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663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663A
KR20150137663A KR1020140065919A KR20140065919A KR20150137663A KR 20150137663 A KR20150137663 A KR 20150137663A KR 1020140065919 A KR1020140065919 A KR 1020140065919A KR 20140065919 A KR20140065919 A KR 20140065919A KR 20150137663 A KR20150137663 A KR 20150137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uxiliary
discharge
unit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814B1 (ko
Inventor
김준호
김창용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40065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814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5736164.3A priority patent/EP2952623B1/en
Priority to CN201580000399.6A priority patent/CN105189846B/zh
Priority to TR2018/09532T priority patent/TR201809532T4/tr
Priority to PCT/KR2015/001506 priority patent/WO2015130046A1/ko
Priority to US14/736,804 priority patent/US9315934B2/en
Priority to US14/736,755 priority patent/US10287722B2/en
Publication of KR20150137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663A/ko
Priority to US16/365,112 priority patent/US10793986B2/en
Priority to US17/036,948 priority patent/US11453966B2/en
Priority to KR1020210044270A priority patent/KR102350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00Hand rubbing apparatus
    • D06F3/02Rubbing boar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회전조에 형성되는 메인세탁공간과는 별도로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세탁유닛을 갖고, 보조세탁공간과 메인세탁공간을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배출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독립적인 보조세탁이 가능하며, 세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세탁이 가능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저수하는 고정조와, 고정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펄세이터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고정조와 회전조에 의해 세탁공간을 형성하나, 양말, 흰옷 및 속옷등에 묻은 찌든 때를 별도로 세탁하는 공간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보조세탁을 위해 보조세탁공간을 갖는 보조세탁유닛을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세탁공간을 갖고,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개구에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보조세탁을 할 수 있도록 보조세탁공간을 갖고, 상기 도어의 내측에 배치되는 보조세탁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에서 상기 메인세탁공간으로 세탁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출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유닛몸체; 상기 유닛몸체상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세탁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보조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폐쇄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보조개구를 개방하는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배출도어; 상기 유닛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도어를 안내하는 도어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사이에서 상기 유닛몸체로부터 고정이 해제되는 고정해제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도어는, 도어몸체; 상기 도어몸체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홀더에 결합되는 슬라이더; 상기 도어몸체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유닛몸체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구성되는 구속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유닛몸체에 구속되고,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고정해제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유닛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홀더는, 홀더몸체; 상기 홀더몸체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딩레일로서,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고정해제위치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레일; 상기 홀더몸체가 상기 유닛몸체와 힌지결합하도록 상기 홀더몸체에 마련되는 홀더힌지로서,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고정해제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홀더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도어는, 도어몸체; 상기 도어몸체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홀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고정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유닛몸체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를 향해 구배지게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개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개구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유닛몸체의 단부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상기 개구상에 배치되는 폐쇄위치와,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도어가 회동하여 상기 보조세탁유닛에서 보조세탁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보조세탁위치와, 상기 개구를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회동하는 개방위치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유닛몸체의 상측단부에서, 인접한 상기 상측단부보다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보조세탁공간에서 세탁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보조배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개구는, 상기 배출어셈블리에 의해 개방시 상기 보조배수구의 너비가 확장되도록 상기 보조배수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개폐하는 배출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도어는, 그 도어내면과 도어외면이, 각각 상기 유닛몸체에서 상기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는 내면과, 상기 내면의 배면인 외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도어와 상기 유닛몸체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보조개구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배출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홀더는, 상기 한 쌍의 배출도어와 상기 유닛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배출도어가 상기 유닛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홀더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폐쇄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슬라이딩이동하여 상기 보조개구를 개방하는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배출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유닛몸체의 하부로 슬라이딩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도어는, 상면에 마련되는 이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유닛몸체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세탁공간을 갖고,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개구에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보조세탁을 위한 보조세탁공간을 갖는 보조세탁유닛으로서, 상기 보조세탁공간이 상기 메인세탁공간에 대해 폐쇄되도록 배치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보조세탁공간이 상기 메인세탁공간에 대해 개방되도록 배치되는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배출어셈블리를 갖는 보조세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유닛몸체; 상기 유닛몸체상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세탁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보조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폐쇄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보조개구를 개방하는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배출도어; 상기 유닛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도어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사이에서 상기 유닛몸체로부터 고정이 해제되는 고정해제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세탁공간을 갖고,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개구에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보조세탁을 할 수 있도록 보조세탁공간과, 상기 보조세탁공간과 상기 메인세탁공간을 연통하는 보조개구를 갖는 보조세탁유닛으로서, 상기 보조개구를 개폐하는 배출어셈블리를 갖는 보조세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폐쇄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슬라이딩이동하여 상기 보조개구를 개방하는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배출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유닛몸체의 하부로 슬라이딩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도어는, 상면에 마련되는 이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유닛몸체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보조세탁유닛을 갖추어 보조세탁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세탁방법과 독립적으로 보조세탁이 가능하여, 세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세탁유닛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보조세탁을 위한 보조세탁유닛의 작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어셈블리의 결합에 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8a, 8b, 8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9a, 9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하부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12a, 1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하부정면도.
도 13a는 도 12a의 Ⅰ-Ⅰ의 단면도.
도 13b는 도 12a의 Ⅱ-Ⅱ의 단면도.
도 14a, 14b, 1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하부사시도.
도 16a, 16b, 1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7, 18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하부정면도.
도 19은 도 19의 Ⅲ-Ⅲ의 단면도.
