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960B1 -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960B1
KR101356960B1 KR1020100103202A KR20100103202A KR101356960B1 KR 101356960 B1 KR101356960 B1 KR 101356960B1 KR 1020100103202 A KR1020100103202 A KR 1020100103202A KR 20100103202 A KR20100103202 A KR 20100103202A KR 101356960 B1 KR101356960 B1 KR 101356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ice
call notif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issed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846A (ko
Inventor
최우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3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9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시스템, 제공장치 및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원오프(power off) 중이거나, 음영지역에 있는 등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거나, 통화중 상태인 착신단말로의 발신이 있는 경우, 서비스 제공장치가 발신단말의 식별정보를 착신단말로 전송하여 부재중 착신이 있었음을 알리는 과정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IMS(IP Multimedia Subsystem) 내에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든 인프라 구축없이, 기존의 통신망(Legacy Network) 내의 부가서비스 제공서버를 이용하여 착신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System,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missing call notification service fo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terminal}
본 발명은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단말인 VoIP 단말이 전원오프 중이거나, 통신가능하지 않거나, 통화 중인 경우 등에 있어서 착신단말로 발신단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기에 3세대 이동통신망의 IP(Internet Protocol)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개발된 IMS(IP Multimedia Subsystems)는 현재 All IP 기반의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IMS를 통한 서비스 제어의 필요성은 서비스 품질, 과금, 서로 다른 서비스의 융합에서 찾을 수 있다. 기존 인터넷의 연결을 통해서도 모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이는 최선을 다하지만 품질을 보장하지 않는 최선의 노력(best-effort) 서비스에 국한된다. 예컨대, 스트리밍 데이터는 스트리밍 형식으로 전송을 하지만, 네트워크에 의한 지연에 대해 그 품질을 보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IMS망의 경우, 세션에 대한 자원 할당을 수행함으로써 세션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IMS망은 세션에 대한 적절한 과금을 가능하게 한다. 단순히 정액 과금 또는 패킷량에 따른 과금이 아니라 서비스의 종류와 품질, 사용자의 특성, 네트워크 사업자 및 서비스 제공자의 정책에 따른 적절한 과금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IMS망은 개방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쉽게 생성할 수 있고, 기존 서비스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은 네트워크 사업자와 서비스 제공자 모두에게 서비스를 위한 제어와 과금 능력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는 자신의 홈 망에서뿐 아니라 로밍 시에도 자신의 모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IMS망의 특성을 보인다. 이는 이동통신을 위해 정의된 IMS가 All IP 기반의 유무선 통합 환경에서 기본 제어 플랫폼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이유가 된다.
한편, 패킷 스위칭 기반의 패킷 네트워크인 IMS망을 도입하면, 사용자들에게 패킷 기반 음성 통화 서비스로 mVoIP(mobile Voice Over I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All IP 환경은 완벽하게 구현되지 않았으며, 패킷 기반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부가서비스 인프라의 개발이 요청된다. 또한, 이를 위해 새로운 인프라를 모두 구축하는 경우, 기존의 동일한 인프라에 대한 중복 투자 및 그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에 드는 시간과 비용이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통신망에 구축된 부가서비스 인프라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IMS와 같이 IP를 이용한 통신을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MS 내에 독자적인 인프라를 새로 구축함이 없이 기존의 통신망에서 서비스 중인 부가서비스 서버를 이용하여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IP(Internet Protocol)를 사용하지 않는 제2네트워크 내에 위치하고, 발신단말인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착신단말인 제2단말로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서버, 및 IP를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 내에 위치하며, 제1단말의 발신에 따라 제2단말이 전원오프(power off) 상태, 응답시간 초과(not reachable) 상태, 또는 통화중 상태임을 인식하면 제2단말이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임을 확인하고,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부가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장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 제2단말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저장한 서비스가입정보 저장부, 및 제1단말의 발신에 따라 착신단말인 제2단말이 전원오프 상태임을 인식하거나, 송수신부를 통해 제2단말의 응답시간이 초과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송수신부를 통해 제2단말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비스가입정보에 따라 제2단말이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임을 확인하고,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송수신부를 통해 제2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송수신부를 통해 제2단말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제공하는 홈가입자 서버로 UDR(User Data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송수신부를 통해 홈가입자 서버로부터 제2단말의 서비스가입정보를 포함한 UDA(User Data Answer) 메시지를 수신하여 서비스가입정보 저장부에 서비스가입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는, 제2단말의 전원온(power on) 상태를 나타내는 등록정보를 저장한 등록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등록정보저장부에서 제2단말의 등록정보를 조회하여 제2단말이 전원오프 상태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송수신부를 통해 제2단말의 등록을 위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REGISTER 메시지를 수신하여 등록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는,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식별정보저장부에 저장한 후, 제2단말의 전원온 상태를 인식하면 저장한 식별정보를 제2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송수신부를 통해 제2단말의 응답시간이 초과되었음을 나타내는 SIP의 408 Request Time-Ou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송수신부를 