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901A - 통신시스템, 호 접속 서버, 단말장치 및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 호 접속 서버, 단말장치 및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901A
KR20060117901A KR1020067001879A KR20067001879A KR20060117901A KR 20060117901 A KR20060117901 A KR 20060117901A KR 1020067001879 A KR1020067001879 A KR 1020067001879A KR 20067001879 A KR20067001879 A KR 20067001879A KR 20060117901 A KR20060117901 A KR 20060117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ser
identifier
telephone number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요시 손
Original Assignee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04M3/42263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where the same subscriber uses different terminals, i.e. nomad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은 단말장치와 호 접속 서버를 구비하고 있다. 단말장치는, 호의 접속처리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퍼스널 컴퓨터(70u)와, 퍼스널 컴퓨터(70u)와 접속되며 음성대역신호의 디지털 부호화 등을 실행하는 전용전화단말(60u)로 구성된다. 호 접속 서버는, 퍼스널 컴퓨터(70u)에 대한 호의 접속 등을 실행하는 SIP 서버(11)와, IP 전화 서비스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나 전화번호와 접속처 어드레스(IP 어드레스)를 서로 관련지어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와,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IP 전화 서비스에 관한 호의 접속을 실행하는 콜 에이전트(13)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통신시스템, 호 접속 서버, 단말장치 및 통신방법{Communication System, Call Connection Server,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음성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시스템 등, 특히 IP 전화 방식에서 호를 소정의 접속처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시스템, 호 접속 서버, 단말장치 및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이 진전됨에 따라, 종래의 가입전화서비스(POTS)와 동등한 기능을 구비하는 IP 전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IP 전화 서비스에서는 IP 전화 서비스의 사용자와 가입전화서비스 등의 사용자와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IP 전화 서비스의 네트워크와 가입전화서비스의 네트워크는 상호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양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 예를 들면 IP 전화 서비스에서 할당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대한 호를, 가입전화서비스에서 할당되어 있는 전화번호 앞으로 전송시킬 수 있다.
또한, IP 전화 서비스에서는, IP 패킷을 전송가능한 네트워크(IP 네트워크)상의 임의의 장소에서, 사용자는 IP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장치(IP 전화 단말) 또는 해당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를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네트워크의 임의의 장소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장치 등에 호를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예를 들면 IETF RFC2543에 의해 규정되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리다이렉트(redirect) 모드를 이용하여, IP 네트워크상에서 호의 접속을 실행하는 호 접속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단말장치의 IP 어드레스 등의 정보를 미리 변경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해당정보의 변경은 사용자 ID와 패스워드에 의해 허가되는데,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는 부정하게 취득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호의 전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단말장치의 접속마다 전송처의 정보를 호 접속 서버가 참조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웹 사이트 등을 통해 변경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말장치로부터 해당 단말장치를 식별하는 정보 및 해당 네트워크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자동적으로 송신시키고, 이 송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호 접속 서버의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한 호를 해당 단말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호 접속 서버, 단말장치 및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단말장치와, 소정의 전화번호와 관련지어져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한 호를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호 접속 서버를 구비하는 통신시스템으로서, 단말장치가, 호 접속 서버와 통신가능한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 단말장치를 식별하는 단말 식별자와, 단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상의 위치를 특정하는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호 접속 서버에 송신하는 등록정보송신부를 구비하며, 호 접속 서버가, 소정의 전화번호와 접속처 어드레스와 단말 식별자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부와, 단말 식별자와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등록정보수신부와, 수신한 단말 식별자와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단말 식별자에 기초하여 단말장치를 인증하는 인증부와, 인증부에 의해 단말장치가 인증된 경우, 수신한 단말 위치 어드레스와 단말 식별자와 관련지어져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대응시킴과 아울러,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접속처 어드레스에 우선하는 우선접속처로서 설정하는 우선접속처 설정부와, 우선접속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 위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호를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호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의해 송신된 단말 위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한 호가 단말장치에 접속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해당하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한 호에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응답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의해 송신된 단말 위치 어드레스가, 접속처 어드레스에 우선하는 우선접속처로서 자동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수동에 의한 접속처 어드레스의 변경을 피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단말 식별자와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단말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를 인증하기 때문에,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사용하지 않고 해당 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있어서, 호 접속 서버가, 단말장치와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끊어진 것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검지부에 의해 단말장치와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끊어짐이 검지된 경우, 우선접속처 설정부가, 설정되어 있는 우선접속처를 해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검지부에 의해 단말장치와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끊어짐이 검지된 경우, 설정되어 있는 우선접속처가 해제되기 때문에, 호 접속 서버는 단말장치와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끊어져 있는 경우에는 기억부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한 호를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있어서, 기억부가, 소정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패스워드를 다시 소정의 전화번호와 관련지어 기억하고, 등록정보 송신부가,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를 다시 호 접속 서버에 송신하며, 등록정보수신부가,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를 다시 수신하고, 인증부가, 수신한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단말장치를 인증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단말 식별자뿐만 아니라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단말장치를 인증하기 때문에, 부정한 서비스 이용에 대한 보안성(secur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있어서, 단말장치가, 등록정보 송신부에 의한 독출만이 가능하게 단말 식별자를 기억하는 단말 식별자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등록정보 송신부가, 단말 식별자 기억부로부터 독출한 단말 식별자를 호 접속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단말장치가 단말 식별자의 독출 만이 가능한 단말 식별자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등록정보송신부가 단말 식별자 기억부로부터 독출한 단말 식별자를 송신하기 때문에, 사용자 등에 의한 단말 식별자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어, 부정한 서비스 이용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은,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있어서, 단말장치가,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등록정보 송신부는,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자 및 패스워드를 호 접속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단말장치가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등록정보 송신부가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자 및 패스워드를 송신하기 때문에, 접속시마다 사용자가 사용자 식별자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있어서, 단말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자영기지국장치와, 등록정보송신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일반 무선기지국 또는 상기 자영기지국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휴대단말장치로 이루어지며, 휴대단말장치와 일반무선기지국 간의 무선통신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장치는 자영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휴대단말장치에 의해, 일반무선기지국과 자영기지국 장치 모두에 대해, 동일한 프로토콜에 의해 네트워크로의 액세스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는 어느 기지국과 통신하는 지를 고려하지 않고도 조작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특징은, 본 발명의 제 6 특징에 있어서, 휴대단말장치 및 자영기지국장치는 상기 프로토콜을 이용한 무선통신용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와, 근거리통신용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일반무선기지국과 동일한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통신과, 무선 LA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잘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어 통신 환경에 따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8 특징은, 본 발명의 제 7 특징에 있어서, 자영기지국장치는 컴퓨터에 탈부착 가능한 어댑터부와, 휴대단말장치에 대한 무선통신용의 통신안테나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자영기지국장치를 휴대함으로써, 예를 들면 해외 등, 일반무선기지국의 전파가 닿지 않는 장소이더라도,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퍼스널 컴퓨터가 있으면, 자영의 PHS 안테나국을 구축할 수 있어, 통상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본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특징은, 소정의 전화번호와 관련지어져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한 호를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호 접속 서버로서, 소정의 전화번호와 접속처 어드레스와 단말 식별자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부와, 단말장치가 호 접속 서버와 통신가능한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 단말장치를 식별하는 단말 식별자와 단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상의 위치를 특정하는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등록정보수신부와, 수신한 단말 식별자와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단말 식별자에 기초하여 단말장치를 인증하는 인증부와, 인증부에 의해 단말장치가 인증된 경우, 수신한 단말 위치 어드레스와 단말 식별자와 관련지어져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대응시킴과 아울러,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접속처 어드레스에 우선하는 우선접속처로서 설정하는 우선접속처 설정부와, 우선접속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 위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호를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호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특징은, 본 발명의 제 9 특징에 있어서, 단말장치와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끊어짐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우선접속처 설정부는, 검지부에 의해 단말장치와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끊어짐이 검지된 경우, 설정되어 있는 우선접속처를 해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1 특징은, 본 발명의 제 9 특징에 있어서, 기억부가, 소정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패스워드를 다시 소정의 전화번호와 관련지어 기억하며, 등록정보수신부가,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를 다시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인증부가, 수신한 단말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단말장치를 인증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2 특징은, 호 접속 서버에 의해, 소정의 전화번호와 관련지어져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한 호가 접속되는 단말장치로서, 호 접속 서버가, 단말장치를 식별하는 단말 식별자와 단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호 접속 서버와 통신가능한 네트워크의 위치를 특정하는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단말 위치 어드레스와 소정의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접속처 어드레스에 우선하는 우선접속처로서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단말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 단말 식별자와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호 접속 서버에 송신하는 등록정보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3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2 특징에 있어서, 단말장치가, 단말 식별자를 등록정보송신부에 의한 독출만이 가능하게 기억하는 단말 식별자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등록정보송신부는, 단말 식별자 기억부로부터 독출한 단말 식별자를 호 