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780A - 전자 기기 및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780A
KR20150093780A KR1020157018120A KR20157018120A KR20150093780A KR 20150093780 A KR20150093780 A KR 20150093780A KR 1020157018120 A KR1020157018120 A KR 1020157018120A KR 20157018120 A KR20157018120 A KR 20157018120A KR 20150093780 A KR20150093780 A KR 20150093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type
operation input
section
electronic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오 나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3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조작 입력부는 조작 입력을 접수하고, 조작 종별 판정부는 조작 입력부의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서 접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한 영역 분포에 따라서 조작 종별을 판정하며, 조작 제어부는 조작 종별 판정부가 판정한 조작 종별에 따라서 조작 입력에 관한 처리를 제어한다. 조작 제어부는 조작 입력에 관한 처리로서, 예를 들어 표시부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위치의 변화량을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는 조작 종별에 따라서 표시부에 화상을 표시하는 형태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본 발명은, 전자 기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3월 13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050785호에 기초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다기능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이외에, 그 표면에 접해서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있다(이하에,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의해, 전자 기기의 소형화와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에서는, 유저가 파지(把持)하면서 터치 패널의 표시면에 유저의 집게 손가락, 가운뎃 손가락, 터치펜 등의 조작물을 접촉함으로써, 직감적인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유저가 전자 기기를 파지할 때, 터치 패널의 일부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경우가 있다. 손가락이 접촉해도 조작 입력으로서 검출되지 않도록, 터치 패널의 주변부나 표시면의 하부에 불감응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즉, 불감응 영역에 손가락이 접촉해도, 접촉한 것에 의한 조작 입력은 접수되지 않아 터치 패널로부터 출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조작 정보 취득 장치에서는, 터치 패널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조작 종별을 취득하고,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터치 면적을 취득하며, 취득한 터치 면적에 대응하는 양을 취득된 조작 종별의 조작량으로서 결정한다. 그러나, 터치 패널의 불감응 영역에 관한 기재는 없고, 터치 패널의 주변부나 표시면의 하부에의 터치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에 관한 기재도 없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64272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조작 정보 취득 장치에서는, 터치 패널의 주변부나 표시면의 하부에의 터치에 의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조작 종별을 취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조작 종별에 따른 조작량을 결정함으로써,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없었다. 또한, 불감응 영역이 클수록, 조작 입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게 될 우려가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항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조작 종별에 따라서 조작성을 향상시킨 전자 기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와, 상기 조작 입력부의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서 접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한 영역 분포에 따라서 조작 종별을 판정하는 조작 종별 판정부와, 상기 조작 종별 판정부가 판정한 조작 종별에 따라서 조작 입력에 관한 처리를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조작 종별에 따라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터치 패널에 접촉한 조작물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터치 패널에 접촉한 조작물의 접촉 영역 분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터치 패널에 접촉한 조작물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터치 패널에 접촉한 조작물의 접촉 영역 분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의 기타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1)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전자 기기(1)는, 예를 들어 다기능 휴대 전화기(소위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태블릿 단말 장치, 퍼스널 컴퓨터 등이다. 전자 기기(1)의 크기는, 유저가 휴대 가능하면 어떠한 크기이어도 된다. 전자 기기(1)는, 대략 사람이 한손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그 경우, 전자 기기(1)는, 예를 들어 폭은55 내지 85mm, 높이는 100 내지 160mm, 두께는 8mm 내지 20mm의 범위 중 어느 하나의 치수를 갖는다.
전자 기기(1)는 터치 패널(101), 접속부(102), 메모리(103), 제어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 패널(101)은, 터치 센서(조작 입력부)(111), 조작 입력 처리부(112), 표시 처리부(113) 및 표시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 센서(111)는, 그 표면에 있어서 조작물(예를 들어, 유저의 손가락)이 접촉한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위치 정보를 조작 입력 처리부(112)에 출력한다. 즉, 이 위치 정보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한 위치를 나타낸다. 터치 센서(111)는 조작물이 접촉한 위치를 검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하나의 평면 상에 격자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소자(예를 들어, 정전 용량 센서, 압전 센서 등)를 구비하고, 각 소자에 조작물이 접촉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즉, 위치 정보는 조작물이 접촉한 것을 검출한 소자마다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터치 센서(111)의 표면은, 후술하는 감응부(111a)와 주연부(111b)로 구분된다(도 2).
조작 입력 처리부(112)와 표시 처리부(113)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제어 부품으로 구성된다. 조작 입력 처리부(112), 표시 처리부(113)의 기능은, 이 CPU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조작 입력 처리부(112)는, 예를 들어 터치 센서 드라이버 등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한 기능을 갖는다. 조작 입력 처리부(112)는, 터치 센서(111)로부터 입력된 위치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예를 들어, 20ms)마다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 정보에 대해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처리를 행한다. 터치 센서(111)에 조작물이 접촉한 접촉 영역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폭을 갖고,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유저의 복수의 손가락으로 접촉한 경우, 어느 하나의 손가락으로 손끝과 손가락 바닥으로 접촉한 경우, 어느 손가락과 손바닥으로 접촉한 경우 등이 있다. 그 경우, 조작 입력 처리부(112)는 각 접촉 영역을 구별하여 접촉 영역마다의 면적과 그 동작점(예를 들어, 중심점)을 산출한다. 산출된 동작점은 조작물이 접촉해서 조작 입력을 접수한 위치(터치 위치)를 대표한다.