도 20a, 20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11)와, 고정조(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12)와, 회전조(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회전조(12)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24)가 형성된다. 개구(24)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설치된 도어어셈블리(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고정조(11)는 현가장치(15)에 의해 캐비닛(10)에 지지될 수 있다.
고정조(11)의 상부에는 고정조(11)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7)이 설치된다. 급수관(17)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고, 급수관(17)의 타측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된다. 급수관(17)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6)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고정조(11)의 내부로 공급된다. 급수관(17)에는 급수밸브(18)가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회전조(1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그 측면에는 다수의 탈수공(13)이 형성된다. 회전조(12)의 상부에는 고속 회전 시에 회전조(12)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밸런서(14)가 장착될 수 있다.
고정조(11)의 하측 외부에는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5)와, 모터(25)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절환장치(26)가 설치된다.
회전조(12)에는 중공형 탈수축(29)이 결합되고, 탈수축(29)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세탁축(27)은 세탁축결합부(28)를 통해 펄세이터(5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25)는 동력절환장치(26)의 승강 동작에 따라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동력절환장치(26)는 동력절환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30)와, 액추에이터(30)의 동작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로드부(31)와, 로드부(31)와 연결되어 로드부(31)의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클러치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조(12)의 바닥에는 고정조(12)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도록 배수구(20)가 형성되고, 배수구(20)에는 제 1 배수관(21)이 연결된다. 제 1 배수관(21)에는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22)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밸브(22)의 출구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수관(3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사시도이다.
개구(24)에는 도어어셈블리(100)가 마련된다.
도어어셈블리(100)는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0)는 캐비닛(10)의 일측에 마련되어, 개구(24)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도어(110)에는 도어(110)가 개구(24)를 폐쇄하는 상태에서도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부재(112)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세탁공간(120a)을 구비하여 별도의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공간(120a)은 고정조와 회전조에 의해 형성되는 메인세탁공간(11a)과 분리되어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은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서, 각각의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에서의 세탁은 별도로 진행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도어(110)의 내측에서 그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도어(110)의 회동축과 일치되도록 동일한 축을 가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과 도어(110)의 회동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바닥부(124)와 측면부(126)로 구성되는 유닛몸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의 보조세탁공간(120a)은 유닛몸체(122)에 의해 형성된다. 바닥부(124)는 보조세탁공간(120a)의 깊이를 결정짓는 요소로서, 바닥부(124)는 평평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부(126)는 바닥부(124)를 향해 구배되도록 형성되며, 바닥부(124)를 향해 구배지도록 형성된다.
바닥부(124)와 측면부(126)는 대략적으로 오목한 보조세탁공간(120a)을 갖도록 마련되어, 보조세탁공간(120a)에 세탁수를 받아 별도의 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마찰돌기(128)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돌기(128)는 유닛몸체(122)에 마련되며, 보조세탁이 용이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측면부(126)에 마련되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닛몸체(122)의 내면 구비되도록 구성되면 이를 만족한다. 마찰돌기(128)는 손세탁시 세탁물과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세탁물의 때가 잘 빠지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세탁유닛(120)의 내면에서 인접한 내면보다 볼록하게 형성된다. 마찰돌기(12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마찰돌기(128)의 형상과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배수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배수구(130)는 보조세탁공간(120a)에서 세탁된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마련된다. 보조배수구(130)는 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별도의 개폐부재를 갖고 보조세탁공간(120a)의 바닥부(124)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닛몸체(122)에서 측면부(126)에 마련된다. 보조배수구(130)는 보조세탁유닛(120)이 회동하는 경우, 보조세탁공간(120a)에 저수된 세탁수가 기울어져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배수구(130)는 유닛몸체(122)에서 인접한 유닛몸체(122)의 상단부(126a) 낮도록 형성되는 보조배수구(130)의 둘레(126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닛몸체(122)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에 보조배수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보조배수구(13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보조세탁유닛(120)을 기울였을 때, 보조세탁공간(120a)에 저수된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형상이면 이를 만족한다.
보조세탁유닛(120)은 안착플랜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플랜지(132)는 보조세탁유닛(120)의 상단에서 그 둘레를 따라 플랜지의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어, 캐비닛(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안착플랜지(132)는 유닛몸체(122)의 상단을 따라 플랜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개구(24)측의 내측면에는, 개구(24)의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안착부(24a)가 마련될 수 있다. 안착플랜지(132)는 안착부(24a)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안착플랜지(132)가 안착부(24a)에 안착됨으로서, 보조세탁유닛(120)이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으로의 급수를 위해 급수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160)는 급수관(162), 메인급수관(164), 보조급수관(166)과 전환유닛(168)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162)은 일단이 급수밸브(18)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162)은 급수밸브(18)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전환유닛(168)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메인세탁공간(11a)으로 급수를 위해 메인급수관(164)이 마련될 수 있다. 메인급수관(164)은 일단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의 보조세탁공간(120a)으로의 급수를 위해 보조급수관(166)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관(166)은 일단은 보조급수구(6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전환유닛(168)은 급수관(162)으로부터 전달되는 세탁수를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즉, 전환유닛(168)의 제어를 통해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세탁공간으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마련된다. 전환유닛(168)은 3방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이 전환유닛(168)을 사이에 두고 급수관(162)으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되나,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이 급수밸브(18)에 연결되어 급수밸브(18)의 제어를 통해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일단이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되는 메인급수관(164)과, 일단이 보조급수구(60)와 연결되는 보조급수관(166)의 각각의 타단이 급수밸브(18)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선택적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되나,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으로 동시에 급수되어도 무방하다.
