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257B1 - 청각 장애인을 고려한 통화 중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청각 장애인을 고려한 통화 중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257B1
KR102194257B1 KR1020200033800A KR20200033800A KR102194257B1 KR 102194257 B1 KR102194257 B1 KR 102194257B1 KR 1020200033800 A KR1020200033800 A KR 1020200033800A KR 20200033800 A KR20200033800 A KR 20200033800A KR 102194257 B1 KR102194257 B1 KR 102194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terpreter
relay
user
us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현민
경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200033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9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7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hearing-impaired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91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where the subscribers are hearing-impaired persons, e.g. telephone devices for the dea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시스템은 장애인 사용자 기기, 일반 사용자 기기, 통신사 서버 및 중계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장애인 사용자 기기와 일반 사용자 기기 간 통화 시, 기 연계된 통역사를 포함하여 통화가 연결되도록 통화 중계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장애인 사용자 기기와 통역사 간 연결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상통화로 연결하고, 통역사와 일반 사용자 기기 간 연결은 음성 통화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신사 서버는 일반 사용자 기기로부터 착신번호를 획득하여 착신 대상이 장애인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장애인 사용자 기기로 발신 요청된 것임을 확인하면, 일반 사용자 기기의 통화 신호를 상기 중계 서버와 연계된 통역사 측으로 연결하고, 상기 중계 서버로 착신번호를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각 장애인을 고려한 통화 중계 시스템{Call relay system for the deaf}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을 고려한 통화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의 발달로 삶의 질이 높아지고 있지만 장애인을 위한 장치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일상 생활이나 공공시설에서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장치의 부족은 정보통신에 대한 청각장애인들의 접근을 어렵게 하고 있다.
최근 몇몇 TV 방송에서는 수화 전문가가 방송중인 음성을 수화로 통역하여 그 내용을 TV 방송화면의 일측 하단에 표시하고 있으며, 몇몇 공공시설에서도 청각장애인을 위하여 수화 전문가가 수화로 안내방송을 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등의 통신기기를 이용한 개인적인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청각장애인들은 이와 같은 수화 통역 기능을 이용할 수 없으며, 수화 통역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있기는 하나, 이는 동일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 기기들만을 대상으로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어, 비장애인과 장애인 간의 통화 연결 시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비장애인과 장애인(수화 사용자) 간의 통화 연결 시 자동으로 수화 통역 기능을 제공하되, 통화에 참여하는 비장애인 사용자의 기기에 수화 통역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수화 통역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가 없는 일반 사용자와 통역사 간의 통신은 음성 통화를 유지하면서, 통역사와 장애인 사용자 간 통화는 화상 연결을 통해 수화로의 의사소통을 수행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시스템은 장애인 사용자 기기, 일반 사용자 기기, 통신사 서버 및 중계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장애인 사용자 기기와 일반 사용자 기기 간 통화 시, 기 연계된 통역사를 포함하여 통화가 연결되도록 통화 중계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장애인 사용자 기기와 통역사 간 연결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상통화로 연결하고, 통역사와 일반 사용자 기기 간 연결은 음성 통화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신사 서버는 일반 사용자 기기로부터 착신번호를 획득하여 착신 대상이 장애인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장애인 사용자 기기로 발신 요청된 것임을 확인하면, 일반 사용자 기기의 통화 신호를 상기 중계 서버와 연계된 통역사 측으로 연결하고, 상기 중계 서버로 착신번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화에 참여하는 대화자 중 일방이 수화 통역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은 비장애인 사용자라 하더라도, 통화 연결 시 자동으로 수화 통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장애인인 사용자가 장애인 사용자와 음성 통화를 요청하였거나 수신한 경우, 화상통화로 변환하지 않고도 장애인 사용자와 의사소통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대화자 간 의도치 않은 화상 연결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 판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지원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시스템에서 장애인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에게 전화를 발신하는 경우의 통화 중계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시스템에서 일반 사용자가 장애인 사용자에게 전화를 발신하는 경우의 통화 중계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통화 중계 