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916B1 -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 - Google Patents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916B1
KR101525916B1 KR1020140108632A KR20140108632A KR101525916B1 KR 101525916 B1 KR101525916 B1 KR 101525916B1 KR 1020140108632 A KR1020140108632 A KR 1020140108632A KR 20140108632 A KR20140108632 A KR 20140108632A KR 101525916 B1 KR101525916 B1 KR 101525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ire
fixed
fastened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일
Original Assignee
(주)정풍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풍개발 filed Critical (주)정풍개발
Priority to KR102014010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6Pulleys, sheaves, pulley blocks or thei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활차에 손 끼임 방지부를 설치 고정함으로써, 작업자의 손이 끼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는, 몸체; 몸체 내부에 축 고정되고, 외주면에 와이어가 밀착되며, 와이어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휠; 몸체의 외측면에 체결 고정되고, 와이어가 삽입되어 와이어의 주변을 감싸도록 하는 손 끼임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Equipped with a safety device pulley}
본 발명은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활차에 손 끼임 방지부를 설치 고정함으로써, 작업자의 손이 끼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차(pulley)는 바퀴에 와이어 등을 걸어 힘의 방향을 바꾸거나 크기를 줄이는 장치로, 컨테이너나 중량물을 견인하여 원하는 위치에 이송시키는 대형 크레인이나 자동차를 입,출고시키는 기계식 주차설비, 또는 사람을 원하는 층이나 높이까지 운송시키는 엘리베이터 등 여러 산업 전반에 걸쳐 활차(pulley)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활차(pulley)는 윈치 또는 크레인에 구비된 원통형 드럼에 와이어를 감아 중량물이 높은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대형 작업장의 경우 윈치 또는 크레인을 작동시키는 작업자와 활차에 감겨있는 와이어에 고정된 중량물의 안전을 감시하는 작업자들이 서로 무선통신하며 작업을 하면서 와이어가 꼬이지 않도록 작업자가 와이어를 잡으면서 와이어가 꼬이지 않고 감기고 있는지 확인해야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활차(pulley)에는 안정장치가 구비되어 있지않아 작업자가 와이어를 잡은 상태에서 크레인을 조작하는 작업자와 무선통신으로 중량물이 이동해야할 위치를 설명하는 도중에 작업자끼리 작업신호를 명확하게 전달하지 못해 와이어를 잡고 있는 작업자의 손이 활차(pulley)에 끼어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3145호 (2009년04월06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116429호 (2012년02월07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974476호 (2010년08월02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203664호 (2012년11월15일 등록)
본 발명은 활차에 손 끼임 방지부를 설치 고정함으로써, 작업자의 손이 끼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활차에 연결된 와이어가 움직이는 각도에 따라 손 끼임 방지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는, 몸체; 몸체 내부에 축 고정되고, 외주면에 와이어가 밀착되며, 와이어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휠; 몸체의 외측면에 체결 고정되고, 와이어가 삽입되어 와이어의 주변을 감싸도록 하는 손 끼임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손 끼임 방지부는, 하단이 몸체의 외측면에 구비된 볼트에 끼움 고정되고, 볼트에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너트로 체결 고정되는 샤프트; 및 샤프트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 고정되고, 와이어의 주변을 감싸도록 하는 고정대;를 포함하되, 고정대는 와이어가 벌어지는 각도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고정대는, 샤프트와 축 고정되어 회전하는 수직판; 수직판의 상단과 연결되고, 수직판과 직교되게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판; 수평판의 외측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와이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삽입부; 및 삽입부 양측면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와이어가 몸체에서 이탈되거나 꼬이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삽입부의 양측면에 각각 축 고정되고,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롤러; 및 롤러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와이어와 수평판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쿠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는, "ㄱ"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일단에는 경첩으로 체결되어 몸체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되, 연장부는, 몸체 내부에 축 고정된 휠의 개수에 따라 다수개가 연결된 와이어의 전체를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샤프트는, 몸체에 형성된 볼트에 체결 고정되는 제1 샤프트; 제1 샤프트와 이격되게 위치하고, 고정대를 지지하는 제2 샤프트;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 사이에 체결 고정되고, 제2 샤프트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 