통해 제2단말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SIP의 486 Busy-Here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송수신부를 통해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서버로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제2단말이 부가서비스 서버로부터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부가서비스 서버는, IP를 사용하지 않는 이종망 내에서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단말이 이용하는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제1단말의 VoIP 전화번호,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MDN(Mobile Directory Number),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및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SIP을 이용하여 세션을 설정하고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비스 제공장치가 제1단말의 발신에 따라 착신단말인 제2단말이 전원오프 상태임을 인식하거나, 송수신부를 통해 제2단말의 응답시간이 초과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송수신부를 통해 제2단말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태확인단계, 제2단말의 상태를 확인한 서비스 제공장치가 제2단말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조회하여 제2단말이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임을 확인하는 서비스확인단계, 및 서비스 제공장치가 제2단말로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식별정보전송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태확인단계에서, 서비스 제공장치는 제2단말의 전원온 상태를 나타내는 등록정보를 저장하고, 등록정보를 조회하여 제2단말이 전원오프 상태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태확인단계 전에, 서비스 제공장치가 제2단말의 등록을 위한 SIP의 REGISTER 메시지를 수신하여 등록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태확인단계에서, 서비스 제공장치는 제2단말의 응답시간이 초과되었음을 나타내는 SIP의 408 Request Time-Ou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태확인단계에서, 서비스 제공장치는 제2단말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SIP의 486 Busy-Here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서비스확인단계는, 서비스 제공장치가 제2단말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제공하는 홈가입자 서버로 UDR 메시지를 전송하고, 홈가입자 서버로부터 제2단말의 서비스가입정보를 포함한 UDA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단말이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임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식별정보전송단계는, 서비스 제공장치가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서버로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제2단말이 부가서비스 서버로부터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부가서비스 서버는, IP를 사용하지 않는 이종망 내에서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VoIP 단말인 착신단말이 전원오프 중이거나, 음영지역에 위치한 경우와 같이 통신이 어려운 상태에 있거나, 통화 중인 경우 등의 부재중 상황에 있는 경우 발신단말의 식별정보를 착신단말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부재중 착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IMS 내의 인프라 구축을 통해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IMS 내에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든 인프라 구축없이, 기존의 통신망(Legacy Network) 내의 부가서비스 제공서버를 이용하여 착신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인프라 구축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시 전원오프 중인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시 전원오프 중인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시 전원오프 중인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시 통화불능인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시 통화불능인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시 통화중인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시 통화중인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제1단말(100), 제2단말(200), 세션 제어기(300), 서비스 제공장치(400), 홈가입자 서버(500), 부가서비스 서버(600), 제1네트워크(700) 및 제2네트워크(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네트워크(700)와 제2네트워크(800)는 제1단말(100), 제2단말(200), 세션 제어기(300), 서비스 제공장치(400), 홈가입자 서버(500) 및 부가서비스 서버(600) 간의 정보교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제1네트워크(700)는 VoIP 단말의 통신을 지원하는 IMS(Internet Multimedia Subsystem) 인프라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VoIP 단말인 제2단말(200)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2네트워크(800)는 제1네트워크(700)와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이종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네트워크(800)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 WCDMA(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과 같은 기존의(Legacy) 이동통신망이 될 수 있다.
제1단말(100)은 발신단말로서 유선단말 및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으로 제1네트워크(700)에 접속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1단말(100)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단말이 될 수 있고, 또는 이용하는 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서비스 지원 단말이나, WCDMA(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서비스 지원 단말 등 모든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이동통신 서비스 지원 단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단말(100)이 VoIP 단말이 아닌 경우, 이용하는 통신서비스망을 통해 제1네트워크(700)에 접속하게 된다.
제2단말(200)은 착신단말로서 유선단말 및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것이며, IP(Internet Protocol)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단말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네트워크(700)내의 IMS 인프라를 이용해 통신서비스 및 부가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세션 제어기(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CSCF)(300)는 S-CSCF(Serving CSCF), I-CSCF(Interrogating CSCF), P-CSCF(Proxy CSCF)로 구성되어 제1단말(100), 제2단말(200) 사이의 호 및 세션처리를 수행하고, 인입호에 대한 게이트웨이로서의 기능(Incoming Call Gateway)과 호 제어기능(Call Control Function), SPD(Serving Profile Database)기능, 주소처리(Address Handling) 기능 등을 수행한다.
