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127A - 무선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연동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연동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2127A
KR20060082127A KR1020050002578A KR20050002578A KR20060082127A KR 20060082127 A KR20060082127 A KR 20060082127A KR 1020050002578 A KR1020050002578 A KR 1020050002578A KR 20050002578 A KR20050002578 A KR 20050002578A KR 20060082127 A KR20060082127 A KR 20060082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obile
service
termin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종범
백혜원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2127A/ko
Publication of KR20060082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Heterogeneous) 또는 동종(Homogeneous)의 무선 네트워크 사이에서 안정된 음성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망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 단말에게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망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단말에게 회선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간의 망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은;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무선망 접속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과,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이동 단말에게 상기 서킷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기업망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업망은;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무선망 접속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접속을 위한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망과 TDM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에게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상기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부 및/또는 상기 이동 교환기와 MAP 메시지를 통해서 상기 기업망과 상기 이동통신망의 이동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부 및/또는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위치 정보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이를 제공하는 홈위치등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기업망, 이동통신망, 음성 서비스, VoIP, 연동, 위치 등록, 발신, 착신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연동 시스템 및 방법{NETWORK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SERVICE IN A WIRELESS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망 간의 망연동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업망에서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과정을 도시한 망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업망에서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업망에서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해제 과정을 도시한 망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업망에서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해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업망에서 이동통신망으로의 호 설정 과 정을 도시한 망 구성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업망에서 이동통신망으로의 호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도메인에 속한 기업망 간의 호 설정 과정을 도시한 망 구성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도메인에 속한 기업망 간의 호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서 기업망으로의 호 설정 과정을 도시한 망 구성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서 기업망으로의 호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업망 번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서 기업망으로의 호 설정 과정을 도시한 망 구성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업망 번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서 기업망으로의 호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트 간의 망연동 시스템 및 방 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이종(Heterogeneous) 또는 동종(Homogeneous)의 무선 네트워크 사이에서 연속적인 음성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선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은 그 통신 방법에 따라 정해진 주파수 대역을 다수의 채널로 구분하여 가입자마다 할당된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FDMA)과, 하나의 주파수 채널을 다수의 가입자가 시간을 나누어 사용하는 시분할 다중 접속 방식(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TDMA)과, 다수의 가입자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동일한 시간대에 사용하되 가입자마다 다른 부호를 할당하여 통신을 하는 부호 분할 다중 접속 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CDMA")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이동통신망은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일반적인 음성 서비스는 물론 이동 단말로 이메일이나 정지 영상은 물론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일반적인 음성 서비스와 패킷 서비스를 모두 지원하는 이른바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동기 방식의 CDMA 2000 1x 시스템과, 비동기 방식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등이 있다.
기존 음성 서비스는 공중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과 같은 회선망(Circuit Switched Network)을 통해 제공된다. 상기한 이동통신망들 또한 회선 기반(Circuit Switched)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패킷 서비스는 인터넷(Internet) 등 IP(Internet Protocol) 망을 통해 제공되었으나 IP 망을 통해서도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제안된 기술이 잘 알려진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이다. 상기 VoIP는 인터넷과 같은 IP 망의 발달과 회선망의 56kbps 음성 대역폭을 극복하여 고품질의 음성 통화가 가능하고, 인터넷 사용료만으로 저렴하게 국제 전화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 이외에도 각종 응용 솔루션과 부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장점에 의해 그 이용자가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다.
한편, 기업의 환경을 고려한 기업 망은 크게 컴퓨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LAN(Local Area Network) 컴퓨터 망과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PBX(Private Branch Exchange) 전화 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LAN 컴퓨터 망과 PBX 전화 망은 서로 다른 교환 방식과 전송 특성으로 인하여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발전하여 왔다. 상기 LAN 컴퓨터 망은 패킷 교환 방식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비 실시간으로 전송하지만, PBX 전화 망은 회선 교환 방식으로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런 두 개의 망이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는 기업 환경에서는 기본적인 서비스로써 기업의 효율적인 업무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고착되었다.
