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299B1 -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299B1
KR101129299B1 KR1020100029687A KR20100029687A KR101129299B1 KR 101129299 B1 KR101129299 B1 KR 101129299B1 KR 1020100029687 A KR1020100029687 A KR 1020100029687A KR 20100029687 A KR20100029687 A KR 20100029687A KR 101129299 B1 KR101129299 B1 KR 101129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anonymous
service
terminal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0403A (ko
Inventor
장중혁
Original Assignee
장중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중혁 filed Critical 장중혁
Priority to KR1020100029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299B1/ko
Publication of KR20110110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08Systems for anonymous communication between parties, e.g. by use of disposal contact ident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를 지원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통화단말들과 통신접속되어 상기 통화단말들 사이에서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에 의하여 서로 소망하는 통화 대상자를 추출하여 익명으로 통화를 중개하는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Method for anonymous call service}
본 발명은 익명 통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자 상호간에 익명성이 보장되는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공중전화망을 통한 전화 통화서비스, 인터넷을 이용한 인터넷전화 통화서비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이동전화 통화서비스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통화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통화 서비스는 발신자가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어 상대방과 통화를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서로 모르는 상대방과 서로 익명으로 통화를 하고자 하는 욕망도 있는데, 이와 같이 발신자와 착신자 모두 서로에게 익명성이 보장되는 새로운 통화서비스의 개발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요망 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통화자 상호간에 익명성이 보장되는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은, 통화를 지원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통화단말들과 통신접속되어 상기 통화단말들 사이에서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에 의하여 익명으로 통화를 중개하는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단말의 익명 통화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에서 통화단말의 전화번호와 통화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익명 통화 대상방의 가입자 정보를 받아서 서비스 코드를 부여하고 각 서비스 코드와 함께 통화단말의 전화번호와 통화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익명 통화 대상방의 가입자 정보를 서비스 레코드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서비스 가입된 통화단말 중 익명통화를 소망하는 발신측 통화단말에서 익명 통화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에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발신측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를 탐색하여 추출하고, 해당 발신측 통화단말의 서비스 레코드에 저장된 익명 통화 대상방의 가입자 정보에 근거하여 익명통화 가능한 상대방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해당 발신측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와 상기 상대방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를 추출하여 해당 발신측 통화단말로 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발신측 통화단말에서 제공받은 상대방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 중 소망하는 서비스 코드를 선택하여 익명 통화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에서 상기 통화요청된 상대방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에 대응하는 상대방 통화단말의 전화번호로 전화발신한 후에 상기 발신측 통화단말과 상기 상대방 통화단말의 양방향 통화를 중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에서의 익명 통화 서비스 등록 요청은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에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ARS, SM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통화단말에서 익명 통화의 요청은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의 전화번호로 전화 발신에 의한 통화 요청이고, 이 전화 발신에 의한 통화 요청을 받은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는 수신 응답을 상기 발신측 통화단말에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발신측 통화단말에서 상기 선택된 상대방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를 DTMF톤으로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에서 이 DTMF톤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상대방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에 대응하는 상대방 통화단말의 전화번호로 전화발신한 후에 상기 발신측 통화단말과 상기 상대방 통화단말의 양방향 통화를 중개하는 것dlm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통화요청된 상대방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에 대응하는 상대방 통화단말의 전화번호로 전화발신시에,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에서는 통화식별코드(Caller ID)에 상기 발신측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와 발신측 통화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의 성별, 나이, 지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자 상호간에 익명성이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에 대한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에 대한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에 대한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통화단말(10,20)은 통화가능한 일반 휴대폰과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일반 유선전화기, 인터넷전화기, 인터넷전화솔루션이 탑재된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또한, 통화지원통신망(30,40)은 통화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 유선인터넷망, 무선인터넷망, 공중전화망(PSTN)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통화지원 통신망(30)(40)사이에서 통화단말(10)(20)간에 익명성을 유지하면서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통화단말(10)(20)의 가입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가입 정보를 등록관리한다. 여기서, 서비스 가입 정보는 가입자의 통화단말의 정보(전화번호 등)와 가입자의 성별(남,여), 나이(10대,20대,30대,40대,50대 등), 지역(서울, 경기,....) 등의 자신의 정보 및,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정보[성별(남,여,무관), 나이(10대,20대,30대,40대,50대,무관 등), 지역(서울, 경기,....,무관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가입자로부터 SMS나 MMS 등의 문자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관리할 수 있고, 가입자로부터 무선인터넷 또는 유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관리할 수 있으며, 가입자로부터 ARS를 이용하여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관리할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익명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화단말 대리점 등에서 서비스 가입 정보를 서면으로 신청함에 따라 그 통화단말 대리점에서 서비스 가입 정보를 등록을 유선인터넷 등으로 대행함으로써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관리할 수도 있다.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통화단말로부터 익명 통화 서비스 수신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통화단말에 서비스 코드를 부여하고 이 서비스 코드와 함께 해당 통화단말의 서비스 가입 정보를 통화 라우팅 데이터베이스에 등록관리한다.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통화단말로부터 익명 통화 서비스 발신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통화단말에 서비스 코드를 부여하고 이 서비스 코드와 함께 해당 통화단말의 서비스 가입 정보를 통화 라우팅 데이터베이스에 등록관리하며, 해당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를 해당 통화단말에 제공하고, 또한 해당 통화단말의 서비스 가입 정보에 포함된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대상 상대방의 서비스 코드를 통화 라우팅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 추출하고 이 추출된 통화 대상 상대방의 서비스 코드를 해당 통화단말에 제공한다. 이때, 해당 통화단말에서 제공받은 통화 대상 상대방의 서비스 코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통화요청하면,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해당 통화단말과의 통화로를 유지하면서 통화 라우팅 데이터베이스에서 통화 요청된 통화 상대방의 서비스 코드에 대응하는 통화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전화번호를 갖는 상대방 통화단말로 통화발신을 수행하며(이때, 통화식별코드(Caller ID)에 발신측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와 발신측 가입자의 성별, 지역, 나이 등의 정보를 포함시킨다), 해당 발신측 통화단말과 상대방 통화단말 사이의 양방향 통화를 중개한다.
