단말 150을 특정하는 정보로서 구체적으로, 착신 단말 150의 전화 번호가 전송 서버 130에 송신된다. 또한, 통신 서버 110은, 전송 서버 130을 통해 착신 단말 150에 발신자 정보를 송신한 것을, 발신 단말 140에 통지할 수 있다.
전송 서버 130은, 단계 S425에서 송신된 착신 단말을 특정하는 정보를 수신하고(단계 S441), 단계 S425에서 송신된 발신자 정보를, 단계 S441에서 수신한 착신 단말을 특정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착신 단말 150에 전송 한다(단계 S442). 여기서, 전송 서버 130은, SMS 서버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단계 S425에서 송신된 발신자 정보를 메시지 형식으로 착신 단말 150에 송신한다.
착신 단말 150은, 단계 S442에서 전송된 발신자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454). 계속하여, 착신 단말 150은, 수신된 발신자 정보를 메시지 형식으로 착신자에게 통지한다(단계 S455).
여기서, 도 6에서는, 단계 S425의 발신자 정보 송신이 단계 S433의 통화 후에 행해지는 플로우를 예시했지만, 이 플로우로 한정되지 않고, 단계 S425의 발신자 정보 송신은 단계 S422의 발신자 정보 특정 후라면 언제라도 괜찮다. 예를 들면, 단계 S433의 통화 전일 수도 있고, 단계 S424의 리퀘스트 신호·IP 주소 송신과 동시 또는 그 이전일 수도 있다. 단계 S425의 발신자 정보 송신이 단계 S424의 리퀘스트 신호·IP 주소 송신보다 먼저 행해졌을 경우, 착신 단말 150에 대하여, 단계 S452의 호출 전에 단계 S455의 발신자 정보 통지를 할 수 있다.
[착신 단말 150에 있어서의 발신자 정보 통지의 예]
여기서, 도 6의 단계 S455의 발신자 정보 통지의 구체적인 표시예에 대해서, 도 7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서 발신자 정보를 통지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발신 단말 140의 전화 번호가 통신 캐리어 120을 통해 착신 단말 150에 통지되지 않고, 착신자가 호출에 응답하지 않았던 경우이다.
도 7에 의하면, 착신 단말 150의 디스플레이 230에는, 부재 착신 통지 511과 발신자 정보 통지 512가 표시된다. 이 발신자 정보 통지 512는, 도 6의 단계 S422에서 특정된 발신 단말 140의 유저 이름 「사토●●」가, 단계 S425, S441, S442, S454, 및 S455에 의해서 착신 단말 150에 표시된 것이다.
종래의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는, 발신 단말 140의 전화 번호가 통신 캐리어 120을 통해 착신 단말 150에 통지되지 않는 경우, 부재 착신 통지 511만이 표시되고 발신자 정보는 표시되지 않았다(일반적으로, 착신 단말에는 「통지 불가능」 등의 표시가 이루어짐). 그러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발신 단말 140의 전화 번호가 통신 캐리어 120을 통해 착신 단말 150에 통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전송 서버를 통해 발신자 정보가 착신 단말 150에 통지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착신 단말에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 발신 단말의 발신자 정보가, 통신 캐리어를 통해 착신 단말에 통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착신 단말에 발신자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이용하는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도 5와 유사하지만, 판단부 305를 포함하는 점에서 도 5와는 다르다. 판단부 305는, 발신 단말 140을 사용하는 유저인 발신자와 착신 단말 150을 사용하는 유저인 착신자가, 통신 서버 110과 관련된 SNS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 305가, 발신자와 착신자가 모두 통신 서버 110과 관련된 SNS에 가입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 전송 서버 송신부 304는, 발신자 정보로서 상기 SNS의 유저 특정 정보(유저 ID, 이름, 등록된 닉네임, 전화 번호, 또는 메일 주소)를, 상기 SNS를 통해 착신 단말 150에 통지한다. 이 때, 전송 서버 송신부 304는, 착신 단말 150에 발신자 정보를 통지한 것을, 상기 SNS를 통해 발신 단말 140 자신에게 통지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 305가, 착신자가 상기 SNS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 전송 서버 송신부 304는, 실시 형태 1과 같이 착신 단말 150의 전화 번호 및 발신 단말 140의 발신자 정보를 전송 서버 130에 송신한다.
