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001B1 - 호이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001B1
KR101903001B1 KR1020170111382A KR20170111382A KR101903001B1 KR 101903001 B1 KR101903001 B1 KR 101903001B1 KR 1020170111382 A KR1020170111382 A KR 1020170111382A KR 20170111382 A KR20170111382 A KR 20170111382A KR 101903001 B1 KR101903001 B1 KR 101903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frame
fixed
wire rope
sh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부원
하영열
고두열
양재민
유영준
조기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66D3/06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with more than one pulle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66D3/043Block and tackle system with variable number of c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호이스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팅 장치는 크라운 프레임과 상기 크라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고정 도르래를 포함하는 크라운 블록; 트레블링 프레임과 상기 트레블링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움직 도르래를 포함하고, 중량물이 지지되도록 상기 크라운 블록 아래에 배치되는 트레블링 블록; 상기 복수의 고정 도르래와 상기 복수의 움직 도르래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상기 크라운 블록과 상기 트레블링 블록 사이에서 교번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트레블링 블록을 상기 크라운 블록에 대해 지지하는 와이어 로프;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일단부를 감는 제 1 윈치; 및 상기 와이어 로프의 타단부를 감는 제 2 윈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움직 도르래 중 일부는 상기 와이어 로프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트레블링 프레임에서 분리 가능한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이고, 나머지는 상기 와이어 로프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트레블링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움직 도르래이며,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는 상기 와이어 로프 중 상기 고정 움직 도르래를 경유하는 일 영역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와 연결된다.

Description

호이스팅 장치{Hoi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호이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 플랜트에서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해 호이스팅 장치가 사용된다. 호이스팅 장치는 윈치로 와이어 로프를 감아 중량물을 들어올린다. 이때, 와이어 로프의 연장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고정 도르래와 움직 도르래가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호이스팅 장치는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중량과 들어올리는 속도는 반비례한다. 즉, 호이스팅 장치는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중량이 클수록 들어올리는 속도가 느려지고,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중량이 작을수록 들어올리는 속도가 빨라진다.
그런데 호이스팅 장치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속도를 변경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통상적으로 윈치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속도를 변경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변속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호이스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크라운 프레임과 상기 크라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고정 도르래를 포함하는 크라운 블록; 트레블링 프레임과 상기 트레블링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움직 도르래를 포함하고, 중량물이 지지되도록 상기 크라운 블록 아래에 배치되는 트레블링 블록; 상기 복수의 고정 도르래와 상기 복수의 움직 도르래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상기 크라운 블록과 상기 트레블링 블록 사이에서 교번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트레블링 블록을 상기 크라운 블록에 대해 지지하는 와이어 로프;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일단부를 감는 제 1 윈치; 및 상기 와이어 로프의 타단부를 감는 제 2 윈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움직 도르래 중 일부는 상기 와이어 로프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트레블링 프레임에서 분리 가능한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이고, 나머지는 상기 와이어 로프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트레블링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움직 도르래이며,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는 상기 와이어 로프 중 상기 고정 움직 도르래를 경유하는 일 영역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와 연결되는, 호이스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는, 상기 트레블링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가 상기 트레블링 프레임에서 분리되고, 상기 상기 제 1 윈치 및 상기 제 2 윈치가 동일한 감김량을 갖도록 상기 와이어 로프를 감으면, 상기 복수의 고정 도르래 중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에 대응하여 상기 크라운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중앙 고정 도르래와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는 회전 정지될 수 있다.
상기 크라운 블록은, 상기 크라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라운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 도르래 중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에 대응하여 상기 크라운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중앙 고정 도르래는 상기 크라운 샤프트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크라운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크라운 샤프트에는 상기 크라운 샤프트에 대한 상기 복수의 중앙 고정 도르래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 제한 수단이 작동하면 상기 크라운 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중앙 고정 도르래는 함께 회전 가능하다.
