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012A - 리모콘 릴레이 - Google Patents

리모콘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1012A
KR20150091012A KR1020150014226A KR20150014226A KR20150091012A KR 20150091012 A KR20150091012 A KR 20150091012A KR 1020150014226 A KR1020150014226 A KR 1020150014226A KR 20150014226 A KR20150014226 A KR 20150014226A KR 20150091012 A KR20150091012 A KR 20150091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ontact
remote control
yoke
control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405B1 (ko
Inventor
도모아키 사사키
다카후미 이마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63Details concerning air-gaps, e.g. anti-remanence, damping, anti-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0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40Branched or multiple-limb main magnetic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01H50/58Driv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therewith; Mounting of driving arrangements on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09Polarised relays with rectilinearly movable arm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구동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리모콘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리모콘 릴레이는 유극 전자석(20)과, 개폐 기구부를 구비하고, 유극 전자석(20)은, 플런저(27)의 양단에 마련된 접극자(28)와, 플런저(27)의 정지 위치에 있어서 한쌍의 접극자(28) 중 어느 한쪽의 접극자(28)가 근접하는 요크(21)와, 요크(21)와 한쪽의 자극측이 접촉하는 영구 자석(23)의 다른쪽의 자극측이 접촉하고 요크(21)로부터 보다 떨어진 접극자(28)가 근접하는 보조 요크(24)와, 요크(21)로부터 보다 떨어진 접극자(28)와 보조 요크(24) 사이의 간격(20G)을 보지하는 간격 보지부(22)를 구비하고, 한쌍의 접극자(28)는, 요크(21)로부터 보다 떨어진 접극자(28)와 보조 요크(24)가 간격(20G)으로 근접하고, 보조 요크(24)로부터 보다 떨어진 접극자(28)와 요크(21)가 공간을 거쳐서 근접한다.

Description

리모콘 릴레이{REMOTE CONTROL RELAY}
본 발명은 리모콘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예를 들어 조명 기구의 점등의 온(on)과 오프(off)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서 래칭형(latching type)의 리모콘 릴레이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리모콘 릴레이로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전자석 코일(106)을 제어하여 플런저(plunger)(105)를 구동시키는 전자석 장치(104)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리모콘 릴레이는, 플런저(105)의 구동에 연동하여, 개폐 기구부의 접점부를 구성하는 가동 접점(111)과 고정 접점(112)의 접촉이나 개리(開離)가 행해진다. 전자석 장치(104)는 플런저(105)가 내부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 1 요크(yoke)(108)를 갖고 있다. 전자석 장치(104)는 플런저(105)의 구동에 의해 제 1 요크(108) 내면에 접촉하는 플런저(105)의 흡착면(105a)에 스페이서(spacer)(131a)를 마련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리모콘 릴레이에서는, 전자석 장치(104)는 스페이서(131a)를 흡착면(105d)까지 연장하고 있다. 전자석 장치(104)는 제 2 요크(110)를 이동 가능하게 하여, 제 2 요크(110)와 보빈(107)의 결합부(107a) 사이에 스페이스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전자석 장치(104)는 제 1 요크(108)의 내측면에 한쌍의 영구 자석(109)이 배치되어 있다. 영구 자석(109)은 한쌍의 제 2 요크(110)가 접촉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리모콘 릴레이에서는, 제 2 요크(110)가 이동 가능하여, 흡착면(105d)과 제 2 요크(110) 사이의 갭은 스페이서(131a)의 판 두께에 의해서만 결정되고, 흡착력도 균일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 1993-109525 호 공보
리모콘 릴레이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구동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허문헌 1의 리모콘 릴레이의 구성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개량이 더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유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구동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리모콘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리모콘 릴레이는, 코일 프레임, 상기 코일 프레임에 권취된 코일, 플런저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에의 통전에 따라서 상기 코일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플런저를 진퇴 방향에 있어서 제 1 정지 위치와 제 2 정지 위치 사이를 이동시키는 유극 전자석과, 접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접점부를 개폐시키는 개폐 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극 전자석은, 상기 진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플런저의 양단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플런저에 고정되는 한쌍의 접극자와, 상기 플런저의 제 1 정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극자 중 한쪽이 다른쪽보다 더 근접하는 요크와, 상기 요크와 한쪽의 자극측이 접촉하는 영구 자석과, 상기 영구 자석의 다른쪽의 자극측이 접촉하고, 상기 플런저의 제 1 정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극자 중 다른쪽이 상기 한쌍의 접극자 중 한쪽보다 더 근접하는 보조 요크와, 상기 플런저의 제 1 정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극자 중 다른쪽과 상기 보조 요크 사이의 간격을 보지하는 간격 보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플런저의 제 1 정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극자 중 다른쪽과 상기 보조 요크가 상기 간격 보지부에 의해 규정된 간격으로 근접하고, 상기 한쌍의 접극자 중 한쪽과 상기 요크 사이에 공간이 마련된다.
이러한 리모콘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간격 보지부는, 상기 플런저의 제 1 정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극자 중 다른쪽과 상기 보조 요크 사이에 마련한 비자성체의 플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리모콘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간격 보지부는, 상기 코일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플런저의 제 1 정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극자 중 다른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모콘 릴레이는, 플런저의 정지 위치에 있어서, 한쪽의 접극자와 보조 요크가 간격 보지부에 의해 규정된 간격으로 근접하고, 다른쪽의 접극자와 요크가 공간을 거쳐서 근접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구동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리모콘 릴레이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리모콘 릴레이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의 리모콘 릴레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리모콘 릴레이의 다른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리모콘 릴레이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의 리모콘 릴레이의 다른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의 리모콘 릴레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의 리모콘 릴레이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2의 리모콘 릴레이의 다른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3의 리모콘 릴레이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접점부 및 전자석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를 도 1 내지 도 5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에 있어서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25)에의 통전에 따라서 코일(25)을 권취한 코일 프레임(26)으로부터 플런저(27)를 진퇴 구동시키는 유극 전자석(20)을 구비하고 있다. 리모콘 릴레이(1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27)의 진퇴에 따라서 접점부(71)를 개폐시키는 개폐 기구부(70)를 구비하고 있다.
