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177A - 암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암레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177A
KR20150098177A KR1020140117576A KR20140117576A KR20150098177A KR 20150098177 A KR20150098177 A KR 20150098177A KR 1020140117576 A KR1020140117576 A KR 1020140117576A KR 20140117576 A KR20140117576 A KR 20140117576A KR 20150098177 A KR20150098177 A KR 20150098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driver
seat
bracke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6715B1 (ko
Inventor
다이스케 야스노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29584A external-priority patent/JP61626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29585A external-priority patent/JP616262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50098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specially constructed for use on tractors or like off-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7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electrical control means, e.g. 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작업기 조작용 누름식의 조작부를 오조작하기 어려운 암레스트가 요청되고 있다. 또한, 운전자의 체격에 따른 높이 조정이 가능함과 함께, 승강의 방해가 되기 어려운 위치에 이동 가능한 암레스트를 구비하는 암레스트 장치가 요청되고 있다.
운전 좌석(12)의 우측부에 설치되는 암레스트(15)이며, 손 올려 놓음용 손 올려 놓음부(22)와, 팔꿈치 올려 놓음용 팔꿈치 올려 놓음부(23)와, 손 올려 놓음부(22)와 팔꿈치 올려 놓음부(23) 사이에 형성되고, 손 올려 놓음부(22) 및 팔꿈치 올려 놓음부(23)에 대하여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24)와, 로터리 경운 장치의 승강 조작용 요동식의 승강 스위치(31)를 구비하고, 승강 스위치(31)는 오목부(24)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 좌석(12)의 우측부에 설치되는 암레스트(15)와, 운전 좌석(12)에 대한 암레스트(15)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 조정 기구(16)와, 암레스트(15)를 운전 좌석(12)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요동축심(X2)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암레스트(15)를 사용 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로 튀어 올리기 위한 튀어 올림 기구(17)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암레스트 장치{ARMREST DEVICE}
본 발명은 운전 좌석의 가로 측부에 설치되는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기 조작용 누름식의 조작부를 구비하는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 좌석의 가로 측부에 설치되는 암레스트를 구비하는 암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암레스트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암레스트[문헌에서는, 암레스트(41)]가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암레스트에는, 작업기 조작용 누름식의 조작부로서, 작업기를 소정의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 사이에서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문헌에서는, 폼파 스위치(43d)]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부는, 암레스트 중 운전 좌석[스위빌 시트(31)]에 대하여 가로 내측의 가로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암레스트 장치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암레스트 장치[문헌에서는, 암레스트 장치(40)]가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암레스트 장치에는, 운전 좌석[스위빌 시트(31)]에 대한 암레스트[문헌에서는, 암레스트(41)]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 조정 기구[문헌에서는, 위치 조정 기구 (51)]가 구비되어 있다. 높이 조정 기구에 의해 운전자의 체격에 따라서 암레스트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35429호 공보
상기 종래의 암레스트에서는, 조작부가 암레스트 중 운전 좌석에 대하여 가로 내측의 가로 측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신체가 조작부에 닿기 쉬워, 조작부를 오조작하기 쉽다. 예를 들어, 승강 시에 있어서 운전자의 무릎 등이 조작부에 닿아서, 조작부를 오조작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작업기 조작용 누름식의 조작부를 오조작하기 어려운 암레스트가 요청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암레스트 장치에서는, 높이 조정 기구에 의해 운전자의 체격에 따라서 암레스트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지만, 암레스트를 승강의 방해가 되기 어려운 위치에 이동시킬 수 없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운전자의 체격에 따른 높이 조정이 가능함과 함께, 승강의 방해가 되기 어려운 위치에 이동 가능한 암레스트를 구비하는 암레스트 장치가 요청되고 있다.
1.
본 발명의 특징은,
운전 좌석의 가로 측부에 설치되는 암레스트이며,
손 올려 놓음용 손 올려 놓음부와,
팔꿈치 올려 놓음용 팔꿈치 올려 놓음부와,
상기 손 올려 놓음부와 상기 팔꿈치 올려 놓음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손 올려 놓음부 및 상기 팔꿈치 올려 놓음부에 대하여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와,
작업기 조작용 누름식의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오목부에 배치되어 있는 데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조작부가 손 올려 놓음부 및 팔꿈치 올려 놓음부에 대하여 하방측으로 물러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신체가 조작부에 닿기 어려워, 조작부를 오조작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암레스트에 팔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운전자의 팔이 조작부에 닿기 어려워, 승강 시에 있어서 운전자의 팔꿈치 등이 조작부에 닿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중 상기 조작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오목부 중 상기 조작부에 대응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조작부가 오목부 중에서도 더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부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신체가 조작부에 더 닿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 올려 놓음부에, 작업기의 승강 조작용 승강 조작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승강 조작 부재의 후방에, 상기 조작부가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승강 조작 부재와 조작부가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승강 조작 부재의 조작 방향과 조작부의 조작 방향을 관련짓기 쉽다. 예를 들어, 조작부가 작업기의 승강 조작용 조작부라면, 조작부의 조작 방향을 승강 조작 부재의 조작 방향과 맞춤으로써, 상승과 하강을 감각적으로 알기 쉽기 때문에, 조작부를 오조작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 올려 놓음부에, 작업기의 승강 조작용 승강 조작 부재와, 변속 조작용 변속 조작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변속 조작 부재는, 상기 승강 조작 부재보다도 상기 운전 좌석에 대하여 가로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승강 조작 부재와 비교해서 사용 빈도가 높은 변속 조작 부재가,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운전자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변속 조작 부재에 손길이 닿기 쉬워, 변속 조작 부재를 조작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 올려 놓음부에, 작업기의 승강 조작용 승강 조작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는, 작업기의 승강 조작용 요동식의 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는,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중 전방측 부분은, 작업기의 하강 조작용 부분이며,
상기 스위치 중 후방측 부분은, 작업기의 상승 조작용 부분이면 적합하다.