상기 VoIP 서비스는 기존에는 개인용 컴퓨터 등이 접속되는 유선망을 통해서만 제공되었으나 최근에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 WLAN)과 2.3GHz 주파수를 사용하여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 WiBro) 등을 사용하는 기업망(Enterprise Network)을 통해서도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 SIP)를 기반으로 하여 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동통신망은 물론 상기 무선랜과 와이브로를 사용하는 기업망에 각각 접속할 수 있는 이른바 듀얼 모드(Dual Mode) 단말에 대한 연구도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 이하, "MSC")를 통해 제공되는 이동통신망의 일반 음성 서비스와 현재까지 연구된 기업망에서 VoIP 기반의 음성 서비스는 각각 해당 망을 통해서만 제공될 뿐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 호를 기업망에서 착신하거나, 기업망에서의 발신 호를 이동통신망에서 착신하기 위한 망연동 방안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서비스 가입자에게 중단 없는(seamless)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우며,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망과 기업망 간의 연속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종망 간의 망연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업망의 발신 호를 이동통신망에서 착신하기 위한 이종망 간의 망연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망의 발신 호를 기업망에서 착신하기 위한 이종망 간의 망연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업망의 발신 호를 타 기업망에서 착신하기 위한 동종망 간의 망연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 단말에게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망과 적 어도 하나의 제2 이동 단말에게 회선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간의 망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은;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무선망 접속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이동 단말에게 상기 서킷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기업망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업망은;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무선망 접속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접속을 위한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망과 TDM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에게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상기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부 및/또는 상기 이동 교환기와 MAP 메시지를 통해서 상기 기업망과 상기 이동통신망의 이동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부 및/또는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위치 정보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이를 제공하는 홈위치등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회선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도록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가 구비된 기업망에서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 자신의 단말 전화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MIN)와 단말 식별 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 ESN)가 포함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이동통신망과 상기 기업망이 상호 공유하는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단말 전화 번호(MIN)와 단말 식별 번호(ESN)가 포함된 MAP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단말 전화 번호(MIN)와 단말 식별 번호(ESN)를 조회하여 등록된 가입자로 판정된 경우 해당 가입자 프로파일이 포함된 MAP 등록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 단말에게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가 구비된 기업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단말에게 회선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교환기가 구비된 이동통신망으로의 호 설정을 위한 망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단말 전화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MIN)가 포함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초청 요구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단말 전화 번호가 포함된 MAP(Mobile Anchor Point) 위치 요구 메시지를 상기 기업망과 상기 이동통신망이 공유하는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단말 전화 번호를 조회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MAP 위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한 상기 서비스 관리부와 상기 이동 교환기가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 간의 호 설정을 위한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단말에게 회선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교환기가 구비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 단말에게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가 구비된 기업망으로의 호 설정을 위한 망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단말 전화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MIN)가 포함된 발신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교환기가 상기 단말 전화 번호가 포함된 MAP(Mobile Anchor Point) 위치 요구 메시지를 상기 기업망과 상기 이동통신망이 공유하는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단말 전화 번호를 조회하여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MAP 위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한 상기 이동 교환기와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 간의 호 설정을 위한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 단말에게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가 구비된 제1 기업망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단말에게 상기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구비된 제2 기업망으로의 호 설정을 위한 망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단말 전화 번호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MIN)가 포함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초청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제1 서비스 관리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 간의 호 설정을 위한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에게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망에 구비되는 서비스 관리부 장치에 있어서, 회선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과 공유된 홈 위치 등록기와 MAP 메시지를 교환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가입자의 호 설정/해제를 위한 SIP 메시지들의 전송 등을 처리하는 서비스 관리 제어부와, 상기 소프트 스위치와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망과 기업망 사이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단말에게 회선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교환기가 구비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 단말에게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가 구비된 기업망으로의 호 설정을 위한 망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단말 전화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MIN)가 포함된 발신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교환기와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 간의 호 설정을 위한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망 간의 망연동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서 기업망은 IEEE 802.1x, IEEE 802.2x 기반의 무선랜이나 IEEE 802.16e 기반의 와이브로(Wibro) 망과 같이 가입자에게 IP 기반의 패킷 서비스는 물론 VoIP 서비스를 제공할 수 무선망을 포괄한다. 