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551A - 통신 서버 - Google Patents

통신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551A
KR20150127551A KR1020150063396A KR20150063396A KR20150127551A KR 20150127551 A KR20150127551 A KR 20150127551A KR 1020150063396 A KR1020150063396 A KR 1020150063396A KR 20150063396 A KR20150063396 A KR 20150063396A KR 20150127551 A KR20150127551 A KR 20150127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lephone number
communication
pstn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308B1 (ko
Inventor
양희찬
스기모토 켄이치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7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59Making use of the calling party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1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dial plan and call routing
    • H04M2203/152Temporary dial pl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통신 서버는,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하는 제1 단말의 소정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있어서의 고유 정보인 제1 단말 ID와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착신하는 제2 단말의 PSTN(공중 교환 전화망)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인 제2 단말 번호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복수의 단말의 PSTN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있어서의 고유 정보와 전화 번호 및 고유 정보에 관련된 전화 번호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제1 단말 ID와 제2 단말 번호를 검색하는 검색부와, 제1 단말 ID와 제2 단말 번호에 관련되고 제1 단말을 특정하는 특정 전화 번호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제2 단말 번호를 송신지로서 특정 전화 번호를 제2 단말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서버 {Communication Server}
본 발명은 VoIP와 PSTN을 통해 통신 단말에 접속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은 종래의 웹이나 전자 메일로 대표되는 단순한 데이터 전송으로서의 도구로부터, 데이터 전송의 통신 품질과 함께 실시간성도 요구되는 음성 통신 서비스에도 응용되어 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브로드밴드의 보급에 따라 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IP(Internet Protocol) 전화를 포함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가 실용화되어 오고 있다.
VoIP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사용하여 IP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송수신하는 전송 기술이다. VoIP의 대표적인 예로서 IP 전화를 들 수 있다. IP 전화는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성 통신이다. 여기서, 통신 사업자(통신 캐리어)는 IP 전화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각자 전용으로 구축한 IP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2009-272668호 공보에 나타나듯이, IP 전화의 이용자는 IP 전화의 통신 캐리어로부터 IP 전화용 전화 번호(예를 들면, 050 번호 등)를 할당받아, IP 전화끼리 뿐만이 아니라 기존의 공중 교환 전화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사용하는 고정 전화와의 발착신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IP 전화로는 각 통신 캐리어의 규격이나 IP 전화의 발착신을 실시하는 단말의 사양에 따라서는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 발신 단말의 정보를 올바르게 착신 단말에 통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대체 수단으로서 각 통신 캐리어가 PSTN에서의 전화 번호를 취득해하여, 발신 단말마다 해당 전화 번호를 할당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전화 번호 취득 및 취득한 전화 번호의 유지 비용이 크기 때문에, 할당할 수 있는 전화 번호의 수에 제한이 있다. 즉, 상기의 방법으로는 이용자의 증가에 따라 비용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통신 서버는,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하는 제1 단말의 소정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있어서의 고유 정보인 제1 단말 ID와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착신하는 제2 단말의 PSTN(공중 교환 전화망)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인 제2 단말 번호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복수의 단말의 PSTN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있어서의 고유 정보와 전화 번호 및 고유 정보에 관련된 전화 번호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제1 단말 ID와 제2 단말 번호를 검색하는 검색부와, 제1 단말 ID 및 제2 단말 번호에 관련되고 제1 단말을 특정하는 특정 전화 번호가 검출되었을 경우 제2 단말 번호를 송신지로서 특정 전화 번호를 제2 단말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형태에 있어서, 검색부에 의해서 제1 단말 ID와 제2 단말 번호의 조합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1 단말 ID와 제2 단말 번호의 조합에 대해서 특정 전화 번호를 할당하는 할당부와, 제1 단말 ID, 제2 단말 번호, 및 특정 전화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에 있어서, 통지부는 PSTN과 IP 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가지는 통신 캐리어에 제2 단말 번호를 송신지로서 특정 전화 번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제1 단말의 PSTN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인 제1 단말 번호를 SMS 서버를 통해 메시지 형식으로 제2 단말에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통신 서버는,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하는 제2 단말의 PSTN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인 제2 단말 번호와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착신하는 제1 단말을 특정하는 특정 전화 번호를 PSTN과 IP 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가지는 통신 캐리어를 통해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복수의 단말의 PSTN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와 복수의 단말의 소정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있어서의 고유 정보와 전화 번호 및 고유 정보에 관련된 전화 번호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제2 단말 번호와 특정 전화 번호에 관련된 제1 단말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있어서의 고유 정보인 제1 단말 ID를 검색하는 검색부를 포함하고, 검출된 제1 단말 ID를 가지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에 통신 캐리어를 통해 접속한다.
또한,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제1 단말에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2 단말 번호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제1 단말의 사용자 또는 제2 단말의 사용자로부터의 연락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제1 단말 ID 또는 제2 단말 번호를 바꾸는 전화 번호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 대해 특정 전화 번호를 통지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TNT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 대해 메시지를 통지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음서어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 대해 발신 단말 번호를 통지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과 관련되는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에 대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은 많은 다른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의 기재 내용으로 한정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본 실시의 형태에 참조하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해, 그 반복의 설명은 생략 한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이용하는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에 대해서,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스템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나타나듯이, 음성 통신 시스템 100은, 통신 서버 110, 통신 캐리어 120, 및 발신 단말인 제1 단말 130이 인터넷 등의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접속되고 있다. 또한, 통신 캐리어 120 및 착신 단말인 제2 단말 140은 PSTN 102를 통해 접속되고 있다. 또한, 통신 서버 110은 데이터베이스 150에 접속되고 있다. 여기서, 통신 서버 110과 데이터베이스 150은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접속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단말 130이 PSTN 102에 접속될 수도 있다.
