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016A - 원스톱 방식의 톱니 연삭 가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스톱 방식의 톱니 연삭 가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016A
KR20150090016A KR1020150106118A KR20150106118A KR20150090016A KR 20150090016 A KR20150090016 A KR 20150090016A KR 1020150106118 A KR1020150106118 A KR 1020150106118A KR 20150106118 A KR20150106118 A KR 20150106118A KR 20150090016 A KR20150090016 A KR 20150090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saw
production line
jig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109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109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109툴스
Priority to KR1020150106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0016A/ko
Publication of KR2015009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5/00Making 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for use in cutting any kind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3/00Dressing the tools of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for use in cutting any kind of material, e.g. in the manufacture of sawing tools
    • B23D63/08Sharpening the cutting edges of saw teeth
    • B23D63/12Sharpening the cutting edges of saw teeth by gr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3/00Dressing the tools of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for use in cutting any kind of material, e.g. in the manufacture of sawing tools
    • B23D63/08Sharpening the cutting edges of saw teeth
    • B23D63/12Sharpening the cutting edges of saw teeth by grinding
    • B23D63/14Sharpening circular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8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절단용 톱에 형성되는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연삭휠을 장착한 헤드가 사선각도로 구비되어 고정된 톱재료에 톱날을 형성하는 원스톱 방식의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원스톱 방식으로 톱니를 제조생산 하기 위한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에 있어서, 컨베이어형 생산라인; 상기 생산라인의 전방에 롤 코일 타입의 톱 원재료를 장착시키는 언코일러;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언코일러의 후방에 상기 롤코일을 완성 톱의 길이만큼 공급시켜주도록 NC롤페더;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NC롤페더의 후방에 톱재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을 형성하는 고정홀 가공 레이저가공기;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홀 가공 레이저 가공기의 후방에 톱니를 형성하기 위한 전후 한 쌍의 톱니 연삭 가공부;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톱니 가공 연삭부의 후방에 상기 톱니 가공시 발생된 버를 제거하기 위한 전동 와이어브러쉬;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전동 와이어브러쉬 후방에서 톱니를 양측으로 확장하여 주는 톱니 확장 지그;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톱니 확장 지그의 후방에서 톱니를 열처리 하기 위한 고주파 열처리기; 및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고주파 열처리된 톱재료를 재단하여 가공하는 톱 외곽 재단레이저기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스톱 방식의 톱니 연삭 가공시스템{The serrated grinding machine of one-stop method}
본 발명은 목재 절단용 톱에 형성되는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연삭휠을 장착한 헤드가 사선각도로 구비되어 고정된 톱재료에 톱날을 형성하는 원스톱 방식의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톱니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지그에 고정된 하나의 톱재료에 연삭휠을 전후로 구동하여 톱을 생산하였으나, 톱의 수량이 많은 경우 생산시간이 많이 들어 생산성이 낮은 것이 일반적이었다.
특허출원 제10-1991-0023758은 톱날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편의 안내봉에 끼워져 일측이 스프링에 탄지되는 이동체에 전후 작동판을 고정하고 전후 작동판의 결합홈에 끼워진 좌우작동판 상에는 톱 고정장치를 설치하고 작동판의 전면에 고정된 지지브라켓에 모터의 구동축을 끼워 설치하고 구동축의 일측 캠은 고정틀의 베어링과 접하게 하고 타측 회전체의 캠은 작동체 저부의 베어링과 접하게 하고 그 상부는 작동편이 결합되어 스프링에 탄지되는 밀대와 접하도록 하면 회전체가 회전하면 밀대가 이동하여 걸림편이 끼워진 안내편을 밀어 좌우작동판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주도록 하여서 된 톱날 가공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도 13은 상기 특허에 대한 도면으로서, 상기 톱날 가공장치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연삭시스템은 1개 또는 2개의 연삭휠이 구비되어 톱니수만큼 연삭휠이 왕복하면서 톱니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상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여러 개의 연삭휠을 구비시켜 왕복 1회 운동만으로 톱재료에 다수의 톱니가 연삭가공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다수의 톱재료를 한꺼번에 장착시킬 수 있는 지그를 구비한 원스톱 톱니 연삭 가공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스톱 방식으로 톱니를 제조생산 하기 위한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에 있어서, 컨베이어형 생산라인; 상기 생산라인의 전방에 롤 코일 타입의 톱 원재료를 장착시키는 언코일러;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언코일러의 후방에 상기 롤코일을 완성 톱의 길이만큼 공급시켜주도록 NC롤페더;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NC롤페더의 후방에 톱재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을 형성하는 고정홀 가공 레이저가공기;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홀 가공 레이저 가공기의 후방에 톱니를 형성하기 위한 전후 한 쌍의 톱니 연삭 가공부;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톱니 가공 연삭부의 후방에 상기 톱니 가공시 발생된 버를 제거하기 위한 전동 와이어브러쉬;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전동 와이어브러쉬 후방에서 톱니를 양측으로 확장하여 주는 톱니 확장 지그;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톱니 확장 지그의 후방에서 톱니를 열처리 하기 위한 고주파 열처리기; 및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고주파 열처리된 톱재료를 재단하여 가공하는 톱 외곽 재단레이저기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톱니를 왕복 1회 운동만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과 생산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톱재료를 고정하는 지그에 의해 다수의 톱재료를 고정하고 1회의 왕복운동만으로 톱니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톱의 생산성이 아주 크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원스톱 방식으로 다수의 톱날이 형성된 톱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생산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톱재료 고정지그의 사시도.
도 2는 톱재료 고정지그에 톱재료를 고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2a은 본 발명의 연삭가공시스템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의 톱재료 고정지그에 톱재료가 장착되기 전의 사시도.
도 2c는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에 톱재료를 결합 고정시킨 사시도.
도 2d는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에 장착된 톱재료가 연삭휠에 의하여 연삭가공되고 있는 사시도.
도 2e는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의 좌우 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f는 톱재료 고정지그에 설치되는 아대의 실시예.
도 3은 톱재료 고정지그와 밀착판이 구비된 밀착유압실린더(160)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톱재료 고정지그와 밀착유압실린더가 결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톱재료 고정지그에 톱재료를 고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연삭휠과 톱재료 고정지그 및 톱니의 단차 및 톱니의 1차 가공 형태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지그휠과 지그휠을 이용한 톱니 벌리기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여러 형태의 삼각뿔 형상 톱니의 구조를 도시한 톱니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 삼각뿔 형상의 톱니로 연삭가공하도록 구비시킨 연삭휠의 구조도.
도 10은 톱니 벌리기 지그시스템의 사시도.
도 10a는 톱니 벌리기 지그시스템의 측면도.
도 10b는 톱니를 벌리기를 지그시스템의 작동도.
도 11은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a는 도 11의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으로 톱재료를 연삭가공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b는 연삭휠의 버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c는 톱재료 방향전환 지그시스템의 사시도.