시스템은 기간통신사업자 서버(이하 통신사 서버)와 통화 중계 서버 및 사용자 기기(발신자 기기 및 수신자 기기) 간의 연동을 통해 일반 사용자와 청각 장애인 사용자 간의 통화 중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통화 중계 서버 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청각 장애인 사용자의 기기 측에 설치되는 통화 중계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청각 장애인 사용자와 장애가 없는 일반 사용자 간의 통화 시 통역 센터와 연결하여, 발신자, 수신자 및 통역 센터를 포함하여 3자간 통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서버 100는 통신부 110, 저장부 120, 제어부 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30는 대상 판단부 131, 중계 지원부 132, 대상 평가부 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 기기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 망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LTE advanced(LTE-A), 5G(Five Generation)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 하나 이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 110는 일 사용자 기기 (10a, 10b)로부터 사용자 기기의 호 발생 정보, 착신 번호, 발신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110는 그 외에도 적어도 한 명의 장애인 사용자가 포함되어 통화가 수행될 경우, 장애인 사용자와 통역사가 화상 연결되고, 통역사와 일반 사용자가 음성 연결되도록 하는 통화 중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부 110는 통화 중계 기능 중 하나인 통역사와 장애인 사용자를 매칭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장애인 사용자의 주요 대화 주제, 사용 수화 난이도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110는 일 장애인 사용자 기기와 통역사를 화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통역센터 및 일 장애인 사용자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통신부 110는 통신사 서버 200측과 연계되어, 통신사 서버 200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장애 확인 정보(착신번호의 사용자가 장애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2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120는 통화 중계 어플리케이션에서 통화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장부 120는 사용자가 통화 중계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장애인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등록한 경우, 이를 일반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구분되도록 장애인 친구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120는 장애인 사용자와 통역사를 매칭하여 통화 중계 기능이 수행된 이력이 있는 경우, 장애인 사용자와 통역사의 매칭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매칭 이력 정보는 추후 일 장애인 사용자(전화번호로 식별할 수 있음)와 통역사의 매칭 요구가 발생된 경우에, 매칭 이력이 있는 장애인 사용자와 통역사를 우선 매칭하는 등의 동작을 위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120는 통화 중계 기능을 동작하는 데 요구되는 통역사 계정 정보, 긴급 상황 판단 기준(일 통화에 대하여 긴급 통화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저장부 120는 통화 중계 기능이 동작하는 데 요구되는 기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3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서버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 130는 일반 사용자와 장애인 사용자 간 통화 연결 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일반 사용자와 통역사, 그리고 통역사와 장애인 사용자 간 통화 연결을 수행하여, 일반 사용자와 장애인 사용자 간 이루어지는 대화를 중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 130는 일반 사용자와 통역사 간의 대화는 음성 통화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고, 통역사와 장애인 사용자 간의 대화는 영상 통화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역사와 장애인 사용자는 영상 통화를 통해 수화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때, 일반 사용자와 통역사 간 이루어지는 음성 통화는 인터넷이 아닌 전통적인 전화통신에 사용되는 교환 방식(예, 회선 교환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 130는 일반 사용자와 통역사 간의 통신은 회선 교환 방식 등을 이용한 종래의 전화 통신 방식으로 음성 통화를 연결하고, 통역사와 장애인 사용자 간 통신은 인터넷 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화상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회선 교환에 관여하는 통신사 서버 200는 중계서버 100와 연동되어 회선 교환 시 통화 중계 이벤트(착신 번호가 장애인 사용자의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장애인 사용자가 아닌 통역 중계 센터로 착신 대상을 변경하는 동작)가 발생될 때마다, 통화 중계 이벤트의 발생 상황 및 본래 착신번호를 중계서버 100측에 알릴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30는 대상 판단부 131, 중계 지원부 132, 대상 평가부 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대상 판단부 131는 수신자 판단부 131a와 발신자 판단부 13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계 지원부 132는 통역사 매칭부 132a, 긴급 상황 설정부 132b 및 통역 연결 지원부 13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 130의 구성 중 먼저 상기 대상 판단부 131는 일 사용자 기기에서 통화 신호 발신 또는 통화 신호 수신 시, 발신 대상 또는 수신 대상의 (청각)장애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상 판단부 131는 일반 사용자 기기에서 청각 장애인 사용자 기기로 전화를 걸게 되는 경우, 일반 사용자 기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발신 