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073A -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073A
KR20150092073A KR1020150108113A KR20150108113A KR20150092073A KR 20150092073 A KR20150092073 A KR 20150092073A KR 1020150108113 A KR1020150108113 A KR 1020150108113A KR 20150108113 A KR20150108113 A KR 20150108113A KR 20150092073 A KR20150092073 A KR 20150092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uxiliary
washing
washing uni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8387B1 (ko
Inventor
김민형
김현묵
원용권
마사토 스즈키
미츠히로 시게리
신영선
정관수
싱 아미토즈
김규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9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00Washing receptacles
    • D06F1/02Wash-tubs; Supports therefor
    • D06F1/04Wash-tubs; Supports therefor the tub walls or bottom having corrug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4Supply, recirculation or draining of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06F2105/04Water supply from separate hot and cold water inl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 개구에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도어어셈블리는,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보조세탁공간을 갖고, 도어의 내측에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세탁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분리된 세탁공간을 갖고, 별도의 손세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어서 급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량조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Washing Machine and Wate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세탁이 가능하고 세탁수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저수하는 고정조와, 고정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펄세이터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고정조와 회전조에 의해 세탁공간을 형성하나, 양말, 흰옷 및 속옷등에 묻은 찌든 때를 별도로 세탁하는 공간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세탁을 위해서 세탁기에는 세탁수가 공급이 된다. 이때 공급되는 세탁수의 수압이 필요이상으로 큰 경우, 세탁수가 원하는 지점으로 배출되지 않고, 주위로 튀게 되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보조세탁을 위해 보조세탁공간을 갖는 보조세탁유닛을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세탁수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세탁수공급구조를 개선한 세탁수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메인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세탁통; 및 상기 개구 주변에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세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상기 개구상에 있을 때, 상기 도어가 열리면 상기 보조세탁공간이 노출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보조세탁공간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일측에 마련되는 도어핸들부;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는 보조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핸들부와 상기 보조핸들부는,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회동중심이 되는 도어회동축;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중심이 되는 보조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회동축과 상기 보조회동축은 일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유닛몸체;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중심이 되는 보조회동축; 및 상기 유닛몸체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보조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조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보조회동부가 삽입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장치는, 상기 메인세탁공간과 상기 보조세탁공간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전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공간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보조세탁공간으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보조급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향해 구배지도록 형성되는 측면부를 갖는 유닛몸체; 상기 유닛몸체에 마련되어, 세탁물의 마찰을 상승시키도록 인접한 상기 유닛몸체보다 볼록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마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에서 세탁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보조배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손세탁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개구상에 배치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회동하여 상기 보조배수구를 통해 세탁수가 상기 메인세탁공간으로 배수되는 제 2 위치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형상의 안착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플랜지가 상기 개구측의 상기 본체에 안착되어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ABS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세탁통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상기 개구상에 있고 상기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상기 보조핸들부를 들어 올리면 상기 보조세탁유닛과 상기 도어가 동시에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개구 위에 놓이게 되는 닫힌 위치와 상기 본체 외부에 놓이게 되는 열린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상기 닫힌 위치에 있거나 상기 열린 위치에 있어도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축과 상기 도어의 회동축이 대략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축과 상기 도어의 회동축은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 범위가 상기 도어의 회동 범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축이 상기 도어의 회동축 보다 전방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유닛몸체에는 상기 보조회동부가 두 개 형성되며, 상기 보조회동부의 사이에는 상기 보조세탁공간에 고인 물을 상기 메인세탁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는 보조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구 일측에는 상기 메인세탁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주급수구가 형성되어, 상기 주급수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개구와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메인세탁공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와,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세탁물이 배치되는 회전조를 갖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세탁부; 상기 세탁부와 이격되어 손세탁하도록 마련되는 보조세탁부; 상기 보조세탁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수공급장치는,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보조세탁부로 세탁수를 배출하는 유출관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세탁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압조절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유입관에 의해 유입되는 세탁수가 저수되고 상기 유출관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수압조절챔버로서, 상기 유입관 내부의 유로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 수압조절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압조절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유입관과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유출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배출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압조절챔버로부터 상기 배출챔버로 이동하는 세탁수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절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압조절장치는, 상기 조절리브와 동일평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수압조절챔버로부터 상기 배출챔버로 세탁수가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수압조절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압조절홀은, 세탁수가 교축작용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절리브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진행방향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압조절장치는,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형성되어,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를 상기 수압조절챔버내부로 배출하는 연장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장관은, 상기 수압조절챔버의 내부에서 세탁수가 상향배출되도록,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상향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압조절홀은, 상기 연장관에서 배출된 세탁수가 상기 수압조절챔버내부에서 우회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수압조절챔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압조절장치는, 상기 조절리브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며, 세탁수의 수압에 의한 상기 조절리브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압조절홀은, 상기 유입관 내부를 지나는 세탁수의 진행방향과 동일한방향으로 세탁수가 지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세탁부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급수제어와, 상기 보조세탁부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급수제어를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공급장치는, 상기 보조세탁부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관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유입관과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공급장치는, 상기 보조세탁부의 전방, 측방, 후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상기 보조세탁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압조절장치는, 상기 유출관을 폐쇄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유출관을 개방하는 제 2 위치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압조절장치는, 상기 유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탁수를 안내하도록 상기 유출관의 내측에 마련되는 배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는, 상기 유출관의 내부에서 메쉬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는, 상기 유출관의 내부에서 상호 나란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리브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세탁기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세탁수가 유출입하는 유입관과 유출관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지나는 세탁수가 교축하도록 마련되는 수압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압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이동을 가로막는 조절리브; 상기 조절리브와 동일평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리브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수압조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관과 연통하는 수압조절챔버; 상기 유출관과 연통하는 배출챔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압조절챔버와 상기 배출챔버는 상기 조절리브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를 상기 수압조절챔버내부로 배출하는 연장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장관의 배출구는 상기 수압조절챔버의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수압조절홀은 상기 수압조절챔버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와,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를 갖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세탁부; 상기 세탁부의 상부에서 손세탁하도록 마련되는 보조세탁부; 상기 보조세탁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수공급장치는, 세탁수를 공급받는 유입관과, 상기 보조세탁부로 세탁수를 배출하는 유출관을 갖는 하우징; 상기 유입관과 연통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압조절챔버; 상기 유출관과 연통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배출챔버; 상기 수압조절챔버와 상기 배출챔버를 구획하며 상기 수압조절챔버로부터 상기 배출챔버로 이동하는 세탁수의 진행을 방해하도록 마련되는 조절리브로서, 상기 수압조절챔버로부터 상기 배출챔버로 세탁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수압조절홀을 형성하는 조절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수압조절챔버의 내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세탁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연장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압조절홀은, 상기 연장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가 우회하여 상기 배출챔버로 이동하도록 상기 수압조절챔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는 보조세탁유닛을 갖추어 보조세탁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세탁방법과 독립적으로 보조세탁이 가능하여, 세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세탁유닛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보조세탁을 위한 보조세탁유닛의 작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세탁수의 공급구조를 개선하여, 세탁수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개선된 공급구조를 통해 세탁기의 내부로 배출되는 세탁수의 유량 조절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어셈블리의 결합에 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8a, 8b, 8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9a, 9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0,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와 그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수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14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수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5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수공급장치의 단면도.
