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221A - 전력 단자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력 단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221A
KR20150092221A KR1020157017337A KR20157017337A KR20150092221A KR 20150092221 A KR20150092221 A KR 20150092221A KR 1020157017337 A KR1020157017337 A KR 1020157017337A KR 20157017337 A KR20157017337 A KR 20157017337A KR 20150092221 A KR20150092221 A KR 20150092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receptacle
flexible
termin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409B1 (ko
Inventor
웨이핑 자오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92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2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e.g. quick release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8Interconnections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9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being ident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력 단자 커넥터(102)는 유연성 전도체(150) 및 제1 및 제2 단자(152, 154)를 포함한다. 단자들은, 각각이 리셉터클(202, 252)을 규정하며 각각이 유연성 전도체의 대응하는 탑재부(160, 162)에 용접되어 단자들을 유연성 전도체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본체들(200, 250)을 갖는다. 각 단자는 단자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 내에 수용된 컨택트 스프링(204, 254)을 갖는다. 컨택트 스프링은 리셉터클 내에 플러깅된 전력 단자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빔들(228, 278)을 갖는다. 유연성 전도체는 제1 및 제2 전력 단자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력 단자 커넥터{POWER TERMINAL CONNECTOR}
본 주제는 일반적으로 커넥터 시스템용 전력 단자 커넥터들에 관한 것이다. 전력 단자 커넥터들은 상이한 타입의 커넥터 시스템들에서 사용된다. 하나의 응용예는 차량의 배터리의 커넥터용과 같은, 자동차 응용예이다. 예를 들면, 모듈 연결 및 배터리 양극 및 음극 연결에 대한 배터리 모듈이 커넥터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응용예에서, 상기 배터리와 같은, 배터리의 전방에 있어서, 배터리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대한 배터리 주위의 공간이 제한될 수 있다. 전력 단자 커넥터가 이러한 공간 내로 연장하도록 할 여지가 없을 수 있거나, 또는 배터리 주위에 전력 단자 커넥터를 배터리의 전력 단자에 연결 및 연결 해제하기 위한 공구를 마련할 여지가 없을 수 있다. 또한, 전력 단자 커넥터를 배터리의 전력 단자에 연결 및 연결 해제하는 것은 시간이 걸리거나, 또는 특수한 고가의 공구들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일부 응용예에서, 2개의 배터리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필요가 있고, 전력 단자 커넥터가 하나의 배터리의 전력 단자를 다른 하나의 배터리의 전력 단자에 연결할 필요가 있다. 하나의 배터리를 다른 하나의 배터리에 연결할 때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배터리들 사이의 공간은 응용예마다 달라질 수 있다. 임의의 인접하는 2개의 배터리 사이에서의 위치 공차는 광범위하다. 또한, 진동이 배터리들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게끔 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예들에서는 유연한 연결부(flexible connection)가 필요하다. 배터리 연결부들에 대하여 일부 배터리는 유연한 연결부를 사용하지만, 유연한 연결부는 오버-토크(over-torque), 언더-토크(under-torque), 크로스-스레드(cross-thread) 및 공간 문제를 갖는 볼트 및 너트 커넥터들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유연한 연결부들을 연결시키는 것은 노동 집약적이며 시간이 걸린다.
Zhao에 의한 미국특허 제7,294,020호의 전기 단자와 같은, 일부 공지된 연결부는 배터리들의 단자에 용이하게 종단될 수 있지만, 이러한 전기 단자들은 문제점이 있다. 전기 단자는 단일 두께의 단자 본체를 사용한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들이 예를 들면 80 암페어 초과의 높은 전류를 운반하는 데에 요구되는 경우, 단자 본체의 두께가 증가되어야만 하여, 응용예로서 매우 유연성이 없는 전기 커넥터를 만들게 한다. 이 전기 커넥터는 높은 전류를 운반하는 데에 적합하지 않다.
