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163B1 -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서비스를 위한 방법들 - Google Patents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서비스를 위한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163B1
KR101185163B1 KR1020050109523A KR20050109523A KR101185163B1 KR 101185163 B1 KR101185163 B1 KR 101185163B1 KR 1020050109523 A KR1020050109523 A KR 1020050109523A KR 20050109523 A KR20050109523 A KR 20050109523A KR 101185163 B1 KR101185163 B1 KR 101185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obile phone
internet terminal
messeng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2006A (ko
Inventor
심효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9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163B1/ko
Publication of KR20070052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인터넷 단말로부터의 연결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요구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갖는 휴대폰에 호(call)를 하는 단계; 및 메신저서비스 및 VoIP서비스 중의 어느 하나의 서비스의 상기 휴대폰에 의한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서비스로 상기 휴대폰이 접속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신호를 상기 인터넷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터넷 단말의 사용자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사용자에게 전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폰의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인터넷 단말의 사용자의 통신 요구를 휴대폰의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인터넷 단말의 사용자와 휴대폰의 사용자가 음성통화나 메신저를 이용한 통신을 할 수 있다.
인터넷 단말, 휴대폰, 오프라인, 메신저, VoIP, 호(call)

Description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서비스를 위한 방법들{Methods of communications service between Internet terminal and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휴대폰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메신저/VoIP 서버에 들어 있는 개인정보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인터넷 단말과 무선전화망을 이용하는 휴대폰 사이의 통신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컴퓨터, 노트북 PC, PDA 등의 인터넷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간에는 MSN 메신저 등의 메신저를 이용한 통신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메신저를 이용하여 상대방과의 채팅, 화상/음성대화 등의 통신을 시도할 때, 상대방이 오프라인 상 태에 있다면, 그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어 상대방이 메신저를 이용하여 로그인할 것을 요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단말로부터의 통신 요구를 호(call)를 이용하여 휴대폰에 전달하고 인스턴트메시징(IM)서비스나 VoIP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터넷 단말과 호출된 휴대폰 간에 통신이 수립되게 하는 통신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call)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인터넷 단말로부터의 통신 요구에 응답하여 인터넷 단말과의 메신저서비스나 VoIP서비스를 이용한 통신을 제공하는 휴대폰을 위한 통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서비스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a) 인터넷 단말로부터의 연결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요구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갖는 휴대폰에 호(call)를 하는 단계; 및 (c) 메신저서비스 및 VoIP서비스 중의 어느 하나의 서비스의 상기 휴대폰에 의한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서비스로 상기 휴대폰이 접속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신호를 상기 인터넷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서비스 방법으로서, (a) 인터넷 단말로부터의 연결요구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요구는 메신저서비스 및 VoIP서비스 중의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담고 있는, 단계; (b) 수신된 요구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갖는 휴대폰에 호를 하며 상기 선택정보를 상기 휴대폰에 송신하는 단계; 및 (c) 메신저서비스 및 VoIP서비스 중의 어느 하나의 서비스의 상기 휴대폰에 의한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서비스로 상기 휴대폰이 접속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신호를 상기 인터넷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인터넷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휴대폰에서 이용되는 통신방법으로서, (a) 인터넷 단말로부터의 연결요구에 대응하는 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수신된 호에 응답하여, 메신저서비스 및 VoIP서비스 중의 어느 하나의 서비스에 접속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신호를 상기 인터넷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또 다른 양태에서, 단계 (b)는, (b1) 상기 휴대폰의 사용자에게 메신저서비스 및 VoIP서비스 중의 어느 것을 이용할 것인지를 묻기 위한 표시를 행하는 단계; 및 (b2)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에 상기 휴대폰이 접속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신호를 상기 인터넷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은 인터넷 단말(11), 휴대폰(12), 인터넷망(13), 메신저/VoIP서버(14), 게이트웨이(15), 교환기 (16), 및 휴대폰망(17)을 구비한다.
인터넷 단말(11)은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IM) 서비스(이후로는 메신저서비스라고도 함)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로서, 인스턴트 메신저를 내장하고 있다. 인스턴트 메신저는 인터넷(Internet)을 통하여, 둘 혹은 그 이상의 사람들 간에 즉각적인 텍스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인터넷 단말(11)의 예들로는 개인용컴퓨터, 노트북 PC, 개인휴대정보단말(PDA) 등이 있다.