홈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500)는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중앙 집중화된 데이터베이스로 사용자 등록 및 변경 관리, 인증, 권한 부여, 로케이션, 세션 라우팅, 과금 등의 호 및 세션 제어를 위한 모든 가입자 정보를 관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홈가입자 서버(500)는, 서비스 제공장치(400)의 요청에 따라 제2단말(200)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부가서비스 서버(600)는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이다. 본 실시예에서 부가서비스 서버(600)는 제2네트워크(800)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IMS 인프라를 포함한 제1네트워크(700) 내에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별도의 서비스서버를 증설함이 없이, 서비스 제공장치(400)와 부가서비스 서버(600) 간의 통신을 통해 VoIP 단말인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신규 인프라 증설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장치(Telephony Application Server: TAS)(400)는 VoIP 단말인 제2단말(200)에 본 발명의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부가서비스 서버(600)를 통해 제2단말(200)이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제1단말(100)의 제2단말(200)로의 발신에 따라 내부에 기 저장된 제2단말(200)의 등록정보를 확인하여, 미등록인 경우 제2단말(200)이 전원오프(power off) 상태임을 확인하게 된다. 제2단말(200)이 전원오프 상태임을 확인한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홈가입자 서버(500)로 제2단말(200)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질의하고 수신하여 제2단말(200)이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임을 확인하고, 내부에 제1단말(100)의 전화번호와 같은 식별정보를 저장하거나, 부가서비스 서버(600)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이후, 제2단말(200)의 전원이 켜지고 홈가입자 서버(500)로의 등록요청에 의해 서비스 제공장치(400)가 제2단말(200)의 전원온 사실을 인식하면, 기 저장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제2단말(200)로 전송하여 부재중 제1단말(100)의 발신사실을 알리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제1단말(100)의 발신에 따른 제2단말(200)의 응답시간이 초과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내부에 기 저장된 정보를 통해 제2단말(200)이 본 발명의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내부에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거나, 부가서비스 서버(600)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며, 식별정보 저장 또는 전송의 전후에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제2단말(200)로 전송하여 부재중 제1단말(100)의 발신사실을 알리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제1단말(100)의 제2단말(200)로의 발신에 따라 제2단말(200)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내부에 기 저장된 정보를 통해 제2단말(200)이 본 발명의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내부에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거나, 부가서비스 서버(600)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며, 식별정보 저장 또는 전송의 전후에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제2단말(200)로 전송하여 부재중 제1단말(100)의 발신사실을 알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장치(4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4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송수신부(410), 제어부(420), 식별정보저장부(430), 등록정보저장부(440) 및 서비스 가입정보저장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410)는 제1네트워크(700)를 통한 메시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식별정보저장부(430)는 제2단말(200)로 발신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등록정보저장부(440)는 단말의 전원온 상태를 나타내는 등록정보를 저장한 저장소이다. 등록정보저장부(440)의 등록정보는, 예를 들어, 임의의 단말이 전원오프 상태에서 전원온 상태가 되어 홈가입자 서버(500)에 등록요청을 할 때에, 등록을 요청하는 REGISTER 메시지 등을 제어부(420)가 스니핑(sniffing)하여 저장한 정보일 수 있다.
서비스가입정보 저장부(450)는 단말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저장한 저장소이다. 서비스가입정보정보 저장부(450)의 서비스가입정보는, 예를 들어, 임의의 단말의 서비스 가입에 따라 홈가입자 서버(500)에 서비스가입정보가 업데이트 될 때,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등을 제어부(420)가 스니핑(sniffing)하여 저장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제1단말(100)의 제2단말(200)의 발신에 따라 사전에 홈가입자 서버(500)에 조회하여 획득한 정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420)는 송수신부(410), 식별정보저장부(430), 등록정보저장부(440), 서비스가입정보 저장부(350) 및 이를 포함한 서비스 제공장치(4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어부(420)는 이러한 기능을 위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단말(100)의 발신에 따라 세션설정을 위한 메시지를 송수신부(410)를 통해 수신한 제어부(420)는, 등록정보저장부(440)에서 착신단말인 제2단말(200)의 등록정보를 조회한다. 이 경우 등록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420)는 제2단말(200)이 전원오프 상태임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420)는 송수신부(410)를 통해 홈가입자 서버(500)로 제2단말(200)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질의하고, 송수신부(410)를 통해 서비스가입정보를 수신하여 제2단말(200)이 본 발명의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임을 알게 된다. 이때에는, 예를 들어, 제어부(420)가 송수신부(410)를 통해 홈가입자 서버(500)로 UDR(User Data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여 서비스가입정보를 질의하고, 제어부(420)가 송수신부(410)를 통해 UDA(User Data Answer)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단말(200)의 서비스가입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제2단말(200)이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임을 확인한 제어부(420)는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식별정보저장부(430)에 저장하거나, 송수신부(410)를 통해 부가서비스 서버(600)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이때, 저장하는 식별정보는 제1단말(100)이 이용하는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VoIP 전화번호가 될 수 있고,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MDN(Mobile Directory Number),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 등 제1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도 될 수 있다. 