통신 서버 110은, IP 네트워크 101과 음성·영상 등을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의 통신을 실시하기 위해서, 2자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연관 또는 연관의 종료(예를 들면, 통신의 개시나 통신의 절단)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통신 서버 110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서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서버 110은,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제1 단말 130으로부터 통화의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하면, IP 네트워크 101, 통신 캐리어 120, 및 PSTN 102를 통해 제2 단말 140에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하여, 제1 단말 130과 제2 단말 140을 통신 캐리어 120을 통해 통화 가능하도록 접속시킨다.
통신 캐리어 120은, IP 네트워크 101과 PSTN 102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가지고,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당 게이트웨이에 의해서, 제1 단말 130 및 제2 단말 140은, IP 네트워크 101 및 PSTN 102를 통해 통화 가능하도록 접속된다. 도 1에서는, IP 네트워크 101 및 PSTN 102를 모두 1개의 통신 캐리어 120이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예시했지만, 이 시스템으로 한정되지 않고, IP 네트워크 101과 PSTN 102를 각각 다른 통신 캐리어가 관리하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제1 단말 130은 적어도 IP 네트워크 101과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이며, 제2 단말 140은 적어도 PSTN 102와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이다. 다만, 제1 단말 130 및 제2 단말 140이 같은 기능을 갖고, 제1 단말 130 및 제2 단말 140은 IP 네트워크 101 및 PSTN 102에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설명의 편의상, 통화의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자의 통신 단말을 제1 단말 130이라고 하며,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착신자의 통신 단말을 제2 단말 140이라고 한다.
여기서, 제1 단말 130은, 예를 들면 태블릿 PC와 같이, 적어도 IP 네트워크 101과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일 수 있고, PSTN 102와 접속되지 않는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 140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나 고정 전화와 같이, 적어도 PSTN 102와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일 수 있고, IP 네트워크 101과 접속되지 않는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물론, 제1 단말 130 및 제2 단말 140은, 스마트폰과 같이, IP 네트워크 101 및 PSTN 102의 양쪽 모두와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일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150은, 통신 서버 110에 관련하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있어서의 복수의 통신 단말의 고유 정보(ID)와 PSTN에 있어서의 복수의 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통신 서버 110에 관련하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로서는, 예를 들면 통신 서버 110이 관리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들 수 있다(이하, 「SNS」라고 한다). 이하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ID」는 SNS에 있어서의 고유 정보인 것을 의미하고, 「전화 번호」 또는 「XX번호」는 PSTN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150은, 각각 다른 통신 단말에 대한 ID와 전화 번호의 조합에 대해서 특정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변환(TNT:Telephone Number Translator)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TNT 테이블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신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의하면, 통신 서버 110은, 제어부 111, 하드디스크 112, 및 통신 제어부 113을 포함한다. 제어부 111은, 중앙연산 처리장치(CPU:Central Processing Unit), 레지스터나 메모리 등의 기억장치를 포함한다. 제어부 111은,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에 의해서 실행하여, 제1 단말 130이나 제2 단말 140 등으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따라 연산 처리를 실시한다. 하드디스크 112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이며, 연산 처리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제1 단말 130이나 제2 단말 140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통신 제어부 113은, 통신 서버 110과 IP 네트워크 101을 접속시켜,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 111의 기억장치는, 필요에 따라서 하드디스크로부터 연산 처리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읽어내 저장한다.
[통신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에 의하면, 통신 단말 200의 본체 내부에는 제어부 210 및 통신 모듈 220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통신 단말 200의 일측면상에는 디스플레이 230, 조작 버튼 240, 스피커 250, 및 마이크 260이 설치되고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230은 터치 센서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조작 버튼 240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어부 210은, CPU, 레지스터나 메모리 등의 기억장치를 포함한다. 제어부 210은,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에 의해서 실행하여, 유저가 입력한 명령 신호에 따라 통신 단말 200의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통신 모듈 220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고주파 회로, 및 복조 회로 등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 모듈 220은 제어부 210에 의해서 제어되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통신 서버 110에 액세스한다.
디스플레이 230은,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광학식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저는 디스플레이의 표시에 따라 통신 단말 200을 조작하여,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검색부 302는, 수신부 301에 의해서 출력된 제1 단말 ID와 제2 단말 번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검색부 302는, 복수의 단말의 PSTN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와 복수의 단말의 SNS에 있어서의 ID와 복수의 단말의 전화 번호 및 복수의 단말의 ID에 관련된 특정 전화 번호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 150에 대해서, 해당 제1 단말 ID와 해당 제2 단말 번호를 검색한다. 여기서, 제1 단말 ID와 제2 단말 번호의 조합과 같이, 각각 다른 통신 단말에 대한 ID와 전화 번호의 조합을 컴포지트 키라고 한다. 컴포지트 키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각각의 조합만큼 존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통신 단말에 대한 ID와 전화 번호의 조합을 컴포지트 키로 하는 방법을 예시했지만, 이 조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통신 단말을 특정하는 정보의 조합을 컴포지트 키로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통신 단말의 조합을 특정하는 전자 정보를 따로 작성하여, 그 전자 정보를 컴포지트 키라고 할 수도 있다.
검색부 302는, 데이터베이스 150에서 제1 단말 ID와 제2 단말 번호의 컴포지트 키를 검출했을 경우, 데이터베이스 150에 컴포지트 키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통지부 305에 출력한다. 한편, 검색부 302는, 데이터베이스 150에서 제1 단말 ID와 제2 단말 번호의 컴포지트 키를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 데이터베이스 150에 컴포지트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할당부 303에 출력한다.
