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314A -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 Google Patents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314A
KR20150093314A KR1020140013917A KR20140013917A KR20150093314A KR 20150093314 A KR20150093314 A KR 20150093314A KR 1020140013917 A KR1020140013917 A KR 1020140013917A KR 20140013917 A KR20140013917 A KR 20140013917A KR 20150093314 A KR20150093314 A KR 20150093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formula
group
adhesive composition
pola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8281B1 (ko
Inventor
최한영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40013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281B1/ko
Publication of KR20150093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의 접합에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식 1 및 2 중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함유한 광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함으로써,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접합력을 현저히 개선하고, 내열성 및 내습열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3D 입체효과를 갖도록 하는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ADHESIVE COMPOSITION AND COMPLEXED POLARIZATION PL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입체 영상 구현용 액정표시장치 등의 디스플레이에는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은 각 패턴 영역의 광축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성하여 편광 안경을 쓴 시청자의 좌, 우안에 전달되는 영상이 다르게 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은 통상적으로 유리 기판 상에 배향막을 형성시키고 이 배향막 위에 액정을 코팅 및 배향시켜 형성될 수 있다. 광반응성 액정 물질은 배향막 상에서 배향된 후 자외선 등의 광 조사에 의해 가교되어 고분자 액정 필름의 형태가 된다. 이 때 배향막의 표면 배향에 준하는 액정의 배향 방향에 따라 리타더 패턴의 기능을 하게 된다.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은 통상적으로 편광판의 한 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매개로 접합되고, 근래에는 보다 박막 경량화를 위해 폴리비닐알콜 편광자의 한 면에 접합되기도 한다.
이러한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과 편광판 또는 편광자 사이의 밀착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공정시 취급 과정 또는 사용 중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고온 다습한 조건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에 박리되거나 밀림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상의 폴리비닐알콜 편광자는 연신 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위상차층의 위치별로 위상차가 상이해져 3D 입체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합력이 우수하면서, 내온수성, 내습열성 등의 기능을 고루 갖춘 우수한 접착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8881호에는 필름·패턴드·리타더의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패턴드·리타더, 및 그것을 갖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8881호
본 발명은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접합력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합된 복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의 접합에 사용되며,
하기 화학식 1 및 2 중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함유한 광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식 중, R1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이며;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임)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식 중, R1은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 또는 OR4이고,
상기 알킬기 및 아릴기는 OR4로 치환될 수 있으며,
R4는 옥시라닐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고;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OR5이며,
R5는 옥시라닐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임).
2. 위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3-a 내지 3-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3-a]
Figure pat00003
[화학식 3-b]
Figure pat00004
[화학식 3-c]
Figure pat00005
[화학식 3-d]
Figure pat00006
[화학식 3-e]
Figure pat00007
.
3. 위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4-a 내지 4-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4-a]
Figure pat00008
[화학식 4-b]
Figure pat00009
[화학식 4-c]
Figure pat00010
[화학식 4-d]
Figure pat00011
[화학식 4-e]
Figure pat00012
[화학식 4-f]
Figure pat00013
.
4.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위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합된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복합 편광판.
5. 위 4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패턴화된 위상차층과 접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보호필름 또는 위상차필름의 기능을 가진 필름이 접합된 것인, 복합 편광판.
6. 위 4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위상차층은 신나메이트계 단관능 모노머, 페닐벤조에이트계 단관능 모노머 및 페닐벤조에이트계 이관능 모노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반응성 액정 모노머를 함유한 액정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편광판.
7. 위 6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위상차층의 액정 코팅층이 페닐벤조에이트계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는 화학식 1의 모노머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되고,
