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072A -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회로 - Google Patents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072A
KR20150094072A KR1020140014897A KR20140014897A KR20150094072A KR 20150094072 A KR20150094072 A KR 20150094072A KR 1020140014897 A KR1020140014897 A KR 1020140014897A KR 20140014897 A KR20140014897 A KR 20140014897A KR 20150094072 A KR20150094072 A KR 20150094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emitter
terminal
collector
bipolar j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6871B1 (ko
Inventor
송현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871B1/ko
Priority to US14/322,775 priority patent/US9490251B2/en
Priority to TW103125778A priority patent/TWI624056B/zh
Publication of KR20150094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072A/ko
Priority to US15/288,326 priority patent/US980607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611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 H01L27/0641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without components of the field effect type
    • H01L27/0647Bipolar transistors in combination with diodes, or capacitors, or resistors, e.g. vertical bipolar transistor and bipolar lateral transistor and resistor
    • H01L27/0652Vertical bipolar transistor in combination with diodes, or capacitors, or resistors
    • H01L27/0664Vertical bipolar transistor in combination with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42Isolation within the component, i.e. internal isolation
    • H01L29/0649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8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or junctions between the regions
    • H01L29/0692Surface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04Emitter regions of bipola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17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1708Emitter or collector electrodes for bipola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H01L29/7302Bipolar junction transis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H01L29/732Vertical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10DRAM devices comprising bipolar components

Abstract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는, 1 도전형의 컬렉터영역과, 컬렉터영역의 상부 일정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도전형의 베이스영역과, 그리고 베이스영역의 상부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아일랜드 형태로 배치되는 제1 도전형의 에미터영역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회로{Bipolar junction transistor having diode-connected type and electonic circuit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회로에 관한 것이다.
집적회로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변동되는 경우가 많다. 전원전압의 영향이 바이어스 전류에 연향을 주게 된다면 회로의 성능이 달라지거나 심지어는 전체 시스템의 안정도에 문제가 생겨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전원전압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영향을 받지 않는 기준 전류원 또는 기준 전압원을 구현하는 것이 회로 설계의 기본에 해당하는 일이며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특히 전원전압의 변동에 영향을 가급적 적게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온도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것도 중요하게 된다.
기준 전압은 실리콘의 밴드갭 전압에 기반하여 고정된 전압을 생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서로 다른 전류 밀도를 갖는 두 개의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의 베이스-에미터 전압의 차이로 발생되는 정 온도 계수(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를 갖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 전압을 추가함으로써 기준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절대 온도가 0K에 접근할수록 이 기준 전압은 실리콘의 밴드갭 전압에 접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회로를 밴드-갭 기준(BGR; Band-Gap Reference) 회로라 한다. 밴드-갭 기준(BGR) 회로는 온도변화에 대하여 매우 안정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JT)와 저항을 이용하여 온도계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매우 둔감한 기준전압을 얻게 해 준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체 회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위와 같은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전자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는, 1 도전형의 컬렉터영역과, 컬렉터영역의 상부 일정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도전형의 베이스영역과, 그리고 베이스영역의 상부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아일랜드 형태로 배치되는 제1 도전형의 복수개의 에미터영역들을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전자회로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자회로에 있어서,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는, 제1 도전형의 컬렉터영역과, 컬렉터영역의 상부 일정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도전형의 베이스영역과, 그리고 베이스영역의 상부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아일랜드 형태로 배치되는 제1 도전형의 복수개의 에미터영역들을 포함한다.
본 예에 따르면, 회로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체 회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나타내 보인 레이아웃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I-I'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4는 다른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나타내 보인 레이아웃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나타내 보인 레이아웃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II-II'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나타내 보인 레이아웃도이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전자회로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다.
