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486A - 조절 가능한 힌지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힌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96486A KR20150096486A KR1020157018962A KR20157018962A KR20150096486A KR 20150096486 A KR20150096486 A KR 20150096486A KR 1020157018962 A KR1020157018962 A KR 1020157018962A KR 20157018962 A KR20157018962 A KR 20157018962A KR 20150096486 A KR20150096486 A KR 201500964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movable
- swivelable
- vehicle
- transvers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27—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2—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6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05D2003/025—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having three knuck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2005/067—Bent flaps gooseneck 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2005/102—Pins
- E05D2005/106—Pins with non-cylindrical por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2007/0469—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in an axi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Hing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가능/선회가능 부품(2)을 매다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부품(2)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그 위치를 측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화물 차량, 버스 등과 같은 차량에 사용되는 힌지(3)에 관한 것으로, 상기 힌지(3)는 차량 내에 고정 장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파트(6)와 이동가능/선회가능 부품(2)에 장착하기 위한 제2 파트(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힌지(3)의 하나의 제1 파트(6)에 힌지(3)의 제2 파트(7)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홀더부(8)가 형성되어 실현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품을 이동 가능하도록/선회 가능하도록 매다는 데에 사용되는 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주변 파트와의 관계에 있어 부품의 위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물 차량, 버스와 같은 상업용 및/또는 중대형 차량에 차량의 전방 해치 혹은 차량에 다른 도어나 해치를 매달 때에 사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숨겨질 수 있는 힌지를 사용하여 위와 같은 방식의 매달기를 수행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해치 및 도어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다른 유형의 차량 혹은 부품을 횡 방향으로 조절하여 올바른 위치에 있도록 하는 데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 다른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힌지가 사용되는 차량에도 관한 것이다.
모든 차량에 해치 및 도어 같이 이동가능하고 개방이 가능한 부품들이 사용되고 있다. 선회가능한 힌지들을 사용하여 샤프트 주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중대형 및/또는 상업용 차량 내의 해치 및 도어는 크기와 무게가 상당하다. 이에 따라, 이들 부품들을 조립하고 그 위치를 조절하는 데에 문제가 있으며, 종종 필요에 따라 열기 위해서는 대형 리프트 장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안타깝게도, 시리얼 프로덕션하는 중에 소망하는 형상(공차) 및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해치와 도어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는 조절이 가능해야만 한다. 예컨대 주변 바디부와 해당 부품 주위의 간격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을 기능에 맞게 그리고 미적으로 대칭되게 장착하기 위해, 그리고 갭이 평행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동 부품은 횡 방향으로 그리고 종종 수직 방향으로 조절될 필요가 있다.
근래에는 힌지 및 해치와 도어를 매다는 고정장치를 가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시 말하면 힌지가 근방의 바디부에 의해 덮여진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부품의 고정 지점 및 볼트 조인트 및 힌지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해치나 도어를 열어야 실제 조절 작업을 할 수 있다. 해치나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고정 부재 및 볼트 조인트에 접근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하나의 필수 사항은 고정 장치가 쉽게 조절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이동가능/선회가능 부품의 조절은 해당 이동가능/선회가능 부품이 개방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당 부품과 주위 바디부 사이의 기능 갭 혹은 갭 폭을 동시에 그리고 즉시 체크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실 상황에서, 이러한 문제는 작업자가 부품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갭 폭을 체크하고, 가공 부품을 조절하여 해결하게 된다. 해치 혹은 도어가 소망하는 위치로 조절될 때까지, 작업자는 이 단계를 여러 번 반복한다. 이러한 공정은 시간이 상당히 소모되어, 제작 공정이 길어지게 하며 또한 비용도 많이 소요되게 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 무거운 부품을 반복해서 열고 닫아야 하며, 위치 조절 작업 중에 작업자는 해치/도어를 조작하고, 들어올리며, 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조립 과정에서 인체 공학적인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리프팅 툴이 사용된다. 그러한 리프팅 툴은 정밀하게 동작하고, 궁극적으로 부품이 올바른 위치에 장착되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차량을 사용하는 중에 고정 부위가 가려질 수 있으며, 부품이 닫혀 있을 때에 부품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타입의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면 조립과 관련되어 인체공학적으로 유리하며, 비용 측면에서도 유리하게 된다.