신나메이트계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는 화학식 2의 모노머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된, 복합 편광판.
8. 위 4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위상차층은 배향막을 포함하지 않는, 복합 편광판.
9. 위 5의 복합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접합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경우에,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접합력을 현저히 개선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접합된 복합 편광판은 내열성 및 내습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다습 조건에 장시간 노출된 경우에도 박리 및 밀림 현상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접합된 복합 편광판은 편광 기능 및 개선된 3D 입체효과를 동시에 갖는다.
본 발명은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의 접합에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화학식 1 및 2 중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함유한 광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함으로써,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접합력을 현저히 개선하고, 내열성 및 내습열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3D 입체효과를 갖도록 하는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접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접합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로서,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에 개재된다.
패턴화된 위상차층은 편광자와 접하는 측에 형성된 액정 코팅층을 포함한다.
액정 코팅층은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반응성 액정 모노머(RM) 등을 포함하는 액정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반응성 액정 모노머의 대표적인 예로는 신나메이트계 단관능 모노머, 페닐벤조에이트계 단관능 모노머, 페닐벤조에이트계 이관능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화학식 1 및 2 중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함유한 광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4
(식 중, R1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이며;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임)
[화학식 2]
Figure pat00015
(식 중, R1은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 또는 OR4이고,
상기 알킬기 및 아릴기는 OR4로 치환될 수 있으며,
R4는 옥시라닐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고;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OR5이며,
R5는 옥시라닐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임).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 및 2 중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함유한 광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접합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조할 때 접합력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이는 화학식 1 및 2의 모노머가 액정 코팅층을 이루는 반응성 액정 모노머와 동일한 모핵 구조를 가져 모노머 간의 파이-파이 상호 작용이 극대화됨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화학식 1의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3-a 내지 3-e 중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3-a]
Figure pat00016
[화학식 3-b]
Figure pat00017
[화학식 3-c]
Figure pat00018
[화학식 3-d]
Figure pat00019
[화학식 3-e]
Figure pat00020
화학식 2의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4-a 내지 4-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4-a]
Figure pat00021
[화학식 4-b]
Figure pat00022
[화학식 4-c]
Figure pat00023
[화학식 4-d]
Figure pat00024
[화학식 4-e]
Figure pat00025
[화학식 4-f]
Figure pat00026
.
화학식 1 및 2의 모노머는 패턴화된 위상차층에 포함되는 액정 코팅층이 함유한 반응성 액정 모노머와 동일한 모핵 구조를 가지므로 접합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혼합비는 반응성 액정 모노머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응성 액정 모노머가 페닐벤조에이트계 모노머인 경우에는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2의 화합물이 10:0의 비율로 포함되고, 반응성 액정 모노머가 신나메이트계 모노머인 경우에는 0:10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반응성 액정 모노머가 페닐벤조에이트계 모노머와 신나메이트계 모노머를 함께 포함하는 경우에는, 화학식 1의 모노머와 화학식 2의 모노머도 그 혼합비와 동일하게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접합력 개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한다.
광중합 개시제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하여 양이온 중합을 개시시킬 수 있는 성분을 방출하는 양이온 광개시제로서, 오늄 염(onium salt) 또는 유기 금속염(organometallic salt) 계열의 이온화 양이온 개시제 또는 유기 실란 또는 잠재성 황산(latent sulfonic acid) 계열이나 그 외의 비이온화 화합물 등과 같은 비이온화 양이온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오늄염 계열의 개시제로는, 디아릴이오도늄 염(diaryliodoniumsalt), 트리아릴술포늄 염(triarylsulfonium salt) 또는 아릴디아조늄 염(aryldiazonium salt) 등이 예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디페닐요오도늄, 4-메톡시디페닐요오도늄, 비스(4-메틸페닐)요오도늄, 비스(4-tert-부틸페닐)요오도늄, 비스(도데실페닐)요오도늄, 트리페닐술포늄, 디페닐-4-티오페녹시페닐설포늄, 비스[4-(디페닐술포니오)-페닐]술피드, 비스[4-(디(4-(2-히드록시에틸)페닐)술포니오)-페닐]술피드,η5-2,4-(시클로펜타디에닐)[1,2,3,4,5,6-η-(메틸에틸)벤젠]-철(1+) 등의 오늄 이온과,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헥사플루오로아르세네이트,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 등의 음이온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유기 금속염 계열의 개시제로는 철 아렌(iron arene)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유기 실란 계열의 개시제로는, o-니트릴벤질 트리아릴 실리 에테르(o-nitrobenzyl triaryl silyl ether), 트리아릴 실리 퍼옥시드(triaryl silyl peroxide) 또는 아실 실란(acyl silane)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잠재성 