유극 전자석(20)은, 플런저(27)의 진퇴 방향에 있어서의 플런저(27)의 양단 각각에 마련된 한쌍의 접극자(28)와, 플런저(27)의 정지 위치에 있어서 한쌍의 접극자(28) 중 한쪽이 다른쪽보다 더 근접하는 요크(21)를 구비하고 있다. 유극 전자석(20)은, 요크(21)와 한쪽의 자극측이 접촉하는 영구 자석(23)과, 영구 자석(23)의 다른쪽의 자극측이 접촉하는 보조 요크(24)를 구비하고 있다. 요크(21)로부터 접극자(28) 중 한쪽보다 떨어진 접극자(28) 중 다른쪽은 접극자(28) 중 한쪽보다 보조 요크(24)에 근접하여 있다. 또한, 유극 전자석(20)은 접극자(28) 중 다른쪽과 보조 요크(24) 사이의 간격(20G)을 보지하는 간격 보지부(22)를 구비하고 있다.
플런저(27)의 정지 위치에 있어서, 요크(21)로부터 보다 떨어진 접극자(28) 중 다른쪽과 보조 요크(24)가 간격 보지부(22)에 의해 규정된 간격(20G)으로 근접한다. 이러한 경우에, 보조 요크(24)로부터 접극자(28) 중 다른쪽보다 떨어진 접극자(28) 중 한쪽과 요크(21)가 공간을 거쳐서 근접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구동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콘 릴레이(10)는, 케이스(10a)가 JIS에 규격화되어 있는 전등 분전반용 협약형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케이스(10a)는 폭방향의 한 면이 개구된 바닥을 갖는 각통형상의 보디(12)와, 보디(12)의 개구부를 덮는 평판형상의 커버(11)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0a)는 커버(11)나 보디(12)를 수지 재료의 성형품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0a)는, 커버(11)나 보디(12)의 수지 재료로서, 예를 들어 난연성(難燃性)의 PBT(polyethylene terephtalate)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커버(11)는 복수(여기서는, 4개)의 제 1 관통 구멍(11aa)을 커버(11)의 외주부에 구비하고 있다. 보디(12)는 커버(11)의 제 1 관통 구멍(11aa)에 대응하여, 제 2 관통 구멍(12aa)을 보디(12)의 외주부에 마련하고 있다.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코킹 핀(caulking pin)(13)을 커버(11)의 제 1 관통 구멍(11aa) 및 보디(12)의 제 2 관통 구멍(12aa)으로 관통 삽입시키고, 보디(12)에 있어서의 커버(11)와는 반대측의 외측 저면으로 돌출시킨다. 리모콘 릴레이(10)는, 코킹 핀(13)의 선단부가 코킹되는 것에 의해, 커버(11)와 보디(12)를 결합할 수 있다.
리모콘 릴레이(10)는, 케이스(10a)의 내부에, 코일(25)에의 통전에 따라서 플런저(27)의 구동을 제어하는 유극 전자석(20)과, 플런저(27)의 진퇴에 따라서 접점부(71)의 개폐를 실행하는 개폐 기구부(70)를 수납하고 있다(도 4 참조).
유극 전자석(2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크(21)와, 영구 자석(23)과, 보조 요크(24)와, 코일(25)과, 코일 프레임(26)과, 플런저(27)와, 한쌍의 접극자(28)를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요크(21)는 자력선을 집중시켜 자력에 의한 흡착력을 증폭 가능한 것이다. 요크(21)는 예를 들어 순철, 퍼멀로이(permalloy)나 규소강 등의 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요크(21)는 2개의 분할 요크부(21a)를 조합시켜서 구성하고 있다. 분할 요크부(21a)는, 장방형 판형상의 중앙편(21aa)과, 중앙편(21aa)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돌출편(21ab)을 구비하고, 단면에서 보아 C자형의 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요크(21)는 2개의 분할 요크부(21a)를 동일한 자성 재료를 이용하여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반드시 동일한 자성 재료를 이용하여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분할 요크부(21a)는 플런저(27)의 진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1의 지면의 상하 방향)으로 나열하여 있다. 2개의 분할 요크부(21a)는 돌출편(21ab)의 선단면끼리가 코일 프레임(26)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거쳐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2개의 분할 요크부(21a)는 요크(21) 전체로서 사각 통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분할 요크부(21a) 각각은, C자형의 분할 요크부(21a)의 내측 저면이 되는 중앙편(21aa)의 표면 상에, 평판형상의 영구 자석(23)을 마련하고 있다. 분할 요크부(21a)는 영구 자석(23)을 거쳐서 영구 자석(23)의 다른쪽의 자극측에 보조 요크(24)를 배치하고 있다.
보조 요크(24)는 자력선을 집중시켜 자력에 의한 흡착력을 증폭 가능한 것으로서, 요크(21)를 보조하기 위해서 마련하고 있다. 보조 요크(24)는, 예를 들어 순철, 퍼멀로이나 규소강 등의 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보조 요크(24)는 2개의 분할 보조 요크부(24a)를 조합시켜서 구성하고 있다. 분할 보조 요크부(24a)는, 장방형 판형상의 중앙판(24aa)과, 중앙판(24aa)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돌기판(24ab)을 구비하고, 단면에서 보아 C자형의 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할 보조 요크부(24a)는 분할 요크부(21a)보다 작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조 요크(24)는 2개의 분할 보조 요크부(24a)를 동일한 자성 재료를 이용하여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반드시 동일한 자성 재료를 이용하여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분할 보조 요크부(24a)는, 분할 요크부(21a)와 한쪽의 자극이 접촉하는 영구 자석(23)의 다른쪽의 자극측을, C자형의 분할 보조 요크부(24a)의 외측 저면이 되는 중앙판(24aa)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2개의 분할 보조 요크부(24a)는 코일 프레임(26)에 감긴 코일(25)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 프레임(26)은 코일(25)을 권회 가능한 것이다. 코일 프레임(26)은 에폭시 수지나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등의 전기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코일 프레임(26)은, 코일(25)이 감기는 통형상의 권동부(卷胴部)(26a)와, 권동부(26a)의 축방향의 양단부에 마련된 판형상의 칼라부(26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코일 프레임(26)은 칼라부(26b)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플런저(27)의 진퇴 방향을 따라 권동부(26a)와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판형상의 측부(26c)를 구비하고 있다. 권동부(26a)에는, 통형상의 권동부(26a)의 관통 삽입 구멍(26aa)에, 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플런저(27)가 삽입된다(도 1 참조). 플런저(27)는 권동부(26a)의 축방향에 있어서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런저(27)는 자력에 의해 가동하는 가동 철심을 구성 가능한 것이다. 플런저(27)는 예를 들어 철 등의 강자성체의 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플런저(27)는 예를 들어 장척(長尺)의 판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판형상의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원주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플런저(27)는 플런저(27)의 양쪽의 단부(27ba)를 플런저(27)의 중앙부(27bb)와 비교하여 폭을 좁게 하고 있다. 플런저(27)는 장방형 판형상으로 형성된 접극자(28)를 단부(27ba)에 마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한쌍의 접극자(28) 중, 도 1의 지면의 좌측의 접극자(28)를 제 1 접극자(28a)라고 하고, 도 1의 지면의 우측의 접극자(28)를 제 2 접극자(28b)라고 한다.