선행 기술들이 차량 해치와 차량 도어를 매달기 위한 힌지에 대한 많은 해법들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US8256825호는 차에 후방 해치를 달기 위한 힌지를 기재하고 있다. 힌지의 파트와 고정 부위가 차체 내 오목부 내에 배치되며, 설치한 후에 패널에 의해, 해치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후방 해치에 의해 덮여진다. 이 디자인의 목적은 힌지를 가리고 내부하(load-bearing) 성능이 우수한 힌지를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이 특허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해치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 않다.
예컨대 후방 해치를 달기 위한 힌지의 다른 변형 실시예가 특허 US2007/002409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디자인은 2개의 힌지가 포함되어 있는 사전-조립된 파트 복수 개를 구비하는 모듈로 이루어져 있다. 이 디자인은 조립 라인에서 복수의 조립 단계가 수행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작 시간이 절감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특허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해치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 않다.
특허 US6047934호는 예를 들어 엔진 후드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엔진 후드를 최종적으로 설치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툴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툴은 설치가 끝난 후에 차량에서 뽑아낸다. 힌지 자체는 이미 알려져 있는 디자인이다. 이 특허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해치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 않다.
상기 선행 기술은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유형의 힌지에 대해 기재하고 있지 않다. 이동가능하거나 선회가능한 차량 부품에 사용되는 힌지, 이러한 힌지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해 보여지는 방식으로 닫힌 상태에서 부품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은 기재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가동 부품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특수 리프팅 툴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가동 부품을 측 방향으로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신규하면서도 개선된 솔류션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힌지의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제조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힌지가 작고 컴팩트하며, 가능하면 적은 공간을 차지하여 작은 공간에 위치하며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주변 바디부와 관련하여 부품의 위치를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절 과정 중에 부품의 무게를 완화할 수 있는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자인이 단순하고, 최대한 부품 수를 줄여 생산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인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고 컴팩트하여 좁은 공간에 설치하고 사용하기 쉬운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에 최종 조립된 후, 그리고 차량을 운행하는 중에 힌지와 그 고정 장치가 가려지게 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 그리고 이점 외에 추가의 목적 및 이점들이,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재되어 있는 특징을 구비하는 힌지에 의해 실현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주로 예컨대 화물 차량, 버스 등과 같이 상업용 및/또는 대형 차량에 사용되며, 해치 혹은 도어 같이 바람직하기로는 무거운 부품을 이동가능/선회가능 하게 매달 수 있고, 통상적으로 차량의 전방 해치를 매다는 데에 사용되는 장치, 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차량에 최종적으로 조립되어 사용될 때 고정 장치와 함께 가려질 수 있으며, 차량 내에 설치하는 중에 부품의 위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품이 닫혀 있는 위치에서, 부품이 주변 바디부와 관련하여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를 쉽게 판단할 수 있게 하여, 부품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부품의 조절을 매우 단순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부품을 소망하는 위치/최적 위치로 조절할 때에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다른 분야, 혹은 다른 유형의 차량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사항에 따른 힌지가 사용되는 차량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목적은 적어도 두 개의 파트, 즉 예컨대 캡의 바디에 장착되는 고정부인 제1 고정 파트와, 예컨대 전방 해치에 장착되는 제2 가동 파트를 구비하는 힌지에 의해 달성된다. 힌지의 제1 파트를 힌지의 제2 가동 파트가 제1 파트 위에 매달릴 수 있도록 하는 서포트를 형성하는 행거 장치로 디자인하며, 상기 가동 파트는 볼트 조인트를 사용하지 않고 혹은 고정식으로 장착하지 않으며, 서포트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부품/해치를 실제 최종적으로 조립하기 전에 수동으로 그리고 용이하게 해당 부품/해치를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조절 가능하고, 파트들을 서로 볼트로 고정할 수 있다. 볼트 조인트가 삽입되고 최종 조절 및 최종 조립이 이루어지기 전에, 부품의 총 중량은 힌지의 제1 고정식 장착 파트에 의해 지탱된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상기 고정 파트에 대해 가동 부품, 해치를 측 방향으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은 선행 기술이 갖고 있는 단점들을 해결하며, 보다 적당하고, 기능적이며 가장 중요하게는 쉽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힌지는 바디에 대해 해치의 위치를 조절하는 중에, 취급/조작용의 무거운 가동 부품 혹은 리프팅 툴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게 한다.