도 11d는 톱재료 방향전환 지그시스템이 톱재료를 장착하여 방향전환 및 가공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을 이용한 톱니가공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도.
도 12a는 톱재료 방향전환지그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2b는 도 12a의 실시예에 따른 톱재료를 고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c는 도 12a의 실시예에 의한 톱재료를 장착한 상태에서 방향 전환 작동 을 하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d는 도 12a의 실시예에 의한 롤코일 형태의 톱재료에 톱니을 연삭 가공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종래기술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톱니의 연삭 가공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기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로 한다.
본 발명의 톱니 연삭가공시시템은 톱재료를 탈부착한 후 , 1차 연마 가공된 후 삼각뿔형상의 톱니(210)로 가공하기 위하여 톱재료(180)의 방향 전환도 가능하도록 한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톱재료 고정 지그(100)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재료는 삼각 아대와 유압실린더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이다.
도 2는 톱재료 고정지그(100)에 대한 도면으로서 삼각아대(170)와 톱재료(180)를 유압실린더(160)를 이용하여 장착하는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더욱 상세한 설명으로서, 톱니(210)를 연삭 가공하기 위하여 연삭휠(300)과, 상기 연삭휠(300)이 연결되는 구동모터가 장착된 구동모터 지지틀(610)과, 지지틀 상단부에 연삭휠(300)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는 연삭휠 상하높낮이조정부(640)와, 지지틀(610)의 일측에는 연삭휠(300)의 톱니 A(210) 간격 조정을 위하여 간격조정화살표시부(630a)의 화살표 방향으로 전후이동을 제어해주도록 구비되는 연삭휠 전후이동 간격조정부(630)와, 일측에는 톱재료 고정지그(10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톱니 A(210)를 형성하는 연삭휠(300)의 연마를 위한 드레싱 블럭(670)이 구비된 좌우이동 상판(680a)과, 상기 좌우이동 상판(680a)을 지지하는 고정지지하판(680b)으로 구성된다.
도 2b는 연삭휠(300)이 상측으로 이동 정지되어있고 좌우이동 상판(680a)에고정 장착된 톱재료를 고정하기 위한 지그틀(110)에 톱 재료가 장착되지 않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2c는 지그틀(110)에 톱재료(180)가 서로 엇갈리게 경사져 장착될 수 있도록 삼각아대(170, 170a, 170b)를 이용하여 장착하고, 톱재료(180)와 톱재료 사이에 간지(190)를 순서대로 장착시키고 밀착 유압실린더(160)로 톱재료(180)를 결합 고정하게 된다. 톱재료(180) 사이마다 간지(190)를 구비시킨 것은 톱재료(180)를 연삭휠(300)로 연삭가공 할 때 발생되는 회전운동 부하를 분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한 설명으로 중간 간지(190)가 삽입되지 않은 채 톱 재료만 장착시킬 경우 연삭휠(300)에 많은 회전운동부하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톱재료(180) 사이에 간지(190)를 삽입시키므로 연삭휠(300)에서 발생되는 발열도 낮추어 주고 부하도 분산시켜, 구동모터(620)의 구동시의 부하를 낮출 수 있다. 또 다른 기능으로서 톱재료(180)를 한쪽 방향으로 연삭 가공시키면 톱재료(180) 한쪽에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느러미 같은 버(190a)가 발생되어 톱재료의 부피가 커진다. 따라서 이렇게 버(190a)가 발생한 채 탈착시켜 톱재료(180)의 위치를 바꾸어 주게 되면 자연발생된 버(190a)로 인하여 부피가 커져서 삼각뿔형상으로 연삭가공되는 톱니 A(210)의 끝 A(220)가 뾰족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톱 재료와 톱 재료 중간에 간지(190)를 삽입시켜 장착시키면 버(190a)의 부피도 상쇄시켜 주고 일정한 톱 재료와 톱재료의 간격을 유지시켜줄 수 있는 기능도 함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2d는 톱재료(180)를 장착시킨 채 좌우이동 상판(680a)이 이동되면서 톱니가 가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e는 톱재료 고정지그(100)를 장착시키고 좌우이동 작동되는 기능의 좌우이동상판(680a)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좌우이동상판(680a)을 지지하여주도록 고정지지하판(680b)이 구비된 사시도로서, 좌우이동상판(680a) 일측에는 지그틀(110)이 구비되며, 지그틀(110)의 일측에는 톱 재료와 삼각아대를 결합고정해주도록 밀착판(150)이 구비된 밀착 유압실린더(16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드레싱 블록(670)이 구비되어 연삭휠(300)의 V형상 직선부(330)와 V형상 사선부(340)에 돌출되어 구비된 다이아몬드가 마모되었을 때 다이아몬드를 붙잡고 있는 메탈본드를 연마하여 메탈본드를 깎아내고 다이아몬드 모서리를 돌출시키게 하여주는 기능을 가진 드레싱 블록(670)이 구비된다. 드레싱 블록(670)은 메탈 본드는 연마해서 깎아내지만 다이아몬드는 메탈본드보다 강도가 강하여 다이아몬드는 깎이지않는 원리를 응용해서 구비시킨 것으로서 메탈 본드를 연마하는 기능 이외 다이아몬드와 다이아몬드 사이사이에 톱재료의 찌꺼기가 달라붙어 눈 막힘 현상이 발생되었을시 이를 제거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도 2f는 톱 재료와 함께 지그틀에 장착되는 삼각형상의 아대(170, 170', 170a, 170a', 170b, 170b')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대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톱니의 형상이 달라지게 된다.
