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514A - 유체 세정 방법 및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세정 방법 및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1514A
KR20150091514A KR1020157017912A KR20157017912A KR20150091514A KR 20150091514 A KR20150091514 A KR 20150091514A KR 1020157017912 A KR1020157017912 A KR 1020157017912A KR 20157017912 A KR20157017912 A KR 20157017912A KR 20150091514 A KR20150091514 A KR 20150091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ow
fluid
channels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6547B1 (ko
Inventor
슈테판 치켈리
미하엘 롱인
프리드리히 에커
클라우스 바이딩어
Original Assignee
아우로테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로테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우로테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91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29C47/6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Filters or screens for the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Filters or screens for the moulding material
    • B29C48/691Arrangements for replacing filters, e.g. with two parallel filters for alternate use
    • B29C48/6914Arrangements for replacing filters, e.g. with two parallel filters for alternate use the filters being fitted on a rotatable or pivotable disc or on the circumference of a rotatable or pivotable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입구(19)와 하나 이상의 출구(21)를 갖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서로 실질적으로 대칭되게 마주하여(symmetrically opposite) 배열되는 2 이상의 필터(28)들을 갖춘 하나 이상의 통로(25)를 갖는 슬라이딩 수단(12)을 포함하는 유체 세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1)의 입구(19)로부터 시작하여, 유체는 통로(25)에서 필터(28)들 상에 대칭으로 유동하고, 통로(25)에서 필터(28)들의 하류는 하우징(11)의 출구로 지향되며, 통로(25)를 통해 유동하지 않는 유체의 일부는 슬라이드 기구(12)와 하우징(11) 사이에서 갭(29)의 유체 역학적 버퍼(hydrodynamic buffer)를 형성하며, 상기 통로(25)는 출구(21)의 2 이상의 대칭하여 마주하는 서브 채널(16, 17)들 내로 유입하며, 4 이상의 플러싱 유동들은 통로(25)의 2 이상의 입구 마우스(30)들 및 2 이상의 출구 마우스(31)들 사이 갭(29)에서 생성된다.

Description

유체 세정 방법 및 여과 장치 {METHOD FOR CLEANING A FLUID AND FILTER DEVICE}
본 발명은 단순한 유지보수 및 필터 교체를 위한 기구들을 갖는 유체의 정화 방법 및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여과 장치들은, 본질적으로 오염되고 여과된 유체를 위한 입구 및 출구를 각각 갖는 하우징, 하우징에 변위가능하게 수용된 필터 캐리어 본체 및 필터 캐리어 본체에 위치된 필터를 포함한다. 필터가 막힌다면, 필터는 교체 또는 세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필터 캐리어 본체는, 예컨대, 필터 캐리어 본체의 입구가 폐쇄되고,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캐리어 본체의 영역이 세정을 위해서 접근가능한 위치에 도달하도록 하우징에서 변위된다. 나중에, 필터 캐리어 본체는 그의 초기 위치 내로 역으로 다시 변위된다.
플라스틱 용융물들을 위한 필터 교체 시스템들은, 특허 공보 EP 0 314 024 A2 및 DE 195 00 060 C에서 설명되며, 각각 2 개의 장착된 필터들을 가지며 슬라이드 상에 위치되는 챔버들은 역류(back flow) 채널들을 통해 필터의 여과 및 백 플러싱(back flushing)을 위한 위치들 사이에서 변한다. 특별한 통로들 및 긴 채널이 슬라이드의 각각의 위치에서 반응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에서 요구된다. 이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들의 형성 및 더 어려운 슬라이드의 안내를 유발할 수 있다. 열적으로 불안정한 유체들이 여과되는 경우에, 바람직하지 않거나 유해한 분해 생성물들의 형성과 함께 여기서 분해(decomposition)가 발생할 수 있다.
WO 92/16351은 출구 위치와 입구 위치 사이에서 필터 블록을 변위시킴으로써 필터의 선택적인 백 플러싱을 위한 단순한 시스템을 설명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EP 0 314 024 A2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병렬식(parallel) 추가 여과를 가능케 하는 필터 교체 위치가 결여되어 있다.
WO 98/22198 A1은 2 개의 부품들로 분할되는 하우징을 갖는 여과 시스템을 도시하며, 여기서 2 개의 하우징 부품들은, 필터가 하우징 부품들 사이에서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한 위치 내로 피스톤의 변위에 의해 오게 될 수 있도록 서로로부터 멀리 이격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그리고 또한 백 플러싱 위치에서는, 그러나 병렬식 추가 여과는 가능하지 않다. 피스톤과 2 개의 하우징 부품들 사이에서, 스피닝 화합물은 총 3 개의 환상 갭들을 통해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일정하게 배출된다. WO 98/22198 A1에 따르면, 이에 따라, 플러싱 유동은 입구 및 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플러싱이 입구 유동으로부터 그리고 외부로의 직접적인 출구 유동으로부터 나오는 누설 유동들에 의해 야기된다.
DE 94 18 880 U1은 백 플러싱에 의한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필터는 백 플러싱을 목적으로 필터의 적절한 측면 상에서 지지 시브 상에 장착된다.
DE 195 19 907 A1은 시브(sieve) 교체 시스템을 설명하고, 여기서 각각 하나의 시브를 갖는 2 개의 입구 채널들은 수렴하며, 유동 방향으로 함께 어느 한쪽으로 작동되거나, 여기서 입구는 백 플러싱을 위한 출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EP 0 922 558 A1은 예컨대 NMMO-셀룰로오스 용액들과 같은 점성 스피닝 화합물들을 여과하는 장치를 설명하며, 여기서 시브 캐리어 본체는 하우징에 변위가능하게 장착되며, 여기서 갭이 상기 캐리어 본체와 그의 가이드 사이에 제공되고, 시브 캐리어 본체는 스페이서들의 필요 없이 여과된 스피닝 화합물들의 압력에 의해 부유(floating) 위치에서 유지된다.
필적할만한 장치가 또한 WO 02/16113 A2에 도시되며, 여기서 각각 2 개의 시브 배열체들을 갖는 2 개의 캐리어 본체들은 대응하는 하우징에 제공되어, 유효 시브 면적이 4 개의 시브 배열체들 전체 중 단지 하나의 재생 중 단지 25%만큼 감소된다.
EP 0 781 356 B1은 수성의 3차 산화 아민(aqueous tertiary amine oxide)에서 셀룰로오스 용액을 이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용액의 신뢰가능한 이송은 낮은 유량들을 갖는 지점들에 개구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되며, 이 개구로부터 주 유동에 의해 다시 합쳐지지 않고 용액의 일부를 개방한다. 유동을 개선하기 위해서 누설이 의식적으로(consciously) 허용된다.
EP 0 915 729 B1은 스페이서들을 갖는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 스페이서들은 전술된 EP 0 922 558 A1에서 회피된다. 이러한 2 개의 특허 명세서들은 공통으로 많은 스피닝 용액들, 이를테면 NMM0- 셀룰로오스 용액들이 슬라이딩 또는 회전 요소들의 가이드들에 침전물들을 유발하며, 이 침전물들은 생성물 품질에 손상을 입히는 부식물 또는 다른 부산물들을 형성한다는 사실을 갖는다. 데드 스페이스를 회피하는 것 대신에, 갭들이 의도적으로 형성되고, 이 갭들은 정기적으로 플러싱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장치의 문제점은, 누출, 즉 스피닝 용액의 손실이며; 갭 내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은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안정한 유체들에 적합하며 데드 스페이스 침전물들을 회피하여 어떠한 부식성 분해 생성물들도 발생하지 않으며 게다가 의도적으로 제공되는 누출들이 회피되는 여과 시스템을 입수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갭에서 부식성 침전물들의 형성을 회피하기 위해서, 가능한 일정한 갭 폭, 그리고 이에 따라 전체 갭 구역에서 본질적으로 균일한 유동 저항 및 균일하게 분배되는 유량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문제는 청구항들의 주요 요지들에 의해 해결된다.
특히, 본 발명은 여과 장치에 의한 유체 정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여과 장치는 하나 이상의 입구와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서로 본질적으로 대칭되게 마주하여(symmetrically opposite) 배열되는 2 이상의 필터들을 갖춘 하나 이상의 관류 채널을 갖는 슬라이딩 수단 또는 슬라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입구로부터 나오는 유체는 관류 채널에서 필터들에 대항하여 대칭으로 유동하고, 관류 채널에서 필터들 다음에 하우징의 출구로 이송되며, 관류 채널을 통해 유동하지 않는 유체의 일부는 슬라이딩 수단과 하우징 사이에서 갭 내로 침투하며, 또는 갭을 통해 유동하며, 그리고 이에 의해 유체 역학적 버퍼(hydrodynamic buffer)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여과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대칭 유입(inflow) 및 유출(outflow) 상황을 성취하며 이는 유체역학적 버퍼의 형성에 기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정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입구와 하나 이상의 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서로 대칭되게 마주하여 배열되는 2 이상의 필터들을 갖춘 하나 이상의 관류 채널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수단 또는 슬라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의 일부의 통과를 위한 갭이 하우징과 슬라이딩 수단 사이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특별하고 바람직한 양태들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마찬가지로 방법(여기서, 장치가 사용됨) 및 장치(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에 관련한다.