플런저(27)는, 한쌍의 접극자(28) 중, 제 1 접극자(28a)의 제 1 끼워맞춤 구멍(28aa)에 플런저(27)의 한쪽의 단부(27ba)를 삽입하고, 플런저(27)의 단부(27ba)에 제 1 접극자(28a)를 코킹 고정하고 있다(도 2 참조). 또한, 플런저(27)는, 예를 들어 제 1 접극자(28a)를 코킹 고정한 후, 플런저(27)의 단부(27ba)로부터 제 1 접극자(28a)가 빠지지 않도록 보지 핀(27a)이 삽입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플런저(27)는 비자성체의 플레이트(22a)를 거쳐서, 제 2 접극자(28b)의 제 2 끼워맞춤 구멍(28bb)에 플런저(27)의 다른쪽의 단부(27ba)를 삽입하고, 플런저(27)의 단부(27ba)에 제 2 접극자(28b)를 코킹 고정하고 있다.
제 2 접극자(28b)는, 플런저(27)의 진퇴 구동시에 있어서, 보조 요크(24)의 돌기판(24ab)에 플레이트(22a)가 접촉함으로써, 플런저(27)의 전진 방향(도 1의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접극자(28b)는 보조 요크(24)를 구성하는 2개의 분할 보조 요크부(24a)의 어느 한쪽의 돌기판(24ab)과 접촉하면 좋다. 유극 전자석(20)은, 플런저(27)의 전진 방향의 정지 위치에서, 제 1 접극자(28a)와 요크(21)가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제 1 접극자(28a)와 요크(21)와 영구 자석(23)과 보조 요크(24)와 제 2 접극자(28b)와 플런저(27)로 폐자로(閉磁路)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유극 전자석(20)에서는, 제 1 접극자(28a)와 요크(21)가 소정의 갭 길이의 공간을 거쳐서 폐자로를 형성하고 있다. 유극 전자석(20)에서는, 폐자로가 형성됨으로써, 플런저(27)를 그 위치에서 보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접극자(28a)는, 플런저(27)의 진퇴 구동시에 있어서, 보조 요크(24)의 돌기판(24ab)에 제 1 접극자(28a)가 접촉함으로써, 플런저(27)의 후진 방향(도 1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가 규제되고 있다. 유극 전자석(20)은, 플런저(27)의 후진 방향의 정지 위치에서, 제 2 접극자(28b)와 요크(21)와 영구 자석(23)과 보조 요크(24)와 제 1 접극자(28a)와 플런저(27)로 폐자로가 형성된다. 유극 전자석(20)은, 폐자로가 형성됨으로써, 플런저(27)를 그 위치에서 보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코일(25)은 통전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코일(25)은 예를 들어 1 권선형의 코일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코일(25)은 코일(25)에의 통전 방향을 따라서 플런저(27)를 진퇴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유극 전자석(20)은, 접극자(28)와 요크(21)가 근접할 때까지 플런저(27)를 진퇴 구동시키면, 코일(25)에의 통전이 정지되어도, 영구 자석(23)의 자력에 의해 플런저(27)의 위치를 보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디(12)에 있어서의 커버(11)와의 대향면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제 1 구획편(12b)과 제 2 구획편(12c) 사이에 유극 전자석(20)을 배치하고 있다. 리모콘 릴레이(10)는 유극 전자석(20)과 제 2 구획편(12c) 사이에, 외형이 C자형인 판 스프링(16)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판 스프링(16)에 의해 유극 전자석(20)을 제 1 구획편(12b)에 가압한 상태로, 유극 전자석(20)을 보디(12)에 수납할 수 있다. 리모콘 릴레이(10)는 판 스프링(16)에 의해 플런저(27)의 진퇴 구동에 따른 진동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 있어서의 개폐 기구부(70)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폐 기구부(70)는, 예를 들어 접점부(71)와, 유극 전자석(20)의 플런저(27)의 진퇴에 따라서 요동하는 연동 레버(72)와, 접점부(71)에 접압(接壓)을 부여하는 접압 스프링(73)을 주로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도 4 참조).
접점부(71)는 리모콘 릴레이(10)와 접속되는 전로(電路)를 개폐 가능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1극의 접점부(71)를 구비하고 있다. 접점부(71)는 가동 접점(74a)과 고정 접점(50a)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점부(71)는 가동 접점(74a)을 갖는 가동 접촉자(74)와, 고정 접점(50a)을 갖는 고정 단자판(50)을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가동 접촉자(74)는 가동에 의해 고정 접점(50a)과 접촉 가능한 것이다. 가동 접촉자(74)는 장척형상의 금속판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가동 접촉자(74)는 전기 도전성인 높은 금속 재료로서, 구리, 구리와 텅스텐의 합금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고정 단자판(50)은 가동 접점(74a)에 대향하여 고정 접점(50a)을 마련하고 있다. 고정 단자판(50)은 금속판에 의해 S자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고정 단자판(50)은 전기 도전성이 높은 금속 재료로서, 구리, 구리와 텅스텐의 합금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가동 접촉자(74)와 고정 단자판(50)은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해도 좋고,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해도 좋다. 가동 접촉자(74)나 고정 단자판(50)은 도금 처리 등에 의해 표면에 은 피막을 형성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 있어서, 접점부(71)에서는, 플런저(27)의 진퇴 구동에 대응하여, 고정 접점(50a)과 가동 접점(74a)이 접촉 또는 개리한다.
연동 레버(72)는 플런저(27)의 진퇴에 따라서 접점부(71)의 개폐를 절환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동 레버(72)는 전기 절연성의 합성 수지 성형품에 의해 긴 판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연동 레버(72)는 플런저(27)의 한쪽의 단부(27ba)의 관통 구멍부(27aa)에 장착한 제 1 축 핀(15)을 제 1 축 구멍(72ba)에 삽입하고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연동 레버(72)는 제 1 축 핀(15)과 제 1 축 구멍(72ba)에 의해 플런저(2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동 레버(72)는, 코일 프레임(26)에 마련한 한쌍의 지지편(26d)의 관통 삽입 구멍부(26da)로 통과시킨 제 2 축 핀(17)을, 본체부(72c)의 중간부에 마련한 제 2 축 구멍(72bb)으로 통과시키고 있다. 연동 레버(72)는 제 2 축 핀(17)에 의해 코일 프레임(2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축 핀(15)과 제 2 축 핀(17)은 제 1 축 핀(15)의 축방향과 제 2 축 핀(17)의 축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동 레버(72)는 플런저(27)가 진퇴 구동함으로써, 제 2 축 핀(17)을 중심으로 요동할 수 있다. 연동 레버(72)는 본체부(72c)에 있어서의 유극 전자석(20)과 반대측에 가동 접촉자(74)를 보지하고 있다.