이는 간단한 디자인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소망하는 기능을 보증하며, 동시에 가동 부품의 중량을 지탱하여 비-인체공학적 작업 단계가 생략되면서도 최종 설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힌지를 제공한다.
부품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힌지와 그 고정 징치가 숨겨 있지만, 위치 조절 중에는 힌지와 그 고정 장치를 볼 수 있으며, 이들에 접근할 수 있다는 사실은, 힌지가 가동 부품과 바디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이 되는 데에 기여한다. 부품이 최종적으로 설치된 후에, 힌지는 최종적으로 예컨대 패널 혹은 커버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패널 혹은 커버는 금속 혹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차량을 사용하는 중에 제 자리에 안착되어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들과 다른 청구항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과 이점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다수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형태들을 가지고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차량 캡의 측면도로, 차량 캡의 상부 전방 해치가 (화살표 방향으로) 개방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차량 캡의 정면도로, 차량 캡의 전방 해치의 크기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캡의 방화벽 위에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사면 정면도로, 바디부 혹은 전방 해치가 제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닫힘" 상태에 있는,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사면 측사시도이다.
도 5는 "개방" 상태에 있는,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사면 측사시도이다.
도 6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2개의 메인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2개의 파트의 측면도이다.
도 7c는 닫힘 상태에 있는 힌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힌지의 전방 및 힌지 위에 전방 해치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면 정면도이다(명료함을 위해 전방 해치 부분은 도시되지 않았음).
도 9는 최종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힌지를 숨기는 커버 플레이트 혹은 패널이 설치된, 도 8과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면 정면도이다.
도 10은 일부 디자인을 달리하는 또 다른 힌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차량 캡의 측면도로, 차량 캡의 상부 전방 해치가 (화살표 방향으로) 개방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차량 캡의 정면도로, 차량 캡의 전방 해치의 크기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캡의 방화벽 위에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사면 정면도로, 바디부 혹은 전방 해치가 제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닫힘" 상태에 있는,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사면 측사시도이다.
도 5는 "개방" 상태에 있는,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사면 측사시도이다.
도 6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2개의 메인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2개의 파트의 측면도이다.
도 7c는 닫힘 상태에 있는 힌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힌지의 전방 및 힌지 위에 전방 해치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면 정면도이다(명료함을 위해 전방 해치 부분은 도시되지 않았음).
도 9는 최종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힌지를 숨기는 커버 플레이트 혹은 패널이 설치된, 도 8과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면 정면도이다.
도 10은 일부 디자인을 달리하는 또 다른 힌지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해치 같은 이동가능/선회가능 부품 위 혹은 뒤에 힌지가 장착되어 있을 때, 힌지의 위치를 주로 횡 방향 즉 힌지의 축 방향으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힌지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해치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힌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힌지는 제1 고정부 및 제2 가동부의 2개의 파트로 구성되되, 제1 고정부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차체부, 차량 위에 장착되고, 제2 가동부는 이동가능/선회가능 부품 위에 장착되어 있다.
도 1은 전형적인 차량 캡(1)의 측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차량 주행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방 상부 해치(2)가 전방/상향으로 개방될 수 있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해치(2)는 비교적 크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워, 해치를 설치할 때에는 리프팅 툴을 사용해야 한다. 설치한 후에, 해치와 주변 바디부와의 간격이 일정하고 미적으로 만족되어야할 뿐만 아니라, 해치(2)의 기능 및 작동에도 아무런 문제가 없도록, 차량의 전방부 위에 있는 해치(2)의 위치를 조절하기가 어렵다.
도 2는 차량 캡(1)의 정면도로, 도 2를 통해 전방 해치(2)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3)들이 실질적으로 전방 해치(2)의 전방 상단부(4)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전방 해치(2)가 크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워서 전방 해치를 취급 및 설치하고, 그 위치를 조절하는 데에 문제가 있다.
