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024B1 - VoIP 서비스 장치 및 VoIP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VoIP 서비스 장치 및 VoIP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024B1
KR100883024B1 KR1020070045202A KR20070045202A KR100883024B1 KR 100883024 B1 KR100883024 B1 KR 100883024B1 KR 1020070045202 A KR1020070045202 A KR 1020070045202A KR 20070045202 A KR20070045202 A KR 20070045202A KR 100883024 B1 KR100883024 B1 KR 100883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voip
called terminal
ca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538A (ko
Inventor
안병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45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024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측 단말기가 VoIP 시스템에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착신측 단말기로 착신되는 부재중 발신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여 착신측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부재중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VoIP 서비스 장치 및 VoIP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신측 단말기와 착신측 단말기 간의 VoIP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 서비스 장치는,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별도로 등록한 휴대용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착신측 단말기가 미접속 부재중 상태인 경우,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발신 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자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등록해 둔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메시지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VoIP 서비스 가입자는 VoIP 서비스에 미접속한 상태에서도 VoIP 전화번호로 전화가 왔었다는 것을 문자 메시지 등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중요한 용무의 전화를 놓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VoIP, 미접속, 부재중, 메시지

Description

VoIP 서비스 장치 및 VoIP 서비스 방법{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ERVICE APPARATUS AND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ERVIC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VoIP 서비스 장치에 대한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VoIP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발신측 단말기 20: 착신측 단말기
30: 휴대용 단말기 100: VoIP 서비스 장치
101: 메모리 103: 메시지 처리부
105: 제어부
본 발명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 게는 VoIP 서비스를 이용 중이지 않은 착신측 단말기로 착신되는 부재중 발신자 정보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VoIP 서비스 장치 및 VoIP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oIP는 IP(Internet Protocol)를 사용하여 음성정보를 전달하는 일련의 설비들을 위한 IP 전화기술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러한 VoIP는 공중교환전화망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처럼 회선에 근거한 전통적인 프로토콜들이 아니라, 불연속적인 패킷들 내에 디지털 형태로 음성정보를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VoIP의 주요 장점은 기존 IP 네트워크를 그대로 활용해 전화서비스를 통합 구현함으로써, 전화 사용자들이 시내전화 요금만으로 인터넷, 인트라넷 환경에서 시외 및 국제전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종래 VoIP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와 발신자간의 통화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발신자는 일반 전화기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IP망을 통해 VoIP 시스템(게이트웨이)에 접속하여 착신자와의 통화를 시도한다. 그러면, 상기 VoIP 시스템은 상기 발신자가 통화하고자 희망하는 착신측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상기 착신측 단말기가 부재중이거나 통화중이면, VoIP 시스템은 발신측 단말기로 통화 응답 불가능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통화 응답 불가능 메시지는 상기 착신측 단말기와 통화 연결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음성 또는 톤으로 상기 발신측 단말기에 제공된다.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통화 응답 불가능 메시지를 수신한 후, VoIP 시스템과의 통화를 해제한다.
그러나, 상기 확인결과, 상기 착신측 단말기가 부재중 혹은 통화중이 아니면, VoIP 시스템은 착신측 단말기와의 통화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착신측 단말기 간에 통화 서비스가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VoIP 시스템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에서 착신측 단말기가 VoIP 시스템에 접속하지 않은 상태이면 착신측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에게 통화를 요청한 발신자 정보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착신측 단말기의 사용자는 중요한 통화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 착신측 단말기가 VoIP 시스템에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착신측 단말기로 착신되는 부재중 발신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여 착신측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부재중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VoIP 서비스 장치 및 VoIP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발신측 단말기와 착신측 단말기 간의 VoIP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 서비스 장치는,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별도로 등록한 휴대용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부; 상기 착신측 단말기가 미접속 부재중 상태인 경우,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발신 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자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등록해 둔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메시지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VoIP 시스템에서 발신측 단말기와 착신측 단말기 간의 VoIP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의 발신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측 단말기가 미접속 부재중 상태인 경우, 상기 발신 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등록해 둔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oIP 시스템은 발신측 단말기(10), VoIP 서비스 장치(100), 착신측 단말기(20) 및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의 발신측 단말기(10)는 유선 전화기이고, 착신측 단말기(20)는 VoIP 전화기이며, 휴대용 단말기(30)는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가 별도로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착신측 단말기(20)는 VoIP 전화 서비스가 가능한 범용 컴퓨터 또는 VoIP 전용 단말기일 수 있고, 또는 VoIP 전화 서비스가 지원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착신측 단말기(20)는 인터넷망을 통해 VoIP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발신측 단말기(10)는 유선 전화기로 설명하나, 발신측 단말기(10)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신측 단말기(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VoIP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하여 VoI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발신측 단말기(10)는 유선 전화기 혹은 이동 단말기에 국한되지 않고 VoIP 통화가 가능한 어떠한 단말기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신측 단말기(10)는 발신자의 입력에 따라 착신측 단말기(20)와의 통화를 요청한다. 발신측 단말기(10)에서 발신된 호는 공중전화망을 경유하여 VoIP 서비스 장치(100)에 전송된다.
