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850A -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 Google Patents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850A
KR20150092850A KR1020140013403A KR20140013403A KR20150092850A KR 20150092850 A KR20150092850 A KR 20150092850A KR 1020140013403 A KR1020140013403 A KR 1020140013403A KR 20140013403 A KR20140013403 A KR 20140013403A KR 20150092850 A KR20150092850 A KR 20150092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composite bushing
shed
bushing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8330B1 (ko
Inventor
이춘미
김성중
고용우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3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330B1/ko
Publication of KR2015009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Abstract

본 발명은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대, 금형 및 Shed 절단기로 이루어지는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는, 좌우측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상하부 플랜지면과 접하여 안착되는 고정대와, 내측은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고무갓(shed)의 형상과 대응되는 고무갓 홈이 형성된 반원 형상의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과 결합되며,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고무갓의 형상과 대응되는 고무갓 홈이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주입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마련된 반원 형상의 상부 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GIG FOR REPAIRRING COMPOSITE BUSHING SHED}
본 발명은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대, 금형 및 Shed 절단기로 이루어지는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세계적으로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이에 따라 전력산업 설비의 우수한 절연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사용되는 절연 부품 중 부싱(Bushing)은 사용 특성상 우수한 절연 성능이 요구된다.
이 중 컴포지트 부싱(Composite Bushing)은 기존의 자기 부싱(Porcelain Bushing)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 안정성과 저렴한 가격 및 운반 용이성 등으로 지속적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외관이 실리콘 고무로 되어 있는 컴포지트 부싱의 특성상 생산과정이나 이동(또는 운반) 중에 실리콘부가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 경우 대부분의 제조사들은 부싱을 다시 생산하거나 새 제품으로 교환하게 되는데 이에 따른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이러한 컴포지트 부싱의 제조방법 및 구조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10-00784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749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54993에 개시되어 있지만, 컴포지트 부싱의 고무갓의 파손에 따른 수선 방법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10-00784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749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54993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안된 것으로서, 컴포지트 부싱의 고무 갓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 이를 교환하거나 재생산을 함에 따른 비용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갓(shed) 수선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선된 부위의 접착력, 기계적인 성능 및 전기적인 성능에서 동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고무 갓 수선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는, 좌우측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상하부 플랜지면과 접하여 안착되는 고정대와, 내측은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고무갓(shed)의 형상과 대응되는 고무갓 홈이 형성된 반원 형상의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과 결합되며,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고무갓의 형상과 대응되는 고무갓 홈이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주입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마련된 반원 형상의 상부 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는, 컴포지트 부싱을 수평 상태로 위치하여 고정하기 위한 가대와, 상기 가대의 좌우측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상하부 플랜지면과 접하여 안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좌우측 고정대 사이에 좌우 수평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봉에 베어링을 매개로 좌우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측은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고무갓(shed)의 형상과 대응되는 고무갓 홈이 형성된 반원 형상의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과 결합되며,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고무갓의 형상과 대응되는 고무갓 홈이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주입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마련된 반원 형상의 상부 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대의 내측으로는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상하부 플랜지면과 맞닿아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롤러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과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고무갓은 요홈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홈 결합에 의해 상기 고무갓은 상기 고무갓 홈과 밀접되어 실링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수선이 필요한 고무갓은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요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절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컴포지트 부싱의 고무 갓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 이를 교환하거나 재생산을 함에 따른 비용 상승을 방지하고,수선된 부위의 접착력, 기계적인 성능 및 전기적인 성능에서 동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고무 갓(shed) 수선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및 조립된 컴포지트 부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및 조립된 컴포지트 부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의 수선용 금형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의 절단부 형상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과 수선용 금형의 결합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및 조립된 컴포지트 부싱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및 조립된 컴포지트 부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의 수선용 금형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는 컴포지트 부싱(10)이 놓이는 가대(11)와, 컴포지트 부싱(10)의 고무갓(Shed, 10c)을 수선할 수선용 금형(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대(11)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단에는 캐스터(14)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단면에는 컴포지트 부싱(10)의 상하 플랜지(10a, 10b)면이 위치되는 고정대(12)가 장착될 수 있다.