신호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상대방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착신 대상이 청각 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대상 판단부 131는 외부에서 전화를 걸어온 상대(발신자)가 청각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대상 판단부 131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 판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 판단부 131는 수신자 판단부 131a와 발신자 판단부 13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자 판단부 131a는 일 사용자 기기로부터 호 발신이 발생되면, 그에 대응하여 통신사 서버 200로부터 착신 대상의 전화번호의 사용자가 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착신 대상의 장애인 여부를 판단하는 주체는 통신사 서버 200측일 수 있으며, 상기 통신사 서버 200는 자체 DB 또는 장애인 정보가 열람 가능한 공공 DB 300에서 해당 착신 번호를 조회함을 통해 착신 대상의 장애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신자 판단부 131a는 일 사용자 기기(일반 사용자 기기)에 어플리케이션이 대기모드로 백그라운드 상에서 구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에서 호 발신을 위한 동작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통신사 서버 200측에 착신대상의 장애인 여부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이하, 장애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신자 판단부 131a는 통신사 서버 200측에 장애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한 후, 그에 대응하여 장애인 여부 확인 결과를 상기 통신사 서버 200로부터 수신하여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신자 판단부 131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장애인 친구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 사용자 기기에 설치된 통화 중계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장애인 친구 정보'를 등록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신자 판단부 131a는 호 발신이 감지됨에 따라, 사용자가 발신을 위해 입력한 착신 번호가 어플리케이션 내 등록된 '장애인 친구 정보'에 속한 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신자 판단부 131a는 착신번호가 기 등록된 장애인 친구 정보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통신사 서버 200로의 장애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발신자 판단부 131b는 장애인 사용자 기기 10a에서 일반 사용자 기기 10b로 호 발신이 수행된 경우 발신자의 장애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신자 판단부 131b는 장애인 사용자 기기 10a에 통화 중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장애인 사용자로부터 자신의 기기를 장애인 사용자 기기로 등록하도록 미리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어플리케이션은 일 사용자 기기의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일 사용자 기기(장애인 사용자 기기 10a)에서 통화 발신 동작이 수행되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던 통화 중계 어플리케이션 측에서는 기기에서 수행되는 통화 발신 이벤트를 감지하고, 착신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발신자 판단부 131b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기기가 장애인 사용자 기기로 등록됨을 확인하면, 해당 사용자 기기에서 일반 전화의 발신 동작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백그라운드 동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신자 판단부 131b는 발신자가 장애인 사용자임을 판단하게 된다.
상기 중계 지원부 132는 통화 중계 기능에 관한 동작 전반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계 지원부 132는 통화를 위해 통화 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통화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가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장애가 없는 일반 사용자와 장애인 사용자 사이에 통역사를 통신 연결하여 의사소통을 중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계 지원부 132는 비장애인인 일반 사용자와 통역사 간 통화는 음성 통화(이동통신망)로 연결되도록 지원하고, 통역사와 장애인 사용자 간 통화는 화상 통화로 연결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중계 지원부 132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지원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지원부 132는 통역사 매칭부 132a, 긴급 상황 설정부 132b, 통화 지원부 13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통역사 매칭부 132a는 수화통역센터의 통역사 계정을 등록받고, 이들의 현재 업무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역사 매칭부 132a는 상기 통화 중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화 통역 업무를 진행중인 수화 통역사 계정에 대하여는 매칭 대상 통역사 항목에서 제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역사 매칭부 132a는 호 발신자 또는 호 수신자 중 적어도 한 명이 장애인 사용자일 경우, 그에 대응하여 매칭 가능한 임의의 통역사 계정을 장애인 사용자와 매칭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통역사 매칭부 132a를 통해 매칭이 완료된 통역사와 청각 장애인 사용자는 추후 상기 3자 통화 지원부 132c를 통해 화상 통화(비디오콜)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역사 매칭부 132a는 장애인 사용자의 이전 통화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인 사용자의 선호 대화 주제를 추출하여 등록해놓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역사 매칭부 132a는 기 등록된 장애인 사용자의 선호 대화 주제를 기반으로 장애인 사용자의 기기 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일반 사용자에게 전화가 발신되는 경우, 장애인 사용자의 선호 대화 주제를 기반으로 적합한 통역사를 매칭할 수 있다.