및 제2 샤프트 측면에 체결 고정되고,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샤프트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재는, 제2 샤프트의 측면에 설치 고정되는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고, 제2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 및 제1 샤프트의 측면에 설치 고정되고, 이동부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제2 샤프트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는 손 끼임 방지부를 설치 고정함으로써, 작업자의 손이 끼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는 와이어가 움직이는 각도에 따라 손 끼임 방지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의 결합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의 사용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의 손 끼임 방지부의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의 도 4의 A-A선 단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의 고정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의 사용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의 샤프트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의 결합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의 사용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의 손 끼임 방지부의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의 도 4의 A-A선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의 고정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의 사용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의 샤프트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1)는 윈치 또는 중장비인 크레인 등에 설치되어 무거운 대상물을 이동 또는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1)는 몸체(10)와, 몸체(10) 내부에 축 고정되고 외주면에 와이어(30)가 밀착되며 와이어(3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휠(20)과, 몸체(1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와이어(30)가 삽입되어 와이어(30)의 주변을 감싸도록 하는 손 끼임 방지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활차(1)는 대상물을 걸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단에 훅(hook)가 설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활차(1)의 구성 및 원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손 끼임 방지부(100)는 몸체(10)의 넓은 판 외측면에 체결 고정되고,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대형 공사장 등에 사용되는 크레인에 연결된 와이어(30)를 이용하여 무거운 대상물을 이동시키는데 이때, 작업자가 원하는 곳으로 이동된 대상물을 정리하기 위해 활차(1)에 고정된 대상물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손이 활차(1) 내부로 말려 들어가 부상을 당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30)가 이탈되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30)를 정리하는 도중에 크레인이 작동되어 와이어(30)가 움직이게 되면 와이어(30)를 정리하는 작업자의 손이 활차(1) 내부로 말려 들어가 부상을 당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손 끼임 방지부(100)는 샤프트(110), 고정대(120), 가이드부(130), 연장부(140) 및 잠금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 및 상단에는 각각 구멍이 형성되며, 하단에 형성된 구멍은 몸체(10)의 외측면에 구비된 볼트(B)에 끼움 고정되어 너트(N)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샤프트(110)는 고정대(12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110)는 제1 샤프트(111)와, 제1 샤프트(111)와 근접하게 위치하는 제2 샤프트(113) 및 제1 샤프트(111)와 제2 샤프트(113) 사이에 체결 고정되고 제2 샤프트(113)가 회전되도록 회전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샤프트(113)는 고정대(120)와 체결 고정되고, 고정대(120)가 와이어(30)에서 이탈되게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와이어(30)가 꼬이거나 와이어(30)를 잠시 점검하기 위해 샤프트(110) 전체를 분해하는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2 샤프트(113)를 몸체(1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다음 와이어(30)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대(12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샤프트(110)에 밀착되는 수직판(121)은 샤프트(110)의 상단에 형성된 구멍과 축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수직판(121)과 연결되고 수직판(121)과 직교되게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판(123)은 와이어(30)가 들어가도록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삽입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대(120)는 와이어(30)를 감싸도록 하여 작업자의 손이 활차(1) 내부로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와이어(30)가 활차(1) 내부로 이동되는 부분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와이어(30)를 잡은 상태로 와이어(30)가 이동되더라도 고정대(120)에 걸려 작업자의 손이 활차(1) 