이때,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는 제2단말(200)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제1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거나,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식별가능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보이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제1단말(100)이 IP 기반의 통신망뿐만 아니라 다른 통신방식의 이종망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인 경우에도 VoIP 기반의 제2단말(200)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후, 제어부(420)가 송수신부(410)를 통해 제2단말(200)이 전원온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메시지 등을 수신하면, 제2단말(200)로 상기 저장한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전원오프 상태에서 착신이 있었음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식별정보저장부(430)에 저장한 경우라면, 제어부(420)는 식별정보저장부(430)에서 해당 식별정보를 읽어 송수신부(410)를 통해 제2단말(200)로 전송하여 직접 부재중 착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식별정보저장부(430)에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읽어 부가서비스 서버(600)로 전송하여, 부가서비스 서버(600)가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420)는 송수신부(410)를 통해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나면, 식별정보저장부(430)에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삭제하여, 다른 단말의 식별정보 저장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별개로, 제어부(420)가 송수신부(410)를 통해 부가서비스 서버(600)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 경우라면, 제2단말(200)의 전원온 사실을 인식한 제어부(420)는, 송수신부(410)를 통해 부가서비스 서버(600)로, 부가서비스 서버(600)의 내부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제2단말(200)에 전송할 것을 요청하여, 제2단말(200)이 부가서비스 서버(600)로부터 본 발명의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 전송 후, 저장된 해당 식별정보를 삭제하여 저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20)는 송수신부(410)를 통해 세션 제어기(300)로부터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REGISTER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단말(200)의 전원온 사실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부가서비스 서버(600)는 IMS 인프라를 포함한 제1네트워크(700)와 다른 통신망인, 제2네트워크(800)에 위치한 서비스서버일 수 있다. 즉, 제2네트워크(800)는 IP 기반의 제1네트워크(700)와는 상이한 통신 방식을 채용한 통신망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420)가 송수신부(410)를 통해 제2단말(200)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할 때에는, 예를 들어, SIP을 이용하여 세션을 설정하고 해당 식별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별개로 SMS(Short Message Service) 방식으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예에서는, 제어부(420)가 송수신부(410)를 통해 제1단말(100)의 발신에 따른 제2단말(200)의 응답시간이 초과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420)는 서비스가입정보 저장부(450)에서 제2단말(200)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조회하여 제2단말(200)이 본 발명의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임을 알게 된다.
이 경우, 제2단말(200)의 응답시간이 초과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라 SIP의 408 Time-Out 메시지가 될 수 있으며, 제어부(420)는 세션 제어기(300)로부터 수신한 해당 메시지로부터 제2단말(200)이 음영지역에 있는 등 현재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420)는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식별정보저장부(430)에 저장하고, 그 전후에 송수신부(410)를 통해 제2단말(200)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부재중 착신에 대한 정보를 알린다. 이 경우, 제어부(420)는 송수신부(410)를 통해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나면, 식별정보저장부(430)에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삭제하여, 다른 단말의 식별정보 저장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저장 또는 전송하는 식별정보는 제1단말(100)이 이용하는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VoIP 전화번호가 될 수 있고, MIN, ESN, MDN, IMSI, TMSI, IMEI, MSISDN 등 제1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도 될 수 있으며, 제2단말(200)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제1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거나,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식별가능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보이어야 함은 상기와 같다. 이를 통해, 제1단말(100)이 IP 기반의 통신망뿐만 아니라 이와 상이한 이종망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인 경우에도, VoIP 기반의 제2단말(200)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별개로, 제어부(420)는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부가서비스 서버(600)로 전송하여, 부가서비스 서버(600)가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부가서비스 서버(600)는, 예를 들어, IMS 인프라를 포함한 제1네트워크(700)와 다른 통신망인 제2네트워크(800)에 위치한 서비스서버일 수 있다. 즉, 제2네트워크(800)는 IP 기반의 제1네트워크(700)와는 상이한 통신 방식을 채용한 통신망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420)가 송수신부(410)를 통해 제2단말(200)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할 때에는, 예를 들어, SIP을 이용하여 세션을 설정하고 해당 식별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별개로 SMS 방식으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20)가 송수신부(410)를 통해, 제1단말(100)의 발신에 따라 제2단말(200)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420)는 서비스가입정보 저장부(450)에서 제2단말(200)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조회하여 제2단말(200)이 본 발명의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임을 알게 된다.