각 접촉 영역을 구별하기 위해서, 조작 입력 처리부(112)는, 예를 들어 조작물이 접촉한 것을 검출한 터치 센서(111) 소자이며, 서로 인접하는 소자군이 차지하는 연속된 영역을 하나의 접촉 영역이라고 판정한다. 조작 입력 처리부(112)는 접촉 영역, 그 접촉 영역마다의 동작점 및 면적을 나타내는 접촉 정보(터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접촉 정보를, 접속부(102)를 통해서 제어부(104)에 출력한다.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에는, 감응부(111a)에 한정되지 않고, 주연부(111b)에 속하는 접촉 영역도 포함된다.
표시 처리부(113)는, 예를 들어 묘화 드라이버 등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한 기능을 갖는다. 표시 처리부(113)는 제어부(104)로부터 입력된 화상 정보를 표시부(114)에 출력한다.
표시부(114)는, 표시부(114)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이 터치 센서(111)의 패널의 이면에 접하고 있다. 표시부(114)는, 표시 처리부(113)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부(114)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다. 표시부(114)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111)와는 일체이어도 되고, 별개이어도 된다.
접속부(102)는, 터치 패널(101)과 제어부(104)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그 상호 간에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메모리(103)에는, 제어부(104)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OS(Operating System),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하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라고 칭한다)]를 기억한다. 또한, 메모리(103)는 제어부(104)가 실행하는 처리에 사용되는 데이터나 그 처리로 생성된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103)는, 예를 들어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이다.
제어부(104)는 전자 기기(1)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4)는, 예를 들어 CPU 등의 제어 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메모리(1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전자 기기(1)에 의한 여러 가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들 기능 면에서 고찰하면, 제어부(104)는 조작 종별 판정부(141), 조작 제어부(142) 및 표시 제어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04)는, 예를 들어 아이콘 등의 화면 부품에 관한 화상 신호를 메모리(103)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화상 신호를 표시 처리부(113)에 출력하며, 화면 부품을 표시부(114)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표시시키는 경우가 있다. 화면 부품은, 표시부(114)에 표시되는 표시 영역에의 조작 입력을 터치 센서(111)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가 접수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화상이다. 화면 부품은, UI(User Interface) 부품, GUI(Graphic User Interface) 컴포넌트라고도 불리며, 예를 들어 아이콘, 버튼, 링크 등이 있다.
제어부(104)는, 조작 입력 처리부(112)로부터 입력된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동작점의 위치와 표시부(114)에 표시시키는 화면 부품의 위치의 관계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1)의 기능을 발휘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 처리를 조작 기능 처리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제어부(104)는, 예를 들어 조작 입력 처리부(112)로부터 입력된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동작점이, 화면 부품이 표시된 영역에 포함될 때(화면 부품에의 누름), 그 화면 부품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 화면 부품에 따른 기능이란, 예를 들어 그 화면 부품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것,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것 등이 있다.
또한, 제어부(104)는, 실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는, 표시부(114)에 표시시키고 있는 화상에 있어서 플릭 조작을 검출했을 때, 그 화상을 스크롤하는 경우가 있다. 플릭 조작은, 터치 패널(101)에 있어서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누른 채 동작점을 이동시키는 조작이다. 즉, 제어부(104)는,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동작점이 계속해서 이동하는 것으로써 플릭 조작을 검출한다. 화상을 스크롤한다는 것은 동작점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그 화상을 표시하는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조작 입력 처리부(112)로부터 입력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종별(조작 모드)을 판정한다.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조작 종별로서, 예를 들어 전자 기기(1)가 좌우 어느 손으로 파지되고 있는지, 한손으로 조작(한손 조작)되고 있는지 양손으로 조작(양손 조작)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판정된 조작 종별을 나타내는 조작 종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조작 종별 정보를 조작 제어부(142) 및 표시 제어부(143)에 출력한다. 이 판정에서는,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 중 주연부(111b)(도 2)에 속하는 접촉 영역의 분포가 사용된다. 조작 종별 판정부(141)가 조작 종별을 판정하는 처리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조작 제어부(142)는, 조작 종별 판정부(141)로부터 입력된 조작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114)에 표시시키는 화상의 위치 변화량(이동량)을 제어한다. 조작 제어부(142)는, 예를 들어 입력된 조작 종별 정보가 한손 조작을 나타내는 경우의 변화량으로서, 양손 조작을 나타내는 경우의 스크롤량보다 큰 스크롤량을 정한다. 스크롤량이란, 화상의 표시 위치의 변화량의,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동작점의 변화량에 대한 비율이다. 동작점의 변화량이 일정한 경우, 스크롤량이 클수록 표시되는 화상의 위치의 변화량이 커진다.