도 3은 톱재료 고정지그(100)와 밀착판(150)이 구비된 밀착유압실린더(16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틀(110)은 밀착판 결합홈(110a)의 안쪽 톱재료 고정부분과 바깥쪽 톱재료 고정부분이 서로 단차가 형성된 톱니간격조정단차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밀착판 결합홈(110a)의 바닥에도 단차가 형성된 바닥판단차부(130)가 구비되어 연삭유가 하부로 쉽게 유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바닥부분에는 연삭유 토출구(140)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지그틀(110)의 밀착판 결합홈(110a)에 밀착 유압실린더(160)가 작동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톱재료 고정지그(100)에 삼각아대(170, 170a, 170b)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면 A와 A-a는 톱 재료가 장착되지않은 톱재료 고정지그(100)의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면 B와 평면도 B-b는 톱재료(180)를 장착시켜 톱재료의 방향을 삼각뿔 형상으로 만들기 위하여 삼각아대(170a) B를 지그틀(110) 한쪽에 장착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 C와 평면도 C-c는 삼각아대(170a)가 먼저 장착되고, 톱재료(180)와 간지(190)를 차례로 장착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 D와 평면도 D-d는 삼각아대 B(170a)와 톱재료(180) 및 간지(190)를 먼저 장착한 상태에서, 타측에 삼각형 구조를 가진 삼각아대A(170)를 장착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 E와 평면도 E-e는 도면 D 및 D-d 이후에 또 다른 다수의 톱재료(180)와 간지(190)를 차례대로 장착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 F와 평면도 F-f는 아대 및 톱재료로를 모두 장착한 후에 밀착판(150)이 구비된 밀착 유압실린더(160)가 밀착 고정하기 전의 작동 상황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면 G와 평면도 G-g는 유압실린더(160)에 구비된 밀착판(150)이 이용하여 삼각아대와 톱재료(180)를 고정 결합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삼각뿔 형상의 톱니 A(210) 형상이 가공될 수 있도록 지그틀(110) 중간에 톱니간격조정단차부(12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는 연삭휠(300)의 끝 간격(350)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끝 간격이 20mm의 치수가 도시된 실시예는 도 6c에 도시된 실시예의 톱니(230)간격 치수10mm를 이루는 치수이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연삭휠(300)의 끝 간격이 도 6c에 도시된 톱니간격보다 배수가 되어야 하는 이유로서, 톱재료를 연삭 가공할 때 삼각뿔형상의 톱니 A(210)로 가공되게 하기 위하여서는, 톱재료(180)를 도 6d 와 같이 1차 연삭 가공한 후 톱재료(180) 위치를 바꾸어 장착하면, 톱니 한 칸 거리조정이 도 6b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지그틀(110)에 구비된 톱니거리조정단차부(120)에 의하여 톱니 거리가 자동으로 한 칸 띄워져 연삭 가공되므로, 연삭휠 끝의 거리는 도 6a 에 도시된 실시예의 간격인 20mm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d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1차 연삭 가공할 때에는 완성되지 않은 톱니와 톱니 간격은 20mm가 되도록 구비시킨 것이 특징이며, 이렇게 1차 연삭가공된 톱니 형상(260)에서 2차 연삭가공될 지점(260a)에 연삭휠(300)의 끝(370)이 정밀 조정되어 지도록 연삭휠 끝 간격(350)의 치수가 톱니 간격의 1배수 치수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며, 이렇게 연삭휠(300)의 끝(370)의 치수와 지그틀(110)에 구비된 톱니거리조정단차부(120)와 연계되어 상응 작동되도록 구비시켰기 때문에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인 다수의 삼각뿔 형상의 톱니 A(210)가 한꺼번에 연삭가공되며, 또한 여러 겹으로 장착시킨 톱 재료(180)에도 한꺼번에 일정한 규격을 갖춘 삼각뿔 형상의 톱니 A(210)가 똑같이 연삭가공된다. 도 6c에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의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을 이용하여 삼각뿔 형상의 톱니 A(210)를 가공 완성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톱니연삭가공시스템을 이용하여 완성된 톱니 A(210)로 목재를 절단할 때 목재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톱니 끝(220, 220a)을 벌려주는 기능을 하도록 구비된 톱니 확장용 지그휠(5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지그휠(500)의 외형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지그휠 외형은 원형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한쪽 부분에 직선 면(550)이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원형으로 구비된 부분의 단면형상을 보면 도 7b에 도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으로 구비된 외형 끝 부분은 V형상(510)으로 구비된 것이 특징이며, 이렇게 V형상으로 구비된 V형상 휠단부(510)가 도 7c의 A 단면도에 도시된 톱니 A(210)의 중간부(290)를 도 7a에 도시된 형상대로 회전되면서 직선부(550)에서 일정한 깊이로 눌러주게 되는 원리에 의하여 1회전 하면서 톱니 사이를 눌러, 도 7c의 B처럼 톱니 끝(220, 220a)을 벌려 준다. 이러한 방법으로 톱니를 벌리는 것은 종래의 톱니 벌리는 과정은 톱니 1개 1개마다 망치같은 공구로 두드려 한쪽 라인을 벌리고 난 후, 뒤집어 나머지 라인을 벌리는 공정으로 진행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톱니 벌리기 임가공 시간이 상당히 많이 걸리고 또한 톱니 끝을 두드려주는 망치 끝의 힘 조정에 의하여 톱니 벌어짐의 각도 값이 일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톱니 벌리기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였으며, 임가공 시간도 많이 걸려 생산성이 낮았다. 그러나 근래에는 톱니를 서로 어긋나게 벌려주어야 하는 특징을 이용하여 상하 프레싱 금형을 제작하여 상하 1회 누름 작업으로 톱니를 어긋나게 벌리는 기술이 상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도 금형 제작비가 많이 들어가고 프레싱의 정밀 조정에 의하여 톱니가 벌어진 각도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수도 있다. 따라서 톱니벌리기 값을 정확하게 하지못하면 톱질할 때 톱이 직선으로 내려가지 않고 사선으로 비뚤게 잘리는 단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지그휠 방법은 프레싱 방법보다 작업 속도가 빨라서 생산성이 높고, V형상의 지그휠(500)은 일정한 각도 값으로 톱니가 양쪽으로 어긋나게 벌려주어, 품질향상에 있어서도 우수하다. 또한 프레싱 금형 만드는 비용이 70% 이상 절감되고 만드는 소요기간 또한 매우 짧은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7d에 단면도에 도시된 순서대로 상세한 설명으로 A 도는 삼각뿔형상으로 연삭가공된 톱니 A(210)를 도시한 도면이고, B 도는 톱니 벌리기 공정 직전 휠(500)의 직선부(550)가 준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C 도는 V형상 휠단부(510)로 톱니를 벌리기 시작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며, D 도는 톱니가 벌려지고 있는 실시과정을 도시한 도이며, E 도는 톱니 벌리기를 완성한 다음 휠(500)이 2회전하고 직선부(550)가 원위치하고 재작동 직전을 준비하고 있는 실시 예이다. 도 7e는 톱니 가공이 완성된 목재용 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도는 톱니의 구보형상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B 도는 톱니가 벌어지지 않은 상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C 도는 톱니가 벌어진 상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10b의 도 10b, 도 10c, 도 10d에 도시된 톱니 벌리기 공정에 의하여 톱니가 벌어진 실시 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여러 형태의 톱니(210, 210a, 210c)의 형상을 도시한 실시 예이다. 