할당부 303은, 검색부 302로부터 데이터베이스 150에 컴포지트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제1 단말 ID와 제2 단말 번호의 조합을 컴포지트 키로서, 제2 단말 140이 제1 단말 130을 특정하는 특정 전화 번호를 할당한다. 특정 전화 번호의 할당 후에, 할당부 303은, 제1 단말 ID, 제2 단말 번호, 및 이들에 대해 할당된 특정 전화 번호를 기록부 304에 출력한다. 특정 전화 번호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록부 304는, 할당부 303으로부터 입력된 제1 단말 ID, 제2 단말 번호, 및 특정 전화 번호의 각각을 관련지어 데이터베이스 150의 TNT 테이블에 기록한다. 기록이 완료되면, 기록부 304는 기록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통지부 305에 출력한다. 또한, 기록부 304는, 제1 단말 ID, 제2 단말 번호, 및 특정 전화 번호가 올바르게 데이터베이스 150의 TNT 테이블에 기록된 것을 확인하는 확인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통지부 305가 검색부 302로부터 데이터베이스 150에 컴포지트 키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통지부 305가 기록부 304로부터 기록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통지부 305는 해당 컴포지트 키에 대응하는 특정 전화 번호를 제2 단말 140에 통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지부 305는 제2 단말 번호와 특정 전화 번호를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통신 캐리어 120에 출력한다. 그리고, 통신 캐리어 120은, 입력된 제2 단말 번호를 송신지로서 특정 전화 번호를 PSTN 102를 통해 제2 단말 140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통지부 305로부터 제2 단말 140로의 통지는, IP 네트워크 101, 통신 캐리어 120, 및 PSTN 102를 통해 행해진다.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음성 통신 시스템 100의 각 블록의 동작에 대해서, 플로우차트를 이용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1 단말 130의 유저는, 발신 단말인 제1 단말 130에 착신 단말인 제2 단말 140의 전화 번호를 입력해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다. 이 동작에 의해서, 제1 단말 130은 통신 서버 110에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리퀘스트 신호 발신을 실시한다(단계 S501). 여기서, 제1 단말 130으로부터 통신 서버 110로의 제1 출력 551에는 제1 단말 ID와 제2 단말 번호가 포함된다.
통신 서버 110은, 단계 S501에서 발신된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511). 다음에, 통신 서버 110은, 데이터베이스 150에 대해서 제1 출력 551에 포함되는 제1 단말 ID 및 제2 단말 번호의 조합(컴포지트 키)을 검색한다(단계 S512). 여기서, 단계 S512의 검색 결과에 따라 프로세스 플로우가 분기한다(단계 S513). 이후, 컴포지트 키가 검출되었을 경우, 또는 검출되지 않았던 경우에 대해서, 각각 설명한다.
(1) 컴포지트 키가 검출되었을 경우
단계 S513의 검색 결과가 「Yes」의 경우, 즉, 데이터베이스 150에서 컴포지트 키가 검출되었을 경우, 통신 서버 110은, 검출된 컴포지트 키에 대응하는 특정 전화 번호를 데이터베이스 150으로부터 읽어낸다(단계 S514).
(2) 컴포지트 키가 검출되지 않았던 경우
단계 S513의 검색 결과가 「No」의 경우, 즉, 데이터베이스 150에서 컴포지트 키가 검출되지 않았던 경우, 통신 서버 110은, 단계 S511에서 수신한 제1 출력 551에 포함되는 제1 단말 ID 및 제2 단말 번호의 조합을 컴포지트 키로서 특정 전화 번호를 할당한다(단계 S515). 다음에, 통신 서버 110은, 단계 S515에서 할당된 특정 전화 번호를 제1 단말 ID 및 제2 단말 번호와 관련지어 데이터베이스 150의 TNT 테이블에 기록한다(단계 S516).
상기와 같이, 컴포지트 키가 검출되었을 경우, 검출되지 않았던 경우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통신 서버 110은 특정 전화 번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통신 서버 110은, 단계 S511에서 수신한 리퀘스트 신호의 제1 단말 ID에 대신하여, 또는, 수신한 리퀘스트 신호의 제1 단말 ID에 추가하여, 단계 S514에서 읽어진 특정 전화 번호, 또는, 단계 S515에서 할당된 특정 전화 번호를 리퀘스트 신호에 추가한다. 그리고, 해당 리퀘스트 신호를 통신 캐리어 120에 송신한다(단계 S517). 여기서, 통신 서버 110으로부터 통신 캐리어 120로의 제2 출력 552에는 제2 단말 번호와 특정 전화 번호가 포함된다.
통신 캐리어 120은, 단계 S517에서 송신된 리퀘스트 신호를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 캐리어 120은, 제2 단말 번호를 송신지로서 PSTN 102를 통해 제2 단말에 리퀘스트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521). 여기서, 통신 캐리어 120으로부터 제2 단말 140로의 제3 출력 553에는, 특정 전화 번호가 포함된다.
제2 단말 140은, 단계 S521에서 전송된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531). 제2 단말 140은, 수신한 리퀘스트 신호에 포함되는 특정 전화 번호를 제2 단말 140상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해당 제2 단말 140은, 제2 단말 140의 사용자에 특정 전화 번호를 통지하여(단계 S532), 호출을 실시한다. 제2 단말 140의 사용자에 통화 의사가 있으면, 호출에 대해서 착신 허가의 액션을 실행하는 것으로, 제2 단말 140이 호출에 응답한다(단계 S533). 단계 S533의 응답에 의해서, 통신 캐리어 120을 통해 제1 단말 130과 제2 단말 140이 접속되어 통화가 개시된다(단계 S522).