통상, 트랙터 등의 작업차로서는, 승강 조작 부재를 전방측으로 조작하면, 작업기가 하강하고, 승강 조작 부재를 후방측으로 조작하면, 작업기가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조작부의 조작 방향을 승강 조작 부재의 조작 방향과 맞춤으로써, 상승과 하강을 감각적으로 알기 쉽기 때문에, 조작부를 오조작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오목부 중 상기 운전 좌석에 대하여 가로 내측 가까운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통상, 손 올려 놓음부에 손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는, 5개의 손가락 중 엄지 손가락이 운전 좌석에 대하여 가로 내측에 위치한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부를 용이하게 누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 올려 놓음부에 올려 놓은 손을 조작부 측에 어긋나게 함으로써,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2.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운전 좌석의 가로 측부에 설치되는 암레스트와,
상기 운전 좌석에 대한 상기 암레스트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 조정 기구와,
상기 암레스트를 상기 운전 좌석에 대하여 가로 방향의 요동축심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암레스트를 사용 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로 튀어 올리기 위한 튀어 올림 기구를 구비하는 데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높이 조정 기구에 의해 운전자의 체격에 따라서 암레스트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튀어 올림 기구에 의해 암레스트를 사용 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로 튀어 올림으로써, 암레스트가 승강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튀어 올림 기구는, 상기 암레스트 중 상기 높이 조정 기구보다도 후방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튀어 올림 기구에 의한 암레스트의 지지 위치를, 암레스트 중 후방측 가까운 부위로 설정하기 쉽다. 이에 의해, 암레스트가 비사용 위치의 자세로 운전 좌석에 대하여 후방측 가까이로 퇴피하기 위해서, 암레스트가 승강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튀어 올림 기구는, 상기 암레스트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튀어 올림 기구에 의한 암레스트의 지지 위치를, 암레스트의 후단부에 설정함으로써, 암레스트가 비사용 위치의 자세로 운전 좌석에 대하여 더 후방측 가까이로 퇴피하기 때문에, 암레스트가 승강의 방해가 되기 더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튀어 올림 기구는, 상기 암레스트를 지지하는 암레스트 지지 부재와, 상기 암레스트 지지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암레스트가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로 방향의 요동축과, 상기 암레스트를 상기 요동축에 대하여 마찰 보유 지지 가능한 마찰 보유 지지 기구를 갖고,
상기 높이 조정 기구는, 상기 운전 좌석측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암레스트측에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브래킷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는 긴 구멍과, 상기 긴 구멍에 삽입 관통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래킷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갖고,
상기 암레스트 지지 부재와 상기 브래킷은, 동일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마찰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해 암레스트를 마찰 보유 지지함으로써, 암레스트의 사용 위치 및 비사용 위치의 각 자세가 안정된다. 즉, 암레스트가 사용 위치 및 비사용 위치의 각 자세에서 덜컹거리기 어렵다. 또한, 베이스에 대한 브래킷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긴 구멍에서 조정하는 구성에 의해, 높이 조정 기구를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튀어 올림 기구와 높이 조정 기구로 부재를 공통화함으로써, 부품 개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 및 양 기구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찰 보유 지지 기구는, 상기 암레스트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마찰판과, 상기 마찰판을 상기 암레스트에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가지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마찰판을 가압 부재에 의해 암레스트에 가압하는 구성에 의해, 마찰 보유 지지 기구를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브래킷 중 상기 운전 좌석에 대하여 가로 내측에 위치하는 쪽측에서, 상기 볼트의 선단부에 노브 너트가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노브 너트를 손으로 조이고 풀기 조작함으로써,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높이 조정할 수 있음과 함께, 운전 좌석에 대하여 가로 내측으로부터 노브 너트에 손길이 닿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브 너트는, 상기 볼트의 선단부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의 가로 측면보다도 상기 암레스트의 가로 중심측으로 물러나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노브 너트가 암레스트의 가로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노브 너트가 운전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도 1은 트랙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2는 트랙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운전 좌석 및 암레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4는 운전 좌석 및 암레스트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암레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우측 방향 사시도.
