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414A - 커넥터용 버클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버클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414A
KR20150087414A KR1020157016750A KR20157016750A KR20150087414A KR 20150087414 A KR20150087414 A KR 20150087414A KR 1020157016750 A KR1020157016750 A KR 1020157016750A KR 20157016750 A KR20157016750 A KR 20157016750A KR 20150087414 A KR20150087414 A KR 20150087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ejector
plate
base membe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9308B1 (ko
Inventor
휘 헝 하
요시히코 가와이
Original Assignee
사노 인더스트리얼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노 인더스트리얼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사노 인더스트리얼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87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15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11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e.g. placed on the front face of the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34Safety buckles with the sliding motion of the buckle providing the opening or clos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61Tongu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이고 간이한 구조를 갖고, 생산 효율이 양호한 커넥터용 버클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용 버클(1)은 베이스부재(10)와, 래치부재(20)와, 걸어맞춤 해제부재(30)와, 래치 스프링(35)과, 이젝터(40)와, 이젝터 스프링(45)과, 각 부를 수용하는 커버부재(60a, 60b)를 가지며, 텅(101)을 걸고 풀림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넥터용 버클로서, 베이스부재(10)가, 제 1 플레이트(13)와, 제 2 플레이트(15)를 갖고, 이젝터(40)가 2개의 아암(41a, 41b)과, 양 아암(41a, 41b) 사이에 놓여지며, 텅(101)에 압동되는 텅(101)의 압동면과 래치부재(20)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이젝터 스프링(45)의 누름면이 형성된 몸통부를 갖고, 각 아암(41a, 41b)의 선단에 텅(101)이 삽입되는 측을 시단으로 하여 베이스부재(10)의 종단측의 개구부와 걸어 맞추는 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용 버클 및 그 조립방법{BUCKLE FOR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벨트에 부설하여 이용되는 커넥터용 버클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3점식 시트 벨트에서는 탑승자의 어깨측에 대기된 시트 벨트용 텅(tongue)을 당겨, 1개의 웨빙으로 구성된 어깨 벨트와 허리 벨트를 동시에 인출하고, 탑승자의 상반신 및 요부(腰部)를 구속시키는 상태에서, 시트 벨트용 텅을 허리 벨트의 인출원(引出元)과 반대측의 좌석부분에 배치된 시트 벨트 버클에 꽂음으로써,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시킨다.
허리 벨트 인출원의 구조는 허리 벨트의 일단을 좌석 또는 그 주변 부재에 직접적으로 고정하는 구조와, 허리 벨트의 일단을 버클을 통하여 좌석 또는 그 주변 부재에 걸고 풀림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조가 있다. 후자의 버클은 커넥터 버클이라고 불리고, 허리 벨트의 일단측에 배치되는 커넥터 버클용 텅을 걸어 맞춰(係合) 이용된다. 이 커넥터 버클은 차량 정비를 실시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통상, 커넥터 버클용 텅과의 걸어맞춤(係合) 상태가 유지되며, 시트 벨트용 텅과 시트 벨트 버클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시 시트 벨트의 장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종류의 버클구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커넥터 버클은 차량 내 스페이스의 활용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보다 소형이고 간편한 구조를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후부 좌석에서는 커넥터 버클이 대형이면, 사용시에 탑승자의 허리에 닿아 불쾌감을 주는 일이 있는 것 외에, 탑승자가 없는 경우에, 시트 벨트 장치를 차량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하는 타입의 차종에서는 좌석에 남은 커넥터 버클이 좌석에의 화물 적재 등의 스페이스 활용에 방해가 된다.
지금까지 커넥터 버클로서 실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버클구조의 예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 버클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커넥터 버클(100)은 베이스부재(110), 래치부재(120), 걸어맞춤 해제부재(130), 판 스프링(135), 이젝터(140), 코일 스프링(145), 스토퍼부재(150) 및 커버부재(160a, 160b)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각 부에 관하여, 베이스부재(110)는 삽입 방향(I)의 측부에 걸어맞춤 홈(102)이 형성된 텅(101)을 삽입 가능한 내부영역(111)과, 상하에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112)을 갖는다. 또, 래치부재(120)는 베이스부재(110)의 슬라이드 홈(112)에 삽입 통과(揷通)되는 동시에 그 양단이 베이스부재(110)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또, 걸어맞춤 해제부재(130)는 コ자 형상의 부재로서 그 개구측으로부터 베이스부재(110)의 측면에 외측 삽입(外揷)되고, 베이스부재(110)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래치부재(120)의 양단과 걸어 맞춰서 외측 삽입 상태가 지지되는 걸어맞춤 지지부(131a, 131b)를 갖는다. 또, 판 스프링(135)은 베이스부재(110)-걸어맞춤 해제부재(130) 사이에 끼워 삽입되고, 걸어맞춤 해제부재(130)를 래치부재(120)의 제 1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슬라이드하도록 힘이 가해진다(付勢). 또, 이젝터(140)는 베이스부재(110)의 내부영역(111)에 배치된다. 또, 코일 스프링(145)은 이젝터(140)-스토퍼부(150) 사이에 배치되고, 이젝터(140)를 텅(101)의 삽입 방향(I)과 반대 방향인 삽탈(揷脫) 방향(E)으로 압출하도록 힘이 가해진다. 스토퍼부재(150)는 평면에서 보아(平面視) 오목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단부측에 형성되는 걸어맞춤부(151a, 151b)가 베이스부재(110)의 조부(爪部)(113a, 113b)에 걸어 맞춰져서 베이스부재(110)에 배치된다. 상하 2개의 커버부재(160a, 160b)는 이와 같이 각 부가 배치된 베이스부재(110)를 내부에 끼워 넣도록 수용하고, 수용한 상태에서 나사(161)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커넥터 버클(100)에서는, 텅(101)을 삽입 방향(I)으로부터 삽입시켜 가면, 래치부재(120)가 일단 텅(101)의 머리부로 압동(押動)되어 제 2 슬라이드 방향(X2)으로 슬라이드한 후, 텅(101)의 걸어맞춤 홈(102)의 위치에서, 판 스프링(135)에 의해 제 1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슬라이드하여, 텅(101)의 걸어맞춤 홈(102)과 걸어 맞춰진다. 동시에, 이젝터(140)는 텅(101)의 머리부로 압동되고, 코일 스프링(145)의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스토퍼부재(150)측으로 밀어 넣어진다. 이에 따라, 커넥터 버클(100)에 텅(101)이 걸어 맞춰진다.