다음으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익명 통화 서비스 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통화단말A(10)는 익명통화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이 탑재된 스마트폰이고, 통화단말B(20)와 통화단말C(60)는 익명통화서비스에 등록하고 익명통화서비스 대기중인 통화단말이다.
먼저, 통화단말A(10)의 사용자가 익명통화서비스 메뉴를 실행함에 따라 익명통화서비스등록설정화면이 통화단말A(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며, 이 설정화면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와,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을 선택입력한 후에 익명통화서비스 접속을 요청하면(단계 S20~S22), 통화단말A(10)의 전화번호와 자신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 및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를 포함하는 익명 통화 서비스 요청이 무선인터넷 또는 SMS를 통하여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에 전송된다(단계 S24).
이에 따라,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전송되어온 통화단말A(10)의 전화번호와 자신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 및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를 통화 라우팅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비스코드 레코드를 할당하여 등록한다(단계 S26).
그후,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통화단말A(10)의 서비스 코드를 무선인터넷 또는 SMS로 통화단말A(10)로 전송한다(단계 S28).
또한,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상기 통화단말A(10)의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에 근거하여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을 통화 라우팅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하여 추출해서 그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서비스코드(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단말B의 서비스 코드B와 통화단말C의 서비스 코드C)를 무선인터넷 또는 SMS로 통화단말A(10)로 전송한다(단계 S30).
이에 따라,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서비스 코드(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단말B의 서비스 코드B와 통화단말C의 서비스 코드C)를 수신한 통화단말A(10)의 사용자가 소망하는 서비스 코드(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단말B의 서비스 코드B)를 선택하여 익명 통화를 요청하면(단계 S32), 통화단말A(10)는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에 통화 접속을 한다(단계 S34).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통화가 수신되면 통화단말A(10)에 수신응답을 한다(단계 S36~S38).
상기 수신응답을 받은 통화단말A(10)은 상기 선택된 서비스 코드(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단말B의 서비스 코드B)를 DTMF톤으로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로 전송한다(단계 S40).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수신된 DTMF톤으로부터 서비스 코드(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단말B의 서비스 코드B)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서비스 코드(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단말B의 서비스 코드B)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통화 라우팅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 발신을 수행한다(단계 S42~S44).
이때,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전화 발신시에 통화식별코드(Caller ID)에 발신측 통화단말(즉, 통화단말A)의 서비스 코드와 발신측 가입자의 성별, 지역, 나이 등의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신측에서 발신측 정보를 보고서 수신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후,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통화단말A와의 통화로와 상기 통화단말B의 통화로를 연결하여 통화단말A와 통화단말B의 양방향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단계 S46).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통화단말들 사이에서 완벽하게 익명성을 보장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익명 통화 서비스 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통화단말A(10)는 ARS에 의하여 익명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화단말이고, 통화단말B(20)와 통화단말C(60)는 익명통화서비스에 등록하고 익명통화서비스 대기중인 통화단말이다.
먼저, 통화단말A(10)의 사용자가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의 전화번호로 익명통화서비스 접속을 요청함에 따라, 익명 통화 서버스 장치(50)에서는 ARS 응답에 의하여 통화단말A(10)의 전화번호와 통화단말A(10)의 사용자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 및,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을 선택입력받아 통화단말A(10)의 전화번호와 자신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 및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를 통화 라우팅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비스코드 레코드를 할당하여 등록한다(단계 S50~S54).