본 발명 중에, 이전의 여과 배열체들은 슬라이드 상에서 침전물들을 향하는 경향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고 있다. 또한, 예컨대 EP 0 922 558 A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 부품들 사이 갭들이 그 자체로 이러한 문제를 위해서 제공될 수 있음이 또한 공지된다. 하류 채널의 일방향 형태(one-sided formation)에 의해 야기되는 시브 캐리어 본체 상의 비대칭(asymmetrical)적인 힘 적용의 결과로서, 슬라이드는 하류 측에 대향하는 하우징 가이드 표면 상으로 가압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WO 02/16113 A2에 도시된 장치에 동일한 것이 적용되며, 즉 캐리어 본체의 상류 및/또는 하류의 대칭 유동이 상기 공보에 도시되지 않으며, 하우징에서 입구 및 출구 채널들의 비대칭 배열 때문에,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에 의해 성취될 수 있는 힘의 평형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드의 전체 원주에 걸쳐 대략 일정한 폭을 갖는 환상 갭에는, 2 개의 장치들 중 하나가 형성될 수 없다. 하류 측에 대향하여 놓이는 슬라이드 표면의 영역에서, 존재하지 않거나 약간 존재하는 유동 때문에 각각의 경우에 석회 침전물(encrustation) 및 침전물들의 우려가 계속해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문제는 하우징의 출구의 2 이상의 대칭되게 마주하는 서브 채널들 내로 유동하는 슬라이드 내의 관류 채널에 의해서 해결되고 있으며, 여기서 4 이상의 플러싱 유동들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관류 채널의 2 이상의 출구 마우스들과 2 이상의 입구 마우스들 사이 갭에서 생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배되는 2 또는 그 초과의 입구 서브 채널들 그리고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배되는 2 또는 그 초과의 출구 서브 채널들이 하우징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서브 채널들은 슬라이드의 관류 위치에서 슬라이드의 대응하는 입구 및 출구 마우스들에 각각의 경우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슬라이드 상에서 대칭적인 힘의 적용, 그리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의 유체역학적 센터링이 성취된다. 입구 서브 채널들로부터 나오는 유동 압력은, 가장 바람직한 경우에 양측면들로부터 균등하게 작용하여, 힘 평형이 설정되며, 이는 하우징의 내벽에 대향하여 슬라이드의 마찰을 최소화하며 플로팅 베어링을 완벽하게 촉진시킨다. 이러한 조치의 결과로서, 슬라이드의 원주 상에 균일한 갭 형태가 필터의 각각의 작동 상태에서 생성되며, 매우 낮거나 사라진 유량을 갖는 데드 존들이 방지되어, 침전물들 및 석회침전물이 전체 표면 상에서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대칭되게 마주하는(symmetrically opposing)"과 같은 요소들 또는 부품들의 대칭 또는 특성화는 본원에서 의도된 그의 의미에서는, 이러한 연결에서, 하나 이상의 대칭 축에 대해서 요소들의 배열이 경면 대칭(mirror-symmetrical) 또는 회전 대칭이며,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대칭 축들을 갖는 다중 대칭들 또는 배열들이 또한 이에 내포되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대칭은 슬라이딩 수단의 길이를 따라 대칭 축과 관련한다. 궁극적으로, 필터들 및 서브 채널들의 배열에 의해 성취되는 힘의 평형이 결정적인 요인(decisive factor)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열은, 2, 3, 4, 또는 그 초과의 필터들 및 서브 채널들에 의해 성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입구 서브 채널들, 출구 서브 채널들 및 필터들의 개수는 통상적으로 동등하다. 당업자는, 또한 외견상 비대칭인 배열체들의 힘 평형이 또한 필터 및 서브 채널 횡단면들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생성될 수 있음을 상기로부터 즉시 알 수 있다. 이러한 배열체들 모두는, 등가의 수단에 의해 본원에서 분명히 설명된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한다.
이미 공지된 실시예들의 특징은, 하우징과 슬라이드 사이에서 갭으로부터 외부로, 즉, 하우징의 단부 또는 슬라이드의 단부에 의해 규정되는 갭의 외부 단부를 통해, 그리고 배수구(brain) 또는 출구(outlet)를 통하지 않는 누출 유동의 배출이다. 누출 유동은, 유체의 주 유동과 다시 합쳐지는 것이 아니라 추가의 생산 단계들을 위해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손실된다. 이는, 반드시 슬라이드의 길이 방향 또는 변위 방향으로 발생하며, 여기서 불균일한 유량들이 슬라이드의 원주에 걸쳐 반드시 발생하는데, 이는 누출 유동은 슬라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입구 채널 및 출구 채널로부터 직접 우선적으로 유동하기 때문이다. 채널들 사이 구역들(원주 방향에서 봄)에서, 플러시되지 않거나 단지 불충분하게 플러시되며 이에 따라 침전물들 및 석회 침전물이 발생하는 존(zone)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상의 힘의 대칭적인 적용 그리고, 이에 따라 유리하게는 슬라이드의 전체 원주에 걸쳐 발생하는 본질적으로 일정한 갭 폭에 추가하여, 슬라이드 또는 하우징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지 않는 하우징과 슬라이드 사이 갭에 의해 외부로의 누출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신에, 예컨대 갭이 밀봉 요소들에 의해 외측방으로 슬라이드의 변위 방향이 제한됨으로써 모든 플러싱 유동들이 하우징의 출구로 이송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상기 방법이 개선될 수 있다. 하우징 밖으로 슬라이드가 돌출하는 하우징의 단부들은,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한 유밀하게(fluid-tight)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단부들에서 순수하게 기계적으로 생성된 시일(seal)은 금속 시일, 연질 재료 시일 또는 스터핑 박스(stuffing box) 시일에 의해 성취될 수 있거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공지된 다른 조치들이 취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에서, 바람직하게는 금속 밀봉 요소들이 밀봉 수단과 하우징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밀봉 요소들은 슬라이딩 방향으로 다른 연속적인 갭을 외측방으로 제한한다. 예컨대, 밀봉 요소들은 관류 채널의 중앙 평면에 평행한 2 또는 그 초과의 평면들, 즉 관류 채널들의 마우스들 전부의 공간들의 합이 최소인 평면 또는 (마우스들의 중심점들이 평면에 있다면) 마우스 중심점들을 통해 이어진 평면에서 관류 채널의 양측면들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슬라이드가 복수 개의 관류 채널들을 포함한다면, 관류 채널들 사이의 밀봉 요소들은 가능하게는 필요 없을 수 있다(dispensed with). 밀봉 요소들이 배치되는 2 또는 그 초과의 평면들은,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서 오프셋 된다.
슬라이드 외부측 갭에서의 플러싱 유동(flushing flow)들에 관하여, 상기 플러싱 유동들의 유량은 관류 채널에서의 필터들에 대하여 유량이 본질적으로 동일하며/동일하거나 0.02 내지 0.60 cm/s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40 cm/s에 있다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갭의 설계에 기초하여, 필터를 통한 더 높은 압력 손실로 인해서 압력이 높은 처리율(throughput rate)들에서 필터의 상류에서 증가하기 때문에, 유압식 버퍼(hydraulic buffer)에서의 압력 강하(drop)는 또한 더 높아지고 관류들의 양이 더 많아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기 갭 폭이, 갭의 체적(㎣) 및 슬라이딩 수단의 필터 면적들(㎟)의 합(sum)의 몫(quotient)이 0.5 mm 내지 3 mm 사이 값을 갖도록 선택된다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미리 설정된(preset) 필터 및 슬라이드 치수들에 의해, 이 값(또한, "폴리머 버퍼 팩터"라 함)은 충분한 유량(침전물들의 회피를 위함)과 또한 유체의 충분한 정화(즉, 여과되지 않은 갭을 통해 통과하는 유체가 소량임) 사이의 특히 바람직한 절충을 성취하는 갭 폭들의 범위를 규정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한 플러싱 횡단면은 0.2% 내지 1.5% 사이 값을 갖도록 갭 폭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데, 여기서 특정 플러싱 횡단면은, 갭 횡단면(㎟)을, 슬라이딩 수단의 필터 면적(㎟)들의 합으로 나눈 몫으로 (독립적인) 플러싱 유동들의 개수를 곱한 값, 즉 플러싱 유동들의 유동 방향 또는 변위 방향에 수직한 갭의 길이를 곱한 갭 폭으로서 규정된다.
