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802B1 -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802B1
KR101612802B1 KR1020090118522A KR20090118522A KR101612802B1 KR 101612802 B1 KR101612802 B1 KR 101612802B1 KR 1020090118522 A KR1020090118522 A KR 1020090118522A KR 20090118522 A KR20090118522 A KR 20090118522A KR 101612802 B1 KR101612802 B1 KR 101612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laundry
water pressure
washing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966A (ko
Inventor
김영종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8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802B1/ko
Priority to US12/958,023 priority patent/US8943628B2/en
Publication of KR20110061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8Operation mode; Program pha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을 참조하여 세탁조로 세제가 분사되는 분사패턴을 가변함으로써 수압의 크기가 변동하더라도 세탁물을 적절히 적실 수 있도록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세탁수, 수압, 세제, 세탁 품질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 처리기기가 배치되는 장소의 수압 차이에 따라 세탁조에 세탁수를 제공하는 의한 분사패턴을 설정하여 세탁물을 적절히 적시는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처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기를 말한다.
세탁물 처리기기가 세탁물을 처리하는 과정은 크게 세탁수에 세제를 혼합하는 과정,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를 세탁조에 투입하는 과정,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과정, 외부로부터 세제가 포함되지 않은 세탁수를 세탁조에 유입하여 세탁물을 헹구는 과정, 및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서 세탁수를 제거하는 탈수과정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세탁물을 건조하거나, 다림질을 하여 배출하는 세탁물 처리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세탁물 처리방법은 세제 혼합과정, 세탁과정, 헹굼과정, 및 탈수과정을 기본으로 한다.
상기한 세제 혼합과정, 세탁과정, 헹궁과정, 및 탈수과정은 세탁조 내부로 세탁수를 유입하여 세탁물을 적시는 과정을 필요로 하며, 통상의 경우, 커버 방향에서 세탁조 방향으로 세탁수를 투입하여 세탁물을 적시고 있다.
그러나, 커버 방향에서 세탁수를 투입하여 세탁물을 적실 경우, 세탁수가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을 골고루 적시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커버 방향에서 노즐을 이용하여 세탁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노즐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노즐 방식은 좁은 출수구를 이용하여 세탁물에 세탁수를 스프레이 분사함으로써 세탁물을 골고루 적실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노즐을 통해 세탁수를 투입할 때, 노즐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세탁조에 투입되는 세탁수의 량이 변동하며, 세탁물에 분사되는 세탁수의 량이 변동한다. 즉, 세탁물 처리기기가 설치되는 설치장소의 수압이 고려되지 않는다.
또한, 세탁수의 수압이 고압일 경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수가 세탁물을 향하지 않고 세탁조의 내면을 향해 비산되며, 세탁수의 수압이 낮을 경우에는 노즐에서 세탁수가 제대로 분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 처리기기가 설치되는 장소의 수압을 고려하여 세탁조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방식이 필요하며,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탁수의 량과 시간이 함께 조절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물 처리기기가 장착되는 곳의 수압에 따라 세탁조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패턴을 설정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세탁수를 세탁조에 낙하하여 급수하는 제1 분사부, 및 상기 세탁수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에 공급되는 세탁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량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참조하여 상기 세탁수의 수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압을 벗어날 때, 상기 제1분사부와 상기 제2분사부에 분사 패턴을 적용하여 상기 세탁조에 상기 세탁수를 제공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세탁수를 세탁조에 낙하하여 급수하는 제1 분사부, 상기 세탁조에 상기 세탁수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 및 세탁물의 량에 따라 결정되는 기준량의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에 채우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세탁수의 수압을 판단하며, 판단된 수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압을 벗어날 때, 상기 제1분사부와 상기 제2분사부에 분사 패턴을 적용하는 제어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세탁물 처리기기로 급수되는 세탁수의 수압에 따라 세탁물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패턴을 설정함 으로써 세탁수의 수압이 높거나 낮을 때도 세탁수가 세탁물에 적정히 공급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싱례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는 캐비닛(10), 캐비닛(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출입홀을 형성하는 탑 커버(200), 탑 커버(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출입 홀을 개폐하는 리드 어셈블리(100), 사용자가 세탁물 처리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400)을 구비한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지지부재(20)를 통해 매달려 있는 외조(31)가 배치되고, 외조(31)의 내부에는 내조(35)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내조(35)와 외조(31)를 따로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하, 내조(35)와 외조(31)는 하나의 "세탁조"(30)라 명명한다. 본 발명에서 세제와 세탁수를 혼합하여 액상의 세제를 세탁물에 살포하는 세탁행정을 설명할 때, 외조(31)와 내조(35)를 따로 구분하여 설명하지는 않는다.