도 16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수공급장치 내에서 세탁수의 흐름에 관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18a,18b,18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수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19,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폐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21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 사시도.
도 23, 2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와 그 동작에 관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11)와, 고정조(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12)와, 회전조(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회전조(12)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24)가 형성된다. 개구(24)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설치된 도어어셈블리(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고정조(11)는 현가장치(15)에 의해 캐비닛(10)에 지지될 수 있다.
고정조(11)의 상부에는 고정조(11)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7)이 설치된다. 급수관(17)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고, 급수관(17)의 타측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된다. 급수관(17)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6)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고정조(11)의 내부로 공급된다. 급수관(17)에는 급수밸브(18)가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회전조(1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그 측면에는 다수의 탈수공(13)이 형성된다. 회전조(12)의 상부에는 고속 회전 시에 회전조(12)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밸런서(14)가 장착될 수 있다.
고정조(11)의 하측 외부에는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5)와, 모터(25)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절환장치(26)가 설치된다.
회전조(12)에는 중공형 탈수축(29)이 결합되고, 탈수축(29)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세탁축(27)은 세탁축결합부(28)를 통해 펄세이터(5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25)는 동력절환장치(26)의 승강 동작에 따라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동력절환장치(26)는 동력절환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30)와, 액추에이터(30)의 동작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로드부(31)와, 로드부(31)와 연결되어 로드부(31)의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클러치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조(12)의 바닥에는 고정조(12)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도록 배수구(20)가 형성되고, 배수구(20)에는 제 1 배수관(21)이 연결된다. 제 1 배수관(21)에는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22)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밸브(22)의 출구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수관(3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사시도이다.
개구(24)에는 도어어셈블리(100)가 마련된다.
도어어셈블리(100)는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0)는 캐비닛(10)의 일측에 마련되어, 개구(24)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도어(110)에는 도어(110)가 개구(24)를 폐쇄하는 상태에서도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부재(112)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세탁공간(120a)을 구비하여 별도의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공간(120a)은 고정조와 회전조에 의해 형성되는 메인세탁공간(11a)과 분리되어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메인세탁공간(11a)을 형성하는 고정조와 회전조를 세탁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은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서, 각각의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에서의 세탁은 별도로 진행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도어(110)의 내측에서 그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도어(110)의 회동축과 일치되도록 동일한 축을 가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과 도어(110)의 회동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바닥부(124)와 측면부(126)로 구성되는 유닛몸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의 보조세탁공간(120a)은 유닛몸체(122)에 의해 형성된다. 바닥부(124)는 보조세탁공간(120a)의 깊이를 결정짓는 요소로서, 바닥부(124)는 평평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부(126)는 바닥부(124)를 향해 구배되도록 형성되며, 바닥부(124)를 향해 구배지도록 형성된다.
바닥부(124)와 측면부(126)는 대략적으로 오목한 보조세탁공간(120a)을 갖도록 마련되어, 보조세탁공간(120a)에 세탁수를 받아 별도의 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마찰돌기(128)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돌기(128)는 유닛몸체(122)에 마련되며, 보조세탁이 용이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측면부(126)에 마련되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닛몸체(122)의 내면에 구비되도록 구성되면 이를 만족한다. 마찰돌기(128)는 손세탁시 세탁물과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세탁물의 때가 잘 빠지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세탁유닛(120)의 내면에서 인접한 내면보다 볼록하게 형성된다. 마찰돌기(12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마찰돌기(128)의 형상과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배수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배수구(130)는 보조세탁공간(120a)에서 세탁된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마련된다. 보조배수구(130)는 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별도의 개폐부재를 갖고 보조세탁공간(120a)의 바닥부(124)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닛몸체(122)에서 측면부(126)에 마련된다. 보조배수구(130)는 보조세탁유닛(120)이 회동하는 경우, 보조세탁공간(120a)에 저수된 세탁수가 기울어져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배수구(130)는 유닛몸체(122)에서 인접한 유닛몸체(122)의 상단부(126a) 낮도록 형성되는 보조배수구(130)의 둘레(126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닛몸체(122)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에 보조배수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보조배수구(13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보조세탁유닛(120)을 기울였을 때, 보조세탁공간(120a)에 저수된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형상이면 이를 만족한다.
보조세탁유닛(120)은 안착플랜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플랜지(132)는 보조세탁유닛(120)의 상단에서 그 둘레를 따라 플랜지의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어, 캐비닛(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안착플랜지(132)는 유닛몸체(122)의 상단을 따라 플랜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개구(24)측의 내측면에는, 개구(24)의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안착부(24a)가 마련될 수 있다. 안착플랜지(132)는 안착부(24a)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안착플랜지(132)가 안착부(24a)에 안착됨으로서, 보조세탁유닛(120)이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으로의 급수를 위해 급수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160)는 급수관(162), 메인급수관(164), 보조급수관(166)과 전환유닛(168)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162)은 일단이 급수밸브(18)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162)은 급수밸브(18)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전환유닛(168)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메인세탁공간(11a)으로 급수를 위해 메인급수관(164)이 마련될 수 있다. 메인급수관(164)은 일단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6)에는 급수구(미도시)가 마련되어, 메인급수관(164)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세제공급장치(16)를 거쳐 급수구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급수구를 거친 물은 개구(24)와 보조세탁유닛(1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메인세탁공간(11a)으로 공급된다.