그리고 이동통신망은 종래와 같이 이동 교환기(MSC)를 통해 서킷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을 의미한다. 또한 도 1에서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 MT)은 일반 이동통신망은 물론 무선랜이나 와이브로를 사용하는 기업망에 접속할 수 있는 듀얼 모드(Dual Mode) 단말로 가정하며, 이러한 이동 단말은 셀룰러 폰이나, 개인휴대단말(PDA), 팜탑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도 1에서 이동 단말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업망에 접속되어 VoIP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1 이동 단말(MT1)과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이동 교환기(MSC)를 통한 음성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2 이동 단말(MT2)로 구분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VoIP 서비스와 음성 서비스는 기본적인 착신, 발신 서비스 외에 각종 부가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단말(MT1)은 SIP를 이용하여 기업망에 접속되며, 상기 SIP는 이동 단말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이동통신망이나 PSTN과 같은 다른 통신망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에 접속되도록 하고, 가입자에게 IP 기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Internet Multimedia Subsystem : 이하 "IMS")에서 이용되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이동 단말(MT1)(110)은 단말 전화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MIN)를 SIP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사용하고, 위치 등록 시 단말 식별 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 ESN) 및/또는 단말 가입자 식별자(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SIP 등록 요구 메시지(SIP Registration Request Message)의 특정 필드에 포함하여 후술할 서비스 관리부(Service Management Part)(14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1 이동 단말(MT1)은 발신 시 호 설정을 요구하는 SIP 초청 요구 메시지(SIP Invite Request Message)를 서비스 관리부(140)로 전송하고, 착신 시 서비스 관리부(140)로부터 전달된 상대 단말의 SIP 초청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
도 1의 제1 이동 단말(110)은 무선망과 유선망을 연결하는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 이하, "AP")를 통해 기업망에 접속되어 패킷 서비스는 물론 VoIP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상기 VoIP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1 이동 단말(1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SIP 기반의 서비스 관리 제어부(Service Management Control Part)(140a)와 게이트웨이(Gateway : xGW)(140b)를 통해 호가 설정되어 기업망내 다른 이동 단말이나 이동통신망의 제2 이동 단말(190)과 음성 통신을 수행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와 상기 게이트웨이를 포함한 망 구성요소(Network Entity)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비스 관리부(140)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140)는 제1 이동 단말(110)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도록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 이하, "HLR")(150)로 MAP 메시지를 전달하는 모바일 엥커 포인트(Mobile Anchor Point : 이하, "MAP")로 동작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 관리부(140)는 가입자의 호 설정 시 트래픽 전송을 위한 베어러(Bearer)를 연결하고, 호 해제 시 베어러를 해제하며, 가입자의 호 설정/해제를 위한 SIP 메시지들의 전송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관리부(140)는 기업망과 이동통신망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서비스 관리부(1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의 이동통신망에서 제2 이동 단말(190)은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ubsystem : 이하, "BTS")(180)와 상기 BTS(180)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 이하, "BSC")를 통해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서킷 기반의 일반적인 음성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상기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2 이동 단말(190)은 MSC(160)를 통해 호가 설정되어 이동통신망내 다른 이동 단말과 음성 통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서비스 관리부(140)를 통해 기업망의 제1 이동 단말(110)과 호 접속되어 음성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MSC(160)는 제1 이동 단말(110)이 이동통신망의 제2 이동 단말(190)로 호 설정을 요구한 경우 기업망의 서비스 관리부(140)로부터 IAM(Initial Address Message)를 수신하고, IAM에 포함된 호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이동 단말(190)로 호출 요구 메시지(Paging Request Message)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MSC(160)는 제2 이동 단말(190)이 호 요구에 응한 경우 호프 훅(Off Hook) 신호인 ANM(Answer Message)을 서비스 관리부(140)로 전달하여 제2 이동 단말(190)과의 호 연결을 알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IAM은 ISUP(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er Part) 호 설정에서 SS7(Signalling System No.7) 시그널링에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또한, 상기 MSC(160)는 제2 이동 단말(190)이 기업망의 제1 이동 단말(110)로 호 설정을 요구한 경우 기업망의 서비스 관리부(140)로 IAM(Initial Address Message)을 전송하고, 상기 IAM을 수신한 서비스 관리부(140)는 IAM에 포함된 호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이동 단말(110)로 SIP 초청 요구 메시지를 전달하고, 제1 이동 단말(110)이 호 요구에 응한 경우 서비스 관리부(140)로부터 오프 훅(Off Hook) 신호인 ANM(Answer Message)을 수신하여 제1 이동 단말(110)과의 호 연결을 제2 이동 단말(190)로 알리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관리부(14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이는 MAP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가입자의 호 설정/해제를 위한 SIP 메시지들의 전송 등을 처리하는 서비스 관리 제어부 (Service Management Control Part)(140a)와, 상기 서비스 관리 제어부(140a)와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토콜로 잘 알려진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MEGACO를 통해 연결되어 기업망과 이동통신망 사이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xGW)(14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웨이(140b)는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 : MGW)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구성을 이용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서비스 관리 제어부(140a)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이동 관리부(141), 게이트웨이(140b)를 제어하여 베어러의 연결/해제를 처리하는 xGW 제어부(142), 가입자의 호 연결/해제를 위한 메시지를 처리하는 SIP 메시지 처리부(143), MSC/PSTN 연동부(144),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 이하, "VLR")(145) 및 가입자의 호 상태와 부가 서비스를 처리하는 CCF(Call Control Function)/SSF(Service Switching Function)(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 관리부(141)는 기업망 내 제1 이동 단말(110)의 위치 등록 시 SIP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가입자 프로파일이 저장된 HLR(150)로 전달하고, 상기 HLR(150)로부터 그 응답으로 가입자 프로파일을 수신하여 VLR(145)에 가입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이동 관리부(141)는 HLR(150)과의 연동을 위한 시그널링 프로토콜로 예컨대, IS(Interim Standard)-41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관리부(141)는 이동통신망의 MSC(160)와 기업망의 서비스 관리자(140) 사이에 버티컬 핸드오프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그리고 상기 xGW 제어부(142)는 상기 SIP 메세지 처리부(143) 또는 MSC/PSTN 연동부(144)로부터 호 연결/해제 신호를 받으 면, 상기 게이트웨이(140b)로 베어러를 연결 또는 해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주고받는다.