[판단부 305의 동작 플로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의 판단부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판단부 305의 동작은, 수신부 301에 의해서 수신된 리퀘스트 신호와 특정부 302에 의해서 특정된 발신자 정보를 판단부 305가 수신하는 것으로 시작된다(단계 S601). 판단부 305는, 단계 S601에서 수신된 리퀘스트 신호·발신자 정보에 기초하여 발신자 및 착신자가 통신 서버 110과 관련된 SNS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02). 구체적으로, 판단부 305는,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 160 내에서, 특정부 302에 의해서 특정된 발신 단말 140의 유저 ID와 리퀘스트 신호에 포함되는 착신 단말 150의 전화 번호를 검색하는 것으로, 발신자 및 착신자가 상기 SNS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602에서, 판단부 305에 의해서 발신자 및 착신자가 상기 SNS에 가입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SNS를 통해, 전송 서버 송신부 304에 의해서 발신자 정보가 착신 단말 150에 통지되는(단계 S603) 것으로, 판단부 305는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 S602에서, 판단부 305에 의해서 착신자가 상기 SNS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전송 서버 송신부 304에 의해서 발신자 정보가 전송 서버 130에 송신되는(단계 S604) 것으로, 판단부 305는 동작을 종료한다.
[실시 형태 2의 변형예]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의 판단부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와 유사하지만, 단계 S602에서, 판단부 305에 의해서 발신자 및 착신자가 통신 서버 110과 관련된 SNS에 가입되어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착신 단말 150이 발신 단말 140으로부터의 착신 또는 통신을 거부하는, 즉 차단 기능의 설정의 유무를 판단하고 있는 점에서 도 9와는 다르다.
도 10에서는, 단계 S602에서, 판단부 305에 의해서 발신자 및 착신자가 해당 SNS에 가입되어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판단부 305는, 착신 단말 150이 발신 단말 140을 차단 설정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05). 차단 설정 유무의 판단은, 판단부 305가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 160의 차단 설정 506(도 2 참조)을 확인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단계 S605의 차단 설정 유무의 판단에 있어서, 착신 단말 150이 발신 단말 140을 차단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부 305에 의해서 판단되었을 경우, 전송 서버 송신부 304에 의해서 상기 SNS를 통해 발신자 정보가 착신 단말 150에 통지되는(단계 S603) 것으로, 판단부 305는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 S605의 차단 설정 유무의 판단에 있어서, 착신 단말 150이 발신 단말 140을 차단하고 있다고 판단부 305에 의해서 판단되었을 경우, 전송 서버 송신부 304에 의해서 발신자 정보가 전송 서버 130에 송신되는(단계 S604) 것으로, 판단부 305는 동작을 종료한다.
[착신 단말 150에 있어서의 발신자 정보 통지의 예]
여기서, 도 9 및 10의 단계 S603에서 SNS를 통해 발신자 정보가 착신 단말 150에 통지되었을 경우의 구체적인 표시예에 대해서, 도 11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서 발신자 정보를 통지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발신 단말 140의 전화 번호가 통신 캐리어 120을 통해 착신 단말 150에 통지되지 않고, 착신자가 호출에 응답하지 않았던 경우이다. 또한, 발신자 및 착신자가 통신 서버 110과 관련된 SNS에 가입하고 있고, 착신 단말 150은 발신 단말 140을 차단하고 있지 않는 경우이다.
도 11에 의하면, 착신 단말 150의 디스플레이 230에는, 부재 착신 통지 아이콘 521, 발신 단말 140의 유저 이름 522, 및 발신 단말 140의 유저를 특정하는 유저 아이콘 523이 표시된다. 이것들은, 채팅방과 같이 상기 SNS가 제공하는 메시지 통신 기능에서, 다른 대화 내용과 함께 시계열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서는, 발신자 정보로서 유저 이름만을 표시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발신자의 전화 번호, 메일 주소, 유저 ID, 등록된 닉네임, 또는 SNS의 URL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발신 단말 140의 전화 번호가 통신 캐리어 120을 통해 착신 단말 150에 통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착신 단말 150에 발신 단말 140의 전화 번호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 및 착신자가 모두 통신 서버 110과 관련된 SNS에 가입되어 있는 것을 판단하고, 상기 SNS가 제공하는 메시지 통신 기능을 사용하여 착신을 통지하는 것으로, 메시지 통신 기록과 착신 기록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이용하는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2는, 도 5와 유사하지만, 특정부 302와 캐리어 송신부 303 사이에 지연부 306를 포함하고 있는 점에서 도 5와는 다르다. 지연부 306은, 착신 단말 150을 특정하는 정보 및 특정부 302에 의해서 특정된 발신자 정보가 전송 서버 130에 송신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특정부 302에 의해서 발신 단말 140에 대해 할당된 IP 네트워크상의 주소 및 발신 단말 140으로부터 송신된 리퀘스트 신호를, 캐리어 송신부 303을 통해 통신 캐리어 120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서, 리퀘스트 신호에 응한 호출 전에 발신자 정보를 착신 단말 150에 통지한다.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
도 12의 지연부 306의 동작에 대해서, 음성 통신 시스템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6과 유사하지만, 단계 S425의 발신자 정보 송신이 단계 S424의 리퀘스트 신호·IP 주소 송신보다 전에 행해지고 있고 단계 S452의 호출 전에 단계 S455의 발신자 통지를 하고 있는 점에서 도 6과는 다르다. 즉, 착신자는 착신 단말 150의 호출 전에 발신 단말 140의 발신자 정보를 알 수 있다. 여기서, IP 주소 및 리퀘스트 신호는, 착신 단말 150을 특정하는 정보 및 발신자 정보가 전송 서버 130에 송신되고 나서, 소정의 기간 경과 후에 통신 캐리어 120에 송신된다.
