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629B1 -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629B1
KR102577629B1 KR1020230073576A KR20230073576A KR102577629B1 KR 102577629 B1 KR102577629 B1 KR 102577629B1 KR 1020230073576 A KR1020230073576 A KR 1020230073576A KR 20230073576 A KR20230073576 A KR 20230073576A KR 102577629 B1 KR102577629 B1 KR 102577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tation
module
main body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3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규철
김용태
이승철
김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디호이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디호이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디호이스트
Priority to KR1020230073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32Detent devices
    • B66D5/34Detent devices having latches

Abstract

실시예들은,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로서, 엔진룸에 설치되는 I-빔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본체 모듈; 상기 본체 모듈의 일부에 감겨지는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본체 모듈에 매달리도록 구성되는 후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모듈은, 수동 조작을 통해 상기 본체 모듈에 매달린 상기 후크 모듈의 급속 하강을 방지하며 수동 조작을 통해 중량물을 하역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 {ENGINEROOM HOIST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엔진룸 환경과 같이 파도 등에 의해 흔들리는 설치환경에도 안정적으로 설치사용이 가능한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엔진룸에는 좁은 공간에 무게가 무거운 엔진과 크랭크축 등이 설치되므로, 수리나 청소를 위해 엔진을 분해하는 경우 분해된 부품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엔진룸의 상부에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등을 설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8331호는 엔진룸의 상부 구조물에 양쪽 끝부분이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의 저면에 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빈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로프가 감기는 드럼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드럼으로 감기는 로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롤러가 설치되는 로프안내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공개특허를 포함하여 기존의 선박의 엔진룸에서 사용되는 호이스트 장치는 파도 등으로 선박이 기울어지거나 또는 전력 공급이 중단될 확률이 높은 설치환경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호이스트 장치 자체가 설치된 레일에서 이탈되거나 호이스트 장치의 이동이 제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전력 공급이 끊긴 상황에서 수동으로 인양 중인 중량물을 하역하다가 중량물이 급속 하강하여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일반적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와 차별화되는 특징으로서, 이동휠과 함께 레일에 랙-피니언 방식으로 결합하여 수평 이동함으로써 선박이 기울어지는 경우에 레일 상에서 미끄러지거나 또는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후크 모듈의 상방 이동 또는 하방 이동의 한계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설치환경, 중량물의 중량, 크기 등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특히 전력 공급이 되지 않아 호이스트 내지는 모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수동 조작으로 중량물을 안전하게 하역시킬 수 있는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에 대한 필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8331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휠과 함께 레일에 랙-피니언 방식으로 결합하여 수평 이동함으로써 선박이 기울어지는 경우에 레일 상에서 미끄러지거나 또는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후크 모듈의 상방 이동 또는 하방 이동의 한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환경, 중량물의 중량, 크기 등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력 공급이 되지 않아 호이스트 내지는 모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수동 조작으로 중량물을 안전하게 하역시킬 수 있는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로서, 엔진룸에 설치되는 I-빔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본체 모듈; 상기 본체 모듈의 일부에 감겨지는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본체 모듈에 매달리도록 구성되는 후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모듈은, 상기 본체 모듈에 매달린 상기 후크 모듈의 급속 하강을 방지하며 수동 조작을 통해 중량물을 하역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본체 모듈은, 피니언 기어 형상을 갖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I-빔 레일에 설치되는 랙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피니언 유닛; 상기 피니언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유닛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피니언 회전모터; 및 휠 형상을 갖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I-빔 레일의 일면을 따라 구르도록 구성되는 이동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 유닛이 상기 I-빔 레일에 설치되는 랙과 맞물리며 회전함으로써 상기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이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가 상기 I-빔 레일 상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는, 상기 후크 모듈의 상방 이동을 제한시키도록 구성되는 상방 이동 리미트 모듈; 및 상기 후크 모듈의 하방 이동을 제한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방 이동 리미트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방 이동 리미트 모듈은, 상기 본체 모듈의 일부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감김에 의해 상방 이동하는 상기 후크 모듈과 충돌함으로써 상측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연결회동 유닛; 상측으로 회동하는 상기 연결회동 유닛과 충돌함으로써 상기 연결회동 유닛의 회동 축 방향과 수직한 축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 상기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의 회동을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상방 이동 센싱 유닛; 및 상기 상방 이동 센싱 유닛과 결합하고, 상기 본체 모듈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하 방향으로 고정 위치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방 리미트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방 이동 리미트 모듈은, 상기 본체 모듈의 일부 영역에서 풀리면서 하방 이동하는 와이어 로프와 충돌함으로써 일측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 상기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의 회동을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하방 이동 센싱 유닛; 및 상기 하방 이동 센싱 유닛과 결합하고, 상기 본체 모듈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좌우 방향으로 고정 위치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방 리미트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본체 모듈은, 상기 와이어 로프가 감겨진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 로프의 연장 길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드럼 유닛; 및 상기 드럼 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드럼 회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드럼 유닛과 상기 드럼 회전모터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드럼 