메모리(103)에는, 양손 조작을 나타내는 경우의 스크롤량과 한손 조작을 나타내는 경우의 스크롤량을 미리 기억해 둔다. 한손 조작을 나타내는 경우의 스크롤량으로서 양손 조작을 나타내는 경우의 스크롤량보다 큰 값, 예를 들어 2배로 정해 둔다. 그리고, 조작 제어부(142)는, 입력된 조작 종별 정보에 따른 스크롤량을 메모리(103)로부터 판독한다. 조작 제어부(142)는, 판독한 스크롤량을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화상이 표시하는 위치를 제어할 때 사용한다. 이에 의해, 손가락의 움직임이 제한되기 쉬운 한손 조작의 경우에도 원활한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43)는, 조작 종별 판정부(141)로부터 입력된 조작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114)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표시하는 형태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143)는, 조작 종별 판정부(141)로부터 입력된 조작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114)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표시하는 형태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143)는, 예를 들어 입력된 조작 종별 정보가 한쪽 손(예를 들어, 왼손)으로 전자 기기(1)가 파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그 한쪽(예를 들어, 왼쪽) 측에, 그 분포가 치우치도록 화면 부품을 표시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143)는, 조작 종별 정보가 왼손으로 전자 기기(1)를 파지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표시부(114)의 좌측 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예를 들어, 좌우 방향의 중간점)보다 좌측에 화면 부품을 표시한다. 이에 의해, 파지에 관한 한손(예를 들어, 왼손)으로부터 도달이 용이한 위치(가까운 위치)에 화면 부품이 분포하기 때문에, 한손 조작을 행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43)는, 조작 종별 정보가 한손 조작(왼손 조작 또는 오른손 조작)을 나타내는 경우에 한하여, 분포가 치우치도록 표시하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표시부(114)에 표시시키는 화상이 화면 부품인지에 관계없이, 입력된 조작 종별 정보가 양손 조작을 나타내는 경우, 전자 기기(1)를 파지하고 있는 손(예를 들어, 왼손)과는 반대측(예를 들어, 우측)으로 치우치도록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이에 의해, 표시 또는 조작되는 화상이 조작에 관한 손에 가려지지 않기 때문에, 그 화상에 대한 시인성이나 조작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4)에 표시시키는 화상이 화면 부품과는 달리, 조작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통상의 화상이며, 입력된 조작 종별 정보가 한손 조작을 나타내는 경우, 그 한손과는 반대측에 화면 부품이 치우치도록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그 경우, 표시되는 화상이 조작에 관한 손에 가려지지 않기 때문에, 그 화상에 대한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101)에 있어서의 각 영역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전자 기기(1)는, 1변의 길이(높이)가 다른 1변의 길이(폭)보다 큰 세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에는 한정되지 않고, 전자 기기(1)는 폭이 높이보다 넓은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2에서는, X 방향은 전자 기기(1)의 폭 방향을 나타내고, Y 방향은 전자 기기(1)의 높이 방향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하는 X 방향, Y 방향은 도 3 내지 6, 11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X 방향, Y 방향을, 각각 우측, 하측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터치 패널(101)은 전자 기기(1)의 표면의 대부분을 덮는다. 터치 패널(101)이 구비하는 터치 센서(111)의 표면에 조작물이 접촉한 영역이 조작 입력 처리부(112)(도 1)에 있어서 접촉 영역이라고 판정된다. 터치 센서(111)에 있어서 굵은 파선보다도 내측의 영역이 감응부(111a)를 나타낸다. 감응부(111a)에 포함되는 접촉 영역에 기초하여 산출된 동작점이, 제어부(104)(도 1)에 있어서의 조작 기능 처리, 즉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에 따른 처리에 사용된다.
터치 센서(111)에 있어서, 굵은 파선보다도 외측의 영역이 주연부(111b)를 나타낸다. 주연부(111b)는, 종래는 불감응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연부(111b)를 불감응 영역으로는 하지 않고, 그 영역에 포함되는 접촉 영역도 이용된다. 주연부(111b)는, 주변부(111b-1), 좌측 하단부(111b-2) 및 우측 하단부(111b-3)를 포함한다.
