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599B1 -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 Google Patents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599B1
KR100625599B1 KR1020020043509A KR20020043509A KR100625599B1 KR 100625599 B1 KR100625599 B1 KR 100625599B1 KR 1020020043509 A KR1020020043509 A KR 1020020043509A KR 20020043509 A KR20020043509 A KR 20020043509A KR 100625599 B1 KR100625599 B1 KR 100625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container
washing machine
inlet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9526A (ko
Inventor
박찬우
박선우
표상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3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599B1/ko
Publication of KR20040009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3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lectrochemical cel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7Arrangements of water soften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급수된 물로 살균수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해 세탁물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내부의 물이 세탁조 쪽으로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된 저장용기와,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입구밸브와, 전기분해를 통해 은용액 살균수를 제조하도록 상기 저장용기 내의 물에 침수상태로 설치되며 서로 다른 극의 전원이 각각 연결되는 두개의 은판과, 상기 저장용기 내부를 구획하여 수위가 조절되도록 함과 동시에 정류작용을 하도록 상기 저장용기 내에 설치되는 하나이상의 칸막이를 포함하는 살균수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WASHING MACHINE HAVING SUPPLY DEVICE OF STERILIZATION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공급장치가 장착된 세탁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장착되는 급수장치와 살균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살균수 공급장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수조,
12: 세탁조, 13: 펄세이터,
20: 급수장치, 30: 살균수 공급장치,
31: 저장용기, 32: 입구,
33: 출구, 36: 입구밸브,
38: 제1칸막이, 39: 제2칸막이,
45: 방류구, 46: 방류배관,
50: 커버, 61,62: 은판.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살균을 위한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세탁기는 세탁조의 내부에 세탁물, 세제, 세탁수를 함께 투입한 후, 내부의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세탁수와 세탁물을 함께 교반시킴으로써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세탁행정 후에는 수회의 급수와 배수과정을 거치면서 세탁물을 헹구는 헹굼행정을 수행하고, 헹굼행정 후에는 세탁조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탈수행정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행정을 거치면서 세탁물의 때를 제거하고, 또한 헹굼행정을 거치면서 세탁물에 남아 있는 세제성분을 제거할 수 있게 되지만, 세탁이 종료된 후에도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균을 멸균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된 물로 살균수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해 세탁물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내부의 물이 세탁조 쪽으로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된 저장용기와,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입구밸브와, 전기분해를 통해 은용액 살균수를 제 조하도록 상기 저장용기 내의 물에 침수상태로 설치되며 서로 다른 극의 전원이 각각 연결되는 두개의 은판과, 상기 저장용기 내부를 구획하여 수위가 조절되도록 함과 동시에 정류작용을 하도록 상기 저장용기 내에 설치되는 하나이상의 칸막이를 포함하는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칸막이는 상기 저장용기 내부의 상기 입구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소정의 높이를 구비하는 제1칸막이와, 상기 저장용기 내부의 상기 출구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소정의 높이를 구비하는 제2칸막이를 포함하며, 상기 두 은판이 상기 제1칸막이와 상기 제2칸막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칸막이는 상기 출구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 내부를 하부로부터 소정높이까지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두 은판은 상기 입구와 상기 칸막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칸막이의 하부에는 잔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입구의 단면적보다 작은 잔수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칸막이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의 상기 저장용기 상부에는 상기 입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적정량 이상일 때 방류될 수 있도록 하는 방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류구에는 방류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방류배관의 출구가 세탁기의 배수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수의 담수를 위해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조(11)와, 수조(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탁조(12)를 구비한다.
또 세탁조(12)의 내부에는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것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하는 펄세이터(13)가 설치되고, 수조(11)의 하부에는 세탁조(12)와 펄세이터(13)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14)가 설치된다. 이 구동장치(14)는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구동모터(15)와, 구동모터(15)의 회전력을 펄세이터(13)와 세탁조(12)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하는 동력전달장치(16)와, 구동모터(15)와 동력전달장치(16)사이의 동력전달을 매개하는 벨트(17)로 구성된다.
또 본체케이스(10)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조(11)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외부급수관(21)과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22)로 된 급수장치(20)가 설치되고, 급수장치(20)를 통해 공급되는 물에 의해 세제를 용해시켜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세제용해장치(23)가 설치된다. 그리고 수조(11)의 하부에는 세탁종료 후 수조(11)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수관(25a)과 배수밸브(25b)로 된 배수장치(25)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급수장치(20)와 인접하는 본체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제조한 후, 이 살균수를 세탁조(12) 내부로 공급하여 세탁물을 살균하는 살균수 공급장치(30)를 구비한다.
살균수 공급장치(3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밸브(22)로부 터 공급되는 물이 그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32)와 내부의 물이 세탁조(12) 쪽으로 배출되는 출구(33)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저장용기(31)를 구비한다. 이때 입구(32)는 입구배관(34)을 통해 급수밸브(22)와 연결되고, 출구(33)에는 세탁조(12)의 상부 쪽으로 연장되는 출구배관(35)이 연결된다. 또 입구배관(34)의 중도에는 저장용기(31)로의 물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입구배관(34)을 개폐하는 입구밸브(36)가 설치된다.
