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631A -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수지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수지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631A
KR20150095631A KR1020157012835A KR20157012835A KR20150095631A KR 20150095631 A KR20150095631 A KR 20150095631A KR 1020157012835 A KR1020157012835 A KR 1020157012835A KR 20157012835 A KR20157012835 A KR 20157012835A KR 20150095631 A KR20150095631 A KR 20150095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acid
polylactic acid
polyoxyethyle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2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4706B1 (ko
Inventor
켄 모리시타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2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 C08K5/27Compounds containing a nitrogen atom bound to two other nitrogen atoms, e.g. diazoamino-compounds
    • C08K5/28Az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15Five-membered rings
    • C08K5/3417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4Additives containing two or more different additives of the same subgroup in C08K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91Complexes with metal-heteroatom-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 C08K5/24Derivatives of hydrazine
    • C08K5/25Carboxylic acid hydraz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하기 (A) 성분과 함께, 하기 (B) 및 (C)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A) 폴리 유산, (B) 솔비톨, 만니톨 및 이들의 탈수 축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에틸렌옥시드를 주체로 하는 알킬렌 옥시드와 탄소수 12∼24의 지방산과의 반응 생성물, (C) 유기 포스폰산염 화합물, 환구조를 갖는 아미드 화합물, 유기 히드라지드 화합물, 유기 술폰산염 화합물,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멜라민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된 결정핵제.

Description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수지 성형품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and resin molded article thereof}
본 발명은,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수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석유 자원의 고갈, CO2 삭감 등이 문제가 되는 동안, 옥수수 등의 곡물 자원을 발효시켜 얻어지는 유산을 원료로 하는 폴리 유산이 주목받고 있다. 폴리 유산은 상기와 같이 식물 유래의 수지임과 동시에, 강성이 높고 투명성이 뛰어난 특성을 갖지만, 내열성이나 내충격성이 낮기 때문에 고온 조건하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등의 이유로, 통상의 수지에 비해, 그 용도가 한정되어 있다.
폴리 유산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열처리 (어닐링 처리)에 의해서 결정화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지만, 열처리 시간이 매우 길어 실용적이지 않다.
따라서, 최근, 이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폴리 유산을 폴리머로 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여러 가지 가소제나 결정핵제를 배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그 일례로서 상기 가소제로서 당 알코올의 탈수 축합물과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하고, 상기 결정핵제로서 층 형태 규산염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또, 그 외에도, 예를 들면, 상기 가소제로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호박산과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와의 에스테르 등을 사용하고, 상기 결정핵제로서 지방산 아미드를 사용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 (특허 문헌 2 및 3).
WO 2008/010318 공보 JP 2007-130895 A JP 2011-208042 A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이 낮고, 사용 가능한 용도는 극히 한정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금형 성형 시에 성형 시간을 길게 취하지 않으면 그 성형품을 탈형할 때에 변형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금형 성형시의 생산성이 나쁘다는 문제도 있다.
한편, 상기 특허 문헌 2 및 3에 개시된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이 약간 개선되고 있지만, 물이나 알코올에 대해서 용출하기 쉬워, 내충격성 및 내용출성이 뛰어난 성형품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금형 성형시의 생산성도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충격성, 내용출성, 내열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금형 성형시의 생산성에 대해서 뛰어난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성형품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 (A) 성분과 함께, 하기 (B) 및 (C) 성분을 함유하는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을 제1 요지로 한다.
(A) 폴리 유산.
(B) 솔비톨, 만니톨, 및 이들의 탈수 축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에틸렌옥시드를 주체로 하는 알킬렌옥시드와, 탄소수 12∼24의 지방산과의 반응 생성물.
(C) 유기 포스폰산염 화합물, 환구조를 갖는 아미드 화합물, 유기 히드라지드 화합물, 유기 술폰산 염화합물,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멜라민 화합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된 결정핵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요지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수지 성형품을 제2 요지로 한다.
즉, 본 발명자는, 내충격성, 내용출성, 내열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금형 성형시의 생산성에 대해서 뛰어난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을 얻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폴리 유산을 폴리머로 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가소제로서 특정 반응 생성물, 즉, 솔비톨, 만니톨, 및 이들의 탈수 축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에틸렌옥시드를 주체로 하는 알킬렌 옥시드와, 탄소수 12∼24의 지방산과의 반응 생성물 (B성분)을 배합하고, 다시, 유기 포스폰산염 화합물, 환구조를 갖는 아미드 화합물, 유기 히드라지드 화합물, 유기 술폰산염 화합물,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이라는 특정 결정핵제 (C성분)를 배합하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자는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은, 폴리 유산 (A성분)과 함께, 솔비톨, 만니톨, 및 이들의 탈수 축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에틸렌 옥시드를 주체로 하는 알킬렌 옥시드와, 탄소수 12∼24의 지방산과의 반응 생성물 (B성분)과, 유기 포스폰산 염화합물 등의 특정 결정핵제 (C성분)를 함유한다. 따라서, 내충격성, 내용출성, 내열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금형 성형시의 생산성에 대해서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탈형시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수지 성형품을 얻음). 또한, 내열성 등이 뛰어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수송시에 있어서의 고온 대책이 불필요한 효과를 갖는다.
