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247A - 캐리어 부착 금속박 - Google Patents

캐리어 부착 금속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247A
KR20150093247A KR1020157020564A KR20157020564A KR20150093247A KR 20150093247 A KR20150093247 A KR 20150093247A KR 1020157020564 A KR1020157020564 A KR 1020157020564A KR 20157020564 A KR20157020564 A KR 20157020564A KR 20150093247 A KR20150093247 A KR 20150093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metal foil
foil
copper
copper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다카모리
Original Assignee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3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22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ecursors of printed circuits, i.e. copper-clad substrates
    • H05K3/025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ecursors of printed circuits, i.e. copper-clad substrates by transfer of thin metal foil formed on a temporary carrier, e.g. peel-apart copp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47Carriers and holders
    • H05K2203/0152Temporary metallic carrier, e.g. for transferr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2Details related to mechanical or acoustic processing, e.g. drilling, punching, cutting, using ultrasound
    • H05K2203/0285Using ultrasound, e.g. for cleaning, soldering or wet treat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 H05K3/4652Adding a circuit layer by laminating a metal foil or a preformed metal foil patter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72Microscopic interfacial wave or rough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36Al-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36Al-base component
    • Y10T428/1275Next to 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03Cu-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03Cu-base component
    • Y10T428/1291Next to Co-, Cu-, or Ni-base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rts Pri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캐리어 A 와 금속박 B 가 교대로 중첩되는 적층체로서, 인접하는 캐리어 A 가 금속박 B 의 전체면을 덮는 면적을 갖고, 또한 당해 캐리어 A 의 가장자리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프린트 배선판에 사용되는 편면 혹은 2 층 이상의 다층 적층판 또는 극박의 코어리스 기판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캐리어 부착 구리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적층판의 제조시에 사용하는 캐리어 부착 구리박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프린트 기판 제조 공정의 핸들링성 향상 및 수율 상승에 의한 비용 삭감을 실현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Description

캐리어 부착 금속박{METAL FOIL WITH CARRIER}
본 발명은 프린트 배선판에 사용되는 편면 혹은 2 층 이상의 다층 적층판의 제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캐리어 부착 구리박에 관한 것이다.
다층 적층체의 대표적인 예는 프린트 회로판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트 회로판은 합성 수지판, 유리판, 유리 부직포, 종이 등의 기재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켜 얻은 「프리프레그 (Prepreg)」라고 하는 유전재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고 있다.
프리프레그 표면 (표리면) 에는 전기 전도성을 가진 구리 또는 구리 합금박 등의 시트가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적층물을 일반적으로 CCL (Copper Clad Laminate) 재라고 부르고 있다. 그리고, CCL 재료에 추가로 구리박을 프리프레그를 개재하여 다층화한 것을 다층 기판이라고 부르고 있다.
상기 구리 또는 구리 합금박 대신에 알루미늄, 니켈, 아연 등의 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두께는 5 ∼ 200 ㎛ 정도이다.
이상의 공정에 있어서, 구리박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 및 핸들링성을 향상시킬 목적에서 캐리어 부착 구리박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종래 알려져 있는 캐리어 부착 구리박 (특허문헌 2, 3, 4 참조) 을 사용한 4 층 기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두께가 0.2 ∼ 2 ㎜ 인 프레스면이 평활한 스테인리스제 프레스판 (통칭, 「경면판」이라고 한다.) 상에, 캐리어에 박리할 수 있게 접착된 극박 (極薄) 구리박을 M 면 (조면 ; 粗面) 이 위가 되도록 재치 (載置) 하고, 다음으로 소정 장수의 프리프레그, 다음으로 내층 코어라고 하는 CCL 재료에 회로를 형성한 프린트 회로 기판, 다음으로 프리프레그, 다음으로 캐리어에 박리할 수 있게 접착된 극박 구리박을 M 면 (조면) 이 아래가 되도록 재치하고, 이들을 경면판 순서대로 중첩시킴으로써 1 세트의 4 층 기판 재료로 이루어지는 조립 유닛이 완성된다.
이후에는 이들 유닛 (통칭, 「페이지」) 을 2 ∼ 10 회 정도 반복적으로 중첩시켜 프레스 조립체 (통칭, 「북」) 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북을 핫프레스기 내의 열판 상에 세팅하고,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가압 성형함으로써 적층판을 제조한다. 4 층 이상의 기판에 대해서는, 내층 코어의 층수를 높임으로써 동일한 공정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캐리어 부착 구리박은, 극박 구리박과 캐리어가 전체면에서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적층 후에 작업자가 이 캐리어를 박리하는 데에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고 손이 많이 간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작업자는 레이업 (적층) 시에, 구리박의 M 면을 위로 하여 배치하거나 또는 M 면을 아래로 하여 배치하는 작업을 교대로 반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구리박 및 캐리어가 동일 치수이기 때문에, 레이업시에 구리박 1 장 1 장을 따로따로 나누기 어려워, 이 점에 있어서도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알루미늄판 표리에 구리박이 접착된 구조의 CAC 를 사용한 회로 기판의 제조시에, CAC 재료의 일부에 알루미늄판 (JIS #5182) 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알루미늄판의 선팽창계수는 23.8 × 10-6/℃ 로, 기판의 구성 재료인 구리박 (16.5 × 10-6/℃) 및 중합 후의 프리프레그 (C 스테이지 : 12 ∼ 18 × 10-6/℃) 에 비해 크기 때문에, 프레스 전후의 기판 사이즈가 설계시의 그것과는 상이한 현상 (스케일링 변화) 이 일어난다. 이것은 면내 방향의 회로의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기 때문에, 수율 저하의 한 요인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프린트 배선판에 사용되는 각종 재료의 선팽창계수 (상온) 는 하기와 같다. 알루미늄판의 선팽창계수가 다른 것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ㆍ구리박 : 16.5 (× 10-6/℃)
ㆍSUS304 : 17.3 × 10-6/℃
ㆍSUS301 : 15.2 × 10-6/℃
ㆍSUS630 : 11.6 × 10-6/℃
ㆍ프리프레그 (C 스테이지) : 12 ∼ 18 × 10-6/℃
ㆍ알루미늄판 (JIS #5182) : 23.8 × 10-6/℃
본원 발명에는 직접 관계되지 않지만, 캐리어 부착 극박 구리박에 관한 예로서 다음의 문헌이 있다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보 제310098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618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8679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40090호
본 발명은 이들 사상 (事象) 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프린트 배선판에 사용되는 편면 혹은 2 층 이상의 다층 적층판 또는 극박의 코어리스 기판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캐리어 부착 구리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적층판의 제조시에 사용하는 캐리어 부착 구리박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프린트 기판 제조 공정의 핸들링성 향상 및 수율 상승에 의한 비용 삭감을 실현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구리박을 지지하는 캐리어를 구리박의 면적보다 크게 함으로써 조작하기 쉬워진다는 지견을 얻었다.