도 10은 다른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전자회로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컬렉터영역 및 베이스영역을 공유하고, 복수개의 에미터영역들만을 분리시킴으로써 수직형으로 동작하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는, DRAM, SRAM, FLASH, MRAM, PcRAM, ReRAM, FeRAM과 같은 메모리 소자나, 또는 OP-AMP, 다단 증폭회로, 센스앰프회로 등과 같은 논리 집적회로가 집적된 로직(logic) 소자 내에서 기준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를 구현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기재에 있어서, 어느 부재의 "상"에 위치하거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한다는 기재는 상대적으로 위치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지, 그 부재에 직접 접촉하거나 또는 사이 계면에 다른 부재가 더 도입되는 특정한 경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나타내 보인 레이아웃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선 I-I'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100)는, 복수개의 npn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는 베이스와 컬렉터가 서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연결형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기판(110)의 상부 일정 영역에 n형의 컬렉터영역(120)이 배치된다. n형의 컬렉터영역(120)의 상부 일정 영역에는 p형의 베이스영역(130)과 n+형 컬렉터컨택영역들(122, 124)이 배치된다. n+형 컬렉터컨택영역들(122, 124)은 n형의 컬렉터영역(120)보다 높은 불순물 도핑농도를 갖는다. p형의 베이스영역(130)은 n형의 컬렉터영역(120)에 의해 둘러싸인다. n형의 컬렉터영역(120)의 상부 일정 영역에는 복수개, 예컨대 9개의 n+형의 에미터영역들(141, 142, …, 149) 및 n+형 베이스컨택영역들(132, 134)이 배치된다. n+형의 에미터영역들(141, 142, …, 149)은 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아일랜드(islands) 형태로 배치된다. n+형 베이스컨택영역들(132, 134)은 베이스영역(130)보다 높은 불순물 도핑농도를 갖는다.
n+형 컬렉터컨택영역들(122, 124), n+형 베이스컨택영역들(132, 134), 및 n+형 에미터영역들(141, 142, …, 149) 사이에는 소자분리층(150)이 배치된다. 일 예에서 소자분리층(150)은 트랜치 소자분리층일 수 있다. 소자분리층(150)은 대략 적어도 300nm의 두께를 갖는다. n+형 컬렉터컨택영역들(122, 124), n+형 베이스컨택영역들(132, 134), 및 n+형 에미터영역들(141, 142, …, 149)은 소자분리층(150) 두께의 대략 20% 내지 40%에 해당하는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소자분리층(150)은 대략 300nm의 두께를 가지며, n+형 컬렉터컨택영역들(122, 124), n+형 베이스컨택영역들(132, 134), 및 n+형 에미터영역들(141, 142, …, 149)은 대략 60nm 내지 120nm의 깊이를 갖는다. 일 예에서 n+형 에미터영역들(141, 142, …, 149)의 각각과 p형 베이스영역(130)이 접하는 부분(L)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n+형 에미터영역들(141, 142, …, 149)의 각각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의 각각의 전류 구동 능력은 n+형 에미터영역들(141, 142, …, 149)의 각각과 p형 베이스영역(130)이 접하는 부분(L)의 면적에 의해 결정되며, 이에 따라 본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9개의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의 각각의 전류 구동 능력이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
9개의 에미터영역들(141, 142, …, 149) 중 어느 하나의 에미터영역(141)은 제1 에미터단자(E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에미터영역(141)을 제외한 나머지 에미터영역들(142, 143, …, 149)은 제2 에미터단자(E2)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일 예에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의 정합 특성(matching characteristics)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에미터단자(E1)에 연결되는 에미터영역(141)은 중앙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이오드 연결형 구조를 위해 n+형 컬렉터컨택영역들(122, 124) 및 n+형 베이스컨택영역들(132, 134)은 컬렉터단자(C)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도 1의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9개의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191, 192, …, 199)의 컬렉터가 하나의 컬렉터단자(C)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191, 192, …, 199)의 각각은 베이스와 컬렉터가 서로 연결되어 다이오드 연결형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191, 192, …, 199)의 각각의 베이스 또한 공통의 컬렉터단자(C)에 연결된다.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191)의 에미터는 제1 에미터단자(E1)에 연결되며, 나머지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192, 193, …, 199)의 에미터들은 제2 에미터단자(E2)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191, 192, …, 199)은 컬렉터영역(120) 및 베이스영역(130)을 공유한다.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191, 192, …, 199)의 각각은 상호 분리된 에미터영역들(141, 142, …, 149)의 각각을 갖는다.