접속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4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2 특징에 있어서, 호 접속 서버가, 상기 단말 식별자와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를 인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단말장치가,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등록정보송신부가,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자 및 패스워드를 호 접속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5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2 특징에 있어서, 단말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자영기지국장치와, 등록정보송신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일반무선기지국 또는 자영기지국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휴대단말장치로 이루어지며, 휴대단말장치와 일반무선기지국 간의 무선통신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장치는 자영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6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5 특징에 있어서, 휴대단말장치 및 상기 자영기지국장치는 상기 프로토콜을 이용한 무선통신용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와, 근거리통신용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7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5 특징에 있어서, 자영기지국장치는 컴퓨터에 탈부착 가능한 어댑터부와, 휴대단말장치에 대한 무선통신용의 통신 안테나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8 특징은, 단말장치와, 소정의 전화번호와 관련지어져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한 호를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호 접속 서버를 이용한 통신방법으로서, 호 접속 서버가, 소정의 전화번호와 접속처 어드레스와 단말 식별자를 관련지어 기억해 두고, 단말장치가 호 접속 서버와 통신가능한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 호 접속 서버가, 단말장치를 식별하는 단말 식별자와 단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상의 위치를 특정하는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스텝(A)과, 호 접속 서버가, 수신한 단말 식별자와 기억되어 있는 단말 식별자에 기초하여 단말장치를 인증하는 스텝(B)과, 스텝(B)에 서 단말장치가 인증된 경우, 호 접속 서버가, 수신한 단말 위치 어드레스와 단말 식별자와 관련지어져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대응시킴과 아울러,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접속처 어드레스에 우선하는 우선접속처로서 설정하는 스텝(C)과, 우선접속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호 접속 서버가, 단말 위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호를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스텝(D)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9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8 특징에 있어서, 호 접속 서버가, 단말장치와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끊어짐을 검지하는 스텝(E)과, 스텝(E)에서 단말장치와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끊어짐이 검지된 경우, 서버가, 스텝(C)에서 설정된 우선설정처를 해제하는 스텝(F)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0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8 특징에 있어서, 소정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패스워드를 다시 소정의 전화번호와 관련지어 기억해 두고, 스텝(A)에서는 호 접속 서버가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를 다시 호 접속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스텝(B)에서는 호 접속 서버가 수신한 단말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단말장치를 인증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1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8 특징에 있어서, 스텝(A)에서는 단말장치의 내부에 기억되며 독출만이 가능한 단말 식별자를 호 접속 서버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2 특징은, 본 발명의 제 20 특징에 있어서, 스텝(A)에서는 단말장치의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를 호 접속 서버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3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8 특징에 있어서, 단말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자영기지국장치와, 등록정보송신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일반무선기지국 또는 자영기지국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휴대단말장치로 이루어지며, 스텝(A)에서,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일반무선기지국에 대한 무선통신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자영기지국장치와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의 기능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호 접속 서버의 기능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서 단말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의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의 기능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서 단말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의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나타낸 도면.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을 포함하는 IP 전화 서비스의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호의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퍼스널 컴퓨터(70u)와, 퍼스널 컴퓨터(70u)에 접속되며 음성대역신호의 디지털 부호화 등을 실행하는 전용전화단말(60u)에 의해 단말장치를 구성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70u) 대신에, 호의 접속처리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휴대정보단말(PDA)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호의 접속처리 및 음성대역신호의 디지털 부호화 등을 실행하는 전용 터미널 어댑터(80u)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70u)와 동등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전용 터미널 어댑터(80u)의 특징은 그 크기가 CD의 재킷 정도이며 소형이면 서 가볍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70u)에 비해, 전용 터미널 어댑터(80u)는 소프트웨어의 기동이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 등을 이용하지 않는 사용자도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70u)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퍼스널 컴퓨터(70u)는 IP 패킷을 전송하여, IP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인 IP 네트워크(1)의 임의의 장소에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IP 네트워크(1)에는 VoIP(Voice over IP) 기술을 이용하여 IP 패킷을 송수신하는 IP 전화 단말(21u,26)이 접속되어 있다. IP 전화 단말(21u)은 사용자(U)의 자택인 사용자 댁 내(20)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전화번호[050-xxxx-]와 IP 어드레스[x.x.x.x]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IP 전화 단말(26)은 다른 사용자의 자택인 사용자 댁 내(25)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전화번호[050-yyyy-]와 IP 어드레스[y.y.y.y]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IP 전화 단말 대신에, 음성대역신호와 IP 패킷과의 변환을 수행하는 VoIP 게이트웨이와 음성대역신호를 송수신하는 일반전화단말(아날로그 전화 단말)을 사용하여도 좋다.
IP 네트워크(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 신호의 변환을 실행하는 게이트웨이(1G)를 통해, 회선교환방식을 이용한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PSTN2와 접속되어 있다. PSTN2에는 음성대역신호를 송수신하는 일반전화단말(31)이 접속되어 있다. 일반전화단말(31)은 사용자(U)의 오피스(30)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전화번호[03-xxxx-]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IP 네트워크(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 동전화 네트워크(3)와 게이트웨이(1G)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동전화 네트워크(3)에는 이동전화단말(51u,52)이 무선 기지국(3B)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동전화단말(51u)은 사용자(U)가 이용하는 이동전화단말이며, 전화번호[090-xxxx-]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이동전화단말(52)은 IP 전화 단말(26)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댁 내(25)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동전화단말이며, 전화번호[090-yyyy-]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SIP 서버(11)와, 데이터베이스 서버(12)와, 콜 에이전트(13)에 의해 호 접속 서버를 구성한다.
SIP 서버(11)는 퍼스널 컴퓨터(70u)에 대한 호의 접속 등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SIP 서버(11)는 전용전화단말(60u)이 퍼스널 컴퓨터(70u)를 통해 IP 네트워크(1)에 접속된 경우, IP 어드레스 등의 호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송신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2)는 IP 전화 서비스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와 전화번호와 접속처 어드레스(IP 어드레스)를 서로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이다.
콜 에이전트(13)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호의 접속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IP 네트워크(1)에 퍼스널 컴퓨터(70u)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전용전화단말(60u)에 대한 호의 경우, 콜 에이전트(13)는 SIP 서버(11)에 호의 접속에 필요한 IP 어드레스 등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SIP 서버(11)와, 데이터베이스 서버(12)와, 콜 에이전트(3) 각각이 제공하는 기능은 일체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동작개요)
이어,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동작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댁 내(25)의 사용자가, IP 전화 단말(26)을 이용하여 사용자 댁 내(20)에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U)가 이용하는 IP 전화 단말(21u)에 대해 호를 발한 경우, 먼저, 콜 에어전트(13)는 IP 전화 단말(21u)에 할당되어 있는 전화번호[050-xxxx-]를 IP 어드레스[y.y.y.y]와 함께 IP 전화 단말(26)로부터 수신한다. 이어, 콜 에이전트(13)는 수신한 전화번호[050-xxxx-]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12)를 참조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는 예를 들면 도 4의 전화번호 테이블(125a)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콜 에이전트(13)는 전화번호 테이블(125a)의 '할당전화번호'로 표시되어 있는 [050-xxxx-]에 기초하여,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1)"로 표시되어 있는 IP 어드레스[x.x.x.x]를 취득한다. 콜 에이전트(13)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로부터 취득한 IP 어드레스[x.x.x.x]와, IP 전화 단말(26)으로부터 수신한 IP 어드레스[y.y.y.y]에 기초하여, IP 전화 단말(26)과 IP 전화 단말(21u)을 접속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서버(12)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한 호를 전송하는 전송처의 전화번호를 기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화번호 테이블(125a)에서, 할당전화번호[050-xxxx-]에는 상술한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1)'로서 기억되어 있는 IP 어드레스[x.x.x.x] 뿐만 아니라, '접속처 어드레스(우선 순위 2)'로서, 사용자(U)가 오피스(30)에서 이용하는 일반전화단말(31)의 전화번호[03-xxxx-]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할당전화번호[050-xxxx-]에는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3)'로서, 사용자(U)가 이용하는 이동전화단말(51u)의 전화번호[090-xxxx-]가 기억되어 있다.
사용자(U)는, 인터넷 등을 통해, 일반전화단말(31)의 전화번호나 이동전화단말(51u)의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시킬 수 있다.
콜 에이전트(13)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복수의 접속처 어드레스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 접속처 어드레스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할당전화번호[050-xxxx-]에 대한 호를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콜 에이전트(13)는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1)'로서 기억되고 있는 IP 어드레스[x.x.x.x]에 기초하여 IP 전화 단말(21u)을 호출하는데, IP 전화 단말(21u)이 콜 에이전트(13)로부터의 호출에 소정 시간 내에 응답하지 않을 경우, IP 전화 단말(21u)에 대한 호출을 중지하고,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2)'로서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03-xxxx-]에 기초하여 일반전화단말(31)을 호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접속처 어드레스'의 우선순위는 사용자(U)가 소정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다시 기억시킴으로써, 1일 시간대에 따라 변경하여도 좋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2)와 콜 에이전트(13)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사용자(U)가 존재하는 장소에 따라, 사용자(U)가 이용하는 전화번호[050-xxxx-]에 대한 호를 소정의 전화 단말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U)가 퍼스널 컴퓨터(70u)를 통해 전용전화단말(60u)을 IP 네트워크(1)에 접속한 경우, 퍼스널 컴퓨터(70u)에 할당된 IP 어드레스가, 상술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되어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로서 SIP 서버(11)를 통해 설정된다. 또한, 구체적인 '접속처어드레스'의 변경에 관한 수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따라서, 사용자(U)는 예를 들면 출장지 등에서, 퍼스널 컴퓨터(70u)를 통해, 전용전화단말(60u)을 IP 네트워크(1)에 접속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되어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를 스스로 변경하지 않고도, 전화번호[050-xxxx-]에 대한 호에 대해 퍼스널 컴퓨터(70u)와 전용전화단말(60u)을 이용하여 응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자(U)가, 동일한 전화번호[050-xxxx-]가 할당된 IP 전화 단말(21u)과 전용전화단말(60u)의 2대의 전화 단말을 '접속처 어드레스' 등의 변경 조작 없이 잘 구분해 사용하는 것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
이어,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용전화단말(60u)과 퍼스널 컴퓨터(70u)의 기능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용전화단말(60u)은 입력키부(61), 표시부(62), 음성신호입출력부(63), 신호처리부(64), 단말 ID 기억부(65) 및 단말 IF부(66)를 가지고 있다.