보조급수구(60)는 보조급수관(166)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구(60)는 보조세탁유닛(120)으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도록 보조세탁유닛(12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구(60)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보조세탁유닛(1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급수구(60)에 대응하여 세탁수유입구(134)가 마련된다. 세탁수유입구(134)는 유닛몸체(122)에서 인접한 유닛몸체(122)의 상단부(126a)보다 낮도록 형성되는 유입구둘레(126c)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닛몸체(122)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에 세탁수유입구(13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세탁수유입구(13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보조급수구(60)를 통해 세탁수가 유입시에 유닛몸체(122)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보조세탁공간(120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형상이면 이를 만족한다.
보조세탁유닛(120)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은 ABS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손빨래에 필요한 내충격성과 강성등을 갖춘 재질이면 이를 만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어셈블리의 결합에 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은 각각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110)는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회동축(140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40a)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에 대해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된다.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40a)은 동일한 축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40a)가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110)는 도어회동축(114a)을 따라 캐비닛(10)에 마련되는 도어회동부(110a)에 의해 캐비닛(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회동부(140)에 의해 도어(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회동부(110a)는 캐비닛(10)에서 도어(110)가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회동축(114a)방향으로 돌기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어(110)에는 수용부(114)가 마련되고, 도어회동부(110a)가 수용부(114)에 삽입됨으로서, 도어(11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110)의 외측면에서 도어(110)가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회동축(114a)방향으로 돌기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회동부(110a)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도어(11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면 이를 만족한다.
도어(110)는 보조회동부(140)가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110)의 일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부(116)가 마련되고, 삽입부(116)에는 보조세탁유닛(120)이 보조회동축(140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보조회동축(140a)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회동돌기(118)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에는 회동돌기(118)에 대응하여 회동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40a)이 일치하도록 보조회동부(140)가 도어(110)의 일부에 삽입되어 회동하게 마련된다.
그러나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회동하는 형상이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개구(24)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보조회동부(140)는 유닛몸체(122)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보조회동축(140a)이 유닛몸체(122)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보조세탁유닛(120)의 회전반경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보조세탁유닛(120)의 회전시 유닛몸체(122)가 도어(110)나 캐비닛(10)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100)는 핸들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150)는 도어(110)에 구비되는 도어핸들부(152)와, 보조세탁유닛(120)에 구비되는 보조핸들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는 일측에 마련되는 도어회동축(114a)에 대응하여 도어(110)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보조핸들부(154)는 일측에 마련되는 보조회동축(140a)에 대응하여 보조세탁유닛(120)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와 보조핸들부(154)는 상호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와 보조핸들부(154)는 각각 도어(110)의 전면과, 보조세탁유닛(120)의 전면에 마련되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핸들부(152)의 동작으로 도어(110)를 회동시킬 수 있고, 보조핸들부(154)의 동작으로 보조세탁유닛(120)만을 회동시키거나, 보조세탁유닛(120)과 도어(110)를 함께 회동시킬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100)의 전면에 대해 도어핸들부(152)는 제 1 길이(L1) 형성되고, 보조핸들부(154)는 제 1 길이(L1)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 길이(L2)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를 동작하면 도어(110)가 회동하고, 도어(110)가 개방된 경우 보조핸들부(154)를 동작하면 보조세탁유닛(120)을 회동시킬 수 있다. 도어(110)가 닫힌 경우 보조핸들부(154)를 동작하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함께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의 무게를 고려하여 제 2 길이(L2)은 제 1 길이(L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핸들부(154)는 도어핸들부(15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a, 8b, 8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어어셈블리(100)는 폐쇄위치(CP)와, 보조세탁위치(SP)와, 개방위치(OP)를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폐쇄위치(CP)는 도어어셈블리(100)가 개구(24)를 폐쇄하도록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개구(24)상에 배치되어, 개구(24)를 막도록 마련되는 위치이다. 보조세탁위치(SP)는 도어어셈블리(100)가 폐쇄위치(CP)로부터 도어(110)가 회동하여 보조세탁유닛(120)에서 보조세탁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위치이다. 개방위치(OP)는 도어어셈블리(100)가 개구(24)를 개방하도록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폐쇄위치(CP) 또는 보조세탁위치(SP)로부터 회동하는 위치이다.