보조세탁유닛(120)의 보조세탁공간(120a)으로의 급수를 위해 보조급수관(166)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관(166)은 일단은 보조급수구(6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전환유닛(168)은 급수관(162)으로부터 전달되는 세탁수를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즉, 전환유닛(168)의 제어를 통해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세탁공간으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마련된다. 전환유닛(168)은 3방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이 전환유닛(168)을 사이에 두고 급수관(162)으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되나,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이 급수밸브(18)에 연결되어 급수밸브(18)의 제어를 통해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일단이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되는 메인급수관(164)과, 일단이 보조급수구(60)와 연결되는 보조급수관(166)의 각각의 타단이 급수밸브(18)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되나,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으로 동시에 급수되어도 무방하다.
보조급수구(60)는 보조급수관(166)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구(60)는 보조세탁유닛(120)으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도록 보조세탁유닛(12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구(60)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보조세탁유닛(1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급수구(60)에 대응하여 세탁수유입구(134)가 마련된다. 세탁수유입구(134)는 유닛몸체(122)에서 인접한 유닛몸체(122)의 상단부(126a)보다 낮도록 형성되는 유입구둘레(126c)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닛몸체(122)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에 세탁수유입구(13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세탁수유입구(13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보조급수구(60)를 통해 세탁수가 유입시에 유닛몸체(122)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보조세탁공간(120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형상이면 이를 만족한다.
보조세탁유닛(120)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은 ABS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손빨래에 필요한 내충격성과 강성등을 갖춘 재질이면 이를 만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어셈블리의 결합에 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은 각각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110)는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회동축(140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40a)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에 대해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된다.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40a)은 동일한 축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40a)가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110)는 도어회동축(114a)을 따라 캐비닛(10)에 마련되는 도어회동부(110a)에 의해 캐비닛(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회동부(140)에 의해 도어(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회동부(110a)는 캐비닛(10)에서 도어(110)가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회동축(114a)방향으로 돌기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어(110)에는 수용부(114)가 마련되고, 도어회동부(110a)가 수용부(114)에 삽입됨으로서, 도어(11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110)의 외측면에서 도어(110)가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회동축(114a)방향으로 돌기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회동부(110a)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도어(11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면 이를 만족한다.
도어(110)는 보조회동부(140)가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110)의 일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부(116)가 마련되고, 삽입부(116)에는 보조세탁유닛(120)이 보조회동축(140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보조회동축(140a)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회동돌기(118)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에는 회동돌기(118)에 대응하여 회동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40a)이 일치하도록 보조회동부(140)가 도어(110)의 일부에 삽입되어 회동하게 마련된다.
그러나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회동하는 형상이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개구(24)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보조회동부(140)는 유닛몸체(122)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보조회동축(140a)이 유닛몸체(122)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보조세탁유닛(120)의 회전반경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보조세탁유닛(120)의 회전시 유닛몸체(122)가 도어(110)나 캐비닛(10)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100)는 핸들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150)는 도어(110)에 구비되는 도어핸들부(152)와, 보조세탁유닛(120)에 구비되는 보조핸들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는 일측에 마련되는 도어회동축(114a)에 대응하여 도어(110)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보조핸들부(154)는 일측에 마련되는 보조회동축(140a)에 대응하여 보조세탁유닛(120)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와 보조핸들부(154)는 상호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와 보조핸들부(154)는 각각 도어(110)의 전면과, 보조세탁유닛(120)의 전면에 마련되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핸들부(152)의 동작으로 도어(110)를 회동시킬 수 있고, 보조핸들부(154)의 동작으로 보조세탁유닛(120)만을 회동시키거나, 보조세탁유닛(120)과 도어(110)를 함께 회동시킬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100)의 전면에 대해 도어핸들부(152)는 제 1 길이(L1) 형성되고, 보조핸들부(154)는 제 1 길이(L1)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 길이(L2)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를 동작하면 도어(110)가 회동하고, 도어(110)가 개방된 경우 보조핸들부(154)를 동작하면 보조세탁유닛(120)을 회동시킬 수 있다. 도어(110)가 닫힌 경우 보조핸들부(154)를 동작하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함께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의 무게를 고려하여 제 2 길이(L2)은 제 1 길이(L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핸들부(154)는 도어핸들부(15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a, 8b, 8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어어셈블리(100)는 폐쇄위치(CP)와, 보조세탁위치(SP)와, 개방위치(OP)를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폐쇄위치(CP)는 도어어셈블리(100)가 개구(24)를 폐쇄하도록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개구(24)상에 배치되어, 개구(24)를 막도록 마련되는 위치이다. 보조세탁위치(SP)는 도어어셈블리(100)가 폐쇄위치(CP)로부터 도어(110)가 회동하여 보조세탁유닛(120)에서 보조세탁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위치이다. 개방위치(OP)는 도어어셈블리(100)가 개구(24)를 개방하도록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폐쇄위치(CP) 또는 보조세탁위치(SP)로부터 회동하는 위치이다.
도어핸들부(152)의 동작에 의해 도어어셈블리(100)는 폐쇄위치(CP)와 보조세탁위치(SP)를 이동하게 되고, 보조핸들부(154)의 동작에 의해 도어어셈블리(100)는 폐쇄위치(CP)와 개방위치(OP)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a, 9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어어셈블리(100)가 보조세탁위치(SP)에서 보조세탁을 마치고 난 뒤, 세탁수는 보조배수구(130)를 통해 메인세탁공간(11a) 또는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자세하게는 도어어셈블리(100)가 보조세탁위치(SP)에 있을 때, 보조세탁유닛(120)의 위치를 제 1 위치(P1)라 하면, 보조세탁유닛(120)은 제 1 위치(P1)와, 보조세탁공간(120a)에 있는 세탁수가 보조배수구(130)를 통해 메인세탁공간(11a) 또는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보조세탁유닛(120)이 제 1 위치(P1)로부터 회동한 제 2 위치(P2)를 회동하게 마련된다. 제 2 위치(P2)는 보조세탁유닛(120)이 보조회동축(140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보조세탁공간(120a)에 있는 세탁수가 보조배수구(130)를 통해 배출되도록 기울어지는 위치를 말한다. 제 2 위치(P2)는 제 1 위치(P1)와, 도어어셈블리(100)가 개방위치(OP)에 있을 때 보조세탁유닛(120)의 위치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배수구(130)는 인접한 측면부(126)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되므로, 세탁수가 측면부(126)의 상단부를 넘어 흘러넘치지 않도록 기울여도 충분히 보조배수구(130)를 통해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와 그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어어셈블리(200)는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220)은 바닥부(224)와 측면부(226)로 구성되는 유닛몸체(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220)은 각각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110)는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보조세탁유닛(220)은 보조회동축(240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240a)은 개구(24)로부터 다른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즉,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220)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240a)이 대략 수직하게 엇갈리도록 마련되어, 도어(110)는 캐비닛(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고, 보조세탁유닛(220)은 캐비닛(1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유닛(220)은 보조회동부(240)를 포함한다.