황산 계열의 개시제로는 a-설포닐옥시 케톤 또는 a-히드록시메틸벤조인 설포네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양이온 개시제로는 요오드 계열의 개시제와 광증감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 가능한 시판되는 광중합개시제의 예시로는 Uvacure 1590, 1591(DAICEL-UCB Company, Ltd.), San-Aid SI-110, SI-180, SI-100L, SI-80L, SI-60L(산신 화학공업사), 아데카 옵토머 SP-100, SP-172, SP-170, SP-152(아사히덴카사), 2074(Rhodia사)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광중합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 속도가 느려지고 충분한 경화가 진행되기 어려울 수 있고, 10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접착층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복합 편광판>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복합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합된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접합되어, 그 접합력이 우수하다.
편광자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입사되는 빛을 편광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정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폴리 비닐알코올(PVA)로 이루어진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를 염색시키고 이를 일정 방향으로 연신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과 접합되는 면의 반대면에는 보호필름이 접합된 것일 수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 배향막 및 액정코팅층의 순서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또는 배향막을 포함하지 않는 구조일 수도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은 액정코팅층이 편광자쪽을 향하도록 접합된다.
기재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폐성, 위상차 균일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배향막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배향막은 기재 상에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고 배향성을 부여한 후에, 서로 다른 배향 방향을 갖도록 패턴화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향성 부여 방법은 러빙 방식, 광 배향 방식 등을 들 수 있고, 패턴화 방법은 포토마스크를 이용한 복수의 노광 공정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광에 사용되는 광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편광된 자외선 조사, 소정의 각도로 이온빔 또는 플라즈마빔 조사 및 방사선 조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편광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코팅층은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반응성 액정 모노머(RM) 등을 포함하는 액정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배향막 상에 도포하고, 가교시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반응성 액정 모노머의 대표적인 예로는 신나메이트계 단관능 모노머, 페닐벤조에이트계 단관능 모노머, 페닐벤조에이트계 이관능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반응성 액정 모노머가 이들 모노머인 경우,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 사용시에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간의 접합력이 특히 우수하다.
바람직하게는, 반응성 액정 모노머가 페닐벤조에이트계 모노머인 경우는 화학식 1의 모노머를 함유한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되고, 신나메이트계 모노머인 경우는 화학식 2의 모노머를 함유한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반응성 액정 모노머가 페닐벤조에이트계와 신나메이트계 모노머를 동시에 함유하는 경우는, 이들 혼합비와 동일한 혼합비로 화학식 1 및 2를 함유한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접합력 개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신나메이트계 단관능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7-a 및 7-b의 모노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7-a]
Figure pat00027
[화학식 7-b]
Figure pat00028
.
페닐벤조에이트계 단관능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8-a 내지 8-c의 모노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8-a]
Figure pat00029
[화학식 8-b]
Figure pat00030
[화학식 8-c]
Figure pat00031
.
페닐벤조에이트계 이관능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9-a 내지 9-d의 모노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9-a]
Figure pat00032
[화학식 9-b]
Figure pat00033
[화학식 9-c]
Figure pat00034
[화학식 9-d]
Figure pat00035
.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배향막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배향막 없이 기재 상에 액정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노광시켜 패턴화 및 배향을 동시에 수행하여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액정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배향을 위해, 직선 광중합성 폴리머 등의 편광 자외선 광에 의해 배향이 가능한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배향막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다 박막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화상표시장치>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화상표시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입체화상구현용 또는 반투과형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종래 편광판과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적층되는 위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비교예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을 갖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광중합성 화합물
(A)
광개시제
(B)
성분 중량부 성분 중량부
실시예 1 A-1 100 B-1 1
실시예 2 A-2 100 B-2 1
실시예 3 A-3 100 B-3 1
실시예 4 A-4 100 B-1 1
실시예 5 A-1
/A-3
50
/50
B-1 1
실시예 6 A-2
/A-4
50
/50
B-1 1
비교예 1 A-5 100 B-1 1
비교예 2 A-6 100 B-1 1
비교예 3 A-5
/A-6
50
/50
B-1 1
A-1:
Figure pat00036