도 6은 높이 조정 기구 및 튀어 올림 기구를 나타내는 우측면 일부 단면도.
도 7은 높이 조정 기구 및 튀어 올림 기구를 나타내는 우측 방향 사시도.
도 8은 높이 조정 기구 및 튀어 올림 기구를 나타내는 좌측 방향 사시도.
도 9는 도 6에 있어서의 Ⅸ-Ⅸ 단면도.
도 10은 도 6에 있어서의 Ⅹ-Ⅹ 단면도.
도 11은 높이 조정 기구 및 튀어 올림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2는 암레스트가 비사용 위치로 튀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 일부 단면도.
도 13은 마찰 보유 지지 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의 (a)는 제1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승강 스위치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제2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승강 스위치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트랙터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는, 작업차로서의 트랙터를 나타내고 있다. 트랙터는, 전륜(1) 및 후륜(2)을 갖는 주행 기체(3)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3)의 전방부에는, 보닛(4)이 설치되어 있다. 보닛(4)에는, 엔진(5)이 수용되어 있다. 엔진(5)의 후단부에는, 미션 케이스(6)가 연결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6)에는, 엔진(5)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는 변속 장치(도시 생략)가 수용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6)의 후단부에는, 로터리 경운 장치(7)(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에 상당)가 링크 기구(8)를 통해서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로터리 경운 장치(7)에는, 미션 케이스(6)로부터의 동력이 PTO축(9)을 통해서 전달된다.
주행 기체(3)의 후방부에는, 운전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10)에는, 스티어링 핸들(11) 및 운전 좌석(12)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좌석(12)의 우측부에는, 암레스트 장치(13)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 좌석〕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좌석(12)은 운전 좌석 프레임(14)에 적재 지지되어 있다. 운전 좌석(12)의 좌부의 전단부는, 운전 좌석 프레임(14)의 지지부(14a)에, 좌우 방향의 요동축심 X1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운전 좌석 프레임(14)은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암레스트 장치〕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레스트 장치(13)는 암레스트(15)와, 높이 조정 기구(16)와, 튀어 올림 기구(17)를 구비하고 있다.
〔암레스트〕
암레스트(15)에는, 상기 변속 장치의 변속 조작용 변속 레버(27)(본 발명에 따른 「변속 조작 부재」에 상당)와, 로터리 경운 장치(7)의 승강 조작용 승강 레버(28)(본 발명에 따른 「승강 조작 부재」에 상당)와, 로터리 경운 장치(7)의 승강 조작용 요동식의 승강 스위치(31)(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 「스위치」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 암레스트(15)는 평면에서 볼 때, 전방부가 후방부에 대하여 전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우측 방향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암레스트(15)는 프레임(19)과, 프레임(19)에 외장되는 커버(18)를 갖고 있다. 커버(18)는 상 커버(20)와 하 커버(21)가 상하로 합쳐져서 구성되어 있다. 상 커버(20)의 전방부에는, 손 올려 놓음용 손 올려 놓음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 커버(20)의 후방부에는, 팔꿈치 올려 놓음용 팔꿈치 올려 놓음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 커버(20) 중 손 올려 놓음부(22)와 팔꿈치 올려 놓음부(23) 사이에는,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손 올려 놓음부〕
손 올려 놓음부(22)에는, 서로 높이 위치가 다른 고위부(25)와 저위부(26)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손 올려 놓음부(22) 중 경계선(L1)을 사이에 두고 좌측 방향측 부분에, 고위부(25)가 형성되고, 손 올려 놓음부(22) 중 경계선(L1)을 사이에 두고 우측 방향측 부분에, 저위부(26)가 형성되어 있다.
고위부(25)에는, 변속 레버(27)가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변속 레버(27)는 승강 레버(28)의 좌측 방향측[승강 레버(28)보다도 가로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변속 레버(27)는 차폭 방향에 있어서 승강 레버(28)보다도 운전 좌석(12)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손 올려 놓음부(22)의 좌측부에는, 변속 레버(27)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29)가 설치되어 있다.
저위부(26)에는, 승강 레버(28)가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승강 레버(28)를 전방측으로 조작하면, 로터리 경운 장치(7)가 하강하고, 승강 레버(28)를 후방측으로 조작하면, 로터리 경운 장치(7)가 상승한다.