입력키부(61)는 전화번호와 같은 숫자나 소정의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다. 입력키부(61)에 의해 입력된 숫자나 문자의 데이터는 신호처리부(64)에 송신된다.
표시부(62)는 입력키부(61)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의 내용이나 발신원의 전화번호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 신호처리부(64)와 접속되어 있다.
음성신호 입출력부(63)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함과 함께, 음성대역신호를 신호처리부(64)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것이다.
신호처리부(64)는 음성신호 입출력부(63)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음성대역신호와 소정의 규격에 따른 디지털 신호와의 변환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신호처리부(64)는 입력키부(61) 및 표시부(62)와 접속되어 전화번호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신호처리부(64)는 예를 들면 ITU-T G.729a/b에 준거한 코덱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64)는 디지털화된 음성신호 및 전화번호 등의 데이터와 IP 패킷과의 변환을 수행함과 아울러, 단말 IF부(66)와의 사이에서 IP 패킷을 송수신한다.
단말 ID 기억부(65)는 전용전화단말(60u)에 할당되는 단말 ID(단말 식별자)를 퍼스널 컴퓨터(70u)에 의한 독출만이 가능하게 기억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용전화단말(60u)에 할당되는 단말 ID란, 전용전화단말(60u)에 대해 고유한 식별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Uxxxx-xxxx]의 구성을 갖는 시리얼 번호가 사용되며, 전용전화단말(60u)에는 [U1234-5678]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해당 단말 ID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사용자(U)가 이용하는 전화번호[050-xxxx-] 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또한, 단말 ID는 [Uxxxx-xxxx]의 구성을 갖는 시리얼 번호 대신에, 전용전화단말(60u)에 할당되는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해당 시리얼 번호는 부정한 IP 전화 서비스의 이용을 목적으로 한 내용의 고쳐쓰기(rewrite)가 불가능하도록 FLASH 등에 기록한다. 따라서, 해당 시리얼 번호를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되어, 부정한 IP 전화 서비스 이용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말 IF부(66)는 퍼스널 컴퓨터(70u)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단말 IF부(66)는 USB(Universal Serial Bus)나 IEEE802.11 등에 준거한 무선 LAN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70u)는 단말 IF부(71), 사용자 정보 기억부(72), 등록정보송신부(73), 접속처리부(74) 및 네트워크 IF부(75)를 가지고 있다.
단말 IF부(71)는 전용전화단말(60u)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것이다. 예를 들면, 단말 IF부(71)는 USB(Universal Serial Bus)나 IEEE802.11 등에 준거한 무선 LAN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기억부(72)는 사용자(U)를 식별하는 사용자 ID(사용자 식별자)와, 해당 사용자 ID에 대응된 패스워드를 기억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U)의 사용자 ID[user_a]와, 이 사용자 ID에 대응된 패스워드가 기억된다. 또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는 사용자(U)가 이용하는 전화번호[050-xxxx-]와 관련지어져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70U)를 통해 전용전화단말(60u)이 IP 네트워크(1)에 접속된 경우, 사용자 정보 기억부(72)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ID와 패스워드가 단말 ID 등과 함께 자동적으로 SIP 서버(11)로 송신되기 때문에, 접속시마다 사용자 ID 등의 정보를 사용자(U)가 입력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등록정보송신부(73)는 SIP 서버(11)와 통신가능한 IP 네트워크(1)에 퍼스널 컴퓨터(70u)를 통해 전용전화단말(60u)이 접속된 경우, 전용전화단말(60u)을 식별하는 단말 ID와, 퍼스널 컴퓨터(70u)가 접속되어 있는 IP 네트워크(1)의 위치를 특정하는 단말 위치 어드레스, 즉 퍼스널 컴퓨터(70u)가 IP 네트워크(1)에 접속되어 있는 곳을 특정하는 IP 어드레스[x',x',x',x']를 SIP 서버(11)에 송신하는 것이다.
또한, 등록정보송신부(73)는 사용자(U)의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다시 SIP 서버(11)에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 ID와 IP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다시 송신할 지의 여부는, 확보할 보안 레벨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접속처리부(74)는 네트워크 IF부(75)를 통해, SIP 서버(11)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접속처리부(74)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기초하여, 상술한 단말 ID[U1234-5678], IP 어드레스[x',x',x',x'], 사용자 ID[user_a] 및 패스워드를 SIP 서버(11)에 송신한다. 또한, 접속처리부(74)는 송신한 IP 어드레스[x',x',x',x']가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등록된 경우에는 SIP 서버(11)로부터 해당 IP 어드레스의 등록유효기간을 나타내는 정보(SIP 헤더의 "expires" 파라미터)를 수신한다. 접속처리부(74)는 수신한 해당 IP 어드레스의 등록유효기간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유효기간이 경과하기 전에 IP 어드레스,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다시 SIP 서버(11)에 송신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해당 IP 어드레스를 재등록시킨다.
또한, 접속처리부(74)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기초하여, SIP 서버(11)와, 전용전화단말(60u), 즉 사용자(U)가 이용하는 전화번호[050-xxxx-]에 대한 호의 접속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접속처리부(74)는 전용전화단말(60u)이단말 IF부(71)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70u)와 접속되어 있는지를 정기적으로 확인한다. 전용전화단말(60u)과 단말 IF부(71)와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 접속처리부(74)는 그 취지를 SIP 서버(11)에 통지한다.
네트워크 IF부(75)는 IP 네트워크(1)와 접속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IF부(75)는 IEEE802.3u에 준거한 100BASE-TX 등의 LAN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IP 네트워크(1)와 퍼스널 컴퓨터(70u)와의 연결에는 IP 네트워크(1)와 접속되어 있는 액세스 회선의 상황에 따라,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호 접속 서버의 구성)
이하,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호 접속 서버, 즉 SIP 서버(11)와 데이터베이스 서버(12)와 콜 에이전트(13)의 기능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P 서버(11)는 네트워크 IF부(111), 등록정보수신부(112), 통신부(113), 호 접속부(114) 및 단말접속검지부(115)를 가지고 있다.
네트워크 IF부(111)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 콜 에이전트(13) 및 IP 네트워크(1)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IF부(111)는 100BASE-TX나 1000BASE-TX 등의 LAN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등록정보수신부(112)는, 전용전화단말(60u)의 단말 ID[U1234-5678]와, 퍼스널 컴퓨터(70u)가 접속되어 있는 IP 네트워크(1)의 위치를 나타내는 IP 어드레스[x',x',x',x']를 수신하는 것이다.
또한, 등록정보수신부(112)는 단말 ID[U1234-5678]와 IP 어드레스[x',x',x',x'] 뿐만 아니라, 사용자 ID[user_a]와 패스워드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등록정보수신부(112)는 수신한 단말 ID[U1234-5678], IP 어드레스[x',x',x',x'], 사용자 ID[user_a] 및 패스워드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송신한다.
통신부(113)는 퍼스널 컴퓨터(70u)와의 사이에서 SIP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3)는 SIP에 규정되어 있는 "REGISTER"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IP 어드레스[x',x',x',x'], 단말 ID[U1234-5678], 사용자 ID[user_a] 및패스워드를 퍼스널 컴퓨터(70u) 또는 전용전화단말(60u)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13)는 IP 어드레스[x',x',x',x']가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등록된 경우에는 해당 IP 어드레스의 등록유효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퍼스널 컴퓨터(70u)에 송신한다. 통신부(11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SIP 헤더의 "expires" 파라미터에 의해 IP 어드레스[x',x',x',x']의 등록유효기간을 임의로 지정할 수 있 다.
호 접속부(114)는 콜 에이전트(13)로부터의 통지에 기초하여, 사용자(U)가 이용하는 전화번호[050-xxxx-]에 대한 호를 퍼스널 컴퓨터(70u)에 접속하는 것이다.
단말접속검지부(115)는 IP 네트워크(1)에 접속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70u)로부터 전용전화단말(60u)과 IP 네트워크(1)와의 접속이 끊어진 것을 검지하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지부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접속검지부(115)는 통신부(113)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70u)에 송신된 IP 어드레스[x',x',x',x']의 등록유효기간이 경과하더라도 퍼스널 컴퓨터(70u)로부터의 재등록이 없는 경우, 호 접속부(114)에 대해 전용전화단말(60u)의 호출을 지시한다. 전용전화단말(60u)이 호 접속부(114)로부터의 호출에 소정 시간 내에 응답하지 않을 경우, 단말접속검지부(115)는 퍼스널 컴퓨터(70u)와 IP 네트워크(1)와의 접속이 끊어졌다고 판정한다.