휴대폰(12)은 도 2에 보인 세부 구성을 가진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폰(12)은 ROM(21), RAM(22), LCD 등의 디스플레이(23), CPU(24), 기저대역(baseband)처리기(25), 안테나(26), 오디오처리기(27) 및 스피커/마이크로폰 부(28)를 구비한다. 휴대폰(12)의 ROM(27)에는 메신저서비스 또는 VoIP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CPU(24)는 인터넷 단말(11)과의 통신에 메신저서비스와 VoIP서비스 중의 어느 것을 이용할 것인지를 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질의(query)할 수 있다. 이때 CPU(24)는 이러한 질의를 위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23)를 통해 화상(예컨대, 대화창)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오디오처리기(27) 및 스피커/마이크로폰 부(28)를 이용하여 소리로서 나타낼 수도 있다.
인터넷망(13)은 무선망 또는 유선망일 수 있고, 그러므로 인터넷 단말(11)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
메신저/VoIP서버(14)는 도 3에 보인 구성의 개인정보테이블을 구비한다. 도 3에서, 'ID/패스워드'는 사용자들이 메신저서비스에 접속할 때 이용하는 것들이다. 그러므로 ID/패스워드를 위한 필드들은 인터넷 단말(11)의 사용자를 위한 필드와 휴대폰(12)의 사용자를 위한 필드를 포함한다. '전화번호' 필드는 휴대폰(12)의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발신측 IM/VoIP선호정보(preference)는 ID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와 VoIP서비스 중의 어느 것을 더 선호하는 지에 관한 데이터를 담고 있다. 수신측 IM/VoIP선호정보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와 VoIP서비스 중의 어느 것을 더 선호하는 지에 관한 데이터를 담고 있다. 또한, 발신측 IM/VoIP선호정보와 수신측 IM/VoIP선호정보의 각각은 당해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및 VoIP서비스를 선호하는지에 관한 데이터를 더 담고 있을 수도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도 1의 통신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인터넷 단말(11)의 사용자가 휴대폰(12)의 사용자와 메신저를 이용한 통신을 시도할 때, 휴대폰(12) 사용자의 메신저가 오프라인 상태이면(S401), 인터넷 단말(11)은 휴대폰(12)과의 연결을 요구하며(S403), 이 연결요구는 메신저/VoIP서버(14)에 송신된다(S405).
S403에서, 인터넷 단말(11)은 이 단말의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휴대폰(12)과의 연결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넷 단말(11)은 연결요구 버튼(미도시)을 인터넷 단말(11)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인터넷 단말(11)의 키패드(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연결요구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르게는, S403에서, 인터넷 단말(11)은 발신측 IM/VoIP선호정보에 기초하여 휴대폰(12)과의 연결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넷 단말(11) 사용자의 별도 의 키입력 없이도, 연결요구는 메신저/VoIP서버(14)에 자동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인터넷 단말(11)은 메신저/VoIP서버(14)에 저장된 개인정보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발신측 IM/VoIP선호정보는 인터넷 단말(11)의 내부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인터넷 단말(11)로부터 연결요구가 수신되면, 메신저/VoIP서버(14)는 S407을 수행한다. S407에서, 연결이 요구된 휴대폰(12)의 전화번호가 있는 지가 판단된다. 이것은 메신저/VoIP서버(14)의 메모리 등에 들어 있는 개인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도 있고, 인터넷 단말(11)로부터 연결요구와 함께 전화번호가 송신되었는지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상대방, 즉 연결이 요구된 휴대폰(12)의 전화번호가 있다면, 메신저/VoIP서버(14)는 연결요구를 휴대폰(12)을 향해 송신한다(S409). 반면, 피 연결요구 전화번호가 없다면, 메신저/VoIP서버(14)는 더 이상의 처리 없이 동작을 종료한다. 이때, 메신저/VoIP서버(14)는 당해 연결요구를 무시하거나 또는 연결요구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없다는 것을 인터넷 단말(11)에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메신저/VoIP서버(14)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측이 메신저서비스 및 VoIP서비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메신저/VoIP서버(14) 도 3에 관련하여 설명된 개인정보 테이블 속에 착신측의 휴대폰의 성능, 사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등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다르게는, 메신저/VoIP서버(14)는, 연결이 요구된 휴대폰(12)의 전화번호가 있는 경우, 그 휴대폰의 전화망 사업자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그러한 정보를 요 구할 수도 있다.
또한, S407에서, 메신저/VoIP서버(14)는 도 3에 관련하여 설명된 개인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메신저서비스 및 VoIP서비스 중에서 발신측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서비스를 자동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연결요구와 함께 휴대폰(12) 쪽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S409).
추가로, 메신저/VoIP서버(14)는 휴대폰(12)이 메신저서비스 및 VoIP서비스 중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무엇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이 요구된 휴대폰(12)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인터넷 단말(11)에 알려줄 수도 있고, 또한, 메신저서비스 및 VoIP서비스의 어느 것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그 사실을 인터넷 단말(11)에 알려줄 수 있다.