도 3은 캡(1)의 소위 방화벽(4) 위에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3)의 사면 정면도로, 전방 해치 혹은 바디부가 제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힌지(3)는 실질적으로 제1 고정 장착 파트(6)와 제2 이동가능/선회가능 파트(7)의 2개의 파트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이동가능/선회가능 파트(7)는 힌지(3)의 제1 고정 장착 파트(6) 내에 배치되어 있는 홀더부(8) 내에 매달려(suspend) 있다. 제2 이동가능/선회가능 파트(7)는 구즈넥(gooseneck)-형 링크(9)로 설계되어서, 힌지(3)가 완전히 개방될 때, 힌지(3)의 가동 파트(7)가 커버 혹은 다른 바디부 같은 주변 바디부를 치거나 충돌하지 않으면서 전방 해치(3)(미도시)가 큰 각도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3)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를 좀 더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면 측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힌지(3)는 "닫힘" 상태에 있는 것으로, 링크(9)를 구비하는 힌지(3)의 제2 이동가능/선회가능 파트(7)가 수직방향으로 아래쪽을 향하고 있다. 제1 고정 장착 파트(6)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홀(10)이 힌지(3)의 제1 고정 장착 파트(6) 내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이동가능/선회가능 파트(7)를 가동 부품 즉 전방 해치(2)(미도시)에 장착하기 위한 추가의 고정홀(11)이 상기 가동 파트(7)의 링크(9)에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3)의 사면 측사시도로, 힌지는, "열림" 상태에 있으며, 제2 가동 파트(7)가 제1 고정 장착 파트(6)에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하고 있다. 샤프트 형태의 횡단 부재(12)가 힌지(3)의 제2 가동 파트(7)에 형성되어 있으며, 횡단 부재(12)는 힌지(3)의 제1 고정 장착 파트(6) 내의 그루브로 구현되는 홀더부(8) 내에 안착된다. 홀더부(8)는 위쪽이 개방되어 있고, 횡단 부재(12)가 홀더부(8) 내에서 선회 가능하며,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3)를 구성하는 2개의 주요 파트(6, 7)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횡단 부재(12)와 홀더부(8)가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횡단 부재(12)가 홀더부(8) 내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홀더부(8)는 힌지(3)의 제2 가동 파트(7)가 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전방 해치(2)의 중량이 횡단 부재(12)를 홀더부(8) 내에서 수직 방향 아래쪽으로 밀기 때문에, 제2 가동 파트(7)가 홀더부(8)에서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횡단 부재(12)에는 볼트 조인트(미도시)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장착홀(13)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의 제1 고정 장착 파트(6)와 제2 이동 가능/선회 가능 파트(7)를 서로 쉽게 고정하기 위해, 홀더부(8)의 바닥에 나선형의 고정홀(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 조인트가 삽입되었을 때에, 힌지의 제1 고정 장착 파트(6)와 제2 가동 파트(7)를 서로에 대해 축 방향과 횡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횡단 부재(12) 내의 관통홀(13)은 장타원형 혹은 계란형으로 되어 있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3)의 상기 고정 장착 파트(6)의 측면도이다. 홀더부(8)의 리세스/그루브는 위쪽 및 앞쪽을 향해 비스듬히 개방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U자 형이다. 립(15)이 홀더부(8)의 그루브와 연계 배치되어 힌지를 설치할 때에 힌지(3)의 상기 제2 가동 파트(7)의 안내를 용이하게 한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3)의 상기 가동 파트(7)의 정면도이다. 도 7b에 구즈넥-형 링크(9)가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횡단 부재(12)의 단면은, 홀더부(8) 내 그루브에서 적어도 어느 정도는 선회 혹은 회전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되어 있다.
도 7c는 닫힘 상태에 있는, 조립된 상태의 힌지(3)의 측면도이다. 이러한 형태로 힌지는 하나의 통합된 유닛을 형성한다.
도 8은 힌지(3)의 전방 그리고 힌지 위에 장착될 수 있는 전방 해치(2)의 사면 정면도이다. 명료함을 위해, 전방 해치(2)의 파트들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면이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힌지(3)의 횡단 부재(12) 내의 고정홀(13)은, 힌지(3)의 볼트 조인트(미도시)가 쉽게 접근하고, 위치 조절을 쉽게 하여 최종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전방 및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도 9는 도 8과 동일한 도면이지만, 전방 해치(2)가 최종적으로 설치된 위치에서 힌지(3)를 가리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16) 혹은 패널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추후에 전방 해치(2)를 분리할 때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16)를 먼저 제거함으로써 힌지(3)의 볼트 조인트가 다시 노출되게 된다.