도 4는 다른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나타내 보인 레이아웃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200)는, 복수개의 npn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는 베이스와 컬렉터가 서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연결형 구조를 갖는다. 즉 n형의 컬렉터영역(220) 내에 p형의 베이스영역(230)이 배치된다. p형의 베이스영역(230) 내에는 복수개, 예컨대 9개의 에미터영역들(241, 242, …, 249)이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에미터영역들(241, 242, …, 249)은 서로 수직인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3X3(3 by 3)의 어레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200)의 단면 구조는 어레이 형태로 에미터영역들(241, 242, …, 249)이 배치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또한 등가회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다.
도 5는 또 다른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나타내 보인 레이아웃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선 II-II'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300)는, 복수개의 pnp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는 베이스와 컬렉터가 서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연결형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기판(310)의 상부 일정 영역에 p형의 컬렉터영역(320)이 배치된다. 기판(310)이 p형 도전형을 갖는 경우 기판(310)이 p형의 컬렉터영역(320)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p형의 컬렉터영역(320)의 상부 일정 영역에는 n형의 베이스영역(330)과 p+형 컬렉터컨택영역들(322, 324)이 배치된다. p+형 컬렉터컨택영역들(322, 324)은 p형의 컬렉터영역(320)보다 높은 불순물 도핑농도를 갖는다. n형의 베이스영역(330)은 p형의 컬렉터영역(320)에 의해 둘러싸인다. p형의 컬렉터영역(320)의 상부 일정 영역에는 복수개, 예컨대 9개의 p+형의 에미터영역들(341, 342, …, 349) 및 p+형 베이스컨택영역들(332, 334)이 배치된다. p+형의 에미터영역들(341, 342, …, 349)은 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아일랜드(islands) 형태로 배치된다. p+형 베이스컨택영역들(332, 334)은 베이스영역(330)보다 높은 불순물 도핑농도를 갖는다.
p+형 컬렉터컨택영역들(322, 324), p+형 베이스컨택영역들(332, 334), 및 p+형 에미터영역들(341, 342, …, 349) 사이에는 소자분리층(350)이 배치된다. 일 예에서 소자분리층(350)은 트랜치 소자분리층일 수 있다. 소자분리층(350)은 대략 적어도 300nm의 두께를 갖는다. p+형 컬렉터컨택영역들(322, 324), p+형 베이스컨택영역들(332, 334), 및 p+형 에미터영역들(341, 342, …, 349)은 소자분리층(150) 두께의 대략 20% 내지 40%에 해당하는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소자분리층(350)은 대략 300nm의 두께를 가지며, p+형 컬렉터컨택영역들(322, 324), p+형 베이스컨택영역들(332, 334), 및 p+형 에미터영역들(341, 342, …, 349)은 대략 60nm 내지 120nm의 깊이를 갖는다. 일 예에서 p+형 에미터영역들(341, 342, …, 349)의 각각과 n형 베이스영역(330)이 접하는 부분(L)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p+형 에미터영역들(341, 342, …, 349)의 각각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의 각각의 전류 구동 능력은 p+형 에미터영역들(341, 342, …, 349)의 각각과 n형 베이스영역(330)이 접하는 부분(L)의 면적에 의해 결정되며, 이에 따라 본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9개의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의 각각의 전류 구동 능력이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
9개의 에미터영역들(341, 342, …, 349) 중 어느 하나의 에미터영역(341)은 제1 에미터단자(E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에미터영역(341)을 제외한 나머지 에미터영역들(342, 343, …, 349)은 제2 에미터단자(E2)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일 예에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의 정합 특성(matching characteristics)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에미터단자(E1)에 연결되는 에미터영역(341)은 중앙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이오드 연결형 구조를 위해 p+형 컬렉터컨택영역들(322, 324) 및 p+형 베이스컨택영역들(332, 334)은 컬렉터단자(C)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도 7은 도 5의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9개의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391, 392, …, 399)의 컬렉터가 하나의 컬렉터단자(C)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391, 392, …, 399)의 각각은 베이스와 컬렉터가 서로 연결되어 다이오드 연결형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391, 392, …, 399)의 각각의 베이스 또한 공통의 컬렉터단자(C)에 연결된다.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391)의 에미터는 제1 에미터단자(E1)에 연결되며, 나머지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392, 393, …, 399)의 에미터들은 제2 에미터단자(E2)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391, 392, …, 399)은 컬렉터영역(320) 및 베이스영역(330)을 공유한다.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391, 392, …, 399)의 각각은 상호 분리된 에미터영역들(341, 342, …, 349)의 각각을 갖는다.