회전모터의 모터샤프트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하며 일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보스; 상기 보스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보스와 상호 결합하여 동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조절 브레이크휠; 상기 보스의 외주연 일부를 감싸고, 상기 보스의 외주연 일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호 나사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브레이크휠; 중심 영역에 오일리스 베어링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중심 영역이 상기 제1 브레이크휠의 회전에 대해 슬립하도록 구성되고,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라쳇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동하며,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라쳇휠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에 대한 걸림 여부가 결정되도록 구성되는 폴유닛; 및 휠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브레이크휠과 상기 라쳇휠 사이에 구비되고, 브레이크 라이닝 패드를 통해 상기 제1 브레이크휠의 일면과 상기 라쳇휠의 일면에 동시에 밀착하도록 구성되는 제2 브레이크휠을 포함하고, 위치 고정된 상태의 상기 제1 브레이크휠에 대해 상기 보스가 회전하며 상대 이동함으로써 상기 라쳇휠과 상기 조절 브레이크휠 간 밀착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은, 회전에 의해 상기 보스의 외주연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며 상기 조절 브레이크휠의 이동 가능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락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에 의하면, 이동휠과 함께 레일에 랙-피니언 방식으로 결합하여 수평 이동함으로써 선박이 기울어지는 경우에 레일 상에서 미끄러지거나 또는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에 의하면, 후크 모듈의 상방 이동 또는 하방 이동의 한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환경, 중량물의 중량, 크기 등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에 의하면, 전력 공급이 되지 않아 호이스트 내지는 모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수동 조작으로 중량물을 안전하게 하역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전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모듈의 I-빔 레일과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전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전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방 이동 리미트 모듈 및 하방 이동 리미트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구성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쳇휠, 폴유닛, 레버 케이스, 레버핀, 레버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쳇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및 레버 케이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브레이크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 너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엔진룸 환경과 같이 파도 등에 의해 흔들리는 설치환경에도 안정적으로 설치사용이 가능한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에 의하면, 이동휠과 함께 레일에 랙-피니언 방식으로 결합하여 수평 이동함으로써 선박이 기울어지는 경우에 레일 상에서 미끄러지거나 또는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에 의하면, 후크 모듈의 상방 이동 또는 하방 이동의 한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환경, 중량물의 중량, 크기 등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에 의하면, 전력 공급이 되지 않아 호이스트 내지는 모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수동 조작으로 중량물을 안전하게 하역시킬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전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모듈(100)의 I-빔 레일(20)과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전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전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방 이동 리미트 모듈(400) 및 하방 이동 리미트 모듈(5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180)을 설명하기 위해 구성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쳇휠(182), 폴유닛(183), 레버 케이스(1833), 레버핀(1836), 레버(1835)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쳇휠(182)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케이스(1833)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1835) 및 레버 케이스(1833)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브레이크휠(188)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 너트(189)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10)는, 엔진룸에 설치되는 I-빔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본체 모듈(100), 본체 모듈(100)의 일부에 감겨지는 와이어 로프(200) 및 와이어 로프(200)와 연결됨으로써 본체 모듈(100)에 매달리도록 구성되는 후크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10)는, 본체 모듈(100), 와이어 로프(200), 후크 모듈(300), 상방 이동 리미트 모듈(400), 하방 이동 리미트 모듈(500) 및 제어 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모듈(100)은, 피니언 기어 형상을 갖고 회전함으로써 I-빔 레일(20)에 설치되는 랙(21)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피니언 유닛(110), 피니언 유닛(110)과 연결되고, 피니언 유닛(1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피니언 회전모터(120), 휠 형상을 갖고 회전함으로써 I-빔 레일(20)의 일면을 따라 구르도록 구성되는 이동휠 유닛(130), 및 이동휠 유닛(130)과 연결되어 이동휠 유닛(130)의 회전을 지지하는 이동휠 회전지지축(1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10)는, 선박의 엔진룸에 설치되는 I-빔 레일(20)에 안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니언 유닛(110)이 I-빔 레일(20)에 설치되는 랙(21)과 맞물리며 회전함으로써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10)가 설치되는 공간이 기울어지더라도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10)가 I-빔 레일(20) 상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 4을 참고하면, 선박의 엔진룸에 설치되는 I-빔 레일(20)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길이 방향을 따라 랙(21)이 구비될 수 있고, 구비되는 랙(21)의 안정적인 설치면적 및 각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직각 프레임 형상 등을 갖는 랙결합부(2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 모듈(100)의 이동휠 유닛(130)이 구름운동하기 용이하도록 적어도 일부 영역에 소정의 폭으로 돌출되는 레일돌출부(23)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 모듈(100)의 하단 양 측면에 이동휠 유닛(130)이 구비될 수 있고, 이동휠 유닛(130)의 하측에 피니언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10)는, 선박의 엔진룸에 설치되는 I-빔 레일(20)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 모듈(100)의 상단 양 측면에 이동휠 유닛(1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10)는, 선박의 엔진룸에 설치되는 I-빔 레일(20)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휠 유닛(130)은, 이동휠 회전지지축(140)과 연결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이동휠 유닛(1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이동휠베어링(131)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모듈(100)은, 와이어 로프(200)가 감겨진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 로프(200)의 연장 길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드럼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유닛(150)은, 본체 모듈(100)의 전체적인 프레임 구조를 이루는 하우징 유닛(160)의 내측에 