한편, 커넥터 버클(100)과 텅(101)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커버부재(160b)에 형성된 절결부(162)로부터 차량의 키 등의 부재를 꽂고, 걸어맞춤 해제부재(130)를 래치부재(120)가 제 2 슬라이드 방향(X2)으로 슬라이드하도록 압동 조작하여 텅(101)의 걸어맞춤 홈(102)으로부터 래치부재(120)가 빠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압동 조작하면, 이젝터(140)가 코일 스프링(145)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 텅(101)을 삽탈 방향(E)으로 압출하여 커넥터 버클(100)로부터 텅(101)이 삽탈된다.
이 커넥터 버클(100)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먼저, 베이스부재(110)에서는, 대향하는 면을 걸어맞춤 해제부재(130)가 외측 삽입되는 측면을 되접어 꺾음 위치로 하여 되접어 꺾어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영역(111)에 상당하는 크기의 판금을 끼워 삽입하는 부재로 이용한 판금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평판형상의 부재를 판금의 형상을 따라 접어 구부려, 대향하는 면이 되접어 꺾어 형성된 베이스부재(110)가 형성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재(110)에서는 내부영역(111)의 높이를 판금의 두께보다 낮게 할 수 없어, 베이스부재(110)의 두께가 커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두께가 얇은 판금을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판금의 두께를 얇게 하면, 기계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 중에 판금의 파손을 초래하게 된다.
다음으로, 베이스부재(110)에 이젝터(140)를 조립할 때, 미리 이젝터(140)와 코일 스프링(145)과 스토퍼부재(150)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베이스부재(110)의 내부영역(111) 내에 삽입하게 되는데, 내부영역(111)의 높이에 비해, 스토퍼부재(150)의 높이가 높아지기 때문에, 스토퍼부재(150)측에 비하여 이젝터(140)측을 내리면서 내부영역(111)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부터 조립할 필요가 있다. 즉, 스토퍼부재(150)는 텅(101)의 삽입에 저항하여 이젝터(140)를 지지하기 때문에, 베이스부재(110)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114)에 볼록부(153)를 삽입하여 베이스부재(110)에 고정되지만, 이 볼록부(153)의 높이만큼 스토퍼부재(150)의 높이가 내부영역(111)의 높이에 비해 높아져서 경사 방향에서의 조립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사 방향의 조립은 기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어려워 커넥터 버클(100)의 생산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소형이고 간이한 구조를 갖고, 생산 효율이 양호한 커넥터용 버클로서는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현상이다.