지지부재(20)의 하단에는 내조(35)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외조(31)의 흔들림을 완충하는 댐퍼(25)가 배치되고, 내조(35)의 바닥에는 회전 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펄세이터(40)가 배치된다.
또한, 외조(31)의 하측에는 내조(35)와 펄세이터(4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인 모터(50)가 배치된다. 모터(50)는 회전축(55)을 통해 내조(35)에 연결되어 내 조(35)를 회전시킬 수 있고, 내조(35)와 펄세이터(40) 사이에는 모터(50)의 회전력을 내조(35)와 펄세이터(4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내조(35)와 펄세이터(40)는 상기 클러치를 통해 내조(35)만 회전하거나, 펄세이터(40)만 회전하거나, 내조(35)와 펄세이터(40)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탑 커버(200)에는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박스(60)가 입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부 수원과 연결되어 세제 박스(60)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호스(70)와, 급수호스(70)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급수 밸브(75)가 배치된다. 급수 밸브(75)가 개방되어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가 급수되면, 급수된 세탁수는 세제 박스(60)로 유입된 후, 내조(35)로 급수된다.
외조(31)에는 세제 박스(60)로부터 내조(35)로 급수되는 세탁수가 내조(35)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공(36)을 통해 출입하여 담기고, 내조(35)에는 세탁물이 수용된다.
또한, 외조(31)의 하단에는 외조(31) 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호스(80)와, 배수호스(80)를 통해 유출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배수 조절 밸브(85)와, 배수펌프(86)가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1분사부와 제2분사부가 세탁수를 분사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분사부(171)는 세제 박스(DT BOX : DeTergent BOX)(172)에 수용된 세탁수를 내조(35)의 바닥면(35a)을 향해 분사하고, 제2분사 부(173)는 내조(35)의 내 측면, 또는 내조(35)의 바닥면(35a)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한다. 이때, 제1분사부(171)와 제2분사부(173)는 세탁물이 적절히 젖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프레이 분사 방식에 따라 세탁수를 내조(35)의 바닥, 또는 벽면을 향해 분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분사부(171)와 제2분사부(173)에서 분사되는 세탁수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제1분사부(171)와 제2분사부(173)의 분사 방향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분사부(171)와 제2분사부(173)는 탑 커버(200)에 배치되나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분사부(171)와 제2분사부(173)는 세탁물 처리기기가 급수 행정을 수행할 때 구동한다. 급수 행정은 세탁조(30) 내로 세탁수를 유입하는 행정을 의미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을 적시기 위해 세탁조(30) 내에 세탁수를 유입하는 행정,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헹구거나, 또는 탈수하기 위해 내조(35)에 세탁수를 유입하는 행정, 및 기타 내조(35)에 세탁수를 유입하는 모든 행정이 포함된다.
제1분사부(171)와 제2분사부(173)는 세탁물 처리기기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에 따라 함께 구동하거나, 하나만 구동할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가 배치되는 지역에 따라 세탁물 처리기기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은 상이하다. 세탁물 처리기기가 배치되는 지역의 수압이 약할 경우, 젯트 분사(jet spray)를 수행하는 제2분사부(173)의 세탁수 분사가 어렵고, 세탁물을 적절히 적시기가 어렵다, 반면, 세제 박스(172)로 유입된 세탁수를 세탁조의 바닥면(35a)로 낙하하는 제1분사부(171)는 저 수압에서도 세탁물을 적실 수 있다.
따라서, 제1분사부(171)는 저 수압일 때, 단독으로 구동하여 세탁수를 세탁 조(30)로 분사하고, 정상 수압일 때는 제2분사부(173)가 단독으로 구동하여 세탁수를 내조(35)로 분사한다.
만일, 세탁물 처리기기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이 높을 경우에는 제1분사부(171)와 제2분사부(173)가 함께 구동하여 세탁수를 내조(35)로 분사한다.