구비되고,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드럼 회전모터(15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유닛(150)의 표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소정 깊이만큼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로프가이드홈(151)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유닛(150)의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로프가이드홈(151)을 따라 와이어 로프(200)가 감겨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와이어 로프(200)가 드럼 유닛(150)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감겨져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회전모터(152)는, 드럼 유닛(15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드럼 유닛(15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럼 회전모터(15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에 의해 드럼 유닛(150)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와이어 로프(200)를 감아올리며 와이어 로프(20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단축시키거나 또는 표면에 감겨진 와이어 로프(200)를 풀어내며 하측 연장 길이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모듈(100)은, 하면이 개방된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 하우징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유닛(160)은, 피니언 유닛(110), 피니언 회전모터(120), 이동휠 유닛(130), 이동휠 회전지지축(140), 드럼 유닛(150), 고정도르래(170), 매커니컬 브레이크 유닛 등이 설치되는 프레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휠 유닛(130)은, 하우징 유닛(160)의 양 측면에 각각 2개씩 총 4개로 구비될 수 있고, 선박의 엔진룸에 설치되는 I-빔 레일(20)을 따라 구름 운동함으로써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채 모듈은, 드럼 유닛(15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드럼 유닛(150)으로부터 풀어져 또는 후크 모듈(300)의 시브 유닛(310)을 감은 후 드럼 유닛(150) 측으로 다시 감겨지는 와이어 로프(200)에 대해 도르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도르래(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드럼 유닛(150)과 소정 간격을 두고 드럼 유닛(150)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드럼 유닛(150)으로부터 풀어지는 2개의 와이어 로프(200)는 각각 2개로 구비되는 시브 유닛(310) 중 어느 하나를 감은 후 고정도르래(170)에 감김으로써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의 와이어 로프(200)로 후크 모듈(300)을 매다는 경우에 비해 사방 영역에서 와이어 로프(200)로 후크 모듈(300)의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후크 모듈(300)에 매달리는 중량물을 인양 또는 하역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10)는, 와이어 로프(200)와 연결됨으로써 본체 모듈(100)에 매달리도록 구성되는 후크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모듈(300)은, 본체 모듈(1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로프(200)가 감겨지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바람직하게는 2개의) 시브 유닛(310), 각각의 시브 유닛(310)을 연결하고 시브 유닛(310)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시브하우징 유닛(320)(160), 갈고리 형상을 갖고 시브하우징 유닛(320)(1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10)는, 후크 모듈(300)의 상방 이동을 제한시키도록 구성되는 상방 이동 리미트 모듈(400) 및 후크 모듈(300)의 하방 이동을 제한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방 이동 리미트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방 이동 리미트 모듈(400)은, 본체 모듈(100)의 일부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와이어 로프(200)의 감김에 의해 상방 이동하는 후크 모듈(300)과 충돌함으로써 상측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연결회동 유닛(410), 상측으로 회동하는 연결회동 유닛(410)과 충돌함으로써 연결회동 유닛(410)의 회동 축 방향과 수직한 축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420),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420)의 회동을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상방 이동 센싱 유닛(430) 및 상방 이동 센싱 유닛(430)과 결합하고, 본체 모듈(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하 방향으로 고정 위치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방 리미트 고정판(44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모듈(100)은, 와이어 로프(200)가 감기는 드럼 유닛(150)의 전방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연결대(19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회동 유닛(41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연결대(191)에 수직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방 이동하는 후크 모듈(300)에 충돌할 수 있도록 후크 모듈(300)의 상방 연장선상 중 일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회동 유닛(410)은, 용이하게 상방 이동하는 후크 모듈(300)의 운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상의 평평한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회동 유닛(410)이 후크 모듈(300)과의 충돌로 인해 상측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420)과 충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420)도 소정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420)이 회동하게 되면 상방 이동 센싱 유닛(430)이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420)의 회동을 감지하고, 본체 모듈(100) 또는 제어 모듈(600)에 감지 신호를 송신하여 드럼 회전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
이 때에, 본체 모듈(100)은, 드럼 유닛(150)의 전방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결합지지대(193)가 구비될 수 있고,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420) 및 상방 이동 센싱 유닛(430)이 장착 또는 구비되는 상방 리미트 고정판(44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결합지지대(193)에서 상하 방향(즉, 수직 방향)으로 고정 위치가 변경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상방 리미트 고정판(440)이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용이하게 조절 또는 변경될 수 있으므로, 후크 모듈(300)의 상방 이동 가능 거리에 대한 리미트도 용이하게 조절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방 이동 리미트 모듈(500)은, 본체 모듈(100)의 일부 영역에서 풀리면서 하방 이동하는 와이어 로프(200)와 충돌함으로써 일측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510),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510)의 회동을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하방 이동 센싱 유닛(520) 및 하방 이동 센싱 유닛(520)과 결합하고, 본체 모듈(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좌우 방향으로 고정 위치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방 리미트 고정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드럼 유닛(150)에서 와이어 로프(200)가 풀리는 경우 후크 모듈(300)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후크 모듈(300)에 매달린 중량물이 하역될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 로프(200)는 드럼 유닛(150)에 감긴 상태에서 풀리면서 일측 방향으로 점차 풀리는 위치가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와이어 로프(200)의 풀리는 위치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510)이 위치하는 지점까지 이동하게 되면, 와이어 로프(200)가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510)과 접촉 내지는 충돌하며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510)을 일측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방 이동 센싱 유닛(520)은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510)의 회동을 감지하고, 본체 모듈(100) 또는 제어 모듈(600)에 감지 신호를 송신하여 드럼 회전 모터를 중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때에, 본체 모듈(100)은, 드럼 유닛(150)의 전방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평연결대(192) 및 제2 수평연결대(192)에 결합하는 수평결합지지대(194)가 구비될 수 있고,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510) 및 하방 이동 센싱 유닛(520)이 장착 또는 구비되는 하방 리미트 고정판(53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결합지지대(194)에서 좌우 방향(즉, 수평 방향)으로 고정 위치가 변경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할 수 있다. 