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552A -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 - Google Patents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552A
KR20190080552A KR1020170183077A KR20170183077A KR20190080552A KR 20190080552 A KR20190080552 A KR 20190080552A KR 1020170183077 A KR1020170183077 A KR 1020170183077A KR 20170183077 A KR20170183077 A KR 20170183077A KR 20190080552 A KR20190080552 A KR 20190080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ladder
core
present
cent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호
손석재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3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0552A/ko
Publication of KR20190080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4Flexible cores therefor, e.g. bladders, bags, membranes,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1Rigid cores therefor, e.g. annular or substantially toroidal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센터 코어 및 로어 몰드에 안착되는 부분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센터 코어 및 로우 몰드에 안정적인 안착되어 생산되는 블래더 제품의 두께 안정화 및 블래더 품질의 향상할 수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 몰드; 상기 코어 몰드가 결합되는 로우 몰드; 상기 로우 몰드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퍼 몰드; 및 상기 로우 몰드 및 어퍼 몰드의 중간부에 구비되되, 하측의 테이퍼의 각도가 2°이상으로 형성되는 센터 코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Bladder mold capable of stable seating}
본 발명은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센터 코어 및 로어 몰드에 안착되는 부분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센터 코어 및 로우 몰드에 안정적인 안착되어 생산되는 블래더 제품의 두께 안정화 및 블래더 품질의 향상할 수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통상적으로 정련 공정, 반제품 공정, 성형 공정, 가류 공정을 거쳐 제조되며, 제조 공정에서 발생한 불량품을 골라내는 검사 공정을 거친 후 시판된다. 타이어의 각 제조 공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련 공정은 천연고무나 합성고무, 카본블랙과 같은 보강제, 유황을 비롯한 화학약품으로 구성된 가류제 등 타이어의 원재료에 해당하는 모든 구성물을 혼합해 타이어용 고무로 가공하는 공정이고, 반제품 공정은 타이어를 구성하는 중요 반제품을 만드는 공정으로 압출 공정, 압연 공정, 재단 공정, 비드 공정이 이에 속한다. 성형 공정은 반제품들을 성형기 드럼에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원통형의 고무복합체로 만드는 공정으로, 성형 공정을 통해 원통형의 그린 케이스(green case)가 만들어 진다. 그린 케이스를 형틀 역할을 하는 금형에 넣어 열과 압력을 가하면 고무에 혼합된 유황과 탄소가 완전히 경화되면서 탄성을 가진 타이어로 완성되는데, 반제품 형태의 그린 케이스를 타이어로 완성시키는 공정이 가류 공정이다.
가류 공정에서 그린 케이스는 가류기의 금형 내에 장착된 후 그 내부에서 블래더가 팽창하여 금형 내벽에 압착된 상태로 가열된다. 금형 내에서 그린 케이스는 내부열로 인하여 코어 몰드가 수축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린 케이스를 팽창시켜 원형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으며, 그 역할을 블래더가 수행한다.
이와 같이 블래더를 제조하기 위한 블래더 몰드는 형상은 센터 코어가 로어 몰드에 안착될 때, 안정적으로 안착하지 않아 생산되는 블래더 제품의 두께(Gauge)의 불안정화로 블래더 생산 및 블래더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몰드(1)의 하부에 형성된 테이퍼부(50)의 각도가 1°밖에 되지 않아 블래더 가류 시 센터 코어(1)를 로우 몰드(2)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9355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9813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5042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센터 코어 및 로어 몰드에 안착되는 부분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센터 코어 및 로어 몰드에 안정적인 안착되어 생산되는 블래더 제품의 두께 안정화 및 블래더 품질의 향상할 수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 몰드; 상기 코어 몰드가 결합되는 로우 몰드; 상기 로우 몰드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퍼 몰드; 및 상기 로우 몰드 및 어퍼 몰드의 중간부에 구비되되, 하측의 테이퍼의 각도가 2°이상으로 형성되는 센터 코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터 코어의 하측의 테이퍼부 각도는 1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에 의하면, 센터 코어 및 로우 몰드에 안착되는 부분의 형상인 테이퍼의 각도를 종래 1°에서 10°로 변경함으로써 센터 코어 및 로우 몰드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생산되는 블래더의 두께 안정화 및 블래더의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과 본 발명의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기술과 본 발명의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는,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 몰드(30)와,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 몰드(30)를 감싸는 분리형의 로우 몰드(10) 및 상기 로우 몰드(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퍼 몰드(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는 로우 몰드(10)가 어퍼 몰드(20)를 덮은 상태에서 어퍼 몰드(20)에 구비된 고무 조성물 주입유로(미도시)를 통해 고무 조성물을 주입함으로써 1회 작업공정으로 두 개의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
상기한 코어 몰드(30)는 좌우 대칭 한 쌍으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면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로우 몰드(10)에 결합된다. 즉, 코어 몰드(3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조될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로우 몰드(10)는 코어 몰드(30)를 지지함과 동시에, 코어 몰드(30)의 아래쪽 절반 부분을 감싸고,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로우 몰드(10)에는 스팀 공급을 위한 스팀 공급 유로와 에어 공급을 위한 에어 공급 유로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로우 몰드(10) 및 어퍼 몰드(20)의 하부 중간부에 소정각도로 형성되는 테이퍼진 센터 코어(4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센터 코어(40)가 테이퍼진 것은 블래더 가류 시 센터 코어(40)를 로우 몰드(10)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센터 코어(40) 하부의 테이퍼진 각도가 1°이기 때문에 블래더 가류 시 센터 코어(40)를 로우 몰드(1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것이 힘들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센터 코어(40)의 하측의 테이퍼부(50)의 각도를 10°로 형성하게 되면 가장 이상적인 블래더 가류 시 센터 코어(40)를 로우 몰드(10)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센터 코어(40) 및 로우 몰드(10)에 안착되는 부분의 형상인 테이퍼의 각도를 1°에서 10°로 변경함으로써 센터 코어(40) 및 로우 몰드(10)에 안정적인 안착되어 생산되는 블래더의 두께(Gauge) 안정화 및 블래더의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로우 몰드
20 : 어퍼 몰드
30 : 코어 몰드
40 : 센터 코어
50 : 테이퍼부