〔오목부〕
오목부(24)는 손 올려 놓음부(22)의 정상과 팔꿈치 올려 놓음부(23)의 정상을 연결하는 결선(L2)에 대하여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4) 중 경계선(L1)에 대하여 좌측 방향측 부분[좌측 상면부(30)]에, 승강 스위치(31)가 배치되어 있다. 즉, 오목부(24) 중 가로 내측 가까운 부분에, 승강 스위치(31)가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오목부(24) 중 차폭 방향에 있어서 운전 좌석(12)측 가까운 부분에, 승강 스위치(3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 상면부(30) 중 승강 스위치(31)에 대응하는 부분은, 좌측 상면부(30) 중 승강 스위치(31)에 대응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좌측 상면부(30)에는, 승강 스위치(31)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오목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0a)는 좌측 방향측(가로 내측)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오목부(30a)는 차폭 방향에 있어서 운전 좌석(12)측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승강 스위치〕
승강 스위치(31)는 변속 레버(27) 및 승강 레버(28)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승강 스위치(31)는 가드(29)보다도 후방이며, 암레스트(15)에 있어서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굴곡 개소(P)보다도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 스위치(31)는 소위 시소 스위치로 구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승강 스위치(31)의 요동 방향(D1)은, 승강 레버(28)의 요동 방향(D2)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음과 함께, 변속 레버(27)의 요동 방향(D3)과도 대략 평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승강 스위치(31)는 로터리 경운 장치(7)의 하강 조작용 부분(31a)과, 로터리 경운 장치(7)의 상승 조작용 부분(31b)을 갖고 있다. 승강 스위치(31)의 하강 조작용 부분(31a)을 누름 조작하면, 로터리 경운 장치(7)가 가장 하방의 위치까지 자동으로 하강하고, 승강 스위치(31)의 상승 조작용 부분(31b)을 누름 조작하면, 로터리 경운 장치(7)가 가장 상방의 위치까지 자동으로 상승한다. 또한, 승강 스위치(31)와는 별도로, 스티어링 핸들(11) 주위에도, 승강 스위치(31)와 같은 기능을 갖는 스위치(도시 생략)를 배치해도 된다.
승강 스위치(31) 중 전방측 부분은, 하강 조작용 부분(31a)이며, 승강 스위치(31) 중 후방측 부분은, 상승 조작용 부분(31b)이다. 즉, 로터리 경운 장치(7)를 하강시키기 위한 승강 스위치(31)의 요동 방향과 승강 레버(28)의 요동 방향을, 전방측에 맞추고 있음과 함께, 로터리 경운 장치(7)를 상승시키기 위한 승강 스위치(31)의 요동 방향과 승강 레버(28)의 요동 방향을, 후방측에 맞추고 있다.
〔높이 조정 기구〕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 조정 기구(16)는 운전 좌석(12)에 대한 암레스트(15)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높이 조정 기구(16)는 운전 좌석(12)측에 설치되는 베이스(32)와, 암레스트(15)측에 설치되는 브래킷(33)을 갖고 있다.
〔베이스〕
베이스(32)는 운전 좌석 프레임(14)측의 프레임(34)에, 볼트(3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32)는 볼트(35)가 삽입 관통되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는 긴 구멍(도시 생략)에 의해, 프레임(34)[운전 좌석 프레임(14)]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32)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제1 긴 구멍(32a)(본 발명에 따른 「긴 구멍」에 상당함) 및 상하 방향으로 긴 제2 긴 구멍(32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긴 구멍(32a)은 상하 방향으로 긴 생략 직사각 형상의 긴 구멍(장각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긴 구멍(32b)은 상하 방향으로 긴 대략 타원 형상의 긴 구멍(긴 둥근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긴 구멍(32a)은 베이스(32) 중 상단부측으로 오프셋해서 형성되고, 제2 긴 구멍(32b)은 베이스(32) 중 하단부측으로 오프셋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1 긴 구멍(32a)의 하단부와 제2 긴 구멍(32b)의 상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어 있다.
〔브래킷〕
브래킷(33)은 베이스(32)의 좌측 방향측[베이스(32)보다도 가로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브래킷(33)은 차폭 방향에 있어서 베이스(32)보다도 운전 좌석(12)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33)의 후단부는, 베이스(32)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브래킷(33)의 전단부는, 베이스(32)의 전단부보다도 후방측으로 물러나 있다.
브래킷(33)의 상단부에는, 좌측 방향측으로 굴곡진 굴곡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33a) 후단부에는, 지지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3b)에는, 좌우 방향의 요동축(33c)이 우측 방향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33)의 후단부에는, 그 우측면과 지지부(33b)에 걸치는 플랜지부(33d)가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33) 중 제1 긴 구멍(32a)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베이스(32)측(우측 방향측)으로 돌출된 대략 진원 형상의 돌기부(33e)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33e)의 테두리부는, 베이스(32) 중 제1 긴 구멍(32a)의 테두리부에 접촉되어 있다.
