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331A -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331A
KR20150098331A KR1020140019450A KR20140019450A KR20150098331A KR 20150098331 A KR20150098331 A KR 20150098331A KR 1020140019450 A KR1020140019450 A KR 1020140019450A KR 20140019450 A KR20140019450 A KR 20140019450A KR 20150098331 A KR20150098331 A KR 20150098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rope
engine room
housing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선
차취영
Original Assignee
전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선 filed Critical 전정선
Priority to KR1020140019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8331A/ko
Publication of KR20150098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프릿앵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양정거리를 더 길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도록, 엔진룸의 상부 구조물에 양쪽 끝부분이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 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빈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로프가 감기는 드럼과, 하우징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드럼으로 감기는 로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롤러가 설치되는 로프안내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 {Hoist Device for Engine Room of Ship}
본 발명은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프안내장치를 설치하여 프릿앵글(freet angle)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양정거리를 더 길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며, 물건의 무게에 따라 기존의 두줄 걸이 감기 대신에 한줄 걸이 감기 방식이 가능하여 드럼에 작용하는 토크(torque)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컴팩트한 설치가 가능한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엔진룸에는 좁은 공간에 무게가 무거운 엔진과 크랭크축 등이 설치되므로, 수리나 청소를 위해 엔진을 분해하는 경우 분해된 부품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엔진룸의 상부에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등을 설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5567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5230호, 제10-2012-0011964호 등에는 선박의 엔진룸에 설치되는 크레인과 관련된 기술이 일부 공개되어 있다.
종래 선박의 엔진룸에 설치되는 호이스트장치의 경우, 로프(rope)가 드럼에 가지런히 감기기 위해서는 프릿앵글(freet angle)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프릿앵글은 드럼에 로프가 가지런히 감기기 위한 최소한의 각도로 정해놓은 기준이며, 이는 설계시에 드럼의 폭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가 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2)과 도르래(4) 사이에서 로프(6)가 드럼(2)에 감기면서 로프(6)가 드럼(2)의 양쪽 끝단에 왔을 때에 드럼(2)과 도르래(4) 사이에서 로프(6)가 이루는 최대 각도를 프릿앵글(A)이라 한다.
도 1의 경우에는 프릿앵글(A)이 적당하게 설정된 경우로서, 로프(6)가 드럼(2)에 가지런하게 감긴다.
도 2의 경우에는 프릿앵글(A)이 과하게 설정된 경우로서, 도르래(4)와 드럼(2)의 중심을 정확하게 맞추지 않고, 드럼(2)의 중심과 도르래(4)의 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 설치된 경우이다. 이와 같이 프릿앵글(A)이 과하게 설정된 경우에는, 로프(6)가 간격(G)을 두고 드럼(2)에 감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로프(6)가 간격(G)을 두고 감기게 되면, 로프(6)가 드럼(2)에 여러 단으로 감길 경우에는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며, 로프(6)의 수명이 단축될 우려가 있다.
도 3의 경우에는 프릿앵글(A)이 너무 작게 설정된 경우로서, 도르래(4)와 드럼(2)의 중심을 정확하게 맞추지 않고, 드럼(2)의 중심과 도르래(4)의 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 설치된 경우이다. 이와 같이 프릿앵글(A)이 너무 작게 설정된 경우에는, 로프(6)가 드럼(2)에 일부가 서로 타넘으며 겹쳐지면서 감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로프(6)가 일부 겹쳐지면서 드럼(2)에 감기게 되면,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로프(6)의 훼손 및 수명을 저해하는 결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프릿앵글(A)의 최소한의 각도를 맞추기 위하여 드럼(2)의 폭을 무한정 길게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드럼(2)에 감기는 로프(6)의 길이가 일정하게 한정되며, 이는 호이스트장치의 양정거리를 제한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종래 호이스트장치의 경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드럼(2)에 각각 감긴 두줄의 로프(6)를 이용하여 훅(8)의 상하이동 구동을 행하는 두줄 걸이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인 구조가 커지고, 충분한 양정거리(상기 훅(8)의 상하 이동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좌우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서 로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로프안내장치를 설치하여 프릿앵글(freet angle)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양정거리를 더 길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며, 기존의 두줄 걸이 감기 대신에 한줄 걸이 감기 방식이 가능하여 드럼에 작용하는 토크(torque)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컴팩트한 설치가 가능한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는 엔진룸의 상부 구조물에 양쪽 끝부분이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의 저면에 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호이스트장치는 내부가 빈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로프가 감기는 드럼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드럼으로 감기는 로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롤러가 설치되는 로프안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프안내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쌍의 측면판과, 상기 한쌍의 측면판 사이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회전축이 측면판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안내롤러와, 상기 한쌍의 측면판의 후면쪽을 연결하여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에 의하면, 로프가 드럼에 감길시 나타나는 축 방향 하중에 의해 상기 로프안내장치가 좌우로 회전하면서 로프에 걸리는 장력에 대응하여 적정한 프릿앵글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드럼의 폭을 좁게 형성하여 여러 단으로 감을 수 있으며 또한, 드럼의 폭을 넓게 형성하는 경우에도 충분하게 적정한 프릿앵글이 유지되므로, 드럼에 감기는 로프의 길이를 길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양정(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는 높이)거리를 길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에 의하면, 상기 로프안내장치가 좌우로 회전하면서 적정한 프릿앵글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프릿앵글을 확보하기 위하여 드럼과 도르래 사이의 높낮이 간격을 크게 확보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에 의하면, 로프를 한줄 감기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구조를 컴팩트하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고, 작업반경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프릿앵글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르래와 드럼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프릿앵글이 과하게 설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르래와 드럼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프릿앵글이 너무 작게 설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르래와 드럼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종래 두줄 걸이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에 있어서, 로프안내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에 있어서, 한줄 걸이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를 엔진룸의 상부 구조물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30)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룸의 상부 구조물에 양쪽 끝부분이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10)의 저면에 프레임(10)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룸의 상부 구조물(80)에 양쪽 끝부분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면이 덮이는 상태(도 7의 왼쪽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면이 개방된 상태(도 7의 오른쪽 형태)로 형성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호이스트장치(30)를 프레임(10)의 저면에 설치하게 되면, 엔진룸 내에 사용시에 주행거리를 최대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호이스트장치(3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32)과,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로프(38)가 감기는 드럼(36)과, 상기 하우징(32)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드럼(36)으로 감기는 로프(38)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롤러(44)가 설치되는 로프안내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호이스트장치(30)는 상기 하우징(32)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36)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프안내장치(4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쌍의 측면판(42)과, 상기 한쌍의 측면판(42) 사이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회전축이 측면판(4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안내롤러(44)와, 상기 한쌍의 측면판(42)의 후면쪽을 연결하여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32)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32)의 상부에는 양쪽을 가로지르며 상부지지부재(33)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48)은 상기 상부지지부재(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설치되는 로프안내장치(40)는 상기 안내롤러(44)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드럼(36)쪽으로 이동하는 로프(38)의 장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힌지축(48)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면서 로프(38)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36)에 감기는 로프(38)는 일정하게 서로 밀착된 상태로 가지런하게 정리된 상태로 권취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30)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프릿앵글을 유지하기 위하여 도르래와 드럼 사이의 중심선을 정밀하게 조정하여 맞추지 않아도 되며, 중심선을 맞추면서 드럼의 폭에 대응하는 프릿앵글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르래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도르래를 설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부담이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3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드럼(36)에 로프(38)가 한줄로 감긴 상태에서 인양 작업을 위한 훅(50)에 걸이 방식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에서 로프(38)를 한줄 걸이 방식으로 구성하여 상기 드럼(36)에 감는 것은 상기 로프안내장치(40)에 의하여 로프(38)의 이동이 효율적으로 안내되어 드럼(36)에 감기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로프(38)를 드럼에 한줄 걸이 방식으로 구성하게 되면, 여러 단으로 감을 수 있어 양정거리(상기 훅(50)의 상하 이동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호이스트장치(30)를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프레임, 30 - 호이스트장치, 32 - 하우징, 33 - 상부지지부재
34 - 구동모터, 36 - 드럼, 38 - 로프, 40 - 로프안내장치
42 - 측면판, 44 - 안내롤러, 48 - 힌지축, 50 - 훅, 80 - 상부 구조물