이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1) 캐리어 A 와 금속박 B 가 교대로 중첩되는 적층체로서, 인접하는 캐리어 A 가 금속박 B 의 전체면을 덮는 면적을 갖고, 또한 당해 캐리어 A 의 가장자리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2) 캐리어 A 및 금속박 B 가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금속박
3) 캐리어 A 및 금속박 B 의 1 변이 서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금속박
4) 캐리어 A 및 금속박 B 의 인접하는 2 변 또는 대향하는 2 변이 서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금속박, 을 제공한다.
또, 본원 발명은,
5) 금속박 B 가, 구리박 또는 구리 합금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금속박
6) 금속박 B 의 광택면이, 알루미늄 또는 구리 혹은 구리 합금의 캐리어 A 에 접하도록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구리박
7) 금속박 B 의 광택면이, 알루미늄 또는 구리 혹은 구리 합금의 캐리어 A 에 접하도록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금속박
8) 캐리어 A 가 압연 구리박 또는 전해 구리박이고, 구리박 B 의 광택면이, 압연 구리박의 조화 (粗化) 처리면 또는 전해 구리박의 조면 혹은 조화 처리면에 접하도록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 또는 7) 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구리박을 제공한다.
9) 캐리어 A 및 금속박 B 가 각각 광택면 (S 면) 을 갖고, 각각 광택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금속박
10) 캐리어 A 및 금속박 B 가 어긋나지 않도록, 접착제, 코킹 혹은 스택 폴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금속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11) 금속박이, 5 ∼ 120 ㎛ 의 두께를 갖는 전해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금속박
12) 금속박이, 5 ∼ 120 ㎛ 의 두께를 갖는 압연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금속박
13) 캐리어의 열팽창률이 금속박의 열팽창률의 +10 %, -30 %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금속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캐리어 부착 금속박은, 캐리어 A 와 금속박 B 가 교대로 중첩되는 적층체로서, 인접하는 캐리어 A 가 금속박 B 의 전체면을 덮는 면적을 가짐과 함께, 당해 캐리어 A 의 가장자리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제 1 특징이다.
이로써, 적층된 1 세트의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와 동종의 다른 세트의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의 구별이 용이해져, 작업자의 핸들링성이 향상된다. 또, 캐리어를 구리박으로부터 박리할 때에도, 치수가 상이한 지점 (가장자리부 또는 변부) 이 있기 때문에, 박리도 용이해진다.
또,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의 구리박의 광택면 상호를 중첩시키는 것은 임의이기는 하지만, 이와 같이 하면, 작업자가 구리박의 M 면을 아래에 두거나 위에 두거나 하는 작업이 필요로 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은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목적에 따라 캐리어의 광택면 혹은 조면 또는 구리박의 광택면 혹은 조면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또, 캐리어를 구리박으로 하는 것은 임의이지만, 캐리어를 구리박으로 한 경우에는 선팽창계수가 기판의 구성 재료인 구리박 및 중합 후의 프리프레그와 동등한 레벨에 있다는 점에서, 회로의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불량품 발생이 적어져,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원 발명은, 금속박 B 의 광택면이, 알루미늄 또는 구리 혹은 구리 합금의 캐리어 A 에 접하도록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구조의 캐리어 부착 구리박이 제 2 특징이다. 이로써, 적층 후의 알루미늄 캐리어의 박리가 용이해져, 해체 후의 구리박이 파단되거나, 알루미늄 캐리어가 구리박 상에 잔류하거나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캐리어 A 가 압연 구리박 또는 전해 구리박이고, 구리박 B 의 광택면이, 압연 구리박의 조화 (粗化) 처리면 또는 전해 구리박의 조면 혹은 조화 처리면에 접하도록 초음파 접합시키는 것이 유효하다.
또,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의 재료의 선택에 의해, 특히 재질과 표면 상태를 선택함으로써 접합을 박리할 때의 박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구리박, 프리프레그, 코어재, 구리박을 순서대로 중첩시키고, 캐리어 A 의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구조를 구비한 본 발명의 캐리어 부착 금속박의 개념 설명도이다.