도어핸들부(152)의 동작에 의해 도어어셈블리(100)는 폐쇄위치(CP)와 보조세탁위치(SP)를 이동하게 되고, 보조핸들부(154)의 동작에 의해 도어어셈블리(100)는 폐쇄위치(CP)와 개방위치(OP)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a, 9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어어셈블리(100)가 보조세탁위치(SP)에서 보조세탁을 마치고 난 뒤, 세탁수는 보조배수구(130)를 통해 메인세탁공간(11a) 또는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자세하게는 도어어셈블리(100)가 보조세탁위치(SP)에 있을 때, 보조세탁유닛(120)의 위치를 제 1 위치(P1)라 하면, 보조세탁유닛(120)은 제 1 위치(P1)와, 보조세탁공간(120a)에 있는 세탁수가 보조배수구(130)를 통해 메인세탁공간(11a) 또는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보조세탁유닛(120)이 제 1 위치(P1)로부터 회동한 제 2 위치(P2)를 회동하게 마련된다. 제 2 위치(P2)는 보조세탁유닛(120)이 보조회동축(140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보조세탁공간(120a)에 있는 세탁수가 보조배수구(130)를 통해 배출되도록 기울어지는 위치를 말한다. 제 2 위치(P2)는 제 1 위치(P1)와, 도어어셈블리(100)가 개방위치(OP)에 있을 때 보조세탁유닛(120)의 위치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배수구(130)는 인접한 측면부(126)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되므로, 세탁수가 측면부(126)의 상단부를 넘어 흘러넘치지 않도록 기울여도 충분히 보조배수구(130)를 통해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하부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배출어셈블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세탁공간(120a)으로부터 메인세탁공간(11a)으로 세탁물 또는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120b)가 마련된다. 배출어셈블리(170)는 배출구(120b)를 개폐가능하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보조세탁공간(120a)의 세탁물 또는 세탁수를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배출구(120b)는 보조세탁공간(120a)을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닛몸체(1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부(124)와 측면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출구(120b)는 적어도 일부가 바닥부(124)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구(120b)가 바닥부(124)로부터 형성되어, 배출어셈블리(170)를 통해 세탁물 또는 세탁수가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시에 보조세탁공간(120a)의 세탁물 또는 세탁수가 남아있지 않고,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할 수 있다.
배출구(120b)는 바닥부(124)로부터 유닛몸체(122)의 상단부(126a)까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20b)가 바닥부(124)로부터 유닛몸체(122)의 상단부(126a)까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보조세탁공간(120a)의 세탁물 또는 세탁수를 쉽게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구(120b)는 유닛몸체(122)의 상단부(126a)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배수구(130)를 형성하는 보조배수구(130)의 둘레(126b)까지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조세탁공간(120a)의 세탁물이나 세탁수를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하기 위해 별도로 꺼낸 뒤 다시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넣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배출구(120b)가 형성되는 크기는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제 2 실시예에서의 배출구(120b)와 같이 유닛몸체(122)의 단부까지 형성되지 않고, 유닛몸체(122)상에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배출구(120b)는 배출어셈블리(17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술한 보조배수구(130)의 영역을 확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배출구(120b)는 보조배수구(130)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보조배수구(130)는 배출구(120b)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100)가 보조세탁위치(SP)에 있을 때, 보조세탁유닛(120)을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를 회동하도록 하여 보조세탁공간(120a)의 세탁수를 메인세탁공간(11a) 또는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구(120b)는 보조배수구(130)의 너비 혹은 영역이 확장되도록 하여, 보조세탁유닛(120)이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를 회동하지 않아도 보조세탁공간(120a)의 세탁물 또는 세탁수가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2a, 1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하부정면도이고, 도 13a는 도 12a의 Ⅰ-Ⅰ의 단면도, 도 13b는 도 12a의 Ⅱ-Ⅱ의 단면도이다.
배출어셈블리(170)는 상술한 배출구(120b)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배출어셈블리(170)는 배출도어(172)와, 배출도어(172)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도어홀더(18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도어(172)는 배출구(120b)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배출도어(17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배출구(120b)와 일치하도록 마련되어 배출구(120b)를 폐쇄시에 보조세탁유닛(120)의 내측으로 보조세탁공간(120a)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도어(172)는 배출구(120b)의 넓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배출구(120b)의 넓이가 최소일 때와 배출구(120b)의 넓이가 최대일 때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출도어(172)가 동작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배출도어(172)는 배출구(120b)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구(120b)의 넓이가 최소일 때는 배출구(120b)가 배출도어(172)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의미하고, 배출구(120b)의 넓이가 최대 일 때는 배출구(120b)가 배출도어(172)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배출도어(172)는 유닛몸체(122)와 함께 사출된 후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배출도어(172)는 유닛몸체(122)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배출구(120b)의 넓이가 최소일 때, 배출도어(172)의 내면인 도어내면(174a)은 유닛몸체(122)의 보조세탁공간(120a)을 형성하는 내면(122a)으로부터 연장되는 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20b)의 넓이가 최소일 때는 배출구(120b)가 배출도어(172)에 의해 폐쇄되는 상태이므로, 배출도어(172)의 도어내면(174a)과 유닛몸체(122)의 내면(122a)이 일치하는 상태가 된다.
자세하게는 배출도어(172)의 내측면, 외측면인 도어내면(174a)과 도어외면(174b)은, 각각 유닛몸체(122)의 보조세탁공간(120a)을 형성하는 내면(122a)과, 내면(122a)의 배면인 외면(122b)으로부터 연장되는 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도어(172)는 유닛몸체(122)와 함께 제조된 뒤에 절단등의 공정을 통해 분리되므로, 배출도어(172)와 유닛몸체(122)가 단차를 가지지 않고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도어(172)는 배출구(120b)를 폐쇄하는 제 1 위치(DP1)와, 배출구(120b)를 개방하는 제 2 위치(DP2)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에 있는 경우에는, 배출도어(172)가 유닛몸체(122)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배출도어(172)가 제 2 위치(DP2)에 있는 경우에는 배출도어(172)가 배출구(120b)의 개방을 위해 유닛몸체(122)에 대한 고정이 해제된다. 즉, 배출도어(172)는 제 1 위치(DP1)에서 제 2 위치(DP2)로의 이동시, 제 1 위치(DP1)와 제 2 위치(DP2) 사이에서 유닛몸체(122)로부터 고정이 해제되는 고정해제위치(FD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도어(172)의 제 1 위치(DP1)와 고정해제위치(FDP)사이의 이동방향은 세탁기(1)의 전후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동방향을 제 1 방향(DW1)이라 정의하고, 이와 수직한 세탁기(1)의 상하방향을 제 2 방향(DW2)이라 정의한다.