가동 접촉자(74)는 연동 레버(72)와 함께 요동한다. 가동 접촉자(74)는 길이 방향의 일단측(도 4의 하측)에 가동 접점(74a)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 접촉자(74)는 길이 방향의 타단측(도 4의 상측)에 편조 동선으로 이루어지는 가요 전선(75)의 일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가요 전선(75)은 가동 접촉자(74)와의 접속 부위와는 반대인 타단부를 케이스(10a)에 고정시키는 단자편(76)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단자편(76)은 좌금(座金)을 갖는 제 1 단자 나사(77)에 의해 보디(12)에 장착된다.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제 1 단자 나사(77)가 케이스(10a)의 외부로 노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가요 전선(75)은, 연동 레버(72) 및 가동 접촉자(74)의 요동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연동 레버(72) 및 가동 접촉자(74)와 케이스(1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동 레버(72)는 연동 레버(72)의 본체부(72c)에 스프링 받이부(72d)를 일체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스프링 받이부(72d)는 측면에서 보아 C자형이고, 가동 접촉자(74)와의 대향면측이 개구된 외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스프링 받이부(72d)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접압 스프링(73)의 일단측을 보지한다. 접압 스프링(73)의 타단측은 본체부(72c)와 스프링 받이부(72d) 사이에 삽입되는 가동 접촉자(74)에 접촉한다. 가동 접촉자(74)는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접압 스프링(73)의 스프링 시트가 되는 돌출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 접촉자(74)는, 스프링 시트가 되는 돌출부보다 하방에, 연동 레버(72)의 위치결정 돌기(72h)를 삽입하는 관통 구멍(74c)을 구비하고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또한, 연동 레버(72)에는, 표면이 만곡하여 가동 접촉자(74)와 접촉 가능한 지점 돌기(72e)를 구비하고 있다.
연동 레버(72)는 케이스(10a)에 개구된 창부(10aa)에 면하는 표시편(72f)을 상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리모콘 릴레이(10)는, 플런저(27)의 진퇴에 따라서 연동 레버(72)가 요동하면, 창부(10aa)로부터 노출되는 표시편(72f)의 표시면에 있어서의 노출면이 변화한다. 리모콘 릴레이(10)는, 예를 들어 접점부(71)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ON」 등의 문자가 표기된 표시편(72f)의 표시면을 창부(10aa)로부터 유저에게 시인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모콘 릴레이(10)는, 예를 들어 접점부(71)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OFF」 등의 문자가 표기된 표시편(72f)의 표시면을 창부(10aa)로부터 유저에게 시인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연동 레버(72)는 창부(10aa)로부터 상시 노출되어 있는 표시편(72f)에 홈부(72fa)를 구비하고 있다.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예를 들어 유저가 일자 드라이버(minus driver)의 선단부 등 예리한 공구를 창부(10aa)에 삽입하여 홈부(72fa)에 결합시켜, 케이스(10a)의 외부로부터 수동의 조작으로 연동 레버(72)를 요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연동 레버(72)의 수동의 조작에 따라서 접점부(7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고정 단자판(50)은 고정 접점(50a)을 고정한 일단부와 반대측의 타단 부가 케이스(10a)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보디(12)에 장착되어 있다. 고정 단자판(50)은 케이스(10a)로부터 노출된 타단부에 좌금을 갖는 단자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보디(12)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고정 단자판(50)은 가동 접촉자(74)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단자편(76)과 케이스(10a)의 폭방향으로 나열하여 수납하고 있다. 리모콘 릴레이(10)는 단자편(76)과 고정 단자판(50) 사이에 격벽(18)을 배치하고 있다. 격벽(18)은 전기 절연성의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리모콘 릴레이(10)는 보디(12)에 고정한 격벽(18)에 의해 고정 단자판(50)과 단자편(76) 사이의 전기적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는, 코일(25)이 1 권선형이며, 플런저(27)를 진퇴 구동시키기 위해서, 코일(25)에의 통전 방향을 반전시킬 필요가 있다.
리모콘 릴레이(10)는, 코일(25)에의 통전시에 현재의 플런저(27)의 정지 위치와 반대 방향으로 진퇴 구동하는 통전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플런저(27)의 진퇴에 따라서 통전 방향의 절환을 실행하는 절환 접점(69s)을 구비하고 있다.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연동 레버(72)에 접점 조작편(72k)을 마련하여, 플런저(27)의 진퇴 구동과 절환 접점(69s)의 개폐를 연동시키고 있다.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절환 접점(69s)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25)에 2 종류의 급전 경로를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리모콘 릴레이(10)는 급전 경로의 한쪽에 제 1 다이오드(69a)를 접속하고 있다. 리모콘 릴레이(10)는 급전 경로의 다른쪽에 제 2 다이오드(69b)를 접속하고 있다. 제 1 다이오드(69a)와 제 2 다이오드(69b)는 각 급전 경로를 통과하는 전류가 서로 역방향으로 되는 관계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제 1 다이오드(69a)와 제 2 다이오드(69b)는 절환 접점(69s)에 의해 선택된 각 급전 경로 각각에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류 저지 요소로서 기능한다. 제 1 다이오드(69a)와 제 2 다이오드(69b)는 절환 접점(69s)과 반대측을 공통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리모콘 릴레이(10)는, 제 2 다이오드(69b)와 절환 접점(69s) 사이에, 콘덴서(69c)와 저항(69r)의 직렬 회로를 접속하고 있다. 리모콘 릴레이(10)는, 한쌍의 코일 단자판(65)을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신호를 받아서 코일(25)에 통전되면, 통전 방향에 따라서 플런저(27)를 진퇴 구동시킨다. 리모콘 릴레이(10)는 플런저(27)의 진퇴에 따라서 접점부(71)를 개폐할 수 있다.