상기 회전 제한 수단은, 상기 크라운 샤프트의 내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돌출 부재; 및 상기 돌출 부재를 상기 크라운 샤프트에 대해 돌출 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가 상기 트레블링 프레임에서 분리되고, 상기 회전 제한 수단이 작동하고, 상기 제 1 윈치 및 상기 제 2 윈치가 상기 와이어 로프를 감으면,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의 상하 방향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움직 도르래 중 일부가 트레블링 프레임에서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속도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팅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크라운 블록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트레블링 블록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호이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레블링 프레임에서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트레블링 프레임과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호이스팅 장치와 등가 형태의 호이스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JJ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크라운 샤프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크라운 블록을 포함하는 호이스팅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팅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크라운 블록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트레블링 블록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호이스팅 장치(100)는 크라운 블록(110)과, 트레블링 블록(120)과, 와이어 로프(130)와, 제 1 윈치(140)와, 제 2 윈치(150)를 포함한다.
호이스팅 장치(100)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서 대상물(M)(ex. 라이저(riser) 같은 같은 시추 장비)을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호이스팅 장치(100)는 육상에서 대상물(M)을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호이스팅 장치(100)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설치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크라운 블록(110)은 도 1 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지지 구조물(10)에 의해 공중에 지지된다. 지지 구조물(10)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갑판(20) 또는 별도의 지지면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구조물(10)은 트러스 구조를 가지는 타워 형상을 가질 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크라운 블록(110)은 크라운 프레임(111)과 복수의 고정 도르래(113, 113a)를 포함한다.
크라운 프레임(111)은 지지 구조물(10)의 상부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크라운 프레임(111)에는 복수의 고정 도르래(113, 113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복수의 고정 도르래(113, 113a)는 도 2와 같이 동일한 축선(A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고정 도르래(113, 113a)는 크라운 프레임(111)에 고정 지지된 지지 브라켓(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복수의 고정 도르래(113, 113a)는 지지 브라켓(112)을 매개로 크라운 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크라운 프레임(111) 및 지지 브라켓(112)은 도 1 및 도 2와 같은 형상 외에 복수의 고정 도르래(113, 113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도르래(113)의 크기 및 형상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트레블링 블록(120)은 크라운 블록(110) 아래에 배치된다. 트레블링 블록(120)은 대상물(M)을 지지한다. 이때 트레블링 블록(120)의 하부에는 대상물(M)과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형성되거나 다양한 장치가 부착될 수 있다.
트레블링 블록(120)은 트레블링 프레임(121)과 복수의 움직 도르래(123, 123a)를 포함한다.
트레블링 프레임(121)에는 복수의 움직 도르래(123, 123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복수의 움직 도르래(123, 123a)는 도 3과 같이 동일한 축선(A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움직 도르래(123, 123a)는 트레블링 프레임(121)에 고정 지지된 지지 브라켓(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복수의 움직 도르래(123, 123a)는 지지 브라켓(122, 122a)을 매개로 트레블링 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트레블링 프레임(121) 및 지지 브라켓(122, 122a)은 도 1 및 도 3과 같은 형상 외에 복수의 움직 도르래(123, 123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움직 도르래(123)의 크기 및 형상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와이어 로프(130)는 크라운 블록(110)의 모든 고정 도르래(113)와 트레블링 블록(120)의 모든 움직 도르래(123)를 경유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와이어 로프(130)는 크라운 블록(110)과 트레블링 블록(120) 사이를 교번적으로 왕복하고, 모든 고정 도르래(113)와 모든 움직 도르래(123)를 부분적으로 감싸며 지지하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로프(130)는 트레블링 블록(120)을 크라운 블록(110)에 대해 지지한다.
제 1 윈치(140)는 와이어 로프(130)의 일단부를 감는다. 제 1 윈치(140)는 와이어 로프(130)를 감기 위한 제 1 드럼(미도시)을 가진다. 제 1 윈치(140)는 도 1과 같이 갑판(20)에 지지될 수 있다. 또는 제 1 윈치(14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 구조물(10)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제 2 윈치(150)는 와이어 로프(130)의 타단부를 감는다. 제 2 윈치(150)는 와이어 로프(130)를 감기 위한 제 2 드럼(미도시)을 가진다. 제 2 윈치(150)는 도 1과 같이 갑판(20)에 지지될 수 있다. 또는 제 2 윈치(15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 구조물(10)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제 1 윈치(140)와 제 2 윈치(150)가 와이어 로프(13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감으면 트레블링 블록(120)이 크라운 블록(110) 측으로 상승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호이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레블링 프레임에서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움직 도르래(123, 123a) 중 일부는 와이어 로프(130)에 지지된 상태로 트레블링 프레임(121)에서 분리 가능한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이고, 나머지는 와이어 로프(130)에 지지된 상태로 트레블링 프레임(121)에 고정된 고정 움직 도르래(123)이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는 도 1, 도 3 및 도 4와 같이 트레블링 프레임(121)의 중앙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는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팅 장치(100)는 도 1과 같이 모든 움직 도르래(123, 123a)가 트레블링 프레임(121)에 결합된 상태로 작동하거나 도 4와 같이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가 트레블링 프레임(121)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다.