특히, 상기 B성분인 반응 생성물이, 옥시 에틸렌기를 특정 범위에서 함유하면,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성형품은, 성형시의 생산성 등이 뛰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B성분인 반응 생성물의 함유량이 특정의 범위이면,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성형품은, 내충격성 등이 더욱 뛰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C성분인 결정핵제의 함유량이 특정의 범위이면,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성형품은, 성형시의 생산성 등이 더욱 뛰어나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 유산 (A성분)과 함께, 솔비톨, 만니톨, 및 이들의 탈수 축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에틸렌옥시드를 주체로 하는 알킬렌 옥시드와, 탄소수 12∼24의 지방산과의 반응 생성물 (B성분)과, 특정 결정핵제 (C성분)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B) 성분의 반응 생성물은, 통상, 가소제로서의 작용을 가지며, 상기(C) 성분은 결정핵제로서의 작용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은, 상기 각 성분에 가세하여 필요에 따라 폴리 유산 이외의 수지, 무기 충전제, 가수분해 억제제, 내충격성 향상제, 산화 방지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이들에 대해 설명한다.
〔폴리 유산〕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 유산 (A성분)은, 원료 모노머로서 유산만을 중축합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 유산, 또는, 원료 모노머로서 유산 성분과 유산 이외의 히드록시 카르본산 성분 (이하, 단지, 「히드록시 카르본산성분」이라고도 함)을 중축합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 유산의 둘 다를 나타낸다.
유산에는, L-유산 (L체), D-유산 (D체)의 광학 이성체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산 성분으로서 어느 하나의 광학 이성체만, 또는 쌍방을 함유해도 되지만,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의 가효성과 강성 및 내열성과의 양립, 및 성형시의 생산성의 관점에서, 어느 하나의 광학 이성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학 순도가 높은 유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주성분」이란, 유산 성분 중의 함유량이 80몰% 이상인 성분을 말한다.
유산 성분만을 중축합 반응시키는 경우의 유산 성분에 있어서의 L체 또는 D체의 함유량, 즉, 상기 이성체 중 어느 하나가 많은 쪽의 함유량은, 상기의 관점에서 95.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8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산 성분과 히드록시 카르본산성분을 중축합반응시키는 경우의 유산 성분에 있어서의 L체 또는 D체의 함유량, 즉, 상기 이성체 중 어느 하나가 많은 쪽의 함유량은, 상기의 관점에서 95.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8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 유산에는, 유산으로서 D체만을 중축합반응 시킨 것, 유산으로서 L체만을 중축합반응 시킨 것, D체와 L체를 공중합체 시킨 것 외, 주성분이 L체인 폴리 유산과 주성분이 D체인 폴리 유산을 임의의 비율로 블랜드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한편, 유산 이외의 히드록시 카르본산 성분으로서는, 글리콜산, 히드록시 낙산, 히드록시길초산, 히드록시 펜탄산, 히드록시 카프로산, 히드록시 헵탄산 등의 히드록시 카르본산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함께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글리콜산, 히드록시 카프로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산 및 히드록시 카르본산 화합물의 2량체가, 각각의 성분에 함유되어도 된다. 유산의 2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유산의 환상 2량체인 락티드가 이용되며, 히드록시 카르본산 화합물의 2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콜산의 환상2량체인 글리코리드가 이용된다. 또한, 락티드에는 L-유산의 환상2량체인 L-락티드, D-유산의 환상2량체인 D-락티드, D-유산과 L-유산이 환상2량화한 메소락티드, 및 D-락티드와 L-락티드의 라세미 혼합물인 DL-락티드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어느 락티드도 이용할 수 있지만,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의 가효성 및 강성, 및 폴리 유산 수지의 성형시의 생산성의 관점으로부터, D-락티드 및 L-락티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유산의 2량체는, 유산 성분만을 중축합반응시키는 경우, 및 유산 성분과 히드록시 카르본산 성분을 중축합반응시키는 경우의 모두의 경우의 유산 성분에 함유되고 있어도 된다.
유산 성분만의 중축합 반응, 및, 유산 성분과 히드록시 카르본산 성분과의 중축합 반응은, 특별히 한정은 없고,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 유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통상 10000∼400000의 범위이며, 50000∼40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300000의 범위이다. 즉, 폴리 유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수지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이 낮고, 반대로, 폴리 유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넘으면, 성형시의 유동성에 뒤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 유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갤퍼미에이션크로마트그래프 (GPC)를 이용하여 용매에 클로로포름, 컬럼에 토소사 제조 고온 SEC 컬럼 (GMHHR-H시리즈), 유량 1.0 ㎖/min, 컬럼 온도 40℃, 검출기에 시차 굴절률 검출기 (RI), 레퍼런스로서 기지의 분자량을 갖는 스티렌을 이용하여 환산하여 구할 수 있다.