도 2 는 캐리어 A 의 광택면 (S 면) 과 금속박 B 의 광택면 (S 면) 을 서로 접착시킨 본 발명의 캐리어 부착 구리박의 설명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 는 구리박, 프리프레그, 코어재, 구리박을 순서대로 중첩시켜, 캐리어 A 가 그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구조를 구비하고, 핫프레스함으로써 L2 의 구리박층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 는 구리박, 프리프레그, 코어재, 구리박을 순서대로 중첩시켜, 캐리어 A 는 그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캐리어 A 및 금속박 B 의 광택면을 서로 접합시킨 캐리어 부착 구리박을 사용하여 핫프레스함으로써, 최외층의 구리박층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트 회로판은 합성 수지판, 유리판, 유리 부직포, 종이 등의 기재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켜 얻은 「프리프레그 (Prepreg)」라고 하는 유전재를 사용하여, 이 프리프레그를 사이에 두고 전기 전도성을 가진 구리 또는 구리 합금박 등의 시트가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적층물을 일반적으로 CCL (Copper Clad Laminate) 재라고 한다. 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CCL (Copper Clad Laminate) 재의 상기 구리 또는 구리 합금박 대신에 알루미늄, 니켈, 아연 등의 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두께는 5 ∼ 200 ㎛ 정도이다.
본원 발명의 캐리어 부착 금속박을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의 캐리어 부착 금속박에 있어서 캐리어를 A 로, 금속박을 B 로 나타낸다. 구조적으로는, 상기 CCL 재와 유사하지만, 본원 발명의 캐리어 부착 금속박은,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와는 최종적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기계적으로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 점에서, CCL 재는 박리시키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구조와 기능은 완전히 상이한 것이다.
도 1 에 있어서, 어느 경우에도, 캐리어 A 가 금속박 B 보다 면적이 크고, 도 1(a) 의 경우에는, 대향하는 2 변이 금속박 B 보다 비어져 나와 있는 구조를 갖고, 도 1(b) 의 경우에는, 1 변이 금속박 B 보다 비어져 나와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돌출량은 전적으로 임의이며, 작업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대략 1 ㎝ ∼ 10 ㎝ 정도이지만, 이 범위를 초과하여 제작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나머지 캐리어 A 의 변 가장자리는, 금속박 B 와 정렬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것은 제조 공정이 목적에 따라 임의로 조정 또는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은, 캐리어 A 가 금속박 B 보다 면적을 크게 하여 캐리어 A 가 비어져 나온 구조로 하여, 적층된 1 세트의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와 동종의 다른 세트의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의 구별을 용이하게 하고, 또 캐리어 A 와 금속박 B 로부터 박리할 때에, 치수가 상이한 지점 (가장자리부 또는 변부) 을 형성하여 박리를 용이하게 하여, 전체적으로 작업자의 핸들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제 일의적 목적이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캐리어 A 및 금속박 B 는 직사각형 (장방형 또는 정방형) 으로 한다. 이 형상은 제조상에서의 취급이 편리한 형상으로 하면 되어 임의적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을 사용한다.
또, 중첩시키는 취급상, 캐리어 A 및 금속박 B 의 1 변이 서로 정렬되어 있는 것, 혹은 캐리어 A 및 금속박 B 의 인접하는 2 변 또는 대향하는 2 변이 서로 정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선택도 또한 임의이다.
본 발명의 캐리어 부착 금속박은, 금속박 B 가 구리박 또는 구리 합금박인 것, 또 캐리어 A 가 구리박 또는 구리 합금박인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캐리어 부착 금속박은, 캐리어 A 및 금속박 B 가 각각 광택면 (S 면) 을 갖고, 각각 광택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하는 것이 많은 이점이 있어 더욱 바람직한 형태이다.
도 2 에 캐리어 A 가 금속박 B 보다 면적을 크게 하여 캐리어 A 가 비어져 나온 구조로 하고, 또한 각각 광택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한 캐리어 부착 금속박을 나타낸다. 도 2 에 있어서, 상방의 금속박 B 에, 예를 들어 구리박을 사용하여 상면을 M 면 (조면) 으로 하고, 하면을 S 면 (광택면) 으로 함과 함께, 아래의 캐리어 A 의 상면을 S 면 (광택면) 으로 하고, 하면을 M 면 (조면) 으로 하여, 이들 S 면 (광택면) 상호를 접착시킨 것이다.
이 경우, 캐리어 A 와 금속박 B 가 동질 재료의 박이면, 레이업시에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의 각각 표리의 광택면을 반대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작업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종래, 작업자는 레이업 (적층) 시에, 구리박의 M 면을 위로 하여 배치하는 것, 또한 M 면을 아래로 하여 배치하는 작업을 교대로 반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이것을 단번에 해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캐리어 A 가 금속박 B 보다 면적을 크게 하여 캐리어 A 가 비어져 나온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적층된 1 세트의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와 동종의 다른 세트의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의 구별이 용이해지고, 또 캐리어를 구리박으로부터 박리할 때에도, 치수가 상이한 지점 (가장자리부 또는 변부) 이 있기 때문에 박리도 용이해진다. 이들을 종합하면, 종래의 공정에 비하여 작업자의 핸들링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어, 본원 발명의 현저성이 분명하다.
캐리어 A 및 금속박 B 가 어긋나지 않도록 상호가 접합되지만, 접착제, 코킹 혹은 스택 폴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접합 방법도 임의이지만, 상기의 접합법이 바람직한 접합 방법이다.
도 3 에 캐리어 (예를 들어, 구리박) A 의 광택면을 위로 하고, 금속 (구리) 박 B 의 광택면을 아래로 하여 초음파에 의해 용착시킨 예를 나타낸다. 도 3 에서는, 캐리어 (예를 들어, 구리박) A 의 광택면이 일부 우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 금속 (구리) 박 B 의 조면 (M 면) 이 뒤에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캐리어 A 와 금속박 B 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업 (적층) 작업이 효율적으로 개선된다. 또, 전체면이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적층 후의 박리 (해체) 작업도 용이해진다.