도 8g의 a도는 전형적인 목재절단용 톱(200)인 삼각뿔형상 톱니 A(210)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b도는 삼각뿔형상으로 가공되는 목재절단용 톱니 A(210)의 단면도이며, e도는 철재 금속을 절단하는 용도의 톱니 형상구조로서 목재용 톱니와 다르게 톱니 끝이 톱재료의 두께에 의한 직선 구조로 구비된 직삼각형 구조의 사시도이며, d도는 절단면 A와 측면 B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따라서 도 8g의 a도에는 절단부 A가 사선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옆면 측 B도 앞뒤 넓이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도 8g의 c도는 철재 금속 절단용 톱니 단면을 도시한 도로서 직사각형 구조로 구비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도시한 상세한 설명은 종래의 목공용 톱 연삭 가공 기기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톱재료를 장착시키고 연삭 가공했을 때 톱니가 한꺼번에 삼각뿔형상으로 연삭가공 될 수가 없고, 철재 금속용 톱니 연삭가공법에 있어서는 도 e처럼 절단부가 직사각형 구조이거나, 연삭가공되어 측면에서 볼 때 도 d처럼 직삼각형 구조의 사시도처럼 톱니 다수가 한꺼번에 연삭 가공될 수는 있으나, 목재용 톱니 구조인 삼각뿔 형상의 톱니 A(210) 구조로 연삭 가공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다수의 톱재료를 여러 겹으로 장착시켜 연삭 가공하여 톱 제품(200)을 대량생산 할 수 있는 공법은 상기의 기술한 본 발명의 원리여야만 성립되는 것이다. 도 8a는 전형적인 목재절단용 톱니 A(210)의 구조 형상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삼각뿔형상의 톱니 A(210) 구조도이며, 상세한 설명으로 삼각뿔 형상으로 구비된 톱니 A(210)에 있어 목재를 절단할 때 절단부 A(220b)는 목재에 직접 접촉되어 목재를 절단하여 주는 부분으로서 도 8e처럼 각도 값이 낮으면 절단부 A(220b)가 날카로워 목재가 잘 잘라지게 된다. 그러나 날카롭게 구비된 절단부는 쉽게 마모되어 내구성이 좋지 않다. 도 8d에 도시된 톱니의 각도 값 구조를 보면 각도 값이 높은걸 알 수 있다. 이렇게 절단부 각도 값을 크게 하여 톱니를 연삭 가공할 경우 목재의 절단 성능은 낮으나 절단부 A(220b)의 내구성은 오래간다. 도 8c는 삼각뿔 형상을 구비된 다수의 톱니 A(210)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로 연삭가공한 실시예의 삼각뿔형상 구조의 톱니 A(210) 전면, 배면 그리고 연삭 과정에서 발생되는 버(bur)(190a)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버(190a)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철 금속 재료인 톱재료(180)를 연삭가공하면 자연히 연삭 방향 쪽으로 발생되는 지느러미 형상을 하고 있는 부산물이 발생되는데 이를 버(190a)라고 한다. 따라서 톱니 연삭 후 반드시 자연 발생된 버(190a)를 와이어브러쉬로 털어주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톱재료(180)를 겹쳐 장착시켜 연삭가공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도 11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톱재료(180)와 톱재료(180) 사이에 반드시 간지(190)를 삽입하여 장착시키고, 1차 한쪽 방향으로 연삭한 후 다시 지그틀(110)에 장착되어 있던 톱재료(180)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재장착시켜 2차 연삭해야한다. 연삭 과정에서 도 8c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버(190a)가 발생하는데 발생된 버(190a) 때문에 톱재료(180)의 부피가 버(190a)의 크기만큼 커지는 경우가 생긴다. 이때 버(190a)를 제거하지않고 톱 재료(180)만 재장착시키면 지그틀(110) 안에서 부피가 커져서 밀착 유압실린더(160)의 강한 압력으로 밀착 고정시켜도 톱니 끝 A(220)의 뾰족함이 무디어지면서 삼각형상의 톱니 A(210)가 제대로 연삭가공되지않는다. 또한 1차 연삭가공 후 지그틀(110)에서 탈착시켜 버(190a)를 전동 와이어브러쉬(730)로 제거한 후에 재장착하는 것은, 작업의 번거로움이 발생되어 생산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버(190a) 발생 부피를 상쇄시켜 주기 위하여 톱재료와 톱재료 사이에 반드시 중간 간지(190)를 장착시켜 주고 있으며, 1차 연삭 가공 후 톱재료의 위치와 방향을 바꾸는 과정에서 톱재료(180)에 발생된 버(190a)의 두께를 간지가 상쇄시켜 중간에 버(190a)를 제거하지 않고 재장착시켜도 톱재료(180)의 두께에 변형이 없게 된다. 따라서 중간 간지(190)를 삽입시켜 연삭 가공하는 방식으로 톱재료(180)를 다수 장착시켜 한꺼번에 연삭 가공하여도, 발생된 버(190a)로 인하여 지그틀(110) 안에서 톱재료(180)의 두께가 변형되지않아 삼각뿔형상의 톱니 A(210) 끝 A(220)가 정밀하게 연삭가공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톱 재료(180) 여러 겹만 지그틀(110)안에 장착시켜 연삭 가공할 경우, 연삭휠(300)에 상당한 회전 에너지 과부하가 걸려서 회전력이 떨어질 수도 있고, 또한 연삭휠(300)에서 높은 열이 발생되어 연삭휠(300)에 구비된 다이아몬드가 산화되어버려 내구성이 단축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중간 간지(190)를 설치하여 둠으로써 방지할 수 있는데, 간지 사이로 공급되는 연삭유 때문에 온도가 떨어져 열 발생을 떨어뜨릴 수 있으며, 또한 다이아몬드 사이에 끼이는 찌꺼기를 방지하여 눈 막힘 현상도 제거할 수 있고, 과부하로 인한 회전력이 감속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다.
도 8f는 톱니형상이 뾰족하게 구비된 톱니 A(210)의 구조 형상을 상단부 톱니 끝 A(220)를 한번 더 연삭 가공하여 각도 값을 눕히는 연삭 가공을 추가한 방법으로 연삭 가공한 톱니 B(210a)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렇게 톱니 B(210a) 상단부의 각도 값을 낮추면 목재를 절단할 때 부드럽게 절단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도 8b에 도시된 톱니의 절단부 A(220b)처럼 직선으로 구비되었을 때 목재의 재질에 따라 목재를 자를 때 툭툭 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렇게 툭툭 튀면 목재절단 효율이 떨어지는 수가 있다. 따라서 단단한 재질의 목재를 자를 때일수록 도 8f의 A에 도시된 형상의 톱니 B(210a) 구조로 만들 필요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 삼각뿔 형상의 톱니 A(210)로 연삭가공하도록 구비시킨 연삭휠(300)이 다수로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V 형상(310)을 구비하고 있는 연삭휠(300)의 낱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연삭휠(300)의 말단 구조가 한쪽은 V형상 직선부(330)로 구비되고 반대쪽에는 V형상 사선부(340)로 구비된 것이 특징이며, 다수로 구비되는 연삭휠(300)에 있어 연삭가공해야 할 톱니 A(210) 수의 반에 해당하는 수량을 결합 구비시킨 것이 특징이다. 좀더 상세한 설명으로 톱니가 200개로 구비되는 톱(200)을 연삭 가공하려면 200개 톱니의 반수의 연삭휠(300)인 100개만 결합구성시키면 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한 설명으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어야 할 톱니 수량 50%에 달하는 수량만큼 연삭휠을 구비시킨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반수로 구비된 연삭휠을 사용하여 1차 톱재료를 연삭 가공하면 도 9b처럼 1차 톱니가 연삭 가공 완료형상(260)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1차 가공된 톱재료를 지그틀(110)에서 탈착시켜 위치를 바꾸어 재장착시킨 다음 2차 연삭 가공시키면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성된 톱니 A(210)가 만들어진다. 이때 1차 가공된 톱재료(180)를 지그틀 안에서 위치 바꾸어 재장착시키면, 밀착판 결합홈(110a) 중간 부분 양쪽에 구비된 톱니간격조정단차부(120)에 의하여 자동으로 톱니 연삭가공될 위치가 한 칸 이동되어, 연삭휠(300)이 정밀하게 2차 연삭 가공될 지점(260a)에서 연삭가공되어 도 9d에 도시된 삼각뿔형상의 다수의 톱니 A(210)가 만들어진다.