이 경우, 제2단말(200)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라 SIP의 486 Busy-Here 메시지가 될 수 있으며, 제어부(420)는 세션 제어기(300)로부터 송수신부(410)를 통해 수신한 해당 메시지로부터 제2단말(200)이 통화상태여서 제1단말(100)의 발신에 따른 세션 설정이 불가능한 상태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420)는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식별정보저장부(430)에 저장하고, 그 전후에 송수신부(410)를 통해 제2단말(200)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부재중 착신에 대한 정보를 알린다. 이 경우, 제어부(420)는 송수신부(410)를 통해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나면, 식별정보저장부(430)에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삭제하여, 다른 단말의 식별정보 저장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저장 또는 전송하는 식별정보는 제1단말(100)이 이용하는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VoIP 전화번호가 될 수 있고, MIN, ESN, MDN, IMSI, TMSI, IMEI, MSISDN 등 제1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도 될 수 있으며, 제2단말(200)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제1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거나,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식별가능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보이어야 함은 상기와 같다. 이를 통해, 제1단말(100)이 IP 기반의 통신망뿐만 아니라 이와 상이한 이종망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인 경우에도, VoIP 기반의 제2단말(200)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별개로, 제어부(420)는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부가서비스 서버(600)로 전송하여, 부가서비스 서버(600)가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부가서비스 서버(600)는, 예를 들어, IMS 인프라를 포함한 제1네트워크(700)와 다른 통신망인 제2네트워크(800)에 위치한 서비스서버일 수 있다. 즉, 제2네트워크(800)는 IP 기반의 제1네트워크(700)와는 상이한 통신 방식을 채용한 통신망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420)가 송수신부(410)를 통해 제2단말(200)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할 때에는, 예를 들어, SIP을 이용하여 세션을 설정하고 해당 식별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별개로 SMS 방식으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VoIP 기반의 착신단말인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시 전원오프 중인 VoIP 방식의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단말(100)의 발신에 따른 세션설정을 위한 INVITE 메시지가 세션 제어기(300)에 수신되고(S310),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세션 제어기(300)로부터 INVITE 메시지를 수신하며(S315),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내부의 저장소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여 착신단말인 제2단말(200)이 미등록상태임을 확인한다(S320).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세션 설정을 위한 메시지를 SIP의 INVITE로 예시하고 있으나,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H.323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Call Setup 메시지가 될 수 있는 등,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라 현재 이용가능하거나 장래에 개발되어 상용화될 수 있는 여러 다른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제1단말(100)로부터의 INVITE 메시지는, 제1단말(100)이 이용하는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이종망을 거쳐 세션 제어기(300)로 수신된 메시지일 수 있다. 이는, 이후 설명하는 다른 도면의 실시예나, 미도시한 실시예 모두에 적용되는 사항임을 밝혀둔다.
단계(S320)에서 제2단말(200)이 미등록상태임을 확인한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이를 통해, 제2단말(200)이 전원이 꺼져있어 홈가입자 서버(500)에 등록이 되지 않은 상태이며, 현재 제1단말(100)과 통화가 가능하지 않은 상태임을 인식하게 된다.
단계(S320) 이후,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홈가입자 서버(500)로 제2단말(200)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요청하고(S325), 서비스가입정보를 수신하여(S330), 제2단말(200)이 본 발명의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임을 확인하고, 발신단말인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내부에 저장한다(S335).
예를 들어, 단계(S325)에서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홈가입자 서버(500)로 UDR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2단말(200)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질의할 수 있고, 단계(S330)에서는 홈가입자 서버(500)로부터 UDA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단말(200)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계(S335)에서 저장하는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는 제1단말(100)이 이용하는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VoIP 전화번호가 될 수 있고, MIN, ESN, MDN, IMSI, TMSI, IMEI, MSISDN 등 제1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도 될 수 있다. 다만, 식별정보는 제2단말(200)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제1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거나,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식별가능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보이어야 하며, 이를 통해, 제1단말(100)이 IP 기반의 통신망뿐만 아니라 이와 상이한 이종망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인 경우에도 VoIP 기반의 제2단말(200)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미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세션 제어기(300)로부터 세션 설정을 위한 INVITE 메시지를 수신한 후, 홈가입자 서버(500)로 제2단말(200)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게 되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이전에 프로비저닝(provisioning)하여 서비스 제공장치(400)가 홈가입자 서버(500)로부터 제2단말(200)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앞으로 설명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및 미도시된 실시예 모두 적용되는 사항임을 밝혀둔다.
