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159B1 - 와이어로프의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의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159B1
KR100920159B1 KR1020090040363A KR20090040363A KR100920159B1 KR 100920159 B1 KR100920159 B1 KR 100920159B1 KR 1020090040363 A KR1020090040363 A KR 1020090040363A KR 20090040363 A KR20090040363 A KR 20090040363A KR 100920159 B1 KR100920159 B1 KR 100920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uide pulley
wire rope
pai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Priority to KR1020090040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하고 경량의 와이어로프 1줄용 안내활차를 사용하더라도 와이어로프들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가 없고 와이어로프들의 간섭이 배재되어 여러개의 와이어로프의 중개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와이어로프의 1줄용 안내활차에서의 장착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복수의 와이어로프들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와 간섭을 방지하여 와이어로프의 중개를 용이하게 하는 와이어로프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를 제공한다.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처짐방지롤러

Description

와이어로프의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Wirerope guiding pulley having roller for preventing hendancy of wirerope}
본 발명은 무대장치의 와이어로프 안내활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1줄용 활차에서 활차간의 간격이 클 때에 발생되는 와이어로프 처짐에 따른 와이어로프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분해 조립이 간편한 와이어로프 처짐방지 롤러를 장착한 안내활차에 관한 것이다.
무대장치에서 사용되는 와이어로프 안내활차는 각종 세트물의 상승 또는 하강시에 세트물과 연결된 와이어로프의 원활한 작동을 안내하는 활차로서, 상기 활차는 하나의 활차에 복수의 와이어로프가 안내되도록 하는 복수의 안내홈을 가지는 복수줄용 활차와, 하나의 활차에 한줄의 와이어로프가 안내되도록 하는 하나의 안내홈을 가지는 1줄용 활차로 구분된다. 복수줄용 활차에 비하여 1줄용 활차는 구조가 간단하고 가벼우며 비용이 저렴하므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무대장치의 한 세트물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해 복수의 활차를 사용하고 있으며, 활차간의 간격이 큰 경우에는 와이어로프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용 활차 사이에 와이어로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용 활차를 별도로 사용하 는 경우가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대장치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통상 승강용 활차에 지지용 활차를 겸용하는 활차(10)로 무대장치의 세트물(13)을 승강시키는데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겸용시 1줄용 안내활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여러줄의 와이어로프(11, 12)가 활차(10)를 경유하게 된다.
예를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와이어로프(11)는 1줄용 안내활차(10)의 승강용롤러(14)에 안내되어 상승이나 하강하고 기타 나머지 와이어로프(12)는 1줄용 안내활차(10)의 승강용롤러(14)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축(15)에 지지되어 안내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안내활차(10)는 상기 고정축(15)에 복수의 와이어로프(12)가 함께 수용될 경우, 이들 와이어로프(12)들끼리 서로 마찰되는 한편 와이어로프(12)와 고정축(15)과의 마모도 크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와이어로프(12)가 늘어져 있는 경우에는 서로 간섭하여 엉키게 되므로 여러 개의 와이어로프를 안내하여 중개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어로프들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가 없고 와이어로프들 간의 간섭이 없어 중개가 용이하며 와이어로프의 처짐을 방지하는 안내활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의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는 무대용 세트물을 승강시키기 위한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는 승강용롤러와, 상기 승강용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고정판과, 상기 한쌍의 고정판을 상기 지지축과 협조하여 일정간격으로 유지되게 고정하는 고정축을 구비하는 안내활차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고정판의 상부측에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롤러브라켓; 및 상기 롤러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창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안내활차 상부로 지나가는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각각 수용하여 처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각 롤러의 양단에 위치된 간격유지구를 구비한 이탈방지 