도 9c의 톱니 확대된 도를 인용하여 상세한 설명으로 상단에 위치한 연삭휠의 치수(350)가 하단에 표기된 톱니 간격 B(230a) 치수의 배수의 간격으로 구비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d는 완성된 톱(200)의 삼각뿔 형상의 톱니 A(2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e는 연삭휠(300)의 V형상 사선부(340)가 도 9a 에 도시된 V형상 사선부(340) 보다 더욱 낮게 누운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1차 삼각뿔 형상으로 연삭가공된 톱니 A(210)의 톱니 끝 A(220)를 2단 연삭 가공하여 톱니 끝 A(220)의 뾰족함의 각도를 낮추는 연삭휠(310a)의 구조형상을 도시한 도이다. 좀더 상세한 설명으로 도 9a에 도시된 V형상 연삭휠(310)을 보면 V형상 사선부(340) 각도값은 작아서 날카롭고 뾰족하게 구비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톱니 A(210)의 끝 A(220)의 각도 값을 낮추어야 할 경우에는, 도 9e에 도시된 사선부(340)와 같이 각도값이 큰 것을 사용하여 각도값을 낮출 수 있다. 이렇게 연삭휠 끝(320) 각도를 낮추어 다수의 연삭휠로 구비시킨 것은, 다수의 톱니 끝 A(220)를 한꺼번에 연삭 가공하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대량 생산성을 추구하기 위하여서는 낱개로 구비된 연삭휠(300)이 톱니의 수량에 비하여 반으로 구비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을 가진다. 이렇게 구비된 연삭휠을 사용하여 도 9f와 같이 1차 연삭가공한 후 지그틀(110) 안에서 톱재료(180)의 장착된 위치를 바꾸어 재장착시킨 다음 도 9g처럼 2차 연삭 가공하면 도 9h에 도시된 완성된 톱(200)에 구비된 톱니 B(210a)가 한꺼번에 연삭가공된다.
도 10은 톱니를 양측으로 확장하기 위한 톱니 확장 지그시스템(400)의 사시도로서,
더욱 상세한 설명으로 도 10과 도 10a를 참조하면, 톱니 확장 지그시스템(400)은 구동모터 지지틀(410)과, 일측에 지그휠(500)이 연결결합되어 지그휠(500)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샤프트(430)가 구동모터 지지틀(410)에 구비되고, 구동 샤프트(430)의 일측에 지그휠(500)을 장착시킨 후 지그휠(500)을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 조임너트(450)가 구비되며, 구동 샤프트(430)의 타측에는 구동모터(420)가 구비되어 샤프트(430)를 회전 구동시키며, 구동모터 지지틀(410)의 상부에는 지그휠(500)의 높낮이를 조정을 할 수 있도록 구동샤프트 높낮이 조정부(440b)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샤프트 높낮이 조정부(440b)에는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정부 조정핸들(440e)이 구비되며, 구동모터 지지틀(410) 일측면에는 구동 샤프트 전후이동 조정부(44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 전후이동 조정부(440)에는 전후이동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핸들(440c)이 구비되며, 구동모터 지지틀(410) 전면 일측에 속도제어부(440d)가 구비되며, 구동모터 지지틀(410) 전방에는 톱재료(180)를 결합 고정시켜 좌우이동되는 구조의 좌우이동판(480)이 구비되며, 좌우 이동판(480) 상단에는 좌우 이동되는 상판(480a)이 구비되며, 상기 상판(480a)의 하부에는 상기 상판(480a)을 지지하는 고정지지하판(480b)이 구비된 것이 특징이며, 이렇게 구비된 상판(480a)에는 톱재료(180)를 장착 고정할 수 있도록 톱재료 장착지그틀이 구비되는데, 장착지그틀은 톱재료(180)를 장착시킬 때 움직이지않고 고정되어 있는 버팀판(470)과, 톱재료(180)를 장착시킬 때 공간 확보를 하여주도록 전후진되는 밀착판(470a)으로 구성되고, 밀착판(470a)이 전진후진하도록 유압실린더(470b)가 밀착판(470a)과 결합 구비되어, 도 10b와 같이 톱재료(180)를 장착하여 톱니를 양측으로 확장할 때 톱재료(180)가 움직이지않도록 고정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톱재료(18)를 장착시킨 후 지그휠(500)측으로 상판(480a)을 이동하게 되면 톱니 양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도 10b는 지그휠(500)과, 상판(480a)에 구비된 톱 재료장착 지그틀이 좌우 이동되는 상판(480a)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톱니가 양측으로 어긋나게 벌어지면서 확장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11은 또 다른 구조의 톱니 연삭가공시스템(600)으로서 톱재료(180) 방향 전환을 전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삼각뿔형상의 톱니 A(210)로 연삭 가공하기 위하여서는 반드시 톱재료(180)의 장착 위치를 연삭가공 순서에 의하여 삼각형상이 되도록 방향전환을 시켜줘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톱재료(180)의 장착 및 탈착은 인력으로 하지만, 도 11d의 11d, 11e, 11f, 11g, 11h 도면과 같이 전동제어식으로 톱재료(180)의 위치 방향전환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삼각뿔 형상의 톱니 A(210)가 연삭가공되도록 할 수 있는 주요 기능의 하나인 톱재료(180)의 방향전환은 전동제어기능이 구비된 톱재료 방향전환지그부(680)로 하되, 톱니 A(210)의 간격을 띄워서 2차 연삭 가공시켜야하는 관계로 도 11a 에 도시한 것처럼, 도 11a의 A는 톱재료를 삼각형상으로 구비시키기 위하여 사선 방향으로 장착 시킨 채 도 11a의 B처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1차 연삭 가공한 후 정지한 상태에서, 전동제어기능이 구비된 톱재료 방향전환지그부(680)를 이용하여 반대편 사선 방향으로 톱재료(180) 장착 위치를 전환 시켜 놓은 다음, 구동모터 지지틀(610) 전방에 구비된 연삭휠(300)의 전후 위치를 이동시켜주는 연삭휠 전후간격 조정부(630)에 의하여 구동 샤프트(620a)가 톱니 간격만큼 한 칸 앞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킨다. 구동 샤프트가 고정된 후 좌우이동 상판(680a)이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연삭휠(300)에 의하여 톱니가 연삭 가공 완성된다. 특히 삼각뿔형상 톱니 A(210)가 만들어지게 하려면 반드시 톱재료 방향전환지그부(680)가 사선방향으로 구비시킨 톱재료(180)를 1차 연삭 가공한 후 연삭휠(300)이 구비된 구동 샤프트(620a)는 구동 샤프트(620a) 일측에 구비된 연삭휠 전후이동간격 조정부(630)의 작동에 의하여 톱니간격 A(230)만큼 한 칸 앞으로 이동시킨 후 2차 연삭가공시키면 삼각뿔형상의 톱니 A(210)가 만들어지게 된다.