일본국 특개 2007-83797호 공보
본 발명은 종래의 상기 제문제를 해결하고,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소형이고 간이한 구조를 갖고, 생산 효율이 양호한 커넥터용 버클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이하와 같다. 즉,
<1> 삽입 방향의 측부에 걸어맞춤 홈이 형성된 텅을 삽입 가능한 내부영역 및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을 갖는 금속제의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기 각 슬라이드 홈에 삽입 통과되는 동시에 그 양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삽입되는 상기 텅의 상기 걸어맞춤 홈의 위치에서 해당 걸어맞춤 홈의 홈 내 방향을 따르는 제 1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텅의 상기 걸어맞춤 홈과 걸어 맞춰지는 기둥형상의 래치부재와, コ자 형상의 부재로서 그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에 외측 삽입되고,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상기 베이스부재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래치부재의 양단과 걸어 맞춰서 외측 삽입상태가 지지되는 걸어맞춤 지지부를 가지며, 외부로부터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래치부재를 상기 제 1 슬라이드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텅의 상기 래치부재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걸어맞춤 해제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상기 걸어맞춤 해제부재 사이에 끼워 삽입되고, 상기 걸어맞춤 해제부재를 상기 제 1 슬라이드 방향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 텅과 상기 래치부재의 걸어맞춤 상태를 지지하는 래치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부영역에 배치되고, 삽입된 상기 텅의 상기 래치부재와의 걸어맞춤 해제시에 상기 텅을 상기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인 삽탈 방향으로 압출하며, 그 압출 위치에서 상기 래치부재를 지지하는 동시에, 삽입되는 상기 텅에 압동되어 상기 래치부재의 지지가 해제되고, 상기 텅과 상기 래치부재와의 걸어맞춤을 가능하게 하는 이젝터와, 상기 텅의 삽입 방향의 최심부에서 상기 내부영역을 경계짓는 부를 스토퍼부로 하며, 해당 스토퍼부와 상기 이젝터 사이에 끼워 삽입되어 상기 이젝터를 상기 텅의 삽탈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이젝터 스프링과, 각 부를 수용하는 커버부재를 갖고, 상기 텅을 걸고 풀림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넥터용 버클로서,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양측벽이 형성되고, 평면이 개구된 오목형상의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삽입 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평면 개구를 막도록 배치되는 평판형상의 제 2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이젝터가, 각각이 상기 삽입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각 측벽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베이스부재에 내측 삽입(內揷)되는 2개의 아암과, 상기 양 아암 사이에 놓여지며, 상기 텅에 압동되는 상기 텅의 압동면(押動面)과 상기 제 2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상기 래치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이젝터 스프링에 눌리는 누름면이 형성된 몸통부를 가지며, 상기 각 아암의 선단에 상기 텅이 삽입되는 측을 시단(始端)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의 종단(終端)측의 상기 개구부와 걸어 맞추는 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버클.
<2> 각 아암의 조부의 각각이, 제 1 플레이트의 각 측벽 종단과 걸어 맞춰지는 상기 <1>에 기재한 커넥터용 버클.
<3> 제 2 플레이트의 종단측에 스토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1>부터 <2>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커넥터용 버클.
<4> 래치 스프링이 코일 스프링이며, 제 1 플레이트의 걸어맞춤 해제부재가 외측 삽입되는 측의 측면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을 걸리게 하는 위치결정 홈이 형성되는 상기 <1>부터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커넥터용 버클.
<5> 베이스부재가, 제 1 플레이트의 걸어맞춤 해제부재가 외측 삽입되는 측의 측면과 대향하여, 삽입된 텅의 각 슬라이드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규제부를 갖는 상기 <1>부터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커넥터용 버클.
<6> 위치 규제부가,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대향하는 플레이트 평면을 향하여 부분적으로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5>에 기재한 커넥터용 버클.
<7> 이젝터가, 2개의 아암 중, 걸어맞춤 해제부재가 외측 삽입되는 측의 측면과 반대측의 측면으로 슬라이딩시켜 베이스부재에 내측 삽입되는 아암의 기단측으로부터 삽탈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기둥형상의 파지부를 갖는 상기 <1>부터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커넥터용 버클.
<8> 상기 <1>부터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커넥터용 버클의 조립방법으로서, 이젝터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이젝터를 베이스부재의 시단측부터 종단측을 향하여 대략 수평 방향으로 내측 삽입하는 이젝터 조립공정과, 베이스부재의 각 슬라이드 홈에 래치부재를 삽입 통과하여 배치하는 래치부재 조립공정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래치 스프링을 통하여 걸어맞춤 해제부재를 외측 삽입하는 동시에, 해당 걸어맞춤 해제부재의 걸어맞춤 지지부에 상기 래치부재를 걸어 맞춰서 배치하는 걸어맞춤 해제부재 조립공정과, 상기 걸어맞춤 해제부재가 외측 삽입된 상기 베이스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커버부재를 배치하는 커버부재 조립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버클의 조립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의 상기 제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소형이고 간이한 구조를 가지며, 생산 효율이 양호한 커넥터용 버클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 버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용 버클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용 버클의 측면도이다.
도 2c는 텅을 걸어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용 버클의 평면도이다.
도 2d는 텅을 걸어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용 버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용 버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베이스부재에 걸어맞춤 해제부재가 외측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베이스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이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2a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b는 커버부재를 벗긴 상태의 도 2b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2c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d는 커버부재를 벗긴 상태의 도 2d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7a는 커넥터용 버클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1)이다.
도 7b는 커넥터용 버클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2)이다.
도 7c는 커넥터용 버클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3)이다.
도 7d는 커넥터용 버클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4)이다.
도 7e는 커넥터용 버클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5)이다.
도 7f는 커넥터용 버클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6)이다.
도 7g는 커넥터용 버클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7)이다.
도 7h는 커넥터용 버클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8)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용 버클을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용 버클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그 측면도이다. 또, 도 2c는 텅과 걸어 맞춰진 상태의 커넥터용 버클의 평면도이고, 도 2d는 그 측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용 버클(1)은 버클구조가 위 커버(60a)와 아래 커버(60b)로 구성되는 커버부재 내에 수용되어 구성되고, 텅(101)과 걸고 풀림이 자유롭다. 또한 위 커버(60a)와 아래 커버(60b)에는 임의의 차량부재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웨빙을 걸어 돌리기 위한 링부(61a, 61b)가 형성된다.
커넥터용 버클(1)의 버클구조에 대해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용 버클의 분해 사시도이다.