상기 문제점의 해결책은, 효율적인 방식으로 전력 단자들 간에 연결될 수 있고, 운반하는 전류, 견고성(robustness), 및/또는 유연성을 위한 패키지 능력을 희생하지 않고, 그 반대로도 가능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연성 전력 단자 커넥터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전력 단자 커넥터는 제1 탑재부, 제2 탑재부 및 제1 및 제2 탑재부 사이의 유연부를 갖는 유연성 전도체를 포함한다. 전력 단자 커넥터는 제1 탑재부에 결합된 제1 단자를 포함한다. 제1 단자는 제1 탑재부에 용접되어 제1 단자를 유연성 전도체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셉터클(receptacle)을 규정하는 제1 단자 본체를 갖는다. 제1 단자는 제1 단자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 내에 수용된 제1 컨택트 스프링을 갖는다. 제1 컨택트 스프링은 제1 단자 본체의 리셉터클 내에 플러깅된(plugged) 제1 전력 단자와 맞물려서 제1 전력 단자와 제1 단자 본체 간에 전력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프링 빔들을 갖는다. 상기 전력 단자 커넥터는 제2 탑재부에 결합된 제2 단자를 포함한다. 제2 단자는 제2 탑재부에 용접되어 제2 단자를 유연성 전도체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셉터클을 규정하는 제2 단자 본체를 갖는다. 제2 단자는 제2 단자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 본체의 리셉터클 내에 수용된 제2 컨택트 스프링을 갖는다. 제2 컨택트 스프링은 제2 단자 본체의 리셉터클 내에 플러깅된 제2 전력 단자와 맞물려서 제2 전력 단자와 제2 단자 본체 간에 전력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프링 빔들을 갖는다. 유연성 전도체는 제1 및 제2 전력 단자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에 의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 시스템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커넥터 시스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배터리들로부터 연장되는 전력 단자들을 갖는 배터리들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3은 커넥터 시스템의 전력 단자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4a는 전력 단자 커넥터의 일부분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b는 전력 단자 커넥터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는 전력 단자 커넥터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전력 단자 커넥터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유연성 전도체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유연성 전도체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력 단자 커넥터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 시스템(100)을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 시스템(100)은 유연성 전도체(150)를 사용하여 배터리들(106, 108)과 같은 구성요소들의 전력 단자들(104, 10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력 단자 커넥터(102)를 포함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전력 단자 커넥터(102)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다른 형상들, 구성요소들 또는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전력 단자 커넥터(102)는 배터리들(106, 108)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전력 단자 커넥터(102)는 배터리들(106, 108)을 상호 연결하는 버스(buss) 또는 점퍼(jumper)를 나타낸다. 배터리들(106, 108)은 차량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전압 배터리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차량은 전기차, 하이브리드 전기차, 또는 임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일 수 있고, 배터리들(106, 108)은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차 또는 임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들용 전력 시스템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력 단자 커넥터(102)는 전력 단자들(104, 105)(도 2에 나타냄)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종단될 수 있는 신속한 연결/신속한 분리 타입(quick connect/quick disconnect type)의 커넥터이다. 전력 단자 커넥터(102)는 배터리들(106, 108) 주위의 공간을 보호하기 위해서 매우 낮은 프로파일을 갖는다. 다른 타입들의 전력 단자 커넥터들이, 유연성 전도체를 사용하여 배터리들(106, 108) 또는 다른 전기 구성요소들을 상호 연결하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배터리들(106, 108)은 상면(110), 상면(110)에 수직인 전방면(112), 및 상면(110)과 전방면(112)에 수직인 측면(114)를 포함한다. 배터리들(106, 108)의 측면들(114)은 서로 대면하고 있다. 상면(110), 전방면(112) 및 측면(114)은 일반적으로 배터리(106, 108)의 코너에서 만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배터리(106, 108)는 코너에서 절취 영역(notched-out area)을 포함한다. 절취 영역(116)은 상면(110) 아래로, 전방면(112) 뒤로, 그리고 측면(114)으로부터 안쪽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절취 영역(116)은 상면(110), 전방면(112) 및 측면(114)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들에 의해 규정된 창(window) 또는 엔벨로프(envelope)를 규정하고 있다.
전력 단자 커넥터(102)는 배터리들(106, 108)의 측면들(114)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가로질러서 걸쳐 있고, 양쪽의 절취 영역들(116)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전력 단자들(104, 105)(도 2에 나타냄)이 대응하는 절취 영역들(116)에 제공된다. 전력 단자 커넥터(102)는 배터리들(106, 108)의 상면들(110)을 넘어서(예를 들면,그들 위로) 연장되지 않도록 절취 영역들(116) 내에 수용된다. 전력 단자 커넥터(102)는 배터리들(106, 108)의 전방면들(112)을 넘어서(예를 들면, 그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절취 영역들(116)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다른 배터리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은 전력 단자 커넥터(102)로부터의 간섭 없이 배터리들(106, 108)의 전방면에 바로 위치할 수 있다. 커버(cover) 또는 리드(lid)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는 전력 단자 커넥터(102)로부터의 간섭 없이 배터리들(106, 108)의 상면들(110)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전력 단자 커넥터(102)의 오목부 형성은, 예를 들면 공간 제약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에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력 단자 커넥터(102)는 배터리들(106, 108) 사이에서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는 유연성 커넥터이다. 전력 단자 커넥터(102)는 측면들(114)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가로질러서 걸쳐 있고, 예를 들면 진동 등으로부터 배터리들(106, 108)의 이동을 배터리들(106, 108) 사이의 상이한 공간에 수용한다.
도 2는 대응하는 절취 영역들(116)에서 배터리들(106, 108)로부터 연장되는 전력 단자들(104, 105)을 갖는 절취 영역들(116)을 나타내는 배터리들(106, 108)의 일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력 단자들(104, 105)은 전력 단자 커넥터(102)(도 1에 나타냄)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배터리들(106, 108)의 고정형 커넥터들이다.
전력 단자들(104, 105)은 배터리들(106, 108)로부터 연장되고, 배터리들(106, 108)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력 단자들(104, 105)은 일반적으로 평평하며 블레이드 축들(예를 들면, 전력 단자들(104, 105)의 중앙, 길이방향 축들)을 따라 연장되는 블레이드 단자들이다. 다른 타입들의 전력 단자들이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전력 단자들(104, 105)은 상면(120), 하면(122) 및 선단(tip)(124)을 포함한다.
