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7183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97183A KR20150097183A KR1020140018412A KR20140018412A KR20150097183A KR 20150097183 A KR20150097183 A KR 20150097183A KR 1020140018412 A KR1020140018412 A KR 1020140018412A KR 20140018412 A KR20140018412 A KR 20140018412A KR 20150097183 A KR20150097183 A KR 201500971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shaft
- switching
- lock
- rotation axi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1회전축,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되 상기 도어가 상기 제1회전축에 의한 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회전축,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 연결시키는 제1전환부,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1전환부가 이동하면 상기 도어를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시키는 제2전환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1전환부와 상기 제2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락(lock)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의류의 건조 또는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가전기기의 총칭이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뭍어 있는 오물을 제거하게 되고, 의류의 건조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해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수용공간,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수용공간에 연통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를 포함하였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상기 도어는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이 일반적이었다.
본 발명은 도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회전축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회전축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회전 중 회전축 변경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대상물의 출입을 위해 구비된 투입구를 도어가 폐쇄할 때 도어가 투입구를 완전히 폐쇄시키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도어, 도어를 지지하는 수단 및 기타의 장치들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투입구가 형성된 프론트패널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1회전축;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되 상기 도어가 상기 제1회전축에 의한 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회전축;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 연결시키는 제1전환부;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1전환부가 이동하면 상기 도어를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시키는 제2전환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1전환부와 상기 제2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락(lock);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전환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거나 상기 제2전환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락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전환부와 상기 제2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부는 상기 도어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전환부는 상기 도어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를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1전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축에서 상기 제1체결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회전축에서 상기 제2체결부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구비되며, 상기 락이 상기 제2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도어는 상기 제1회전축에만 결합되고, 상기 락이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도어는 상기 제2회전축에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2전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축에서 상기 제1체결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회전축에서 상기 제2체결부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구비되며, 상기 락이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도어는 상기 제1회전축에만 결합되고, 상기 락이 상기 제2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도어는 상기 제2회전축에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도어가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전환부를 상기 제2회전축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전환부를 탄성 지지하되 상기 제1전환부를 상기 제1회전축이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지지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전환부를 탄성 지지하되 상기 제2전환부를 상기 제2회전축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은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 각각에 착탈 가능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은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한 락 바디; 상기 락 바디와 상기 도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락 바디를 탄성지지하는 바디지지부; 상기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프론트패널에 접촉하여 상기 락 바디를 상기 제1전환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바디 가압부; 상기 락 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가 지지되는 바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1전환부를 관통하는 체결홀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 플랜지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고정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돌기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고정돌기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는 제2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전환부를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도어의 외부에 노출되어 구비되는 핸들바디; 상기 핸들바디가 상기 프론트패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핸들바디와 상기 도어를 결합시키는 바디회전축; 상기 핸들바디에 의해 상기 바디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전환부 또는 상기 제2전환부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을 형성하는 제1축,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이 수용되며 상기 제1전환부에 의해 개폐되는 제1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1힌지; 상기 제1축과 함께 상기 제1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에 결합된 제2축, 상기 제2축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며 상기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3축이 구비된 제2힌지;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3축과 함께 상기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4축,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4축이 수용되며 상기 제2전환부에 의해 개폐되는 제4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3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부는 상기 도어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축 수용부를 개폐하는 제1자유단 및 상기 제2전환부에 접촉하는 제2자유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환부는 상기 도어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4축 수용부를 개폐하는 제3자유단 및 상기 제2자유단에 접촉하는 제4자유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1전환부는 상기 제1축 수용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제2전환부는 상기 제4축 수용부를 개방시키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전환부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제1축 수용부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1전환부를 가압하는 제1지지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전환부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제4축 수용부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전환부를 가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부는 상기 락이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의 너비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자유단에서 상기 제1체결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자유단에서 상기 제2체결부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구비되고, 상기 락이 상기 제2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1전환부는 상기 제1축 수용부를 폐쇄하고, 상기 락이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3자유단은 상기 제4축 수용부를 폐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락은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한 락 바디; 상기 락 바디와 상기 도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락 바디를 탄성지지하는 바디지지부; 상기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프론트패널에 접촉하여 상기 락 바디를 상기 제1전환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바디 가압부; 상기 락 바디에서 연장되는 바디 플랜지; 상기 바디 플랜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 각각에 착탈 가능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회전축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회전축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회전 중 회전축 변경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대상물의 출입을 위해 구비된 투입구를 도어가 폐쇄할 때 도어가 투입구를 완전히 폐쇄시키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도어, 도어를 지지하는 수단 및 기타의 장치들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과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핸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도어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어가 제1회전축에 연결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어가 제2회전축에 연결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도 8은 제1전환부에 구비되는 락(Lock)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락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댐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댐퍼를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핸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도어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어가 제1회전축에 연결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어가 제2회전축에 연결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도 8은 제1전환부에 구비되는 락(Lock)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락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댐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댐퍼를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2), 캐비닛(1)에 구비되어 의류수용부(2)를 개폐하는 도어(3)를 포함한다.
캐비닛(1)은 투입구(111)가 구비된 프론트패널(11)을 포함하는데, 도어(3)는 투입구(111)를 개폐 가능하도록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3)를 통해 투입구(111)를 개방함으로써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을 의류수용부(2)에 투입하거나 의류수용부(2)에서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는 장치로 구비될 경우, 의류수용부(2)는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터브는 투입구(111)에 연통하는 터브투입구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드럼은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투입구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100)에는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부(미도시),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탁수 배출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만을 수행하는 장치로 구비된다면, 의류수용부(2)는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비닛 내부에는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드럼에 공급된 공기를 드럼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공급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의류수용부(2)는 터브와 드럼으로 구비되어야 하고, 캐비닛 내부에는 터브로 열풍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터브 내부의 공기를 터브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게 될 것이다.
투입구(111)의 개폐를 위해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되는 도어(3)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회전축(X, Y)에 의해 회전 가능한 것이 특징으로, 도어(3)는 힌지부(51, 53, 55)를 통해 프론트패널(11)에 결합되며, 사용자는 핸들(4)을 통해 도어(3)의 회전축(X, Y) 변경이 가능하다.
도어(3)는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바디(31), 도어바디(31)를 프론트패널(11)에 고정시키는 도어락(door lock, 3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어바디(31)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아우터프레임(311), 아우터프레임(311)에 결합되며 프론트패널(11)을 향하는 면에 위치된 인너프레임(312)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어락(33)은 인너프레임(312)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론트패널(11)에는 도어락(33)이 수용되는 도어락 체결부(1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어바디(31)를 프론프패널(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한 도어락(33)과 도어락 체결부(113)의 구조는 어떤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1은 도어락(33)은 인너프레임(312)에서 돌출된 바(bar) 및 바의 자유단(free end)에 구비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도어락 체결부(113)는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되어 돌기가 수용되는 홈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어바디(31)에는 핸들수용부(314)가 구비되는데, 도 1은 핸들수용부(314)가 도어바디(31)의 상부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수용홈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핸들(4)은 수용홈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핸들(4)은 핸들수용부(314) 내부에 구비되는 핸들바디(41), 핸들바디(41)를 도어바디(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바디회전축(43), 핸들바디(41)의 작동여부에 따라 후술할 회전축 전환부(6)를 작동시키는 가압부(45)로 구비될 수 있다.
전환부(6)는 도어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회전축(X, Y)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 (a)는 바디회전축(43)이 손가락과 핸들바디(41)가 접촉되는 압점(P)의 상부에 위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b)는 바디회전축(43)이 압점(P)의 하부에 위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바디회전축(43)이 압점의 상부에 위치되는 경우(도 2 (a)), 핸들바디(41)의 일단은 바디회전축(43)을 통해 아우터프레임(311)에 고정되어야 하고, 가압부(45)는 핸들바디(41)의 자유단(free end)에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2 (a)의 핸들(4)은 투입구(111)를 개방하기 위해 두 개의 동작이 요구된다.