주변부(111b-1)는, 터치 센서(111)의 외주의 우, 상, 좌, 하의 각 변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폭(예를 들어, 6mm)을 갖는 영역이다. 좌측 하단부(111b-2)는, 주변부(111b-1)의 좌측 하단부의 꼭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반경(예를 들어, 10mm)만큼 내측으로 파고 들어가, 주변부(111b-1)와 감응부(111a)에 끼워진 부채꼴 영역이다. 우측 하단부(111b-3)는, 주변부(111b-1)의 우측 하단부의 꼭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그 반경(예를 들어, 10mm)만큼 내측으로 파고 들어가, 주변부(111b-1)와 감응부(111a)에 끼워진 부채꼴 영역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좌측 하단부(111b-2)와 우측 하단부(111b-3)를 꼭지 단부라고 총칭한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종별 판정부(141)(도 1)가 판정하는 조작 종별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터치 패널(101)에 접촉한 조작물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유저가 왼손으로 전자 기기(1)를 파지하면서 왼손 엄지 손가락(F1a)의 선단부로 조작을 행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왼손 엄지 손가락(F1a)의 손가락 바닥, 집게 손가락(F1c)의 선단부 및 가운뎃 손가락(F1d)의 선단부가, 전자 기기(1)의 좌측 하단부, 우측 중단 및 우측 중단보다 약간 하방에 각각 접촉하고 있다.
도 4는, 터치 패널(101)에 접촉한 조작물의 접촉 영역 분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예는, 도 3의 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급되었을 때에 취득된 접촉 영역을 나타낸다. 터치 패널(101)의 좌측 하방측에 2개소, 우변에 2개소, 각각 1점 파선으로 둘러싸인 영역(t1a, t1b, t1c, t1d)이 접촉 영역이다. 각각의 접촉 영역에 포함되는 X표가 동작점을 나타낸다. 접촉 영역(t1a, t1b, t1c, t1d)은, 각각 엄지 손가락(F1a)의 바닥, 엄지 손가락(F1a)의 선단부, 집게 손가락(F1c)의 선단부, 가운뎃 손가락(F1d)의 선단부가 각각 터치 패널(101)에 접촉하고 있는 영역이다. 접촉 영역(t1b)의 동작점은, 감응부(111a)에 포함되기 때문에 제어부(104)가 행하는 조작 기능 처리에서 사용된다. 접촉 영역(t1a, t1c, t1d)의 동작점은, 감응부(111a)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104)가 행하는 조작 기능 처리에서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접촉 영역(t1a)은 좌측 하단부(111b-2)에 겹쳐 있지만, 어느 접촉 영역도 우측 하단부(111b-3)에 겹치지 않는다. 이것은, 유저가 왼손으로 전자 기기(1)를 파지할 때, 왼손 엄지 손가락(F1a)의 바닥이 주로 좌측 하단부(111b-2)에 접촉하고, 왼손의 손가락은 우측 하단부(111b-3)에는 접촉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유저가 오른손으로 전자 기기(1)를 파지할 경우에는, 오른손 엄지 손가락 바닥이 주로 우측 하단부(111b-3)에 접촉하고, 오른손의 손가락은 좌측 하단부(111b-2)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좌측 하단부(111b-2)에 포함되는 접촉 영역의 면적이, 우측 하단부(111b-3)에 포함되는 접촉 영역의 면적보다 클 때, 전자 기기(1)는 왼손으로 파지되고 있다고 판정한다. 한편,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우측 하단부(111b-3)에 포함되는 접촉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접촉 영역의 면적이, 좌측 하단부(111b-2)에 포함되는 접촉 영역의 면적보다 클 때, 전자 기기(1)가 오른손으로 파지되고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비교 대상이 되는 좌측 하단부(111b-2) 혹은 우측 하단부(111b-3)에 포함되는 접촉 영역의 면적이, 미리 정해진 접촉 영역의 면적의 역치, 예를 들어 좌측 하단부(111b-2)의 면적의 0.2배보다 큰 경우, 전자 기기(1)를 파지하는 손이 왼손 또는 오른손 중 어느 쪽인지 판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의복 등, 조작물 이외의 물체의 일부가 살짝 좌측 하단부(111b-2) 또는 우측 하단부(111b-3)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 어느 쪽 손으로 파지되고 있는지를 오판정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접촉 영역(t1a, t1b)의 각각의 동작점의 근방에 나타내고 있는 양쪽 화살표는, 각각의 동작점을 중심으로, 접촉 영역(t1a, t1b)이 각각 상하,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움직임은, 조작에 있어서 한쪽 손(예를 들어, 왼손)의 엄지 손가락(F1a)의 선단부가 움직일 때, 엄지 손가락(F1a)의 바닥이 연동함으로써 발생한다.
따라서,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좌측 하단부(111b-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지하는 접촉 영역(t1a)에 관한 동작점과, 감응부(111a)에 포함되는 접촉 영역(t1b)에 관한 동작점 사이에서 의미 있는 상관이 있을 경우, 전자 기기(1)를 파지하고 있는 왼손으로 조작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한다.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접촉 영역(t1a)에 관한 동작점의 좌표와 감응부(111a)에 포함되는 접촉 영역(t1b)에 관한 동작점의 좌표 사이의 상호 상관이 미리 정해진 상호 상관의 역치(예를 들어, 0.1)보다 클 때, 의미 있는 상관이 있다고 판정한다.