도 1을 추가로 참조하면, 조립 중에, 전력 단자 커넥터(102)가 그의 개방 전방면들을 통해 절취 영역들(116) 내로 로딩된다. 전력 단자 커넥터(102)가 전력 단자들(104, 105)에 연결되면, 전력 단자 커넥터(102)가 전력 단자들(104, 105)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전력 단자 커넥터(102)는 전력 단자들(104, 105)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신속한 연결 타입 커넥터이다. 전력 단자 커넥터(102)는 임의의 공구의 사용 없이 전력 단자들(104, 105)에 결합될 수 있다. 전력 단자 커넥터(102)는 임의의 다른 작동(actuation), 록킹(locking) 또는 래칭(latching)이 필요 없이 전력 단자 커넥터(102)를 로딩 방향으로 전력 단자들(104, 105) 상에 단순히 가압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전력 단자 커넥터(102)의 분해도이다. 전력 단자 커넥터(102)는 유연성 전도체(150), 이 유연성 전도체(150)에 결합된 제1 단자(152) 및 유연성 전도체(150)에 결합된 제2 단자(154)를 포함한다. 제1 단자(152)는 제1 전력 단자(104)(도 2에 나타냄)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2 단자(154)는 제2 전력 단자(105)(도 2에 나타냄)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다수의 유연성 전도체, 예를 들면,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고 동일한 단자들(152, 154)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유연성 전도체가 제1 및 제2 전력 단자(104, 105)를 상호 연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자(152, 154)는 전력 단자들(104, 105)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신속한 연결 어셈블리들이다. 다른 타입들의 단자 어셈블리들이 전력 단자들(104, 105)을 상호 연결하도록 유연성 전도체(150)를 갖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연성 전도체(150)는 2개의 전력 구성요소를 접속(buss)하는 데에 사용되는 모선(buss bar)일 수 있다. 유연성 전도체(150)는 제1 탑재부(160), 제2 탑재부(162) 및 제1 및 제2 탑재부(160, 162) 사이의 유연부(164)를 포함한다. 제1 단자(152)는 제1 탑재부(160)에 결합된다. 제2 단자(154)는 제2 탑재부(162)에 결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단자(152, 154)는 탑재부들(160, 162)에 용접된다. 예를 들면, 단자들(152, 154)은 레이저 용접되거나, 초음파 용접되거나 또는 다른 공정들에 의해 용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단자들(152, 154)은 다른 수단 및 공정들에 의해 유연성 전도체(150)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종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탑재부(160), 제2 탑재부(162) 및/또는 유연부(164)는 함께 묶인 복수의 유연성 금속(예를 들면 구리) 스트랜드(strand)를 포함한다. 다수의 작은 스트랜드를 사용하면 전도체가 단일의 큰 솔리드 와이어(solid wire)에 비해서 보다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트랜드형(stranded) 전도체는 모선의 전류 운반 용량을 제어하도록 보다 크거나 보다 적은 스트랜드들을 갖는 전도체를 사용함으로써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고, 여기서 스트랜드가 많을수록 전류 운반 용량을 높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단자들(152, 154)에 대한 종단을 위해 단부들에서 노출되는, 스트랜드 와이어(strand wire)들을 둘러싸는 절연 재킷을 포함하는 높은 유연성의 스트랜드형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랜드형 케이블은, 예를 들면 단자들(152 및 154)이 멀리 이격되어 있는 경우, 와이어들을 의도하지 않은 접촉으로부터 보호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유연성 전도체(150)는 유연성 편조선(braided wire)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유연성 전도체(150)는 적층 구성으로 다층의 금속 시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를 다수회 절첩해서 적층체(stack-up)를 생성할 수 있다. 적층체의 절첩 횟수는 유연성 전도체(150)의 전류 운반 능력을 제어하며, 여기서 많이 절첩할수록(예를 들면 적층체가 두꺼울수록) 전류 운반 용량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절첩하는 것은 얇은 유연성 시트를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도, 여전히 전류 운반 능력을 높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층들은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노출된 모든 전도체는 커버 또는 하우징에 의해 절연될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유연부(164)는 형상을 변화시켜서 제1 및 제2 탑재부(160, 162)의 상대적인 위치를 바꾸도록 구성된다. 유연부(164)는 제2 탑재부(162)에 대하여 제1 탑재부(160)를 가변적으로 위치시키도록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다. 유연부(164)는, 이 유연부(164)가 비교적 평평한 경우보다도 제1 탑재부(160)를 제2 탑재부(162)에 가깝게 위치시키는 구부러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연부(164)는 제1 레그(180) 및 제2 레그(182)에 의해 규정된 U자 형상이다. 제1 및 제2 레그(180, 182)는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해서 제1 및 제2 레그(180, 182)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킨다. 제1 및 제 레그(180, 182)를 이동시키면, 제1 탑재부(160) 및 제2 탑재부(162)의 축방향 위치를 가변시킨다. 제1 및 제2 레그(180, 182)를 이동시키면, 제1 탑재부(160)와 제2 탑재부(162) 사이의 공간을 변화시킨다. 선택적으로, 탑재부들(160, 162)은 서로에 대하여 3차원(예를 들면 X-Y-Z)으로 이동 가능하며, 유연부(164)는 이러한 이동을 수용한다.
유연성 전도체(150)는 전기 전도성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연성 전도체(150)는 구리로 제조되지만, 다른 재료들이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탑재부(160), 제2 탑재부(162) 및 유연부(164)는 일체형이고 단일 조각의 구리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한 조각보다도 많은 구리가 전도체, 예를 들면 다수의 구리 시트 또는 다수의 구리 와이어 스트랜드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탑재부(160), 제2 탑재부(162) 및 유연부(164)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제1 탑재부(160) 및 제2 탑재부(162)는 유연부와 같거나 그보다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가질 수 있다.