즉, 사용자는 핸들수용부(314)에 손가락을 넣어 핸들바디(41)를 아우터프레임(31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동작(후술할 회전축 전환부(6)를 작동시키는 동작), 도어(3)를 프론트패널(11)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도어바디(31)를 프론트패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는 제2동작을 통해 투입구(111)를 개방하게 된다.
다만, 핸들수용부(314)가 제공하는 공간이 넓지 않기 때문에 도 2 (a)에 도시된 핸들(4)의 구조는 사용자가 제1동작을 수행할 때 핸들수용부(314)의 내주면이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제한(F)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도어(3) 사용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2 (b)의 핸들(4) 구조는 도어(3)가 프론트패널(1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도어바디(31)를 당기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투입구(111)를 개방 가능한 구조이다.
즉, 도 2 (b)의 핸들(4)은 핸들수용부(314) 내부에 구비되는 핸들바디(41), 핸들바디(41)가 고정되는 축수용부(47), 축수용부(47)를 도어바디(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바디회전축(43), 축수용부(47)에 고정되며 도어바디(31) 내부에 위치하는 가압부(45)로 구비된다. 따라서, 도 2(b)의 핸들바디(41)는 아우터프레임(311)을 향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가압부(45)는 인너프레임(312)을 향해 회전 가능하다.
도 2 (b)의 핸들(4)은 핸들바디(41)를 회전시키기 위해 힘이 공급되는 방향과 도어바디(31)가 프론트패널(11)에서 분리되는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핸들수용부(314)에 손가락을 넣은 후 도어(3)를 프론트패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기만 하면 핸들바디(41)의 회전, 도어바디(31)와 프론트패널(11)의 분리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b)에 구비된 핸들(4)은 제2회전축(Y)을 통해 도어바디(31)를 회전시킬 경우, 도 2 (a)에 구비된 핸들(4)에 비해 쉽게 도어(3)를 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 핸들수용부(314)에 간섭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바디(31)를 프론트패널(11)에 결합시키는 힌지부(51, 53, 55)는 제1축(511b)이 구비된 제1힌지(51), 제4축(551a)이 구비된 제3힌지(55), 제1축(511b)과 함께 제1회전축(X)을 형성하는 제2축(531c)과 제4축(551a)과 함께 제2회전축(Y, 도 1 참고)을 형성하는 제3축(533c)이 구비된 제2힌지(53)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힌지(51)는 프론트패널(11)과 도어바디(3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제1축(511b)이 고정되는 제1힌지바디(511), 프론트패널(11)과 도어바디(3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제1축(511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축 착탈부(513)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제1힌지바디(511)는 프론트패널(11)에 고정되고, 제1축 착탈부(513)는 도어바디(3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제1힌지바디(511)에는 제1축(511b)을 지지하는 축지지부(511a)가 구비되는데, 축지지부(511a)는 프론트패널(11)에서 돌출된 뒤 투입구(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프론트패널(11)에서 돌출된 형상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축 착탈부(513)는 도어바디(31)에 구비되는 하우징(513a), 하우징(513a)에 구비되어 제1축(511b)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축 수용부(513b)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축 수용부(513b)는 인너프레임(31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하우징(513a)에는 도어바디(31)의 너비방향(W)을 따라 하우징(513a)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축 전환부(6)의 제1전환부(61)가 삽입되는 전환부 관통홀(513c, 도 12 참고)이 구비된다.
따라서, 핸들(4)에 의해 제1전환부(61)가 도어바디(31)의 너비방향(W)을 따라 왕복운동하면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은 제1축 수용부(513b)에 노출되어 제1축 수용부를 폐쇄할 수도 있고, 전환부 관통홀(513c)에 삽입되어 제1축 수용부(513b)를 개방할 수도 있다.
제1축 수용부(513b)가 폐쇄되면 제1축(511b)은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거나 제1축 수용부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제1축 수용부(513b)가 개방되면 제1축(511b)은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거나 제1축 수용부에 삽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2힌지(53)는 제2축(531c)이 구비된 도어 지지부(531), 제3축(533c)을 통해 도어지지부(531)를 프론트패널(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캐비닛 결합부(533)로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 결합부(533)는 프론트패널(11)에 고정되는 결합부 바디(533a), 제3축(533c)를 통해 결합부 바디(53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533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지지부(531)는 회전판(533b)에 고정되는 지지부 바디(531a), 지지부 바디(531a)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제2축(531c)이 지지되는 축지지부(531b)로 구비될 수 있다.
도어바디(31)는 제2축(531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축(531c)은 제1힌지(51)의 제1축(511b)과 나란하게 구비되므로 제1회전축(X)은 제1축(511b)과 제2축(531c)에 의해 형성된다.
제3힌지(55)는 도어바디(31)와 프론트패널(1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4축(551a), 도어바디(31)와 프론트패널(1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제4축(551a) 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축 착탈부(552)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제4축(551a)은 도어바디(31)에 구비되고, 제4축 착탈부(552)는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제4축(551a)은 도어바디(31)에 고정된 제3힌지 바디(551)에 의해 지지되며, 제3힌지 바디(551)에 지지된 제4축(551a)은 인너프레임(312)의 외부에 노출된다.
제4축 착탈부(552)는 프론트패널(11)에 고정되는 착탈부 바디(553), 착탈부 바디(553)에 구비되며 제4축(551a)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4축 수용부(555), 착탈부 바디(553)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후술할 회전축 전환부(6)의 제2전환부(63)가 수용되는 전환부 수용부(557)로 구비될 수 있다.
제4축 수용부(555)는 착탈부 바디(553)가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수용홈(555a), 수용홈(555a)에 삽입된 제4축(551a)의 원주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착탈부 바디(553)에서 수용홈(555a)을 향해 돌출된 제1플랜지(555b)로 구비될 수 있다.
수용홈(555a)은 제3축(553c)과 나란하게 구비되므로 수용홈(555a)에 삽입된 제4축(551a)은 제3축(533c)과 함께 제2회전축(Y)을 형성하게 된다.
전환부 수용부(557)는 착탈부 바디(553)에서 돌출되며 수용홈(555a)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플랜지(557a), 제2플랜지(557a)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제1전환부(61)에 의해 도어바디(31)의 높이방향(H)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제2전환부(63)의 제1자유단(63e)이 삽입되는 플랜지 관통홀(557b)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바디(31) 내부에는 사용자가 회전축(X, Y)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회전축 전환부(6)가 구비된다.
회전축 전환부(6)는 핸들(4)에 의해 도어바디(31)의 너비방향(W)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제1전환부(61), 제1전환부(61)에 의해 도어바디(31)의 높이방향(H)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제2전환부(63)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전환부(61)는 도어바디(31)의 너비방향(W)을 따라 구비되되 투입구(111)의 상부에 위치하는 바(bar)로 구비될 수 있는데, 제1전환부(61)의 제1자유단(61e)은 전환부 관통홀(513c)에 삽입되어 제1축 착탈부(513)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제1전환부(61)의 제2자유단(61f)은 제2전환부(63)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제1전환부(61)는 아우터프레임(311)과 인너프레임(3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1전환부 가이더(315)에 의해 지지되는데, 도 4는 제1전환부 가이더(315)가 아우터프레임(311)에 구비됨으로써 제1전환부(61)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환부(61)에는 접촉부(611)가 구비된다. 접촉부(611)는 핸들(4)의 가압부(45)가 인너프레임(312)을 향해 회전하면 제1전환부(61)를 제2전환부(63)가 위치된 방향(도 4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즉, 접촉부(611)는 제1전환부(61)에서 인너프레임(312)을 향해 돌출된 접촉부 바디(6111), 접촉부 바디에 구비되어 가압부(45)에 접촉하며 제1자유단(61e)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면(611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가압하면 가압부(45)는 인너프레임(312)을 향해 이동하고, 경사면(6113)은 가압부(45)에 의해 제2전환부(63)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본 발명은 핸들(4)을 통해 제1전환부(61)를 제2전환부(63)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접촉부(611)는 제한된 두께를 가진 도어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1전환부(61)에는 아우터프레임(311)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613)가 더 구비되고, 접촉부(611)는 절곡부(613)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절곡부(613)는 도 4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프레임(613)을 향해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곡부(613)에는 가압부(45)에 접촉하는 경사면(6131, 절곡부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절곡부(613)에 가압부(45)가 접촉되는 경사면(6131)이 구비되면 도 4 (b)의 접촉부(611)는 생략될 수 있다.