이 때, 통역사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장애인 사용자가 주로 선호하는 대화 주제의 난도를 커버하여 수화 통역을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될 수 있다. 상기 통역사 매칭부 132a는 일 장애인 사용자에게 적합한 통역사를 매칭해주기 위해, 장애인 사용자뿐 아니라 통역사들로부터 적합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적합성은 통역사가 장애인 사용자가 사용하는 수화를 얼마나 잘 통역할 수 있는지에 관한 사항이므로, 통역사의 능력치와 통역사의 전문 통역 분야 등의 정보가 상기 적합성 항목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통역사 매칭부 132a는 먼저 통역사들의 '능력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개별 통역사들의 수화 통역 능력치를 스스로 선택하도록 수화 통역사들에게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역사 매칭부 132a는 연계된 통역 센터측에서 기 확보한 통역사 개인별 능력치 정보를 발송하도록 연계된 통역 센터측에 요청할 수 있다. 확보된 통역사 개인별 능력치 정보는 각 통역사의 계정 정보로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역사 매칭부 132a는 통역사들의 주요 관심사 정보 내지는 전문 통역 분야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개별 통역사들에게 요청하고, 통역사들로부터 직접 입력된 주요 관심사 또는 전문 통역 분야에 대한 정보를 각 통역사 계정별로 등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역사 매칭부 132a는 통역사 각각의 전문 통역 분야에 관한 정보를 이전 통역 수행 이력에 기반하여 산출하여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역사 매칭부 132a는 이전에 특정 주제 A에 대한 대화 선호도가 있는 장애인 사용자와의 매칭 이력이 있는 통역사에게는 A분야에 대한 가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가점 취득 상황은 통역사와 특정 주제에 대한 대화 선호도가 있는 장애인 사용자에 대한 적합도를 평가할 시 반영될 수 있다.
상기 통역사 매칭부 132a는 장애인 사용자와 통역사 간의 적합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일 장애인 사용자가 대화 시 특정 주제에 대한 선호도가 있는 사용자라 할 지라도, 임의의 통역사를 매칭할 수 있다.
상기 중계 지원부 132의 긴급 상황 설정부 132b는 긴급 상황에서 수행되는 호 발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긴급 상황에서 수행되는 전화(긴급 전화)라고 판단되는 경우 통역사 우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역사 우선 연결을 위해서 상기 긴급 상황 설정부 132b는 긴급 전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긴급 상황 설정부 132b는 기 등록된 긴급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번호로 호 발신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긴급 상황 설정부 132b는 그 외에도 사용자로부터 번호 입력이 아닌 버튼 선택을 통해 긴급 전화를 발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긴급 상황 설정부 132b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긴급 전화용 버튼(예, 119 통화 연결 버튼, 112 통화 연결 버튼, 사용자 지정 통화 연결 버튼 등)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병원, 직장 등의 항목 등에 대하여 긴급 전화번호로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긴급 상황 설정부 132b는 사용자가 직접 등록한 긴급 전화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자동으로 긴급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와 통역사를 적합도에 따라 매칭하는 매칭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긴급 상황 설정부 132b는 임의의 대기중인 통역사와 통화 연결을 수립하되, 타 사용자의 일반 통화에 대한 통역사 연결 요청에 대비하여 우선적으로 통화 연결을 수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화 중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긴급 전화 버튼을 선택하거나 기 등록된 긴급 전화번호(예, 112, 119 등)로의 호 발신 동작을 수행한 경우, 일반적인 통화 요청의 경우보다 신속하게 수화 통역사를 배정받을 수 있다.