제1 단자(152)는 유연성 전도체(150) 및 전력 단자(104)(도 2에 나타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1 단자 본체(20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단자 본체(200)는, 유연성 전도체(150)로부터 분리해서 제공되고,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그에 결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단자 본체(200)는 리셉터클(202)를 규정하는 박스 형상이다. 리셉터클(202)은 제1 전력 단자(104)를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로 되고 성형된다.
제1 단자(152)는 단자 본체(200)의 리셉터클(202) 내에 수용되는 제1 컨택트 스프링(204)을 포함한다. 컨택트 스프링(204)은 단자 본체(200)를 전력 단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에 사용된다. 컨택트 스프링(204)은 단자 본체(200)와 전력 단자(104) 간의 전력 경로를 규정한다. 컨택트 스프링(204)은 단자 본체(200)와의 다수의 접촉점을 제공한다. 컨택트 스프링(204)은 전력 단자(104)와의 다수의 접촉점을 제공한다. 컨택트 스프링(204)은 전력 단자(104)와의 분리 가능한 합치(mating) 인터페이스를 규정해서 신속한 연결 및 신속한 분리를 허용한다.
단자 본체(200)는 리셉터클(202)을 규정하는 상벽(206), 하벽(208) 및 측벽들(210, 212)을 포함한다. 하벽(208)은, 예를 들면 하벽(208)을 제1 탑재부(160)에 용접함으로써, 제1 탑재부(16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단자 본체(200)는 리셉터클(202)에 대해 개방되는 개방 전방 단부(214)를 갖는다. 전력 단자(104)는 개방 전방 단부(214)를 통해 리셉터클(202) 내로 로딩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단자 본체(200)는 전방 단부(214)와 대향하는 개방 후방 단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 후방 단부(215)는 전력 단자(104)가 단자 본체(200)의 임의의 부분에 대하여 바닥을 치지 않고 단자 본체(200)를 전체적으로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자 본체(200)는 선택적으로 함께 고정되는 그의 자유 단부들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절첩된 스탬프형 워크피스를 갖는 스탬프형 및 폼형 본체(stamped and formed body)이다. 다른 형상들이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가능하다. 단자 본체(200)는 유연성 전도체(150)에 대하여 90°, 180° 또는 다른 방위들과 같은, 도시된 방위와는 다른 방위들로 배향될 수 있다.
제1 컨택트 스프링(204)은 전방 단부(220)와 후방 단부(222) 사이에서 연장된다. 컨택트 스프링(204)은, 전방 및 후방 단부(220, 222)에서 각각 제1 밴드(224) 및 제2 밴드(226)로서 식별되는, 한 쌍의 원주방향 밴드를 갖는다. 제1 및 제2 밴드(224, 226)는 컨택트 스프링(204)이 리셉터클(202) 내로 로딩되어 컨택트 스프링(204)을 단자 본체(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단자 본체(20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스프링 빔(228)이 컨택트 스프링(204)의 상면 및 하면을 따라 원주방향 밴드들(224, 226)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부 스프링 빔들(228) 및 하부 스프링 빔들(228)을 각각 규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빔들(228)은 일반적으로 컨택트 스프링(204)의 중간을 향해서 안쪽으로 테이퍼링된다. 상부 및 하부 스프링 빔들(228)은 리셉터클(202)의 중앙에서 서로를 향해서 연장된다. 스프링 빔들(228)의 형상은 스프링 빔들(228)이 로딩된 경우에 전력 단자(104)와 맞물리는 것을 보장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프링 빔들(228)은 편향 가능하며, 전력 단자(104)가 컨택트 스프링(204) 내로 로딩된 경우에 바깥쪽으로 편향될 수 있다. 컨택트 스프링(204)은 전력 단자(104)와 단자 본체(200) 간의 전기 경로를 규정한다.
제2 단자(154)는 제1 단자(152)와 유사하지만, 제2 탑재부(162)에 결합된다. 제2 단자(154)는 유연성 전도체(150) 및 전력 단자(105)(도 2에 나타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2 단자 본체(25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단자 본체(250)는, 유연성 전도체(150)로부터 분리해서 제공되고,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그에 결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단자 본체(250)는 리셉터클(252)을 규정하는 박스 형상이다. 리셉터클(252)은 제2 전력 단자(105)를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로 되고 성형된다.
제2 단자(154)는 단자 본체(250)의 리셉터클(252) 내에 수용되는 제2 컨택트 스프링(254)을 포함한다. 컨택트 스프링(254)은 단자 본체(250)를 전력 단자(105)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에 사용된다. 컨택트 스프링(254)은 단자 본체(250)와 전력 단자(105) 간의 전력 경로를 규정한다. 컨택트 스프링(254)은 단자 본체(250)와의 다수의 접촉점을 제공한다. 컨택트 스프링(254)은 전력 단자(105)와의 다수의 접촉점을 제공한다. 컨택트 스프링(254)은 전력 단자(105)와의 분리 가능한 합치 인터페이스를 규정해서 신속한 연결 및 신속한 분리를 허용한다.