하방 리미트 고정판(530)이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용이하게 조절 또는 변경될 수 있으므로, 후크 모듈(300)의 하방 이동 가능 거리에 대한 리미트도 용이하게 조절 또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모듈(100)은, 본체 모듈(100)에 매달린 후크 모듈(300)의 급속 하강을 방지하며 수동 조작을 통해 중량물을 하역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18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모듈(100)은, 와이어 로프(200)가 감겨진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 로프(200)의 연장 길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드럼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모듈(100)은, 와이어 로프(200)가 감겨진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 로프(200)의 연장 길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드럼 유닛(150) 및 드럼 유닛(15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드럼 회전모터(1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180)은, 드럼 유닛(150)과 드럼 회전모터(15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180)은, 드럼 회전모터(152)의 모터샤프트(152a)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샤프트(152a)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하며 일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보스(185), 보스(185)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보스(185)와 상호 결합하여 동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조절 브레이크휠(188), 보스(185)의 외주연 일부를 감싸고, 보스(185)의 외주연 일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호 나사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브레이크휠(186), 중심 영역에 오일리스 베어링(1822)이 구비됨으로써 중심 영역이 제1 브레이크휠(186)의 회전에 대해 슬립하도록 구성되고, 외주연에 걸림턱(1821)이 형성되는 라쳇휠(18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동하며, 회동 각도에 따라 라쳇휠(182)에 형성된 걸림턱(1821)에 대한 걸림 여부가 결정되도록 구성되는 폴유닛(183) 및 휠 형상을 갖고, 제1 브레이크휠(186)과 라쳇휠(182) 사이에 구비되고, 브레이크 라이닝 패드를 통해 제1 브레이크휠(186)의 일면과 라쳇휠(182)의 일면에 동시에 밀착하도록 구성되는 제2 브레이크휠(18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고정된 상태의 제1 브레이크휠(186)에 대해 보스(185)가 회전하며 상대 이동함으로써 라쳇휠(182)과 조절 브레이크휠(188) 간 밀착력이 조절될 수 있다.
참고로, 드럼 회전모터(152)의 모터샤프트(152a)에서 일단부로 노출된 샤프트 영역에 수동핸들이 연결될 수 있다.
보스(185)는 모터샤프트(152a)의 일단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스(185)와 조절 브레이크휠(188) 상호간은 키에 의해 결합되어 동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브레이크휠(186)의 내주면과 보스(185)의 외주면 각각에는 상호 맞물리는 나사산이 마련되고, 모터샤프트(152a)가 회전되는 경우 보스(185)가 동반 회전되며 보스(185)는 제1 브레이크휠(186)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보스(185)의 이동과 함께 조절 브레이크휠(188)이 동반 이동되는바, 조절 브레이크휠(188)이 라쳇휠(182)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를 통해, 제2 브레이크휠(184), 라쳇휠(182) 및 조절 브레이크휠(188) 상호간의 접촉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다.
보스(185)는 모터샤프트(152a)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 커버함과 동시에 모터샤프트(152a)와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180)은, 회전에 의해 보스(185)의 외주연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며 조절 브레이크휠(188)의 이동 가능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락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보스(185) 및 조절 브레이크휠(188)이 라쳇휠(182)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다가 락 너트(189)에 의해 간섭되어 추가 이동이 제한되는 경우, 보스(185)와 나사 결합한 제1 브레이크휠(186)도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제1 브레이크휠(186)과 일체로 결합된 플랜지(187)도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랜지(187)와 결합하여 동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연결샤프트(181)도 함께 회전함으로써 드럼 유닛(15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 드럼 유닛(150)의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180)의 일측(도면상 좌측 단부)은 드럼 유닛(150)의 회전 구동을 위한 감속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쳇휠(182)은, 외주면에 일측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턱(1821)이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1 브레이크휠(186)과 체결되는 중앙의 홈 영역에 오일리스 베어링(1822)이 구비됨으로써 보스(185) 및 제1 브레이크휠(186)의 회전에 대해 슬립 가능하여 제1 브레이크휠(186) 및/또는 보스(185)의 회전에 영향받지 않고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쳇휠(182)의 양면 측(참고로, 도 7에서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브레이크 라이닝 패드가 구비되는 제2 브레이크휠(184)과 조절 브레이크휠(188)이 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쳇휠(182)은 제2 브레이크휠(184) 및 조절 브레이크휠(188)에 밀착 접면됨으로써 제2 브레이크휠(184) 및 조절 브레이크휠(188)의 회전에 대해 저항을 갖는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라쳇휠(182)의 걸림턱(1821)에 폴유닛(183)이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 라쳇휠(182)은 회전 고정될 수 있고, 라쳇휠(182)에 밀착 접면된 상태의 제2 브레이크휠(184) 및 조절 브레이크휠(188)은 회전 고정된 라쳇휠(182)에 의해 회전에 대해 회전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전동 브레이크(미도시)가 해체된 상태에서도, 라쳇휠(182)의 걸림턱(1821)에 폴유닛(183)이 걸리도록 수동 조작함으로써 조절 브레이크휠(188)과 함께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보스(185) 및 연결샤프트(181)의 급속한 회전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동 조작만으로 보스(185) 및 연결샤프트(181)의 급속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체 모듈(100)에 매달린 후크 모듈(300)의 낙하 및 급속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레이크휠(186)은, 보스(18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해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내주면에 상호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브레이크휠(186)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보스(185)가 회전할 시 보스(185)와 조절 브레이크휠(188)은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참고로, 도 7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 때에, 조절 브레이크휠(188)이 일측(즉,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라쳇휠(182)과의 밀착력이 강화될 수 있고, 또한 조절 브레이크휠(188)이 타측(즉,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라쳇휠(182)과의 밀착력이 약화될 수 있다.다.