유리한 안정성 및 이와 동시에 충분한 유량을 갖는 유체역학 베어링을 성취하기 위해서, 갭에서 유체 막의 길이 대 높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수단의 직경으로 나눈, 진동 범위의 길이의 2배가 부가된 변위 방향 또는 플러싱 유동들의 유동 방향에 수직한 갭의 길이의 몫이 0.6 내지 3 사이 범위에 놓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가능한 균일한 플러싱 유동들을 얻기 위해서, 슬라이딩 수단은 본질적으로 플러싱 유동들의 유동 방향에 수직하게 또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플러싱 유동 분배의 편차를 위해서 변위될 수 있다. 이미 논의된 바와 같이,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장치들의 경우에, 유체 침전물들은 유체와 직접 접촉하게 되어 응고 분해 생성물들이 발생하는 슬라이딩 수단 또는 하우징의 표면들 상에서 주로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문제는 상기 논의된 유형의 장치의 세정을 위한 방법에 의해 해결되며, 여기서 슬라이딩 수단 또는 슬라이드는 세정을 목적으로 하는 관류 채널에 본질적으로 수직하게 변위된다. 변위는, 슬라이드와 하우징 사이의 갭에 존재하는 유체가 갭 벽들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이동하도록 유발되어, 유동 압력의 작용 하에 갭에서 플러싱 유체 유동을 발생시킨다는 이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이는 슬라이드 또는 슬라이드 수단이 원통형이라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경우에, 하우징과 슬라이드 사이에 제공된 갭은, 유체 유동을 방해하고 유체 침전물들의 침전을 촉진시키는 어떠한 코너들 또는 에지들을 갖지 않는다. 게다가, 원통형 형상은, 유체 상의 압력 하에 균일하게 부유하는 슬라이드의 베어링(유체역학적 베어링)에 특히 적합한데, 이는 갭에서의 유체 유동이 이에 따라 항상 슬라이드의 표면에 접선방향으로(tangential) 이어지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의 변위 축에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들을 위한 적용 면적들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별개로, 원통형 슬라이딩 수단은, 플러싱 유동 분배의 편차를 위해서, 변위에 추가로 또는 변위에 대안으로 하우징에 대해 특히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아주 일반적으로, 플러싱 유동 분배의 편차는, 슬라이드의 형상에 독립적인 회전에 의해 성취되며, 여기서 1°내지 30°에 걸친 회전들, 특히 바람직하게는 5°내지 15°에 걸친 회전들이 바람직하게 실행될 수 있다.
데드 스페이스들을 회피하기 위해서, 이러한 방법의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 수단의 변위 및/또는 회전은, 관류, 입구 및 출구 채널들의 마우스들의 높이 또는 폭보다 더 작아서, 관류 채널에서의 유체 유동이 변위 또는 회전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다면 더 유리하다. 비교적 작은 변위 및/또는 회전에도 불구하고, 세정 효과는 변위 축을 따라 또는 변위 축 둘레에 관류 위치로부터 나오는 양쪽 방향들에서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변위 및/또는 회전에 의해서 개선될 수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이 하우징에서 스윙하거나 진동한다.
유체 침전물들은 슬라이딩 수단의 진동 운동에 의해, 특히 국부적인 압력 차이들로 인한 마우스들의 에지들에서의 유체 유동들에 의해 매우 효율적으로 휩쓸려지고(carried away) 제거될 수 있다. 해당 세정 프로세스에 의해, 설명된 진동 운동은 바람직하게는 양쪽 방향들로 적어도 2 회, 4 회, 10 회 또는 20 회 실행될 수 있다. 게다가, 플러싱 유동은 슬라이드의 일정한 진동 스트로크 및/또는 회전 이동들에 의해 보다 균일해진다.
유체 유동의 중단 없이 본질적으로 필터들의 백 플러싱을 가능케 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슬라이딩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고 슬라이드의 변위 축에 본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2 이상의 관류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고, 슬라이딩 수단은 입구에 대해 완벽하게 변위되도록 관류 채널들 중 하나를 위해 백 플러싱 중 아주 충분히 멀게 변위되며, 이에 따라 폐쇄되지만 출구와 여전히 연통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연통"은, 갭을 통한 유체 유동을 고려하지 않고 관련 개구들, 예컨대 입구, 관류 및 출구 채널들 사이 유동의 직접적인 흐름을 허용한다.
슬라이드에서 삽입되는 필터의 백 플러싱이 상당한 누출 없이 실행될 수 있도록, 백 플러싱 채널이 하우징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백 플러싱 채널은 슬라이드가 백 플러싱 위치 내로 변위될 때 2 개의 관류 채널들 중 하나의 채널과 연통한다. 특히, 입구에 대해 완벽하게 변위되며 이에 따라 폐쇄된 관류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에서 백 플러싱 채널과 입구 측에서 연통할 수 있으며, 이 관류 채널에 배치된 필터들은 출구로부터 백 플러싱 채널로의 유체의 역전된 유동에 의해 백 플러싱되며, 즉 작동 방향에 대향하여 지향된다. 이에 따라, 백 플러싱 중, 유체는 관류 채널로부터 백 플러싱 채널 내로 필터를 통해 작동하는 관류 방향에 대항하여 통과한다. 백 플러싱 위치에서, 백 플러싱 채널과 연통하는 관류 채널이 출구 서브 채널과 타단부에서 연통한다면, 출구 서브 채널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차례로 입구와 연통하는 다른 관류 채널과 연통하며, 유체 유동은 입구와 연통하는 관류 채널에 의해 유리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백 플러싱 채널이 입구 측 상에 배치된 관류 채널의 마우스와 연통하기 때문에, 백 플러싱 채널은 가장 바람직한 경우에, 본질적으로 입구 서브 채널들과의 평면에 놓인다.
예컨대, 필터의 만족스러운 세정이 백 플러싱에 의해 성취될 수 없다면, 이는 슬라이딩 수단이 필터 교체 위치 내로 변위되고, 예컨대 입구에 대한 관류 채널의 마우스에 의해 형성되는 관류 채널의 필터 마운트가 하우징 외부측에 완벽하게 배치되어 상기 필터 마운트에 장착된 필터가 제거 및 교체될 수 있다면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유체 유동(상기 설명된 가능성들 중 하나에 따라 슬라이딩 수단의 적당한 구성을 가짐)은 하우징 및 그의 필터에 유지하는 관류 채널을 통해 연속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딩 수단은, 또한 완전 세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슬라이드의 하나의 반부(하부 반부)는 하나의 필터(예컨대, 하부 필터)가 변화될 때 세정되고, 슬라이드의 다른 반부(상부 반부)는 다른 필터(예컨대, 상부 필터)가 변화될 때 세정된다.
슬라이드 또는 슬라이딩 수단에 배치된 필터들은 바람직하게는 마운트 내로 삽입된다. 필터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즉 필터가 단지 소정 위치까지 도입될 수 있도록 마운트가 입구 측 상에 구성된다면, 예컨대, 상기 위치 뒤의 마운트가 필터 치수들에 대해서 테이퍼지기 때문에, 필터는 유동 압력에 의해서 마운트에 유지된다. 필터는, 유체로부터 미립자 불순물들을 분리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분리 장치, 특히 시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 수단의 각각의 관류 채널은, 출구(그리고 또한 입구)의 그 자체의 서브 채널 내로 도입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동 중, 백 플러싱 위치 중 그리고 시브 또는 필터 교체 중 소망하는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구성이 발견될 수 있다.
백 플러싱 위치에서 소망하는 유체 유동을 유지하기 위해서, 출구로부터 2 개의 관류 채널들의 마우스들 사이 거리는 출구의 하나 이상의 서브 채널,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서브 채널의 높이보다 더 작다. 서브 채널의 높이에 비해서 마우스들 사이에 더 작은 거리의 결과로서, 관류 채널들의 2 개의 마우스들은 백 플러싱 위치에서 연통할 수 있으며, 즉 서브 채널들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중심에 배치된 마우스로부터 나오는 유체는 외측방에 변위되는 제 2 마우스 내로 제 2 마우스에 더 근접한 서브 채널을 통해서 진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류 방향에 대항하여 거기에 배치된 필터의 백 플러싱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출구의 2 개의 서브 채널들의 마우스들 사이 거리가 출구에 대해, 하나 이상의 관류 채널, 바람직하게는 2 개의 관류 채널들의 마우스의 높이보다 더 작다면 특히 유리한데, 이는 왜냐하면 이 경우에, 중심에 배치된 마우스로부터 나가는 유체는 제 2 마우스로부터 더 멀리 있는 출구의 서브 채널 내로 동시에 나갈 수 있어서, 유체 유동 또한 이 서브 채널 내에서 침체되지 않는다.
마우스 높이와 마우스 공간들의 적절한 매칭, 이와 동시에 서브 채널들 및 관류 채널들의 이와는 다르게 본질적으로 동일한 라인 또는 채널 직경의 보유는 하우징 측 또는 슬라이딩 수단 측 상에서 폭넓은 부분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수단에 대한 출구의 서브 채널의 하나 이상의 마우스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성취될 수 있다.
입구의 2 개의 서브 채널들의 마우스들 사이 거리가 입구에 대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관류 채널의 마우스의 높이보다 더 작다면, 유체 유동은 입구의 서브 채널들에서 그리고 변위된 백 플러싱 위치 양자 모두에서 유지될 수 있고, 여기서 관류 채널들 중 하나의 채널의 마우스는 입구의 서브 채널들에 대해서 완벽하게 변위되어, 어떠한 유체도 각각의 관류 채널 내로 관류 또는 여과 방향으로 진입할 수 없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체는 여과 방향으로 유지하는 관류 채널 개구를 통해 입구의 2 개의 서브 채널들로부터 통과할 수 있다. 입구의 2 개의 서브 채널들에서 유지되는 유체 유동을 갖는 변위된 관류 채널의 폐쇄(closure)는, 입구의 2 개의 서브 채널들의 마우스들 사이 거리와 변위된 관류 채널 측 상에 배치된 서브 채널의 마우스의 높이의 합이 입구에 대한 관류 채널들의 마우스들 사이 거리와 개방 관류 채널의 마우스의 높이의 합보다 더 작을 때 특히 성취될 수 있다.