〔가소제〕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가소제에는, 솔비톨, 만니톨, 및 이들의 탈수 축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에틸렌옥시드를 주체로 하는 알킬렌 옥시드와, 탄소수 12∼24의 지방산과의 반응 생성물 (B성분)이 이용된다. 상기 「에틸렌옥시드를 주체로 하는 알킬렌 옥시드」란, 알킬렌 옥시드의 과반이 에틸렌옥시드인 것을 나타내고, 알킬렌 옥시드의 모두가 에틸렌 옥시드인 것도 포함한 취지이다. 또한, 상기 알킬렌 옥시드로서 에틸렌옥시드 이외의 것을 에틸렌옥시드와 병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프로필렌 옥시드, 부틸렌 옥시드, 이소부틸렌 옥시드 등이 병용된다.
상기 반응 생성물 (B성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솔비톨, 만니톨이라는 폴리올과 지방산을 가열 하에서 반응시켜 폴리올의 에스테르화를 실시하고, 다시 가열 하, 오토클레이브 (autoclave) 안에서 에틸렌 옥시드를 부가 반응시켜, 상기 반응 생성물 (B성분)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의 탈수 축합물과 지방산을 반응시켜서 에스테르화한 후,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에틸렌옥시드를 부가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폴리올 및 폴리올 탈수 축합물에 에틸렌옥시드를 부가시킨 후, 지방산을 반응시켜도 좋다. 그 외, 지방산과 탄소수가 짧은 1가의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로 미리 지방산 에스테르를 합성하고, 폴리올 및 폴리올 탈수 축합물과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여,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에틸렌옥시드를 부가시켜서 상기 반응 생성물 (B성분)을 얻는 방법 등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상기 반응 생성물 (B성분)은,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에서,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함께 이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내충격성이 뛰어난 관점에서, 상기 반응 생성물 (B성분) 중의 옥시 에틸렌기의 함유량 비율은, 20∼95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95 중량%이다.
또한, 상기 반응 생성물 (B성분)은, 상기 폴리올 및 폴리올 탈수 축합물의 수산기가 전부 지방산에 의해서 에스테르화된 포화 에스테르, 또는 수산기의 일부가 에스테르화된 부분 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라도 좋다.
또한,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상기 반응 생성물 (B성분)이, 분자 내에 에스테르기를 평균으로 0.5∼6개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0.8∼6개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내충격성, 물 및 알코올계 용매에 대한 내용출성이 뛰어나는 관점에서, 상기 반응 생성물 (B성분)의 합성에는 탄소수 12∼24의 지방산이 이용되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24의 지방산이 이용된다. 즉, 상기 지방산에 있어서의 탄소수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원하는 내충격성이 얻기 어렵고, 또한 물, 알코올계 용매로의 용출량이 많아진다. 반대로 상기 지방산에 있어서의 탄소수가 상기 범위를 넘으면, 폴리머인 폴리 유산(A)과의 상용성이 나빠진다. 또한, 상기 지방산은 포화 또는 불포화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이용해도 되고, 또한 이들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유지류로부터 변환한 지방산의 혼합물이어도 되고, 그 경우는, 평균 탄소수가 상기 범위의 것이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반응 생성물 (B성분)로서,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코코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미리스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펄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리노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스테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이소스테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12-히드록시스테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에이코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베헤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리그노세라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코코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미리스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펄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리노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스테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이소스테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12-히드록시스테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오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에이코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베헤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리그노세라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소르비드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소르비드코코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소르비드미리스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소르비드파르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소르비드리노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소르비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소르비드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소르비드-12-히드록시스테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소르비드오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소르비드에이코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소르비드베헤나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소르비드리그노세라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톨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톨코코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톨미리스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톨펄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톨리노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톨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톨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톨-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톨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톨에이코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톨베헤나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톨리그노세라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탄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탄코코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탄미리스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탄파르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탄리노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탄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탄-12-히드록시 스테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탄오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탄에이코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탄베헤나트, 폴리옥시에틸렌만니탄리그노세라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만나이드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만나이드코코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만나이드미리스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만나이드펄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만나이드리노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만나이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만나이드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만나이드-12-히드록시스테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만나이드오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만나이드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만나이드에이코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만나이드베헤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이소만나이드리그노세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함께 이용된다. 또한 상기 열기한 반응 생성물 1 분자 중에는 지방산 에스테르기가 단수 내지 복수 존재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라우레이트는, 「폴리옥시 에틸렌 솔비톨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디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트리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테트라라우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취지이다.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중의 상기 반응 생성물 (B성분)의 함유량은, 내충격성, 성형시의 생산성 등이 뛰어난 관점에서, 폴리 유산 (A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0.5∼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15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15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10 중량부의 범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결정핵제〕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결정핵제에는, 폴리 유산 수지 성형품의 성형성, 내열성, 내충격성 등의 관점에서, 유기 포스폰산염 화합물, 환 구조를 갖는 아미드 화합물, 유기 히드라지드 화합물, 유기 술폰산염 화합물,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이라는 특정 결정핵제 (C성분)가 이용된다. 그리고 이들 결정핵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함께 이용된다.