[제2 단말 140에 있어서의 특정 전화 번호 통지의 예]
여기서, 도 5의 단계 S532의 특정 전화 번호 통지의 표시의 일례에 대해서, 도 6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 대해 특정 전화 번호를 통지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제2 단말 140이 제1 단말 130으로부터 PSTN 102를 통해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의 표시예이다. 여기서, 제1 단말 130은 「aaa」의 ID를 가진다. 또한, 제2 단말 140은 「090-XXXX-XXXX」의 전화 번호를 가진다. 제2 단말 140의 디스플레이 230상에는, 제1 단말 ID 「aaa」와 제2 단말 번호 「090-XXXX-XXXX」의 조합에 대해서 할당된 특정 전화 번호 「090-AAAA-AAAA」가 표시되고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제2 단말 140에 대해 특정 전화 번호 「090-AAAA-AAAA」와 제1 단말 130이 이미 관련되어 데이터베이스 150에 등록되어 있고, 특정 전화 번호에 추가로 제2 단말 140에 등록된 제1 단말 130의 등록명 「A씨」가 표시된 예를 나타냈다. 도 6에서는, 특정 전화 번호와 등록명 양쪽 모두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등록명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150에 저장되는 TNT 테이블]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TNT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이용하여, 각각 다른 통신 단말에 대한 ID와 전화 번호의 조합을 컴포지트 키로서, 컴포지트 키에 특정 전화 번호가 할당된 TNT 테이블에 대해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 150은, 도 7에 나타내는 TNT 테이블 600을 가지고 있다. TNT 테이블 600은, 적어도 제1 단말 ID 601, 제2 단말 번호 602, 및 특정 전화 번호 603을 가진다. 특정 전화 번호 603은, 제1행 611 내지 제9행 619에 나타내듯이, 각각의 제1 단말 ID 601, 제2 단말 번호 602 및 특정 전화 번호 603가 관련지어져 있다. 즉, 제1 단말 ID 601와 제2 단말 번호 602의 조합을 컴포지트 키로서 특정 전화 번호 603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다시 말하면, 특정 전화 번호 603은, 착신 단말인 제2 단말 140이 발신 단말인 제1 단말 130을 특정하는 번호이다.
특정 전화 번호 603은, 각각 다른 제1 단말 ID와 제2 단말 번호의 조합에 대해서 같은 번호를 할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있어서, 제1행 611, 제4행 614, 및 제7행 617은, 각각 다른 제1 단말 ID 601와 제2 단말 번호 602의 조합에 대해서, 같은 특정 전화 번호 603 「090-AAAA-AAAA」이 할당되어 있다.
즉, 제1행 611에서, 제2 단말 번호 「090-XXXX-XXXX」에 있어, 특정 전화 번호 「090-AAAA-AAAA」는 제1 단말 ID 「aaa」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4행 614에서, 제2 단말 번호 「090-YYYY-YYYY」에 있어, 특정 전화 번호 「090-AAAA-AAAA」는 제1 단말 ID 「ddd」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7행 617에서, 제2 단말 번호 「090-ZZZZ-ZZZZ」에 있어, 특정 전화 번호 「090-AAAA-AAAA」는 제1 단말 ID 「ccc」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행 및 제8행에 나타내듯이, 같은 제1 단말 ID 「aaa」라도, 다른 제2 단말 번호에 대해서는 다른 특정 전화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행에서, 제2 단말 번호 「090-XXXX-XXXX」에 있어, 제1 단말 「aaa」에는 특정 전화 번호 「090-AAAA-AAAA」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제8행에서, 제2 단말 번호 「090-ZZZZ-ZZZZ」에 있어, 제1 단말 「aaa」에는 특정 전화 번호 「090-BBBB-BBBB」가 할당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은, 발신 단말인 제1 단말 ID와 착신 단말인 제2 단말 번호의 조합을 컴포지트 키로서 특정 전화 번호가 할당된 TNT 테이블을 가진다. 음성 통신 시스템은, TNT 테이블을 가지는 것으로, 1개의 특정 전화 번호를 복수의 제1 단말 ID와 제2 단말 번호의 조합에 할당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단말 ID에 다른 전화 번호를 할당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VoIP 및 PSTN를 통해 통신 단말을 접속하는 통신 서비스에서, 소수의 전화 번호로 복수의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의 조합을 관리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이용하는 통신 서버 및 통신 단말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스템 개요]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음성 통신 시스템 700은, 도 1에 나타내는 음성 통신 시스템 100과 유사하지만, 음성 통신 시스템 700은 IP 네트워크 101과 PSTN 102에 접속된 전송 서버 160을 가지는 점에서 음성 통신 시스템 100과 상이하다.
전송 서버 160은, 지정된 단말에 메시지 형식으로 정보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전송 서버 160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로 대표되는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통신 서버 71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제2 단말 140에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하는 서버이다. 전송 서버 160은 SMS 서버일 수 있다. 전송 서버 160이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하는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제1 단말 130의 전화 번호인 제1 단말 번호를 들 수 있다. 전송 서버 160은, 도 8에 나타내듯이, 통신 서버 710과는 별개로 존재할 수 있고, 또한, 통신 서버 710이 전송 서버 160의 기능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통신 서버 710이 전송 서버 160의 기능을 가지는 경우는, 통신 서버 710은 PSTN 102에 접속된다.
[통신 서버의 기능 구성]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통신 서버 710은, 도 4에 나타내는 통신 서버 110과 유사하지만, 통신 서버 710은 메시지 송신부 306을 가지는 점에 있어서, 통신 서버 110과 상이하다.
메시지 송신부 306은, 제1 단말로부터 송신된 리퀘스트 신호에 포함되는 제1 단말 번호나 제1 단말 130에 의해서 지정된 메시지를 메시지 형식으로 제2 단말 140에 송신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메시지 송신부 306은,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전송 서버 160에 메시지 형식으로 제1 단말 번호나 지정된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리고, 전송 서버 160은, 송신된 제1 단말 번호나 지정된 메시지를, 예를 들면 SMS와 같은 수단으로 PSTN 102를 통해 제2 단말 140에 전송한다.