도 8은 또 다른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나타내 보인 레이아웃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400)는, 복수개의 pnp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는 베이스와 컬렉터가 서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연결형 구조를 갖는다. 즉 p형의 컬렉터영역(420) 내에 n형의 베이스영역(430)이 배치된다. n형의 베이스영역(430) 내에는 복수개, 예컨대 9개의 에미터영역들(441, 442, …, 449)이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에미터영역들(441, 442, …, 449)은 서로 수직인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3X3(3 by 3)의 어레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400)의 단면 구조는 어레이 형태로 에미터영역들(441, 442, …, 449)이 배치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또한 등가회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전자회로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전자회로(500)는 밴드-갭 기준(BGR) 회로로서, 3개의 저항기들(resistors)(521, 522, 523)과, 연산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510)와, 그리고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1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 예컨대 9개의 npn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191, 192, …, 193)로 구성된다.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191)의 제1 에미터단자(E1)와 베이스단자, 즉 전원단자(VDD) 사이에 일정 크기의 제1 에미터-베이스전압(VBE1)이 발생되고, 일정 크기의 전류가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191)를 통해 흐르게 된다.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192, 193, …, 199)의 제2 에미터단자(E2)와 베이스단자, 즉 전원단자(VDD) 사이에도 일정 크기의 제2 에미터-베이스전압(VBE2)이 발생되고, 일정 크기의 전류가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192, 193, …, 199)을 통해 흐르게 된다.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191)의 제1 에미터단자(E1)는 저항기(521)의 일 단자에 연결된다.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192, 193, …, 199)의 제2 에미터단자(E2)는 저항기(523)의 일 단자에 연결된다. 저항기(521)의 일 단자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191)의 제1 에미터단자(E1)에 연결되는 동시에 연산증폭기(510)의 포지티브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저항기(523)의 반대 단자는 저항기(522)의 일 단자에 연결되는 동시에 연산증폭기(510)의 네가티브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저항기(521)의 반대 단자 및 저항기(522)의 반대 단자는 연산증폭기(510)의 출력단자(Vout)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연산증폭기(510)은, 저항기(521)와 제1 에미터단자(E1) 사이의 노드 "A"에 연결되는 포지티브 입력단자(+)와, 저항기(522) 및 저항기(523) 사이의 노드 "B"에 연결되는 네가티브 입력단자(-)를 갖는다. 연산증폭기(510)는 노드 "A" 및 노드 "B"의 전압을 노멀라이징(normalizing)하여 밴드갭 전압을 출력단자(Vout)을 통해 출력시킨다. 출력되는 밴드갭 전압은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식 (1)