상기 유기 포스폰산염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결정화 촉진 효과의 관점에서, 페닐포스폰산 금속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페닐포스폰산 리튬, 페닐포스폰산 나트륨, 페닐포스폰산 칼륨, 페닐포스폰산 마그네슘, 페닐 포스폰산 칼슘, 페닐포스폰산바륨, 페닐포스폰산 철, 페닐포스폰산 코발트, 페닐포스폰산 구리, 페닐 포스폰산 망간 및 페닐 포스폰산 아연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결정화 촉진 효과가 뛰어난 점에서, 페닐 포스폰산 아연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구조를 갖는 아미드 화합물은, 방향환 및/또는 지방족환을 갖는 아미드 화합물 (따라서, 지방산 아미드 화합물은 포함하지 않는다)이며, 구체적으로는, 1,4-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디시클로헥실아미드,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디시클로 헥실아미드,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디아니리드, 1,4-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디아닐리드, N,N', N''-트리시클로헥실트리메신산 아미드, 트리메신산 트리스(t-부틸아미드), N,N'-디시클로헥산카르보닐-1,5-디아미노나프탈렌, N,N'-디벤조일-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결정화 촉진 효과의 점에서, N,N',N''-트리시클로헥실트리메신산 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히드라지드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헥사메틸렌디카르본산디벤조일히드라지드, 옥타메틸렌디카르본산 디벤조일히드라지드, 데카메틸렌디카르본산 디벤조일히드라지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결정화 촉진 효과의 점에서, 옥타메틸렌디카르본산 디벤조일히드라지드, 데카메틸렌디카르본산 디벤조일히드라지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술폰산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술포이소프탈산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결정화 촉진 효과의 점에서, 5-술포이소프탈산 디메틸금속염이 바람직하고, 그 바륨염, 칼슘염, 스트론튬염, 칼륨염, 루비듐염이 보다 바람직하고, 5-술포이소프탈산 디메틸바륨, 5-술포이소프탈산 디메틸칼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로서는, 결정화 촉진 효과의 점에서, 금속 프탈로시아닌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구리프탈로시아닌이, 보다 결정화 촉진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멜라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 인산 멜라민, 멜라민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결정화 촉진 효과의 점에서 멜라민시아누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중의, 상기 특정 결정핵제 (C성분)의 함유량은, 폴리 유산 (A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5 중량부의 범위인 것이, 성형시의 생산성 등이 뛰어나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다른 수지〕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A)∼(C) 성분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전체의 2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15중량%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의 범위.)에서, 다른 수지가 적당히 함유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등의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ABS수지, AS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옥시드,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함께 이용된다.
〔무기 충전제〕
또한,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무기 충전제가 함유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무기 충전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탈크, 클레이, 마이카,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함께 이용된다.
그리고 내충격성, 굴곡강도 등이 뛰어나게 되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중의 무기 충전제의 함유량은, 폴리 유산(A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1∼2 중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1 중량부의 범위이다.
〔가수분해 억제제〕
또한,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가수분해 억제제가 함유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가수분해 억제제로서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이나 모노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등의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을 들 수 있고, 폴리 유산 수지 성형품의 성형성, 내열성 및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폴리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폴리 유산 수지 성형품의 내열성, 성형성, 유동성의 관점에서, 모노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로서는, 폴리(4,4'-디페닐메탄카르보디이미드), 폴리(4,4'-디시클로헥실메탄카르보디이미드), 폴리(1,3,5-트리이소프로필벤젠) 폴리카르보디이미드, 폴리(1,3,5-트리이소프로필벤젠 및 1, 5-디이소프로필 벤젠)폴리카르보디이미드 등을 들 수 있고, 모노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로서는, N,N'-디-2, 6-디이소프로필페닐카르보디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폴리 유산 수지 성형품의 성형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중의 가수분해 억제제의 함유량은, 폴리 유산(A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5∼2 중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 중량부의 범위이다.
〔내충격성 개질제〕
또한,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에는, 가효성 등의 물성 향상의 관점으에서, 필요에 따라 내충격성 개질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내충격성 개질제로서는, (메타)아크릴산 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폭시 변성 실리콘 아크릴 고무, 디엔과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및 그 수소 첨가물,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 등의 유기 섬유, 디엔고무, 상용화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을 나타낸다.