따라서,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10)에 전력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라쳇휠(182)의 걸림턱(1821)에 폴유닛(183)이 걸리도록 폴유닛(183)과 연결되는 레버(1835)를 조작하고, 별도의 전동브레이크를 해체한 후, 드럼 회전모터(152)의 모터샤프트(152a) 일측에 핸들을 연결하고 핸들을 돌림으로써 보스(18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보스(185)의 회전에 의해 조절 브레이크휠(188)이 라쳇휠(182)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함으로써 조절 브레이크휠(188)과 라쳇휠(182)과의 밀착력이 다소 약화될 수 있고, 조절 브레이크휠(188)이 라쳇휠(182)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다가 락 너트(189)에 의해 간섭되어 추가 이동이 제한될 때까지 보스(185)를 회전시키고, 조절 브레이크휠(188)과 라쳇휠(182) 간 밀착력이 다소 약화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핸들을 돌려 조절 브레이크휠(188)과 라쳇휠(182) 간 슬립을 발생시킴으로써 강제적으로 보스(185)를 추가 회전시고, 제1 브레이크휠(186), 제2 브레이크휠(184), 플랜지(187) 및 연결샤프트(181)를 회전시키고 후크 모듈(300) 및 후크 모듈(300)에 매달린 중량물을 하측으로 천천히 하역시킬 수 있다.
이 때에, 조절 브레이크휠(188)과 라쳇휠(182) 간 밀착력이 다소 약화된 경우라도 제2 브레이크휠(184) 및 조절 브레이크휠(188)은 라쳇휠(182)에 대해 어느 정도 여전히 마찰을 일으키고 있으므로, 중량물을 매단 상태의 후크 모듈(300)의 급속 하강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브레이크휠(188)은, 브레이크 라이닝 패드와의 결합을 위한 패드결합용 홈(1881) 및 락 너트(189)와의 결합을 위한 락 너트 연결홈(1882)이 방사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 너트(189)는, 조절 브레이크휠(188)과 중심 일치 시 조절 브레이크휠(188)의 락 너트 연결홈(1882)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절 브레이크휠(188)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홈(1891)이 방사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브레이크휠(188) 및 락 너트(189)는, 라쳇휠(182), 제1 브레이크휠(186)과 마찬가지로 휠 형상을 갖고 보스(185)에 끼워질 수 있도록 중앙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절 브레이크휠(188)은, 보스(185) 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홈(1883)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홈(1883)을 통해 보스(185)와 연결될 수 있다.
락 너트(189)는, 보스(185)에 끼워져 연결되되, 보스(185)와 나사결합되어 보스(18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참고로, 도 7에서 좌측 또는 우측)소정 거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량물의 무게, 크기 등에 따라 락 너트(189)를 회전시켜 조절 브레이크휠(188)의 이동 거리의 한계를 조절한 후, 락 너트(189)의 체결홈(1891)과 조절 브레이크휠(188)의 락 너트 연결홈(1882)을 함께 연결하는 나사체결을 통해 락 너트(189)를 조절 브레이크휠(188)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중량물의 무게, 크기 등을 고려하여, 락 너트(189)를 소정 거리 이동시킴으로써 중량물을 매단 상태의 후크 모듈(300)의 급속 낙하 및 연결샤프트(181)의 급속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만큼 라쳇휠(182)에 대한 조절 브레이크휠(188)의 밀착력의 한계를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추후 전동 브레이크 해체 후 라쳇휠(182)을 회전 고정시키고 모터샤프트(152a)에 핸들을 연결하여 조절 브레이크휠(188)을 락 너트(189)에 의해 설정된 한계 거리까지 이동시키고 난 후 지속적으로 핸들을 돌려 조절 브레이크휠(188)과 라쳇휠(182) 간 슬립을 발생시킴으로써 중량물을 매단 상태의 후크 모듈(300)을 하방으로 천천히 이동시킬 수 있다.