금속박 B 로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박이 대표적인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지만, 알루미늄, 니켈, 아연 등의 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캐리어 A 는 금속박 B 와 동일한 재질의 박을 사용할 수 있다.
구리 또는 구리 합금박의 경우, 5 ∼ 120 ㎛ 의 두께를 갖는 전해박 또는 압연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의 열팽창률이, 금속박 B 의 열팽창률의 +10 %, -30 %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열팽창차에서 기인하는 회로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불량품 발생을 감소시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캐리어 A 와 금속박 B 는, 도금 또는 에칭 등의 공정 전에 기계적으로 박리하게 되기 때문에, 양자의 박리 강도는 1 g/㎝ 이상, 1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리면은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의 경계인 것이 바람직하고, 양자 사이에서 상대 재료의 잔류물이 남는 것은 제거 공정이 필요해지고, 공정이 복잡화되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본원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원 발명의 기술 사상에 기초하는 변형, 실시양태, 다른 예는 본원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수지 재료로서 에폭시 수지로부터 제작한 프리프레그를 사용하였다. 캐리어 부착 금속박 상에, 원하는 장수의 프리프레그, 다음으로 내층 코어라고 하는 2 층 프린트 회로 기판, 다음으로 프리프레그, 추가로 캐리어 부착 금속박을 순서대로 중첩시킴으로써 1 세트의 4 층 기판의 재료 조립 유닛을 완성시켰다.
다음으로, 이 유닛 (통칭, 「페이지」라고 한다) 을 10 회 정도 반복하여 프레스 조립물 (통칭, 「북」이라고 한다) 을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의 구조에 특징이 있고, 캐리어 A 가 금속박 B 보다 비어져 나와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 4 에 이 구조를 나타낸다.
도 4 에 캐리어 부착 금속박, 원하는 장수의 프리프레그, 내층 코어인 2 층 프린트 회로 기판, 프리프레그, 추가로 캐리어 부착 금속박을 순서대로 중첩시킨 4 층 기판의 유닛 (통칭, 「페이지」) 을 형성한다. 경면판 (중간판) 을 사이에 두고, 더욱 겹겹이 중첩시킨 모습을 나타낸다 (도 4 에서는 2 단). 통상적으로, 이것을 10 회 정도 반복하여 프레스용 조립물 (통칭, 「북」) 을 제작한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 n」은, 다층 (n = 1, 2, 3‥n) 을 의미한다.
이들 적층체는 거의 정렬되어 있지만, 상기 유닛의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본 실시예의 특징점이 된다. 이것이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온 캐리어 A 이다. 캐리어 A 에 35 ㎛ 의 압연 구리 합금박을 사용 (이 예에서는, 구리 65 %, 아연 35 % 의 놋쇠를 사용) 함과 함께, 금속박 B 에는 5 ㎛ 의 압연 구리박을 사용하여, 이들을 에폭시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시킨 것이다.
접합 지점은 도 3 에 나타내는 위치로 하였다. 또한,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의 접합면은, 캐리어 A 의 광택면 (S 면) 과 금속박 B 의 조면 (M 면) 으로 하였다.
이 1 세트의 4 층 기판의 재료 조립 유닛을 제작하는 단계에서, 캐리어 부착 금속박을 반전시킬 필요가 있었지만, 캐리어 A 가 금속박 B 보다 면적을 크게 하여 캐리어 A 가 비어져 나온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적층된 1 세트의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와 동종의 다른 세트의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의 구별이 용이해져 반전 조작은 용이하였다. 상기와 같이, 이 프레스용 조립물을 제작하는 전단계에서 작업 효율의 큰 개선을 도모할 수 있었다.
그 후, 이 북을 핫프레스기에 세팅하고,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가압 성형함으로써 4 층 기판을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4 층 이상의 기판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는 내층 코어의 층수를 높임으로써 동일한 공정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적층판은 캐리어와 구리박 사이에서 박리 분리시키고, 그 후 도금 공정 및/또는 에칭 공정을 거쳐 회로를 형성하여 완성품으로 하였다. 캐리어 A 로 금속박 B 를 전체면에 걸쳐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적층 중에 금속박에 주름의 발생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캐리어 A 에 구리 합금박과 금속박 B 에 구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선팽창계수가 기판의 구성 재료인 구리박 및 중합 후의 프리프레그와 거의 동일한 레벨에 있기 때문에, 회로의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경우가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CAC 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불량품 발생이 적어져,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실시예 1 에 있어서는,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온 캐리어 A 의 구조에 특징을 갖는 것이며, 이 구조의 이점은, 금속박 B 및 캐리어 A 의 재질이나 두께에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닌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수지 재료로서 에폭시 수지로부터 제작한 프리프레그를 사용하였다. 캐리어 부착 금속박 상에, 원하는 장수의 프리프레그, 다음으로 내층 코어라고 하는 2 층 프린트 회로 기판, 다음으로 프리프레그, 추가로 캐리어 부착 금속박을 순서대로 중첩시킴으로써 1 세트의 4 층 기판의 재료 조립 유닛을 완성시켰다.