브래킷(33)은 제1 볼트(36)(본 발명에 따른 「볼트」에 상당함) 및 제2 볼트(37)에 의해, 베이스(32)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볼트(36)는 각근(角根) 볼트에 의해 구성되고, 제1 볼트(36) 중 각근 부분(36a)이 제1 긴 구멍(32a)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제1 볼트(36)는 베이스(32)의 우측 방향측으로부터 제1 긴 구멍(32a)[가로 내측을 향해서 제1 긴 구멍(32a)]에 삽입되어 있다. 즉, 제1 볼트(36)는 차폭 방향에 있어서 운전 좌석(12)측을 향해서 제1 긴 구멍(32a)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제1 볼트(36)의 선단부에는, 노브 너트(38)가 설치되어 있다. 즉, 노브 너트(38)는 베이스(32) 및 브래킷(33) 중 가로 내측에 위치하는 브래킷(33)측에서, 제1 볼트(36)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노브 너트(38)는 베이스(32) 및 브래킷(33) 중 차폭 방향에 있어서 운전 좌석(12)측에 위치하는 브래킷(33)측에서, 제1 볼트(36)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노브 너트(38)는 제1 볼트(36)의 선단부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암레스트(15)의 좌측면보다도 우측 방향측(암레스트의 좌우 중심의 측)으로 물러나 있다. 즉, 노브 너트(38)는 굴곡부(33a) 하방의 공간으로 들어가 있다.
제2 볼트(37)는 단차 볼트에 의해 구성되고, 제2 볼트(37) 중 단차 부분(대직경 부분)(37a)이 제2 긴 구멍(32b)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제2 볼트(37)는 베이스(32)의 우측 방향측으로부터 제2 긴 구멍(32b)[가로 내측을 향해서 제2 긴 구멍(32b)]에 삽입되어 있다. 즉, 제2 볼트(37)는 차폭 방향에 있어서 운전 좌석(12)측을 향해서 제2 긴 구멍(32b)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33)의 좌측면에는, 제2 볼트(37)에 대응하는 너트(39)(용접 너트)가 고정되어 있다.
〔높이 조정 기구에 의한 높이 조정 방법〕
우선, 노브 너트(38)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베이스(32)에 대한 브래킷(33)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어서, 브래킷(33)을 베이스(3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운전 좌석(12)에 대한 암레스트(15)의 높이를 변경한다. 또한, 베이스(32)에 대한 브래킷(33)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체결력에 의해, 제2 볼트(37)가 체결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노브 너트(38)를 닫음으로써, 브래킷(33)을 변경 후의 높이로 베이스(32)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암레스트(15)가 가장 상방에 위치한 상태, 도 6에는, 암레스트(15)가 가장 하방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33e)의 테두리부가 베이스(32) 중 제1 긴 구멍(32a)의 테두리부에 접촉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돌기부(33e)와 제1 긴 구멍(32a)의 테두리부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제1 볼트(36)를 강하게 조이지 않아도, 마찰력에 의해 일정한 보유 지지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32)에 제1 긴 구멍(32a) 및 제2 긴 구멍(32b)이 형성되어 있다. 즉, 베이스(32) 및 브래킷(33) 중 가로 외측에 위치하는 베이스(32)에, 제1 긴 구멍(32a) 및 제2 긴 구멍(32b)이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베이스(32) 및 브래킷(33) 중 차폭 방향에 있어서 운전 좌석(12)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베이스(32)에, 제1 긴 구멍(32a) 및 제2 긴 구멍(3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가령, 브래킷(33)에 제1 긴 구멍(32a)에 상당하는 긴 구멍 및 제2 긴 구멍(32b)에 상당하는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브래킷(33)을 베이스(3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들 긴 구멍에 물건(예를 들어, 운전 좌석(12)에 착석하고 있는 운전자의 의복 등)이 끼이기 쉬운데,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기 어렵다.
〔튀어 올림 기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튀어 올림 기구(17)는 암레스트(15)를 좌우 방향의 요동축심(X2)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암레스트(15)를 사용 위치(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튀어 올리기 위한 것이다. 튀어 올림 기구(17)는 암레스트(15) 중 높이 조정 기구(16)보다도 후방의 부위, 구체적으로는, 암레스트(15)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즉, 요동축심(X2)은, 암레스트(15)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튀어 올림 기구(17)는 암레스트(15)를 지지하는 브래킷(33)(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 지지 부재」에 상당)과, 암레스트(15)가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 방향의 요동축(33c)과, 암레스트(15)를 요동축(33c)에 대하여 마찰 보유 지지 가능한 마찰 보유 지지 기구(40)를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 조정 기구(16)는 암레스트(15)측에 설치되는 브래킷(33)을 갖고 있는 바, 튀어 올림 기구(17)의 브래킷(33)과, 높이 조정 기구(16)의 브래킷(33)은, 동일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요동축(33c)에는, 프레임(19)의 보스부(19a)가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마찰 보유 지지 기구〕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찰 보유 지지 기구(40)는 한 쌍의 마찰판(41)과, 한 쌍의 접시 스프링(42)(본 발명에 따른 「가압 부재」에 상당)을 갖고 있다. 한 쌍의 마찰판(41)은 프레임(19)의 보스부(19a)에 대하여 좌우 양측으로부터 작용하도록, 프레임(19)의 보스부(19a)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접시 스프링(42)은 한 쌍의 마찰판(41)을 프레임(19)의 보스부(19a)에 좌우 양측으로부터 압박하도록, 프레임(19)의 보스부(19a)의 우측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접시 스프링(42)은 한 쌍의 평와셔(43)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요동축(33c)의 우측 단부에는, 접시 스프링(42)의 가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너트(4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프레임(19)의 보스부(19a)의 좌측 단부와 브래킷(33)의 지지부(33b) 사이, 프레임(19)의 보스부(19a)의 우측 단부와 한 쌍의 평와셔(43) 중 좌측 방향측 평와셔(43)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현됨으로써, 암레스트(15)를 사용 위치와 비사용 위치에 마찰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너트(44)를 조이고 풀기 조작하면 좋다.