단자 본체(250)는 리셉터클(252)을 규정하는 상벽(256), 하벽(258) 및 대향하는 측벽들(260, 262)을 포함한다. 하벽(258)은, 예를 들면 하벽(258)을 제2 탑재부(162)에 용접함으로써, 제2 탑재부(16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단자 본체(250)는 리셉터클(252)에 대해 개방되는 개방 전방 단부(264)를 갖는다. 전력 단자(105)는 개방 전방 단부(264)를 통해 리셉터클(252) 내로 로딩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단자 본체(250)는 전방 단부(264)에 대향하는 개방 후방 단부(266)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 후방 단부(266)는 전력 단자(105)가 단자 본체(250)의 임의의 부분에 대해 바닥을 치지 않고 단자 본체(250)를 전체적으로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자 본체(250)는 선택적으로 서로 고정되는 그의 자유 단부들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절첩된 스탬프형 워크피스를 갖는 스탬프형 및 폼형 본체이다. 다른 형상들이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가능하다. 단자 본체(250)는 유연성 전도체(150)에 대해 90°, 180° 또는 다른 방위들과 같은, 도시된 방위와는 다른 방위들로 배향될 수 있다.
제2 컨택트 스프링(254)은 전방 단부(270)와 후방 단부(272) 사이에서 연장된다. 컨택트 스프링(254)은, 전방 및 후방 단부(270, 272)에서 각각 제1 밴드(274) 및 제2 밴드(276)로서 식별되는, 한 쌍의 원주방향 밴드를 갖는다. 제1 및 제2 밴드(274, 276)는 컨택트 스프링(254)이 리셉터클(252) 내로 로딩되어 컨택트 스프링(254)을 단자 본체(25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단자 본체(25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스프링 빔(278)이 컨택트 스프링(254)의 상면 및 하면을 따라 원주방향 밴드들(274, 276)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부 스프링 빔들(278) 및 하부 스프링 빔들(278)을 각각 규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빔들(278)은 일반적으로 컨택트 스프링(254)의 중간을 향해서 안쪽으로 테이퍼링된다. 상부 및 하부 스프링 빔들(278)은 리셉터클(252)의 중앙에서 서로를 향해서 연장된다. 스프링 빔들(278)의 형상은 스프링 빔들(278)이 로딩된 경우에 전력 단자(105)와 맞물리는 것을 보장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프링 빔들(278)은 편향 가능하며, 전력 단자(105)가 컨택트 스프링(254) 내로 로딩된 경우에 바깥쪽으로 편향될 수 있다. 컨택트 스프링(254)은 전력 단자(105)와 단자 본체(250) 간의 전기 경로를 규정한다.
도 4a는 전력 단자 커넥터(102)의 상부 사시도이다. 단자 본체들(200, 250)이 유연성 전도체(150)에 종단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단자 본체들(200, 250)은 컨택트 스프링들(204, 254)(도 3에 나타냄)을 단자 본체들(200, 250) 내로 로딩하기 전에 개방된 위치에 존재한다. 유연성 전도체(150)는 단자 본체(200 및 250)에 용접된다. 개방된 상면들을 가지면, 초음파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 동작을 위해 단자 본체들의 하면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한다.
도 4b는 전력 단자 커넥터(102)의 상부 사시도이다. 단자 본체들(200, 250)이 유연성 전도체(150)에 종단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컨택트 스프링들(204, 254)이 단자 본체들(200, 250) 내로 로딩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벽들(206, 256)이 함께 고정되기 전에 그들의 단면들이 개방 상태로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컨택트 스프링들(204, 254)은 상벽들(206, 256)의 단면들을 함께 고정하기 전에 상면을 통해 리셉터클들(202, 252) 내로 로딩될 수 있다.
도 5는 컨택트 스프링들(204, 254)이 단자 본체들(200, 250)에 고정된 전력 단자 커넥터(102)의 상부 사시도이다. 컨택트 스프링들(204, 254)은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에 의해 단자 본체들(200, 250) 내에 보유될 수 있고, 여기서 컨택트 스프링들(204, 254)의 부분들이 단자 본체들(200, 250)의 부분들과 직접 맞물려서 그들에 대항하고 있다. 컨택트 스프링들(204, 254)과 단자 본체들(200, 250) 간의 맞물림에 의해 이들 간에 전기 경로가 생성된다. 전력 단자 커넥터(102)가 제1 및 제2 전력 단자(104, 105)에 결합하기 위해 태세를 취하고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제1 전력 단자(104)가 제1 단자(152) 내로 로딩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전력 단자 커넥터(102)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전력 단자의 선단(124)이 리셉터클(202) 및 제1 컨택트 스프링(204) 내로 로딩된다. 상부 및 하부 스프링 빔들(228)이 전력 단자(104)의 상면(120) 및 하면(122)과 맞물려서 단자(152)를 전력 단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컨택트 스프링(204)이 리셉터클(20) 내로 로딩되어 제1 및 제2 밴드(224, 226)가 상벽 및 하벽(206, 208)(및 도 2에 나타낸 측벽들(210, 212))에 인접한다. 밴드들(224, 226)이 각각 단자 본체(200)와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점을 규정해서 컨택트 스프링(204)과 단자 본체(200) 간에 전력 경로를 생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컨택트 스프링(204)과 단자 본체(200) 간의 접촉점들은 단자 본체(200)의 전방 단부(214) 및 후방 단부(216)에 근접해서 위치한다. 예를 들면, 컨택트 스프링(204)의 전방 단부(220)는 일반적으로 단자 본체(200)의 전방 단부(214)와 수평을 이룰 수 있고, 컨택트 스프링(204)의 후방 단부(222)는 일반적으로 단자 본체(200)의 후방 단부(216)와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프링 빔들(228)이 단자 본체(200)와의 추가 접촉점을 규정해서 컨택트 스프링과 단자 본체(200) 간에 다른 전력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 스프링 빔(228)은 단자 본체(200)를 향해서 바깥쪽으로 대면하는 과응력 범프(overstress bump)(300)를 포함한다. 전력 단자(104)가 단자(152) 내로 로딩된 경우, 스프링 빔들(228)은 바깥쪽으로 편향된다. 과응력 범프들(300)은 단자 본체(200)와 맞물릴 때까지 바깥쪽으로 강제된다. 스프링 빔들(228)은, 예를 들면 상벽(206) 또는 하벽(208)을 따라, 과응력 범프들(300)과 단자 본체(200) 간의 직접 맞물림을 통해 단자 본체(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과응력 범프들(300)은 스프링 빔들(228)의 과응력 및/또는 소성 변형(plastic deformation)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 빔들(228)의 변형량을 제한한다. 