배출도어(172)는 도어몸체(174)와, 슬라이더(176)와, 구속부재(178)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몸체(174)는 배출구(120b)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에 배치될 시에 배출구(120b)를 폐쇄하도록 마련된다.
슬라이더(176)는 도어몸체(174)의 일단에 마련되어 도어홀더(180)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슬라이더(176)는 후술하는 도어홀더(180)의 슬라이딩레일(18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176)는 도어몸체(17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레일(184)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와 고정해제위치(FDP)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슬라이더(176)는 도어몸체(174)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슬라이더몸체(176a)와, 슬라이더몸체(176a)상에서 유닛몸체(122)와 나란한 방향으로 플랜지형상으로 형성되는 레일구속부(176b)와, 레일구속부(176b)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결합홈(176d)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구속부(176b)는 슬라이더몸체(176a)상에서 상호간에 이격되어 한 쌍이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레일구속부(176b)의 사이에는 슬라이딩레일(184)의 이동가이드부(185)가 삽입되는 가이드공간(176c)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홈(176d)은 슬라이더(176)의 이동을 통해 후술하는 슬라이딩레일(184)의 제 1 결합부(186a) 또는 제 2 결합부(186b)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속부재(178)는 배출도어(172)의 단부가 유닛몸체(122)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속부재(178)는 도어몸체(174)의 타단에 마련되어 도어몸체(174)의 타단이 유닛몸체(122)에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에 있을 때, 구속부재(178)는 도어몸체(174)의 타단이 유닛몸체(122)에 구속되도록 마련되고, 배출도어(172)가 고정해제위치(FDP)에 있을 때, 구속부재(178)는 도어몸체(174)의 타단이 유닛몸체(122)로부터 이탈되어, 배출도어(172)가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속부재(178)는 도어몸체(174)의 타단에서 'ㄷ'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구속부재(178)는 일면이 개방된 삽입구(178a)를 가지며,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에 있을 때는 삽입구(178a)에 유닛몸체(122)의 단부가 삽입되고, 배출도어(172)가 고정해제위치(FDP)에 있을 때는 구속부재(178)가 유닛몸체(122)의 단부로부터 이탈되도록 마련된다.
도어홀더(180)는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와, 고정해제위치(FDP)와, 제 2 위치(DP2)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출도어(172)의 이동을 안내한다.
도어홀더(180)는 홀더몸체(182)와, 슬라이딩레일(184)과, 홀더힌지(187)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몸체(182)는 후술하는 홀더힌지(18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레일(184)은 슬라이더(176)가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와 고정해제위치(FDP)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슬라이딩레일(184)은 홀더몸체(182)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레일(184)은 한 쌍이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레일(184)은 상술한 가이드공간(176c)에 삽입되며, 슬라이더(176)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185)는 한 쌍의 레일구속부(176b)사이에 마련되는 가이드공간(176c)에 삽입되어 슬라이더(176)의 이동을 가이드함에 따라, 슬라이더(176)의 이동을 전후방향인 제 1 방향(DW1)으로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즉, 슬라이더(176)가 제 1 방향(DW1)에 수직한 상하방향인 제 2 방향(DW2)으로 슬라이딩레일(18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슬라이딩레일(184)의 내측에는 상술한 슬라이더(176)의 한 쌍의 결합홈(176d)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결합부(186)가 마련된다. 한 쌍의 결합부(186)는 이동가이드의 상하로 배치되어, 한 쌍의 레일구속부(176b)를 구속하므로 슬라이더(176)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결합부(186)는 제 1 결합부(186a)와, 제 1 결합부(186a)로부터 이격되는 제 2 결합부(186b)를 포함한다. 결합부(186)는 슬라이딩레일(184)의 내측에서 돌출되는 형상을 갖고, 상술한 슬라이더(176)의 결합홈(176d)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슬라이더(176)의 결합홈(176d)은 제 1 결합부(186a)와 제 2 결합부(186b)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에 위치한 경우에 슬라이더(176)의 결합홈(176d)은 제 1 결합부(186a)에 결합되고, 배출도어(172)가 고정해제위치(FDP) 또는 제 2 위치(DP2)에 위치한 경우에 슬라이더(176)의 결합홈(176d)은 제 2 결합부(186b)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한 쌍의 슬라이딩레일(184)은 홀더몸체(182)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어, 슬라이더(176)가 제 1 결합부(186a)와 제 2 결합부(186b)간을 이동하는 경우 상호간에 벌어져서 슬라이더(176)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슬라이더(176)는 슬라이딩이동을 통해 제 1 결합부(186a) 또는 제 2 결합부(186b)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홀더힌지(187)는 홀더몸체(182)상에 마련되어, 홀더몸체(182)가 유닛몸체(122)의 힌지부(123)와 회전샤프트(187a)에 의한 힌지결합하도록 마련된다. 홀더힌지(187)는 유닛몸체(122)에 대해 도어홀더(180)가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홀더힌지(187)는 배출도어(172)를 고정해제위치(FDP)와 제 2 위치(DP2)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배출어셈블리(17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4a, 14b, 1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120)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14a를 참고하면,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에 위치한 경우에는, 도어몸체(174)의 일단은 도어홀더(180)에 의해 구속되고, 도어몸체(174)의 타단은 구속부재(178)에 의해 구속되어 배출구(120b)를 폐쇄하는 상태가 된다.