여기서, 도 13에서는, 단계 S455의 착신 단말 150의 발신자 정보 통지와 단계 S424의 리퀘스트 신호·IP 주소 송신의 전후 관계는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단계 S455의 동작 완료 후에 단계 S424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양자의 동작을 연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단계 S425의 발신자 정보 송신은, 단계 S421의 리퀘스트 신호 수신으로부터 S424의 리퀘스트 신호·IP 주소 송신까지의 사이에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단계 S424의 리퀘스트 신호·IP 주소 송신은, 단계 S425의 발신자 정보 송신 및 단계 S423의 IP 주소 할당 뒤에 행해질 수 있다.
도 13과 같이, 착신 단말 150의 호출(단계 S452) 전에, 발신자 정보를 착신 단말 150에 통지하는(단계 S455) 것으로, 발신 단말 140으로부터의 통화 리퀘스트에 대해서, 착신 단말 150은 사전에 액션을 선택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일례에 대해서, 이하에 도면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서 유저 정보를 통지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있어서, 단계 S455의 발신자 정보가 통지되면, 착신 단말 150에 도 14에 나타내는 액션 선택 화면이 제공된다. 도 14의 액션 선택 화면은, 착신 단말 150에 포함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행된다. 도 14에 의하면, 액션 선택 화면은, 발신자 정보 표시 531, 착신 응답 선택 아이콘 532, 착신 거부 선택 아이콘 533, 회의중 메시지 선택 아이콘 534, 및 운전중 메시지 선택 아이콘 535를 포함한다.
도 14에 있어서, 착신 응답 선택 아이콘 532를 터치하면, 발신 단말 140과 착신 단말 150은 통신 캐리어 120을 통해 통화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그 외의 아이콘을 터치하면, 그 아이콘의 내용에 응한 고정 메시지를 발신 단말 140에 통지한다. 또한, 착신 거부 선택 아이콘 533을 터치했을 경우는, 착신 단말 150의 호출을 종료시키지만, 발신 단말 140에는 호출 통지음만 계속하여 울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착신 단말이 호출되기 전에 착신 단말에 발신자 정보가 통지되기 때문에, 착신자는 착신 단말 150의 호출 전에 발신자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호출 전에 착신자가 액션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덧붙여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착신 단말의 PSTN(공중 교환 전화망)에서의 전화 번호를 포함한 통화의 리퀘스트 신호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 발신 단말의 발신자 정보를 특정하고,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해서 상기 IP 네트워크에서의 주소를 할당하는 특정부와,
    상기 주소 및 상기 리퀘스트 신호를, 상기 PSTN과 상기 IP 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갖는 통신 캐리어에 송신하는 캐리어 송신부와,
    지정된 단말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서버에 대해 상기 전화 번호 및 상기 발신자 정보를 송신하는 전송 서버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을 사용하는 유저와 상기 착신 단말을 사용하는 유저가, 소정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가, 상기 발신 단말을 사용하는 유저와 상기 착신 단말을 사용하는 유저가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 상기 전송 서버 송신부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에 상기 발신자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서버 송신부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에 상기 발신자 정보를 통지한 것을 상기 발신 단말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가, 상기 착신 단말을 사용하는 유저가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 상기 전송 서버 송신부는, 상기 전화 번호 및 상기 발신자 정보를 상기 전송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가, 상기 발신 단말을 사용하는 유저와 상기 착신 단말을 사용하는 유저가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의 착신 또는 통신을 거부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 상기 전송 서버 송신부는, 상기 전화 번호 및 상기 발신자 정보를 상기 전송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서버는 SMS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전송 서버 송신부는, 상기 리퀘스트 신호에 응한 호출 후에, 상기 전화 번호 및 상기 발신자 정보를 상기 전송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 및 상기 발신자 정보가 상기 전송 서버에 송신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 후에, 상기 주소 및 상기 리퀘스트 신호를, 상기 캐리어 송신부를 통해 통신 캐리어에 송신하고, 상기 리퀘스트 신호에 응한 호출 전에, 상기 발신자 정보를 상기 착신 단말에 통지하는 지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9. 착신 단말의 PSTN(공중 교환 전화망)에서의 전화 번호를 포함한 통화의 리퀘스트 신호와, 상기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 발신 단말의 발신자 정보의 특정 및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IP 네트워크에서의 주소의 할당에 이용되는 발신 단말 고유 정보를,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로서,