여기서, 프레임(19)의 후단부에는,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진 굴곡부(19b)가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19b)에는, 암레스트 장치(13)에 있어서의 조작계의 하네스를, 클램프를 통해서 설치할 수 있다. 굴곡부(19b)의 후단부에는, 절결홈(19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9)에는, 좌우 방향의 스토퍼축(19d)이 우측 방향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축(19d)은 브래킷(33)의 굴곡부(33a)의 전단부에 상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축(19d)에는, 완충용 고무(19e)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레스트(15)가 사용 위치인 경우에는, 스토퍼축(19d)이 브래킷(33)의 굴곡부(33a)의 전단부에 접촉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암레스트(15)의 하방으로의 요동이 견제되고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레스트(15)가 비사용 위치인 경우에는, 브래킷(33)의 후단부가 굴곡부(19b)의 절결홈(19c)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절결홈(19c) 중 단부 테두리(19f)가 브래킷(33)의 후단부에 접촉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암레스트(15)의 상방으로의 요동이 견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브래킷(33)은 암레스트(15)의 튀어 올림양[암레스트(15)의 요동 범위]을 결정하는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암레스트(15)는 운전 좌석(12)의 우측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운전 좌석(12)의 좌측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2)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작부」는, 로터리 경운 장치(7)의 승강 조작용 승강 스위치(31)이지만, 작업기의 변속 조작용 조작부나 작업기의 클러치 조작용 조작부여도 좋다.
(3)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승강 스위치(31)의 요동 방향(D1)은, 승강 레버(28)의 요동 방향(D2)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스위치(131)의 요동 방향(D1)은, 승강 레버(28)의 요동 방향(D2)에 대하여 비스듬히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승강 스위치(31)는 오목부(24) 중 가로 내측 가까운 부분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스위치(231)는 오목부(24) 중 가로 외측 근방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승강 스위치(231)는 오목부(24) 중 차폭 방향에 있어서 운전 좌석(12)과는 반대측 가까운 부분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14의 (b)에서는, 승강 레버(28)와 승강 스위치(231)가 전후 방향으로 배열하도록 배치되고, 승강 스위치(231)의 요동 방향(D1)은, 승강 레버(28)의 요동 방향(D2)과 대략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승강 레버(28) 및 승강 스위치(231)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승강 스위치(231)의 요동 방향(D1)은, 승강 레버(28)의 요동 방향(D2)에 대하여 비스듬히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승강 스위치(131;231)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오목부(130a;230a)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4)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오목부(24)[좌측 상면부(30)] 중 승강 스위치(31)에 대응하는 부분은, 좌측 상면부(30) 중 승강 스위치(31)에 대응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30a)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오목부(24)(좌측 상면부(30)) 중 승강 스위치(31)에 대응하는 부분은, 좌측 상면부(30) 중 승강 스위치(31)에 대응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 대략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5)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승강 스위치(31)는 승강 레버(28)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승강 레버(28)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승강 스위치(31)는 승강 레버(28)의 좌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지만, 승강 레버(28)의 우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승강 스위치(31)를 승강 레버(28)의 좌측 방향에 배치하는 경우, 변속 레버(27)의 좌측 방향에 배치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변속 레버(27)는 승강 레버(28)보다도 가로 내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승강 레버(28)보다도 가로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변속 레버(27)는 차폭 방향에 있어서 승강 레버(28)보다도 운전 좌석(12)으로부터 먼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7)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승강 스위치(31)는 요동식의 스위치(시소 스위치)이지만, 버튼식의 스위치나 토글 스위치여도 좋다.
(8)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승강 스위치(31) 중 전방측 부분은, 하강 조작용 부분(31a)이며, 승강 스위치(31) 중 후방측 부분은, 상승 조작용 부분(31b)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승강 스위치(31) 중 전방측 부분은, 상승 조작용 부분이며, 승강 스위치(31) 중 후방측 부분은, 하강 조작용 부분이어도 좋다.
(9)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튀어 올림 기구(17)는 암레스트(15) 중 높이 조정 기구(16)보다도 후방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지만, 암레스트(15) 중 높이 조정 기구(16)보다도 전방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튀어 올림 기구(17)는 암레스트(15)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암레스트(15) 중 후단부보다도 전방의 부위[예를 들어, 암레스트(15)의 전후 중앙부 등]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10)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튀어 올림 기구(17)의 「암레스트 지지 부재」와, 높이 조정 기구(16)의 「브래킷」은, 동일한 부재(브래킷(33))로 구성되어 있지만, 각각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11)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마찰 보유 지지 기구(40)는 한 쌍의 마찰판(41)을 구비하고 있지만, 한 쌍의 마찰판(41) 중 어느 한쪽만을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12)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마찰 보유 지지 기구(40)는 한 쌍의 접시 스프링(42)을 구비하고 있지만, 한 쌍의 접시 스프링(42) 중 어느 한쪽만을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가압 부재」와, 접시 스프링(42) 대신에 코일 스프링을 채용해도 된다.