스프링 빔들(228)의 유효 빔 길이가 과응력 범프들(300)이 단자 본체(200)와 맞물릴 경우에 감소되기 때문에 과응력 범프들(300)이 단자 본체(200)와 맞물릴 경우에 스프링 빔들(228)의 또 다른 변형이 전력 단자(104) 상에 가해진 스프링 힘을 증가시킨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프링 빔들(228)은 적어도 2개의 컨택트 범프(302, 304)를 포함한다. 컨택트 범프들(302, 304)은 전력 단자(104)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빔들(228)의 인터페이스들을 규정한다. 이와 같이, 각 스프링 빔(228)은 그들 사이에 보다 양호한 전기적인 연결을 생성하는 전력 단자(104)와의 다수의 접촉점을 포함한다. 컨택트 범프들(302, 304)은 단자 본체(200)로부터 가장 먼 내부인 스프링 빔들(228)의 최내측부(interior-most portion)이다. 컨택트 범프들(302, 304)은 전력 단자(104)가 단자들(152) 내로 로딩되는 경우에 전력 단자(104)와 직접 맞물리는 스프링 빔들(228)의 부분들이다. 선택적으로, 컨택트 범프들(302, 304)은 과응력 범프(300)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택트 범프들(302, 304)은, 스프링 빔들(228)이 전이하기 시작하거나 과응력 범프들(300)을 규정하도록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과응력 범프들(300)은 컨택트 범프들(302, 3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과응력 범프들(300) 및 대응하는 컨택트 범프들(302, 304)은 제1 및 제2 밴드(224, 226) 사이의 스프링 빔들(228)을 따라 대략 중앙에 있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프링 빔들(228)은 오프셋 과응력 범프들(300) 및 오프셋 컨택트 범프들(302, 304)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접하는 스프링 빔들(228)은 전방측 위치 또는 후방측 위치(예를 들면, 각각 전방 단부(220)에 가깝거나 후방 단부(222)에 가까움)로 오프셋된 범프들(300, 302, 304)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스태거링(staggering)은 전력 단자 커넥터(102)를 전력 단자(104)에 합치하기 위한 총 삽입력을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각 교번 스프링 빔(228)이 스태거링되기보다는, 예를 들면 모든 상부 스프링 빔(228)이 앞쪽으로 스태거링되고 모든 하부 스프링 빔이 뒤쪽으로 스태거링되는, 범프들(300, 302, 304)의 다른 오프셋 패턴들이 이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범프들(300, 302, 304)은 2개보다도 많은 상이한 위치에서 스태거링될 수 있다.
도 7은 유연성 편조선들을 포함하는 유연성 전도체(350)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유연성 전도체(350)는 구리 편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직조 패턴(weave pattern)이 구조체의 유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편조선들의 크기가 구조체의 유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8은 다층의 유연성 금속 시트들을 갖는 유연성 전도체(360)를 도시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시트들은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시트들은 유연성 전도체(360)가 다층으로 형성된 단일의 시트로 이루어지도록 절첩될 수 있다. 층들 간의 갭이 구조체를 유연성 있게 할 수 있다. 시트 두께가 구조체의 유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력 단자 커넥터(370)를 도시하고 있다. 전력 단자 커넥터(370)는 유연성 전도체(374)의 단부에 종단되는 단자(372)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연성 전도체(374)는 케이블이고, 이후 케이블(374)로 지칭될 수 있다. 단자(372)는 케이블(374)의 단부에 용접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케이블(374)은 도시된 케이블 방위에 대해 90°, 또는 다른 방위로 종단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단자(372)는 단자(152)(도 2에 나타냄)와 유사할 수 있으며, 단자 본체(376) 및 컨택트 스프링(378)을 포함한다. 전력 단자 커넥터(370)는 대응하는 전력 단자와 합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케이블(374)의 대향 단부가 거기에 탑재되는 다른 단자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케이블(374)은 전원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도시하고자 하는 것일 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및/또는 그의 양태들)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서 본 발명의 교시들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맞추도록 많은 변형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치수들, 재료들의 타입들, 다양한 구성요소의 방위들, 및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구성요소의 수 및 위치는 소정의 실시예들의 파라미터들을 규정하고자 하는 것이지,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의 많은 다른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이 상기 설명의 검토 시에 당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1)

  1. 전력 단자 커넥터(102)로서,
    제1 탑재부(160), 제2 탑재부(162) 및 상기 제1 및 제2 탑재부 사이의 유연부(164)를 갖는 유연성 전도체(150);
    상기 제1 탑재부에 결합된 제1 단자(152) - 상기 제1 단자는 리셉터클(receptacle)(202)을 규정하는 제1 단자 본체(200)를 가지며, 상기 제1 단자 본체는 상기 제1 탑재부에 용접되어 상기 제1 단자를 상기 유연성 전도체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리셉터클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단자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컨택트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제1 컨택트 스프링(204)은 상기 제1 단자 본체의 상기 리셉터클 내에 플러깅된 제1 전력 단자와 맞물려서 상기 제1 전력 단자와 상기 제1 단자 본체 간에 전력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빔들(228)을 가짐 -; 및
    상기 제2 탑재부에 결합된 제2 단자(154) - 상기 제2 단자는 리셉터클(252)을 규정하는 제2 단자 본체(250)를 가지며,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제2 단자 본체는 상기 제2 탑재부에 용접되어 상기 제2 단자를 상기 유연성 전도체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2 단자 본체의 상기 리셉터클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자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컨택트 스프링(254)을 가지며, 상기 제2 컨택트 스프링은 상기 제2 단자 본체의 상기 리셉터클 내에 플러깅된 제2 전력 단자와 맞물려서 상기 제2 전력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본체 간에 전력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빔들(278)을 가짐 -