또한, 단말접속검지부(115)는 전용전화단말(60u)이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전용전화단말(60u)과 IP 네트워크(1)와의 접속이 끊어진 것을 통지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워크 IF부(121), 사용자 IF부(122), 인증부(123), 설정갱신부(124) 및 기억부(125)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기억부(125)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기억부(125)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050-xxxx-] 등과 같은 전화번호와, 접속처 어드레스 와, 단말 식별자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이다. 또한, 기억부(125)는 [050-xxxx-] 등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user_a] 등과 같은 사용자 ID와 해당 사용자 ID에 대응되는 패스워드를 다시 [050-xxxx-] 등의 전화번호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억부(125)는 전화번호 테이블(125a)과 단말 ID 테이블(125b)로 구성되어 있다.
전화번호 테이블(125a)은 '할당전화번호', '사용자 ID', '패스워드',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 1∼5)' 및 해당 접속처 어드레스가 퍼스널 컴퓨터(70u)에 할당된 것임을 나타내는 'LF'(Location Free)로 구성되어 있다.
단말 ID 테이블(125b)은 '할당전화번호'와 '단말 ID'가 관련지어져 있으며, '할당전화번호'는 전화번호 테이블(125a)의 '할당전화번호'와 대응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12)를 구성하는 다른 블록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네트워크 IF부(121)는 SIP 서버(11) 및 콜 에이전트(13)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IF부(121)는 100BASE-TX나 1000BASE-TX 등의 LAN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사용자 IF부(122)는 사용자(U)가 이용하는 전화번호[050-xxxx-]에 대한 호의 전송처 등을 사용자(U)가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 IF부(122)는 인터넷에 접속되는 웹 서버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사용자 IF부(122)는, 설정갱신부(124)를 통해, 사용자(U)로부터 취득한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기억부(125)에 기억시킨다.
인증부(123)는 SIP 서버(11)에 의해 수신된 단말 ID[U1234-5678]와, 기억부(125)(단말 ID 테이블(125b))에 기억되어 있는 전용전화단말(60u)의 단말 ID에 기초하여 전용전화단말(60u)을 인증하는 것이다.
또한, 인증부(123)는 SIP 서버(11)에 의해 수신된 단말 ID[U1234-5678], 사용자 ID[user_a] 및 사용자 ID[user_a]에 대응되어 있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기억부(125)(전화번호 테이블(125a))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ID[user_a]와 패스워드를 확인함으로써, 전용전화단말(60u)을 인증할 수도 있다.
설정갱신부(124)는 인증부(123)에 의해 전용전화단말(60u)이 인증된 경우, SIP 서버(11)에 의해 수신된 IP 어드레스[x',x',x',x']와, 마찬가지로 SIP 서버(11)에 의해 수신된 단말 ID[U1234-5678]에 관련지어져 기억부(125)(전화번호 테이블(125a))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050-xxxx]를 대응시킴과 아울러, IP 어드레스[x',x',x',x']를 기억부(125)(전화번호 테이블(125a))에 기억되어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에 우선하는 우선접속처로서 설정하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선접속처 설정부를 구성한다.
여기서, 도 6은 설정갱신부(124)가 상술한 처리를 실행한 후의 기억부(125)(전화번호 테이블(125a))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050-xxxx-]와 관련지어져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1)'에 퍼스널 컴퓨터(70u)에 할당된 IP 어드레스[x',x',x',x']가 기억됨과 아울러, 퍼스널 컴퓨터(70u)에 할당된 IP 어드레스임을 나타내는 'LF'에 '1'이 기억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접속처 어드 레스(우선순위1)'에 기억되어 있던 IP 전화 단말(21u)의 IP 어드레스[x.x.x.x]는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 2)'에 기억된다. 또한, 전화번호 [03-xxxx-] 및 [090-xxxx-]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우선 순위가 차례로 뒤로 밀리게 된다.
또한, 설정갱신부(124)는 SIP 서버(11)의 단말접속검지부(115)에 의해 전용전화단말(60u)과 IP 네트워크(1)와의 접속이 끊어진 것이 검지된 경우, 설정되어 있는 우선접속처, 즉 IP 어드레스[x',x',x',x']를 해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용전화단말(60u)과 IP 네트워크(1)와의 접속이 끊어진 것이 단말접속검지부(115)로부터 통지된 경우, 설정갱신부(124)는 전화번호[050-xxxx-]에 관한 기억부(125)(전화번호 테이블(125a))의 내용을 도 4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린다.
SIP 서버(11)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12)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전용전화단말(60u)과 IP 네트워크(1)와의 접속이 끊어진 경우에는 미리 기억부(125)에 기억되어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화번호[050-xxxx-]에 대한 호를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IP 어드레스[x',x',x',x']는 전용전화단말(60u)과 IP 네트워크(1)와의 접속이 끊어질 때마다 소거하여도 좋으며, 재차 동일한 IP 어드레스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일정기간 기억부(125)의 소정 영역에 기억시켜 두어도 좋다.
또한, 설정갱신부(124)는 사용자 IF부(122)에 의해 송신된 사용자(U)로부터 취득한 전화번호 등의 정보와 같은 내용을 기억부(125)(전화번호 테이블(125a))에 기억시킬 수 있다.
콜 에이전트(1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워크 IF부(131), 호 접속 부(132) 및 GW정보기억부(133)를 가지고 있다.
네트워크 IF부(131)는 SIP 서버(11), 데이터베이스 서버(12) 및 IP 네트워크(1)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IF부(131)는 100BASE-TX나 1000BASE-TX 등의 LAN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호 접속부(132)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의 전화번호 테이블(125a)에 우선 접속처, 즉 IP 어드레스[x',x',x',x']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IP 어드레스[x',x',x',x']에 기초하여 전화번호[050-xxxx-]에 대한 호를 전용전화단말(60u)에 접속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SIP 서버(11)의 호 접속부(114)와 호 접속부(132)에 의해 호 접속부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호 접속부(132)는 전화번호[050-xxxx-]에 대한 호를 수신한 경우, 전화번호[050-xxxx-]에 기초하여 전화번호 테이블(125a)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한다. 여기서, 전화번호[050-xxxx-]와 관련지어져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1)'의 'LF'에 '1'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호 접속부(132)는 전화번호 테이블(125a)에 기억되어 있는 IP 어드레스[x',x',x',x']와 해당 호의 송신원의 IP 어드레스를 SIP 서버(11)에 송신한다.
또한, 호 접속부(132)는 전화번호 테이블(125a)의 '접속처 어드레스'에 게이트웨이(1G)를 통해 접속할 전화번호, 즉 [03-xxxx-]나 [090-xxxx-] 등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GW정보기억부(133)에 기억되어 있는 각각의 게이트웨이(1G)의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해당 호를 게이트웨이(1G)에 접속한다.
GW정보기억부(133)는 IP 네트워크(1)와, PSTN2 또는 이동전화 네트워크(3)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1G)의 IP 어드레스와, 해당 게이트웨이를 통해 접속할 전화번호를 서로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PSTN2와 접속되는 게이트웨이(1G)의 IP 어드레스와, [03]으로 시작되는 전화번호가 서로 관련지어져 기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을 이용한 통신방법)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을 이용한 통신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IP 네트워크(1)에 접속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70u)에 전용전화단말(60u)이 접속되면, 퍼스널 컴퓨터(70u)는 SIP의 "REGISTER" 메시지를 이용하여, 퍼스널 컴퓨터(70u)에 할당되어 있는 IP 어드레스[x',x',x',x']를 SIP 서버(11)에 송신한다(S10). "REGISTER" 메시지를 수신한 SIP 서버(11)는 MD5 등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챌린지 밸류(challenge value)를 송신한다(S20).
챌린지 밸류를 수신한 퍼스널 컴퓨터(70u)는 사용자 ID[user_a], 사용자 ID에 대응되어 있는 패스워드, 전용전화단말(60u)에 기억되어 있는 단말 ID[U1234-5678]에 기초하여, MD5 등의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한 값을 SIP 서버(11)에 송신한다(S30).
이어, SIP 서버(11)는 퍼스널 컴퓨터(70u)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ID[user_a], 패스워드, 단말 ID[U1234-5678] 및 IP 어드레스[x',x',x',x']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송신한다(S40).
데이터베이스 서버(12)는 SIP 서버(11)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전용전화단말(60u)을 인증하며 또한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1)'를 IP 어드레스'[x',x',x',x']로 변경한다(S50).
이어, 데이터베이스 서버(12)는 전용전화단말(60)이 인증되어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1)'의 내용을 갱신한 것을 SIP 서버(11)에 통지한다(S60).
SIP 서버(11)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로부터의 통지에 기초하여, 등록이 완료된 것을 퍼스널 컴퓨터(70u)에 통지한다(S70). 또한, SIP 서버(11)는 SIP 헤더의 "expires" 파라미터에 의해 IP 어드레스[x',x',x',x']의 등록유효기간을 포함하여 통지한다.