제2전환부(63)는 도어바디(31)의 높이방향(H)을 따라 구비되는 바(bar)로 구비될 수 있는데, 제2전환부(63)의 제1자유단(63e, 제3자유단)은 제4축(551a)과 아우터프레임(311)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며, 제2전환부(63)의 제2자유단(63f, 제4자유단)은 제1전환부(61)의 제2자유단(61f)에 접촉된다.
핸들(4)을 통해 제1전환부(61)에 입력되는 외력이 제2전환부(63)에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전환부의 제2자유단(61f)과 제2전환부의 제2자유단(63f)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전환부 경사면(6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전환부 경사면(631, 제2전환부 경사면)이 제2전환부(63)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제2전환부(63)는 아우터프레임(311)과 인너프레임(3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2전환부 가이더(316)에 의해 지지되는데, 도 4 (a)는 제2전환부 가이더(316)가 아우터프레임(311)에 구비됨으로써 제2전환부(63)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도어(3)가 제1회전축(X)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회전축 전환부(6)에는 제1전환부(61)를 제1축 착탈부(513)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 전환부(6)에 구비되는 탄성지지부는 제2전환부(63)를 탄성지지하되 제2전환부(63)의 제1자유단(63e)이 전환부 수용부(557)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지지부(633)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핸들(4)을 통해 제1전환부(61)가 제2전환부(63)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면(핸들을 조작하지 않으면), 제2전환부(63)는 제2지지부(633)에 의해 제1자유단(63e)이 전환부 수용부(557)에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2지지부(633)에 의해 제2전환부의 제1자유단(63e)이 전환부 수용부(557)에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면, 제1전환부(61)의 제2자유단(61e)은 제2전환부(63)의 제2자유단(63f)에 의해 제1축 착탈부(513)를 향해 가압되므로 제1축(511b)은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에 의해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4)을 조작하지 않으면 도어(3)는 제1회전축(X)을 통해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한 경우, 도어(3)가 제1회전축(X)을 통해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은 도어(3)가 제1회전축(X)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자중에 의해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즉,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한 때 도어가 제2회전축(Y)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도어에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도어가 회전하는 방향이 유사하여 도어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한 때 도어(3)가 제1회전축(X)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술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2지지부(633)는 일단은 제2전환부(63)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우터프레임(311)과 인너프레임(31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회전축 전환부(6)에 구비된 탄성지지부는 상술한 제2지지부(633)에 더해 제1전환부(61)를 탄성지지하는 제1지지부(61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지지부(615)는 제1전환부(61)의 제1자유단(61e)을 제1축 수용부(513b)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고하여, 도어(3)의 회전축(X, Y) 변경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도어바디(31)가 프론트패널(11)에 접촉된 경우, 핸들바디(41)가 가압되지 않은 경우), 제1전환부(61)는 제1지지부(615)에 의해 제1힌지(51)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은 제1축(511b)이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제4축(551a)은 제4축 수용부(555)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제2전환부(63)의 제1자유단(63e)는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관통홀(557b)에 삽입되지 않는다. 제2전환부(63)는 제1전환부(61)가 핸들(4)에 의해 제1힌지(51)에서 멀어지는 방향(도 5 (a)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한 제4축 착탈부(552)를 향해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경우, 도어(3)는 제1축(511b)과 제2축(531c)에 의해 형성되는 제1회전축(X)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이 때, 사용자가 핸들수용부(314)를 이용하여 도어바디(31)를 프론트패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핸들(4)을 가압하지 않음) 도어(3)는 제1회전축(X)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1)를 개방하게 된다(도 3 참고).
한편,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4)을 가압하면 제1전환부(61)와 제2전환부(63)는 도 6에 도시된 형태의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가압하면 가압부(45)는 인너프레임(312)을 향해 이동하여 접촉부(611)에 구비된 경사면(6113)을 가압하므로, 제1전환부(61)는 제2전환부(63)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제1전환부(61)가 제2전환부(63)를 향해 이동하면,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은 도어바디(31) 내부를 향해 이동하고, 제1전환부의 제2자유단(61f)은 제2전환부(63)의 전환부 경사면(631)을 가압하게 된다.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이 도어바디(31) 내부를 향해 이동하면 제1축(511b)은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되고, 제1전환부의 제2자유단(61f)이 전환부 경사면(631)을 가압하면 제2전환부의 제1자유단(63e)은 제3힌지(55)의 플랜지 관통홀(557b)에 삽입되어 제4축(551a)이 제4축 수용부(555)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도 6 (b)).
따라서,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누르면 도어(3)는 제4축(551a)과 제3축(533c)에 의해 형성되는 제2회전축(Y)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도 1의 상태).
이 때,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누른 채 도어바디(31)를 프론트패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도어(3)는 제2회전축(Y)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1)를 개방하게 된다(도 6 (c)).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제1회전축(X)은 캐비닛의 바닥면 대해 수직한 수직축으로 구비되고, 제2회전축(Y)은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여 제1회전축(X)과 제2회전축(Y)을 구성할 필요는 없다.
한편, 상술한 구조만을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도어바디(31)가 제1회전축(X)에 의해 회전할 때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누르면 제1축(511b)이 제1축 착탈부(513)에서 분리될 위험이 있다.
또한,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에 의해 회전할 경우, 상술한 구조만을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핸들바디(41)가 가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해야만 제4축(551a)이 제4축 수용부(555)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도어(3)가 투입구(111)를 개방하면(도어바디가 프론트패널에서 분리되면) 제1전환부(61)나 제2전환부(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고정(제1전환부나 제2전환부를 구속)시키는 락(7, Lock)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7)은 도어바디(31) 내부에 구비되며 도어바디(31)의 두께방향(T)을 따라 이동 가능한 락 바디(lock body, 71), 락 바디(71)에 구비되되 인너프레임(312)을 관통하여 도어바디(31) 외부에 노출되는 바디 가압부(73), 락 바디(71)의 작동여부에 따라 제1전환부(61)에 착탈 가능한 고정부(77)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락(7)이 도어바디(31) 내부에 구비될 경우, 아우터프레임(311)에는 락 바디(71)가 수용되는 락 바디 수용홈(317)이 더 구비되고, 인너프레임(312)에는 바디 가압부(73)가 관통하는 프레임 관통홀(313, 도 8 참고)이 더 구비되며, 제1전환부(61)에는 고정부(77)가 결합되는 체결부(617)가 더 구비된다.
락 바디 수용홈(317)은 락 바디(71)의 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 인너프레임(312)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중공 바(hollow bar)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락 바디 수용홈(317)은 락 바디(71)의 왕복운동이 제1전환부(61)와 간섭되지 않는 한 아우터프레임(311)의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락 바디 수용홈(317)이 제1전환부(61)의 상부에 위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락 바디 수용홈(317) 내부에는 락 바디(71)를 탄성지지하는 바디지지부(79)가 구비되며, 바디지지부(79)는 락 바디(71)를 인너프레임(312)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락 바디(71)에 제공한다.
한편, 락 바디(71)가 도어바디의 높이방향(H)을 기준으로 제1전환부(61)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고정부(77)는 락 바디(71)에서 제1전환부(61)와 아우터프레임(311) 사이의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바디플랜지(75)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플랜지(75)는 락 바디(71)에서 도어바디(31)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1전환부(61)와 아우터프레임(311) 사이에 위치하고, 고정부(77)는 바디플랜지(75)에서 제1전환부(61)에 구비된 체결부(617)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617)는 도어바디의 너비방향(W)을 따라 구비되는 제1체결부(617a) 및제2체결부(617b)로 구비될 수 있는데,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에서 제2체결부(617b)까지의 거리는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에서 제1체결부(617a)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구비되어야 한다.