절환 접점(69s)은 절환 접점(69s)의 절환 회로를 형성하는 접점 기판(도시하지 않음)과 함께 절환 블록부(60)를 구성하고 있다(도 4 참조).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유극 전자석(20)에 탑재되는 수지 성형품의 기대(61)가 절환 블록부(60)를 보지하고 있다. 절환 블록부(6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 접점판(63a)과 제 2 고정 접점판(63b)을 구비하고 있다. 절환 블록부(60)는 제 1 고정 접점판(63a)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 1 가동 접점판(64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절환 블록부(60)는 제 2 고정 접점판(63b)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 2 가동 접점판(64b)을 구비하고 있다.
절환 블록부(60)를 보지하는 기대(61)는 기대(61)의 둘레부에 노치(61a)가 마련되고, 코일 프레임(2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제 1 리브(26f)를 노치(61a)에 결합시키고 있다. 기대(61)는, 제 1 리브(26f)를 노치(61a)에 결합시킨 상태로 열착(熱着)하는 것에 의해, 코일 프레임(26)에 고정하고 있다. 제 1 가동 접점판(64a)은, 측면에서 보아 C자형의 접점 지지판(64)의 한쪽의 다리편에 마련되고, 대응하는 제 1 고정 접점판(63a)에 대하여 접촉하는 방향의 스프링력을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가동 접점판(64b)은, C자형의 접점 지지판(64)의 다른쪽의 다리편에 마련되고, 대응하는 제 2 고정 접점판(63b)에 대하여 접촉하는 방향의 스프링력을 갖고 있다. 연동 레버(72)의 접점 조작편(72k)은 제 1 가동 접점판(64a)과 제 2 가동 접점판(64b)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연동 레버(72)가 플런저(27)의 진퇴 구동에 따라서 요동하면, 플런저(27)가 전진한 정지 위치에 있어서, 제 2 가동 접점판(64b)이 접점 조작편(72k)에 가압된다. 리모콘 릴레이(10)는, 접점 조작편(72k)에 의해, 제 2 가동 접점판(64b)이 제 2 고정 접점판(63b)으로부터 떨어져서, 통전 방향이 절환된다. 마찬가지로,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플런저(27)의 후진 방향의 정지 위치에 있어서, 제 1 가동 접점판(64a)이 접점 조작편(72k)에 가압된다. 리모콘 릴레이(10)는, 접점 조작편(72k)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판(64a)이 제 1 고정 접점판(63a)으로부터 떨어져서, 통전 방향이 절환된다.
또한, 기대(61)에는, 한쌍의 코일 단자판(65)이 장착되어 있다. 기대(61)는 각 코일 단자판(65)에 좌금을 갖는 제 2 단자 나사(66)를 마련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플런저(27)가 전진(도 4 중의 좌측)하도록 코일(25)에 통전되었을 경우, 플런저(27)의 전진에 따라서 연동 레버(72)가 제 2 축 핀(17)을 중심으로 하여, 도 4 중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리모콘 릴레이(10)는 연동 레버(72)의 회전에 따른 가동 접점(74a)과 고정 접점(50a)이 접촉한다. 가동 접촉자(74)는 지점 돌기(72e)에 접촉하고 있어, 접압 스프링(73)에 의해 지점 돌기(72e)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부여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동 접촉자(74)는 가동 접점(74a)의 고정 접점(50a)에 대한 접촉압을 접압 스프링(73)에 의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연동 레버(72)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따라서, 제 2 가동 접점판(64b)이 접점 조작편(72k)에 가압되어, 제 2 가동 접점판(64b)이 제 2 고정 접점판(63b)으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코일(25)에의 통전 방향으로서 플런저(27)를 후진 방향으로 진퇴 구동시키는 방향만이 허가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코일(25)에의 통전이 정지되지만, 2개의 영구 자석(23)의 자력에 의해 접점부(71)의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통전 방향이 반전된 전류가 코일(25)에 흐르면, 플런저(27)가 후진한다(도 4 중의 우측으로 이동).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연동 레버(72)가 제 2 축 핀(17)을 중심으로, 도 4 중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가동 접점(74a)이 고정 접점(50a)으로부터 떨어져서 접점부(71)가 개방 상태가 된다. 또한,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연동 레버(72)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따라서, 제 1 가동 접점판(64a)이 접점 조작편(72k)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판(64a)과 제 1 고정 접점판(63a)이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코일(25)에의 통전 방향으로서 플런저(27)를 전진 방향으로 진퇴 구동시키는 방향만이 허가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코일(25)에의 통전이 정지되지만, 2개의 영구 자석(23)의 자력에 의해 접점부(71)의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그런데,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요크(21)와 접극자(28)가 근접함에 따라, 유극 전자석(20)의 전자력이 급격하게 커지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와 비교하는 리모콘 릴레이로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유극 전자석(20)의 전자력이 급격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요크(21)와 접극자(28)의 간격을 조정하는 플레이트를 요크(21)와 접극자(28)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비교를 위한 리모콘 릴레이에서는, 요크(21)와 접극자(28)의 간극을 조정하는 플레이트에 의해, 플런저(27)의 정지 위치를 조정하여 플런저(27)와 접극자(28)에 작용하는 흡인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그렇지만, 비교를 위한 리모콘 릴레이는, 예를 들어 요크(21) 등 유극 전자석(20)을 구성하는 금속 부품의 치수 정밀도에 편차가 있으면, 요크(21)와 접극자(28)의 간극을 조정하는 플레이트를 배치한 것만으로는, 흡인력의 변동이 생길 우려가 있다. 비교를 위한 리모콘 릴레이에서는, 플런저(27)에 작용하는 흡인력에 변동이 생길 경우, 플런저(27)의 구동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어 동작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비교를 위한 리모콘 릴레이에서는, 구동 동작이 불안정할 경우, 접압 스프링(73)의 변경 등에 의해 접점부(71)의 접점압을 고쳐서 조정 등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원의 발명자들은, 요크(21)와 접극자(28)의 간격의 편차보다도, 보조 요크(24)와 접극자(28)의 간격의 편차쪽이, 플런저(27)에 작용하는 흡인력의 변동에 보다 크게 관여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는 간격 보지부(22)에 의해 보조 요크(24)와 접극자(28)의 간격(20G)을 소정의 규정된 간격(20G)으로 보지하고 있다. 또한, 리모콘 릴레이(10)는 간격 보지부(22)에 의해 접극자(28)와 요크(21)의 간격을 간접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구동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플런저(27)의 정지 위치에 있어서, 제 1 접극자(28a)가 요크(21)와 공간을 거쳐서 마련되어 있다.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제 2 접극자(28b)와 보조 요크(24) 사이의 간격(20G)을 보지하는 간격 보지부(22)로서, 제 2 접극자(28b)와 보조 요크(24) 사이에 마련된 비자성체의 플레이트(22a)를 구비하고 있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간격 보지부(22)는 플런저(27)의 정지 위치에 있어서, 요크(21)로부터 보다 떨어진 접극자(28)와 보조 요크(24) 사이에 마련한 비자성체의 플레이트(22a)이다.