보조회동부(240)는 유닛몸체(222)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보조회동축(240a)이 유닛몸체(222)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보조세탁유닛(220)의 회전반경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보조세탁유닛(220)의 회전시 유닛몸체(222)가 도어(110)나 캐비닛(10)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측부에는 보조세탁유닛(220)의 보조회동부(24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부(216)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220)의 회동방향을 달리함으로서, 보조세탁유닛(220)이 개구(24)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도, 이와 상관없이 도어(1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보조세탁유닛(220)과 도어(110)는 독립적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으로의 급수를 위해 급수장치(36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360)는 급수밸브(361), 급수관(362), 세제공급장치(368)와, 세탁수공급장치(37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362)는 메인급수관(362a)와 보조급수관(362b)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밸브(361)는 캐비닛에 마련되어, 캐비닛의 외부로부터 캐비닛의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급수밸브(361)는 세제공급장치(368)로의 급수와 세탁수공급장치(370)로의 급수를 제어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368)로의 급수와 세탁수공급장치(370)로의 급수는 상호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세탁수와 보조세탁부의 급수제어를 별도로 할 수 있다. 세탁수공급장치(370)로의 급수는 별도의 제어용 버튼(미도시)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세탁기 본체 하부에 설치된 제어용 페달(미도시)을 발로 누름으로써 세탁수공급장치(370)로의 급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 및 방법을 통해 세탁수공급장치(370)로의 급수가 제어될 수 있다.
급수밸브(361)는 메인급수관(362a)과 보조급수관(362b)을 통해 각각 세제공급장치(368), 세탁수공급장치(370)와 연결된다. 세탁수공급장치(370)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하게 설명한다.
급수밸브(361)와 보조급수관(362b)을 통해 안내되는 세탁수가 세탁수공급장치(370)를 거쳐 보조세탁유닛(12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급수구(60)에 대응하여 세탁수유입구(134)가 마련된다. 세탁수유입구(134)는 유닛몸체(122)에서 인접한 유닛몸체(122)의 상단부(126a)보다 낮도록 형성되는 유입구둘레(126c)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닛몸체(122)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에 세탁수유입구(13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세탁수유입구(13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세탁수공급장치(370)를 통해 세탁수가 유입시에 유닛몸체(122)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보조세탁공간(120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형상이면 이를 만족한다.
보조세탁유닛(120)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은 ABS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손빨래에 필요한 내충격성과 강성등을 갖춘 재질이면 이를 만족한다.
세탁수공급장치(370)는 보조세탁부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세탁수공급장치(370)는 보조세탁유닛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세탁수유입구를 통해 보조세탁공간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세탁수공급장치(370)는 보조세탁유닛의 측부에 마련되어, 보조세탁유닛의 측부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후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보조세탁유닛에 대해 다른방향으로 급수가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수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14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수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5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수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세탁수공급장치(370)는 하우징(372)과, 하우징(372)에 마련되는 유입관(376)과 유출관(378)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7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372)은 상부하우징(372a)과 하부하우징(372b)을 포함하며, 상부하우징(372a)과 하부하우징(372b)의 결합으로 내부공간(373)을 형성하게 된다.
하우징(372)은 캐비닛의 내부와 결합을 위해 결합홀(374)을 형성하며, 캐비닛의 내부와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유입관(376)은 급수밸브(361)와 연결되어, 급수밸브(361)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하우징(372)으로 안내한다. 유입관(376)을 통해 하우징(372)의 내부로 세탁수가 유입된다. 유출관(378)은 하우징(372)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마련되어, 보조세탁유닛으로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유입관(376)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유로(376a)가 형성된다.
유출관(37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입관(376)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보조세탁유닛의 측면으로 급수가 되도록 마련되나, 이후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입관(376)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제 1 실시예와는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유출관(378)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배출되는 유출유로(378a)가 형성된다. 또한 유출관(378)의 단부는 외부와 연통하는 유출개구(378b)가 형성된다.
하우징(372)의 내부에는 유입관(376)에 의해 하우징(372)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조절장치(380)가 마련될 수 있다.
수압조절장치(380)는 수압조절챔버(382)와, 수압조절부(38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압조절챔버(382)는 유입관(376)으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가 저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유입관(376)으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가 일시적으로 저수되면서, 세탁수의 수압이 감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수압조절챔버(382)는 유출관(378)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유입관(376)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압조절챔버(382)는 유입관(376) 또는 이후 설명하는 연장관(387) 내부에 세탁수가 지나는 유로의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한 유량에 대해 넓은 단면적을 가짐으로서, 세탁수의 유속을 줄일 수 있고 수압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수압조절부(384)는 수압조절챔버(382)와, 이후 설명하는 배출챔버(388)사이에 형성되어, 이를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수압조절챔버(382)로부터 배출챔버(388)로 흐르는 세탁수를 교축하여 세탁수의 수압을 조절하고,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수압조절부(384)는 조절리브(385)와 수압조절홀(386)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리브(385)는 수압조절챔버(382)를 형성할 수 있도록 수압조절챔버(382)의 일측에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하우징(372)의 내부공간(373)은 수압조절챔버(382)와 배출챔버(388)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조절리브(385)는 수압조절챔버(382)와 배출챔버(388)를 구획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배출챔버(388)는 하우징(372)의 내부에서 유입관(376)과 이격되게 마련되며, 유출관(378)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절리브(385)는 하우징(372)의 내측면에서 하우징(372)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수압조절챔버(382)로부터 배출챔버(388)로 이동하는 세탁수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도록 하우징(37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압조절챔버(382)로부터 배출챔버(388)로 이동하는 세탁수는 이후 설명하는 수압조절홀(386)을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조절리브(385)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수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압조절챔버(382)에는 그 내부에 유입관(376)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관(387)이 마련될 수 있다. 연장관(387)은 유입관(376)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수압조절챔버(382) 내부에서 상향으로 절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장관(387)의 배출구가 수압조절챔버(382)의 내부에서 상향 배출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유입관(376)과 연장관(387)을 통해 흐르는 세탁수가 하우징(372) 상부의 내측면에 부딪치면서 세탁수의 압력이 감압되도록 마련된다.