그후,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통화단말A(10)의 서비스 코드A를 ARS 음성안내에 의하여 통화단말A(10)로 전송한다(단계 S56).
또한,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상기 통화단말A(10)의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에 근거하여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을 통화 라우팅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하여 추출해서 그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서비스코드(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단말B의 서비스 코드B와 통화단말C의 서비스 코드C)를 ARS 음성안내에 의하여 통화단말A(10)로 전송한다(단계 S58).
이에 따라, ARS 음성안내에 의하여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서비스 코드(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단말B의 서비스 코드B와 통화단말C의 서비스 코드C)를 수신한 통화단말A(10)의 사용자가 음성안내에 따라서 소망하는 서비스 코드(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단말B의 서비스 코드B)를 선택하여 익명 통화를 요청하면(단계 S60~S62), 상기 선택된 서비스 코드(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단말B의 서비스 코드B)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통화 라우팅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 발신을 수행한다(단계 S64~S66). 이때,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전화 발신시에 통화식별코드(Caller ID)에 발신측 통화단말(즉, 통화단말A)의 서비스 코드와 발신측 가입자의 성별, 지역, 나이 등의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신측에서 발신측 정보를 보고서 수신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후,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통화단말A와의 통화로와 상기 통화단말B의 통화로를 연결하여 통화단말A와 통화단말B의 양방향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단계 S68).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통화단말들 사이에서 완벽하게 익명성을 보장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익명 통화 서비스 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통화단말A(10)는 SMS에 의하여 익명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화단말이고, 통화단말B(20)와 통화단말C(60)는 익명통화서비스에 등록하고 익명통화서비스 대기중인 통화단말이다.
먼저, 통화단말A(10)의 사용자가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의 전화번호로 SMS에 의하여 익명통화서비스 접속을 요청함에 따라, 익명 통화 서버스 장치(50)에서는 SMS 응답에 의하여 통화단말A(10)의 전화번호와 통화단말A(10)의 사용자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 및,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을 선택입력받아 통화단말A(10)의 전화번호와 자신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 및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를 입력하기 위한 SMS메시지를 전송하고, 이 SMS메시지에 따라서 통화단말A(10)의 사용자가 통화단말A(10)의 전화번호와 통화단말A(10)의 사용자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 및,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을 선택입력받아 통화단말A(10)의 전화번호와 자신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 및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를 선택하여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로 전송함에 따라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전송되어온 정보를 통화 라우팅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비스코드 레코드를 할당하여 등록한다(단계 S70~S76).
그후,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통화단말A(10)의 서비스 코드A를 SMS에 의하여 통화단말A(10)로 전송한다(단계 S78).
또한,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상기 통화단말A(10)의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정보(성별, 나이, 지역 등)에 근거하여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을 통화 라우팅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하여 추출해서 그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서비스코드(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단말B의 서비스 코드B와 통화단말C의 서비스 코드C)를 SMS에 의하여 통화단말A(10)로 전송한다(단계 S80).
이에 따라, SMS에 의하여 익명 통화 대상 상대방의 서비스 코드(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단말B의 서비스 코드B와 통화단말C의 서비스 코드C)를 수신한 통화단말A(10)의 사용자가 SMS안내에 따라서 소망하는 서비스 코드(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단말B의 서비스 코드B)를 선택하여 익명 통화를 요청하면(단계 S82~S84), 통화단말A(10)는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에 통화 접속을 한다(단계 S84).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통화가 수신되면 통화단말A(10)에 수신응답을 한다(단계 S86~S88).
상기 수신응답을 받은 통화단말A(10)은 상기 선택된 서비스 코드(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단말B의 서비스 코드B)를 DTMF톤으로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로 전송한다(단계 S90).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수신된 DTMF톤으로부터 서비스 코드(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단말B의 서비스 코드B)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서비스 코드(본 실시예에서는 통화단말B의 서비스 코드B)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통화 라우팅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 발신을 수행한다(단계 S92~S94).