    상기 리퀘스트 신호는 상기 PSTN과 IP 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갖는 통신 캐리어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에 송신되고,
    상기 통신 캐리어는 상기 IP 네트워크에서의 주소 및 상기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자 정보는 상기 전화 번호를 목적지로서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0. 착신 단말의 PSTN(공중 교환 전화망)에서의 전화 번호를 포함한 통화의 리퀘스트 신호를 상기 PSTN을 통해 통신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 발신 단말의 발신자 정보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수신된 상기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로서,
    상기 리퀘스트 신호는 상기 PSTN과 IP 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갖는 통신 캐리어를 통해 상기 통신 서버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통신 캐리어는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해 할당된 상기 IP 네트워크에서의 주소 및 상기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자 정보는 상기 전화 번호를 목적지로서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송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KR1020150026303A 2014-02-25 2015-02-25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 KR102221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34676A JP6021836B2 (ja) 2014-02-25 2014-02-25 通信サーバ
JPJP-P-2014-034676 2014-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573A true KR20150100573A (ko) 2015-09-02
KR102221775B1 KR102221775B1 (ko) 2021-03-02

Family

ID=5388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303A KR102221775B1 (ko) 2014-02-25 2015-02-25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967384B2 (ko)
JP (1) JP6021836B2 (ko)
KR (1) KR1022217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3194B (zh) * 2018-11-09 2020-12-29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研究所 用于移动通信系统的用户信息云端协同处理及转移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901A (ko) * 2003-07-30 2006-11-17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통신시스템, 호 접속 서버, 단말장치 및 통신방법
JP2006352456A (ja) * 2005-06-15 2006-12-28 Ntt Docomo Inc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20100128444A (ko) *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케이티 VoIP 서비스 방법 및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JP2011151434A (ja) * 2010-01-19 2011-08-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事業者選択サービスを提供する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20130343234A1 (en) * 2011-05-25 2013-12-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0905A (en) * 1994-10-26 1996-08-2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calls and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multi-line users
FI101661B (fi) 1996-01-08 1998-07-31 Nokia Mobile Phones Ltd Puhelimen oman puhelinvastaajan aktivointi soittajan numeron mukaan
JPH1065737A (ja) * 1996-08-23 1998-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代理サーバ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JP3938237B2 (ja) * 1998-01-20 2007-06-27 富士通株式会社 インタネット電話発信者番号通知装置
NL1009083C2 (nl) * 1998-05-06 1999-11-09 Telematica Holdings Ltd Stelsel voor het koppelen van het openbare telefoonnet met het Internet.