단계(S335)에서 서비스 제공장치(400)가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한 후, 제2단말(200)이 전원온 되면(S340), 제2단말(200)은 등록을 위해 REGISTER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300)로 전송하고(S345), 세션 제어기(300)는 SIP의 200 OK 메시지를 응답으로 제2단말(200)에 전송한다(S350).
그리고 서비스 제공장치(400)가 세션 제어기(300)로부터 REGISTER 메시지를 수신하면(S355), 세션 제어기(300)로 200 OK 메시지를 전송하고(S360), 제2단말(200)이 전원온 되었음을 인식하여 제2단말(200)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부재중 제1단말(100)로부터의 착신 사실을 알리게 된다(S365).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시 전원오프 중인 VoIP 방식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10) 내지 단계(S430)는 도 3의 단계(S310) 내지 단계(S330)에 각각 대응되고 그 내용이 대동소이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S430)에서 제2단말(200)이 본 발명의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임을 확인한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발신단말인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부가서비스 서버(600)로 전송하여(S435), 부가서비스 서버(600)로 하여금 내부에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S440).
단계(S440)에서 부가서비스 서버(600)가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한 후, 제2단말(200)이 전원온 되면(S445), 제2단말(200)은 등록을 위해 REGISTER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300)로 전송하고(S450), 세션 제어기(300)는 SIP의 200 OK 메시지를 응답으로 제2단말(200)에 전송한다(S460).
그리고 서비스 제공장치(400)가 세션 제어기(300)로부터 REGIST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2단말(200)이 전원온 되었음을 인식하게 되고(S465), 세션 제어기(300)로 200 OK 메시지를 전송한다(S470).
단계(S470)에서 세션 제어기(300)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의 전후에,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부가서비스 서버(600)로, 단계(S440)에서 저장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제2단말(200)에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S475). 단계(S475)에서 서비스 제공장치(400)로부터 요청을 수신한 부가서비스 서버(600)는 단계(S440)에서 저장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제2단말(200)로 전송하여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S480).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시 전원오프 중인 VoIP 방식의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510) 내지 단계(S550)은 도 3의 단계(S310) 내지 단계(S350)에 각각 대응되고 그 내용이 대동소이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S550) 이후, 서비스 제공장치(400)가 세션 제어기(300)로부터 REGIST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2단말(200)이 전원온 되었음을 인식하게 되고(S555), 세션 제어기(300)로 200 OK 메시지를 전송한다(S560).
단계(S560)에서 세션 제어기(300)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의 전후에,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부가서비스 서버(600)로 단계(S535)에서 저장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한다(S565). 그리고 부가서비스 서버(600)는 단계(S565)에서 수신한 정보를 제2단말(200)로 전송하여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S57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시 통화불능인 VoIP 방식의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단말(100)의 발신에 따른 세션설정을 위한 INVITE 메시지가 세션 제어기(300)에 수신되고(S610),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세션 제어기(300)로부터 INVITE 메시지를 수신한다(S615). 그리고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세션 제어기(300)로 INVITE 메시지를 전송하고(S620), 세션 제어기(300)는 제2단말(200)로 INVITE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1단말(100)과 제2단말(200) 간의 세션 설정을 시도한다(S625).
이때, 제2단말(200)의 응답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S630),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세션 제어기(300)로부터 제2단말(200)의 응답시간이 초과했음을 알리는 SIP의 408 Request Time-Out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S635). 단계(S635)에서 응답시간 초과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라 본 실시예와 다른 메시지가 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며, 이하의 설명에서도 같다.
단계(S635)에서 메시지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내부의 저장소에서 서비스가입정보를 조회하여 제2단말(200)이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가입 단말임을 확인하고,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내부에 저장한다(S640). 그리고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제2단말(200)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부재중 제1단말(100)로부터의 착신 사실을 알리게 된다(S650). 단계(S650)에서의 식별정보 전송은, 실시예에 따라, 단계(S640)과 순서를 바꾸어 그 전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S640)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시 통화불능인 VoIP 방식의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S810) 내지 단계(S840)는 도 6의 단계(S610) 내지 단계(S640)에 각각 대응되고 그 내용이 대동소이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S840) 이후,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부가서비스 서버(600)로 단계(S840)에서 저장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한다(S850). 그리고 부가서비스 서버(600)는 단계(S850)에서 수신한 정보를 제2단말(200)로 전송하여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S855).