상술한 처리가 완료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050-xxxx-]에 관한 정보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내용으로 변경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전용전화단말(60u)에 대한 호의 접속 처리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IP 전화단말(26)이 전화번호[050-xxxx-]에 대해 호를 발한 경우, 콜 에이전트(13)는 해당 전화번호와 IP 전화단말(26)의 IP 어드레스[y.y.y.y]를 IP 전화 단말(26)로부터 수신한다(S80). 이어, 콜 에이전트(13)는 수신한 전화번호[050-xxxx-]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한다(S90). 여기서, 콜 에이전트(13)는 전화번호[050-xxxx-]와 관련지어져 있는 IP 어드레스[x',x',x',x']를 취득함과 아울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LF'에 '1'이 기억되어 있음으로 인해, 퍼스널 컴퓨터(70u)에 할당되어 있는 IP 어드레스인 것을 인식한다(S100).
여기서, 콜 에이전트(13)는 IP 어드레스[x',x',x',x'] 및 IP 전화 단말(26)의 IP 어드레스[y.y.y.y]를 SIP 서버(11)에 송신한다(S110).
SIP 서버(11)는 콜 에이전트(13)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IP 전화 단말(26)로부터의 호를 전용전화단말(60u)에 접속한다(S120). 그 후, IP 전화 단말(26)과 전용전화단말(60u) 사이에서 통신이 개시된다(S130).
이어, IP 네트워크(1)에 접속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70u)와의 접속이 끊어진 경우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SIP 서버(11)는 콜 에이전트(13)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IP 전화 단말(26)로부터의 호를 전용전화단말(60u)에 접속한다(S120). 그 후, IP 전화 단말(26)과 전용전화단말(60u)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개시된다(S130).
이어, IP 네트워크(1)에 접속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70u)와의 접속이 끊어진 경우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SIP 서버(11)는 스텝(S70)에서 퍼스널 컴퓨터(70u)에 통지한 IP 어드레스[x',x',x',x']의 등록유효기간이 경과하더라도, 퍼스널 컴퓨터(70u)로부터 해당 IP 어드레스가 재등록되지 않을 경우, 퍼스널 컴퓨터(70u)에 접속되어 있는 전용전화단말(60u)을 호출한다(S140).
SIP 서버(11)는, 스텝(S140)의 호출에 전용전화단말(60u)이 소정 시간 내에 응답하지 않을 경우, 퍼스널 컴퓨터(70u)와 IP 네트워크(1)와의 접속이 끊어졌다고 판정한다(S150).
또한, 전용전화단말(60u)과 퍼스널 컴퓨터(70u)와의 접속만이 끊어진 경우, 퍼스널 컴퓨터(70u)는 SIP에 기초하여 전용전화단말(60u)의 접속이 끊어졌음을 SIP 서버(11)에 통지할 수도 있다.
SIP 서버(11)는 스텝 S150에 의한 판정 결과, 또는 전용전화단말(60u)의 접속이 끊어졌음을 알리는 퍼스널 컴퓨터(70u)로부터의 통지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전용전화단말(60u) 또는 퍼스널 컴퓨터(70u)의 접속이 끊어졌음을 통지한다(S160).
데이터베이스 서버(12)는 SIP 서버(11)로부터의 해당 통지에 기초하여, 전화번호[050-xxxx-]에 대한 호의 우선접속처, 즉 전화번호[050-xxxx-]와 IP 어드레스[x',x',x',x']와의 관련을 해제한다(S170).
스텝 S170의 처리가 완료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내용으로 변경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의한 작용, 효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따르면, 전용전화단말(60u)에 의해 송신된 IP 어드레스[x',x',x',x']에 기초하여, 사용자(U)의 전화번호[050-xxxx-]에 대한 호가 전용전화단말(60u)에 접속되기 때문에, 사용자(U)는 전화번호[050-xxxx-]에 대한 호에 전용전화단말(60u)을 사용하여 응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퍼스널 컴퓨터(70u)에 의해 송신된 IP 어드레스[x',x',x',x']가,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에 우선하는 우선접속처로서 자동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U)의 수동에 의한 접속처 어드레스의 변경을 피할 수 있다. 즉, 사용자(U)는 동일한 전화번호[050- xxxx-]가 할당된 IP 전화 단말(21u)과 전용전화단말(60u)의 2대의 전화 단말을 '접속처 어드레스' 등의 변경 조작을 하지 않고도 잘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용전화단말(60u)로부터 송신된 단말 ID와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되어 있는 단말 ID에 기초하여 전용전화단말(60u)을 인증하기 때문에, 사용자(U)의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사용하지 않고 전용전화단말(60u)에 대한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SIP 서버(11)에 의해 전용전화단말(60u)과 퍼스널 컴퓨터(70u)와의 접속이 끊어진 것, 또는 퍼스널 컴퓨터(70u)와 IP 네트워크(1)와의 접속이 끊어진 것이 검지된 경우, 설정되어 있는 우선접속처가 해제되기 때문에, 콜 에이전트(13)는 전용전화단말(60u) 또는 퍼스널 컴퓨터(70u)와 IP 네트워크(1)와의 접속이 끊어져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전화번호[050-xxxx-]에 대한 호를 접속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용전화단말(60u)로부터 송신된 단말 ID 뿐만 아니라, 사용자 ID와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전용전화단말(60u)을 인증하기 때문에, 부정한 서비스 이용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용전화단말(60u)이 단말 ID의 독출만이 가능한 단말 ID 기억부(65)를 추가로 구비하며, 등록정보송신부(73)가 단말 ID 기억부(65)로부터 독출한 단말 ID를 송신하기 때문에, 사용자 등에 의한 단말 ID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정한 서비스 이용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퍼스널 컴퓨터(70u)가,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기억 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72)를 추가로 구비하며, 등록정보송신부(73)가 단말 ID와 사용자 정보 기억부(72)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송신하기 때문에, 접속시마다 사용자(U)가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어,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단말장치를 일반무선기지국(3B) 또는 자영기지국장치(100u)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IP 네트워크(1)에 접속가능한 휴대단말장치(90u)와, IP 네트워크(1)에 접속가능한 자영기지국장치(100u)에 의해 구성한다.
휴대단말장치(90u)는 사용자(U)가 휴대하고 다니며 이동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전화번호[070-xxxx-]가 할당되어 있음과 아울러, IP 어드레스[x',x',x',x']가 할당되어 있다. 이 휴대단말장치(90u)는 무선기지국(3B)에 대해, PHS 방식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통신을 하며, 무선기지국(3B)을 통해, 이동전화네트워크(3)로부터 IP 네트워크(1)로의 액세스가 가능하며, VoIP 기술에 의해, IP 네트워크(1)를 통한 IP 전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휴대단말장치(90u)는 무선기지국(3B)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동일한 프로토콜인 PHS 방식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자영기지국장치(100u)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자영기지국장치(100u)를 통해 IP 네트워크(1)에 액세스하여 IP 네트워크(1)를 통한 IP 전화도 가능하다. 또한, 휴대전화장치(90u)는 IEEE802.11 등의 무선 LAN를 통해서도, 자영기지국장치(100u)에 접속이 가능하며, 이 무선 LAN을 통한 IP 전화도 가능하다. 이 PHS 방식과 무선 LAN 방식의 접속은 통신환경(전파상황 등)에 따라 자동적으로 혹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환된다.
자영기지국장치(100u)는 상술한 전용 터미널 어댑터(80u)나 IP 전화 단말(21u)에, PHS 방식의 자영기지국수단이나 무선 LAN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 이에 접속된 전화기를 이용한 IP 전화가 가능함과 아울러, 휴대단말장치(90u)와의 무선통신에 의한 IP 전화도 가능한 장치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자영기지국장치(100u)는 무선전파가 닿는 소정값 영역 내에서, 상술한 무선기지국(3B)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사용자(U)는 무선기지국(3B)으로부터의 전파가 닿지 않는 장소이더라도, 자영기지국장치(100u)를 통해 PHS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영기지국장치(100u)는 PHS 방식의 무선통신과 무선 LAN의 전환 스위치(101a)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PHS 방식과 무선 LAN을 임의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자영기지국장치(100u)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자영기지국 기능을 안테나 어댑터 형식으로 하며, 이를 퍼스널 컴퓨터(70u)에 삽입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70u)의 기능과 협동시켜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70u)의 카드 쓰로틀(throttle)이나 USB 쓰로틀에 탈부착 가능한 어댑터 형식으로 하며, 휴대단말장치(90u)에 대한 무선통신용의 통신 안테나 기능을 퍼스널 컴퓨터(70u)에 추가하는 형태로 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장치(90u)와 자영기지국장치(100u)와의 기능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장치(90u)는 입력키부(91), 표시부(92), 음성신호입출력부(93), 신호처리부(94) 및 접속처리부(99)를 가지고 있다.
입력키부(91)는 전화번호와 같은 숫자나 소정의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다. 입력키부(91)에 의해 입력된 숫자나 문자의 데이터는 신호처리부(94)로 송신된다. 표시부(92)는 입력키부(91)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의 내용이나 발신원의 전화번호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 신호처리부(94)와 접속되어 있다. 음성신호 입출력부(93)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함과 아울러, 신호처리부(94)와의 사이에서 음성대역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신호처리부(94)는 음성신호 입출력부(93)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음성대역신호와 소정 규격에 따른 디지털 신호와의 변환을 수행함과 아울러,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IP 패킷으로 변환시키는 모듈이다. 또한, 신호처리부(94)는 입력키부(91) 및 표시부(92)와 접속되며, 전화번호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신호처리부(94)는 예를 들면 ITU-T G.729a/b에 준거한 코덱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94)는 디지털화된 음성신호 및 전화번호 등의 데이터와 IP 패킷과의 변환을 수행한다.