JP2001119483A (ja) 1999-10-20 2001-04-27 Fujitsu I-Network Systems Ltd アナログ回線における契約番号通知方式
US6353660B1 (en) * 2000-03-02 2002-03-05 Ss8 Networks, Inc. Voice call processing methods
EP1235416A4 (en) * 2000-10-26 2005-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INTERNET TELEPHONE NETWORK SYSTEM, NETWORK ACCESS METHOD, AND ADAPTER FOR VOICE DEVICE
JP2003283575A (ja) 2002-03-27 2003-10-03 Ntt Comware Corp 通信管理装置、通信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537575A (ja) * 2002-08-30 2005-12-08 フィリップス・セミコンダクターズ・ドレスデン・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プログラム可能なシステムの初期化方法
JP4349100B2 (ja) * 2003-11-21 2009-10-2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音声通信システムおよび管理サーバ
WO2005112586A2 (en) 2004-05-12 2005-12-01 Fusionone, Inc. Advanced contact identification system
JP4597597B2 (ja) 2004-07-15 2010-12-15 ソフトバンクBb株式会社 コールエージェントサーバ、発信者番号通知システム及び発信者番号通知方法
US8856359B2 (en) * 2005-06-29 2014-10-07 Qualcomm Connected Experiences, Inc. Caller-callee association of a plurality of networked devices
US8054828B2 (en) 2006-07-13 2011-11-08 Cisco Technology, Inc. Call identification mechanism for multi-protocol telephones
US8155621B2 (en) 2007-08-08 2012-04-10 Roamware, Inc. Reverse charging service
JP4982348B2 (ja) * 2007-12-13 2012-07-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通信方法
US20110040833A1 (en) * 2008-04-25 2011-02-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aller Information Servic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5214318B2 (ja) 2008-04-30 2013-06-19 エヌ・ティ・ティ・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VoIP網相互接続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16774A (ja) 2008-07-07 2010-01-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方法
JP5442409B2 (ja) 2009-11-27 2014-03-12 エヌ・ティ・ティ・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呼接続制御装置、発信者識別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10188492A1 (en) 2010-02-01 2011-08-04 Stoops Daniel S Responding to call control events using social network applications
KR101129299B1 (ko) 2010-04-01 2012-03-27 장중혁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US8983039B2 (en) 2010-05-05 2015-03-17 Suinno Oy Caller ID surfing
JP2011259277A (ja) 2010-06-10 2011-12-22 Nec Corp セッション制御プロトコル対応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発着信制御方法および発着信制御プログラム
KR101835639B1 (ko) 2011-02-22 201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101850823B1 (ko) * 2011-08-18 2018-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544425B2 (en) 2011-08-22 2017-01-10 Facebook, Inc. Social caller ID with reverse look-up
KR20140051596A (ko) * 2012-10-23 201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내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호 착신 시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901A (ko) * 2003-07-30 2006-11-17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통신시스템, 호 접속 서버, 단말장치 및 통신방법
JP2006352456A (ja) * 2005-06-15 2006-12-28 Ntt Docomo Inc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20100128444A (ko) *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케이티 VoIP 서비스 방법 및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JP2011151434A (ja) * 2010-01-19 2011-08-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事業者選択サービスを提供する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20130343234A1 (en) * 2011-05-25 2013-12-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77002B2 (en) 2019-11-12
US20180227404A1 (en) 2018-08-09
US20150244847A1 (en) 2015-08-27
KR102221775B1 (ko) 2021-03-02
JP6021836B2 (ja) 2016-11-09
US9967384B2 (en) 2018-05-08
JP2015162683A (ja)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1547B2 (en) Network system performing application control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US10958693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ssocia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hatbot capable frameworks
US10462301B2 (en) Call intent notification for establishing a call
KR20070051237A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5057781A (ja) 改良型グループ通信システム
US956019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sioning and using IP clients which can be arranged according to groups and share a common telephone number
KR102221775B1 (ko)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
CN104837126A (zh) 用于移动通讯终端间共享通话的方法及移动通讯终端
KR20180135756A (ko) 회의 통화 호 처리 서버 및 그 방법
KR20180077720A (ko) Id 기반의 통화와 전화번호 기반의 통화를 연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224799B2 (ja) 通信サーバ
JP2018033154A (ja) 通信サーバ
CN103957331A (zh) 行为信息发送方法及系统、通话接入承载管控方法及系统
US20230224687A1 (en) Notification device, notification system, notif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16177235A1 (zh) 一种智能终端与多媒体终端交互的方法、终端、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KR102194257B1 (ko) 청각 장애인을 고려한 통화 중계 시스템
KR20170042876A (ko) 착신전환 서비스의 발신 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
KR10064032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알림 방법
KR100925244B1 (ko)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70103817A (ko)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영상전화 서비스 방법
KR10049310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기반 음성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JP2006180372A (ja) 常時ip網に接続していない通信端末へのip電話発信システム及び呼制御サーバ
KR100910301B1 (ko)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에게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통신 단말
JP2019075651A (ja) 内線電話システム、主装置、無線電話端末、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および内線電話システムの通信方法
JP2010004268A (ja) 交換システム、着信側電話通信端末、電話システム、中継交換装置及び着信側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