상기 SIP 메세지 처리부(143)는 호 연결/해제를 처리하거나 또는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SIP 메세지들을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MSC/PSTN 연동부(144)는 착신측 이동 단말의 위치에 따라 MSC(160) 또는 도시되지 않은 PSTN으로의 호 연결 서비스를 제어한다. 상기 VLR(145)은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시 HLR(141)로부터 전달받은 가입자 프로파일을 저장한다. 상기 CCF/SSF(146)는 상기 MSC/PSTN 연동부(144)와 SIP 메세지 처리부(143)와 연동하여 가입자의 호 상태를 관리하고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어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도 1의 망연동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및 해제, 기업망과 이동통신망 간의 착발신, 기업망 간의 착발신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9에서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부호)를 붙이기로 한다.
먼저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업망에서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과정을 도시한 망 구성도이고, 도 3b는 그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301 과정에서 제1 이동 단말(110)은 기업망에서 전원이 온(On)된 경우 AP(120)를 통해 서비스 관리부(140)로 예컨대, 자신의 단말 전화 번호(MIN)와 단말 식별 번호(ESN)가 포함된 SIP 등록 요구 메시지(SIP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lifetime=x)를 전송한다. 상기 SIP 등록 요구 메시지는 또한 단말의 위치 등록 주기를 나타내는 유효 시간(lifetime=x) 필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전화 번호는 예컨대, MIN@operator1.com와 같이 URL 형태로 전송된다.
상기 SIP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서비스 관리부(140)는 303 과정에서 제1 이동 단말(110)의 위치 등록을 위해 단말 전화 번호(MIN)와 단말 식별 번호(ESN)가 포함된 MAP 등록 요구 메시지(MAP Registration Message)를 HLR(150)로 전송하여 가입자 프로파일 전송을 요구하고, 305 과정에서 HLR(150)은 MAP 등록 응답 메시지(MAP Registration Response Message)를 통해 제1 이동 단말(110)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서비스 관리부(140)로 전달한다. 그리고 서비스 관리부(140)는 해당 가입자 프로파일을 VLR(145)에 저장하여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MAP 등록 요구/응답 메시지의 송수신은 예컨대, IS-41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상기 MAP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위치 등록을 완료한 서비스 관리부(140)는 307 과정에서 SIP 확인 메시지(200 O.K Message)를 제1 이동 단말(110)로 전달하여 제1 이동 단말(110)의 위치 등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업망에서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해제 과정을 도시한 망 구성도이고, 도 4b는 그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401 과정에서 제1 이동 단말(110)은 기업망에서 전원이 오프(Off)되는 경우 AP(120)를 통해 서비스 관리부(140)로 예컨대, 자신의 단말 전화 번호(MIN1)와 단말 식별 번호(ESN)가 포함된 SIP 등록 해제 요구 메시지(SIP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lifetime=0)를 전송한다. 상기 SIP 등록 해제 요구 메시지는 또한 단말의 위치 등록 주기를 나타내는 유효 시간(lifetime=0) 필드가 '0'의 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단말 전화 번호는 예컨대, MIN@operator1.com와 같이 URL 형태로 전송된다.
상기 SIP 등록 해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서비스 관리부(140)는 403 과정에서 제1 이동 단말(110)의 위치 등록 해제를 위해 단말 전화 번호(MIN1)와 단말 식별 번호(ESN)가 포함된 MAP 등록 요구 메시지를 HLR(150)로 전송하여 가입자 프로파일 전송을 요구하고, 405 과정에서 HLR(150)은 MAP 등록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제1 이동 단말(110)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서비스 관리부(140)로 전달한다. 그리고 서비스 관리부(140)는 VLR(145)에 위치 등록된 해당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위치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MAP 등록 요구/응답 메시지의 송수신은 예컨대, IS-41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상기 MAP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위치 등록 해제를 완료한 서비스 관리부(140)는 407 과정에서 SIP 확인 메시지(200 O.K)를 제1 이동 단말(110)로 전달하여 제1 이동 단말(110)의 위치 등록 해제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업망에서 이동통신망으로의 호 설정 과정을 도시한 망 구성도이고, 도 5b는 그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기업망의 제1 이동 단말(110)이 기업망 번호 또는 이동통신번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의 제2 이동 단말(190)로 음성 통화를 요청한 경우 호 설정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5a에서 제1 이동 단말(MT1)(110)은 기업망에 접속된 발신 단말이고, 제2 이동 단말(MT2)(190)은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착신 단말로 가정한다. 그리고 도 5b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BTS(180)와 BSC(170)는 BSS(Base Station System)(170, 180)으로 도시하였다.
501 과정에서 발신 단말인 제1 이동 단말(110)은 AP(120)를 통해 서비스 관리부(140)로 착신 단말인 제2 이동 단말(190)의 단말 전화 번호(MIN2)가 포함된 SIP 초청 요구 메시지(SIP Invite Request Message)를 전송하여 제2 이동 단말(190)과의 호 설정을 요구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전화 번호는 예컨대, MIN2@operator1.com와 같이 URL 형태로 전송된다.