또 저장용기(31)의 내부에는 저장용기(31)의 내부공간을 하부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구획하는 두 개의 칸막이(38,39)가 설치된다. 이때 제1칸막이(38)는 입구(32)와 인접하는 위치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고, 제2칸막이(39)는 출구(33)와 인접하는 위치에 역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어 제1칸막이(38)와 제2칸막이(39)의 사이에 늘 적정량의 물이 담수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저장용기(31)의 내부는 저장용기(31)의 입구(32) 측 내벽과 제1칸막이(38) 사이를 제1공간(41)이라 하고, 제1칸막이(38)와 제2칸막이(39) 사이를 제2공간(42)이라 하며, 제2칸막이(39)와 저장용기(31)의 출구(33) 측 내벽 사이를 제3공간(43)이라 한다.
이러한 구성은 입구(32)로부터 소정의 수압으로 토출되는 물이 제1공간(41)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유속이 완화되고 흐름이 안정화되는 정류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공간(41)의 물이 제1칸막이(38)를 넘어 제2공간(42)으로 흐르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2공간(42)으로 유입되는 물이 제2칸막이(39)를 넘어 제3공간(43)으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제2공간(42)에 적정량의 물이 담수되면서 일정한 유 속을 가진 상태로 제3공간(43)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2칸막이(39)를 넘어 제3공간(43)으로 유입되는 물이 출구(33)를 통해 세탁조(12)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제2공간(42)의 수위는 제2칸막이(39)의 높이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제1칸막이(38)와 제2칸막이(39)의 하부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용기(31) 내부로의 급수가 종료될 때 내부의 물이 출구(33) 쪽으로 완전히 배수될 수 있도록 저장용기(31)의 바닥판과의 사이에 잔수배출공(38a,39a)이 형성된다. 이때 잔수배출공(38a,39a)의 단면적은 입구(32)의 단면적보다 작도록 하여, 제1공간(41)과 제2공간(42)에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잔수배출공(38a,39a)을 통해 물이 흐르더라도 이물의 양이 입구(32)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양보다 적도록 하여 제1공간(41)과 제2공간(42)의 담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저장용기(31)에는 입구(32)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적정량 이상일 때 방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칸막이(38)와 제2칸막이(39)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방류구(45)가 형성되며, 이 방류구(45)에는 방류배관(46)이 연결된다. 그리고 방류배관(46)의 출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의 배수관(25a)과 연결된다.
또 저장용기(31)의 개방된 상부에는 저장용기(31)를 덮는 커버(50)가 설치되며, 이 커버(50)에는 저장용기(31)의 제2공간(42) 내부로 진입하여 제2공간(42)의 물에 침수되는 두개의 은판(61,62)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각 은판(61,62)의 상단에는 서로 다른 극의 직류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이 연결된다. 도 면에서 부호 51과 52는 두 은판(61,62)의 고정을 위해 커버(50)에 형성된 은판결합공이다. 이러한 구성은 저장용기(31)의 제2공간(42)에 침수된 두 은판(61,62)에 각각 양극(+)과 음극(-)의 직류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두 은판(61,62)과 물이 반응하는 전기분해를 통해 멸균성을 갖는 은용액 살균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세탁조(12)의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한 후 일반세탁코스를 선택하여 가동시키면, 급수밸브(22)가 열려 수조(11)의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된다. 또 급수되는 물은 세제용해장치(23)를 경유하면서 세제를 용해시켜 세제와 함께 수조(11) 내부로 공급된다.
이러한 급수동작과 아울러 사용자가 살균세탁코스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살균수 공급장치(30)의 입구밸브(36)가 열리면서 저장용기(31) 내부로 물 공급이 이루어지고, 살균수 공급장치(30)의 두 은판(61,62)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은용액 살균수가 제조되며, 이 은용액 살균수가 세탁조(12)의 내부로 공급되어 세탁물을 살균한다.
즉 저장용기(31)의 입구(3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저장용기(31)의 제1공간(41)에 먼저 채워지면서 유속과 흐름이 안정화되도록 정류되고, 제1공간(41)의 물이 제1칸막이(38)를 넘어 제2공간(42) 쪽으로 흐른다. 그리고 제1공간(41)을 지나 제2공간(42)으로 유입되는 물은 제2칸막이(39)의 높이에 상당하는 수위로 제2공간(42)에 채워지고, 제2공간(42)에 물이 채워진 후에는 제2칸막이(39)를 넘어 제3공간(43)을 흐르며, 출구(33)를 통해 세탁조(12)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제2공간(42)의 물은 일정량의 담수를 유지한 채 서서히 제3공간(43) 쪽으로 흐르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두 은판(61,62)과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은용액 살균수가 제조되고, 제조된 살균수가 출구(33)를 통해 세탁조(12)로 공급된다. 이러한 살균수 제조동작은 급수가 진행되는 동안 지속된다.