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롤러브라켓은 상기 지지축과 고정축에 각각 끼워져 장착되도록 상변의 양측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의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는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각각 하나씩 수용하여 와이어로프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가지는 와이어로프 이탈방지 핀이 상기 안내활차에 장착되기 때문에 간단하고 경량의 1줄용 안내활차를 사용하더라도 각 와이어로프간의 마찰로 인한 와이어로프의 마모가 없이 여러개의 와이어로프를 중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의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는 롤러브라켓이 안내활차의 지지축과 고정축에 각각 끼워져 조립 및 분해가 매우 용이하게 설치되어 사용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활차에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 즉시 적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의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30)는 무대용 세트물을 승강시키기 위한 와이어로프(38)가 감겨지는 승강용롤러(30a)와, 상기 승강용롤러(30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32)과, 상기 지지축(32)을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고정판(31)과, 상기 한쌍의 고정판(31)을 상기 지지축(32)과 협조하여 일정간격으로 유지되게 고정하는 고정축(33) 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며, 이와 같은 구성들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한쌍의 고정판(31)의 상부측에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롤러브라켓(40)과, 상기 롤러브라켓(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 핀(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 핀(20)은 상기 롤러브라켓(40)에 회전가능하게 창착된 회전축(23)과, 상기 회전축(23)에 끼워져 안내활차(30) 상부로 지나가는 복수의 와이어로프(39)를 각각 수용하여 처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롤러(22)와, 상기 회전축(23)에 끼워져 각 롤러(22)의 양단에 위치된 간격유지구(25)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축(23)으로서 볼트를 채용하였다. 상기 회전축(23)은 롤러브라켓(40)을 관통한 상태에서 단부에 너트(24)를 체결하여 롤러브라켓(40)에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22)들은 회전축(23)에 차례로 회전가능하도록 여유있게 끼워진다.
상기 롤러브라켓(40)은 직사각형의 판재(예를 들면 강철판)로 형상으로서, 상기 롤러브라켓(40))의 장변의 양측에는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고, 소정 깊이, 즉 안내활차(30)의 지지축(32)과 고정축(33)에 끼워질 수 있는 깊이로서 서로 상하방향으로 상기 지지축(32)과 고정축(33)의 간격만큼 떨어진 상태로 절개된 개구부(4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브라켓(40)의 상측 중심부에는 회전축(23)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브라켓(40)은 상기 안내활차(30)의 지지축(32)과 고정축(33)에 개구부(41)가 끼워지도록 한 후 개구부(41)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지지축(32)과 고 정축(34)의 단부에 각각 너트(34,35,36,35)를 체결하여 안내활차(30)의 고정판(31)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탈방지 핀(20)의 각 롤러(22)에는 해당 안내활차를 경유하는 와이어로프(39)가 지지되며, 해당 안내활차(30)에는 해당 안내활차(30)의 승강용 와이어로프(38)가 감겨진다.
한편, 롤러(22)의 양단에는 간격유지구(25)가 위치되어 롤러(22)가 회전축(23)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간격유지구(25)를 통해 롤러(22)의 내측으로 베어링(26)이 삽입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로프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는, 안내활차(30)을 경유하는 와이어로프(39)들이 이탈방지 핀(20)의 롤러(22)들 마다 각각 하나씩 수용되므로 와이어로프(39)간의 마찰이 일어날 수 없어 마모가 발생되지 않으며, 와이어로프(39)간의 간섭이 없어 엉키지 아니하므로 중개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상기 롤러브라켓(40)은 그의 장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41)를 안내활차(30)의 지지축(32)과 고정축(33)에 끼우고 지지축(32)과 고정축(33)에 너트(34,35,36,37)를 체결하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분해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활차에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 즉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복수의 와이어로프 안내활차를 배치한 무대장치 세트물의 승하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의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롤러브라켓과 이탈방지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0 : 1줄용 안내활차 11,12 : 와이어로프
13 : 이탈방지 핀 20 : 이탈방지 핀
22 : 롤러 23 : 회전축
24 : 너트 30 : 1줄용 안내활차
31 : 고정판 32 : 지지축
33 : 고정축 34,35,36,37 : 너트
38,39 : 와이어로프 40 : 롤러브라켓
42 : 관통공 41: 개구부