플레이트(22a)는, 예를 들어 비자성체로서,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재료, 수지 재료, 실리콘 등의 반도체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2a)는 비자성체를 이용함으로써 자력선의 누설이나 불필요한 발열 등에 의해 생기는 자력의 손실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플레이트(22a)는 접극자(28)와 보조 요크(24)의 간격(20G)을 소정의 간격(20G)으로 보지할 수 있으면 좋고, 각종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제 2 접극자(28b)와 보조 요크(24) 사이에만 플레이트(22a)를 마련하고 있다. 리모콘 릴레이(10)에서, 제 2 접극자(28b)와 보조 요크(24) 사이 및 제 1 접극자(28a)와 보조 요크(24) 사이 각각에 플레이트(22a)를 마련해도 좋다.
또한, 제 2 접극자(28b)와 플레이트(22a)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하여 일체화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접극자(28b)와 플레이트(22a)는, 제 2 접극자(28b)와 플레이트(22a)도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할 경우, 예를 들어 용접을 이용함으로써 고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플레이트(22a)는 제 2 접극자(28b)의 제 2 끼워맞춤 구멍(28bb)보다 큰 개구 구멍(22bb)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는, 비자성체의 플레이트(22a)를 제 2 접극자(28b)에 고정함으로써, 제 2 접극자(28b)와의 바운스(bounce) 등에 따른 플레이트(22a)의 물림(biting)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간격(20G)에 변동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여, 보다 신뢰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를 사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90)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90)은, 일점쇄선으로 예시하는 2선식의 전송선(90a)을 거쳐서, 조작 단말기(91)와, 제어 단말기(92)와, 전송 유닛(95)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원격 제어 시스템(90)은 제어 단말기(92)가 리모콘 릴레이(10)에 의해 조명 기구와 같은 부하(94)에의 급전을 제어한다. 원격 제어 시스템(90)은 이점쇄선으로 예시하는 전력선(90b)을 거쳐서, 전원 트랜스(93)가 복수(여기서는, 4개)의 리모콘 릴레이(10)와 제어 단말기(92)에 급전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90)에서는, 조작 단말기(91) 및 제어 단말기(92)를 1대씩밖에 접속하고 있지 않지만, 조작 단말기(91) 및 제어 단말기(92)의 대수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격 제어 시스템(90)은, 전송 유닛(95)으로부터 전송 신호를 송출하는 것에 의해, 조작 단말기(91)와 제어 단말기(92)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실행할 수 있다. 전송 신호는, 예를 들어 스타트 펄스(start pulse), 모드 데이터(mode data), 어드레스 데이터(address data), 제어 데이터, 에러 정정 부호, 반송 대기 기간을 포함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모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신호의 모드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어 데이터는 부하(94)의 점등, 소등이나 조광(調光) 등의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반송 대기 기간은 조작 단말기(91)와 제어 단말기(92)로부터 반송 신호를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전송 신호는 예를 들어 복극성(±24V)의 시분할 다중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시스템(90)은 전송 신호의 펄스 폭 변조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조작 단말기(91)와 제어 단말기(92)는, 전송선(90a)을 거쳐서, 수신한 전송 신호의 어드레스 데이터에 포함되는 어드레스가 사전설정된 자기의 어드레스와 일치했을 경우, 전송 신호의 제어 데이터를 받아들인다. 또한, 조작 단말기(91)와 제어 단말기(92)는, 자기에 대한 전송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전송 신호의 반송 대기 기간에 동기하여 반송 신호를 전류 모드 신호로서 반송한다. 또한, 전류 모드 신호는, 전송선(90a)의 선간을 적당한 낮은 임피던스(impedance)의 전자 부품을 거쳐서 단락시켜서 송출되는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조작 단말기(91)는, 제 1 조작 스위치(91a)나 제 2 조작 스위치(91b)가 조작되면, 통상시에 전송되어 오는 전송 신호의 스타트 펄스에 동기하여, 인터럽트 신호(interrupt signal)를 전류 모드에 의해 송출한다.
전송 유닛(95)은 신호 송신 처리와, 인터럽트 처리를 실행하고, 신호 송신 처리에 의해 모드 데이터를 폴링 모드(polling mode)로서 상시 감시하는 대상의 조작 단말기(91) 또는 더미(dummy)의 어드레스 데이터를 가지는 전송 신호를 상시 송출한다. 또한, 전송 유닛(95)은, 폴링 모드에서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되면, 전송 유닛(95)의 인터럽트 처리에 의해 그룹 어드레스를 가지는 전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인터럽트 신호를 송신한 조작 단말기(91)를 검출한다. 또한, 그룹 어드레스란, 조작 단말기(91)를 그룹 단위로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어드레스이다.
인터럽트 신호를 송출한 조작 단말기(91)는 자기가 속하는 그룹 어드레스의 액세스(access)시에 자기의 어드레스를 반송 대기 기간에 반송 신호로서 반송한다. 반송 신호를 수신한 전송 유닛(95)은 송신되어 온 어드레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조작 단말기(91)를 특정한다. 인터럽트가 걸린 조작 단말기(91)가 특정되면, 전송 유닛(95)은 조작 단말기(91)를 액세스하는 전송 신호를 송출하고, 조작 단말기(91)로부터 반송 대기 기간에 제 1 조작 스위치(91a)의 조작 데이터를 감시 데이터로서 반송시킨다.