A-2:
Figure pat00037

A-3:
Figure pat00038

A-4:
Figure pat00039

A-5:
Figure pat00040

A-6:
Figure pat00041

B-1: 아데카 옵토머 SP-100 (아사히덴카사)
B-2: 아데카 옵토머 SP-172 (아사히덴카사)
B-3: 아데카 옵토머 SP-152 (아사히덴카사)
실험예
(1) 박리력 측정
패턴화된 위상차층과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보호필름이 일면에 접합된 폴리비닐알콜 편광자를, 액정코팅층과 편광자가 접하도록 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접착제 조성물로 Roll laminator를 이용하여 접합하였다. 평가를 위해 말단 부분은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도록 하였다.
실시예 1,3,5 및 비교예는 패턴화된 위상차층으로 페닐벤조에이트계 반응성 액정 모노머인 화학식 8-b와 개시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에 코팅, 건조 및 경화한 필름을 사용하였고, 실시예 2, 4 및 6은 패턴화된 위상차층으로 신나메이트계 반응성 액정 모노머인 화학식 7-b와 개시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에 코팅, 건조 및 경화한 필름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7-b]
Figure pat00042
[화학식 8-b]
Figure pat00043
.
이후에 UV 노광기(퓨젼사)를 이용하여 광량 2000mJ/cm2으로 313nm의 파장의 UV를 조사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켰다.
박리력은 상기 제조된 복합 편광판 샘플을 25mm 폭으로 절단한 뒤, 180도 박리방향으로 300mm/min의 속도로 박리하여 측정하였다.
(2) 내열성, 내습열성 평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편광판을 제조하고, 보호필름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 및 경화시킨 다음에, 소다글라스에 접합하고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였다.
이후에 각각의 복합 편광판의 내열성 및 내습열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내열성 테스트는 80℃에서 500시간, 내습열성 테스트는 60℃, 90% RH에서 500시간 방치한 후에, 액정코팅층과 편광자의 접합면에서의 기포나 박리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 내열성 및 내습열성을 평가하였다.
◎: 기포나 박리가 전혀 없음
○: 기포나 박리가 있으나, 매우 작은 부분에 한정하여 확인됨
△: 기포나 박리가 다소 확인됨
X: 상당 영역에 걸쳐 기포나 박리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됨
구분 박리력(N/25mm) 내열성 내습열성
실시예 1 3.2
실시예 2 3.5
실시예 3 3.1
실시예 4 3.8
실시예 5 3.5
실시예 6 3.6
비교예 1 1.5 X
비교예 2 1.6 X
비교예 3 1.4 X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6의 접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복합 편광판은 박리력이 우수하고, 내열성 및 내습열성이 뛰어나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3의 접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복합 편광판은 박리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내열성, 내습열성 평가시에 다수의 기포 및 박리가 발생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낮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의 접합에 사용되며,
    하기 화학식 1 및 2 중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함유한 광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44

    (식 중, R1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이며;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임)
    [화학식 2]
    Figure pat00045

    (식 중, R1은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 또는 OR4이고,
    상기 알킬기 및 아릴기는 OR4로 치환될 수 있으며,
    R4는 옥시라닐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고;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OR5이며,
    R5는 옥시라닐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3-a 내지 3-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3-a]
    Figure pat00046

    [화학식 3-b]
    Figure pat00047

    [화학식 3-c]
    Figure pat00048

    [화학식 3-d]
    Figure pat00049

    [화학식 3-e]
    Figure pat00050
    .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4-a 내지 4-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4-a]
    Figure pat00051