출구 측 상에서의 매칭에 대한 필적할 만한 방식으로, 슬라이딩 수단에 대한 입구의 서브 채널들의 마우스들이 하우징 측 상에 또는 슬라이딩 수단 측 상에 폭넓은 부분을 포함한다면, 마우스 높이들 및 공간들의 적절한 구성을 위해서, 서브 채널들 및 관류 채널들의 이와는 다르게 본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보유하는 것이 여기서 또한, 유리하다.
상기 언급된 문제와는 관계없이, 작동 중, 백 플러싱 위치 중 그리고 시브 또는 필터 교체중 유체 유동을 허용하고 그리고 이와 동시에 받아들일 수 없는 유체 누출 또는 받아들일 수 없는 유체 손실을 회피하는 것이 본 발명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는, 상기 방법 및/또는 장치들의 전술된 본 발명의 특징들과 조합할 뿐만 아니라, 유체의 정화를 위한 여과 장치에 의해서 후자와 관계없이 해결되며, 이는, 하나 이상의 입구와 하나 이상의 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삽입가능한 필터를 위한 마운트를 각각 갖는 하나 이상의 제 1 및 제 2 관류 채널을 포함하는 슬라이드를 포함하고, 슬라이드의 관류 위치에서, 하우징 입구는 슬라이드의 제 1 및 제각기 제 2 관류 채널 내로 하나 이상의 제 1 및 제 2 서브 채널을 통해 유동하며, 제 1 및 제 2 관류 채널은 각각의 경우에 출구의 제 1 및 제 2 서브 채널 내로 유동하고, 입구와 출구의 서브 채널들 사이 구역에서 하우징과 슬라이드 사이에 갭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하우징 및/또는 슬라이딩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철을 함유한(ferrous)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금속 합금들 또는 이로부터 용해된 금속 이온들은 폭발 반응들을 포함하는 화학 반응들을 위한 촉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속들이 사용될 때, 셧오프(shut off) 요소에서의 데드 스페이스들 및 침전물들의 본 발명의 회피가 이러한 반응들을 방지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하우징 및/또는 슬라이딩 수단은 다양한 재료들, 이를 테면, 강, 특수강, 세라믹, 소결 금속들, 알루미늄, 플라스틱, 비철 금속들 또는 귀금속들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재료들은, 모든 이온들, 이온 합금들, 크롬-니켈 강들, 니켈 강들(예컨대, 하스텔로이(Hastelloy) 재료들), 티타늄, 탄탈륨, 실리콘 탄화물, 유리, 세라믹, 금, 백금 그리고 또한 플라스틱들이다. 특별한 재료들은, 공식(pitting) 및 틈새 부식(crevice corrosion)에 대한 내성을 위한 고함량 몰리브덴을 갖는 합금들 또는 니켈, 크롬 및 몰리브덴 합금들 또는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니켈 구리 합금들이다. 재료의 예들은, Hastelloy C(높은 내식성), Hastelloy B(석출 경화(precipitation-hardening) 고온 합금), Inconel (석유화학 적용분야들에서 응력 부식 균열(stress corrosion crack)들에 대한 내성), Incoloy(고온에 대한 그리고 산화 및 침탄(carburisation)에 대한 내성뿐만 아니라 고강도), Monel(높은 인장 강도, 내부식성)을 포함한다. 그러나, 하우징 및/또는 슬라이딩 수단은 또한 코팅된 재료들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의 사용이 특히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유체들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유체들이며, 이는 필터 장치에서 침전될 때 부식성이 있거나 잠재적으로 폭발성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유체는 성형 화합물(moulding compound), 바람직하게는 스피닝 화합물이다. 예컨대, 유체는 셀룰로오스 용액, 바람직하게는 아민 산화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NMMO(N-메틸모르폴린(methylmorpholin)-N-산화물)를 갖는, 셀룰로오스 용액일 수 있다.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유체는 바람직하게는 열적으로 불안정하다. 열적으로 불안정한 유체들은, 이를테면, 셀룰로오스 아민 산화물 용액들, 특히 3차 산화 아민 및 물(water)의 용액들이다. 이러한 용액들은, 예컨대 갈산 프로필에스테르(gallic acid propylester)와 같은 안정화제들과 별개로, 예컨대 소다액(soda lye)과 같은 유기 또는 무기 염기들(bases)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셀룰로오스/아민 산화물 및 수용액들은 또한 생성물 변형 첨가제(product-changing additive)들, 이른바 혼입제(incorporation agent)들을 함유할 수 있다. 아민 산화물 시스템으로 생산된 셀룰로오스 용액들은, 냉각될 때 용액들이 결정화하지만, 대략 72 내지 75℃의 온도에서 용해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일례는 EP 789 82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셀룰로오스-NMMO 용액이다. 유체는, 상이한 농도(concentration)들을 갖는 산화 아민 수용액일 수 있다. 열적으로 불안정한 유체들은, 연결 피스 또는 열교환기 라인을 통한 전달 중 온도 증가 위험을 갖는 것들이다. 온도 증가들은, 예컨대 발열 반응(exothermic reaction)들, 특히 화학적 반응들에 기인하여 또는 높은 점성 유체들의 이송 중 마찰열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추가의 유체들은 특히 폴리머들, 폴리카보네이트들, 폴리에스테르들, 폴리아미드들, 폴리아세트산,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응고성(solidifiable) 유체들, 특히 "핫 멜트(hot melt)들"이다. 유체는, 요변성 유체(thixotropic fluid), 특히 스피닝 용액일 수 있다. 특별한 유체들은, 대략 40℃ 이상, 50℃ 이상, 55℃ 이상, 60℃ 이상,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의 용해 온도를 갖는다. 유체는, 대략 40℃ 이상, 50℃ 이상, 55℃ 이상, 60℃ 이상,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 대략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의 예시적 온도들로 이송될 수 있다. 연결 피스는, 예컨대 선택된 온도 조절 수단에 따라 용해 온도들을 초과하는 이러한 유체들의 운송을 위해서 설계된다. 유체의 0 전단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00 Pas, 특히 500 내지 15,000 Pas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은, 하기 도면들 및 예시들에 의해 본 발명의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으면서, 추가로 설명된다.
도 1은 비대칭(asymmetrical) 피드에 의해 종래 기술에 공지된 여과 장치를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내부 슬라이드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의 하우징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관류 채널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b 및 도 2c는 도 2a에 따른, 즉 슬라이드의 변위 축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며, 밀봉 요소들이 슬라이드와 하우징 사이에 제공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이한 플러싱 유량들을 발생시키는 섹터들이 도시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b 및 도 2c에 필적하는 도면들을 도시하며, 밀봉 요소들이 슬라이드와 하우징 사이에서 여기에 제공되는 것이 차이점을 갖는다.
도 4a 및 도 4b는 슬라이드의 변위축을 따라 내부에 위치 설정된 하우징 및 슬라이드를 따라 취한 단면을 갖는 도면들을 도시하며, 여기서 슬라이드가 관류 위치에 배치된다.
도 5a 및 도 5b는 슬라이드의 진동 중 중간 위치에서의 도 4a 및 도 4b에 따른 도면들을 도시하며, 도 5c는 도 5b로부터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백-플러싱 위치에서의 도 4a 및 도 4b에 따른 도면을 도시하며, 도 6c는 도 6b로부터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시브 대체 위치에서의 도 4a 및 도 4b에 따른 도면들을 도시하며, 도 7c는 도 7b로부터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은 하우징(2) 및 슬라이드(3)를 갖춘 여과 장치(1)를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슬라이드(3)와 하우징(2) 사이에는 갭(4)이 제공되며, 이는 슬라이드(3)의 길이방향 축에 본질적으로 수평하게, 즉 도면의 평면에 수직하게 하우징(2)의 상부 및 하부 에지까지 연장한다. 플러싱 유동은 하우징(2)의 입구(5)와 둘레들 사이에서 압력 차이로 인해 갭(4)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갭(4)의 폭은, 슬라이드(3) 상에서 일방적인(one-sided) 압력으로 인해 서로 마주하는 출구(6)를 향해 입구(5)로부터 줄어든다(diminish). 유체의 점도 때문에, 동일하게 유량에 적용되며, 출구(6)에 대면하는 슬라이드(3)의 측면 상에서, 탁해진(stagnating) 플러싱 유동을 갖는 존(7), 이른바 "데드 존(dead zone)"이 발생하며, 여기서 유체의 침전물(deposit)들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가장 큰 유량은, 입구(5) 위 및 아래(도면의 평면에 대해서 수직한) 존(8)에서 관찰된다. 이 존(8)과 데드존(7) 사이에서, 감소된 플러싱 유동을 갖는 존(9)이 입구(5)의 양쪽에 놓인다.