커넥터용 버클(1)은 제 1 플레이트(13)와 제 2 플레이트(15)로 형성되는 베이스부재(10)와, 래치부재(20)와, 걸어맞춤 해제부재(30)와, 래치 스프링(35)과, 이젝터(40)와, 이젝터 스프링(45)과, 전술한 위 커버(60a) 및 아래 커버(60b)로 구성된다.
제 1 플레이트(13)는 평면이 개구된 오목형상의 금속부재로 이루어지고, 텅(101)의 삽입 방향(I)을 따라 양측벽이 형성된다. 또, 제 2 플레이트(15)는 평판상의 금속부재로 이루어지고, 제 1 플레이트(13)의 개구를 막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재를 2개의 플레이트부재에 의한 샌드위치 구성으로 함으로써, 베이스부재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커넥터용 버클(1)을 소형화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13) 및 제 2 플레이트(15)로 경계지어지는 내부영역(11)은 텅이 삽입 가능한 크기가 된다. 또, 제 1 플레이트(13)와 제 2 플레이트(15)의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는 래치(2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홈(12a, 12b)이 형성된다.
또, 제 1 플레이트(13)에는 임의의 차량부재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웨빙을 걸어 돌리기 위한 링부(19)가 형성된다.
베이스부재(10)에 걸어맞춤 해제부재(30)가 외측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 4a에 나타낸다. 해당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플레이트(13) 및 제 2 플레이트(15)의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는 삽입된 텅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규제부로서, 대향하는 플레이트를 향하여 부분적으로 굴곡시킨 찌부러뜨림(crush)부(16)가 추가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삽입된 텅의 슬라이드 홈(12a, 12b)의 각 슬라이드 방향(X1, X2 방향, 도 3 참조)에 대한 이동이 규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찌부러뜨림부(16)는 제 1 플레이트(13) 및 제 2 플레이트(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제 1 플레이트(13) 및 제 2 플레이트(15)의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는 이젝터 스프링(45)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젝터 스프링(45)을 텅(101)의 삽입측으로부터 스토퍼부(50)를 향하여 안내하는 가이드부(18)가 추가로 형성된다. 해당 가이드부(18)는 이젝터 스프링의 지름에 따라 제 1 플레이트(13) 및 제 2 플레이트(15)의 대향하는 면을 바깥쪽으로 굴곡시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립시에 이젝터 스프링(45)을 가이드부(18)에서 안내하면서 텅(101)의 삽입측으로부터 스토퍼부(50)를 향하여 대략 수평 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8)는 제 1 플레이트(13) 및 제 2 플레이트(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베이스부재(10)의 측면도를 도 4b에 나타낸다. 해당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플레이트(13)의 걸어맞춤 해제부재(30)가 외측 삽입되는 측의 측면에는 래치 스프링(35)의 일단측이 외측 삽입되는 위치결정 홈(17)이 형성된다.
또, 제 2 플레이트(15)에는 텅(101)의 삽입 방향(I)의 최심부에서 내부영역(11)을 경계짓는 스토퍼부(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스토퍼부(50)에는 이젝터 스프링(45)의 일단측이 외측 삽입되는 볼록부(5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스토퍼부(50)가 제 2 플레이트(15)에 일체 형성됨으로써, 커넥터용 버클의 조립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부품 점수를 줄여서 보다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래치부재(20)는 기둥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드 홈(12a, 12b)에 삽입 통과되는 동시에, 그 양단이 제 1 플레이트(13) 및 제 2 플레이트(15)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도 3 참조). 이 래치부재(20)는, 삽입되는 텅(101)의 걸어맞춤 홈(102)의 위치에서 해당 걸어맞춤 홈(102)의 홈 내 방향을 따르는 제 1 슬라이드 방향(X1)으로 슬라이드하여 걸어맞춤 홈(102)에 걸어 맞춰진다.
걸어맞춤 해제부재(30)는 전체가 대략 コ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개구측으로부터 베이스부재(10)에 외측 삽입되는 동시에,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형성되는 걸어맞춤 지지부(31a, 31b)와 베이스부재(10)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래치부재(20)의 양단을 걸어맞춤 시킴으로써, 해당 외측 삽입 상태가 지지된다(도 3, 도 4a 참조). 걸어맞춤 지지부(31a, 31b)는 래치부재의 형상에 따라 걸어맞춤 해제부재(30)를 가공하여 형성된다.
또, 베이스부재(10)의 측면과 대향하는 면에는 래치 스프링(35)의 일단을 지지하는 볼록부(32)가 형성된다(후술의 도 7d 참조).
래치 스프링(35)은 베이스부재(10)-걸어맞춤 해제부재(30) 사이에 끼워 삽입되며, 걸어맞춤 해제부재(30)를 제 1 슬라이드 방향(X1)으로 힘을 가한다.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여기에서는 래치 스프링(35)으로서 코일 스프링이 이용된다. 이 경우, 래치 스프링(35)은 제 1 플레이트(13)의 위치결정 홈(17)과 걸어맞춤 해제부재(30)의 볼록부(32)에 각 단부가 지지되어 안정된 상태에서 커넥터용 버클(1)에 배치된다(도 3, 도 4a, 도 4b, 도 7d 참조).