다음으로, 이 유닛 (통칭 「페이지」라고 한다) 을 10 회 정도 반복하여 프레스 조립물 (통칭, 「북」이라고 한다) 을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의 구조에 특징이 있으며, 캐리어 A 가 금속박 B 보다 비어져 나와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캐리어 A 가 구리, 금속박 B 에 구리를 사용하였다. 도 5 에 이 구조를 나타낸다. 이 도 5 는, 도 4 와 동일한 구조로 보이지만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일 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의 사용 재료와 중첩 형태가 상이하다. 도면의 설명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도 5 에 캐리어 부착 금속박, 원하는 장수의 프리프레그, 내층 코어인 2 층 프린트 회로 기판, 프리프레그, 추가로 캐리어 부착 금속박을 순서대로 중첩시킨 4 층 기판의 유닛 (통칭, 「페이지」) 을 형성한다. 경면판 (중간판) 을 사이에 두고, 더욱 겹겹이 중첩시킨 모습을 나타낸다 (도 5 에서는 2 단). 통상적으로, 이것을 10 회 정도 반복하여 프레스용 조립물 (통칭, 「북」) 을 제작한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 n」은, 다층 (n = 1, 2, 3‥n) 을 의미한다.
이들 적층체는 거의가 정렬되어 있지만, 상기 유닛의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이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온 캐리어 A 이다. 또한, 캐리어 A 에 압연 구리박을 사용함과 함께, 금속박 B 에는 전해 구리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광택면 (S 면) 상호를 초음파 용착법을 사용하여 접합시켰다. 접합 지점은 도 3 에 나타내는 위치로 하였다. 상기와 같이, 이 프레스용 조립물을 제작하는 전단계에서 더욱 작업 효율의 큰 개선을 도모할 수 있었다.
그 후, 이 북을 핫프레스기에 세팅하고,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가압 성형함으로써 4 층 기판을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4 층 이상의 기판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는 내층 코어의 층수를 높임으로써 동일한 공정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프리프레그를 갖는 다층 구조의 프린트 회로 기판은, 도금 공정 및/또는 에칭 공정을 거쳐 회로를 형성하고, 또한 캐리어 A 와 구리박 B 사이에서 박리 분리시켜 완성품으로 하였다. 상기 적층 중에, 금속박에 주름의 발생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캐리어 A 에 구리박과 금속박 B 에도 구리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선팽창계수가 기판의 구성 재료인 구리박 및 중합 후의 프리프레그와 거의 동일한 레벨에 있기 때문에, 회로의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경우가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CAC 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불량품 발생이 적어져,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3)
캐리어 A 의 압연 구리박의 조화 처리면과 금속박 B 의 전해 구리박의 S 면을 초음파 용착법을 사용하여 접합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북으로 하여 핫프레스기에 세팅하고,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가압 성형함으로써 4 층 기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도금 공정 및/또는 에칭 공정을 거쳐 회로를 형성하고, 또한 캐리어와 구리박 사이에서 박리 분리시켜 완성품으로 하였다.
이 박리 분리에 있어서, 실시예 2 의 경우, 박리 분리 후의 구리박이 파단되거나, 구리 캐리어가 구리박 상에 잔류하거나 하는 경우가 약간 있었지만, 본 예의 구성에서는 구리박의 파단 내지 구리 캐리어의 구리박 위로의 잔류는 전혀 없었다.
이상으로부터, 캐리어 A 의 압연 구리박의 조화 처리면과 금속박 B 의 전해 구리박의 S 면을 초음파 용착법을 사용하여 접합시키는 것이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캐리어 A 에 전해 구리박을 사용하였다. 전해 구리박에는 조면과 광택면이 있지만, 이 전해 구리박의 조면과 금속박 B 의 전해 구리박의 S 면을 초음파 용착법을 사용하여 접합시켰다. 그리고, 그 밖은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북으로 하여 핫프레스기에 세팅하고,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가압 성형함으로써 4 층 기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도금 공정 및/또는 에칭 공정을 거쳐 회로를 형성하고, 또한 캐리어와 구리박 사이에서 박리 분리시켜 완성품으로 하였다.
본 예의 구성에서는, 실시예 3 과 마찬가지로, 구리박의 파단 내지 구리 캐리어의 구리박 위로의 잔류는 전혀 없었다.
이상으로부터, 캐리어 A 의 전해 구리박의 조면과 금속박 B 의 전해 구리박의 S 면을 초음파 용착법을 사용하여 접합시키는 것이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캐리어 A 로서 알루미늄 압연박을 사용하고, 금속박 B 의 전해 구리박의 S 면을 초음파 용착법을 사용하여 접합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북으로 하여 핫프레스기에 세팅하고,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가압 성형함으로써 4 층 기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도금 공정 및/또는 에칭 공정을 거쳐 회로를 형성하고, 또한 캐리어와 구리박 사이에서 박리 분리시켜 완성품으로 하였다.
이 박리 분리에 있어서, 실시예 3 과 마찬가지로, 본 예의 구성에서는 구리박의 파단 내지 알루미늄 캐리어의 구리박 위로의 잔류는 전혀 없었다.
금속박 B 로는, 통상적으로 구리박 또는 구리 합금박을 사용하지만, 이 금속박 B 에는 다른 금속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캐리어 A 에는 구리박 혹은 구리 합금박 또는 알루미늄박을 사용한다. 이 경우, 알루미늄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압연 알루미늄박을 사용한다.