도 2a는 하우징(11) 및 슬라이드(12)를 갖는 유체들을 위한 본 발명의 여과 및 백 플러싱 장치(10)를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하우징(11)은 슬라이드(12)를 수용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 리세스(13)를 포함한다. 리세스(13)로부터, 4 개의 채널(14, 15, 16, 17)들이 하우징(11)의 외부 측(18)으로 안내되고, 그중 2 개가 입구 채널(14, 15)들로서 제공되며 2 개는 출구 채널(16, 17)들로서 제공된다. 입구 채널(14, 15)들은 하우징(11) 중 2 개의 입구(19, 20)들을 슬라이드 수용 배열체(13)에 연결하며, 이에 대응하여 출구 채널(16, 17)들은 슬라이드 수용 배열체(13)를 하우징(11)의 2 개의 출구(21, 22)들에 연결한다. 2 개의 입구 및 출구 채널(14, 15, 16, 17)들 각각은 축(23, 24) 상에서 서로 대향하여 놓이며, 출구 채널(16, 17)들의 축(24)은 입구 채널(14, 15)들의 축(23)에 본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4 개의 채널(14, 15, 16, 17)들의 폭은, 본질적으로 리세스(13)의 반경 이하이다. 슬라이드(12)에서 도시된 관류 채널(25)은 크로스(cross) 방식으로 하우징(11)의 4 개의 채널(14, 15, 16, 17)들을 연결한다. 출구 채널(16, 17)들의 방향으로 슬라이드(12)에서 관류 채널(25)의 폭은 출구 채널(16, 17)들의 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출구 채널(14, 15)들의 방향으로, 관류 채널(25)은 하우징(11)에서 이들에 대향하여 놓이는 입구 채널(14, 15)들보다 더 큰 직경을 갖거나 더 넓은 튜브형 필터 마운트(27)들 내로 양쪽면들 상에서 변형하기 이전에, 섹션의 일부(26)에 걸쳐 절두 원추형상(shape of a truncated cone)으로 넓어진다. 시브(28)가 필터 마운트(27)들에, 각각의 경우에 유동 축 또는 채널 축(23)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시브는 필터 마운트(27)의 벽까지 연장한다. 관류 방향으로 필터 마운트(27)로부터 관류 채널(25)의 테이퍼링(26) 때문에, 시브(28)들은 유동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12)에 유지된다. 시브(28)들은 관류 또는 유동 방향에 따라 배향되며, 즉, 필터 마운트(27)에서 의도된 시브 구성(유동에 대면하는 측, 유동을 등지는(facing away from) 측)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드(12)는 본질적으로 원통형이며, 여기서 슬라이드(12)의 외부 반경은, 하우징(11)에서 리세스(13)의 내부 반경보다 더 작아, 갭(29)이 하우징(11)과 슬라이드(12) 사이에 형성된다. 갭(29)은 모든 측면들에서 슬라이드(12)를 둘러싸며, 이에 따라, 하우징(11)의 4개의 채널(14, 15, 16, 17)들을 서로 연결한다. 갭 직경 또는 갭(29)의 폭이 다른 것들 중에서도 특히, 슬라이드(12)의 모든 시브(28)들의 전체 영역, 슬라이드(12)의 직경, 시브(28)의 직경 및 (복수 개의 관류 채널(25)들인 경우) 관류 채널들 사이 거리(명세서의 마지막에서 표 참조)로부터 계산된다. 슬라이드(12)의 대칭으로 배치되는 입구 마우스(30)들 및 출구 마우스(31)들 때문에, 유체 압력은 하우징의 리세스(13)에서 슬라이드(12)의 유체역학 중심맞춤(hydrodynamic centering)을 유발하는 힘 평형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갭(29)의 직경은, 본질적으로 슬라이드(12)의 전체 원주에 걸쳐 동일하며, 도 1에 도시된 배열체들과 반대로, 좁은 지점들 및 데드 존들이 유발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갭(29)을 통해 유동하며 플러싱 유동을 형성하는 유체의 유량은, 갭(29)의 전체 볼륨에서 일정하지 않다. 입구 채널(14, 15)들과 주위들(도 2c 참조) 사이 그리고 출구 채널(16, 17)들과 주위들(32) 사이 압력 차이가 입구 채널(14, 15)들과 출구 채널(16, 17)들 사이에서 더 크기 때문에, 이러한 구역(34)들에서의 유동 방향(33)(도 2b 참조)은 슬라이드(12)의 길이 방향 축(35)에 평행하게 이어지며, 즉 플러싱 유동은 입구 채널(14, 15)들로부터 그리고 출구 채널(16, 17)들로부터 양자 모두가 외부로 이어진다. 후자 사이 영역(36)들에서, 이에 따라 유량은 감소된다.
도 3a 및 도 3b는 하우징(37) 및 하우징(37)의 리세스(38)에 배치된 슬라이드(39)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를 따라 취한 횡방향 및 길이방향 섹션을 각각 도시한다. 하우징(37)은 상호 대향 입구 채널(40)들, 그리고 상호 대향 출구 채널(41)들을 포함한다. 슬라이드(39)의 관류 위치에서, 슬라이드(39)의 입구 마우스(42)들 및 출구 마우스(43)들은, 각각의 경우에 상기 채널들에 대향 배치되며, 여기서 입구 마우스(42)들은 필터 요소(44)들을 위한 마운트들을 형성한다. 입구 마우스(42)들 및 출구 마우스(43)들은, 슬라이드에서 관류 채널(45)의 일부이며, 관류 채널(45)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정화될(to be purified) 유체는 압력 하에, 입구 마우스(42)들 상에 입구 채널(40)들 그리고 내부에 배치된 필터 요소(44)들을 통해 유동한다. 이는 필터 요소(44)들을 통해서 특정 상류 유량으로 이송되고, 이후 관류 채널(45)을 따라 2 개의 출구 마우스(43)들로 그리고 이로부터 출구 채널(41)들을 통해 전방으로(onward) 유동한다.
갭(46)이 슬라이드(39)와 하우징(37)의 수용 배열체(38)의 벽 사이에 구성된다. 실시예의 앞선 예들과 대조하여, 갭(46)이 밀봉 요소(47)들에 의해 제한된다(도 3b 참조). 밀봉 요소(47)들은 슬라이드(39)를 둘러싸며, 슬라이드(39)와 하우징(37) 사이에서 밀착 폐쇄(tight closure)를 형성한다. 밀봉 요소(47)들은 관류 채널(45)들에 평행하고 슬라이드의 길이방향 축(48)에 수직한 평면에 각각 배치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는, 임의의 배열체들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입구 채널(40)들과 둘레(49)들 사이 그리고 출구 채널(41)들과 둘레(49)들 사이에(그러나, 입구 채널(40)들과 출구 채널(41)들 사이는 아님) 갭(46)의 시일을 동시에 제공한다. 소망하는 유동 과정에 따라, 밀봉 요소(50)는 복수 개의 관류 채널(45)들의 경우에 관류 채널(45)들 사이에 또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밀봉 요소는 2 개의 관류 채널(45)들의 플러싱 유동들을 분리한다. 이는, 특히 플러싱 유동들이 반대 방향들로, 예컨대 백 플러싱 위치로 유동할 때, 또는 상이한 유량들이 관류 채널(45)에 제각기 할당된 갭 섹션들에서 예상될 때 특히 유리하다.
갭(46)의 폭은, 슬라이드(39)를 통과하여 관류 채널(45)을 따라 유동하는 것 대신에, 유체의 일부가 입구 채널(40)들로부터 출구 채널(41)들로 직접 외부의 지나간(outside past) 슬라이드(39) 상으로 유동하며, 이러한 플러싱 유동들의 유량이 필터 요소(44)들의 상류 및 필터 요소에 대향하는 유량에 개략적으로 대응하도록 선택된다. 관련된 유체의 손실에 의한 주위(49)에 대한 유동은, 밀봉 요소(47)들에 의해 방지된다. 이에 따라, 4 개의 플러싱 유동들은, 관류 채널(45)의 구역에서 발생하며, 상기 플러싱 유동들의 코스 및 방향은, 도 3a에서 화살표(51)들에 의해 나타낸다. 이에 따라, 플러싱 유동들은, 슬라이드(39)가 중심에 있는 방식으로 수용되는 폴리머 버퍼를 형성한다. 관류 채널(45)들의 출구 마우스(43)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거나, 하우징(37)의 리세스(38)에서 마우스 채널(52)을 통해 서로 연통할 수 있다. 필터 요소(44)의 직경은, Dsieve 및 관류 채널(45)들 사이 거리에 의해 나타내며, 필터 요소(44)들의 중심점들은 Lsieve에 의해 나타내고; Dpiston은 슬라이드(39)의 직경을 나타낸다(예컨대, 명세서 마지막의 표를 참조).