고정대(12)의 내측으로는 하나 이상의 롤러(13)가 장착되고, 롤러(13)는 컴포지트 부싱(10)의 상하 플랜지(10a, 10b)면과 맞닿아 컴포지트 부싱(10)을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고정대(12)는 우측 고정대(12a) 및 좌측 고정대(12b)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우측 고정대(12a)와 좌측 고정대(12b) 사이에는 가이드봉(15)이 양측으로 수평하게 놓인다.
수선용 금형(16)은 상부 금형(16a)과 하부 금형(16b)의 한 쌍이 서로 플랜지(17a, 17b)끼리 접하여 볼트 및 너트(32)에 의해 체결되며, 그 내부는 컴포지트 부싱(10)의 고무갓(10c)의 형상과 대응되는 고무갓 홈(31a, 31b)이 형성된다.
상부 금형(16a)의 상단측에는 실리콘액을 주입하기 위해 주입구(18)가 형성되며 주입구(18)을 통해 금형 내부로 주입액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된다.
하부 금형(16b)은 베어링(33)을 매개로 가이드봉(15)에 끼워져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컴포지트 부싱(10)의 수선이 필요한 고무갓(10c)의 위치에 하부 금형(16b)을 가이드봉(15)에 의해 좌우 이동하면서 위치짓고, 컴포지트 부싱(10)을 내려 놓아 양쪽 플랜지(10a, 10b)를 좌우측 고정대(12a, 12b)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수선할 고무갓 부위의 상하 위치는 롤러(13)를 이용하여 컴포지트 부싱(10)을 회전시킨 후, 상부 금형(16a)을 하부 금형(16b)에 맞추어 플랜지 결합시킨다.
수선용 금형(16) 내부는 고무갓(10c)의 형상에 대응되는 고무갓 홈(31a, 31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선형 금형(16)과 고무갓(10c)은 서로 일체로 결합되고, 고무갓(10c)의 재질이 실리콘 고무이므로 결합된 상태에서 찢어지거나 절단된 부위의 양측 고무갓(10c)은 실링재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의 절단부 형상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과 수선용 금형의 결합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컴포지트 부싱(Composite Bushing)은 기존의 자기 부싱(Porcelain Bushing)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외관이 실리콘으로 되어 있어 컴포지트 부싱의 특성상 공정상, 보관중 또는 이동중에 실리콘 고무갓(10c) 부위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이렇게 파손된 부분은 본원발명의 지그를 통해 수리가 가능하며, 그 공정은 파손된 고무갓(10c)의 형태를 다듬거나 절단하고, 여기에 수선용 금형(16)을 장착시킨 후, 주입구(18)를 통해 실리콘을 주입하고 경화과정을 거쳐 수선을 완료하게 된다.
컴포지트 부싱(10)의 고무갓(10d)의 수선 접합부위는 일체로 형성된 기존 고무갓(10c)에 비해 기계적인 성능이 약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점을 최대한 보완하기 위해 본원발명에서는 수선이 필요한 고무갓(10d)을 절단하도록 하되 접촉면적을 넓히는 방법으로 설계되고, 또한 고무갓(10d)의 절단 부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접착성을 높여 주도록 한다.
도 4는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방법으로 절단된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의 절단부 형상 예시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포지트 부싱(10)의 수선이 필요한 고무갓(10d)은 그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손상부를 직선으로 절단하지 않고 굴곡이 있는 절단면(42)을 갖도록 절단부(41)를 절개하도록 설계된다.
이렇게 절단된 부위는 도 5와 같이 수선용 금형(16)에 결합된다.