    를 포함하고,
    상기 유연성 전도체는 상기 제1 및 제2 전력 단자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단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는 상기 제1 및 제2 탑재부(160, 162)가 서로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해서 상기 제1 탑재부의 위치를 상기 제2 탑재부에 대해서 가변시키는 전력 단자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는 유연성 편조선(braided wire)을 포함하는 전력 단자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는 함께 묶여진 복수의 유연성 금속 스트랜드(strand)를 포함하는 전력 단자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전도체는 상기 유연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탑재부(160, 162)에 걸쳐 있는 다수의 층을 갖도록 절첩된 금속 시트를 포함하는 전력 단자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164)는 제1 레그(leg) 및 제2 레그(182)를 갖는 U자 형상이고, 상기 제1 및 제2 레그는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해서 상기 제1 및 제2 레그 간의 각도를 변화시켜서 상기 제1 및 제2 탑재부(160, 162) 간의 공간을 변화시키는 전력 단자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 본체(200, 250)는 각각이 상기 대응하는 전력 단자(104, 106)를 수용하도록 개방 전방 단부(220, 270)를 갖는 박스 형상 단자 본체인 전력 단자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본체(200)는 상기 리셉터클(202)을 규정하는 상벽(206), 하벽(208) 및 대향하는 측벽들(210, 212)을 포함하고, 상기 하벽은 상기 제1 탑재부(160)에 용접되어 상기 제1 단자(152)를 상기 유연성 전도체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1 단자(150) 본체는 상기 리셉터클에 대해 개방되고 상기 전력 단자(10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방 전방 단부(220)를 갖는 전력 단자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 스프링(204)은 제1 밴드(224) 및 제2 밴드(226)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빔들(228)이 상기 제1 및 제2 밴드 사이에서 연장되고, 각 스프링 빔은 상기 제1 전력 단자(104)용 인터페이스들을 규정하는 상기 제1 및 제2 밴드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컨택트 범프(302, 304)를 갖는 전력 단자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 스프링(204)은 각 스프링 빔(228)을 따라 대략 중앙에 위치한 과응력 범프들(300)을 포함하며, 상기 과응력 범프들(300)은 상기 제1 단자 본체(200)와 맞물려서 상기 대응하는 스프링 빔과 상기 단자 본체 간에 전력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단자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빔들(228)은 상기 제1 전력 단자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컨택트 범프들을 가지며, 상기 컨택트 범프들은 상기 제1 단자(152)의 전방 단부(220)에 대하여 스태거링되는(staggered) 전력 단자 커넥터.
KR1020157017337A 2012-12-07 2013-12-04 전력 단자 커넥터 KR102102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08,202 US8628335B1 (en) 2012-12-07 2012-12-07 Power terminal connector
US13/708,202 2012-12-07
PCT/US2013/072950 WO2014089133A1 (en) 2012-12-07 2013-12-04 Power terminal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221A true KR20150092221A (ko) 2015-08-12
KR102102409B1 KR102102409B1 (ko) 2020-04-21

Family

ID=4976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337A KR102102409B1 (ko) 2012-12-07 2013-12-04 전력 단자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28335B1 (ko)
EP (1) EP2929596B1 (ko)
JP (1) JP6289495B2 (ko)
KR (1) KR102102409B1 (ko)
CN (1) CN104885305B (ko)
WO (1) WO2014089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4368B2 (ja) * 2012-01-18 2015-11-2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フラット回路体
US9337466B2 (en) * 2012-12-07 2016-05-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terminal connector
US9065192B2 (en) * 2013-09-19 2015-06-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terminal connector
US10396405B2 (en) 2014-11-10 2019-08-2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Bus bar for a battery connector system
JP2016119188A (ja) * 2014-12-19 2016-06-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柔軟連結端子及び蓄電モジュール
CN105390651B (zh) * 2015-09-30 2016-11-2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动力电池的连接器、动力电池模组、动力电池包、汽车
CN107068953A (zh) * 2015-12-30 2017-08-18 昶洧新能源汽车发展有限公司 用于电动车辆电池组的集成汇流条和电池连接
CN107134674B (zh) * 2016-02-29 2021-04-2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导电连接件及连接组件
JP6613980B2 (ja) * 2016-03-16 2019-12-0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アッシ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49345B2 (ja) 2016-05-20 2018-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電源回路遮断装置
DE102016116842B3 (de) * 2016-09-08 2018-02-15 Lisa Dräxlmaier GmbH Steckverbinder zum elektrischen Verbinden von zwei elektrischen Baugruppen
DE102017206158A1 (de) * 2017-04-11 2018-10-11 Robert Bosch Gmbh Zellverbind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sowie Batteriemodul
DE102018103133A1 (de) * 2018-02-13 2019-08-14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ntkopplungselement