세탁물 처리기기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이 높을 경우, 제2분사부(173)에서 단독으로 세탁수를 분사할 때, 세탁수의 높은 수압에 의해 제2분사부(173)에서 분사되는 세탁수의 균일도가 떨어지거나 목표 방향으로 분사되지 못하고 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의 수압이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에는 제1분사부(171)와 제2분사부(173)가 함께 세탁수를 내조(35)로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이 적절히 적셔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고압일 때, 제1분사부(171)와 제2분사부(173)에서 내조(35)로 분사되는 세탁수의 분사 시간은 정상 수압일 때에 비하여 그 시간이 단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저압일 경우에는 제1분사부(171)에서 내조(35)로 분사되는 세탁수의 분사 시간이 정상 수압일 때에 비하여 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세탁수의 수압이 높아질수록 제1분사부(171)나 제2분사부(173)의 세탁수 분사시간은 단축되어야 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증가하여야 적정한 세탁수가 내조(35)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 수압은 7.0kgf ∼ 10 kgf 에 상응하고,
정상 수압은 2.0 kgf ∼ 6.5 kgf 에 상응하며,
저 수압은 1.5 kgf 이하에 상응한다.
상기 기재한 고 수압, 정상 수압, 및 저 수압의 범위는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것이며, 세탁물 처리기기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을 통해 설명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수압 판단 방법에 대한 참조 도면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압 판단 방법은, 세탁조(30)에 기준량(D-th)의 세탁수가 유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느려질수록 수압이 낮고, 세탁조(30)에 기준량(D-th)에 해당하는 세탁수가 유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빨라질수록 수압이 높아지는 특성을 이용한다.
여기서, 기준량(D-th)은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의 량에 따라 결정된다. 만일 세탁물의 량이 많을 경우, 세탁조(30)로 투입되는 세탁수의 기준량(D-th)이 커지며, 반대로 세탁물의 량이 적을 경우, 세탁조(30)로 투입되는 세탁수의 기준량(D-th)도 감소한다. 세탁물의 량에 대한 기준량(D-th)은 기준 테이블의 형태를 갖는 데이터 파일에 의해 정의되며, 기준 테이블은 제어부(210)에 재 프로그래밍 가능한 형태로 기록되거나, 제어부(210)와 연결되는 외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세탁조(30)에 투입되는 세탁수의 량이 기준량(D-th)에 도달하는 시간을 계수하고, 계수된 시간을 참조하여 세탁조(30)로 투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을 판단한다. 수압의 판단은 세탁수가 기준량(D-th)을 채우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한다. 또한 세탁조(30)로 투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은 단위 시 간(예컨대, 10 sec)당 세탁조(30)에 급수되는 수량을 통해 결정된다.
제어부(210)는 세탁조(30)에 투입된 세탁수가 기준량((D-th)을 충족하면 세탁수의 수압을 산출하고, 산출된 수압에 따라 세탁조(30)에 투입된 세탁물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시간을 결정한다.
한편, 메모리(미도시)는 세탁물의 량에 따라 세탁조(30)로 세탁수가 분사되는 시간을 정의하는 스프레이-타임 테이블을 구비한다.
제어부(210)는 기준량(D-th)을 만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토대로 산출된 수압을 참조하여 스프레이-타임 테이블에 기록된 시간 정보를 갱신한다. 예컨대, 세탁물 1Kg에 대해 세탁수가 스프레이 분사되는 시간이 80 sec라고 가정하면, 수압이 낮을 경우, 스프레이 분사되는 시간은 10sec 추가된 90 sec가 될 수 있으며, 스프레이-타임 테이블에 기록된 분사시간은 80 sec 에서 90 sec로 갱신되어 세탁물 처리기기가 설치된 장소의 수압에 맞추어 세탁물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시간을 조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세탁조(30)에 세탁물을 투입 후, 컨트롤 패널(230)을 조작하여 세탁코스, 및 세탁시간을 설정하면, 제어부(210)는 세탁 코스에 따른 세탁수의 량, 세제의 량, 세탁조(30)를 회전시키는 시간과 회전 패턴을 결정하며, 결정된 조건에 따라 세탁조(30)에 세제를 투여 후, 급수 구동부(250)를 제어하여 세탁조(30)에 세탁수를 1차 급수한다. 이때, 세탁조(30)에 급수되는 세탁 수의 량은 센서(220)에 의해 감지된 수량을 참조하여 제어된다.