연결요구만이 교환기(16) 등을 통해 휴대폰(12)에 송신되는 경우, 휴대폰(12)의 전화벨이 울리고 IM서비스와 VoIP서비스 중에서 어느 것을 이용하여 응답할 것인지를 묻는 창이 휴대폰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다(S411). 이러한 물음은 소리의 형태로 휴대폰(12)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휴대폰(12) 사용자가 휴대폰의 키패드 등을 이용하여 연결요구를 거부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12)이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하고 그 시간이 경과하면 연결요구를 무시하도록 휴대폰을 프로그래밍하는 것도 가능하다.
휴대폰(12)의 사용자가 IM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휴대폰(12)은 메신저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 인하고, IM선택확인 신호를 교환기(16)에 송신한다(S413). 이때 휴대폰(12)은 발신측에 해당하는 인터넷 단말(11)의 전화번호 또는 과금에 필요한 계정 등의 정보를 IM선택확인 신호와 함께 교환기(16)에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러면, 교환기(16)는 인터넷 단말(11)의 사용자에게 과금을 행할 수 있다(S415).
그 후, 교환기(16)는 IM선택확인 신호를 송신하고 이 신호는 메신저/VoIP서버(14) 등을 통해 인터넷 단말(11)에 전달된다(S417). 인터넷 단말(11)은 IM선택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인터넷 단말(11)의 사용자에게 휴대폰(12)의 사용자가 메신저서비스에 로그 인하였음을 알려준다. 그에 따라, 인터넷 단말(11)과 휴대폰(12)의 사용자들은 서로 간에 메신저서비스를 이용하여 채팅 화상/음성 대화 등을 할 수 있게 된다(S419).
한편, 휴대폰(12)의 사용자가 VoIP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휴대폰(12)은 VoIP선택확인 신호를 송신하며 인터넷 단말(11)은 그 신호를 수신한다(S421). 그러면 인터넷 단말(11)은 인터넷 단말(11)은 휴대폰(12)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이른바 PC 대 전화기(PC-to-phone) 통신을 요구하며, 이 요구는 메신저/VoIP서버(13), 게이트웨이(15), 교환기(16) 등을 통해 휴대폰(12)에 전달된다(S423). 휴대폰(12)의 사용자가 통화버튼 또는 VoIP전용 통화버튼(이것들은 미도시)을 누르면, 휴대폰(12)으로부터 인터넷 단말(11)로 연결확인신호가 송신되고(S425), 인터넷 단말(11)과 휴대폰(12) 사이의 VoIP통신이 시작된다(S427)
연결요구와 선택정보가 함께 수신되는 경우, 휴대폰(12)은 연결요구를 디스플레이(23) 등을 통해 표시하는 한편 인터넷 단말(11)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서비스가 IM서비스인지 아니면 VoIP서비스인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휴대폰(12)의 사용자와 인터넷 단말(11)의 사용자 둘 다가 선호 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할 수도 있다.
위의 설명에서는, 휴대폰(12)의 사용자가 IM서비스와 VoIP서비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메신저/VoIP서버(13)가 발신측 및 수신측의 IM/VoIP선호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IM서비스나 VoIP서비스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인터넷 단말(11)과 휴대폰(12) 간의 IM/VoIP서비스에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는 인터넷 단말(11), 휴대폰(12) 및 메신저/VoIP서버(13)에 적절히 저장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 단말의 사용자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사용자에게 전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폰의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인터넷 단말의 사용자의 통신 요구를 휴대폰의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인터넷 단말의 사용자와 휴대폰의 사용자가 음성통화나 메신저를 이용한 통신을 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메신저서비스와 VoIP서비스 중의 하나를 수신측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수신자는 키 입력이 곤란하거나 미숙한 상황에서는 통신에 VoIP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또 통화료의 부담을 느끼는 상황에서는 메신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인터넷 단말로부터의 연결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요구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갖는 휴대폰에 호(call)를 하는 단계; 및
    (c) 메신저서비스 및 VoIP서비스 중의 어느 하나의 서비스의 상기 휴대폰에 의한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서비스로 상기 휴대폰이 접속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선택 확인 신호를 상기 인터넷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측이 메신저서비스 및 VoIP서비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서비스 방법.