각 체결부(617a, 617b)는 제1전환부(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체결홀 또는 제1전환부(61)가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체결홈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7과 도 8은 체결부가 체결홀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고정부(77)는 바디플랜지(75)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고정돌기(771)로 구비될 수 있는데, 제1고정돌기(771)는 제1전환부(61)의 위치에 따라 제1체결부(617a)나 제2체결부(617b)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가능하다.
즉, 제1체결부(617a)와 제2체결부(617b)의 너비(w1)가 동일하게 구비될 경우, 제1고정돌기(771)의 너비(w2)는 체결부의 너비(w1) 이하로 구비된다.
한편, 제1전환부(61)가 도어바디(31)의 너비방향(W)을 따라 이동하는 거리는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누르는 정도(가압부의 회전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고정부(77)가 제1고정돌기(771)로만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통해 가압부(45)를 충분히 회전시키기 않으면 제1고정돌기(771)가 두 체결부(617a, 617b)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구비된 락(7)은 제1고정돌기(771)의 너비(w2) 보다 작은 너비(w3)를 가지는 제2고정돌기(772)가 제1고정돌기(771)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고정돌기(772)가 제1고정돌기(771)의 상부면 중앙 또는 제1고정돌기(771)의 상부면 중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을 향하는 모서리(제1힌지(51)를 향하는 모서리)에 구비되면, 제2체결부(617b)의 후방에 위치된 제2고정돌기(772)의 전방으로 제1체결부(617a)가 이동하기 위해 제1전환부(61)가 이동해야 하는 거리는 제2체결부(617b)의 후방에 위치된 제1고정돌기(771)의 전방으로 제1체결부(617a)가 이동하기 위해 제1전환부(61)가 이동해야 하는 거리에 비해 짧아진다.
따라서, 제1고정돌기의 너비(w2)보다 작은 너비(w3)를 가진 제2고정돌기(772)가 제1고정돌기(771)에 구비되면 가압부(45)를 조금만 회전시켜도 고정부(77)의 전방에 제1체결부(617a)를 위치시킬 수 있어 고정부(77)를 체결부(617)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락(7)이 구비된 도어(3)가 투입구(111)를 개방하는 과정 및 회전축(X, Y) 전환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축(Y)을 통해 회전하는 도어바디(31)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바디 가압부(73)는 프론트패널(11)에 의해 가압되므로 락 바디(71)는 락 바디 수용홈(317) 내부에서 아우터프레임(311)을 향해 이동한다. 이 때 바디지지부(79)는 락 바디(71)에 의해 압축된다.
락 바디(71)가 락 바디 수용홈(317) 내부에서 아우터프레임(311) 방향으로 이동하면 고정부(77)는 제1체결부(617a)에서 인출되며, 제1전환부(61)는 제1지지부(615)에 의해 제1힌지(51)를 향해 이동한다.
제1전환부(61)가 제1지지부(615)에 의해 제1힌지(51)를 향해 이동하면, 고정부(77)의 전방에는 제2체결부(617b)가 위치하고,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은 제1축(511b)이 제1축 수용부(513b)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가 되며, 제2전환부의 제1자유단(63e)은 플랜지 관통홀(557b)에서 인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누르지 않고 핸들수용부(314)에 손을 넣어 도어바디(31)를 당기면 도어바디(31)는 제1회전축(X)을 통해 회전하게 된다.
도어바디(31)가 제1회전축(X)을 통해 회전하기 시작하면 바디 가압부(73)와 프론트패널(11)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므로 바디 가압부(73)를 아우터프레임(311) 방향으로 가압하는 외력이 사라진다.
따라서, 락 바디(71)는 바디지지부(79)의 복원력에 의해 인너프레임(312)을 향해 이동하고, 락 바디(71)가 인너프레임(312)을 향해 이동하면 고정부(77)는 제2체결부(617b)에 삽입된다.
고정부(77)가 제2체결부(617b)에 삽입되면 제1전환부(61)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도어바디(31)가 제1회전축(X)을 통해 회전하는 동안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누르더라도 제1축(511b)은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제1회전축(X)을 통해 회전하는 도어바디(31)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바디 가압부(73)는 프론트패널(11)에 의해 가압되고, 락 바디(71)는 락 바디 수용홈(317) 내부에서 아우터프레임(311)을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고정부(77)는 제2체결부(617a)에서 인출(제1전환부의 구속상태가 해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누르면 제1전환부(61)의 제2자유단(61f)은 제2전환부(63)의 제2자유단(63f)에 구비된 전환부 경사면(631)을 가압한다. 따라서,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은 제1축(511b)이 제1축 착탈부(513)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제1축 수용부(513b)를 개방하고, 제2전환부의 제1자유단(63e)은 플랜지 관통홀(557b)에 삽입되며, 고정부(77)의 전방에는 제1체결부(617a)가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누른상태에서 도어바디(31)를 프론트패널(11)에서 분리시키면 도어바디(31)는 제2회전축(Y)을 통해 회전하기 시작할 것이다.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을 통해 회전하기 시작하면 바디 가압부(73)와 프론트패널(11)의 접촉상태가 해제된다. 바디 가압부(73)를 아우터프레임(311) 방향으로 가압하는 외력이 사라지면 고정부(77)는 제1체결부(617a)에 삽입되어 제1전환부(61)가 제2전환부(63)를 가압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회전축(Y)을 통해 도어바디(31)가 회전할 때 핸들바디(41)가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아도 도어바디(31)의 회전 중 제4축(551a)이 제4축 수용부(555)에서 분리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락(7)은 고정부(77)가 제1전환부(61)의 후방면에서 아우터프레임(311)을 향해 왕복운동 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 구비된 락(7)은 고정부(77)가 인너프레임(312)에서 제1전환부(61)의 전방면을 향해 왕복하도록 구비되어 제1전환부를 고정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락(7)은 바디 가압부(73)가 락 바디(71)에서 분리되어 프론트패널(11)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어바디(31)가 프론트패널(11)에 접촉하면 바디 가압부(73)는 인너프레임의 프레임 관통홀(312)에 삽입되어 락 바디(71)를 가압하는 구조가 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락(7)은 고정부(77)가 제1전환부(61)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 구비된 락(7)은 제2전환부(63)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1체결부(617a) 및 제2체결부(617b)는 제2전환부(63)에 구비되어야 하고, 제2전환부의 제1자유단(63e)에서 제1체결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자유단(63e)에서 제2체결부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구비된다. 따라서, 고정부(77)가 제1체결부에 결합되면 도어(3)는 제1회전축(X)에 결합되고, 고정부(77)가 제2체결부에 결합되면 도어(3)는 제2회전축(Y)에 결합될 것이다.
도 9는 상술한 락(7)이 핸들(4)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락(7)이 핸들(4)을 고정하는 구조로 구비될 경우, 핸들바디(41)에는 락(7)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바디 제1체결부(451), 바디 체결부(451)의 하부에 위치되는 바디 제2체결부(453)가 구비되는데, 바디 제1체결부(451)와 바디 제2체결부(453)는 바디회전축(4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락(7)은 도어바디(31)의 너비방향(W)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디 제1체결부(451) 및 바디 제2체결부(453) 각각에 삽입 가능한 락 바디(71), 락 바디(71)를 탄성지지하되 락 바디(71)를 핸들(4)이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바디 지지부(79), 락 바디(71)에 구비되는 바디 경사면(72),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바디 경사면(72)에 접촉하여 락 바디(71)를 이동시키는 바디 가압부(73)로 구비될 수 있다.
바디 가압부(73)는 도어바디(31) 내부에서 도어의 두께방향(T)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되어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때 바디 경사면(72)을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은 바디 가압부(73)가 도어의 두께방향(T)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어바디(31)에는 바디 가압부(73)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압부 가이더(3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 가이더(318)는 회전축 전환부(6)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하며, 도 10은 가압부 가이더(318)가 제1전환부(61)의 상부에 위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바디 가압부(73)는 바디 가압부(73)에서 바디 경사면(72)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바디 제1가압부(74), 바디 가압부(73)에서 프론트패널(11)을 향해 돌출되는 바디 제2가압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바디(31)가 투입구(111)를 폐쇄하면 바디 제2가압부(78)는 프론트패널(11)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바디 제1가압부(74)는 바디 경사면(72)에 접촉하여 락 바디(71)를 핸들(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10 (a)).