메모리(270)는 세탁수의 량과 세탁물의 량에 따라 세탁조(30)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시간을 정의한 스프레이-타임 테이블, 및 급수 구동부(250)를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의 수압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 테이블을 구비한다.
스프레이-타임 테이블은 세탁조(30)에 투입된 세탁물의 량에 따라 세탁조(30)로 급수할 수량, 및 세탁수의 급수를 위해 세탁조(30)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시간을 정의한다.
기준 테이블은 세탁수가 세탁물의 량에 따른 기준량만큼 채우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세탁수의 수압에 대한 데이터, 도는 수압 산출을 위한 계산식을 구비하는 테이블을 나타낸다.
제어부(210)는 세탁수의 수압을 참조하여 제1분사부(171)와 제2분사부(173)를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구동하는 분사 패턴을 설정한다.
분사패턴은, 수압이 기준수압을 초과할 때 적용되는 제1분사패턴, 수압이 기준수압 미만일 때 적용되는 제2분사패턴, 및 수압이 정상 수압일 때 적용되는 제3분사패턴을 구비한다.
제1분사패턴은 제1분사부(171)와 제2분사부(173)를 함께 구동하는 패턴에 대응한다. 제1분사패턴은 수압이 기준수압(2.0 kgf ∼ 6.5 kgf)을 초과하는 7.0 kgf 이상일 때 제어부(210)에서 설정된다. 제1분사패턴은 제1분사부(171)와 제2분사부(173)가 함께 구동한다. 수압이 높을 때, 제트 스프레이 분사를 수행하는 제2분사부(173)가 단독으로 구동할 경우 제2분사부(173)의 노즐이 고압에 의해 비산되어 세탁물을 적절히 적시기 어렵다. 따라서, 고압의 세탁수를 제1분사부(171)와 제2분사부(173)가 세탁조(30)로 함께 분사토록 함으로써 세탁수가 세탁물 방향으로 향하지 않고 비산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제2분사패턴은 수압이 기준 수압보다 작은, 1.5 kgf 이하일 때 구동하는 패턴에 대응한다. 제2분사패턴은 저수압 상태의 세탁수를 이용하여 제2분사부(173)의 노즐을 구동하기 어려울 때 제어부(210)가 설정하며, 세제 박스(172)에 연결되는 제1분사부(171)을 통해 세탁조(30)로 세탁수를 낙하시킬 수 있다. 세탁수의 수압이 낮을 때는 노즐을 통해 제트 분사를 수행하는 제2분사부(173)를 이용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다. 이때, 제어부(210)는 제2분사패턴을 이용하여 통상의 세탁물 처리기기처럼 세제 박스에 유입된 세탁수를 세탁조(30)로 낙하시켜 세탁물을 적시도록 한다.
제3분사패턴은 수압이 기준수압(2.0 kgf ∼ 6.5 kgf) 범위에 존재할 때 대 제2분사부(173)를 구동하는 패턴에 대응한다. 수압이 기준수압 범위에 존재할 경우, 제2분사부(173)를 이용하여 제트 스프레이 분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제3분사패턴을 적용하면 제2분사부(173)에서 분사되는 세탁수로 세탁물을 적절히 적실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분사패턴을 이용하기 위해, 제어부(210)는 세탁수의 수압을 정확히 판단할 필요가 있다. 제어부(210)는, 세탁물의 량에 따라 세탁조(30)로 유입하는 세탁수의 량을 결정한다. 이하 세탁물에 따라 정해지는 세탁수의 량을 기준량이라 한다. 기준량은 세탁조(30)에 세탁물을 투입할 때, 결정된다.
제어부(210)는 급수 구동부(250)를 통해 세탁물 처리기기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기준량에 도달하는 시간을 계수하고, 계수된 시간을 통해 수압을 산출한다. 즉, 기준량에 도달하는데 시간이 적게 걸릴 경우, 수압이 높고, 반대의 경우 수압이 낮게 산출된다. 기준량, 및 기준량에 도달하는 시간에 따른 수압 데이터는 메모리(270)에 저장되는 기준 테이블에 마련되며, 제어부(210)는 기준 테이블에 기록된 시간과 수압에 대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급수 구동부(250)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을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센서(220)를 통해 세탁수가 기준량에 도달하는 시점을 파악하여 수압 산출에 적용한다. 여기서, 기준 테이블은 제조사 측에서 세탁물 처리기기를 설계하여 제조할 때, 메모리(270)에 기록한다.