이젝터(40)는 텅(101)의 삽입 방향(I)측으로부터 베이스부재(10)의 내부영역(11)에 내측 삽입되어 배치된다(도 3 참조). 여기에서, 이젝터(40)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이젝터(40)의 사시도이다.
이젝터(40)는 각각이 삽입 방향(I)으로 연장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제 1 플레이트(13)의 각 측벽으로 슬라이딩시켜 베이스부재(13)에 내측 삽입되는 2개의 아암(41a, 41b)과, 양 아암(41a-41b) 사이에 놓여지고, 텅(101)에 압동되는 압동면(43a)과 제 2 슬라이드 방향(X2)(도 3 참조)으로 슬라이드된 래치부재(20)를 지지하는 지지부(43b)와 이젝터 스프링(45)의 누름면(43c)이 형성된 몸통부(42)를 갖는다. 아암(41a, 41b)의 선단에는 텅(101)이 삽입되는 측을 시단으로 하여 제 1 플레이트(13)의 양측벽의 종단과 걸어 맞추는 조부가 형성된다. 이젝터(40)를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베이스부재(10)에 대한 조립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일단, 조립되면 이젝터 스프링(45)의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조부가 제 1 플레이트(13)의 양측벽의 종단에 걸어 맞춰지기 때문에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누름면(43c)에는 이젝터 스프링(45)의 일단을 지지하는 볼록부(43d)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아암(41a, 41b)의 조부의 각각을 제 1 플레이트(13)의 양측벽 종단과 걸어 맞춰지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이젝터(40)를 베이스부재(10)의 내부영역에 내측 삽입시키기 쉽고 조립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조립 후의 걸어맞춤이 벗겨지기 어렵고, 간이한 구조로 외력에 대한 안정된 걸어맞춤을 실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그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한, 본 실시형태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조부의 구조를 바꾸어 베이스부재의 임의의 종단측 개구부와 걸어맞춤 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아암(41a)의 조부가 제 2 플레이트(15)의 종단에 걸어 맞춰지고, 아암(41b)의 조부가 제 1 플레이트(13)의 측벽 종단에 걸어 맞춰지도록 구성되어도 되며, 혹은, 아암(41a)의 조부가 제 1 플레이트(13)의 측벽 종단에 걸어 맞춰지고, 아암(41b)의 조부가 제 2 플레이트(15)의 종단에 걸어 맞춰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이젝터(40)는 2개의 아암(41a, 41b) 중, 제 1 플레이트의 걸어맞춤 해제부재(30)가 외측 삽입되는 측의 측면과 반대측의 측면으로 슬라이딩시켜 베이스부재(10)에 내측 삽입되는 아암(41a)의 기단측으로부터 텅의 삽탈 방향(E)(도 3 참조)으로 연장 설치되는 기둥형상의 파지부(44)를 갖는다. 파지부(44)를 파지하여 이젝터(40)를 베이스부재(10)의 내부영역에 내측 삽입함으로써, 조립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젝터 스프링(45)은, 제 2 플레이트(15)의 스토퍼부(50)와 이젝터(40)의 누름면(43c) 사이에 끼워 삽입되고, 베이스부재(10)의 내부영역(11)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젝터(40)를 텅(101)의 삽탈 방향(E)으로 힘을 가한다. 여기에서는, 이젝터 스프링(45)을 코일 스프링으로 함으로써, 코일 스프링의 각 단이 스토퍼부(50)의 볼록부(52)와 누름면(43c)의 볼록부(43d)로 지지되어 코일 스프링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용 버클(1)에 대한 텅(101)의 걸어맞춤 동작 및 그 해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는 도 2a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b는 커버부재를 벗긴 상태의 도 2b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c는 도 2c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6d는 커버부재를 벗긴 상태의 도 2d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먼저, 텅(101)을 삽입하기 전의 초기상태(걸어맞춤 해제상태)를 도 6a, 도b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초기상태에 있어서, 래치부재(20)는 래치 스프링(35)에 힘이 가해진 걸어맞춤 해제부재(30)에 의해 슬라이드 홈(12b)에 있어서의 제 1 슬라이드 방향(X1)으로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 이젝터(40)의 지지부(43b)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의 래치부재(20)의 위치를 래치부재(20)의 초기 위치로 한다.
또, 이젝터(40)는 이젝터 스프링(45)에 의해 텅(101)의 삽탈 방향(E)으로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 아암(41a, 41b)의 조부와 제 1 플레이트(13)의 측벽 종단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의 이젝터(40)의 위치를 이젝터(40)의 초기 위치로 한다.
이 초기상태에서부터 텅(101)을 삽입 방향(I)부터 삽입해 가면, 이젝터(40)의 압동면(43a)이 텅(101)의 선단으로 압동되어 이젝터(40)가 초기 위치보다 삽입 방향(I)을 따라 스토퍼부(50)측으로 진행된다.