또한, 메시지 송신부 306은, 데이터베이스 15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리퀘스트 신호에 제1 단말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리퀘스트 신호에 제1 단말 번호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리퀘스트 신호에 포함된 제1 단말 ID에 기초하여, 제1 단말 ID에 관련된 제1 단말 번호가 데이터베이스 150으로부터 읽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단말 번호에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 150에 저장된 그 외의 제1 단말의 정보가 읽어져 제2 단말 140에 송신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3의 통신 단말 200을 발신 단말인 제1 단말 130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제어부 210의 메모리는 제1 단말 130의 PSTN 102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인 제1 단말 번호를 기억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 220은, 제1 단말 번호를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통신 서버 710에 송신한다. 통신 서버 710에 의해서 수신된 제1 단말 번호는,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 서버 160에 송신된다. 그리고, 메시지 형식의 제1 단말 번호는 전송 서버 160으로부터 제2 단말 140에 전송되어 제2 단말 140에 통지된다. 여기서, 제2 단말 140에 전송된 메시지 형식의 제1 단말 번호는, 제2 단말 140에 구비된 통신 모듈 220에 의해서 수신된다.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으로는, 도 8에 나타낸 음성 통신 시스템 700의 각 블록의 동작에 대해서, 플로우차트를 이용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에서, 단계 S522의 통화까지의 프로세스 플로우는 도 5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단계 S522의 통화 뒤의 프로세스 플로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서는, 제1 단말 번호를 제2 단말 140에 메시지 송신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의하면, 통신 서버 710은, 단계 S522의 통화 뒤에 단계 S511로 수신한 리퀘스트 신호에 포함되는 제1 단말 번호를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 서버 160에 송신한다(단계 S518). 여기서, 리퀘스트 신호에 제1 단말 번호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리퀘스트 신호에 포함되는 제1 단말 ID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150으로부터 제1 단말 ID에 관련된 제1 단말 번호를 읽어내는 단계가 단계 S511와 단계 S518의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서버 710은, 통신 서버 710이 전송 서버 160에 메시지 송신한 것을 제1 단말 130에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서버 710으로부터 전송 서버 160로의 제4 출력 554에는, 제1 단말 번호 및 제2 단말 번호가 포함된다.
전송 서버 160은, 단계 S518에서 송신된 제1 단말 번호 및 제2 단말 번호를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수신한다. 그리고, 전송 서버 160은, 제2 단말 번호를 송신지로서 PSTN 102를 통해 제1 단말 번호를 메시지 형식으로 제2 단말 140에 전송한다(단계 S541). 여기서, 전송 서버 160으로부터 제2 단말 140로의 제5 출력 555에는, 제1 단말 번호가 포함된다.
제2 단말 140은, 단계 S541에서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된 제1 단말 번호를 수신한다(단계 S534). 다음에, 제2 단말 140은, 수신된 제1 단말 번호를 메시지 형식으로 제2 단말 140의 사용자에 통지한다(단계 S535).
여기서, 도 10에서는, 단계 S518의 제1 단말 번호의 메시지 송신이 단계 S522의 통화 뒤에 행해지는 플로우를 예시했지만, 이 플로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S518의 메시지 송신은 제1 단말 번호를 제1 단말 130으로부터 수신 또는 데이터베이스 150으로부터 읽어낸 뒤라면 언제라도 좋다. 예를 들면, 단계 S522의 통화 전이나 단계 S517의 리퀘스트 신호 송신과 동시 또는 그것보다 전일 수도 있다. 단계 S518의 메시지 송신이 단계 S517의 리퀘스트 신호 송신보다 전에 행해지는 경우, 리퀘스트 신호에 응한 제2 단말 140의 호출 전에 단계 S535의 메시지 통지를 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1 단말 130의 전화 번호를 메시지 형식으로 제2 단말 140에 송신하는 방법을 예시했지만, 이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단말 140에 송신되는 메시지는, 제1 단말 ID, 제1 단말 130에 의해서 지정된 메시지, 또는 데이터베이스 150에 기록된 SNS에 있어서의 제1 단말 130의 닉네임 등일 수도 있다.
[제2 단말 140에 있어서의 메시지 통지의 예]
 여기서, 도 10의 단계 S535의 메시지 통지의 표시의 일례에 대해서, 도 11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 대해 메시지를 통지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제2 단말 140이 제1 단말 130으로부터 PSTN 102를 통해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의 표시예이다. 여기서, 제1 단말 130은 「aaa」의 ID 및 「090-aaaa-aaaa」의 전화 번호를 가진다. 또한, 제2 단말 140은, 「090-XXXX-XXXX」의 전화 번호를 가진다. 제2 단말 140의 디스플레이 230상에는, 도 10의 단계 S522의 통화 후에 제1 단말 번호 「090-aaaa-aaaa」가 메시지 형식으로 표시되고 있다.
실시 형태 1에 나타내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는, 제1 단말 130이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제2 단말 140에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제1 단말 130이 제1 단말 번호를 가지고 있어도 제2 단말 140에는 제1 단말 번호는 통지되지 않는다(특정 전화 번호가 통지된다). 그러나, 실시 형태 2에 나타내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는, 제2 단말 140에 대해서, 통화 리퀘스트 신호와는 별도로 메시지 형식으로 제1 단말 번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제1 단말 번호를 제2 단말 140에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1에서는, 제1 단말 번호가 메시지 형식으로 제2 단말 140에 송신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단말 ID, 제1 단말 130에 의해서 지정된 메시지, 또는 데이터베이스 150에 기록된 SNS에 있어서의 제1 단말 130의 닉네임 등이 송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실시 형태 1과 같이 VoIP 및 PSTN를 통해 통신 단말을 접속하는 통신 서비스에 있어서, 소수의 전화 번호로 복수의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의 조합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에 제1 단말을 특정하는 특정 전화 번호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여도, 메시지 통지에 의해서 제1 단말 130의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3으로 설명하는 동작 플로우는, 실시 형태 1에서 특정 전화 번호의 통지를 받은 제2 단말 140이, 통지된 특정 전화 번호에 답신을 했을 경우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음성 통신 시스템의 개요, 통신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만, 실시 형태 1 및 2와는 달리, 통화의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자의 통신 단말을 제2 단말 140이라고 하며,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착신자의 통신 단말을 제1 단말 130이라고 한다.