수식 (1)에서 VREF는 출력단자(Vout)를 통해 출력되는 밴드-갭 기준전압이고, VDD는 전원전압이며, VBE2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192, 193, …, 199)의 제2 에미터단자(E2)와 베이스단자 사이의 전압이며, R2 및 R3는 각각 저항기(522) 및 저항기(523)의 저항값이며, VT는 포지티브 온도 계수(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로서 kT/q로 나타낼 수 있으며, n은 병렬연결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의 개수를 의미한다. 위 수식 (1)에서 알 수 있듯이 밴드-갭 기준전압(VREF)은 적절한 상수와 함께 서로 반대되는 부호(sign)의 온도 계수를 갖는 두 개의 전압성분을 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으며, 온도와 무관한 값을 나타낸다. 즉 VT에 의해 포지티브 온도 계수를 반영할 수 있으며, VBE2를 통해 포지티브 온도 계수를 반영할 수 있으며, 저항기들(521, 522, 523)의 저항값들(R1, R2, R3)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 온도와 무관한 밴드-갭 기준전압(VREF)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예에 따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전자회로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전자회로(600)는 밴드-갭 기준(BGR) 회로로서, 3개의 저항기들(resistors)(621, 622, 623)과, 연산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610)와, 그리고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300)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 예컨대 9개의 pnp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391, 392, …, 393)로 구성된다.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391)의 제1 에미터단자(E1)와 베이스단자, 즉 접지단자(VSS) 사이에 일정 크기의 제1 에미터-베이스전압(VBE1)이 발생되고, 일정 크기의 전류가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391)를 통해 흐르게 된다.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392, 393, …, 399)의 제2 에미터단자(E2)와 베이스단자, 즉 전원단자(VDD) 사이에도 일정 크기의 제2 에미터-베이스전압(VBE2)이 발생되고, 일정 크기의 전류가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392, 393, …, 399)을 통해 흐르게 된다.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391)의 제1 에미터단자(E1)는 저항기(621)의 일 단자에 연결된다.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392, 393, …, 399)의 제2 에미터단자(E2)는 저항기(623)의 일 단자에 연결된다. 저항기(621)의 일 단자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391)의 제1 에미터단자(E1)에 연결되는 동시에 연산증폭기(610)의 포지티브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저항기(623)의 반대 단자는 저항기(622)의 일 단자에 연결되는 동시에 연산증폭기(610)의 네가티브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저항기(621)의 반대 단자 및 저항기(622)의 반대 단자는 연산증폭기(610)의 출력단자(Vout)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연산증폭기(610)은, 저항기(621)와 제1 에미터단자(E1) 사이의 노드 "A"에 연결되는 포지티브 입력단자(+)와, 저항기(622) 및 저항기(623) 사이의 노드 "B"에 연결되는 네가티브 입력단자(-)를 갖는다. 연산증폭기(610)는 노드 "A" 및 노드 "B"의 전압을 노멀라이징(normalizing)하여 밴드갭 전압을 출력단자(Vout)을 통해 출력시킨다. 출력되는 밴드갭 전압은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2
................... 수식 (2)
수식 (2)에서 VREF는 출력단자(Vout)를 통해 출력되는 밴드-갭 기준전압이고, VBE2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391)의 제1 에미터단자(E1)와 베이스단자 사이의 전압이며, R2 및 R3는 각각 저항기(622) 및 저항기(623)의 저항값이며, VT는 포지티브 온도 계수(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로서 kT/q로 나타낼 수 있으며, n은 병렬연결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들의 개수를 의미한다. 위 수식 (2)에서 알 수 있듯이 밴드-갭 기준전압(VREF)은 적절한 상수와 함께 서로 반대되는 부호(sign)의 온도 계수를 갖는 두 개의 전압성분을 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으며, 온도와 무관한 값을 나타낸다. 즉 VT에 의해 포지티브 온도 계수를 반영할 수 있으며, VBE2를 통해 포지티브 온도 계수를 반영할 수 있으며, 저항기들(621, 622, 623)의 저항값들(R1, R2, R3)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 온도와 무관한 밴드-갭 기준전압(VREF)을 발생시킬 수 있다.