더욱더 상세한 설명으로 연삭휠(300)이 구비되는 구동모터지지틀(610)은 동일하나 구동모터 지지틀(610)이 양측으로 구비되고, 일측 지지틀(610)에는 연삭휠(300)이 구비되고, 타측 지지틀에는 연삭휠 끝(320)이 마모되는 경우 마모된 연삭휠 끝(320)을 연마하는 트루잉 휠(66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하이동 작동되도록 구비된 연삭휠(300)은 상단에 구비된 트루잉 휠(660)에 접촉시켜 연삭휠(300)과 트루잉휠(66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삭휠(300)에 구비된 다이아몬드 입자가 돌출되어 연삭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렇게 연삭휠(300) 하부에 트루잉휠(660)을 함께 구비시킨 것은 연삭휠(300)의 V형상 사선부(340) 및 직선부(330) 및 연삭휠 끝(320)이 마모되면 낱개로 구비된 연삭 휠(300) 전체를 해체시켰다 재장착시키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재 장착시키는 과정에서 기존 톱 규격에 맞춘 기준이 틀려지게 되므로, 여러 개를 결합시켜 구비시켜놓은 연삭휠(300)을 해체하지않고 연삭휠(300)을 장착시킨 채 상부에 구비된 트루잉 휠(660)에 접촉시켜 연마할 수 있다.
연삭휠(300) 하부에는 다수의 톱재료(180)를 장착시킨 후 1차 톱니를 가공한 후 톱재료의 방향 위치를 바꾸는 과정을 전동제어 하는 기능으로 구비시킨 것이 특징이다. 더욱 상세한 설명으로 도 11c에 도시된 톱재료 방향전환지그부(68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전동 제어가 되는 톱재료 방향전환지그부(680)에는 톱재료를 장착시킬 때 기준이 되는 움직이지않는 고정판(690i)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톱재료(180)를 결합 고정시키는 밀착판(690f)이 구비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690i)과 밀착판(690f)의 중간에 톱재료(180)와 간지(190)를 삽입 장착시키는 것이 특징이며, 톱 고정판(690i) 타측에는 장착된 톱재료(180)가 삼각뿔형상의 톱니로 연삭가공될수있도록, 톱재료(180)의 장착 방향이 좌우 이동되면서 삼각형상으로 유기적으로 연계 작동되는 톱재료(180)의 방향전환 및 고정기능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톱재료 방향 전환 지그부(680)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재료 장착 후 톱재료의 결합 고정 장착 및 방향 전환을 위한 톱 재료방향 전환 제어부(690)와, 톱재료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구동부(690a)와, 방향전환구동부(690a)의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기부(690b)와, 톱재료의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각도고정 키부(690c)와, 톱재료를 밀착하기 위한 밀착판(690f A, 690f B)과, 밀착판(690f A, 690f B)을 압착하기 위한 유압실린더(690g, 690h)와, 상기 밀착판(690f A, 690f B)을 밀착하여 상기 밀착판(690f A, 690f B)과 함께 톱재료를 고정하는 고정판(690i)으로 구성된다.
상판(680a) 일측에는 톱재료를 장착시킨 톱재료 방향전환지그부(680)의 좌우 이동 거리를 제어해주는 좌우이동거리조정부(680c)가 구비되고, 좌우이동거리조정부(680c)는 연삭휠(300)에서 톱니 A(210)를 연삭 가공할 일정거리만큼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 후 정지되는 제어부의 기능을 하며, 타측에는 톱니 연삭 가공시 상판의 좌우 이동 속도를 조정제어하는 좌우 이동속도 제어부(680d)가 구비된다. 상판(680a)의 상부면 일측에는 연삭휠 드레싱 블럭(670)이 구비되며, 드레싱 블록(670)은 연삭휠(300) 구동중 연삭휠(300)에 구비된 다이아몬드 사이 눈 막힘 현상 제거 및 다이아몬드를 잡고 있는 메탈 본드를 연마시켜 메탈본드에 묻혀있던 다이아몬드를 돌출시켜 연삭 성능을 향상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이렇게 상판 한쪽에 드레싱 블록을 구비시킨 이유는, 낱개로 구비된 연삭휠(300)을 다수로 구비 장착시킨 후 연삭휠을 해체하여 탈착시키고 재장착시키는 번거로움을 배제하고, 연삭휠(300)이 마모되면 즉시 연마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1a는 연삭가공기기시스템(600)의 톱니 연삭 가공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도는 톱재료(180)를 장착시킨 실시예를 도한 사시도이다. B도는 본 발명에서는 톱재료 방향전환지그부(680)에 톱재료(180)를 장착시킨 채 상판(680a)이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톱니 A(210)가 1차 연삭가공되고, 1차 연삭 가공된 후 연삭휠(300)이 구비된 구동 샤프트(620a)가 구동 샤프트(620a)를 앞뒤 이동조정제어하는 연삭휠 전후 이동 간격 조정부(630)에 의하여 앞쪽으로 이동되어 톱니 2차 연삭 가공될 지점(260a)에 정밀하게 정지되어 삼각뿔형상의 톱니 A(210)가 연삭 가공된다.