구리박에는 압연 구리박과 전해 구리박이 있는데, 모두 본원 발명의 캐리어 A 에 적용할 수 있다. 압연 구리박과 전해 구리박의 광택면을 사용할 수도 있고, 조면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압연 구리박의 경우, 압연면은 광택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조화 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전해 구리박의 경우, 광택면 혹은 조면을 추가로 조화 처리하여 캐리어 A 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의 재료의 선택에 의해, 특히 재질과 표면 상태를 선택함으로써 접합을 박리할 때의 박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캐리어 부착 금속박은, 캐리어 A 와 금속박 B 가 교대로 중첩되는 적층체로 하고, 인접하는 캐리어 A 가 금속박 B 의 전체면을 덮는 면적을 갖고, 또한 당해 캐리어 A 의 가장자리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적층된 1 세트의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와 동종의 다른 세트의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의 구별이 용이해져, 작업자의 핸들링성이 향상된다. 또, 캐리어를 구리박으로부터 박리할 때에도, 치수가 상이한 지점 (가장자리부 또는 변부) 이 있기 때문에 박리도 용이해진다.
또, 캐리어 A 와 금속박 B 의 구리박의 광택면 상호를 중첩시키는 것은 임의이기는 하지만, 이와 같이 하면, 작업자가 구리박의 M 면을 아래에 두거나 위에 두거나 하는 작업이 필요로 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은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캐리어를 구리박으로 하는 것은 임의이지만, 캐리어를 구리박으로 한 경우에는 선팽창계수가 기판의 구성 재료인 구리박 및 중합 후의 프리프레그와 동등한 레벨에 있다는 점에서, 회로의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불량품 발생이 적어져,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원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의 장점은 크고, 특히 프린트 회로판의 제조에 유용하다.
해결 수단
[1].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 A 와 금속박 B 를 갖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으로서,
캐리어 A 가 금속박 B 의 전체면을 덮는 면적을 갖고, 또한 당해 캐리어 A 의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구조를 구비하고, 캐리어 A 및 금속박 B 의 3 변이 서로 정렬되어 있고, 또한 캐리어 A 와 금속박 B 가 기계적으로 박리 가능하게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2].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 A 와 금속박 B 를 갖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으로서,
캐리어 A 가 금속박 B 의 전체면을 덮는 면적을 갖고, 또한 당해 캐리어 A 의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구조를 구비하고, 당해 캐리어 A 의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양이 1 cm 이상이며, 또한 캐리어 A 와 금속박 B 가 기계적으로 박리 가능하게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3].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 A 와 금속박 B 를 갖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으로서,
캐리어 A 가 금속박 B 의 전체면을 덮는 면적을 갖고, 또한 당해 캐리어 A 의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구조를 구비하고, 당해 캐리어 A 의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양이 1 cm ~ 10 cm 이며, 또한 캐리어 A 와 금속박 B 가 기계적으로 박리 가능하게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4].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 A 와 금속박 B 를 갖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으로서,
캐리어 A 가 금속박 B 의 전체면을 덮는 면적을 갖고, 당해 캐리어 A 의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캐리어 A 의 조화 처리면 또는 조면과 금속박 B 의 광택면이 기계적으로 박리 가능하게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5].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 A 와 금속박 B 를 갖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으로서,
캐리어 A 가 금속박 B 의 전체면을 덮는 면적을 갖고, 당해 캐리어 A 의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캐리어 A 의 광택면 (S 면) 과 금속박 B 의 광택면 (S 면) 이 기계적으로 박리 가능하게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6]. [1] 에 있어서,
캐리어 A 및 금속박 B 가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7]. [2] 에 있어서,
캐리어 A 및 금속박 B 의 1 변이 서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8]. [3] 에 있어서,
캐리어 A 및 금속박 B 의 1 변이 서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9]. [2] 에 있어서,
캐리어 A 및 금속박 B 의 인접하는 2 변 또는 대향하는 2 변이 서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10]. [3] 에 있어서,
캐리어 A 및 금속박 B 의 인접하는 2 변 또는 대향하는 2 변이 서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11]. [1] 에 있어서,
금속박 B 가, 구리박 또는 구리 합금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12]. [2] 에 있어서,
금속박 B 가, 구리박 또는 구리 합금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13]. [3] 에 있어서,
금속박 B 가, 구리박 또는 구리 합금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14]. [4] 에 있어서,
금속박 B 가, 구리박 또는 구리 합금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15]. [5] 에 있어서,
금속박 B 가, 구리박 또는 구리 합금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16]. [1] 에 있어서,
금속박 B 의 광택면이, 캐리어 A 에 접하도록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17]. [2] 에 있어서,
금속박 B 의 광택면이, 캐리어 A 에 접하도록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18]. [3] 에 있어서,
금속박 B 의 광택면이, 캐리어 A 에 접하도록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19]. [1] 에 있어서,
금속박 B 의 광택면이, 알루미늄 또는 구리 혹은 구리 합금의 캐리어 A 에 접하도록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20]. [2] 에 있어서,
금속박 B 의 광택면이, 알루미늄 또는 구리 혹은 구리 합금의 캐리어 A 에 접하도록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21]. [3] 에 있어서,
금속박 B 의 광택면이, 알루미늄 또는 구리 혹은 구리 합금의 캐리어 A 에 접하도록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22]. [1] 에 있어서,
캐리어 A 가 압연 구리박 또는 전해 구리박이고, 구리박 B 의 광택면이, 압연 구리박의 조화 처리면 또는 전해 구리박의 조면 혹은 조화 처리면에 접하도록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23]. [2] 에 있어서,
캐리어 A 가 압연 구리박 또는 전해 구리박이고, 구리박 B 의 광택면이, 압연 구리박의 조화 처리면 또는 전해 구리박의 조면 혹은 조화 처리면에 접하도록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24]. [3] 에 있어서,
캐리어 A 가 압연 구리박 또는 전해 구리박이고, 구리박 B 의 광택면이, 압연 구리박의 조화 처리면 또는 전해 구리박의 조면 혹은 조화 처리면에 접하도록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25]. [1] 에 있어서,
캐리어 A 및 금속박 B 가 각각 광택면 (S 면) 을 갖고, 각각 광택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26]. [2] 에 있어서,
캐리어 A 및 금속박 B 가 각각 광택면 (S 면) 을 갖고, 각각 광택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27]. [3] 에 있어서,
캐리어 A 및 금속박 B 가 각각 광택면 (S 면) 을 갖고, 각각 광택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28].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A 의 열팽창률이 금속박 B 의 열팽창률의 + 10 %, -30 %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29].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금속박과 프리프레그를 갖는 적층체.