한편, 도어바디(31)가 투입구(111)를 개방하면 바디 제2가압부(78)에 공급되는 외력이 사라진다. 따라서, 락 바디(71)는 바디 지지부(79)에 의해 핸들(4)을 향해 이동하고, 바디 제1가압부(74)는 바디 경사면(72)에 의해 인너프레임(312)을 향해 이동하므로 바디 제2가압부(78)는 인너프레임(312)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초기위치, 도 10 (b))로 복귀하게 된다.
바디 가압부(73)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돕기 위해 도어바디(31)에는 바디 가압부(73)를 탄성지지하는 가압부 지지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 역시 도어(3)가 투입구(111)를 폐쇄한 상태에 있으면 제1전환부(61)는 제1축(511b)이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락 바디(71)는 핸들(4)을 구속하지 않는다(락 바디(71)는 바디 제1체결부(451)에 삽입되지 않는다, 도 10 (a)).
그러나, 도어(3)가 제1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를 개방하면, 바디 제2가압부(78)에 공급되는 외력이 사라지므로 락 바디(71)의 자유단(free end)은 바디 지지부(79)에 의해 바디 제1체결부(451)에 삽입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 역시 도어(3)가 제1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핸들(4)이 작동됨으로써 제1축(511b)이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어(3)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락 바디(71)의 자유단은 바디 제2체결부(453)에 결합되어 핸들(4)을 구속한다.
도어(3)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하려면, 사용자는 핸들바디(41)를 통해 제2전환부(63)가 가압되도록 제1전환부(61)를 이동시켜야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디 제1체결부(451)의 하부에는 바디회전축(43)을 중심으로 하고 바디 제1체결부(451)를 지나는 원주 상에 바디 제2체결부(453)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핸들바디(41)를 회전시키면, 바디 제1체결부(451)는 락 바디(71)의 왕복운동 경로를 벗어나고, 바디 제2체결부(453)는 락 바디(71)의 왕복운동 경로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바디(31)를 프론트패널(11)에서 분리시키면 락 바디(71)의 자유단은 핸들(4)을 향해 이동하여 바디 제2체결부(453)에 삽입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핸들(4)이 작동됨으로써 제4축(551a)이 제4축 수용부(555)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b)는 바디 제1체결부(451)와 바디 제2체결부(453)가 핸들바디(41)를 관통하는 홀(hole) 또는 핸들바디(41)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groove)의 형태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바디 제1체결부(451)와 바디 제2체결부(453)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으며, 도 9 (c)는 바디 제1체결부와 바디 제2체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핸들바디(41)의 가장자리에 홈의 형태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도 도시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구비되는 락(7)은 바디 가압부(73), 바디 가압부(73)에서 바디 경사면(72)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바디 제1가압부(74),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되어 도어바디(31)가 투입구를 폐쇄할 때 바디 제1가압부(74)를 바디 경사면(72) 방향으로 가압하는 바디 제2가압부(78)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어바디의 인너프레임(312)에는 도어바디(31)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바디 제2가압부(78)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고, 바디 가압부(73)는 상기 삽입홀에 바디 제2가압부(78)가 삽입될 때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1)를 개방한 도어바디(31)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도어락(33)은 도어락 체결부(113)에 결합된 반면 제1축(511b)은 제1축 수용부(513b)에 결합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도 1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축(Y)에서 도어락(33)까지의 거리가 제2회전축(Y)에서 제1축 수용부(513b)까지의 거리보다 짧기 때문에 도어바디(31)가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도어락(33)이 도어락 체결부(113)에 결합되는 과정이 제1축(511b)이 제1축 수용부(513b)에 결합되는 과정보다 먼저 진행된다.
따라서, 제1축(511b)이 제1축 수용부(513b)에 결합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도어락(33)과 도어락 체결부(113)가 결합된 때 도어바디(31)가 투입구(111)를 완전히 폐쇄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
도어바디(31)가 투입구(111)를 폐쇄하고 있으면서 제1축(511b)과 제1축 수용부(513b)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 있으면 사용자는 제1회전축(X)을 기준으로 도어바디(31)를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될 것이다.
또한, 제1축(511b)과 제1축 수용부(513b)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도어바디(31)가 투입구(111)를 폐쇄하고 있으면 경우에 따라(락과 회전축 전환부가 분리된 경우) 제4축(551a)도 제4축 착탈부(552)에서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되어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도 회전하기 어려운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도어락(33)이 제1축 수용부(513b)를 통과하되 제2회전축(Y)에 나란한 수평선(F1)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 수용부(513b)와 도어락(33)이 제2회전축(Y)에 나란한 하나의 수평선(F1) 상에 위치되면 상술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도어락(33)은 제2회전축(Y)과 도어락(33)을 통과하되 제2회전축(Y)에 평행한 수평선 사이의 거리가 제2회전축(Y)과 제1축 수용부(513b)를 통과하되 제2회전축(Y)에 평행한 수평선(F1) 사이의 거리보다 더 멀어지는 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제2회전축(Y)에서 도어락(33)까지의 거리가 제2회전축(Y)에서 제1축 수용부(513b)까지의 거리보다 길어지면, 제1축(511b)과 제1축 수용부(513b)의 결합이 도어락(33)과 도어락 체결부(113)의 결합보다 먼저 진행되므로 상술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도어락(33)의 위치가 제1축 수용부(513b)에 가까우면 도어(3)가 제1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1)를 폐쇄할 때 도어락(33)과 도어락 체결부(113)의 결합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구비된 도어락(33)은 제1축 수용부(513b)를 통과하되 제2회전축(Y)에 나란한 수평선(F1)과 제1회전축(X)에 평행하되 제4축(551a)을 통과하는 수직선(F2)의 교점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직선(F2)은 도어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회전축(X)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되면 충분하다.
한편, 도어락(33)에 의해 제1축(511b)이 제1축 수용부(513b)에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도 12에 도시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일 때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이 제1축 수용부(513b)에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이 제1축 수용부(513b)에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면,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도어바디(31)를 회전시켜 투입구(111)를 폐쇄시킬 때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이 제1축(511b)에 제공하는 반발력, 제1축(511b)이 제1자유단(61e)을 통과할 때 발생되는 소리 등을 통해 사용자가 제1축(511b)과 제1축 수용부(513b)의 결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은 제1축 수용부(513b)에 돌출되되 제1축 수용부(513b)을 완전히 폐쇄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도어바디(31)가 프론트패널(11)에 접촉하여 고정부(77)가 제1체결부(617a)와 분리될 때 제1축 수용부(513b) 내부에 제1자유단(61e)이 이동 가능한 공간이 남아 있어야만 제2전환부의 제1자유단(63e)이 제3힌지(55)의 전환부 수용부(557)에서 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2 (b)는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이 제1축 수용부의 너비(w4)의 절반 이하의 길이로 돌출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제1축(511b)이 제1자유단(61e)을 통과할 때 소리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제1체결부의 너비(w1)에서 제1고정돌기(771)의 너비(w2)를 뺀 길이(w1-w2)는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이 제1축 수용부(513b)에 돌출된 길이 이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도어바디(31)를 프론트패널(11)을 향해 회전시키면 제1축(511b)은 제1축 수용부(513b)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을 가압하게 된다(사용자는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이 제공하는 반발력 인지).
제1체결부의 너비(w1)가 제1고정돌기(771)의 너비(w2)보다 크고, 제1전환부(61)는 제1지지부(615)에 의해 지지되므로 제1고정돌기(771)가 제1체결부(617a)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은 전환부 관통홀(513c)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1축(511b)이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을 가압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에는 제1축(511b)이 제1축 수용부(513b)에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전환부 경사면(612, 제1전환부 경사면)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전환부 관통홀(513c)에 삽입된 제1전환부(61)의 제1자유단(61e)은 제1축(511b)이 제1자유단(61e)을 통과한 뒤 제1지지부(615)에 의해 전환부 관통홀(513c)에서 인출되며, 이 과정에서 제1고정돌기(771)나 제2고정돌기(772)가 제1체결부(617a)에 충돌하는 소리가 발생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축(511b)이 제1축 착탈부(513)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정과 거의 동시에 도어바디(31)는 프론트패널(11)에 접촉하므로 고정부(77)는 제1체결부(617a)에서 인출된다.