특히, 호이스팅 장치(100)가 도 4와 같이 작동하는 경우 도 1과 같이 작동하는 경우에 비해 고속으로 중량물(M)을 들어올릴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는 가이드 부재(125)와 연결된다.
가이드 부재(125)는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122a)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부재(125)는 지지 브라켓(122a)을 매개로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와 연결된다.
가이드 부재(125)는 와이어 로프(130) 중 고정 움직 도르래(123)를 경유하는 일 영역(130a, 130b, 130c, 130d)이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부재(125)에는 고정 움직 도르래(123)를 경유하는 일 영역(130a, 130b, 130c, 130d) 이 관통하는 관통구(125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다른 관점에서 서술하면, 가이드 부재(125)는 와이어 로프(130) 중 고정 움직 도르래(123)를 경유하는 일 영역(130a, 130b, 130c, 130d)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가이드 부재(125)는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가 도 1의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분리되는 과정 또는 도 4의 상태에서 도 1과 같이 고정되는 과정에서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도 5는 도 3의 트레블링 프레임과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 브라켓(122a)은 트레블링 프레임(1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 브라켓(122a)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1221)이 형성되고, 트레블링 프레임(121)의 상면에는 결합홈(1221)에 삽입되는 결합부(1211)가 형성된다. 결합부(1211)에는 측 방향으로 출몰하는 출몰 부재(1213)가 형성되고, 결합홈(1221)의 내측벽에는 출몰 부재(1213)가 삽입되는 삽입홈(1223)이 형성된다.
이 경우, 결합부(1211)가 결합홈(1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출몰 부재(1213)가 결합부(1211)에서 돌출되어 삽입홈(1223)에 삽입되면 지지 브라켓(122a)은 트레블링 프레임(12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출몰 부재(1213)가 결합부(1211) 내측으로 물러나 삽입홈(1223)에서 나오면 지지 브라켓(122a)은 트레블링 프레임(12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출몰 부재(1213)의 출몰 동작은 별도의 구동부(ex.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팅 장치(100)는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가 트레블링 프레임(121)에서 분리되고, 제 1 윈치(140) 및 제 2 윈치(150)가 동일한 감김량을 갖도록 와이어 로프(130)를 감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고정 도르래(113, 113a) 중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에 대응하여 크라운 프레임(111)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중앙 고정 도르래(113a)와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는 회전 정지된다.
달리 표현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팅 장치(100)는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가 트레블링 프레임(121)에서 분리되면 중앙 고정 도르래(113a)와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를 중심으로 대칭 구조를 갖게 된다.
이 경우, 중앙 고정 도르래(113a)와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는 도 6과 같이 하나의 등가 고정 도르래(118)로 치환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호이스팅 장치와 등가 형태의 호이스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 1 윈치(140) 및 제 2 윈치(150)가 동일한 감김량을 갖도록 와이어 로프(130)를 감으면, 도 4의 중앙 고정 도르래(113a)와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의 조합 또는 도 6의 등가 고정 도르래(118)은 회전하지 않는다. 이 경우, 중앙 고정 도르래(113a)와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의 조합은 소위 이퀄라이저(equalizer)로 기능한다.
위와 같이 호이스팅 장치(100)가 작동하는 경우, 중앙 고정 도르래(113a)와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의 조합은 회전하지 않아 호이스팅 장치의 효율이 향상되고, 수명이 향상된다.
나아가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가 트레블링 프레임(121)에서 분리됨으로써 트레블링 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움직 도르래(123)의 개수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가 트레블링 프레임(121)에서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고속으로 중량물(M)을 들어올릴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JJ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크라운 샤프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블록(110')은 크라운 프레임(111)과, 복수의 고정 도르래(113, 113a)와 크라운 샤프트(115)를 포함한다.