수압조절장치(380)는 수압조절챔버(382)로부터 배출챔버(388)로 세탁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수압조절홀(386)을 포함할 수 있다. 수압조절홀(386)은 조절리브(385)와 동일평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조절리브(385)는 하우징(372)의 내측면 중 상면으로부터 바닥면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데, 수압조절홀(386)은 조절리브(385)의 단부와 하우징(372)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조절리브(385)의 단부와, 하우징(372)의 바닥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수압조절홀(386)에 의해 수압조절챔버(382)내부의 세탁수가 배출챔버(388)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수압조절홀(386)은 유입관(376)의 내부를 지나는 세탁수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세탁수가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관(376)의 방향과 수압조절홀(386)을 지나는 세탁수의 방향을 동일하게 함으로서, 수압조절을 위해 세탁수의 진행방향을 변경하지 않고, 동일한 진행방향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압조절홀(386)은 수압조절챔버(38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관(387)의 배출구는 수압조절챔버(382) 내부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되는 데, 연장관(387)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세탁수가 바로 수압조절홀(386)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수압조절챔버(382)의 내부에서 우회하여 수압조절홀(386)로 배출되도록, 수압조절홀(386)은 수압조절챔버(38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수압조절홀(386)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절리브(385)와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면 이를 만족한다.
조절리브(385)와 수압조절홀(386)은 수압조절챔버(382)와 배출챔버(388)의 사이에서 교축작용을 하는 교축장치의 역할을 하게된다. 즉, 수압조절홀(386)은 세탁수의 진행방향에 대해 하우징(372)의 내부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됨에 따라, 마찰에 의해 세탁수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수압조절홀(386)에서의 교축작용을 통해 세탁수의 압력조절과 유량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수압조절홀(386)의 너비는 한정되지 않고, 수압조절챔버(382)와 배출챔버(388)의 단면너비보다 작으면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압조절챔버(382), 수압조절홀(386), 배출챔버(388)의 폭이 동일하게 마련되고, 수압조절홀(386)은 높이가 2~3mm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조절리브(385)는 상부하우징(372a)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하우징(372b)에는 조절리브(385)의 적어도 일부를 가이드하도록, 보강리브(389)가 마련될 수 있다. 보강리브(389)는 조절리브(385)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어, 세탁수의 수압에 의해 조절리브(385)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리브(389)가 조절리브(385)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되나, 전후방향 중 어느 한방향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수공급장치 내에서 세탁수의 흐름에 관한 도면이다.
급수밸브(361)의 조작을 통해 제 2 밸브(112)를 개방하면, 보조급수관(362b)을 통해 세탁수공급장치(370)로 세탁수가 안내된다.
보조급수관(362b)을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는 유입관(376)과 연장관(387)을 통해 수압조절챔버(382)내부로 유입된다. 수압조절챔버(382)의 내부공간(373)의 너비는 유입관(376)과 연장관(387) 내부에서 세탁수가 흐르는 유로의 너비보다 넓으므로, 유입관(376)과 연장관(387)으로부터 수압조절챔버(382)로 세탁수가 토출되면서 유속이 줄어들고, 수압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연장관(387)은 수압조절챔버(382)내에서 상향 절곡되어 있어, 세탁수가 상향이동하면서 감압하게 된다.
유입관(376)과 연장관(387)으로부터 수압조절챔버(382)의 내부로 배출된 세탁수는 수압조절챔버(382)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수되고, 저수된 세탁수는 수압조절홀(386)을 통해 배출챔버(388)로 배출된다.
수압조절챔버(382)와 배출챔버(388)사이에는 조절리브(385)가 마련되어 있어, 세탁수가 수압조절챔버(382)의 내부에서 배출챔버(388)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한다.
수압조절챔버(382)와 배출챔버(388)의 하우징(372)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너비는, 수압조절홀(386)의 너비보다 크기때문에, 조절리브(385)와 수압조절홀(386)에 의해 세탁수는 교축작용을 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세탁수는 수압이 낮아지게 된다.