또한 살균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입구(32)로 공급되는 물이 많을 경우에는 저장용기(31) 내부의 물이 방류배관(46)을 통해 배수관(25a) 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저장용기(31)의 내부를 적정수위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항상 일정한 농도의 은용액 살균수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 살균수 제조동작이 종료될 때는 입구밸브(36)가 닫혀 저장용기(31)로의 물 공급이 중단됨과 동시에 두 은판(61,62)으로의 전원인가도 중단된다. 이때 내부에 잔존하는 물은 두 칸막이(38,39) 하부의 잔수배출공(38a,39a)을 통해 출구(33) 쪽으로 흘러서 완전히 배출된다.
수조(11)에 살균수를 포함하는 세탁수가 채워진 후에는 펄세이터(13)가 회전하면서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지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세균들이 살균수를 통해 멸균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는 급수동작과 아울러 은용액 살균수를 제조하여 세탁조 내부에 공급하기 때문에 세탁과정에서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균을 멸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저장용기 내부로 적정수위 이상의 물이 공급될 때 방류배관을 통해 방류될 뿐 아니라, 저장용기의 내부의 물이 칸 막이를 통해 적정수위를 유지한 채 정류된 상태로 흐르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농도의 살균수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세탁조 쪽으로 물이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된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 내부의 수위조절 및 물의 정류작용을 위해 상기 저장용기 내부의 입구 쪽과 출구 쪽에 각각 소정높이까지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칸막이와, 전기분해를 통해 은용액 살균수를 만들도록 상기 저장용기 내부의 상기 제1 및 제2칸막이 사이의 공간에 침수상태로 설치되며 서로 다른 극의 전원이 각각 연결되는 두개의 은판을 포함하는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들의 하부에는 잔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입구의 단면적보다 작은 잔수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들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의 상기 저장용기 상부에는 상기 입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적정량 이상일 때 방류될 수 있도록 하는 방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류구에는 방류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방류배관의 출구가 세탁기의 배수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20020043509A 2002-07-24 2002-07-24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0625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509A KR100625599B1 (ko) 2002-07-24 2002-07-24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509A KR100625599B1 (ko) 2002-07-24 2002-07-24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526A KR20040009526A (ko) 2004-01-31
KR100625599B1 true KR100625599B1 (ko) 2006-09-20

Family

ID=3731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509A KR100625599B1 (ko) 2002-07-24 2002-07-24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836B1 (ko) * 2003-12-09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은용액공급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EA029465B1 (ru) 2012-06-27 2018-03-30 М3С Холдингз Пти Лтд Комбинация усиливающего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и устройства выравнивания колонн
MY181363A (en) 2014-01-29 2020-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wash water supply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385A (ja) * 1990-07-12 1994-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オゾン水発生装置を設けた洗濯機
JP2000312798A (ja) * 1999-04-30 2000-11-14 Hokuetsu Giken Kogyo:Kk 電解装置付洗濯機
JP2001300190A (ja) * 2000-04-27 2001-10-30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KR20020012369A (ko) * 2000-08-07 2002-02-16 윤종용 은용액 제조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20012368A (ko) * 2000-08-07 2002-02-16 윤종용 세탁기의 살균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385A (ja) * 1990-07-12 1994-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オゾン水発生装置を設けた洗濯機
JP2000312798A (ja) * 1999-04-30 2000-11-14 Hokuetsu Giken Kogyo:Kk 電解装置付洗濯機
JP2001300190A (ja) * 2000-04-27 2001-10-30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KR20020012369A (ko) * 2000-08-07 2002-02-16 윤종용 은용액 제조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20012368A (ko) * 2000-08-07 2002-02-16 윤종용 세탁기의 살균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526A (ko)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7733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pump integrally formed with a filter
KR100531335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KR20090006659A (ko) 세탁기
TW201100601A (en) Washing machine
KR100384468B1 (ko) 세탁기의 살균수 공급장치
US5046337A (en) Clothes washer and dry cleaner
KR100625599B1 (ko)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BRPI0905459A2 (pt) método e máquina de lavar roupa provida de recirculação com vazão controlada
JP3629414B2 (ja) 電気洗濯機
KR100634799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176071B1 (ko)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KR100753449B1 (ko) 살균수 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0592542B1 (ko) 저욕비 염색기
JP2014223130A (ja) 洗濯機
KR20050095422A (ko) 자동 이온교환수지 재생이 가능한 연수 세탁기
JP3906721B2 (ja) 洗濯機
KR101176070B1 (ko)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KR100808260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20070071095A (ko) 드럼세탁기
KR100794346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JPS6243515Y2 (ko)
KR100191498B1 (ko) 액성조정세탁기 및 그 세탁방법
KR200301976Y1 (ko) 세탁기
KR100808262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20040090751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221

Effective date: 200607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