제어부(210)는 급수 구동부(250)를 통해 세탁조(30)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을 참조하여 세탁조(30)로 분사되는 세탁수의 분사 시간을 결정한다. 세탁수의 분사 시간은 메모리(270)에 기록된 스프레이-타임 테이블에 기재된 시간을 가변하여 결정한다.
예컨대, 세탁조(30)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이 10% 감소하고, 그에 따라 세탁조(30)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시간이 10% 더 늦어진다면,
제어부(210)는 수압이 10% 감소한 만큼 세탁수가 세탁조(30)로 분사되는 시간을 10%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는 스프레이-타임 테이블에 기재된 분사시간을 10% 상향시켜 갱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제어부(210)는 갱신된 스프레이-타임 테이블을 이용하여 세탁조(30)에 세탁 수를 분사하고 세탁행정을 처리할 수 있다.
물론, 세탁수의 수압이 자주 변하는 지역에 세탁물 처리기기가 배치될 경우, 제어부(210)는 세탁물 처리 행정이 진행될 때마다 세탁수의 수압을 판단하고, 스프레이-타임 테이블을 갱신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10)는 세탁코스에 따라 IPM 드라이버(240)를 구동하여 세탁조(30), 또는 펄세이터(40)를 회전시키며, 세탁조(30), 또는 펄세이터(40)가 형성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한다. IPM 드라이버(240)는 모터(50)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로,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를 제어하여 모터(50)가 정 회전하거나, 역 회전하도록 한다.
제어부(210)가 IPM 드라이버(240)를 제어하여 모터(50)를 구동할 때, 정회전과 역회전을 교대로 반복되게 제어함으로써, 세탁조(30)나 펄세이터(40)가 정회전과 역회전을 교대로 반복시킬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세탁조(30)나 펄세이터(40)가 정회전과 역회전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IPM 드라이버(240)를 제어함으로써 세탁물에 대한 세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는 세탁조(30)나 펄세이터(4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세탁조(30) 내에서 상승 수류를 형성하고, 형성된 상승 수류를 이용하여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수와 세탁물이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설정된 세탁 코스에 의한 세탁행정이 처리되면, 제어부(210)는 배수 구동부(250)를 통해 배수 조절 밸브(85)와, 배수펌프(86)를 구동하여 세탁조(30)에 만충된 세탁수를 배출하고, 급수 구동부(260)를 통해 새로운 세탁 수를 세탁조(30)에 급수하며, 새로운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에 대해 탈수 행정을 수행한다.
도 5는 메모리에 마련되는 스프레이-타임 테이블의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프레이-타임 테이블은 세탁조(30)에 투입되는 세탁물의 량(kg)에 따라 10개의 수량 구간을 가지며, 각 구간에는 세탁물의 량과 세탁물을 향해 분사되는 세탁수의 분사 시간이 대응된다.
도 5에서, 제1수량구간은 0.3kg ∼ 1.3kg의 세탁물 량에 대응하는 수량 구간이고, 제1수량구간의 세탁수 분사시간은 80 sec로 설정된다. 만일 세탁조(30)에 1kg 정도의 세탁물이 투입되었다면, 제어부(210)는 세탁물에 80초 가량 세탁수를 분사한다.
도면에서, 제2수량구간은 1.6kg ∼ 2.6kg의 세탁물에 대응하며, 세탁수 분사시간은 제1수량구간과 마찬가지로 80초에 해당한다. 이는, 세탁물의 량이 유사한 수량 구간(예컨대 제1수량구간과 제2수량구간)에 대해 동일한 분사 시간을 적용하여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낮추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제1수량구간과 제2수량구간 각각에 대해 분사 시간을 별도로 적용할 수 있으며, 스프레이-타임 테이블도 각 수량구간에 따라 분사 시간을 별도로 정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수량 구간은 제1수량구간부터 제10수량 구간을 예시하고 있으나, 도 5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과 이해를 돕기 위한 참조일 뿐, 세탁조(30)에 투입되는 세탁수의 최대량에 따라 수량 구간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먼저, 제어부(210)는 세탁조(30), 또는 펄세이터(40)의 회전을 이용하여 세탁조(30)에 투입된 세탁물의 량을 감지한다. 세탁물의 중량이 적은 건포, 즉 건조한 상태의 세탁물일 경우 제어부(201)는 펄세이터(40)를 일 방향으로 약 200RPM으로 가속한 후, 가속된 세탁조가 감속하는 시간, 또는 감속하는 감속 기울기를 참조하여 판단한다. 이때, 세탁조(30)에 투입된 세탁물의 량이 적을 경우, 펄세이터(40)가 급 감소하고, 반대로, 세탁물의 량이 많을 경우, 감속되는 시간이 증가한다.