  3.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인터넷 단말로부터의 연결요구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요구는 메신저서비스 및 VoIP서비스 중의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담고 있는, 단계;
    (b) 수신된 요구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갖는 휴대폰에 호를 하며 상기 선택정보를 상기 휴대폰에 송신하는 단계; 및
    (c) 메신저서비스 및 VoIP서비스 중의 어느 하나의 서비스의 상기 휴대폰에 의한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서비스로 상기 휴대폰이 접속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선택 확인 신호를 상기 인터넷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서비스 방법.
  4. 인터넷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휴대폰에서 이용되는 통신방법에 있어서,
    (a) 인터넷 단말로부터의 연결요구에 대응하는 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수신된 호에 응답하여, 메신저서비스 및 VoIP서비스 중의 어느 하나의 서비스에 접속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선택 확인 신호를 상기 인터넷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b)는,
    (b1) 상기 휴대폰의 사용자에게 메신저서비스 및 VoIP서비스 중의 어느 것을 이용할 것인지를 묻기 위한 표시를 행하는 단계; 및
    (b2)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에 상기 휴대폰이 접속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상기 선택 확인 신호를 상기 인터넷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방법.
  5. 삭제
KR1020050109523A 2005-11-16 2005-11-16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서비스를 위한 방법들 KR101185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523A KR101185163B1 (ko) 2005-11-16 2005-11-16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서비스를 위한 방법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523A KR101185163B1 (ko) 2005-11-16 2005-11-16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서비스를 위한 방법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006A KR20070052006A (ko) 2007-05-21
KR101185163B1 true KR101185163B1 (ko) 2012-09-24

Family

ID=3827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523A KR101185163B1 (ko) 2005-11-16 2005-11-16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서비스를 위한 방법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1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363A (ko) * 2002-10-28 2004-05-07 주식회사 케이티 전화교환망과 인스턴트 메시지 망을 결합한 환경하에서의호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96331A (ko) * 2003-05-09 2004-1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30444A (ko) * 2003-09-26 2005-03-30 (주)헤리트 인터넷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클릭만으로 유선,무선,VoIP전화로 통화하고 음성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과 서비스
KR20050053398A (ko) * 2003-12-02 2005-06-08 (주)모임스톤 인스턴트 메신저 기능을 갖는 인터넷 프로토콜 사설교환기 및 인터넷 단말기
KR20050082888A (ko) * 2004-02-20 2005-08-24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단말에서 메신저를 이용한 음성 패킷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363A (ko) * 2002-10-28 2004-05-07 주식회사 케이티 전화교환망과 인스턴트 메시지 망을 결합한 환경하에서의호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96331A (ko) * 2003-05-09 2004-1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30444A (ko) * 2003-09-26 2005-03-30 (주)헤리트 인터넷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클릭만으로 유선,무선,VoIP전화로 통화하고 음성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과 서비스
KR20050053398A (ko) * 2003-12-02 2005-06-08 (주)모임스톤 인스턴트 메신저 기능을 갖는 인터넷 프로토콜 사설교환기 및 인터넷 단말기
KR20050082888A (ko) * 2004-02-20 2005-08-24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단말에서 메신저를 이용한 음성 패킷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006A (ko) 200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193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JP4470854B2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WO2007046364A1 (ja) プレゼンス表示端末装置およびプレゼンス管理システム
KR1004263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캐릭터 이미지 송수신 방법
WO2004110045A1 (ja) メール送信機能を有する電話機
JP2005033565A (ja) メールおよびスケジュール機能付き携帯電話
JP5442409B2 (ja) 呼接続制御装置、発信者識別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883024B1 (ko) VoIP 서비스 장치 및 VoIP 서비스 방법
KR101185163B1 (ko) 인터넷 단말과 휴대폰 사이의 통신서비스를 위한 방법들
KR102194257B1 (ko) 청각 장애인을 고려한 통화 중계 시스템
KR102465171B1 (ko) 향상된 자동 발신자 식별 해석
JP2000312258A (ja) 通信サービスシステム
KR10070335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신저 서비스에서 예약된 시간에파일을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5801991B2 (ja) 着信制御サーバ、及び、着信制御方法
KR10073677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전화번호 변경 알림 방법
JPH11331412A (ja) 電話端末装置
JP4784314B2 (ja) 電話通信システム
JPH11177713A (ja) 通信端末装置
KR100384329B1 (ko) 인터넷폰 서비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49176A (ko) 휴대 전화 단말기의 상태 정보 처리 장치
KR100501322B1 (ko) 단문 서비스가 가능한 회선 교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620226B1 (ko) 통합 액세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 접속 방법과 그시스템
KR20020069987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 비서 기능을 갖는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KR20040100806A (ko) 듀얼모드 착발신 전화 단말기
KR20030002968A (ko) 이동 통신 단말의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