이젝터(40)가 스토퍼부(50)측으로 진행되면, 이젝터(40)의 지지부(43b)의 래치부재(20)에 대한 지지가 해제되고, 래치부재(20)가 초기 위치보다 제 1 슬라이드 방향(X1)측으로 진행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삽입되는 텅(101)의 걸어맞춤 홈(102)의 위치에서 홈 내 방향(슬라이드 방향 X1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걸어맞춤 홈(102)과 걸어 맞춰진다.
다음으로, 텅(101)을 삽입시킨 걸어맞춤 상태를 도 6c, 도 6d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래치부재(20)는 텅(101)의 걸어맞춤 홈(102)과 걸어 맞춰져서 텅(101)과 커넥터용 버클(1)의 걸어맞춤이 걸어맞춤 상태로 된다. 이때, 텅(101)은 제 1 플레이트(13)의 측면과, 해당 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찌부러뜨림부(16)에 의해, 각 슬라이드 방향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어 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텅(101)과 커넥터용 버클(1)의 걸어맞춤과의 걸어맞춤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은 걸어맞춤 상태에서 텅(101)과 커넥터용 버클(1)과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할 때는, 우선, 아래 커버에 형성되는 조작구멍(62)(도 3 참조)으로부터, 차량의 키, 옆 좌석의 텅 등을 꽂고, 그 누름조작에 의해 걸어맞춤 해제부재(30)를 제 2 슬라이드 방향(X2)을 따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해당 걸어맞춤 해제부재(30)에 걸어맞춤 지지되는 래치부재(20)를 초기 위치보다도 슬라이드 홈(12b)에 있어서의 제 2 슬라이드 방향(X2)으로 슬라이드시킨다.
래치부재(20)가 제 2 슬라이드 방향(X2)으로 슬라이드되면, 텅(101)의 걸어맞춤 홈(102)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래치부재(20)와 텅(101)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이젝터 스프링(45)에 힘이 가해진 이젝터(40)에 의해, 텅(101)이 삽탈 방향(E)으로 압출되는 동시에, 그 압출 위치(이젝터(40)의 초기 위치)에서, 래치부재(20)가 이젝터(40)의 지지부(43b)에 지지되게 된다.
이상에 의해, 텅(101)과 커넥터용 버클(1)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커넥터용 버클(1)이 전술의 초기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커넥터용 버클(1)에 따르면, 소형이고 간이한 구조이고, 또한, 조립이 간단한 구조를 갖는 커넥터용 버클로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커넥터용 버클(1)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도 7a∼도 7h는 커넥터용 버클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1)∼(8)이다.
우선, 제 1 플레이트(13) 및 제 2 플레이트(15)로 구성되는 베이스부재(10)의 내부영역(11)에 대하여 이젝터 스프링(45)을 삽입한다(도 7a 참조). 이때, 이젝터 스프링(45)을 텅의 삽입측에서부터 베이스부재의 시단측부터 종단측을 향하여 대략 수평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다. 또, 베이스부재(10)에 가이드부(18)가 있으면, 보다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베이스부재(10)의 내부영역(11)에 대하여 이젝터(40)를 삽입한다(도 7b 참조). 이때, 이젝터(40)의 아암(41a, 41b)을 제 1 플레이트(13)의 각 측벽에 슬라이딩시켜 삽입하고, 아암(41a, 41b) 선단의 조부를 제 1 플레이트(13)의 양측벽의 종단에 걸어 맞춰 조립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조립에 따르면, 이젝터(40)를 텅의 삽입측에서부터 베이스부재(10)의 시단측부터 수평측을 향하여 대략 수평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이젝터(40)와 이젝터 스프링(45)을 따로 따로 조립했지만, 가이드부(18)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등에서는, 볼록부(43d)에 이젝터 스프링(45)을 지지시킨 상태의 이젝터(40)를 베이스부재(10)에 조립해도 된다(이상, 이젝터 조립공정).
이어서, 베이스부재(10)의 슬라이드 홈(12a, 12b)에 래치부재(20)를 삽입 통과하여 배치한다(래치부재 조립공정, 도 7c 참조).
이어서, 걸어맞춤 해제부재(30)의 볼록부(32)에 래치 스프링(35)을 부착한다(도 7d 참조).
이어서, 베이스부재(10)에 대하여, 래치 스프링(35)을 통하여 걸어맞춤 해제부재를 외측 삽입하는 동시에, 걸어맞춤 해제부재(30)의 걸어맞춤 지지부(31a, 31b)에 래치부재(20)를 걸어 맞춘다(이상, 걸어맞춤 해제부재 조립공정, 도 7e 참조).
이어서, 베이스부재(10)를 아래 커버(60b) 내에 배치한다(도 7f 참조).
그리고, 베이스부재(1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위 커버(60a)를 아래 커버(60b)에 끼워 맞춘다(이상, 커버부재 조립공정도, 도 7g 참조).