배출챔버(388)로 배출된 세탁수는 유출관(378)을 통해 유출되어 보조세탁부로 공급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수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18a,18b,18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수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제 3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세탁수공급장치(370)가 보조세탁부의 측부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실시예와 같이 보조세탁부의 일측부에 배치되지 않고, 세탁수공급장치(370a, 370b, 370c, 370d)가 보조세탁부의 전방, 후방,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17에서는 전방, 후방, 측부에 모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세탁수공급장치(370a, 370b, 370c, 370d)가 보조세탁부의 전방(370a), 후방(370b), 측부(370c, 370d)에 배치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방향에서 보조세탁부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어, 급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탁수공급장치(370a, 370b, 370c, 370d)의 배치가 변경됨에 따라 유출관(378a, 378b, 378d)의 배치도 달리할 수 있다. 측부에 배치되는 세탁수공급장치(370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세탁수공급장치와 구성이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공급장치(370b)가 보조세탁유닛(1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유출관(378b)이 하우징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고, 전방(370a)과 일측부(370c)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유출관(378a, 제 3 실시예에서의 유출관(378))이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고, 타측부(370d)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유출관(378d)이 제 3 실시예에서와 반대 방향이 되도록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와 같이 구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탁수공급장치의 배치에 따라 하우징에 대한 유출관의 방향을 달리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탁수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9,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폐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세탁수공급장치(370)는 유출관(378)을 개폐하는 개폐부재(39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390)는 유출관(378)의 유출개구(379b)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세탁수공급장치(370)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급수밸브(361)에서뿐만 아니라 개폐부재(390)에 의해서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부재(390)는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하여 유출관(378)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개폐부재(390)는 유출관(378)의 유출개구(379b)를 폐쇄하는 제 1 위치(P1)와, 유출관(378)의 유출개구(379b)를 개방하는 제 2 위치(P2)를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개폐부재(390)의 슬라이딩방식은 개폐부재(390)가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를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레일(392)이 마련되어, 안내레일(392)상을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폐부재(390)는 유출관(378)의 유출개구(379b)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면 무방하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수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1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수가 유출관(378)으로부터 보조세탁부로 배출되면서, 유출관(378)의 주위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출가이드부(394)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가이드부(394)는 유출관(378)의 유출개구(379b)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가이드부(394)는 유출관(378)에서 세탁수가 배출되는 개구상에 마련되며, 메쉬형상의 그릴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가이드부(394)는 세탁수의 진행경로상에 마련되어, 유출관(378)을 통해 배출되는 세탁수의 진행을 가이드하여, 세탁수의 배출과정에서 주위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배출가이드부(394)는 유출관(378)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진행방향에 대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세탁수가 배출가이드부(394)를 거쳐서만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세탁수가 유출관(378)으로부터 고르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세탁수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수가 유출관(378)으로부터 보조세탁부로 배출되면서, 유출관(378)의 주위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출가이드부(396)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가이드부(396)는 유출관(378)의 유출개구(379b)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가이드는 유출관(378)의 유출개구(379b)상에 마련되며, 상호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가이드는 세탁수의 진행경로상에 마련되어, 유출관(378)을 통해 배출되는 세탁수의 진행을 가이드하여, 세탁수의 배출과정에서 주위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배출가이드부(396)는 유출관(378)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진행방향에 대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세탁수가 배출가이드부(396)를 거쳐서만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세탁수가 유출관(378)으로부터 고르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는 제 8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3, 24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와 그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어어셈블리(400)는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4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420)은 바닥부(424)와 측면부(426)로 구성되는 유닛몸체(4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420)은 각각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110)는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보조세탁유닛(420)은 보조회동축(440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440a)은 수평하도록 상호 일치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440a)이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조회동축(440a)은 도어회동축(114a)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회동축(440a)은 도어(110)의 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어(110)의 삽입부는 도어(110)의 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보조세탁유닛(420)의 보조회동부(440)가 도어(110)의 몸체로부터 이격된 채 도어(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조세탁유닛(420)의 회전중심인 보조회동축(440a)이 제 1 실시예에서의 보조회동축(140a)보다 전방에 배치됨에 따라, 보조세탁유닛(420)의 회동범위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보조회동축(140a)보다 더 넓게 된다. 또한 도어(110)와의 관계에서도 도어(110)의 회동범위보다 보조세탁유닛(420)의 회동범위가 크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회동축(440a)이 도어회동축(114a)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회동축(440a)이 도어회동축(114a)보다 하부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며, 상부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보조세탁유닛(420)은 보조회동부(440)를 포함한다.
보조회동부(440)는 유닛몸체(422)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보조회동축(440a)이 유닛몸체(422)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보조세탁유닛(420)의 회전반경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보조세탁유닛(420)의 회전시 유닛몸체(422)가 도어(110)나 캐비닛(10)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측부에는 보조세탁유닛(420)의 보조회동부(44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부(416)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420)의 회동방향을 달리함으로서, 보조세탁유닛(420)이 개구(24)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도, 이와 상관없이 도어(1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보조세탁유닛(420)과 도어(110)는 독립적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탁기 10 : 캐비닛
11 : 고정조 11a : 메인세탁공간
12 : 회전조 16 : 세제공급장치
18 : 급수밸브 24a : 안착부
60 : 보조급수구
100 : 도어어셈블리 110 : 도어
110a : 도어회동부
112 : 투명부재 114 : 수용부
114a : 도어회동축 116 : 삽입부
118 : 회동돌기 120 : 보조세탁유닛
120a : 보조세탁공간 122 : 유닛몸체
124 : 바닥부 126 : 측면부
128 : 마찰돌기 130 : 보조배수구
132 : 안착플랜지 134 : 세탁수유입구
140 : 보조회동부 140a : 보조회동축
142 : 회동홀
150 : 핸들부 152 : 도어핸들부
154 : 보조핸들부 160 : 급수장치
162 : 급수관 162 : 급수관
164 : 메인급수관 166 : 보조급수관
168 : 전환유닛
P1 : 제 1 위치 P2 : 제 2 위치
L1 : 제 1 길이 L2 : 제 2 길이
CP : 폐쇄위치 SP : 보조세탁위치
OP : 개방위치

Claims (38)

  1. 제1세탁공간과 상기 제1세탁공간으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가 마련된 본체; 및
    상부가 개방된 제2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위치되는 배수구를 가지고, 상기 본체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제2세탁공간에 세탁물의 투입이 가능한 보조세탁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개구 주위에서 상기 개구 쪽으로 돌출되는 안착부에 안착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측면부의 상단 일부가 낮게 함몰되어 형성된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마찰돌기가 마련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기가 마련되는 측면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세탁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돌기는 상기 제1면과 제2면이 만나는 부분에 마련되는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측면부 상단에는 안착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플랜지가 상기 본체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안착플랜지는 상기 본체의 측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세탁수를 저수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상기 본체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수조보다 높게 위치되는 세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닫을 때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의 주위에 안착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세탁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보조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한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도어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보조세탁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탁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회동축과 상기 보조회동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세탁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회동축은 상기 도어회동축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세탁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회동축과 상기 보조회동축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세탁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세탁기.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도어핸들부와, 상기 보조세탁유닛에 마련되는 보조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핸들부와 상기 보조핸들부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세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핸들부의 길이는 상기 도어핸들부의 길이보다 긴 세탁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핸들부와 상기 보조핸들부는 각각 상기 도어의 전면과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전면에 마련되는 세탁기.