고정부(77)가 제1체결부(617a)에서 인출되면,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61e)은 제1지지부(615)에 의해 제1축 수용부(513b)를 폐쇄하므로 제1축(511b)은 제1축 수용부(513b)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되고, 제2전환부의 제1자유단(63e)은 제3힌지(55)의 플랜지 관통홀(557b)에서 인출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도어바디(31)가 회전할 경우, 도어바디(31)의 회전속도가 너무 빠르면 도어바디(31)의 자중에 의해 힌지부(5) 등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어바디(31)의 낙하속도를 조절하는 댐퍼(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8)는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되어 도어(3)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댐퍼(8)는 프론트패널(11)의 후방면에 고정되는 댐퍼하우징(81), 댐퍼하우징의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자유단(free end)이 도어(3)에 접촉하는 피스톤(83), 댐퍼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피스톤을 지지하는 피스톤 지지부(85)로 구비될 수 있다.
댐퍼하우징(81)은 일면이 개방된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댐퍼하우징(81)의 내부에는 일면이 개방된 피스톤 수용홈(811)이 구비되고, 피스톤(83)은 피스톤 수용홈(811)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프론트패널(11)에 직교하는 수평선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다.
댐퍼하우징(81)은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하우징 제1플랜지(814), 댐퍼하우징(81)을 프론트패널(11)에 결합시키기 위해 하우징 제1플랜지(814)에 구비되는 하우징 고정홀(815)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 고정홀(815)은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된 댐퍼 고정홀(117)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가 댐퍼 고정홀(117)을 통해 하우징 고정홀(815)에 삽입되면 댐퍼하우징(81)은 프론트패널(11)에 고정된다.
피스톤(83)은 댐퍼하우징(81)의 피스톤 수용홈(811)에 삽입되어 피스톤 지지부(85)에 의해 지지되는 피스톤 바디(831) 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피스톤 바디(831)의 자유단은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된 피스톤 관통홀(115)을 통해 프론트패널(11)의 외부에 노출된다. 이 경우, 피스톤 바디(831)의 자유단은 도 1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의 인너프레임(312)에 접촉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어(3)가 투입구(11)를 폐쇄한 상태일 때 피스톤 바디(831)의 자유단이 도어(3)와 접촉되지 않고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 도어(3)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도어바디(31)가 댐퍼(8)의 지지를 받지 못한 채 회전하는 구간을 발생되어 도어바디(31)의 회전속도가 지나치게 증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프론트패널(11)을 향하는 도어바디(31)의 일면(인너프레임) 하단에는 프론트패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접촉면(35)이 구비될 경우, 도 14 (b)의 구조는 도어바디(31)가 회전할 때 인너프레임(312)이 피스톤 바디(831)를 가압하지 못하고 미끄러질 가능성이 있다.
접촉면(35)은 도어바디(31)의 가장자리 회전반경을 최소화함으로써 도어바디(31)와 프론트패널(11)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도어바디(31)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수단(최대 회전각도 설정수단)이 될 수 있다.
도어바디(312)가 피스톤 바다(831)를 가압하지 못하고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스톤 바디(831)에는 접촉면(35)에 접촉하는 피스톤 경사면(8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4 (c)).
피스톤 바디(831)와 도어바디(31)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도어바디(31)가 회전할 때 접촉면(35)이 피스톤 바디(831)를 가압하지 못하고 미끄러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피스톤 경사면(835)의 단면은 접촉면(35)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접촉면(35)이 프론트패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평면(도어 경사면)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피스톤 경사면(835)은 상기 접촉면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평면으로 구비되고, 접촉면(35)이 곡률반경을 가진 곡면으로 구비될 경우 피스톤 경사면(835)도 접촉면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피스톤 경사면(835)이 피스톤 바디(831)에 구비될 경우, 피스톤 경사면(835)은 피스톤 바디(831)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해야만 피스톤 경사면(835)이 도어바디의 접촉면(35)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8)를 프론트패널(11)에 조립할 때 작업자의 실수로 댐퍼(8)의 상하방향이 바뀌면 도 14 (c)의 댐퍼는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게 될 것이다.
댐퍼(8)와 프론트패널(11)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댐퍼하우징(81)과 프론트패널(11) 중 어느 하나에는 제1위치 설정부(817)가 더 구비되고, 댐퍼하우징(81)과 프론트패널(11) 중 나머지 하나에는 제2위치 설정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는 제1위치 설정부(817)는 댐퍼하우징(81)에 구비되고, 제2위치 설정부(119)는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제1위치 설정부(817)는 댐퍼하우징(8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하우징 제2플랜지(816)에 구비되고, 제2위치 설정부(119)는 제1위치 설정부(817)가 수용되는 수용홈 또는 수용홀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1위치 설정부(817)는 하우징 고정홀(815)을 통과하는 수평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위치 설정부(817)가 하우징 고정홀(815)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 위치되면 댐퍼하우징(81)의 방향성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위치 설정부(817, 119)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피스톤 바디(831)가 댐퍼하우징(81)의 피스톤 수용홈(81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다면 피스톤 경사면(835)은 의도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게 된다.
피스톤 바디(831)가 피스톤 수용홈(811)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스톤 바디(831)의 원주면에는 가이더(833)가 구비되고, 피스톤 수용홈(811)에는 가이더(833)가 수용되는 가이더 홈(8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이더(833)는 피스톤 바디(831)의 원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고, 가이더 홈(813)은 피스톤 수용홈(811)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되 댐퍼하우징(8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댐퍼(8)는 댐퍼하우징(81)이 하나의 하우징 고정홀(815)을 통해 프론트패널(11)에 고정되기 때문에 도어(3)의 하중에 의해 댐퍼하우징(81)이 프론트패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릴 경우 댐퍼(8)를 통해 의도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댐퍼하우징(81)을 프론트패널(11)에 고정시키는 브라켓(8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87)은 프론트패널(11)에 고정되어 하우징 제2플랜지(816)가 프론트패널(1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프론트패널(11)에 두 개의 댐퍼(8)가 구비될 경우 브라켓(87)도 두 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브라켓(87)은 제2힌지(53)의 캐비닛 결합부(533)나 제3힌지의 제4축 착탈부(552)의 지지수단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다.