이상에 따라, 커넥터용 버클(1)의 조립을 완료한다(도 7h 참조). 이와 같은 조립방법에 따르면, 이젝터(40) 및 이젝터 스프링(45)을 베이스부재(10)의 내부영역(11)에 대하여 텅의 삽입측으로부터 대략 수평 방향으로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해진다. 특히,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조립을 배제함으로써, 기계적인 조립장치를 도입하기 쉬워 생산성의 대폭적인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1: 커넥터용 버클 10, 110: 베이스부재
11, 111: 내부영역 12a, 12b, 112: 슬라이드 홈
13: 제 1 플레이트 15: 제 2 플레이트
16: 찌부러뜨림부 17: 위치결정 홈
18: 가이드부 19, 61a, 61b:링부
20, 120: 래치부재 30, 130: 걸어맞춤 해제부재
31a, 31b, 131a, 131b: 걸어맞춤 지지부
32, 43d, 52: 볼록부 40, 140: 이젝터
41a, 41b: 아암 42: 몸통부
43a: 압동면 43b: 지지부
43c: 누름면 44: 파지부
45: 이젝터 스프링 50, 150: 스토퍼부
60a, 160a: 위 커버 60b, 160b: 아래 커버
62, 162: 조작구멍 100: 커넥터 버클
135: 판 스프링 145: 코일 스프링
161: 나사 X1: 제 1 슬라이드 방향
X2: 제 2 슬라이드 방향 I: 삽입 방향
E: 삽탈 방향

Claims (8)

  1. 삽입 방향의 측부에 걸어맞춤 홈이 형성된 텅(tongue)을 삽입 가능한 내부영역 및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을 갖는 금속제의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기 각 슬라이드 홈에 삽입 통과되는 동시에 그 양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삽입되는 상기 텅의 상기 걸어맞춤 홈의 위치에서 상기 걸어맞춤 홈의 홈 내 방향을 따르는 제 1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텅의 상기 걸어맞춤 홈과 걸어 맞춰지는 기둥형상의 래치부재와, コ자 형상의 부재로서 그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에 외측 삽입되고,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상기 베이스부재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래치부재의 양단과 걸어맞춰서 외측 삽입상태가 지지되는 걸어맞춤 지지부를 가지며, 외부로부터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래치부재를 상기 제 1 슬라이드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텅의 상기 래치부재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걸어맞춤 해제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상기 걸어맞춤 해제부재 사이에 끼워 삽입되고, 상기 걸어맞춤 해제부재를 상기 제 1 슬라이드 방향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 텅과 상기 래치부재의 걸어맞춤 상태를 지지하는 래치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부영역에 배치되고, 삽입된 상기 텅의 상기 래치부재와의 걸어맞춤 해제시에 상기 텅을 상기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인 삽탈 방향으로 압출하며, 그 압출 위치에서 상기 래치부재를 지지하는 동시에, 삽입되는 상기 텅에 압동되어 상기 래치부재의 지지가 해제되고, 상기 텅과 상기 래치부재와의 걸어맞춤을 가능하게 하는 이젝터와, 상기 텅의 삽입 방향의 최심부에서 상기 내부영역을 경계짓는 부를 스토퍼부로 하며,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이젝터 사이에 끼워 삽입되어 상기 이젝터를 상기 텅의 삽탈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이젝터 스프링과, 각 부를 수용하는 커버부재를 갖고, 상기 텅을 걸고 풀림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넥터용 버클로서,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양측벽이 형성되고, 평면이 개구된 오목형상의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삽입 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평면 개구를 막도록 배치되는 평판형상의 제 2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이젝터가, 각각이 상기 삽입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각 측벽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베이스부재에 내측 삽입되는 2개의 아암과, 상기 양 아암 사이에 놓여지며, 상기 텅에 압동되는 상기 텅의 압동면과 상기 제 2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상기 래치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이젝터 스프링에 눌리는 누름면이 형성된 몸통부를 가지며, 상기 각 아암의 선단에 상기 텅이 삽입되는 측을 시단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의 종단측의 상기 개구부와 걸어 맞추는 조부(爪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버클.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아암의 조부의 각각이, 제 1 플레이트의 각 측벽 종단과 걸어 맞춰지는 커넥터용 버클.
  3. 제 1 항부터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플레이트의 종단측에 스토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커넥터용 버클.
  4. 제 1 항부터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치 스프링이 코일 스프링이며, 제 1 플레이트의 걸어맞춤 해제부재가 외측 삽입되는 측의 측면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을 걸리게 하는 위치결정 홈이 형성되는 커넥터용 버클.
  5. 제 1 항부터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부재가, 제 1 플레이트의 걸어맞춤 해제부재가 외측 삽입되는 측의 측면과 대향하여, 삽입된 텅의 각 슬라이드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규제부를 갖는 커넥터용 버클.
  6. 제 5 항에 있어서,
    위치 규제부가,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대향하는 플레이트 평면을 향하여 부분적으로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커넥터용 버클.
  7. 제 1 항부터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젝터가, 2개의 아암 중, 걸어맞춤 해제부재가 외측 삽입되는 측의 측면과 반대측의 측면으로 슬라이딩시켜 베이스부재에 내측 삽입되는 아암의 기단측으로부터 삽탈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기둥형상의 파지부를 갖는 커넥터용 버클.