도 5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선이 필요한 고무갓(10d)은 주입구(18)가 위치한 방향으로 위치되고, 고무갓(10c)들과 고무갓 홈(31a, 31b)은 서로 밀착 결합되며, 절단부(41)는 빈 공간으로 남아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주입구(18)를 통해 실리콘을 주입하면 고무갓(10c)들은 고무갓 홈(31a, 31b)과 밀착되어 맞닿아 있어 그 자체로 실링재 역할을 겸하게 되고, 빈 공간으로 실리콘이 주입되어 주입 충진부(51)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실리콘을 경화시켜 수선을 완료하게 된다.
주입된 실리콘의 경화는 일반적으로 금형 외곽을 밴드 히터로 감은 상태에서 90~200℃에서 10분 내지 120분간 고온 경화하게 된다.
경화온도 및 경화시간은 실리콘의 최적접합조건을 실험계획법을 통해 찾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컴포지트 부싱(10)의 고무갓 수선 공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컴포지트 부싱(10)의 수선이 필요한 고무갓(10d)이 발생된 경우, 고무갓(10d)을 도 4와 같이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는 절단면(42)이 형성되도록 절단하게 된다.
수선이 필요한 고무갓(10d)이 위치한 부분으로 하부 금형(16b)을 가이드 봉(15)을 통해 좌우 수평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컴포지트 부싱(10)의 플랜지(10a, 10b)면을 좌우측 고정대(12a, 12b) 위에 올려놓고, 수선이 필요한 고무갓(10d)의 위치를 상부 금형(16a)의 주입구(18)로 위치되도록 롤러(13)를 매개로 회전시킨다.
정확한 위치가 셋팅된 후, 상부 금형(16a)을 하부 금형(16b)에 맞추고 플랜지(17a, 17b)끼리 볼트 및 너트(32)에 의해 결합시킨다.
이때, 상하부 금형(16a, 16b)과 고무갓(10c)은 돌출부와 홈부의 결합에 의해 서로 밀접하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수선이 필요한 고무갓(10d) 부위만 빈 공간으로 남아있게 된다.
이후, 주입구(18)를 통해 액상의 실리콘을 주입하면, 수선이 필요한 고무갓(10d)의 빈 공간으로 주입액이 충진되고, 수선이 필요한 고무갓(10d) 양측의 고무갓(10c)들은 그 자체로 실링재 역할을 하게 된다.
실리콘의 주입이 완료되면, 밴드 히터 등에 의해 90~200℃에서 10분 내지 120분간 고온 경화하여 수선을 완료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컴포지트 부싱 10a : 상부 플랜지
10b : 하부 플랜지 10c : 고무갓(shed)
10d : 수선이 필요한 고무갓 11 : 가대
12a : 우측 고정대 12b : 좌측 고정대
13 : 롤러 14 : 캐스터
15 : 가이드봉 16 : 수선용 금형
16a : 상부 금형 16b : 하부 금형
17a, 17b : 플랜지 18 : 주입구
31a, 31b : 고무갓 홈 32 : 볼트 및 너트
33 : 베어링 41 : 절단부
42 : 절단면 51 : 주입충진부

Claims (6)

  1. 좌우측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상하부 플랜지면과 접하여 안착되는 고정대와,
    내측은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고무갓(shed)의 형상과 대응되는 고무갓 홈이 형성된 반원 형상의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과 결합되며,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고무갓의 형상과 대응되는 고무갓 홈이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주입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마련된 반원 형상의 상부 금형을 포함하는,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2. 컴포지트 부싱을 수평 상태로 위치하여 고정하기 위한 가대와,
    상기 가대의 좌우측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상하부 플랜지면과 접하여 안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좌우측 고정대 사이에 좌우 수평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봉에 베어링을 매개로 좌우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측은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고무갓(shed)의 형상과 대응되는 고무갓 홈이 형성된 반원 형상의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과 결합되며,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고무갓의 형상과 대응되는 고무갓 홈이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주입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마련된 반원 형상의 상부 금형을 포함하는,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내측으로는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상하부 플랜지면과 맞닿아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롤러가 장착되는,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과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고무갓은 요홈 결합되는,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 결합에 의해 상기 고무갓은 상기 고무갓 홈과 밀접되어 실링재 기능을 수행하는,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수선이 필요한 고무갓은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요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절단되는,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KR1020140013403A 2014-02-06 2014-02-06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KR101638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403A KR101638330B1 (ko) 2014-02-06 2014-02-06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403A KR101638330B1 (ko) 2014-02-06 2014-02-06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850A true KR20150092850A (ko) 2015-08-17