[통신 서버의 기능 구성]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2에서는, 도 1의 통신 서버 110의 각 기능 블록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에 의하면, 통신 서버 110은, 적어도 수신부 301, 검색부 302, 및 통지부 305를 포함한다. 도 12는 도 4의 일부의 기능 블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통신 서버의 각 블록은 도 4에 나타낸 통신 서버 110과 같지만, 각 블록이 가지는 기능이 다른 점이 있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수신부 301은,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하는 제2 단말의 전화 번호인 제2 단말 번호와 통화 리퀘스트를 착신하는 제1 단말을 특정하는 특정 전화 번호를 PSTN 102와 IP 네트워크 101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가지는 통신 캐리어 120을 통해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 301은, 수신한 제2 단말 번호와 특정 전화 번호를 검색부 302에 출력한다.
검색부 302는, 수신부 301에 의해서 출력된 제2 단말 번호와 특정 전화 번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복수의 단말의 PSTN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와 복수의 단말의 SNS에 있어서의 ID와 복수의 단말의 전화 번호 및 복수의 단말의 ID에 관련된 특정 전화 번호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 150에 대해서, 해당 제2 단말 번호와 해당 특정 전화 번호에 관련된 제1 단말의 SNS에 있어서의 ID인 제1 단말 ID를 검색한다. 여기서, 「제1 단말 ID」가 「제1 단말을 특정하는 특정 전화 번호」와 「제2 단말 번호」에 관련된다고 함은, 「제1 단말 ID」과 「제2 단말 번호」의 조합을 컴포지트 키로서 「제1 단말을 특정하는 특정 전화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제1 단말을 특정하는 특정 전화 번호」와 「제2 단말 번호」를 컴포지트 키로서 「제1 단말 ID」를 검색한다라고 할 수도 있다. 검색부 302는, 제1 단말 ID를 검출하면, 데이터베이스 150에 제1 단말 ID와 제2 단말 번호의 조합에 의한 컴포지트 키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통지부 305에 출력한다.
통지부 305가 검색부 302로부터 데이터베이스 150에 컴포지트 키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컴포지트 키의 일부인 제1 단말 ID에 할당된 IP주소에 기초하여 제1 단말 130에 제2 단말 번호를 송신한다. 또한, 통지부 305는, SNS를 통해 제2 단말 번호를 제1 단말 130에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내는 통신 단말 200을 실시 형태 3의 발신 단말인 제2 단말 140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제어부 21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통신 단말 200은, 제어부 210 및 통신 모듈 220을 포함한다.
제어부 210은, 명령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CPU와 제1 단말을 특정하는 특정 전화 번호 및 제2 단말 번호가 기억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특정 전화 번호는,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착신하는 제1 단말 130을 특정하는 전화 번호이며, 제2 단말 번호는,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하는 제2 단말 140의 PSTN 102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이다. 또한, CPU는 유저가 입력한 명령 신호에 따라 통신 단말 200의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통신 모듈 220은, 제어부 220에 의해서 제어되어 특정 전화 번호 및 제2 단말 번호를 통신 캐리어 120을 통해 통신 서버 110에 송신한다. 통신 캐리어 120은 IP 네트워크 101과 PSTN 102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가진다. 통신 서버 110은 데이터베이스 150에 접속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 150은 제1 단말 ID 및 제2 단말 번호를 특정 전화 번호에 관련지어 저장한다. 다시 말하면, 데이터베이스 150은, 제1 단말 ID, 제2 단말 번호, 및 특정 전화 번호가 서로 관련된 TNT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통신 서버 110은 수신한 특정 전화 번호 및 제2 단말 번호에 관련되고, 데이터베이스 150으로부터 취득한 제1 단말 ID에 기초하여, 리퀘스트 신호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단말 130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단말 130과 제2 단말 140이 통신 캐리어 120을 통해 접속된다.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음성 통신 시스템 100의 각 블록의 동작에 대해서, 플로우차트를 이용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에서는, 도 5와는 달리, 발신 단말이 제2 단말이며, 착신 단말이 제1 단말이다.
우선, 발신 단말인 제2 단말 140은, 제2 단말 140에 도 5의 단계 S532에서 통지된 제1 단말 130을 특정하는 특정 전화 번호를 입력해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한다. 이 동작에 의해서, 제2 단말 140은 통신 캐리어 120에 PSTN 102를 통해 리퀘스트 신호 발신을 실시한다(단계 S731). 여기서, 제2 단말 140으로부터 통신 캐리어 120로의 제1 출력 751에는 제1 단말 130을 특정하는 특정 전화 번호와 제2 단말 번호가 포함된다.
통신 캐리어 120은, 단계 S731에서 송신된 리퀘스트 신호를 PSTN 102를 통해 수신한다. 그리고,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통신 서버 110에 리퀘스트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721). 여기서, 통신 캐리어 120으로부터 통신 서버 110로의 제2 출력 752에는, 제1 단말 130을 특정하는 특정 전화 번호와 제2 단말 번호가 포함된다.
통신 서버 110은, 단계 S721에서 전송된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711). 다음에, 통신 서버 110은, 데이터베이스 150에 대해서 제2 출력 752에 포함되는 제1 단말 130을 특정하는 특정 전화 번호와 제2 단말 번호에 관련된 제1 단말 ID를 검색한다(단계 S712). 그리고, 검색된 제1 단말 ID를 데이터베이스 150으로부터 읽어낸다(단계 S713).