[30].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금속박과 프리프레그와 코어재 갖는 적층체.
[31].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금속박과 프리프레그와 2 층 프린트 회로 기판을 갖는 적층체.
[32]. [28] 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금속박과 프리프레그를 갖는 적층체.
[33]. [28] 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금속박과 프리프레그와 코어재를 갖는 적층체.
[34]. [28] 에 기재된 캐리어 부착 금속박과 프리프레그와 2 층 프린트 회로 기판을 갖는 적층체.

Claims (1)

  1.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 A 와 금속박 B 를 갖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으로서,
    캐리어 A 가 금속박 B 의 전체면을 덮는 면적을 갖고, 또한 당해 캐리어 A 의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금속박 B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구조를 구비하고, 캐리어 A 및 금속박 B 의 3 변이 서로 정렬되어 있고, 또한 캐리어 A 와 금속박 B 가 기계적으로 박리 가능하게 초음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부착 금속박.
KR1020157020564A 2008-12-24 2009-03-10 캐리어 부착 금속박 KR201500932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27448A JP2009143233A (ja) 2008-12-24 2008-12-24 キャリア付金属箔
JPJP-P-2008-327448 2008-12-24
PCT/JP2009/054481 WO2010073744A1 (ja) 2008-12-24 2009-03-10 キャリア付金属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727A Division KR20130136005A (ko) 2008-12-24 2009-03-10 캐리어 부착 금속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247A true KR20150093247A (ko) 2015-08-17

Family

ID=4091441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727A KR20130136005A (ko) 2008-12-24 2009-03-10 캐리어 부착 금속박
KR1020157020564A KR20150093247A (ko) 2008-12-24 2009-03-10 캐리어 부착 금속박
KR1020117012610A KR20110081339A (ko) 2008-12-24 2009-03-10 캐리어 부착 금속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727A KR20130136005A (ko) 2008-12-24 2009-03-10 캐리어 부착 금속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610A KR20110081339A (ko) 2008-12-24 2009-03-10 캐리어 부착 금속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50468A1 (ko)
EP (1) EP2383113B1 (ko)
JP (2) JP2009143233A (ko)
KR (3) KR20130136005A (ko)
CN (2) CN105208771A (ko)
SG (1) SG171718A1 (ko)
WO (1) WO20100737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9347B1 (ja) * 2009-12-22 2010-11-10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及び積層体
US20110262722A1 (en) * 2009-12-22 2011-10-27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Laminated Body, and Laminated Body
JP5697892B2 (ja) * 2010-05-11 2015-04-08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銅箔積層体及び積層板の製造方法
JP5165773B2 (ja) 2011-02-10 2013-03-21 フリージア・マクロス株式会社 キャリヤー付金属箔及びこれを用いた積層基板の製造方法
JP2013069745A (ja) * 2011-09-21 2013-04-18 Panasonic Corp 支持体及び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5190553B1 (ja) 2012-03-06 2013-04-24 フリージア・マクロス株式会社 キャリア付き金属箔
JP6063183B2 (ja) * 2012-08-31 2017-0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剥離可能銅箔付き基板及び回路基板の製造方法
TWI551436B (zh) * 2012-09-24 2016-10-01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A carrier metal foil, a laminate made of a resin-made plate-like carrier and a metal foil, and the like
EP2943576A1 (en) 2013-01-11 2015-11-18 Veolia Water Solutions & Technologies Support Method for increased productivity of polyhydroxyalkanoates (phas) in fed-batch processes for biomass derived from the treatment of wastewater
WO2016143117A1 (ja) * 2015-03-12 2016-09-1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キャリア付き金属箔及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CN105856729B (zh) * 2016-04-25 2018-01-19 江苏博敏电子有限公司 一种混叠铜箔及其混叠方法
JP7085419B2 (ja) * 2018-03-14 2022-06-16 東洋鋼鈑株式会社 圧延接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126372A (zh) * 2019-06-05 2019-08-16 河源广工大协同创新研究院 一种多层金属箔层结构覆铜板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3381A (en) * 1918-12-13 1926-05-04 James G Zimmerman Film pack
JPS5222380B2 (ko) * 1973-05-30 1977-06-17
US3998601A (en) * 1973-12-03 1976-12-21 Yates Industries, Inc. Thin foil
US4861648A (en) * 1988-03-14 1989-08-29 Gila River Products, Inc. Materials for laminat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US5066366A (en) * 1990-05-04 1991-11-19 Olin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foil
US5153050A (en) 1991-08-27 1992-10-06 Johnston James A Component of printed circuit boards
US5829124A (en) * 1995-12-29 1998-1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metallized patterns on the top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US5942314A (en) * 1997-04-17 1999-08-24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Ultrasonic welding of copper foil
US6596391B2 (en) * 1997-05-14 2003-07-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Very ultra thin conductor layers for printed wiring boards
JPH11277562A (ja) * 1998-03-31 1999-10-12 Hitachi Chem Co Ltd 銅張積層板製造用キャリア板
US6129990A (en) * 1998-04-10 2000-10-10 R. E. Service Company, Inc. Copper/steel laminated sheet for use in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s
US6355360B1 (en) * 1998-04-10 2002-03-12 R.E. Service Company, Inc. Separator sheet laminate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printed circuit boards
IT1305116B1 (it) * 1998-09-14 2001-04-10 Zincocelere Spa Componente per circuito stampato multistrato, metodo per la suafabbricazione e relativo circuito stampato multiuso.