크라운 프레임(111)은 크라운 샤프트(115)와 복수의 고정 도르래(113, 113a)를 지지한다. 크라운 샤프트(115)는 크라운 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복수의 고정 도르래(113, 113a) 중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에 대응하여 크라운 프레임(111)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중앙 고정 도르래(113a)는 크라운 샤프트(1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각 중앙 고정 도르래(113a)에는 크라운 샤프트(115)가 관통하는 관통홀(1131)이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중앙 고정 도르래(113a)는 도 7과 같이 동일한 축선(A1) 상에 배치된다.
크라운 샤프트(115)에는 각 중앙 고정 도르래(113a)가 크라운 샤프트(115)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부재(116)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중앙 고정 도르래(113a)가 크라운 샤프트(115)에서 회전할 때 상호 간섭되지 않는다.
크라운 샤프트(115)에는 크라운 샤프트(115)에 대한 각 중앙 고정 도르래(113a)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수단(117)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회전 제한 수단(117)은 돌출 부재(1171)와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부재(1171)는 크라운 샤프트(115)의 내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다. 구동부는 돌출 부재(1171)를 크라운 샤프트(115)에 대해 돌출시키는 구동부를 제공한다. 구동부는 유압 또는 공압을 돌출 부재(1171)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돌출 부재(1171)를 돌출시킨다. 이러한 회전 제한 수단(117)은 일종의 유압척 또는 공압척 형태를 가진다.
돌출 부재(1171)가 크라운 샤프트(115)에서 돌출되어 중앙 고정 도르래(113a)의 관통홀(1131) 내측면을 압박하면 크라운 샤프트(115)에 대한 중앙 고정 도르래(113a)의 회전이 제한된다.
다른 예로, 유압척 또는 공압척 형태가 아닌 다양한 형태의 회전 제한 수단이 제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전 제한 수단(117)이 작동하여 크라운 샤프트(115)에 대한 복수의 중앙 고정 도르래(113a)의 회전이 제한되면, 크라운 샤프트(115)와 복수의 중앙 고정 도르래(113a)는 함께 회전 가능하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크라운 블록을 포함하는 호이스팅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0에 도시된 크라운 블록은 도 7에 도시된 크라운 블록과 등가 형태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블록(110')을 포함하는 호이스팅 장치(100')의 작동례를 설명한다.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가 트레블링 프레임(121)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회전 제한 수단(117)이 작동하여 크라운 샤프트(115)에 대한 복수의 중앙 고정 도르래(113a)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때, 복수의 중앙 고정 도르래(113a)와 크라운 샤프트(115)는 함께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 1 윈치(140) 및 제 2 윈치(150)가 작동하여 와이어 로프(130)를 감으면, 모든 중앙 고정 도르래(113a)가 동일한 회전량으로 회전한다. 이때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의 상하 방향 위치가 고정된다. 달리 표현하면, 중량물(M)이 놓였던 갑판(20) 또는 별도의 지지면에 대한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더욱이 제 1 윈치(140) 및 제 2 윈치(150)의 감김량에 무관하게 모든 중앙 고정 도르래(113a)가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 의 상하 방향 위치가 고정된다
위와 같이 호이스팅 장치(100')가 작동하는 경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 의 상하 방향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중량물(M)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트레블링 프레임(121)에서 분리된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123a)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 없어 호이스팅 장치(100')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100' : 호이스팅 장치
110, 110 : 크라운 블록
111 : 크라운 프레임
113 : 고정 도르래
113a : 중앙 고정 도르래
115 : 크라운 샤프트
116 : 제한 부재
117 : 회전 제한 부재
120 : 트레블링 블록
121 : 트레블링 프레임
123 : 움직 도르래
123a :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
125 : 가이드 부재
130 : 와이어 로프
140 : 제 1 윈치
150 : 제 2 윈치

Claims (6)

  1. 크라운 프레임과 상기 크라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고정 도르래를 포함하는 크라운 블록;
    트레블링 프레임과 상기 트레블링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움직 도르래를 포함하고, 중량물이 지지되도록 상기 크라운 블록 아래에 배치되는 트레블링 블록;
    상기 복수의 고정 도르래와 상기 복수의 움직 도르래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상기 크라운 블록과 상기 트레블링 블록 사이에서 교번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트레블링 블록을 상기 크라운 블록에 대해 지지하는 와이어 로프;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일단부를 감는 제 1 윈치; 및
    상기 와이어 로프의 타단부를 감는 제 2 윈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움직 도르래 중 일부는 상기 와이어 로프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트레블링 프레임에서 분리 가능한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이고, 나머지는 상기 와이어 로프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트레블링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움직 도르래이며,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는 상기 와이어 로프 중 상기 고정 움직 도르래를 경유하는 일 영역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와 연결되는, 호이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는,