도 10은 일부 디자인을 달리하는 힌지(3)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횡단 부재(12)가 장타원형 장착홀(13)이 있는 2개의 외부 평탄 바로 구현되어 있다. 횡단 부재(12)는 힌지(3)의 제1 고정 장착 파트(6) 내에 배치되어 있는 홀더부(8) 내에, 힌지의 제1 고정 장착 파트(6) 위에 배치되어 있는 립(15)에 의해 달려 있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힌지의 상기 가동 파트(7)가 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사항들은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당연히 전술한 실시형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본 발명의 사상 범위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보호 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5)
- 이동가능/선회가능 부품(2)을 매달고, 상기 부품(2)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부품(2)을 측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바람직하기로는 화물차, 버스 등과 같은 차량에 사용되는 힌지(3)로, 상기 힌지는 차량 내에 고정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파트(6) 및 이동가능/선회가능 부품에 장착되는 제2 파트(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힌지(3)에 있어서,
힌지(3)의 하나의 제1 파트(6)에, 힌지(3)의 제2 이동가능/선회가능 파트(7)를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매달기 위한 홀더부(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의 제2 이동가능/선회가능 파트(7)에는 상기 제1 파트(6)의 홀더부(8) 내에 조립되는 횡단 부재(12)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홀더부(8) 내에 상기 힌지(3)의 제2 이동가능/선회가능 파트(7)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힌지의 제1 파트(6) 및 제2 이동가능/선회가능 파트(7)가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제2항에 있어서,
횡단 부재(12)가 회전가능 샤프트로 디자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의 제1 파트(6) 및 제2 이동가능/선회가능 파트(7)가 서로에 대해 힌지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홀더부(8)가 그루브 형태의 리세스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U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8)에, 힌지(3)의 제2 파트(7)가 제1 파트(6)와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나 혹은 복수의 립(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힌지(3)가 이동가능/선회가능 부품(2) 뒤에, 바람직하기로는 이동가능/선회가능 부품(2)의 상단 가장자리(4) 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힌지의 제2 파트(7) 내의 횡단 부재(12)에 힌지의 제1 파트(6)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홀(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제10항에 있어서,
횡단 부재(12)의 고정홀(13)이 장타원형으로 형성되어서, 힌지의 제2 파트(7)가 볼트 조인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제10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단 부재(12)가 장착된 위치에서, 횡단 부재(12)의 고정홀(13)이 바람직하기로는 차량 주행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전방 및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볼트 조인트의 접근 및 설치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힌지(3)가 최종적으로 장착된 위치에서, 힌지(3)가 커버 플레이트(16)에 의해 덮여질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선행하는 청구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힌지(3)가 일체형 및 컴팩트한 유닛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힌지(3)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SE1350053-3 | 2013-01-16 | ||
SE1350053A SE536931C2 (sv) | 2013-01-16 | 2013-01-16 | Justerbar gångled |
PCT/SE2013/051485 WO2014112921A1 (en) | 2013-01-16 | 2013-12-11 | Adjustable hin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6486A true KR20150096486A (ko) | 2015-08-24 |
KR101735026B1 KR101735026B1 (ko) | 2017-05-12 |
Family
ID=51209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8962A KR101735026B1 (ko) | 2013-01-16 | 2013-12-11 | 조절 가능한 힌지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946055B1 (ko) |
KR (1) | KR101735026B1 (ko) |
CN (1) | CN104937201B (ko) |
SE (1) | SE536931C2 (ko) |
WO (1) | WO201411292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63693B (zh) * | 2014-12-31 | 2016-08-17 | 湖北盛佳电器设备有限公司 | 一种a型可拆卸式铰链 |