그리고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및 성형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중의 내충격성 개질제의 함유량은, 폴리 유산(A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1∼20 중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10 중량부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이외의 다른 성분으로서 난연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대전 방지제, 방담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착색제, 곰팡이방지제, 항균제, 발포제 등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할 수 있다.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성형품의 제작〕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은, 폴리 유산(A성분)과 가소제인 특정의 반응 생성물 (B성분)과 특정의 결정핵제 (C성분)와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재료를, 소정의 비율로 배합하고, 160∼240℃에서 용융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융 혼합은, 상기 각 재료를 배합한 후에 실시해도 되고, 또한, 압출기나 밴배리 믹서, 니더, 가열 롤 등을 이용하여 폴리 유산 (A성분)을 먼저 용융시킨 후, 그 외의 재료를 배합하여, 펠릿 형태로 형상을 가지런히 하여 조제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여 용융 혼합된 수지 조성물을 재료로 하고, 주형 성형,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 성형 등에 의해, 수지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트 가공 후의 진공 성형, 압공성형, 진공압공 성형 등의 성형 방법에 의해, 각종 성형품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지 성형품을 얻을 때에,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경우, 그 성형시의 금형 온도는, 생산성의 관점에서, 40∼14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120℃의 범위이다. 또한, 진공 성형, 압공 성형, 진공압공 성형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 성형품의 금형 내에서의 유지 시간은,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 1∼15초간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초간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성형품은, 식품 의사 용매에 대한 내용출성이 높고, 예를 들면,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이나 그 수지 성형품의 샘플 시트를 10% 에탄올 용액 (식품 의사 용매)에 침지하여 60∼70℃에서 2시간 정도 가열하고, 상기 시트를 꺼낸 후의 용액을 증발 건고하여 잔존물의 중량을 측정하여, 상기 시트의 단위면적당 용출량(μg/㎠)을 구했을 때, 그 용출량은 50μg/㎠ 미만이며, 보다 내용출성이 높은 것에서는, 6μg/㎠ 미만으로도 된다. 이와 같이 용출량이 적기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성형품은, 식품 포장 용기로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성형품은 종래품에 비해, 물성 저하도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성형품은,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뛰어나며 또한 생분해성도 높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성형품은, 각종 일회용 용기 (생선식품의 트레이, 인스턴트 식품 용기, 패스트푸드 용기, 도시락 상자, 음료용 보틀, 마요네즈 등의 조미료 용기 등의 식품용 용기, 육묘 포트 등의 농업·원예용 용기, 블리스터 팩 용기, 프레스 스루 팩 (press-through pack) 용기 등), CD케이스, 클리어 파일, 크레디트 카드 등의 카드류, 스푼, 빨대 등의 식기류, 프라모델, 수지 시트, 수지 필름, 수지 호스 등의 각종 수지 제품, 의료용 섬유, 부직포 등의 섬유 제품 등의 용도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은, 종래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보다,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개선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보다 널리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에 대해서 비교예와 함께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넘지 않는 이상,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실시예 및 비교예에 앞서, 하기에 나타내는 재료를 준비하였다.
〔폴리 유산 A-1〕
폴리 유산 (상품명:4032 D, Natureworks사 제조)
〔폴리 유산 A-2〕
폴리 유산 (상품명: REVODE190, Zhejiang Hisun Biomaterials Co., Ltd사 제조)
〔폴리 유산 A-3〕
하기 합성예 1에 의해 얻어진 폴리 D-유산.
[합성예 1]
질소 분위기 하, D-락티드(퓨락크사 제조) 1000g을 120℃로 가열하여 용융 한 후, 옥틸산주석 0.3g, 스테아릴 알코올 0.01g을 첨가하였다. 그 후 180℃까지 승온하고, 1.5시간 중합을 실시하고, 다시 0.1 Torr로 감압하고 0.5시간 중합하여, 목적으로 하는 폴리 D-유산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 D-유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7.1만이다.
〔가소제 B-1〕
폴리옥시 에틸렌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72 중량%, 상품명:소르겐 TW-20, 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사 제조)
〔가소제 B-2〕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미리스테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70중량%)
〔가소제 B-3〕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스테어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67중량%, 상품명:소르겐 TW-60, 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사 제조)
〔가소제 B-4〕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스테어레이트 (옥시 에틸렌기 함유율:82중량%)
〔가소제 B-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오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67중량%, 상품명:소르겐 TW-80, 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사 제조)
〔가소제 B-6〕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베헤네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64중량%)
〔가소제 B-7〕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디라우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45중량%)
〔가소제 B-8〕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디스테아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56중량%)
〔가소제 B-9〕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디베헤네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52중량%)