110...기판 120...컬렉터영역
122, 124...컬렉터컨택영역 130...베이스영역
132, 134...베이스컨택영역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에미터영역
150...소자분리층

Claims (30)

  1. 제1 도전형의 컬렉터영역;
    상기 컬렉터영역의 상부 일정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도전형의 베이스영역; 및
    상기 베이스영역의 상부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아일랜드 형태로 배치되는 제1 도전형의 복수개의 에미터영역들을 포함하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영역들은 일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에미터영역은 제1 에미터단자에 연결되고, 나머지 에미터영역들은 제2 에미터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미터단자에 연결되는 에미터영역은 에미터영역들의 중앙에 배치되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영역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도전형의 베이스컨택영역을 더 포함하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컨택영역은 상기 베이스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불순물 도핑농도를 갖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컨택영역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에미터영역들의 일 단부쪽 및 반대 단부쪽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컨택영역 및 제2 베이스컨택영역을 포함하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컬렉터영역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도전형의 컬렉터컨택영역을 더 포함하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컬렉터컨택영역은 상기 컬렉터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불순물 도핑농도를 갖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컬렉터컨택영역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에미터영역들의 일 단부쪽 및 반대 단부쪽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컬렉터컨택영역 및 제2 컬렉터컨택영역을 포함하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영역들 사이에 배치되는 트랜치 소자분리층을 더 포함하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영역들은 상기 트랜치 소자분리층 두께의 대략 20% 내지 40%의 깊이를 갖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은 n형이고, 상기 제2 도전형은 p형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은 p이고, 상기 제2 도전형은 n형인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영역들은, 서로 수직인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렉터영역 및 베이스영역은 공통의 컬렉터단자에 연결되는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영역들의 각각과 상기 베이스영역 사이의 접합 면적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18.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자회로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는,
    제1 도전형의 컬렉터영역;
    상기 컬렉터영역의 상부 일정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도전형의 베이스영역; 및
    상기 베이스영역의 상부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아일랜드 형태로 배치되는 제1 도전형의 복수개의 에미터영역들을 포함하는 전자회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는 npn형인 전자회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에미터영역은 제1 에미터단자에 연결되고, 나머지 에미터영역들은 제2 에미터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전자회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영역 및 컬렉터영역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전자회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영역 및 컬렉터영역은 전원단자에 연결되는 전자회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미터단자에 연결되는 포지티브 입력단자와, 상기 제2 에미터단자에 연결되는 네가티브 입력단자와, 그리고 출력단자를 갖는 연산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전자회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미터단자 및 출력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저항기와, 상기 네가티브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저항기와, 그리고 상기 네가티브 입력단자와 제2 에미터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저항기를 더 포함하는 전자회로.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는 pnp형인 전자회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에미터영역은 제1 에미터단자에 연결되고, 나머지 에미터영역들은 제2 에미터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전자회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영역 및 컬렉터영역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전자회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영역 및 컬렉터영역은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전자회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미터단자에 연결되는 포지티브 입력단자와, 상기 제2 에미터단자에 연결되는 네가티브 입력단자와, 그리고 출력단자를 갖는 연산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전자회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미터단자 및 출력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저항기와, 상기 네가티브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저항기와, 그리고 상기 네가티브 입력단자와 제2 에미터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저항기를 더 포함하는 전자회로.