KR101638330B1 KR101638330B1 (ko) 2016-07-12

Family

ID=5405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403A KR101638330B1 (ko) 2014-02-06 2014-02-06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3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525B1 (ko) * 2018-12-17 2019-06-18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장치
WO2022270888A1 (ko) * 2021-06-23 2022-12-29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싱용 회전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035A (ko) * 2005-04-19 2007-12-26 유틸스 코포레이션 케이블 스팬을 위한 유체 저장기
KR20100074911A (ko)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효성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
KR20100078410A (ko)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효성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 제조 방법 및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의 부분방전 진단시스템
KR20110054993A (ko) 2009-11-19 2011-05-25 한국전기연구원 컴포지트 부싱의 제조방법
KR20130073127A (ko) * 2011-12-23 2013-07-03 대한전선 주식회사 양단부의 내외경이 다른 컴포지트 부싱용 frp 튜브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컴포지트 부싱
KR101324878B1 (ko) * 2007-01-19 2013-11-01 노비니움, 인크. 산-촉매화 유전성 증진 유체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복구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035A (ko) * 2005-04-19 2007-12-26 유틸스 코포레이션 케이블 스팬을 위한 유체 저장기
KR101324878B1 (ko) * 2007-01-19 2013-11-01 노비니움, 인크. 산-촉매화 유전성 증진 유체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복구방법
KR20100074911A (ko)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효성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
KR20100078410A (ko)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효성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 제조 방법 및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의 부분방전 진단시스템
KR20110054993A (ko) 2009-11-19 2011-05-25 한국전기연구원 컴포지트 부싱의 제조방법
KR20130073127A (ko) * 2011-12-23 2013-07-03 대한전선 주식회사 양단부의 내외경이 다른 컴포지트 부싱용 frp 튜브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컴포지트 부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525B1 (ko) * 2018-12-17 2019-06-18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장치
WO2022270888A1 (ko) * 2021-06-23 2022-12-29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싱용 회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330B1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281B1 (ko) 고무 부쉬 포함 스태빌라이저 바의 제조 방법 및 고무 부쉬 포함 스태빌라이저 바
KR101638330B1 (ko)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EP0766639B1 (en) Rolle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08795B1 (ko) 회전자 철심 회전 적층 조립 장치
RU201214924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рпуса, выполненного из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спользую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9075670A (zh) 磁铁嵌入型铁芯的树脂密封装置和树脂密封方法
WO2015064514A1 (ja) ターボファン
CN105346102B (zh) 复合材料j型纵墙定位整体成型工装及其成型方法
US11046034B2 (en) Manufacturing a fiber-reinforced composite component using mandrels
KR20190118787A (ko) 고전압 퓨즈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0121458A (ja) 射出成形体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インサート成形品
JP2014516003A (ja) コンタクトまたは眼内レンズを製造する鋳型および方法
KR101910946B1 (ko) 탄소복합재 판 스프링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복합재 판 스프링
KR101588337B1 (ko) 애자용 플라스틱 코아 및 그 제조방법
JP2017531569A (ja) 超小型部材を成形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1051849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ubber crawler
JP2020157746A (ja) 樹脂の射出成形方法
JP2019134637A (ja) コイル成形装置
JP6666422B2 (ja) 電力ケーブルの裸導体セクションの周りに絶縁システムを構築する方法
KR20100084219A (ko) 압연기의 유니버설조인트 하부커버 센터링 방법과 그에 사용되는 지그
KR102515435B1 (ko) 오링 제조방법
KR20190080552A (ko)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
CN102689401A (zh) 一种pa612与金属嵌件相结合的成型工艺
CN211191645U (zh) 一种盘根填料成型胎具
CN220219325U (zh) 定位夹具及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