상기 SIP 초청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서비스 관리부(140)는 503 과정에서 제2 이동 단말(190)이 등록되어 있는 MSC(160)를 확인하기 위해 HLR(150)로 단말 전화 전호(MIN2)가 포함된 MAP 위치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505 과정에서 HLR(150)은 제2 이동 단말(190)이 등록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임시 지역 디렉토리 번호(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 : TLDN)를 MAP 위치 응답 메시지에 실어 서비스 관리부(140)로 전달한다.
상기 TLDN을 수신한 서비스 관리부(140)는 507 과정에서 TLDN을 통해 확인된 MSC(160)로 음성 호를 연결하도록 IAM을 전송하고, 509 과정에서 MSC(160)는 BSS(170, 180)를 통해 제2 이동 단말(190)로 착신을 알리는 호출 요구 메시지(Paging Request Message) 전송한다. 한편 상기 호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제2 이동 단말(190)은 511 과정에서 호출 요구를 승낙하는 호출 응답 메시지(Paging Response Message)를 BSS(170, 180)를 통해 MSC(160)로 전송하고, 513 과정에서 MSC(160)는 제2 이동 단말(190)과의 음성 호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ANM을 서 비스 관리부(140)로 전송한다.
이후 서비스 관리부(140)는 515 과정에서 SIP 확인 메시지(200 O.K)를 제1 이동 단말(110)로 전달하여 제2 이동 단말(190)과의 호 설정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그리고 517 과정에서 서비스 관리부(140)는 제1 이동 단말(110)로부터 확인 메시지(Ack)를 수신하여 이동통신망으로의 호 설정을 완료하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도메인에 속한 기업망 간의 호 설정 과정을 도시한 망 구성도이고, 도 6b는 그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제1 기업망에 접속된 제1 이동 단말(MT1)(110)이 제2 기업망에 접속된 제2 이동 단말(MT2)(115)로 음성 통화를 요청한 경우 호 설정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6a 및 6b는 제1 기업망에 있는 제1 이동 단말(110)이 제2 기업망에 있는 제2 이동 단말(190)의 기업망 번호를 이용하여 호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a에서 제1 및 제2 기업망은 VoIP 기반의 음성 호를 연결/해제하는 서비스 관리부(140)를 공유하며, 상기 서비스 관리부(140)는 도 2에서 설명한 서비스 관리부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제1 기업망과 제2 기업망은 동일한 회사의 기업망으로 예컨대, 제1 기업망은 서울에 존재하는 "A"라는 회사의 기업망을 의미하고, 제2 기업망은 부산에 존재하는 "A"라는 회사의 기업망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관리부(140)는 기업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기업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601 과정에서 발신 단말인 제1 이동 단말(110)은 AP(120)를 통해 제1 기업망 을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부(140)로 착신 단말인 제2 이동 단말(190)의 단말 전화 번호(MIN2)가 포함된 SIP 초청 요구 메시지(SIP Invite Request Message)를 전송하여 제2 이동 단말(190)과의 호 설정을 요구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전화 번호는 예컨대, MIN2@operator1.com와 같이 URL 형태로 전송된다.
상기 SIP 초청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서비스 관리부(140)는 603 과정에서 제1 이동 단말(110)로 링 신호인 SIP 180 Ringing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2 이동 단말(190)이 등록되어 있는 서비스 관리부를 확인하기 위해 HLR로 단말 전화 전호(MIN2)가 포함된 MAP 위치 요구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이미 제2 이동 단말(190)은 상기 서비스 관리부(140)에 등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후, 605 과정에서 서비스 관리부(145)는 제2 AP(125)를 통해 제2 이동 단말(190)로 착신을 알리는 SIP 초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SIP 초청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제2 이동 단말(190)은 607 과정에서 호 설정 요구를 승낙하는 SIP 확인 메시지(200 O.K)를 서비스 관리부(145)로 전송한다.
609 과정에서 서비스 관리부(140)는 음성 호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SIP 확인 메시지(200 O.K)를 제1 이동 단말(110)로 전송한다. 그런 후, 제1 이동 단말(110)은 611 과정 내지 613 과정에서 제1 이동 단말(110)의 확인 메시지(Ack)가 서비스 관리부(140)를 경유하여 제2 이동 단말(190)로 전달되고, 제1 및 제2 이동 단말(110, 119)은 서비스 관리부(140)를 통해 음성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망에서 기업망으로의 호 설정 과정을 도시한 망 구성도이고, 도 7b는 그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이동통신 망의 제2 이동 단말(190)이 기업망의 제1 이동 단말(110)로 음성 통화를 요청한 경우 호 설정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7a 및 7b는 이동통신망에 있는 이동 단말이 기업망에 있는 이동 단말로 이동통신번호(예컨대, 0xx-xxx-xxxx)로 호 설정을 요구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7a에서 제2 이동 단말(MT2)(190)은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발신 단말이고, 제1 이동 단말(MT1)(190)은 기업망에 접속된 착신 단말로 가정한다. 그리고 도 8b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BTS(180)와 BSC(170)는 BSS(Base Station System)(170, 180)으로 도시하였다.