즉, 프론트패널(11)의 전방면에 위치하는 캐비닛 결합부(533)는 결합부 바디(533a)가 프론트패널(11)을 관통하여 프론트패널(11)의 후방면에 위치된 브라켓(87)에 고정될 수 있고, 제4축 착탈부(552) 역시 프론트패널(11)의 후방면에 위치된 브라켓(8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댐퍼(8)가 프론트패널(11)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어(3)가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댐퍼(8)는 프론트패널(11)의 후방을 향해 작용하는 힘을 받게 되는데, 브라켓(87)이 캐비닛 결합부(533)나 제4축 착탈부(552)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면 도어(3)가 회전할 때 브라켓(87)에는 프론트패널(11)의 전방을 향하는 외력이 공급되어 댐퍼하우징(81)이 프론트패널(11)에서 분리되는 것을 자연스럽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댐퍼(8)는 사용자가 도어의 회전축(X, Y)을 선택 가능한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이는 일례에 불과하다. 따라서, 상술한 댐퍼(8)는 도어바디(31)가 제2회전축(Y)만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프론트패널
2: 의류수용부 3: 도어 31: 도어바디
311: 아우터프레임 312: 인너프레임 314: 핸들수용부
33: 도어락 35: 접촉면 4: 핸들
5: 힌지부 51: 제1힌지 511: 제1힌지바디
511b: 제1축 513: 제1축 착탈부 513b: 제1축 수용부
53: 제2힌지 531: 도어 지지부 531c: 제2축
533: 캐비닛 결합부 533c: 제3축 55: 제3힌지
551: 제3힌지 바디 551a: 제4축 552: 제4축 착탈부
555: 제4축 수용부 6: 회전축 전환부 61: 제1전환부
63: 제2전환부 7: 락 71: 락 바디
73: 바디 가압부 75: 바디 플랜지 77: 고정부
8: 댐퍼 81: 댐퍼 하우징 83: 피스톤
85: 피스톤 지지부 87: 브라켓
2: 의류수용부 3: 도어 31: 도어바디
311: 아우터프레임 312: 인너프레임 314: 핸들수용부
33: 도어락 35: 접촉면 4: 핸들
5: 힌지부 51: 제1힌지 511: 제1힌지바디
511b: 제1축 513: 제1축 착탈부 513b: 제1축 수용부
53: 제2힌지 531: 도어 지지부 531c: 제2축
533: 캐비닛 결합부 533c: 제3축 55: 제3힌지
551: 제3힌지 바디 551a: 제4축 552: 제4축 착탈부
555: 제4축 수용부 6: 회전축 전환부 61: 제1전환부
63: 제2전환부 7: 락 71: 락 바디
73: 바디 가압부 75: 바디 플랜지 77: 고정부
8: 댐퍼 81: 댐퍼 하우징 83: 피스톤
85: 피스톤 지지부 87: 브라켓
Claims (20)
- 투입구가 형성된 프론트패널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1회전축;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되 상기 도어가 상기 제1회전축에 의한 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회전축;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 연결시키는 제1전환부;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1전환부가 이동하면 상기 도어를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시키는 제2전환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1전환부와 상기 제2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락(loc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환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거나 상기 제2전환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락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전환부와 상기 제2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환부는 상기 도어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전환부는 상기 도어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를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1전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축에서 상기 제1체결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회전축에서 상기 제2체결부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구비되며,
상기 락이 상기 제2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도어는 상기 제1회전축에만 결합되고, 상기 락이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도어는 상기 제2회전축에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2전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축에서 상기 제1체결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회전축에서 상기 제2체결부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구비되며,
상기 락이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도어는 상기 제1회전축에만 결합되고, 상기 락이 상기 제2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도어는 상기 제2회전축에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도어가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전환부를 상기 제2회전축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전환부를 탄성 지지하되 상기 제1전환부를 상기 제1회전축이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지지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전환부를 탄성 지지하되 상기 제2전환부를 상기 제2회전축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은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 각각에 착탈 가능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락은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한 락 바디;
상기 락 바디와 상기 도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락 바디를 탄성지지하는 바디지지부;
상기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프론트패널에 접촉하여 상기 락 바디를 상기 제1전환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바디 가압부;
상기 락 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가 지지되는 바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1전환부를 관통하는 체결홀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 플랜지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고정돌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돌기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고정돌기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는 제2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전환부를 상기 제1회전축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도어의 외부에 노출되어 구비되는 핸들바디;
상기 핸들바디가 상기 프론트패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핸들바디와 상기 도어를 결합시키는 바디회전축;
상기 핸들바디에 의해 상기 바디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전환부 또는 상기 제2전환부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을 형성하는 제1축,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이 수용되며 상기 제1전환부에 의해 개폐되는 제1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1힌지;
상기 제1축과 함께 상기 제1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에 결합된 제2축, 상기 제2축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며 상기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3축이 구비된 제2힌지;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3축과 함께 상기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4축,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4축이 수용되며 상기 제2전환부에 의해 개폐되는 제4축 수용부가 구비된 제3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환부는 상기 도어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축 수용부를 개폐하는 제1자유단 및 상기 제2전환부에 접촉하는 제2자유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환부는 상기 도어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4축 수용부를 개폐하는 제3자유단 및 상기 제2자유단에 접촉하는 제4자유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1전환부는 상기 제1축 수용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제2전환부는 상기 제4축 수용부를 개방시키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전환부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제1축 수용부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1전환부를 가압하는 제1지지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전환부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제4축 수용부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전환부를 가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환부는 상기 락이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의 너비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자유단에서 상기 제1체결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자유단에서 상기 제2체결부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구비되고,
상기 락이 상기 제2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1전환부는 상기 제1축 수용부를 폐쇄하고, 상기 락이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3자유단은 상기 제4축 수용부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락은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한 락 바디;
상기 락 바디와 상기 도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락 바디를 탄성지지하는 바디지지부;
상기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프론트패널에 접촉하여 상기 락 바디를 상기 제1전환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바디 가압부;
상기 락 바디에서 연장되는 바디 플랜지;
상기 바디 플랜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 각각에 착탈 가능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8412A KR102169954B1 (ko) | 2014-02-18 | 2014-02-18 | 의류처리장치 |
AU2015200597A AU2015200597B2 (en) | 2014-02-18 | 2015-02-06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BR102015002796-6A BR102015002796B1 (pt) | 2014-02-18 | 2015-02-09 | Aparelho de tratamento de vestuário |
RU2015104171A RU2606577C2 (ru) | 2014-02-18 | 2015-02-09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
US14/619,459 US9435068B2 (en) | 2014-02-18 | 2015-02-11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CN201510075921.9A CN104846600B (zh) | 2014-02-18 | 2015-02-12 | 衣物处理装置 |
CN201520104591.7U CN204875249U (zh) | 2014-02-18 | 2015-02-12 | 衣物处理装置 |
EP15154939.1A EP2907912B1 (en) | 2014-02-18 | 2015-02-13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JP2015029319A JP6054999B2 (ja) | 2014-02-18 | 2015-02-18 | 衣類処理装置 |
US15/231,336 US9637858B2 (en) | 2014-02-18 | 2016-08-08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8412A KR102169954B1 (ko) | 2014-02-18 | 2014-02-18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7183A true KR20150097183A (ko) | 2015-08-26 |
KR102169954B1 KR102169954B1 (ko) | 2020-10-26 |
Family
ID=5247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8412A KR102169954B1 (ko) | 2014-02-18 | 2014-02-18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2) | US9435068B2 (ko) |
EP (1) | EP2907912B1 (ko) |
JP (1) | JP6054999B2 (ko) |
KR (1) | KR102169954B1 (ko) |
CN (2) | CN104846600B (ko) |
AU (1) | AU2015200597B2 (ko) |
BR (1) | BR102015002796B1 (ko) |