상기 통역 연결 지원부 132c는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수화 통역사 매칭이 완료되면 매칭된 수화 통역사와 연결하여 3자간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역 연결 지원부 132c는 먼저, 장애인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 측으로 호 발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장애인 사용자와 수화 통역사 간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통신 기반의 화상 통화를 진행하고, 수화 통역사와 일반 사용자 측은 회선 교환을 이용한 일반 음성 통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역 연결 지원부 132c는 일반 사용자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장애인 사용자의 수화를 통역한 결과를 음성으로 들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역 연결 지원부 132c는 일반 사용자가 장애인 사용자에게로의 호 발신을 수행한 경우에도 일반 사용자와 장애인 사용자 간의 통역사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 사용자가 특정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면, 기간통신사 측 서버에서 착신번호의 사용자가 장애인인지 여부를 조회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조회 결과에 따라 착신번호의 사용자가 장애인인 것으로 확인되면, 통신사 서버는 해당 전화를 수화 통역센터로 연결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통신사 서버는 착신번호를 중계 서버 100측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계 서버 100의 통역 연결 지원부 132c는 착신번호에 대응하는 장애인 사용자 계정 측으로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화상 통화 연결을 시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본원 발명은 일반 사용자와 수화 통역사 간에는 공중망 기반의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수화 통역사와 장애인 사용자 간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상통화(예, webRTC 비디오 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역 연결 지원부 132c는 이 외에도 통역사와 통신 연결을 수립한 이후 의사소통 중계 과정에서의 일련의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역 연결 지원부 132c는 통역사와 장애인 사용자 간의 화상 통화가 진행중인 상황에서, 장애인 사용자의 녹화 요청 또는 메모 요청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녹화 기능 또는 메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녹화 기능은 통역사와 장애인 사용자의 통화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녹화 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메모 기능은 장애인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구간에서의 수화 내용의 통역 내용을 텍스트화 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이다. 추후 상기 통역 연결 지원부 132c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내에서 기 진행된 통화에서 발생된 녹화 자료 또는 메모 자료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저장부에 별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30의 마지막 구성인 대상 평가부 133는 통화 대상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대상 평가부 133는 1회당 평균 통화 시간, 발신 빈도, 수신 빈도, 통화가 이루어지는 시간대 등을 포함하는 통화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화 대상(수신 사용자 또는 발신 사용자)을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대상 평가부 133는 어플리케이션을 기기에 설치한 일 사용자의 통화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대상 평가부 133는 일 사용자에 대하여 정기적인 시간에 수신되는 전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대상과의 주요 대화 주제를 추출하고 이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대상 평가부 133는 일 사용자가 특정 주제에 대한 정기적 통화를 수행하는 사용자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대화 주제 정보, 통화 개시 시점 등에 대한 대상 평가 정보를 중계 지원부 132의 통역사 매칭부 132a 측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역사 매칭부 132a는 일 사용자의 정기 통화의 개시 시점이 도래함에 따라, 상기 정기 통화의 대화 주제에 적합한 통역사를 미리 지정하고 해당 통역사가 타인 통화에 배정되지 않도록 대기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통역사 매칭부 132a는 상기 대상 평가부 133로부터 수신된 대상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정기 통화의 대화 주제에 적합한 통역사를 미리 지정하고, 해당 통역사에게 미리 알림(정기 통화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와의 통화 시간이 도래함을 알리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대상 평가부 133는 이와 같이 통역사로 하여금 특정 주제에 대한 수화 통역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적 여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 평가부 133는 이를 통해 양질의 수화 통역 서비스가 통화 참여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시스템에서 장애인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에게 전화를 발신하는 경우의 통화 중계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시스템은 장애인 사용자 기기 10a, 일반 사용자 기기 10b, 중계 서버 100, 통신사 서버 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시스템은 장애인 공공 DB 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장애인 사용자 측으로부터 일반 사용자 측으로의 통화 발신 시, 수행되는 통화 중계 동작의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화를 송신하는 장애인 사용자 기기 10a에는 통화 중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전화를 수신하는 측의 일반 사용자 기기 10b의 경우에는 통화 중계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와 관계없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장애인 사용자 기기 10a는 일반 사용자 기기 10b측으로 통화를 요청하고자 할 경우, 통화 중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 하에서, 착신번호를 입력하고 비디오콜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장애인 사용자 기기 10a 내 설치된 통화 중계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중계 서버 100는 장애인 사용자 기기 10a에 입력된 착신번호로 보이스콜 발신을 수행하도록 통신사 서버 200로 요청하는 403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통신사 서버 200는 착신번호로 보이스콜을 발신함을 통해 사용자 기기 10b 측에 보이스콜 신호가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계 서버 100가 착신 번호의 사용자(일반 사용자) 측과 보이스콜을 연결한 대상은 중계서버 100측에서 연결한 수화 통역사일 수 있다. 