추가로, 도 7, 도 8,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180)은, 레버핀(1836)이 삽입되어 승강할 수 있는 장방형의 핀홈(1832)이 형성되고, 폴유닛(183)의 일 영역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폴연결대(1831), 폴연결대(1831)와 체결된 상태의 레버핀(1836)이 소정 영역만큼 이동할 수 있는 핀이동홈이 형성되는 레버 케이스(1833), 레버 케이스(1833)의 핀이동홈(1834)에 체결되는 레버핀(1836)의 양측에 체결되는 레버(1835), 라쳇휠(182)을 수용하고, 폴유닛(183) 및 폴연결대(1831)의 회동 영역이 구비되는 브레이크 케이스(1811), 브레이크 케이스(1811)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결합하는 스프링고정부(1838) 및 레버핀(1836)을 통해 레버 케이스(1833)의 핀이동홈(1834)에 체결된 상태의 폴연결대(1831)의 일 영역과 스프링고정부(1838) 간 탄성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18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레버(1835)는, 레버핀(1836)에 체결되어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보다 구제적으로, 파지부(1835-a) 및 파지부(1835-a)와 레버핀(1836) 사이를 연결하는 핀연결부(1835-b)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이동홈(1834)은, 수평한 일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고 수평한 일 방향으로 연장된 일측에서 수직한 일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된 후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일측에서 다시 수평한 타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핀(1836)은, 폴연결대(1831)의 핀홈(1832) 및 레버 케이스(1833)의 핀이동홈(1834)에 함께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레버(1835) 조작에 의해 레버 케이스(1833)의 핀이동홈(1834)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폴연결대(1831)의 핀홈(18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1837)이 폴연결대(1831)를 스프링고정부(1838) 측 방향으로 탄성으로 잡아당기고 있으므로, 레버핀(1836)은 핀이동홈에서 폴유닛(183)이 걸림턱(1821)에 걸려있는 상태 및 폴유닛(183)이 걸림턱(1821)에 걸리지 않는 상태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는 위치에서 탄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추가로,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180)은, 제1 브레이크휠(186), 제2 브레이크휠(184), 라쳇휠(182), 조절 브레이크휠(188)에 대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브레이크 케이스(1811), 브레이크 케이스(1811)를 일측에서 커버하고 연결샤프트(181)가 회동할 수 있는 중앙홈이 형성되어 연결샤프트(181)를 위치고정시키는 플랜지 케이스(1812), 연결샤프트(181)와 플랜지 케이스(1812) 간 회전마찰력을 상쇄시키는 케이스 베어링(1813), 제1 브레이크휠(186)과 결합하여 제2 브레이크휠(186)을 일측에서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플랜지(1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모듈(100)의 피니언 회전모터(120)및 드럼 회전모터(152)의 작동 여부,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600)은, 별도로 구비되는 중량센서와 연동되어 중량센서가 센싱하는 후크 모듈(300)에 매달린 중량물의 중량에 관한 데이터 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값을 고려하여 피니언 회전모터(120) 및 드럼 회전모터(152)의 적정한 회전 속도 값을 제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600)은, 별도의 임시 전력저장장치가 구비되어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10)에 전력 공급이 끊긴 상태에서도 한시적으로 전력을 공급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에 의하면, 이동휠과 함께 레일에 랙-피니언 방식으로 결합하여 수평 이동함으로써 선박이 기울어지는 경우에 레일 상에서 미끄러지거나 또는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에 의하면, 후크 모듈의 상방 이동 또는 하방 이동의 한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환경, 중량물의 중량, 크기 등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에 의하면, 전력 공급이 되지 않아 호이스트 내지는 모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수동 조작으로 중량물을 안전하게 하역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 기술적 아이디어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다양한 실시예들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
20: I-빔 레일
21: 랙
22: 랙결합부
23: 레일돌출부
100: 본체 모듈
110: 피니언유닛
120: 피니언 회전모터
130: 이동휠 유닛
131: 이동휠베어링
140: 이동휠 회전지지축
150: 드럼 유닛
151: 로프가이드홈
152: 드럼 회전모터
152a: 모터샤프트
160: 하우징 유닛
170: 고정도르래
180: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
181: 연결샤프트
1811: 브레이크 케이스
1812: 플랜지 케이스
1813: 케이스 베어링
182: 라쳇휠
1821: 걸림턱
1822: 오일리스 베어링
183: 폴유닛
1831: 폴연결대
1832: 핀홈
1833: 레버 케이스
1834: 핀이동홈
1835: 레버
1836: 레버핀
1837: 스프링
1838: 스프링고정부
184: 제2 브레이크휠
185: 보스
186: 제1 브레이크휠
187: 플랜지
188: 조절 브레이크휠
1881: 패드결합용 홈
1882: 락 너트 연결홈
1883: 결합홈
189: 락 너트
1891: 체결홈
191: 제1 수평연결대
192: 제2 수평연결대
193: 수직결합지지대
194: 수평결합지지대
200: 와이어 로프
300: 후크 모듈
310: 시브 유닛
320: 시브하우징 유닛
330: 후크 유닛
400: 상방 이동 리미트 모듈
410: 연결회동 유닛
420: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
430: 상방 이동 센싱 유닛
440: 상방 리미트 고정판
500: 하방 이동 리미트 모듈
510: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
520: 하방 이동 센싱 유닛
530: 하방 리미트 고정판
600: 제어 모듈

Claims (5)

  1.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로서,
    엔진룸에 설치되는 I-빔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본체 모듈; 상기 본체 모듈의 일부에 감겨지는 와이어 로프; 상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본체 모듈에 매달리도록 구성되는 후크 모듈; 상기 후크 모듈의 상방 이동을 제한시키도록 구성되는 상방 이동 리미트 모듈; 및 상기 후크 모듈의 하방 이동을 제한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방 이동 리미트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모듈은,