내부로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대(120)는 샤프트(110)와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됨으로써, 와이어(30)가 벌어지는 각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수평판(123)에 형성된 삽입부(125)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와이어(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롤러(131) 및 쿠션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31)는 삽입부(125)의 양측면에 각각 축 고정되고, 와이어(30)와 고정대(120)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와이어(3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롤러(131)는 외주면을 감싸고 와이어(30)가 이동될 때 진동을 흡수하거나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133)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와이어(30)와 밀착되어 와이어(30)가 활차(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장부(140)는 사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평판(123)의 일단에 경첩(141)으로 체결 고정되며, 경첩(141)이 설치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경첩(141)이 상측에 체결 고정되면 연장부(140)는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고, 측면에 설치 고정되는 연장부(140)는 측면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활차(1)의 형상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40)는 몸체(10)에 일렬로 다수개가 연결된 휠(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이동되는 다수개의 와이어(30)를 한번에 감싸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대상물의 무게가 많이 나가면 활차(1)에 연결된 와이어(30)가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필요하게 되는데, 와이어(30)가 하나 일때에는 연장부(140)가 접힌 상태에서 사용되고, 다수개로 이루어진 와이어(30)에 사용시에는 연장부(140)를 펼쳐 다수개의 와이어(30)를 한번에 감싸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연장부(140)는 다양한 길이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잠금부재(150)는 제2 샤프트(113)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와이어(30)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휠(20)의 진동이나 외부충격에 의해 제2 샤프트(113)가 몸체(10)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한다. 잠금부재(150)는 제2 샤프트(113)의 측면에 설치 고정되는 케이스(151)와, 케이스(151) 내부에 삽입되고 제2 샤프트(11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155) 및 제1 샤프트의 측면에 설치 고정되고 이동부(155)의 일단 부가 삽입 고정되어 제2 샤프트(113)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고정부(15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55)는 케이스(151)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스(151)에 형성된 홈(15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157)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55)는 케이스(151)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중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케이스(151) 내부에 탄성 스프링이 구비되어 손잡이가 구비된 일측면에 힘이 가해지도록 하여 고정부(159)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손잡이(157)를 잡은 상태에서 홈(153)의 길이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고정부(159)에 삽입되어있던 이동부(155)가 외부로 이탈되면서 잠금 해제되어 제2 샤프트(113)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1; 활차 10; 몸체
20; 휠 100; 손 끼임 방지부
110; 샤프트 111; 제1 샤프트
113; 제2 샤프트 115; 회전부
120; 고정대 121; 수직판
123; 수평판 125; 삽입부
130; 가이드부 131; 롤러
133; 쿠션부 140; 연장부
141; 경첩 150; 잠금부재
151; 케이스 153; 홈
155; 이동부 157; 손잡이
159; 고정부 B; 볼트
N; 너트

Claims (7)

  1. 몸체;
    몸체 내부에 축 고정되고, 외주면에 와이어가 밀착되며, 와이어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휠;
    몸체의 외측면에 체결 고정되고, 와이어가 삽입되어 와이어의 주변을 감싸도록 하는 손 끼임 방지부;를 포함하되,
    손 끼임 방지부는,
    하단이 몸체의 외측면에 구비된 볼트에 끼움 고정되고, 볼트에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너트로 체결 고정되는 샤프트; 및
    샤프트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 고정되고, 와이어의 주변을 감싸도록 하는 고정대;를 포함하고,
    고정대는 와이어가 벌어지는 각도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정대는,
    샤프트와 축 고정되어 회전하는 수직판;
    수직판의 상단과 연결되고, 수직판과 직교되게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판;
    수평판의 외측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와이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삽입부; 및
    삽입부 양측면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와이어가 몸체에서 이탈되거나 꼬이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삽입부의 양측면에 각각 축 고정되고,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롤러; 및