만일, 세탁물의 중량이 큰 습포, 즉 젖은 상태의 세탁물일 경우, 제어부(210)는 펄세이터(40) 대신 세탁조(30)를 40 - 60RPM으로 가속한 후, 세탁조(30)가 여력제동 할 때의 감속 기울기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량을 판단한다(S301).
제어부(210)는 건포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량을 감지하거나, 습포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건포를 먼저 감지한 후, 습포를 감지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량을 판단할 수도 있다. 만일 건포를 이용한 세탁물의 량을 감지하는 방법과 습포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량을 감지하는 방법을 모두 이용할 경우,
제어부(210)는, 건포에 대한 감지량과 습포에 대한 감지량에 대한 평균값을 세탁물의 량으로 판단하거나,건포에 대한 감지결과 세탁물의 량이 경량일 경우 건포에 대한 감지량으로 세탁물의 량을 결정하거나, 또는 건포에 대한 감지량이 미리 설정한 중량(예컨대 6Kg)을 벗어날 경우 습포에 대한 감지량을 세탁물에 대한 량으 로 결정할 수 있다(S302).
다음으로, 제어부(210)는 메모리(270)에 마련되는 스프레이-타임 테이블을 참조하여 세탁물의 량에 대응하는 수량구간과 분사 시간을 판단하며, 이때, 세탁조(30)에 투입해야할 기준량을 결정한다. 세탁조(30)에 투입할 기준량이 결정되면, 제어부(210)는 급수 구동부(250)를 제어하여 커버(150) 방향에 마련되는 분사구를 통해 세탁조(30)에 세탁수를 분사한다(S303). 다음으로, 제어부(210)는 세탁조(30)에 분사되는 세탁수가 기준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며(S304), 세탁수가 기준량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계수하고(S305), 메모리(270)에 마련되는 기준테이블을 참조하여 세탁수의 수압을 판단한다(S306).
다음으로, 제어부(210)는 세탁조(30)에 투입된 세탁물에 대해 세탁행정을 수행한다(S307). 세탁행정은 세탁조(30), 또는 펄세이터(40)를 회전시켜 세탁물에서 오물을 제거한다. 세탁행정 중 급수가 필요할 때, 제어부(210)는 앞서 산출된 세탁수의 수압을 참조하여 제1분사부(171), 또는 제2분사부(173)를 구동하여 세탁조(3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10)는 세탁물 처리기기가 헹굼 행정을 수행할 차례인지를 판단하고(S308), 헹굼 행정을 수행할 단계이면, 세탁물 처리기기로 제공되는 세탁수의 수압이 낮은지를 판단한다. 세탁수의 수압이 낮을 경우, 제어부(210)는 세제 박스(172)와 연결되는 제1분사부(171)를 구동하여 세탁조(30)에 세탁수를 공급한다(S310). 만일, 세탁수의 수압이 저압이 아닐 경우, 제어부(210)는 수압이 정상 수압인가를 판단한다(S311). 판단 결과, 수압이 정상 수압일 경우, 제어부(210)는 제2분사부(173)를 구동하여 내조(35)의 벽면, 또는 내조의 바닥면(35a) 방향으로 제트 스프레이 분사를 수행한다(S312). 수압이 정상 범위일 때, 제2분사부(173)가 세탁수를 세탁물에 분사하면, 노즐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제트 스프레이 분사를 통해 세탁물에 골고루 세탁수를 뿌릴 수 있다. 만일, 수압이 정상 범위가 아닐 때, 제어부(210)는 수압이 고 수압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13). 판단결과 수압이 고압이면 제어부(210)는 제2분사부(173)의 노즐에 의해 세탁수가 비산되지 않도록 세제 박스(172)와 연결되는 제1분사부(171), 및 노즐분사를 수행하는 제2분사부(173)를 함께 구동하여 세탁수를 세탁조(30)로 공급한다(S314).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전기기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1분사부와 제2분사부가 세탁수를 분사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
도 3은 도 1을 통해 설명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수압 판단 방법에 대한 참조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
도 5는 메모리에 마련되는 스프레이-타임 테이블의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Claims (12)

  1. 세탁수를 세탁조에 낙하하여 급수하는 제1 분사부, 및 상기 세탁수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에 공급되는 세탁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량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참조하여 상기 세탁수의 수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수압 범위를 초과할 때 상기 제1분사부와 상기 제2분사부를 함께 구동하는 제1분사패턴을 적용하여 상기 세탁조에 상기 세탁수를 제공하고, 상기 수압이 상기 기준수압 범위 미만일 때 상기 제1분사부를 구동하는 제2분사패턴을 적용하여 상기 세탁조에 상기 세탁수를 제공하고, 상기 수압이 상기 기준수압 범위일 때 상기 제2분사부를 구동하는 제3분사패턴을 적용하여 상기 세탁조에 상기 세탁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패턴은,
    상기 제1분사부를 통해 상기 세탁조에 상기 세탁수를 공급할 때,
    상기 세탁조에 고여있는 세탁수에 대해 배수를 함께 수행하는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부는,
    상기 세탁조의 벽면, 및 상기 세탁조의 바닥면 중 어느 일 면을 향해 상기 세탁수를 제트 스프레이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패턴, 상기 제2분사패턴 및 상기 제3분사패턴은,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한 헹굼 행정일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패턴, 상기 제2분사패턴 및 상기 제3분사패턴은,