701 과정에서 발신 단말인 제2 이동 단말(190)은 BSS(170, 180)를 통해 MSC(160)로 착신 단말인 제1 이동 단말(110)의 단말 전화 번호(MIN1)가 포함된 발신 메시지(Origination Request Message)를 전송하여 제2 이동 단말(190)과의 호 설정을 요구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전화 번호는 예컨대, MIN1@operator1.com와 같이 URL 형태로 전송된다. 상기 발신 메시지를 수신한 MSC(160)는 703 과정에서 제1 이동 단말(11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HLR(150)로 단말 전화 전호(MIN1)가 포함된 MAP 위치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705 과정에서 HLR(150)은 제1 이동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임시 지역 디렉토리 번호(TLDN)를 MAP 위치 응답 메시지에 실어 MSC(160)로 전달한다. 상기 TLDN을 수신한 MSC(160)는 707 과정에서 TLDN을 통해 확인된 서비스 관리부(140)로 음성 호를 연결하도록 IAM을 전송하고, 709 과정에서 서비스 관리부(140)는 AP(120)를 통해 제1 이동 단말(110)로 착신을 알리는 SIP 초청 요구 메시지(SIP Invite Request Message)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SIP 초청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이동 단말(190)은 711 과정에서 호 연결을 승낙하는 SIP 확인 메시지(200 O.K)를 AP(120)를 통해 서비스 관리부(140)로 전송하고, 713 과정에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140)는 제1 이동 단말(110)과의 음성 호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ANM을 MSC(160)로 전송함과 아울러 715 과정에서 SIP 확인 메시지(200 O.K)에 대한 확인 메시지(Ack)를 제1 이동 단말(110)로 전송한다. 상기 ANM을 수신한 MSC(160)는 717 과정에서 연결 응답 메시지(Connection Response)를 제2 이동 단말(190)로 전달하여 제1 이동 단말(110)과의 호 설정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망에서 기업망으로의 호 설정 과정을 도시한 망 구성도이고, 도 8b는 그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이동통신망의 제2 이동 단말(190)이 기업망의 제1 이동 단말(110)로 음성 통화를 요청한 경우 호 설정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8a 및 8b는 이동통신망에 있는 이동 단말이 기업망에 있는 이동 단말로 기업망번호(예컨대, #3471)로 호 설정을 요구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8a에서 제2 이동 단말(MT2)(190)은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발신 단말이고, 제1 이동 단말(MT1)(190)은 기업망에 접속된 착신 단말로 가정한다. 그리고 도 8b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BTS(180)와 BSC(170)는 BSS(Base Station System)(170, 180)으로 도시하였다.
801 과정에서 발신 단말인 제2 이동 단말(190)은 BSS(170, 180)를 통해 MSC(160)로 착신 단말인 제1 이동 단말(110)의 단말 전화 번호(MIN1)가 포함된 발신 메시지(Origination Request Message)를 전송하여 제2 이동 단말(190)과의 호 설정을 요구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전화 번호는 예컨대, MIN1@operator1.com와 같이 URL 형태로 전송된다. 상기 발신 메시지를 수신한 MSC(160)는 803 과정에서 PSTN(200)망을 통해서 서비스 관리부(140)로 음성 호를 연결하도록 IAM을 전송한다. 이후, 805 과정에서 서비스 관리부(140)는 AP(120)를 통해 제1 이동 단말(110)로 착신을 알리는 SIP 초청 요구 메시지(SIP Invite Request Message)를 전송한다. 상기 803 단계에서 제1 이동 단말(11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HLR(150)로 단말 전화 전호(MIN1)가 포함된 MAP 위치 요구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SIP 초청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이동 단말(110)은 807 과정에서 호 연결을 승낙하는 SIP 확인 메시지(200 O.K)를 AP(120)를 통해 서비스 관리부(140)로 전송하고, 809 과정에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140)는 제1 이동 단말(110)과의 음성 호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ANM을 MSC(160)로 전송함과 아울러 811 과정에서 SIP 확인 메시지(200 O.K)에 대한 확인 메시지(Ack)를 제1 이동 단말(110)로 전송한다. 상기 ANM을 수신한 MSC(160)는 813 과정에서 연결 응답 메시지(Connection Response)를 제2 이동 단말(190)로 전달하여 제1 이동 단말(110)과의 호 설정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망과 기업망에 접속된 이 동 단말 간의 연속된 음성 서비스를 보장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에서 기업망으로의 음성 호 연결과 역으로 기업망에서 이동통신망으로의 음성 호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망과 기업망이 연동된 무선 네트워크에서 가입자의 위치 등록/해제 절차를 제공하며, SIP 기반의 VoIP 서비스를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서킷 기반의 음성 서비스와 VoIP 서비스를 연계하여 유무선망이 통합된 음성 및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8)

  1.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 단말에게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망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단말에게 회선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간의 망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은;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무선망 접속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이동 단말에게 상기 서킷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기업망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업망은;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무선망 접속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접속을 위한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망과 TDM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에게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상기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부 및/또는 상기 이동 교환기와 MAP 메시지를 통해서 상기 기업망과 상기 이동통신망의 이동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부 및/또는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위치 정보 요구를 수신한 경우 에 이를 제공하는 홈위치등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시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단말 전화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MIN)와 단말 식별 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 ESN)가 포함된 SIP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달받아 상기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등록된 가입자인지를 조회한 후, 등록된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해제 시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단말 전화 번호(MIN)와 단말 식별 번호(ESN) 및 '0'으로 설정된 유효시간 필드가 포함된 SIP 등록 해제 요구 메시지를 전달받아 상기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등록된 가입자인지를 조회한 후, 등록된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해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은 상기 단말 전화 번호(MIN)를 SIP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형태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이 발신 단말이고, 상기 제2 이동 단말이 착신 단말인 경우 상기 제1 이동 단말은 발신 시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단말 전화 번호(MIN)가 포함된 SIP 초청 요구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SIP 초청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홈 위치 등록기와 MAP 메시지를 교환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 2 이동 단말이 속한 이동 교환기와 음성 호 연결을 위한 메시지들을 교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단말이 발신 단말이고, 상기 제1 이동 단말이 착신 단말인 경우 상기 제2 이동 단말은 발신 시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단말 전화 번호(MIN)가 포함된 발신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 전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기는 상기 발신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홈 위치 등록기와 MAP 메시지를 교환하여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기는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이동 단말이 속한 서비스 관리부와 음성 호 연결을 위한 메시지들을 교환하도록 구 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11. 