(13)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노브 너트(38)는 베이스(32) 및 브래킷(33) 중 운전 좌석(12)에 대하여 가로 내측에 위치하는 쪽측에서, 제1 볼트(36)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노브 너트(38)는 베이스(32) 및 브래킷(33) 중 운전 좌석(12)에 대하여 가로 외측에 위치하는 쪽측에서, 제1 볼트(36)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14)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노브 너트(38)는 제1 볼트(36)의 선단부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암레스트(15)의 좌측면보다도 우측 방향(암레스트의 좌우 중심측)으로 물러나 있지만, 암레스트(15)의 좌측면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은 트랙터 이외에 콤바인, 전식기, 건설기계 그 밖의 작업차에도 이용 가능하다.
7 : 로터리 경운 장치(작업기)
12 : 운전 좌석
15 : 암레스트
16 : 높이 조정 기구
17 : 튀어 올림 기구
22 : 손 올려 놓음부
23 : 팔꿈치 올려 놓음부
24 : 오목부
28 : 승강 레버(승강 조작 부재)
27 : 변속 레버(변속 조작 부재)
31 : 승강 스위치(조작부, 스위치)
31a : 하강 조작용 부분
31b : 상승 조작용 부분
32 : 베이스
32a : 제1 긴 구멍(긴 구멍)
33 : 브래킷(암레스트 지지 부재, 브래킷)
33c : 요동축
36 : 제1 볼트(볼트)
38 : 노브 너트
40 : 마찰 보유 지지 기구
41 : 마찰판
42 : 접시 스프링(가압 부재)
X2 : 요동축심

Claims (7)

  1. 운전 좌석의 가로 측부에 설치되는 암레스트와,
    상기 운전 좌석에 대한 상기 암레스트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 조정 기구와,
    상기 암레스트를 상기 운전 좌석에 대하여 가로 방향의 요동축심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암레스트를 사용 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로 튀어 올리기 위한 튀어 올림 기구를 구비하는, 암레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튀어 올림 기구는, 상기 암레스트 중 상기 높이 조정 기구보다도 후방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암레스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튀어 올림 기구는, 상기 암레스트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암레스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튀어 올림 기구는, 상기 암레스트를 지지하는 암레스트 지지 부재와, 상기 암레스트 지지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암레스트가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로 방향의 요동축과, 상기 암레스트를 상기 요동축에 대하여 마찰 보유 지지 가능한 마찰 보유 지지 기구를 갖고,
    상기 높이 조정 기구는, 상기 운전 좌석측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암레스트측에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브래킷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는 긴 구멍과, 상기 긴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래킷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갖고,
    상기 암레스트 지지 부재와 상기 브래킷은, 동일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암레스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보유 지지 기구는, 상기 암레스트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마찰판과, 상기 마찰판을 상기 암레스트에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갖는, 암레스트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브래킷 중 상기 운전 좌석에 대하여 가로 내측에 위치하는 쪽측에서, 상기 볼트의 선단부에 노브 너트가 설치되어 있는, 암레스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너트는, 상기 볼트의 선단부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의 가로 측면보다도 상기 암레스트의 가로 중심측으로 물러나 있는, 암레스트 장치.