  8. 제 1 항부터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커넥터용 버클의 조립방법으로서,
    이젝터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이젝터를 베이스부재의 시단측부터 종단측을 향하여 대략 수평 방향으로 내측 삽입하는 이젝터 조립공정과,
    베이스부재의 각 슬라이드 홈에 래치부재를 삽입 통과하여 배치하는 래치부재 조립공정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래치 스프링을 통하여 걸어맞춤 해제부재를 외측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 해제부재의 걸어맞춤 지지부에 상기 래치부재를 걸어 맞춰서 배치하는 걸어맞춤 해제부재 조립공정과,
    상기 걸어맞춤 해제부재가 외측 삽입된 상기 베이스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커버부재를 배치하는 커버부재 조립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버클의 조립방법.
KR1020157016750A 2012-12-18 2013-10-31 커넥터용 버클 및 그 조립방법 KR101699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76146 2012-12-18
JP2012276146A JP6259183B2 (ja) 2012-12-18 2012-12-18 コネクタ用バックル及びその組付方法
PCT/JP2013/079489 WO2014097753A1 (ja) 2012-12-18 2013-10-31 コネクタ用バックル及びその組付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414A true KR20150087414A (ko) 2015-07-29
KR101699308B1 KR101699308B1 (ko) 2017-01-24

Family

ID=5097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750A KR101699308B1 (ko) 2012-12-18 2013-10-31 커넥터용 버클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55411B2 (ko)
JP (1) JP6259183B2 (ko)
KR (1) KR101699308B1 (ko)
CN (1) CN104936834B (ko)
MX (1) MX359341B (ko)
WO (1) WO20140977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03978B4 (de) * 2013-03-08 2022-06-09 Zf Automotive Germany Gmbh Gurtschloss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Gurtschlosses
KR101674493B1 (ko) * 2014-07-10 2016-11-1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CN107125855A (zh) * 2016-02-29 2017-09-05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安全扣具、安全扣具组、安全防护装置及安全服衣襟
US10292459B2 (en) * 2016-09-15 2019-05-21 Cutter Technologies Pte Ltd Fastener
TWI636906B (zh) * 2017-08-31 2018-10-01 王亮雄 多點式安全帶裝置
CN108813829A (zh) * 2018-05-28 2018-11-16 浙江松原汽车安全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迷你锁扣
WO2020173467A1 (zh) * 2019-02-28 2020-09-03 上海正经科技有限公司 一种脱扣器、电动脱扣器、牵引带和无人机电动脱扣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612A (ja) * 2000-01-19 2001-08-28 Trw Occupant Restraint Syst Gmbh & Co Kg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
JP2002249019A (ja) * 2001-01-18 2002-09-03 Trw Occupant Restraint Syst Gmbh & Co Kg シートベルトのためのクロージャ
JP2006014832A (ja) * 2004-06-30 2006-01-19 Tokai Rika Co Ltd バックル装置
JP2007083797A (ja) 2005-09-21 2007-04-05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5221A1 (en) * 2001-03-26 2002-09-26 Rogers Lloyd Walker Seat restraint tensioner
US6957829B2 (en) * 2002-05-10 2005-10-25 Delphi Technologies, Inc. Tension sensing assembly
JP4787649B2 (ja) * 2006-03-30 2011-10-0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組立構造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612A (ja) * 2000-01-19 2001-08-28 Trw Occupant Restraint Syst Gmbh & Co Kg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
JP2002249019A (ja) * 2001-01-18 2002-09-03 Trw Occupant Restraint Syst Gmbh & Co Kg シートベルトのためのクロージャ
JP2006014832A (ja) * 2004-06-30 2006-01-19 Tokai Rika Co Ltd バックル装置
JP2007083797A (ja) 2005-09-21 2007-04-05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59183B2 (ja) 2018-01-10
CN104936834B (zh) 2018-08-24
MX359341B (es) 2018-09-26
US9655411B2 (en) 2017-05-23
KR101699308B1 (ko) 2017-01-24
US20150296927A1 (en) 2015-10-22
MX2015007816A (es) 2015-09-10
JP2014118085A (ja) 2014-06-30
WO2014097753A1 (ja) 2014-06-26
CN104936834A (zh)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308B1 (ko) 커넥터용 버클 및 그 조립방법
EP2476582A1 (en) Seat belt lock device of a child car seat, and a child car seat
TW201027856A (en) Connector of a simple structure having a locking mechanism
US10144045B2 (en) Bending tool
JPH05315027A (ja)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US7252525B2 (en) Nestled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KR101485937B1 (ko) 레버 지그 및 커넥터 장치
JP2011048174A (ja) 着脱工具
JP5761333B2 (ja) 光モジュール
KR101472703B1 (ko) 커넥터
US9019051B2 (en) Attachment/detachment structure for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accessory unit and assembly method for movable hook portion provided in accessory unit
JP2012173344A (ja) 光コネクタ
KR20200107498A (ko) 케이블 연결장치
JP2000004909A (ja) バックル用スイッチ、バックル及びバックル製造方法
JP2004327231A (ja) コネクタ
JP6383451B1 (ja)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330956B2 (ja) 電気コネクタ
TW201008051A (en) Card adapter
KR101470953B1 (ko)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KR20180060401A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로킹구조
JP2007280384A (ja) カードホルダ装置
WO2012160679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3875034B2 (ja) 倍力機構付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装置
KR100565288B1 (ko) 배터리 내장형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커버 착탈장치
JP2013213336A (ja) 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