KR1020140014897A 2014-02-10 2014-02-10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회로 KR102146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897A KR102146871B1 (ko) 2014-02-10 2014-02-10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회로
US14/322,775 US9490251B2 (en) 2014-02-10 2014-07-02 Diode-connected bipolar junction transistors and electronic circuits including the same
TW103125778A TWI624056B (zh) 2014-02-10 2014-07-29 連接成二極體之雙極接面電晶體及包含此連接成二極體之雙極接面電晶體的電子電路
US15/288,326 US9806073B2 (en) 2014-02-10 2016-10-07 Electronic circuits including diode-connected bipolar junction transist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897A KR102146871B1 (ko) 2014-02-10 2014-02-10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072A true KR20150094072A (ko) 2015-08-19
KR102146871B1 KR102146871B1 (ko) 2020-08-21

Family

ID=5377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897A KR102146871B1 (ko) 2014-02-10 2014-02-10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490251B2 (ko)
KR (1) KR102146871B1 (ko)
TW (1) TWI6240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2359B2 (en) * 2010-11-16 2013-11-12 Zeno Semiconductor, Inc. Dual-port semiconductor memory and first-in first-out (FIFO) memory having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
US10533324B2 (en) * 2017-11-30 2020-01-14 Alabama Metal Industries Corporation Below top of wall ventilation screed device and assembly
CN108281480B (zh) * 2018-02-09 2022-03-04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同时产生电离和位移缺陷信号的器件及其制备方法
DE102020119781A1 (de) * 2019-07-26 2021-01-28 Texas Instruments Inc. Bipolartransistor mit segmentierten emitterkontakten
CN110600544A (zh) * 2019-09-04 2019-12-20 山东奥天电子科技有限公司 高性能、宽安全工作区、高可靠性晶体管
US11290666B2 (en) * 2020-05-20 2022-03-29 Pixart Imaging Incorporation Multi-beta pixel circuit and image sensor circuit u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3629A (ja) * 1994-03-22 1995-10-1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バンドギャップ基準電源装置
JP2001267327A (ja) * 2000-03-15 2001-09-28 Nec Corp 半導体装置
KR20040077662A (ko) * 2002-02-27 2004-09-0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기준 전압 발생 회로와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전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5867B1 (en) * 1997-12-23 2001-05-01 Nortel Networks Limited Protection scheme for multi-transistor amplifiers
TWI228347B (en) * 2004-04-23 2005-02-21 Faraday Tech Corp Bandgap reference circuit
US7847374B1 (en) * 2007-07-06 2010-12-07 Chih-Hsin Wang Non-volatile memory cell array and logic
US20120068627A1 (en) * 2010-09-20 2012-03-22 Brooks Timothy W Temperature compensated led constant current source
CN102323847B (zh) * 2011-07-29 2013-11-2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四研究所 基于温度补偿的电压基准电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3629A (ja) * 1994-03-22 1995-10-1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バンドギャップ基準電源装置
JP2001267327A (ja) * 2000-03-15 2001-09-28 Nec Corp 半導体装置
KR20040077662A (ko) * 2002-02-27 2004-09-0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기준 전압 발생 회로와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전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32270A (zh) 2015-08-16
US9490251B2 (en) 2016-11-08
KR102146871B1 (ko) 2020-08-21
US20170025409A1 (en) 2017-01-26
US20150228643A1 (en) 2015-08-13
US9806073B2 (en) 2017-10-31
TWI624056B (zh)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871B1 (ko) 다이오드 연결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회로
US8797026B2 (en) Comparator circuit having latching behavior and digital output sensors therefrom
JP4873442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7119527B2 (en) Voltage reference circuit using PTAT voltage
JP2513926B2 (ja) Cmosバンドギャップ電圧基準回路
KR100756317B1 (ko) 딥 엔웰 씨모스 공정으로 구현한 수직형 바이폴라 정션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전압 기준 회로 및 전류 기준 회로
US94710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dified brokaw bandgap reference circuit for improved low voltage power supply
US20110241646A1 (en) Low Noise Bandgap References
CN113110691B (zh) 电压参考电路以及提供参考电压的方法
JP2005182113A (ja) 基準電圧発生回路
US20140077230A1 (en) Device layout for reference and sensor circuits
KR101551705B1 (ko) 기준 전압 발생 회로
JP2012108598A (ja) バンドギャップ型基準電圧発生回路
US6768139B2 (en) Transistor configuration for a bandgap circuit
US9727074B1 (en) Bandgap reference circuit and method therefor
US10795395B2 (en) Bandgap voltage reference circuit capable of correcting voltage distortion
CN114442727A (zh) 基准电压电路
JP2001085548A (ja) BiCMOS素子、オペアンプ、及びBGR回路
US11675383B2 (en) Voltage reference circuit and method for providing reference voltage
JP2002057219A (ja) 半導体集積回路
US20140152289A1 (en) Reference Voltage Generator Circuit
Jun Bandgap Reference Layout Analysis and Design
US9588538B2 (en)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
JP2690201B2 (ja) 半導体集積回路
CN116126088A (zh) 带隙参考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