이때, 실시예에 따라, 단계(S850)에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 전송은 단계(S840)에서의 저장과정의 전후에 순서를 바꾸어 이루어질 수 있고, 단계(S840)에서의 저장과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단계(S850) 이후 부가서비스 서버(600)에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시 통화중인 VoIP 방식의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단말(100)의 발신에 따른 세션설정을 위한 INVITE 메시지가 세션 제어기(300)에 수신되고(S910),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세션 제어기(300)로부터 INVITE 메시지를 수신한다(S915). 그리고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세션 제어기(300)로 INVITE 메시지를 전송하고(S920), 세션 제어기(300)는 제2단말(200)로 INVITE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1단말(100)과 제2단말(200) 간의 세션 설정을 시도한다(S925).
단계(S925)에서 세션 제어기(3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제2단말(200)이 통화중인 경우(S930), 제2단말(200)은 세션 제어기(300)로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486 Busy-Here 메시지를 전송한다(S935). 본 실시예에서 486 Busy-Here 메시지는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 기술하는 도면의 실시예나 미도시된 실시예에서도 같다.
이후,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세션 제어기(300)로부터 제2단말(200)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486 Busy-Here 메시지를 수신하고(S940), 응답으로서 세션 제어기(300)에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S945). 단계(S945)에서 ACK 메시지를 수신한 세션 제어기(300)는 제2단말(200)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단계(S940)에서 제2단말(200)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S955), 제2단말(200)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부재중 제1단말(100)로부터의 착신 사실을 알리게 된다(S975). 이때, 실시예에 따라,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S955)가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S955)에서의 저장과정은 단계(S945) 또는 단계(S950)의 전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시 통화중인 VoIP 방식의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S1110) 내지 단계(S1155)는 도 8의 단계(S910) 내지 단계(S955)에 각각 대응되고 그 내용이 대동소이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S1155)이후, 서비스 제공장치(400)는 부가서비스 서버(600)로 단계(S1155)에서 저장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한다(S1175). 그리고 부가서비스 서버(600)는 단계(S1175)에서 수신한 정보를 제2단말(200)로 전송하여 제2단말(200)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S1180).
이때, 실시예에 따라, 단계(S1175)에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 전송은 단계(S1155)에서의 저장과정의 전후에 순서를 바꾸어 이루어질 수 있고, 단계(S1155)에서의 저장과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단계(S1175) 이후 부가서비스 서버(600)에서 제1단말(1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VoIP 단말인 착신단말이 전원오프 중이거나, 음영지역에 위치한 경우와 같이 통신이 어려운 상태에 있거나, 통화 중인 경우 등의 부재중 상황에 있어서, 착신단말로 발신단말의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부재중 착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IMS 내에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든 인프라 구축없이, IP를 사용하지 않는 등의 기존 통신망 내 부가서비스 제공서버를 이용하여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인프라 구축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0: 제1단말
200: 제2단말
300: 세션제어기
400: 서비스 제공장치
410: 송수신부
420: 제어부
430: 식별정보저장부
440: 등록정보저장부
450: 서비스가입정보 저장부
500: 홈가입자 서버
600: 부가서비스 서버
700: 제1네트워크
800: 제2네트워크

Claims (21)

  1. IP(Internet Protocol)를 사용하지 않는 제2네트워크 내에 위치하고, 발신단말인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착신단말인 제2단말로 상기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서버; 및
    IP를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단말의 발신에 따라 상기 제2단말이 전원오프(power off) 상태, 응답시간 초과(not reachable) 상태, 또는 통화중 상태임을 인식하면 상기 제2단말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제공하는 홈가입자 서버로 UDR(User Data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홈가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2단말의 서비스가입정보를 포함한 UDA(User Data Answer) 메시지를 수신하여상기 제2단말이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임을 확인하고, 상기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부가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장치;
    를 포함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2.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
    제2단말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저장한 서비스가입정보 저장부; 및
    제1단말의 발신에 따라 착신단말인 상기 제2단말이 전원오프 상태임을 인식하거나,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단말의 응답시간이 초과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단말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단말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제공하는 홈가입자 서버로 UDR(User Data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홈가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2단말의 서비스가입정보를 포함한 UDA(User Data Answer)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2단말이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임을 확인하고, 상기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의 전원온(power on) 상태를 나타내는 등록정보를 저장한 등록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정보저장부에서 상기 제2단말의 등록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제2단말이 전원오프 상태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단말의 등록을 위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REGISTER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등록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제2단말의 전원온 상태를 인식하면 상기 저장한 식별정보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단말의 응답시간이 초과되었음을 나타내는 SIP의 408 Request Time-Ou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단말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SIP의 486 Busy-Here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서버로 상기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2단말이 상기 부가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 서버는
    IP를 사용하지 않는 이종망 내에서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말이 이용하는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단말의 VoIP 전화번호,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MDN(Mobile Directory Number),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및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SIP을 이용하여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상기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장치.