    롤러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와이어와 수평판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쿠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
  5.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대는,
    "ㄱ"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일단에는 경첩으로 체결되어 몸체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되,
    연장부는,
    몸체 내부에 축 고정된 휠의 개수에 따라 다수개가 연결된 와이어의 전체를 감싸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
  6. 제 1항에 있어서,
    샤프트는,
    몸체에 형성된 볼트에 체결 고정되는 제1 샤프트;
    제1 샤프트와 이격되게 위치하고, 고정대를 지지하는 제2 샤프트;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 사이에 체결 고정되고, 제2 샤프트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 및
    제2 샤프트 측면에 체결 고정되고,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샤프트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
  7. 제 6항에 있어서,
    잠금부재는,
    제2 샤프트의 측면에 설치 고정되는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고, 제2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 및
    제1 샤프트의 측면에 설치 고정되고, 이동부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제2 샤프트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
KR1020140108632A 2014-08-20 2014-08-20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 KR101525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632A KR101525916B1 (ko) 2014-08-20 2014-08-20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632A KR101525916B1 (ko) 2014-08-20 2014-08-20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916B1 true KR101525916B1 (ko) 2015-06-09

Family

ID=5350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632A KR101525916B1 (ko) 2014-08-20 2014-08-20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001B1 (ko) 2017-08-31 2018-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호이스팅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8636B2 (ja) * 1988-11-09 1995-10-25 プスネス エー/エス ロープの保持及び貯蔵装置
KR19980065710U (ko) * 1997-05-07 1998-12-05 김종진 하역 장비의 와이어 이탈방지 안내장치
JP5371829B2 (ja) * 2010-02-22 2013-12-18 中国電力株式会社 滑車用巻き込み防止装置、及び滑車
JP2014121152A (ja) * 2012-12-14 2014-06-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着脱式金車巻き込み防止具および金車巻き込み防止方法
JP7098636B2 (ja) * 2017-02-03 2022-07-11 ビック・バイオレクス・エス・エー ブレード支持体、そのようなブレード支持体を備えた切断部材、そのような切断部材を備えたカミソリヘッド、およびそのようなカミソリヘッドを備えた機械式シェービングカミソリ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8636B2 (ja) * 1988-11-09 1995-10-25 プスネス エー/エス ロープの保持及び貯蔵装置
KR19980065710U (ko) * 1997-05-07 1998-12-05 김종진 하역 장비의 와이어 이탈방지 안내장치
JP5371829B2 (ja) * 2010-02-22 2013-12-18 中国電力株式会社 滑車用巻き込み防止装置、及び滑車
JP2014121152A (ja) * 2012-12-14 2014-06-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着脱式金車巻き込み防止具および金車巻き込み防止方法
JP7098636B2 (ja) * 2017-02-03 2022-07-11 ビック・バイオレクス・エス・エー ブレード支持体、そのようなブレード支持体を備えた切断部材、そのような切断部材を備えたカミソリヘッド、およびそのようなカミソリヘッドを備えた機械式シェービングカミソ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001B1 (ko) 2017-08-31 2018-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호이스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0585B2 (ja) 取り外し可能な救命索を具えた自己格納型救命索
CN104740848B (zh) 改进型滑轮装置
KR20140095952A (ko) 트롤리
JPH09511410A (ja) 落下防止安全装置
US20180333598A1 (en) Fall protection device
KR10152591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활차
KR101372457B1 (ko) 와이어 로프 릴 스탠드
KR20220166686A (ko) 모바일 리프터
KR20170133502A (ko) 어센더
KR102577629B1 (ko) 엔진룸 호이스트 장치
IT202100002558A1 (it) Robot azionato a cavi
KR101359556B1 (ko) 툴박스가 구비된 호이스트
KR102442501B1 (ko) 고정수단 장치를 구비한 핸드 크레인
KR200480875Y1 (ko) 로프 작업용 견인대
JP7066421B2 (ja) フック外れ止め防止装置及び巻上機
KR101116830B1 (ko) 링크 커버, 링크동작구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링크
KR20240019591A (ko) 전주용 추락 방지 장치
CN212652043U (zh) 一种喷房用涂料软管悬挂装置
KR101214301B1 (ko) 필름롤 회전기구
KR101611691B1 (ko) 와이어로프 탈선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
KR20160113870A (ko) 크레인에 장착되는 고소 작업 장치
CN214192123U (zh) 一种升降机截止装置
CN201932844U (zh) 可旋转360度的农用提升机
CN217612567U (zh) 一种安全性高的高空作业防坠落装置
KR20120008602U (ko) 호스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