전송 유닛(95)에서는, 일련의 인터럽트 처리를 거쳐서 감시 데이터를 수신하면, 조작 단말기(91)와 미리 대응지어진 제어 단말기(92)에의 제어 데이터에 근거하여 작성한다. 전송 유닛(95)은 작성한 제어 데이터를 제어 단말기(92)의 어드레스 데이터와 함께 전송 신호에 의해 시분할 다중 전송한다. 전송 신호에 의해 액세스된 제어 단말기(92)는 제어 데이터의 제어 내용에 따른 리모콘 릴레이(10)를 제어하고, 부하(94)에의 전원 공급의 온과 오프를 제어한다. 즉, 원격 제어 시스템(90)에서는, 조작 단말기(91)의 제 1 조작 스위치(91a)의 조작에 따라서, 대응하는 제어 단말기(92)에 의해 리모콘 릴레이(10)를 거쳐서 부하(94)에의 전원 공급의 온과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는, 도 1에 도시하는 실시형태 1의 플레이트(22a) 대신에, 도 8에 도시하는 돌출부(26h)를 간격 보지부(22)로서 이용한 점이 주로 상이하다. 또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격 보지부(22)는, 코일 프레임(26)으로부터, 플런저(27)의 정지 위치에 있어서, 요크(21)로부터 보다 떨어진 접극자(28)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6h)이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는, 코일 프레임(26)의 돌출부(26h)를 이용하여, 보조 요크(24)와 접극자(28)의 간격(20G)을 소정의 규정된 간격(20G)으로 보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코일 프레임(26)은, 수지 성형품을 이용하여 형성할 경우, 간격(20G)을 양호한 정밀도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실시형태 1과 같이 플레이트(22a)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정도만큼, 보다 구성을 간략화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코일 프레임(26)의 관통 삽입 구멍(26aa)의 둘레부에 복수개(여기서는, 4개)의 돌출부(26h)를 배치하고 있다. 돌출부(26h)는 접극자(28)와 접촉하여 접극자(28)와 보조 요크(24) 사이에 소정의 간격(20G)을 형성할 수 있으면 좋다. 간격(20G)은 유극 전자석(20)의 구성이나 코일(25)에 공급하는 전력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다. 돌출부(26h)는, 접극자(28)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20G)을 형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1개 마련하면 좋다.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3개 이상의 돌출부(26h)에서 돌출부(26h)와 접극자(28)가 접촉할 경우, 보다 안정한 간격(20G)을 확보하는 것이 비교적으로 용이해진다. 돌출부(26h)는 원주형상, 다각주형상, 원추대형상이나 다각추대형상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돌출부(26h)는 돌출부(26h)의 표면을 평활면으로 해도 좋고, 복수의 요철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리모콘 릴레이(10)는, 돌출부(26h)를 코일 프레임(26)과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쪽이 간격 보지부(22)의 치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용이하게 되지만, 반드시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리모콘 릴레이(10)는 돌출부(26h)와 코일 프레임(26)을 별체로 형성하고, 돌출부(26h)를 코일 프레임(26)에 고착하여 형성해도 좋다. 리모콘 릴레이(10)는, 돌출부(26h)와 코일 프레임(26)을 별체로 하는 경우, 접극자(28)와 접촉하는 돌출부(26h)의 기계적인 강도를 코일 프레임(26)의 기계적 강도보다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돌출부(26h)는 코일 프레임(26)과는 다른 재질의 재료로서, 금속 재료나 반도체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돌출부(26h)는 금속 재료로서 비자성 재료의 스테인리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돌출부(26h)는 반도체 재료로서 실리콘을 이용할 수 있다. 돌출부(26h)는, 반도체 재료를 이용할 경우, 간격(20G)의 치수를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는 접극자(28)와 접촉하는 돌출부(26h)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도 9에 도시하는 코일 프레임(26)을 구비한 리모콘 릴레이(10)의 구성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는, 예를 들어 제 1 접극자(28a)측에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플레이트(22a)를 구비하고, 제 2 접극자(28b)측에 돌출부(26h)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실시형태 1의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시킨 구성으로 해도 좋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는, 도 9에 도시하는 실시형태 2의 돌출부(26h) 대신에, 도 10에 도시하는 코일 프레임(26)의 관통 삽입 구멍(26aa)의 둘레부에 있어서의 표면(26k)을 접극자(28)에 접촉시켜서 간격 보지부(22)에 이용하는 점이 주로 상이하다. 또한, 실시형태 2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플런저(27)의 정지 위치에 있어서, 코일 프레임(26)의 표면(26k)은 요크(21)로부터 보다 떨어진 접극자(28)와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는, 코일 프레임(26)의 표면(26k)을 이용하여, 보조 요크(24)와 접극자(28)의 간격을 소정의 규정된 간격(20G)으로 보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비자성체 플레이트(22a)를 가지지 않을 경우, 보다 구성을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리모콘 릴레이(10)는, 수지 성형품의 코일 프레임(26)을 이용하는 경우, 간격(20G)을 양호한 정밀도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에서는, 코일 프레임(26)의 표면(26k)은 접극자(28)와 접촉하여 접극자(28)와 보조 요크(24) 사이에 소정의 규정된 간격(20G)을 형성할 수 있으면 좋다. 코일 프레임(26)의 표면(26k)은 반드시 평활면으로 할 필요는 없다. 그 때문에, 코일 프레임(26)은, 표면(26k)을, 대향하는 접극자(28)의 형상에 맞춰서 오목형 곡면이나 경사면 등 각종의 형상으로 해도 좋다. 리모콘 릴레이(10)는 코일 프레임(26)에 별도의 소정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소정 부재의 표면을 코일 프레임(26)의 표면(26k)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는, 코일 프레임(26)의 표면(26k)이 접극자(28)측과 접촉하여, 소정의 규정된 간격(20G)을 보지할 수 있으면 좋고, 도 10에 도시하는 코일 프레임(26)을 구비한 리모콘 릴레이(10)의 구성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리모콘 릴레이(10)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플레이트(22a)나 실시형태 2의 돌출부(26h)를 적절하게 조합시킨 구성으로 해도 좋다.
10 : 리모콘 릴레이 20 : 유극 전자석
20G : 간격 21 : 요크
22 : 간격 보지부 22a : 플레이트
23 : 영구 자석 24 : 보조 요크
25 : 코일 26 : 코일 프레임
26h : 돌출부 27 : 플런저
28 : 접극자 71 : 접점부
70 : 개폐 기구부

Claims (3)

  1. 코일 프레임, 상기 코일 프레임에 권취된 코일, 플런저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에의 통전에 따라서 상기 코일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플런저를 진퇴 방향에 있어서 제 1 정지 위치와 제 2 정지 위치 사이를 이동시키는 유극 전자석과,
    접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접점부를 개폐시키는 개폐 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극 전자석은, 상기 진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플런저의 양단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플런저에 고정되는 한쌍의 접극자와,
    상기 플런저의 제 1 정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극자 중 한쪽이 다른쪽보다 더 근접하는 요크와,
    상기 요크와 한쪽의 자극측이 접촉하는 영구 자석과,
    상기 영구 자석의 다른쪽의 자극측이 접촉하고, 상기 플런저의 제 1 정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극자 중 다른쪽이 상기 한쌍의 접극자 중 한쪽보다 더 근접하는 보조 요크와,
    상기 플런저의 제 1 정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극자 중 다른쪽과 상기 보조 요크 사이의 간격을 보지하는 간격 보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플런저의 제 1 정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극자 중 다른쪽과 상기 보조 요크가 상기 간격 보지부에 의해 규정된 간격으로 근접하고, 상기 한쌍의 접극자 중 한쪽과 상기 요크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는
    리모콘 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보지부는, 상기 플런저의 제 1 정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극자 중 다른쪽과 상기 보조 요크 사이에 마련한 비자성체의 플레이트인
    리모콘 릴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보지부는, 상기 코일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플런저의 제 1 정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극자 중 다른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인
    리모콘 릴레이.