  14. 서비스 제공장치가 제1단말의 발신에 따라 착신단말인 제2단말이 전원오프 상태임을 인식하거나,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단말의 응답시간이 초과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단말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태확인단계;
    상기 제2단말의 상태를 확인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단말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제공하는 홈가입자 서버로 UDR(User Data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홈가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2단말의 서비스가입정보를 포함한 UDA(User Data Answer)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2단말이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임을 확인하는 서비스확인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제2단말로 상기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식별정보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확인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제2단말의 전원온 상태를 나타내는 등록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등록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제2단말이 전원오프 상태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확인단계 전에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제2단말의 등록을 위한 SIP의 REGISTER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등록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확인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제2단말의 응답시간이 초과되었음을 나타내는 SIP의 408 Request Time-Ou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확인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제2단말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SIP의 486 Busy-Here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확인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제2단말의 서비스가입정보를 제공하는 홈가입자 서버로 UDR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홈가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2단말의 서비스가입정보를 포함한 UDA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2단말이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임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전송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서버로 상기 제1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2단말이 상기 부가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 서버는
    IP를 사용하지 않는 이종망 내에서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00103202A 2010-10-22 2010-10-22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KR101356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202A KR101356960B1 (ko) 2010-10-22 2010-10-22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202A KR101356960B1 (ko) 2010-10-22 2010-10-22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846A KR20120041846A (ko) 2012-05-03
KR101356960B1 true KR101356960B1 (ko) 2014-01-29

Family

ID=4626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202A KR101356960B1 (ko) 2010-10-22 2010-10-22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9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953B1 (ko) * 2013-08-22 2019-09-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부재중전화 알림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부재중전화 표시방법
KR101479421B1 (ko) * 2013-08-28 2015-01-0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p 전화 서비스에서의 부재 알림 방법 및 부재 알림 장치
KR101530776B1 (ko) * 2013-10-08 2015-06-29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VoLTE 환경에서의 미수신 호 관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9071A (ko) * 2005-07-15 2007-01-18 사이트온(주) 부재중 고객의 휴대전화로 걸려온 착신정보를 인터넷상에서서비스하기 위한 방법
KR20070023481A (ko) * 2005-08-24 2007-02-28 주식회사 케이티 메신저의 상태정보에 따른 인터넷 전화의 호 전환 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99538A (ko) * 2007-05-09 2008-11-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VoIP 서비스 장치 및 VoIP 서비스 방법
KR100879672B1 (ko) * 2007-07-24 2009-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알림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9071A (ko) * 2005-07-15 2007-01-18 사이트온(주) 부재중 고객의 휴대전화로 걸려온 착신정보를 인터넷상에서서비스하기 위한 방법
KR20070023481A (ko) * 2005-08-24 2007-02-28 주식회사 케이티 메신저의 상태정보에 따른 인터넷 전화의 호 전환 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99538A (ko) * 2007-05-09 2008-11-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VoIP 서비스 장치 및 VoIP 서비스 방법
KR100879672B1 (ko) * 2007-07-24 2009-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알림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846A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80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ing a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networks that are not commonly controlled
JP5514866B2 (ja) Imsを含むネットワーク環境内で適切なドメインに入力コールをルーティ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050072B1 (ko) 듀얼 모드 무선 디바이스로의 호출 전달
FI111312B (fi) Yhteyden päätelaitteeseen valvont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KR100656401B1 (ko) Wlan-gprs 연동 망에서 sip를 이용한 등록되지않은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
KR100882187B1 (ko)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기반의 음성패킷서비스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60113284A (ko) 이종망간에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아이엠에스 시스템 및그에 따른 호 설정 방법
JP4454680B2 (ja) 呼接続処理方法およびメッセージ送受信代理装置
US2012028289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 Mobile Virtual Number Servic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CN102377887B (zh) 一种实现网络电话呼叫建立的方法及系统
KR101356960B1 (ko)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CN108769915B (zh) 国际漫游限制方法和系统
KR20060082127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연동시스템 및 방법
KR101270241B1 (ko) Fmc 통신 기반의 호 설정 방법 및 호 연결 인프라
EP1720324B1 (en) Data transmiss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Tanaka et al. Overview of GSMA VoLTE Profile
US8340713B2 (en) Method and devices for supporting message services to a dual mode mobile station via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KR101454764B1 (ko) Ims 망에서 호 세션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1328728B1 (ko) 네트워크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단말장치
JP4820323B2 (ja) 通信網選択システム
KR101383031B1 (ko) 음성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 및 부가서비스 제어기
KR101085256B1 (ko) Ims 망과 레거시 망 간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41740A (ko) 레벨 1 번호들의 라우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2475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191601B1 (ko) Ims망 기반의 호 세션 처리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