접속처리부(99)는 PHS부(97)를 통해 직접 무선기지국(3b)에 접속할 경우, SIP 서버(11)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접속처리부(104)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기초하여, 상술한 단말 ID[U1234-5678], IP 어드레스[x',x',x',x'], 사용자 ID[user_a] 및 패스워드를 SIP 서버(11)에 송신한다. 또한, 접속처리부(104)는 송신한 IP 어드레스[x',x',x',x']가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등록된 경우에는 SIP 서버(11)로부터 해당 IP 어드레스의 등록유효기간을 나타내는 정보(SIP 헤더의 "expires" 파라미터)를 수신한다.
또한, 접속처리부(99)는 수신한 해당 IP 어드레스의 등록유효기간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유효기간이 경과하기 전에 IP 어드레스,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재차 SIP 서버(11)에 송신하며,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해당 IP 어드레스를 재등록시킨다. 또한, 접속처리부(99)는 직접 무선기지국(3b)에 접속할 경우, SIP에 기초하여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서버(11)와 휴대단말장치(90u), 즉 사용자(U)가 이용하는 전화번호[070-xxxx-]에 대한 호의 접속을 실행한다.
또한, 휴대단말장치(90u)는 등록정보송신부(95a), 사용자 정보 기억부(95b) 및 단말 ID 기억부(95c)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 정보 기억부(95b)는 사용자(U)를 식별하는 사용자 ID(사용자 식별자)와, 해당 사용자 ID에 대응된 패스워드를 기억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U)의 사용자 ID[user_a]와, 이 사용자 ID에 대응된 패스워드가 기억된다. 또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는 사용자(U)가 이용하는 전화번호[070-xxxx-]와 관련지어져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되어 있다.
휴대단말장치(90u)가 IP 네트워크(1)에 접속된 경우, 사용자 정보 기억부(95b)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ID와 패스워드가 단말 ID 등과 함께 자동적으로 SIP 서버(11)에 송신되기 때문에, 접속시마다 사용자 ID 등의 정보를 사용자(U)가 입력 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등록정보송신부(95a)는 SIP 서버(11)와 통신가능한 IP 네트워크(1)에 휴대단말장치(90u)가 접속된 경우, 휴대단말장치(90u)를 식별하는 단말 ID와, IP 네트워크(1)의 위치를 특정하는 단말 위치 어드레스, 즉 휴대단말장치(90u)가 IP 네트워크(1)에 접속되어 있는 곳을 특정하는 IP 어드레스[x',x',x',x']를 SIP 서버(11)에 송신하는 것이다.
또한, 등록정보송신부(95a)는 사용자(U)의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다시 SIP 서버(11)에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 ID와 IP 어드레스 뿐만 아니라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다시 송신할 지의 여부는, 확보할 보안 레벨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단말 ID 기억부(95c)는 휴대단말장치(90u)에 할당되는 단말 ID(단말 식별자)를 등록정보송신부(95a)에 송출하기 위한 기억 메모리이다.
여기서, 휴대단말장치(90u)에 할당되는 단말 ID는 휴대단말장치(90u)에 대해 고유한 식별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Uxxxx-xxxx]의 구성을 갖는 시리얼 번호가 사용되며, 휴대단말장치(90u)에는 [U1234-5678]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해당 단말 ID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사용자(U)가 이용하는 전화번호[070-xxxx-]와 관련지어져 기억되어 있다. 또한, 단말 ID는 [Uxxxx-xxxx]의 구성을 갖는 시리얼 번호 대신에, 휴대단말장치(90u)에 할당되는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해당 시리얼 번호는 부정한 IP 전화 서비스의 이용을 목적으로 한 내 용의 고쳐쓰기가 불가능하도록 FLASH 등에 기록된다. 따라서, 해당 시리얼 번호를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어렵게 되며, 부정한 IP 전화 서비스 이용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장치(90u)는 PHS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인 PHS부(97)와, 무선 LAN 등의 근거리 통신용 통신 인터페이스인 무선 LAN부(98)와, 이들 PHS부(97)와 무선 LAN부(98)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부(96)를 구비하고 있다.
PHS부(97)는 무선기지국(3B)이나 자영기지국장치(100u)에 구비된 자영 PHS부(106)와의 사이에서, PHS 방식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무선 LAN부(98)는 자영기지국(100u)에 구비된 무선 LAN부(107)와의 사이에서 IEEE802.11 등에 준거한 방식에 의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전환부(96)는 입력키부(91)를 통한 사용자 조작이나 신호처리부(94)에서의 수신전파강도의 판정에 따라, PHS부(97) 및 무선 LAN부(98)를 선택적으로 신호처리부(94)에 접속하는 전환스위치이다.
한편, 자영기지국장치(100u)는 접속처리부(104)와 네트워크 IF부(105)를 가지고 있다.
접속처리부(104)는 네트워크 IF부(105)를 통해 SIP 서버(11)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접속처리부(104)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기초하여, 상술한 단말 ID[U1234-5678], IP 어드레스[x',x',x',x'], 사용자 ID[user_a] 및 패스워드를 SIP 서버(11)에 송신한다. 또한, 접속처리부 (104)는 송신한 IP 어드레스[x',x',x',x']가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등록된 경우에는 SIP 서버(11)로부터 해당 IP 어드레스의 등록유효기간을 나타내는 정보(SIP 헤더의 "expires" 파라미터)를 수신한다. 또한, 접속처리부(104)는 수신한 해당 IP 어드레스의 등록유효기간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유효기간이 경과하기 전에 IP 어드레스,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재차 SIP 서버(11)에 송신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해당 IP 어드레스를 재등록시킨다.
또한, 접속처리부(104)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기초하여 SIP 서버(11), 휴대단말장치(90u), 즉 사용자(U)가 이용하는 전화번호[070-xxxx-]에 대한 호의 접속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접속처리부(104)는 휴대단말장치(90u)가 자영기지국장치(100u)와 접속되어 있는지를 정기적으로 확인한다. 휴대단말장치(90u)와 자영기지국장치(100u)와의 접속이 끊긴 경우, 접속처리부(104)는 그 취지를 SIP 서버(11)에 통지한다.
네트워크 IF부(105)는 IP 네트워크(1)와 접속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IF부(105)는 IEEE802.3u에 준거한 100BASE-TX 등의 LAN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IP 네트워크(1)와 자영기지국장치(100u)와의 접속에는 IP 네트워크(1)와 접속되는 액세스 회선의 상황에 따라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자영기지국장치(100u)는 PHS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인 자영 PHS부(106)와, 무선 LAN 등의 근거리 통신용 통신 인터페이스인 무선 LAN부(107)와, 이들 자영 PHS부(106)와 무선 LAN부 (107)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부(108)를 구비하고 있다.
자영 PHS부(106)는 휴대단말장치(90u)에 구비된 PHS부(97)와의 사이에서 PHS 방식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무선 LAN부(107)는 휴대단말장치(90u)에 구비된 무선 LAN부(98)와의 사이에서 IEEE802.11 등에 준거한 방식에 의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전환부(108)는 스위치(101a)를 통한 사용자 조작이나, 자영 PHS부(106) 및 무선 LAN부(107)에서의 수신전파강도의 판정에 기초하여, 자영 PHS부(106) 및 무선 LAN부(107)를 선택적으로 접속처리부(104)나 네트워크 IF부(105)에 접속하는 전환 스위치이다.
(통신시스템의 동작 개요)
이하,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동작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 댁 내(25)의 사용자가, IP 전화 단말(26)을 이용하여 사용자 댁 내(20)에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U)가 이용하는 IP 전화 단말(21u)에 대해 호를 발한 경우, 먼저, 콜 에이전트(13)는 IP 전화 단말(21u)에 할당되어 있는 전화번호[050-xxxx-]를 IP 어드레스[y.y.y.y]와 함께 IP 전화 단말(26)로부터 수신한다. 이어, 콜 에이전트(13)는 수신한 전화번호[050-xxxx-]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12)를 참조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는 예를 들면 도 11의 전화번호 테이블(125a)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콜 에이전트(13)는 전화번호 테이블(125a)의 '할당전화번호'로 표시되어 있는 [050-xxxx-]에 기초하여, '접속처 어 드레스(우선순위1)'로 표시되어 있는 IP 어드레스[x.x.x.x]를 취득한다. 콜 에이전트(13)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로부터 취득한 IP 어드레스[x.x.x.x], IP 전화 단말(26)로부터 수신한 IP 어드레스[y.y.y.y]에 기초하여 IP 전화 단말(26)과 IP 전화 단말(21u)을 접속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서버(12)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한 호를 전송하는 전송처의 전화번호를 기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화번호 테이블(125a)에서, 할당전화번호[050-xxxx-]에는 상술한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1)'로서 기억되어 있는 IP 어드레스[x.x.x.x] 뿐만 아니라,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4)'로서, 사용자(U)가 휴대하는 휴대단말장치(90u)의 전화번호[070-xxxx-]가 기억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전화번호 테이블(125a)은 계층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 할당전화번호[070-xxxx-]의 하위 테이블(125c)에는 휴대단말장치(90u)와 접속가능한 자영기지국장치(100u)의 IP 어드레스가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2)'로서, 사용자(U)의 오피스(30)에 설치된 자영기지국장치(100u)의 IP 어드레스[x1.x1.x1.x1]가 기억되며,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3)'로서, 사용자(U)가 이용하는 퍼스널 컴퓨터(70u)에 설치된 자영기지국장치(100u)의 IP 어드레스[x2.x2.x2.x2]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U)는 인터넷 등을 통해, 일반전화단말(31)의 전화번호나 이동전화단말(51u)의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시킬 수 있다.