즉, 중계 서버 100는 통역사와 일반 사용자 기기 10b간 기간통신사 서버 200(예, 교환기 서버를 의미할 수 있음)를 거치는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계 서버 100는 연결된 수화 통역사와 비디오콜을 요청한 장애인 사용자 기기 10a와 화상 통신을 연결하는 411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시스템에서 일반 사용자가 장애인 사용자에게 전화를 발신하는 경우의 통화 중계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반 사용자 기기 10b에서 장애인 사용자 기기 10a로의 통화 연결을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일반 사용자 기기 10b는 통신사 서버 200(통신사 교환기 서버)측으로 청각 장애인 기기 10a로의 전화 발신을 요청하는 501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사 서버 200는 상기 일반 사용자 기기 10b로부터 호 발신이 발생되었다는 정보와 착신 대상의 전화번호(청각 장애인 기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통신사 서버 200는 상기 획득된 착신대상의 전화번호(착신번호)가 장애인 사용자의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사 서버 200는 착신번호가 청각장애인 번호인지 여부를 장애인 공공 DB 300에 접속하여 해당 전화번호를 조회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신사 서버 200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장애인 정보가 등록된 자체 DB를 통해 착신번호가 청각장애인 사용자의 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애인 공공 DB 300가 착신번호의 사용자가 청각장애인임을 알리는 정보를 통신사 서버 200측으로 제공하여 확인시키는 505동작이 수행되면, 이에 따라 상기 통신사 서버 200는 중계서버 100측과 연계된 수화통역센터로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507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사 서버 200는 일반 사용자 기기 10b로부터 발신된 전화를 중계 서버 100와 연계된 수화통역센터로 전달하여, 수화 통역센터 측에서 전화를 수신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로 중계서버 100측과 연계된 수화통역센터(통역사)와 일반 사용자 기기 10b 간 음성통신 (515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중계 서버 100는 통신사 서버 200에서 수화통역센터로 음성통화가 수신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계 서버 100는 수화통역센터의 통역사들의 전화 연결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통신사 서버 200에서 착신대상의 장애인 여부에 대응하여 통역사 자동 연결(통신사 서버 200측이 수행하는 통화 중계 기능)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 100는 이 때, 본래의 착신번호에 대한 정보를 함께 상기 통신사 서버 2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중계 서버 100는 통신사 서버 200에서 수화통역센터로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통화 중계 기능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전달받은 착신번호를 조회한 후 해당 착신번호를 사용하는 청각 장애인 계정으로 비디오콜(화상통화)을 발신하여 통역사와 청각 장애인의 화상통화를 요청하는 509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디오콜은 통화 중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계 서버 100의 비디오콜(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실행되는 영상 통화)이 발신되면, 장애인 사용자 기기 10a는 기기 내 기 설치된 통화 중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디오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장애인 사용자 기기 10a 측에서 이에 응답하여, 비디오콜 신호를 수락하게 되면, 중계 서버 100측에 연계된 수화통역센터와 장애인 사용자 기기 10a는 화상통신(511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화 동작을 촬영한 영상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계서버 100는 수화 통역센터의 통역사를 통해, 일반 사용자 기기 10b에서 전달되는 음성 내용과 장애인 사용자 기기 10a로부터 전달되는 수화 영상 내용을 통역하는 의사소통 중계 동작 513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요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중계 시스템은 장애인 사용자 기기, 일반 사용자 기기, 통신사 서버 및 중계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장애인 사용자 기기와 일반 사용자 기기 간 통화 시, 기 연계된 통역사를 포함하여 통화가 연결되도록 통화 중계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장애인 사용자 기기와 통역사 간 연결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상통화로 연결하고, 통역사와 일반 사용자 기기 간 연결은 음성 통화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신사 서버는 일반 사용자 기기로부터 착신번호를 획득하여 착신 대상이 장애인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장애인 사용자 기기로 발신 요청된 것임을 확인하면, 일반 사용자 기기의 통화 신호를 상기 중계 서버와 연계된 통역사 측으로 연결하고, 상기 중계 서버로 착신번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중계 서버는 일 사용자 기기에서 통화 신호 발신 또는 통화 신호 수신 시, 발신 대상 또는 수신 대상이 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대상 판단부, 통화 신호를 발신하거나 수신한 