이에 비해,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우측 하단부(111b-3)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지하는 접촉 영역에 관한 동작점과, 감응부(111a)에 포함되는 접촉 영역에 관한 동작점 사이에서 의미 있는 상관이 있는 경우에는, 전자 기기(1)를 파지하고 있는 오른손으로 조작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한다.
상기 판정된, 오른손 조작이나, 왼손 조작은, 각각 한손 조작의 1종류이다.
좌측 하단부(111b-2) 혹은 우측 하단부(111b-3)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지하는 접촉 영역에 관한 동작점과, 감응부(111a)에 포함되는 접촉 영역에 관한 동작점 사이에서 의미 있는 상관이 없을 경우,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전자 기기(1)가 양손으로 조작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한다.
즉, 전자 기기(1)를 파지하고 있는 손(예를 들어, 왼손)과는 반대측 손(예를 들어, 오른손)이 조작을 행하고 있는 손이라고 판정된다.
도 5는, 터치 패널(101)에 접촉한 조작물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유저가 왼손으로 전자 기기(1)를 파지하면서, 오른손의 집게 손가락(F2)의 선단부로 조작을 행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왼손 엄지 손가락(F1a)의 바닥, 가운뎃 손가락(F1d)의 선단부 및 약손가락(F1e)의 선단부가, 전자 기기(1)의 좌측 하단부, 우측 중단보다 약간 상방, 우측 중단에 각각 접촉하고 있다.
도 6은, 터치 패널(101)에 접촉한 조작물의 접촉 영역 분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접촉 영역(t1e, t2)은, 왼손의 약손가락(F1e)의 선단부, 오른손의 집게 손가락(F2)의 선단부가 각각 터치 패널(101)에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을 나타낸다. 접촉 영역(t2)의 동작점의 근방에 표시되어 있는 양쪽 화살표는, 접촉 영역(t2)이 각각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 반해, 접촉 영역(t1a)에 관한 동작점의 근방에 도 3에 도시한 양쪽 화살표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접촉 영역(t1a)이 거의 정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즉, 조작에 관한 손(예를 들어, 오른손)의 접촉 영역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전자 기기(1)를 파지하는 손(예를 들어, 왼손)의 접촉 영역이 거의 정지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좌측 하단부(111b-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지하는 접촉 영역에 관한 동작점(t1a)과, 감응부(111a)에 포함되는 접촉 영역(t2)에 관한 동작점 사이에서 의미 있는 상관이 없다고 판정한다. 따라서,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전자 기기(1)를 파지하고 있지 않은 쪽 손(예를 들어, 오른손)이 조작을 행하고 있는 손이며, 전자 기기(1)가 양손으로 조작되고 있다고 판정한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101) 조작 입력 처리부(112)는, 터치 센서(111)로부터 입력된 위치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검출하고, 검출한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을 구별하여 접촉 영역마다 동작점을 산출한다. 이에 의해, 터치 센서(111)에 조작물이 접촉한 접촉 영역에 관한 접촉 정보를 취득한다. 그 후, 스텝 S102로 진행한다.
(스텝 S102)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좌측 하단부(111b-2)에 포함되는 접촉 영역의 면적과, 우측 하단부(111b-3)에 포함되는 접촉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여 전자 기기(1)를 파지하고 있는 손이 왼손인지 오른손인지를 판정한다. 또한,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파지의 관점이 아닌 조작의 관점에서, 한손으로 조작이 행해지고 있는지 양손으로 조작이 행해지고 있는지를 판정해도 된다(도 8, 스텝 S205 참조). 그 후, 스텝 S1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3) 표시 제어부(143)는, 예를 들어 전자 기기(1)를 파지하고 있는 손(예를 들어, 왼손) 측으로 치우치도록 화면 부품의 배치를 제어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43)는, 한손으로 조작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전자 기기(1)를 파지하고 있는 손(예를 들어, 왼손)과는 반대측(예를 들어, 우측)으로 치우치도록 화면 부품 이외의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43)는, 양손으로 조작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화상을, 전자 기기(1)를 파지하고 있는 손(예를 들어, 왼손)과는 반대측(예를 들어, 우측)으로 치우치도록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그 후, 본 흐름도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의 기타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의 기타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에 관한 정보 처리는, 스텝 S101(도 7)을 갖는다. 스텝 S101의 처리는 도 7의 스텝 S101의 조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101을 실행한 후, 스텝 S202로 진행한다.
(스텝 S202)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감응부(111a)에 동작점을 갖는 접촉 영역과 꼭지 단부[좌측 하단부(111b-2) 혹은 우측 하단부(111b-3)]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지하는 접촉 영역이 터치 패널(101)에 각각 분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각각 분포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202 "예"),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분포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202 "아니오"), 본 흐름도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203)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감응부(111a)에 포함되는 동작점의 궤적과, 주연부(111b)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지하는 접촉 영역에 포함되는 동작점의 궤적을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3초) 간격으로 검출한다. 그 후, 스텝 S204로 진행한다.