이때,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전화 발신시에 통화식별코드(Caller ID)에 발신측 통화단말(즉, 통화단말A)의 서비스 코드와 발신측 가입자의 성별, 지역, 나이 등의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신측에서 발신측 정보를 보고서 수신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후,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50)는 통화단말A와의 통화로와 상기 통화단말B의 통화로를 연결하여 통화단말A와 통화단말B의 양방향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단계 S96).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통화단말들 사이에서 완벽하게 익명성을 보장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10, 20, 60 : 통화단말 30,40 : 통화지원 통신망
50 :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

Claims (5)

  1. 통화를 지원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통화단말들과 통신접속되어 상기 통화단말들 사이에서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에 의하여 익명으로 통화를 중개하는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으로서,
    통화단말의 익명 통화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에서 통화단말의 전화번호와 통화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익명 통화 대상방의 가입자 정보를 받아서 서비스 코드를 부여하고 각 서비스 코드와 함께 통화단말의 전화번호와 통화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익명 통화 대상방의 가입자 정보를 서비스 레코드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서비스 가입된 통화단말 중 익명통화를 소망하는 발신측 통화단말에서 익명 통화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에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발신측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를 탐색하여 추출하고, 해당 발신측 통화단말의 서비스 레코드에 저장된 익명 통화 대상방의 가입자 정보에 근거하여 익명통화 가능한 상대방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해당 발신측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와 상기 상대방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를 추출하여 해당 발신측 통화단말로 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발신측 통화단말에서 제공받은 상대방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 중 소망하는 서비스 코드를 선택하여 익명 통화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에서 상기 통화요청된 상대방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에 대응하는 상대방 통화단말의 전화번호로 전화발신한 후에 상기 발신측 통화단말과 상기 상대방 통화단말의 양방향 통화를 중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통화단말에서 익명 통화의 요청은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의 전화번호로 전화 발신에 의한 통화 요청이고,
    이 전화 발신에 의한 통화 요청을 받은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는 수신 응답을 상기 발신측 통화단말에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발신측 통화단말에서 상기 선택된 상대방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를 DTMF톤으로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에서 이 DTMF톤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상대방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에 대응하는 상대방 통화단말의 전화번호로 전화발신한 후에 상기 발신측 통화단말과 상기 상대방 통화단말의 양방향 통화를 중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의 익명 통화 서비스 등록 요청은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에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ARS, SM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통화요청된 상대방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에 대응하는 상대방 통화단말의 전화번호로 전화발신시에, 상기 익명 통화 서비스 장치에서는 통화식별코드(Caller ID)에 상기 발신측 통화단말의 서비스 코드와 발신측 통화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5.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의 성별, 나이, 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KR1020100029687A 2010-04-01 2010-04-01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KR101129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687A KR101129299B1 (ko) 2010-04-01 2010-04-01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687A KR101129299B1 (ko) 2010-04-01 2010-04-01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03A KR20110110403A (ko) 2011-10-07
KR101129299B1 true KR101129299B1 (ko) 2012-03-27

Family

ID=4539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687A KR101129299B1 (ko) 2010-04-01 2010-04-01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2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1836B2 (ja) 2014-02-25 2016-11-09 Line株式会社 通信サーバ
CN108307079B (zh) * 2017-01-11 2020-08-25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392015B1 (ko) 2017-03-24 2022-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8033154A (ja) * 2017-10-05 2018-03-01 Line株式会社 通信サーバ
KR20230020234A (ko) 2021-08-03 2023-02-10 정재학 양방향 익명 통화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0045A (ja) * 2001-04-19 2002-10-31 Junji Ishikawa 電話接続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60078218A (ko) * 2004-12-30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익명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0045A (ja) * 2001-04-19 2002-10-31 Junji Ishikawa 電話接続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60078218A (ko) * 2004-12-30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익명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03A (ko) 201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283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 of a second line service on mobile telephone
US110825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re-populated second line service to a telecommunications device
KR100392768B1 (ko) 발신 교환기를 이용한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1129299B1 (ko)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KR101130810B1 (ko) 수신알람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수신알람음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79393B1 (ko) 발/착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85599B1 (ko) 콜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JP3968279B2 (ja) 代理応答通信システム、代理応答通信方法、代理応答装置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KR100392769B1 (ko) 프로그래스 톤을 없앤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1247200B1 (ko) 개인번호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09832B1 (ko) 수신 가입자가 설정한 수신 단말기 위치기반 통화연결음 제공 시스템
US115957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 of dial-requested service to a second line service enabled telecommunications device
KR100909833B1 (ko) 위치기반 통화연결음 제공 장치
KR101268305B1 (ko) 이동통신 망에서의 주소록 자동 갱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909830B1 (ko) 통화연결음 대체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치
KR101211904B1 (ko) 발신자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954373B1 (ko) 호교환장치 및 호교환장치의 동작 방법
KR101106326B1 (ko) 착신 단말기 전화번호에 매칭된 서브 착신 단말기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0909825B1 (ko) 발신 가입자가 설정한 수신 단말기 위치기반 통화연결음 제공 시스템
KR100909826B1 (ko) 위치기반 통화연결음 제공 장치
KR100822618B1 (ko) 발신자에게 착신자의 주변 동영상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09827B1 (ko) 통화연결음 대체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KR100909834B1 (ko) 통화연결음 대체 기능이 구비된 발신자 단말장치
KR100909831B1 (ko) 수신 가입자가 설정한 발신 단말기 위치기반 통화연결음제공 시스템
KR20150029193A (ko)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교환기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