〔가소제 B-10〕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트리라우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55중량%)
〔가소제 B-11〕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트리스테어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27중량%)
〔가소제 B-12〕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트리스테어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48 중량%, 소르겐 TW-65 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사 제조)
〔가소제 B-13〕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트리오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48 중량%, TWEEN85, 크로다사 제조)
〔가소제 B-14〕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트리베헤네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44 중량%)
〔가소제 B-1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트리-12-히드록시스테어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47 중량%)
〔가소제 B-16〕
폴리옥시에틸렌만니탄모노스테아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 67 중량%)
〔가소제 B-17〕
폴리옥시에틸렌만니탄트리스테아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 48 중량%)
〔가소제 B-18〕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테트라오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52 중량%, 상품명:레오돌 430V, 카오사 제조)
〔가소제 B-19〕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테트라오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 68 중량%, 상품명:레오돌 460 V, 카오사 제조)
〔가소제 B-20〕
폴리옥시에틸렌이소소르비드디스테아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56 중량%)
〔가소제 B-21〕
폴리옥시에틸렌이소만나이드디스테아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56 중량%)
〔가소제 b-1〕
아디핀산과 벤질알코올/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1/1 혼합물과의 디에스테르 화합물 (옥시에틸렌기 함유율:26 중량%, 상품명:DAIFATTY-101, 다이하치 카가쿠고교사 제조)
〔가소제 b-2〕
글리세린모노스테어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0 중량%, 상품명:엑셀 S-95, 카오사 제조)
〔가소제 b-3〕
호박산과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와의 디에스테르 (옥시에틸렌기 함유율:43 중량%)
〔가소제 b-4〕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트리카프리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53 중량%)
〔가소제 b-5〕
폴리글리세린의 지방산 에스테르 (옥시에틸렌기 함유율:0 중량%, 상품명:치라바졸 VR-05, 타이요카가쿠사 제조)
〔가소제 b-6〕
글리세린디아세트모노카프레이트 (옥시에틸렌기 함유율:0 중량%, 상품명:리케말 PL-019, 리켄비타민사 제조)
〔결정핵제 C-1〕
페닐포스폰산 아연 (상품명:에코프로모토, 닛산카가쿠사 제조)
〔결정핵제 C-2〕
트리메신산 트리시클로헥실아미드 (상품명:에누제스타 TF-1, 뉴재팬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제조)
〔결정핵제 C-3〕
옥타메틸렌디카르본산 디벤조일히드라지드 (상품명:T-1287 N, ADEKA사 제조)
〔결정핵제 C-4〕
5-술포이소프탈산 디메틸칼륨염 (상품명:LAK-301, 타케모토 오일 앤 팻트 컴퍼니 리미티드 제조)
〔결정핵제 C-5〕
구리프탈로시아닌 (상품명: Heliogen Blue K7090, BASF사 제조)
〔결정핵제 C-6〕
멜라민시아누레이트 (상품명:MC-600, 닛산카카구사 제조)
〔결정핵제 c-1〕
탈크 (상품명:MicroAceP-6, 닛폰탈크사 제조)
〔결정핵제 c-2〕
마이카 (상품명:CS-325 DC, 야마구치마이카사 제조)
〔결정핵제 c-3〕
스테아린산 아미드 (도쿄카세이사 제조)
〔결정핵제 c-4〕
층간 이온이 디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이온으로 치환된 몬모릴로나이트 (상품명:에스벤 W, 호쥰사 제조)
〔PMMA (D-1)〕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상품명:아크리펫트 VH, 미츠비시레이온사 제조)
〔실리카(E-1)〕
하기 합성예 2에 의해 얻어진, 폴리 D-유산으로 개질된 실리카.
[합성예 2]테트라에톡시실란 10.0g을, D-유산 (퓨락사 제조, 90질량% 수용액) 990g에 용해시키고, 질소 버블링 시키면서 130℃에서 4시간 탈수 축합하고, 다시 170℃, 5㎜Hg 감압하에서 12시간 교반하고, 탈수 중합을 실시하였다. 이 반응에 의해 얻어진 유동성의 폴리머를 꺼내, 냉각 고체화시키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는, 무색 투명한 폴리 D-유산으로 개질된 실리카 (실리카 함유량:0.42%)를 약 680g 얻었다.
〔실리카 (E-2)〕
아엘로질 (상품명:레오르실 QS-102, 토크야마사 제조, 실리카 함유율:>99.9%)
〔산화 방지제 (F-1)〕
힌다드페놀 산화 방지제 (상품명:IRGANOX 1076, BASF사 제조)
〔가수분해 억제제 (G-1)〕
폴리(4, 4'-디시클로헥실메탄카르보디이미드)(상품명:카르보디라이트 LA-1, 닛신보사 제조)
〔실시예 1∼54, 비교예 1∼11〕
상기 각 재료를, 후기의 표 1∼표 7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고, 이것을, 2축압출기(테크노벨사 제조, KZW 20-30 MG)를 이용하여 그 실린더 온도 160∼190℃의 조건으로 가열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었다. 또한, 상기 펠릿은 감압 하, 70℃의 온도로 12시간 이상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pellet)을 이용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서, 각 특성의 측정·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후기의 표 1∼표 7에 함께 나타낸다.
〔금형 유지 시간〕
T-다이 압출기 (테크노벨사 제조)를 사용하고, 상기 펠릿으로부터 두께 0.4mm의 시트를 제작한 후, 시트를 약 300℃의 적외선 히터로 상하로부터 가열하여 연화시키고, 이어서 90℃로 온조한 금형 내에 상기 시트를 넣어 진공·압공 성형하고, 탈형함으로써, 수지 성형품을 얻었다. 이 탈형시, 상기 금형으로부터 수지 성형품이 변형 없이 꺼낼 때까지의 시간 (금형 유지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 금형 유지 시간이 짧을수록, 생산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내열성〕
상기와 같이 하여 금형 성형하여 얻어진 수지 성형품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성형체)을, 90℃의 오븐에 넣어 30분간 유지하였다. 그리고 상기 가열 후에 성형품에 전혀 변형이 보이지 않았던 것을 ○, 성형품이 변형한 것을 ×라고 평가하였다.
〔내충격성〕
상기와 같이 하여 금형 성형하여 얻어진 수지 성형품에, 선단이 지름 10㎜의 구형이 되어 있는 격심을 실어 300g 또는 500g의 추를 격심으로 낙하시키는 것으로, 낙구 충격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수지 성형품에 분열이 생겼을 때의, 추의 낙하 고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낙하 고도가 1000㎜를 넘어도 수지 성형품에 분열이 생기지 않았던 것을 「>1000」이라고 표기하고, 상기 낙하 고도가 50㎜ 미만에서도 수지 성형품에 분열이 생긴 것을 「<50」이라고 표기하였다.