Claims (2)

  1.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 몰드(30);
    상기 코어 몰드(30)가 결합되는 로우 몰드(10);
    상기 로우 몰드(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퍼 몰드(20); 및
    상기 로우 몰드(10) 및 어퍼 몰드(20)의 중간부에 구비되되, 하측의 테이퍼의 각도가 2°이상으로 형성되는 센터 코어(40);를 포함하는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코어(40)의 하측의 테이퍼부(50) 각도는 1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
KR1020170183077A 2017-12-28 2017-12-28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 KR20190080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077A KR20190080552A (ko) 2017-12-28 2017-12-28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077A KR20190080552A (ko) 2017-12-28 2017-12-28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552A true KR20190080552A (ko) 2019-07-08

Family

ID=6725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077A KR20190080552A (ko) 2017-12-28 2017-12-28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05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041A (ko) * 2021-06-09 2022-12-16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블래더 몰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559B1 (ko) 1994-10-13 2001-09-17 박태진 자동시험장치에서부품에러자동탐지방법
KR100498131B1 (ko) 2002-07-09 2005-07-0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블래더 제조용 몰드
KR100550426B1 (ko) 2003-04-14 2006-02-0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보강재가 삽입된 블래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559B1 (ko) 1994-10-13 2001-09-17 박태진 자동시험장치에서부품에러자동탐지방법
KR100498131B1 (ko) 2002-07-09 2005-07-0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블래더 제조용 몰드
KR100550426B1 (ko) 2003-04-14 2006-02-0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보강재가 삽입된 블래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041A (ko) * 2021-06-09 2022-12-16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블래더 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6194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ire and pneumatic tire manufactured thereby
KR20190080552A (ko)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
KR102112038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기어 커버용 오일씰의 인서트 사출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인서트 사출방법
KR101497801B1 (ko) 비드부 식출방지 블래더 구조
JP2012086446A (ja) タイヤ加硫用ブラダー
KR102204892B1 (ko) 블래더 제조 장치 및 블래더 제조 방법
US33982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ransmission belts
KR100550426B1 (ko) 보강재가 삽입된 블래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100997859B1 (ko) 그린케이스 이송용 지지수단
JP2008051200A (ja) ブッシュの製造方法
KR101312907B1 (ko)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KR102518927B1 (ko) 타이어의 가류 방법
KR20160148964A (ko)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 플러그
KR102137729B1 (ko) 타이어 제조 방법
KR102121377B1 (ko) 타이어 가류 브래더 장착장치
US20150246492A1 (en) Rigid core mo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neumatic tire using the same
KR101983903B1 (ko) 타이어 성형기용 턴업 스티칭 장치
KR101049262B1 (ko) 타이어의 가류 방법
KR101655265B1 (ko) 타이어용 가류 브레다 설계 방법
KR100597903B1 (ko) 타이어 가류 브라다의 프리포밍장치
JP2007076269A (ja) 更生タイヤの加硫装置
KR20160037443A (ko) 센터링 이탈 검출 장치
JP2017140740A (ja) 組立タイヤ部材の製造システム
KR101409529B1 (ko)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제조장치
KR101600180B1 (ko) 성형 블래더의 텐션링 고정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