콜 에이전트(13)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복수의 접속처 어드레스가 기억 되어 있는 경우, 접속처 어드레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전화번호[050-xxxx-]에 대한 호를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콜 에이전트(13)는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1)'로서 기억되어 있는 IP 어드레스[x.x.x.x]에 기초하여 IP 전화 단말(21u)을 호출하는데, IP 전화 단말(21u)이 콜 에이전트(13)로부터의 호출에 소정 시간 내에 응답하지 않을 경우, IP 전화 단말(21u)에 대한 호출을 중지하고, '접속처 어드레스(우선순위2)'로서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03-xxxx-]에 기초하여 일반전화단말(31)을 호출할 수 있다.
또한, 콜 에이전트(13)는 휴대단말장치(90u)를 호출할 때에는 직접 PHS 방식에 의해 전화번호[070-xxxx-]를 호출하며, 소정 시간 내에 응답하지 않을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자영기지국장치(100u)의 IP 어드레스를 통해 호출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접속처 어드레스'의 우선순위는 사용자(U)가 소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다시 기억시킴으로써, 1일 시간대에 따라 변경하여도 좋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2)와 콜 에이전트(13)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사용자(U)가 존재하는 장소에 따라, 사용자(U)가 이용하는 전화번호[050-xxxx-]에 대한 호를 소정의 전화 단말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U)가 자영기지국장치(100u)를 통해 휴대단말장치(90u)를 IP 네트워크(1)에 접속한 경우, 그 접속한 자영기지국장치(100u)에 할당된 IP 어드레스가, 상술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되어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로서 SIP 서버(11)를 통해 설정된다.
따라서, 사용자(U)는 예를 들면 출장지 등에서, 자영기지국장치(100u)를 통해, 휴대단말장치(90u)를 IP 네트워크(1)에 접속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서버(12)에 기억되어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를 스스로 변경하지 않고도, 전화번호'050-xxxx-]에 대한 호에 대해 자영기지국장치(100u)와 휴대단말장치(90u)를 이용하여 응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자(U)가 동일한 전화번호[050-xxxx-]가 할당된 IP 전화 단말(21u)과 전용전화단말(60u)의 2대의 전화 단말을 '접속처 어드레스' 등의 변경 조작을 하지 않고도 잘 구별하여 사용하는 것을 실현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영기지국장치(100u)에 의해, 휴대단말장치(90u)와의 사이에서 PHS 방식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단말장치(90u)에 할당된 PHS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IP 전화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자영기지국장치(100u)를 퍼스널 컴퓨터(70u)에 대해 탈부착 가능한 안테나 어댑터로 하면, 이 안테나 어댑터를 휴대함으로써, 예를 들면 해외 등, 무선기지국(3B)의 전파가 닿지 않는 장소이더라도, IP 네트워크(1)에 접속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가 있는 곳이면, 자영의 PHS 안테나국을 구축할 수 있어, 통상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PHS 전화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로부터 해당 단말장치를 식별하는 정보 및 해당 네트워크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자동적으로 송신시키 고, 이 송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호 접속 서버의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한 호를 해당 단말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호 접속 서버, 단말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3)

  1. 단말장치와, 소정의 전화번호와 관련지어져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한 호를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호 접속 서버를 구비하는 통신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호 접속 서버와 통신가능한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를 식별하는 단말 식별자와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네트워크상의 위치를 특정하는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상기 호 접속 서버에 송신하는 등록정보송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호 접속 서버는,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와 상기 접속처 어드레스와 상기 단말 식별자를 서로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단말 식별자와 상기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등록정보수신부와,
    수신한 상기 단말 식별자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단말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를 인증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부에 의해 상기 단말장치가 인증된 경우, 수신한 상기 단말 위치 어드레스와, 상기 단말 식별자와 관련지어져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대응시킴과 아울러, 상기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상기 접속처 어드레스에 우선하는 우선접속처로서 설정하는 우선접속처 설정부와,
    상기 우선접속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 위치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호를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호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접속 서버는,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끊어진 것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우선접속처 설정부는, 상기 검지부에 의해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끊어진 것이 검지된 경우, 설정되어 있는 상기 우선접속처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패스워드를 다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와 관련지어 기억하고,
    상기 등록정보송신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패스워드를 다시 상기 호 접속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등록정보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패스워드를 다시 수신하며,
    상기 인증부는 수신한 상기 단말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패스 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등록정보송신부에 의한 독출만이 가능하게 상기 단말 식별자를 기억하는 단말 식별자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등록정보송신부는 상기 단말 식별자 기억부로부터 독출한 상기 단말 식별자를 상기 호 접속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패스워드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등록정보송신부는 상기 단말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패스워드를 상기 호 접속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자영기지국장치와,
    상기 등록정보송신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일반무선기지국 또는 상기 자영기지국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휴대단말장치로 이루어 지며,
    상기 휴대단말장치와 상기 일반무선기지국 간의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자영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 및 상기 자영기지국장치는
    상기 프로토콜을 이용한 무선통신용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와,
    근거리 통신용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영기지국장치는 컴퓨터에 탈부착 가능한 어댑터부와,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대한 무선통신용의 통신 안테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9. 소정의 전화번호와 관련지어져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한 호를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호 접속 서버로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와 상기 접속처 어드레스와 상기 단말 식별자를 서로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호 접속 서버와 통신가능한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를 식별하는 단말 식별자와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네트워크상의 위치를 특정하는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등록정보수신부와,
    수신한 상기 단말 식별자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단말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를 인증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부에 의해 상기 단말장치가 인증된 경우, 수신한 상기 단말 위치 어드레스와, 상기 단말 식별자와 관련지어져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대응시킴과 아울러, 상기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상기 접속처 어드레스에 우선하는 우선접속처로서 설정하는 우선접속처 설정부와,
    상기 우선접속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 위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호를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호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접속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끊어진 것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우선접속처 설정부는, 상기 검지부에 의해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끊어진 것이 검지된 경우, 설정되어 있는 상기 우선접속처를 해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접속 서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패스워드를 다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와 관련지어 기억하며,
    상기 등록정보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패스워드를 다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인증부는 수신한 상기 단말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접속 서버.