보조세탁공간(120a)에서의 보조세탁이 끝난 후, 보조세탁공간(120a) 내부의 세탁물과 세탁수를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하기 위해 배출도어(172)를 고정해제위치(FDP)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4b를 참고하여, 배출도어(172)를 제 1 방향(DW1)으로 이동시켜, 제 1 위치(DP1)에서 고정해제위치(FDP)로 이동시키면, 배출도어(172)의 슬라이더(176)는 슬라이딩레일(184)에서 제 1 결합부(186a)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제 2 결합부(186b)에 안착하게 된다. 이와 함께 배출도어(172)의 구속부재(178)는 유닛몸체(122)로부터 이탈되면서, 도어몸체(174)의 타단의 구속이 해제되고, 도어홀더(180)에 의해 회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도 14c에서 볼 수 있듯이 배출도어(172)의 타단이 구속이 해제되면서, 배출도어(172)는 도어홀더(180)에 의해 회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배출도어(172)는 고정해제위치(FDP)로부터 제 2 위치(DP2)로 회동하게 되면서 배출구(120b)가 개방되고, 보조세탁공간(120a) 내부의 세탁물과 세탁수가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배출도어(172)가 제 1 위치(DP1)와, 고정해제위치(FDP)와, 제 2 위치(DP2)를 이동하도록 설명하였다. 그러나 배출도어(172)의 고정해제위치(FDP)를 생략하고, 도어홀더(180)가 배출도어(172)를 제 1 위치(DP1)와 제 2 위치(DP2)사이를 회동하도록 배출도어(172)를 회동지지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출도어(172)가 보조세탁유닛(1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배출도어(172)의 배치방향과 배출도어(172)의 제 1 위치(DP1)와 고정해제위치(FDP)사이의 이동방향인 제 1 방향(DW1)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배출어셈블리(270)의 구성을 달리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220)의 하부사시도이다.
보조세탁유닛(220)은 배출어셈블리(27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220)은 보조세탁공간(220a)으로부터 메인세탁공간(11a)으로 세탁물 또는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보조개구(220b)가 마련된다. 배출어셈블리(270)는 보조개구(220b)를 개폐가능하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보조세탁공간(220a)의 세탁물 또는 세탁수를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유닛몸체(2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부(224)와 측면부(2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조개구(220b)는 적어도 일부가 바닥부(224)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개구(220b)가 바닥부(224)로부터 형성되어, 배출어셈블리(270)를 통해 세탁물 또는 세탁수가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시에 보조세탁공간(220a)의 세탁물 또는 세탁수가 남아있지 않고,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할 수 있다.
배출어셈블리(270)는 배출도어(272)와, 배출도어(272)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도어홀더(280)를 포함한다.
배출도어(272)는 보조개구(220b)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배출도어(27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보조개구(220b)와 일치하도록 마련되어 보조개구(220b)를 폐쇄시에 보조세탁유닛(220)의 내측으로 보조세탁공간(220a)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도어(272)는 보조개구(220b)를 폐쇄하는 제 1 위치(DP1)와, 제 1 위치(DP1)로부터 회동하여 보조개구(220b)를 개방하는 제 2 위치(DP2)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도어(272)는 보조개구(220b)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도어(272)는 임의로 제 2 위치(DP2)로 회동하지 않도록 제 1 위치(DP1)에서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도어(272)에 고정장치(미도시)를 별도로 장착하여도 되고, 배출도어(272)가 유닛몸체(222) 또는 도어홀더(280)사이에서 세탁물과 세탁수의 자중을 견디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며, 그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어홀더(280)는 홀더힌지(287)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힌지(287)는 한 쌍의 배출도어(272)와 유닛몸체(222) 사이에 마련되어 한 쌍의 배출도어(272)가 유닛몸체(22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홀더힌지(287)는 배출도어(272)의 회동을 위해, 배출도어(272)의 배면에 고정되어 유닛몸체(222)에 대해 회동결합될 수 있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배출어셈블리(27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6a, 16b, 1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220)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16a를 참고하면, 배출도어(272)가 제 1 위치(DP1)에 위치한 경우에는, 배출도어(272)는 보조개구(220b)를 폐쇄하여 보조세탁공간(220a)에서 보조세탁이 가능하도록 위치한다.
보조세탁공간(220a)에서의 보조세탁이 끝난 후, 보조세탁공간(220a) 내부의 세탁물과 세탁수를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하기 위해 배출도어(272)를 제 1 위치(DP1)에서 제 2 위치(DP2)로 회동시킬 수 있다.
도 16b와 16c를 참고하면, 배출도어(272)가 제 2 위치(DP2)로 회동하면서 보조개구(220b)는 개방되고, 보조세탁공간(220a)내부의 세탁물과 세탁수는 보조세탁공간(220a)의 하부에 배치되는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이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배출어셈블리(370)의 구성을 달리한다.
도 17, 18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의 하부정면도, 도 19은 도 18의 Ⅲ-Ⅲ의 단면도이다.