다음에, 통신 서버 110은, 단계 S713에서 읽어낸 제1 단말 ID에 기초하여, 제1 단말 130의 IP 네트워크 101에 있어서의 IP주소를 할당한다(단계 S714). 계속하여, 통신 서버 110은, 단계 S711에서 수신한 리퀘스트 신호를 단계 S714에서 할당된 IP주소를 가지는 제1 단말 130에 송신한다(단계 S715). 여기서, 통신 서버 110으로부터 제1 단말 130로의 제3 출력 753에는, 제2 단말 번호가 포함된다.
제1 단말 130은, 단계 S715에서 송신된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701). 제1 단말 130은, 수신한 리퀘스트 신호에 포함되는 제2 단말 번호를 제1 단말 130상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해당 제1 단말 130은, 제1 단말 130의 사용자에 제2 단말 번호를 통지하여(단계 S702), 호출을 실시한다. 제1 단말 130의 사용자에 통화 의사가 있으면, 호출에 대해서 착신 허가의 액션을 실행하는 것으로, 제1 단말 130이 호출에 응답한다(단계 S703). 단계 S703의 응답에 의해서, 통신 캐리어 120을 통해 제1 단말 130과 제2 단말 140이 접속되어 통화가 개시된다(단계 S722).
[제1 단말 130에 있어서의 발신 전화 번호 통지의 예]
여기서, 도 13의 단계 S702의 제2 단말 번호 통지의 표시의 일례에 대해서, 도 14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 대해 발신 단말 번호를 통지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제1 단말 130이 제2 단말 140으로부터 IP 네트워크 101을 통해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의 표시예이다. 여기서, 제1 단말 130은 「aaa」의 ID를 가진다. 또한, 제2 단말 140은 「090-XXXX-XXXX」의 전화 번호를 가진다. 제1 단말 130의 디스플레이 230상에는, 제2 단말 번호 「090-XXXX-XXXX」가 표시되고 있다. 또한, 도 14에서는, 제1 단말 130에 제2 단말 번호 「090-XXXX-XXXX」와 제2 단말 140이 이미 관련되어 데이터베이스 150에 등록되어 있어서, 제2 단말 번호에 추가하여 제1 단말 130에 등록된 제2 단말 140의 등록명 「B씨」가 표시된 예를 나타냈다. 도 14에는, 제2 단말 번호와 등록명 양쪽 모두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등록명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특정 전화 번호에 답장했을 경우에도, 통화가 가능하고, 발신 단말의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와 관련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 형태 4에서는, 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가 변경되었을 경우여도, 특정 전화 번호를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통신 서버 910은, 도 9에 나타내는 통신 서버 710과 유사하지만, 통신 서버 910은 전화 번호 관리부 307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통신 서버 710과는 상이하다. 전화 번호 관리부 307은, 예를 들면 제2 단말 140의 사용자가 제2 단말 140의 전화 번호를 변경했을 경우에, 제2 단말 140의 사용자로부터의 전화 번호 변경의 연락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150의 제2 단말 번호를 변경전의 전화 번호로부터 변경 후의 전화 번호로 바꾸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에서는, 제2 단말 140의 전화 번호가 변경되었을 경우의 예를 나타냈지만, 전화 번호 관리부 307은, 제1 단말 130의 전화 번호를 변경했을 경우에, 제1 단말 130의 사용자로부터의 전화 번호 변경의 연락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150의 제1 단말 번호를 바꾸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화 번호 관리부가 통신 단말의 사용자로부터의 연락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단말 번호를 바꾸는 것으로, TNT 테이블에서 전화 번호의 변경이 있던 부분만이 바뀐다. 즉,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의 전화 번호가 변경되었을 경우여도,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조합에 할당된 특정 전화 번호를 계속해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

  1.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하는 제1 단말의 소정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있어서의 고유 정보인 제1 단말 ID와, 상기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착신하는 제2 단말의 PSTN(공중 교환 전화망)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인 제2 단말 번호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복수의 단말의 상기 PSTN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와,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있어서의 고유 정보와, 상기 전화 번호 및 상기 고유 정보에 관련된 전화 번호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상기 제1 단말 ID와 상기 제2 단말 번호를 검색하는 검색부와,
    상기 제1 단말 ID와 상기 제2 단말 번호에 관련되고, 상기 제1 단말을 특정하는 특정 전화 번호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 단말 번호를 송신지로서 상기 특정 전화 번호를 상기 제2 단말에 통지하는 통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에 의해서 상기 제1 단말 ID와 상기 제2 단말 번호의 조합이 검출되지 않았던 경우에, 상기 제1 단말 ID와 상기 제2 단말 번호의 조합에 대해서 상기 특정 전화 번호를 할당하는 할당부와,
    상기 제1 단말 ID, 상기 제2 단말 번호, 및 상기 특정 전화 번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PSTN과 상기 IP 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가지는 통신 캐리어에, 상기 제2 단말 번호를 송신지로서 상기 특정 전화 번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PSTN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 제1 단말 번호를, SMS 서버를 통해 메시지 형식으로 상기 제2 단말에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단말의 사용자로부터의 연락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제1 단말 ID 또는 상기 제2 단말 번호를 바꾸는 전화 번호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6.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발신하는 제2 단말의 PSTN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인 제2 단말 번호와, 상기 통화 리퀘스트 신호를 착신하는 제1 단말을 특정하는 특정 전화 번호를, 상기 PSTN과 IP 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를 가지는 통신 캐리어를 통해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복수의 단말의 상기 PSTN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와, 상기 복수의 단말의 소정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있어서의 고유 정보와, 상기 전화 번호 및 상기 고유 정보에 관련된 전화 번호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상기 제2 단말 번호와 상기 특정 전화 번호에 관련된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있어서의 고유 정보인 제1 단말 ID를 검색하는 검색부를 포함하고,
    검출된 상기 제1 단말 ID를 가지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을 상기 통신 캐리어를 통해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2 단말 번호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단말의 사용자로부터의 연락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제1 단말 ID 또는 상기 제2 단말 번호를 바꾸는 전화 번호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버.