도 11b의 A도는 연삭휠(300) 끝(320)이 마모되어 끝(320)을 뾰족하게 연마시키기 위하여 트루잉 횔(660)쪽으로 이동되어 맞닿아 연마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 도이다. 도 11b의 B는 상판(680a) 한쪽에 구비된 드레싱블록(670)을 연삭휠(300) 하부에 위치 이동시켜 놓고 연삭휠(300)이 드레싱블록(670)에서 회전하면서 연삭휠에 끼인 버 등의 찌꺼기를 제거 연마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도 12는 또 다른 구조의 톱니 연삭가공 시스템으로 롤코일 타입의 자동화된 원스톱 톱니 연삭가공시스템(700)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한 설명으로 롤코일타입 톱니 연삭가공시스템(700)은 일측에는 톱재료(180)가 롤코일(710) 상태로 언코일러(710b)에 장착되어 연삭 가공되는데, 순서대로 언코일러(710b) 앞에 구비된 NC 롤페더(710a)에 의하여 롤코일 생산라인(720)에 자동으로 공급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렇게 구비된 생산 라인(720)에는 톱재료(180)에 톱재료 고정결합 홀(770f)을 레이저 가공하기 위하여 고정 홀가공 레이저 가공기(740)가 구비되며, 후방에는 톱재료 방향 전환지그시스템(770)이 구비된 톱니 연삭가공시스템(600) 2기가 구비되며, 그 후방에는 톱니 A(210) 연삭 가공 후 발생되는 버(190a)를 털어내는 전동 와이어브러쉬(730)가 구비되며, 그 후방에는 톱니를 양측으로 확장하는 톱니 확장 지그시스템(400)이 구비되며, 그 후방에는 톱니 끝(220,220a) 부분에만 열처리를 시켜주는 고주파 열처리기(750)가 구비되며, 그 후방에는 톱 외형재단 레이저 가공기기(740a)가 구비되어 각 생산라인을 거치며 톱니 A(210)가 완성되는 원스톱 생산라인을 공급한다.
더욱더 상세한 설명으로 롤 코일 타입 톱니 연삭가공시스템(700)에 구비된 톱재료 방향 전환 지그부(770)에 있어 NC 롤 페더(710a)로 부터 공급받는 롤코일(710) 톱재료(180)에 연삭가공하고자하는 톱(200) 길이만큼 가이드용도의 톱재료 고정홀(280)을 고정홀 가공 레이저가공기기(740)가 가공시키고, 이렇게 고정홀(280)이 가공되어 공급되는 롤코일(710) 톱재료(180)를 밀착판 B(780f B)에 구비된 톱재료 고정핀(770e)이 고정홀(280)을 관통하게 되고, 밀착 판 B(780f B)의 타측에 구비된 유압실린더(780g)가 작동하여 밀착판 A(780f A)에 구비된 톱재료 고정결합 홀(770f)에 밀착 결합 고정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특히 톱니 A(210) 연삭가공 공정에 있어 다수의 톱니 끝(220, 220a)이 최대한 뾰족해야하고 이렇게 뾰족한 꼭짓점이 균등한 높이가 구성되어야함에 의하여 롤코일(710) 타입으로 공급되는 톱재료(180)를 연삭가공지점인 연삭휠(300) 하부에 정밀하게 정지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롤코일(710)이 공급시작하는 부분에서부터 롤코일(710) 톱재료(180) 일부분에 고정 홀 가공 레이저가공기(740)에 의하여 일정한 거리만큼 규격화하여 고정홀(280)을 가공시켜 롤 코일 생산라인(720)에 공급시키도록 한 점이 특징이다.
이렇게 공급되는 톱재료(180)를 고정결합시킨 톱재료 방향전환지그시스템(770)은 좌우이동되도록 구비시킨 좌우 이동 상판(770a)에 의하여 좌우 이동되면서 톱재료(180)에 다수의 톱니 A(210)가 한꺼번에 연삭가공 되며, 톱니 연삭가공시스템 A(600)에서는 톱니 끝 A(220)가 뾰족하게 삼각뿔형상으로 연삭가공되는것이 특징이며, 톱니 연삭가공시스템 B(600a)는 1차 연삭가공된 톱니 끝 A(220)의 형상을 2단 연마가공하여 도 8f의 A에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톱니 끝 B(220a)의 뾰족한 각도를 낮추어 연삭 가공되도록 톱니 연삭가공시스템 B(600a)에는 V형상 연삭휠 B(310a)타입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톱(200) 제품에 구비되는 다양한 톱니 구조(210, 210a, 210c)를 연속적으로 연삭 가공하기 위하여서는 톱니 연삭가공시스템 A(600)를 먼저 구비시키고, 여기에서 연삭가공된 톱니구조(210, 210a, 210c)를 타 단에 구비시킨 톱니 연삭가공시스템 B(600a)로 하여 톱니 끝 B(220a) 타입을 2단 연마가공토록 구비된다.
100 : 톱재료 고정지그 110 : 지그틀
110a : 밀착판 결합홈 120 : 톱니 간격 조정 단차부
130 : 바닥 단차부 140 : 연삭유 토출구
150 : 밀착판 160 : 밀착 유압실린더 170 : 삼각아대 A
170a : 삼각아대 B 170b : 삼각아대 C 170d : 단차부
180 : 톱재료 190 : 간지 190a : 버
200 :목재절단용 톱
210 : 톱니 A 210a : 톱니 B 210c : 톱니 C
220 : 톱니 끝 A 220a : 톱니 끝 B 220b : 절단부 A
220c : 절단부 B 220d : 빛각 부 A 220e : 빛각 부 B
230 : 톱니 간격 A 230a : 톱니 간격 B 240 : 뒷면 부
250 : 전면 부 260 : 1차 톱니 가공완성 형상
260a : 2차 연삭 가공될 지점
270 : 2차 톱니 가공 완료 형상 280 : 톱재료 고정 홀
290 : 톱니 중간부
300 : 연삭휠 310 : V형상 연삭 휠 A
310a : V형상 연삭 휠 B 320 : 연삭휠 끝 330 : V형상 직선부
340 : V형상 사선부 350 : 연삭휠 끝 간격 360 : 트루잉 휠
370 : 연삭휠 끝
400 : 톱니 확장 지그부 410 : 구동모터 지지 틀
420 : 구동모터 430 : 구동 샤프트
440 : 구동샤프트 전후 이동 조정부 440a : 상하이동 방향표시
440b : 구동샤프트 높낮이 조정부 440c : 조정 핸들
440d : 속도제어 부 440e : 높낮이 조정부 조정핸들
450 : 결합 조임 너트
460 : 톱재료 장착 지그 틀
470 : 버팀판 470a : 밀착판 470b : 유압실리더
470c ; 유압실리던 작동 방향표시
480 : 좌우 이동 판 480a : 상판 480b : 고정 하판 지지틀
490 : 좌우 이동판 거리 조정부
490a : 이동거리 조정 눈금표 490b : 좌우 이동 속도 제어부
500 : 지그 휠 510 : V형상 휠단부 520 : 결합 홀
530 : 원주율 A 530a : 원주율 B
540 : 톱길이 A 540a : 톱길이 B
550 : 직선부 560 : 원형타입 지그휠
570 : 일부직선부가 구비된 지그휠
600 : 톱니 연삭가공시스템 A 600a : 톱니 연삭가공시스템 B
610 : 구동모터 지지틀
620 : 구동모터 620a : 구동샤프트
630 : 연삭휠 전후 이동 간격 조정부 630a : 간격 조정 화살표시부
640 : 연삭휠 상하 높낮이 조정부
650 : 트루잉 구동모터 지지틀
660 : 트루잉 휠 660a : 트루잉 휠 간격 조정부
670 : 드레싱 블럭
680 : 전동제어 톱재료 방향 전환 지그부 680a : 좌우 이동 상판
680b : 고정지지 하판 680c : 좌우 이동 거리 조정부
680d : 좌우 이동 속도 제어부 680e : 톱재료 고정 핀
680f : 톱 재료고정결합 홀
690 : 톱재료 방향전환 제어부 690a : 방향 전환 구동부
690b : 각도 표기부 690c : 각도 고정 키 부
690d : 관절부 690e : 각도전환 밀대 690f : 밀착판 A
690f : 밀착판 B 690g : 유압실린더 690h : 유압실린더
690i : 고정판 690j : 각도전환판
700 : 롤 코일 타입 톱니 연삭가공시스템
710 : 롤 코일 710a : NC 롤 페더 710b : 언코일러
720 : 롤 코일 생산라인
730 : 전동 와이어브러쉬
740 : 고정 홀 가공 레이저가공기 740a : 톱 외형 재단 레이저가공기
750 : 고주파 열처리기기 760 : 톱외곽 재단 레이저기기
770 : 톱재료 방향 전환 지그부 770a : 좌우 이동 상판
770b : 고정 하판 지지틀 770c : 좌우 이동판 거리 조정부