사용자가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반 사용자와 장애인 사용자 사이에 통역사를 통신 연결하여 의사소통을 중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계 지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대상 판단부는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착신 대상이 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자 판단부 및 일 사용자 기기가 장애인 사용자 기기로 기 등록되고, 장애인 사용자 기기로 등록된 기기에서 통화 발신 이벤트가 감지되면 장애인 사용자에 의한 통화 발신임을 판단하는 발신자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 지원부는 통화 신호 발신자 또는 수신자 중 적어도 한 명이 장애인 사용자인 경우, 매칭 가능한 임의의 통역사 계정을 장애인 사용자와 통역사 계정을 매칭하되, 장애인 사용자의 이전 통화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추출된 장애인 사용자의 선호 대화 주제의 난도와 통역사의 능력치 정보를 기반으로 매칭하는 통역사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계 지원부는 기 등록된 긴급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번호로 통화가 수행되는 경우, 긴급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통역사와의 통화 연결 시, 우선적으로 통화 연결을 수립하도록 요청하는 긴급 상황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지원부는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에서 통역사 매칭이 완료됨에 따라, 통역사와 일반 사용자 간 통신은 회선 교환을 이용한 음성 통화로 연결하며, 통역사와 장애인 사용자 간 통신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데이터 통신 기반의 화상 통화로 연결하는 통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통역 연결 지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계 서버는 통화 대상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되, 일 사용자의 1회당 평균 통화 시간, 발신 빈도, 수신 빈도, 통화 시간대를 포함하는 통화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상기 통화 관련 자료를 기반으로 일 사용자의 통화 패턴을 분석하여, 통역사 매칭 기준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a : 장애인 사용자 기기
10b : 일반 사용자 기기
100 : 중계 서버
110 : 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제어부
131 : 대상 판단부
131a : 수신자 판단부
131b : 발신자 판단부
132 : 중계 지원부
132a: 통역사 매칭부
132b: 긴급 상황 설정부
132c: 통역 연결 지원부
133 : 대상 평가부
200 : 통신사 서버

Claims (7)

  1. 장애인 사용자 기기, 일반 사용자 기기, 통신사 서버 및 중계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화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장애인 사용자 기기와 일반 사용자 기기 간 통화 시, 기 연계된 통역사를 포함하여 통화가 연결되도록 통화 중계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장애인 사용자 기기와 통역사 간 연결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상통화로 연결하고, 통역사와 일반 사용자 기기 간 연결은 음성 통화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중계 서버는
    일 사용자 기기에서 통화 신호 발신 또는 통화 신호 수신 시, 발신 대상 또는 수신 대상이 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대상 판단부;
    통화 신호를 발신하거나 수신한 사용자가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반 사용자와 장애인 사용자 사이에 통역사를 통신 연결하여 의사소통을 중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계 지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지원부는
    통화 신호 발신자 또는 수신자 중 적어도 한명이 장애인 사용자인 경우, 매칭 가능한 임의의 통역사 계정을 장애인 사용자와 매칭하되, 장애인 사용자의 이전 통화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추출된 장애인 사용자의 선호 대화 주제의 종류 및 난도와, 통역사의 전문 통역 분야 및 능력치 정보를 기반으로 매칭하는 통역사 매칭부;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에서 통역사 매칭이 완료됨에 따라, 통역사와 일반 사용자 간 통신은 회선 교환을 이용한 음성 통화로 연결하며, 통역사와 장애인 사용자 간 통신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데이터 통신 기반의 화상 통화로 연결하는 통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통역 연결 지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사 서버는
    일반 사용자 기기로부터 착신번호를 획득하여 착신 대상이 장애인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장애인 사용자 기기로 발신 요청된 것임을 확인하면, 일반 사용자 기기의 통화 신호를 상기 중계 서버와 연계된 통역사 측으로 연결하고, 상기 중계 서버로 착신번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판단부는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착신 대상이 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자 판단부; 및
    일 사용자 기기가 장애인 사용자 기기로 기 등록되고, 장애인 사용자 기기로 등록된 기기에서 통화 발신 이벤트가 감지되면 장애인 사용자에 의한 통화 발신임을 판단하는 발신자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통화 중계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지원부는
    기 등록된 긴급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번호로 통화가 수행되는 경우, 긴급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통역사와의 통화 연결 시, 우선적으로 통화 연결을 수립하도록 요청하는 긴급 상황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시스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통화 대상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되, 일 사용자의 1회당 평균 통화 시간, 발신 빈도, 수신 빈도 및 통화 시간대를 포함하는 통화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상기 통화 관련 자료를 기반으로 일 사용자의 통화 패턴을 분석하여, 통역사 매칭 기준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계 시스템.