DE102018114764B4 (de) * 2018-06-20 2020-02-20 Lisa Dräxlmaier GmbH Steckbarer modulverbinder, verbindungssystem und verfahren zum elektrisch leitenden verbinden von zumindest zwei batteriemodulen
DE102018213911A1 (de) * 2018-08-17 2020-02-20 Robert Bosch Gmbh Zellkontaktierungssystem für eine modular aufgebaute Batterie
WO2020090216A1 (ja) * 2018-10-29 2020-05-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スバーの製造方法、バスバー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CN114245953A (zh) * 2019-08-27 2022-03-25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可挠性汇流条、复合汇流条、蓄电组以及可挠性汇流条的制造方法
KR20210027857A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길이 조절이 가능한 인터-버스바
US11264752B1 (en) * 2020-11-09 2022-03-01 Aptiv Technologies Limited Planar terminal connector having an additional contact sp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8234A (ja) * 1994-11-17 1996-06-07 Fujikura Ltd バッテリ間接続具
JPH0992259A (ja) * 1995-07-19 1997-04-04 Yazaki Corp バッテリの電極ポスト接続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85853A (ko) * 2009-01-20 2010-07-29 오데우 슈테크페르빈둥스시스테메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고온 환경을 위한 전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64741A (fr) * 1965-11-15 1967-01-06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douilles, pour contacts électriques à fiches et douilles, et à leurs procédés de fabrication
DE2359429B2 (de) * 1973-08-29 1976-02-05 Multi-Contact Ag, Basel (Schweiz) Polanschluss
DE3817803C3 (de) * 1988-05-26 1995-04-20 Reinshagen Kabelwerk Gmbh Elektrische Flachsteckverbindung
US5033982A (en) * 1990-05-31 1991-07-23 Sun Microstamping, Inc. Electrical connector
GB9309096D0 (en) * 1993-05-01 1993-06-16 Gen Motors France Electrical connector for battery terminals
JP3373108B2 (ja) * 1996-03-28 2003-02-04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端子間の電気的接続構造
US5886501A (en) 1997-04-07 1999-03-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Battery pack electrical interconnects
JP3504839B2 (ja) * 1997-12-03 2004-03-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ッテリーポスト用接続具及びバッテリー接続端子用カバー
US6482049B1 (en) * 1999-07-16 2002-11-19 Amphenol Corporation Radially resilient electrical connector
US6672911B2 (en) * 2000-09-15 2004-01-06 Alcoa Fujikura Limited Electrical terminal socket assembly including 90 angled and sealed connectors
US7294020B2 (en) 2005-05-25 2007-11-13 Alcoa Fujikura Ltd. Canted coil spring power terminal and sequence connection system
US7229327B2 (en) 2005-05-25 2007-06-12 Alcoa Fujikura Limited Canted coil spring power terminal and sequence connection system
DE202010012555U1 (de) * 2009-06-08 2010-11-18 Auto-Kabel Managementgesellschaft Mbh Batteriezellenverbinder mit Z-Schlag
FR2948239B1 (fr) * 2009-07-20 2012-02-03 Valeo Etudes Electroniques Boitier electrique de courant fort et assemblage de boitiers electriques de courant fort
WO2012076983A1 (en) * 2010-12-09 2012-06-14 Fci Automotive Holding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8419486B2 (en) * 2010-12-17 2013-04-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ceptacle terminal with a contact spring
JP2012182047A (ja) * 2011-03-02 2012-09-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バスバーセ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8234A (ja) * 1994-11-17 1996-06-07 Fujikura Ltd バッテリ間接続具
JPH0992259A (ja) * 1995-07-19 1997-04-04 Yazaki Corp バッテリの電極ポスト接続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85853A (ko) * 2009-01-20 2010-07-29 오데우 슈테크페르빈둥스시스테메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고온 환경을 위한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29596A1 (en) 2015-10-14
JP6289495B2 (ja) 2018-03-07
EP2929596B1 (en) 2017-11-01
US8628335B1 (en) 2014-01-14
KR102102409B1 (ko) 2020-04-21
CN104885305A (zh) 2015-09-02
WO2014089133A1 (en) 2014-06-12
JP2015537357A (ja) 2015-12-24
CN104885305B (zh)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409B1 (ko) 전력 단자 커넥터
US9337466B2 (en) Power terminal connector
CN108780954B (zh) 具有多线平面电缆的端子组件
KR20140053400A (ko) 전력 단자 커넥터와 시스템
JP6892507B2 (ja) バッテリシステム用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19520686A (ja) バッテリシステム用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7952024B2 (en) U-turn bus bar
KR102227471B1 (ko) 전력 단자 커넥터
CN111989797A (zh) 布线模块
CN110718787A (zh) 汽车接线线束扁平电缆端部终端
KR102215911B1 (ko) 전력 단자 커넥터
WO2022107567A1 (ja) 配線モジュール
CN103181032A (zh) 高电流插接连接器
CN211529905U (zh) 车辆的保险盒总成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