회선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도록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가 구비된 기업망에서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 자신의 단말 전화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MIN)와 단말 식별 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 ESN)가 포함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이동통신망과 상기 기업망이 상호 공유하는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단말 전화 번호(MIN)와 단말 식별 번호(ESN)가 포함된 MAP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단말 전화 번호(MIN)와 단말 식별 번호(ESN)를 조회하여 등록된 가입자로 판정된 경우 해당 가입자 프로파일이 포함된 MAP 등록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해제 시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 등록 주기의 유효 시간 필드를 '0'으로 설정한 상기 SIP 등록 해제 요구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위치 등록 해제를 위한 상기 MAP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MAP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 단말에게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가 구비된 기업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단말에게 회선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교환기가 구비된 이동통신망으로의 호 설정을 위한 망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단말 전화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MIN)가 포함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초청 요구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단말 전화 번호가 포함된 MAP(Mobile Anchor Point) 위치 요구 메시지를 상기 기업망과 상기 이동통신망이 공유하는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단말 전화 번호를 조회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MAP 위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한 상기 서비스 관리부와 상기 이동 교환기가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 간의 호 설정을 위한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은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단말 전화 번호를 SIP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형태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는 이동통신번호 또는 기업망 번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과정은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한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이동 교환기로 호 설정을 요구하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이동 단말로 호출 요구를 수행한 상기 이동 교환기가 상기 패킷 교환기로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오프 훅을 알리는 ANM(Answer Message)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ANM을 수신한 후 상기 제1 이동 단말로 호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SIP 확인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임시 지역 디렉토리 번호(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 : TLDN)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9.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단말에게 회선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교환기가 구비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 단말에게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가 구비된 기업망으로의 호 설정을 위한 망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단말 전화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MIN)가 포함된 발신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교환기가 상기 단말 전화 번호가 포함된 MAP(Mobile Anchor Point) 위치 요구 메시지를 상기 기업망과 상기 이동통신망이 공유하는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단말 전화 번호를 조회하여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MAP 위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한 상기 이동 교환기와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 간의 호 설정을 위한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단말은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단말 전화 번호를 SIP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형태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는 기업망 전화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과정은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한 상기 이동 교환기가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 호 설정을 요구하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이동 단말로 SIP 초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이동 교환기로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오프 훅을 알리는 ANM(Answer Message)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기는 상기 ANM을 수신한 후 상기 제2 이동 단말로 호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연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4.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 단말에게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가 구비된 제1 기업망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단말에게 상기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구비된 제2 기업망으로의 호 설정을 위한 망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단말 전화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MIN)가 포함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초청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제1 서비스 관리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 간의 호 설정을 위한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과정은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제2 이동 단말로 호 설정을 요구하는 상기 SIP 초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이동 단말이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과 호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SIP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6.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에게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망에 구비되는 서비스 관리부 장치에 있어서,
    회선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과 공유된 홈 위치 등록기와 MAP 메시지를 교환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가입자의 호 설정/해제를 위한 SIP 메시지들의 전송 등을 처리하는 서비스 관리 제어부와,
    상기 소프트 스위치와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망과 기업망 사이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단말 전화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MIN)와 단말 식별 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 ESN)가 포함된 SIP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전달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응답으로 해당 가입자 프로파일을 수신하여 방문자 위치 등록기에 해당 가입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이동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호 연결/해제 시 상기 게이트 웨이로 베어러를 연결/해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주고받는 게이트웨이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제어부는 상기 SIP 메세지들을 송수신하여 상기 호 연결/해제를 위한 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 제어부와 주고받는 SIP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제어부는 착신측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이동통신망인 경우 이동 교환기로 호 연결을 제어하는 이동 교환기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제어부는 착신측 이동 단말의 위치가 공중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인 경우 상기 PSTN의 교환기로 호 연결을 제어하는 PSTN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전달받은 가입자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3.