VoIP 서비스 장치(100)는 발신측 단말기(10)로부터 발신된 호의 착신자 정보를 분석하여 착신측 단말기(20)에 호 접속하여 상기 발신측 단말기(10)와 착신측 단말기(20) 간의 통화로를 개설하여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제어한다. 착신측 단말기(20)는 VoIP 서비스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신측 단말기(10)와 통화 연결되어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수행한다.
또한, VoIP 서비스 장치(100)는 착신측 단말기(20)가 미접속 부재중 상태에서 발신 호가 착신되는 경우 해당 발신 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작성하고, 그 작성한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가 별도로 등록해 둔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서비스(SMS)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VoIP 서비스 장치(100)는 발신측 단말기(10)의 통화 요청시, 상기 발신측 단말기(10)의 발신자 정보를 저장한 후,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착신측 단말기(20)와 발신측 단말기(10)를 인터페이스시켜 음성 또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VoIP 서비스 장치(100)는 착신측 단말기(20)가 부재중인 경우, 예컨대 VoIP 서비스를 위해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가 가입자 정보로 등록해 둔 휴대용 단말기(30)로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VoIP 서비스 장치(100)는 저장된 발신자 정보를 부재중 정보로 전환하여 착신자에 할당된 저장 영역의 부재중 발신자 정보 리스트에 등록한다.
또한, VoIP 서비스 장치(100)는 착신측 단말기(20)가 VoIP 서비스를 위해 접속하면, 그 착신측 단말기(20)가 부재중일 때 걸려왔던 부재중 발신자 정보를 리스 트화하여 상기 착신측 단말기(20)에게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발신측 단말기(10)의 사용자는 VoIP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착신측 단말기(20)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키패드의 키버튼을 조작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발신측 단말기(10)는 공중전화망을 경유하여 VoIP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하여 호 발신을 요청한다. 이때, VoIP 서비스 장치(100)는 발신측 단말기(10)의 호 발신에 따라 그 발신측 단말기(10)의 발신자 정보를 저장한다.
이어서, VoIP 서비스 장치(100)는 착신측 단말기(20)의 상태를 확인한다. 즉, 착신측 단말기(20)의 VoIP 서비스 이용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착신측 단말기(20)가 VoIP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중이라면, VoIP 서비스 장치(100)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착신측 단말기(20)와 발신측 단말기(10) 간의 통화 서비스를 개시한다. 이러한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착신측 단말기(20)와 발신측 단말기(10) 간의 VoIP 통화 기술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확인 결과 착신측 단말기(20)가 VoIP 서비스를 이용 중이지 않으면, 예컨대 착신측 단말기(20)가 VoIP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VoIP 서비스 장치(100)는 발신자 정보를 부재중 정보로 전환하여 부재중 발신자 정보 리스트에 등록한다. 그리고, VoIP 서비스 장치(100)는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가 등록해 둔 휴대용 단말기(30)로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단문메시지 서비스 혹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그러면,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된 단문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통해 VoIP 서비스를 이용 중이지 않을 때 누구로부터 부재중 전화가 왔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또한 그 부재중 전화에 해당하는 발신자에게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이때, 발신자와의 통화는 착신측 단말기(20)로 VoIP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하여 하거나, 또는 휴대용 단말기(30)를 통해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할 수 있다.