    상기 본체 모듈에 매달린 상기 후크 모듈의 급속 하강을 방지하며 수동 조작을 통해 중량물을 하역시키도록 구성되는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 피니언 기어 형상을 갖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I-빔 레일에 설치되는 랙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피니언 유닛; 상기 피니언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유닛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피니언 회전모터; 휠 형상을 갖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I-빔 레일의 일면을 따라 구르도록 구성되는 이동휠 유닛; 상기 와이어 로프가 감겨진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 로프의 연장 길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드럼 유닛; 및 상기 드럼 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드럼 회전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 유닛이 상기 I-빔 레일에 설치되는 랙과 맞물리며 회전함으로써 상기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이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가 상기 I-빔 레일 상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방 이동 리미트 모듈은,
    상기 본체 모듈의 일부 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감김에 의해 상방 이동하는 상기 후크 모듈과 충돌함으로써 상측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연결회동 유닛; 상측으로 회동하는 상기 연결회동 유닛과 충돌함으로써 상기 연결회동 유닛의 회동 축 방향과 수직한 축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 상기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의 회동을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상방 이동 센싱 유닛; 및 상기 상방 이동 센싱 유닛과 결합하고, 상기 본체 모듈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하 방향으로 고정 위치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방 리미트 고정판
    을 포함하고,
    상기 하방 이동 리미트 모듈은,
    상기 본체 모듈의 일부 영역에서 풀리면서 하방 이동하는 와이어 로프와 충돌함으로써 일측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 상기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의 회동을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하방 이동 센싱 유닛; 및 상기 하방 이동 센싱 유닛과 결합하고, 상기 본체 모듈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좌우 방향으로 고정 위치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방 리미트 고정판
    을 포함하고,
    상기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드럼 유닛과 상기 드럼 회전모터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드럼 회전모터의 모터샤프트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하며 일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보스; 상기 보스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보스와 상호 결합하여 동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조절 브레이크휠; 상기 보스의 외주연 일부를 감싸고, 상기 보스의 외주연 일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호 나사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브레이크휠; 중심 영역에 오일리스 베어링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중심 영역이 상기 제1 브레이크휠의 회전에 대해 슬립하도록 구성되고,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라쳇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동하며,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라쳇휠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에 대한 걸림 여부가 결정되도록 구성되는 폴유닛; 휠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브레이크휠과 상기 라쳇휠 사이에 구비되고, 브레이크 라이닝 패드를 통해 상기 제1 브레이크휠의 일면과 상기 라쳇휠의 일면에 동시에 밀착하도록 구성되는 제2 브레이크휠; 및 회전에 의해 상기 보스의 외주연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며 상기 조절 브레이크휠의 이동 가능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락 너트
    를 포함하고,
    위치 고정된 상태의 상기 제1 브레이크휠에 대해 상기 보스가 회전하며 상대 이동함으로써 상기 라쳇휠과 상기 조절 브레이크휠 간 밀착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 모듈에는, 상기 와이어 로프가 감기는 상기 드럼 유닛의 전방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연결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회동 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제1 수평연결대에 수직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방 이동하는 상기 후크 모듈에 충돌하도록 상기 후크 모듈의 상방 연장선상 중 일 영역에 위치하고, 상방 이동하는 상기 후크 모듈의 운동력을 전달받도록 플레이트 형상의 평평한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회동 유닛이 상기 후크 모듈과의 충돌로 인해 상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과 충돌함으로써 상기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이 소정 각도로 회동하고, 상기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이 회동하게 되면 상기 상방 이동 센싱 유닛이 상기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의 회동을 감지하고, 상기 본체 모듈에 감지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드럼 회전모터를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 모듈은, 상기 드럼 유닛의 전방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결합지지대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상방 리미트 회동 유닛 및 상방 이동 센싱 유닛이 장착되는 상기 상방 리미트 고정판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수직결합지지대에서 상하 방향으로 고정 위치가 변경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후크 모듈의 상방 이동 가능 거리에 대한 리미트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풀리는 위치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이 위치하는 지점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 로프가 상기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과 접촉하며 상기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을 일측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하방 이동 센싱 유닛이 상기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의 회동을 감지하고 상기 본체 모듈에 감지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드럼 회전모터를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 모듈에는, 상기 드럼 유닛의 전방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평연결대; 및 상기 제2 수평연결대에 결합하는 수평결합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하방 리미트 회동 유닛 및 상기 하방 이동 센싱 유닛이 장착되는 상기 하방 리미트 고정판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수평결합지지대에서 좌우 방향으로 고정 위치가 변경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하방 리미트 고정판이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후크 모듈의 하방 이동 가능 거리에 대한 리미트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메커니컬 브레이크 유닛은,