Claims (3)

  1. 엔진룸의 상부 구조물에 양쪽 끝부분이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의 저면에 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빈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로프가 감기는 드럼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드럼으로 감기는 로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롤러가 설치되는 로프안내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프안내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쌍의 측면판과, 상기 한쌍의 측면판 사이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회전축이 측면판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안내롤러와, 상기 한쌍의 측면판의 후면쪽을 연결하여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감기는 로프는 한줄 걸이 방식으로 훅에 연결되는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
KR1020140019450A 2014-02-20 2014-02-20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 KR20150098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450A KR20150098331A (ko) 2014-02-20 2014-02-20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450A KR20150098331A (ko) 2014-02-20 2014-02-20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331A true KR20150098331A (ko) 2015-08-28

Family

ID=54059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450A KR20150098331A (ko) 2014-02-20 2014-02-20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83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629B1 (ko) 2023-06-08 2023-09-13 주식회사 에스디호이스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629B1 (ko) 2023-06-08 2023-09-13 주식회사 에스디호이스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486B2 (en) Traveling crane having traveler and hoisting winch
US8616527B2 (en) Hoist using friction wheel
CN101723277A (zh) 升降装置
JP7362739B2 (ja) ロープガイド装置、電動巻上機及びクレーンシステム
KR20150008532A (ko) 크레인의 리프팅 장치
KR20150098331A (ko)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
KR20130019654A (ko) 윈치 장치용 센서 패키지
CN108083085B (zh) 一种吊具上架、起升机构及起重机
KR101416983B1 (ko) 무대 커튼 승,하강용 와이어 안내장치
KR101103134B1 (ko) 리깅장치
KR101903001B1 (ko) 호이스팅 장치
JP5618795B2 (ja) ホイスト用横行装置
KR101896580B1 (ko) 케이블 와인더 겸용 원치장치
KR102546300B1 (ko) 크레인
KR20090012275U (ko) 와이어 로프 교체용 가이드 장치
KR100920159B1 (ko) 와이어로프의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
JP4413127B2 (ja) 橋形移動式クレーン
JP6483012B2 (ja) クレーン装置
KR100581636B1 (ko) 천정크레인
KR200361083Y1 (ko) 천정크레인
JP2014037302A (ja) エレベーター
JP6339611B2 (ja) クレーン装置のワイヤロープ絡まり防止構造
JP6976491B1 (ja) 回転電機の検査装置、回転電機の検査システムおよび回転電機の検査方法
KR102211560B1 (ko) 크린룸 전동 벨트 호이스트
JP201011625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