KR1020150014226A 2014-01-30 2015-01-29 리모콘 릴레이 KR101720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6077A JP6312021B2 (ja) 2014-01-30 2014-01-30 リモコンリレー
JPJP-P-2014-016077 2014-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012A true KR20150091012A (ko) 2015-08-07
KR101720405B1 KR101720405B1 (ko) 2017-03-27

Family

ID=5367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226A KR101720405B1 (ko) 2014-01-30 2015-01-29 리모콘 릴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05730B2 (ko)
JP (1) JP6312021B2 (ko)
KR (1) KR101720405B1 (ko)
CN (1) CN104821258B (ko)
TW (1) TWI54683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836B1 (ko) * 2020-08-28 2021-04-08 장두호 분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6376B (zh) * 2013-03-29 2015-06-17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非对称螺线管式结构的磁保持继电器
JP6172387B2 (ja) * 2014-05-20 2017-08-02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有極直流電磁石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KR101626365B1 (ko) * 2014-09-30 2016-06-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
EP4060704A1 (en) 2015-08-03 2022-09-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magnetic relay
GB2547949B (en) * 2016-03-04 2019-11-13 Johnson Electric Int Ag Plunger for magnetic latching solenoid actuator
CN107527769B (zh) * 2016-06-17 2021-05-1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磁铁装置以及搭载了该电磁铁装置的电磁继电器
CN106122563A (zh) * 2016-08-25 2016-11-16 吴忠仪表有限责任公司 高精度阀门定位器用反馈装置
CN108306454B (zh) * 2016-12-31 2021-12-17 武汉领普科技有限公司 发电装置
KR102230123B1 (ko) 2020-08-27 2021-03-19 주식회사 와이엠텍 동작 임계점을 지연시키기 위한 리모콘 릴레이 접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9525A (ja) 1991-10-14 1993-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石装置
JP2001155614A (ja) * 1999-11-25 2001-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モコンリレー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9641A (en) 1980-12-11 1982-06-21 Fuji Photo Film Co Ltd Treatment of silver dye bleached photographic material
GB2112212B (en) * 1981-04-30 1985-10-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DE3403812A1 (de) 1983-02-22 1984-08-23 Sanders Associates, Inc., Nashua, N.H. Einrichtung mit zugeordnetem tonband zur durchfuehrung von videospielen
JPH0546196Y2 (ko) * 1984-12-25 1993-12-02
US4604596A (en) * 1985-02-01 1986-08-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motely controllable circuit breaker
JPS6379304A (ja) * 1986-06-02 1988-04-09 Fuji Electric Co Ltd 有極電磁石装置
EP0321664B1 (en) * 1987-12-23 1994-12-28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A polarized electromagnet
JPH07118252B2 (ja) * 1988-06-09 1995-12-18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しゃ断器
JP2879783B2 (ja) * 1989-04-03 1999-04-05 松下電工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H0428134A (ja) * 1990-05-23 1992-0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モコンリレー
JPH0428131A (ja) * 1990-05-23 1992-0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モコンリレー
US5248951A (en) 1992-01-15 1993-09-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mote controlled relay
US5359305A (en) 1992-06-15 1994-10-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omagnetic relay
US6836201B1 (en) * 1995-12-01 2004-12-28 Raytheon Company Electrically driven bistable mechanical actuator
DE19608729C1 (de) * 1996-03-06 1997-07-03 Siemens Ag Elektromagnetisches Schaltgerät
JP3849197B2 (ja) 1997-02-06 2006-11-22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レー
FR2792108B1 (fr) * 1999-04-12 2001-05-04 Schneider Electric Sa Electroaimant a courant continu
KR100324894B1 (ko) * 1999-04-19 2002-02-28 김덕용 유니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스위치
JP2007059843A (ja) * 2005-08-26 2007-03-08 Matsushita Denko Denro System Kk 電磁石装置
KR100852300B1 (ko) 2006-02-27 2008-08-14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석방형 전자 장치
JP5163318B2 (ja) 2008-06-30 2013-03-13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石装置
JP5480718B2 (ja) 2010-05-26 2014-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モコンリレ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9525A (ja) 1991-10-14 1993-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石装置
JP2001155614A (ja) * 1999-11-25 2001-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モコンリレ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836B1 (ko) * 2020-08-28 2021-04-08 장두호 분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12021B2 (ja) 2018-04-18
US9305730B2 (en) 2016-04-05
TWI546839B (zh) 2016-08-21
KR101720405B1 (ko) 2017-03-27
JP2015141884A (ja) 2015-08-03
TW201541489A (zh) 2015-11-01
CN104821258B (zh) 2017-05-31
CN104821258A (zh) 2015-08-05
US20150213987A1 (en)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405B1 (ko) 리모콘 릴레이
US9799474B2 (en) Contactor and electromagnetic relay
US10199193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9679707B2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US20200381203A1 (en) Electromagnetic relay, electric apparatus, and electric apparatus case
KR102330627B1 (ko) 중간 전압 접촉기
US20200312597A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equipped with contact device
JP2012199133A (ja) リレー装置
WO2017068764A1 (ja) 電磁継電器
WO2019181359A1 (ja) 電磁継電器
US20180277324A1 (en) Electromagnetic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using same
JP5480718B2 (ja) リモコンリレー
EP2859571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relay including a ferromagnetic or magnetic armature having a tapered portion
US20210082650A1 (en) Electromagnetic relay
US20200243291A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equipped with contact device
JP2020074333A (ja) 電磁継電器
EP3695428A1 (en) Remote controllable switch
JP2020017499A (ja) 電磁石装置、電磁継電器
JP2019139885A (ja) 電磁石装置及び電磁継電器
JP2019140207A (ja) 電磁石装置及び電磁継電器
US2883589A (en) Polarized magnetic-operating device
JP2009087856A (ja) 電磁継電器
JPH08298060A (ja) 電磁スイッチ
JP2018107045A (ja) 接点装置
KR20150003529U (ko) 전자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