DE19859613C2 (de) * 1998-12-23 2001-09-06 Buerkle Gmbh Robert Presspaketaufbau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3370624B2 (ja) * 1999-08-24 2003-01-27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キャリア箔付電解銅箔及びその電解銅箔を使用した銅張積層板
JP2001068804A (ja) * 1999-08-31 2001-03-1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キャリア箔付電解銅箔及びその電解銅箔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電解銅箔を使用した銅張積層板
JP3670179B2 (ja) * 1999-11-11 2005-07-13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キャリア箔付電解銅箔及びそのキャリア箔付電解銅箔を用いた銅張積層板
JP3676152B2 (ja) 1999-11-11 2005-07-27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キャリア箔付電解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11586B1 (ko) * 2000-02-14 2008-03-10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폴리이미드와 도체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다층 배선판
US6346335B1 (en) * 2000-03-10 2002-02-12 Olin Corporation Copper foil composite including a release layer
US6606792B1 (en) * 2000-05-25 2003-08-19 Oak-Mitsui, Inc. Process to manufacturing tight tolerance embedded elements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7026059B2 (en) * 2000-09-22 2006-04-11 Circuit Foil Japan Co., Ltd. Copper foil for high-density ultrafine printed wiring boad
JP2002134877A (ja) * 2000-10-10 2002-05-10 Morton Internatl Inc 薄膜物質の取付および加工方法
CN1279796C (zh) * 2000-10-17 2006-10-11 莫顿国际公司 用于固定及处理薄膜材料的方法
TW532050B (en) * 2000-11-09 2003-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051673A (ja) * 2001-08-06 2003-02-21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プリント配線板用銅箔及びそのプリント配線板用銅箔を用いた銅張積層板
JP4379854B2 (ja) * 2001-10-30 2009-12-09 日鉱金属株式会社 表面処理銅箔
CN1301046C (zh) * 2002-05-13 2007-02-14 三井金属鉱业株式会社 膜上芯片用软性印刷线路板
JP4216044B2 (ja) * 2002-10-31 2009-01-28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金属箔用の超音波溶接装置
US6994918B2 (en) * 2003-08-12 2006-02-07 Johnson Morgan T Selective application of conductive material to circuit boards by pick and place
JP4087369B2 (ja) 2003-11-11 2008-05-21 古河サーキットフォイル株式会社 キャリア付き極薄銅箔、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JP4699261B2 (ja) * 2005-03-31 2011-06-08 新日鐵化学株式会社 多層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銅張積層基板
GB0515584D0 (en) * 2005-07-28 2005-09-07 Glaxo Group Ltd Medicament dispenser
CN1984526B (zh) * 2005-12-15 2011-01-12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带载体的极薄铜箔及印刷电路基板
JP4927503B2 (ja) * 2005-12-15 2012-05-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キャリア付き極薄銅箔及びプリント配線基板
JP2007214427A (ja) * 2006-02-10 2007-08-23 Shinko Electric Ind Co Ltd 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4388591B2 (ja) * 2006-12-28 2009-12-24 日鉱金属株式会社 表面処理液に浸漬されるロール装置
CN101573477B (zh) * 2006-12-28 2011-01-19 日矿金属株式会社 用于铜箔的表面处理的辊装置
JP2007186797A (ja) 2007-02-15 2007-07-26 Furukawa Circuit Foil Kk キャリア付き極薄銅箔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で製造された極薄銅箔、該極薄銅箔を使用したプリント配線板、多層プリント配線板、チップオンフィルム用配線基板
KR101188147B1 (ko) * 2008-06-17 2012-10-05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인쇄 회로 기판용 구리박 및 인쇄 회로 기판용 동장 적층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50468A1 (en) 2011-10-13
JP2009143233A (ja) 2009-07-02
JPWO2010073744A1 (ja) 2012-06-14
SG171718A1 (en) 2011-07-28
EP2383113A4 (en) 2013-01-16
CN102264540A (zh) 2011-11-30
JP5485915B2 (ja) 2014-05-07
KR20130136005A (ko) 2013-12-11
EP2383113A1 (en) 2011-11-02
CN102264540B (zh) 2017-02-08
KR20110081339A (ko) 2011-07-13
EP2383113B1 (en) 2016-05-04
CN105208771A (zh) 2015-12-30
WO2010073744A1 (ja)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3247A (ko) 캐리어 부착 금속박
JP4805304B2 (ja) キャリヤー付き金属箔及び多層コアレス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5723927B2 (ja) キャリア付金属箔
CN101346047B (zh) 多层电路板制作方法及用于制作多层电路板的内层基板
KR101046545B1 (ko)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적층체
JP4848226B2 (ja) フレキシブル配線板の製造方法
CN113038718A (zh) 超薄pcb板压合工艺
JP5647310B2 (ja) 多層コアレス回路基板の製造方法、多層プリント配線板用の積層体の製造方法、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に用いられる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
JP5697892B2 (ja) 銅箔積層体及び積層板の製造方法
JP5847882B2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用の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
JP5427847B2 (ja) キャリヤー付金属箔
KR101057674B1 (ko)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CN117750622A (zh) 一种柔性电路板及其制备方法
WO2001062055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laquette de cabl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