  20. 본체;
    상기 본체에 안착되는 보조세탁유닛;
    상기 보조세탁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보조세탁유닛으로 물을 배출하는 급수구를 가지는 급수장치;및
    상기 급수구를 통해 상기 보조세탁유닛으로 배출되는 물을 가이드하도록 배치되는 배출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는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전방, 후방과 측방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세탁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급수장치는 상기 세탁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메인급수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보조급수관을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급수관을 통한 급수와 상기 보조급수관을 통한 급수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세탁물 처리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으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버튼과 페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본체에 안착되도록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구는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상기 본체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플랜지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보조세탁유닛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세탁수유입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유입구는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상단부의 일부가 낮게 함몰되어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마찰돌기들이 배열된 세탁물 처리장치.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고,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 시에 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축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 수압조절장치와, 상기 수압조절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유입관과, 상기 수압조절장치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유출관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을 가지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압조절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조절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로의 단면적이 변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조절장치는,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는 수압조절챔버와,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는 배출챔버와, 상기 수압조절챔버에서 상기 배출챔버로 이동하는 물의 일부를 가로막도록 상기 수압조절챔버와 상기 배출챔버 사이에 배치되는 조절리브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조절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다른 부분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수압조절홀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은 상기 유입관의 연장방향에 대해 각도를 가지도록 연장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3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3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부는, 메쉬부재와 복수의 리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KR1020150108113A 2014-01-29 2015-07-30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KR101698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810 2014-01-29
KR20140011810 2014-01-29
KR20140021973 2014-02-25
KR1020140021973 2014-02-2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6940A Division KR102306413B1 (ko) 2014-01-29 2014-12-10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073A true KR20150092073A (ko) 2015-08-12
KR101698387B1 KR101698387B1 (ko) 2017-01-20

Family

ID=53885451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6940A KR102306413B1 (ko) 2014-01-29 2014-12-10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KR1020150046457A KR101543565B1 (ko) 2014-01-29 2015-04-01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KR1020150046513A KR101543564B1 (ko) 2014-01-29 2015-04-01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KR1020150108113A KR101698387B1 (ko) 2014-01-29 2015-07-30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KR1020210125565A KR102377563B1 (ko) 2014-01-29 2021-09-23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KR1020220033626A KR102583745B1 (ko) 2014-01-29 2022-03-17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및 세탁기의 급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0230127021A KR20230145952A (ko) 2014-01-29 2023-09-22 세탁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6940A KR102306413B1 (ko) 2014-01-29 2014-12-10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KR1020150046457A KR101543565B1 (ko) 2014-01-29 2015-04-01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KR1020150046513A KR101543564B1 (ko) 2014-01-29 2015-04-01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565A KR102377563B1 (ko) 2014-01-29 2021-09-23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KR1020220033626A KR102583745B1 (ko) 2014-01-29 2022-03-17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및 세탁기의 급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0230127021A KR20230145952A (ko) 2014-01-29 2023-09-22 세탁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6) US9200399B2 (ko)
EP (1) EP2924161B1 (ko)
KR (7) KR102306413B1 (ko)
CN (1) CN105378173B (ko)
AU (1) AU2014351098B2 (ko)
BR (1) BR112015014828B1 (ko)
CA (1) CA2892215C (ko)
ES (1) ES2667437T3 (ko)
MX (1) MX361521B (ko)
MY (1) MY181363A (ko)
PH (1) PH12015501306B1 (ko)
WO (1) WO2015115730A1 (ko)
ZA (1) ZA201506336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185A1 (ko) * 2015-09-01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70068069A (ko) * 2015-12-09 201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수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WO2018217035A1 (ko) * 2017-05-24 2018-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90097594A (ko) * 2018-02-12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10597815B2 (en) 2017-05-24 2020-03-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0774461B2 (en) 2017-05-24 2020-09-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9266B2 (ja) * 2014-01-14 2017-07-05 アクア株式会社 洗濯機
AU2014351098B2 (en) * 2014-01-29 2016-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washing water supply device
USD762931S1 (en) * 2014-10-10 2016-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board for washing machine
USD772504S1 (en) * 2015-02-13 2016-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for washing machine
US10914028B2 (en) 2015-08-04 2021-02-0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stain station
KR102412031B1 (ko) 2015-08-13 202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EP3511465B1 (en) 2016-09-05 2021-11-1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treating agents dispenser
US10519587B2 (en) 2017-02-27 2019-12-31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etergent dispenser
US10519589B2 (en) 2017-02-27 2019-12-31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etergent dispenser
US10280548B2 (en) * 2017-03-03 2019-05-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s with removable wash basins
US10233587B2 (en) * 2017-05-23 2019-03-19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ing appliance comprising a scrubbing tool
CN107299498B (zh) * 2017-05-26 2020-04-1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门盖组件和具有其的波轮洗衣机
CN107385767B (zh) * 2017-08-02 2019-08-09 宁波吉母电器有限公司 具有辅助洗涤单元的洗衣机
CN107245853B (zh) * 2017-08-02 2019-09-10 宁波吉母电器有限公司 具有能移动辅助洗涤单元的洗衣机
US11591740B2 (en) 2018-01-31 2023-02-28 Whirlpool Corporation Dispensing system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CN110499614A (zh) * 2018-05-18 2019-11-26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涤控制方法及洗涤控制装置、存储介质和洗衣机
US20190382942A1 (en) * 2018-06-13 2019-12-1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s having pre-treatment agitation features