보조세탁유닛(320)은 배출어셈블리(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320)은 보조세탁공간(320a)으로부터 메인세탁공간(11a)으로 세탁물 또는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보조개구(320b)가 마련된다. 배출어셈블리(370)는 보조개구(320b)를 개폐가능하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보조세탁공간(320a)의 세탁물 또는 세탁수를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유닛몸체(3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부(324)와 측면부(3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조개구(320b)는 적어도 일부가 바닥부(324)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개구(320b)가 바닥부(324)로부터 형성되어, 배출어셈블리(370)를 통해 세탁물 또는 세탁수가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시에 보조세탁공간(320a)의 세탁물 또는 세탁수가 남아있지 않고,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할 수 있다.
배출어셈블리(370)는 배출도어(372)와, 배출도어(372)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도어레일(380)을 포함한다.
배출도어(372)는 보조개구(320b)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배출도어(37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보조개구(320b)와 일치하도록 마련되어 보조개구(320b)를 폐쇄시에 보조세탁유닛(320)의 내측으로 보조세탁공간(320a)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도어(372)는 보조개구(320b)를 폐쇄하는 제 1 위치(DP1)와, 제 1 위치(DP1)로부터 회동하여 보조개구(320b)를 개방하는 제 2 위치(DP2)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배출도어(372)는 제 1 위치(DP1)에서 제 2 위치(DP2)로 슬라이딩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도어(372)는 도어몸체(374)와, 도어몸체(374)의 상면에 마련되는 이동홈(376)을 포함한다. 배출도어(372)는 이동홈(376)에 후술하는 도어레일(380)이 삽입되어, 배출도어(372)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출도어(372)는 보조세탁유닛(320)의 후방에서 보조세탁유닛(320)의 전후방향인 제 1 방향(DW1)으로 이동하게 되나, 배출도어(372)의 진행방향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홈(376)은 배출도어(372)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므로, 이동홈(376)은 제 1 방향(DW1)을 따라 도어몸체(374)의 상부에서 오목하게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어레일(380)은 배출도어(372)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도어레일(380)은 보조세탁유닛(320)에서 보조세탁공간(320a)을 이루는 내면의 배면인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레일(380)은 배출도어(372)의 진행방향인 제 1 방향(DW1)으로 보조세탁유닛(32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홈(376)과 도어레일(380)은 각각 한 쌍이 마련되나, 그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어레일(380)은 도어레일몸체(382)와 도어레일플랜지(38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레일몸체(382)는 보조세탁유닛(320)의 외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도록 형성되며, 도어레일플랜지(384)는 도어레일몸체(382)의 단부로부터 보조세탁유닛(320)과 나란한 방향으로 플랜지형상을 갖고 마련될 수 있다. 이동홈(376)은 도어레일몸체(382)에 대응되는 제 1 이동홈(376)과, 도어레일플랜지(384)에 대응되며 제 1 이동홈(376a)보다 홈의 너비가 넓은 제 2 이동홈(376b)을 포함한다. 도어레일몸체(382)보다 폭이 넓은 도어레일플랜지(384)는, 제 1 이동홈(376a)보다 홈의 너비가 넓은 제 2 이동홈(376b)에 삽입되어 제 1 이동홈(376a)을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배출도어(372)가 도어레일(380)을 따라 이동시에, 배출도어(372)가 도어레일(38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배출어셈블리(37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0a, 20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320)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20a를 참고하면, 배출도어(372)가 제 1 위치(DP1)에 위치한 경우에는, 배출도어(372)는 보조개구(320b)를 폐쇄하여 보조세탁공간(320a)에서 보조세탁이 가능하도록 위치한다.
보조세탁공간(320a)에서의 보조세탁이 끝난 후, 보조세탁공간(320a) 내부의 세탁물과 세탁수를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배출하기 위해 배출도어(372)를 제 1 위치(DP1)에서 제 2 위치(DP2)로 슬라이딩이동시킬 수 있다.
도 20b를 참고하면, 배출도어(372)는 도어레일(380)을 따라 제 1 위치(DP1)에서 제 2 위치(DP2)로 이동하게 된다. 제 1 이동홈(376a)에는 도어레일몸체(382)가 삽입되고, 제 2 이동홈(376b)에는 도어레일플랜지(384)가 삽입되어, 배출도어(372)의 이동이 가이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보조개구(320b)는 개방되고, 보조세탁공간(320a)내부의 세탁물과 세탁수는 보조세탁공간(320a)의 하부에 배치되는 메인세탁공간(11a)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탁기 10 : 캐비닛
11 : 고정조 11a : 메인세탁공간
12 : 회전조 16 : 세제공급장치
18 : 급수밸브 24a : 안착부
60 : 보조급수구
100 : 도어어셈블리 110 : 도어
110a : 도어회동부
112 : 투명부재 114 : 수용부
114a : 도어회동축 116 : 삽입부
118 : 회동돌기 120 : 보조세탁유닛
120a : 보조세탁공간 122 : 유닛몸체
124 : 바닥부 126 : 측면부
128 : 마찰돌기 130 : 보조배수구
132 : 안착플랜지 134 : 세탁수유입구
140 : 보조회동부 140a : 보조회동축
142 : 회동홀
150 : 핸들부 152 : 도어핸들부
154 : 보조핸들부 160 : 급수장치
162 : 급수관 162 : 급수관
164 : 메인급수관 166 : 보조급수관
168 : 전환유닛 170 : 배출어셈블리
172 : 배출도어 180 : 도어홀더
P1 : 제 1 위치 P2 : 제 2 위치
L1 : 제 1 길이 L2 : 제 2 길이
CP : 폐쇄위치 SP : 보조세탁위치
OP : 개방위치

Claims (25)

  1.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세탁공간을 갖고,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세탁유닛을 갖고, 상기 개구에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세탁물을 상기 보조세탁공간을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유닛몸체;
    상기 배출구의 넓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배출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도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도어를 안내하는 도어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도어는,
    도어몸체;
    상기 도어몸체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홀더에 결합되는 슬라이더;
    상기 도어몸체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유닛몸체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구성되는 구속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홀더는,
    홀더몸체;
    상기 홀더몸체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딩레일;
    상기 홀더몸체가 상기 유닛몸체와 힌지결합하도록 상기 홀더몸체에 마련되는 홀더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 2 위치를 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고정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몸체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를 향해 구배지게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유닛몸체의 단부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보조세탁공간을 덮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에서 세탁된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상기 유닛몸체의 상측단부에서 인접한 상기 상측단부보다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보조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배출구의 넓이가 최소일 때,