한편,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가 VoIP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VoIP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하면, VoIP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가 VoIP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을 때 걸려왔던 부재중 전화의 발신자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착신측 단말기(20)에 제공한다. 따라서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는 별도의 휴대용 단말기(30)를 등록해 두지 않아도 VoIP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함으로써 부재중 전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VoIP 서비스 장치(100)에 대한 내부 구성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VoIP 서비스 장치(100)에 대한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101)에는 착신측 단말기(20)가 부재중일 때 걸려온 발신 호의 정보와 발신자 정보가 저장된다. 예컨대, 전화가 걸려온 시간, 발신자의 전화번호 등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101)에는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가 지 정한 휴대용 단말기(30)의 전화번호가 저장된다. 즉 착신측 단말기(20)로 걸려왔던 부재중 발신 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휴대용 단말기(30)의 전화번호가 메모리(101)에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10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oIP 서비스의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메시지 처리부(103)는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101)에 저장된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가 등록한 휴대용 단말기(30)로 상기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혹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의해 전송된다.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되어 온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여 VoIP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하지 않은 때에 어떠한 전화가 걸려왔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05)는 발신측 단말기(10)와 착신측 단말기(20) 간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05)는 VoIP 서비스 장치(100)에 미접속된 부재중 착신측 단말기(20)로 통화를 요구하는 발신측 단말기(10)의 발신자 정보를 부재중 발신자 정보로 전환하여 상기 메모리(101)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05)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103)를 제어하여 상기 메시지 처리부(103)로 하여금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작성하여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가 등록해 둔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5)는 착신측 단말기(20)가 VoIP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하는 경우, 메모리(101)에서 해당 착신측 단말기(20)가 미접속 상태일 때 걸려왔던 부재중 전화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서비스 장치(100)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신자가 발신측 단말기(10)에 착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화 요청을 하면, 발신측 단말기(10)는 공중전화망을 경유하여 VoIP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하여 착신측 단말기(20)와의 통화를 요청한다(S301).
그러면, VoIP 서비스 장치(100)는 발신측 단말기(10)의 발신자 정보를 메모리(101)에 저장하고 착신측 단말기(20)가 VoIP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접속 중인지 확인한다(S303).
상기 확인 결과, 착신측 단말기(20)가 VoIP 서비스를 위해 접속되어 있으면, VoIP 서비스 장치(100)는 발신측 단말기(10)와 착신측 단말기(20) 간의 통화로를 연결하여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개시한다(S305).
그러나, 상기 확인 결과, 착신측 단말기(20)가 VoIP 서비스를 위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VoIP 서비스 장치(100)는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가 등록한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한다(S307). 휴대용 단말기(20)는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부(LCD)에 표시하고,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로 전송되어 표시된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통해 VoIP 전화번호, 즉 착신측 단말기(20)로 부재중 전화가 걸려왔음을 인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VoIP 서비스 장치(100)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가 등록해 둔 휴대용 단말기(30)로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가 전송된 후, 사용자가 착신측 단말기(20)로 VoIP 서비스를 위해 VoIP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하는 경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VoIP 서비스 장치(100)에 미접속 중이던 착신측 단말기(20)는 VoIP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VoIP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한다(S401).
이와 같이 착신측 단말기(20)가 접속하면, VoIP 서비스 장치(100)는 착신측 단말기(20)의 식별정보(예컨대, 전화번호, 또는 단말기 식별번호 등)를 이용하여 착신측 단말기(20)가 미접속 상태일 때 착신측 단말기(20)로 걸려왔던 부재중 전화 정보를 메모리(101)에서 검색한다(S403).
그리고, VoIP 서비스 장치(100)는 상기 검색된 부재중 전화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착신측 단말기(20)로 전송한단(S405). 즉, VoIP 서비스 장치(100)는 착신측 단말기(20)의 미접속된 상태에서 착신측 단말기(20)로 걸려온 부재중 전화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부재중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발신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착신측 단말기(20)는 부재중 전화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S407). 이어서,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는 부재중에 자신에게 전화를 걸었던 발신자와 통화를 시도한다. 즉, 사용자는 착신측 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중인 부재중 전화 정보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부재중 전화 정보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착신측 단말기(20)는 VoIP 서비스 장 치(100)로 해당 발신자와의 통화를 요청하고(S409), VoIP 서비스 장치(100)는 발신자 단말기(10)와 통화로를 형성하여 착신자 단말기(20)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10) 간의 통화를 개시한다(S411).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oIP 시스템에서는 VoIP 서비스 장치(100)에 미접속중인 착신측 단말기(20)로 전화가 걸려오면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고 그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가 별도로 등록해 둔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착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는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여 VoIP 서비스 장치(100)에 미접속인 상태에서 누구로부터 전화가 걸려왔는지 확인이 가능하고, 해당 발신자들과 통화를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VoIP 서비스 가입자는 VoIP 서비스에 미접속한 상태에서도 VoIP 전화번호로 전화가 왔었다는 것을 문자 메시지 등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중요한 용무의 전화를 놓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VoIP 서비스 이용량이 증대되어 VoIP 서비스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VoIP 서비스 사업자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사업자에게도 새로운 수익 모델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발신측 단말기와 착신측 단말기 간의 VoIP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 서비스 장치로서,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별도로 등록한 휴대용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착신측 단말기가 미접속 부재중 상태인 경우,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발신 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자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등록해 둔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발신 호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메시지 처리부를 제어하며,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재 접속시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발신자 전화번호, 발신 시간을 포함하는 부재중 전화 목록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VoIP 서비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중 어느 하나로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서비스 장치.