KR102095117B1 (ko) * | 2018-08-16 | 2020-03-30 | 최현호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도어 어셈블리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1445684A (en) * | 1972-10-19 | 1976-08-11 | Nat Res Dev | Endoprosthetic bone joint devices |
DE8314926U1 (de) * | 1983-05-20 | 1983-08-25 | Carl Suelberg Gmbh & Co, 5630 Remscheid | Sicherheitsscharnier |
US5074609A (en) * | 1990-07-30 | 1991-12-24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Adjustable deck lid hinge pivot |
US5967586A (en) * | 1997-07-28 | 1999-10-19 | M & C Corporation | One step adjustable deck lid hinge |
US6047934A (en) | 1998-07-17 | 2000-04-11 | Chrysler Corporation | Tool holder |
US6003204A (en) * | 1998-07-27 | 1999-12-21 | Deere & Company | Hood hinge mechanism |
US7114219B2 (en) * | 2002-08-29 | 2006-10-03 | Ran Enterprises, Inc. | Automobile hinges |
ES2318760T3 (es) | 2005-05-25 | 2009-05-01 | Compagnie Plastic Omnium | Soporte trasero para vehiculo automovil, modulo trasero, procedimiento de fijacion de tal modulo. |
AT503839B1 (de) * | 2006-07-03 | 2010-02-15 | Lautenschlaeger Mepla Werke | Möbelscharnier |
US7469953B2 (en) * | 2006-07-24 | 2008-12-30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 Gooseneck hinge assembly for vehicle |
DE102007002660A1 (de) * | 2007-01-18 | 2008-07-24 | Daimler Ag | Lageranordnung für den Deckel eines Kraftwagens |
US8256825B1 (en) | 2011-03-08 | 2012-09-04 | Nissan North America, Inc. | Vehicle body structure |
CN202831931U (zh) * | 2012-09-03 | 2013-03-27 |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 汽车行李箱盖铰链总成及具有该铰链总成的汽车 |
-
2013
- 2013-01-16 SE SE1350053A patent/SE536931C2/sv unknown
- 2013-12-11 EP EP13872114.7A patent/EP2946055B1/en active Active
- 2013-12-11 CN CN201380070478.5A patent/CN104937201B/zh active Active
- 2013-12-11 KR KR1020157018962A patent/KR10173502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11 WO PCT/SE2013/051485 patent/WO201411292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937201A (zh) | 2015-09-23 |
EP2946055A1 (en) | 2015-11-25 |
SE1350053A1 (sv) | 2014-07-17 |
SE536931C2 (sv) | 2014-11-04 |
EP2946055B1 (en) | 2019-04-03 |
WO2014112921A1 (en) | 2014-07-24 |
CN104937201B (zh) | 2016-12-14 |
KR101735026B1 (ko) | 2017-05-12 |
EP2946055A4 (en) | 2016-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06555B2 (ja) | リッド締結構造 | |
US20090056074A1 (en) | Automobile door hinge | |
CN110312675B (zh) | 叉车用侧门 | |
US20090140551A1 (en) | Pillar for suspension of a hinged vehicle door | |
KR101735026B1 (ko) | 조절 가능한 힌지 | |
US20040211122A1 (en) | Cable window lifter for a motor vehicle door comprising at least one pivotable guiding rail | |
KR102032916B1 (ko) | 농작업차의 보닛 개폐를 위한 힌지 조립체 및 이 힌지 조립체에 의한 농작업차 보닛의 힌지구조 | |
JP6432733B2 (ja) | 車両用リヤゲート | |
JP3690133B2 (ja) | 自動車用ランプの取付構造 | |
US20070075554A1 (en) | Hood strut assembly and method of mounting hood strut assembly to a vehicle body and a vehicle hood | |
JP2007126070A (ja) | 車両の室内外への部品の取付け構造 | |
KR101947046B1 (ko) |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장착구조 | |
JP2007283919A (ja) | トラックの吸気ダクトの取り付け構造とその取り付け方法 | |
CN113928573B (zh) | 一种具备导向缓冲功能的滑动整流罩 | |
EP1993897B1 (en) | Body panel | |
JP2007192015A (ja) | スライドドア構造 | |
KR101209682B1 (ko) |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 | |
JP2008169649A (ja) | 車両 | |
JP6674659B2 (ja) | ミ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 |
US20170107689A1 (en) | Support structure for frame of a machine | |
JP5038961B2 (ja) | 鉄道車両用のドアパネル | |
KR101847301B1 (ko) | 자동차 보닛 탈부착 장치 | |
JP6421164B2 (ja) | アオリ | |
KR20080042974A (ko) |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구동수단결합구조 | |
JP2008133127A (ja) | エレベーターのトランク扉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