    상기 세탁조에 상기 세탁수를 제공할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수로 상기 세탁조를 상기 기준량만큼 채우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세탁수의 수압에 대한 기준 테이블을 참조하여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량은,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의 량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10. 삭제
  11. 세탁수를 세탁조에 낙하하여 급수하는 제1 분사부;
    상기 세탁조에 상기 세탁수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 및
    세탁물의 량에 따라 결정되는 기준량의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에 채우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세탁수의 수압을 판단하며, 판단된 수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수압 범위를 초과할 때 상기 제1분사부와 상기 제2분사부를 함께 구동하는 제1분사패턴을 적용하고, 상기 수압이 상기 기준수압 범위 미만일 때 상기 제1분사부를 구동하는 제2분사패턴을 적용하고, 상기 수압이 상기 기준수압 범위일 때 상기 제2분사부를 구동하는 제3분사패턴을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2. 삭제
KR1020090118522A 2009-12-02 2009-12-02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12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522A KR101612802B1 (ko) 2009-12-02 2009-12-02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12/958,023 US8943628B2 (en) 2009-12-02 2010-12-01 Washing machin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522A KR101612802B1 (ko) 2009-12-02 2009-12-02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966A KR20110061966A (ko) 2011-06-10
KR101612802B1 true KR101612802B1 (ko) 2016-04-26

Family

ID=4406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522A KR101612802B1 (ko) 2009-12-02 2009-12-02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43628B2 (ko)
KR (1) KR101612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351098B2 (en) * 2014-01-29 2016-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washing water supply device
KR102443266B1 (ko) * 2016-04-22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6777A (ja) * 1995-01-31 1996-08-06 Sanyo Electric Co Ltd 全自動洗濯機
US6269666B1 (en) * 1999-06-22 2001-08-07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 for an automatic washer with spray pretreatment
US8505139B2 (en) * 2007-01-18 2013-08-1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daptive automatic laundry washer water f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966A (ko) 2011-06-10
US8943628B2 (en) 2015-02-03
US20110126358A1 (en)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9761B (zh) 洗衣机
EP3051016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drum type washing machine
EP2516714B1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KR101687544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EP3290561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KR10160267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072336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06750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770595A (zh) 具有洗涤水的流速计算的洗涤方法和洗衣机
JP2002119796A (ja) 洗濯機
KR10248786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1280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8665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20073577A (ko) 세탁기용 세제투입장치
JP2011115431A (ja) 洗濯機
CN114630933B (zh) 洗衣机以及洗衣机脱水控制方法
KR20110061969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032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3578704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KR101690617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61971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09922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