    상기 트레블링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호이스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가 상기 트레블링 프레임에서 분리되고, 상기 상기 제 1 윈치 및 상기 제 2 윈치가 동일한 감김량을 갖도록 상기 와이어 로프를 감으면,
    상기 복수의 고정 도르래 중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에 대응하여 상기 크라운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중앙 고정 도르래와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는 회전 정지되는, 호이스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블록은,
    상기 크라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라운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 도르래 중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에 대응하여 상기 크라운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중앙 고정 도르래는 상기 크라운 샤프트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크라운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크라운 샤프트에는 상기 크라운 샤프트에 대한 상기 복수의 중앙 고정 도르래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 제한 수단이 작동하면 상기 크라운 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중앙 고정 도르래는 함께 회전 가능한, 호이스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한 수단은,
    상기 크라운 샤프트의 내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돌출 부재; 및
    상기 돌출 부재를 상기 크라운 샤프트에 대해 돌출 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호이스팅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가 상기 트레블링 프레임에서 분리되고,
    상기 회전 제한 수단이 작동하고, 상기 제 1 윈치 및 상기 제 2 윈치가 상기 와이어 로프를 감으면,
    상기 분리 가능 움직 도르래의 상하 방향 위치가 고정되는, 호이스팅 장치.
KR1020170111382A 2017-08-31 2017-08-31 호이스팅 장치 KR101903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382A KR101903001B1 (ko) 2017-08-31 2017-08-31 호이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382A KR101903001B1 (ko) 2017-08-31 2017-08-31 호이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001B1 true KR101903001B1 (ko) 2018-10-01

Family

ID=63877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382A KR101903001B1 (ko) 2017-08-31 2017-08-31 호이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0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4204A (zh) * 2018-11-07 2019-03-29 广州中桥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天然气管道铺设用起吊设备
CN111765223A (zh) * 2020-06-30 2020-10-13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轻质滑轮绳系传动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9131A1 (en) 2013-06-25 2014-12-31 National Oilwell Varco Norway As System for hoisting a load on an offshore rig
KR101525916B1 (ko) 2014-08-20 2015-06-09 (주)정풍개발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9131A1 (en) 2013-06-25 2014-12-31 National Oilwell Varco Norway As System for hoisting a load on an offshore rig
KR101525916B1 (ko) 2014-08-20 2015-06-09 (주)정풍개발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4204A (zh) * 2018-11-07 2019-03-29 广州中桥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天然气管道铺设用起吊设备
CN111765223A (zh) * 2020-06-30 2020-10-13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轻质滑轮绳系传动系统
CN111765223B (zh) * 2020-06-30 2023-08-15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轻质滑轮绳系传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366B1 (ko) 크레인선
EP2016015B1 (en) Method for installing the hoisting roping of an elevator
FI129025B (fi) Köysinostimen nostojärjestely
KR101903001B1 (ko) 호이스팅 장치
JP2016023066A (ja) 移送ワイヤの繰り出し装置及び繰り出し方法
KR10101682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14931B1 (ko) 호이스팅 장치
KR10097568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54609B1 (ko) 호이스팅 장치
JP201310776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694507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211733560U (zh) 一种收放机
KR101722022B1 (ko) 권상장치
JP3135281U (ja) 漁網用揚網装置
KR101873468B1 (ko) 호이스팅 장치
JP6348014B2 (ja) 掘削機
CN212893365U (zh) 一种方便更换提升钢丝绳的多绳提升机
AU2018335456A1 (en) Hoisting arrangement of a hoist of a crane
JP438915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220055347A (ko)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용 도르래 구조체
JPH06166492A (ja) ホイスト装置
KR101661905B1 (ko) 크레인 장치
KR20220055344A (ko)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용 도르래 구조체
JPH06199492A (ja) 牽引ドラム型ウインチの索緊張装置
KR20220055338A (ko)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용 중량물 리프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