Claims (2)

  1. 무대용 세트물을 승강시키기 위한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는 승강용롤러와, 상기 승강용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고정판과, 상기 한쌍의 고정판을 상기 지지축과 협조하여 일정간격으로 유지되게 고정하는 고정축을 구비하는 안내활차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고정판의 상부측에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롤러브라켓; 및
    상기 롤러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창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안내활차 상부로 지나가는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각각 수용하여 처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각 롤러의 양단에 위치된 간격유지구를 구비한 이탈방지 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의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브라켓은 상기 지지축과 고정축에 각각 끼워져 장착되도록 상변의 양측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의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
KR1020090040363A 2009-05-08 2009-05-08 와이어로프의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 KR100920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363A KR100920159B1 (ko) 2009-05-08 2009-05-08 와이어로프의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363A KR100920159B1 (ko) 2009-05-08 2009-05-08 와이어로프의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0159B1 true KR100920159B1 (ko) 2009-10-06

Family

ID=4157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363A KR100920159B1 (ko) 2009-05-08 2009-05-08 와이어로프의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1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565B1 (ko) 2010-03-31 2010-07-12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무대장치용 조립식 활차
KR101324078B1 (ko) 2013-04-02 2013-11-08 이윤성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710U (ko) * 1997-05-07 1998-12-05 김종진 하역 장비의 와이어 이탈방지 안내장치
US6067835A (en) 1999-04-02 2000-05-30 Pollock; Michael R. Wire straightener
JP3313011B2 (ja) * 1995-05-12 2002-08-12 株式会社中電工 延線ケ−ブル巻き戻し時にケ−ブルにバックテンションを付与するためのロ−プ用ブレ−キ装置
KR100893145B1 (ko) * 2007-10-19 2009-04-16 김순화 무대용 로프 안내활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3011B2 (ja) * 1995-05-12 2002-08-12 株式会社中電工 延線ケ−ブル巻き戻し時にケ−ブルにバックテンションを付与するためのロ−プ用ブレ−キ装置
KR19980065710U (ko) * 1997-05-07 1998-12-05 김종진 하역 장비의 와이어 이탈방지 안내장치
US6067835A (en) 1999-04-02 2000-05-30 Pollock; Michael R. Wire straightener
KR100893145B1 (ko) * 2007-10-19 2009-04-16 김순화 무대용 로프 안내활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565B1 (ko) 2010-03-31 2010-07-12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무대장치용 조립식 활차
KR101324078B1 (ko) 2013-04-02 2013-11-08 이윤성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064B1 (ko) 무대구동장치
AU2005262192B2 (en) Lift and pulley assembly for use in a lift
EP3150541B1 (en) Hook block and rope hoist
KR101777804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활차
KR101328197B1 (ko)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장치
KR101872409B1 (ko) 무대장치 승강와이어 안내용 활차
KR100920159B1 (ko) 와이어로프의 이탈방지 핀이 장착된 안내활차
KR101328400B1 (ko) 무대설비 승하강용 이동성 구동장치
KR101324078B1 (ko)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KR101296890B1 (ko) 감속모터가 구비된 무대장치용 드럼브라켓
KR101053203B1 (ko) 공동주택의 공사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0262999B1 (ko) 수동 체인 블록
US7261187B2 (en) Deflecting module for elevator
KR102013739B1 (ko)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활차
JP2009174156A (ja) ゴンドラ用仮設ガイド装置および方法
KR101416983B1 (ko) 무대 커튼 승,하강용 와이어 안내장치
KR101103134B1 (ko) 리깅장치
KR100969565B1 (ko) 무대장치용 조립식 활차
JP2013107765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00098175A (ko) 와이어지지용 활차를 구비하는 무대장치
JP4619031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掛け装置
KR101005712B1 (ko) 일체형 승강이동식 무대장치
KR20080004289U (ko) 엘리베이터의 체인 지지용 브러시 롤러
JP2007512202A5 (ko)
KR101982341B1 (ko) 무대세트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