CN110607653B (zh) * 2018-06-15 2023-01-1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US11155952B2 (en) 2018-10-31 2021-10-26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stain treating station
US11371180B2 (en) 2018-12-06 2022-06-28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spray arm assembly
US11761134B2 (en) 2019-05-23 2023-09-1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appliance
US11377772B2 (en) 2019-05-23 2022-07-0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appliance
US11499259B2 (en) 2019-10-15 2022-11-15 Whirlpool Corporation Detachable pretreat sink for laundry appliance having an operable washboard
US11851805B2 (en) 2021-11-22 2023-12-26 Whirlpool Corporation Deflector assembly for laundry appliance
CN114164603B (zh) * 2021-12-17 2023-03-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衣机及洗衣机的控制方法
CN116971151A (zh) * 2022-04-21 2023-10-3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洗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023A (ko) * 1999-05-04 2000-12-05 김영환 반도체 제조장비의 열판 구조
KR20040008134A (ko) * 2001-03-15 2004-01-2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01A (en) * 1869-09-07 Improved wash-tub
US139684A (en) * 1873-06-10 Improvement in stationary wash-tubs
GB404785A (en) * 1932-11-03 1934-01-25 Bradley & Company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washing boilers, washtubs and the like
US3026699A (en) * 1961-01-06 1962-03-27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US3039286A (en) * 1961-06-26 1962-06-19 Gen Electric Drain overflow arrangement for built-in washing machine
US3039284A (en) * 1961-06-26 1962-06-19 Gen Electric Mounting arrangement for built-in washing machine
US3209560A (en) * 1963-12-23 1965-10-05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with means for pretreating clothes
US3490254A (en) * 1968-05-28 1970-01-20 Whirlpool Co Laundry appliance having scrubber means
US5253493A (en) * 1992-02-18 1993-10-19 Shigeo Ohashi Washing machine having a sink
JPH0720186A (ja) 1993-06-30 1995-01-24 Mazda Motor Corp 電気回路の故障診断装置
MY115384A (en) * 1994-12-06 2003-05-31 Sharp Kk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drier
KR200142472Y1 (ko) 1996-12-26 1999-06-01 윤종용 세탁기의 급수장치
KR100222934B1 (ko) 1997-01-31 2000-03-02 윤종용 샤워분사장치를 갖는 세탁기
JPH1119391A (ja) 1997-07-03 1999-01-26 Hitachi Ltd 吸水ポンプ付洗濯機
KR100220751B1 (ko) * 1997-08-12 1999-09-15 윤종용 세탁기의 보조 세탁장치
KR200170337Y1 (ko) 1997-12-09 2000-02-01 전주범 세탁기의 보조급수장치
JP2000300891A (ja) 1999-04-16 2000-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TW457137B (en) * 1999-04-28 2001-10-01 Sharp Kk Washer having a partial washing apparatus
EP1375728A4 (en) * 2001-04-05 2006-03-15 Sanyo Electric Co ELECTRIC WASHING MACHINE
KR20030045447A (ko) * 2001-12-04 2003-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KR100468914B1 (ko) 2002-02-26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수장치를 갖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25599B1 (ko) 2002-07-24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20050014546A (ko) 2003-07-31 2005-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7296443B2 (en) * 2003-09-15 2007-11-20 Haier America Trading, Llc Top-load sink/laundry combo
KR101022226B1 (ko) * 2004-01-06 201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30921B1 (ko) * 2004-06-04 2007-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의 급수시스템
EP2290144A1 (en) * 2005-01-14 2011-03-0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Textile product treating apparatus having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US7426932B2 (en) * 2005-09-23 2008-09-23 General Electric Company Spray fill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7934281B2 (en) 2005-11-14 2011-05-03 Whirlpool Corporation Stain removal process control method using BPM motor feedback
KR101256144B1 (ko) 2008-08-13 2013-04-2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WO2010056086A2 (ko) * 2008-11-17 201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101555656A (zh) * 2008-12-24 2009-10-14 任文涛 搓洗式洗衣机
CA2697330C (en) * 2009-03-20 2012-10-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ethod
AU2010201329B2 (en) * 2009-04-03 2012-05-10 Lg Electronics Inc. Fabric treating machine
KR101612802B1 (ko) * 2009-12-02 201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202011992U (zh) * 2011-03-14 2011-10-19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一种洗衣机
JP5608603B2 (ja) 2011-04-19 2014-10-1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KR20130001857U (ko) * 2011-09-09 2013-03-19 조명숙 다목적 빨래판
CN202415963U (zh) * 2012-01-13 2012-09-05 上海师范大学 用于局部清洗的搓衣板
AU2014351098B2 (en) * 2014-01-29 2016-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washing water 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023A (ko) * 1999-05-04 2000-12-05 김영환 반도체 제조장비의 열판 구조
KR20040008134A (ko) * 2001-03-15 2004-01-2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세탁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185A1 (ko) * 2015-09-01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70027175A (ko) * 2015-09-01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10851486B2 (en) 2015-09-01 2020-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20170068069A (ko) * 2015-12-09 201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수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WO2018217035A1 (ko) * 2017-05-24 2018-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128747A (ko) * 2017-05-24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US10597815B2 (en) 2017-05-24 2020-03-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0774461B2 (en) 2017-05-24 2020-09-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0900160B2 (en) 2017-05-24 2021-01-2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90097594A (ko) * 2018-02-12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67588B2 (en) 2019-01-01
BR112015014828A2 (ko) 2017-07-11
MX2015008546A (es) 2016-05-20
KR20220041796A (ko) 2022-04-01
CA2892215C (en) 2017-09-26
BR112015014828B1 (pt) 2022-01-18
KR20150090870A (ko) 2015-08-06
PH12015501306A1 (en) 2015-08-24
US20190071808A1 (en) 2019-03-07
PH12015501306B1 (en) 2015-08-24
US9217215B2 (en) 2015-12-22
ZA201506336B (en) 2017-01-25
KR101543564B1 (ko) 2015-08-11
US10822734B2 (en) 2020-11-03
US11753759B2 (en) 2023-09-12
KR20150090871A (ko) 2015-08-06
KR20230145952A (ko) 2023-10-18
US20150247276A1 (en) 2015-09-03
ES2667437T3 (es) 2018-05-10
CA2892215A1 (en) 2015-07-29
EP2924161B1 (en) 2018-02-07
AU2014351098B2 (en) 2016-05-19
AU2014351098A1 (en) 2015-08-13
WO2015115730A1 (ko) 2015-08-06
KR20150090825A (ko) 2015-08-06
CN105378173B (zh) 2018-04-24
US20150247274A1 (en) 2015-09-03
CN105378173A (zh) 2016-03-02
US20150247275A1 (en) 2015-09-03
EP2924161A1 (en) 2015-09-30
EP2924161A4 (en) 2016-07-06
KR102377563B1 (ko) 2022-03-24
US20230374713A1 (en) 2023-11-23
KR102583745B1 (ko) 2023-10-06
US20210025095A1 (en) 2021-01-28
KR101543565B1 (ko) 2015-08-11
US9200399B2 (en) 2015-12-01
KR20210119355A (ko) 2021-10-05
KR101698387B1 (ko) 2017-01-20
MX361521B (es) 2018-12-10
KR102306413B1 (ko) 2021-10-01
MY181363A (en) 202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387B1 (ko)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EP2952623B1 (en) Washing machine
KR102449857B1 (ko) 세탁기
KR20170068069A (ko) 급수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1543566B1 (ko) 세탁기
KR20150137663A (ko) 세탁기
KR102350183B1 (ko) 세탁기
KR20150102544A (ko) 세탁기
KR20150051855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