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제어부는 가입자의 호 상태를 관리하고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어하는 CCF(Call Control Function)/SSF(Service Switching Function)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4.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단말에게 회선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교환기가 구비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 단말에게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가 구비된 기업망으로의 호 설정을 위한 망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단말 전화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MIN)가 포함된 발신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교환기와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 간의 호 설정을 위한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단말은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단말 전화 번호를 SIP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형태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전화번호는 기업망 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 교환기가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 호 설정을 요구하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이동 단말로 SIP 초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상기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이동 교환기로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오프 훅을 알리는 ANM(Answer Message) 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기는 상기 ANM을 수신한 후 상기 제2 이동 단말로 호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연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50002578A 2005-01-11 2005-01-11 무선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연동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2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578A KR20060082127A (ko) 2005-01-11 2005-01-11 무선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연동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578A KR20060082127A (ko) 2005-01-11 2005-01-11 무선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연동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127A true KR20060082127A (ko) 2006-07-14

Family

ID=3717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578A KR20060082127A (ko) 2005-01-11 2005-01-11 무선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연동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212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535B1 (ko) * 2007-06-29 2009-07-0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서킷/패킷 겸용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단말장치
KR101421590B1 (ko) * 2007-04-02 2014-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도메인 이동에 따른 호 설정 장치 및방법
KR101429403B1 (ko) * 2012-09-26 2014-08-11 아바야 인코포레이티드 멀티 모듈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지속 뷰를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282489B2 (en) 2013-05-17 2016-03-08 Avaya Inc. Media escalation with use of endpoint adapter
US9544340B2 (en) 2013-03-15 2017-01-10 Avaya In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enabling communication features for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590B1 (ko) * 2007-04-02 2014-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도메인 이동에 따른 호 설정 장치 및방법
KR100905535B1 (ko) * 2007-06-29 2009-07-0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서킷/패킷 겸용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단말장치
KR101429403B1 (ko) * 2012-09-26 2014-08-11 아바야 인코포레이티드 멀티 모듈 통신 디바이스의 단일 지속 뷰를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544340B2 (en) 2013-03-15 2017-01-10 Avaya In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enabling communication features for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US9571529B2 (en) 2013-03-15 2017-02-14 Avaya Inc. Browser-based communications enhanced with enterprise communication features
US9282489B2 (en) 2013-05-17 2016-03-08 Avaya Inc. Media escalation with use of endpoint adap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931B1 (ko) 무선 네트워크간의 음성 및 단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망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0770930B1 (ko) 무선 네트워크들간의 음성 및 단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망연동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패킷 스위치
JP4763723B2 (ja) 回線交換無線ネットワークとパケット交換データ無線ネットワークとの間における呼ハンドオフの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JP4988338B2 (ja) 会話型ベアラネゴシエーション
EP3179675B1 (en) Inter-domain call routing
US7301938B2 (en) Method of transferring a packet switched to a circuit switched call
KR100656401B1 (ko) Wlan-gprs 연동 망에서 sip를 이용한 등록되지않은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
EP1762105B1 (en) Routing calls to facilitate call handover
US200600023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andoff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switching device therefor
US20020126656A1 (en) Method of providing packet voice call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network architecture therefor
US20040249887A1 (en) Conversational bearer negotiation
KR101015642B1 (ko)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푸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080055830A (ko) 통신 네트워크 및 통신 네트워크 동작 방법
KR100882187B1 (ko)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기반의 음성패킷서비스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6127255A1 (en) Method and system using a conference bridge for handoff of a multi-mode mobile station
US8644833B1 (en) Method and system using a mobility server for handoff of a multi-mode mobile station
US7805161B1 (en) Virtual visitor location register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20060113284A (ko) 이종망간에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아이엠에스 시스템 및그에 따른 호 설정 방법
JP4977511B2 (ja) 通信システム、加入者管理サーバ、および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060082127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연동시스템 및 방법
KR100957327B1 (ko) 이종 이동통신 시스템 사이에서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이용한 음성 호 처리 방법
EP18877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continuity in IMS network environment
WO2008151481A1 (fr) Procédé pour commander de manière centralisée le service d'implémentation d'appel de terminal dans un sous-système de réseau central multimédia ip
KR20060092475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172261B1 (ko)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착신전환시의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