〔내용출성〕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pellet)을 200℃로 가열한 2축롤로 용융시킨 후, 200℃로 가열한 프레스 성형기로 약 3분간 프레스하고, 두께 1㎜의 프레스 시트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시트를 표면적 130㎠로 커트하고, 10% 에탄올 용액 (식품 의사 용매) 200㎖에 침지하고, 66℃에서 2시간 가열하였다. 이어서, 상기 시트를 꺼낸 후의 용액을 증발 건고 하고, 잔존물의 중량을 측정하여, 상기 시트의 단위면적당의 용출량(μg/㎠)을 구하였다. 또한, 이값이 작을수록, 내용출성이 뛰어난 것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상기 표의 결과에 의하면, 실시예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은, 모두, 비교예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에 비해 금형 유지 시간이 짧은 것이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고, 또한 가열에 의한 수지 성형품의 변형도 볼 수 없기 때문에 내열성에도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은, 모두, 비교예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에 비해, 내충격성에서도 우수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나타냈지만, 상기 실시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게 분명한 여러가지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내인 것으로 기도되고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성형품은, 각종 일회용 용기 (생선식품의 트레이, 인스턴트 식품 용기, 패스트푸드 용기, 도시락 상자, 음료용 보틀, 마요네즈 등의 조미료 용기 등의 식품용 용기, 육묘 포트 등의 농업·원예용 용기, 블리스터 팩(blister pack) 용기, 프레스 스루 팩 (press-through pack) 용기 등), CD케이스, 클리어 파일, 크레디트 카드 등의 카드류, 스푼, 빨대 등의 식기류, 프라모델, 수지 시트, 수지 필름, 수지 호스 등의 각종 수지 제품, 의료용 섬유, 부직포 등의 섬유 제품 등의 용도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은, 종래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보다,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개선된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보다 넓은 분야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하기 (A) 성분과 함께, 하기 (B) 및 (C)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A) 폴리 유산,
    (B) 솔비톨, 만니톨 및 이들의 탈수 축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에틸렌옥시드를 주체로 하는 알킬렌 옥시드와, 탄소수 12∼24의 지방산과의 반응 생성물,
    (C) 유기 포스폰산염 화합물, 환구조를 갖는 아미드 화합물, 유기 히드라지드 화합물, 유기 술폰산염 화합물,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멜라민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된 결정핵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인 반응 생성물은 옥시 에틸렌기를 20∼95중량% 함유하는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C) 성분인 결정핵제는 페닐 포스폰산 금속염, N,N', N''-트리시클로헥실트리메신산 아미드, 옥타메틸렌디카르본산 디벤조일히드라지드, 데카메틸렌디카르본산 디벤조일히드라지드, 5-술포이소프탈산 디메틸 금속염, 금속 프탈로시아닌 및 멜라민시아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된 화합물인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A)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0.5∼20 중량부의 범위인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A)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5 중량부의 범위인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품.
KR1020157012835A 2012-12-14 2013-11-12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수지 성형품 KR102084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73484 2012-12-14
JP2012273484A JP6029966B2 (ja) 2012-12-14 2012-12-14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樹脂成形品
PCT/JP2013/080484 WO2014091853A1 (ja) 2012-12-14 2013-11-12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樹脂成形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631A true KR20150095631A (ko) 2015-08-21
KR102084706B1 KR102084706B1 (ko) 2020-03-04

Family

ID=50931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835A KR102084706B1 (ko) 2012-12-14 2013-11-12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수지 성형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93229B2 (ko)
EP (1) EP2933294B9 (ko)
JP (1) JP6029966B2 (ko)
KR (1) KR102084706B1 (ko)
CN (1) CN104797656B (ko)
TW (1) TWI546331B (ko)
WO (1) WO2014091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58284B2 (ja) * 2015-03-23 2019-01-3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6559524B2 (ja) * 2015-06-03 2019-08-14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親水化剤
DK3325703T3 (da) 2016-08-02 2019-10-28 Fitesa Germany Gmbh System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ikke-vævede polymælkesyrestoffer
US11441251B2 (en) 2016-08-16 2022-09-13 Fitesa Germany Gmbh Nonwoven fabrics comprising polylactic acid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toughness
CN108384200B (zh) * 2018-02-07 2020-04-17 浙江大学 一种快速结晶的pbat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370180A (zh) * 2018-10-15 2019-02-22 嘉兴凡高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吸管制造用的可降解pla生物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553942B (zh) * 2018-12-10 2020-11-27 重庆文理学院 微生物净化器外壳及其制备工艺
CN109535676B (zh) * 2018-12-10 2020-11-27 重庆文理学院 环保餐具及其制备工艺
CN113025014A (zh) * 2020-11-13 2021-06-25 北京工商大学 一类用于聚乳酸的成核剂及其应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895A (ja) 2005-11-10 2007-05-31 Kao Corp 生分解性樹脂成形品の製造法。