770d : 좌우 이동 속도 제어부
770e : 톱재료 고정 핀 770f : 톱 재료고정결합 홀
780 : 톱재료 방향바꾸기 제어부 780a : 방향 전환 구동부
780b : 각도 표기부 780c : 각도 고정 키 부 780d : 관절부
780e : 각도전환 밀대 780f A : 밀착판 A 780f B : 밀착판 B
780g : 유압실린더

Claims (2)

  1. 원스톱 방식으로 톱니를 제조생산 하기 위한 톱니 연삭가공시스템에 있어서,
    컨베이어형 생산라인;
    상기 생산라인의 전방에 롤 코일 타입의 톱 원재료를 장착시키는 언코일러;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언코일러의 후방에 상기 롤코일을 완성 톱의 길이만큼 공급시켜주도록 NC롤페더;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NC롤페더의 후방에 톱재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을 형성하는 고정홀 가공 레이저가공기;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홀 가공 레이저 가공기의 후방에 톱니를 형성하기 위한 전후 한 쌍의 톱니 연삭 가공부;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톱니 가공 연삭부의 후방에 상기 톱니 가공시 발생된 버를 제거하기 위한 전동 와이어브러쉬;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전동 와이어브러쉬 후방에서 톱니를 양측으로 확장하여 주는 톱니 확장 지그;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톱니 확장 지그의 후방에서 톱니를 열처리 하기 위한 고주파 열처리기; 및
    상기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고주파 열처리된 톱재료를 재단하여 가공하는 톱 외곽 재단레이저기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방식의 톱니 연삭가공시스템.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 연삭 가공부는,
    고정지지하판; 상기 고정지지하판의 상부에 장착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좌우 이동 상판; 상기 좌우 이동 상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전동식으로 구동되는 톱재료 방향전환 지그부; 상기 고정지지하판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지그에 장착되는 톱재료에 톱니를 가공하기 위한 다수의 연삭휠; 상기 연삭휠을 구동하는 구동모터가 구비된 구동모터 지지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연삭휠을 회전하기 위한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모터 지지틀의 상부에는 구동 샤프트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한 연삭휠 상하 높낮이 조정부; 상기 구동모터 지지틀의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를 전후로 이동시켜 상기 연삭휠의 전후 위치를 조정하는 연삭휠 전후 이동 간격 조정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방식의 톱니 연삭가공시스템.
KR1020150106118A 2015-07-27 2015-07-27 원스톱 방식의 톱니 연삭 가공시스템 KR20150090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118A KR20150090016A (ko) 2015-07-27 2015-07-27 원스톱 방식의 톱니 연삭 가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118A KR20150090016A (ko) 2015-07-27 2015-07-27 원스톱 방식의 톱니 연삭 가공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160A Division KR101558028B1 (ko) 2012-06-25 2012-06-25 톱니 연삭가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016A true KR20150090016A (ko) 2015-08-05

Family

ID=5388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118A KR20150090016A (ko) 2015-07-27 2015-07-27 원스톱 방식의 톱니 연삭 가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00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4853A (zh) * 2019-06-10 2019-07-30 无锡海瑞焊割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龙门式激光切割机用安装调节机构
CN115647478A (zh) * 2022-11-11 2023-01-31 临沂友诚制锯技术服务有限公司 应用激光磨削加工pcd锯片的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4853A (zh) * 2019-06-10 2019-07-30 无锡海瑞焊割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龙门式激光切割机用安装调节机构
CN110064853B (zh) * 2019-06-10 2021-10-22 无锡海瑞焊割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龙门式激光切割机用安装调节机构
CN115647478A (zh) * 2022-11-11 2023-01-31 临沂友诚制锯技术服务有限公司 应用激光磨削加工pcd锯片的方法
WO2024099469A1 (zh) * 2022-11-11 2024-05-16 临沂友诚制锯技术服务有限公司 应用激光磨削加工pcd锯片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519088A (ja) 両端に小身を備える往復刃鋸ブレード及びそれに関連する方法
CN111890151A (zh) 一种全自动圆锯片双面磨磨床及其工作方法
KR20150090016A (ko) 원스톱 방식의 톱니 연삭 가공시스템
KR101558028B1 (ko) 톱니 연삭가공시스템
US7115027B2 (en) Grinding tool for sharpening work pieces
KR101314093B1 (ko) 롤 포밍 시스템용 코일 연결 장치
CN205673688U (zh) 全自动切铜机
CN210702821U (zh) 一种制作汽车制动冲压件具有固定结构的金属切割设备
JP2828423B2 (ja) 数値制御による総形工具の加工装置
KR101495769B1 (ko) 연마기를 포함하는 이종소재 접합용 지그장치
CN102165898B (zh) 一种特殊形状的修枝刀片及其加工方法
JP2006123066A (ja) 溝入れ研削加工方法
CN114102379A (zh) 一种冲凿刀生产加工治具及加工工艺
CN112171392A (zh) 一种带有压持结构的多方位刀具磨削机构
JP2004291073A (ja) 帯鋼の溶接ばり除去装置
CN202317074U (zh) 一种弹性刀具
CN219786252U (zh) 一种便于修边定位的冲压模具
CN213795582U (zh) 一种带有压持结构的多方位刀具磨削机构
CN206764516U (zh) 一种曲锯开齿装置和平面磨床
US4072068A (en) Band saw teeth working machine
CN211220166U (zh) 一种气门杆切断装置
CN102950513A (zh) 一种修磨机
CN212095626U (zh) 一种新型磨床倒角装置
JPS6322942B2 (ko)
CN210967821U (zh) 一种钢带焊接修磨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