(스텝 S204)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감응부(111a)에 포함되는 동작점의 궤적과, 주연부(111b)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지하는 접촉 영역(t1a)에 관한 동작점의 궤적의 상호 상관을 산출한다.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산출된 상호 상관이 미리 정해진 역치보다 큰지 여부에 따라, 양자 간에 있어서의 의미 있는 상관의 유무를 판정한다. 그 후, 스텝 S205로 진행한다.
(스텝 S205) 조작 종별 판정부(141)는, 양자 간에 의미 있는 상관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전자 기기(1)는 한손으로 조작되고 있다고 판정하고, 양자에 의미 있는 상관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전자 기기(1)는 양손으로 조작되고 있다고 판정한다. 그 후, 스텝 S2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6) 조작 제어부(142)는, 전자 기기(1)가 한손으로 조작되고 있는지, 양손으로 조작되고 있는지에 따른 스크롤량(변화량)을 설정한다. 설정되는 스크롤량에서는, 한손 조작의 경우의 스크롤량쪽이 양손 조작의 경우의 스크롤량보다도 크다. 그 후, 본 흐름도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1)는, 도 7에 나타내는 처리와 도 8에 나타내는 처리를 별개로 실행해도 되고, 병행해서 실행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 센서(111)]의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예를 들어, 주연부(111b)]에서 접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한 영역(예를 들어, 접촉 영역)의 분포에 따라서 조작 종별을 판정하고, 판정된 조작 종별에 따라서 조작 입력에 관한 처리를 제어한다. 종래 사용되지 않았던 해당 일부 영역에서 접수한 조작 입력을 활용해서 조작 종별을 판정함과 함께, 판정된 조작 종별에 따른 처리에 의해 조작성이 향상된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원용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2)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2)에 있어서, 제어부(204)는, 조작 종별 판정부(141), 조작 제어부(142), 표시 제어부(143) 외에, 조작 입력 처리부(112) 및 표시 처리부(113)를 구비한다. 터치 패널(201)은, 터치 센서(111)와 표시부(114)를 구비한다. 그러나, 터치 패널(201)에서는, 도 1의 제1 실시 형태의 조작 입력 처리부(112) 및 표시 처리부(113)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도 9)에서는, 도 1의 제1 실시 형태의 접속부(102)(도 1)가 생략되고, 터치 센서(111)로부터 조작 입력 처리부(112)에의 위치 정보의 출력, 표시 처리부(113)로부터 표시부(114)에의 화상 신호의 출력이 직접 행하여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얻어지는 작용 효과 외에, 제어부(204)에서는, 조작 입력 처리부(112) 및 표시 처리부(113)가 일체화됨으로써, 조작 종별 판정부(141), 조작 제어부(142), 표시 제어부(143), 조작 입력 처리부(112) 및 표시 처리부(113)가 공통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OS)으로 동작할 수 있어 처리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 패널(201)]에 있어서의 CPU 등이나 접속부(102) 등의 부품을 생략하여, 부품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원용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3)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3)는, 제1 실시 형태의 도 1의 전자 기기(1)에 있어서, 터치 패널(101), 제어부(104) 대신 터치 패널(301), 제어부(304)를 구비하고, 가속도 센서(305)를 더 구비한다.
터치 패널(301)은, 터치 패널(101)(도 1)에 있어서 터치 센서(111) 대신 터치 센서(311)를 구비한다. 제어부(304)는, 제어부(104)(도 1)에 있어서, 조작 종별 판정부(141) 대신 조작 종별 판정부(341)를 구비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3)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터치 센서(311)는, 터치 센서(111)(도 2)와 마찬가지로 감응부(111a)와 주연부(111b)를 갖는다. 주연부(111b)는, 주변부(111b-1)와 4개의 꼭지 단부로서, 좌측 하단부(111b-2), 우측 하단부(111b-3) 이외에 우측 상단부(311b-4), 좌측 상단부(311b-5)를 갖는다. 우측 상단부(311b-4)는 주변부(111b-1)의 우측 상단부의 꼭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반경(예를 들어, 10mm)만큼 내측으로 파고 들어가, 주변부(111b-1)와 감응부(111a)에 끼워진 부채꼴 영역이다. 좌측 상단부(311b-5)는, 주변부(111b-1)의 좌측 상단부 꼭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그 반경(예를 들어, 10mm)만큼 내측으로 파고 들어가, 주변부(111b-1)와 감응부(111a)에 끼워진 부채꼴 영역이다.
도 10으로 되돌아가서, 가속도 센서(305)는 중력 가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중력 가속도를 나타내는 가속도 신호를 조작 종별 판정부(341)에 출력한다. 가속도 센서(305)는 서로 직교하는 3방향으로 감도축을 갖는 3축 가속도 센서이다. 전자 기기(3)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305)는 3개의 감도축 중, 2개의 감도축이 각각 X, Y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적어도 X, Y 방향으로의 중력 가속도의 성분, 즉 전자 기기(3)의 X, Y 평면 내의 기울기가 검출된다.