    [화학식 4-b]
    Figure pat00052

    [화학식 4-c]
    Figure pat00053

    [화학식 4-d]
    Figure pat00054

    [화학식 4-e]
    Figure pat00055

    [화학식 4-f]
    Figure pat00056
    .
  4.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합된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복합 편광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패턴화된 위상차층과 접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보호필름 또는 위상차필름의 기능을 가진 필름이 접합된 것인, 복합 편광판.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위상차층은 신나메이트계 단관능 모노머, 페닐벤조에이트계 단관능 모노머 및 페닐벤조에이트계 이관능 모노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반응성 액정 모노머를 함유한 액정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편광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위상차층의 액정 코팅층이 페닐벤조에이트계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는 화학식 1의 모노머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되고,
    신나메이트계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는 화학식 2의 모노머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된, 복합 편광판.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위상차층은 배향막을 포함하지 않는, 복합 편광판.
  9. 청구항 4의 복합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140013917A 2014-02-07 2014-02-07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KR101918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917A KR101918281B1 (ko) 2014-02-07 2014-02-07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917A KR101918281B1 (ko) 2014-02-07 2014-02-07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314A true KR20150093314A (ko) 2015-08-18
KR101918281B1 KR101918281B1 (ko) 2018-11-13

Family

ID=5405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917A KR101918281B1 (ko) 2014-02-07 2014-02-07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2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9298A (zh) * 2020-11-17 2021-02-26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基于对羟基肉桂酸的环氧树脂单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395216A (zh) * 2021-12-31 2022-04-26 中南民族大学 生物基超支化聚合物环氧树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2762A (ja) * 2001-06-27 2003-01-15 Dainippon Ink & Chem Inc 重合性液晶化合物、組成物、及び光学異方体
JP2006023656A (ja) * 2004-07-09 2006-01-26 Chisso Corp 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制御された液晶フィルム
JP2007183580A (ja) * 2005-12-07 2007-07-19 Chisso Corp 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03715A (ko) * 2008-07-01 2010-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편광판용 보호 필름,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00095402A (ko) * 2009-02-20 2010-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20120116887A (ko) * 2011-04-13 2012-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KR20130071445A (ko) * 2013-04-25 2013-06-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2762A (ja) * 2001-06-27 2003-01-15 Dainippon Ink & Chem Inc 重合性液晶化合物、組成物、及び光学異方体
JP2006023656A (ja) * 2004-07-09 2006-01-26 Chisso Corp 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制御された液晶フィルム
JP2007183580A (ja) * 2005-12-07 2007-07-19 Chisso Corp 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03715A (ko) * 2008-07-01 2010-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편광판용 보호 필름,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00095402A (ko) * 2009-02-20 2010-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20120116887A (ko) * 2011-04-13 2012-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KR20130071445A (ko) * 2013-04-25 2013-06-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9298A (zh) * 2020-11-17 2021-02-26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基于对羟基肉桂酸的环氧树脂单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395216A (zh) * 2021-12-31 2022-04-26 中南民族大学 生物基超支化聚合物环氧树脂及其制备方法
CN114395216B (zh) * 2021-12-31 2023-10-13 中南民族大学 生物基超支化聚合物环氧树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281B1 (ko)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71163B (zh) 液晶固化膜、包含液晶固化膜的光学膜及显示装置
CN108351459A (zh) 偏振板和ips模式液晶显示装置
CN106371164B (zh) 层叠体、包含层叠体的圆偏振板及具备层叠体的显示装置
TW201237459A (en) Optical element
TW201400951A (zh) 液晶配向劑、液晶配向膜、相位差膜、相位差膜的製造方法、液晶顯示元件及聚合物
JP2012008170A5 (ko)
WO2014188935A1 (ja) 位相差フィルム、該位相差フィルムを用いた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4032270A (ja)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複合偏光板
JP2013231761A (ja)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23033284A (ja) 組成物及び表示装置
CN110072963B (zh) 用于偏光板的粘着剂组成物、偏光板与光学显示器
KR101918281B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CN114051586A (zh) 长条膜
CN111146249A (zh) 用于发光显示器的偏光板及包括其的发光显示器
KR101902907B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JP5782531B2 (ja) 積層体、並びにそれを有する偏光板、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KR101918280B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KR20150017650A (ko) 접착제 조성물
JP5652412B2 (ja) 位相差層形成用の重合性液晶組成物、位相差フィルム及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60084094A (ko)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210112947A (ko)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TW202004234A (zh) 偏光板、其製備方法以及包含其的影像顯示器件
TWI542656B (zh) 偏光板用接著劑、含有其的偏光板以及含有其的光學顯示器
KR20150046883A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WO2023127629A1 (ja) 円偏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