KR1020140117576A 2014-02-19 2014-09-04 암레스트 장치 KR1016667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29584 2014-02-19
JPJP-P-2014-029585 2014-02-19
JP2014029584A JP6162619B2 (ja) 2014-02-19 2014-02-19 アームレスト
JP2014029585A JP6162620B2 (ja) 2014-02-19 2014-02-19 アームレス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177A true KR20150098177A (ko) 2015-08-27
KR101666715B1 KR101666715B1 (ko) 2016-10-17

Family

ID=5379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576A KR101666715B1 (ko) 2014-02-19 2014-09-04 암레스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52673B2 (ko)
KR (1) KR1016667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110A (ko) 2017-02-20 2018-08-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3319B2 (en) * 2020-02-21 2024-05-28 Deere & Company Work vehicle operator station with swivel arm raise avoidance system
JP6034773B2 (ja) * 2013-11-13 2016-11-3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FR3065407B1 (fr) * 2017-04-20 2020-05-22 Faurecia Sieges D'automobile Module d'accoudoir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17126429B4 (de) * 2017-11-10 2021-03-18 Grammer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mit einer Bedieneinrichtung und einer Verstelleinrichtung
JP6766240B1 (ja) * 2019-09-06 2020-10-0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
US11458872B2 (en) * 2020-02-21 2022-10-04 Deere & Company Work vehicle operator station with arm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11975768B2 (en) 2020-02-21 2024-05-07 Deere & Company Work vehicle operator station with swivel arm swing avoidance system
US11727986B2 (en) 2020-04-06 2023-08-15 Crossbar, Inc. 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 (PUF) generation involving programming of marginal bits
US20220121202A1 (en) * 2020-10-16 2022-04-21 Mtd Products Inc Power equipment device with driver-assisted semi-autonomous oper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2100A (ja) * 1997-03-13 1998-09-22 Kawasaki Heavy Ind Ltd 建設車両の操作用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JP2005335429A (ja) 2004-05-24 2005-12-08 Kubota Corp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7185223A (ja) * 2006-01-11 2007-07-26 Namba Press Works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8105598A (ja) * 2006-10-26 2008-05-08 Iseki &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KR20100002236A (ko) * 2009-10-27 2010-01-06 대동공업주식회사 전자식 팔걸이가 장착되는 농용작업차량의 운전석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1821B1 (en) * 2000-02-04 2002-01-29 Vincent Rousseau Ergonomic armrest and joystick assembly
JP4085675B2 (ja) 2002-04-01 2008-05-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
US6851754B2 (en) * 2003-07-08 2005-02-08 Deere & Company Armrest adjustment mechanism
US7140688B2 (en) * 2003-08-08 2006-11-28 Illinois Tool Works Inc Damped armrest
JP4194094B2 (ja) 2003-12-26 2008-12-1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運転部構造
TWI249392B (en) * 2004-10-26 2006-02-21 Jing-Jung Yang Multi-functional seat armrest
CN2830154Y (zh) * 2005-10-17 2006-10-25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扶手装置
US7252338B2 (en) * 2005-10-19 2007-08-07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height and angle armrest
WO2007051116A1 (en) * 2005-10-27 2007-05-03 Crown Equipment Corporation Adjustable armrest mechanism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7797918B2 (en) * 2005-12-27 2010-09-21 The Toro Company Mower with flip up armrest carrying operational controls and display
US7712571B2 (en) 2006-06-23 2010-05-11 Caterpillar Inc. Ergonomic machine control console
EP2125073A1 (de) 2007-03-02 2009-12-02 TecPharma Licensing AG Modulares verabreichungssystem
US7878288B2 (en) * 2008-03-14 2011-02-01 Clark Equipment Company Swing-out joystick
DE102010013041A1 (de) * 2010-03-26 2011-09-29 Bomag Gmbh Bedienarbeitsplatz einer Baumaschine
US8733841B2 (en) * 2012-05-11 2014-05-27 Daniel L. Morris Zero turn lawnmower mounting support arm
DE102012112558B4 (de) * 2012-12-18 2015-04-30 Grammer Ag Armlehnenanordnung für einen Sitz, insbesondere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2100A (ja) * 1997-03-13 1998-09-22 Kawasaki Heavy Ind Ltd 建設車両の操作用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JP2005335429A (ja) 2004-05-24 2005-12-08 Kubota Corp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7185223A (ja) * 2006-01-11 2007-07-26 Namba Press Works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8105598A (ja) * 2006-10-26 2008-05-08 Iseki &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KR20100002236A (ko) * 2009-10-27 2010-01-06 대동공업주식회사 전자식 팔걸이가 장착되는 농용작업차량의 운전석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110A (ko) 2017-02-20 2018-08-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US10589648B2 (en) 2017-02-20 2020-03-17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sliding armrest cons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52673B2 (en) 2016-05-31
US20150232000A1 (en) 2015-08-20
KR101666715B1 (ko) 201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715B1 (ko) 암레스트 장치
US8690221B2 (en) Working vehicle
US10328798B2 (en) Work vehicle
US7712835B2 (en) Structure of control portion of seat height adjuster
JP7244252B2 (ja) 作業車両
JP6162619B2 (ja) アームレスト
JP6162620B2 (ja) アームレスト装置
JP5098290B2 (ja) 作業車両
JP5280819B2 (ja) 作業車輌のアームレスト構造
JP5410740B2 (ja) 作業車輌のアームレスト構造
JP2008105598A5 (ko)
JP4478076B2 (ja) トラクタのアームレスト構造
JP4690983B2 (ja) 建設機械の操作ペダル装置
JP5665916B2 (ja) 作業車輌の操作部構造
JP5275000B2 (ja) 作業車輌の操作部構造
KR101741275B1 (ko) 작업 기계
WO2023100602A1 (ja) キャブ及び作業機械
JP5872386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3256256A (ja) 車両用シート
JP6898769B2 (ja) 作業車両
JPH0610420Y2 (ja) 対地作業車における操作レバ−の位置検知装置
KR200417184Y1 (ko) 의자의 조절장치용 레버
JP5758435B2 (ja) 作業車輌の操作部構造
JP5752774B2 (ja) トラクタ
JP5665910B2 (ja) 作業車輌のアームレス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