조작 종별 판정부(341)는, 조작 종별 판정부(141)(도 1)와 마찬가지 처리를 행한다. 단, 조작 종별 판정부(341)는, 가속도 센서(305)로부터 입력된 가속도 신호에 기초하여 4개의 꼭지 단부 중, 어느 2개를 감응부(111a)에 준해서 조작 기능 처리에 사용하는지, 나머지 2개를 상술한 주연부(111b)에 준해서 조작 종별의 판정에 사용하는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조작 종별 판정부(341)는, 터치 센서(311)의 저변 양단에 설정되어 있는 2개의 꼭지 단부를 조작 종별의 판정에 사용한다고 판정하고, 나머지 2개의 꼭지 단부를 조작 기능 처리에 사용한다고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종별 판정부(341)는, 가속도 신호의 Y성분의 값이 X성분의 값보다도 큰 양의 값일 때, 터치 센서(311)의 하변을 저변이라고 판정하고, 좌측 하단부(111b-2)와 우측 하단부(111b-3)를 조작 종별의 판정에 사용한다고 판정한다.
가속도 신호의 X성분의 값이 Y성분의 절댓값보다도 큰 양의 값일 때, 조작 종별 판정부(341)는, 터치 센서(311)의 우변을 저변이라고 판정하고, 우측 하단부(111b-3)와 우측 상단부(311b-4)를 조작 종별의 판정에 사용한다고 판정한다.
가속도 신호의 Y성분의 절댓값이 X성분의 절댓값보다도 크고, Y성분의 값이 음의 값일 때, 조작 종별 판정부(341)는, 터치 센서(311)의 상변을 저변이라고 판정하고, 우측 상단부(311b-4)와 좌측 상단부(311b-5)를 조작 종별의 판정에 사용한다고 판정한다.
가속도 신호의 X성분의 절댓값이 Y성분의 절댓값보다도 크고, X성분의 값이 음의 값일 때, 조작 종별 판정부(341)는, 터치 센서(311)의 좌변을 저변이라고 판정하고, 좌측 상단부(311b-5)와 좌측 하단부(111b-2)를 조작 종별의 판정에 사용한다고 판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3)는, 전자 기기(2)(도 9)에 있어서 터치 센서(111), 조작 종별 판정부(141) 대신 터치 센서(311), 조작 종별 판정부(341)를 구비하고, 가속도 센서(305)를 더 구비해서 구성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는, 검출한 중력 가속도에 따라 조작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 센서(311)]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접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한 영역(예를 들어, 접촉 영역)의 분포에 따라서 조작 종별의 판정에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에 의해, 유저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예를 들어, 전자 기기(3)]를 파지하는 방향(예를 들어, 세로 들기, 혹은, 가로 들기)에 관계없이, 적확하게 조작 종별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이하의 형태로도 실행할 수 있다.
(1)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와, 상기 조작 입력부의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서 접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한 영역 분포에 따라서 조작 종별을 판정하는 조작 종별 판정부와, 상기 조작 종별 판정부가 판정한 조작 종별에 따라서 조작 입력에 관한 처리를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2)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조작 종별 판정부가 판정한 조작 종별에 따라서 표시부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위치의 변화량을 제어하는 (1)의 전자 기기.
(3) 상기 조작 종별 판정부가 판정한 조작 종별에 따라서 표시부에 화상을 표시하는 형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1) 또는 (2)의 전자 기기.
(4)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방법이며,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의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서 접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한 영역 분포에 따라서 조작 종별을 판정하는 조작 종별 판정 과정과, 상기 조작 종별 판정 과정에서 판정한 조작 종별에 따라서 조작 입력에 관한 처리를 제어하는 조작 제어 과정을 갖는 정보 처리 방법.
(5) 전자 기기의 컴퓨터에,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의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서 접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한 영역 분포에 따라서 조작 종별을 판정하는 조작 종별 판정 수순, 상기 조작 종별 판정 수순에서 판정한 조작 종별에 따라서 조작 입력에 관한 처리를 제어하는 조작 제어 수순을 실행시키기 위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
상술한 (1), (4) 또는 (5)에 의하면, 일부 영역에서 접수한 조작 입력을 활용해서 조작 종별을 판정하고, 판정한 조작 종별에 따른 처리에 의해 조작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2)에 의하면, 판정한 조작 종별에 따라서 화상을 표시시키는 위치의 변화량을 제어함으로써 조작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3)에 의하면, 판정한 조작 종별에 따른 형태로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조작성 및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1, 2, 3)의 일부, 예를 들어 제어부(104, 204, 304)를 컴퓨터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이 제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이게 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전자 기기(1, 2, 3)에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이며, OS나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플렉시블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가반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말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해서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경우의 통신선처럼 단시간,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보유 지지하는 것, 그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가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보유 지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되고, 또한 전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1, 2, 3)의 일부 또는 전부를,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의 집적 회로로서 실현해도 된다. 전자 기기(1, 2, 3)의 각 기능 블록은 개별로 프로세서화해도 되고, 일부 또는 전부를 집적해서 프로세서화해도 된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방법은 LSI에 한하지 않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해 LSI에 대체하는 집적 회로화 기술이 출현한 경우, 당해 기술에 의한 집적 회로를 사용해도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설계 변경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조작 종별에 따라서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한 전자 기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등에 적용할 수 있다.