KR1020150063396A 2014-05-07 2015-05-06 통신 서버 KR101707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95703A JP6546373B2 (ja) 2014-05-07 2014-05-07 通信サーバ
JPJP-P-2014-095703 2014-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551A true KR20150127551A (ko) 2015-11-17
KR101707308B1 KR101707308B1 (ko) 2017-02-15

Family

ID=5436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396A KR101707308B1 (ko) 2014-05-07 2015-05-06 통신 서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56077B2 (ko)
JP (1) JP6546373B2 (ko)
KR (1) KR1017073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2383B (zh) 2016-05-31 2021-10-26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服务器、终端及信息处理系统
CN112671754B (zh) * 2020-12-21 2023-05-02 龙存(成都)科技有限公司 一种单流水线处理不同服务端功能的方法、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901A (ko) * 2003-07-30 2006-11-17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통신시스템, 호 접속 서버, 단말장치 및 통신방법
US20070127656A1 (en) * 2005-11-09 2007-06-07 Jeffrey Citro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ed caller identification
KR20090006596A (ko) * 2007-07-12 2009-01-15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VoIP 인터넷 전화로 자동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통화요금 절약 장치 및 방법
KR20090017773A (ko) * 2007-08-16 2009-02-19 에스케이텔링크 주식회사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59826A1 (en) * 2000-05-03 2001-11-12 Daniel Schoeffler Method of enabl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mmunication when current destination for recipient is unknown to sender
JP3581311B2 (ja) * 2000-12-01 2004-10-27 パナソニック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サーバ装置及び電子メールの送信制御方法
JP4484713B2 (ja) * 2003-02-27 2010-06-16 幸男 久保 通話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サーバと受信中継装置
US7463727B2 (en) 2003-04-18 2008-12-09 At&T International Property, I, L.P. Caller ID messaging device
US20070146476A1 (en) * 2004-02-06 2007-06-28 Softbank Bb Corp. Videophone system, self-support base station device, set top box, and videophone method
US20050243807A1 (en) * 2004-04-30 2005-11-03 Chung-Yu Lin Method of searching a specific computer IP address using telephone number codes and an identification code
US8375119B2 (en) * 2004-07-27 2013-02-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 P. Methods, systems, devices, and products for providing alerts for communications
US8503640B1 (en) 2004-09-01 2013-08-06 Shoretel, Inc. Extension monitoring in a distributed telephony system
JP4643438B2 (ja) * 2005-12-27 2011-03-02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発信電話番号制御方法および発信電話番号制御プログラム
JP2008219650A (ja) * 2007-03-06 2008-09-18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構内交換機
US8644836B2 (en) 2007-08-03 2014-02-04 Shoretel, Inc. IP phone routing and call initi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JP4982348B2 (ja) * 2007-12-13 2012-07-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通信方法
JP5214318B2 (ja) 2008-04-30 2013-06-19 エヌ・ティ・ティ・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VoIP網相互接続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75034B2 (ja) * 2012-07-13 2015-09-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宛先解決装置、ゲートウェイ装置、通信宛先解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901A (ko) * 2003-07-30 2006-11-17 소프트뱅크비비 가부시키가이샤 통신시스템, 호 접속 서버, 단말장치 및 통신방법
US20070127656A1 (en) * 2005-11-09 2007-06-07 Jeffrey Citro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ed caller identification
KR20090006596A (ko) * 2007-07-12 2009-01-15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VoIP 인터넷 전화로 자동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통화요금 절약 장치 및 방법
KR20090017773A (ko) * 2007-08-16 2009-02-19 에스케이텔링크 주식회사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56077B2 (en) 2016-09-27
KR101707308B1 (ko) 2017-02-15
JP2015213270A (ja) 2015-11-26
US20150326713A1 (en) 2015-11-12
JP6546373B2 (ja)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11055B (zh) 用于在电话呼叫中在用户之间进行实时数据交换的过程
US9178988B2 (en) Unified call logs
US11523000B1 (en) Management of VoIP device contact lists in a data communications services system
US8345858B2 (en) Adaptive, context-driven telephone number dialing
KR101707308B1 (ko) 통신 서버
US11445061B2 (en) Automatic caller identification translation
JP4331253B2 (ja) VoIPサービスシステム、呼制御サーバ、および呼制御方法
US10477002B2 (en) Communication server and communication terminal
JP5715897B2 (ja) 着信時情報提供装置
KR102638733B1 (ko) 클라우드 폰 기반의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6079191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JP6602919B2 (ja) 通信サーバ
KR102055260B1 (ko)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4254127A (zh) 寻呼通信方法和装置
KR102258170B1 (ko) 소프트웨어 유심을 이용한 투폰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20052732A (ko) 전화번호 목록을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20180352078A1 (en) Secure call system and method
US8391181B2 (en) Communication device, device for determining possibility of discriminating relation of pseudonymous-name communication identifier,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15099073A1 (ja) 個人情報付加システムおよび課金方法
CN106302976B (zh)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5400739B2 (ja) 非電話系コミュニケーションメディア転送装置および非電話系コミュニケーションメディア転送方法
KR101980204B1 (ko) 전화 도메인 정보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
EP3490235A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end users
JP2015154382A (ja) Pbx装置、加入者登録方法、および加入者登録プログラム
JP2013005295A (ja) 情報配信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