도 4a 및 도 4b는 각각의 경우에, 슬라이드(56)의 길이방향 및 변위축(55)을 따라 관류 위치에서 내부에 수용된 하우징(53) 및 슬라이드(54)를 통한 단면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추가 변형예를 도시하며, 도 4a는 출구 채널(57, 58)들의 평면에서 횡단면을 도시하며, 도 4b는 입구 채널(59, 60)들의 평면에서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4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54)는 2 개의 관류 채널(61, 62)들을 포함하며, 이는 변위 축(55)을 따라 슬라이드(54)에서 오프셋 배치된다. 2 개의 관류 채널들에 할당된 전체 또는 4 개의 서브 채널(57, 58)(이하, 출구 채널들로 축약됨)들은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하우징(53)은 이에 따라 4 개의 출구(63, 64)들을 포함한다. 출구 채널(57, 58)들은 하우징(53)에 제공된 슬라이드 수용 배열체(65)를 향해서 폭이 넓은 부분(66)을 포함하며, 여기서 폭이 넓은 부분(66)은 변위 방향으로, 즉 변위 축(55)의 방향으로 넓어진다. 하우징(53)의 내부측에서 출구 채널(57, 58)들의 마우스들은, 이에 따라 본질적으로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여기서 주축(principal axis)은 변위 축(55)에 평행이다. 대안으로, 마우스들은 또한 원형일 수 있으며, 출구 채널(57, 58)들의 폭이 넓은 부분들은 원뿔대(truncated cone)의 형상이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슬라이드(54)의 관류 위치에서, 출구 채널(57, 58)들은 관류 채널(61, 62)들에 대해 중심에 배치된다. 슬라이드(54)와 하우징(53)의 출구측 마우스 중심점들 사이 거리는 동일하다. 관류 채널(61, 62)들의 출구측 마우스들은, 출구 채널(57, 58)들의 폭이 넓은 마우스들보다 더 작다. 또한, 관류 채널(61, 62)들의 더 높은 입구측 마우스들은 슬라이드(54) 상에 나타낸다. 출구 채널(57, 58)들의 폭이 넓은 마우스들로 인해, 이러한 마우스들 사이 거리는 슬라이드(54)의 출구 마우스들 사이 거리보다 더 작다.
도 4b는 입구 채널(59, 60)들의 평면에서 하우징(53)을 교차하며 변위 축(55) 둘레에서 90°를 통해 회전되는 횡단면을 제외하고는, 4a에서와 같은 횡단면을 도시한다. 2 개의 관류 채널(61, 62)들은 각각 동일한 2 개의 입구(67)들에 명확하게 연결된다. 2 개의 입구(67)들로부터 나오는 입구 채널(59, 60)들이 슬라이드(54) 상에서 4 개의 입구 마우스들 내로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채널들은 나뉘어져야 하며, 입구 서브 채널들(59, 60)(이하 입구 채널들로 축약됨)은 각각 축 연결 입구(67)들에 대해 상이한 방향들로 경사져야 한다. 출구 채널(57, 58)들과 달리, 하우징(53)에서의 입구 채널(59, 60)들은 폭이 넓은 부분들을 갖지 않는다. 슬라이드(54)에서의 관류 채널(61, 62)들의 입구 마우스들은 대략 입구 채널(59, 60)들의 2 배만큼 크다. 입구 채널(59, 60)들의 마우스들 사이 거리는, 본질적으로 관류 채널(61, 62)들의 입구 마우스들 사이 거리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입구 채널(59, 60)들의 마우스들의 중심점들은, 관류 채널(61, 62)들의 입구 마우스들의 중심점들보다 더 근접하게 함께 배치된다. 슬라이드(54)에서의 관류 채널(61, 62)들이 변위 축(55)에 수직한 평면에 있기 때문에, 입구 채널(59, 60)들의 마우스 중심점들 사이 거리는, 하우징의 내부, 즉 슬라이드 수용 배열체(65) 상에서 출구 채널(57, 58)들의 경우에서 보다 더 작다. 그러나, 상기 마우스들 사이 거리는 대략 동일하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관류 위치에서, 하우징(53) 및 슬라이드(54)를 포함하는 배열체는, 2 개의 관류 채널(61, 62)들 사이에서 중앙에 배치되고 변위 축(55)에 수직한 대칭 평면에 대해 본질적으로 대칭 반사를 도시하여, 본질적으로 동일한 양의 유체가 나눔(splitting-up) 중 입구(67)들의 서브 채널(59, 60)들 모두 내로 진입하며, 또한 여과된 유체의 동일량이 출구 채널(57, 58)들 모두로부터 나간다. 하우징(53)과 슬라이드(54) 사이에는 갭(68)이 제공되며, 이는 리세스(65)의 에지들에서 밀봉 링(71)들에 의해 하우징(53)의 상부측(69) 및 하부측(70)에서 접합된다. 게다가, 도 2b에서, 백 플러싱 채널(72)들이 밀봉 링(71)들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백 플러싱 채널들은 도 6c와 관련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5a 및 도 5b는 슬라이드 위치 변화를 제외하고는 도 4a 및 도 4b와 동일한 사시도들에 따른 장치(73)를 도시한다. 슬라이드(54)는, 여기서 약간, 즉 하우징(53)의 하부측(70)의 방향으로 입구 채널(59, 60)의 폭 미만으로 변위된다. 하우징(53)과 슬라이드(54) 사이의 출구측 마우스들이 관류 위치에서 중심에 있기 때문에, 모든 출구측 마우스들은 변위된 위치에서 개방을 유지하는 동일한 횡단면을 갖는다. 이에 반해, 도 5b의 하부 관류 채널(62)의 입구 마우스들은, 하부 입구 채널(60)의 마우스들이 대략 절반이 닫히도록 입구 채널(59, 60)들에 대해 변위된다. 이에 반해, 상부 입구 채널(59)들은 상부 관류 채널(61)의 더 높은 입구 마우스들 때문에 완벽하게 개방된다. 슬라이드(54)는, 유리하게는, 하방으로 변위되는 여기에 도시된 위치와 관류 위치 밖으로의 대향 변위 방향으로 대응하게 상방으로 변위되는 위치 사이에서 펜듈럼 방식으로(pendulum fashion) 또는 스윙식으로 진동 또는 이동할 수 있다(도 4a 및 도 4b 참조). 하우징(53)과 슬라이드(54) 사이 갭(68)에서 압력 차이들이 발생되며, 이는 갭(68)에서의 유체의 응고 및 침전들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방해한다. 하부 입구 채널(60)들의 개구에서의 변화들의 결과로서, 2 개의 관류 채널(61, 62)들 사이의 유동 차이들이 또한 생성되며, 이는 관류 채널(61, 62)에서의 개선된 플러싱을 가능케 하며, 이를 통해 유동이 각각의 개별적인 경우에 더 빠르다. 게다가, 마우스들에 인접한 슬라이드(54) 상의 표면 및 하우징(53)의 표면은, 변위들에 의해 일시적으로 노출되며, 이에 따라 유체의 주 유동이 후자 주위를 씻어낸다. 도 5c는 도 5b에 따른 하부 관류 채널(62)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슬라이드(54)와 하우징(53) 사이 갭(68)은 여기서 볼 수 있다. 입구 마우스에 인접한 하우징(53)의 내부 표면(74)이 슬라이드(54)의 입구 마우스를 형성하는 필터 마운트(75)에 노출되어, 임의의 침전물들이 씻겨 내려갈 수 있다(flush away). 게다가, 관류 채널(61, 62)들 사이의 슬라이드(54)의 표면(76)은 유체 유동에 노출되며 이에 따라 또한 씻겨진다. 2 개의 밀봉 링(71)들 및 슬라이드 수용 배열체(65)의 하부 에지는, 갭(68)과 경계를 이루어(bound), 누출, 즉 하우징(53)의 하부측(70)으로의 갭(68)을 통한 유체의 이탈을 방지한다. 밀봉 링(71)들 사이에는 백 플러싱 채널(72)이 제공되며, 그러나 이 채널은 여기에 도시된 위치에서 즉, 진동 중 슬라이드(54)에 의해 폐쇄된다.