1, 2, 3: 전자 기기
101, 201, 301: 터치 패널
102: 접속부
103: 메모리
104, 204, 304: 제어부
305: 가속도 센서
111, 311: 터치 센서
112: 조작 입력 처리부
113: 표시 처리부
114: 표시부
141, 341: 조작 종별 판정부
142: 조작 제어부
143: 표시 제어부

Claims (5)

  1. 전자 기기로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와,
    상기 조작 입력부의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서 접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한 영역 분포에 따라서 조작 종별을 판정하는 조작 종별 판정부와,
    상기 조작 종별 판정부가 판정한 조작 종별에 따라서 조작 입력에 관한 처리를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조작 종별 판정부가 판정한 조작 종별에 따라서 표시부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위치의 변화량을 제어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종별 판정부가 판정한 조작 종별에 따라서 표시부에 화상을 표시하는 형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4.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의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서 접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한 영역 분포에 따라서 조작 종별을 판정하는 조작 종별 판정 과정과,
    상기 조작 종별 판정 과정에서 판정한 조작 종별에 따라서 조작 입력에 관한 처리를 제어하는 조작 제어 과정을 갖는, 정보 처리 방법.
  5. 전자 기기의 컴퓨터에,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의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서 접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한 영역 분포에 따라서 조작 종별을 판정하는 조작 종별 판정 수순,
    상기 조작 종별 판정 수순에서 판정한 조작 종별에 따라서 조작 입력에 관한 처리를 제어하는 조작 제어 수순을 실행시키기 위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1020157018120A 2013-03-13 2014-02-12 전자 기기 및 정보 처리 방법 KR201500937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50785 2013-03-13
JP2013050785A JP5995171B2 (ja) 2013-03-13 2013-03-13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CT/JP2014/053226 WO2014141799A1 (ja) 2013-03-13 2014-02-12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780A true KR20150093780A (ko) 2015-08-18

Family

ID=5153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120A KR20150093780A (ko) 2013-03-13 2014-02-12 전자 기기 및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363036A1 (ko)
JP (1) JP5995171B2 (ko)
KR (1) KR20150093780A (ko)
CN (1) CN104903838A (ko)
WO (1) WO20141417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1166B2 (en) * 2015-03-30 2016-11-22 Sony Corpor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of a terminal device
JP6492910B2 (ja) * 2015-04-13 2019-04-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携帯端末
JP7353989B2 (ja) * 2020-01-09 2023-10-02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8694A (ja) * 2006-04-28 2007-11-15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設定入力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145773U (ja) * 2008-07-17 2008-10-23 有限会社インターネットアンドアーツ タッチパッド入力装置
KR20100039194A (ko) * 2008-10-06 2010-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접촉 패턴에 따른 GUI(Graphic User Interface) 표시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장치
JP2010213169A (ja) * 2009-03-12 2010-09-24 Fujifilm Corp 表示装置、表示処理方法及び撮像装置
US8799827B2 (en) * 2010-02-19 2014-08-05 Microsoft Corporation Page manipulations using on and off-screen ges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41799A1 (ja) 2014-09-18
US20150363036A1 (en) 2015-12-17
JP5995171B2 (ja) 2016-09-21
CN104903838A (zh) 2015-09-09
JP2014178750A (ja)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321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정보 편집 방법
US96718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touch screen with varying sensitivity regions
KR101679158B1 (ko) 휴대형 장치
JP5999830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640486B2 (ja) 情報表示装置
EP2431853A2 (en) Character input device
TW201329835A (zh) 顯示控制裝置、顯示控制方法及電腦程式
KR20100039194A (ko) 사용자 접촉 패턴에 따른 GUI(Graphic User Interface) 표시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장치
JP2015531527A (ja) 入力装置
JP5222967B2 (ja) 携帯端末
JP5780438B2 (ja) 電子機器、位置指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550419B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mobile terminal device
CN10399566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KR20140061042A (ko) 센서를 이용한 입력요소 재배치 단말기 및 방법
KR20150093780A (ko) 전자 기기 및 정보 처리 방법
US20120218207A1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JP5997921B2 (ja) 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装置
CN105247467A (zh) 信息处理装置、其处理方法以及程序
JP6154148B2 (ja) 入力操作装置、表示装置、および、コマンド選択方法
JP5492627B2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KR102191321B1 (ko) 터치이벤트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26882B1 (ko)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 전자 장치에서 다섯 손가락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7218567B2 (ja) 情報入力装置
JP600003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5739810A (zh) 移动电子装置与用户界面显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