    레버핀이 삽입되어 승강하는 장방형의 핀홈이 형성되고 상기 폴유닛의 일 영역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폴연결대; 상기 폴연결대와 체결된 상태의 상기 레버핀이 소정 영역만큼 이동하는 핀이동홈이 형성되는 레버 케이스; 상기 레버 케이스의 상기 핀이동홈에 체결되는 상기 레버핀의 양측에 체결되는 레버; 상기 라쳇휠을 수용하고, 상기 폴유닛 및 상기 폴연결대의 회동 영역이 구비되는 브레이크 케이스; 상기 브레이크 케이스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결합하는 스프링고정부; 및 상기 레버핀을 통해 상기 레버 케이스의 상기 핀이동홈에 체결된 상태의 상기 폴연결대의 일 영역과 상기 스프링고정부 간 탄성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와 상기 레버핀 사이를 연결하는 핀연결부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레버핀에 체결되어 회동하고,
    상기 핀이동홈은, 수평한 일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고 수평한 일 방향으로 연장된 일측에서 수직한 일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된 후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일측에서 다시 수평한 타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레버핀은, 상기 폴연결대의 상기 핀홈 및 상기 레버 케이스의 상기 핀이동홈에 함께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버 케이스의 상기 핀이동홈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폴연결대의 상기 핀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폴연결대를 상기 스프링고정부 측 방향으로 탄성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레버핀이 상기 핀이동홈에서 상기 폴유닛이 상기 걸림턱에 걸려있는 상태 및 상기 폴유닛이 상기 걸림턱에 걸리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는 위치에서 탄성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는, 상기 본체 모듈의 상기 피니언 회전모터 및 상기 드럼 회전모터의 작동 여부,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별도로 구비되는 중량센서와 연동되어 상기 중량센서가 센싱하는 상기 후크 모듈에 매달린 중량물의 중량에 관한 데이터 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값을 고려하여 상기 피니언 회전모터 및 상기 드럼 회전모터의 적정 회전 속도 값을 제안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73576A 2023-06-08 2023-06-08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 KR102577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576A KR102577629B1 (ko) 2023-06-08 2023-06-08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576A KR102577629B1 (ko) 2023-06-08 2023-06-08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629B1 true KR102577629B1 (ko) 2023-09-13

Family

ID=8802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3576A KR102577629B1 (ko) 2023-06-08 2023-06-08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42343A (zh) * 2023-10-30 2023-12-01 河南省华中起重机集团有限公司 一种欧式起重机的电动葫芦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4886A (ja) * 1998-05-01 1999-11-16 Kito Corp チェーンブロックの過巻検出装置
KR200466290Y1 (ko) * 2011-11-07 2013-04-08 주식회사 두산이노텍 호이스트용 제동장치
KR20150098331A (ko) 2014-02-20 2015-08-28 전정선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
KR20180037548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오리엔탈정공 기관실 크레인
KR101892417B1 (ko) * 2018-03-13 2018-08-27 김종열 무대기계용 다중리미트 스위치 장치
JP2019142640A (ja) * 2018-02-20 2019-08-29 Ihi運搬機械株式会社 門型クレーン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4886A (ja) * 1998-05-01 1999-11-16 Kito Corp チェーンブロックの過巻検出装置
KR200466290Y1 (ko) * 2011-11-07 2013-04-08 주식회사 두산이노텍 호이스트용 제동장치
KR20150098331A (ko) 2014-02-20 2015-08-28 전정선 선박 엔진룸용 호이스트장치
KR20180037548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오리엔탈정공 기관실 크레인
JP2019142640A (ja) * 2018-02-20 2019-08-29 Ihi運搬機械株式会社 門型クレーン
KR101892417B1 (ko) * 2018-03-13 2018-08-27 김종열 무대기계용 다중리미트 스위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42343A (zh) * 2023-10-30 2023-12-01 河南省华中起重机集团有限公司 一种欧式起重机的电动葫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3079B2 (ja) 電気ホイスト
US7533869B2 (en) Ratcheted lift mechanism
US11853037B2 (en) Electric hoisting machine and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227322B2 (en) Hoist with detachable power and control unit
KR102577629B1 (ko)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
US8418814B1 (en) Lifting system
US20110127477A1 (en) Hoist systems
US73675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ed storage of articles
US7527242B2 (en) Ceiling-mounted elevating storage platform
US9463965B2 (en) Pulling tool
JP4397431B1 (ja) 足場作業用リフト
KR100772203B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장치
WO2021141556A1 (en) Innovation in facade access systems
US9759374B1 (en) Gravity descending—motorized ascending load carrying platform
KR100879314B1 (ko) 탈출용 윈치
JP3936381B1 (ja) 受動体係合式吊り具
KR101359556B1 (ko) 툴박스가 구비된 호이스트
JPS6312152Y2 (ko)
KR102442501B1 (ko) 고정수단 장치를 구비한 핸드 크레인
JP3062393U (ja) 荷材吊下装置
US11401137B2 (en) Overhead storage device
KR20210084190A (ko) 안전 로프 설치를 위한 권선기
JP2002096991A (ja) 荷役用昇降装置
CN109641714A (zh) 机械制动中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