KR1020200033800A 2020-03-19 2020-03-19 청각 장애인을 고려한 통화 중계 시스템 KR102194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800A KR102194257B1 (ko) 2020-03-19 2020-03-19 청각 장애인을 고려한 통화 중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800A KR102194257B1 (ko) 2020-03-19 2020-03-19 청각 장애인을 고려한 통화 중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257B1 true KR102194257B1 (ko) 2020-12-22

Family

ID=7408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800A KR102194257B1 (ko) 2020-03-19 2020-03-19 청각 장애인을 고려한 통화 중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89106B2 (ja) 2021-02-01 2024-05-23 一般財団法人日本財団電話リレーサービス 電話リレーシステム、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プラットフォー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429A (ko) * 2008-07-16 2010-01-26 (주)에어패스 통신중계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50115436A (ko) * 2014-04-04 2015-10-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29907B1 (ko) * 2015-03-12 2016-06-15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인터넷을 이용한 통역사 매칭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429A (ko) * 2008-07-16 2010-01-26 (주)에어패스 통신중계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50115436A (ko) * 2014-04-04 2015-10-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중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29907B1 (ko) * 2015-03-12 2016-06-15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인터넷을 이용한 통역사 매칭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89106B2 (ja) 2021-02-01 2024-05-23 一般財団法人日本財団電話リレーサービス 電話リレーシステム、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プラットフォー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886B1 (ko) 인터넷 기반형 텍스트 및 비디오 통신 서비스에 대한 개인 식별 및 상호작용 디바이스
EP1324608A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conference initiation
US20090003585A1 (en)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cheduling Communication Service
US71426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unifying phonebook for varied hearing disabilities
WO2017133606A1 (zh) 一种基于语音网关的通信方法
US20090017842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lephone Calling Method and Program Software for The Same
US20080056239A1 (en) VOIP Service Over a Regular Phone
EP1292091A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using internet phones and system therefor
KR20050120342A (ko) 이동단말기의 영상통화 선택방법
KR102194257B1 (ko) 청각 장애인을 고려한 통화 중계 시스템
US97626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nd controlling conference call bridges
US8711841B2 (en) Communication system
WO2017133607A1 (zh) 一种语音网关
KR20190044978A (ko) 원격 통화에 기반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인공지능 단말, 서비스 모드 관리 서버,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리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19328B1 (ko) H.323 프로토콜과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인터넷폰의호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7013616A (ja) プレゼンス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US8588397B2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including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US201700783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nd controlling conference call bridges
CN106465087B (zh) 一种通信消息转移的方法及相关装置
KR20110030985A (ko) 영상 채팅 방식을 이용한 텍스트-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220321696A1 (en) Presence based presentation of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JP7452084B2 (ja) 通話システム、通話端末、通信制御装置、通話プログラム、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話方法
US8429262B2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types of communication modes, communication terminal, computer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7017578A1 (en) Method and devices for providing missed call alerts
KR101185163B1 (ko)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서비스를 위한 방법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