도 6a, 도 6b 및 상세도 도 6c는 백 플러싱 위치에서 슬라이드(54)를 갖는 하우징(53)을 도시한다. 상부 관류 채널(61)이 상부 출구 채널(57)들과 하부 출구 채널(58)들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중심에 있는 정도로 하우징(53)의 하부측(70)의 방향으로 슬라이드(54)가 변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 개의 관류 채널(61, 62)들은 하우징(53)에서 하나 이상의 출구 채널(57, 58)과 계속해서 연통한다. 그러나, 하부 관류 채널(62)은 입구 채널(60)들에 대해 폐쇄되며, 그 대신에 백 플러싱 채널(72)과 연통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53)에서 관통 입구(67)들에 진입하는 유동 유체는, 상부 관류 채널(61) 내로 완전 유동한다. 유출물(outflow) 측에서, 유체 유동은 4 개의 모든 출구 채널(57, 58)들 내로 상부 관류 채널(61)의 마우스 밖으로 나간다. 이후, 유체의 일부는, 하부 출구 채널(58)들로부터 하부 관류 채널(62) 내로 유동하지만, 작동하는 관류 방향에 대항하여 유동하며, 그의 입구 마우스에서 관류 채널(62) 밖으로 그리고 백 플러싱 채널(72) 내로 통과한다. 이 위치에서, 하부 관류 채널(62)의 필터들(여기에 도시 생략됨) 및 백 플러싱 채널(72)에 인접한 하우징(53)의 내벽(74)들 그리고 입구 및 출구 채널들(57, 58, 59, 60)들은 씻겨져 세정된다. 상부 관류 채널(61)의 필터를 세정하지만, 등가의 백 플러싱 위치는, 물론 하우징(53)의 타측(69) 상에 또한 제공되어, 모든 필터들이 유체 유동의 중단없이 씻겨질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필터 대체 위치에서의 본원 장치(73)를 도시한다. 백 플러싱 채널(72)이 슬라이드(54)의 중앙 부품(76)에 의해 폐쇄되는 정도로 슬라이드(54)가 하우징(53)에서 변위된다. 하부 관류 채널(62)의 필터 마운트(75)들은 외부측 하우징(53)에 배치되어, 필터 교체 또는 필터 보수가 실행될 수 있다. 상부 관류 채널(61)은, 하부 입구 채널(60)들 및 하부 출구 채널(58)들과 연통하여, 유체 유동이 하우징(53)의 입구(67)들과 하부 출구(64)들 사이에 유지된다. 하부 관류 채널(62)의 필터 교체 중, 상부 입구 채널(59)들 및 상부 출구 채널(57)들에서만 유체 유동이 거의 정체되어 있다(stagnate). 상부 관류 채널(61)의 필터 교체는, 관류 위치에 대해 역전된, 즉 하방 대신에 상방으로 변위된 필터 교체 위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대상 발명이 다른 것들 중에서 특히, 셀룰로오스, 아민 산화물 및 물을 포함하는 용액(solution)들의 여과를 위해서 사용되도록 의도되기 때문에, 필터 장치의 기계적 설계에서 생산 특정 특징(production-specific property)들, 이를 테면, 점도, 전단 거동, 결정화 경향, 분해 생성물들이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생성물 특징들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전술된 기계적 조치들(유량, 갭 폭 등)에 따라 프로세스 및 작동 모드들에 요구되는 조치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대응하는 프로세스 관리의 예들은 하기 표에서 나타낸다. 파라미터들 사이 관계들이 하기에 설명된다:
Figure pct00001
피스톤(슬라이딩 수단 또는 슬라이드가 하기에서 이와 같이 언급될 것임) 당 4 개의 플러싱 유동들의 개수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에서 언급된 값들은, 도 3a에 따른 장치에 대해 산출되었다. 예 1은 단일 관류 채널에 의한 콤팩트한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해서, 시브 중심 공간(Lsieve)은 0.0으로서 진입된다. 이에 반해, 예(2a, 2b)들은 2 개의 관류 채널들을 갖는 비교적 대형 여과 장치에 의해 처리된다. 나중 2 개의 예들은 갭 폭 및 이에 종속하는 파라미터들과 상이하다. 예(2b)에서 더 넓은 갭은, 이른바 스피닝 신뢰성의 상당한 저하를 발생시킨다. 스피닝 신뢰성은, 스피닝 결함들, 이를테면 마멸(tear)들, 고착(adhesion) 등에 따라, 주관적으로 판정되며, 다른 필적하는 조건들과 함께 여과 품질의 신뢰가능한 조치이다.
갭 폭의 선택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입되는 중합체 버퍼 팩터(polymer buffer factor)(PV)가 사용된다. 상기 중합체 버퍼 팩터는 하기 방정식과 관련된다:
Figure pct00002

갭 폭(s), 갭 길이(Ls), 갭 높이(Hs) 및 피스톤당 시브 면적(Apiston)은 피스톤당 시트 면적에 대한 갭 볼륨의 비율에 해당한다. (피스톤의 길이 방향으로의) 갭의 길이는 가능한 복수 개의 시브들의 중앙 공간(Lsieve) 및 시브 직경(Dsieve)의 합에 대응하며; 갭의 "높이"는 피스톤 원주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언급된 파라미터들은 PV가 0.5 mm 내지 3 mm 사이의 값을 취하도록 매치된다.
플러싱 유동에 관련된 추가 파라미터는 유체역학 베어링(L/D)이다. 이는 갭에서 유체 막(fluid film)의 높이에 대한 길이의 비율을 나타내고, 여기서 L/D는 Lh/Dpiston으로서 보다 정확하게 계산되며, Lh = Lsieve + Dsieve + 2Lo는 시브 직경 및 공간과 2 배의 진동 범위(Lo)의 합이다. L/D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3 사이 범위에 있음이 공지되어 있다.
특정 플러싱 단면(SQspec)은 또한 적당한 플러싱 유동의 지표(indicator)로서 사용될 수 있다. 플러싱 단면은 중합체 버퍼 팩터에 관련되지만, 갭 높이(Hs) 대신에 플러싱 유동들의 개수(ns)를 투입하며, 이에 따라 무차원(dimensionless) 파라미터이다. 특정 플러싱 단면을 위한 적절한 값의 범위는 0.2% 내지 1.5%이다.
도시된 예들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높은 시작(onset) 온도를 성취하도록 적절하게 치수설정된 장치들이 가능한데, 즉 자체 촉매 반응(autocatalytic reaction)이 발생하는 측정된 가장 낮은 온도가 종래 기술의 필적하는 여과 장치들의 경우에서 보다 높다(통상, 130℃ 내지 160℃ 사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프로세스 관리의 긍정적인 효과들은 또한 스피닝 거동의 평가시 확인된다. 스피닝 신뢰성은 1 내지 5 스케일에 따라 예들에서 평가된다. 여기서, 값 1은 어떠한 중단도 없는 양호한 스피닝 신뢰성을 나타내는 한편, 값 5에서는 적절한 스피닝은 더이상 가능하지 않으며, 스레드 파열들 및 대면적 부착들이 끊임없이 발생하여, 계속해서 스피닝을 재시작할 필요가 있다. 스피닝 신뢰성은, 도시된 예들의 경우에 1 내지 2의 범위에 있었으며, 이는 매우 양호한 프로세스 신뢰성 및 훌륭한 생성물 품질을 나타낸다. 예(2b)의 경우에만, 여과되지 않은 스피닝 해법의 연관된 증가 비율 및 확대된 플러싱 갭으로 인해 빈번한 파열들 및 고립된 부착들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3인 감소된 스피닝 신뢰성 값이 전체적으로 반영되었다. 이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데드 존들에 의해 성취되며, 이는 반응을 촉진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본원 발명에 의해 유체 손실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다.

Claims (15)

  1. 여과 장치(10)에 의한 유체 정화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입구(19)와 하나 이상의 출구(21)를 갖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서로 본질적으로 대칭되게 마주하여(symmetrically opposite) 배열되는 2 이상의 필터(28)들을 갖춘 하나 이상의 관류 채널(25)을 갖는 슬라이딩 수단(12)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의 입구(19)로부터 나오는 유체는 관류 채널(25)에서 필터(28)들에 대항하여 대칭으로 유동하고 관류 채널(25)에서 필터(28)들 다음에 하우징(11)의 출구로 이송되며, 관류 채널(25)을 통해 유동하지 않는 유체의 일부는 슬라이딩 수단(12)과 하우징(11) 사이의 갭(29) 내에 유체 역학적 버퍼(hydrodynamic buffer)를 형성하는, 유체 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류 채널(25)은 하우징(11)의 출구(21)의 2 이상의 대칭되게 마주하는 서브 채널(16, 17)들 내로 유입하며, 4 이상의 플러싱 유동들은 관류 채널(25)의 2 이상의 입구 마우스(30)들 및 2 이상의 출구 마우스(31)들 사이의 갭(29) 내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유동들의 유량은 필터(28)들에 대한 유량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며/동일하거나 0.02 내지 0.60 cm/s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모든 플러싱 유동들은 밀봉 요소(47)에 의해 슬라이딩 수단(39)의 변위 방향으로 제한되는 갭(46)에 의해 하우징(37)의 출구(41)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싱 유동 분배의 변동을 위해서, 슬라이딩 수단(39)이 플러싱 유동들의 유동 방향에 본질적으로 수직하게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싱 유동 분배의 변동을 위해서, 슬라이딩 수단(39)이 하우징(37)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에 걸쳐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39)의 변위 및/또는 회전은, 관류, 입구 및 출구 채널들의 마우스들의 높이 또는 폭보다 더 작아서, 유체 유동이 변위 또는 회전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 방법.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및/또는 회전은 관류 위치로부터 나오는 양쪽 방향들에서 주기적으로 실행되어, 상기 슬라이딩 수단(54)이 하우징(53)에서 스윙하거나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54)은 슬라이딩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 2 이상의 관류 채널(61, 62)들을 포함하며, 슬라이딩 수단(54)은 입구(67)에 대해 완벽하게 변위되도록 관류 채널(61, 62)들 중 하나에 대해 아주 충분히 멀게 변위되며, 이에 따라 폐쇄되지만 출구(63, 64)와 여전히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입구(67)에 대해 완벽하게 변위되며 이에 따라 폐쇄된 상기 관류 채널(61, 62)은 하우징(53)의 백 플러싱 채널(22)과 입구측에서 연통하며, 이 관류 채널(61, 62)에 배치된 필터들은 출구(63, 64)로부터 백 플러싱 채널(72)로의 유체의 역전된 유동에 의해 백-플러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54)은, 필터 교체 위치 내로 변위되며, 관류 채널(62)의 필터 마운트(75)는 하우징(53) 외부측에 완벽하게 배치되어, 필터 마운트(75)에 장착된 필터가 제거 및 교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 방법.