WO2008010318A1 (fr) 2006-07-18 2008-01-24 Unitika Ltd. Composition de résine biodégradable, son procédé de production et corps moulé l'utilisant
WO2009004769A1 (ja) * 2007-06-29 2009-01-08 Unitika Ltd. 結晶性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2011208042A (ja) 2010-03-30 2011-10-20 Unitika Ltd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1502A (en) * 1995-06-07 1997-06-24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Biodegradable moldable surgical material
US5955402A (en) * 1997-01-30 1999-09-21 Ntn Corporation Biodegradable lubricative resin composition
MY123201A (en) 1998-11-06 2006-05-31 Kao Corp Plant-activating agent
US6573340B1 (en) * 2000-08-23 2003-06-03 Biotec Biologische Naturverpackungen Gmbh & Co. Kg Biodegradable polymer films and sheets suitable for use as laminate coatings as well as wraps and other packaging materials
JP3894901B2 (ja) * 2003-04-28 2007-03-22 ユニチカ株式会社 環境低負荷性化粧品容器
JP4705471B2 (ja) * 2003-09-22 2011-06-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外装体
JP2006063308A (ja) * 2004-02-09 2006-03-09 C I Kasei Co Ltd 農業用ポリ乳酸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12568B2 (ja) * 2004-05-11 2008-07-02 花王株式会社 生分解性樹脂組成物
EP1746136B1 (en) 2004-05-11 2015-04-22 Kao Corporation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JP2006083315A (ja) * 2004-09-17 2006-03-30 Toyo Ink Mfg Co Ltd 乳酸系樹脂の結晶化促進方法及びその利用
US20080153940A1 (en) * 2006-02-28 2008-06-26 Cereplast, Inc. Biodegradable compositions and biodegradable articles made thereof
JP2007246624A (ja) * 2006-03-14 2007-09-27 Asahi Kasei Chemicals Corp 耐熱性に優れた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押し出し成型シート及び容器
JP2008031375A (ja) * 2006-07-31 2008-02-14 Mitsui Chemicals Inc 乳酸系樹脂組成物、熱成形体の成形方法および熱成形体
CN101161708A (zh) * 2006-10-11 2008-04-16 郭志伟 可生物降解的淀粉聚乳酸“合金”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
JP2008150492A (ja) * 2006-12-18 2008-07-03 Daicel Polymer Ltd 樹脂組成物
WO2008075775A1 (ja) 2006-12-19 2008-06-26 Kao Corporation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ポリ乳酸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5014908B2 (ja) * 2007-07-19 2012-08-29 ユニチカ株式会社 結晶性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CN101801636B (zh) 2007-09-12 2013-01-09 花王株式会社 聚乳酸树脂注塑成型体的制造方法
CN101440165B (zh) * 2007-11-19 2011-05-04 上海华酝化工科技有限公司 可生物降解的柔韧性聚乳酸合金薄膜及其制备
WO2009110171A1 (ja) * 2008-03-03 2009-09-11 ユニチカ株式会社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5290313B2 (ja) * 2008-10-24 2013-09-18 花王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1074327A (ja) * 2009-10-01 2011-04-14 Toyota Motor Corp 自動車内装部品用射出成形材料、及びその成形体
CN101768345A (zh) 2010-01-11 2010-07-07 山东省医疗器械研究所 一种聚乳酸降解膜
EP2532711A4 (en) 2010-02-02 2014-03-26 Kao Corp METHOD FOR PRODUCING A POLYMILIC ACID RESIN COMPOSITION
US20120029112A1 (en) * 2010-07-28 2012-02-02 Hallstar Innovations Corp. Biopolym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Impact Resistance
KR20130132728A (ko) * 2010-07-30 2013-12-05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락트산계 수지 시트 및 성형품
JP5882709B2 (ja) * 2011-12-12 2016-03-09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樹脂成形体
JP5936953B2 (ja) * 2011-12-12 2016-06-22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樹脂成形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895A (ja) 2005-11-10 2007-05-31 Kao Corp 生分解性樹脂成形品の製造法。
WO2008010318A1 (fr) 2006-07-18 2008-01-24 Unitika Ltd. Composition de résine biodégradable, son procédé de production et corps moulé l'utilisant
WO2009004769A1 (ja) * 2007-06-29 2009-01-08 Unitika Ltd. 結晶性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2011208042A (ja) 2010-03-30 2011-10-20 Unitika Ltd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71559A1 (en) 2014-06-19
US9593229B2 (en) 2017-03-14
TWI546331B (zh) 2016-08-21
WO2014091853A1 (ja) 2014-06-19
TW201425461A (zh) 2014-07-01
CN104797656A (zh) 2015-07-22
EP2933294B9 (en) 2017-08-16
JP6029966B2 (ja) 2016-11-24
EP2933294A4 (en) 2016-08-03
JP2014118452A (ja) 2014-06-30
KR102084706B1 (ko) 2020-03-04
EP2933294A1 (en) 2015-10-21
CN104797656B (zh) 2018-02-16
EP2933294B1 (en)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5631A (ko)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수지 성형품
US9518168B2 (en)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and resin molded article thereof
US9518169B2 (en)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and resin molded article thereof
US9376546B2 (en)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and resin molded article thereof
JP5882711B2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樹脂成形体
JP2016211005A (ja) ポリ乳酸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