  12. 호 접속 서버에 의해, 소정의 전화번호와 관련지어져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한 호가 접속되는 단말장치로서,
    상기 호 접속 서버는, 상기 단말장치를 식별하는 단말 식별자와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호 접속 서버와 통신가능한 네트워크의 위치를 특정하는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단말 위치 어드레스와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상기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상기 접속처 어드레스에 우선하는 우선접속처로서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 상기 단말 식별자와 상기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상기 호 접속 서버에 송신하는 등록정보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등록정보송신부에 의한 독출만이 가능하게 상기 단말 식별자를 기억하는 단말 식별자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등록정보송신부는 상기 단말 식별자 기억부로부터 독출한 상기 단말 식별자를 상기 호 접속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접속 서버는 상기 단말 식별자와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를 인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패스워드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등록정보송신부는 상기 단말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패스워드를 상기 호 접속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자영기지국장치와,
    상기 등록정보송신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일반무선기지국 또는 상기 자영기지국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휴대단말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휴대단말장치와 상기 일반무선기지국 간의 무선통신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자영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 및 상기 자영기지국장치는 상기 프로토콜을 이용한 무선통신용의 제 1 통신 인터페이스와,
    근거리통신용의 제 2 통신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의 조작에 이해,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영기지국장치는, 컴퓨터에 탈부착 가능한 어댑터부와,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대한 무선통신용의 통신 안테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8. 단말장치와, 소정의 전화번호와 관련지어져 있는 접속처 어드레스에 기초하 여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한 호를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호 접속 서버를 이용한 통신방법으로서,
    상기 호 접속 서버는,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와 상기 접속처 어드레스와 상기 단말 식별자를 관련지어 기억해 두고,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호 접속 서버와 통신가능한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 상기 호 접속 서버가, 상기 단말장치를 식별하는 단말 식별자와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네트워크상의 위치를 특정하는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스텝(A)과,
    상기 호 접속 서버가, 수신한 상기 단말 식별자와 기억되어 있는 상기 단말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를 인증하는 스텝(B)과,
    상기 스텝(B)에서 상기 단말장치가 인증된 경우, 상기 호 접속 서버가, 수신한 상기 단말 위치 어드레스와, 상기 단말 식별자와 관련지어져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대응시킴과 아울러, 상기 단말 위치 어드레스를 상기 접속처 어드레스에 우선하는 우선접속처로서 설정하는 스텝(C)과,
    상기 우선접속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호 접속 서버가, 상기 단말 위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호를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스텝(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접속 서버가,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끊어진 것 을 검지하는 스텝(E)과,
    상기 스텝(E)에서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끊어진 것이 검지된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스텝(C)에서 설정된 우선설정처를 해제하는 스텝(F)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패스워드를 다시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와 관련지어 기억해 두고,
    상기 스텝(A)에서는, 상기 호 접속 서버가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패스워드를 다시 상기 호 접속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스텝(B)에서는, 상기 호 접속 서버가, 수신한 상기 단말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A)에서는, 상기 단말장치의 내부에 기억되며 독출만이 가능한 상기 단말 식별자를 상기 호 접속 서버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A)에서는, 상기 단말장치의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패스워드를 상기 호 접속 서버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자영기지국장치와, 상기 등록정보송신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일반무선기지국 또는 상기 자영기지국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휴대단말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텝(A)에서,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일반무선기지국에 대한 무선통신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자영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을 확립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KR1020067001879A 2003-07-30 2003-11-21 통신시스템, 호 접속 서버, 단말장치 및 통신방법 KR20060117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83009 2003-07-30
JP2003283009 2003-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901A true KR20060117901A (ko) 2006-11-17

Family

ID=3411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879A KR20060117901A (ko) 2003-07-30 2003-11-21 통신시스템, 호 접속 서버, 단말장치 및 통신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60521B2 (ko)
EP (1) EP1650940A4 (ko)
JP (1) JP4478109B2 (ko)
KR (1) KR20060117901A (ko)
CN (1) CN1820490A (ko)
AU (1) AU2003284437A1 (ko)
TW (1) TW200507549A (ko)
WO (1) WO20050135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573A (ko) * 2014-02-25 2015-09-02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
KR20150127551A (ko) * 2014-05-07 2015-11-17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통신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4366B2 (ja) * 2004-03-30 2010-11-04 要二 竹内 Ip電話端末として機能させる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cd−rom、管理サーバ、運用サーバ、及びip電話端末登録方法
JP2006019986A (ja) * 2004-06-30 2006-01-19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電話システムの電話端末及びこの電話端末で使用される給電方法
JP4516375B2 (ja) * 2004-08-06 2010-08-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呼接続制御装置及びip電話システム
DE102004043969A1 (de) * 2004-09-11 2006-03-16 Deutsche Thomson-Brandt Gmbh Netzwerkverbindungsschalteinheit
US8060070B2 (en) * 2004-12-22 2011-11-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directing communications for a mobile device
KR100693054B1 (ko) * 2005-01-19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장치 및 그방법
KR100641189B1 (ko) * 2005-03-07 2006-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
JP2007267086A (ja) * 2006-03-29 2007-10-11 Nec Access Technica Ltd Sipアダプタ装置
CN101102583A (zh) * 2006-07-05 2008-01-09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终端标识的使用方法及装置
JP4779844B2 (ja) * 2006-07-13 2011-09-28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加入者端末
EP2051494A1 (en) * 2006-08-04 2009-04-22 NEC Corporation Setting information registering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etting information registering method and setting information registering program
US20080075064A1 (en) * 2006-08-30 2008-03-27 Microsoft Corporation Device to PC authentication for real time communications
CN100438448C (zh) * 2006-09-14 2008-11-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故障后实现网络通话的方法及其装置
US9094784B2 (en) * 2006-10-10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Registration of a terminal with a location server for user plane location
US20080137643A1 (en) * 2006-12-08 2008-06-12 Microsoft Corporation Accessing call control functions from an associated device
US20080304473A1 (en) * 2007-06-11 2008-12-11 At&T Corp. Enhanced terminal adapter
US8270958B2 (en) * 2007-06-20 2012-09-1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ommunication forwarding
US8495232B2 (en) 2007-07-10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broadcast communications in a peer to peer network
US8861418B2 (en) 2007-07-10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group communications with data re-transmission support
US7961698B2 (en) * 2007-07-10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to broadcast signaling in a peer to peer network
US8694662B2 (en) 2007-07-10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transmission requests to members of a group and/or making group related transmission decisions
JP5051230B2 (ja) * 2007-08-02 2012-10-17 富士通株式会社 電話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164583B2 (ja) * 2008-01-21 2013-03-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システム
US8943560B2 (en) * 2008-05-28 2015-01-27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to provision and manage a digital telephone to authenticate with a network
US8311983B2 (en) * 2009-04-28 2012-11-13 Whp Workflow Solutions, Llc Correlated media for distributed sources
US10565065B2 (en) 2009-04-28 2020-02-18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Data backup and transfer across multiple cloud computing providers
US10419722B2 (en) 2009-04-28 2019-09-17 Whp Workflow Solutions, Inc. Correlated media source management and response control
TWI396419B (zh) * 2009-08-24 2013-05-11 Ind Tech Res Inst 用於行動虛擬私人網路的通話建立方法及其接取點裝置
JP5356339B2 (ja) * 2010-09-03 2013-12-04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CN103069855A (zh) * 2010-12-28 2013-04-24 三洋电机株式会社 终端装置
JP5524907B2 (ja) * 2011-06-09 2014-06-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呼接続処理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CN104954592B (zh) * 2014-03-28 2017-10-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网络电话的通信方法及装置
JP6657025B2 (ja) * 2016-06-17 2020-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者推定システム
KR102359316B1 (ko) * 2017-08-31 2022-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콜 제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898004B2 (ja) * 2019-12-12 2021-07-07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電話交換装置、電話端末、電話交換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0422Y2 (ja) * 1991-12-06 1997-07-02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メモリカード付電話装置
JPH07170570A (ja) * 1993-12-13 1995-07-04 Nec Corp 構内電話交換方式
JP2853688B2 (ja) * 1996-12-26 1999-02-03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ーソナル通信システムのモビリティ管理方式
JPH1188331A (ja) * 1997-09-05 1999-03-30 Toshiba Corp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のプログラム情報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6519242B1 (en) * 1998-12-09 2003-02-11 Nortel Networks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of PSTN based network roaming and SCP based subscriber management for internet telephony systems
US6751459B1 (en) * 1999-04-20 2004-06-15 Nortel Networks Limited Nomadic computing with personal mobility domain name system
JP2001285476A (ja) * 2000-03-28 2001-10-12 Fujitsu Ltd Ip端末収容方法及びその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ゲートキーパー装置及びip端末
JP2001292480A (ja) * 2000-04-06 2001-10-19 Hitachi Telecom Technol Ltd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通信システム
US6958992B2 (en) * 2001-03-16 2005-10-25 Mitel Corporation Registering an IP phone with an IP phone switch
JP2003018627A (ja) * 2001-06-28 2003-01-17 Nec Corp 移動無線電話接続装置及び移動無線電話接続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573A (ko) * 2014-02-25 2015-09-02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
KR20150127551A (ko) * 2014-05-07 2015-11-17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통신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20490A (zh) 2006-08-16
WO2005013590A1 (ja) 2005-02-10
JPWO2005013590A1 (ja) 2006-09-28
TW200507549A (en) 2005-02-16
TWI323999B (ko) 2010-04-21
US7460521B2 (en) 2008-12-02
US20070064918A1 (en) 2007-03-22
EP1650940A1 (en) 2006-04-26
EP1650940A4 (en) 2009-08-19
AU2003284437A1 (en) 2005-02-15
JP4478109B2 (ja)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8109B2 (ja) 通信システム、呼接続サーバ、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JP2001285476A (ja) Ip端末収容方法及びその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ゲートキーパー装置及びip端末
JP2001500679A (ja) 遠隔制御によって呼を経路選択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60130204A (ko) 텔레비전 전화 시스템, 자영기지국장치, 셋톱박스 및텔레비전 전화방법
US20110286443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roaming in dect-voip network
JP5212071B2 (ja) 通信装置および移動端末
CN101026636A (zh) 双通道通信终端及其系统、以及该终端的通信方法和远程控制方法
US200300768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internet telephone
US8588390B2 (en) Telephone conversation relay server, voice telephone conversation system, and voice telephone conversation relay method
JP4554636B2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プロトコル変換方法
US7808943B2 (en) Mobile body communication system, mobile body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body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JP2008252762A (ja) 発信者情報の取得方法、通信端末および基地局
KR20020072929A (ko) 컴퓨터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JP4585480B2 (ja) 電話システム及び電話交換装置
JP4118714B2 (ja) 無線LAN配下におけるVoIP通信端末のなりすましを識別する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H1094038A (ja) 相互接続装置
JP3313662B2 (ja) 携帯端末
JP2000069145A (ja) 通信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および通信端末
JP4257226B2 (ja) 収容スイッチ、ip電話機及びip電話アダプタ並びに収容スイッチ用プログラム、ip電話機用プログラム及びip電話アダプタ用プログラム
KR100862750B1 (ko) 전화 접속 중계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JP4276251B2 (ja) 移動通信端末および移動通信端末の制御方法。
KR100716185B1 (ko) 사설 교환 시스템의 원격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JP5522366B2 (ja) 交換制御装置および発番号通知方法
KR100599976B1 (ko) VoIP 단말의 장애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VoIP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