  11. 특히,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체 정화 방법을 실행하는 여과 장치(73)로서,
    하나 이상의 입구(67)와 하나 이상의 출구(64)를 포함하는 하우징(53), 및 상기 하우징(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서로 대칭되게 마주하여 배열되는 2 이상의 필터들을 갖춘 하나 이상의 관류 채널(61, 62)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수단(54)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의 일부의 통과를 위한 갭(68)이 하우징(53)과 슬라이딩 수단(54) 사이에 제공되는, 유체 정화 방법을 실행하는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류 채널(61, 62)은 출구(63)의 2 이상의 대칭되게 마주하는 서브 채널(57, 58)들 내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 방법을 실행하는 여과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금속인, 밀봉 요소(71)들이 밀봉 수단(54)과 하우징(53)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밀봉 요소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외측에서 갭(68)을 제한하여 갭을 불연속적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 방법을 실행하는 여과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갭 폭은, 갭(68)의 체적(㎣) 및 슬라이딩 수단(54)의 필터 면적들(㎟)의 합(sum)의 몫(quotient)이 0.5 mm 내지 3 mm 사이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 방법을 실행하는 여과 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54)은 슬라이딩 수단(54)의 변위 축(55)에 본질적으로 수직하게 변위된 2 이상의 관류 채널(61, 62)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 방법을 실행하는 여과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백 플러싱 채널(72)이 하우징(53)에 제공되며, 상기 백 플러싱 채널은 슬라이딩 수단(54)이 백 플러싱 위치 내로 변위될 때 2 개의 관류 채널(61, 62)들 중 하나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정화 방법을 실행하는 여과 장치.
KR1020157017912A 2012-12-06 2013-12-05 유체 세정 방법 및 여과 장치 KR102146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95894.6 2012-12-06
EP12195894.6A EP2740522B1 (de) 2012-12-06 2012-12-06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eines fluids
PCT/AT2013/000196 WO2014085836A1 (de) 2012-12-06 2013-12-05 Verfahren zur reinigung eines fluids und filter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514A true KR20150091514A (ko) 2015-08-11
KR102146547B1 KR102146547B1 (ko) 2020-08-21

Family

ID=47290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912A KR102146547B1 (ko) 2012-12-06 2013-12-05 유체 세정 방법 및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532507B2 (ko)
EP (1) EP2740522B1 (ko)
KR (1) KR102146547B1 (ko)
CN (1) CN104902975B (ko)
ES (1) ES2555551T3 (ko)
RU (1) RU2655327C2 (ko)
TW (1) TWI620593B (ko)
WO (1) WO20140858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0570B2 (en) * 2018-05-07 2022-03-01 PSI-Polymer Systems, Inc. Filtration apparatuses and screen changer devices for polymer processing and related methods
US20200094176A1 (en) * 2018-09-21 2020-03-26 Perkins Engines Company Limited Fluid filter and priming pump assembly and methods
EP3741887A1 (de) 2019-05-21 2020-11-25 Aurote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generieren eines lösungsmittels von zellulose aus einem spinnverfahren
DE102019216696A1 (de) * 2019-10-30 2021-05-06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mit einem Filterelement
CN111318064B (zh) * 2020-03-24 2020-11-03 台州椒江行陈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大型餐饮的后厨垃圾的垃圾分类装置
CN112939165B (zh) * 2021-01-27 2023-07-07 厦门澄志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热处理废水的净化装置
AT526289A1 (de) 2022-07-14 2024-01-15 Engel Austria Gmbh Absperrorgan sowie Plastifizieraggregat und Formgebungsmaschine mit demselben
CN117695725B (zh) * 2023-12-26 2024-05-14 宁波市绕城高速连接线建设有限公司 一种沥青路面地热施工用地热管道滤沙处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9113A (en) * 1988-05-23 1989-07-18 Hills William H Continuous polymer filter
US5358143A (en) * 1992-07-22 1994-10-25 Courtaulds Fibres (Holdings) Limited Method of continuous operation of a storage tank
US5578206A (en) * 1993-12-27 1996-11-26 The Japan Steel Works, Ltd. Screen pack replacing apparatus
EP0922558A1 (de) * 1997-11-18 1999-06-16 Kreyenborg Verwaltungen und Beteiligungen GmbH & Co. KG Vorrichtung zum Filtrieren einer verunreinigten viskosen Spinnmasse
US6325217B1 (en) * 1999-11-16 2001-12-04 Gerhard Hehenberger Backflush attachment for a filte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113A (en) * 1934-06-07 1935-10-01 Isaac Dee Kelley Jr Compressed air gun
JPS5556011Y2 (ko) 1976-08-26 1980-12-25
EP0250695B1 (de) 1986-06-06 1990-04-04 EREMA Engineering-Recycling-Maschinen-Anlagen Gesellschaft m.b.H. Filter
IT1197943B (it) * 1986-11-03 1988-12-21 Giuseppe Ponzielli Dispositivo di separazione di particelle solide da un fluido in pressione
CH673618A5 (ko) 1987-10-29 1990-03-30 Indupack Ag
AT395825B (de) 1991-03-25 1993-03-25 Erema Filtriervorrichtung fuer zu reinigende fluide
AT399104B (de) 1993-12-06 1995-03-27 Bacher Helmut Filter, insbesondere rückspülbares filter, für die reinigung verunreinigte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gutes
US5439589A (en) * 1994-05-09 1995-08-08 Trafalgar House Inc. Sealing means for slide plate screen changer
DE19500060C1 (de) 1994-11-26 1995-11-30 Kreyenborg Verwaltungen Filtereinrichtung für Strangpreß- und Spritzgießmaschinen
DE19519907C2 (de) 1995-05-31 1997-03-27 Kreyenborg Verwaltungen Siebwechselvorrichtung für kunststoffverarbeitende Anlagen
AT402962B (de) 1995-08-31 1997-10-27 Chemiefaser Lenzing Ag Verfahren zum transportieren einer thermisch instabilen, viskosen masse
AT408547B (de) 1995-09-26 2001-12-27 Chemiefaser Lenzing Ag Verfahren zum transportieren einer lösung von cellulose in einem wässrigen tertiären aminoxid
AT404800B (de) * 1996-11-19 1999-02-25 Chemiefaser Lenzing Ag Vorrichtung zum filtrieren eines fluids
AT404561B (de) * 1997-03-17 1998-12-28 Chemiefaser Lenzing Ag Vorrichtung zum filtrieren eines verunreinigten fluids
RU2122884C1 (ru) * 1997-09-09 1998-12-1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ткрытого типа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Старт"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DE19800744C2 (de) * 1997-11-18 2003-06-12 Kreyenborg Verwaltungen Vorrichtung zum Filtrieren einer verunreinigten viskosen Spinnmasse
AU2002220425A1 (en) * 2001-12-14 2002-03-04 Maag Pump Systems Textron Ag Device for filtering liquid media, support body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device
DE102006039508A1 (de) * 2006-08-23 2008-03-13 Dürr Ecoclean GmbH Filterkerze für ein Rückspülfilter
DE102006056471A1 (de) 2006-11-28 2008-05-29 Gneuß Kunststofftechnik GmbH Schmelzefilter
UA64670U (ru) * 2011-05-04 2011-11-10 Донбас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Очиститель потока жидкости
DE102011051373B4 (de) * 2011-06-27 2015-06-03 Nordson Holdings S.À.R.L. & Co. Kg Filtriervorrichtung für Fluid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9113A (en) * 1988-05-23 1989-07-18 Hills William H Continuous polymer filter
US5358143A (en) * 1992-07-22 1994-10-25 Courtaulds Fibres (Holdings) Limited Method of continuous operation of a storage tank
US5578206A (en) * 1993-12-27 1996-11-26 The Japan Steel Works, Ltd. Screen pack replacing apparatus
EP0922558A1 (de) * 1997-11-18 1999-06-16 Kreyenborg Verwaltungen und Beteiligungen GmbH & Co. KG Vorrichtung zum Filtrieren einer verunreinigten viskosen Spinnmasse
US6325217B1 (en) * 1999-11-16 2001-12-04 Gerhard Hehenberger Backflush attachment for a filte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20593B (zh) 2018-04-11
US10532507B2 (en) 2020-01-14
WO2014085836A1 (de) 2014-06-12
US20150328816A1 (en) 2015-11-19
RU2655327C2 (ru) 2018-05-25
KR102146547B1 (ko) 2020-08-21
CN104902975A (zh) 2015-09-09
TW201424824A (zh) 2014-07-01
ES2555551T3 (es) 2016-01-04
CN104902975B (zh) 2017-05-24
RU2015126861A (ru) 2017-01-12
EP2740522B1 (de) 2015-10-21
EP2740522A1 (de)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1514A (ko) 유체 세정 방법 및 여과 장치
KR102220322B1 (ko) 세정 기능을 갖는 차단 부재
US10807295B2 (en) Filter device and filter method
CN110740799B (zh) 过滤膜模块及过滤处理方法
US11187338B2 (en) Method of transporting a viscous fluid through a heat exchanger line
US20210205776A1 (en) A pulsed flow reactor and use thereof
KR101875494B1 (ko) 관형 유통식 반응 장치
JP7080465B2 (ja) ストレーナ
KR101127051B1 (ko)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반응기
JP2007268492A (ja) マイクロデバイス及びその運転方法
US7141167B2 (en) Filter device
JP2007144288A (ja) 化学装置
CN215427485U (zh) 反冲洗装置和具有其的过滤系统
JP2015040359A (ja) アクリル繊維原液の製造方法およびフィルタハウジング
CN208911571U (zh) 一种适用于错流过滤系统的过滤组件
JP4277278B2 (ja) サイクロン型遠心分離装置
SU1477446A1 (ru) Фильтр
JPH0365203B2 (ko)
WO2017156079A1 (en) Laminar fluidic separation in flowcells for minimal reagent usage
JPH03124424A (ja) 濾過面を連続的に浄化できるフィル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