  5. VoIP 시스템에서 발신측 단말기와 착신측 단말기 간의 VoIP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의 발신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 호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착신측 단말기가 미접속 부재중 상태인 경우, 상기 발신 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별도로 등록해 둔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착신측 단말기의 재 접속시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발신 시간을 포함하는 부재중 전화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oIP 서비스 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기가 접속 상태인 경우,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단말기 간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서비스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전화 알림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서비스 방법.
KR1020070045202A 2007-05-09 2007-05-09 VoIP 서비스 장치 및 VoIP 서비스 방법 KR10088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202A KR100883024B1 (ko) 2007-05-09 2007-05-09 VoIP 서비스 장치 및 VoIP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202A KR100883024B1 (ko) 2007-05-09 2007-05-09 VoIP 서비스 장치 및 VoIP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538A KR20080099538A (ko) 2008-11-13
KR100883024B1 true KR100883024B1 (ko) 2009-02-12

Family

ID=4028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202A KR100883024B1 (ko) 2007-05-09 2007-05-09 VoIP 서비스 장치 및 VoIP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811B1 (ko) 2016-02-16 2017-06-30 이승열 VoIP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동글 및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712B1 (ko) * 2009-05-28 2012-04-20 주식회사 케이티 VoIP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356960B1 (ko) * 2010-10-22 2014-01-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KR101524667B1 (ko) * 2013-10-30 2015-06-03 주식회사 아이페이지온 푸쉬 메시지를 이용한 부재중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357A (ko) * 1999-03-15 2000-10-16 윤종용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음성 메일 지원방법
KR20040009121A (ko) * 2002-07-22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357A (ko) * 1999-03-15 2000-10-16 윤종용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음성 메일 지원방법
KR20040009121A (ko) * 2002-07-22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811B1 (ko) 2016-02-16 2017-06-30 이승열 VoIP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동글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538A (ko)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8872B1 (en) Caller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726618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turning a call over a telephony system
KR100590867B1 (ko) 아이 피 기반의 화상/음성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전환/호 픽업 방법
EP1511282A1 (en) Terminal connection device, connection control device, and multi-function telephone terminal
TW200810503A (en) Control of a calling party&#39;s telephone service features by a call taker at a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JP5614357B2 (ja) 電話制御装置、電話システム、および転送制御方法
KR100883024B1 (ko) VoIP 서비스 장치 및 VoIP 서비스 방법
US2015007820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ducting Conference Calls
KR20100109023A (ko) 일반전화와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게이트웨이장치 및 그 방법
JP2000354113A (ja) 電話装置
KR100552521B1 (ko) 브이 오 아이피 시스템에서의 음성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그 장치
JP5084652B2 (ja) 電話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電話サービス方法
KR100784239B1 (ko) 화상전화 자동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191570A (ja) 電話システム、電話端末
KR101519600B1 (ko) 인터넷 전화 시스템의 통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200801236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Back
KR100770859B1 (ko) 인터넷 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설교환시스템에서 호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20009002A (ko) 인터넷 화상 폰
JP2007195002A (ja) 在席状態を通知する電話システム
KR101152625B1 (ko) 아이콘 대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4951B1 (ko) Sms를 이용한 착신 과금 통화 허용 서비스 시스템 및서비스 방법
KR100797373B1 (ko) 화상 통화에서의 영상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장치
KR100607703B1 (ko) 듀얼모드 착발신 전화 단말기
KR101190347B1 (ko) 메신저/웹(/왑)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40099077A (ko) 인터넷 전화연결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