    상기 배출도어의 내면이, 상기 유닛몸체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배출구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개방되는 한 쌍의 배출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홀더는,
    상기 한 쌍의 배출도어와 상기 유닛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배출도어가 상기 유닛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홀더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유닛몸체의 하부로 슬라이딩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배출도어의 이동을 위해 구성되는 이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몸체는,
    상기 배출도어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이동홈에 대응되는 도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세탁공간을 갖고,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개구에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보조세탁을 위한 보조세탁공간을 갖는 보조세탁유닛으로서, 상기 보조세탁공간이 상기 메인세탁공간에 대해 폐쇄되도록 배치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보조세탁공간이 상기 메인세탁공간에 대해 개방되도록 배치되는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배출어셈블리를 갖는 보조세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상기 보조세탁공간을 덮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유닛몸체;
    상기 유닛몸체상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세탁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보조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폐쇄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보조개구를 개방하는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배출도어;
    상기 유닛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도어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도어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사이에서 상기 유닛몸체로부터 고정이 해제되는 고정해제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세탁공간을 갖고,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개구에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보조세탁을 할 수 있도록 보조세탁공간과, 상기 보조세탁공간과 상기 메인세탁공간을 연통하는 보조개구를 갖는 보조세탁유닛으로서, 상기 보조개구를 개폐하는 배출어셈블리를 갖는 보조세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상기 보조세탁공간을 덮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보조개구를 폐쇄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슬라이딩이동하여 상기 보조개구를 개방하는 제 2 위치를 이동하는 배출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유닛몸체의 하부로 슬라이딩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도어는,
    상면에 마련되는 이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어셈블리는,
    상기 유닛몸체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40065919A 2014-02-28 2014-05-30 세탁기 KR102238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19A KR102238814B1 (ko) 2014-05-30 2014-05-30 세탁기
CN201580000399.6A CN105189846B (zh) 2014-02-28 2015-02-13 洗衣机
TR2018/09532T TR201809532T4 (tr) 2014-02-28 2015-02-13 Çamaşır makinesi.
PCT/KR2015/001506 WO2015130046A1 (ko) 2014-02-28 2015-02-13 세탁기
EP15736164.3A EP2952623B1 (en) 2014-02-28 2015-02-13 Washing machine
US14/736,804 US9315934B2 (en) 2014-02-28 2015-06-11 Washing machine
US14/736,755 US10287722B2 (en) 2014-02-28 2015-06-11 Washing machine
US16/365,112 US10793986B2 (en) 2014-02-28 2019-03-26 Washing machine
US17/036,948 US11453966B2 (en) 2014-02-28 2020-09-29 Washing machine
KR1020210044270A KR102350183B1 (ko) 2014-05-30 2021-04-05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19A KR102238814B1 (ko) 2014-05-30 2014-05-30 세탁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514A Division KR101543566B1 (ko) 2015-04-01 2015-04-01 세탁기
KR1020210044270A Division KR102350183B1 (ko) 2014-05-30 2021-04-05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663A true KR20150137663A (ko) 2015-12-09
KR102238814B1 KR102238814B1 (ko) 2021-04-09

Family

ID=5487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919A KR102238814B1 (ko) 2014-02-28 2014-05-30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797A1 (ko) * 2017-02-23 2018-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037A (ko) * 1997-08-12 1999-03-05 윤종용 세탁기의 보조 세탁장치
KR19990030944U (ko) * 1997-12-30 1999-07-26 전주범 세탁기의 도어 개폐장치
JP2006192279A (ja) * 2005-01-14 2006-07-27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超音波クリーニング装置を有する繊維製品の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037A (ko) * 1997-08-12 1999-03-05 윤종용 세탁기의 보조 세탁장치
KR19990030944U (ko) * 1997-12-30 1999-07-26 전주범 세탁기의 도어 개폐장치
JP2006192279A (ja) * 2005-01-14 2006-07-27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超音波クリーニング装置を有する繊維製品の処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797A1 (ko) * 2017-02-23 2018-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80097299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EP3569756A4 (en) * 2017-02-23 2019-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1248330B2 (en) 2017-02-23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814B1 (ko)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2623B1 (en) Washing machine
KR101698387B1 (ko) 세탁기와 세탁수공급장치
US11365508B2 (en) Washing machine having a manual washing unit
KR101543566B1 (ko) 세탁기
KR20170068069A (ko) 급수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20150137663A (ko) 세탁기
KR102350183B1 (ko) 세탁기
KR102363550B1 (ko) 세탁기
KR102229351B1 (ko) 세탁기
KR20150051855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