RU (1) | RU2606577C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19696A3 (ko) * | 2016-01-05 | 2018-08-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9956B1 (ko) | 2014-02-18 | 2020-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145738B1 (ko) * | 2014-02-18 | 2020-08-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169954B1 (ko) | 2014-02-18 | 2020-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169955B1 (ko) | 2014-02-18 | 2020-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139533B1 (ko) | 2014-03-21 | 2020-07-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CN106068343B (zh) * | 2014-03-21 | 2018-09-14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USD760456S1 (en) * | 2014-08-05 | 2016-06-28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dryer |
USD759913S1 (en) * | 2014-08-05 | 2016-06-21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dryer |
USD759912S1 (en) * | 2014-08-19 | 2016-06-21 | Whirlpool Corporation | Topload washing appliance |
USD758032S1 (en) | 2014-08-19 | 2016-05-31 | Whirlpool Corporation | Frontload drying appliance |
USD774713S1 (en) | 2014-08-19 | 2016-12-20 | Whirlpool Corporation | Topload washing appliance |
USD758030S1 (en) * | 2014-08-19 | 2016-05-31 | Whirlpool Corporation | Frontload drying appliance |
KR101653313B1 (ko) | 2014-09-17 | 2016-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1653314B1 (ko) * | 2014-09-17 | 2016-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WO2016140490A1 (en) * | 2015-03-02 | 2016-09-09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JP1558791S (ko) | 2015-03-04 | 2016-09-12 | ||
USD767835S1 (en) * | 2015-03-04 | 2016-09-27 | Lg Electronics Inc. | Door for washing machine |
JP6543805B2 (ja) * | 2015-09-07 | 2019-07-17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ドラム式洗濯機 |
CN106758029B (zh) * | 2015-11-24 | 2020-07-21 |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一种可双向开门的衣物处理装置 |
USD833091S1 (en) | 2016-03-09 | 2018-11-06 | Whirlpool Corporation | Dryer |
USD847444S1 (en) | 2016-03-09 | 2019-04-30 | Whirlpool Corporation | Washing machine |
KR102585492B1 (ko) * | 2016-09-23 | 2023-10-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585491B1 (ko) * | 2016-09-23 | 2023-10-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594899B1 (ko) * | 2016-09-23 | 2023-10-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594898B1 (ko) | 2016-09-23 | 2023-10-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US10260265B2 (en) | 2016-11-16 | 2019-04-16 | Whirlpool Corporation | Appliance door assembly |
US10676857B2 (en) | 2016-11-16 | 2020-06-09 | Whirlpool Corporation | Appliance door assembly |
US10731287B2 (en) | 2017-11-16 | 2020-08-04 | Whirlpool Corporation | Bi-directional door for an appliance |
DE102018008895B4 (de) * | 2018-03-29 | 2020-09-17 | Emz-Hanauer Gmbh & Co. Kgaa | Haushaltsgerät mit Türöffner |
USD942715S1 (en) | 2018-10-08 | 2022-02-01 | Whirlpool Corporation | Fabric care appliance |
CN112096206B (zh) * | 2019-06-18 | 2024-05-31 |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 一种门体弹出组件、安装方法及衣物处理设备 |
JP1717875S (ja) * | 2019-09-20 | 2022-06-21 | 洗濯乾燥機用扉 | |
CA193582S (en) * | 2019-09-24 | 2021-12-03 | Lg Electronics Inc | Control panel for washing machine |
KR102333384B1 (ko) * | 2020-03-12 | 2021-1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02124A (en) * | 1971-12-31 | 1974-04-09 | J Guerrini | Rocking-swinging window |
US20120161594A1 (en) * | 2010-12-23 | 2012-06-28 | Kihyuk Kim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487745A (en) | 1945-10-01 | 1949-11-08 | Witmer Paul Baker | Door latch |
US3030656A (en) | 1959-05-14 | 1962-04-24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Door mounting |
US3018509A (en) | 1959-05-27 | 1962-01-30 | Gen Electric | Dual axis oven door structure |
US3018508A (en) | 1959-05-27 | 1962-01-30 | Gen Electric | Dual axis oven door structure |
US2982540A (en) | 1959-09-04 | 1961-05-02 | Whirlpool Co | Closure operator for home appliance |
US3538641A (en) | 1968-06-14 | 1970-11-10 | Whirlpool Co | Two-way dryer door |
US3909877A (en) | 1975-01-17 | 1975-10-07 | Eaton Corp | Detent door holder |
US4035953A (en) | 1976-07-07 | 1977-07-19 | Bierlich J H | Hinge and hinge and pivot arrangement |
US4445717A (en) * | 1981-05-18 | 1984-05-01 | Leigh Products, Inc. | Flush bolt |
US4532673A (en) | 1983-08-05 | 1985-08-06 | Kim Sam K | Pivot mechanism for multiple axes opening window or closure |
JP2833700B2 (ja) | 1987-08-10 | 1998-12-09 | 株式会社山喜 | 混合培養物の製造法 |
JPH0536943Y2 (ko) | 1987-09-11 | 1993-09-17 | ||
JP3411117B2 (ja) | 1994-12-13 | 2003-05-26 | 株式会社稲本製作所 | 洗濯用装置の筐体扉 |
JP3181807B2 (ja) | 1995-03-31 | 2001-07-03 | オーリス株式会社 | 折れ戸 |
US5829197A (en) | 1995-12-02 | 1998-11-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anually actuable apparatus enabling a door to be selectively hinged at either side |
US7243973B2 (en) | 2004-06-29 | 2007-07-17 | Honda Motor Co., Ltd. | Overstroke latch assembly |
KR100743706B1 (ko) * | 2004-10-22 | 2007-07-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상하 개폐식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
US7363781B2 (en) | 2004-12-09 | 2008-04-29 | Whirlpool Corporation | Reversible door |
JP4668848B2 (ja) | 2006-06-07 | 2011-04-13 |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カバー開閉機構とこのカバー開閉機構を備えた電子機器 |
US7552509B2 (en) | 2006-11-15 | 2009-06-30 | King Slide Works Co., Ltd. | Hinge buffer device |
US7547056B2 (en) | 2007-04-10 | 2009-06-16 | Magna International | Swing and fold down tailgate actioning mechanism |
DE102007017916B3 (de) | 2007-04-13 | 2008-06-05 | Rittal Rcs Communication Systems Gmbh & Co. Kg | Scharnieranordnung |
EP2077349B1 (en) | 2007-12-31 | 2014-12-10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
US7481479B1 (en) | 2008-04-08 | 2009-01-27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 Dual action hinge and striker for a motor vehicle endgate |
KR101821208B1 (ko) | 2011-12-21 | 2018-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US8936330B2 (en) | 2010-12-23 | 2015-01-20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JP5731676B2 (ja) * | 2011-02-24 | 2015-06-10 |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衣類処理装置 |
KR101276852B1 (ko) | 2011-06-02 | 2013-06-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2축힌지 |
KR101861676B1 (ko) | 2012-01-26 | 2018-05-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JP2013203168A (ja) | 2012-03-28 | 2013-10-07 | Keihin Corp | 車両用空調装置 |
KR102169955B1 (ko) | 2014-02-18 | 2020-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169954B1 (ko) | 2014-02-18 | 2020-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169956B1 (ko) | 2014-02-18 | 2020-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145738B1 (ko) | 2014-02-18 | 2020-08-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
2014
- 2014-02-18 KR KR1020140018412A patent/KR10216995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2-06 AU AU2015200597A patent/AU2015200597B2/en active Active
- 2015-02-09 BR BR102015002796-6A patent/BR102015002796B1/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5-02-09 RU RU2015104171A patent/RU2606577C2/ru active
- 2015-02-11 US US14/619,459 patent/US9435068B2/en active Active
- 2015-02-12 CN CN201510075921.9A patent/CN104846600B/zh active Active
- 2015-02-12 CN CN201520104591.7U patent/CN204875249U/zh active Active
- 2015-02-13 EP EP15154939.1A patent/EP2907912B1/en active Active
- 2015-02-18 JP JP2015029319A patent/JP6054999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08-08 US US15/231,336 patent/US9637858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02124A (en) * | 1971-12-31 | 1974-04-09 | J Guerrini | Rocking-swinging window |
US20120161594A1 (en) * | 2010-12-23 | 2012-06-28 | Kihyuk Kim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19696A3 (ko) * | 2016-01-05 | 2018-08-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AU2017205824B2 (en) * | 2016-01-05 | 2019-10-31 | Lg Electronics Inc. | Clothes-handl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907912B1 (en) | 2022-03-30 |
AU2015200597A1 (en) | 2015-09-03 |
RU2606577C2 (ru) | 2017-01-10 |
US9435068B2 (en) | 2016-09-06 |
AU2015200597B2 (en) | 2016-04-28 |
CN104846600A (zh) | 2015-08-19 |
BR102015002796B1 (pt) | 2022-05-10 |
US20150233042A1 (en) | 2015-08-20 |
RU2015104171A (ru) | 2016-08-27 |
US20160348299A1 (en) | 2016-12-01 |
EP2907912A1 (en) | 2015-08-19 |
BR102015002796A2 (pt) | 2015-10-20 |
JP6054999B2 (ja) | 2016-12-27 |
CN204875249U (zh) | 2015-12-16 |
US9637858B2 (en) | 2017-05-02 |
JP2015150443A (ja) | 2015-08-24 |
KR102169954B1 (ko) | 2020-10-26 |
CN104846600B (zh) | 2017-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97183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50097184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50097185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653314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145738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65331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50109817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80032904A (ko) | 의류처리장치 | |
AU2017330142A1 (en) | Garment process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